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6915A - 자동차용 마찰 디스크 및 자동차용 클러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마찰 디스크 및 자동차용 클러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6915A
KR20050086915A KR1020057011144A KR20057011144A KR20050086915A KR 20050086915 A KR20050086915 A KR 20050086915A KR 1020057011144 A KR1020057011144 A KR 1020057011144A KR 20057011144 A KR20057011144 A KR 20057011144A KR 20050086915 A KR20050086915 A KR 200500869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iction
liner
cars
plate
friction disc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1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32216B1 (ko
Inventor
자끄 알라
미쉘 마르쉬소
Original Assignee
발레오 마테리오 드 프릭시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발레오 마테리오 드 프릭시옹 filed Critical 발레오 마테리오 드 프릭시옹
Publication of KR200500869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69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22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22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58Details
    • F16D13/60Clutching elements
    • F16D13/64Clutch-plates; Clutch-lamella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58Details
    • F16D13/60Clutching elements
    • F16D13/64Clutch-plates; Clutch-lamellae
    • F16D2013/642Clutch-plates; Clutch-lamellae with resilient attachment of frictions rings or linings to their supporting discs or plates for allowing limited axial displacement of these rings or lin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 Magnetic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히 자동차용 클러치 마찰 디스크를 형성하기 위한 라이닝 지지 디스크에 관한 것으로, 마찰 라이닝을 수용하기 위한 중앙 부분(16) 및 주변 부분(17)을 포함하며, 마찰 라이닝중 적어도 하나와 접촉되고 이것을 고정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지지 존(21A, 21B, 23A, 23B)을 포함하며, 상기 주변 부분은 축방향 하중하에서 그 내경에 직각으로 그리고 그 외경에 직각으로 굽혀지기에 적합하며 축방향으로 탄성이 있으며, 축방향 굽힘은 그 외경에 직교하는 것보다 큰 그 내경에 직교하게 이동되며, 일 실시예에 따르며 주변 부분은 베인(17)으로 분할되며, 각 베인은 기부(30)를 통해 중앙 부분(16)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입력 샤프트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도록 설계된 반응 플레이트와, 마찰 디스크와, 출력 샤프트와 회전하도록 고정되기에 적합하며 그 외주연 마찰 라이닝의 베어링과, 압력 플레이트와, 반응 플레이트상에 고정된 커버와, 커버와 압력 플레이트 사이에서 작용하는 축방향 작용을 갖는 탄성 수단과, 커버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동시에 이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압력 플레이트와, 이러한 라이닝 지지 디스크를 포함하는 마찰 디스크를 포함하는 자동차 클러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마찰 디스크 및 자동차용 클러치{CLUTCH FRICTION DISC AND CLUTCH COMPRISING SAME}
본 발명은 특히 자동차용 클러치에 관한 것이다.
공지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클러치는 구동 샤프트상에서 회전하도록 장착되기에 적합한 반응 플레이트와, 그 외주연에서 마찰 라이너를 지지하며 종동 샤프트상에서 회전하도록 장착되기에 적합한 마찰 디스크와, 압력 플레이트와, 상기 반응 플레이트상에 고정된 커버 플레이트와, 상기 커버 플레이트와 압력 플레이트 사이에서 작동하는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압력 플레이트는 이에 대해서 축방향으로 변위가능한 동안에 상기 커버 플레이트와 함께 회전가능하다.
마찰 라이너는 반응 플레이트와 압력 플레이트 사이에 마찰 라이너를 파지하는 동안에 어느 정도의 전진성(progressiveness)을 확보하기 위해서 반경방향 면 또는 블레이드의 형태인 축방향 탄성 지지 부재상에 고정되어 있다. 라이너 측상의 그리고 반작용 재료의 측상의 마찰 면은 각각 대체로 평행하고, 일반적으로 클러치의 회전축에 직각이다.
주차 조작 또는 저 또는 중간 토크의 시동과 같은 부드러운 작동 조건하에서, 사용된 에너지는 적으며, 마찰 라이너가 마찰 협력하는 반응 및 압력 플레이트라고 하는 반작용 재료는 200℃보다 낮거나 또는 심지어 100℃보다 낮은 온도로 되며; 이러한 조건하에서, 반작용 재료의 기하학적 성질은 발생된 열과 반작용 재료상의 라이너의 맞물림에 의해서만 약간 영향을 받으며, 그 결과 라이너상의 특정 압력이 잘 분산된다. 라이너의 이러한 성능은 온도 및 특정 압력에 따라 좌우되기 때문에, 라이너는 우수한 조건에서 유지된다.
차량이 무거운 하중하에 있을 때의 차량의 시동, 또는 트레일러 또는 캐러반의 견인, 가파른 경사에서의 차량의 시동 및/또는 엔진이 차량의 높은 가속으로 높은 동력으로 작동할 때와 같은 혹독한 작동 조건하에서, 이들 조건하에서 라이너와 반작용 재료 사이의 활주 운동 동안에 분산된 많은 양의 에너지는 마찰 라이너의 온도 그리고 또한 반작용 재료의 온도를 증가시키는데, 200℃ 이상 그리고 심지어 300℃ 또는 그 이상에 도달한다.
반작용 재료의 마찰 디스크는 상술한 고온이 가해지는 반면에 그 대향 면은 낮은 온도인데, 그 이유는 이들이 클러치 케이싱에서의 대기 온도에 의해 간단히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이러한 온도 차이는 원추형 형상을 채용하는 반작용 재료에서의 팽창 정도의 차이를 야기시킨다. 원추형 형상의 이러한 가정은 볼록한 원추형 표면이 되는 그 마찰 면의 형태로 발생되는데, 즉 그 외경에서의 마찰 면은 그 내경에서의 마찰 표면 뒤에 있다.
마찰 라이너용의 축방향 탄성 지지체는 반작용 재료의 이러한 새로운 기하학적 형상을 충분히 항상 채용하지 못하며; 그 결과 하기와 같은 이유로 토크 전달 효율의 손실이 있다.
특정 압력은 라이너의 중앙 존에서 상승하는 온도를 급하게 증가시키며, 그에 따라 마찰 계수가 갑작스럽게 떨어지며; 또한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파지력의 평균 인가 반경이 감소되며, 그에 따라 전달된 토크가 감소된다.
지지체의 축방향 탄성은 반작용 재료가 볼록한 원뿔 형상을 채용한 경우 그 내경에서 또는 그 외경에서 반작용 재료와 라이너의 충분한 협력을 달성하기에 충분하지 않으며, 특히 프랑스 특허 공개 제 FR-A-2 772 852 호 공보에는 라이너의 외경과 내경의 합의 0.3 내지 0.7배 또는 바람직하게 0.48 내지 0.52배의 직경에 대응하는 평균 존에서 변위를 제한하기 위한 수단이 제안되어 있으며; 상술한 공개 공보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방향 탄성 지지체는 신장되고, 상술한 단점은 여전히 존재하며; 또한 고압이 이러한 평균 존에 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목적은 이들 단점을 회피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특히 자동차용의 마찰 디스크를 구성하기에 적합한 라이너 캐리어 디스크는, 마찰 디스크가 마찰 라이너를 수납하기에 적합한 중앙 부분 및 주변 부분을 포함하며, 마찰 라이너중 적어도 하나와 접촉되고 그리고 마찰 라이너를 체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맞물림 존을 포함하며, 상기 주변 부분은 축방향으로 탄성이 있으며, 그 내경과 일치하여 그리고 그 외경과 일치하여 축방향으로 가해진 힘하에서 굽혀지기에 적합하며, 그 내경과 일치하는 결과적인 축방향 굽힘 변위가 그 외경과 일치하는 것보다 크다.
이러한 경우에, 고압이 외경에 근접하게 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주변 부분이 마찰 라이너중 하나를 위한 맞물림 표면과 선택적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마찰 라이너의 다른 하나를 위한 맞물림 표면을 형성하는 굽힘부를 구비하는 단순한 프로파일형 플레이트 요소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주변부가 블레이드로 분할되며, 각 블레이드는 푸트를 통해 상기 중앙 부분에 결합된다.
바람직하게, 삼각대 블레이드라고 하는 상기 블레이드의 적어도 일부는, 마찰 라이너중 하나와 접촉시키고 체결시키기 위한 중앙 맞물림 존과, 상기 마찰 라이너중 다른 하나와 접촉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중앙 존의 양 측면상의 2개의 주변 맞물림 존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유리한 특징은, 상기 중앙 맞물림 존은 1차로 상기 삼각대 블레이드의 반경방향 대칭축에 대해서 직각인 삼각형 굽힘부를 통해 라이너 캐리어 디스크의 중앙 부분에 결합되고 그리고 2차로 상기 삼각대 블레이드의 반경방향 대칭축에 대해서 비스듬한 굽힘부를 통해 상기 주변 존에 결합된다.
바람직하게, 축방향 변위의 차이가 외경과 일치하는 변위를 제한함으로써 성취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한이, 라이너를 지지하는 주변 부분의 부분에 의해 지지되고 그리고 다른 라이너를 지지하는 다른 부분을 향해 배향된 부착 러그에 의해 성취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라이너가 개재된 금속 플레이트 요소를 통해 주변 부분의 부분에 부착되며, 상기 플레이트 요소중 하나가 이것을 지지하는 주변 부분의 부분에 형성된 절취부에 의해 다른 라이너를 향해 연장되는 부착 러그를 구비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주변 부분은, 라이너와 결합된 부분중 적어도 하나가 주변을 향해 보다 근접한 중앙 부분의 평면과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프로파일되고 굽혀지고; 상기 라이너와 결합된 2개의 부분이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서로를 향해 경사져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가 중앙 부분에 대해서 고정되고 맞대고 배치된 2개의 부분으로 구성되며, 상기 부분은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서로 경사져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라이너중 하나는 이것을 지지하는 주변 부분에 형성된 노치내로 그 외주연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패드를 지지한다.
변형 형태에 있어서, 상기 축방향 변위의 차이는 내부 편향의 증가를 이룸으로써 달성되며; 바람직하게 상기 패드는 다른 라이너의 내주연에 형성된 릴리프와 일치하여 그 내주연부에서 라이너의 내부 면상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특징에 따르면, 축방향 탄성 지지체상에 고정된 자유 상태에서 외부 마찰 면은 평행하고 디스크의 축에 직각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라이너의 축방향 단면이 직사각형이다.
본 발명의 유리한 특징에 따르면, 라이너의 축방향 단면이 사다리꼴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라이너가 리벳팅으로 고정된다.
상기 라이너가 접착제 접착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 유리하다.
또한, 본 발명은 구동 샤프트상에서 회전하도록 장착되기에 적합한 반응 플레이트와, 그 외주연에서 마찰 라이너를 지지하며 종동 샤프트상에서 회전하도록 장착되기에 적합한 마찰 디스크와, 압력 플레이트와, 상기 반응 플레이트상에 고정된 커버 플레이트와, 상기 커버 플레이트와 압력 플레이트 사이에서 작동하는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압력 플레이트는 이에 대해서 축방향으로 변위가능한 동안에 상기 커버 플레이트와 함께 회전가능한, 특히 자동차용 클러치에 있어서, 상기 마찰 디스크가 상술한 라이너 캐리어 디스크이다.
유리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반응 플레이트가 2개의 플레이트, 즉 제 1 플레이트 및 제 2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이중 감쇠 플라이휠의 제 2 플레이트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클러치가 라이너의 마모로 인한 간극을 보상하기 위한 장치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요지의 이해를 위해서, 첨부 도면에 도시된 일부 실시예는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설명을 위한 예로서 기재되는 것이다.
도 1은 클러치 마찰 디스크의 축단면의 부분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라이너용 지지 디스크의 부분 평면도,
도 3은 도 2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변형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도 2의 Ⅳ-Ⅳ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5 내지 도 10은 각각 변형 형태를 도시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마찰 디스크의 부분 블록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의 내부 부분을 그 중심에서 본 도면,
도 12는 종래 기술의 클러치를 분리된 상태로 도시하는 축단면의 부분도,
도 13은 도 12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의 도면,
도 14는 도 12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약한 열적 바이어싱이 이뤄진 결합 상태의 클러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15는 도 14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의 도면,
도 16은 도 12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강한 열적 바이어싱이 이뤄진 결합 상태의 클러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17은 도 16과 유사한 도면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의 도면.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자동차 클러치용 마찰 디스크는 허브(12)에 대해서 그 자체가 고정되어 있는 반경방향 면 플레이트(11)에 대해서 고정된 라이너 캐리어 디스크(10)를 포함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변형 형태에서, 마찰 디스크는 원주방향으로 작동하는 그리고 축방향으로 작동하는 마찰 수단의 작용에 대항하여 하나가 다른 하나에 대한 이동을 위해 장착된 2개의 동축 부품을 포함하며; 부품중 하나는 2개의 가이드 링 및 라이너 지지 디스크를 포함하는 반면에, 다른 동축 부품은 허브와 함께 회전하도록 고정된 반경방향 면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다른 변형 형태에 있어서, 이 구조는 반전되며, 라이너 지지 디스크는 면 플레이트에 대해서 고정되며, 상기 면 플레이트는 허브에 대해서 이동가능한 반면에 가이드 링은 허브에 대해서 고정되어 있다.
라이너 캐리어 디스크(10)는 평평한 환형 중앙 부분(16)과, 대체로 반경방향으로 배향되고 후술하는 블레이드로 분할된 주변 부분을 포함한다.
라이너 캐리어 디스크(10)는 맞대고 장착된 2개의 환형 마찰 라이너(13, 14)를 구비한다.
클러치에 있어서, 이들 라이너는 클러치의 압력 플레이트와 반동 플레이트(양자는 도시되지 않음) 사이에 통상적으로 파지되며; 이들 플레이트는 크랭크샤프트와 함께 회전하도록 내연 기관인 차량의 엔진의 크랭크샤프트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허브(12)까지 토크가 전달되며, 상기 허브는 기어박스의 입력 샤프트와 함께 회전할 때 이 허브를 커플링시키기 위한 스플라인형 내부 보어를 구비한다.
클러치가 분리된 위치에 있어서, 라이너(13, 14)는 상기 플레이트와 접촉되지 않는다.
블레이드(17)는 상기 중앙 부분과 일체로 되어 있는 디스크의 중앙 부분(16)의 외주연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이들 블레이드(17)는 중앙 부분(16)과 마찬가지로 금속으로 제조되며, 2개의 교호하는 그룹(71, 72)으로 분할되며, 모든 하나의 그룹에서의 각 블레이드는 다른 그룹의 블레이드에 대해서 원주방향으로 오프셋되어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 2개의 연속적인 블레이드 사이의 각도는 20° 정도이다.
상기 반경방향 플레이트는 3개의 평평한 맞물림부 또는 부착 존(21A, 21B 및 23A, 23B)을 구비한 삼각대 형태이다.
예를 들면 블레이드(72)와 관련하여, 블레이드(72)는 대칭이며, 대응하는 라이너 크라운과 접촉시키기 위해 그리고 상기 라이너 크라운을 그 위에 체결시키기 위한 평평한 중앙의 큰 맞물림 존(21A)을 포함하며, 상기 존(21A)은 리벳의 통과를 위한 구멍(19)을 구비한다.
이러한 존은 라이너 캐리어 디스크의 외주연을 향해 폭이 좁아지며; 상기 존은 그 외주연에서 대체로 삼각형 형태이며; 이러한 예에 있어서 이러한 삼각형 부분은 절두원추점을 가지며; 그에 따라 중앙 존의 내부 부분은 원주 방향에서 그 수렴하는 외부 부분보다 폭이 넓다.
또한, 블레이드(72)는, 동일 평면이며, 다른 마찰 라이너와 협력하기에 적합한 2개의 평평한 맞물림 존(21B)을 구비한다. 이들 존(21B) 또는 소위 주변 존은 블레이드의 외주연으로 연장되며, 이어부(ears)를 구성하며; 상기 존(21B)은 중앙 존(21A)의 양 측면으로 연장된다. 이들 존(21B)은 삼각형 형태이며, 블레이드의 반경방향 대칭축에 대해서 대칭인 비스듬한 접힘부(22A)를 통해 존(21A)에 결합된다. 따라서, 존(21B, 21A)은 축방향으로 오프셋되어 있다.
존(21A)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 블레이드의 반경방향 대칭축에 대해 직각인 접선방향으로 배향된 존(30) 또는 종방향 접힘부를 통해 중앙 부분(16)에 결합되어 있으며; 그에 따라 중앙 존(21A)은 중앙 부분(16)에 대해서 축방향으로 오프셋되어 있다.
블레이드는 그 외주연에 중앙 노치(40)를 구비하고 있다.
반경방향 슬롯(24)은 블레이드(71, 72)를 서로 분리시키며; 이들 슬롯은 라이너 지지 디스크의 외주연이 개방되어 있으며, 굽힘부(30, 31)에 그리고 중앙 부분(16)에 연결하기 위한 폐쇄된 원형의 내부 단부를 구비한다.
블레이드중 적어도 일부, 즉 본 예에 있어서 블레이드(72)는 종방향 굽힘부(30)에 형성된 절취부(25)내의 반경방향 내측에서 중심으로 연장된 중앙 맞물림 존을 구비하며; 그에 따라 반경방향으로 이격된 2개의 구멍(19)은 마찰 라이너가 체결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예에 있어서, 블레이드(71)는 중앙 부분(160의 평면에 놓여 있는 중앙 맞물림 존(23B)을 구비하지만; 이들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72)와 유사하다.
블레이드(71)는 블레이드(72)의 형태와 동일한 대칭 형태를 갖고 있지만 그 평평한 중앙 부분(23B)은 중앙 영역(21A)에 대해서 축방향으로 오프셋되어 있으며; 이러한 중앙 영역(23B)은 블레이드(72)의 존(21B)과 동일한 평면에 있다. 유사하게, 블레이드(71)의 2개의 평평한 주변 존(23A)은 중앙 존(23B)에 대해서 축방향으로 오프셋되어 있으며, 중앙 존(21A)과 동일한 평면에 있다.
존(23A)은 비스듬한 접힘부(22A)로부터 반대 방향으로 축방향으로 연장된 비스듬한 접힘부(22B)를 통해 존(23B)에 결합되어 있다. 중앙 존(23B)은 접선방향 굽힘부(30)로부터 반대 방향으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접선방향 굽힘부(31)를 통해서 중앙 부분(16)에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각 블레이드는 마찰 라이너중 하나와 접촉시키고 그리고 마찰 라이너를 체결시키기 위한 중앙 맞물림 존과, 다른 마찰 라이너와 접촉시키기 위한 2개의 외부 주변 맞물림 존을 구비하며, 상기 중앙 존은 주변 존에 대해서 그리고 본 예에 있어서 라이너 캐리어 디스크의 상기 중앙 부분(16)에 대해서 축방향으로 오프셋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중앙 및 주변 존은 중앙 부분의 중간 평면에 평행한 평면으로 연장되는 것이 아니라 그 대신에 이들은 서로 각도를 이루고 있는데, 즉 직경이 증가할 때 이들이 서로 근접하게 되는 방식으로 경사져 있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경과 일치하는 블레이드(17)의 축방향 굽힘 변위부(35)는 축방향 굽힘 변위부(15)보다 크며; 이러한 변위의 차이는 내경이나 외경이 상관없이 0.2㎜ 내지 0.8㎜ 또는 바람직하게 0.3㎜ 내지 0.5㎜ 정도이다.
도 12 내지 도 17은 3개의 작용 위치, 즉 클러치 풀림 위치, 약한 열적 바이어싱이 이뤄진 결합 위치 및 강한 열적 바이어싱이 이뤄진 결합 위치에서의 클러치를 도시한 것이며, 도 12, 도 14 및 도 16에 도시된 종래 기술과, 도 13, 도 15 및 도 17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비교하여 도시되었다.
또한, 도 14 내지 도 17은 이들 도면의 우측 부분에 마찰 면과 관련되는 압력 분포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6과 도 17을 비교하면 본 명세서의 서두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점을 잘 알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외부 변위와 내부 변위의 차이는 모든 종류의 블레이드에 적용가능한 상이한 방법으로 성취될 수 있으며; 이와 관련하고 그리고 공지된 바와 같이, 삼각대 블레이드 이외의 블레이드는 라이너 캐리어 디스크의 디자인에 이용되며, 이러한 블레이드로는 예를 들면 라이너가 서로 협동하게 하기 위한 유사한 반경방향 굽힘부를 구비하는 것으로 그 푸트(foot)로부터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커텐(curtains)의 형태의 블레이드나 또는 그 푸트의 양 측면상에서 원주방향으로 연장되고 그리고 또한 반경방향 굽힘부를 구비하는 소위 이중 블레이드가 있다.
도 5는 블레이드의 부분(33)이 라이너(13)를 수납하고 부분(34)이 라이너(14)를 수납하는 블레이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이러한 예에 있어서 부분(33, 34) 및 라이너(13, 14)의 면은 모두 면 플레이트(11)의 평면에 평행하며, 변위의 차이는, 그 외경과 일치하는 부분(34)에 의해 지지되고 그리고 부분(33)을 향해 배향된 부착 러그(18)에 의해 성취되며; 도 6에서 라이너(13, 14)는 이들을 지지하는 금속성 플레이트 요소(13A, 14A)를 통해 블레이드의 부분(33, 4)에 바람직하게 접착제 접착에 의해 결합되며, 금속성 플레이트 요소(14A)는 블레이드의 부분(34)에 형성된 절취부에 의해 부분(33)을 향해 배향된 부착 러그를 구비하며; 이들 부착 러그(18)는 파지 압력의 양호한 분포를 달성하도록 360°의 대부분을 원주방향으로 커버한다.
도 7에서, 블레이드는, 라이너(13)와 결합된 부분(33)이 면 플레이트(11)의 평면과 평행한 평면에 놓여 있게 하는 동시에 라이너(14)와 결합된 부분(34)이 면 플레이트(11)의 평면과 일정 각도를 이뤄서 주변을 향해 면 플레이트에 근접하게 되게 하는 방식으로 프로파일되어 있고 활모양으로 굽혀져 있다.
라이너와 그 반작용 요소의 마찰 면의 양호한 평행성을 보장하기 위해서, 우선 힘이 라이너 디스크에 가해지는 순간으로부터, 정지 위치에 있어서 자유 상태에서 라이너(13, 14)의 마찰 면을 서로 평행하며; 다음에 도 7의 예에 있어서, 라이너(13)의 2개 면이 평행하게 되는 동시에 라이너(14)의 단면은 내경의 측면상에 그 미러 기부를 갖는 사다리꼴이며; 이러한 형태는 성형에 의해 또는 기계가공에 의해 성취된다.
도 8에서, 2개의 부분(33, 34)은 내측으로부터 외측까지 하나가 다른 하나를 향해 캐리어 플레이트(10)에 대해서 경사져 있으며, 2개의 라이너의 단면은 사다리꼴이다.
도 9에서, 캐리어 디스크(10)는, 맞대고 배치되고 양자가 면 플레이트(11)에 고정된 2개의 부분(10A, 10B)이며, 상기 부분은 내측으로부터 외측까지 서로를 향해 경사져 있다.
도 10은 외측 변위 코스와 내측 변위 코스 사이의 차이가, 라이너(14)의 내측 면의 외주연에서 러그의 부분(34)의 주변부에 형성된 노치내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패드(28)에 의해서 성취되는 구성을 도시한 것이며, 상기 패드는 라이너 캐리어 디스크(10)의 외주연부에서 발생되는 압착량을 제한한다.
상술한 다양한 변형에 있어서, 외측 변위 코스와 내측 변위 코스 사이의 차이는 외측 변위 코스를 제한함으로써 성취된다.
물론, 역으로도 가능한데, 즉 이러한 차이가 내측 변위를 증가시킴으로써 성취될 수 있는 상황도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의 일 예가 도 11에 도시되어 있으며, 도 11은 그 중심으로부터 본 캐리어 디스크의 내측 부분의 도면이며; 이러한 반경방향으로 내측 부분에 있어서, 다른 라이너(13)의 내주연에 형성된 릴리프(reliefs)와 일치하는 라이너(14)의 내측 면상에 형성된 패드(28)는 어떠한 축방향 힘이 없이 그리고 이들을 변형시키는 디스크(10)의 탄성에 의해 상기 릴리프(27)의 내부내로 관통된다.
도 5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 이들 모든 구성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삼각대 블레이드를 포함한 모든 형태의 블레이드에 적용가능하다.
일반적으로, 통상적인 작동시에, 변위 코스의 제한은 자유롭고 갑작스런 방법으로 실행되지 않으며, 항상 탄성 및 점진적으로 이뤄진다.
블레이드상에 라이너를 체결하는 것은 리벳팅 또는 접착제 접착에 의해 편리하게 실행될 수 있으며; 이들이 접착되는 경우 라이너의 전체 두께는 감소되는데, 그 이유는 리벳의 헤드 아래에 어떠한 두꺼운 재료가 필요없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반동 플레이트가 2개의 플레이트, 즉 제 1 플레이트 및 제 2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이중 댐핑 플라이휠의 제 2 플라이휠인 클러치에 적용가능하며; 이러한 클러치에 있어서 공지된 바와 같이, 2개의 플레이트는 두께가 감소되며, 그에 따라 때때로 이들이 혹독한 상황에서 변형되는 경향이 있으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은 이러한 형태의 클러치에 대해서 매우 바람직하다.
또한, 클러치는, 공지된 방법에서 라이너에서 많은 마모가 발생하여도 다이아프램이 클러치 결합 상태에서 동일한 위치에 유지될 수 있도록 그리고 그에 따라 플레이트상에서 일정한 힘이 발휘될 수 있도록 마모로 인한 간극을 보상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 다양한 작동 간극을 조정하기가 용이하다.

Claims (21)

  1. 마찰 라이너(13, 14) 및 라이너 캐리어 디스크를 포함하는 특히 자동차용 마찰 디스크로서, 상기 마찰 디스크가 마찰 라이너(13, 14)를 수납하기에 적합한 중앙 부분(16) 및 주변 부분(17)을 포함하며, 마찰 라이너(13, 14)중 적어도 하나와 접촉되고 그리고 마찰 라이너(13, 14)를 체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맞물림 존(21A, 21B, 23A, 23B)을 포함하며, 상기 주변 부분은 축방향으로 탄성이 있으며, 그 내경과 일치하여 그리고 그 외경과 일치하여 축방향으로 가해진 힘하에서 굽혀지기에 적합하며, 그 내경과 일치하는 결과적인 축방향 굽힘 변위가 그 외경과 일치하는 것보다 큰, 자동차용 마찰 디스크에 있어서,
    자유 상태에서, 상기 라이너(13, 14)의 외부 힘은 평행하고, 디스크의 축에 직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마찰 디스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부분이 마찰 라이너중 하나를 위한 맞물림 표면(21A, 21B, 23A, 23B, 33, 34)과, 선택적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마찰 라이너의 다른 하나를 위한 맞물림 표면을 형성하는 굽힘부를 구비하는 단순한 프로파일형 플레이트 요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마찰 디스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부가 블레이드(17)로 분할되며, 각 블레이드는 푸트(30)를 통해 상기 중앙 부분(16)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마찰 디스크.
  4. 제 3 항에 있어서,
    삼각대 블레이드(72, 71)라고 하는 상기 블레이드의 적어도 일부는, 마찰 라이너중 하나와 접촉시키고 체결시키기 위한 중앙 맞물림 존(21A, 21B)과, 상기 마찰 라이너중 다른 하나와 접촉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중앙 존의 양 측면상의 2개의 주변 맞물림 존(21B, 23A)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마찰 디스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맞물림 존(21A)은 1차로 상기 삼각대 블레이드의 반경방향 대칭축에 대해서 직각인 삼각형 굽힘부(30)를 통해 라이너 캐리어 디스크의 중앙 부분(16)에 결합되고 그리고 2차로 상기 삼각대 블레이드의 반경방향 대칭축에 대해서 비스듬한 굽힘부(22A)를 통해 상기 주변 존(21B)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마찰 디스크.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축방향 변위의 차이가 외경과 일치하는 변위를 제한함으로써 성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마찰 디스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이, 라이너(14)를 지지하는 주변 부분의 부분(34)에 의해 지지되고 그리고 다른 라이너(13)를 지지하는 다른 부분(33)을 향해 배향된 부착 러그(18)에 의해 성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마찰 디스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너(13, 14)가 개재된 금속 플레이트 요소(13A, 14A)를 통해 주변 부분의 부분(33, 34)에 부착되며, 상기 플레이트 요소중 하나(14A)가 이것을 지지하는 주변 부분의 부분(34)에 형성된 절취부에 의해 다른 라이너를 향해 연장되는 부착 러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마찰 디스크.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부분은, 라이너(14)와 결합된 부분(33, 34)중 적어도 하나(34)가 주변을 향해 보다 근접한 중앙 부분(10)의 평면과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프로파일되고 굽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마찰 디스크.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너(13, 14)와 결합된 2개의 부분(33, 34)이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서로를 향해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마찰 디스크.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10)가 중앙 부분(11)에 대해서 고정되고 맞대고 배치된 2개의 부분(10A, 10B)으로 구성되며, 상기 부분(10A, 10B)은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서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마찰 디스크.
  12.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너(13, 14)중 하나(14)는 이것을 지지하는 주변 부분(34)에 형성된 노치내로 그 외주연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패드(28)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마찰 디스크.
  13.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축방향 변위의 차이는 내부 편향의 증가를 이룸으로써 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마찰 디스크.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28)는 다른 라이너(13)의 내주연에 형성된 릴리프(27)와 일치하여 그 내주연부에서 라이너(14)의 내부 면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마찰 디스크.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너의 축방향 단면이 직사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마찰 디스크.
  16. 제 1 항 내지 제 1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너의 축방향 단면이 사다리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마찰 디스크.
  17. 제 1 항 내지 제 16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너(13, 14)가 리벳팅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마찰 디스크.
  18. 제 1 항 내지 제 16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너(13, 14)가 접착제 접착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마찰 디스크.
  19. 구동 샤프트상에서 회전하도록 장착되기에 적합한 반응 플레이트와, 그 외주연에서 마찰 라이너를 지지하며 종동 샤프트상에서 회전하도록 장착되기에 적합한 마찰 디스크와, 압력 플레이트와, 상기 반응 플레이트상에 고정된 커버 플레이트와, 상기 커버 플레이트와 압력 플레이트 사이에서 작동하는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압력 플레이트는 이에 대해서 축방향으로 변위가능한 동안에 상기 커버 플레이트와 함께 회전가능한, 특히 자동차용 클러치에 있어서,
    상기 마찰 디스크가 제 1 항 내지 제 18 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마찰 클러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클러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 플레이트가 2개의 플레이트, 즉 제 1 플레이트 및 제 2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이중 감쇠 플라이휠의 제 2 플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클러치.
  21. 제 19 항 또는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가 라이너의 마모로 인한 간극을 보상하기 위한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클러치.
KR1020057011144A 2002-12-18 2003-12-18 마찰 디스크 및 클러치 KR1010322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216085A FR2849126B1 (fr) 2002-12-18 2002-12-18 Disque porte-garnitures propre a la constitution d'un disque de friction d'embrayage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et embrayage comportant un tel disque
FR02/16085 2002-12-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6915A true KR20050086915A (ko) 2005-08-30
KR101032216B1 KR101032216B1 (ko) 2011-05-02

Family

ID=32406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1144A KR101032216B1 (ko) 2002-12-18 2003-12-18 마찰 디스크 및 클러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EP (1) EP1709340B1 (ko)
JP (1) JP4399368B2 (ko)
KR (1) KR101032216B1 (ko)
CN (1) CN100404898C (ko)
AT (1) ATE392562T1 (ko)
AU (1) AU2003302189A1 (ko)
BR (1) BR0307505B1 (ko)
DE (1) DE60320467T2 (ko)
FR (1) FR2849126B1 (ko)
MX (1) MXPA05006581A (ko)
WO (1) WO20040572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49126B1 (fr) * 2002-12-18 2006-01-06 Valeo Materiaux De Friction Disque porte-garnitures propre a la constitution d'un disque de friction d'embrayage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et embrayage comportant un tel disque
JP2006138451A (ja) * 2004-11-15 2006-06-01 Aisin Chem Co Ltd クラッチフェーシング
DE102009035044A1 (de) * 2009-07-28 2011-02-03 Bilstein Gmbh & Co. Kg Kupplungslamelle aus zwei Trägerblechen
FR2954962B1 (fr) * 2010-01-07 2012-04-13 Valeo Materiaux De Friction Disque d'embrayage et garniture de friction comportant un materiau de friction d'inertie reduite colle sur un clinquant.
AT514739A1 (de) 2013-08-23 2015-03-15 Miba Frictec Gmbh Kupplungsscheibe
AT519131B1 (de) * 2016-09-12 2018-04-15 Miba Frictec Gmbh Reiblamelle
FR3060074B1 (fr) * 2016-12-08 2019-01-25 Valeo Embrayages Disque de friction d'embrayage et embrayage a friction comportant un tel disque
DE102020112616B3 (de) * 2020-05-11 2021-07-22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Mehrscheibenkupplungsanordnung mit voneinander unabhängig wirkenden Federblecheinheiten zur Anbindung zweier Teilscheiben an einer Abtriebswell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38016A (en) * 1928-05-14 1936-04-21 Ernest E Wemp Clutch
GB434019A (en) * 1933-12-11 1935-08-26 Borg & Beck Co Improvements in clutches
JPS59159428A (ja) * 1983-02-25 1984-09-10 Daikin Mfg Co Ltd クラツチデイスクのクツシヨニングプレ−ト構造
WO1994021934A1 (fr) * 1993-03-19 1994-09-29 Valeo Disque porte-garnitures,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FR2712945B1 (fr) * 1993-11-09 1996-01-05 Valeo Disque porte-garnitures pour disque de friction, notamment pour véhicule automobile.
CN1048316C (zh) * 1993-06-21 2000-01-12 Valeo公司 用于汽车中安装摩擦片的摩擦盘
US5794754A (en) * 1993-11-09 1998-08-18 Valeo Liner support disc for a clutch friction wheel, especially for a motor vehicle
FR2849126B1 (fr) * 2002-12-18 2006-01-06 Valeo Materiaux De Friction Disque porte-garnitures propre a la constitution d'un disque de friction d'embrayage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et embrayage comportant un tel disqu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2216B1 (ko) 2011-05-02
ATE392562T1 (de) 2008-05-15
CN100404898C (zh) 2008-07-23
AU2003302189A1 (en) 2004-07-14
EP1709340B1 (fr) 2008-04-16
DE60320467D1 (de) 2008-05-29
MXPA05006581A (es) 2005-08-16
BR0307505B1 (pt) 2014-06-24
BR0307505A (pt) 2004-12-07
CN1729363A (zh) 2006-02-01
JP4399368B2 (ja) 2010-01-13
FR2849126B1 (fr) 2006-01-06
JP2006510862A (ja) 2006-03-30
WO2004057203A1 (fr) 2004-07-08
EP1709340A1 (fr) 2006-10-11
FR2849126A1 (fr) 2004-06-25
DE60320467T2 (de) 2009-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21878A (en) Multi-plate dry clutch having hub movement limiting means
SU1131478A3 (ru) Фрикционное сцепление дл автомобилей
KR100364181B1 (ko) 유체동력학적커플링장치용로킹클러치및그조립방법
US5092820A (en) Torsion damping device with friction pads, in particular for automotive vehicles
JP4933710B2 (ja) 自動車用流体動力結合装置
KR20000052595A (ko) 토크 전달 장치
US6892870B2 (en) Friction clutch
US5857547A (en) Annular pressure plate for a friction clutch, especially for a motor vehicle
KR19980084754A (ko) 습식 마찰 플레이트, 습식 동력 전달/차단장치, 습식 클러치 및 록업 클러치
KR19990063090A (ko) 클러치 디스크
KR101032216B1 (ko) 마찰 디스크 및 클러치
US6062103A (en) Motor vehicle double damping flywheel, comprising improved means for friction damping of vibrations
US6161669A (en) Clutch mechanism for clutch friction with low declutching effort
US5104356A (en) Torsion damper, in particular a damped double flywheel for an automotive vehicle
JPH01316525A (ja) クラッチ・アセンブリ
JP2003505651A (ja) 特に自動車用の流体力学的結合装置
US3584719A (en) Clutch with pressure plate having convex friction face
US20040104093A1 (en) Pressure force transmission plate for a friction clutch
US9217478B2 (en) Release mechanism for friction clutch
US4610342A (en) Clutch for motor vehicles
US20030062236A1 (en) Friction clutch, especially a multi-disk clutch
US6116395A (en) Clutch disk and a clutch disk assembly
US5957259A (en) Clutch cover assembly connecting element
US6695116B2 (en) Pressure plate assembly for a multi-disk clutch
JP2002526731A (ja) 特に自動車用のデュアル質量部材ダンピングフライホイ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