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6523A - 혼합된 촉매 조성물 - Google Patents

혼합된 촉매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6523A
KR20050086523A KR1020057008404A KR20057008404A KR20050086523A KR 20050086523 A KR20050086523 A KR 20050086523A KR 1020057008404 A KR1020057008404 A KR 1020057008404A KR 20057008404 A KR20057008404 A KR 20057008404A KR 20050086523 A KR20050086523 A KR 200500865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
group
carbon atoms
reaction
comp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8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85797B1 (ko
Inventor
옌스 뢰더
안드레아 카프리에스
토르스텐 노르돈
요하네스 카니시우스
Original Assignee
크롬프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롬프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크롬프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50086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65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57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57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1/00Catalysts comprising hydrides, coordination complexes or organic compounds
    • B01J31/02Catalysts comprising hydrides, coordination complexes or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or metal hydrides
    • B01J31/0201Oxygen-containing compounds
    • B01J31/0211Oxygen-containing compounds with a metal-oxygen link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7/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4 or 14 of the Periodic Table
    • C07F7/22Tin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1/00Catalysts comprising hydrides, coordination complexes or organic compounds
    • B01J31/02Catalysts comprising hydrides, coordination complexes or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or metal hydrides
    • B01J31/0201Oxygen-containing compounds
    • B01J31/0211Oxygen-containing compounds with a metal-oxygen link
    • B01J31/0212Alkoxy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1/00Catalysts comprising hydrides, coordination complexes or organic compounds
    • B01J31/02Catalysts comprising hydrides, coordination complexes or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or metal hydrides
    • B01J31/12Catalysts comprising hydrides, coordination complexes or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or metal hydrides containing organo-metallic compounds or metal hydrides
    • B01J31/122Metal aryl or alkyl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7/00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esters
    • C07C67/08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esters by reacting carboxylic acids or symmetrical anhydrides with the hydroxy or O-metal group of orga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78Preparation processes
    • C08G63/82Prepara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catalyst use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78Preparation processes
    • C08G63/82Prepara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catalyst used
    • C08G63/823Prepara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catalyst used for the preparation of polylactones or polylact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78Preparation processes
    • C08G63/82Prepara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catalyst used
    • C08G63/85Germanium, tin, lead, arsenic, antimony, bismuth, titanium, zirconium, hafnium, vanadium, niobium, tantalum, or compound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3/0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 B01J23/14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germanium, tin or lea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78Preparation processes
    • C08G63/82Prepara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catalyst used
    • C08G63/87Non-metals or inter-compounds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olyesters Or Polycarbonat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Catalysts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스테르화반응, 에스테르교환반응 및 중축합반응용 촉매 조성물, 상기 촉매 조성물을 적용한 상기 반응을 촉진시키는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는 폴리에스테르 또는 수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혼합된 촉매 조성물{Mixed catalytic composition}
본 발명은 에스테르화반응, 에스테르교환반응 및 중축합반응용 촉매 조성물, 상기 촉매 조성물을 이용한 상기 반응을 촉진시키는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는 폴리에스테르 또는 수지에 관한 것이다.
오르가노주석 화합물을 함유하는 촉매 계는 널리 공지되어 있다. JP-A 06-248060호, JP-A 03-284414호 및 JP-A 03-218511호는 유기 주석 화합물 및 3가 또는 5가 헤테로원자 화합물을 기본으로 하는 촉매 계, 특히 락티드의 개환반응 중합반응에 사용된 인 리간드를 개시한다. 이들 계는 중합체의 기계적 및 열적 허용성을 최적화하기 위해 사용된다.
기타 반응을 실시하거나 촉진시키기 위한 촉매 조성물의 용도는 아직까지 보고되어 있지 않다.
대조적으로, DE-A-101 21 542호는 헤테로원자 함유 안정화제가 촉매와 함께 불활성 생성물을 형성하기 때문에 이들 화합물이 에스테르화반응, 에스테르교환반응 또는 예비축합 단계내에서 촉매를 켄칭(quenching)시키기 위해 사용됨을 보고하고 있다.
또한 촉매 및 안정화제 농도가 특정되고 이들을 부가하는 위치가 특정된 특수한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상기 안정화제는 촉매 뒤에 부가된다. DE-A-19 50 997호에 따르면, 배위결합 또는 공유결합에 의해 적당량의 3가 또는 5가 헤테로원자 함유 화합물을 사용하여 에스테르교환반응 촉매를 탈활성화시키는 것은 일반적이다. 이것은 중축합반응내에서 에스테르교환반응 촉매의 유해한 영향을 피하기 위해서 실시된다. 중축합반응 촉매는 상기 탈활성화 후에 부가되며, 추가의 중축합 안정화제가 나중에 부가될 수 있다.
일부 용도, 예컨대 포장 및 공업용 방적사 용도를 위한 폴리에스테르를 제조하는 동안 고상 상태에서 결정화 및 중축합반응이 실시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US-A-4,064,112호, US-A-4,263,425호, US-A-5,362,844호). 다른 용도의 경우, 섬유 또는 필라멘트는 직접적으로 방적되며 고상으로의 중간체 전달 및 반복되는 재용융이 적용되지 않는 방법으로 직접적 프리폼(preform)이 제조된다.
통상적인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은 일련의 결점과 결부되어 있다(일반적인 요약은 다음에 기재되어 있다: Handbook of polyester thermoplastics, 1st edition, Weiley-VCH, Weinheim, 2002). 이들 중에서 다음과 같은 결점이 있다:
- 합성에 고온이 필요함
- 높은 촉매 농도 (100-500 ppm [금속의 경우])
- 가공 및 중축합 조건하에서 분해 공정; 예컨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에서 무수 아세트산의 형성에 기인한 비닐 에스테르의 형성, 폴리프로필렌 테레프탈레이트(PPT)에서 아크롤레인의 형성 및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에서 테트라히드로푸란 형성.
- 공정의 기술 및 기질의 화학적 구조에 좌우되는 촉매 계의 제한된 사용; 전통적인 티탄 기제 촉매는 용이하게 가수분해되어 산화티탄을 불활성화하기 때문에 예컨대 에스테르화 및/또는 예비/축합 단계 동안에 부가될 수 없다.
- 선택된 공정 단계에서, 예컨대 에스테르화반응 동안만 또는 에스테르교환반응 동안만 또는 중축합반응 단계 동안만 촉매 계를 적용.
- 안티몬 기제 촉매 계의 사용으로 인하여 원소성 금속 불순물의 퇴적에 의해 생성된 폴리에스테르의 광학 탁도.
- 촉매 자체, 예컨대 티탄 기제 촉매 계에 의한 폴리에스테르의 탈색은 중합체의 황색화 또는 발색단 부생성물의 형성을 유발한다.
- 촉매 및 촉매 제제의 측량과 부가에 따른 문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피한 에스테르화반응, 에스테르교환반응 및 중축합반응을 촉진하기에 적합한 촉매 조성물, 에스테르화반응, 에스테르교환반응 및 중축합반응의 개선된 방법 및 병, 필름, 호일, 방적사, 성형 패딩용의 향상된 폴리에스테르, 분말 코팅 및 공업 합성물질용 수지의 제조를 제공한다.
상기 문제는 제1항에 따른 촉매 조성물, 제6항에 따른 방법 및 제18항 및 제19항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또는 수지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해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에스테르화반응, 에스테르교환반응 및 중축합반응용 촉매 조성물은 하기 화학식(I)의 1 이상의 유기주석 화합물(화합물 I) 및 하기 화학식 (II), (III) 및/또는 (IV)중의 1 이상의 화합물(화합물 II)의 혼합물을 함유한다:
식중에서,
● R1은 1 내지 40개 탄소원자를 갖는 선상, 측쇄 또는 고리상 알킬 기, 1 내지 40개 탄소원자를 갖는 아릴기, 또는 -X-RA (식중, RA는 -CN, -COOH, -COO-메틸, -COO-에틸, -COO-n-프로필, -COO-이소프로필, -COO-n-부틸, -COO-2-부틸, -COO-이소부틸, -COO-삼차부틸, -COO-n-펜틸, -COO-이소펜틸, -COO-네오펜틸, -COO-삼차펜틸, -COO-헥실, -COO-헵틸, -COO-n-옥틸, -COO-이소옥틸, -COO--2-에틸-1-헥실, -COO-2,4,4-트리메틸펜틸, -COO-노닐, -COO-데실, -COO-도데실, -COO-n-도데실, -COO-시클로펜틸, -COO-시클로헥실, -COO-시클로헵틸, -COO-메틸시클로헥실, -COO-비닐, -COO-1-프로페닐, -COO-2-프로페닐, -COO-나프틸, -COO-안트라닐, -COO-페난트릴, -COO-o-톨릴, -COO-p-톨릴, -COO-m-톨릴, -COO-톨릴, -COO-에틸페닐, -COO-메시틸, -COO-벤질, -COO-페닐, -COOC2H4OH, -COO-C3H6OH, -COO-C4H8OH, -COOCH2C(CH3)2OH이고 또 -X-는 -CH2-, -C2H4-, -C3H6-, -C4H8-, -C5H10- 또는 -C6H12-임) 군으로 부터 선택된 치환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 R2는 1 내지 40개 탄소원자를 갖는 선상, 측쇄 또는 고리상 알킬 기, 1 내지 40개 탄소원자를 갖는 아릴기 및 -O, -OH, 1 내지 40개 탄소원자를 갖는 선상, 측쇄 또는 고리상 알킬 또는 아릴카르복시 기, 1 내지 40개 탄소원자를 갖는 선상, 측쇄 또는 고리상 알킬- 및 아릴 알코올레이트 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O-배위를 갖는 음이온 리간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 R3 및 R4는 서로 독립적으로 -O, -OH, 1 내지 40개 탄소원자를 갖는 선상, 측쇄 또는 고리상 알킬 기 또는 아릴카르복시 기, 1 내지 40개 탄소원자를 갖는 선상, 측쇄 또는 고리상 알킬- 및 아릴 알코올레이트 기 및 술페이트, 술파이트, 인산, 할로겐 또는 슈도할로겐 음이온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무기산의 음이온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O-배위를 갖는 음이온 리간드로 부터 선택됨.
Xm(R')n
O=Xm(R')o
(O=)rXmOp(R')q
식중에서,
X는 N, P, Si, Cl, Br, I 또는 S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헤테로원자이고,
● m은 1 내지 5의 정수이며,
● n은 1 내지 5의 정수이며,
● o는 1 내지 5의 정수이며,
● p는 0 내지 5의 정수이며,
● q는 0 내지 5의 정수이며,
● r은 0 내지 3의 정수이며,
● 화학식(II)중의 R'은 n개의 상이하거나 동일한 기를 의미하며, 각기 서로 독립적으로 1 내지 40개 탄소원자를 갖는 선상, 측쇄 또는 고리상 알킬 기, 1 내지 40개 탄소원자를 갖는 아릴 기, -O, -OH, 1 내지 40개 탄소원자를 갖는 선상, 측쇄 또는 고리상 알킬- 및 아릴 알코올레이트 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O-배위를 갖는 음이온 리간드, H, Cl, Br, NH4 + 또는 금속 이온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 화학식(III)중의 R'은 o개의 상이하거나 동일한 기를 의미하며, 각기 서로 독립적으로 1 내지 40개 탄소원자를 갖는 선상, 측쇄 또는 고리상 알킬 기, 1 내지 40개 탄소원자를 갖는 아릴 기, -O, -OH, 1 내지 40개 탄소원자를 갖는 선상, 측쇄 또는 고리상 알킬- 및 아릴 알코올레이트 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O-배위를 갖는 음이온 리간드, H, Cl, Br, NH4 + 또는 금속 이온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 화학식(IV)중의 R'은 q개의 상이하거나 동일한 기를 의미하며, 각기 서로 독립적으로 1 내지 40개 탄소원자를 갖는 선상, 측쇄 또는 고리상 알킬 기, 1 내지 40개 탄소원자를 갖는 아릴 기, -O, -OH, 1 내지 40개 탄소원자를 갖는 선상, 측쇄 또는 고리상 알킬- 및 아릴 알코올레이트 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O-배위를 갖는 음이온 리간드, H, Cl, Br, NH4 + 또는 금속 이온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됨.
상기 촉매 조성물은 에스테르화반응, 에스테르교환반응, 중축합반응, 폴리에스테르화반응 및 폴리에스테르교환반응의 촉매로서 아주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I) 및 화합물(II)는 물리적 혼합물을 형성하며 서로에 대하여 화학적으로 반응하지 않는 점이 강조되어야한다. 이것은 화합물(I) 및 화합물(II)가 복합체 또는 공유결합에 의해 결합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예컨대 화합물(II)가 인 화합물인 경우, 이것은 화합물(I) 및 화합물(II)의 물리적 혼합물의 31P MNR 데이터에 의해 확인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금속 이온은 NH4, Li, Na, K, Rb, Cs, Mg, Ca, Sr, Ba, Zn, B, Al, Sc, Y를 포함한다.
화합물(I)의 바람직한 예는 R1이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2-부틸, 이소부틸, 삼차부틸, n-펜틸, 이소펜틸, 네오펜틸, 삼차펜틸, 헥실, 헵틸, n-옥틸, 이소옥틸, 2-에틸-1-헥실, 2,2,4-트리메틸펜틸, 노닐, 데실, 도데실, n-도데실,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시클로헵틸, 메틸시클로헥실, 비닐, 1-프로페닐, 2-프로페닐, 나프틸, 안트라닐, 페난트릴, o-톨릴, p-톨릴, m-톨릴, 크실릴, 에틸페닐, 메시틸, 페닐, 벤질이거나, 또는 R1이 -X-RA (식중, RA는 -CN, -COOH, -COO-메틸, -COO-에틸, -COO-n-프로필, -COO-이소프로필, -COO-n-부틸, -COO-2-부틸, -COO-이소부틸, -COO-삼차부틸, -COO-n-펜틸, -COO-이소펜틸, -COO-네오펜틸, -COO-삼차펜틸, -COO-헥실, -COO-헵틸, -COO-n-옥틸, -COO-이소옥틸, -COO--2-에틸-1-헥실, -COO-2,4,4-트리메틸펜틸, -COO-노닐, -COO-데실, -COO-도데실, -COO-n-도데실, -COO-시클로펜틸, -COO-시클로헥실, -COO-시클로헵틸, -COO-메틸시클로헥실, -COO-비닐, -COO-1-프로페닐, -COO-2-프로페닐, -COO-나프틸, -COO-안트라닐, -COO-페난트릴, -COO-o-톨릴, -COO-p-톨릴, -COO-m-톨릴, -COO-톨릴, -COO-에틸페닐, -COO-메시틸, -COO-벤질, -COO-페닐, -COOC2H4OH, -COO-C3H6OH, -COO-C4H8OH, -COOCH2C(CH3)2CH2OH이고 또 -X-는 -CH2-, -C2H4-, -C3H6-, -C4H8-, -C5H10- 또는 -C6H12-임) 군으로 부터 선택된 치환기인 화합물이다.
본 발명에 따른 특히 바람직한 치환기는 메틸, n-부틸, n-옥틸 및 n-도데실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X-는 바람직하게는 -C2H4-이고, 바람직한 잔기 RA는 -CN, -COOH, -COO-메틸, -COO-에틸이다.
본 발명에 따라 R2로 바람직한 예는 다음과 같다:
a)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2-부틸, 이소부틸, 삼차부틸, n-펜틸, 이소펜틸, 네오펜틸, 삼차펜틸, 헥실, 헵틸, n-옥틸, 이소옥틸, 2-에틸-1-헥실, 2,2,4-트리메틸펜틸, 노닐, 데실, 도데실, n-도데실,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시클로헵틸, 메틸시클로헥실, 비닐, 1-프로페닐, 2-프로페닐, 나프틸, 안트라닐, 페난트릴, o-톨릴, p-톨릴, m-톨릴, 크실릴, 에틸페닐, 메시틸, 페닐, 벤질. 본 발명에 대해 바람직한 치환기는 메틸, 부틸, 옥틸 및 도데실임, 또는
b) O, OH, 메탄올레이트, 에탄올레이트, n-프로판올레이트, 이소프로판올레이트, n-부탄올레이트, 2-부탄올레이트, 이소부탄올레이트, 삼차부탄올레이트, n-펜탄올레이트, 이소펜탄올레이트, 네오펜탄올레이트, 삼차펜탄올레이트, 2-메틸-1-부탄올레이트, 헥산올레이트, 헵탄올레이트, n-옥탄올레이트, 이소옥탄올레이트, 2,2,4-트리메틸펜탄올레이트, 노난올레이트, 데칸올레이트, 도데칸올레이트, n-도데칸올레이트, 시클로펜탄올레이트, 시클로헥산올레이트, 시클로헵탄올레이트, 메틸시클로헥산올레이트, 글리콜레이트, 글리세레이트, 피나콜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레이트, 비닐알코올레이트, 프로파르길알코올레이트, 2-에틸-1-헥산올레이트, 포르미에이트,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부티레이트, 발레리에이트, 카프레이트, 카프릴레이트, 카프리네이트, 라우레이트, 라우레에이트, 2-에틸-1-헥산올레이트, 네오데칸올레이트, 팔미테이트, 스테아레이트, 벤조에이트, 테레프탈레이트, 프탈레이트, 이소테레프탈레이트, 아크릴레이트, 메타크릴레이트, 크로토네이트, 이소크로토네이트, 비닐아세테이트, 올레에이트, 소르베이트, 리놀레이트, 리놀레네이트,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p-톨루엔술포네이트, 옥살레이트, 말로네이트, 숙시네이트, 글루타레이트, 아디페이트, 푸마레이트, 말레이네이트, 하기 모노에스테르(메틸말레산 모노에스테르, 에틸말레산 모노에스테르, 부틸말레산 모노에스테르, n-프로필말레산 모노에스테르, 이소프로필말레산 모노에스테르, n-부틸말레산 모노에스테르, 2-부틸말레산 모노에스테르, 이소부틸말레산 모노에스테르, 2-부틸말레산 모노에스테르, 이소부틸말레산 모노에스테르, 삼차부틸말레산 모노에스테르, n-펜틸말레산 모노에스테르, 이소펜틸말레산 모노에스테르, 네오펜틸말레산 모노에스테르, 삼차펜틸말레산 모노에스테르, 2-메틸-1-부틸말레산 모노에스테르, 헥실말레산 모노에스테르, 헵틸말레산 모노에스테르, n-옥틸말레산 모노에스테르, 이소옥틸말레산 모노에스테르, n-옥틸말레산 모노에스테르, 이소옥틸말레산 모노에스테르, 2,2,4-트리메틸펜틸말레산 모노에스테르, 노닐말레산 모노에스테르, 데실말레산 모노에스테르, 데실말레산 모노에스테르, n-도데실말레산 모노에스테르, 시클로펜틸말레산 모노에스테르, 시클로헥실말레산 모노에스테르, 시클로헵틸말레산 모노에스테르, 메틸시클로헥실말레산 모노에스테르, 글리콜말레산 모노에스테르, 글리셀롤말레산 모노에스테르, 피나콜말레산 모노에스테르, 네오펜틸글리콜말레산 모노에스테르, 비닐말레산 모노에스테르, 프로파르길말레산 모노에스테르 및 2-에틸-1-헥실말레산 모노에스테르)의 카르복실레이트, 시트레이트, 락테이트, 타르타레이트, 나프텐네이트, 나프탈렌-2,6-디카르복실레이트, 나프탈렌-1,6-디카르복실레이트, F, Cl, ClO, ClO2, ClO3, ClO4, Br, J, CN, SCN, OCN, 술페이트, 수소술페이트, 술파이트, 수소술파이트, 술피드, 포스페이트, 수소 포스페이트, 이수소 포스페이트, 비스(2-에틸-1-헥실)포스페이트, 부틸 포스페이트, 디부틸 포스페이트, 3-포스포노프로피오네이트, 페닐포스폰산, 벤질포스폰산, p-아미노포스폰산, n-옥틸포스폰산이며, 바람직한 치환기는 O, OH, 라우레에이트, 2-에틸-1-헥사노에이트, 네오데카노에이트, 옥살레이트, 2-에틸-1-헥실말레산 모노에스테르 및 아세테이트임.
본 발명에 따라 바람직한 R3 및 R4의 예는 다음과 같다: O, OH, 메탄올레이트, 에탄올레이트, n-프로판올레이트, 이소프로판올레이트, n-부탄올레이트, 2-부탄올레이트, 이소부탄올레이트, 삼차부탄올레이트, n-펜탄올레이트, 이소펜탄올레이트, 네오펜탄올레이트, 삼차펜탄올레이트, 2-메틸-1-부탄올레이트, 헥산올레이트, 헵탄올레이트, n-옥탄올레이트, 이소옥탄올레이트, 2,2,4-트리메틸펜탄올레이트, 노난올레이트, 데칸올레이트, 도데칸올레이트, n-도데칸올레이트, 시클로펜탄올레이트, 시클로헥산올레이트, 시클로헵탄올레이트, 메틸시클로헥산올레이트, 글리콜레이트, 글리세레이트, 피나콜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레이트, 비닐알코올레이트, 프로파르길알코올레이트, 2-에틸-1-헥산올레이트, 포르미에이트,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부티레이트, 발레리에이트, 카프레이트, 카프릴레이트, 카프리네이트, 라우레에이트, 2-에틸-1-헥산올레이트, 네오데칸올레이트, 팔미테이트, 스테아레이트, 벤조에이트, 테레프탈레이트, 프탈레이트, 이소테레프탈레이트, 아크릴레이트, 메타크릴레이트, 크로토네이트, 이소크로토네이트, 비닐아세테이트, 올레에이트, 소르베이트, 리놀레이트, 리놀레네이트,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p-톨루엔술포네이트, 옥살레이트, 말로네이트, 숙시네이트, 글루타레이트, 아디페이트, 푸마레이트, 말레이네이트, 메틸말레산 모노에스테르, 에틸말레산 모노에스테르, 부틸말레산 모노에스테르, n-프로필말레산 모노에스테르, 이소프로필말레산 모노에스테르, n-부틸말레산 모노에스테르, 2-부틸말레산 모노에스테르, n-펜틸말레산 모노에스테르, 이소펜틸말레산 모노에스테르, 네오펜틸말레산 모노에스테르, 삼차펜틸말레산 모노에스테르, 2-메틸-1-부틸말레산 모노에스테르, 헥실말레산 모노에스테르, 헵틸말레산 모노에스테르, n-옥틸말레산 모노에스테르, 이소옥틸말레산 모노에스테르, 2,2,4-트리메틸펜틸말레산 모노에스테르, 노닐말레산 모노에스테르, 데실말레산 모노에스테르, 도데실말레산 모노에스테르, n-도데실말레산 모노에스테르, 시클로펜틸말레산 모노에스테르, 시클로헥실말레산 모노에스테르, 시클로헵틸말레산 모노에스테르, 메틸시클로헥실말레산 모노에스테르, 글리콜말레산 모노에스테르, 글리세롤말레산 모노에스테르, 피나콜말레산 모노에스테르, 네오펜틸글리콜말레산 모노에스테르, 비닐말레산 모노에스테르, 프로파르길말레산 모노에스테르 및 2-에틸-1-헥실말레산 모노에스테르, 시트레이트, 락테이트, 타르타레이트, 나프텐네이트, 나프탈렌-2,6-디카르복실레이트, 나프탈렌-1,6-디카르복실레이트, F, Cl, ClO, ClO2, ClO3, ClO4, Br, J, CN, SCN, OCN, 술페이트, 수소술페이트, 술파이트, 수소술파이트, 술피드, 포스페이트, 수소 포스페이트, 이수소 포스페이트, 비스(2-에틸-1-헥실)포스페이트, 부틸 포스페이트, 디부틸 포스페이트, 3-포스포노프로피오네이트, 페닐포스폰산, 벤질포스폰산, p-아미노포스폰산, n-옥틸포스폰산이다. 바람직한 치환기는 O, OH, Cl, 라우레에이트, 2-에틸-1-헥사노에이트, 네오데카노에이트, 옥살레이트, 2-에틸-1-헥실말레산 모노에스테르 및 아세테이트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II)의 바람직한 예는 포스파이트, 포스핀, 포스폰산 에스테르, 파이로포스페이트, 알칼리성 할로게나이드, 알칼리토 할로게나이드, 알루미늄 할로게나이드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기 예의 화합물(II)와의 조합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화학식(II) (X = P): 트리옥틸-, 트리이소옥틸-, 트리라우릴, 트리데실-, 트리도데실-, 트리이소도데실-, 트리트리데실-, 트리펜타데실-, 트리올레일-, 트리스테아릴-, 트리페닐-, 트리크레실-, 트리스노닐페놀, 트리스-2,4-삼차부틸-페닐- 또는 트리시클로헥실포스파이트이다.
몇개의 아릴-디알킬 또는 알킬-디아릴포스파이트의 다른 바람직한 포스파이트는 페닐디-옥틸-, 페닐디데실-, 페닐디도데실-, 페닐디트리데실-, 페닐디테트라데실-, 페닐디펜타데실-, 옥틸디페닐-, 데실디페닐-, 운데실디페닐-, 도데실디페닐-, 트리데실디페닐-, 테트라데실디페닐-, 펜타데실디페닐-, 올레일디페닐-, 스테아릴디페닐- 및 도데실-비스-2,4-디-삼차부틸페닐포스파이트, 트리스(2,4-디-삼차부틸페닐)포스파이트, 디페닐-이소데실포스파이트이다.
몇개의 디- 또는 폴리올의 포스파이트도 또한 적합하며 예컨대 페닐네오펜틸렌글리콜포스파이트, 헵타키스-(디프로필렌글리콜)트리포스파이트, 2,4,6-트리-삼차부틸페닐-2-부틸-2-에틸-1,3-프로판디올포스파이트, 비스(2,4-트리-삼차부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디포스파이트, 테트라페닐디프로필렌글리콜디포스파이트, 폴리디프로필렌글리콜페닐포스파이트, 테트라메틸올시클로헥산올-데실디포스파이트, 테트라메틸올시클로헥산올-부톡시에톡시-에틸디포스파이트, 테트라메틸올시클로헥산올-노닐페닐디포스파이트, 비스-노닐페닐-디-트리메틸올프로판디포스파이트, 비스-2-부톡시에틸-디-트리메틸올-프로판디포스파이트, 트리스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헥사데실트리포스파이트, 트리스(디프로필렌글리콜)포스파이트, 폴리-4,4'-이소프로필리덴디페놀-c12-15-알코올포스파이트, 디이소데실펜타에리트리톨디포스파이트, 디데실펜타에리트리톨디포스파이트, 디스테아릴펜타에리트리트디포스파이트, 이들 포스파이트와 아릴/알킬포스파이트의 혼합물- 통계학적 조성(H19C9-C6H4)O1.5P(OC12,13H25,27)1,5 또는 [(C8H17-C6H4-O-]2P[i-C8H17O] (H19C9-C6H4)O1.5P(OC9,11H19, 23 )1,5 의 혼합물 뿐만 아니라 R1', R2', R3' =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2-부틸, 이소부틸, 삼차부틸, n-펜틸, 이소펜틸, 네오펜틸, 삼차펜틸, 헥실, 헵틸, n-옥틸, 이소옥틸, 2,2,4-트리메틸펜틸, 삼차펜틸, 헥실, 헵틸, n-옥틸, 이소옥틸, 2,2,4-트리메틸펜틸, 노닐, 데실, 도데실, n-도데실,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시클로헵틸, 메틸시클로헥실, o-톨릴, p-톨릴, m-톨릴, 크실릴, 에틸페닐, 메시틸, 페닐, 벤질 및 DIOP, Chiraphos 및 Norphos인 포스핀도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특히 바람직한 것은 R1', R2' 및 R3'이 서로 독립적으로 C6H5, OC6H5 및 OC4H9로 부터 선택되는 화학식(II)와 같은 헤테로원자를 포함한 헤테로원자 화합물(II)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화합물(I)과 화학식(III)에 따른 화합물(II)의 혼합물이 특히 바람직하며, 예컨대 (X = P): R1', R2', R3' =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2-부틸, 이소부틸, 삼차부틸, n-펜틸, 이소펜틸, 네오펜틸, 삼차펜틸, 헥실, 헵틸, n-옥틸, 이소옥틸, 2,2,4-트리메틸펜틸, 노닐, 데실, 도데실, n-도데실,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시클로헵틸, 메틸시클로헥실, 비닐, 1-프로페닐, 2-프로페닐, 나프틸, 안트릴, 페난트릴, o-톨릴, p-톨릴, m-톨릴, 크실릴, 에틸페닐, 메시틸, 페닐, 벤질, 메탄올레이트, 에탄올레이트, n-프로판올레이트, 이소프로판올레이트, n-부탄올레이트, 2-부탄올레이트, 이소부탄올레이트, 삼차부탄올레이트, n-펜탄올레이트, 이소펜탄올레이트, 네오펜타올레이트, 삼차펜탄올레이트, 2-메틸-1-부탄올레이트, 헥산올레이트, 헵탄올레이트, n-옥탄올레이트, 이소옥탄올레이트, 2,2,4-트리메틸펜탄올레이트, 노난올레이트, 데칸올레이트, 도데칸올레이트, n-도데칸올레이트, 시클로펜탄올레이트, 시클로헥산올레이트, 시클로헵탄올레이트, 메틸시클로헥산올레이트, 글리콜레이트, 글리세레이트, 피나콜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레이트, 비닐알코올레이트, 프로파르길알코올레이트, 2-에틸-1-헥산올레이트,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및 벤질알코올레이트 및 X = 2인 경우: 테트라메틸파이로포스페이트, 테트라에틸파이로포스페이트, 테트라키스-n-프로필파이로포스페이트, 테트라키스-이소프로필파이로포스페이트, 테트라키스-n-부틸파이로포스페이트, 테트라키스-2-부틸파이로포스페이트, 테트라키스-이소부틸파이로포스페이트, 테트라키스-삼차부틸파이로포스페이트, 테트라키스-n-펜틸파이로포스페이트, 테트라키스-이소펜틸파이로포스페이트, 테트라키스-네오펜틸파이로포스페이트, 테트라키스-삼차펜틸파이로포스페이트, 테트라헥실 파이로포스페이트, 테트라헵틸파이로포스페이트, 테트라키스-n-옥틸파이로포스페이트, 테트라키스-이소옥틸파이로포스페이트, 테트라키스-2-에틸-1-헥실파이로포스페이트, 테트라키스-2,2,4-트리메틸펜틸-파이로포스페이트, 테트라노닐파이로포스페이트, 테트라데실파이로포스페이트, 테트라도데실파이로포스페이트, 테트라키스-n-도데실파이로포스페이트, 테트라시클로펜틸파이로포스페이트, 테트라키스-n-도데실파이로포스페이트, 테트라시클로펜틸파이로포스페이트, 테트라시클로헥실파이로포스페이트, 테트라시클로헵틸파이로포스페이트, 테트라키스-메틸시클로헥실파이로포스페이트, 테트라나프틸파이로포스페이트, 테트라안트릴파이로포스페이트, 테트라페난트릴파이로포스페이트, 테트라키스-o-톨릴파이로포스페이트, 테트라키스-p-톨릴파이로포스페이트, 테트라키스-m-톨릴파이로포스페이트, 테트라크실릴파이로포스페이트, 테트라키스-에틸페닐파이로포스페이트, 테트라메시틸파이로포스페이트, 테트라페닐파이로포스페이트, 테트라벤질파이로포스페이트이거나, 또는 R1', R2' =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2-부틸, 이소부틸, 삼차부틸, n-펜틸, 이소펜틸, 네오펜틸, 삼차펜틸, 헥실, 헵틸, n-옥틸, 이소옥틸, 2,2,4-트리메틸펜틸, 노닐, 데실, 도데실, n-도데실,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시클로헵틸, 메틸시클로헥실, 비닐, 1-프로페닐, 2-프로페닐, 나프틸, 안트릴, 페난트릴, o-톨릴, p-톨릴, m-톨릴, 크실릴, 에틸페닐, 메시틸, 페닐, 벤질, 메탄올레이트, 에탄올레이트, n-프로판올레이트, 이소프로판올레이트, n-부탄올레이트, 2-부탄올레이트, 이소부탄올레이트, 삼차부탄올레이트, n-펜탄올레이트, 이소펜탄올레이트, 네오펜탄올레이트, 삼차펜탄올레이트, 2-메틸-1-부탄올레이트, 헥산올레이트, 헵탄올레이트, n-옥탄올레이트, 이소옥탄올레이트, 2,2,4-트리메틸펜탄올레이트, 노난올레이트, 데칸올레이트, 도데칸올레이트, n-도데칸올레이트, 시클로펜탄올레이트, 시클로헥산올레이트, 시클로헵탄올레이트, 메틸시클로헥산올레이트, 글리콜레이트, 글리세레이트, 피나콜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레이트, 비닐알코올레이트, 프로파르길알코올레이트, 2-에틸-1-헥산올레이트,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및 벤질알코올레이트이며, R3' = H, 예컨대 디페닐포스파이트이다. 트리페닐포스핀옥사이드, 트리에틸포스페이트, 트리부틸포스페이트, 트리페닐포스페이트, 트리스(트리에틸렌글리콜)포스페이트 및 디페닐포스파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화합물(I)과 하기 예의 화합물(II) 1 또는 그 이상과 의 혼합물이 특히 바람직하다(화학식(II), X = N): 트리옥틸-, 트리이소옥틸-, 트리라우릴, 트리데실-, 트리도데실-, 트리이소도데실-, 트리트리데실-, 트리펜타데실-, 트리올레일-, 트리스테아릴-, 트리페닐-, 트리크레실-, 트리스-노닐페놀, 트리스-2,4-삼차부틸-페닐-, 트리시클로헥실아민, 조성 R1', R2', R3' = 독립적으로 동일하거나 상이한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2-부틸, 이소부틸, 삼차부틸, n-펜틸, 이소펜틸, 네오펜틸, 삼차펜틸, 헥실, 헵틸, n-옥틸, 이소옥틸, 2,2,4-트리메틸펜틸, 노닐, 데실, 도데실, n-도데실,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시클로헵틸, 메틸시클로헥실, o-톨릴, p-톨릴, m-톨릴, 크실릴, 에틸페닐, 메시틸, 페닐, 벤질인 아민이 적합하며 뿐만 아니라 R1', R2', R3', R4' = H, R5' = Cl이거나 또는 R1', R2', R3', R4' = H, R5' = Br인 것이 적합하다.
화합물(I)과 하기 예의 화합물(II) 1 또는 그 이상과의 혼합물이 본 발명에 따라 바람직하다(X = Si): R1', R2', R3' = 독립적으로 동일하거나 서로 상이하며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2-부틸, 이소부틸, 삼차부틸, n-펜틸, 이소펜틸, 네오펜틸, 삼차펜틸, 헥실, 헵틸, n-옥틸, 이소옥틸, 2,2,4-트리메틸펜틸, 노닐, 데실, 도데실, n-도데실,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시클로헵틸, 메틸시클로헥실, o-톨릴, p-톨릴, m-톨릴, 크실릴, 에틸페닐, 메시틸, 페닐, 벤질이고, R4' = O, OH, 메탄올레이트, 에탄올레이트, n-프로판올레이트, 이소프로판올레이트, n-부탄올레이트, 2-부탄올레이트, 이소부탄올레이트, 삼차부탄올레이트, n-펜탄올레이트, 이소펜탄올레이트, 네오펜탄올레이트, 삼차펜탄올레이트, 2-메틸-1-부탄올레이트, 헥산올레이트, 헵탄올레이트, n-옥탄올레이트, 이소옥탄올레이트, 2,2,4-트리메틸펜탄올레이트, 노난올레이트, 데칸올레이트, 도데칸올레이트, n-도데칸올레이트, 시클로펜탄올레이트, 시클로헥산올레이트, 시클로헵탄올레이트, 메틸시클로헥산올레이트, 글리콜레이트, 글리세레이트, 피나콜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레이트, 비닐알코올레이트, 프로파르길알코올레이트, 2-에틸-1-헥산올레이트이고; 또는 R1' 및/또는 R2' =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2-부틸, 이소부틸, 삼차부틸, n-펜틸, 이소펜틸, 네오펜틸, 삼차펜틸, 헥실, 헵틸, n-옥틸, 이소옥틸, 2,2,4-트리메틸펜틸, 노닐, 데실, 도데실, n-도데실,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시클로헵틸, 메틸시클로헥실, o-톨릴, p-톨릴, m-톨릴, 크실릴, 에틸페닐, 메시틸, 페닐, 벤질이며, R2', R3', R4' = 독립적으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O, OH, 메탄올레이트, 에탄올레이트, n-프로판올레이트, 이소프로판올레이트, n-부탄올레이트, 2-부탄올레이트, 이소부탄올레이트, 삼차부탄올레이트, n-펜탄올레이트, 이소펜탄올레이트, 네오펜탄올레이트, 삼차펜탄올레이트, 2-메틸-1-부탄올레이트, 헥산올레이트, 헵탄올레이트, n-옥탄올레이트, 이소옥탄올레이트, 2,2,4-트리메틸펜탄올레이트, 노난올레이트, 데칸올레이트, 도데칸올레이트, n-도데칸올레이트, 시클로펜탄올레이트, 시클로헥산올레이트, 시클로헵탄올레이트, 메틸시클로헥산올레이트, 글리콜레이트, 글리세레이트, 피나콜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레이트, 비닐알코올레이트, 프로파르길알코올레이트, 2-에틸-1-헥산올레이트이거나; 또는 R1' =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2-부틸, 이소부틸, 삼차부틸, n-펜틸, 이소펜틸, 네오펜틸, 삼차펜틸, 헥실, 헵틸, n-옥틸, 이소옥틸, 2,2,4-트리메틸펜틸, 노닐, 데실, 도데실, n-도데실,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시클로헵틸, 메틸시클로헥실, o-톨릴, p-톨릴, m-톨릴, 크실릴, 에틸페닐, 메시틸, 페닐, 벤질이며, R2', R3', R4' = O, OH, 메탄올레이트, 에탄올레이트, n-프로판올레이트, 이소프로판올레이트, n-부탄올레이트, 2-부탄올레이트, 이소부탄올레이트, 삼차부탄올레이트, n-펜탄올레이트, 이소펜탄올레이트, 네오펜탄올레이트, 삼차펜탄올레이트, 2-메틸-1-부탄올레이트, 헥산올레이트, 헵탄올레이트, n-옥탄올레이트, 이소옥탄올레이트, 2,2,4-트리메틸펜탄올레이트, 노난올레이트, 데칸올레이트, 도데칸올레이트, n-도데칸올레이트, 시클로펜탄올레이트, 시클로헥산올레이트, 시클로헵탄올레이트, 메틸시클로헥산올레이트, 글리콜레이트, 글리세레이트, 피나콜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레이트, 비닐알코올레이트, 프로파르길알코올레이트, 2-에틸-1-헥산올레이트이거나; 또는 R1', R2', R3', R4' = 독립적으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O, OH, 메탄올레이트, 에탄올레이트, n-프로판올레이트, 이소프로판올레이트, n-부탄올레이트, 2-부탄올레이트, 이소부탄올레이트, 삼차부탄올레이트, n-펜탄올레이트, 이소펜탄올레이트, 네오펜탄올레이트, 삼차펜탄올레이트, 2-메틸-1-부탄올레이트, 헥산올레이트, 헵탄올레이트, n-옥탄올레이트, 이소옥탄올레이트, 2,2,4-트리메틸펜탄올레이트, 노난올레이트, 데칸올레이트, 도데칸올레이트, n-도데칸올레이트, 시클로펜탄올레이트, 시클로헥산올레이트, 시클로헵탄올레이트, 메틸시클로헥산올레이트, 글리콜레이트, 글리세레이트, 피나콜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레이트, 비닐알코올레이트, 프로파르길알코올레이트, 2-에틸-1-헥산올레이트이다. 본 발명에 따라 특히 바람직한 것은 이하 예의 화합물(II)와의 혼합물이다: 이소부틸이소프로필 디메톡시실란, 디이소프로필 디메톡시실란, 디이소부틸디메톡시실란, 디시클로펜틸 디메톡시실란, n-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이소부틸-이차부틸 디메톡시실란, 시클로헥실이소부틸 디메톡시실란, 시클로펜틸이소부틸 디메톡시실란, 디-이차부틸 디메톡시실란, 디시클로헥실 디메톡시실란, 이소부틸메틸 디메톡시실란.
화합물(I)과 하기 예의 화학식(II)의 화합물(II) 1 또는 그 이상과의 혼합물이 본 발명에 따라 바람직하다(X = Cl 또는 Br 또는 I, m= 1인 경우): R1' = NH4, Li, Na, K, Rb, m =2 인 경우: R1' = Cs, Mg, Ca, Sr, Ba, Zn 이고, m = 3인 경우: R1' = B, Al, Sc, Y이고, m = 4인 경우: R1' = Ti, Zr, Hf임.
화합물(I)과 하기 예의 화학식(II)의 화합물(II) 1 또는 그 이상과의 혼합물이 본 발명에 따라 바람직하다: NaClO2, KClO2, HClO2, HClO3, KClO3, NaClO3, HClO4, NaClO4, KClO4 및 특히 바람직하게는 NaCl, AlCl3, KCl, NaBr, KBr, NaClO4 및 KClO4 및 이들 각각의 수화물이다.
또한 화합물(I)과 하기 예의 화학식(II)의 화합물(II) 1 또는 그 이상과의 혼합물이 본 발명에 따라 바람직하다(X = S): Na2SO4, K2SO4, MgSO4, CaSO4, SrSO4, BaSO4, Al2(SO4)3, NaAl(SO4)2, NH4Al(SO4)2, KAl(SO4)2 및 이들의 수화물, 특히 바람직하게는 Al2(SO4)2, NaAl(SO4)2, NH4Al(SO4)2 이다.
화합물(I) 대 화합물(II)의 몰비는 1:0.001 내지 1:200, 바람직하게는 1:0.01 내지 1:20이 바람직하다.
화합물(I) 및/또는 화합물(II)의 조성물은 반응 역학 및 수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현탁제 또는 용매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촉매 조성물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코올 및 산 또는 산 유도체, 예컨대 에스테르, 무수물 또는 할로게나이드의 에스테르화반응, 에스테르교환반응, 폴리에스테르화반응, 폴리에스테르교환반응의 연속적 또는 뱃치 촉매반응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다음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 2 이상의 카르복시기를 갖는 다가 알코올 및 산 또는 에스테르를 함유하는 반응 혼합물을 제조.
- 본 발명에 따른 촉매 조성물의 부가.
2 이상의 촉매 화합물(I) 및 (II)는 분리된 형태의 반응 혼합물에 고체, 적합한 용매에 용해되어 액체 또는 현탁액으로 부가될 수 있다.
상기 이용된 카르복시산은 모노카르복시산, 디- 또는 폴리카르복시산일 수 있다. 디카르복시산 중에서, 2 이상의 카르복시기를 함유하는 카르복시산, 디카르복시산, 예컨대 테레프탈산 및/또는 2,6-나프탈렌디카르복시산, 이소프탈산, 1,4-시클로헥산 디카르복시산, 1,6-나프탈렌 디카르복시산, 4,4-비페닐 디카르복시산, 아디프산, 프탈산, 알칸 디카르복시산, 상술한 디카르복시산의 할로겐 유도체, 예컨대 테트라브로모 프탈산, 및 상술한 디카르복시산의 공중합체 또는 상술한 카르복시산의 에스테르, 예컨대 디메틸 테레프탈레이트, 비스(히드록시에틸)테레프탈레이트, 2,6-디메틸 나프탈레이트, 1,6-디메틸 나프탈레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사용된 알코올은 1가, 2가 또는 다가 일 수 있다.
2가 또는 다가 알코올로서, 에틸렌 글리콜, 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및/또는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과 같은 알코올, 디트리에틸렌 글리콜, 분자량 1000 의 폴리글리콜, 네오펜틸 글리콜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재생 폴리에스테르 물질은 본 발명에 기본한 방법에서 공/단량체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헤테로원자를 갖는 화합물(II)가 에스테르화반응, 에스테르교환반응, 중축합반응을 촉진시키지 않는다는 것을 밝혀내었다. 놀랍게도, 금속 촉매 (화합물 I) 및 헤테로원자 화합물(화합물 II) 사이에 예기치 않은 상승작용이 밝혀졌다. 화합물(I)의 선택된 시스템의 촉매 활성은 약 50% 정도 본 발명에 따라 증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중축합반응은 신규 화합물 시스템에 의해 촉진되고 가속된다. 통상의 촉매 계와 비교하여 적은 양의 촉매 및 안정화제가 필적할 수 있는 결과를 초래함을 나타내었다. 또한 훨씬 짧은 중축합 시간내에 직접 방법으로 고 점성 폴리에스테르가 제조될 수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신규 혼합물은 가수분해 내성이며 에스테르반응 상 및/또는 중축합반응 상 동안 활성 조성물로서 부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촉매 조성물은 통상의 촉매 계와 비교하여 더 낮은 독성을 나타낸다.
촉매적으로 활성인 금속 화합물(화합물 I)의 바람직한 금속 농도는 반응될 산 또는 에스테르에 대하여 0.1 내지 500 ppm (Sn), 특히 10-200 ppm (Sn)이다.
헤테로원자 함유 화합물(화합물 II)의 바람직한 농도는 반응될 산 또는 에스테르에 대하여 0.0001 ppm (화합물) 내지 1%, 특히 10-200 ppm 이다.
특히 바람직한 것은 디카르복시산 또는 디카르복시산 유도체를 2가 알코올과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폴리에스테르화반응 방법이다.
모노-, 디- 또는 폴리카르복시산의 특히 바람직한 유도체는 에스테르 또는 할로게나이드이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p-히드록시벤조산, 살리실산, 락트산, 글리콜산과 같은 히드록시카르복시산 또는 바람직하게는 이들의 유도체, 예컨대 에스테르 또는 에테르 및 디카르복시산 및/또는 디올과 이들의 공폴리에스테르는 각 폴리에스테르와 반응될 수 있다.
추가의 화합물로서 다작용성 알코올이 반응 혼합물에 부가될 수 있다. 펜타에리트리톨과 같은 다작용성 알코올은 0-500 ppm, 특히 50 ppm의 농도로 부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알코올은 폴리에스테르의 전축합 반응 전 또는 후, 적어도 도중에 화합물(I)과 함께 부가되거나 별도로 또는 동시에 부가될 수 있다. 이 경우 다른 화합물의 효과에 대한 어떤 영향도 생기지 않는다.
폴리에스테르 생산을 위하여 사용된 화합물(I) 및/또는 (II)는 에스테르반응 및/또는 에스테르교환반응의 시작 전 기간 동안에 부가될 수 있으며, 중축합반응 종료 바로 전에, 바람직하게는 에스테르화 반응 및/또는 에스테르교환반응 도중에 또는 전축합반응 전 까지 부가될 수 있다.
용매 또는 현탁제가 화합물(I) 및/또는 화합물(II)에 부가될 수 있다.
화합물(I) 및/또는 화합물(II)에 대한 용매 또는 현탁제로서, 알칸디올과 같은 1가, 2가 또는 다가 알코올이 사용된다. 바람직한 것은 1,2-에탄디올, 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2,2-디메틸프로판-1,3-디올이다.
촉매 조성물의 제조 및 상기 에스테르화반응, 에스테르교환반응, 폴리에스테르화반응 또는 폴리에스테르교환반응 동안에 동일한 용매 및/또는 현탁제가 사용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는, 상이한 용매 및/또는 현탁제가 촉매 조성물의 제조 및 상기 에스테르화반응, 에스테르교환반응, 폴리에스테르화반응 또는 폴리에스테르교환반응 동안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스테르화반응, 에스테르교환반응, 폴리에스테르화반응 또는 폴리에스테르교환반응에서 반응된 1가, 2가 또는 다가 알코올로 부터 선택된 촉매 조성물의 제조 단계에서 용매 또는 현탁제가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유기 액체가 폴리에스테르 생산 방법과 관계없이 촉매 조성물에 대하여 용매 또는 현탁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상이한 유기 액체, 예컨대 알칸, 시클로알칸 또는 벤젠 유도체(예컨대 벤젠, 톨루엔, 크실렌)이다. 물 또는 물과 알코올 또는 다가 알코올의 혼합물이 본 발명에 따른 용매 및/또는 현탁제로서 적합하다.
코발트 염 또는 유기 염료 또는 안료와 같은 색 보정에 대한 첨가제가 반응 혼합물에 반응될 산 또는 에스테르에 디하여 통상 0.00001 내지 5중량%의 양으로 부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촉매 조성물을 사용하여 상술한 에스테르화반응, 에스테르교환반응, 폴리에스테르화반응 또는 폴리에스테르교환반응 방법에 의해 제조된 중축합 생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는 병, 필름, 호일, 방적사, 성형 패들용 폴리에스테르, 분말 코팅 및 공업 합성물질용 수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얻을 수 있는 폴리에스테르는 안티몬에 의해 촉진된 통상의 폴리에스테르와 비교하여 가공성에 대하여 필적할만한 특성을 나타낸다. 고점성 용융 중합반응과 대조적으로, 본 발명에서 기재된 화합물에 의해 생성된 수지는 비교적 저 함량의 무수 아세트산을 나타낸다. 특히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합성된 폴리에스테르는 좁은 분자량 분포, 높은 투명성을 나타내고 높은 소망하는 청색 시프트를 나타낸다. 고점성의 중합체는 Sb 촉매를 사용한 종래기술과는 달리 어려움없이 얻을 수 있다.
R1 = -X-RA인 화합물(I)을 사용한 본 발명의 경우에서, 유기주석 촉매가 에스테르 결합에 의해 중합체에 혼입되며, 이는 유기주석 종이 그의 전체적인 분해에 의해 중합체 밖으로 방출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을 기본으로 한 촉매에 의해 생성된 중합체는 높은 청색 시프트(네가티브 b-값; 색값은 스펙트럼 참조 빔 색 측정 장치 LUCI 100, Dr. Lange를 이용하여 CIE-Lab 100 색 시스템을 이용하여 측정한다)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촉매 조성물을 사용하여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폴리에스테르는 종래의 기술과 비교하여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에서 아세트 알데히드와 같은 부생성물을 덜 나타낸다.
본 발명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제조된 폴리에스테르는 본 발명에 기재된 화합물 I 및/또는 화합물 II의 조성물을 사용한 에스테르화반응 또는 에스테르교환반응 및 경우에 따라 후속 중축합반응에 의해 제조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폴리에스테르는 a) 0.1 - 10 중량% 디에틸렌 글리콜 및 0-10 중량%의 이소프탈산, 2-히드록시이소프탈산, p-히드록시이소프탈산, 2,6-나프탈렌 디카르복시산 및/또는 1,4-시클로헥산 디메탄올을 공단량체로 함유하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b) 분말 코팅용 폴리에스테르, 주로 폴리-2,2-디메틸프로필-1,3-테레프탈산; c) 폴리프로필렌 테레프탈레이트(PPT); d)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예컨대 폴리디에틸렌글리콜 테레프탈레이트; e)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BT); f) 폴리나프탈렌 테레프탈레이트(PNT); g)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PEN) 이다.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자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제한을 의미하지 않는다. 특별히 다르게 나타내지 않는 한, 부 및 %는 이후 및 상세한 설명의 나머지 부분에서 중량 기준이다.
실시예 1: 화합물 I 및 화합물 II의 촉매 활성 혼합물의 제조
장치:
100 ml 원형 바닥 플라스크, 자기 교반기, 회전 증발기
출발물질, 양:
부틸주석 트리스[네오데카노에이트] 68.44 g [0.10 몰]
a) 트리페닐포스핀 26.23 g [0.10 몰]
b) 트리페닐포스파이트 31.03 g [0.10 몰]
c) 트리페닐포스핀옥사이드 27.83 g [0.10 몰]
d) 트리부틸포스파이트 25.03 g [0.10 몰]
제조:
크실렌(트리페닐포스핀 옥사이드의 경우에 에탄올)에 용해된 헤테로원자 화합물 II을 원형 바닥 플라스크에 넣고 15분간 교반하였다. 50 ml 의 크실렌 또는 에탄올에 용해된 부틸주석 트리스[네오데카노에이트]를 탭 깔때기를 이용하여 상기 혼합물에 부가한 다음 1시간 더 교반하였다. 감압하에서 용매를 제거한 후에 촉매 활성 계를 얻었다.
분석:
119Sn-NMR
31P-MNR
촉매 계 e)
장치:
250 ml 삼가지 원형 바닥 플라스크, 탭 깔때기, 자기 교반기, 물 분리기, 회전 증발기
출발 물질, 양:
모노부틸주석 옥사이드 20.88 g [0.10 몰]
네오데칸산 34.6 g [0.20 몰]
트리페닐포스핀 26.23 g [0.10 몰]
합성:
모노부틸주석 옥사이드를 150 ml 크실렌에 용해시키고, 50 ml 크실렌에 용해된 트리페닐포스핀 및 네오데칸산을 10분내에 부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물 형성이 중지될 때 까지 환류하에서 가열하였다. 여과 및 감압하에서 용매 제거후에 생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2: 분말 코팅용 수지의 합성에 의한 촉매 시험:
출발물질, 양:
테레프탈산 83.07 g [0.50몰]
네오펜틸글리콜 (2,2-디메틸-1,3-프로판디올)
104.15 g [1.00몰]
촉매 0.05% [m/m] Sn기준으로 산출
합성:
촉매, 네오펜틸 글리콜 및 테레프탈산을 250 ml 삼가지 원형 바닥 플라스크에 넣었다. 이 혼합물을 가열 재킷에 의해 최대로 가열하고, 반응 물을 증류제거하며 형성된 양을 측량하였다.
반응 시간은 제1 물 형성과 반응의 "투명점" 사이의 시간과 동일하다.
실시예 3: 모노부틸주석 옥사이드, 트리페닐포스핀 및 트리페닐포스파이트의 물리적 혼합물을 사용한 분말 코팅용 수지의 합성에 의한 촉매 시험
출발물질, 양:
테레프탈산 83.07 g [0.50몰]
네오펜틸글리콜 (2,2-디메틸-1,3-프로판디올)
104.15 g [1.00몰]
촉매: f) 0.165g의 모노부틸주석 옥사이드, 0.207g의 트리페닐포스핀
g) 0.165g의 모노부틸주석 옥사이드, 0.245g의 트리페닐포스파이트
합성:
촉매, 네오펜틸 글리콜 및 테레프탈산을 250 ml 삼가지 원형 바닥 플라스크에 넣었다. 이 혼합물을 가열 재킷에 의해 최대로 가열하고, 반응수를 증류제거하며 그 양을 측량하였다.
반응 시간은 제1 물 형성과 반응의 투명점 사이의 시간과 동일하다.
표 1은 촉매화되지 않은 반응 또는 모노부틸주석옥사이드 (0.05% [m/m])를 촉매로 사용한 것과 대조적으로 (비교)예 1a, 1b, 1c, 1d, 1e 및 1f, 1g의 혼합물을 사용한 수지 합성에서 반응 시간의 가속을 도시한다.
표 1:
실시예 4: 비스(2-히드록시에틸) 테레프탈레이트(BHET)의 중축합
실험방법:
BHET의 용융 중축합을 위한 중축합 장치 1(유리 장치)
템퍼링-욕 (염욕), 중축합 용기(유리), 스크류 혼합기(유리), 진공 펌프, 압력 게이지
중축합 장치로서, 원형바닥의 원형 유리 플라스크를 사용하였다. (내부 직경 2.6cm, 및 3.5 cm 높이, T. Johnson, Chem. Fibers International 46 (1996) 280; 49 (1999) 455). 플라스크 벽의 상부 1/3에 수평 증기 출구를 삽입하였다. 용기의 바닥 근처의 추가의 연장 튜브는 중합체 용융물로 부터 샘플링을 허용하였다. 교반기는 유리 스크류 믹서이었고 그라운드 까지 도달하였다(1.8cm 직경). 상기 믹서는 100 분-1의 회전 속도로 동작되었고 이 용융물을 하부 축방향으로 내부 혼합하였다.
25.4 g (0.1 몰)의 BHET를 중축합반응 용기에 넣고, 촉매(5 내지 200 ppm, 금속)를 부가하고 용기를 닫았다. 이어 반응 혼합물이 채워진 중축합반응 용기를 3회 배기시키고 템퍼링욕에 침지되기 전에 건조 질소로 세정하였다. 욕 온도는 소망하는 내부 온도 280℃가 중축합반응 용기에서 도달되도록 설정하였다. 반응 혼합물이 용융된 후, 교반기를 시작하고 용기를 15분 이내에 2 x 10-1 mbar로 배기시켰다. 유리 벽에서 글리콜의 제1 형성 시간을 t0 으로 설정하였다. 상기 장치에 대하여 얻을 수 있는 약 4 내지 5 x 10-2mbar의 최종 압력은 중축합반응의 진행에 따라서 약 1 시간의 실험 시간 후에 도달하였다. 샘플링 장치를 통하여, 샘플은 VA 강철 와이어를 통하여 취할 수 있고, 질소 대향류를 유지한다. 반응의 말기에 추가의 분석을 위하여 용기로 부터 5g을 빼낼 수 있다. 중축합반응 중, 평균 샘플링은 진공을 깨트려 진공을 다시 인가하기 까지 1분을 요한다. 중축합반응 종료시 진공을 통기시킨 후 2분내에 샘플링을 실시하였다.
PET 특징화
고유 점도의 측정은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
PET에 대한 상대적 용액 점도 ηrel은 25℃의 0.5% 용액을 사용하여 페놀(3부)/디클로로벤젠 (2부) 혼합물에서 측정하였다. 상대용액 점도를 고유 점도[η]로 전환하는 것은 빌마이어에 따라 실시하였다:
고유 점도(IV)로 부터, 평균 분자량 Mn (수평균) 뿐만 아니라 중합반응도 Pn을 산출하였다. PET에는 다음이 적용된다: Mn = (1000 x IV)1.5186 ; Pn = Mn/192.
절대 점도는 점도계 AVS 250 및 템퍼링-유닛 CT1450 (쇼트 게뢰테 게엠베하 제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상이한 실험실 사이의 대조 측정은 일치하는 결과는 나타내었다.
색값은 스펙트럼 참조 빔 색 측정 장치 LUCI 100 (닥터 란제)에 의해 CIE-LAB-Farbsystem (색 시스템)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폴리머 라보라토리즈사의 장치 STA 625를 사용하여 TG 및 DSC-측정을 실시하였다.
COOH 말단 기는 희석 수성 NaOH를 사용한 중합체의 크레솔 용액의 잠재적 적층에 의해 측정하였다.
BHET 및 촉매는 반응 용기에 도입하고 질소로 잘 씻어내었다.
반응 용기를 염욕에 두었다. 반응 시간의 기록을 개시하였다. 15분 이내에 압력은 100 밀리바에서 0.09 밀리바로 떨어졌다. 반응의 종료시에 0.04 밀리바의 압력에 도달하였다.
하기 표 2는 Sb- 및 Ti-기제 촉매(표 3)와 대조한 촉매에 대한 중축합반응 실험의 결과를 나타낸다. 촉매 활성의 범위는 특정 시간 기간내에 얻을 수 있는 몰 중량, Pn-t-함수의 평탄화에 의해 인지될 수 있는 열적 분해의 증가하는 영향 뿐만 아니라 폴리에스테르의 색값이다. 열적 에스테르 기 분해도와 직접적으로 관련되는 발생한 에탄올(아세트알데히드)의 양은 촉매 적합성의 필수 범위이다. 표중의 색 값은 생성물의 탈색을 나타내며, a값은 녹색/적색 성분을 나타내고 b값은 청색/황색 성분을 나타낸다. 음성 a값은 녹색에 상응하고, 음성 b값은 청색 성분에 상응한다. 청색 시프트가 기술적으로 바람직하다.
표 2.
표 3.
선택된 화합물의 촉매 활성에 대한 비교 조사는 280℃의 온도에서 2시간의 중축합반응내에 유의할만한 열적 분해가 예상되지 않음을 나타낸다. 따라서 중합반응 시간을 연장하는 것에 의해 더 고분자량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합성할 수 있다.
모든 시험된 주석 화합물은 BHET의 중축합반응에 대한 고활성 촉매로 밝혀졌으며, 안티몬 화합물에 비하여 현저하게 더 높은 활성을 나타낸다. 이들의 에스테르교환반응 활성은 티탄 알콕사이드 및 티탄 킬레이트에 비하여 월등히 우수하였다. 필요한 경우, 이들은 더 고농도로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9)

  1. 하기 화학식(I)의 1 이상의 유기주석 화합물(화합물 I) 및 하기 화학식 (II), (III) 및/또는 (IV)중의 1 이상의 화합물(화합물 II)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에스테르화반응, 에스테르교환반응 및 중축합반응용 촉매 조성물:
    (I)
    식중에서,
    ● R1은 1 내지 40개 탄소원자를 갖는 선상, 측쇄 또는 고리상 알킬 기, 1 내지 40개 탄소원자를 갖는 아릴기, 또는 -X-RA (식중, RA는 -CN, -COOH, -COO-메틸, -COO-에틸, -COO-n-프로필, -COO-이소프로필, -COO-n-부틸, -COO-2-부틸, -COO-이소부틸, -COO-삼차부틸, -COO-n-펜틸, -COO-이소펜틸, -COO-네오펜틸, -COO-삼차펜틸, -COO-헥실, -COO-헵틸, -COO-n-옥틸, -COO-이소옥틸, -COO--2-에틸-1-헥실, -COO-2,4,4-트리메틸펜틸, -COO-노닐, -COO-데실, -COO-도데실, -COO-n-도데실, -COO-시클로펜틸, -COO-시클로헥실, -COO-시클로헵틸, -COO-메틸시클로헥실, -COO-비닐, -COO-1-프로페닐, -COO-2-프로페닐, -COO-나프틸, -COO-안트라닐, -COO-페난트릴, -COO-o-톨릴, -COO-p-톨릴, -COO-m-톨릴, -COO-톨릴, -COO-에틸페닐, -COO-메시틸, -COO-벤질, -COO-페닐, -COOC2H4OH, -COO-C3H6OH, -COO-C4H8OH, -COOCH2C(CH3)2OH이고 또 -X-는 -CH2-, -C2H4-, -C3H6-, -C4H8-, -C5H10- 또는 -C6H12-임) 군으로 부터 선택된 치환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 R2는 1 내지 40개 탄소원자를 갖는 선상, 측쇄 또는 고리상 알킬 기, 1 내지 40개 탄소원자를 갖는 아릴기 및 -O, -OH, 1 내지 40개 탄소원자를 갖는 선상, 측쇄 또는 고리상 알킬 또는 아릴카르복시 기, 1 내지 40개 탄소원자를 갖는 선상, 측쇄 또는 고리상 알킬- 및 아릴 알코올레이트 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O-배위를 갖는 음이온 리간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 R3 및 R4는 서로 독립적으로 -O, -OH, 1 내지 40개 탄소원자를 갖는 선상, 측쇄 또는 고리상 알킬 기 또는 아릴카르복시 기, 1 내지 40개 탄소원자를 갖는 선상, 측쇄 또는 고리상 알킬- 및 아릴 알코올레이트 기 및 술페이트, 술파이트, 포스페이트, 할로겐 또는 슈도할로겐 음이온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무기산의 음이온으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O-배위를 갖는 음이온 리간드로 부터 선택됨.
    Xm(R')n (II)
    O=Xm(R')o (III)
    (O=)rXmOp(R')q (IV)
    식중에서,
    X는 N, P, Si, Cl, Br, I 또는 S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헤테로원자이고,
    ● m은 1 내지 5의 정수이며,
    ● n은 1 내지 5의 정수이며,
    ● o는 1 내지 5의 정수이며,
    ● p는 0 내지 5의 정수이며,
    ● q는 0 내지 5의 정수이며,
    ● r은 0 내지 3의 정수이며,
    ● 화학식(II)중의 R'은 n개의 상이하거나 동일한 기를 의미하며, 각기 서로 독립적으로 1 내지 40개 탄소원자를 갖는 선상, 측쇄 또는 고리상 알킬 기, 1 내지 40개 탄소원자를 갖는 아릴 기, -O, -OH, 1 내지 40개 탄소원자를 갖는 선상, 측쇄 또는 고리상 알킬- 및 아릴 알코올레이트 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O-배위를 갖는 음이온 리간드, H, Cl, Br, NH4 + 또는 금속 이온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 화학식(III)중의 R'은 o개의 상이하거나 동일한 기를 의미하며, 각기 서로 독립적으로 1 내지 40개 탄소원자를 갖는 선상, 측쇄 또는 고리상 알킬 기, 1 내지 40개 탄소원자를 갖는 아릴 기, -O, -OH, 1 내지 40개 탄소원자를 갖는 선상, 측쇄 또는 고리상 알킬- 및 아릴 알코올레이트 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O-배위를 갖는 음이온 리간드, H, Cl, Br, NH4 + 또는 금속 이온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 화학식(IV)중의 R'은 q개의 상이하거나 동일한 기를 의미하며, 각기 서로 독립적으로 1 내지 40개 탄소원자를 갖는 선상, 측쇄 또는 고리상 알킬 기, 1 내지 40개 탄소원자를 갖는 아릴 기, -O, -OH, 1 내지 40개 탄소원자를 갖는 선상, 측쇄 또는 고리상 알킬- 및 아릴 알코올레이트 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O-배위를 갖는 음이온 리간드, H, Cl, Br, NH4 + 또는 금속 이온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이온은 NH4, Li, Na, K, Rb, Cs, Mg, Ca, Sr, Ba, Zn, B, Al, Sc, Y로 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촉매 조성물.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II)는 포스파이트, 포스핀, 포스폰산 에스테르, 파이로포스페이트, 알칼리성 할로게나이드, 알칼리토 할로게나이드, 알루미늄 할로게나이드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촉매 조성물.
  4.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I) 대 상기 화합물(II)의 몰비는 1:0.001 내지 1:200, 특히 1:0.01 내지 1:20 범위인 촉매 조성물.
  5. 제 1항 내지 제 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현탁제 또는 용매를 추가로 더 함유하는 촉매 조성물.
  6. 제 1항 내지 제 5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촉매 조성물을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코올 및 산 또는 에스테르, 무수물 또는 할로게나이드와 같은 산 유도체의 에스테르화반응, 에스테르교환반응, 폴리에스테르화반응, 폴리에스테르교환반응을 연속적 또는 뱃치식으로 촉진시키는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I)을 반응시킬 산 또는 에스테르에 대하여 0.1 내지 1중량%(Sn으로서), 특히 10 내지 200 ppm (Sn으로서)의 양으로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II)을 반응시킬 산 또는 에스테르에 대하여 0.0001 ppm 내지 1중량%, 특히 10 내지 200 ppm 범위로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6항 내지 제 8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화 반응에서 디카르복시산 또는 디카르복시산 유도체를 이가 알코올과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6항 내지 제 8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모노-, 디- 또는 폴리카르복시산의 유도체를 에스테르 또는 할로게나이드로부터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6항 내지 제 10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히드록시카르복시산 또는 히드록시카르복시산의 유도체를 에스테르화반응, 에스테르교환반응, 폴리에스테르화반응 또는 폴리에스테르교환반응에서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에스테르 또는 에테르로 부터 선택된 히드록시카르복시산의 유도체를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6항 내지 제 12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용매 또는 현탁제를 상기 화합물(I) 및/또는 (II)에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알칸 1가-, 2가- 또는 다가 알코올을 용매 또는 현탁제로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 6항 내지 제 1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촉매 조성물을 제조하는 동안 및 상기 에스테르화반응, 에스테르교환반응, 폴리에스테르화반응 또는 폴리에스테르교환반응에서 동일한 용매 및/또는 현탁제를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 6항 내지 제 1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촉매 조성물을 제조하는 동안 및 상기 에스테르화반응, 에스테르교환반응, 폴리에스테르화반응 또는 폴리에스테르교환반응에서 상이한 용매 및/또는 현탁제를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 14항 또는 제 15항에 있어서, 1가-, 2가- 또는 다가 알코올로 부터 선택된 용매를 에스테르화반응, 에스테르교환반응, 폴리에스테르화반응 또는 폴리에스테르교환반응에서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 6항 내지 제 17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으로 얻을 수 있는, 병, 필름, 호일, 방적사 및/또는 성형 패딩용 폴리에스테르 또는 분말 코팅 또는 공업 합성물질용 수지.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2,2-디메틸프로필-1,3-테레프탈레이트, 폴리프로필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디에틸렌글리콜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나프탈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폴리에스테르 또는 수지.
KR1020057008404A 2002-11-29 2003-11-25 혼합된 촉매 조성물 KR1009857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56084A DE10256084A1 (de) 2002-11-29 2002-11-29 Katalysatoren für die Herstellung von Polyestern, insbesondere Poly(alkylenterephthalaten), deren Verwendung und Verfahren zu deren Anwendung
DE10256084.6 2002-11-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6523A true KR20050086523A (ko) 2005-08-30
KR100985797B1 KR100985797B1 (ko) 2010-10-06

Family

ID=3231886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8404A KR100985797B1 (ko) 2002-11-29 2003-11-25 혼합된 촉매 조성물
KR1020057008402A KR101004085B1 (ko) 2002-11-29 2003-11-25 유기주석 화합물의 촉매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8402A KR101004085B1 (ko) 2002-11-29 2003-11-25 유기주석 화합물의 촉매 조성물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3) US20060052575A1 (ko)
EP (2) EP1567473A1 (ko)
KR (2) KR100985797B1 (ko)
CN (2) CN1717431A (ko)
AT (1) ATE460449T1 (ko)
AU (2) AU2003294725A1 (ko)
BR (2) BR0316449B1 (ko)
CA (2) CA2507689A1 (ko)
DE (2) DE10256084A1 (ko)
ES (1) ES2340846T3 (ko)
MX (2) MXPA05005458A (ko)
PL (2) PL208228B1 (ko)
TW (2) TWI332962B (ko)
WO (2) WO20040505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547712B1 (en) 2010-03-17 2018-03-21 Reliance Industries Limited Catalyst system and process for preparing of polyester resins, fibre, filaments and yarn using said catalyst system
KR102319630B1 (ko) * 2014-10-23 2021-10-29 인프리아 코포레이션 유기 금속 용액 기반의 고해상도 패터닝 조성물 및 상응하는 방법
CN114315789A (zh) * 2020-12-15 2022-04-12 江苏景宏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l-丙交酯的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338091A (en) * 1970-01-23 1973-11-21 Ici Ltd Production of aromatic polyesters
US4014858A (en) * 1975-05-12 1977-03-29 Standard Oil Company Polybutylene terephthalate
DE2559290B2 (de) * 1975-12-31 1979-08-02 Davy International Ag, 6000 Frankfurt Verfahren zur kontinuierlichen Herstellung von hochmolekularem PoIyäthylenterephthalat
US4263425A (en) * 1977-08-10 1981-04-21 Zimmer Aktiengesellschaft Process for production of polyester polymer for food packing
JPS55142024A (en) * 1979-04-23 1980-11-06 Toray Ind Inc Production of polyester
US4604112A (en) * 1984-10-05 1986-08-05 Westinghouse Electric Corp. Electrostatic precipitator with readily cleanable collecting electrode
EP0372805A3 (en) * 1988-12-02 1992-06-10 Mitsui Petrochemical Industries, Ltd. Process for producing fluorine-containing copolymer and fluorine-containing copolymer composition
JP2625193B2 (ja) * 1989-01-27 1997-07-02 三共有機合成 株式会社 ウレタン重合物の製造方法
US4970288A (en) * 1989-09-22 1990-11-13 Atochem North America, Inc. Non-toxic polyester compositions made with organotin esterification catalysts
JPH0755974B2 (ja) * 1989-11-01 1995-06-14 三共有機合成株式会社 ウレタン重合物の製造法
GB8926631D0 (en) * 1989-11-24 1990-01-17 Ici Plc Polymer compositions
JP3164456B2 (ja) * 1993-02-22 2001-05-08 ダイセル化学工業株式会社 ラクトン重合体の製造方法
DE4309227A1 (de) * 1993-03-23 1994-09-29 Zimmer Ag Kontinuierliches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olyester für Lebensmittelverpackungen
JPH07224011A (ja) * 1994-02-15 1995-08-22 Showa Denko Kk 炭酸エステルの製造方法
US5663281A (en) * 1996-07-30 1997-09-02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rocess for preparing high molecular weight polyesters
DE19631068B4 (de) * 1996-08-01 2006-06-01 Zimmer Ag Verfahren zur Beschleunigung der Polykondensation von Polyester
JP2987580B1 (ja) * 1998-08-07 1999-12-06 西川ゴム工業株式会社 生分解樹脂およびその製造方法
GB2369824B (en) * 2000-09-11 2004-08-04 Nat Inst Of Advanced Ind Scien Method of producing aliphatic polyester and product obtained thereby
DE10121542A1 (de) * 2001-05-03 2003-02-06 Zimmer Ag Zusammensetz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olyester
US20030149226A1 (en) * 2001-12-27 2003-08-07 Conrad Neal Douglas Methyltin catalysts for polyesterfic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17384A (zh) 2006-01-04
DE60331672D1 (de) 2010-04-22
ES2340846T3 (es) 2010-06-10
CA2498856A1 (en) 2004-06-17
EP1565509A1 (en) 2005-08-24
US20060052575A1 (en) 2006-03-09
BR0316449B1 (pt) 2014-03-11
AU2003302617A1 (en) 2004-06-23
US7297804B2 (en) 2007-11-20
US20060047101A1 (en) 2006-03-02
PL376899A1 (pl) 2006-01-09
TW200422317A (en) 2004-11-01
CN1717431A (zh) 2006-01-04
ATE460449T1 (de) 2010-03-15
KR20060019504A (ko) 2006-03-03
TWI291474B (en) 2007-12-21
CA2498856C (en) 2011-12-20
US7709409B2 (en) 2010-05-04
BR0316449A (pt) 2005-10-11
MXPA05005683A (es) 2005-11-23
CA2507689A1 (en) 2004-06-17
KR101004085B1 (ko) 2010-12-27
WO2004050742A1 (en) 2004-06-17
WO2004050597A1 (en) 2004-06-17
KR100985797B1 (ko) 2010-10-06
TWI332962B (en) 2010-11-11
EP1567473A1 (en) 2005-08-31
DE10256084A1 (de) 2004-06-17
EP1565509B1 (en) 2010-03-10
PL376966A1 (pl) 2006-01-09
AU2003294725A1 (en) 2004-06-23
BR0316684A (pt) 2005-10-18
TW200420606A (en) 2004-10-16
MXPA05005458A (es) 2005-10-19
US20070179045A1 (en) 2007-08-02
CN1717384B (zh) 2010-10-06
PL208228B1 (pl) 2011-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46951B2 (en) Esterification catalysts
EP2268699B1 (en) Solid state polymerization process for polyester with phosphinic acid compounds
US20070010648A1 (en) Catalyst for manufacture of esters
CN1297374A (zh) 包含钛、磷和溶解促进剂的催化剂组合物及其制备和用途
KR100985797B1 (ko) 혼합된 촉매 조성물
KR20070030730A (ko) 에스테르 제조를 위한 촉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