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6363A - 직기의 송출 장치 - Google Patents

직기의 송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6363A
KR20050086363A KR1020040115414A KR20040115414A KR20050086363A KR 20050086363 A KR20050086363 A KR 20050086363A KR 1020040115414 A KR1020040115414 A KR 1020040115414A KR 20040115414 A KR20040115414 A KR 20040115414A KR 20050086363 A KR20050086363 A KR 200500863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sing
warp
tension
roll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5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묘기게이이치
Original Assignee
쯔다고마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쯔다고마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쯔다고마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863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6363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9/00Details or constructional features not specially adapted for looms of a particular type
    • D03D49/04Control of the tension in warp or cloth
    • D03D49/12Controlling warp tension by means other than let-off mechanisms
    • D03D49/14Compensating for tension differences during shedding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1/00Loo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for weaving chenille yarn; Details peculiar to these loom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9/00Details or constructional features not specially adapted for looms of a particular type
    • D03D49/04Control of the tension in warp or cloth
    • D03D49/18Devices for indicating warp tension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JAUXILIARY WEAVING APPARATUS; WEAVERS' TOOLS; SHUTTLES
    • D03J1/00Auxiliary apparatus combined with or associated with looms
    • D03J1/02Auxiliary apparatus combined with or associated with looms for treating warp, e.g. cleaning, moistening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JAUXILIARY WEAVING APPARATUS; WEAVERS' TOOLS; SHUTTLES
    • D03J5/00Shuttles
    • D03J5/24Tension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Abstract

복수개의 이징롤(easing roll)을 가지고, 각 이징롤마다 날실을 복수개로 나누어 송출하는 송출 장치에 있어서, 간단한 구성으로 양호한 제직(製織)을 가능하게 한다.
하나의 송출빔(4)으로부터의 날실 시트(5)가 복수개로 나누어져 독립적으로 각 이징롤(2, 3)에 안내되고, 각각의 날실 시트(5a, 5b)마다 날실 개구(9)가 형성되는 직기(織機)의 송출 장치(1)에 있어서, 하나의 날실 시트(5a)에 대해서는 날실의 장력이 설정 장력이 되도록 상기 하나의 날실 시트(5a)만의 장력에 따라 송출빔(4)이 구동되는 동시에, 다른 날실 시트(5b)에 대해서는 이징 장치(14)에 의해 다른 날실 시트(5b)에 대응하는 이징롤(3)에 이징 운동만을 행하게 한다. 이징 장치(14)는 대응하는 이징롤(3) 및 이 이징롤(3)을 통해 다른 날실 시트(5b)를 가압하는 이징 스프링(16)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징 스프링(16)은, 상기 하나의 날실 시트(5a)와 씨실(7)의 교착수(交錯數), 및 상기 다른 날실 시트(5b)와 씨실(7)의 교착수의 상위(相違)에 따라 생기는 상기 설정 장력과는 상이한 다른 날실 시트(5b)의 정상(定常) 장력 하에서 대응하는 이징롤(3)이 정상적인 이징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다.

Description

직기의 송출 장치 {LET-OFF MOTION OF LOOM}
본 발명은 직기(織機;loom)의 송출 장치, 특히 복수개의 이징롤(easing roll)에 의해 날실 시트를 안내하는 과정에서 날실의 장력을 설정하는 수단에 관한 것이다.
일본국 특허 제2764638호 공보는 직기의 송출 장치와 관련하여, 날실 장력의 제어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 기술은 송출빔으로부터의 날실 시트를 2개로 나누고, 각 날실 시트를 독립적으로 대응하는 이징롤에 안내하는 과정에서, 각 날실 시트마다 날실 개구를 형성하는 동시에, 각 이징롤을 각각 스프링으로 가압함으로써, 대응하는 날실 시트에 적당한 장력을 부여하고 있다. 그 장력 제어에 의하면, 나누어져진 날실 시트 중, 씨실과의 교착(交錯)이 많고 날실 소비율이 높은 쪽의 날실 장력이 검출되며, 이것에 따라 송출 모터가 제어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날실 소비율이 높은 쪽의 날실 장력에 따라서만 제직(製織)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 때문에, 씨실과의 교착이 적고 날실 소비율이 낮은 날실 시트에는 릴리징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릴리징 장치는 바디치기의 전후에 날실을 적극적으로 느슨하게 하고, 바디치기에 따라 날실의 느슨함을 직전(織前)(cloth fell)으로 이행시켜, 날실의 느슨함을 직물에 흡수시키고 있다. 이에 따라, 날실 소비율이 낮은 날실 시트는 날실 소비율이 높은 쪽의 날실 시트와 동일한 정도의 날실 장력이 되어, 제직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상기 기술에 의하면, 하나의 날실 시트로부터 검출된 장력에 따라 송출빔이 제어되지만, 날실 소비율이 낮은 쪽의 날실 시트의 장력도 같은 정도의 장력으로 제어할 필요가 있어, 릴리징 장치와 같은 복잡한 구성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날실 소비율이 낮은 날실 시트의 날실 장력은 릴리징 장치에 의해 직성(織成)의 1 사이클마다, 크게 변동되고 있으며, 이 때문에, 직물 품질의 저하를 초래한다. 한편, 날실 소비율이 높은 날실 시트 쪽이 날실 소비율이 낮은 날실 시트보다 날실 개수가 적은 경우에는, 적은 날실 개수의 날실 시트의 장력에 따라 송출빔이 제어되게 되어, 설정 오차가 커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과제는 복수개의 이징롤을 가지고, 각 이징롤마다 날실을 복수개로 나누어 송출하는 송출 장치에 있어서, 간단한 구성으로 양호한 제직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먼저,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은 복수개의 이징롤을 가지고, 하나의 송출빔으로부터의 날실 시트가 복수개로 나누어져 독립적으로 각 이징롤에 안내되고, 각 날실 시트마다 날실 개구가 형성되는 직기의 송출 장치에 있어서, 복수개의 날실 시트 중 하나의 날실 시트에 대해서는, 날실의 장력이 설정 장력이 되도록 상기 하나의 날실 시트만의 장력에 따라 송출빔이 구동되는 동시에, 다른 날실 시트에 대해서는 이징 장치에 의해 다른 날실 시트에 대응하는 이징롤에 이징 운동만이 행해지게 하고, 상기 이징 장치는 대응하는 이징롤 및 이 이징롤을 통해 다른 날실 시트를 가압하는 이징 스프링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이징 스프링은, 상기 하나의 날실 시트와 씨실의 교착수, 및 상기 다른 날실 시트와 씨실의 교착수의 상위에 따라 생기는 상기 설정 장력과는 상이한 다른 날실 시트의 정상(定常) 장력 하에서 대응하는 이징롤이 정상적인 이징 운동을 행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에 청구항 2에 관한 발명은, 상기 대응하는 이징롤은 이징 운동 범위의 위치가 변경 가능하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복수개의 날실 시트 중 하나의 날실 시트만에 대한 날실의 장력 제어는 통상 개수당 장력의 오차를 작게 하기 위해, 날실 개수가 많은 쪽의 날실 시트에 대하여 실행되며, 전기적인 구동 수단, 또는 기계적인 구동 수단에 의해 행해진다.
날실 설정 장력의 전기적인 설정은 하나의 워프 라인(warp line)에 대하여, 목표 장력이 되는 설정 장력을 설정해 두고, 실제의 날실 장력을 검출하고, 설정 장력과 검출한 날실 장력의 편차를 없애기 위해, 송출 모터의 회전을 제어함으로써 실행된다. 검출한 날실의 장력이 목표 장력보다 높은 경우에는, 송출 모터의 회전을 빠르게 하거나, 또는 송출 모터의 회전을 재개시키고, 역으로 검출한 날실의 장력이 설정 장력보다 낮은 경우에는, 송출 모터의 회전을 느리게 하거나, 또는 송출 모터를 정지시키게 된다.
날실 설정 장력의 기계적인 설정은 하나의 워프 라인에 대하여, 웨이트를 사용하여 날실에 대항하는 방향으로 이징롤을 변위시킴으로써, 날실에 장력을 걸어 실행한다. 이징롤을 지지하는 이징 레버와 송출빔을 구동하는 무단 변속 장치는 웨이트 레버에 의해 연동되어 있고, 웨이트 레버의 변위에 의해 무단 변속 장치의 변속비를 변화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이징롤의 이징 운동 범위의 위치가 직전측으로 변위되어 있을 때에는 증속하고, 반(反)직전측으로 변위될 때는 감속한다. 이에 따라, 이징롤의 이징 운동 범위의 위치 변위가 크게 억제되고, 송출빔은 권취 직경의 감소에 따라 회전을 점차 증가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이징롤은 이징 운동 범위의 위치가 대략 정위치(定位置)를 유지하는, 즉 대략 일정한 범위에서 이징 운동을 하는 동시에, 송출빔의 회전은 권취 직경의 감소에 따라 증가한다.
그리고, 하나의 날실 시트의 장력은 1시트를 단위로 하여 검출되지만, 설정 장력은 날실 1개당의 장력으로서 설정된다. 따라서, 날실 개수가 많은 날실 시트는 종류가 동일하면 당연히, 적은 날실 시트보다 많은 개수분만큼 높은 장력이 된다. 또, 상기 이징 스프링은 통상 압축 코일 스프링 또는 인장 코일 스프링으로서 구성되지만, 대응하는 이징롤의 요동 운동(이징 운동)을 허용하는 것이 아니면 안된다. 이 때문에 대응하는 이징롤의 이징 운동 범위의 위치가 이동해도, 이징 스프링은 이징 운동에 대응할 수 있어, 탄성 변형 가능 상태, 즉 압축 스프링의 경우에는, 밀착되지 않고 또한 자유 길이보다 짧게, 또, 인장 스프링의 경우에는, 신장되지 않고 또한 자유 길이보다 길게 되어 있는 동시에, 압축 스프링 및 인장 스프링의 어느 경우에도, 적절한 탄성력 범위의 길이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이징 스프링은 날실 개구 운동에 따른 날실 경로(徑路) 길이의 변화 사이클(최대 날실 개구로부터 폐구, 최대 역날실 개구, 폐구를 거쳐 재차 최대 날실 개구에 이르는 사이클)에 대응할 수 있어, 날실 경로 길이의 변화에 따라 생기는 날실 장력의 변화로부터 탄성 변형되어, 대응하는 이징롤을 변위시키고, 따라서 날실 경로 길이의 변동을 완화시키는 동시에, 이징 운동에 따른 이징롤의 변위에 관계없이 적절한 탄성력 범위의 길이로 되어 있어, 대응하는 이징롤에 적절한 가압력을 부여하는, 즉 대응하는 이징롤에 정상적인 이징 운동을 실행하게 한다.
이하에,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징 스프링은 대응하는 이징롤을 통해 다른 쪽의 날실 시트를 전후 방향에 있어서 반(反)직전측으로 가압하고 있다. 이 때문에, 최대 날실 개구 또는 최대 역날실 개구로의 이행에 따라, 날실 경로 길이가 길어져 날실 장력이 증대되면, 대응하는 이징롤은 이징 스프링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전후 방향으로 변위되어, 날실 경로 길이가 보다 짧아지는 직전측으로 변위된다. 대응하는 이징롤의 그 변위된 위치에서, 이징 스프링은 가압력이 보다 커지는 동시에, 압축 스프링의 경우, 밀착되어 있지 않고, 또한 적절한 탄성력 범위의 길이를 유지하고 있어, 이상(異常)으로 즉 비정상적으로 높은 탄성력으로 이징롤을 가압하지 않는다. 또, 인장 스프링의 경우, 탄성 변형 범위에 있으며 신장되어 있지 않고, 또한 적절한 탄성력 범위의 길이를 유지하고 있어, 역시 비정상적으로 높은 탄성력으로 이징롤을 가압하지 않는다. 다음에, 날실 개구의 폐구로의 이행에 따라, 날실 경로 길이가 짧아져 날실 장력이 저하되면, 이징 스프링에 가압되어 대응하는 이징롤은 전후 방향으로 변위되어, 날실 경로 길이가 보다 길어지는 반직전측으로 변위된다. 대응하는 이징롤의 그 변위된 위치에서, 이징 스프링은 가압력이 보다 작아지는 동시에, 압축 스프링의 경우, 자유 길이보다 짧게, 또한 적절한 탄성력 범위의 길이를 유지하고 있어, 비정상적으로 낮은 탄성력으로 이징롤을 가압하지 않는다. 또, 인장 스프링의 경우, 탄성 변형 범위에 있으며 자유 길이보다 길게, 또한 적절한 탄성력 범위의 길이를 유지하고 있어, 역시 비정상적으로 낮은 탄성력으로 대응하는 이징롤을 가압하지 않는다. 실시예에서는, 스프링 사용 길이를 변경 가능하게, 즉, 스프링 정수(定數)를 변경 가능하게 하여, 스프링의 가압력(작용력)을 변경 가능하게 하고, 날실 소비율이 상이한 조직끼리의 제직을 가능하게 하고 있지만, 이징 스프링을 그 때마다 바꾸어도 되고, 선의 직경, 권취수, 길이, 권취 직경 및 재질 등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이한 것으로 바꾼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직기의 송출 장치(1)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도 2는 좌우 한 쌍의 프레임(8) 중 한쪽만을 나타내고, 다른 쪽은 생략하고 있다.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직기의 송출 장치(1)는 복수개, 예를 들면 2개의 이징롤로서 제1 이징롤(2), 제2 이징롤(3) 외에, 송출빔(4) 및 하나의 가이드 롤(6)을 가지고 있다. 제1 이징롤(2) 및 제2 이징롤(3)의 축 좌우단은 각각 좌우 한 쌍의 제1 이징 레버(11a), 제2 이징 레버(12)의 상(上)선단부에 베어링(18, 19)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1 이징 레버(11a)의 기단부는 가이드 롤(6)의 축(10)에 회전 금지 상태로 고정되어 있고, 제2 이징 레버(12)의 기단부는 베어링(20)에 의해 가이드 롤(6)의 축(1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가이드 롤(6)의 축(10)에 다른 제1 이징 레버(11b)가 회전 금지 상태로 고정되어 있고, 이 제1 이징 레버(11b)와 상기 제1 이징 레버(11a)는 가이드 롤(6)의 축(10)을 연결 부재로 하여 하나의 제1 이징 레버(11)를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제2 이징롤(3) 양단의 베어링(19)은, 제2 이징롤(3)에 대하여 위치 조정 가능한 베어링 홀더(28)에 의해 조정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 베어링 홀더(28)의 장착 위치의 조정에 의해, 제2 이징롤(3)의 높이는 제1 이징롤(2)의 높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가이드 롤(6)의 좌우 단부는 베어링(21)에 의해 축(1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축(10)은 롤 브래킷(23)과 일체의 플러머 블록(Plummer block)(24) 및 2개의 베어링(22)에 의해 프레임(8)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제1 이징롤(2) 및 제2 이징롤(3)은 가이드 롤(6)의 축(10) 축심에 공통의 요동 중심을 가지며, 축(10), 플러머 블록(24) 및 롤 브래킷(23)에 의해 프레임(8)에 요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롤 브래킷(23)은 가이드 롤(6)의 지지 부분으로서 프레임(8)에, 예를 들면 상하 방향의 긴 구멍과 장착 볼트에 의해 높이 조절 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플러머 블록(24)은 수평면에 대하여 45°정도의 분할 이음면에서 상하로 분리되어 있고, 하측 부분(받이 부분)은 롤 브래킷(23)과 일체이지만, 그 상측 부분(커버 부분)은 수 개의 고정 볼트(27)를 느슨하게 함으로써 분할 이음면에서 하측의 받이 부분으로부터 떼어낼 수 있게 되어 있다.
플러머 블록(24)의 상측 커버 부분의 분리에 의해, 축(10)은 축(10)과 일체인 제1 이징롤(2), 제2 이징롤(3)이나 가이드 롤(6), 제1 이징 레버(11)[제1 이징 레버(11a) 및 제1 이징 레버(11b)], 제2 이징 레버(12) 등과 함께, 프레임(8)으로부터 떼어낼 수 있게 되어 있다. 축(10)의 분리는 틀걸기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점에서 유익하다.
날실 시트(5)는 다수의 날실로서 송출빔(4)의 권취통에 시트 형상으로 권취되어 있고, 그곳으로부터 인출되어 가이드 롤(6)에 맞닿은 다음, 그곳에서 예를 들면 2개로 나누어져 날실 시트(5a, 5b)가 된다. 날실 시트(5a, 5b)는 각각 독립적으로 각각 대응하는 제1 이징롤(2), 제2 이징롤(3)에 안내되어, 높이가 상이한 위치에 워프 라인을 형성하고, 힐드(17)의 상하 운동에 의해, 날실 개구(9)를 형성하고, 그곳에서 삽입된 씨실(7)과 교착된다. 씨실(7)은 바디치기 운동에 의해 직전(9a)에 넣어진다. 그리고, 도시되지 않았지만, 날실 시트(5)는 송출빔(4)으로부터 인출된 직후에 나누어져, 한쪽 그룹의 날실 시트(5b, 또는 5a)는 가이드 롤(6)에 맞닿은 다음 독립적으로 제2 이징롤(3), 또는 제1 이징롤(2)에 안내되도록 하고, 다른 쪽 그루브의 날실 시트(5a, 또는 5b)는 가이드 롤(6)에 맞닿지 않은 채, 직접 제1 이징롤(2), 또는 제2 이징롤(3)에 안내되도록 해도 된다.
제1 이징롤(2) 및 제2 이징롤(3)은 좌우 한 쌍의 제1 이징 레버(11) 및 제2 이징 레버(12)와 프레임(8) 사이에 설치된 이징 장치, 즉 제1 이징 장치(13) 및 제2 이징 장치(14)에 의해 반직전(9a) 방향, 즉 직기의 후방으로 가압되어 있고, 날실 시트(5a, 5b)에 소정의 장력을 걸고 있다. 각 제1 이징 장치(13) 및 제2 이징 장치(14)는 날실 시트(5a, 5b)의 장력을 소정의 장력값으로 유지하기 위해, 각각의 제1 이징롤(2)의 일측, 실시예에서는 좌측 위치, 및 제2 이징롤(3)의 좌우 위치에, 이징 스프링으로서의 제1 이징 스프링(15) 및 제2 이징 스프링(16)을 구비하고 있다.
제1 이징 스프링(15)은 이 실시예에서 인장 코일 스프링이며, 제1 이징롤(2)의 이징 운동(요동 운동)을 허용하면서 제1 이징롤(2)을 직기의 후방으로 가압하고 있다. 또, 제2 이징 스프링(16)은 이 실시예에서 압축 코일 스프링이며, 제2 이징롤(3)의 이징 운동(요동 운동)을 허용하면서 제2 이징롤(3)을 직기의 후방으로 가압하고 있다.
제1 이징 장치(13)는 제1 이징 스프링(15) 외에, 제1 이징 레버(11)[좌우 한 쌍의 제1 이징 레버(11a) 및 제1 이징 레버(11b)], 제1 이징 로드(31), 로드 셀(저항 변형 센서)이나 수정식(水晶式) 파워 센서 등의 하중 측정기(32)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 이징 레버(11b)는 축(10)을 통해 좌우 한 쌍의 제1 이징 레버(11a)와 일체화된다. 즉, 제1 이징 레버(11b)는 제1 이징 레버(11a)에 대하여 소정의 중심 각도(굴곡 각도) 하에 축(10)의 좌측 선단에, 예를 들면 분할 체결 등의 고정 수단에 의해 회전 금지 상태로 장착되어 있고, 하선단에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 구멍을 가지는 스토퍼부(33)와 그 스토퍼부(33)를 사이에 두고 상하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이징 스프링(15)의 일단은 스토퍼부(33)에 맞닿는 동시에, 나선선(螺旋線)이 관통 구멍에 삽입되어 제1 이징 레버(11b)와 맞물려 있다. 그리고, 제1 이징 스프링(15)의 타단은 홀더(37) 외주의 나선홈에 나사 결합 방식으로 결합되어 있다.
제1 이징 로드(31)는 제1 이징 스프링(15)을 관통하고, 또한 스토퍼부(33)의 중심 구멍을 로드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관통하고, 타단 부분에서 제1 이징핀(38)에 의해 프레임(8)의 측면에 대하여 제1 이징핀(38)의 주위로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 홀더(37)는 제1 이징 로드(31)의 수나사(31)에 나사 방식으로 결합된 2개의 너트(34)에 끼워져, 제1 이징 로드(31)에 대한 상대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이징 로드(31)는 스토퍼부(33)측에서 이탈 방지 볼트(25)에 의해 이탈 방지되도록 되어 있다.
제1 이징 로드(31)에 대한 홀더(37)의 위치 조정에 의해, 제1 이징 스프링(15)이 축선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1 이징 레버(11)가 회동하여, 제1 이징롤(2)이 변위된다. 이에 따라 제1 이징롤(2)은 제2 이징롤(3)과 간섭할 우려가 없는 위치에 설치된다. 제직 시에 있어서, 제1 이징롤(2)의 이징량은 제1 이징 스프링(15)의 홀더(37) 외주의 나선홈으로의 나사 삽입을 조정함으로써 변경된다. 나사 삽입량을 크게 하여 제1 이징 스프링(15)의 사용 길이를 짧게 하면, 스프링 정수가 커지고, 이징량은 작아진다.
날실 시트(5a)의 장력은 제1 이징 로드(31)에 작용하는 힘으로부터 간접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하중 측정기(32)는 제1 이징 로드(31)의 도중에 개재(介在)되어, 제1 이징 로드(31)에 작용하는 힘을 측정하여, 제1 이징롤(2)에 맞닿는 날실 시트(5a)의 장력을 검출하고, 이 장력에 비례하는 전기적인 장력의 신호를 도 5의 연산기(46)에 출력한다. 날실 시트(5a)의 장력값, 즉 전기적인 장력의 신호는 도 5의 송출 제어 장치(50)에서 날실 시트(5a)의 장력을 목표 장력으로서의 설정 장력으로 유지하기 위한 제어에 이용된다.
다음에, 제2 이징 장치(14)는 제2 이징 레버(12), 제2 이징 스프링(16) 외에, 제2 이징 로드(39), 로드 홀더(40), 스프링 홀더(41)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2 이징 로드(39)는 제2 이징 스프링(16)의 중심을 관통하고, 또한 스프링 홀더(41)의 중심 구멍을 관통하는 동시에, 일단 부분에서 로드 홀더(40)의 구멍을 로드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관통하고 있으며, 타단 부분에서 나사 결합의 연결 로드(42), 연결핀(43)에 의해 제2 이징 레버(12)의 상선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2 이징 스프링(16)은, 일단부에서 로드 홀더(40)에 맞닿고, 타단부에서 스프링 홀더(41) 외주의 나선홈에 나사 결합 방식으로 결합되어 있다. 로드 홀더(40)는 제2 이징핀(44)에 의해 프레임(8)의 측면에 제2 이징핀(44)의 주위에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제2 이징 로드(39)는 로드 홀더(40)에 대하여 이탈 방지 볼트(26)에 의해 이탈이 방지되도록 되어 있다.
스프링 홀더(41)는 그 중심 구멍에 의해 제2 이징 로드(39)에 대하여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지만, 제2 이징 로드(39)의 수나사(30)에 나사 방식으로 결합된 2개의 너트(45)에 끼워져, 제2 이징 로드(39)에 대한 상대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고정되어 있다. 제2 이징 로드(39)에 대한 홀더(41)의 위치 조정에 의해, 제2 이징 로드(39)가 축선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2 이징 레버(12)가 회동하여, 제2 이징롤(3)이 적절한 위치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제2 이징 스프링(16)은 일단에서 로드 홀더(40)와 제2 이징핀(44)을 통해 프레임(8)에 지지되고, 또, 제2 이징 레버(12)는 요동 부재를 형성하고 있고, 제2 이징롤(3)을 지지하는 동시에 축(10), 베어링(20, 22)을 통해 프레임(8)에 축지지된다. 또, 제2 이징 스프링(16)의 타단과 제2 이징 레버(12)의 걸어맞춤 부재로서, 제2 이징 로드(39), 스프링 홀더(41), 연결 로드(42), 연결핀(43), 및 너트(45)가 설치되어 있다. 2개의 너트(45)의 나사 삽입 위치를 변경하여 제2 이징 로드(39)와 스프링 홀더(41)의 상대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상기 걸어맞춤 부재는 제2 이징 로드(39)의 연장 방향으로 변형되어 제2 이징롤(3)의 이징 운동 범위의 위치를 변경 가능하게 하고 있다.
도 3은 제2 이징 스프링(16)의 스프링 정수의 변경 방법 및 제2 이징롤(3)의 스타트 위치 설정 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스프링 홀더(41) 외주의 나선홈에 대한 제2 이징 스프링(16)의 나사 삽입을 조정함으로써, 제2 이징 스프링(16)의 스프링 정수를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스프링 정수의 조정에 있어서는, 2개의 너트(45)를 느슨하게 하고, 스프링 홀더(41)를 돌려, 제2 이징 스프링(16)의 사용 권취수를 변경한다. 제2 이징 스프링(16)의 사용 권수를 많게 하면, 스프링 정수는 작아지고, 역으로 제2 이징 스프링(16)의 사용 권수를 적게 하면, 스프링 정수는 커진다. 또, 제2 이징롤(3)의 스타트 위치 설정에는, 2개의 너트(45)를 느슨하게 하여 돌리고, 제2 이징 로드(39)와 스프링 홀더(41)의 상대 위치를 변경하여, 제2 이징롤(3)을 전후로 이동시킨다.
도 1은 날실 시트(5b)와 씨실(7)의 교착수가 날실 시트(5a)와 씨실(7)의 교착수보다 적은 것에 대응하여, 제2 이징롤(3)을 후방 즉, 반(反)직전(9a)측에 배치한 예이다. 이 제2 이징롤(3)의 위치 설정은 상기와 같이, 제2 이징 스프링(16)의 사용 권취수를 많게 하거나, 또는 2개의 너트(45)의 나사 삽입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제2 이징 로드(39)와 스프링 홀더(41)의 상대 위치를 변경하여, 제2 이징 로드(39)를 그 축선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제2 이징 로드(39)의 이동에 의해 제2 이징 레버(12)를 회동시켜, 제2 이징롤(3)을 제2 이징 스프링(16)으로부터 멀리함으로써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도 4는 날실 시트(5b)와 씨실(7)의 교착수가 날실 시트(5a)와 씨실(7)의 교착수보다 많은 것에 대응하여, 제2 이징롤(3)을 약간 전방 즉, 직전(9a)측에 배치한 예이다.
이와 같이, 제2 이징 스프링(16)은 날실 시트(5b)의 정상 장력 하에서 제2 이징롤(3)이 정상적인 이징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설정되고, 또, 이징 운동 범위의 위치가 전후 방향으로 변경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2 이징롤(3)은 날실 시트(5b)의 정상 장력 하에서 정상적인 이징 운동을 행하여, 날실 시트(5b)의 비정상적인 장력의 높아짐이나 느슨해짐을 억제한다. 즉, 날실 시트(5b)의 장력이 정상 장력이 되는 위치로의 제2 이징롤(3)의 변위에 따라, 제2 이징 스프링(16)은 제직 개시 시보다 신장된 상태, 또는 위축된 상태가 된다. 그 상태에서, 제2 이징롤(16)은 개구 운동에 따른 날실 경로 길이의 변동을 완화하기 위한 이징 운동을 행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1〕다른 날실 시트(5b) 쪽이 날실 시트(5a)보다 씨실(7)과의 교착수가 많은 경우와,〔2〕다른 날실 시트(5b) 쪽이 날실 시트(5a)보다 씨실(7)과의 교착수가 적은 경우로 나누어 설명하면, 아래와 같이 된다.
〔1〕다른 날실 시트(5b) 쪽이 날실 시트(5a)보다 씨실(7)과의 교착수가 많은 경우에는, 제직 개시 직후, 다른 날실 시트(5b) 쪽이 날실 소비율이 크므로, 제2 이징롤(3)은 날실 개구(9)의 직전(9a)측 방향으로 변위된다. 이 때, 날실 시트(5b)의 정상 장력은 하나의 날실 시트(5a)의 설정 장력보다 커진다. 그래서, (1) 교환 또는 조정에 의해 스프링 정수가 큰 제2 이징 스프링(16)을 사용한다. 이에 따라 높은 장력 하에서 이징 운동에 의해, 제2 이징롤(3)이 가장 직전(9a)측으로 변위된 때라도, 제2 이징 스프링(압축 스프링)(16)은 밀착되지 않고, 인장 스프링의 경우, 신장되지 않아, 적절한 탄성 변형 범위에 있어 탄성 한계를 넘지 않는다. 또한 (2) 제2 이징롤(3)을 보다 직전(9a)측에 설치하여, 제2 이징롤(3)에 대한 날실 시트(5b)의 권취되는 각을 작게 한다. 이에 따라, 동일 날실 장력이라도 제2 이징롤(3)의 요동 토크가 작아져, 높은 장력 하에서 제2 이징 스프링(16)에 가해지는 힘이 억제되고, 이징 운동에 의해 제2 이징롤(3)이 가장 직전(9a)측으로 변위된 때라도, 제2 이징 스프링(압축 스프링)(16)은 밀착되지 않고, 인장 스프링의 경우, 신장되지 않아, 확실하게 적절한 탄성 변형 범위에 있어 탄성한계를 넘지 않는다. 이 실시예에서는, 스프링 홀더(41)의 위치 결정을 하고 있는 양측의 너트(45)를 느슨하게 하여, 스프링 홀더(41)와 제2 이징 로드(39)의 상대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제2 이징롤(3)을 보다 직전(9a)측에 위치시키고 있다.
〔2〕다른 날실 시트(5b) 쪽이 날실 시트(5a)보다 씨실(7)과의 교착수가 적은 경우에는, 제직 개시 직후, 다른 날실 시트(5b) 쪽이 날실 소비율이 크므로, 제2 이징롤(3)은 직전(9a)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위된다. 이 때, 날실 시트(5b)의 정상 장력은 하나의 날실 시트(5a)의 설정 장력보다 작아진다. 그래서, (1) 교환 또는 조정에 의해 스프링 정수가 작은 제2 이징 스프링(16)을 사용한다. 이에 따라, 낮은 장력 하에서 이징 운동에 의해, 제2 이징롤(3)이 직전(9a)측으로부터 가장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위되었을 때라도, 제2 이징 스프링(압축 스프링)(16)은 자유 길이 미만을 확보하고, 또한 적절한 탄성 변형 범위에 있기 때문에, 날실 시트(5b)(날실)가 순간적으로 느슨해지는 일은 없다. 인장 스프링의 경우라도, 자유 길이보다 긴 상태가 확보되고, 또한 적절한 탄성 변형 범위에 있기 때문에, 날실이 순간적으로 느슨해지는 일은 없다. 또한, (2) 제2 이징롤(3)을 보다 반직전(9a)측에 설치하여, 제2 이징롤(3)에 대한 날실 시트(5b)의 권취각을 크게 한다. 이에 따라, 제2 이징롤(3)의 요동 토크가 커져, 낮은 장력 하에서도 제2 이징 스프링(16)에 가해지는 힘이 확보되어, 이징 운동에 의해 이징롤이 가장 반직전(9a)측으로 변위된 때라도, 제2 이징 스프링(16)(압축 스프링)은 자유 길이 미만을 확보하고 또한 확실하게 적절한 탄성 변형 범위에 있기 때문에, 날실 시트(5b)(날실)가 순간적으로 느슨해지는 일은 없다. 인장 스프링의 경우라도 자유 길이보다 긴 상태가 확보되고, 또한 확실하게 적절한 탄성 변형 범위에 있기 때문에, 날실(7)이 순간적으로 느슨해지는 일은 없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2 이징롤(3)을 보다 반직전(9a)측에 위치시키고 있다.
다음에, 도 5는 직기의 송출 장치(1)에 있어서의 전동식 날실 장력 제어 장치(90)를 나타내고 있다. 송출 제어 장치(50)는 개수당 날실 장력의 설정 오차를 작게 하기 위해, 날실 개수가 많은 쪽의 하나의 날실 시트(5a)에 대하여 목표 장력으로서의 설정 장력의 설정에 따라 제직 중에 날실 시트(5a)의 장력을 검출하고, 검출한 장력과 설정 장력의 차에 따라 송출빔(4)을 구동함으로써, 날실 시트(5a)의 장력을 설정 장력으로 한다.
도 5에 있어서, 하중 측정기(32)의 출력으로서의 장력의 신호는 연산기(46)에 들어가, 날실 1개당 장력의 신호로 환산된다. 검출된 장력과 설정기(47)에 의해 미리 설정되어 있는 목표 장력으로서의 설정 장력은 비교기(48)에 의해 비교되며, 그들의 차이로부터 장력의 편차 신호로서 송출 제어 장치(50)에 보내진다. 송출 제어 장치(50)는 장력의 편차에 따라 송출 모터(49)의 송출 방향의 회전을 증속 또는 감속하면서, 송출빔(4)을 송출 방향으로 회전시켜, 날실 시트(5a)의 장력을 조절하면서 송출한다.
날실 시트(5a)의 장력 제어에 연동되어, 다른 워프 라인의 날실 시트(5b)도 일정값으로 유지된다. 즉, 날실 시트(5b)와 씨실(7)의 교착수가 날실 시트(5a)와 씨실(7)의 교착수보다 많고, 날실 시트(5b)의 소비가 많으면, 즉 날실 소비율이 날실 시트(5a)의 날실 소비율보다 크면, 그 워프 라인 상에서 날실 경로가 짧아지기 때문에, 제2 이징롤(3)은 날실 경로를 짧게 하는 방향, 즉 직전(9a)측 방향으로 점차 변위된다. 이에 따라, 날실 시트(5b)에 대한 제2 이징 스프링(16)의 가압력(누름력)은 점차 커져, 날실 시트(5b)의 장력은 점차 증대된다. 날실 시트(5b)의 장력이 점차 증대되면, 날실 시트(5b)와 씨실(7)의 교락(交絡) 정도가 점차 적어져, 날실 시트(5b)는 날실 소비율이 점차 저하되는데, 즉 날실 소비율이 날실 시트(5a)에 점차 가까워진다. 반대로 날실 시트(5b)와 씨실(7)의 교착수가, 날실 시트(5a)와 씨실(7)의 교착수보다 적고, 이 때문에 날실 시트(5b) 쪽이 날실 시트(5a)보다 날실 소비율이 작으면 제2 이징롤(3)은 직전측으로 점차 변위되어, 제2 이징 스프링(16)의 가압력이 점차 저하되고, 날실 장력이 점차 작아진다. 날실 시트(5b)는 날실 장력이 점차 작아지면, 씨실(7)과의 교락 정도가 점차 커져, 날실 소비율이 점차 증가한다. 즉 날실 소비율이 날실 시트(5a)에 점차 가까워진다. 날실 시트(5b)는 날실 소비율이 날실 시트(5a)와 동일하게 되면, 날실 장력의 변화는 없어지고, 날실 시트(5b)는 날실 장력, 상세히 설명하면 제2 이징롤(3)의 이징 운동에 따라 변동되는 날실 장력의 평균값이 일정 장력, 즉 정상(定常) 장력에 달해 유지되는 동시에, 제2 이징롤(3)은 그 위치, 상세히 설명하면 이징 운동 범위의 위치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제2 이징롤(3)이 직전(9a)측 또는 반직전(9a)측으로 이동해도, 제2 이징 장치(14)는 변함없이 정상적인 이징 운동을 한다. 즉 제2 이징 스프링(16)은 정상 장력 하에서 제2 이징롤(3)이 정상적인 이징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으므로, 정상 장력이 되기 위해 제2 이징롤(3)이 이동해도, 압축 스프링인 제2 이징 스프링(16)은 탄성 변형 가능한 상태, 즉 밀착되지 않는 상태, 또한 자유 길이보다 짧은 상태로서, 모두 적절한 탄성력 범위의 길이 상태가 유지되어, 날실 시트(5b)가 이징 운동에 따라 비정상적으로 느슨해지거나, 또는 비정상적으로 팽팽해지는 일은 없다.
이 실시예에서는, 스프링 홀더(41) 외주의 나선홈에 대한 제2 이징 스프링(16)의 나사 삽입을 조정함으로써, 스프링 사용 길이를 변경 가능하게 하여, 스프링 정수를 변경 가능하게 하고, 날실 시트(5b)와 씨실(7)의 교착 정도가 상이한 조직끼리의 제직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 스프링 사용 길이를 변화시키지 않고, 제2 이징 스프링(16)의 스프링 정수를 변경하는 경우에는, 상이한 선 직경(線徑)의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 교환해도 된다. 선 직경이 큰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 교환하면, 스프링 정수는 커지고, 선 직경이 작은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 교환하면, 스프링 정수는 작아진다. 날실 시트(5b)의 정상 장력이 높아지는 경우에는, 제2 이징 스프링(16)의 스프링 정수를 보다 크게 하여, 제2 이징롤(3)의 이징 운동에 의해 순간적으로도 밀착되지 않게 하여, 날실 장력이 비정상적으로 높아지지 않도록 하고, 정상 장력이 낮아지는 경우에는, 제2 이징 스프링(16)의 스프링 정수를 보다 작게 하여, 이징 운동에 의해 순간적으로도 자유 길이 이상이 되지 않도록 하고, 시트(5b)가 비정상적으로 느슨해지지 않도록 하여, 날실 시트(5b)와 씨실(7)의 교착 정도가 상이한 조직끼리의 제직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제2 이징롤(3)은 정상 장력 하에서 정상적인 이징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이징 운동 범위의 위치가 변경 가능하게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2 이징롤(3)은 가이드 롤(6)을 요동 중심으로 하는 요동 범위의 직전(9a)측 또는 반직전(9a)측에 설치되어, 날실의 권취각이 작거나, 또는 크게 되도록 설치된다. 날실 시트(5b)의 정상 장력이 높아지는 경우에는, 제2 이징롤(3)은 직전(9a)측에 설치되어, 날실의 권취각이 작아져, 날실 시트(5b)로부터 제2 이징롤(3)을 통해 제2 이징 스프링(16)에 가해지는 힘은 억제되고, 제2 이징 스프링(16)은 제2 이징롤(3)의 이징 운동에 의해 순간적으로도 밀착되지 않는 상태로 유지된다. 날실 시트(5b)의 정상 장력이 낮아지는 경우에는, 제2 이징롤(3)은 반직전(9a)측에 설치되어, 날실 권취각이 커져, 날실 시트(5b)로부터 제2 이징롤(3)을 통해 제2 이징 스프링(16)에 가해지는 힘이 확보되며, 제2 이징 스프링(16)은 제2 이징롤(3)의 이징 운동에 의해 순간적으로도 자유 길이 이상이 되지 않는 상태로 유지된다. 이에 따라 날실 시트(5b)가 이징 운동에 따라 비정상적으로 팽팽해지거나, 또는 느슨해지는 일이 없어, 날실 시트(5b)와 씨실(7)의 교착 정도가 상이한 조직끼리의 제직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2 이징 로드(39)의 수나사(30)에 나사 방식으로 결합된 2개의 너트(45)를 이동시켜, 스프링 홀더(41)와 제2 이징 로드(39)의 상대 위치를 변경하여, 일단이 로드 홀더(40)에 맞닿고, 제2 이징핀(44)에 의해 프레임(8)에 축지지되어 있는 제2 이징 스프링(16)과 제2 이징롤(3)의 상대 위치를 변화시켜 제2 이징롤(3)의 설치 위치, 즉 제2 이징롤(3)의 이징 운동 범위의 위치를 변경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직기의 송출 장치(1)에 있어서, 하나의 송출빔(4)으로부터의 날실 시트(5)가 2개로 나누어져 독립적으로 제1 이징롤(2), 제2 이징롤(3)에 각각 안내되고, 나누어져진 날실 시트(5a, 5b)마다 날실 개구(9)가 형성되는 제직 시의 송출 과정에서, 복수개의 날실 시트(5a, 5b) 중 하나의 날실 시트(5a)에 대해서는 날실의 장력이 설정 장력이 되도록 하나의 날실 시트(5a)만의 장력에 따라 송출빔(4)이 구동되는 동시에, 다른 날실 시트(5b)에 대해서는 개구 운동에 따른 날실 경로 길이의 변동을 완화하기 위해 제2 이징 장치(14)에 의해 대응하는 제2 이징롤(3)에 이징 운동만을 하게 한다.
그리고, 제2 이징 장치(14)는 제2 이징롤(3) 및 이 제2 이징롤(3)을 통해 날실 시트(5b)를 가압하는 제2 이징 스프링(16)을 구비하고 있으며, 제2 이징 스프링(16)은 상기 하나의 날실 시트(5a)와 씨실(7)의 교착수의 상위에 따라 생기는 상기 설정 장력과는 상이한 다른 날실 시트(5b)의 정상 장력 하에서 제2 이징롤(3)이 정상적인 이징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거나, 또는 제2 이징롤(3)은 상기 하나의 날실 시트(5a)와 씨실(7)의 교착수의 상위에 따라 생기는 상기 설정 장력과는 상이한 다른 날실 시트(5b)의 정상 장력 하에서 제2 이징롤(3)이 정상적인 이징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개구 운동이나 바디치기 운동에 의해, 날실 시트(5a, 5b)의 날실 장력값이 갑자기 높아지거나 또는 낮아져 느슨해지거나 하지만, 그 때 제1 이징롤(2), 제2 이징롤(3)은 각각의 제1 이징 장치(13)의 제1 이징 스프링(15)의 탄성 흡수 작용, 제2 이징 장치(14)의 제2 이징 스프링(16)의 탄성 흡수 작용에 의해, 날실의 장력이 높아지는 것을 억제하는 방향, 또는 느슨해 지는 것을 없애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날실의 장력은 설정 장력 및 정상 장력으로 크게 유지된다.
다음에, 도 6은 본 발명에 관한 직기의 송출 장치(1)에 있어서, 송출빔(4)을 기계식 구동 장치(51)에 의해 구동하고, 날실 장력을 기계적으로 설정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으며, 기계식 장력 제어 장치(100)를 나타낸다. 제1 이징 장치(13)의 제1 이징 로드(31)의 이징핀(38)은 L자 형상의 웨이트 레버(52)의 일단에 연결되어 있고, L자 형상의 웨이트 레버(52)는 굴곡부에서 웨이트 레버핀(53)에 의해 프레임(8)의 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되고, 타단의 다수개의 위치 결정홈으로 웨이트(54)의 웨이트 현수 로드(55)에 유효 레버 길이(유효 암 길이)를 조절 가능한 상태로 걸어 맞추고 있다. 웨이트(54)는 웨이트 레버(52), 제1 이징 로드(31) 및 홀더(37)를 통해 제1 이징 스프링(15)의 일단을 견인하고 있으며, 제1 이징 스프링(15)에 제1 이징 레버(11a, 11b)를 회동시키는 가압력을 부여하고 있다. 웨이트(54)의 총중량은 복수개의 웨이트 본체[분동(分銅;weight)]의 개수 가감에 의해 조정 가능하며, 제1 이징 스프링(15)의 가압력(인장 방향의 작용력)이 웨이트(54)의 중량 조정에 의해 조정되며, 그 가압력은 제1 이징 레버(11a, 11b)를 통해 제1 이징롤(2)에 작용하고, 최종적으로 날실 시트(5a)를 압력 접촉시키기 위해, 그 날실의 장력을 기계적으로 설정하게 된다.
한편, 구동 장치(51)의 무단 변속 장치(56)는 직기 모터(57)의 회전을 입력으로 하고, 출력 회전에 의해 송출빔(4)을 제직의 진행에 따라 송출 방향으로 회전시켜, 날실 시트(5)를 송출한다. 무단 변속 장치(56)의 변속비는 변속 레버(58)에 의해 무단계(無段階)로 변경할 수 있다. 변속 레버(58)는 변속 로드(59) 및 그 양단의 핀(60)에 의해 긴 웨이트 레버(52)의 적당한 유효 레버 길이(유효 암 길이)의 위치에 연결되어 있다.
제직 중에, 제1 이징롤(2)이 직전(9a)측으로 변위되었을 때, 제1 이징 레버(11a, 11b) 및 이것에 연동되는 웨이트 레버(52)가 도 5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기 때문에, 변속 레버(58)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여, 무단 변속 장치(56)를 증속시켜 송출량을 많게 한다. 이와는 역으로, 제1 이징롤(2)이 반직전(9a)측으로 변위되었을 때, 제1 이징 레버(11a, 11b) 및 이것에 연동되는 웨이트 레버(52)가 도 5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기 때문에, 변속 레버(58)는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여, 무단 변속 장치(56)를 감속시켜 송출량을 적게 한다. 이 송출량의 기계적인 증감 과정에서도, 제1 이징 스프링(15)은, 웨이트(54)가 작용하여 이징 운동 하에서의 평균 길이가 일정하게 유지되고, 제1 이징 스프링(15)의 가압력(인장 방향의 작용력)은 날실 시트(5)의 날실 장력을 대략 설정 장력에 가까운 값으로 유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이징롤(2)은 대략 정(定)위치에 유지되는 동시에, 송출빔(4)은 권취 직경의 감소에 따라 회전수를 높인다.
이와 같이 직기의 송출 장치(1)에 있어서의 기계식 날실 장력 제어 장치(100)는 입력측이 직기 모터(57)측에 연결되고, 출력측이 송출빔(4)측에 연결되는 무단 변속 장치(56)와, 프레임(8)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웨이트 레버(52)와, 웨이트 레버(52)에 지지되는 웨이트(54)와, 웨이트 레버(52)와 무단 변속 장치(56)의 변속 레버(58)를 연결하는 변속 로드(59)와, 제1 이징롤(2)과, 프레임(2)에 축지지되는 요동 부재로서 제1 이징롤(2)을 지지하는 제1 이징 레버(11a, 11b)와, 상기 요동 부재와 웨이트 레버(52)의 연결 부재인 제1 이징 로드(31), 홀더(37), 및 제1 이징 스프링(15)으로 구성된다.
또, 도 7은 본 발명에 관한 직기의 송출 장치(1)에 있어서, 제1 이징롤(2) 및 제2 이징롤(3) 모두에 적극적인 이징 운동을 부여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7에서, 제1 이징롤(2)은 제1 이징 레버(61) 및 지점축(65)에 의해, 또 제2 이징롤(3)은 핀(64)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2개의 제2 이징 레버(62, 63) 및 지점축(66)에 의해, 각각 프레임(8)에 이동 가능한 상태로 지지되어 있다.
제1 이징 레버(61)의 일단은 핀(67), 레버(68), 핀(69)에 의해 레버(70)에 연결되어 있고, 레버(70)는 일단에서 핀(71), 링크(72), 편심 핀(73)에 의해 원판(74)에 연결되어 있고, 타단에서 핀(75)에 의해 레버(76)에 연결되어 있다. 원판(74)은 축(77)에 의해 프레임(8)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직기의 주운동과 동기하여 회전함으로써, 핀(75)을 요동 중심으로 하여 레버(70)를 요동시키고, 최종적으로 제1 이징 레버(61)에 요동 운동을 부여하여, 제1 이징롤(2)을 요동시켜, 개구 운동에 의해 날실 경로 길이가 변화되는 것을 회피하고 있다. 레버(76)의 일단은 핀(78), 레버(79), 지점핀(80)에 의해 프레임(8)에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레버(79) 사이에 있는 하중 측정기(32)는 이 위치에서 날실 시트(5a)의 장력을 간접적으로 검출한다. 이 검출한 장력에 따라, 송출 제어 장치(50)는 송출 모터(49)를 구동한다. 그리고, 레버(79)에 작용하는 힘은 레버(79)의 요동 방향과 대략 직각 방향, 즉 요동원(搖動圓)의 대략 반경 방향이며, 따라서 레버(76, 79)는 거의 움직이지 않기 때문에, 레버(70)는 핀(75)을 요동 중심으로 하여 요동하게 된다.
한편, 제2 이징 레버(62)는 핀(81), 링크(83), 편심 핀(82)에 의해 원판(84)에 연결되어 있고, 또, 제2 이징 레버(63)는 지점축(66)에 의해 프레임(8)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인장 스프링(85)에 의해 날실 시트(5b)에 장력을 부여하는 방향으로 제2 이징 레버(62)를 가압하고 있다. 원판(84)은 축(86)에 의해 프레임(8)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직기의 주운동과 동기하여 회전함으로써, 핀(64)을 요동 중심으로 하여 레버(62)를 요동시키고, 최종적으로 제2 이징롤(3)에 이징 운동을 부여하여, 제2 이징롤(3)을 요동시켜, 개구 운동에 의해 날실 경로 길이가 변화되어 날실 장력이 변동되는 것을 억제하고 있다. 그리고, 인장 스프링(85)은 제2 이징롤(3)의 이징 운동 중의 장력 변동을 흡수하는 동시에, 날실 소비율의 상위에 따른 제2 이징롤(3)의 변위에 따라, 길이를 점차 변화시켜 가압력을 점차 변화시킴으로써, 날실 시트(5b)의 장력을 정상 장력으로 이행시켜, 그 장력을 유지한다.
또한, 도 8은 본 발명에 관한 직기의 송출 장치(1)에 있어서, 제1 이징롤(2)에만 적극적인 이징 운동을 부여하고, 제2 이징롤(3)에 소극적인 이징 운동을 부여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제1 이징롤(2)은 도 7과 동일한 기구에 의해 지지되어, 적극적인 이징 운동을 한다. 이에 대하여, 제2 이징롤(3)은 도 7과 동일하게, 제2 이징 레버(62, 63)에 의해 지지되어 있지만, 도 1, 도 2, 도 4 및 도 6과 대략 동일 구성의 제2 이징 장치(14)에 의해, 소극적인 이징 운동을 하도록 되어 있고, 제2 이징 스프링(16)과 인장 스프링(85)에 의해 가압되어, 날실 장력이 변동되는 것을 억제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이징 운동은 소극적인 이징, 적극적인 이징의 어느 쪽이라도 되고, 또, 하나의 날실 시트(5a)와 다른 날실 시트(5b)와 상이해도 된다. 상기 각 예에 개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날실 시트(5a)가 설정 장력이 되도록, 그 날실 시트(5a)의 장력에 따라 송출빔(4)이 구동되게 되지만, 송출빔(4)의 구동은 전기적으로 제어되는 송출 모터(49)에 의한 것, 직기의 원동(原動) 회전을 기계적으로 변속하여 송출빔(4)의 회전을 변경하는 것에 의하지만, 어느 쪽으로 해도, 날실 개수가 많은 쪽의 날실 시트(5a)의 날실 장력에 따라 제어된다. 이것은 날실 장력의 설정 오차를 작게 하기 위해서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른 날실 시트와 씨실의 교착수가 하나의 날실 시트와 씨실의 교착수와 상이하며, 이 때문에 날실 소비율의 상위가 생겨, 다른 날실 시트에 대응하는 이징롤이 변위되면, 이 변위에 의해 이징 스프링의 가압력이 변화되고, 다른 날실 시트는 날실 장력(상세히 설명하면, 이징 운동에 따라 변화되는 날실 장력의 평균값)이 변화되어, 정상 장력이 된다. 즉, 다른 날실 시트는 날실 장력의 변화에 따라 씨실과의 교락 정도가 변화되므로, 날실 소비율이 변화되어 상기 하나의 날실 시트의 날실 소비율에 점차 가까워지고, 날실 소비율이 동일하게 되면, 다른 날실 시트는 날실 장력의 변화가 없어져, 정상 장력이 된다. 예를 들면, 다른 날실 시트와 씨실의 교착수가 하나의 날실 시트와 씨실의 교착수보다 많고, 이 때문에 다른 날실 시트 쪽이 하나의 날실 시트보다 날실 소비율이 크면, 대응하는 이징롤은 그 워프 라인 상에서 날실 경로가 점차 짧아지기 때문에, 날실 경로를 짧게 하는 방향, 즉 직전측으로 점차 변위된다. 이 때문에 다른 날실 시트는 이징 스프링의 가압력이 점차 증대되어 날실 장력이 점차 커진다. 다른 날실 시트는 날실 장력이 점차 커지면, 씨실과의 교락 정도가 점차 작아져 날실 소비율이 점차 저하된다. 즉, 날실 소비율이 하나의 날실 시트에 점차 가까워진다. 반대로 다른 날실 시트와 씨실의 교착수가 하나의 날실 시트와 씨실의 교착수보다 적고, 이 때문에 다른 날실 시트 쪽이 하나의 날실 시트보다 날실 소비율이 작으면, 대응하는 이징롤은 점차 반직전측으로 변위되어 이징 스프링의 가압력이 점차 저하되고 날실 장력이 점차 작아진다. 다른 날실 시트는 날실 장력이 점차 작아지면, 씨실과의 교락 정도가 점차 커져 날실 소비율이 점차 증가하여 즉, 날실 소비율이 하나의 날실 시트에 점차 가까워진다. 다른 날실 시트는 날실 소비율이 하나의 날실 시트와 동일하게 되면, 날실 장력의 변화는 없어지며, 다른 날실 시트는 일정 장력, 즉 정상 장력에 달한다. 그 정상 장력 하에서 대응하는 이징롤에 의해 정상적인 이징 운동이 행해지면서 제직되며, 이 때문에, 날실이 이징 운동에 따라 비정상적으로 느슨해지거나 팽팽해지거나 하지 않고, 개구 불량이 생기거나 하지 않고, 계속해서 제직이 가능해진다.
다른 날실 시트는 그 정상 장력 하에서, 대응하는 이징롤에 의해 정상적인 이징 운동이 행해지면서 제직된다. 다른 날실 시트는 정상 장력에 달하기 전에 제직 불능이 되지도 않고, 또 정상 장력에 달한 후에도 계속해서 제직이 가능해진다. 즉, 이징 스프링은 대응하는 이징롤의 변위에 대응하면서, 제직 개시 시의 장력으로부터 정상 장력까지 점차 높아지는 날실 장력, 또는 점차 낮아지는 날실 장력에 대응하여 설정되어 있고, 날실 개구 운동에 따른 날실 경로 길이 변화의 사이클에 걸쳐 적절한 탄성 변형 범위에 있어, 다른 날실 시트에 적절한 날실 장력을 부여하고 있다. 이 때문에 다른 날실 시트는 대응하는 이징롤의 제직 개시 직후의 위치에서도, 정상 장력이 되는 위치에서도, 또 그 사이의 위치에서도, 이징 운동에 따른 날실 장력 변동에 의해 비정상적인 장력이 생기지 않아, 비정상적인 장력에 의해 다른 날실 시트가 비정상적으로 느슨해지거나 팽팽해지거나 하지 않고, 비정상적으로 느슨해지거나 팽팽해지거나 함으로써, 개구 불량이 생기지 않는다(청구항 1).
상기 대응하는 이징롤은 이징 운동 범위의 위치가 전후 방향으로 변경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다른 날실 시트는 확실하게 정상적인 이징 운동이 행해지면서 제직된다(청구항 2).
상기 대응하는 이징롤은 이징 운동 범위의 위치가 전후 방향으로 변경 가능하게 설정되어 있고, 구체적으로는, 다른 날실 시트가 날실 소비율이 큰 경우에는, 이징 운동 범위의 위치는 보다 직전측에 설정되고, 다른 날실 시트 쪽이 날실 소비율이 작은 경우에는, 이징 운동 범위의 위치는 보다 반직전측에 설정된다.
대응하는 이징롤에 대하여, 이징 운동 범위의 위치가 보다 직전측에 설정되면, 날실 권취각이 보다 작아진다. 이 때문에, 다른 날실 시트 쪽이 날실 소비율이 큰 경우라도, 즉 다른 날실 시트의 정상 장력이 높은 경우라도, 날실 권취각이 작기 때문에, 날실 장력으로부터 대응하는 이징롤을 통해 이징 스프링에 가해지는 힘은 억제된다. 따라서 이징 스프링은 이징 운동에 있어서 탄성 변형 가능 상태에 놓여지는 동시에 적절한 탄성력 범위의 길이를 유지할 수 있고, 압축 스프링의 경우에는, 적어도 밀착되지 않고, 또, 인장 스프링의 경우에는, 적어도 신장되지 않는다. 따라서, 다른 날실 시트가 이징 운동에 따라 비정상적으로 팽팽해지거나, 인장 스프링이 신장되어 성능이 손상되는 일이 없다.
또 대응하는 이징롤에 대하여, 이징 운동 범위의 위치가 보다 반직전측에 설정되면, 날실 권취각이 보다 작아진다. 이 때문에, 다른 날실 시트 쪽이 날실 소비율이 작은 경우라도, 즉 다른 날실 시트의 정상 장력이 낮은 경우라도, 날실 권취각이 크기 때문에, 날실 장력으로부터 대응하는 이징롤을 통해 이징 스프링에 가해지는 힘은 확보된다. 따라서 이징 스프링은 이징 운동에 있어서 탄성 변형 가능 상태에 놓여지는 동시에 적절한 탄성력 범위의 길이를 유지할 수 있고, 압축 스프링의 경우에는 적어도 자유 길이보다 짧고, 또, 인장 스프링의 경우에는 적어도 자유 길이보다 길다. 따라서, 다른 날실 시트가 이징 운동에 따라 비정상적으로 느슨해지는 일이 없다.
실시예에서는, 대응하는 이징롤을 지지하고, 또한 프레임에 축지지되는 요동 부재와, 일단이 프레임에 지지되어 있는 이징 스프링과, 요동 부재와 이징 스프링의 타단과의 걸어맞춤 부재를 설치하고, 걸어맞춤 부재를 그 연장 방향으로 변형시킴으로써 이징 운동 범위의 위치를 변경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징 운동은 개구 운동과 연동되는 캠 장치 등을 이용함으로써, 구성할 수도 있다.
도 1은 직기의 송출 장치(1)의 측면도이다.
도 2는 직기의 송출 장치(1)의 편측(片側) 부분에서의 일부 파단 평면도이다.
도 3은 제2 이징(easing) 장치의 주요부의 확대 측면도이다.
도 4는 직기의 송출 장치(1)의 측면도이다.
도 5는 직기의 송출 장치(1)에 있어서, 송출빔(4)의 전기적인 구동계의 블록 선도이며, 날실 장력 제어 장치(90)를 나타낸다.
도 6은 직기의 송출 장치(1)에 있어서, 송출빔(4)의 기계적인 구동계의 측면도이며, 날실 장력 제어 장치(100)를 나타낸다.
도 7은 직기의 송출 장치(1)에 있어서, 제1 이징롤(2) 및 제2 이징롤(3) 모두에 적극적인 이징 운동을 부여하는 구동계의 측면도이다.
도 8은 직기의 송출 장치(1)에 있어서, 제1 이징롤(2)에 적극적인 이징 운동을 부여하는 동시에, 제2 이징롤(3)에 소극적인 이징 운동을 부여하는 구동계의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부호의 설명>
1: 직기의 송출 장치 2: 제1 이징롤
3: 제2 이징롤 4: 송출빔
5, 5a, 5b: 날실 시트 6: 가이드 롤
7: 씨실 8: 프레임
9: 날실 개구 9a: 직전(織前)
10: 축 11, 11a, 11b: 제1 이징 레버
12: 제2 이징 레버 13: 제1 이징 장치
14: 제2 이징 장치 15: 제1 이징 스프링
16: 제2 이징 스프링 17: 힐드(heald)
18: 베어링 19: 베어링
20: 베어링 21: 베어링
22: 베어링 23: 롤 브래킷
24: 플러머 블록(Plummer block) 25: 이탈 방지 볼트
26: 이탈 방지 볼트 27: 고정 볼트
28: 베어링 홀더 29: 수나사
30: 수나사 31: 제1 이징 로드
32: 하중 측정기 33: 스토퍼부
34: 너트 37: 홀더
38: 제1 이징핀 39: 제2 이징 로드
40: 로드 홀더 41: 스프링 홀더
42: 연결 로드 43: 연결핀
44: 제2 이징핀 45: 너트
46: 연산기 47: 설정기
48: 비교기 49: 송출 모터
50: 송출 제어 장치 51: 구동 장치
52: 웨이트 레버 53: 웨이트 레버핀
54: 웨이트 55: 웨이트 현수 로드
56: 무단 변속기 57: 직기 모터
58: 변속 레버 59: 변속 로드
60: 핀 61: 제1 이징 레버
62: 제2 이징 레버 63: 제2 이징 레버
64: 핀 65: 지점축
66: 지점축 67: 핀
68: 레버 69: 핀
70: 레버 71: 핀
72: 링크 73: 편심핀
74: 원판 75: 핀
76: 레버 77: 축
78: 핀 79: 레버
80: 지점핀 81: 핀
82: 편심핀 83: 링크
84: 원판 85: 인장 스프링
86: 축 90: 날실 장력 제어 장치
100: 날실 장력 제어 장치

Claims (2)

  1. 복수개의 이징롤(easing roll)(2, 3)을 가지고, 하나의 송출빔(4)으로부터의 날실 시트(5)가 복수개로 나누어져 독립적으로 각 이징롤(2, 3)에 안내되고, 각각의 날실 시트(5a, 5b)마다 날실 개구(9)가 형성되는 직기(織機)의 송출 장치(1)에 있어서,
    복수개의 날실 시트(5a, 5b) 중 하나의 날실 시트(5a)에 대해서는, 날실의 장력이 설정 장력이 되도록 상기 하나의 날실 시트(5a)만의 장력에 따라 송출빔(4)이 구동되고, 다른 날실 시트(5b)에 대해서는 이징 장치(14)에 의해 다른 날실 시트(5b)에 대응하는 이징롤(3)에 이징 운동만을 행하게 하고, 상기 이징 장치(14)는 대응하는 이징롤(3) 및 상기 이징롤(3)을 통해 다른 날실 시트(5b)를 가압하는 이징 스프링(16)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이징 스프링(16)은 상기 하나의 날실 시트(5a)와 씨실(7)의 교착수(交錯數), 및 상기 다른 날실 시트(5b)와 씨실(7)의 교착수의 상위(相違)에 따라 생기는 상기 설정 장력과는 상이한 다른 날실 시트(5b)의 정상(定常) 장력 하에서 대응하는 상기 이징롤(3)이 정상적인 이징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의 송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하는 이징롤(3)은, 이징 운동 범위의 위치가 전후 방향으로 변경 가능하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의 송출 장치.
KR1020040115414A 2004-02-25 2004-12-29 직기의 송출 장치 KR2005008636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049049A JP2005240206A (ja) 2004-02-25 2004-02-25 織機の送出装置
JPJP-P-2004-00049049 2004-02-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6363A true KR20050086363A (ko) 2005-08-30

Family

ID=35010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5414A KR20050086363A (ko) 2004-02-25 2004-12-29 직기의 송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5240206A (ko)
KR (1) KR20050086363A (ko)
CN (1) CN166114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0705B1 (ko) * 2011-12-23 2013-03-07 최정호 직기에 있어서 경사의 장력 감지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93151A (ja) * 2008-06-05 2009-12-17 Tsudakoma Corp 織機のテンションロール支持機構
JP5344889B2 (ja) * 2008-11-10 2013-11-20 津田駒工業株式会社 積極イージング機構を用いた織機の送出装置
CN102199834B (zh) * 2010-11-13 2012-05-30 江苏万工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喷气织机的后梁驱动机构
CN102146609A (zh) * 2010-11-13 2011-08-10 江苏万工科技集团有限公司 喷气织机的后梁驱动机构
JP5778544B2 (ja) * 2011-10-19 2015-09-16 津田駒工業株式会社 織機の張力検出装置
CN103469451B (zh) * 2013-04-03 2015-01-14 南通纺织职业技术学院 带花经张力调节的纺织小样机
CN104178890B (zh) * 2014-09-18 2015-09-30 中安(天津)航空设备有限公司 一种剑杆织机的送经装置
KR101552860B1 (ko) 2015-07-07 2015-09-14 안현덕 필름직물 제직용 워터젯 직기
BE1023395B1 (nl) * 2015-09-01 2017-03-03 Picanol Nv Opstelling en werkwijze voor het optimaliseren van een weefproces
CN105274708A (zh) * 2015-11-13 2016-01-27 江南大学 小提花织物的抗起泡双轴织造工艺
CN105544072A (zh) * 2016-01-25 2016-05-04 绍兴纺织机械集团有限公司 一种毛巾剑杆织机的经线张力调节机构
CN108961534B (zh) * 2017-05-19 2021-05-14 山东新北洋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钞箱及存取款机
CN110093708B (zh) * 2019-05-15 2024-02-13 广东康特斯织造装备有限公司 一种织机经纱张力扭矩检测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64638B2 (ja) * 1990-05-18 1998-06-11 津田駒工業株式会社 サテンストライプ織物などの製織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0705B1 (ko) * 2011-12-23 2013-03-07 최정호 직기에 있어서 경사의 장력 감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661145A (zh) 2005-08-31
JP2005240206A (ja) 2005-09-08
CN1661145B (zh) 2010-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86363A (ko) 직기의 송출 장치
CN101627155B (zh) 织机的摆动后梁
EP1878821B1 (en) Roll supporting device of loom
US20160230317A1 (en) Method and Device for Applying Forces and Motions to Warp Threads of Weaving Machine
EP2184390A1 (en) Let-off device of loom using positive easing mechanism
EP2194176B1 (en) Pile fabric loom having pile warp tension adjuster
JP2004011065A (ja) パイル織機
US20060065321A1 (en) Shed forming device and weaving machine provided with such a shed forming device
JP4249036B2 (ja) 織機の送出装置
US5722464A (en) Pile warp thread tension control apparatus for terry cloth weaving
US7040354B2 (en) Device for regulating the tension of a thread unwound from a bobbin of a bobbin-holder for a leno selvedge apparatus
US20060021667A1 (en) Driving system for terry motion members in cloth-shifting-type pile loom
US6230754B1 (en) Ground warp let-off tension device of a cloth movable type terry pile loom
JP2986738B2 (ja) 織機でタオル織地を製造するためのパイルたて糸の制御装置
CN108914337B (zh) 一种两级缓冲积极式绒经送经机构
US6098670A (en) Apparatus for tensioning warp threads for a weaving machine and a weaving machine with an apparatus of this kind
JPH10140442A (ja) 経糸テンショナを制御する装置及び同装置を備えた織機
JPH0790750A (ja) パイル織機におけるパイル形成装置
CN106400283B (zh) 用于调整毛巾织机中绒头经纱张力的装置
JP2000220062A (ja) 織機の経糸張力調整装置
JP3500327B2 (ja) 織機の織段防止装置
KR800000471Y1 (ko) 타올직기의 파일경사 송출장치
US2118046A (en) Uniform-tension loom feeder
US4478257A (en) Device for regulating the tension of warp threads in a weaving loom
JP2016211106A (ja) パイル織機における消極イージ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