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5647A - 투영 장치, 투영 시스템 및 화상 획득 방법 - Google Patents

투영 장치, 투영 시스템 및 화상 획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5647A
KR20050085647A KR1020057010860A KR20057010860A KR20050085647A KR 20050085647 A KR20050085647 A KR 20050085647A KR 1020057010860 A KR1020057010860 A KR 1020057010860A KR 20057010860 A KR20057010860 A KR 20057010860A KR 20050085647 A KR20050085647 A KR 200500856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template
unit
screen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0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43798B1 (ko
Inventor
사토 쿠니오
Original Assignee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856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56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3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37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by tracing or scanning a light beam on a scree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 G06F3/042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using a single imaging device like a video camera for tracking the absolute position of a single or a plurality of objects with respect to an imaged reference surface, e.g. video camera imaging a display or a projection screen, a table or a wall surface, on which a computer generated image is displayed or projec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06F3/0386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for light p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4Projection arrangements for image reproduction, e.g. using eidoph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G09G5/39Control of the bit-mapped memory
    • G09G5/393Arrangements for updating the contents of the bit-mapped memo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Abstract

프로젝터(1)는 템플릿 메모리(50)를 포함하는데, 템플릿 메모리는, 예를 들어, 단지 괘선들로만 구성된 템플릿 화상들을 사전저장한다. 프로젝터(1)의 표시부(6)는 스크린(S)에 템플릿 화상들을 투영한다. 디지털 카메라부(8)는, 투영된 템플릿 화상들과 함께, 스크린(S)에 수기되는 문자 등의 촬상을 수행한다. CPU(2)는 촬상이 수행된 화상의 데이터를 PC(100)로 전송한다. PC(100)는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며, 그리고 그것을 저장부(103)에 저장한다.

Description

투영 장치, 투영 시스템 및 화상 획득 방법{Projection device, projection system, and image obtainment method}
본 발명은 투영 장치, 투영 시스템 및 화상 획득 방법과 관련된 것이다.
종래에는, 퍼스널 컴퓨터에 데이터로서 저장된 문서들, 즉, 문자 및 챠트 등으로 구성된 문서들은, 기획 및 상품의 설명을 위한 프레젠테이션에서, 프로젝터에 의해 스크린에 투영 확대된다. 액정 및 마이크로-미러 어레이와 같은 화상 변환기를 사용하여, 화상 신호로서 퍼스널 컴퓨터로부터 출력된 문서의 화상 정보를 투영광으로 변환하는 구조를 갖는 프로젝터들이 있다.
최근에, 프로젝터의 소형화에 의해, 종종 프로젝터를 사용하여 회의가 수행된다. 그러한 경우에, 투영을 위한 스크린으로서 화이트보드를 사용함에 의해, 논평이나 밑줄이 마커에 의해 화이트보드에 직접 기입될 수 있으며, 논의를 정리하기 위해 챠트가 화이트보드 위에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종류의 프로젝터로서, 프로젝터에 설치된 카메라를 사용하는 프레젠테이션 시스템이 일본 특허 출원 번호 H11-305335호, 도 1에 개시되어 있다.
회의 도중에 화이트보드 위에 챠트가 생성되는 경우, 하기의 방법들이 고려될 수 있다.
(1) 괘선이 마커에 의해 화이트보드에 그려지고, 문자 등이 역시 마커에 의해 프레임 내에 기입된다.
(2) 퍼스널 컴퓨터에 의해 생성된 괘선이 프로젝터에 의해 화이트보드에 투영되고, 문자 등이 마커에 의해 프레임 내에 기입된다.
(3) 퍼스널 컴퓨터에 의해 생성된 괘선이 프로젝터에 의해 화이트보드에 투영되고, 문자 등이 퍼스널 컴퓨터의 입력 조작에 의해 프레임 내에 기입된다.
그러나, 방법 (1)에 의하면, 괘선을 그리는데 시간이 소모된다. 방법 (2)에 의하면, 퍼스널 컴퓨터를 사용하여 괘선을 그리기 위한 특별한 응용 소프트웨어를 구동할 필요가 있다. 방법 (3)에 의하면, 복수의 참여자들이 화이트보드 주위에서 마커를 쥐고 챠트 등을 생성하며, 따라서 논의에 참가할 수가 없고 스크린에 직접 챠트를 기입하므로 작업성이 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고려하여 안출되었으며,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투영 장치 및 화상 획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나타낸 투영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 및 퍼스널 컴퓨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구성도이다.
도 3은 프로젝터의 템플릿 메모리에 저장된 템플릿 화상의 일 예로서 제품일람표 템플릿을 나타내는 도표이다.
도 4는 동일한 템플릿 메모리에 저장된 테플릿 화상의 일 예로서 회의록 진행을 나타내는 도표이다.
도 5는 동일한 템플릿 메모리에 저장된 템플릿 화상의 일 예로서 세계지도 템플릿을 나타내는 도표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프로젝터의 조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나타낸 투영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 및 퍼스널 컴퓨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구성도이다.
도 9A는 프로젝터의 메모리 카드에 저장되는 템플릿 데이터인, 괘선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표이다.
도 9B는 프로젝터의 메모리 카드에 저장되는 템플릿 데이터인, 셀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표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나타낸 프로젝터의 조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프로젝터에 의한 괘선 이동 처리의 수순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2는 프로젝터에 의한 지정 위치 판정 처리의 수순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3은 프로젝터에 의한 괘선 속성 변경 처리의 수순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4는 프로젝터에 의한 프레임 속성 변경 처리의 수순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5는 프로젝터에 의한 괘선 추가 처리의 수순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투영 장치는, 스크린(S)에 화상을 투영하고:
제공된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화상을 투영하는 투영부(6);
사전설정되어 있는 형태를 갖는 템플릿 화상을 생성하기 위해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들(5,21), 및
저장부들(5,21)로부터 템플릿 화상들(T1,T2,T3)을 생성하기 위해 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성된 화상 데이터를 상기 투영부(6)로 제공하고, 및 상기 투영부(6)로 템플릿 화상들을 투영하는 제어부(2)를 포함한다.
이러한 종류의 구조에 의하여, 스크린에 챠트를 직접 기입하여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른 투영 시스템은, 스크린(S)에 화상들을 투영하고:
스크린(S)에 화상들을 투영하는 투영 장치들(1,51);
스크린(S)에 투영되는 화상들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화상 저장 장치(100); 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투영 장치들(1,51)은;
스크린(S)에 제공된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화상들을 투영하는 투영부(6);
형태가 사전-설정되어 있는 템플릿 화상들(T1,T2,T3)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들(5,21);
스크린(S)의 촬상을 수행하는 촬상부(8)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부(9);를 포함하고, 및
상기 화상 저장 장치(100)는:
스크린(S)에 투영되는 문서 화상들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 부(103), 및
저장부(103)로부터 문서 화상의 데이터를 호출하며, 호출된 화상 데이터를 투영 장치들(1,51)로 송신하고, 투영 장치들로부터 송신된 화상의 데이터를 수신하며, 및 그 데이터를 문서 화상의 데이터에 대응시켜 저장부(103)에 저장하는 제어부(101)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3 측면에 따른 화상 획득 방법은 스크린에 화상들을 투영하고:
형태가 사전설정되어 있는 템플릿 화상을 스크린에 투영하는 단계, 및
템플릿 화상이 투영되는 스크린의 촬상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본 실시예의 투영 시스템은, 단지 괘선으로만 구성된 화상과 같은 템플릿 화상들을 스크린에 투영하며, 촬상에 의해 스크린에 투영된 템플릿 화상에 수기된 문자 등을 판독한다.
투영 시스템은, RGB 케이블(200) 및 USB 케이블(300)을 통하여 상호 접속되는, 프로젝터(1) 및 퍼스널 컴퓨터(PC)(2)를 포함한다.
프로젝터(1)는 프레젠테이션 중에 문자들의 화상들을 투영하기 위한 것이며, 화이트보드 등과 같은 스크린(S)의 촬상을 수행하기 위한 내장 디지털 카메라를 가지고 있다.
프로젝터(1)는, 본체의 전방 측면에, 투영부(1a) 및 촬상부(1b)를 포함한다. 투영부(1a)는 표시 화상들을 투영하기 위한 것이며, 그리고 표시 화상들을 투영하기 위한 투영 렌즈와 같은, 광학계들을 포함한다. 촬상부(1b)는 스크린(S)의 촬상을 수행하기 위한 투영 렌즈와 같은, 광학계들을 포함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로젝터(1)는 CPU(2), ROM(3), RAM(4), 템플릿 메모리(5), 표시부(6), 키입력부(7), 및 디지털 카메라부(8)를 포함한다.
템플릿 메모리(5)는 템플릿 화상들을 생성하기 위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것이다. 템플릿 화상들은, 그 형태가 사전설정되어 있는 화상들이다. 템플릿 메모리(5)는 도 3에 나타낸 상품일람표 템플릿(T1), 도 4에 나타낸 회의록 진행 템플릿(T2), 및 도 5에 나타낸 세계지도 템플릿(T3)과 같은, 템플릿 화상들을 생성하기 위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표시부(6)는 PC(2)에서 출력되는 문서들(문자 및 챠트 등을 포함하는 문서들)의 문서 화상들 및 템플릿 화상들을 투영하기 위한 것이다. 표시부(6)는 광원, 화상 변환기, 구동 회로, 및 광학계(미도시)를 포함한다.
광원은 크립톤광과 같은 빛을 방사한다. 화상 변환기는 광원의 빛을 투영광으로 변환하기 위한 것이며, 액정 부재 및 마이크로-어레이 미러 등을 포함한다.
구동 회로는 입력 단자(18)로부터의 RBG 신호 입력에 따라, 화상 변환기를 작동시킨다.
광학계는, 투영부(1a)에 있는 촬상 렌즈 등을 포함한다.
키입력부(7)는 템플릿 화상들을 표시하기 위한 조작 버튼, 및 템플릿 화상들의 표시를 중지시키기 위한 조작 버튼을 포함한다. 키입력부(7)는 디지털 카메라부(8)에 의해, 피사체인 스크린(S)의 촬상을 수행하기 위한 촬상 버튼을 포함한다. 키입력부(7)는, 이러한 버튼들을 사용자가 누를 때, 조작 정보를 CPU(2)로 전송한다.
키입력부(7)는 속성을 지정하기 위한 조작 버튼 등을 포함한다.
디지털 카메라부(8)는, 키입력부(15)의 촬상 버튼을 누름으로써, 피사체인 스크린(S)의 촬상을 수행한다. 디지털 카메라부(16)는 광학계, 화상 픽업 장치, 및 화상 데이터 신호 압축 처리 회로(미도시)를 포함한다. 광학계는 촬상부(1b)에 있는 촬상 렌즈 등을 포함한다. 화상 픽업 장치는 광학계에 의해 초점이 맞추어진 광학적 화상을 광전 변환하기 위한 것이며, CMOS 센서 및 CCD 등을 포함한다. 화상 데이터 신호 압축 처리 회로는 화상 픽업 장치로부터 출력되고 디지털화된 디지털 신호를 압축한다.
ROM(3)은 프로그램들을 저장한다. CPU(2)는 ROM(3)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RAM(4)을 동작 메모리로 하는 각각의 상기 설명된 수단들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CPU(2)는 스크린(S)에 문서 화상을 투영하기 위해 표시부(6)를 제어한다.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조작 버튼이 눌러졌음을 지시하는 조작 정보가 키입력부(7)로부터 전송되면, CPU(2)는 투영 지시로서 키입력부(7)로부터 이러한 조작 정보를 수신하며, 스크린(S)에 템플릿 화상을 투영한다. 촬상 버튼이 눌러졌음을 나타내는 조작 정보가 키입력부(7)로부터 수신되면, CPU(2)는 촬상 지시로서 조작 정보를 수신하며, 조작 정보에 따라 스크린(8)의 촬상을 수행하도록 디지털 카메라부(8)를 제어한다. 이렇게 하여, CPU(2)는 문서 및 스크린(S)에 기록된 정보를 포함하는 화상을 획득하며, 그리고 획득된 화상을 PC(100)로 출력한다.
프로젝터(1)는 화상 입력 단자(9) 및 USB 단자(10)를 포함한다.
RGB 케이블(3)은 화상 입력 단자(9)에 접속된다. 화상 입력 단자(9)는 PC(100)로부터 RBG 신호를 공급받기 위한 단자이며, 도시되지 않은 입력 화상 처리 회로에서 제공된다. 입력 화상 처리 회로는 A/D 변환기 등을 포함한다.
USB 케이블(300)은 USB 단자(10)에 접속된다. USB 단자(10)는 촬상을 수행하는 프로젝터(1)에 의해 획득된 화상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며, CPU(2)에 접속되고,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USB를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 회로에서 제공된다.
PC(100)는 스크린(S)에 투영될 문서들의 데이터를 프로젝터(1)에 제공하며, 그리고 CPU(101), RAM(102), 저장 장치(103), 입력 장치(104), 및 표시 장치(105)를 포함한다.
입력 장치(104)는 본체에 접속되는 복수의 키들, 및 마우스 등을 포함한다. 사용자가 입력 장치(104)를 조작하면, 입력 장치(104)는 사용자의 조작 내용을 나타내는 조작 정보를 CPU(101)로 전송한다.
표시 장치(105)는 저장 장치로부터 호출된 문서 화상들을 표시하고, 프로젝터(1)로부터 전송된 화상들을 표시하며, 그리고 LCD, 및 구동회로 등을 포함한다.
저장 장치(103)는 비교적 큰 기억 용량을 갖는 하드 디스크 등을 포함하며, 그리고 프레젠테이션을 위한 문서들을 생성 및 편집하기 위한 프레젠테이션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저장 장치(103)는, 스크린(S)에 투영하기 위해, 문자 및 챠트로 된 문서들의 데이터를 문서 파일로 저장한다.
CPU(101)는 저장 장치(103)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PC(100)의 각 부분을 제어한다. CPU(101)는 동작 메모리로서 RAM(102)을 사용한다. 문서의 데이터가 전송되었음을 나타내는 조작 정보가, 입력 장치(104)로부터 전송될 때, CPU(101)는 문서의 데이터를 프로젝터(1)로 전송한다. 화상 데이터가 프로젝터(1)로부터 전송될 때, CPU(101)는 프로젝터(1)로부터 전송된 화상 데이터를 상호관련시켜 저장하며, 저장 장치(103)에 문서 데이터를 전송한다.
PC(100)는 RBG 신호를 위한 출력 단자(106), 및 USB 단자(107)를 포함한다. RGB 케이블(200)은 출력 단자(106)에 접속된다. 출력 단자(106)는, 도면에 나타내지 않았으며, CPU(101)에 접속되는, 화상 신호 처리 회로에 제공된다. USB 케이블(300)은 USB 단자(107)에 접속된다. USB 단자(107)는, 도면에 나타내지 않았으며, CPU(101)에 접속되는, USB를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 회로에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영 시스템의 조작을 도 6에 나타낸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PC의 조작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입력 장치(104)를 조작하여 문서의 데이터를 지정할 때, PC(100)의 입력 장치(104)는 사용자의 조작 정보를 CPU(101)로 전송한다.
PC(100)는, 저장 장치(103)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문서들의 데이터를 호출하며, 그리고 사용자의 조작 정보에 따라, 사전결정되어 있는 페이지의 문서 화상을 표시 장치(105)에 표시한다. PC(100)는, RGB 케이블(200)을 통하여, 표시 장치(104)에 표시된 문서 화상의 데이터를 프로젝터(1)로 출력한다(단계 SA1).
PC(100)는 화상 데이터가 프로젝터(1)로부터 전송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A2). PC(100)는 인터럽트 조작에 의해 그러한 판정을 계속적으로 실행한다.
화상 데이터가 프로젝터(1)로부터 전송되지 않았다고 판정되는 경우(단계 SA2:예), PC(100)는 프로젝터(1)로부터 전송된 화상 데이터에 기초한 화상을 표시 장치(105)에 표시한다. PC(100)는, 프로젝터(1)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문서 화상의 데이터와 상호관련시켜 저장 장치(103)에 저장한다(단계 SA3).
이하, 프로젝터(1)의 조작을 설명한다.
프로젝터(1)는, PC(100)로부터 출력된 문서 화상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스크린(S)에 문서 화상들을 투영한다(단계 SB1).
프로젝터(1)는 키입력부(7)로부터의 조작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템플릿 표시를 위하여 조작 버튼을 조작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B2).
템플릿 표시를 위한 조작 버튼이 사용자에 의해 작동된 것이 아니라고 판정되는 경우(단계 SB:아니오), 프로젝터(1)는 스크린(S)에 문서 화상들을 계속해서 투영한다(단계 SB1).
템플릿 표시를 위한 조작 버튼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었다고 판정되는 경우(단계 SB2:예), 프로젝터(1)는 투영 지시로서 조작 정보를 수신하며, 그리고 템플릿 메모리(5)로부터, 조작 버튼에 대응하는 템플릿의 테이터를 호출한다(SB3).
프로젝터(1)는 호출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문서 화상에서 템플릿 화상으로 투영 화상을 전환하며, 스크린(S)에 템플릿 화상을 투영한다(단계 SB4).
프로젝터(1)는 키입력부(7)로부터의 조작 정보에 기초하여, 조작 정보가 사용자에 의해 수행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B5).
키입력부(7)의 촬상 버튼이 눌러지지 않은 경우, 프로젝터(1)는 촬상 조작이 수행되지 않을 것을 판정한다(단계 SB5:아니오). 이 경우, 프로젝터(1)는 키입력부(7)로부터의 조작 정보에 기초하여, 템플릿 화상의 촬상이 완수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B8).
템플릿 표시를 중지시키기 위한 조작 버튼이 눌러지지 않은 경우, 프로젝터(1)는 템플릿 화상의 촬상이 완수되지 않았음을 판정한다(단계 SB8:아니오). 이 경우, 프로젝터(1)는 촬상 조작이 수행되었는지 여부를 재판정한다(단계 SB5).
여기서, 만약 키입력부(7)의 촬상 버튼이 눌러지면, 프로젝터(1)는 촬상 조작이 수행되었음을 판정한다(단계 SB5:예). 이 경우, 프로젝터(1)는 촬상 지시로서 조작 정보를 수신하고, 디지털 카메라부(8)를 제어하며, 그리고 템플릿 화상이 투영되는 스크린(S)의 촬상을 수행한다(단계 SB6).
프로젝터(1)는, USB 케이블(300)을 통하여, 촬상의 수행에 의하여 획득된 화상 데이터를 PC(100)로 출력한다.
프로젝터(1)는 템플릿 화상의 촬상이 완수되었는지 여부를 재판정하며(단계 SB8), 템플릿 화상의 촬상이 완수되지 않았다고 판정되는 경우(단계 SB8:아니오), 단계 SB5 내지 SB7의 과정들이 반복적으로 수행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프로젝터(1)는 촬상 조작이 수행될 때마다 화상 데이터를 PC(100)로 출력한다.
템플릿 표시를 중지시키기 위한 조작 버튼이 눌러지는 경우, 프로젝터(1)는 템플릿 화상의 촬상이 완수되었음을 판정한다(단계8:예). 이 경우에, 프로젝터(1)는 템플릿 화상에서 본래의 문서 화상으로 화상을 전환하며, 스크린(S)에 문서 화상을 투영한다(단계 SB9).
이러한 조작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복수의 참여자들이 스크린(S)을 둘러싸고 회의를 수행하는 등의 경우, 참여자들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회의록 진행 템플릿(T2)이 사용되어야 할 때, 프로젝터(1)의 키입력부(7)에 포함되어 있는 조작 버튼을 누른다. 회의록 진행 템플릿(T2)을 표시하기 위한 조작 버튼이 눌러질 때, 프로젝터(1)는 조작 정보에 응답하며, 그리고 템플릿 메모리(5)로부터, 도 4에 나타낸 회의록 진행 템플릿(T2)의 데이터를 호출한다(도 6의 단계 SB2,SB3 과정). 프로젝터(1)는, 투영된 문서 화상 대신에, 이러한 화상을 스크린(S)에 투영한다(도 6의 SB4 과정).
그 후, 참여자들이 마커에 의해 스크린(2)에 문자들을 기입한 후에, 프로젝터(1)의 키입력부(7)의 촬상 버튼이 눌러진다. 프로젝터(1)는 스크린(S)의 촬상을 수행하며, 그리고 촬상 버튼이 눌러짐에 따라, 화상 데이터를 PC(100)로 전송한다(도 6단계 SB5 내지 SB8 과정).
템플릿 화상의 표시를 중지시키기 위한 조작 버튼이 눌러질 때, 프로젝터(1)는, 이에 대한 반응으로 템플릿 화상 대신에 원본 문서 화상을 스크린(S)에 투영한다(도 6의 단계 SB9 과정).
PC(100)는, 그것을 문서와 상호관련시켜, 프로젝터(1)로부터 전송된 화상 데이터를 저장 장치(103)에 저장한다(단계 SA3 과정).
PC(100)가 프로젝터(1)로부터 전송된 화상 데이터를 저장 장치(103)에 저장하는 경우에(단계 SA3), PC(100)는 어떤 화상 데이터가 어떤 문서 데이터에 대응하는가를 판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PC(100)가 화상 파일에 프로젝터(1)로부터 전송된 화상 데이터를 저장한다. PC(100)는 문서의 데이터 파일명의 일부를, 이러한 화상 파일의 파일명으로 제공하고, 저장 장치(103)에 화상 파일을 저장한다.
동일한 문서에 관한 화상 데이터가 복수에 걸쳐 전송되는 경우, PC(100)는 파일명의 끝에 "-1", "-2"와 같은 가지수를 붙인다.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단지 괘선만 포함된 화상과 같은 템플릿 화상이 스크린(S)에 투영되며, 그리고 투영된 템플릿 화상을 이용하여 스크린(S)에 수기된 문자 등은 촬상을 수행함으로써 획득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챠트 등을 작성하기 위하여 스크린(S)(화이트보드)에 마커에 의해 괘선을 그릴 필요가 없으며, 챠트를 생성하기 위해 필요한 시간이 절약될 수 있다. 복수의 참여자들은 스크린(S)(화이트보드)을 둘러싸고, 마커를 든 채 회의에 참여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스크린(S)에 직접 수기하여 챠트를 생성하는 작업은 개선될 수 있다.
PC(100)에 의해 특별한 응용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것이 필요하며, 그리고 템플릿 화상들이 즉시 투영될 수 있다.
더욱이, 복수 종류의 템플릿 화상들이 화상 데이터로서 사전저장된다면, 다양한 템플릿 화상들이 다양한 필요에 따라 투영될 수 있으며, 유용성이 개선될 것이다.
수기된 문자 등을 스크린(S)에 투영함으로써 획득된 화상들은 저장 장치(103)에 저장되기 때문에, 스크린에 기입된 수기 정보는 나중에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촬상에 의해 획득된 화상 데이터는 문서들과 상호연관되어 저장되기 때문에, 수기된 정보는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다.
제 2 실시예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투영 시스템은 템플릿 화상들이 편집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투영 시스템은 프로젝터(51), PC(100), 및 레이저 포인터(400)를 포함한다. 레이저 포인터(400)는 스크린(S)에 스포트라이트(P)를 조사하며, 스크린(S)에 스포트라이트(P)를 조사함으로써 스크린(S) 위의 위치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레이저 포인터(400)는 스크린(S)에 투영된 템플릿 화상의 편집 위치를 지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제 2 실시예에서, 템플릿 화상들은 템플릿 메모리(5)에 저장되지 않으며, 메모리 카드에 사전저장된다. 투영 시스템은 메모리 카드로부터 템플릿 화상들을 획득한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로젝터(51)는 트로틀(도면에 미도시), 및 카드 인터페이스 회로(카드 I/F)(22)를 포함한다. 트로틀은 메모리 카드(21)를 로딩하기 위한 것이다. 카드 I/F(22)는 메모리 카드(21)와의 데이터 입력 및 출력을 위한 것이다.
프로젝터(51) 및 PC(100)는 RGB 케이블(200)을 통해서만 상호 접속된다. 제 2 실시예에서, USB 단자(10) 및 통신 인터페이스 회로는 생략되었다.
메모리 카드(21)는 복수의 템플릿 데이터를 저장한다. 템플릿 데이터는 템플릿 화상을 생성하기 위한 것이며, 그리고 괘선 데이터(21a) 및 셀 데이터(21b)를 포함한다. 괘선 데이터(21a)는 괘선을 생성하기 위한 것이며, 그리고 도 9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표 데이터, 선폭 데이터, 색상 데이터, 및 선종류 데이터를 포함한다.
좌표 데이터는, 줄의 수 및 열의 수에 따라, 복수의 수직 괘선 및 수평 괘선들의 시점 및 종점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도 9A에 나타낸 괘선 K1의 시점 및 종점이 각각 좌표 데이터 (x1,y1),(x2,y2)로 표현된다. 좌표 데이터는 프로젝터 표시부(6)의 픽셀의 수에 의해 표현된다. 예를 들어,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의 최대 픽셀의 수가 800×600이라면, 괘선의 시점 및 종점을 나타내는 좌표 데이터의 최대값은 (800,600)이다.
셀 데이터(21b)는 셀들을 생성하기 위한 것이며, 그리고 도 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표 데이터, 선폭 데이터, 색상 데이터, 및 선종류 데이터를 포함한다.
좌표 데이터는, 좌표 데이터의 각각의 프레임 (S1 내지 Sn)을 형성하는, 오른쪽에서 왼쪽, 위 아래 괘선들 (Ks1 내지 Ks4)의 시점 및 종점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셀 (S1)은 괘선들 (Ks1 내지 Ks4)에 의해 형성되며, 그리고 괘선 (Ks1)의 시점 및 종점은 좌표 데이터 (x1,y1),(x2,y2)에 의해 표현될 수 있다. 같은 방식으로 괘선 데이터(21a)의 좌표 데이터, 셀 데이터(21b)의 좌표 데이터는 프로젝터(51) 표시부의 픽셀의 수 내에서 표현된다.
선폭 데이터는 셀을 형성하는 괘선의 선폭을 나타낸다. 색상 데이터는 셀 내부의 색상을 나타낸다. 선종류 데이터는 셀을 형성하는 괘선의 종류를 나타낸다.
키입력부(7)는 다양한 조작 버튼들을 포함한다. 템플릿의 선택 기능, 편집 개시 기능, 및 편집 내용에 대한 지시 기능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들이 조작 버튼들에 할당된다.
CPU(2)는 레이저 포인터(400)가 지시하는 편집 위치 정보를 획득하며, 그리고 획득된 편집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편집 위치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특정한다. CPU(2)는 메모리 카드(21)로부터 특정된 데이터를 호출하며, 그리고 편집 내용을 표시하는, 키입력부(7)로부터의 조작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된 데이터를 편집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영 시스템의 조작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템플릿을 표시하기 위해 키입력부(7)의 조작 버튼을 작동시킬 때, 프로젝터(51)는 그 조작에 응답하여 문서를 투영하면서, 도 10에 나타낸 흐름도에 따라 조작된다.
템플릿 선택을 위한 조작 버튼이 눌러질 때, 프로젝터(51)의 CPU(2)는 키입력부(7)로부터 이러한 조작 정보를 획득하며, 그리고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카드 메모리(21)로부터 선택된 템플릿 화상의 템플릿 데이터를 호출한다. CPU(2)는 스크린(S)에 템플릿 화상을 투영하기 위해 표시부(6)를 제어한다(단계 SC1).
구체적으로, CPU(2)가 카드 메모리(21)로부터 템플릿 데이터를 호출할 때, CPU(2)는, 호출된 템플릿 데이터에 기초하여, 템플릿의 화상 데이터를 RAM(4)에 전개한다.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템플릿 데이터는 도 9A 및 도 9B에 나타낸 것과 같은 괘선 데이터(21a) 및 셀 데이터(21b)를 포함한다. CPU(2)는 괘선 데이터(21a)의 좌표 데이터에 기초하여, (x1,y1)에서 (x2,y2)까지 괘선(K1)을 표시한다. 동일한 방식으로, CPU(2)는 괘선 데이터(21a)의 좌표 데이터에 기초하여, 괘선들(K2 내지 Kn)을 표시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템플릿의 화상 데이터는 RAM(4)에 전개되고, 템플릿 화상의 데이터가 생성된다.
CPU는 생성된 템플릿 화상의 데이터를 표시부(6)에 제공한다. 표시부(6)는 제공된 템플릿 화상을 스크린(S)에 투영한다.
그 후, CPU(2)는 키입력부(7)로부터의 조작 정보에 기초하여, 편집 개시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C2).
편집 개시를 위한 조작 버튼이 눌러지지 않는 경우, CPU(2)는 편집이 개시되지 않음을 판정한다(단계 SC2:아니오). 이 경우, CPU(2)는 편집 개시를 위한 조작 버튼이 눌러질 때까지 대기한다.
편집 개시를 위한 조작 버튼이 눌러지는 경우, CPU(2)는 편집이 개시될 것을 판정하며(단계 SC2:예), 키입력부(7)로부터의 조작 정보에 기초하여, 편집 내용을 판정한다.
먼저, CPU(2)는 편집이 괘선 이동인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C3). 괘선 이동 처리는 지정된 양만큼 지정된 방향으로 괘선을 이동하는 것이다.
"괘선 이동"을 위한 조작 버튼이 눌러지면, CPU(2)는 편집 내용이 괘선 이동임을 판정한다(단계 SC3:예). 이 경우에, CPU(2)는 흐름도에 따라, 하기 설명될 괘선 이동 처리를 수행한다(단계 SC4).
괘선 이동 처리가 완료된 후, CPU(2)는 편집 개시 여부를 재판정한다(단계 SC2).
편집 개시가 판정된 후에 "괘선 이동"을 위한 조작 버튼이 눌러지지 않으면, CPU(2)가 편집 내용은 괘선 이동이 아님을 판정한다(단계 SC5). 괘선 속성 변경 처리는, 선폭, 색상, 및 선종류와 같은 괘선의 속성을 변경하기 위한 것이다.
"괘선 속성 변경"을 위한 조작 버튼이 눌러지면, CPU(2)가 편집 내용은 괘선 속성 변경임을 판정한다(단계 SC5:예). 이 경우, CPU(2)는 흐름도에 따라, 하기 설명될 괘선 속성 변경 처리를 수행한다.
괘선 속성 변경 처리가 완료된 후, CPU(2)는 편집 개시 여부를 재판정한다(단계 SC2).
편집 개시가 판정된 후에 "괘선 속성 변경"을 위한 조작 버튼이 눌러지지 않으면, CPU(2)가 편집 내용은 괘선 속성 변경이 아님을 판정한다(단계 SC5:아니오). 이 경우, CPU(2)는 편집 내용이 프레임 속성 변경인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C7). 프레임 속성 변경 처리는 프레임(셀)을 형성하는 괘선의 선폭, 및 프레임 내의 색상을 변경하기 위한 것이다.
"프레임 속성 변경"을 위한 조작 버튼이 눌러지는 경우, CPU(2)가 편집 내용이 프레임 속성 변경임을 판정한다(단계 SC 7:예). 이 경우, CPU(2)는 흐름도에 따라, 하기 설명될 프레임 속성 변경 처리를 수행한다(단계 SC8).
프레임 속성 변경 처리가 완료된 후, CPU(2)는 편집 개시 여부를 재판정한다(단계 SC2).
"프레임 속성 변경"을 위한 조작 버튼이 눌러지지 않은 경우, CPU(2)는 편집 내용이 프레임 속성 변경이 아님을 판정한다(단계 SC7:아니오). 이 경우, CPU(2)는 편집 내용이 괘선 추가임을 판정하며, 그리고 흐름도에 따라, 하기에서 설명될 괘선 추가 처리를 수행한다(단계 SC9). 괘선 추가 처리는 괘선들을 추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처리들을 수행한 후, 템플릿 화상의 표시를 종료하기 위한 조작 버튼이 눌러질 때, CPU(2)는 템플릿 화상의 표시 처리를 종료한다.
이하, 도 11에 나타낸 흐름도에 기초하여, 도 10의 단계 SC4에서, 프로젝터(51)에 의해 수행되는 괘선 이동 처리를 설명한다.
CPU(2)는 키입력부(7)로부터의 조작 정보에 기초하여, 편집 개시에 대한 조작 버튼이 눌러졌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D1).
편집 개시에 대한 조작 버튼이 눌러지지 않았다고 판정되는 경우(단계 SD1:아니오), CPU(2)는 편집 개시를 위한 조작 버튼이 눌러질 때까지 대기한다.
편집 개시에 대한 조작 버튼이 눌러졌다고 판정되는 경우(단계 SD1:예), CPU(2)는, 도 12에 나타낸 흐름도에 따라, 지정 위치 판정 처리를 수행한다(단계 SD2).
먼저, 디지털 카메라부(8)는 CPU(2)에 의해 제어되며, 그리고 스크린(S)을 투영한다(단계 SE1). 템플릿 화상은 스크린(S)에 투영된다.
CPU(2)는, 디지털 카메라부(8)에 의해 촬상을 수행함으로써 획득된 화상으로부터, 템플릿 화상의 표적 투영 지역을 클립한다(단계 SE2).
CPU(2)는 화상의 클립된 투영 지역의 사다리꼴 변형을 교정하며, 스포트라이트(P)의 조사 위치로서, 교정된 화상 지역에서 최대 밝기를 갖는 부분을 감지한다(단계 SE3).
스포트라이트(P)의 조사 위치가 판정되면, CPU(2)는 스포트라이트(P)의 조사 위치를 템플릿 데이터를 위한 좌표 데이터로 변환한다(단계 SE4).
CPU(2)는 스포트라이트(P)의 조사 위치를 표시하는 좌표에 기초하여, 스포트라이트(P)에 의해 지정된 괘선을 특정한다(도 11의단계 SD3).
CPU(2)는 키입력부(7)로부터의 조작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 방향을 지시하기 위한 조작 버튼이 눌러졌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D4).
이동 방향을 지시하기 위한 조작 버튼이 눌러지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단계 SD4:아니오), CPU(2)는 이동 방향을 지시하기 위한 조작 버튼이 눌러질 때까지 대기한다.
이동 방향을 지시하기 위한 조작 버튼이 눌러졌다고 판정되는 경우(단계 SD4:예), CPU(2)는, 지정된 양만큼, 지정된 방향으로 지정된 괘선을 이동한다(단계 SD5). 구체적으로, CPU(2)는 지정된 방향 및 양에 기초하여, 도 9A에 나타낸, 지정된 괘선의 괘선 데이터(21a)에서 좌표 데이터를 변경한다.
CPU(2)는, 도 9A에 나타낸, 괘선 데이터(21a)에 있는 좌표 데이터에 따라, 도 9B에 나타낸 셀 데이터(21b)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변경한다.
CPU(2)는 변경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새로운 템플릿 화상을 생성한다. 표시부(6)는 스크린(S)에 생성된 템플릿 화상을 재투영한다(단계 SD6).
CPU(2)는, 키입력부(7)로부터의 조작 정보에 기초하여, 편집 종료에 대한 조작 버튼이 눌러졌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D7).
편집 종료에 대한 조작 버튼이 눌러지지 않았다고 판정되는 경우(단계 SD7:아니오), CPU(2)는 단계 SD4 내지 SD6의 처리를 다시 한번 수행한다.
편집 종료에 대한 조작 버튼이 눌러졌다고 판정되는 경우(단계 SD7:예), CPU(2)는 괘선 이동 처리를 종료한다.
이하, 도 10의 단계 SC6에서, 프로젝터(51)에 의해 수행되는 괘선 속성 변경 처리를 도 13에 나타낸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CPU(2)는, 키입력부(7)로부터의 조작 정보에 기초하여, 편집 개시에 대한 조작 버튼이 눌러졌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편집 개시에 대한 조작 버튼이 눌러지지 않았다고 판정되는 경우(단계 SF1:아니오), CPU(2)는 편집 개시에 대한 조작 버튼이 눌러질 때까지 대기한다.
편집 개시에 대한 조작 버튼이 눌러졌다고 판정되는 경우(단계 SF1:예), CPU(2)는 도 12에 나타낸 흐름도에 따라, 지정 위치 판정 처리를 수행한다(단계 SF2).
CPU(2)는 스포트라이트(P)의 조사 위치를 표시하는 좌표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괘선을 특정한다(단계 SF3).
CPU(2)는 키입력부(7)로부터의 조작 정보에 기초하여, 속성이 지정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9단계 SF4).
속성 지정을 위한 조작 버튼이 눌러지지 않은 경우, CPU(2)는 속성이 아직 지정되지 않았음을 판정한다(단계 SF4:아니오). 이 경우, CPU(2)는 속성이 지정될 때까지 대기한다.
속성 지정을 위한 조작 버튼이 눌러진 경우, CPU(2)는 속성이 지정되었음을 판정하며(단계 SF4:예), 그리고 키입력부(7)로부터의 조작 정보에 기초하여, 변경될 속성이 괘선의 "선폭"인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F5).
변경될 속성으로서, 괘선의 "선폭"을 지정하기 위한 조작 버튼이 눌러지면, CPU(2)는 괘선의 "선폭"을 변경하기 위한 지시가 수행될 것을 판정한다(단계 SF5:예). 이 경우, CPU(2)는 키입력부(7)로부터의 조작 정보에 기초하여, 괘선의 "선폭"을 선택하기 위한 조작 버튼이 눌러졌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F6).
괘선의 "선폭"을 선택하기 위한 조작 버튼이 눌러지지 않았다고 판정되는 경우(단계 SF6:아니오), CPU(2)는 괘선의 "선폭"을 선택하기 위한 조작 버튼이 눌러질 때까지 대기한다.
괘선의 "선폭"을 선택하기 위한 조작 버튼이 눌러졌다고 판정되는 경우(단계 SF6:예), CPU(2)는 선택된 선폭으로 지정된 괘선의 선폭을 변경한다(단계 SF7). 구체적으로, CPU(2)는 도 9A에 나타낸 괘선 데이터(21a)에서, 지정된 괘선의 선폭 데이터를 변경한다.
도 9A에 나타낸 괘선 데이터(21a)의 선폭 데이터의 변경에 따라, CPU(2)는 도 9B에 나타낸 셀 데이터(21b)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변경한다.
CPU(2)는 변경된 괘선 데이터(21a)에 기초하여, 새로운 템플릿 화상을 생성한다. 표시부(6)는 스크린(S)에 생성된 템플릿 화상을 재투영한다(단계 SF13).
다음으로, 속성이 지정된 후, 괘선의 "선폭"을 선택하기 위한 조작 버튼이 눌러지지 않았다고 판정되는 경우(단계 SF5:아니오), CPU(2)는 키입력부(7)로부터의 조작 정보에 기초하여, 변경될 속성이 괘선의 색상인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F8).
괘선의 "색상"을 지정하는 조작 버튼이 눌러졌다고 판정되는 경우(단계 SF8:예), CPU(2)는 괘선의 "색상"을 변경하기 위한 지시가 수행될 것을 판정하며, 그리고 괘선의 "색상"을 선택하기 위한 조작 버튼이 눌러졌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F9). 괘선의 "색상"을 선택하기 위한 조작 버튼이 눌러지지 않았다고 판정되는 경우(단계 SF9:아니오), CPU(2)는 괘선의 "색상"을 선택하기 위한 조작 버튼이 눌러질 때가지 대기한다.
괘선의 "색상"을 선택하기 위한 조작 버튼이 눌러졌다고 판정되는 경우(단계 SF9:예), CPU(2)는 선택된 색상으로 지정된 괘선의 색상을 변경한다(단계 SF10). 구체적으로, CPU(2)는 도 9A에 나타낸 괘선 데이터(21a)에서 지정된 괘선의 색상 데이터를 변경한다.
도 9A에 나타낸 괘선 데이터(21a)의 색상 데이터의 변경에 따라, CPU(2)는 도 9B에 나타낸 셀 데이터(21b)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변경한다.
CPU(2)는 변경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새로운 템플릿 화상을 생성한다. 표시부(6)는 스크린(S)에 생성된 템플릿 화상을 재투영한다(단계 SF13).
괘선의 "색상"을 지정하기 위한 조작 버튼이 눌러지지 않았다고 판정되는 경우(단계 SF8:아니오), CPU(2)는 괘선의 "선종류"를 변경하기 위한 지시가 수행될 것을 판정한다.
이 경우에, CPU(2)는 키입력부(7)로부터의 조작 정보에 기초하여, 괘선의 "선종류"를 선택하기 위한 조작 버튼이 눌러졌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F11). 괘선의 "선종류"를 선택하기 위한 조작 버튼이 눌러지지 않았다고 판정되는 경우(단계 SF11:아니오), CPU(2)는 괘선의 "선종류"를 선택하기 위한 조작 버튼이 눌러질 때까지 대기한다.
괘선의 "선종류"를 선택하기 위한 조작 버튼이 눌러졌다고 판정되는 경우(단계 SF11:예), CPU(2)는 지정된 괘선의 선종류를 선택된 선종류로 변경한다(단계 SF12). 구체적으로, CPU(2)는 도 9A에 나타낸 괘선 데이터(21a)에서, 지정된 괘선의 선종류 데이터를 변경한다.
도 9A에 나타낸 괘선 데이터(21a)의 선종류 데이터의 변경에 따라, CPU(2)는 도 9B에 나타낸 셀 데이터(21b)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변경한다.
CPU(2)는 변경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새로운 템플릿 화상을 생성한다. 표시부(6)는 스크린(S)에 생성된 템플릿 화상을 재투영한다(단계 SF13).
템플릿 화상이 스크린(S)에 재투영된 후, CPU(2)는 괘선 속성 변경 처리를 종료한다.
이하, 도 10의 단계 SC8에서, 프로젝터(51)에 의해 수행되는 프레임 속성 변경 처리를 도 14에 나타낸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CPU(2)는, 키입력부(7)로부터의 조작 정보에 기초하여 편집 개시를 위한 조작 버튼이 눌러졌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G1).
편집 개시를 위한 조작 버튼이 눌러지지 않았다고 판정되는 경우(단계 SG1:아니오), CPU(2)는 편집 개시를 위한 조작 버튼이 눌러질 때까지 대기한다.
편집 개시를 위한 조작 버튼이 눌러졌다고 판정되는 경우(단계 SG1:예), CPU(2)는 도 12에 나타낸 흐름도에 따라, 지정 위치 판정 처리를 개시한다(단계 SG2).
CPU(2)는 스포트라이트(P)의 조사 위치를 표시하는 좌표에 기초하여, 투영된 템플릿 화상으로부터, 레이저 포인터(400)의 스포트라이트(P)에 의해 지정된 프레임을 특정한다(단계 SG3).
CPU(2)는, 키입력부(7)로부터의 조작 정보에 기초하여, 변경될 속성이 지정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G4)
속성 지정을 위한 조작 버튼이 눌러지지 않으면, CPU(2)는 변경될 속성이 아직 지정되지 않았음을 판정한다(단계 SG4:아니오). 이 경우, CPU(2)는 속성이 지정될 때까지 대기한다.
속성 지정을 위한 조작 버튼이 눌러지면, CPU(2)는 변경될 속성이 지정되었음을 판정한다(단계 SG4:예). 이 경우, CPU(2)는 프레임의 "선폭"을 변경하기 위한 지시가 수행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G5).
프레임의 "선폭"을 변경하기 위한 조작 버튼이 눌러지면, CPU(2)는 프레임을 형성하는 프레임의 "선폭"을 변경하기 위한 지시가 수행되었음을 판정한다(단계 SG5:예). 이 경우, CPU(2)는 괘선의 "선폭"을 선택하기 위한 조작 버튼이 눌러졌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G6).
괘선의 "선폭"을 선택하기 위한 조작 버튼이 눌러지지 않았다고 판정되는 경우(단계 SG6:아니오), CPU(2)는 괘선의 "선폭"을 선택하기 위한 조작 버튼이 눌러질 때까지 대기한다.
괘선의 "선폭"을 선택하기 위한 조작 버튼이 눌러졌다고 판정되는 경우(단계 SG6:아니오), CPU(2)는 선택된 선폭으로 지정된 프레임을 형성하는 괘선의 선폭을 변경한다(단계 SG7). 구체적으로, CPU(2)는 도 9B에 나타낸 셀 데이터(21b)에서, 지정된 프레임을 형성하는 상하좌우 괘선의 선폭 데이터를 변경한다.
CPU(2)는 변경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새로운 템플릿 화상을 생성한다. 표시부(6)는 스크린(S)에 생성된 템플릿 화상을 재투영한다(단계 SG 10).
다음으로, 속성 지정을 위한 조작 버튼이 눌러진 후, 프레임의 "선폭"을 지정하기 위한 조작 버튼이 눌러지지 않았다고 판정되는 경우(단계 SG8:예), CPU(2)는 프레임의 "내부 색상"을 변경하기 위한 지시가 수행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이 경우, CPU(2)는 내부 색상을 선택하기 위한 조작 버튼이 눌러졌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G 8).
CPU(2)가 내부 색상을 선택하기 위한 조작 버튼이 눌러지지 않았다고 판정하는 경우(단계 SG8:아니오), CPU(2)는 내부 색상을 선택하기 위한 조작 버튼이 눌러질 때까지 대기한다.
내부 색상을 선택하기 위한 조작 버튼이 눌러졌다고 판정되는 경우(단계 SG8:예), CPU(2)는 지정된 프레임의 내부 색상을 선택된 색상으로 변경한다(단계 SG9). 구체적으로, CPU(2)는 도 9B에 나타낸 괘선 데이터(21a)에서, 지정된 프레임의 색상 데이터를 변경한다.
CPU(2)는 변경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새로운 템플릿 화상을 생성한다. 표시부(6)는 스크린(S)에 생성된 템플릿 화상을 재투영한다.
CPU(2)는, 스크린(S)에 생성된 템플릿 화상을 재투영한 후, 프레임 속성 변경 처리를 종료한다.
이하, 프로젝터(51)에 의해 수행되는 괘선 추가 처리를 도 15에 나타낸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CPU(2)는 키입력부(7)로부터의 조작 정보에 기초하여, 시점 지시가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H1).
시점을 지시하기 위한 조작 버튼이 눌러지지 않으면, CPU(2)는 시점 지시가 완료되지 않았음을 판정한다(단계 SH1:아니오). 이 경우, CPU(2)는 시점을 지시하기 위한 조작 버튼이 눌러질 때까지 대기한다.
시점을 지시하기 위한 조작 버튼이 눌러지면, CPU(2)는 시점 지시가 완료되었음을 판정한다(단계 SH1:예). 이 경우, CPU(2)는 도 12에 나타낸 흐름도에 따라, 지정 위치 판정 처리를 수행한다(단계 SH2). 그 후 CPU(2)는 획득된 좌표를 시점의 좌표로서 RAM(4)에 저장한다.
CPU(2)는 키입력부(7)로부터의 조작 정보에 기초하여, 종점 지시가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H3).
종점을 지시하기 위한 조작 버튼이 눌러지지 않으면, CPU(2)는 종점 지시가 완료되지 않았음을 판정한다(단계 SH3:아니오). 이 경우, CPU(2)는 종점을 지시하기 위한 조작 버튼이 눌러질 때까지 대기한다.
종점을 지시하기 위한 조작 버튼이 눌러지면, CPU(2)는 종점 지시가 완료되었음을 판정한다(단계 SH3:예). 이 경우, CPU(2)는 도 12에 나타낸 흐름도에 따라, 지정 위치 판정 처리를 수행한다(단계 SH2). CPU(2)는 획득된 좌표를 종점의 좌표로서 RAM(4)에 저장한다.
CPU(2)는 지정된 시점 및 종점을 포함하는 새로운 선 데이터를 투영된 템플릿 화상의 괘선 데이터(21a)에 추가한다(단계 SH5). CPU(2)는 괘선 데이터(21a)의 추가에 따라, 새로운 선 데이터를, 또한 셀 데이터(21b)에 추가한다.
CPU(2)는 변경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새로운 템플릿 화상을 생성한다. 표시부(6)는 스크린(S)에 생성된 템플릿 화상을 재투영한다(단계 SH6).
CPU(2)는, 스크린(S)에 템플릿 화상을 재투영한 후, 괘선 추가 처리를 종료한다.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프로젝터(51)는 템플릿 화상들을 편집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실시예와 같은 방법으로, 챠트 생성에 있어서의 시간 절약 효과가 발생되며, 그리고 필요한 템플릿 화상은 쉽게 획득될 수 있다.
템플릿 화상들은 상기 설명된 템플릿 데이터(괘선 데이터(21a) 및 셀 데이터(21b))로서 보유되며, 그리고 템플릿 화상은 템플릿 데이터에 기초하여 투영된다. 따라서, 템플릿 화상들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용량이 감소되며, 그리고 더 많은 템플릿 화상들이 저장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이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해 가능하며, 그리고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 1 실시예에서, 템플릿을 표시하기 위한 조작 버튼은 템플릿 화상에 대응한다. 그러나, 키입력부(7)는 템플릿 화상들을 전환하기 위한 전환 버튼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리고 CPU(2)는 전환 버튼이 눌러질 때마다 템플릿 화상들을 전환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구성에 의해, 필요한 템플릿 화상의 선택은 더 작은 수의 전환 버튼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제 2 실시예에서, "괘선 이동", "괘선 속성 변경", 및 "프레임 속성 변경"의 처리는 편집 처리로서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편집 처리는 이것들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괘선 삭제 등과 같은 편집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제 2 실시예에서, 템플릿 화상의 괘선 및 프레임은 다양한 편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씩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편집 대상으로 선택되는 괘선 및 프레임은 하나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라인들의 수 및 행들의 수를 지정함으로써, 복수의 괘선들 및 프레임들이 지정될 수 있다. 전체 템플릿 화상이 선택될 수 있으며, 전체 템플릿 화상이 한 번에 편집될 수 있다.
제 2 실시예에서, 챠트 양식에 템플릿 화상을 생성하기 위한 템플릿 데이터가 메모리 카드(21)에 저장되는 경우가 설명되었다. 그러나, 단지 수평 괘선들 및 수직 괘선들, 즉 단지 괘선 데이터(21a)로만 구성된 템플릿 화상들을 생성하기 위한 템플릿 데이터가 메모리 카드(21)에 저장될 수 있다. 그 데이터는 메모리 카드(21)와 다른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제 2 실시예에서, 레이저 포인터(400)가 특정한 괘선들 및 프레임들을 지정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그러나, 조작 버튼이 레이저 포인터(400) 대신에 사용될 수 있으며, 그리고 괘선들 및 프레임들이 조작 버튼에 의해 지정되는 구성이 가능하다. 이 경우, 프로젝터(51)는 디지털 카메라부(8)를 포함할 필요가 없다.
편집 처리는 다양한 방법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조작 버튼이 눌러질 때마다 괘선들 및 프레임들의 편집 선택이 전환될 수 있다. 전환된 괘선들 및 프레임들은 색상을 이용하여 표현될 수 있으며, 템플릿 화상들이 후속적으로 업데이트되고, 투영된다. 괘선들 및 프레임들은, 템플릿 화상 위에 중첩되어 표시되는 마우스 포인터에 의해 지정될 수 있으며, 그리고 방향을 지정하는 조작 버튼에 의해 그것을 이동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에서, 현존하는 템플릿 화상의 편집이 설명되었다. 그러나, 새로운 화상이, 현존하는 템플릿 화상을 이용하지 않고, 사용자로 하여금 괘선들의 수, 행들의 수, 및 괘선의 선폭을 지정하게 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프로젝터(51)는, 템플릿 화상이 편집된 후, 새로 생성된 템플릿 화상의 메모리 카드(21)로의 저장을 지정하기 위한 저장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는, 프로젝터(51)가 디지털 카메라부(8)에 의해 얻어진 화상 데이터를 PC(100)에 출력하고, PC(100)가 프로젝터(51)로부터의 화상 데이터 출력을 저장부(103)에 저장하도록,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에서의 디지털 카메라부(8)는 프로젝터(1,51)에 내장되는 것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일반 목적의 디지털 카메라가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젝터(1,51) 및 디지털 카메라가 예를 들어 USB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면, 데이터 통신은 USB 케이블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프로젝터(1,51)가 라디오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면, 데이터 통신은 라디오에 의해 가능해질 수 있다.
본 특허 출원은, 그 완전한 공개가 본 명세서에 병합참조되고, 2002년 12월 20일에 일본 특허청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 2002-369133에 기초한 파리 조약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투영 장치, 투영 시스템 및 화상 획득 방법의 형태로 산업상 유익하게 이용될 수 있다

Claims (13)

  1. 스크린(S)에 화상들을 투영하는 장치로서:
    제공된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화상들을 투영하는 투영부(6);
    사전설정되어 있는 형태를 갖는 템플릿 화상들을 생성하기 위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들(5,21), 및
    저장부들(5,21)로부터 템플릿 화상들(T1,T2,T3)을 생성하기 위한 데이터를 호출하고, 호출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성된 화상 데이터를 상기 투영부(6)로 제공하며, 및 상기 투영부(6)로 템플릿 화상들을 투영하는 제어부(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영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들(5,21)은 상기 템플릿 화상들(T1,T2,T3)을 생성하기 위한 데이터로서 상기 템플릿 화상들(T1,T2,T3)의 픽셀 정보를 저장하며; 및
    상기 제어부(2)는 상기 저장부들(5,21)로부터 픽셀 패턴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픽셀 패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투영부(6)로 제공하기 위해 상기 템플릿 화상들(T1,T2,T3)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영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들(5,21)은, 상기 템플릿 화상들(T1,T2,T3)을 생성하기 위한 데이터로서, 괘선을 그리며 상기 템플릿 화상들(T1,T2,T3)을 생성하기 위한 템플릿 데이터(21a,21b)를 저장하며, 및
    상기 제어부(2)는 상기 저장부들(5,21)로부터 상기 템플릿 데이터(21a,21b)를 호출하고, 호출된 템플릿 데이터(21a,21b)에 기초하여 괘선을 그리며, 및 상기 투영부(6)에 제공하기 위해 상기 템플릿 화상들(T1,T2,T3)의 테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영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스크린(S)에 투영되는 상기 템플릿 화상들(T1,T2,T3)의 편집 위치를 지시하는 지시부(400), 및
    획득된 편집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편집 위치에 대응하는 데이터의 편집 내용을 입력하는 입력부(7)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2)는 상기 지시부(400)에 의해 지시된 편집 위치의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편집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편집 위치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특정하며, 및 상기 입력부(7)가 입력한 편집 내용에 기초하여 획득된 데이터를 편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영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들(5,21)은, 상기 템플릿 데이터로서, 그려질 괘선들을 정의하는 괘선 데이터(21a)를 저장하며, 및
    상기 제어부(2)는 획득된 편집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편집 위치에 대응하는 괘선 데이터(21a)를 특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영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들(5,21)은 그려질 괘선의 속성을 표시하는 괘선 속성 정보를 포함하는 괘선 데이터(21a)를 저장하며, 및
    상기 제어부(2)는 상기 입력부(7)가 입력하는 편집 내용에 기초하여, 상기 괘선 데이터(21a)를 포함하는 괘선 속성 정보를 편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영 장치.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들(5,21)은 상기 템플릿 데이터로서 상기 템플릿 화상들(T1,T2,T3)을 형성하는 괘선에 의해 둘러싸인 셀을 정의하는 셀 데이터(21b)를 저장하며, 및
    상기 제어부(2)는 획득된 편집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편집 위치에 대응하는 셀 데이터(21b)를 특정하며, 및 상기 저장부들(5,21)로부터 특정된 셀 데이터(21b)를 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영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들(5,21)은 셀들의 속성을 표시하는 셀 속성 정보를 포함하는 셀 데이터(21b)를 저장하며, 및
    상기 제어부(2)는 상기 저장부들(5,21)로부터의 상기 셀 데이터(21b)를 포함하는 셀 속성 정보를 호출하고, 상기 입력부(7)가 입력하는 편집 내용에 기초하여, 호출된 셀 속성 정보를 편집하며, 및 상기 편집된 셀 데이터(21b)를 상기 저장부들(5,21)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영 장치.
  9.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부(400)는 상기 스크린(S)에 스포트라이트를 조사하며, 및 상기 스크린(S)의 촬상을 수행하는 촬상부(8)를 포함하고, 및
    상기 제어부(2)는 상기 템플릿 화상들(T1,T2,T3)이 투영되고 상기 스포트라이트가 조사되는 스크린(S)의 촬상을 수행하기 위해 촬상부(8)를 제어하고, 촬상을 수행하는 상기 촬상부(8)에 의해 획득된 화상으로부터 상기 템플릿 화상들(T1,T2,T3) 및 상기 지시부(400)의 스포트라이트의 위치 관계를 획득하며, 및 획득된 위치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템플릿 화상들(T1,T2,T3)의 편집 위치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영 장치.
  10. 스크린(S)에 화상들을 투영하는 장치로서:
    상기 스크린(S)에 제공된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화상들을 투영하는 투영부(6);
    사전설정되어 있는 형태를 갖는 템플릿 화상들을 생성하기 위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들(5,21);
    상기 스크린(S)의 촬상을 수행하기 위한 촬상부(8);
    상기 투영부(6) 및 상기 촬상부(8)를 제어하기 위한 지시들을 수신하기 위한 지시 수신부(7), 및
    상기 지시 수신부(7)가 수신한 투영 지시에 따라, 상기 투영부(6)로 상기 저장 수단들(5,21)에 저장된 템플릿 화상들(T1,T2,T3)을 생성하기 위한 데이터를 제공하고, 상기 투영부(6)로 상기 템플릿 화상들(T1,T2,T3)을 투영하며, 및 상기 지시 수신부(7)가 수신한 촬상 지시에 따라, 상기 스크린(S)의 촬상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촬상부(8)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영 장치.
  11. 스크린(S)에 화상들을 투영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스크린(S)에 화상들을 투영하는 투영 장치들(1,51);
    상기 스크린(S)으로 투영되는 화상들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화상 저장부(100);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투영 장치들(1,51)은:
    상기 스크린(S)에 제공된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화상들을 투영하는 투영부(6);
    형태들이 사전설정되어 있는 템플릿 화상들(T1,T2,T3)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들(5,21);
    상기 스크린(S)의 촬상을 수행하는 촬상부(8);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부(9);를 포함하며, 및
    상기 화상 저장부(100)는:
    상기 스크린(S)에 투영되는 문서 화상들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103), 및
    상기 저장부(103)로부터 상기 문서 화상의 데이터를 호출하며, 호출된 화상 데이터를 투영 장치들(1,51)로 송신하고, 투영 장치들로부터 송신된 화상의 데이터를 수신하며, 및 상기 저장부(103)로 상기 문서 화상의 데이터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어부(10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영 시스템.
  12. 형태가 사전설정되어 있는 템플릿 화상을 스크린에 투영하는 단계, 및
    상기 템플릿 화상이 투영되는 상기 스크린의 촬상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에 화상을 투영하는 화상 획득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에 상기 템플릿 화상을 투영하는 단계는:
    사전에 상기 스크린에 투영되는 템플릿 화상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템플릿 화상의 상기 저장된 데이터를 호출하여, 그것을 상기 스크린에 투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획득 방법.
KR1020057010860A 2002-12-20 2003-12-18 투영 장치, 투영 시스템 및 화상 획득 방법 KR1007437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369133 2002-12-20
JP2002369133A JP2004198858A (ja) 2002-12-20 2002-12-20 投影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5647A true KR20050085647A (ko) 2005-08-29
KR100743798B1 KR100743798B1 (ko) 2007-07-30

Family

ID=32677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0860A KR100743798B1 (ko) 2002-12-20 2003-12-18 투영 장치, 투영 시스템 및 화상 획득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524066B2 (ko)
EP (1) EP1573392B1 (ko)
JP (1) JP2004198858A (ko)
KR (1) KR100743798B1 (ko)
CN (1) CN1729427B (ko)
AU (1) AU2003294179A1 (ko)
TW (1) TWI233526B (ko)
WO (1) WO2004057565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7480A (ko) 2019-10-22 2021-04-30 (재)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고함수 상태의 오염 준설토 급속 처리용 고화재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10284A (ja) * 2004-01-21 2005-08-04 Nec Viewtechnology Ltd プロジェクタの選択システム、プロジェクタの選択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NZ527240A (en) * 2004-01-29 2006-09-29 Bruce Peter Parker Method for depicting an image on an event surface
WO2006011192A1 (ja) * 2004-07-26 2006-02-02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会議システム
JP4752569B2 (ja) * 2006-03-29 2011-08-17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投影装置、光源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TWM300825U (en) * 2006-05-25 2006-11-11 Everest Display Inc Projector capable of extracting image and briefing system using the same
US20080068495A1 (en) * 2006-09-19 2008-03-20 Gwenne Siron Bacani Imajector
US8016198B2 (en) * 2007-10-09 2011-09-1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lignment and non-alignment assist images
JP5577023B2 (ja) * 2008-02-22 2014-08-20 日立コンシューマ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表示装置
JP5556150B2 (ja) 2009-11-30 2014-07-2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ー及びその制御方法
JP2011126064A (ja) * 2009-12-16 2011-06-30 Seiko Epson Corp 表示システム、および表示システムの制御方法、プロジェクター
KR20110069958A (ko) * 2009-12-18 2011-06-24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로젝터 기능의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생성 방법 및 장치
JP2011130316A (ja) * 2009-12-21 2011-06-30 Seiko Epson Corp プロジェクター及び画像投射方法
JP2011141411A (ja) * 2010-01-07 2011-07-21 Seiko Epson Corp プロジェクター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9264627B2 (en) * 2012-01-09 2016-02-16 Lifetouch Inc. Video photography system
US10528772B1 (en) 2012-02-24 2020-01-07 Socket Mobile, Inc. Assisted aimer for optimized symbol scanning by a portable computing device having an integral camera
US9122378B2 (en) 2012-05-07 2015-09-01 Seiko Epson Corporation Image projector device
KR101428365B1 (ko) * 2013-02-25 2014-08-08 주식회사 팬택 모바일 기기의 홈 스크린에서 위젯을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JP6073206B2 (ja) * 2013-10-31 2017-02-01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2015164031A (ja) * 2014-01-30 2015-09-10 株式会社リコー 画像表示システム
CN112711370B (zh) * 2021-03-29 2021-07-02 深圳市火乐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图像编辑方法、装置及投影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31258A (ja) 1986-11-20 1988-06-03 Fuji Electric Co Ltd マルチプロセツサシステムipl方式
US5699460A (en) * 1993-04-27 1997-12-16 Array Microsystems Image compression coprocessor with data flow control and multiple processing units
JPH0980372A (ja) 1995-09-07 1997-03-28 Toshiba Corp 投写型表示装置
JP3000929B2 (ja) * 1996-06-07 2000-01-17 日本電気株式会社 メモリカードを用いた画像表示方法及びシステム
US5909678A (en) * 1996-09-13 1999-06-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mputer systems, method and program for constructing statements by dragging and dropping iconic representations of subcomponent statements onto a phrase template
JPH10229463A (ja) 1997-02-14 1998-08-25 Nec Corp 電子黒板
JPH1138902A (ja) 1997-07-18 1999-02-12 Ricoh Elemex Corp プレゼンテーション装置
JP3895492B2 (ja) * 1998-03-13 2007-03-22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H11305335A (ja) 1998-04-20 1999-11-05 Minolta Co Ltd プレゼンテーションシステム
US6597410B1 (en) * 1999-11-10 2003-07-2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for the automatic adaptation of projector images and a method for the implementation thereof
JP3918405B2 (ja) 2000-06-12 2007-05-2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
DE60115722T2 (de) * 2000-09-18 2006-09-07 Fuji Photo Film Co., Ltd., Minami-Ashigara System zum Speichern von Kunstknochenschablonen und Aufzeichnungsträger dafür
US7325190B1 (en) * 2000-10-02 2008-01-29 Boehmer Tiffany D Interface system and method of building rules and constraints for a resource scheduling system
JP4012710B2 (ja) * 2001-02-14 2007-11-21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入力装置
JP2002247614A (ja) 2001-02-15 2002-08-30 Ricoh Co Ltd プロゼェクタ
JP4508553B2 (ja) * 2003-06-02 2010-07-21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撮影画像投影装置、及び撮影画像の補正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7480A (ko) 2019-10-22 2021-04-30 (재)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고함수 상태의 오염 준설토 급속 처리용 고화재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73392A2 (en) 2005-09-14
WO2004057565A2 (en) 2004-07-08
AU2003294179A8 (en) 2004-07-14
TW200413821A (en) 2004-08-01
TWI233526B (en) 2005-06-01
KR100743798B1 (ko) 2007-07-30
JP2004198858A (ja) 2004-07-15
CN1729427B (zh) 2011-02-09
AU2003294179A1 (en) 2004-07-14
CN1729427A (zh) 2006-02-01
WO2004057565A3 (en) 2005-04-07
US20060033884A1 (en) 2006-02-16
EP1573392B1 (en) 2016-04-13
US7524066B2 (en) 2009-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3798B1 (ko) 투영 장치, 투영 시스템 및 화상 획득 방법
US20030210229A1 (en) Presentation system, material presenting device, and photographing device for presentation
JP2008225556A (ja) プロジェクタシステム
JPH0498465A (ja) パニング制御システム
JP2004199299A (ja) 手書き情報記録方法、投影記録装置
JP6816402B2 (ja) 表示装置および表示装置の制御方法
JP2008102332A (ja) プロジェクタ
JP2008090563A (ja) 投影装置
JP2009063685A (ja) 表示方法とプロジェクタ
JP2019114142A (ja) 表示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10021929A (ja) 画像投影装置
JP2023077506A (ja) 表示システム、及び表示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5200816B2 (ja) 撮像装置、撮像装置の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KR101214107B1 (ko) 프로젝터 및 화상 투사 방법
JP4534205B2 (ja) 画像表示装置
JP5061762B2 (ja) 書画カメラ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250962B2 (ja) 投影装置、投影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3090978B2 (ja) 画像切抜き処理装置
JP2004030589A (ja) プレゼンテーションシステム
JPH02306294A (ja) 位置検出装置及び該位置検出装置を利用した画像表示装置
JP3202435B2 (ja) 画像表示方法とその装置
JPH09114966A (ja) 原稿表示装置
JP2022132791A (ja) 表示装置の制御方法及び表示装置
JPH0799555A (ja) ビデオスキャナ装置
JP5488584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