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3530A - 이동 통신 단말기를 활용한 차량 정보 출력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단말기를 활용한 차량 정보 출력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3530A
KR20050083530A KR1020040033715A KR20040033715A KR20050083530A KR 20050083530 A KR20050083530 A KR 20050083530A KR 1020040033715 A KR1020040033715 A KR 1020040033715A KR 20040033715 A KR20040033715 A KR 20040033715A KR 20050083530 A KR20050083530 A KR 200500835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vehicle inform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3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32402B1 (ko
Inventor
김선채
Original Assignee
에이치케이이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케이이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치케이이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337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2402B1/ko
Publication of KR200500835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35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24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24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2Ensuring safety in case of control system failures, e.g. by diagnosing,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 B60W50/0205Diagnosing or detecting failures; Failure detection mod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1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emergency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geographic lo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larm System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정보 출력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에 제공되는 차량측 자기 진단 커넥터에 대응하여 접속되는 차량 정보 처리 장치와, 상기 차량 정보 처리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여 차량 자기진단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며 이동 통신 서비스 업체 서버와 통신하여 이동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로 구성되는 차량 정보 출력 시스템에 있어서, (1)상기 차량 정보 처리 장치는, 차량측 자기 진단 커넥터의 단자에 도전 가능하도록 일단부가 접속하는 접속 단자와, 상기 접속 단자가 수용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커넥터와, 상기 접속 단자의 타단부가 도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에 대해서 실질적으로 이동이 제한되도록 배치되는 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기판은, 상기 접속 단자를 통한 차량의 전자제어 장치와의 자기 진단 통신을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차량측 자기 진단 커넥터의 접속 단자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차량 정보 단말기의 공급 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차량 정보 단말기에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와, 상기 자기 진단 통신을 통해 획득된 차량 자기 진단 데이터와 차량 운행 정보를 처리하는 제어부와, 상기 차량 자기 진단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와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며, (2)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기능을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와, 이동 통신 단말기 사용자에게 정보를 전달하는 출력부와, 이동 통신에 필요한 이동 통신 모듈과, 이동 통신 단말기의 작동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장치와, 이동 통신 단말기 작동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작동 명령 입력부와, 이동 통신 단말기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저장부와, 상기 차량 정보 처리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차량 정보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 처리 장치는 상기 차량 정보 처리 장치의 상기 통신부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상기 차량 정보 통신부의 통신을 수행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처리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동 통신 단말기를 활용한 차량 정보 출력 시스템{Vehicle Information Displaying System Using Mobile Communication device}
본 발명은 차량측 자기진단 커넥터에서 진단된 차량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정보 출력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 정보 처리 장치와, 상기 차량 정보 처리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여 차량 자기진단 정보를 얻도록 구성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로 구성된 차량 정보 출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한국 특허 공개 특2003-0069520에는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한 차량 진단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진단방법에 대해 기술하고 있으나, 상기 공개 공보에 서술된 바와 같이, 차종마다 그리고 차량 내 전자제어 유니트마다 다른 통신 프로토콜을 추적하기 위해 복잡한 프로세스를 거쳐야 하고, 이를 위한 통신 제어 프로그램이 내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가 필요하였다. 또한 한국 특허 공개 특2000-0000230에는 차계부기능이 내장된 휴대용 차량관리장치에 대해 기술하고 있으나, 상기 장치로 차량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차량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가 일일이 입력하여 주어야 하는 불편이 따랐다.
나아가, 종래 차량 정보 출력 장치로 사용되었던 텔레매틱스 단말기들은 차량측 와이어닝 하니스의 수정이 필요하거나, 차량측 전자제어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별도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개발하여야 하거나, 통신 프로토콜을 개발하여야 하였으며, 고가의 텔레매틱스 단말기들의 활용 범위가 차량 내부로 제한되는 단점이 있었다.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와 차량 정보처리 장치가 통신 가능하도록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를 차량 정보 출력 장치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는 차량측 전자 제어 장치와 자기 진단 통신을 하기 위한 차량측 와이어닝 하니스의 수정 또는 별도 커넥터의 제작 또는 별도 통신 프로토콜 개발이 불필요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차량에 관한 정보를 일일이 입력할 필요없이 간단한 구성으로 이동통신 단말기가 차량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차량의 정보를 입력받아 이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출력하고, 필요에 따라 차량 관리를 위한 단말기로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될 수 있도록 하며, 나아가 긴급 상황시에는 별도의 조작 없이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제공되는 이동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제3의 기관 등에 긴급 상황을 알릴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차량정보 출력 시스템의 제1 형태는, 차량에 제공되는 차량측 자기 진단 커넥터에 대응하여 접속되는 차량 정보 처리 장치와, 상기 차량 정보 처리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여 차량 자기진단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며 이동 통신 서비스 업체 서버와 통신하여 이동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로 구성되는 차량 정보 출력 시스템에 있어서, (1)상기 차량 정보 처리 장치는, 차량측 자기 진단 커넥터의 단자에 도전 가능하도록 일단부가 접속하는 접속 단자와, 상기 접속 단자가 수용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커넥터와, 상기 접속 단자의 타단부가 도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에 대해서 실질적으로 이동이 제한되도록 배치되는 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기판은, 상기 접속 단자를 통한 차량의 전자제어 장치와의 자기 진단 통신을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차량측 자기 진단 커넥터의 접속 단자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차량 정보 단말기의 공급 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차량 정보 단말기에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와, 상기 자기 진단 통신을 통해 획득된 차량 자기 진단 데이터와 차량 운행 정보를 처리하는 제어부와, 상기 차량 자기 진단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와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며, (2)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기능을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와, 정보 출력부와, 이동 통신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이동 통신 모듈과, 이동 통신 단말기의 작동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장치와, 이동 통신 단말기 작동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작동 명령 입력부와, 이동 통신 단말기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저장부와, 상기 차량 정보 처리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차량 정보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 처리 장치는 상기 차량 정보 처리 장치의 상기 통신부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상기 차량 정보 통신부의 통신을 수행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처리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상기 차량정보 처리 장치는, 본 발명자가 한국 특허 출원 10-2004-0030388에서 출원한 차량정보 처리 장치로, 상기 차량 정보 처리 장치와 통신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차량 정보 처리 장치와 통신을 통해 차량의 정보를 얻도록 구성되므로, 차량내 전자제어 장치(ECU;Electronic Control Unit)와의 별도의 통신을 위한 차량측 와이어닝 하니스 수정, 통신 인터페이스부 내지 통신 프로토콜 개발 등이 필요없게 된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동 통신 서비스 업체 서버와 이동 통신 가능한 휴대폰(CDMA 단말기,PCS 단말기,GSM 단말기) PDA, 무선 인터넷이 가능한 노트북 등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차량 정보 처리 장치와 이동 통신 단말기의 통신은 무선 통신을 위한 블루투스(Blue Tooth) 모듈, 유선 통신을 위한 RSC-232C, USB 등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차량내 전자제어 장치와 별도의 통신을 수행하지 아니하고, 상기 차량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상기 유/무선 통신을 이용해 차량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으므로, 보다 간단한 구성으로 차량 정보를 입력받고, 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제공되는 상기 출력부로 출력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차량의 정보 등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 차량 정보 출력을 위해 고가의 장비인 텔레매틱스 단말기를 제작하고도,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의 사용범위가 차량 내부로 한정되었던 점을 해소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를 차량 내부에서는 차량 정보 출력 장치로 사용하며 차량 밖에서는 통상의 이동 통신 단말기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상기 차량 정보 처리 장치에 제공되는 제어부의 처리 기능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중앙 처리 장치의 처리 기능은 신호로 입력되는 정보의 획득, 입력된 정보를 통한 비교 연산 수행, 주변 기기에의 정보 전달 등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되었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정보 출력 시스템의 제2 실시형태는 상기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는 상기 차량 정보 처리 장치의 상기 통신부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상기 차량 정보 통신부간의 통신에 의해 입력되는 신호를 처리하는 차량 정보 처리부를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기 중앙처리장치와 별도로 차량 정보를 처리하는 상기 차량 정보 처리부가 제공되므로, 상기 중앙처리장치의 정보 처리 용량 제한에 따른 시스템 과부하, 이동 통신 단말기 자체의 가격 상승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정보 처리 장치와 통신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3 실시형태는 상기 제1 실시형태 또는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정보 처리 장치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통신이 블루투스 모듈을 이용한 무선 통신으로 구성되므로, 유선에 의할때 사용자가 상기 차량 정보 처리 장치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통신을 위한 유선 연결을 해야하는 불편을 줄일 수 있고,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차량 정보 처리 장치의 근거리 통신 가능 범위 내에 위치하기만 하면, 자동으로 커넥션 설정되도록 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를 상기 차량 정보의 출력 장치로 사용하는데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정보 출력 시스템의 제4 실시형태는 상기 제1 실시형태 내지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기 저장부에는 긴급전화번호 및 긴급 구난 메세지가 더 저장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GPS 위성으로부터 GPS신호를 수신하여 이동통신 단말기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GPS 수신부와, 상기 차량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사고 발생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긴급전화번호를 자동 다이얼링 한 후 전화연결시 상기 긴급구난 메세지와 상기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송신하는 긴급구난 처리부를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차량 정보 처리 장치가 사고 발생 여부를 판별하는 연산을 수행하여 사고가 발생하였다고 판별된 경우,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여 이동통신 단말기가 있는 지점을 사고 발생 지점으로 하고, 상기 사고 발생 지점 데이터와 긴급 구난 메세지 등을 제3 기관, 예를 들어 손해보험 회사나 경찰서, 병원 등에 송신하여, 긴급 상황에서 운전자가 사고 발생 여부를 통보할 수 없는 경우에도, 신속하게 사고 발생 사실과 사고 발생 지점을 송신하여 상기 제3 기관이 신속히 이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정보 출력 시스템의 제5 실시형태는 상기 제1 실시형태 내지 제4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차량 운행 정보가, 차량 상태 정보, 운행 기록 정보, 사고 통보 및 사고 기록정보, 운전 성향 분석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차량 처리 장치로 부터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획득하는 차량 운행 정보가, 차량의 고장 여부 등을 판별하기 위한 차량 상태 정보, 차량 운전자의 운행 기록을 파악하여 휴식이 필요한지 여부 등을 판별하기 위한 차량 운행 기록 정보, 사고 발생시 이에 신속히 대응하고 사고 시점 전후의 차량 운행 상태를 파악하여 손해 배상시 데이터로 사용하기 위한 사고 통보 및 사고 기록 정보, 평상시 운행자의 운전 성향을 분석하여 잘못된 운전 성향 등에 대해 경고 해주고 이를 바로 잡기 위한 운전 성향 분석 정보 등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는 이러한 정보를 사용자가 식별가능하도록 출력하여 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정보 출력 시스템의 제6 실시형태는 상기 제1 실시형태 내지 제5 실시형태에 있어서, 차량 운행 거리에 따른 차량 소모품 관리 데이터가 저장되는 관리 데이터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기 중앙처리 장치는 상기 차량 정보 처리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여 획득된 차량 정보로부터 차량 운행 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소모품 관리 데이터와 비교 연산을 수행하며, 상기 출력부는 상기 비교 연산 결과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저장된 주행 거리에 따른 차량 소모품 관리 데이터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를 차계부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정보 출력 시스템의 제7 실시형태는 상기 제1 실시형태 내지 제6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는 차량 운행 거리에 따른 차량 소모품 관리 데이터와 차량 소모품 교체 정보가 저장되는 관리 데이터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차량 운행 거리를 입력받아, 상기 차량 소모품 관리 데이터와 비교 연산을 수행하는 중앙 처리 장치와, 상기 비교 연산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상기 차량 정보 처리 장치로 부터 차량 운행 거리를 입력 받아 이를 상기 중앙 처리 장치에서 차량 소모품 교환 주기와 비교하고, 비교 연산 결과를 상기 출력부에 출력하며, 차량 소모품 교체 여부를 저장하여 데이터 베이스화 하도록 할 수 있어,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해 차량 소모품 교체시기를 손쉽게 알 수 있는 한편, 소모품 교체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화 하여, 다음번 차량 소모품 교체시기를 손쉽게 예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정보 출력 시스템의 제 8 실시형태는 상기 제1 실시형태 내지 제7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정보 처리 장치는 차량내 전자제어 장치로 부터 고장 진단 코드(DTC; Diagnosis Trouble Code)를 획득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는 상기 고장 진단 코드를 이동통신 서버에 송신하며, 상기 이동통신 서버와 통신가능한 고장진단 서버와, 상기 고장진단 서버로부터 입력받은 고장 진단 코드로부터 차량 종류에 따른 고장여부를 분석하는 고장 분석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고장진단 서버는 상기 고장 분석 장치의 고장 분석 결과를 상기 이동통신 서버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출력부를 통해 상기 고장 분석 결과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차량 제조사 혹은 차량 마다 다르게 입력될 수 있는 고장 진단 코드를 차량 종류에 따라 대비하여 고장 분석 결과를 출력하기 위해서 상기 차량 정보 처리 장치 및/또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저장부에 모든 차량 종류에 대한 고장 분석 데이터가 입력되어야 하는 단점을 보완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입력된 고장 진단 코드를 상기 고장 분석 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고장 분석 장치에서는 차량 종류에 따른 고장 진단 코드를 분석하여 차량 고장 분석 결과를 다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는 상기 전송 받은 고장 분석 결과를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차량 정보 처리 장치 및/또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 측에는 고장 진단 코드를 분석하기 위한 별도의 고장 분석 데이터가 입력될 필요가 없어 저장부의 용량 제한을 극복할 수 있고, 나아가 사용자가 고장 진단 코드만으로는 식별하기 힘든 고장 분석 결과를 상기 고장 분석 장치와의 통신을 통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출력부를 통해 출력 받을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가 증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정보 출력 시스템의 제9 실시형태는 상기 제1 실시형태 내지 제8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저장부에는 차량의 종류에 따른 고장 진단 코드(DTC;Diagnosis Trouble Code) 분석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도록 구성된다. 즉, 예를 들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소유자가 소유하고 있는 차량에 대한 고장 진단 코드 분석 프로그램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되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고장 진단 코드 분석 프로그램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이동 통신 모듈을 통해 사용자가 고장 진단 코드 분석 프로그램을 내려받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혹은 차량 구입시 차량 구입 장소에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제공되는 통신 포트를 이용하여 내려받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대부분 사용자가 고장 여부를 식별하기 어려운 형태로 제공되는 상기 고장 진단 코드를 판별하기 위해서, 상기 제8 실시형태와 같은 방식으로 고장 진단 처리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필요가 없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내장된 고장 진단 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고장 진단 분석 결과를 출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앞서 본 바와 같이 차량의 종류마다 다르게 제공될 수 있는 고장 진단 코드를 판별하기 위해 모든 차량 종류에 대응하는 고장 진단 분석 프로그램이 수록되기 위해 많은 저장 용량이 필요한 점을 해결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기 저장부의 저장 용량 제한을 극복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정보 출력 시스템의 제10 실시형태는 상기 제1 실시형태 내지 제9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정보 처리 장치의 저장부에는 차량의 종류에 따른 고장 진단 코드(DTC;Diagnosis Trouble Code) 분석 프로그램이 기록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고장 진단 코드 분석 프로그램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통신을 통해 내려받기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차량 정보 처리 장치 구입시 구입 장소에서 차량 종류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입력받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차량 정보 처리 장치가 상기 차량내 전자제어 장치로부터 획득한 상기 고장 진단 코드를 상기 고장 진단 코드 분석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여 차량의 고장 여부를 사용자가 식별하기 쉬운 형태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출력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앞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모든 차량 종류에 대한 차량 고장 진단 코드를 저장할 필요가 없게 되므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 저장부 및/또는 상기 차량 정보 처리 장치 저장부의 용량 제한을 극복하는데 더욱 용이하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정보 출력 시스템의 제11 실시형태는 상기 제1 실시형태 내지 제10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차량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획득한 상기 차량 운행정보를 보험회사 측으로 전송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보험회사 측으로 전송하기 위해서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동 통신 모듈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차량 운행 정보는 차량 고장 여부, 사고 기록, 사고 전후 차량 운행 상태, 사용자의 운전 성향 등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평상시 사용자의 운전 성향, 사고 기록 등을 참작하여 보험회사의 보험료 산정을 위한 자료로 활용하여, 사용자에 따른 보험료 차등 적용이 가능하며, 나아가 사고 전후 차량 운행 상태, 차량 고장 여부 등을 통해 손해보험료 산정시 사고의 인과 관계 등을 판별하는데 자료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이동 통신 서버와의 이동 통신 방법 등 종래 기술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한 기술들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어 여기서는 상술하지 아니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정보 출력 시스템의 주변 구성 예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정보 처리 장치(1)는 차량의 자기 진단 커넥터(3)에 직접 결합되어, 차량내 전자제어 장치(5;ECU)와 CAN 통신, K-Line 통신 등의 방법으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며, 이동 통신 단말기(7)와는 유선의 방식으로는 USB, RS-232C 등의 방식으로, 무선의 방식으로는 블루투스 모듈을 이용한 근거리 무선 통신 등의 방식으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차량 정보 처리 장치(1)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7)로 부터 자기 진단 명령을 수신하여 이를 차량측 자기 진단 커넥터를 통해 차량내 전자제어 장치(5)로 전송하고, 차량내 전자제어장치(5)로 부터 전송되는 자기 진단 정보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7)로 송신하여 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나아가, 차량 정보와 차량 운행 정보도 이와 유사한 방식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7)로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 정보 처리 장치(1)에 제공되는 제어부에서 실시간으로 획득된 차량 자기 진단 정보, 차량 운행 정보를 이용한 비교 연산을 실시하여 차량의 고장 여부, 급가속, 급감속, 급조향, 과속 등의 운전자 운전성향 파악, 장시간 운전, 차량내 장시간 수면 여부 등을 파악할 수 있고, 이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7)로 전송하여 출력하도록 하거나, 경보음이나 음성 신호를 통해 차량 운전자 또는 차량 탑승자에게 알려주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차량내 전자제어장치(5)는 차량의 엔진제어장치(ECU;Engine Control Unit), 변속제어장치(TCU;Transmission Control Unit), 현가제어장치, 제동제어장치 등의 전자제어 장치(ECU;Electronic Control Unit)를 총칭하는 것으로, 상기 전자제어 장치(5)는 차량제어기능 이외에 운행 중 검출되는 차량의 상태를 자기 진단정보 혹은 차량운행정보의 일부로서 저장하거나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7)는 CDMA 단말기, PCS 단말기,GSM 단말기, PDA, 무선 랜이 장착된 노트북 등 이동 통신 서비스 업체로부터 이동 통신 서비스를 받아 이동 통신할 수 있는 단말기를 총칭하는 것으로, 상기 차량 정보 처리 장치(1)와 유/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차량의 자기 진단 정보, 차량의 운행 정보 등을 획득하고, 상기 차량 정보 처리 장치(1)가 제공하는 차량의 고장 여부 판단, 사고 발생 여부 판단 등의 컨텐츠가 제공되면, 이에 상응하는 대응을 할 수 있도록 구성 될 수 있다. 즉, 차량 정보 처리 장치(1)에서 차량 자기 진단 통신을 수행하여 획득한 차량 정보를 분석한 결과 차량내 엔진계통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 이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7)에 알려주고,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7)는 고장 여부를 출력하고, 나아가 자동차 정비소, 자동차 회사, 자동차 보험회사 등 차량 고장 발생 여부에 관련된 자료를 필요로 하는 제 3기관에 고장 발생을 통보하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 통신 단말기(7)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정보 처리 장치(1)와 통신을 통해 차량 자기 진단 정보 등 차량 관련 정보를 획득 할 수 있으므로, 종래 텔레매틱스 단말기를 차량에서 사용하기 위해서 필요했던 차량 와이어닝 하니스의 수정, 커넥터 제공 등이 불필요하게 되고, 따라서 사용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7)의 폭을 넓힐 수 있고, 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정보 출력 시스템의 장착 상태 예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차량의 운전석 전면에 배치되는 대쉬 보드의 밑 또는 옆 면에는 차량측 자기 진단 커넥터(3)가 제공되며,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정보 처리 장치(1)는 상기 차량측 자기 진단 커넥터(3)에 대응하여 접속되도록 구성된다. 이같은 차량측 자기 진단 커넥터(3)는 OBD(ISO) 법규로써 모든차에 제공되고 있다. 따라서, 차량측 자기 진단 커넥터(3)가 제공되는 차량에는 상기 차량 정보 처리 장치(1)를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이동 통신 단말기(7)는 상기 차량 정보 처리 장치(1)와 차량 내에서 유/무선 통신 가능하도록 유/무선 통신 커넥션 설정되도록 하여 상기 차량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차량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구성 요소인 차량 정보 처리 장치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구성 요소인 정보 처리 장치(1)는 커넥터 하우징(10)과 기판(50)으로 구성된다. 상기 기판(50)과 상기 커넥터 하우징(10)은 실질적으로 이동이 제한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기판(50)이 운전 중 진동 등에 의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 기능을 지속적으로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차량 정보 처리 장치(1)는, 차량측 자기 진단 커넥터(3)에 도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기판(50)의 전자 회로에 도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차량 커넥터(3)에 연결되어 있는 차량 내 전자제어장치(5)와 상기 차량 정보 처리 장치(1)가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접속 단자(30)가 제공된다. 상기 접속 단자(30)에는 상기 차량측 자기 진단 커넥터 연결부(31)와 상기 기판 접속부(33)이 제공되며, 상기 커넥터 하우징(10)에 제공되는 상기 접속 단자 수용부(11)에 제공되는 걸림턱에 걸리도록 걸림부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상기 접속 단자 수용부(11)에 제공되는 걸림턱에 상기 접속 단자(30)의 상기 걸림부가 걸려, 일단 수용된 이후에는 상기 접속 단자(30)가 상기 커넥터 하우징(10)으로 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고, 따라서 상기 접속 단자에 연결된 상기 기판(50)이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대해서 실질적으로 이동이 제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속 단자(30)에는 기판(50)에 제공되는 접속 단자 접속부(53)에 도전가능하게 접속되는 접속부(33), 차량측 자기 진단 커넥터(3)에 도전가능하게 접속되는 자기 진단 커넥터 연결부(31)가 제공되며, 상기 접속 단자(30)는 커넥터 하우징(10)에 제공되는 수용부(11)에 수용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기판(50)과 상기 접속부(33)는 납땜 등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 기판(50)과 접속 단자(53)의 분리를 방지하는데 용이하다.
한편 상기 커넥터 하우징(10)에는 접속 단자(30)의 수용을 위한 상기 수용부(11)가 제공되며, 상기 차량측 자기 진단 커넥터(3)에 대응하여 접속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자기 진단 커넥터 연결부(13)가 제공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 후드(70)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기판(50)을 외부의 충격에서 보호하고 상기 기판(50)과 커넥터 하우징(10)의 체결을 견고히 하는데 용이하도록 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하우징 후드(70)와 상기 기판(50)을 나사 체결 등을 통해 체결하고, 상기 하우징 후드(70)와 상기 기판(50) 조립체를 상기 커넥터 하우징(10)에 견고히 체결하는 방법으로도, 상기 기판(50)이 상기 커넥터 하우징(10)에 대해서 실질적으로 이동이 제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 하우징(10)에는 상기 기판(50)을 끼워 넣을 수 있도록 슬롯(17)을 구성할 수 있는데,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기판(50)이 상기 커넥터 하우징(10)에 대해 실질적으로 이동이 제한되도록 구성하는데 있어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10)과 상기 기판(50)의 체결을 좀더 견고히 할 수 있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10)과 상기 기판(50)의 부피를 줄일 수 있어 차량에의 장착성을 고양하고, 미관상 아름답게 할 수 있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구성 요소인 차량 정보 처리 장치의 블럭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량 정보 처리 장치(1)에 제공되는 상기 기판(50)에는 상기 차량내 전자제어 장치(5)와의 자기 진단 통신을 통해 획득된 차량 자기 진단 데이터와 차량 운행 정보를 처리하는 제어부(501), 상기 접속 단자(30)를 통한 차량의 전자제어 장치(5)와의 자기 진단 통신을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부(503), 차량측 자기 진단 커넥터(3)의 접속 단자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차량 정보 단말기의 공급 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차량 정보 단말기에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505), 상기 차량 자기 진단 데이터, 차량 운행 정보, 상기 차량 정보 처리 장치 제어 프로그램 등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507), 외부의 정보출력 장치와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통신부(509)가 제공된다.
상기 제어부(501)는 MCU(Micro Control Unit)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저장부(507) 또는 제어부의 MCU 내에 제공되는 Flash memory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 정보 처리 장치(1)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7)를 통해 차량 자기 진단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503)를 통해 차량 내 전자제어장치(5)들과 자기진단 통신을 수행하여 차량 자기 진단 정보를 획득하고, 그 획득된 정보의 관리 및 전송을 제어한다. 또한, 후술할 감지 센서(515)를 통해 얻어진 차량 가속도 정보 등을 통해 차량 가속도를 적분하여 충격량을 산출하는 방식으로 차량의 사고 여부를 판단하는 연산을 수행하고, 사고가 발생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7)에 사고 발생 정보를 전송하고 사고 정보를 상기 저장부(507)에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501)는 저장된 차량 자기 진단 정보를 분석하여 차량 고장 진단, 사고 여부 감지, 운전자 운전 성향 파악, 차량의 소모품 교환 주기 파악, 차량 내에서 운전자가 수면을 취하는지 여부 등을 판별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찾아내는 기능,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비교 연산을 수행하는 기능, 필요에 따라 상기 차량내 전자제어 장치(5)들과 자기 진단 통신을 하여 필요한 자기 진단 데이터를 획득하는 기능, 상기 차량내 전자제어 장치(5)들의 전자제어에 필요한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하는 기능, 저장된 차량 자기 진단 정보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7)에 송신하는 통신을 제어하는 기능,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필요한 제어 프로그램을 입력받거나 차량 조작 명령을 입력받는 통신 수행을 수행하는 기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할 경우,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7)에 의하지 않더라도 차량의 고장 진단, 사고 발생 감지 등의 소정의 상황에서 신속하게 차량의 고장 여부나 사고 발생등의 상황을 운전자 혹은 제 3자가 판단 할 수 있도록 상기 제어부(501)에서 고장 발생, 사고 발생 등을 알려 줄 수 있는 수단, 예를 들어 경고음이나 음성 신호를 출력하도록 음성 출력부나 경보 장치를 내장하거나 또는 차량에 제공되는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고, 사고 발생 여부를 제3 기관등에 통보하도록 무선 통신을 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상기 제어 프로그램에 다양한 차량 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컨텐츠, 예를 들어 차계부의 관리 등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503)는 상기 OBD 법규에 따른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차량 내의 전자 제어 장치와 자기 진단 통신을 할 수 있는 차량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전자제어장치(5)들과 상기 차량 정보 처리 장치(1)가 상기 접속 단자(30)를 통해 자기 진단 통신 등을 수행함에 있어서, 통신 신호 인터페이스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량 전자제어 장치(5)에서 입력되는 K-Line 혹은 CAN 방식으로 입력되는 신호를 상기 제어부(501)의 MCU에서 처리 가능하도록 인터페이스하여 준다.
상기 OBD 법규에 따른 통신 프로토콜은 국제 규약에 따라 변화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따라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각 국제 규약에 대응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구성하는 것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전원 공급부(505)는 상기 차량측 자기 진단 커넥터(3)로부터 공급되는 차량측 전원(예: 12V, 24V)을 상기 차량 정보 처리 장치(1)의 작동 전압(예: 5V, 3.3V)으로 조정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장부(507)는 RAM, Flash Memory 등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상기 차량내 전자 제어 장치(5)와 후술할 감지센서(515)를 통해 획득된 정보, 정보가 입력된 시간, 차량 정보 등을 저장함은 물론, 상기 차량 정보 제공 장치(1)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 데이터 및 운전자를 위해 제공되는 각종 컨텐츠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나아가 상기 차량 정보 처리 장치를 차량용 블랙박스로도 사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저장부를 비휘발성 메모리(NV RAM)을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더욱 많은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 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509)는 유선 통신부와 무선 통신부를 포함한다. 상기 무선 통신부는 상기 제어부(501)에 의해 관리되는 차량의 자기 진단 정보, 차량 운행 정보 등을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7)로 무선 송신하거나,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7)로부터 자기 진단명령을 포함하는 각종 사용자 명령을 무선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501)로 인터페이스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로서 근거리 무선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블루투스 모듈을 예로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량 정보 처리 장치(1)가 블루투스 모듈을 탑재하면, 그에 상응하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7)역시 블루투스 모듈이 탑재되어 운영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선 통신부는 RS-232C, USB 등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USB는 컴퓨터 등으로 부터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거나 컴퓨터에 데이터를 업로드하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으며, RS-232C는 차량 자기 진단 정보, 차량 운행 정보 등을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7)에 유선으로 전송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7)는 예를 들어 핸드폰, 노트북, PDA 등 다양한 장치가 될 수 있는데, 위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7)에는 상기 차량 정보 처리 장치와의 통신에 의해 차량 데이터를 입력 받을 수 있게되어, 차량에서만 사용하기 위한 별도의 커넥터 제작이 불필요하게 되고 차량 자기 진단 통신을 위한 별도의 인터페이스부를 구성할 필요가 없게되어, 이미 외부 정보 출력 장치에 제공되어 있는 RS-232C 케이블 수용부, USB 케이블 수용부, 블루투스 모듈 등의 장치를 사용할 수 있게 되어 텔레매틱스 장치의 운용 폭을 넓힐 수 있게되고, 다양한 적용을 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보 처리 장치(1)에 상기 기판(50)에 제공되는 상기 제어부(501)의 제어를 받아 작동하는 음성 출력부(511)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운전자 등 차량 탑승자에게 차량 고장, 차량내 장시간 수면, 차량의 소모품 교환 시기, 사고 발생 등의 경우에 경고 알림 등을 음성으로 발생할 수 있도록 음성을 발생 시킬 수 있는 기계적 혹은 전자적 음성 발생 장치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보 처리 장치(1)에 상기 기판에 제공되는 상기 제어부(501)의 제어를 받아 작동하는 경보 장치(513)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7)에 의하지 않더라도 운전자에게 차량 고장 발생, 차량 사고 발생 등 긴급 상황을 경고할 수 있도록 경보음 발생, LED 점등 등이 가능하도록 전자 회로 장치 등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량 정보 처리 장치(1)에 감지센서(515)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감지센서(515)는 차량의 가속도를 측정하기 위한 가속도 측정 센서, 차량의 조향각을 측정하기 위한 조향각 센서 등을 포괄하는 것이며, 상기 차량내 전자제어 장치(5)에서 획득 할 수 없는 차량의 운행 정보등 차량 관련 정보를 획득하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정보 제공 장치(1)가 차량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획득하고 처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사용자에게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감지센서(515)의 예로 차량 가속도 감지 센서와 조향각 감지 센서는 이미 알려진 다양한 측정 센서들을 사용할 수 있으며, 차량 가속도 감지 센서는 압전 소자를 이용한 가속도 측정 센서, 조향각 감지 센서는 자이로 센서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와 같이 측정된 센서 신호는 별도의 센서 신호 처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제어부 및/또는 상기 저장부에 입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차량 가속도와 조향각 정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차량의 급가속, 급감속, 급조향, 급제동 등의 운전 성향을 판단하는 자료로 사용될 수 있고, 차량 급감속의 경우에는 사고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정보로도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운전 성향에 따른 보험사의 보험료 산정, 사고 발생에 따른 신속한 대응 등을 가능하도록 하는 차량 정보 처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나아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량 정보 처리 장치(1)에 RTC(517;Real Time Clock)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RTC는 상기 제어부(501)로 실시간 시간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여, 상기 차량 자기 진단 데이터, 차량 운행 정보등이 입력된 시간이 언제인지 알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501)가 비교 연산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시간 변수가 필요한 경우 이에 관련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상기 차량 정보 제공 장치(1)의 동작을 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 설명에서 당업자에게 자명한 공지 기술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 자기 진단(고장진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정보 처리 장치(1)는 차량측 자기 진단 커넥터(3)에 결합되고, 통신 반경내에 블루투스 모듈이 탑재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7)가 위치하면 양측의 블루투스 모듈은 일반적인 방법에 의해 커넥션이 설정된다.
이와 같이 커넥션 설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7)를 통해 차량의 자기 진단 명령을 내리면, 자기 진단 명령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7)에 탑재된 블루투스 모듈에 의해서 블루투스 표준에 따르는 신호로 변환되어 무선 송출된다. 이와 같이 무선 송출된 자기 진단 명령은 통신 반경내에 위치하는 상기 차량정보 처리 장치(1)의 상기 통신부(509)에서 MCU가 처리 가능한 신호로 복원되어 상기 제어부(501)에 인가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501)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7)로 부터 자기 진단 명령이 전송되었음을 인지하고, 그에 상응하는 상기 차량내 전자제어 장치(5)에 자기 진단 메세지를 생성하여 이를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503)를 통해 전송하고 이에 따라 상기 차량내 전자제어 장치(5)는 자기 진단요구를 전송받게 된다.
한편 상기 차량내 전자제어 장치(5)는 상기 차량 정보 처리 장치(1)를 통해 자기 진단 요구가 전송되면 메모리 수단에 저장한 차량 각 부분에 대한 자기 진단 정보를 엑세스하여 K-Line, 또는 CAN 통신 방식에 따라 상기 차량 정보 처리 장치(1)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자기 진단 정보를 자기 진단 요구에 응답하여 전송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자기 진단 요구시 차량 각 부분에 대하여 자기 진단을 수행하고 그 결과 및 현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차량내 전자제어장치(5)로부터 자기 진단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501)는 수신된 자기 진단정보를 상기 통신부(509)로 인가함으로서 자기 진단 정보를 블루투스 표준에 따르는 무선 신호로 변환되어 RF 송신된다. 그리고 이러한 자기 진단 정보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7)의 블루투스 모듈에서 복원되어, 사용자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7)의 정보 출력 수단을 통해 자기 진단 정보를 통보 받을 수 있다.
이상에서는 상기 차량 내 전자제어장치(5)로부터 얻어진 자기 진단 정보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7)로 전송하여 출력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상기 차량 정보 처리 장치(1)의 상기 제어부(501)가 자기 진단 정보를 상기 저장부(507)에 기 저장된 패턴과 비교하여 그 결과를 상기 음성 출력부(511)에서 출력되는 자기 진단 결과를 직접 운전자에게 전달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자기 진단 동작에 따르면, 상기 차량 정보 처리 장치(1)는 차량내 전자제어장치(5)로부터 얻어진 자기 진단 결과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7)로 무선 송신하여 줌으로써,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7)에는 자기 진단 커넥터 혹은 케이블 연결 커넥터와 같은 인터페이스부의 구비 없이도 자기 진단 결과를 전송받아 처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정보 처리 장치(1)는 상술한 자기 진단 정보 외에 ② 차량정보, ③ 차량 운행 기록 정보, ④ 사고통보 및 사고기록정보, ⑤ 운전성향 분석 정보 등을 차량 운행 정보로서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⑥ 차량내 전자제어장치들의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 하기 위한 중계기능도 추가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어부(501)에 의해 생성 혹은 엑세스되는 차량운행정보들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부연 설명하기로 한다.
② 차량정보
상기 제어부(501)는 차량 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하여 상기 통신부(509)를 통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7)로 통보하여 줄 수 있다. 이러한 차량 정보들은 엔진 온도, 배터리 전압, 주행 거리, 잔여 주행 가능 거리, 주행 거리에 따른 차량 소모품 교체 시기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며, 이러한 차량 정보들은 상기 차량내 전자 제어장치(5)와의 통신을 통해 실시간으로 획득하거나, 상기 획득된 정보를 통해 가공된 데이터들이다.
③ 차량 운행 기록 정보
상기 제어부(501)는 차량내 전자제어 장치(5)를 통해 차량의 주행 속도, 주행 거리, 주행 시간, 급제동, 급가속 등의 운행기록 정보를 획득하거나, 또는 획득된 정보를 가공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7)로 유/무선 전송하여 줄 수 있다.
④ 사고통보 및 사고기록정보
상기 제어부(501)은 상기 가속도 센서를 통해 사고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가속도 센서로 부터 얻어지는 가속도 값을 적분하여 얻어지는 충격량이 임계치 이상의 값을 가지게 되면 사고로 판단하고, 즉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7)에 사고 통보를 하며, 그 사고 인식 시점 전후의 차량의 속도, 조향각, 충격량 등을 사고기록정보로서 상기 저장부(507)에 기록하여 추후 사용자 요구에 따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7)로 전송할 수 있다.
⑤ 운전성향 분석 정보
상기 제어부(501)은 상기 감지센서(515)의 가속도 및 자이로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값을 이용하여 운전자의 운전 성향을 분석, 저장 한 후 사용자 요구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7)로 전송하여 줄 수도 있다. 운전성향 분석 정보는 급가속, 급제동, 급조향, 과속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⑥ 차량내 전자제어장치들의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
상기 제어부(501)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7)를 통해 사용자 요구가 있을 경우 상기 차량내 전자 제어 장치(5)들의 소프트웨어를 유/무선으로 전송받아 상기 차량내 전자제어 장치(5)로 전송하여 줌으로써, 상기 전자제어 장치(5)들이 자체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 시키도록 지원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어부(501)은 차량 운행 거리 등에 따른 차량 소모품 교체 시기를 상기 음성 출력부(511)을 통해 출력하는 차계부 기능 지원, 장시간 운전 경고, 차 시동 상태에서 수면 경고 등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자기 진단 정보의 제공 이외에 차량 정보, 운행 기록 정보, 사고 통보 및 사고 기록 통보, 운전성향 분석정보를 차량 운행정보로 제공함으로써 차량 운행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구성 요소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블럭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7)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기능을 제어하는 중앙 처리 장치(701)와, 이동 통신 단말기 사용자에게 정보를 전달하는 출력부(703)와, 이동 통신에 필요한 이동 통신 모듈(707)과, 이동 통신 단말기의 작동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장치(710)와, 이동 통신 단말기 작동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작동 명령 입력부(705)와, 이동 통신 단말기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저장부(713)와, 상기 차량 정보 처리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차량 정보 통신부(702)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 처리 장치(701)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이동 통신 서비스 업체 서버와의 이동 통신을 제어하는 이동 통신 제어부(7011)와 상기 차량 정보 처리 장치와의 통신을 통해 획득된 차량 정보를 처리하는 차량 정보 처리부(7013)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중앙 처리 장치(701)는 이동 통신 서비스 업체 서버(807)와의 이동 통신을 수행하는 이동 통신 모듈(707)의 이동 통신 수행을 제어하고, 상기 차량 정보 통신부(702)의 차량 정보 처리 장치(1)와의 차량 정보 통신을 제어하여, 이들 이동 통신을 통해 입력되는 통신 신호를 처리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의 화면에 출력 하거나 음성 신호로 변조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MCU(Micro Control Unit)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중앙 처리 장치(701)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제공되는 작동 명령 입력부(705)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상기 차량 정보 처리 장치(1)의 차량 자기 진단 실시 명령, 차량내 전자제어 장치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명령 등을 상기 차량 정보 통신부(702)를 통해 상기 차량 정보 처리 장치(1)에 인터페이스하여 전달하여 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앙 처리 장치(701)에는 긴급 구난 처리부(7015)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긴급 구난이 필요한 상황, 즉 차량 사고 등이 발생하였을 경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차량 위치로 하여 사고 지점 및 사고 전후의 차량 상태 정보 등을 미리 저장된 긴급 구난 기관 즉, 경찰서, 병원, 손해 보험사 등의 연락처에 자동 다이얼하여 이동 통신 서버를 통해 알려주도록 구성하여 긴급 구난 상황 발생시 신속하게 대응하도록 구성 할 수 있다. 나아가, 차량 정보 처리부(7013)을 별도로 구성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7)의 상기 중앙 처리 장치(701)의 처리 용량 과부하에 따라 발생 될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러한 구성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차량 정보 통신부(702)는 상기 차량 정보 처리 장치(1)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차량 자기 진단 정보, 차량 자기 진단 명령 등을 통신 수행 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으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7) 측 차량 정보 통신부(702)는 상기 차량 정보 처리 장치(1) 측 통신부(509)의 통신 방법에 대응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차량 정보 통신부(509) 측이 유선 통신을 위한 통신부로 구성되는 경우는 이에 대응하여 상기 이동 통신부 측 차량 정보 통신부(702)도 RS-232C, USB 케이블 등을 수용할 수 있는 통신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통신부(509)가 근무선 통신을 위한 블루투스 모듈을 이용한 통신부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차량 정보 통신부(702)도 이에 대응하여 무선 통신이 가능한 블루투스 모듈을 이용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출력부(703)는 바람하게는 시각적으로 차량 정보를 출력해 주는 액정 화면(LCD;Liquid Crystal Display) 표시부(7031)와 청각적으로 차량 정보를 출력해 주는 음성 출력부(7032)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출력부(703)는 상기 중앙처리장치(701)의 제어를 받아 작동되며,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7)가 상기 차량 정보 처리 장치(1)와 통신하여 입력 받은 차량 고장 진단 정보, 차량 운행 정보, 차량 소모품 교환 주기 도달 정보, 사고 발생 정보 등을 시각적 혹은 청각적으로 차량 내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알려주도록 구성된다.
상기 저장부(713)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7)의 제어를 위한 제어프로그램(7131) 및/또는 긴급구난시 자동 다이얼을 할 긴급전화번호와 긴급구난을 요청하는 긴급구난 메시지(7133)가 저장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제어프로그램(7131)은 상기 차량 정보 처리 장치(1)로 부터 입력받게 되는 차량 정보에 따라 차량 고장 여부, 차량 운행 정보, 차량 소모품 교환 주기 도달, 사고 발생 정보 등에 대응하여 이들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려주기 위한 시각적 문자 및/또는 음성 메시지를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저장부(713)에는 상기 차량 정보 처리 장치(1)로 부터 입력받은 차량 고장 진단 정보, 차량 운행 정보, 차량 소모품 교환 주기 도달 정보, 사고 발생 정보, 운전자 운전 성향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으며, 이를 차량 밖에서도 차량 운전자 및/또는 제3자가 확인하여 고장 부위 점검, 운전자 운전 성향 파악, 차량 소모품 교환 등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작동 명령 입력부(705)는 사용자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7)의 조작을 위해 작동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키패드 및/또는 음성 인식 시스템 등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작동 명령 입력부(705)를 통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7) 사용자는 통상의 이동 통신 서비스를 받기 위한 명령, 차량 정보 처리 장치(1)와의 통신 수행, 입력된 차량 정보 출력, 차량 자기 진단 명령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이동 통신 모듈(707)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이동 통신 서비스 업체 서버와의 이동 통신을 수행하기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이동 통신 모듈의 구성 및 이동 통신 커넥션 설정 방식 등은 이동 통신 단말기 제조업자에게 자명한 기술에 속하는 바, 여기서는 기술하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부(709)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GPS 수신부(709)는 GPS 위성(809)로 부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입력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차량 사고와 같은 긴급 구난이 필요한 상황에 있어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여 이를 차량의 위치로 할 수 있게되어, 제3의 긴급 구난 기관에 사고 발생 지점을 용이하게 전달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GPS 수신부와 상기 이동 통신 모듈이 일체화 되어 있다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는 것은 아니다.
도 6에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정보 출력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블럭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고 발생시 차량 정보 처리 장치(1)는 차량의 속도, 가속도, 에어백 작동 여부 등의 정보를 통해 연산을 수행하여 사고 발생을 감지하고, 이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7)와 통신을 통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사고 발생 여부를 전달하여 준다. 이때, 이동 통신 단말기(7)에 제공되는 시간 정보 제공기 및/또는 차량 정보 처리 장치에 제공되는 RTC(Real Time Clock) 등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사고 발생 시간, GPS 위성을 통해 입력 받을 수 있는 차량 위치 정보, 상기 차량 정보 처리 장치(1)로 부터 입력 받을 수 있는 사고 발생시의 차량 속도, 상기 차량 정보 처리 장치(1)가 차량 속도, 가속도 등을 연산하여 구할 수 있는 사고시 차량 충격량 등을 문자 및/또는 음성 신호로 변조하여 미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7)에 저장되어 있는 제3 기관에 통보하여 준다. 상기 제3 기관, 즉 긴급 구난 기관은 경찰서, 병원, 손해보험사 등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데이터를 통해 사고 발생 여부, 차량 위치, 사고의 예측되는 피해 정도를 알 수 있어 신속하게 사고에 대응하여 차량 탑승자 등을 구난할 수 있게 된다.
도 7에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정보 출력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것은, 상기 차량 정보 처리 장치(1)가 획득한 차량 정보를 연산하여 차량에 이상이 있다고 판별된 경우 이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7)와 통신 수행하여 출력한 것으로, 냉각수 온도가 고온인 경우를 일 예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차량 정보 처리 장치(1)는 차량내 ECU(Engine Control Unit)로 부터 냉각수 온도에 관한 정보를 입력 받게 되며, 이 정보를 비교연산하여 냉각수 온도가 지나치게 고온인 경우 이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7)의 액정표시 장치(7031)을 통한 시각적 알람, 또는 음성 출력부(7032)를 통한 청각적 알람 등으로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도시한 냉각수 온도 이상 고온 이외에도, 장시간 엔진 공회전, 장시간 운전, 차량내 장시간 수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도 8에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정보 출력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8에 도시된 것은, 상기 차량 정보 처리 장치(1)가 상기 차량내 전자제어 장치(5)와 자기진단 통신을 하여 획득한 정보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7)를 통해 출력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즉, 차량내 전자 제어 장치(5)가 자기진단을 수행한 결과 차량 내부에 고장 발생 등이 진단된 경우 이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7)를 통해 사용자가 손쉽게 알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신속한 대응을 할 수 있게 된다.
도 9에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정보 출력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9에 도시된 것은, 상기 차량 정보 처리 장치(1)가 차량 정보를 가공하여 얻을 수 있는 차량 운행 정보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해 표시한 것으로, 운행 일자, 운행 시간, 운행 거리, 운전 성향 분석 결과 등을 표시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운전 성향 분석 결과에 따라 운행자의 안전 운행 여부, 안전 운행 유도 문구 등을 함께 전달하여 사고 예방 및 운전 기록 등을 출력할 수 있다. 나아가, 이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7)의 상기 저장부(713) 또는 제3의 저장부에 저장하여 데이터 베이스화 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10에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정보 출력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에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7)가 차량 소모품 교환 주기 알람장치, 즉 차계부의 역할을 하는 단말기로 구성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차량 정보 처리 장치(1)가 ECU(Engibe Control Unit) 또는 TCU(Transmission Control Unit)로부터 차량 속도를 입력받아 이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7)로 송신하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차량 정보 처리부(7013)에서 이를 일정 시간 단위로 적분하여 차량의 총 운행 거리를 산출하고, 이를 미리 입력된 차량 소모품 교환 주기와 비교하여, 차량 소모품 교환 주기에 도달한 경우 이를 상기 출력부(703)에 표시하여 주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운전자는 상기 소모품 교환 여부를 다시 상기 차량 정보 처리 장치(1)에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7)의 교환/미교환을 선택하여 알려줌으로써, 다음 번 교환 주기로의 연산 전환 또는 다시 알림 등을 할 수 있다. 나아가 차량 소모품 관리 데이터 저장부를 구성하여, 여기에 차량 소모품의 교환 일자, 총 주행 거리, 소요 금액 등을 입력하여 데이터 베이스화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차량 총 운행 거리 산출, 차량 소모품 교환 주기 비교 연산 등은 상기 차량 정보 처리 장치(1)에서 수행하고,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7)는 상기 총 운행 거리와 상기 소모품 교환 주기 비교 연산 결과를 입력 받아 출력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 같은 구성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는 것은 아니다.
도 11에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정보 출력 시스템에 의한 고장 분석 결과 출력 방법의 일 실시예에 대한 블럭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량내 전자 제어 장치(5)로 부터 고장 진단 코드(DTC; Diagnosis Trouble Code)를 획득한 상기 차량 정보 처리 장치(1)는 이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7)로 통신을 통해 전송하고,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7)는 이를 이동통신 서비스 업체 서버(73)으로 전송하며, 이동 통신 서비스 업체 서버는 상기 고장 진단 코드를 고장 진단 서비스 회사의 통신 서버(751)에 전송하고, 상기 고장 진단 서비스 회사의 통신 서버(751)는 이를 고장 분석 장치(753)에 전송한다. 한편, 상기 고장 분석 장치(753)에는 각 차량 종류에 따른 고장 진단 코드와 그로부터 판별되는 고장 분석 결과가 기록되어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전송 받은 고장 진단 코드로 부터 차량 종류에 대응하는 고장 분석 결과를 비교 연산을 통해 출력 할 수 있도록 컴퓨터 판독 가능 프로그램이 저장된 매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장 분석 장치는 입력된 고장 진단 코드와 차량 종류에 대한 데이터를 통해 차량 종류와 그에 따른 고장 진단 코드에 대응하는 고장 분석 결과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7)의 사용자 및/또는 차량 운행자가 운행하는 차량의 종류도 상기 고장 진단 코드와 함께 전송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혹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7)의 사용자의 운행하는 차량 종류가 미리 저장되어, 이동 통신 단말기(7)의 사용자의 개인 고유 번호가 입력되면, 이를 통해 차량 종류를 자동으로 인식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이와 같이 상기 고장 분석 장치(753)으로부터 차량 종류와 고장 진단 코드를 이용하여 판별된 고장 분석 결과를 다시 상기 고장 분석 장치(753)에서 상기 고장 진단 서비스 회사 서버(751)를 거쳐 상기 이동 통신 서비스 업체 서버(73)로 전송하고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7)는 상기 고장 분석 결과를 상기 이동 통신 서비스 업체 서버(73)로 부터 전송받아,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7)의 청각 혹은 시각적 방법으로 사용자에게 알려주도록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된다.
도 1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정보 출력 시스템의 차량 종류에 따른 고장 진단 코드 분석 프로그램 내려받기 방법의 일 실시예에 대한 블럭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7)의 상기 작동 명령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가 차량 종류 데이터를 입력하는 경우,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7)는 이를 이동 통신 서비스 업체 서버(73)를 통해 고장 진단 서비스 회사 서버(751)로 전송하고, 상기 고장 진단 서비스 회사 서버(751)는 전송받은 차량 종류 데이터를 고장 진단 데이터 베이스 장치(755)로 전송한다.
상기 고장 진단 데이터 베이스 장치(755)는 전송받은 차량 종류 데이터에 따라 차량 고장 진단 코드에 대응하는 고장 진단 코드 분석 프로그램을 분별하고, 이를 다시 상기 고장 진단 서비스 회사 서버(751)와 상기 이동통신 서비스 업체 서버(73)을 통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7)에 전송한다.
한편,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7)는 고장 진단 코드에 대응하는 고장 분석 결과 출력을 위한 고장 진단 코드 분석 프로그램을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7)의 저장부에 저장하여 상기 차량 정보 처리 장치(1)로 부터 고장 진단 코드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중앙 제어 장치에서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고장 진단 코드 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차량 종류에 따라 상기 고장 진단 코드에 대응하는 고장 진단 분석 결과를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혹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7)가 전송된 상기 고장 진단 코드 분석 프로그램을 상기 차량 정보 처리 장치(1)의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와 같이 구성할 경우 상기 차량 정보 처리 장치(1)가 상기 차량내 전자 제어 장치와 자기 진단 통신을 수행하여 고장 진단 코드를 획득하는 경우, 차량 종류에 따라 상기 고장 진단 코드에 대응하는 고장 진단 분석 결과를 상기 고장 진단 코드 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판별하고, 이 결과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도록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13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정보 출력 시스템을 이용한 손해보험료 산정을 위한 데이터 베이스 구축 방법의 일 실시예에 대한 블럭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량 정보 처리 장치(1)로 부터 차량 운행 정보를 전송 받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7)는 이를 이동 통신 서비스 업체 서버(73)로 전송하고, 상기 이동 통신 서비스 업체 서버(73)는 전송받은 상기 차량 운행 정보를 손해 보험사 서버(757)로 전송하며, 상기 손해 보험사 서버(757)는 전송받은 상기 차량 운행 정보를 손해보험료 산정 데이터 베이스 장치(759)로 전송한다.
한편, 상기 손해보험료 산정 데이터 베이스 장치(759)는 전송 받은 상기 차량 운행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컴퓨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손해보험사의 사용자 개별 손해보험료 산정시 상기 운행 정보를 제공하여 참작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차량 운행 정보에는 사고 기록, 차량 고장 여부, 사용자의 차량 운전 성향, 사고 전후 차량 운행 상태, 운행 시간 등을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결정되며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에 대해서 당업자에게 자명한 개량, 변경 내지 수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정보 출력 시스템에 의하면, 차량 측 전자 제어 장치와 통신하는 차량에 제공되는 차량측 자기 진단 커넥터에 대응하여 접속되는 차량 정보 처리 장치와, 상기 차량 정보 처리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여 차량 자기진단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며 이동 통신 서비스 업체 서버와 통신하여 이동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차량 정보를 차량 종류, 차량측 전자 제어 장치의 통신 프로토콜에 관계 없이 획득할 수 있고, 이를 별도의 고가 장비인 텔레매틱스 단말기를 이용하지 아니하고도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해 출력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차량 정보를 용이하게 획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통신 단말기가 차량 내부에서는 차량 정보 출력 장치로 사용할 수 있으며, 차량 외부에서는 통상의 이동 통신 기능을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로 사용하거나,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차량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 정보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는데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이동 통신 단말기의 활용 범위를 넓힐 수 있다.
나아가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해 상기 차량 정보 처리 장치가 제공하는 다양한 컨텐츠를 이용한 차량 정보에 관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긴급 상황 발생시 제3의 긴급 구난 기관은 사고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동 통신 단말기가 차계부 기능을 겸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가 일일이 차량 소모품 교환 일지를 작성하고, 이를 차량 운행 거리에 따라 비교해야 하는 불편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차량 종류마다 다르게 적용되는 차량 고장 진단 코드의 분석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또는 차량 정보 처리 장치의 차량 고장 진단 코드 저장 용량을 줄일 수 있어, 차량 정보 출력 시스템 제작 단가를 낮출 수 있고, 사용자가 식별 가능한 형태의 고장 진단 분석 결과를 용이하게 출력할 수 있다.
나아가, 보험회사의 보험료 산정을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여 운행자에 따른 보험료 산정을 용이하고 정확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정보 출력 시스템의 주변 구성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정보 출력 시스템의 외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구성 요소인 차량 정보 처리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구성 요소인 차량 정보 처리 장치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의 구성 요소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블럭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정보 출력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블럭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정보 출력의 일 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정보 출력의 다른 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정보 출력의 또 다른 실시예.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정보 출력의 또 다른 실시예.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정보 출력 시스템에 의한 고장 분석 결과 출력 방법의 일 실시예에 대한 블럭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정보 출력 시스템의 차량 종류에 따른 고장 진단 코드 분석 프로그램 내려받기 방법의 일 실시예에 대한 블럭도.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정보 출력 시스템을 이용한 손해보험료 산정을 위한 데이터 베이스 구축 방법의 일 실시예에 대한 블럭도.

Claims (10)

  1. 차량에 제공되는 차량측 자기 진단 커넥터에 대응하여 접속되는 차량 정보 처리 장치와, 상기 차량 정보 처리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여 차량 자기진단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며 이동 통신 서비스 업체 서버와 통신하여 이동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로 구성되는 차량 정보 출력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정보 처리 장치는,
    차량측 자기 진단 커넥터의 단자에 도전 가능하도록 일단부가 접속하는 접속 단자와, 상기 접속 단자가 수용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커넥터와,
    상기 접속 단자의 타단부가 도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에 대해서 실질적으로 이동이 제한되도록 배치되는 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기판은, 상기 접속 단자를 통한 차량의 전자제어 장치와의 자기 진단 통신을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차량측 자기 진단 커넥터의 접속 단자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차량 정보 단말기의 공급 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차량 정보 단말기에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와, 상기 자기 진단 통신을 통해 획득된 차량 자기 진단 데이터와 차량 운행 정보를 처리하는 제어부와, 상기 차량 자기 진단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와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기능을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와,
    정보 출력부와,
    이동 통신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이동 통신 모듈과,
    이동 통신 단말기의 작동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장치와,
    이동 통신 단말기 작동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작동 명령 입력부와,
    이동 통신 단말기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저장부와,
    상기 차량 정보 처리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차량 정보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 처리 장치는 상기 차량 정보 처리 장치의 상기 통신부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상기 차량 정보 통신부의 통신을 수행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차량 정보 출력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는 상기 차량 정보 처리 장치의 상기 통신부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상기 차량 정보 통신부간의 통신에 의해 입력되는 신호를 처리하는 차량 정보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 정보 출력 시스템.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정보 처리 장치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하는, 차량 정보 출력 시스템.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기 저장부에는 긴급전화번호 및 긴급 구난 메세지가 더 저장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GPS 위성으로부터 GPS신호를 수신하여 이동통신 단말기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GPS 수신부와,
    상기 차량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사고 발생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긴급전화번호를 자동 다이얼링 한 후 전화연결시 상기 긴급구난 메세지와 상기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송신하는 긴급구난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 정보 출력 시스템.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차량 운행 정보가, 차량 상태 정보, 운행 기록 정보, 사고 통보 및 사고 기록정보, 운전 성향 분석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 정보 출력 시스템.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는 차량 운행 거리에 따른 차량 소모품 관리 데이터가 저장되는 관리 데이터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기 중앙처리 장치는 상기 차량 정보 처리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여 획득된 차량 정보로부터 차량 운행 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차량 소모품 관리 데이터에 기초하여 차량 소모품 교체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출력부는 상기 차량 소모품 교체 정보를 출력하는, 차량 정보 출력 시스템.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정보 처리 장치는 차량내 전자제어 장치로 부터 고장 진단 코드(DTC; Diagnosis Trouble Code)를 획득하며,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는 상기 고장 진단 코드를 이동통신 서버에 송신하며,
    상기 이동통신 서버와 통신가능한 고장진단 서버와,
    상기 고장진단 서버로부터 입력받은 고장 진단 코드로부터 차량 종류에 따른 고장여부를 분석하는 고장 분석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고장진단 서버는 상기 고장 분석 장치의 고장 분석 결과를 상기 이동통신 서버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출력부를 통해 상기 고장 분석 결과를 출력하는, 차량 정보 출력 시스템.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저장부에는 차량의 종류에 따른 고장 진단 코드(DTC; Diagnosis Trouble Code) 분석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차량 정보 출력 시스템.
  9.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정보 처리 장치의 저장부에는 차량의 종류에 따른 고장 진단 코드(DTC; Diagnosis Trouble Code) 분석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차량 정보 출력 시스템.
  10.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차량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획득한 상기 차량 운행정보를 보험회사 측으로 전송 가능한, 차량 정보 출력 시스템.
KR1020040033715A 2003-11-13 2004-05-13 이동 통신 단말기를 활용한 차량 정보 출력 시스템 KR1007324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3715A KR100732402B1 (ko) 2003-11-13 2004-05-13 이동 통신 단말기를 활용한 차량 정보 출력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0193A KR100764112B1 (ko) 2003-11-13 2003-11-13 텔레메틱스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텔레메틱스 서비스 서버
KR1020030080193 2003-11-13
KR1020040033715A KR100732402B1 (ko) 2003-11-13 2004-05-13 이동 통신 단말기를 활용한 차량 정보 출력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3530A true KR20050083530A (ko) 2005-08-26
KR100732402B1 KR100732402B1 (ko) 2007-06-27

Family

ID=3726976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0193A KR100764112B1 (ko) 2003-11-13 2003-11-13 텔레메틱스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텔레메틱스 서비스 서버
KR1020040033715A KR100732402B1 (ko) 2003-11-13 2004-05-13 이동 통신 단말기를 활용한 차량 정보 출력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0193A KR100764112B1 (ko) 2003-11-13 2003-11-13 텔레메틱스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텔레메틱스 서비스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0764112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6617B1 (ko) * 2007-11-09 2008-11-04 호진형 차량 운행정보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US7542832B2 (en) 2005-08-23 2009-06-02 Hyundai Autonet Co., Ltd. Vehicl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in telematics system
WO2013058415A1 (ko) * 2011-10-18 2013-04-25 주식회사 솔리드아이비 스마트폰을 활용한 차량 스캐너
KR20160073113A (ko) * 2014-12-16 2016-06-24 주식회사 케이티 주행 거리 예측 방법 및 모바일 단말
KR20160073658A (ko) * 2014-12-17 2016-06-27 주식회사 케이티 차량 진단 서비스 제공 시스템, obd 단말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9520006B1 (en) 2014-08-28 2016-12-13 Allstate Insurance Company Vehicle diagnostics
KR20180057803A (ko) * 2016-11-22 2018-05-3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텔레매틱스 서버 및 이의 차량 원격 진단 방법
CN116088482A (zh) * 2023-02-28 2023-05-09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车辆本地诊断的方法、装置、设备、介质
US11823502B2 (en) 2006-12-13 2023-11-21 Crown Equipment Corporation Impact sensing usable with fleet management system
US11947361B2 (en) 2006-12-13 2024-04-02 Crown Equipment Corporation Fleet management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6073B1 (ko) 2007-02-07 2008-06-09 에이치케이이카 주식회사 캔통신을 이용한 차량용 영상블랙박스 시스템
KR101020948B1 (ko) * 2008-04-22 2011-03-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네트워크 게이트웨이 및 네트워크 시스템
KR100946486B1 (ko) * 2008-05-21 2010-03-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네트워크 게이트웨이
KR101270641B1 (ko) * 2010-11-24 2013-06-03 교통안전공단 차량용 적재량 계측장치
KR101397671B1 (ko) * 2011-12-27 2014-05-23 전자부품연구원 화물수송안전 시스템
KR101439018B1 (ko) * 2013-04-11 2014-09-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정보 제공 시스템
KR102316652B1 (ko) * 2014-09-02 2021-10-2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전화 단말을 이용한 차량 사고 신고 장치 및 방법
KR20180038349A (ko) * 2016-10-05 2018-04-16 주식회사 위자드랩 차량의 ecu를 직접 제어하는 모뎀을 포함하는 텔레메틱스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1665A (ko) * 2001-06-26 2003-01-08 주식회사 미니맥스 소프트웨어 개인휴대정보단말기(pda)와 인터넷을 이용한 차량관리시스템
KR100460319B1 (ko) * 2001-11-27 2004-12-08 김기원 자동차보험료 산출 및 차량 운행관리 시스템
KR20030068328A (ko) * 2002-02-15 2003-08-21 이성철 블루투스 모듈을 이용한 차량용 고장 진단장치 및 방법
KR100470605B1 (ko) * 2002-04-08 2005-02-21 주식회사 카포인트 지피에스를 이용한 교통정보 감지방법
KR100499945B1 (ko) * 2002-07-29 2005-07-0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용 자가진단 시스템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42832B2 (en) 2005-08-23 2009-06-02 Hyundai Autonet Co., Ltd. Vehicl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in telematics system
US11947361B2 (en) 2006-12-13 2024-04-02 Crown Equipment Corporation Fleet management system
US11823502B2 (en) 2006-12-13 2023-11-21 Crown Equipment Corporation Impact sensing usable with fleet management system
KR100866617B1 (ko) * 2007-11-09 2008-11-04 호진형 차량 운행정보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3058415A1 (ko) * 2011-10-18 2013-04-25 주식회사 솔리드아이비 스마트폰을 활용한 차량 스캐너
US10043322B1 (en) 2014-08-28 2018-08-07 Allstate Insurance Company Vehicle diagnostics
US9672665B1 (en) 2014-08-28 2017-06-06 Allstate Insurance Company Vehicle diagnostics
US9984511B1 (en) 2014-08-28 2018-05-29 Allstate Insurance Company Vehicle diagnostics
US9520006B1 (en) 2014-08-28 2016-12-13 Allstate Insurance Company Vehicle diagnostics
US10347057B1 (en) 2014-08-28 2019-07-09 Allstate Insurance Company Vehicle diagnostics
US10957122B1 (en) 2014-08-28 2021-03-23 Allstate Insurance Company Vehicle diagnostics
US11580792B1 (en) 2014-08-28 2023-02-14 Allstate Insurance Company Vehicle diagnostics
KR20160073113A (ko) * 2014-12-16 2016-06-24 주식회사 케이티 주행 거리 예측 방법 및 모바일 단말
KR20160073658A (ko) * 2014-12-17 2016-06-27 주식회사 케이티 차량 진단 서비스 제공 시스템, obd 단말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180057803A (ko) * 2016-11-22 2018-05-3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텔레매틱스 서버 및 이의 차량 원격 진단 방법
CN116088482A (zh) * 2023-02-28 2023-05-09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车辆本地诊断的方法、装置、设备、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4112B1 (ko) 2007-10-08
KR20070062615A (ko) 2007-06-18
KR100732402B1 (ko) 2007-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2402B1 (ko) 이동 통신 단말기를 활용한 차량 정보 출력 시스템
EP2416296A2 (en) Method of providing vehicle information and service
US6956501B2 (en) Wireless link for car diagnostics
US20080015748A1 (en) System for monitoring, controlling, and reporting vehicle operation through onboard diagnostic port
KR20170015855A (ko) 차량 검측 방법, 모바일 단말기와 차량 탑재 단말기
US2014008881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Related Fix Information and Parts Number
US2006027124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mote vehicle management
US8391831B2 (en) In-vehicle terminal for emergency notification
US20150371456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nd Remotely Assessing Vehicle Incidents and Dispatching Assistance
KR20120129053A (ko)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차량 진단 시스템 및 그 진단방법
KR20130025288A (ko) Obd를 이용한 차량 관리 장치
JP4107238B2 (ja) 車両用通信システム
JP3217361U (ja) 車載情報提供装置
KR101854323B1 (ko) 차량 센서들을 이용한 핸드셋 센서들의 증강
KR20160137104A (ko) 차량 사고 인식 장치 및 차량 사고인식 장치를 이용한 차량 사고 알림 시스템
KR100514007B1 (ko) 차량에 제공되는 차량측 자기 진단 커넥터에 대응하여접속되는 차량 정보 처리장치
KR101053722B1 (ko) 텔레매틱스 장치를 이용한 자동차 자가진단 시스템 및 그방법
KR100499944B1 (ko) 텔레매틱스 장치를 이용한 자동차용 자가진단 시스템
KR20040011230A (ko) 자동진단 기능을 갖는 자동차용 텔레매틱스 장치 및 이를이용한 자동차의 자동진단 방법
KR100527454B1 (ko) 자기진단 커넥터 일체형의 차량정보 제공 단말기
KR100499945B1 (ko) 자동차용 자가진단 시스템
KR20200079076A (ko) 차량의 전장품 자가 진단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장품 자가 진단 방법
JP2005275574A (ja) 車両データ通信システム
KR100616609B1 (ko) 팬을 이용한 동적 텔레매틱스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030089811A (ko) 인터넷 원격 차량 진단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50325

Effective date: 20061129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