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1057Y1 - 관통형 콘덴서 - Google Patents

관통형 콘덴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1057Y1
KR200331057Y1 KR20-2003-0025813U KR20030025813U KR200331057Y1 KR 200331057 Y1 KR200331057 Y1 KR 200331057Y1 KR 20030025813 U KR20030025813 U KR 20030025813U KR 200331057 Y1 KR200331057 Y1 KR 2003310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or
ground plate
condenser element
insulating
we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58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봉
Original Assignee
주) 리드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리드원 filed Critical 주) 리드원
Priority to KR20-2003-00258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105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10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105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224Housing; Encapsul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228Terminals
    • H01G4/236Terminals leading through the housing, i.e. lead-throug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35Feed-through capacitors or anti-noise capaci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Fixed Capacitors And Capacitor Manufactur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관통형 콘덴서를 개시한다.
본 고안은, 중심부에 관통구멍이 형성된 장방형 플랜지가 돌출 형성된 접지 플레이트와; 접지 플레이트의 장방형 플랜지 상부에 위치되며, 좌,우 양측에 관통구멍이 형성된 콘덴서 소자와; 콘덴서 소자의 관통구멍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콘덴서 소자의 상부에 위치되는 탭부와 하부에 위치되는 관통부로 이루어지고, 탭부의 외주면에는 전극 콘넥터가 일체로 마련된 관통도체와; 콘덴서 소자의 상부에 관통도체를 감싸는 형태로 결합되는 절연 케이스와; 관통도체의 관통부를 소정길이 범위로 감싸는 절연 튜브와; 절연 케이스와 접지 플레이트의 내부에 충진되어 각 부품을 절연상태로 일체로 고정시키는 절연 수지;를 포함하여 된 것으로서, 관통도체의 관통부를 절연튜브만을 통해 보호할 수 있게되어 종래 절연커버를 사용하는 것과 비교할 때 부품수 감소에 따른 코스트 절감과 조립 공수 감소에 따른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관통도체와 접지 플레이트 사이의 콘덴서 소자간의 용접을 무세정 Pb-Free Solder 즉, SnZnBi용접 됨으로써 종래 SnPb를 통해 용접할 때 발생되는 슬러시를 제거할 수 있게되고, 결과적으로 세척공정이 수반되지 않음으로써 이를 통해서도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게된다.

Description

관통형 콘덴서{capacitor}
본 고안은 관통형 콘덴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레인지(電子range)등과 같은 대전력 전자파기기에 사용되는 마그네트론 장치의 마그네트론을 공진 구동시키기 위한 관통형 콘덴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송기기나 전자레인지 등과같은 대전력 전자파기기에 사용되는 마그네트론의 발진과정에서 부수적으로 여러 주파수가 노이즈(noise)로 발생되며, 이러한 노이즈는 전원 공급선을 따라 외부로 누출되거나 또는 공간으로 방사되어 주변기기에 잡음 및 오동작을 야기시키는 바, 이를 제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 관통형 콘덴서이다.
이러한 관통형 콘덴서의 일반적인 구조를 보면, 도 1에서와 같이, 중심부에 관통구멍(11a)이 형성된 장방형 플랜지(11)가 돌출 형성된 접지 플레이트(10)를 구비한다.
이 접지 플레이트(10)의 장방형 플랜지(11) 상부에는 좌,우 양측에 관통구멍(21,22)이 형성된 콘덴서 소자(20)가 위치되며, 이 콘덴서 소자(20)의 관통구멍으로는 탭부(31)와 관통부(32)로 이루어진 관통도체(30)가 각각 관통 설치된다.
즉, 관통도체(30)의 탭부(31)는 콘덴서 소자(20)의 관통구멍(21,22)의 상부에 위치되고, 관통부(32)는 하부에 위치된다.
한편, 관통도체(30)의 탭부(31) 하부 외주면에는 전극 콘넥터(40)가 일체로 마련되며, 관통부(32) 외주면에는 절연튜브(絶緣tube;50)가 끼워 삽입된다.
전술한 접지 플레이트(10)의 하부에는 절연커버(絶緣cover;60)가 끼워 삽입되고, 상부에는 절연 케이스(70)가 조립된다.
그리고 절연수지(미도시)가 전술한 접지 플레이트(10)의 상,하부로 충진됨으로써, 상술한 각 부품간을 절연 상태로 일체로 고정시키게 된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 관통형 콘덴서에 있어서는 다음에 열거하는 문제점을 내재하고 있다.
첫째, 관통도체(30)의 관통부(32)를 보호하기 위하여 절연튜브(50)와 절연커버(60)를 각각 구비하여야 함으로써 부품수 증가에 따른 코스트 상승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절연튜브(50)와 절연커버(60)를 각각 구비하여야 함으로써 조립공수 증가에 따른 조립 작업성의 저하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내재되어 있다.
셋째, 전술한 소체 즉, 콘덴서 소자(20)가 통상적으로 SnPb용접되어지는 바, 납을 주성분으로 용접되는 것이기 때문에 용접 과정에서 슬러시가 발생되고, 이에따라 슬러시를 제거하기 위한 세척 공정이 별도로 수반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내재되어 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부품수 감소에 따른 코스트 절감 및 조립 공수 감소에 따른 조립 작업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고, 특히 소체 즉, 콘덴서 소자의 용접 방식을 달리함으로써 슬러시 발생을 억제하여 세척 공정을 삭제할 수 있게되어 이를 통해서도 조립 작업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는 관통형 콘덴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관통형 콘덴서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관통형 콘덴서의 사시도.
도 3은 분리 사시도.
도 4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 접지 플레이트110 : 장방형 플랜지
111 : 관통구멍200 : 콘덴서 소자
210,220 : 관통구멍300 : 관통도체
310 : 탭부320 : 관통부
400 : 전극 콘넥터500 : 절연 케이스
600 : 절연튜브700 : 절연수지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관통형 콘덴서는, 중심부에 관통구멍이 형성된 장방형 플랜지가 돌출 형성된 접지 플레이트와; 상기 접지 플레이트의 장방형 플랜지 상부에 위치되며, 좌,우 양측에 관통구멍이 형성된 콘덴서 소자와; 상기 콘덴서 소자의 관통구멍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콘덴서 소자의 상부에 위치되는 탭부와 하부에 위치되는 관통부로 이루어지고, 탭부의 외주면에는 전극 콘넥터가 일체로 마련된 관통도체와; 상기 콘덴서 소자의 상부에 관통도체를 감싸는 형태로 결합되는 절연 케이스와; 상기 관통도체의 관통부를 소정길이 범위로 감싸는 절연 튜브와; 상기 절연 케이스와 접지 플레이트의 내부에 충진되어 각 부품을 절연상태로 일체로 고정시키는 절연 수지;를 포함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한 특징은, 상기 절연 튜브는 관통부의 하단과 인접된 부위까지 연장 형성된 것에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한 특징은, 상기 전극 콘넥터는, 관통도체와 장방형 접지 플레이트의 외면에 SnZnBi 용접 고정되는 것에 있다.
이와같은 본 고안의 특징적인 구성 및 이에따른 작용효과는 후술하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고안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관통형 콘덴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분리 사시도이며, 도 4는 단면도이다.
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관통형 콘덴서는, 크게 접지 플레이트(100)와 콘덴서 소자(200) 그리고 관통도체(300)와, 절연 케이스(500) 및 절연튜브(600)와 절연수지(700)로 대별된다.
접지 플레이트(100)는 금속으로 성형된 것으로서, 중심부에는 장방형으로 중심부에 관통구멍(111)이 형성된 장방형 플랜지(110)가 돌출 형성된다.
콘덴서 소자(200)는 접지 플레이트(100)의 장방형 플랜지(110) 상부에 위치되는 것으로서, 특히 좌,우 양측에는 소정직경의 관통구멍(210,220)이 형성된다.
관통도체(300)는, 콘덴서 소자(200)의 좌,우 양측에 형성된 관통구멍(210,220)에 각각 관통 설치되는 것으로서, 관통구멍(210,220)을 중심으로 상부에 위치되는 탭부(310)와 하부에 위치되는 관통부(320)로 구획 형성된다.
특히 관통도체(300)의 탭부(310) 하부 외주면에는 전극 콘넥터(400)가 일체로 마련된다.
한편, 전술한 콘덴서 소자(200)는, 접지 플레이트(100)상에 종래와 같이 SnPb로 용접하지 않고 SnZnBi으로 용접되며, 이에따라 용접 과정에서 슬러시가 발생되지 않게되고 결과적으로 공정상에서 세척 공정을 삭제할 수 있게된다.
절연케이스(500)는, 접지 플레이트(100)의 상부에 관통도체(300)를 감싸는 형태로 결합되는 것으로서, 탭부(310)를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절연튜브(600)는, 콘덴서 소자(200)의 관통구멍(210,220) 하부로 노출된 관통도체(300)의 관통부(320)에 소정길이 범위로 감싸는 형태로 결합되어 이를 보호하는 것으로서, 특히 그 길이범위는 관통부(320)의 하단부와 인접된 위치까지 감싸아 종래의 절연커버의 기능을 대행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절연수지(700)는, 전술한 절연 케이스(500)의 내부 및 접지 플레이트(100)의 내부까지 충진되어 경화됨으로써 상술한 각 부품들을 절연상태로 일체로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관통형 콘덴서는, 관통도체(300)에 전극 콘넥터(400)와 절연튜브(600)를 장착한 상태에서 콘덴서 소자(200)에 결합 시키고, 이를 접지 플레이트(100)와 절연 케이스(500)에 결합 시킨 상태에서 절연수지(700)를 충진함으로써 하나의 조립체(assembly)를 얻게된다.
이때 관통도체(300)의 관통부(320)는 절연튜브(600)를 통해 보호됨으로써 종래와 같이 절연커버를 사용할 필요가 없게되어 부품수 및 조립 공수 감소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관통도체(300)와 접지 플레이트(100) 사이의 콘덴서 소자(200)간의 용접을 무세정 Pb-Free Solder방식 즉, SnZnBi용접함으로써 종래 SnPb로 용접하는 것과 비교할 때 슬러시가 발생되지 않게되고, 결과적으로 세척 공정을 삭제할 수 있게된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고안의 적용범위는 이와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주지할 수 있는 사실일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관통형 콘덴서에 의하면, 관통도체의 관통부를 절연튜브만을 통해 보호할 수 있게되어 종래 절연커버를 사용하는 것과 비교할 때 부품수 감소에 따른 코스트 절감과 조립 공수 감소에 따른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관통도체와 접지 플레이트 사이의 콘덴서 소자간의 용접을 무세정 Pb-Free Solder 즉, SnZnBi용접 됨으로써 종래 SnPb를 통해 용접할 때 발생되는 슬러시를 제거할 수 있게되고, 결과적으로 세척공정이 수반되지 않음으로써 이를 통해서도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게된다.

Claims (3)

  1. 중심부에 관통구멍이 형성된 장방형 플랜지가 돌출 형성된 접지 플레이트와;
    상기 접지 플레이트의 장방형 플랜지 상부에 위치되며, 좌,우 양측에 관통구멍이 형성된 콘덴서 소자와;
    상기 콘덴서 소자의 관통구멍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콘덴서 소자의 상부에 위치되는 탭부와 하부에 위치되는 관통부로 이루어지고, 탭부의 외주면에는 전극 콘넥터가 일체로 마련된 관통도체와;
    상기 콘덴서 소자의 상부에 관통도체를 감싸는 형태로 결합되는 절연 케이스와;
    상기 관통도체의 관통부를 소정길이 범위로 감싸는 절연 튜브와;
    상기 절연 케이스와 접지 플레이트의 내부에 충진되어 각 부품을 절연상태로 일체로 고정시키는 절연 수지;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통형 콘덴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튜브는 관통부의 하단과 인접된 부위까지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통형 콘덴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콘넥터는, 관통도체와 장방형 접지 플레이트의 외면에 SnZnBi 용접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통형 콘덴서.
KR20-2003-0025813U 2003-08-11 2003-08-11 관통형 콘덴서 KR2003310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5813U KR200331057Y1 (ko) 2003-08-11 2003-08-11 관통형 콘덴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5813U KR200331057Y1 (ko) 2003-08-11 2003-08-11 관통형 콘덴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4868A Division KR20050015837A (ko) 2003-08-08 2003-08-08 관통형 콘덴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1057Y1 true KR200331057Y1 (ko) 2003-10-22

Family

ID=49417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5813U KR200331057Y1 (ko) 2003-08-11 2003-08-11 관통형 콘덴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105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9361B1 (ko) 2004-10-26 2006-12-19 이학균 쇼트 방지 및 보호용 콘덴서 단자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9361B1 (ko) 2004-10-26 2006-12-19 이학균 쇼트 방지 및 보호용 콘덴서 단자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84256B1 (en) High-voltage feed-through capacitor and magnetron
KR100575014B1 (ko) 콜렉터 모터
EP1276200B1 (en) Shield connection structure of cable
JP2002313676A (ja) 表面実装型コンデンサ
JPH06132162A (ja) 貫通コンデンサ
GB2411048A (en) Surface mount capacitor
KR200331057Y1 (ko) 관통형 콘덴서
FI76223C (fi) Apparatstickpropp med integrerat elektriskt avstoerningsfilter.
US4611185A (en) Electrical noise filter
US20050168912A1 (en) High-voltage capacitor, hight-voltage capacitor device and magnetron
KR20050015837A (ko) 관통형 콘덴서
KR200331049Y1 (ko) 관통형 콘덴서
JPH09129316A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取り付け構造
KR0160810B1 (ko) 전자레인지의 마그네트론 장치
JP7211333B2 (ja) 電子機器
JP2005197219A (ja) マグネトロン用の高圧コンデンサー
KR970011500B1 (ko) 관통형 커패시터와 이를 이용한 마그네트론
KR0116903Y1 (ko) 관통형 콘덴서의 접지판 결합구조
KR960014523B1 (ko) 관통형 커패시터
JPS6134754Y2 (ko)
JPH07211450A (ja) 電子レンジ用マグネトロンのノイズ遮蔽装置
KR0116902Y1 (ko) 관통형 콘덴서의 접지판 결합구조
KR100442934B1 (ko) 전자렌지용 캐패시터
KR920005852Y1 (ko) 마그네트론의 불요전자파 방지구조
KR0123268B1 (ko) 관통형 커패시터 및 이와 일체화된 마그네트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