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8197A -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 장치 및마그네트론 - Google Patents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 장치 및마그네트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8197A
KR20050078197A KR1020040112001A KR20040112001A KR20050078197A KR 20050078197 A KR20050078197 A KR 20050078197A KR 1020040112001 A KR1020040112001 A KR 1020040112001A KR 20040112001 A KR20040112001 A KR 20040112001A KR 20050078197 A KR20050078197 A KR 200500781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gh voltage
capacitor
magnetron
hole
mhz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2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토쓰카사
후지와라이사오
구도료
다나카히사시
Original Assignee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781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819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35Feed-through capacitors or anti-noise capaci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3/00Details of transit-time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25/00
    • H01J23/14Leading-in arrangements; Seals therefor
    • H01J23/15Means for preventing wave energy leakage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ube leading-in arrangements, e.g. filters, chokes, attenuating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3/00Details of transit-time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25/00
    • H01J23/34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tube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5/00Transit-time tubes, e.g. klystrons, travelling-wave tubes, magnetrons
    • H01J25/50Magnetrons, i.e. tubes with a magnet system producing an H-field crossing the E-field
    • H01J25/52Magnetrons, i.e. tubes with a magnet system producing an H-field crossing the E-field with an electron space having a shape that does not prevent any electron from moving completely around the cathode or guide electrode
    • H01J25/58Magnetrons, i.e. tubes with a magnet system producing an H-field crossing the E-field with an electron space having a shape that does not prevent any electron from moving completely around the cathode or guide electrode having a number of resonators; having a composite resonator, e.g. a helix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6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ixed Capacitors And Capacitor Manufacturing Machines (AREA)
  • Microwave Tubes (AREA)
  • Ceramic Capaci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450MHz∼1000MHz의 주파수 범위에서, 마그네트론으로부터 발생하는 불필요한 폭사파를 주변기기에 악영향을 끼치지 않는 레벨로 억제할 수 있는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 장치 및 마그네트론에 관한 것이다.
유전체 자기소체는 기체부(210)와 관통공(211, 212)을 포함한다. 기체부(210)는 평면으로 보아서 중앙부분에 요홈부(216, 217)를 가지고 있다. 관통공(211, 212)은 각각이 요홈부(216, 217)를 사이에 둔 양측에 간격을 두고 구비되어 있다. 개별전극 213은 기체부(210)에서 관통공 211이 개구한 일면에 부착되어 있다. 개별전극 214는 기체부(210)에서 관통공 212가 개구한 일면에 부착되어 있다. 공통전극(215)은 기체부(210)에서 관통공(211, 212)이 개구한 타면에 부착되어 있다.

Description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 장치 및 마그네트론{HIGH VOLTAGE CAPACITOR, HIGH VOLTAGE CAPACITOR DEVICE AND MAGNETRON}
본 발명은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 장치 및 이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 장치로 이루어진 필터를 갖는 마그네트론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특개평04-040524호공보(문헌1), 특개평08-316099호공보(문헌2)는 일체형 유전체 자기소체에 2개의 관통공을 간격을 두고 형성하여, 관통공을 개구시킨 유전체 자기소체에 교대로 독립적인 개별전극 및 개별전극에 대해서 공통으로 이루어진 공통전극을 설치한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를 개시하고 있다.
또, 실개평05-033519호공보(문헌3)는 일체형의 유전체 자기소체에 대신하여, 개별의 유전체 자기소체를 2개 사용한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를 사용하여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 장치를 구성함에는,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의 공통전극을 접지금구의 부상부 상에 납땜 등의 수단에 의해서 고정부착한다.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의 관통공 및 접지금구의 관통공에는 관통도체를 관통시킨다. 관통도체는 개별전극에 전극접속체 등을 사용하여 납땜시킨다. 접지금구의 부상부의 외주에는,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를 둘러싸도록, 절연케이스가 삽입부착된다. 접지금구의 타면측에, 관통도체를 포위하도록 절연커버가 삽입부착된다. 절연커버는 접지금구의 부상부의 내주면에 밀착하도록 장착된다.
전자레인지 등에 있어서는, 마그네트론을 발진시키기 위해, 상용주파수 혹은 29㎑∼40㎑의 주파수를 지닌 4kV0-p 정도의 전압이 인가된다. 전압인가에 의해 마그네트론이 발진동작을 하면, 불필요한 폭사파(輻射波)가 발생한다. 이 불필요한 폭사파는 다른 주변기기에 악영향(소음 장해)을 준다.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 장치는 이 불필요한 폭사파에 의한 악영향(소음 장해)을 제거하는 필터로서, 마그네트론에 조립된다.
문헌1, 2에 개시된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 장치는 이것을 마그네트론의 필터로서 사용한 경우, 500㎒ 부근, 700㎒ 부근 및 900㎒ 부근에서 마그네트론으로부터 발생하는 불필요한 폭사파를 제거할 수 있지만, 주변기기에 악영향을 주었다.
또, 문헌 3에 개시된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 장치는 이것을 마그네트론의 필터로서 사용하여도, 900㎒ 부근에서 마그네트론으로부터 발생하는 불필요한 폭사파를 제거할 수 있지만, 주변기기에 악영향이 끼쳤다.
본 발명의 과제는 450㎒∼1000㎒의 주파수 범위에서, 마그네트론으로부터 발생하는 불필요한 폭사파를 주변 기기에 악영향을 주지 않는 레벨로 억제할 수 있는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 장치 및 마그네트론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는 유전체 자기소체와, 개별전극과, 공통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유전체 자기소체는 기체부와, 관통공을 포함한다. 상기 기체부는 평면으로 보아 중앙부분에 요홈부를 갖는다. 상기 관통공은 2개이며, 각각이 요홈부를 사이에 둔 양측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개별전극은 2개이며, 각각이 상기 기체부에서 상기 관통공이 개구한 일면에 부착되어 있다. 상기 공통전극은 상기 기체부에서 상기 관통공이 개구한 타면에 부착되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의 바람직한 형태로서, 상기 요홈부는 최소폭 치수가 2.5∼4.1㎜의 범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는 접지금구나 관통도체 등과 조합되어,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 장치를 구성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접지금구와, 적어도 하나의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와, 적어도 하나의 관통도체를 포함한다. 상기 접지금구는 일면측에 부상부(浮上部)를 갖고 있고, 상기 부상부는 일면측으로부터 타면측으로 관통하는 관통공과, 상기 관통공에 연속하는 내부공간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는 상기 공통전극이 상기 부상부 상에 고정부착되어서 상기 접지금구에 도통접속하고 있다. 상기 관통도체는 상기 접지금구 및 상기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를 관통하고, 또한 상기 개별전극에 도통접속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마그네트론은 상기한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 장치가 필터로서 조립되어 있다.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 장치는 관통도체를 급전단자로 하고, 이 관통단자와, 접지전위로 이루어진 접지금구의 사이에 콘덴서를 접속한 회로구성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관통도체를 통하는 불필요한 폭사파를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 장치의 필터작용에 의해서 흡수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 장치는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에 사용되는 유전체 자기소체의 기체부가 평면으로 보아서 중앙부분에 요홈부를 갖기 때문에, 450㎒∼1000㎒의 주파수 범위에서 불필요한 폭사파의 소음레벨을 30㏈ 이하로 억제할 수 있다. 그 이유는 평면으로 보아서 중앙부분에 요홈부를 갖는 구조의 경우, 용량특성이 상기한 주파수 범위에 속하는 소음성분을 제거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인 것으로 추측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구성 및 이점에 대해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거듭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은 단지 예시에 지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 장치 및 마그네트론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의 평면도이다. 도시한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는 유전체 자기소체(210)와, 2개의 개별전극(213, 214)과, 공통전극(215)을 포함한다.
유전체 자기소체(210)는 기체부(210)와, 2개의 관통공(211, 212)을 포함한다. 설명의 사정상 유전체 자기소체와, 기체부는 동일참조부호 210으로 나타낸다. 기체부(210)는 바람직하게는 BaTiO3-BaZrO3-CaTiO3를 주성분으로 하고, 일종 또는 복수종의 첨가물을 포함한 주지의 조성이면 좋다. 기체부(210)는 평면으로 보아서 중앙부분에 요홈부(216, 217)를 포함한 표주박 형상(모래시계 형상)을 갖는다. 요홈부(216, 217)는 최소폭 치수(W1)가 2.5∼4.1㎜의 범위이다. 또 요홈부(216, 217)의 중앙부분에는 홈(218)이 형성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요홈부의 요홈(216)은 양측의 원호모양부에 대해서 그 외주면에 접하도록 이끄는 선분 Y1, Y2와, 그 접점 P1, P2와, 기체(210)의 외주면에 의해서 둘러싸이도록 영역 S1을 갖는다. 같은 형태로, 요홈부의 요홈(217)은 양측의 원호모양부에 대해서 그 외주면에 접하도록 이끄는 선분 Y1, Y2와, 그 접점 P3, P4와, 기체(210)의 외주면에 의해서 둘러싸이도록 영역 S2를 갖는다. 최소폭 치수 W1은 선분 Y1, Y2의 사이의 폭 W2에 대해서, 한쪽 측에서 ΔW2만큼 축소되어 있다. 요홈부 216과, 요홈부 217은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의 중심선에 대하여,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통공(211, 212)은 기체부(210)의 양면에서, 요홈부(216, 217)를 사이에 둔 양측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관통공(211, 212)이 개구한 양면에는 전극(213, 214)이 구비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개별전극 213은 관통공 211이 개구한 면에 부착되고, 개별전극 214는 관통공 212가 개구한 면에 부착되어 있다. 공통전극(215)은 관통공(211, 212)이 개구한 타면에 부착되어 있다. 개별전극(213, 214) 및 공통전극(215)은 바람직하게는 은(Ag)을 주성분으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 장치의 정면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한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에서,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구성부부분과 동일한 구성부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도시한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 장치는 접지금구(1)와,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2)와, 관통도체(4, 5)와, 절연케이스(6)와, 절연수지(7, 8)와, 절연커버(9)와, 절연튜브(10, 11)를 포함한다. 접지금구(1)는 그 일면측에 부상부(11)를 갖는다. 부상부(111)는 일면측으로부터 타면측으로 관통하는 관통공(112)을 갖고 있다.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2)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이고, 접지금구(1)의 부상부(111) 상에 배치되며, 또 공통전극(215)이 부상부(111)에 납땜 등의 수단에 의해서 고정부착되어 있다.
관통도체(4, 5)는 전극접속체(12, 13),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2)의 관통공(211, 212) 및 접지금구(1)의 관통공(112)을 관통하여, 전극접속체(12, 13)에 납땜 등의 수단에 의해 고정부착되고, 전극접속체(12, 13)를 통해 개별전극(213, 214)에 도통접속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관통도체 4는 관통공 211 및 관통공 112의 내부를 관통하여, 전극접속체 12에 납땜 등의 수단에 의해 고정부착되고, 개별전극 213에 도통하고 있다. 같은 형태로, 관통도체 5는 관통공 212 및 관통공 112의 내부를 관통하여, 전극접속체 13에 납땜 등의 수단에 의해 고정부착되고, 개별전극 214에 도통한다.
도시한 관통도체 4는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2)를 관통하는 관통부 42와, 텝(tab)접속자로서 사용되는 텝부 41을 갖는다. 관통부 42와 텝부 41은 코킹(caulking) 43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같은 형태로, 관통도체 5도 관통부 52와 텝부 51을 갖고 있고, 관통부 52와 텝부 51이 코킹(caulking) 53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절연튜브(10, 11)는 관통도체(4, 5)의, 관통공(211, 212) 내에 위치하는 부분에 덮여져 설치되어 있다. 절연튜브(10, 11)는 실리콘 등에 의해 구성된다.
절연케이스(6)는 접지금구(1)의 일면측에 구비되어 있다. 이 절연케이스(6)는 일단이 부상부(111)의 외주측에 삽입부착되어 있다. 절연케이스(6)도 절연커버(9)와 같은 형태로 폴리브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혹은 변성 멜라민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절연수지(7, 8)는 절연케이스(6)의 내부 및 절연커버(9)의 내부에 충전됨과 동시에,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2)의 둘레에 충전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절연수지 7은 접지금구(1)의 일면측에서,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2)의 둘레에 충전되고, 유전체 자기소체(210)의 표면에 밀착하고 있다. 절연수지 8은 접지금구(1)에 구비된 부상부(111)의 내측 및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2)의 관통공(211, 212) 내에 충전되고, 유전체 자기소체(210)의 표면에 밀착하고 있다. 절연수지(7, 8)는 우레탄수지, 에폭시수지 등의 열경화성수지로 구성할 수 있다. 또, 페놀수지나 실리콘수지 등도 사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 장치를 필터로서 조립한 전자레인지용 마그네트론의 부분파단면도이다. 참조부호 15는 음극스템(stem)이고, 16은 필터박스이며, 17, 18은 인덕터(inductor)이고, 19는 인덕터(17, 18)와 함께 필터로서 사용된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이다. 필터박스(16)는 음극스템(15)을 덮도록 배치하고 있고, 또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19)는 필터박스(16)의 측면판(161)에 설치된 관통공을 관통하여, 절연수지(7)가 외부로 나오도록 관통하여 설치되고, 철재를 사용한 1개의 접지금구(1)의 부분에서, 필터박스(16)의 측면판(161)에 설치되어 고정되어 있다. 인덕터(17, 18)는 필터박스(16)의 내부에서, 음극스템(15)의 음극단자와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19)의 관통도체(4, 5)의 사이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21은 냉각핀, 22는 가스켓, 23은 RF출력단, 24는 자석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한 마그네트론의 전기회로도이다. 먼저 도면에 표기한 구성부분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참조부호 25는 발진기, GND는 접지전극이다.
도 5, 도 6에 도시한 전자레인지용 마그네트론을 발진시키기 위해서는, 상용 주파수 또는 20㎑∼40㎑의 주파수를 지닌 4kV0-P 정도의 전압을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19)의 관통도체(4, 5)에 공급한다. 공급된 고전압은 관통도체(4, 5)로부터 인덕터(17, 18)를 통하여 마그네트론에 공급되고, 마그네트론이 발진작동을 한다. 이 때, 소음으로 이루어진 불필요한 폭사파가 발생하는 것은 상기한 바와 같다. 관통도체(4, 5)를 통한 소음(불필요한 폭사파)은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2) 및 인덕터(17, 18)의 필터작용에 의해서 흡수된다.
또, 접지금구(1)는 접지되고, 관통도체(4, 5)에 고전압이 인가된다. 접지금구(1)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112)을 갖고 있고,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2)는 유전체 자기소체(210)를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211, 212)을 갖고 있기 때문에, 접지에 대해서 고전위로 이루어진 관통도체(4, 5)를 접지전위로 이루어진 접지금구(1) 및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2)의 공통전극(215)의 사이에, 관통공(211, 212)에 의한 충분한 전기절연을 확보할 수 있다.
도시한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 장치는, 절연수지(7, 8)가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2)의 주위에 충전되어 있기 때문에, 고온부하시험이나 내습부하시험의 신뢰성시험 또는 고온다습의 환경에서 사용된 경우 등의 신뢰성이 향상한다.
게다가, 접지금구(1), 절연커버(9) 및 유전체 자기소체(210)의 내부에는 절연수지(8)가 충전되어 있다. 따라서, 접지금구(1)와 절연커버(9)를 절연수지(8)에 의해서 입체적으로 접합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접지금구(1)와 절연커버(9)의 사이의 접착력이 현격히 향상되고, 절연수지(8)가 지름방향으로 수축하려고 해도, 그것이 억제되며, 접지금구(1)와 절연커버(9)의 사이에 틈이 발생하기 어렵게 된다.
본 발명의 특징은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2)가 유전체 자기소체(210)의 중앙부에 요홈부(216, 217)를 갖는 점에 있다. 상기한 요홈형상에 의하면, 마그네트론으로부터 발생하는 불필요한 폭사파의 소음 레벨을 450㎒∼1000㎒의 주파수 범위에서, 30㏈ 이하로 억제할 수 있다. 요홈부(216, 217)의 바람직한 최소폭 치수(W1)가 2.5∼4.1㎜의 범위인 것은 상기한 바와 같다.
다음에,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의 요홈부의 최소폭 치수와, 정전용량, 유전체 손실 및 크랙의 관계에 대해서, 실험데이터를 들어 설명한다.
표 1은 요홈부의 최소폭 치수에 대해서, 그 치수별로 크랙, 정전용량 및 유전체 손실에 관한 측정데이터를 나타내고 있다. 표 1에서, 비교예 1∼6 및 실시예 1∼4의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 장치는 도 4에 도시한 구조의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에서, 요홈부(216, 217)의 최소폭 치수를 8.0∼0.0㎜의 범위로 설정한 것이다. 단, 비교예 1은 도 7에 도시된 종래 기술의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를 사용한 것이고, 비교예 1의 최소폭 치수 8.0㎜는 유전체 자기소체에 요홈부가 없다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또, 비교예 6의 최소폭 치수 0.0㎜는 독립된 2개의 유전체 자기소체에서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를 구성한 것을 의미하고 있다.
표 1에서, 정전용량 C1 및 유전체 손실 tanδ1은 개별전극 213과 공통전극 215의 사이에서 측정한 치수이다. 정전용량 C2 및 유전체 손실 tanδ2는 개별전극 214와 공통전극 215의 사이에서 측정한 치수이다. 조립시 크랙의 유무는 해당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를 사용하여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 장치를 조립한 경우의 크랙발생의 유무를 나타낸다.
요홈부의 최소폭 치수별의 정전용량, 유전체 손실 및 조립시 크랙발생의 유무
최소폭 치수 (mm) 조립시 크랙 정전용량 C1(pF) 유전체손실 tanδ1(%) 정전용량 C2(pF) 유전체손실 tanδ2(%)
비교예 1 8.0 없음 383 0.3 385 0.3
비교예 2 5.7 없음 353 0.4 343 0.4
실시예 1 4.1 없음 308 0.3 305 0.4
실시예 2 3.6 없음 300 0.4 297 0.4
실시예 3 3.0 없음 270 0.4 282 0.4
실시예 4 2.5 없음 276 0.4 270 0.4
비교예 3 1.8 없음 244 0.4 256 0.4
비교예 4 1.5 있음 - - - -
비교예 5 1.2 있음 - - - -
비교예 6 0.0 없음 207 0.4 206 0.4
표 1의 비교예 4 및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의 요홈부 최소폭 치수가 1.5㎜ 및 1.2㎜의 경우, 조립할 때에 크랙이 발생한다. 따라서, 요홈부 최소폭 치수가 1.2㎜∼1.5㎜의 범위에 있는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는 크랙방지라는 관점에서 부적당하다.
이것에 대해서, 요홈부 최소폭 치수가 2.5㎜∼4.1㎜의 범위에 있는 실시예 1∼4에는 조립할 때에 크랙이 발생하지 않는다.
요홈부 최소폭 치수가 2.5㎜∼4.1㎜의 범위 외에 있는 비교예 1∼3, 6에도 조립시에 크랙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비교예 1∼3, 6에 의하면, 주변기기에 소음장해가 발생한다. 다음에 이 점에 대해서, 실험데이터를 들어 설명한다.
표 2는, 표 1에서 조립할 때에 크랙이 발생하지 않았던 실시예 1∼4 및 비교예 1∼3, 6의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 장치에 의해 마그네트론을 구성할 때의 방해 소음레벨 특성을 측정한 실험결과이다. 측정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전자레인지의 방향을 45도로 고정한다. 다음에, 안테나 높이를 1m로 고정한다. 다음에, 부하(負荷)로서 물 1리터를 샬레(실험용 유리그릇)에 넣는다. 다음에, 10분간 예비가동시킨다. 이 후, 측정시간(8분)에서 4회 측정한다. 또, 상기한 측정방법을 안테나에 대해서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각 2회 실행하였다.
요홈부의 최소폭 치수별의 주파수 범위의 소음레벨
최소폭 치수 (mm) 451∼550MHz 651∼750MHz 851∼1000MHz
주파수 (MHz) 소음레벨 (dB) 주파수 (MHz) 소음레벨 (dB) 주파수 (MHz) 소음레벨 (dB)
비교예 1 8.0 527 29.3 702 31.7 878 37.0
비교예 2 5.7 524 29.3 717 28.9 890 30.1
실시예 1 4.1 518 28.7 717 25.5 878 29.2
실시예 2 3.6 524 27.1 718 24.7 878 28.6
실시예 3 3.0 531 25.4 717 25.5 878 28.6
실시예 4 2.5 492 23.6 717 25.4 878 29.8
비교예 3 1.8 492 22.7 716 25.7 878 31.8
비교예 6 0.0 521 22.1 716 26.9 877 32.4
표 2를 참조하면,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의 요홈부 최소폭 치수가 8.0㎜인 비교예 1에서는 마그네트론으로부터 발생하는 불필요한 폭사파의 소음레벨은 451∼550MHz의 주파수 범위에서 30㏈ 미만이지만, 651∼750MHz의 주파수 범위 및 851∼1000MHz의 주파수 범위에서는 30㏈을 초과한다.
다음에,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의 요홈부 최소폭 치수가 5.7㎜인 비교예 2에서는 마그네트론으로부터 발생하는 불필요한 폭사파의 소음레벨은 451∼550MHz의 주파수 범위 및 651∼750MHz의 주파수 범위에서 30㏈ 미만이지만, 851∼1000MHz의 주파수 범위에서는 30㏈을 초과한다.
다음에,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의 요홈부 최소폭 치수가 1.8㎜인 비교예 3에서는 마그네트론으로부터 발생하는 불필요한 폭사파의 소음레벨은 451∼550MHz의 주파수 범위 및 651∼750MHz의 주파수 범위에서 30㏈ 미만이지만, 851∼1000MHz의 주파수 범위에서는 30㏈을 초과한다.
또,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의 요홈부 최소폭 치수가 0.0㎜인 비교예 6에서는 마그네트론으로부터 발생하는 불필요한 폭사파의 소음레벨은 451∼550MHz의 주파수 범위 및 651∼750MHz의 주파수 범위에서 30㏈ 미만이지만, 851∼1000MHz의 주파수 범위에서는 30㏈을 초과한다.
따라서, 요홈부 치수폭 치수가 0.0㎜, 1.8㎜, 5.7㎜, 8.0㎜인 비교예 1∼3, 6에서는 451∼1000MHz의 주파수 범위에서 마그네트론으로부터 발생하는 불필요한 폭사파의 소음레벨을 30㏈ 이하로 억제할 수 있지만, 주변기기에 악영향을 끼쳤다.
이것에 대해, 요홈부 치수가 4.1∼2.5㎜인 실시예 1∼4에서는 451∼550MHz의 주파수 범위, 651∼750MHz의 주파수 범위 및 851∼1000MHz의 주파수 범위에서, 마그네트론으로부터 발생하는 불필요한 폭사파의 소음레벨은 어느 것도 30㏈을 크게 밑돌고 있다.
상기한 표 1 및 표 2의 결과로부터 명백해진 바와 같이,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의 요홈부 최소폭 치수가 2.5∼4.1㎜의 범위이면, 크랙 등의 발생을 방지함과 동시에, 450MHz∼1000MHz의 주파수 범위에서, 마그네트론으로부터 발생하는 불필요한 폭사파의 소음레벨을 30㏈ 이하로 억제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 장치의 별도의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단면도이다. 도 8에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구성부분과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중복설명을 생략한다.
도 8에 도시한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 장치는 도 3 내지 도 4에 도시한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 장치와 다르고, 관통도체(4, 5)에서 전극접속체(12, 13)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 차이점이 있다. 물론, 이 실시예의 경우도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2)는 중앙부가 요홈으로 된 형상을 하고 있기 때문에, 이것을 마그네트론의 필터로서 사용한 경우,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 장치는 마그네트론으로부터 발생하는 불필요한 폭사파의 소음레벨을 450MHz∼1000MHz의 주파수 범위에서, 30㏈ 이하로 억제할 수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본적 기술사상 및 교시에 기초하여, 당업자라면 여러 가지의 변형형태를 채용할 수 있는 것은 자명하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 장치에 의하면, 마그네트론으로부터 발생하는 불필요한 폭사파를 제거하고, 또 주변기기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레벨로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 장치의 정면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 장치를 필터로서 조립한 마그네트론의 부분파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한 마그네트론의 전기회로도이다.
도 7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 장치의 별도의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접지금구, 2,19...고전압 관통형 콘덴서,
4,5...관통도체, 6...절연케이스,
7,8...절연수지, 9...절연커버,
10,11...절연튜브, 12,13...전극접속체,
210...유전체 자기소체, 기체부, 211,212...관통공,
213,214...개별전극, 215...공통전극,
216,217...요홈부, 218...홈.

Claims (5)

  1. 유전체 자기소체와, 개별전극과, 공통전극을 포함한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로서,
    상기 유전체 자기소체는 기체부와, 관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기체부는 평면으로 보아서 중앙부분에 요홈부를 갖고 있으며,
    상기 관통공은 2개이며, 각각이 상기 요홈부를 사이에 둔 양측에 간격을 두고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개별전극은 2개이며, 각각이 상기 기체부에서 상기 관통공이 개구한 일면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공통전극은 상기 기체부에서 상기 관통공이 개구한 타면에 부착되어 있는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부는 BaTiO3-BaZrO3-CaTiO3를 주성분으로 하여, 일종 또는 복수종의 첨가물을 포함한 조성물로 구성되어 있는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홈부는 최소폭 치수가 2.5∼4.1㎜의 범위인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
  4. 적어도 하나의 접지금구와, 적어도 하나의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와, 적어도 하나의 관통도체를 포함한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 장치로서,
    상기 접지금구는 일면측에 부상부를 갖고 있고, 상기 부상부는 일면측으로부터 타면측으로 관통하는 관통공과, 상기 관통공에 연속하는 내부공간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는 제1항에 기재된 것이고, 상기 공통전극이 상기 부상부 상에 고정부착되어서 상기 접지금구에 도통접속하고 있으며,
    상기 관통도체는 상기 접지금구 및 상기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를 관통하고, 또한 상기 개별전극에 도통접속되어 있는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 장치.
  5.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 장치를 포함한 마그네트론으로서,
    상기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 장치는 제4항에 기재된 것이고, 필터로서 조립되어 있는 마그네트론.
KR1020040112001A 2004-01-30 2004-12-24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 장치 및마그네트론 KR2005007819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024108A JP2005217296A (ja) 2004-01-30 2004-01-30 高電圧貫通型コンデンサ、高電圧貫通型コンデンサ装置、及び、マグネトロン
JPJP-P-2004-00024108 2004-01-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8197A true KR20050078197A (ko) 2005-08-04

Family

ID=34805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2001A KR20050078197A (ko) 2004-01-30 2004-12-24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 고전압 관통형 콘덴서 장치 및마그네트론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042704B2 (ko)
JP (1) JP2005217296A (ko)
KR (1) KR20050078197A (ko)
CN (1) CN1649050A (ko)
MY (1) MY13473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33198B2 (ja) * 2005-08-29 2010-03-17 Tdk株式会社 高電圧貫通型コンデンサ、及び、マグネトロン
JP5638416B2 (ja) * 2011-02-18 2014-12-10 株式会社マキタ 電動工具
JP6861567B2 (ja) * 2017-04-19 2021-04-21 矢崎総業株式会社 車両用回路体
US11612022B2 (en) * 2018-03-09 2023-03-21 Rockwell Collins, Inc. Magnetron filter board for microwave oven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42436A (en) * 1990-02-27 1992-08-25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Piercing through type capacitor
JPH0440524A (ja) 1990-06-07 1992-02-10 Fujitsu Ltd 演算装置
JPH0533519A (ja) 1991-08-01 1993-02-09 Kisaburo Suzuki 繰出し形成方式による立体駐車場装置
US5455405A (en) * 1993-09-18 1995-10-03 Daewoo Electronics Co., Ltd. Noise shielding apparatus for magnetron of microwave oven
JP3473795B2 (ja) 1995-05-22 2003-12-08 Tdk株式会社 高電圧コンデンサ及びマグネトロン
JP3248619B2 (ja) * 1999-03-05 2002-01-21 ティーディーケイ株式会社 高電圧貫通型コンデンサ及びマグネトロン
JP3803258B2 (ja) * 2000-04-03 2006-08-02 Tdk株式会社 高電圧貫通型コンデンサ及びマグネトロ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042704B2 (en) 2006-05-09
JP2005217296A (ja) 2005-08-11
US20050168912A1 (en) 2005-08-04
CN1649050A (zh) 2005-08-03
MY134737A (en) 2007-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84256B1 (en) High-voltage feed-through capacitor and magnetron
KR970003365B1 (ko) 필터 및 필터 부착 전기 커넥터
US9397632B2 (en) Filter
JP2002313676A (ja) 表面実装型コンデンサ
US6972967B2 (en) EMC/ESD mitigation module
KR950003640B1 (ko) 관통형콘덴서
KR100422714B1 (ko) 고전압콘덴서및마그네트론
US7042704B2 (en) High-voltage capacitor, high-voltage capacitor device and magnetron
US5167539A (en) Noise suppressing connector
TW200417140A (en) Dielectric component array
JP4746697B2 (ja) 遮蔽部を備えた電子装置
US5525943A (en) Electromagnetic compatibility filter utilizing inherently formed capacitance
JP4338040B2 (ja) 高電圧コンデンサ、高電圧コンデンサ装置、及び、マグネトロン
KR960014523B1 (ko) 관통형 커패시터
JPH07192971A (ja) 高電圧コンデンサおよびマグネトロン装置
JP7211333B2 (ja) 電子機器
KR100482916B1 (ko) 관통형세라믹콘덴서,관통형세라믹콘덴서지지체및lc복합부품장치
KR200331057Y1 (ko) 관통형 콘덴서
JPH0765907A (ja) フィルタ付カードエッジコネクタ
JPH1022674A (ja) チューナの構造体
JPS5930521Y2 (ja) 高電圧貫通形コンデンサ
JPS5930522Y2 (ja) 高電圧貫通形コンデンサ
WO2023083611A1 (en) Choke module
JP3042163B2 (ja) 同軸型誘電体共振器
KR920007941Y1 (ko) 코일이 내장된 관통형 콘덴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