KR20050088922A - 기록 장치 및 기록 방법 - Google Patents

기록 장치 및 기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8922A
KR20050088922A KR1020047013056A KR20047013056A KR20050088922A KR 20050088922 A KR20050088922 A KR 20050088922A KR 1020047013056 A KR1020047013056 A KR 1020047013056A KR 20047013056 A KR20047013056 A KR 20047013056A KR 20050088922 A KR20050088922 A KR 200500889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recording
format
digital
sti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30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88123B1 (ko
Inventor
야스히로 히다까
마사아끼 고지마
신고 요시오까
히데히꼬 오꾸무라
가나메 오가와
히로끼 시이나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889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89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81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81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4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4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11B27/105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of operating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 G11B27/326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used signal is a video-frame or a video-field (P.I.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04N5/772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the recording apparatus and the television camera being placed in the same enclos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7921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for more than one processing mod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62DVDs [digital versatile discs]; Digital video discs; MMCDs; HDC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84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 H04N5/85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on discs or dru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4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 H04N9/8047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using transform co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동화상 데이터와 정지 화상 데이터 양쪽을 여러가지 재생 기기로 재생 가능한 양태로 기록할 수 있는 기록 장치 및 기록 방법이다. 동화상 데이터는 MPEG 인코더(2)에서 MPEG 방식으로 데이터 압축하고, 포맷 형성부(3)로 소정의 기록 포맷에 대응하는 기록용 데이터를 형성하여, DVD(100)에 기록하고, 정지 화상 데이터는 JPEG 인코더(6)에서 JPEG 방식으로 데이터 압축하고, 동화상 데이터는 별도로 DVD(100)에 기록한다. 소정의 타이밍에서, JPEG 방식으로 데이터 압축되어 DVD(100)에 기록되어 있는 정지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고, 이것을 포맷 변환부(7)에서 MPEG 방식의 I 픽쳐로 변환하고, 이것을 포맷 형성부(3)를 통하여 상기한 소정의 포맷으로 DVD(100)에 기록한다.

Description

기록 장치 및 기록 방법{RECORDING DEVICE AND RECORDING METHOD}
본 발명은, 예를 들면 기록 가능한 DVD(Digital Versatile Disk) 등을 기록 매체에 이용하고, 이에 동화상이나 정지 화상을 디지털 데이터로서 기록하는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나 디지털 카메라 등의 기록 장치, 이러한 기록 장치에서 이용되는 기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기록 매체로서 DVD 등의 대용량 디스크 기록 매체를 이용하는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가 생각되고 있다. 이러한 디스크 기록 매체를 이용하는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에서도, 동화상뿐만 아니라, 정지 화상도 동화상과는 별개로 기록하고, 그 양쪽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 요구가 높다.
그러나, 종래 디스크 매체에 동화상을 기록하는 경우에는, 동화상 기록용으로 개발된 디지털 동화상 포맷으로 기록하고, 디스크 매체에 정지 화상을 기록하는 경우에는, 정지 화상 기록용으로 개발된 디지털 정지 화상 포맷으로 기록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동화상과 정지 화상을 각각 다른 기록 포맷으로 동일한 디스크 기록 매체에 기록하고, 이것을 재생하는 경우에는 그 각각의 기록 포맷에 대응한 디코더가 필요하게 된다.
디스크 기록 매체로서, DVD를 이용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동화상을 기록하는 경우에는, 데이터 압축 방식으로서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방식을 이용한 DVD 비디오 포맷(DVD Video Format)이나 DVD 비디오 레코딩 포맷(DVD Video Recording Format) 등의 디지털 동화상 포맷을 이용하게 된다.
또한, 정지 화상을 기록하는 경우에는 데이터 압축 방식으로서, 예를 들면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 방식을 이용한, JPEG 포맷이나 DCF(Design rule for Camera File system) 포맷 등으로 불리는 디지털 정지 화상 포맷을 이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동화상 데이터와 정지 화상 데이터가 서로 다른 기록 포맷으로 기록되어 있는 기록 매체로부터 동화상 데이터와 정지 화상 데이터 양쪽을 재생하여, 그 동화상과 정지 화상을 얻도록 하는 경우에는, 동화상 데이터용 디코더(MPEG 디코더)와 정지 화상 데이터용 디코더(JPEG 디코더) 양쪽을 탑재해야만 한다.
따라서, 동화상 데이터와 정지 화상 데이터가 서로 다른 압축 포맷으로 기록되어 있는 기록 매체를, 동화상용 디코더밖에 탑재되지 않은 재생 기기로 재생하는 경우에는,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정지 화상 데이터에 대해서는 재생할 수 없어, 정지 화상을 이용할 수 없게 된다.
그 때문에, 동화상 데이터에 대해서는 디지털 동화상 포맷으로 기록 매체에 기록하도록 하고, 정지 화상 데이터에 대해서는 MPEG 방식 중에서 규정되어 있는 소위 프라이빗 패킷(Private Packet) 등을 이용하여, MPEG 스트림 내에 기록하도록 하고, 정지 화상 데이터에 대해서도 디지털 동화상 포맷에 혼합되도록 하여 기록하는 것이 생각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하여 기록한 정지 화상 데이터를 재생하는 경우에는, MPEG 스트림 내의 프라이빗 패킷을 정지 화상 데이터로서 디코드할 수 있는 전용 MPEG 디코더가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정지 화상 디코더는 필요없게 되지만, 프라이빗 패킷을 정지 화상 데이터로서 디코드 가능한 전용의 동화상용 디코더가 필요하게 되어, 범용적인 해결 방법이라고는 할 수 없다.
또한,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일본 특개 2002-325227호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디지털 스틸 카메라로 촬영하여, 디지털 정지 화상 포맷으로 반도체 메모리 등에 기록한 정지 화상 데이터를 디지털 정지 화상 포맷에 대응하지 않는 말하자면 범용적인 재생 장치에서 재생 가능한 기록 매체를 작성하도록 하는 방식도 생각되고 있다.
이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기술을 이용함으로써, 디지털 정지 화상 포맷으로 기록 매체에 기록된 정지 화상 데이터라도, 이것을 MPEG 방식의 I 픽쳐(Intra-Picture)로 변환하여 디지털 동화상 포맷으로 기록함으로써, MPEG 디코더를 구비한 재생 기기에서, 정지 화상 데이터의 이용이 가능한 기록 매체를 작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상술한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기술이 적용되어, 디지털 정지 화상 포맷으로부터 디지털 동화상 포맷으로의 변환 기능을 갖는 기록 재생 장치를 새롭게 구입하지 않고도, 이미 일반 사용자 가까이에 있는 여러가지 재생 기기나 기록 재생 기기라도 이용 가능한 양태로, 동화상 데이터와 정지 화상 데이터 양쪽을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기술의 제공이 기대되고 있다.
그래서,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를 이용하여, 정지 화상을 촬영하는 경우에, 처음부터 MPEG 방식의 I 픽쳐의 형식으로 하여 기록 매체에 정지 화상 데이터를 기록하는 것이 생각된다. 그러나, 이 경우, 통상의 동화상의 I 픽쳐와 혼동하지 않도록, 동화상 데이터의 기록 에리어와 I 픽쳐의 형식으로 된 정지 화상 데이터의 기록 에리어의 구별 문제가 발생한다. 이것은 정지 화상 데이터의 이용이나 관리를 위한 여러가지 처리가 복잡화하거나, 기록 매체의 유효 활용이 어느 정도 희생이 되거나 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고 생각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디지털 동화상 포맷의 해상도와 디지털 정지 화상 포맷의 해상도에서는 디지털 정지 화상 포맷의 해상도쪽이 높다. 이 때문에, 정지 화상에 대해서도 처음부터 디지털 동화상 포맷으로 기록 매체에 기록하도록 한 경우에는, 디지털 정지 화상 포맷의 정지 화상 데이터가 어디에도 존재하지 않게 되어, 디지털 정지 화상 포맷의 정지 화상 데이터의 디코더를 구비하는 재생 기기에서도, 정지 화상 데이터를 본래의 해상도로 이용할 수 없게 된다.
또한, 기록 매체로서 DVD를 이용하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DVD의 기록 포맷으로서는, DVD 비디오 포맷(DVD Video Format)이나 DVD 비디오 레코딩 포맷(DVD Video Recording Format) 등이 있고, 어느 하나의 기록 포맷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동화상 데이터와 정지 화상 데이터 양쪽을 될 수 있는 한 제한없이 기록할 수 있도록 하고 싶다는 요구도 있다.
본 발명은 이상의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 동화상 데이터와 정지 화상 데이터 양쪽을 여러가지 재생 기기로 재생 가능한 양태로 기록할 수 있도록 하는 기록 장치, 기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발명의 개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기록 장치는,
소정의 기록 매체에 디지털 정지 화상 포맷으로 기록된 1매 이상의 디지털 정지 화상 데이터를 소정의 타이밍에서 판독하는 판독 수단과,
상기 판독 수단으로부터의 1매 이상의 상기 디지털 정지 화상 데이터를 통합하도록 하고, 이것을 디지털 동화상 포맷에 합치하는 기록용 데이터로 변환하는 변환 수단과,
상기 변환 수단에서 형성된 상기 기록용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이 본 발명의 기록 장치에 따르면, 소정의 기록 매체에 디지털 정지 화상 포맷으로 기록된 1매 이상의 정지 화상 데이터는 소정의 타이밍에서 판독되고, 이것이 변환 수단에 의해 통합되어 디지털 동화상 포맷의 데이터로 변환되고, 기록 수단에 의해 정지 화상 데이터가 판독된 동일한 기록 매체에 기록된다. 즉, 기록 매체에는 정지 화상 데이터가 디지털 정지 화상 포맷이거나, 또한 디지털 동화상 포맷이라도 기록하도록 된다.
이에 의해, 디지털 동화상 포맷의 디코더밖에 구비하지 않는 재생 기기에 있어서도, 해당 기록 매체에 기록된 정지 화상의 이용을 할 수 있도록 된다. 또한, 디지털 정지 화상 포맷의 디코더를 구비하는 재생 기기에서는, 디지털 정지 화상 포맷의 정지 화상 데이터를 그대로 이용하여, 해상도가 좋은 정지 화상의 이용을 할 수 있도록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록 장치, 기록 방법의 일 실시 형태가 적용된 DVD 비디오 카메라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2의 (a) 내지 도 2의 (c)는 DVD 비디오 포맷인 경우의 데이터의 기록 양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DVD 비디오 포맷인 경우의 데이터의 기록 양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정지 화상 데이터를 MPEG 방식의 I 픽쳐로 변환하고, 이것을 DVD 비디오 포맷으로 기록하는 경우의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는 DVD 비디오 레코딩 포맷인 경우의 데이터의 기록 양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정지 화상 데이터를 MPEG 방식의 I 픽쳐로 변환하고, 이것을 DVD 비디오 레코딩 포맷으로 기록하는 경우의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7의 (a) 내지 도 7의 (b)는 목적으로 하는 화상 데이터를 선택하는 경우의 화면의 표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목적으로 하는 화상 데이터를 선택하는 경우의 화면의 표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 형태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기록 장치, 기록 방법을, 기입 가능한 DVD를 기록 매체로서 이용하는 DVD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이하, DVD 비디오 카메라라고 함)에 적용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DVD 비디오 카메라의 구성과 동작에 대하여]
도 1은 이 실시 형태의 DVD 비디오 카메라의 구성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에서, DVD(100)는 이 실시 형태의 DVD 비디오 카메라에 장전되어, 동화상 데이터, 정지 화상 데이터가 기록되는 기록 매체이다.
이 실시 형태의 DVD 비디오 카메라는, 후술하는 DVD 비디오 포맷(DVD Video format)과 DVD 비디오 레코딩 포맷(DVD Video Recording Format)의 2개의 디지털 동화상 포맷 중 어디에도 대응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 실시 형태의 DVD 비디오 카메라는, 사용자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해당 DVD 비디오 카메라에 장전된 기입 가능한 DVD를, DVD 비디오 포맷, 혹은 DVD 비디오 레코딩 포맷으로 초기화하여 이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 실시 형태의 DVD 비디오 카메라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메라부(1)와, MPEG 인코더(2)와, 포맷 형성부(3)와, JPEG 인코더(6)와, 포맷 변환부(7)로 이루어지는 기록 처리부와, 기록 시 및 재생 시에 이용되는 버퍼 메모리(4), 기입/판독부(5)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실시 형태의 DVD 비디오 카메라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셀렉터(81, 84)와, JPEG 디코더(82)와, MPEG 디코더(83)로 이루어지고, 재생 시에 이용되는 디코드부(8)와, 코덱(91)과, 디지털 인터페이스(이하, 디지털 I/F라고 약칭함)(92)를 구비하고, 디지털 데이터의 교환을 행하는 디지털 입출력부(9)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지털 입출력부(9)는 디지털 입출력 단자 IO에 접속되고, 이 디지털 입출력 단자를 통하여 다른 기기와의 사이에서 디지털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디코드부(8)에서 디코드되고, D/A 변환된 화상 정보 등의 정보는 아날로그 출력 단자 OT를 통하여 출력되어, 모니터 수상기 등의 외부 기기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외부 기기로부터의 아날로그 영상 신호나 아날로그 음성 신호는 입력 단자 IN을 통하여 MPEG 인코더(2)에 입력되고, 여기서 A/D 변환됨과 함께, MPEG 방식의 데이터로 데이터 압축하고, 이것을 DVD(100)에 기록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이 실시 형태의 DVD 비디오 카메라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컨트롤러(11), LCD(12)가 설치되어 있고, 카메라부(1)가 포착하고 있는 화상이나, DVD(100)에 기록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에 의한 재생 화상을 LCD(12)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이것을 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 도시하지 않았지만, 카메라부(1)가 포착하고 있는 화상을 보기 위한 뷰 파인더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도 1에서, 제어부(20)는 상술한 각 부를 제어하는 것으로, CPU(Central Processing Unit)(21), ROM(Read Only Memory)(22), RAM(Random Access Memory)(23), 불휘발성 메모리(24)가 CPU 버스(26)를 통하여 접속되어 형성된 마이크로컴퓨터이다.
여기서, ROM(22)은 제어부(20)의 CPU(21)에 의해 실행하도록 되는 각종 프로그램이나 처리에 필요한 데이터가 기록된 것이고, RAM(23)은 처리의 도중 결과를 일시 기억하는 등, 주로 작업 영역으로서 이용되는 것이다. 또한, 불휘발성 메모리(24)는 전원이 차단되어도 기억 정보를 보유해둘 수 있는 것으로, 여러가지의 설정 파라미터나 확실하게 보유해두고자 하는 도중 결과 등을 기억 보유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어부(20)에는 여러가지의 조작 키나 조작 손잡이 등을 갖는 키 조작부(25)가 접속되어 있다. 이 키 조작부(25)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의 여러가지의 지시 입력을 해당 DVD 비디오 카메라에 대하여 입력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키 조작부(25)를 통하여 접수된 사용자로부터의 지시 입력에 따른 정보는 전기 신호로서 제어부(20)에 공급된다. 이에 의해, 제어부(20)는 사용자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각부를 제어하여, 해당 DVD 비디오 카메라가 사용자로부터의 지시에 따른 동작을 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동화상의 기록 시의 동작에 대하여]
그리고, 이 실시 형태의 DVD 비디오 카메라는, 이하에 설명한 바와 같이, 화상을 동화상으로서 촬영하여 DVD에 기록할 수 있음과 함께, 화상을 정지 화상으로서 촬영하여 DVD에 기록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이 실시 형태의 DVD 비디오 카메라의 카메라부(1)는 CCD(Charge Coupled Device)를 구비함과 함께, 전자식 셔터 기능을 갖게 된 것이다. 그리고, 이 실시 형태의 DVD 비디오 카메라의 사용자는, 키 조작부(25)의 소정의 조작 키를 조작하고, 이 실시 형태의 DVD 비디오 카메라를 언제나 촬영을 개시하는 것이 가능한 상태인 스탠바이 상태로 하고, 키 조작부(25)의 촬영 개시 키(REC 키)를 조작함으로써, 카메라부(1)가 포착하고 있는 화상을 동화상으로서 촬영하고, 이것을 DVD(100)에 기록하는 동작을 행한다.
이 경우, 카메라부(1)로부터의 동화상 신호는 MPEG 인코더(2)에 공급되어, 여기서 A/D 변환되어 디지털 동화상 데이터로 된 후, MPEG 방식으로 데이터 압축되어, 포맷 형성부(3)에 공급된다. 포맷 형성부(3)는 제어부(20)의 제어에 따라, 이 실시 형태의 DVD 비디오 카메라에 장전되어 있는 DVD(100)의 기록 포맷(디지털 동화상 포맷)에 따른 기록용 데이터를 형성하고, 이것을 버퍼 메모리(4)에 공급한다.
버퍼 메모리(4)는 제어부(20)에 의해, 그 기입/판독이 제어되어, 기록 시에는 이 실시 형태의 DVD 비디오 카메라와 DVD(100) 사이에서의 기록용 데이터에 대한 시간축 보정을 행하고, 모든 기록용 데이터를 누설하지 않고 DVD(100)에 기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버퍼 메모리(4)는 FIFO(First In First Out) 방식으로 이용되어, 동화상의 기록 시에는 포맷 형성부(3)로부터의 기록용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버퍼 메모리(4)에 기입하고, 동시에 이미 버퍼 메모리(4)에 기록되어 있는 기록용 데이터를 판독하여, 기입/판독부(5)에 공급한다.
기입/판독부(5)는, 도시하지 않지만, 광 픽업, 2축 액튜에이터, 쓰레드 모터 등을 구비하여, 제어부(20)의 제어에 의해, 이 실시 형태의 DVD 비디오 카메라에 장전된 DVD(100)의 소정의 위치에 기록용 데이터를 기록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하여, 이 실시 형태의 DVD 비디오 카메라는, 이것에 장전된 기록 매체인 DVD(100)에 대하여, 카메라부(1)를 통하여 촬영한 동화상을 디지털 데이터로서 기록할 수 있는 것이다.
[정지 화상의 기록 시의 동작에 대하여]
또한, 이 실시 형태의 DVD 비디오 카메라는, 이 실시 형태의 DVD 비디오 카메라를 스탠바이 상태로 하여, 키 조작부(25)의 셔터 키를 조작함으로써, 카메라부(1)의 전자식 셔터가 동작하고, 카메라부(1)가 포착하고 있는 화상을 정지 화상으로서 촬영하여, 이것을 DVD(100)에 기록하는 동작을 행한다.
이 경우, 카메라부(1)로부터의 정지 화상 신호는 JPEG 인코더(6)에 공급되고, 여기서 A/D 변환되어 디지털 정지 화상 데이터로 된 후, JPEG 방식으로 데이터 압축되어, JPEG 포맷(디지털 정지 화상 포맷)의 기록용 데이터가 형성된다. JPEG 인코더(6)로부터의 기록용 데이터는, 버퍼 메모리(4)를 통하여 기입/판독부(5)에 공급되고, 이 기입/판독부(5)를 통하여, 해당 DVD 비디오 카메라에 장전되어 있는 DVD(100)에 정지 화상 데이터로서 기록된다.
이와 같이, 이 실시 형태의 DVD 비디오 카메라에서는, 디지털 동화상 포맷의 동화상 데이터와, 디지털 정지 화상 포맷의 정지 화상 데이터를, 촬영할 때마다, 기록 매체인 DVD(100) 상의 적절한 위치에 기록함으로써, 동화상 데이터와 정지 화상 데이터를 DVD(100)에서 혼재하여 기록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동화상 데이터의 기록 영역과 정지 화상 데이터의 기록 영역을 기록 매체인 DVD(100) 상에 미리 나누어서 설정하도록 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예를 들면 정지 화상의 촬영은 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정지 화상 데이터의 기록 영역을 미리 확보하는 등의 낭비를 생기게 하지 않고, DVD의 기억 용량을 낭비없이 사용하여, 동화상 데이터이든, 정지 화상 데이터이든 효율적으로 기록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이 실시 형태의 DVD 비디오 카메라에서는, 동화상은 MPEG 방식으로 데이터 압축함과 함께 소정의 디지털 동화상 포맷으로 DVD에 기록하고, 또한 정지 화상은 JPEG 방식으로 데이터 압축하여 디지털 정지 화상 포맷으로 장전된 DVD(100)에 기록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정지 화상 데이터의 포맷 변환에 대하여]
또한, 이 실시 형태의 DVD 비디오 카메라에서는, 사용자로부터의 지시에 따른 타이밍에서, 혹은 기록에 이용된 DVD(100)가 추출되게 되었을 때 등의 필요가 있으면 제어부(20)가 판단한 타이밍에서, 기록에 이용된 DVD(100)에 디지털 정지 화상 포맷으로 기록되어 있는 전(全) 정지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여, 이것을 디지털 동화상 포맷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DVD(100)에 추가 기록하는 처리를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로부터의 지시에 따른 타이밍에서, 혹은 필요하다고 제어부(20)가 판단한 타이밍에서, 기록에 이용된 DVD(100)에 디지털 정지 화상 포맷으로 기록되어 있는 전체 정지 화상 데이터를 기입/판독부(5)를 통하여 판독하고, 이것을 버퍼 메모리(4)를 통하여 포맷 변환부(7)에 공급한다.
포맷 변환부(7)는, 기입/판독부(5)를 통하여 DVD(100)로부터 판독된 디지털 정지 화상 포맷의 정지 화상 데이터(JEPG 방식으로 데이터 압축되어 있는 정지 화상 데이터)를 MPEG 방식의 I 픽쳐의 형식의 데이터로 변환한다. 즉, 포맷 변환부(7)는 JPEG 방식의 디코더에 의하지 않으면 디코드할 수 없는 정지 화상 데이터를, MPEG 방식의 디코더에 의해서 디코드 가능한 데이터로 변환하는, 소위 JPEG 포맷-I 픽쳐 변환부이다.
그리고, 포맷 변환부(7)에서, MPEG 방식의 I 픽쳐의 형식의 데이터로 변환된 정지 화상 데이터는 포맷 형성부(3)에 공급된다. 포맷 형성부(3)는 상술한 바와 같이, 기록하려고 하는 데이터로부터 미리 정해진 소정의 디지털 동화상 포맷, 즉 이 실시 형태에서는 DVD 비디오 포맷, 혹은 DVD 비디오 레코딩 포맷의 기록용 데이터를 형성하는 것이다.
포맷 형성부(3)는 포맷 변환부(7)로부터 MPEG 방식의 I 픽쳐의 형식으로 된 정지 화상 데이터가 공급되면, 이 MPEG 방식의 I 픽쳐의 형식으로 된 모든 정지 화상 데이터를 1 전체 데이터(1 챕터분의 데이터)로 하여, 소정의 디지털 동화상 포맷의 기록용 데이터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하여 형성된 기록용 데이터는 상술한 바와 같이, 버퍼(4), 기입/판독부(5)를 통하여 DVD(100)에 기록된다.
이와 같이, 이 실시 형태의 DVD 비디오 카메라는, 예를 들면 촬영함으로써 얻은 동화상 데이터는 MPEG 방식으로 데이터 압축하여 소정의 디지털 동화상 포맷에 따라서 기록하고, 촬영함으로써 얻은 정지 화상 데이터는 JPEG 포맷 등의 소정의 디지털 정지 화상 포맷에 따라서 기록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또한 이 실시 형태의 DVD 비디오 카메라는, 디지털 정지 화상 포맷 기록한 정지 화상 데이터에 대해서는, MPEG 방식의 I 픽쳐 형식의 데이터로 변환하고, 이것을 먼저 기록되어 있는 MPEG 방식으로 데이터 압축되어, 소정의 디지털 동화상 포맷으로 기록되어 있는 동화상 데이터에 추가하도록 하여 기록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디지털 정지 화상 포맷으로 기록된 정지 화상 데이터는 그대로, 또한 디지털 정지 화상 포맷으로 기록되어 있는 정지 화상 데이터를 MPEG 방식의 I 픽쳐의 형식한 정지 화상 데이터로 변환하여, 디지털 동화상 포맷으로 동일한 기록 매체에 기록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의해, MPEG 방식의 디코더를 구비한 재생 기기이면, 이 실시 형태의 DVD 비디오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어 DVD(100)에 디지털 동화상 포맷으로 기록된 동화상과 정지 화상의 양쪽을 재생하여 이용할 수 있음과 함께, JPEG 방식의 디코더를 구비한 재생 기기에서는, 디지털 정지 화상 포맷의 정지 화상 데이터를 그 해상도를 손상시키지 않고 이용할 수 있게 하고 있다.
[기록 데이터의 재생 처리에 대하여]
또한, 이 실시 형태의 DVD 비디오 카메라는, 이 실시 형태의 DVD 비디오 카메라에 장전되어 있는 DVD(100)로부터, 이것에 기록되어 있는 동화상 데이터나 정지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여 재생하는 재생 기능도 구비한 것이다.
그리고, 이 실시 형태의 DVD 비디오 카메라에 장전된 DVD(100)에 기록되어 있는 동화상 데이터나 정지 화상 데이터를 재생하려고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키 조작부(25)의 소정의 조작 키를 조작하여, 이 실시 형태의 DVD 비디오 카메라를 기록 매체로부터의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 모드로 하여, DVD(100)로부터 데이터의 판독을 할 수 있는 상태로 한다.
그리고, 이 실시 형태의 DVD 비디오 카메라의 경우에는, 제어부(20)는 키 조작부(25)를 통하여, 동화상 데이터의 재생인지 정지 화상 데이터의 재생인지의 지시 입력을 접수한다.
접수한 지시 입력이 동화상 데이터의 재생 지시인 경우에는, 제어부(20)는 기입/판독부(5)를 제어하여, DVD(100)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고 그 반사광을 수광함으로써, MPEG 방식으로 데이터 압축되고, 소정의 디지털 동화상 포맷에 따라서 기록되어 있는 동화상 데이터를 판독하고, 판독한 동화상 데이터를 버퍼 메모리(4)를 통하여 디코드부(8)에 공급하도록 한다.
재생 시에도, 버퍼 메모리(4)를 이용하도록 하는 것은, 예를 들면 진동 등의 외란에 의해서 DVD(100)로부터의 기록 데이터의 판독이 일시적으로 도중에 끊기게 되어도, 버퍼 메모리(4)로부터의 데이터의 판독을 속행함으로써, 재생 화상이 도중에 끊기지 않도록 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디코드부(8)에서는, 제어부(20)의 제어에 의해, 셀렉터(81, 84)가 MPEG 디코더(83)측으로 전환되어, 동화상 데이터 및 MPEG 방식의 I 픽쳐 형식으로 기록되어 있는 정지 화상 데이터가 MPEG 디코더(83)에서 디코드되어 데이터 압축 전의 동화상 데이터, 정지 화상 데이터가 복원되고, 이것을 재생하도록 하여, LCD(12)에 재생 화상을 표시하거나, 출력 단자 OT를 통하여 모니터 수상기 등의 외부 기기에 공급하거나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접수한 지시 입력이 정지 화상 데이터의 재생 지시인 경우에는, 제어부(20)는 기입/판독부(5)를 제어하여 JPEG로 데이터 압축되고 디지털 정지 화상 포맷으로 기록되어 있는 정지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도록 하여, 디코드부(8)의 셀렉터(81, 84)를 JPEG 디코더(82)측으로 전환하여, JPEG 방식으로 데이터 압축되어 기록되어 있는 정지 화상 데이터의 재생을 행한다.
이 경우에는, JPEG 방식으로 데이터 압축되어 기록된 정지 화상 데이터만이 판독되고, JPEG 디코더(82)로 디코드되어 재생할 수 있도록 되기 때문에, MPEG 방식에 비교하면 고해상도의 정지 화상을 재생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된다.
또, 후술하는 바와 같이, 동화상 데이터인 경우에는, 타이틀 단위, 챕터 단위로 기록하도록 되어 있어, 지시된 타이틀이나 챕터로부터의 동화상의 재생을 행하도록 하는 등이 가능하다. 또한, MPEG 방식의 I 픽쳐의 형식으로 기록되어 있는 정지 화상 데이터에 대해서는, 복수의 정지 화상의 각각을 소정 시간만큼씩 표시하도록 하는 소위 슬라이드 쇼 표시로 표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이 실시 형태의 DVD 비디오 카메라는 디지털 입출력 단자 IO, 디지털 입출력부(9)를 구비함으로써,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나 DVD의 기록 재생기 등의 외부 기기 사이에서, 디지털 동화상 데이터나 디지털 정지 화상 데이터 등의 디지털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기록 포맷별 정지 화상 데이터의 변환 처리에 대하여]
다음으로, 도 1에 도시한 이 실시 형태의 DVD 비디오 카메라로 이용 가능한 DVD 비디오 포맷이 이용되는 경우와 DVD 비디오 레코딩 포맷이 이용되는 경우로 나누어서, 디지털 정지 화상 포맷으로 기록된 정지 화상 데이터의 디지털 동화상 포맷에의 변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DVD 비디오 포맷인 경우에 대하여]
우선, 디지털 동화상 포맷으로서, DVD 비디오 포맷을 이용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 실시 형태의 DVD 비디오 카메라는 동화상 데이터와 정지 화상 데이터를 그 기록 영역을 미리 나누거나 하지 않고, 혼재시켜서 기록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의 (a) 내지 도 2의 (c)는, DVD 비디오 포맷인 경우의 데이터의 기록 양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DVD 비디오 포맷인 경우에는, 도 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1개 이상의 챕터로 이루어지는 1 타이틀분의 동화상 데이터가, VTS(Video Title Set) 정보로서 연속적으로 기록하도록 된다.
도 2의 (a)에 도시한 예는, VTS#1, VTS#2, …, VTS#n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n개의 타이틀분의 동화상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VTS의 관리 정보로서, 각 VTS 정보를 통할적으로 관리하고, 복수의 VTS의 관계를 흐트러뜨리지 않고 연속 재생하는 등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VMG(Video ManaGer) 정보가 설치된다.
DVD 비디오 포맷인 경우에는, 상술한 VMG의 내용을 기록된 VTS에 따라 재기입함으로써, 상기 DVD를 재생용으로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소위 파이널라이즈 처리가 필요하게 된다. DVD 비디오 포맷이 이용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 파이널라이즈 처리의 실행 타이밍에서, 디지털 정지 화상 포맷으로 기록된 정지 화상 데이터를 디지털 동화상 포맷으로도 기록하도록 하는 처리가 행해지게 된다.
즉, 파이널라이즈 처리는, 사용자로부터의 지시에 따른 타이밍이나, DVD가 이 실시 형태의 DVD 비디오 카메라로부터 추출되도록 조작된 타이밍에서 행하도록 되고, 이 때에 디지털 정지 화상 포맷으로 기록된 정지 화상 데이터를 디지털 동화상 포맷으로도 기록하도록 하는 처리가 행해지게 된다.
또, 이 명세서에서, 타이틀이란, 텔레비전 방송에서는 1개의 방송 프로그램을 가리키고, 또한 챕터란, 예를 들면 1개의 타이틀 내를 전반과 후반, 혹은 1막째, 2막째, … 등과 같이 나눈 경우의 각 부분을 가리키는 것이다.
그리고, 이 실시 형태의 DVD 비디오 카메라에서는, 파이널라이즈 처리가 행해지기까지 기록한 동화상 데이터를 1 타이틀, 혹은 99개의 챕터의 통합을 1 타이틀로서 통합하도록 한다. 또한, 동화상의 촬영이 개시되고, 그 촬영이 정지될 때까지, 즉 REC 스타트로부터 REC 스톱까지의 사이에 촬영한 동화상의 동화상 데이터를 1챕터로서 취급하도록 한다.
그리고, 동화상의 촬영과 정지 화상의 촬영의 양쪽이 행해진 경우에는, 이 실시 형태의 DVD 비디오 카메라인 경우에는, 예를 들면 도 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화상 데이터가 기록하도록 되는 VTS 정보와, JPEG 방식으로 데이터 압축된 정지 화상 데이터(도 2의 (b)에서 사선으로 나타낸 부분))가 혼재하여 DVD에 기록된다.
이 후,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로부터의 파이널라이즈 처리의 실행 지시의 입력을 접수하거나 해당 DVD 비디오 카메라에 장전되어 기록에 이용하고 있는 DVD의 추출이 지시되기도 한 경우 등에서, 도 2의 (b)에서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JPEG 방식으로 데이터 압축된 디지털 정지 화상 포맷의 정지 화상 데이터(JPEG 정지 화상 데이터)로부터, MPEG 방식의 I 픽쳐의 형식으로 된 정지 화상 데이터를 형성하고(포맷 변환 처리하고), 이것을 복수매(예를 들면 99매) 모아서 1 타이틀로서 새롭게 VTS#n+1을 형성하고(포맷 형성 처리하고), 이것을 기록에 이용하고 있는 DVD(100)에 기록한다.
이 후, 복수매의 MPEG 방식의 I 픽쳐의 형식으로 된 정지 화상 데이터로 이루어지고, 새롭게 기록한 VTS#n+1을 고려한 VMG 정보를 형성하고, 이것을 갱신하도록 하는 파이널라이즈 처리를 행한다. 이에 의해, 도 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록에 이용하고 있는 DVD에는, VTS#1∼VTS#n으로 나타내는 MPEG 방식으로 데이터 압축되고, DVD 비디오 포맷으로 기록된 동화상 데이터와, VTS#n+1로 나타내는 MPEG 방식의 I 픽쳐의 형식으로 되어, DVD 비디오 포맷으로 기록된 정지 화상 데이터와, JPEG 방식으로 데이터 압축된 정지 화상 데이터가 기록되어, 이들 각각을 이용할 수 있도록 된다.
물론, 정지 화상만을 촬영하고 기록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 경우에는 도 2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JPEG 방식으로 데이터 압축된 정지 화상 데이터(도 2의 (c)에서 사선으로 나타낸 부분)가 DVD에 기록된다. 그리고, 파이널라이즈 처리의 타이밍에서, JPEG 방식으로 데이터 압축된 정지 화상 데이터로부터, MPEG 방식의 I 픽쳐의 형식으로 된 정지 화상 데이터를 형성하고, 이것을 복수매씩 통합하여, 도 2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새롭게 VTS#1, …를 형성하고, 이것을 기록에 이용하고 있는 DVD에 기록한다.
그리고, 파이널라이즈 처리를 행하여, 새롭게 기록한 VTS#1, …을 고려한 VMG 정보를 형성하여 갱신함으로써, 도 2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록에 이용하고 있는 DVD에는 정지 화상으로서 촬영되고, JPEG 방식으로 데이터 압축된 정지 화상 데이터(도 2의 (c)에서 사선으로 나타낸 부분)와 VTS#1로 나타내는 MPEG 방식의 I 픽쳐의 형식으로 되어, DVD 비디오 포맷으로 기록된 정지 화상 데이터가 기록되어, 이들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JPEG 정지 화상 데이터를 MPEG 방식의 I 픽쳐로 변환하고, 변환 후의 I 픽쳐를 DVD 비디오 포맷의 타이틀/챕터로 한 경우의 데이터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는, 설명을 간단히 하기 위해, 정지 화상 1매당을 1 챕터로 하고, 3 챕터를 1 타이틀로 하고, DVD 비디오 포맷으로 기록하는 경우를 예로 든다.
도 3은, 이 실시 형태의 DVD 비디오 카메라에 있어서, 3매의 정지 화상(3챕터)를 1 타이틀로 하여 DVD에 기록했을 때의 DVD 비디오 포맷에서의 포맷도이다. 도 3의 (a)에서는, 정지 화상을 타이틀·챕터로 하는 처리를 행하기 이전에는 n개의 타이틀이 기록되어 있고, n+1개째의 타이틀로서 정지 화상을 기록한 양태를 도시한다.
도 3의 (a)에서는, 도 2의 (a) 내지 도 2의 (c)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각 VTS(Video Title Set)는 1개의 타이틀을 나타내고, VTS#n은 n번째의 타이틀이 기록된 VTS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도 2의 (b)를 이용하여 설명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파이널라이즈 처리의 타이밍에서, JPEG 정지 화상 데이터로부터, MPEG 방식의 I 픽쳐의 형식의 정지 화상 데이터가 형성되고, 이것이 복수매(이 도 3의 예의 경우에는 3매)가 통합되어, VTS#n+1이 형성되고 이것이 DVD에 기록된다.
각 VTS에는, 도 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VTSI(Video Title Set Information)와, VTSTT_VOBS(Video Object Set for Title)와, VTSI_bup(Video Title Set Information backup)가 설치된다. VTSTT_VOBS는, 그 타이틀에 포함되는 각 챕터의 화상 데이터로서, 도 3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챕터분의 VOB(Video Object)가 존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VTSI는 VTSTT_VOBS에 기록하도록 되어 있는 복수의 각 챕터를 관리하고, 언제나 판독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관리 정보이고, VTSI bup는 VTSI의 백업 정보로서, 그 내용은 VTSI와 동일하다.
그리고, 본래의 DVD 비디오 포맷에서는, 각 VOB 중에는 복수의 CELL이 존재할 수 있도록 규정되어 있다. 그러나, 이 실시 형태의 DVD 비디오 카메라에서는, 도 3의 (c)의 VOB와 도 3의 (d)의 CELL이 일대일로 대응한 바와 같이, 적어도 JPEG 정지 화상 데이터로부터 형성된 MPEG 방식의 I 픽쳐의 정지 화상이 기록하도록 된 VTS의 1개의 VOB 중에는, 1개의 CELL 밖에 존재할 수 없도록 한다. 즉, 항상, 1VOB=1CELL=1챕터의 관계가 성립하도록 한다.
CELL 내에는, Cell Still Time이라고 불리는 영역이 있다. CELL이 정지 화상일 때에는 Cell Still Time에는 그 CELL(정지 화상)을 재생하는 초수를 지정할 수 있다. 즉, 정지 화상의 재생 초수(표시 초수)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DVD 비디오 포맷에서는, CELL 내에는 복수의 VOBU(Video Object Unit)도 복수 존재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지만, 이 실시 형태의 DVD 비디오 카메라에서는, 도 3의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어도 JPEG 정지 화상 데이터로부터 형성된 MPEG 방식의 I 픽쳐의 정지 화상이 기록하도록 된 VTS의 CELL 내의 VOBU는 1개로 제한하고 있다.
VOBU 내는, 도 3의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선두에 NV_PCK(navigation pack)가 형성되고, 계속해서 복수의 V_PCK(video pack)가 계속된다. VOBU에 포함되는 V_PCK의 팩(pack)수는 1개의 MPEG 방식의 I 픽쳐를 포함시킬 수 있는 용량에 필요한 팩수이다. 또, NV_PCK는 앞으로 감기나 되감기 등을 실현하기 위한 데이터 검색 인포메이션 등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이 실시 형태의 DVD 비디오 카메라에서는, JPEG 방식으로 데이터 압축하여 기록한 정지 화상 데이터로부터, MPEG 방식의 I 픽쳐의 형식으로 한 정지 화상 데이터를 형성한다. 그리고, 1매의 정지 화상을 1챕터로 하여, 복수매의 정지 화상을 1 타이틀로서 통합하고, 이것을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DVD 비디오포맷에 따라서 DVD에 기록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CELL의 Cell Still Time를 변경함으로써, MPEG 방식의 I 픽쳐의 형식으로 변환된 정지 화상의 재생 시간을 변경하는 등의 조정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이 조정은 이 실시 형태의 DVD 비디오 카메라의 키 조작부(25)를 통하여 사용자가 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제어부(20)의 제어에 의해, 기입/판독부(5)를 통하여, DVD에 기록된 정보의 가두 데이터를 재기록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물론, 편집 기능을 갖는 다른 DVD 기록 재생기에도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DVD 비디오 포맷으로 초기화된 DVD에 JPEG 방식으로 데이터 압축된 정지 화상 데이터를 MPEG 방식의 I 픽쳐로 변환하고, 이것을 DVD 비디오 포맷으로 기록하는 경우의 처리에 대하여, 도 4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도 4에 도시한 처리는, 예를 들면 사용자로부터의 파이널라이즈 처리의 실행 지시가 있었던 경우나, 기록에 이용하고 있었던 DVD를 해당 DVD 비디오 카메라로부터 추출하도록 한 경우 등의, 파이널 라이즈 처리를 실행하는 타이밍에서 행해지는 것이다.
파이널라이즈 처리가 실행하도록 되면, 제어부(20)는, 도 1에는 도시하지 않은 DVD의 회전 구동부나, 기입/판독부(5), 버퍼 메모리(4)를 제어하여, 기록에 이용한 DVD(100)에 JPEG 방식으로 데이터 압축되어 디지털 정지 화상 포맷으로 기록되어 있는 정지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고, 이것을 포맷 변환부(7)에 공급한다(단계 S101).
그리고, 제어부(20)는 포맷 변환부(7)를 제어하여, JPEG 정지 화상 데이터를 MPEG 방식의 I 픽쳐의 형식의 데이터(PS: Program Stream)로 변환하고(단계 S102), 이것을 포맷 형성부(3)에 공급한다. 포맷 형성부(3)는 제어부(20)로부터의 제어에 기초하여, 이것에 공급된 MPEG 방식의 I 픽쳐의 형식으로 된 정지 화상 데이터를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지 화상용으로 새롭게 형성하는 VTS의 VTSTT_VOBS에 추가하도록 하고, 버퍼 메모리(4), 기입/판독부(5)를 통하여 DVD에 기록한다(단계 S103).
그리고, 제어부(20)는 기록에 이용된 DVD에 기록되어 있는 모든 JPEG 정지 화상 데이터를 MPEG 방식의 I 픽쳐의 형식으로 변환하여, VTSTT VOBS에 추가하여, 다 기록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04). 단계 S104의 판단 처리에서, 다 기록하지 않았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제어부(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각 부를 제어하여, 단계 S101로부터의 처리를 반복한다.
단계 S104의 판단 처리에서, 모든 JPEG 정지 화상 데이터에 대한 변환 처리가 종료하였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제어부(20)는, 새롭게 추가한 VTS의 VTSI를 형성하여, 이것을 기입/판독부(5)를 통하여, DVD에 기록한다(단계 S105). 이 단계 S105의 처리에서는, VTSI의 Cell Still Time에 I 픽쳐로 변환한 정지 화상의 재생 초수를 정지 화상마다 설정하면서 기록하게 된다.
또, 이 경우, VTSI의 Cell Still Time는, 예를 들면 3초 정도의 값으로 되어 기록하도록 된다. 이 값은 사용자에 의해서, 사전에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술한 바와 같이, 이후에 변경할 수도 있도록 된다.
그리고, 제어부(20)는 MPEG 방식의 정지 화상의 기록을 위해 새롭게 추가한 VTS를 고려한 VMG를 형성하고, 이것을 기입/판독부(5)를 통하여, 해당 DVD에 기록하는 소위 파이널라이즈 처리를 행하고(단계 S106), 이 도 4에 도시한 처리, 즉 JPEG 포맷-MPEG I 픽쳐 변환 처리, 및 DVD 비디오 포맷의 파이널라이즈 처리를 종료한다.
또, 예를 들면 관리의 효율화 등을 위해, 1개의 타이틀(1개의 VTS)에는, 최대 99개까지밖에 챕터를 기록하지 않도록 하는 등의 제한을 둔 경우에는, 도 4에 도시한 단계 S104의 판단 처리의 전단에, 1개의 VTS 중에 99개의 챕터를 기록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99개의 챕터를 기록하였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그 VTS의 VTSI를 기록하여, 새롭게 VTS를 형성하도록 하고, 단계 S101로부터의 처리를 반복하도록 하면 된다.
즉, 1VTS 중에 기록 가능한 챕터수를 카운트하고, 1VTS 중에 기록 가능한 챕터수를 초과할 때에는, 새로운 VTS를 형성하도록 하면 된다. 이와 같이, 하나의 타이틀(하나의 VTS)에 기록 가능한 챕터수를 제한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러나, 복수의 VTS를 정지 화상 데이터용에 할당함으로써, MPEG 방식의 I 픽쳐의 형식으로 한 정지 화상 데이터의 기록량을 제한하지는 않는다.
[DVD 비디오 레코딩 포맷인 경우에 대하여]
다음으로, 기록 포맷으로서, DVD 비디오 레코딩 포맷을 이용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JPEG 방식으로 데이터 압축되어, 디지털 정지 화상 포맷으로 DVD(100)에 기록된 정지 화상 데이터를 MPEG의 I 픽쳐로 변환하고, 변환 후의 I 픽쳐를 DVD 비디오 레코딩 포맷에 따라서 DVD에 기록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 실시 형태의 DVD 비디오 카메라인 경우에는, 도 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록에 이용하는 DVD(100)에 대하여, DVD 비디오 레코딩 포맷으로 동화상 데이터를 기록하도록 한 경우에도, 동화상 데이터에 대해서는, DVD 비디오 레코딩 포맷에 따라서 기록해가고, 정지 화상 데이터에 대해서는 동화상 데이터와는 별도로, JPEG 방식으로 데이터 압축하여 디지털 동화상 포맷으로 기록해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DVD 비디오 레코딩 포맷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상술한 DVD 비디오 포맷인 경우와 마찬가지로, 동화상 데이터와 정지 화상 데이터 양쪽을 각각의 기록 포맷에 따라서, 혼재시켜 기록할 수 있도록 된다.
또, 도 5의 (a)에서, Program#1의 기재는, 상술한 DVD 비디오 포맷에서의 VTS#1에 상당하는 것으로서, 1개의 타이틀을 구성하고 있는 부분을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Cell#1, Cell#2의 기재는, 상술한 DVD 비디오 포맷에서의 동화상 데이터에 대한 VOB 중 CELL에 상당하고, 1개의 타이틀을 구성하는 동화상 데이터의 일부분(1 구간)인 챕터에 대응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이 실시 형태의 DVD 비디오 카메라는, 동화상 데이터에 대해서는 DVD 비디오 레코딩 포맷에 따라 DVD에 기록하고, 정지 화상 데이터에 대해서는, 동화상 데이터와는 별개로, JPEG 방식으로 데이터 압축하여 기록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DVD 비디오 레코딩 포맷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정지 화상을 촬영하여 JPEG 방식으로 데이터 압축하고, 디지털 정지 화상 포맷으로 DVD(100)에 기록한 경우에는, 촬영한 정지 화상을 JPEG-I 픽쳐 변환을 행하고, 그 I 픽쳐에 엔트리 포인트(Entry Point)를 설정하고, DVD 비디오 레코딩 포맷에 따라서 DVD(100)에 기록하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엔트리 포인트는 DVD에 기록된 스트림 상에서의 재생 개시 가능한 위치를 나타내는 것이다.
그리고, DVD 비디오 레코딩 포맷에 따라서, 동화상 데이터, 정지 화상 데이터를 기록해 가는 경우에는, 도 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PGCI(ProGram Chain Information)를 형성해가도록 한다. 도 5의 (b)에서, PGCI 내에 있는 Cell#n은, PGCI 내의 n번째의 Cell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DVD 비디오 레코딩 포맷에서의 Cell에는, 동화상 데이터에 대한 M_CI(Movie Cell Information)와, 정지 화상 데이터에 대한 S_CI(Still Picture Cell Information)의 2 종류가 있다. 그리고, PGCI 중에는, M_CI, S_CI를 각각 999개씩 존재시킬 수 있도록 규정되어 있다. 이 도 5의 (b)의 경우에는, Cell#1, Cell#2가 M_CI이고, Cell#3이 S_CI이다.
따라서, 도 5의 (b)의 경우에는, Program#1과 Program#2의 2개의 타이틀(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고, program#1은, Cell#1과 Cell#2의 2개의 동화상의 챕터로 이루어지는 타이틀이다. 또한, Program#2는 정지 화상 데이터에 대한 Cell#3을 구비한 타이틀이다.
M_CI에는, 목적으로 하는 VOBU(Video OBject Unit)에 액세스하기 위한 정보를 갖는 도 5의 (c)에 도시한 M_VOBI(Movie VOB Information)로의 포인터와, 도 5의 (b)와 도 5의 (c)를 연결하는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그 M_VOBI 중에서의 재생 개시 위치 ST, 재생 종료 위치 ED, 복수의 엔트리 포인트 EP가 있다. 여기서, M_CI가 갖는 엔트리 포인트 EP는, M_C_EPI(Movie Cell Entry Point Information)라고 불리는 것이다.
이 M_CI가 갖는 엔트리 포인트인 M_C_EPI는, 엔트리 포인트로서, M_VOBI에 포함되는 TMAP(Time Map)의 임의의 개소를 지시하고, TMAP는 도 4의 (c)의 M_VOBI와 도 4의 (d)의 VOBU를 화살표로 접속한 바와 같이, VOB 중의 개개의 VOBU에의 포인터를 갖고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어느 타이틀(프로그램)의 어느 챕터의 어느 신으로부터 재생을 행하도록 하는 등, 보다 미세하게 재생 위치를 지시하는 등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S_CI에는, 목적으로 하는 VOBU(Video OBject Unit)에 액세스하기 위한 정보를 갖는 도 4의 (c)에 도시한 S_VOBI(Still VOB Information)에의 포인터와, 도 4의 (b)와 도 4의 (c)를 화살표로 연결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그 S_VOGI 중에서의 재생 개시 위치 ST, 재생 종료 위치 ED, 복수의 엔트리 포인트 EP가 있다. 여기서, S_CI가 갖는 엔트리 포인트 EP는, S_C_EPI(Still Picture Cell Entry Point Information)라고 불리는 것이다.
이 S_CI가 갖는 엔트리 포인트인 S_C_EPI는, 엔트리 포인터로서, S_VOGI(Still Picture Video Object Group Infornlation)에 포함되는 VOB Entries의 임의의 개소를 지시하고, VOB Entries는 정지 화상 그룹(Still Picture Video Object Group(Still Group)) 중의 임의의 VOB를 지시하는 것이다.
정지 화상이 기록되는 VOB에는, 도 5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VOBU가 포함되고, 1개의 I 픽쳐가 복수의 V_PCK로 분할되고 VOBU에 저장된다. 1개의 S_VOGI에는, 64개의 VOB가 존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의 DVD 비디오 카메라에 있어서는, DVD에 JPEG 방식으로 데이터 압축되어 기록되어 있는 정지 화상 데이터에 대해서는, 사용자로부터 지시된 타이밍, 혹은 해당 DVD가 이 실시 형태의 DVD 비디오 카메라로부터 추출되도록 지시된 타이밍 등의 제어부(20)가 필요하다고 판단된 타이밍에서, MPEG 방식의 I 픽쳐로 변환하고, 이것을 도 5를 이용하여 설명한 DVD 비디오 레코딩 포맷에서의 도 5의 (d)에 도시한 Still Picture VOB Group에 추가하고, 이것에 대응하여, 엔트리 포인트를 작성하면서, 도 5의 (c)에 도시한 S_VOGI와, 도 5의 (b)에 도시한 Cell(S_CI)를 작성한다.
따라서, 이 실시 형태의 DVD 비디오 카메라에서는, 정지 화상을 999(S_CI의 수)×64(VOB의 수)=63936매 기록할 수 있게 되어, 종래, 정지 화상 1매를 1 챕터로 함으로써, S_CI의 수분(999매)으로 한정된 정지 화상의 기록 매수를 그 64배에까지 늘릴 수 있다.
다음으로, DVD 비디오 레코딩 포맷으로 초기화된 DVD에 JPEG 방식으로 데이터 압축되어 기록된 정지 화상 데이터를 MPEG 방식의 I 픽쳐로 변환하고, 이것을 DVD 비디오 레코딩 포맷으로 기록하는 경우의 처리에 대하여, 도 6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도 6에 도시한 처리는, 도 3을 이용하여 설명한 DVD 비디오 포맷으로 데이터를 기록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사용자로부터의 지시가 있었던 경우나, 기록에 이용하고 있었던 DVD를 해당 DVD 비디오 카메라로부터 추출하도록 한 경우 등의, 상술한 DVD 비디오 포맷을 이용한 경우에 행해지는 소위 파이널라이즈 처리를 실행하는 타이밍에서 행해진다.
이 경우, 제어부(20)는 도 1에는 도시하지 않은 DVD의 회전 구동부나 기입/판독부(5), 버퍼 메모리(4)를 제어하여, 기록에 이용한 DVD(100)에 JPEG 방식으로 데이터 압축되어 기록되어 있는 정지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고, 이것을 포맷 변환부(7)에 공급한다(단계 S201).
그리고, 제어부(20)는 포맷 변환부(7)를 제어하여, JPEG 정지 화상 데이터를 MPEG 방식의 I 픽쳐의 형식의 데이터(PS: Program Stream)로 변환하고(단계 S202), 이것을 포맷 형성부(3)에 공급한다. 포맷 형성부(3)는 제어부(20)로부터의 제어에 기초하여, 이것에 공급된 MPEG 방식의 I 픽쳐의 형식으로 된 정지 화상 데이터를 도 5를 이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Still Picture VOB Group(도 5의 (d))에 추가하도록 하여, 버퍼 메모리(4), 기입/판독부(5)를 통하여 DVD에 기록한다(단계 S203).
그리고, 제어부(20)는 기록에 이용된 DVD에 기록되어 있는 모든 JPEG 정지 화상 데이터를 MPEG 방식의 I 픽쳐의 형식으로 변환하여, Still Picture VOB Group에 추가하고, 다 기록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04). 단계 S204의 판단 처리에서, 다 기록하지 않았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제어부(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각부를 제어하여, 단계 S201로부터의 처리를 반복한다.
단계 S204의 판단 처리에서, 모든 JPEG 정지 화상 데이터에 대한 변환 처리가 종료하였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제어부(20)는 새롭게 추가한 Still Picture VOB Group의 내용을 고려하여, 엔트리 포인트를 작성하면서, S_VOGI(도 5의 (c))와, Cell(S_CI)(도 5의 (b))을 작성하고, S_VOGI를 추가함과 함께, PGCI에 Cell을 추가하고(단계 S205), 이 도 6에 도시한 처리를 종료한다.
또, 예를 들면 이 실시 형태의 DVD 비디오 카메라의 편집 기능을 이용하여, 키 조작부(25)를 통하여, PGC나 Cell을 변경함으로써, 정지 화상의 표시순이나 동화상과 정지 화상을 포함시킨 표시 순서의 변경도 비교적 간단히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이 실시 형태의 DVD 비디오 카메라로 기록에 이용한 DVD(100)를 편집 기능을 갖는 다른 DVD 기록 재생 기기를 이용하여, PGC나 Cell을 변경함으로써, 정지 화상의 표시순이나 동화상과 정지 화상을 포함시킨 표시 순서의 변경도 비교적 간단히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DVD에 기록된 화상의 표시 양태에 대하여]
다음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MPEG 방식으로 데이터 압축된 동화상 데이터와, JPEG 방식으로 데이터 압축된 정지 화상 데이터와, 이 JPEG 방식으로 데이터 압축된 정지 화상 데이터로부터 형성되고, MPEG 방식의 I 픽쳐의 형식으로 된 정지 화상 데이터가 기록된 DVD로부터 동화상 데이터나 정지 화상 데이터를 재생하는 경우의 화상의 표시 양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의 (a) 내지 도 7의 (b)는, 이 실시 형태의 DVD 비디오 카메라에서, 장전된 DVD에 기록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를 재생하는 경우에, 목적으로 하는 화상 데이터를 선택하는 경우의 화면의 표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의 (a) 내지 도 7의 (b)에서, 메뉴 항목 MN1, MN2가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실시 형태의 DVD 비디오 카메라에서는, 동화상을 재생하는 것인지, 정지 화상을 재생하는 것인지의 선택을 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동화상의 재생이 선택된 경우에는, 이 실시 형태의 DVD 비디오 카메라는 MPEG 방식으로 데이터 압축되고, DVD 비디오 포맷 혹은 DVD 비디오 레코딩 포맷에 따라서 기록되어 있는 동화상 데이터를 재생하도록 한다.
이 경우, 이 실시 형태의 DVD 비디오 카메라의 제어부(20)는, 도 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LCD(12)에 예를 들면 5개의 서브 화면을 설치하도록 하고, 그 5개의 서브 화면에 대하여, 예를 들면 각 타이틀(프로그램)의 선두의 화상(썸네일), 혹은 각 타이틀(프로그램)의 선두에서의 동화상을 표시하도록 함과 함께, MPEG 방식의 I 픽쳐의 형식으로 된 정지 화상 데이터를 지시된 재생 시간만큼씩 순차적으로 표시하도록 하는 소위 슬라이드 쇼 표시를 행한다.
이 도 7의 (a)인 경우에는, 서브 화면(12(1), 12(2), 12(3), 12(4))에는 각 타이틀의 선두에서의 동화상이, 서브 화면(12(5))에는 MPEG 방식의 I 픽쳐의 형식으로 된 정지 화상 데이터에 의한 슬라이드 쇼 표시가 행해지고 있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목적으로 하는 타이틀(프로그램)을 선택함으로써, LCD(12)의 표시 화면에 가득 차도록, 그 선택된 타이틀(프로그램)의 선두에서의 동화상을 표시하거나, MPEG 방식의 I 픽쳐의 형식으로 된 정지 화상 데이터에 의한 슬라이드 쇼 표시를 행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에는, MPEG 방식의 I 픽쳐의 형식으로 된 정지 화상 데이터를 재생하는 것으로서, JPEG 방식으로 데이터 압축된 정지 화상 데이터에 대해서는 전혀 사용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MPEG 디코더만 구비한 DVD 재생 기기, DVD 기록 재생 기기이면, JPEG 디코더를 구비하지 않아도, MPEG 방식의 I 픽쳐의 형식으로 된 정지 화상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즉, 원래 JPEG 방식으로 해당 DVD에 기록된 정지 화상 데이터도, 그 기록 포맷이 변환된 정지 화상 데이터를 통하여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실시 형태의 DVD 비디오 카메라에서, 정지 화상의 재생이 선택된 경우에는, 이 실시 형태의 DVD 비디오 카메라는, JPEG 방식으로 데이터 압축되어 기록되어 있는 정지 화상 데이터를 재생하도록 한다.
이 경우에도, 이 실시 형태의 DVD 비디오 카메라의 제어부(20)는, 도 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LCD(12)에 예를 들면 6개의 서브 화면을 설치하도록 하여, 그 6개의 서브 화면에 대하여, JPEG 방식으로 데이터 압축된 정지 화상 데이터에 의한 1매1매의 정지 화상을 표시하도록 한다.
즉, 도 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서브 화면(12(1)∼12(6)) 각각에는, JPEG 방식으로 데이터 압축되어 기록되어 있는 정지 화상 데이터에 의한 1매마다의 정지 화상이 표시된다. 그리고, 목적으로 하는 정지 화상을 선택함으로써, LCD(12)의 표시 화면에 가득 차도록, 그 선택된 정지 화상 데이터를 MPEG 방식의 I 픽쳐의 형식으로 된 정지 화상 데이터에 의한 정지 화상보다도 고해상도로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JPEG 방식으로 데이터 압축된 정지 화상 데이터를 재생하고 있는 것으로서, MPEG 방식으로 데이터 압축된 화상 데이터(동화상 데이터 및 정지 화상 데이터)에 대해서는 전혀 사용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JPEG 디코더만 구비한 DVD 재생 기기, DVD 기록 재생 기기이면, MPEG 디코더를 구비하지 않아도, JPEG 방식으로 데이터 압축된 정지 화상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예를 들면 이 실시 형태의 DVD 비디오 카메라와 같이, MPEG 디코더와 JPEG 디코더 양쪽을 구비하는 기기인 경우에는, 예를 들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MPEG 방식으로 데이터 압축되어, DVD 비디오 포맷 혹은 DVD 비디오 레코딩 포맷으로 기록된 동화상 데이터와, MPEG 방식의 I 픽쳐의 형식으로 된 정지 화상 데이터와, JPEG 방식으로 데이터 압축된 정지 화상 데이터 각각을 이용하여, 그 각각의 데이터에 따른 화상을 표시할 수 있게 된다.
도 8에 도시한 예에서도, 표시 화면 G에는, 6개의 서브 화면 G1∼G6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서브 화면 G1, G2에는 MPEG 방식으로 데이터 압축되고, DVD 비디오 포맷 혹은 DVD 비디오 레코딩 포맷으로 기록된 동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상이 표시되고, 서브 화면 G3에는 MPEG 방식의 I 픽쳐의 형식으로 된 정지 화상 데이터에 의한 슬라이드 쇼 표시가 되고, 그리고 서브 화면 G4, G5, G6에는 JPEG 방식으로 데이터 압축된 정지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상이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서브 화면 G1, G2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 경우에는, 표시 화면 G에 가득 차도록, 그 선택된 동화상 데이터에 의한 동화상을 표시할 수 있고, 또한 서브 화면 G3을 선택했을 때에는, 표시 화면 G에 가득 차도록, MPEG 방식의 I 픽쳐의 형식으로 된 정지 화상 데이터에 의한 슬라이드 쇼 표시를 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서브 화면 G4, G5, G6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 경우에는 표시 화면 G에 가득 차도록, 그 선택된 정지 화상 데이터를 MPEG 방식의 I 픽쳐의 형식으로 된 정지 화상 데이터에 의한 정지 화상보다도 고해상도로 표시할 수 있다.
또, 도 7의 (a) 내지 도 7의 (b), 도 8에 도시한 표시예의 경우에는 1 화면에 6개의 서브 화면을 설치하는 경우를 예로 했다. 그러나 이것에 한하는 것은 아니다. 표시 화면의 크기에 따른 수의 서브 화면을 설치하여, 여러가지의 양태로 화상을 표시하도록 하고, 목적으로 하는 데이터를 선택하고, 그 선택한 데이터를 재생하여,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이 실시 형태의 DVD 비디오 카메라인 경우에는, 동화상과 정지 화상을 혼재시켜 기록할 수 있게 되고, 더구나 정지 화상 데이터에 대해서는, 최초로 기록한 정지 화상 데이터는 그대로로 하여, 동화상과 동일한 압축 방식으로, 또한 동일한 기록 포맷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다시 기록할 수 있게 하고 있다.
이 경우, 정지 화상 데이터는, 예를 들면 MPEG의 Private Packet 등의 특수한 양태로 기록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전용 디코더를 이용하지 않고서, 표준 디코더(상술한 실시 형태인 경우에는 표준의 MPEG 디코더)를 이용하여, 동화상 데이터와 정지 화상으로서 기록한 정지 화상 데이터 양쪽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정지 화상 전용의 디코더(상술한 실시 형태인 경우에는 JPEG 디코더)를 설치하지 않아도, 정지 화상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래의 정지 화상 데이터 전용 압축 포맷으로 압축된 정지 화상 데이터도 남겨지기 때문에, 이것을 이용할 수도 있게 되어, 고화질 그대로의 정지 화상 데이터의 이용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DVD 비디오 포맷 혹은 DVD 비디오 레코딩 포맷으로 기록하게 된 MPEG 방식의 I 픽쳐의 형식으로 된 정지 화상 데이터에 대해서는, VTSI의 정보나 PGCI나 Cell의 정보를 수정함으로써, 그 재생 위치를 임의의 위치로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여, 편집의 폭을 넓힐 수 있게 된다.
즉, 타이틀 번호, 프로그램 번호, 챕터 번호, 셀 스틸 타임 등을 이 실시 형태의 DVD 비디오 카메라나 다른 DVD 기록 재생 기기의 편집 기능을 이용하여 변경함으로써, MPEG 스트림 상의 재생 위치나 MPEG 스트림 내에서 정지 화상을 재생하는 시간 등을 자유롭게 변경하여, 오리지널 콘텐츠를 작성할 수 있다.
또,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MPEG 방식의 I 픽쳐의 형식으로 한 정지 화상 데이터는, 동화상 데이터의 최후의 VTS나 Program 후에 추가하도록 하였지만, 이것에 한하는 것은 아니고, DVD 비디오 레코딩 포맷을 이용한 경우에는, 기록 데이터 사이에 삽입하도록 하여 기록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동화상 데이터의 압축 방식으로서, MPEG 방식을 이용하고, 정지 화상 데이터의 압축 방식으로서 JPEG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하는 것은 아니다. 동화상 데이터의 압축 방식으로서는, MPEG2, MPEG4 등의 MPEG 방식이어도 여러가지의 방식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I 픽쳐와 같은 정지 화상으로서 취급할 수 있는 데이터의 개념을 갖는 다른 동화상 데이터용의 압축 방식을 이용하도록 해도 물론 된다. 또한, 정지 화상 데이터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디지털 카메라에서 이용되고 있는 DCF 포맷으로 기록하도록 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고, JPEG 이외의 압축 방식을 이용하도록 해도 되며, 정지 화상 데이터는 비트맵 형식 등의 압축을 따르지 않는 방식으로 기록되어 있는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다.
즉, 데이터의 압축 방식은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동화상 데이터와 정지 화상 데이터를 서로 다른 기록 방식으로 기록하는 경우에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고, 데이터 압축을 행하지 않은 경우에도, 동화상 데이터와 정지 화상 데이터를 서로 다른 기록 방식으로 기록하는 경우에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에서, 디지털 동화상 포맷으로 기록하는 정지 화상 데이터의 데이터량을 고려하여, 정지 화상의 촬영 가능 매수를 LCD 등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통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디지털 동화상 포맷으로 기록 완료한 데이터의 양과, 디지털 정지 화상 포맷으로 기록 완료한 데이터의 양을 맞추어서, 데이터의 기록 완료량을 산출하고, DVD의 기록 잔량을 산출하고, 이 잔량에 기초하여, 디지털 동화상 포맷으로 재기록하는 정지 화상 데이터의 데이터량을 고려하여, 정지 화상의 촬영 가능 매수를 산출하도록 하면 된다.
또한, 정지 화상을 촬영하여 기록하는 경우에, 정지 화상마다, 예를 들면 해상도를 변경하거나 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표준 정지 화상의 해상도보다도, 더 고해상도로 기록하도록 하고, 이것을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이, MPEG 방식의 I 픽쳐의 형식으로 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기록 매체로서 DVD를 이용하도록 하였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다른 광 디스크나 광 자기 디스크, 혹은 하드디스크 등의 자기 디스크, 또한 반도체 메모리 등을 기록 매체로서 이용하는 기록 장치에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물론, 서로 다른 2개 이상의 기록 매체, 예를 들면 디스크 기록 매체와 반도체 메모리 등의 이용이 가능한 기록 기기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카메라부를 구비하지 않은, 단순한 기록 기기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기록 포맷으로서, DVD 비디오 포맷과 DVD 비디오 레코딩 포맷을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어느 한쪽에만 대응해도 물론 되고, 또 다른 기록 포맷에 대해서도 대응할 수 있게 하는 등의 것도 물론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동화상 데이터와 정지 화상 데이터를 정지 화상 데이터 전용의 디코더를 구비하지 않은 여러가지 재생 기기에서 재생 가능한 양태로 기록할 수 있다.
또한, 정지 화상 데이터에 대해서는, 정지 화상 데이터 전용 디코더를 이용함으로써, 고해상도로 재생 가능한 양태로도 기록할 수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 언제나 고해상도의 정지 화상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Claims (8)

  1. 소정의 기록 매체에 디지털 정지 화상 포맷으로 기록된 1매 이상의 디지털 정지 화상 데이터를 소정의 타이밍에서 판독하는 판독 수단과,
    상기 판독 수단으로부터의 1매 이상의 상기 디지털 정지 화상 데이터를 통합하도록 하고, 이것을 디지털 동화상 포맷에 합치하는 기록용 데이터로 변환하는 변환 수단과,
    상기 변환 수단에서 형성된 상기 기록용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수단은, 상기 기록 매체에 상기 디지털 동화상 포맷의 디지털 동화상 데이터와 상기 디지털 정지 화상 포맷의 디지털 정지 화상 데이터의 한쪽 혹은 양쪽이 기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먼저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소멸시키지 않도록 하고, 상기 변환 수단으로부터의 상기 기록용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동화상 포맷에 합치하는 기록용 데이터로 되고,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1매 이상의 정지 화상의 재생 양태를 지시하는 정보의 입력을 접수하는 접수 수단과,
    상기 접수 수단을 통하여 접수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지털 동화상 포맷에 합치하는 기록용 데이터로 되고,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1매 이상의 상기 정지 화상에 대한 재생에 관한 정보를 변경하도록 하는 변경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동화상과 정지 화상의 촬영이 가능하게 되어, 촬영한 동화상과 정지 화상을 디지털 데이터로서 출력 가능한 카메라부와,
    상기 카메라부로부터의 디지털 동화상 데이터를 상기 디지털 동화상 포맷으로 변환하는 동화상 변환 수단과,
    상기 카메라부로부터의 디지털 정지 화상 데이터를 상기 디지털 정지 화상 포맷의 정지 화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정지 화상 변환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기록 수단은 상기 동화상 변환 수단으로부터의 상기 디지털 동화상 포맷으로 된 동화상 데이터와, 상기 정지 화상 변환 수단으로부터의 상기 디지털 정지 화상 포맷으로 된 상기 정지 화상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5. 소정의 기록 매체에 디지털 정지 화상 포맷으로 기록된 1매 이상의 디지털 정지 화상 데이터를 소정의 타이밍에서 판독하는 판독 단계와,
    판독한 1매 이상의 상기 디지털 정지 화상 데이터를 통합하고, 이것을 디지털 동화상 포맷에 합치하는 기록용 데이터로 변환하는 변환 단계와,
    상기 기록용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단계에서는, 상기 기록 매체에 상기 디지털 동화상 포맷의 디지털 동화상 데이터와 상기 디지털 정지 화상 포맷의 디지털 정지 화상 데이터의 한쪽 혹은 양쪽이 기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먼저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소멸시키지 않도록 하고, 상기 변환 단계에서 형성된 상기 기록용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동화상 포맷에 합치하는 기록용 데이터로 되고,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1매 이상의 정지 화상의 재생 양태를 지시하는 정보의 입력을 접수하는 접수 단계와,
    상기 접수 단계에서 접수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지털 동화상 포맷에 합치하는 기록용 데이터로 되고,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1매 이상의 상기 정지 화상에 대한 재생에 관한 정보를 변경하도록 하는 변경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방법.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동화상 혹은 정지 화상을 촬영하고, 촬영한 동화상 혹은 정지 화상을 디지털 데이터로서 출력하는 촬영 단계와,
    상기 촬영 단계에서 촬영된 동화상의 디지털 동화상 데이터를 상기 디지털 동화상 포맷의 동화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동화상 변환 단계와,
    상기 촬영 단계에서 촬영된 정지 화상의 디지털 정지 화상 데이터를 상기 디지털 정지 화상 포맷의 정지 화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정지 화상 변환 단계와,
    상기 동화상 변환 단계에서 형성된 상기 동화상 데이터 혹은 상기 정지 화상 변환 단계에서 형성된 상기 정지 화상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촬영 데이터 기록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방법.
KR1020047013056A 2002-12-20 2003-10-29 기록 장치, 기록 방법 및 촬상 장치 KR1009881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369466 2002-12-20
JP2002369466A JP4223800B2 (ja) 2002-12-20 2002-12-20 記録装置および記録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8922A true KR20050088922A (ko) 2005-09-07
KR100988123B1 KR100988123B1 (ko) 2010-10-18

Family

ID=32677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3056A KR100988123B1 (ko) 2002-12-20 2003-10-29 기록 장치, 기록 방법 및 촬상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433183B2 (ko)
EP (1) EP1467562A4 (ko)
JP (1) JP4223800B2 (ko)
KR (1) KR100988123B1 (ko)
CN (2) CN1692648B (ko)
WO (1) WO20040578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73899B2 (ja) 2000-07-06 2012-07-11 ソニー株式会社 送信装置、送信方法、受信装置、受信方法、記録媒体、および通信システム
JP4258846B2 (ja) 2004-08-16 2009-04-3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情報処理装置及び画像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2006066015A (ja) * 2004-08-30 2006-03-09 Sony Corp 画像情報記録装置および画像情報表示装置
US7680397B2 (en) * 2004-09-27 2010-03-16 Victor Company Of Japan,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data on a recording disc,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restoring data recorded on a recording disc
JP4235916B2 (ja) 2004-10-13 2009-03-11 ソニー株式会社 記録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4552631B2 (ja) * 2004-12-03 2010-09-29 株式会社ニコン デジタルカメラ
JP3888377B2 (ja) 2004-12-09 2007-02-28 ソニー株式会社 画像記録装置および画像記録制御方法
JP4210939B2 (ja) 2004-12-10 2009-01-21 ソニー株式会社 画像記録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4305384B2 (ja) * 2004-12-28 2009-07-29 ソニー株式会社 記録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6190357A (ja) * 2005-01-04 2006-07-20 Sony Corp 記録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JP4612874B2 (ja) * 2005-07-26 2011-01-12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7110223A (ja) 2005-10-11 2007-04-26 Sony Corp 画像処理装置、撮像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534971B2 (ja) 2005-11-28 2010-09-01 ソニー株式会社 動画記録装置、動画記録方法、動画伝送方法、動画記録方法のプログラム及び動画記録方法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7180739A (ja) 2005-12-27 2007-07-12 Sony Corp 画像データ記録装置、画像データ記録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7235195A (ja) 2006-02-27 2007-09-13 Canon Inc 画像記録装置及び画像表示方法
JP4669411B2 (ja) 2006-02-28 2011-04-1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
JP2007281727A (ja) 2006-04-04 2007-10-25 Canon Inc 記録装置及び記録方法
JP2007294052A (ja) * 2006-04-27 2007-11-08 Hitachi Ltd 情報記録装置
JP2007325110A (ja) 2006-06-02 2007-12-13 Canon Inc 撮像装置及び撮像装置の制御方法
JP4229143B2 (ja) * 2006-06-23 2009-02-25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144634B2 (ja) 2006-06-23 2008-09-03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919160B2 (ja) * 2007-02-02 2012-04-18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KR20090011223A (ko) * 2007-07-25 2009-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4433025B2 (ja) 2007-09-10 2010-03-17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再生装置及び画像記録装置と画像再生方法及び画像記録方法
JP4979533B2 (ja) 2007-10-10 2012-07-18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
JP2009100246A (ja) 2007-10-17 2009-05-07 Hitachi Ltd 表示装置
JP2009111518A (ja) 2007-10-26 2009-05-21 Casio Comput Co Ltd 撮像装置、画像再生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画像ファイルのデータ構造
JP4556195B2 (ja) * 2008-02-15 2010-10-06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撮像装置、動画再生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5532726B2 (ja) * 2009-07-31 2014-06-25 ソニー株式会社 記録媒体製作方法、記録媒体及び記録媒体の再生装置
US9854254B2 (en) 2009-08-04 2017-12-26 Avocen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remote viewing of static and video images
JP5387220B2 (ja) * 2009-08-11 2014-01-15 ソニー株式会社 記録媒体製作方法、記録媒体及び記録媒体の再生装置
CN101888545B (zh) * 2010-05-27 2013-01-02 北京华信新媒技术有限公司 一种低码率信源压缩编码方法
US10812832B2 (en) 2015-06-05 2020-10-20 Apple Inc. Efficient still image coding with video compression techniques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40435A (en) * 1988-10-24 1992-08-18 Victor Company Of Japan, Ltd. Video signal frame search apparatus for selection of a desired frame
JP3140487B2 (ja) 1991-06-27 2001-03-05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画像記録再生装置
JP3526076B2 (ja) 1994-04-06 2004-05-10 キヤノン株式会社 マルチメディアデータ処理方法及び装置
US6483875B1 (en) * 1997-06-19 2002-11-19 Sony Corporation Pictur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EP0903742B1 (en) * 1997-09-17 2003-03-1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Video data editing apparatus, optical disc for use as a recording medium of a video data editing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JP3597690B2 (ja) * 1998-01-21 2004-12-08 株式会社東芝 デジタル情報記録再生システム
JPH11232792A (ja) * 1998-02-12 1999-08-27 Nippon Columbia Co Ltd 記録装置およびディスク記録方法
JP3383587B2 (ja) * 1998-07-07 2003-03-04 株式会社東芝 静止画像連続情報記録方法と光ディスクと光ディスクの情報再生装置と情報再生方法
JP3382159B2 (ja) * 1998-08-05 2003-03-04 株式会社東芝 情報記録媒体とその再生方法及び記録方法
US6424795B1 (en) * 1999-07-05 2002-07-23 Hitachi,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video data, and recording medium
ATE453289T1 (de) * 1999-09-10 2010-01-15 Pioneer Corp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informationsaufzeichnung und -wiedergabe
JP2001203971A (ja) * 2000-01-19 2001-07-27 Hitachi Ltd 画像データ処理装置
JP4361674B2 (ja) * 2000-06-26 2009-11-1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再生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記録媒体
JP3797191B2 (ja) * 2001-10-25 2006-07-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情報記録装置
JP2002325227A (ja) 2002-02-18 2002-11-08 Toshiba Corp 静止画像連続情報記録方法および情報再生装置
JP3861261B2 (ja) * 2002-04-25 2006-12-20 ソニー株式会社 光ディスク装置、光ディスクの記録方法、光ディスクの記録方法のプログラム及び光ディスクの記録方法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7235195A (ja) * 2006-02-27 2007-09-13 Canon Inc 画像記録装置及び画像表示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692648B (zh) 2012-07-04
KR100988123B1 (ko) 2010-10-18
WO2004057868A1 (ja) 2004-07-08
JP2004201170A (ja) 2004-07-15
EP1467562A1 (en) 2004-10-13
US8433183B2 (en) 2013-04-30
US20050083414A1 (en) 2005-04-21
JP4223800B2 (ja) 2009-02-12
EP1467562A4 (en) 2008-11-05
CN102682821A (zh) 2012-09-19
CN1692648A (zh) 2005-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8123B1 (ko) 기록 장치, 기록 방법 및 촬상 장치
US6937540B1 (en) Information recording device which handles a plurality of recording surfaces and information recording method which handles a plurality of recording surfaces
JP2007235195A (ja) 画像記録装置及び画像表示方法
USRE45271E1 (en) Digital versatile disc recording apparatus and cell-by-cell edition method using the same
US7233735B2 (en) Digital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with built-in storage medium
JP3793145B2 (ja) ビデオデータ変換装置及びビデオデータ変換方法
US7830421B2 (en) Reproducing apparatus
US8682133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KR101119682B1 (ko) 기록 장치 및 기록 방법, 기록 매체, 및 프로그램
JP4049177B2 (ja) 記録装置および記録方法
US20020054753A1 (en) Recording device which handles recording reservations and recording method which handles recoding reservations
US8134607B2 (en) Recording apparatus
JP3725101B2 (ja) 情報記録方法及び情報記録装置
KR101109005B1 (ko) Dvd+rw 및 dvd+r을 포함하는 dvd-비디오 호환 가능 디스크들 상에서의 슬라이드 쇼 생성
JP2004357055A (ja) 編集装置及び編集方法
JP2007323767A (ja) 記録装置、記録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6222545A (ja) 情報記録再生装置、情報記録再生方法、及びデジタルカメラ
JP2007096533A (ja) 画像処理装置及び方法
KR20120089617A (ko) 디브이디기록기기 및 디브이디기록기기의 셀단위 편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