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3345A - 자동차용 에어백 모듈의 벤트홀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에어백 모듈의 벤트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3345A
KR20050083345A KR1020040011843A KR20040011843A KR20050083345A KR 20050083345 A KR20050083345 A KR 20050083345A KR 1020040011843 A KR1020040011843 A KR 1020040011843A KR 20040011843 A KR20040011843 A KR 20040011843A KR 20050083345 A KR20050083345 A KR 200500833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nt hole
airbag
gas
present
cush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1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주형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118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83345A/ko
Publication of KR200500833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3345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9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ve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9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venting means
    • B60R2021/2395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venting means comprising means to control the ve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백의 전개시 운전자와의 부딪히는 충격력에 따라 가스의 배출량이 가변되도록 된 것인 바, 그 구조는 에어백 쿠션의 중앙에 인플레이터가 위치하고, 그 인플레이터에 의해 에어백 쿠션이 팽창된 후에 쿠션내의 가스가 배출되는 벤트홀이 마련되며, 그 벤트홀의 내주면에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고 중심으로부터 방사선상으로 분할된 다수개의 차단편이 벤트홀의 입구측에 마련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에어백이 전개된 후에 충격에너지에 따라 배출되는 가스의 배출량을 가변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승객이 에어백에 부딪혀 상해를 입게 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고 안전성이 향상되는 이점을 갖는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에어백 모듈의 벤트홀구조{VENT HOLE STRUCTURE OF AIR-BAG MODULE IN A CAR}
본 발명은 자동차용 에어백의 가스 유출을 위해 형성된 벤트홀(VENT HOLE)구조를 개량한 것으로, 특히 에어백에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가스 유출량을 가변시킴으로서 승객이 받는 충격을 최소화하도록 그 구조가 개량된 자동차용 에어백 모듈의 벤트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백 장치는 운전자 및 승객을 차량의 정면 충돌이나 추락에 의한 쇼크로부터 보호 할 수 있게 하는 안전 장치로서, 선택 사양으로 차량에 장착되지만, 최근에는 운전자용 에어백의 설치가 의무화되는 추세이며, 승객을 보호하기 위한 승객용 에어백이나 측면 충돌로부터 운전자 및 승객을 보호하기 위한 에어백 장치는 그 이용 추세가 날로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참고하여, 에어백 장치는 차량의 충돌 및 추돌 신호에 따라 폭발되는 인플레이터가 에어백을 전개하게 됨으로써 승객의 머리 및 흉부가 스티어링 휠 또는 윈드실드에 2차 충돌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에어백의 전개과정 및 일련의 작동은 충돌의 형태 및 충돌 속도에 의해서 다르게 제어되는 특징이 있으며, 충돌로부터 충돌 판정까지의 시간은 10~30MS 이고, 전기 신호가 출력되어 에어백이 완전하게 팽창하기까지의 시간은 30~40MS로 극히 짧은 시간에 이루어는 고기술의 수준을 요구하게 된다.
특히 전개된 에어백은 부풀어진 그 에어압이 충돌되는 승객의 가슴 및 머리부분을 통해 에너지를 흡수하면서 줄어들게 됨으로써 승객을 보호하게 되며, 충돌후 모든 동작이 완료되는 시간은 약 0.1~1.05초 정도의 짧은 시간에 이루어지게 되는 장치이다.
즉, 충돌후 인플레이터의 폭발에 의해 전개된 에어백은 스티어링 휠에 2차 충격되는 승객의 가슴과 머리부분을 특히 보호하게 되는데, 엄밀하게는 가슴부위가 먼저 에어백에 일차 충격된 후 2차로 승객의 머리부분이 충돌되게 됨으로써 그 충격을 완충하여 승객을 보호하게 되는 작용을 한다.
그 자동차용 에어백에는 전개시 가스의 유출을 위해 벤트홀(25)을 형성하며, 그 벤트홀의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백 쿠션(10)의 중앙에 인플레이터(20)가 위치하고, 그 인플레이터(20)와 근접된 위치에 형성되어 에어백 쿠션(10)의 팽창시 가스의 배출을 위한 벤트홀(25)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벤트홀은 에어백의 압력에 따라 유출량을 가변시킬수 있는 기능이 없기 때문에, 최대압력발생시 승객이 받는 충격을 줄어줄 수가 없게 되므로, 도리어 에어백에 의해 충격을 입는 경우가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에어백이 전개되고 승객과 사이에서 충격이 가해져서 에어백내의 압력이 높아지면 벤트홀의 크기를 가변시켜 승객이 받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에어백 모듈의 벤트홀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에어백 쿠션의 가스 배출이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벤트홀을 가지며, 상기 벤트홀은 그 내주면으로부터 중심까지 방사선상으로 연장 형성된 다수개로 분할된 차단편이 마련되고, 상기 차단편들의 측면들이 상호 면 접촉되며 상기 에어백 쿠션의 가스 배출시 그 배출 압력에 따라 상기 차단편이 절곡되어 배출량이 가변 조절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되, 종래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기재하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자동차용 에어백 모듈의 벤트홀구조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 그 구조는 에어백 쿠션(10)의 중앙에 인플레이터(20)(inflate)가 위치하고, 그 인플레이터(20)에 의해 에어백 쿠션(10)이 팽창된 후에 쿠션(10)내의 가스가 배출되는 벤트홀(25)이 마련되며, 그 벤트홀(25)의 내주면에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고 중심으로부터 방사선상으로 분할된 다수개의 차단편(25a)이 벤트홀(25)의 입구측에 마련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그 차단편(25a)들은 벤트홀(25)의 내주면으로부터 비교적 얇은 두께(가스 배출시 그 배출압력에 의해 절곡될 정도)를 가지며, 양측면이 상호 면접촉되어 벤트홀(25)을 차단하도록 되어 있다.
그 벤트홀(25)은 기존의 벤트홀보다 더 큰 내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그 내부에 다수개의 차단편(25a)들이 방사선상으로 배치되어 평상시 벤트홀(25)을 폐쇄시키게 된다.
여기서는, 차단편(25a)이 팔방으로 8개가 분할되어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에어백의 전개후에 그 압력에 의해 절곡되거나 찢어질 정도의 구조로서, 6개 또는 그 이상의 차단편들이 벤트홀의 중심을 향해 방사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발명의 벤트홀구조는 차량이 사고등으로 충격을 받아서 에어백이 전개되었을때 그 기능이 발휘된다.
즉, 전개된 에어백에 승객이 충돌하는 순간 에어백 쿠션(10)내의 압력이 최고가 되고, 이때 최고의 압력이 벤트홀(25)에 집중되는 것으로서, 그 압력이 방사상 차단편(25a)에 충격을 주어 차단편(25a)의 단부가 찢어지거나 절곡되므로 벤트홀(25)의 크기가 더 커지게 되어 내부가스의 유출이 증대되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 에어백은 벤트홀의 크기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한순간에 발생하는 최대압력에 의해 승객이 충격을 받을수 있지만, 본 발명은 압력이 커지면 벤트홀의 크기가 커지게 되므로 균일한 압력을 얻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에어백의 전개시 운전자와의 부딪힘 정도에 따라 가스의 배출량이 가변되도록 된 것인 바,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에어백이 전개된 후에 승객이 에어백에 부딪혀 상해를 입게 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고 안전 운전에 뛰어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일반적인 에어백 모듈에서 벤트홀의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에어백 모듈의 벤트홀구조를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도 2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에어백 쿠션 20 : 인플레이터
25 : 벤트홀 25a : 차단편

Claims (1)

  1. 에어백 쿠션(10)의 가스 배출이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벤트홀(25)을 갖는 자동차용 에어백 모듈에 있어서,
    상기 벤트홀(25)은 그 내주면으로부터 중심까지 방사선상으로 연장 형성된 다수개로 분할된 차단편(25a)이 마련되고,
    상기 차단편(25a)들의 측면들이 상호 면 접촉되며 상기 에어백 쿠션(10)의 가스 배출시 그 배출 압력에 따라 상기 차단편(25a)이 절곡되어 배출량이 가변 조절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에어백 모듈의 벤트홀구조.
KR1020040011843A 2004-02-23 2004-02-23 자동차용 에어백 모듈의 벤트홀구조 KR200500833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1843A KR20050083345A (ko) 2004-02-23 2004-02-23 자동차용 에어백 모듈의 벤트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1843A KR20050083345A (ko) 2004-02-23 2004-02-23 자동차용 에어백 모듈의 벤트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3345A true KR20050083345A (ko) 2005-08-26

Family

ID=37269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1843A KR20050083345A (ko) 2004-02-23 2004-02-23 자동차용 에어백 모듈의 벤트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8334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2456B1 (ko) * 2008-09-12 2015-03-13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에어백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2456B1 (ko) * 2008-09-12 2015-03-13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에어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104283A1 (en) Frontal airbag systems and uses thereof
US20100171295A1 (en) Driver's air bag
US7275776B2 (en) Vehicle impact energy management system
KR20050083345A (ko) 자동차용 에어백 모듈의 벤트홀구조
KR101360343B1 (ko) 차량용 에어백
KR100512427B1 (ko) 자동차의 측면 에어백
KR101502456B1 (ko) 에어백
KR100380401B1 (ko) 자동차의 감압식 에어백
KR100383955B1 (ko) 측면 확장기능을 갖는 차량용 에어백장치
KR20220052170A (ko) 외장 에어백 장치
KR200207627Y1 (ko) 슬라이딩 벤트 홀을 이용한 에어백의 에어압 조절장치
KR100461364B1 (ko) 충격흡수기능을 갖는 차량의 조향휠
KR200157334Y1 (ko) 자동차의 추락시 충격흡수장치
KR100292111B1 (ko) 조수석에어백모듈의엔드캡
KR100643585B1 (ko) 자동차용 에어백 쿠션
KR0132775Y1 (ko) 감압밸브가 장착된 자동차용 에어 백 장치
KR20030026468A (ko) 자동차용 테더 및 벤트홀 연결형 에어백 쿠션
KR20060070084A (ko) 펀치아웃현상 저감용 차량의 조수석에어백장치
KR200389783Y1 (ko) 유동 가이드를 포함하는 에어백용 인플레이터
KR200269514Y1 (ko) 평면 전개형 에어백을 구비한 전면 유리용 탑승자 구속장치
KR20050101403A (ko) 탑 마운트 방식 운전자용 에어백 시스템
KR19980064968U (ko) 자동차용 2중 에어백 쿠션
KR19990017854U (ko) 트럭과의 충돌을 대비한 승용차의 에어백 시스템
KR20040023323A (ko) 복수의 테더를 구비한 에어백 쿠션
JP2000229552A (ja) 衝撃緩衝器を持つエアバッグサブモジュ―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