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5010A - 왁스 성분, 막 형성제 및 겔 성분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왁스 성분, 막 형성제 및 겔 성분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5010A
KR20050075010A KR1020057008664A KR20057008664A KR20050075010A KR 20050075010 A KR20050075010 A KR 20050075010A KR 1020057008664 A KR1020057008664 A KR 1020057008664A KR 20057008664 A KR20057008664 A KR 20057008664A KR 20050075010 A KR20050075010 A KR 200500750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gel
composition according
water
cosm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8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36418B1 (ko
Inventor
마이케 패트제르
아즈라 스위스토우스키
크리스티나 제크
Original Assignee
슈반-스타빌로 코스메틱스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슈반-스타빌로 코스메틱스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filed Critical 슈반-스타빌로 코스메틱스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ublication of KR200500750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50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64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64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2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2Starch; Amylose; Amylopectin;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7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insects, e.g. shella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10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eyes, e.g. eyeliner, mascar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2Colour properties
    • A61K2800/43Pigments; Dy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6Preparations for styling the hair, e.g. by temporary shaping or colou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상의 화장료 성분 이외에 왁스 성분, 막 형성제 및 적어도 하나의 겔 성분을 함유하는 수중유형 에멀젼 형태의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여기서 겔 성분은 적어도 하나의 팽윤 수성 콜로이드이다.

Description

왁스 성분, 막 형성제 및 겔 성분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COSMETIC DRESSINGS CONTAINING A WAXY COMPONENT, A FILM-FORMING AGENT AND A GEL-FORMING SUBSTANCE}
본 발명은 화장료 조성물, 특히 케라틴 물질을 착색하고 형상화하기 위한 화장료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그 용도에 관한 것이다.
케라틴 물질, 예를 들면 속눈썹을 착색시킬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이 오래전에 이미 알려져 왔다. 그러한 조성물에 대한 많은 다른 요구들에 부응하기 위한 개선이 반복적으로 개발되어 왔다. 속눈썹에 적용되는 조성물은 한편으로는 속눈썹의 우수한 착색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지만, 또한, 주변 영역으로 번져나가지 말아야 한다. 상기 조성물은 상기 속눈썹에 잘 부착하여야 하지만, 또한 쉽게 다시 제거되어야 한다. 상기 조성물은 도포가 쉬워야 하고, 상기 속눈썹에 매력적인 모양을 부여하여야만 하고, 건조후에도 그 모양을 유지하여야 한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만족스럽게 도포될 수 있도록 낮은 점도를 가져야만 하지만, 상기 재료가 얼룩지지 않도록 빠르게 건조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제품은 안정적이어서 장시간 동안 대기하에서 저장될 수 있어야 한다.
많은 다른 재료들이 모든 것들, 부분적으로 상반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되었다. 현재의 마스카라는 속눈썹에의 부착을 제공하는 왁스 성분, 매력적인 모양을 제공하고 유지하는 막 형성제 및 적절한 범위로 점도를 설정하는 결합제를 포함한다. 마스카라는 의례 물에 의해 형성되는 연속상과, 상기 왁스 성분에 의해 형성되는 비연속상으로 된 에멀젼이다. 그러므로, 예를 들면 미합중국 특허 6,210,692에는 특히 마스카라로서 적합하고, 수용층과 지용층으로 구성되며, 안정화 목적으로 친수성 증점제 및 폴리사카라이드 에터의 두 다른 종류의 결합제를 함유하는 화장료 에멀젼이 기술되었는데, 그에 의해 수용층과 겔을 형성하는 증점제의 사용을 피할 수 있다. 그러한 에멀젼은 건성 및 민감성 피부를 보호하고 관리하는 데 특히 적절하다.
또한, 미합중국 특허 6,325,994에는 특히 마스카라로서 적합한 조성이 기재되어 있는데, 그것은 지방, 왁스 및 친유성 고분자를 갖는 친유층을 포함하며, 상기 친유성 고분자는 특별한 아크릴레이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이다. 상기 조성물은 또한 수용층과 에멀젼의 형태를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염료, 안료 및 충진재와 같은 일반적인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이 조성물은 방수성이 있고 매우 내구적이긴 하지만, 아직 모든 면에서 만족스럽지는 못하다.
상기 문헌은 일반적으로 왁스, 오일, 결합제 및 착색제를 함유하고, 또한 수중유형(oil-in-water) 에멀젼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는 많은 다른 유사 조성물들을 기술하였다. 그렇지만 상기 공지 조성물들은 다음의 단점들 가운데 적어도 하나를 갖는다. 공지 에멀젼 중 다수는 가열 조건에서 제조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안정하지 못하다. 그렇지만 화장료 조성물에는 열처리가 필요하므로,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드는 특별한 처리 단계를 요구하게 된다.
이러한 조성물로는 상기 조성물 내에서 덩어리 또는 결정의 형성 없이 안정하게 남아있도록 안료를 함유시키기가 어려운 경우가 흔하다. 케라틴 물질에 잘 부착되는 조성물은 그로부터 제거하기 어려운 경우가 종종 있다. 특히 방수성(water-resistant) 조성물은 수용성 조성에 의하여 더 이상 제거되지 않는다. 특히 마스카라에 대해 일어나는 주된 문제점은 안료 입자들이 상기 조성물로부터 빠져나오고, 피부에 침착되어 매력적이지 않은 변색 효과를 나타내거나, 더 심각하게는 눈으로 들어가, 예를 들면 콘택 렌즈 착용시 렌즈를 변색시켜 사용 불능으로 만드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출원의 발명자들은 생산이 간단하고, 특별한 기계 장치 없이 신뢰성과 재현성을 갖고 생산할 수 있고, 안료가 쉽게 함유되어 조성물 속에서 안정하게 유지되고, 높은 온도에서도 안정하고 분리나 분해 없이 가열될 수 있고, 높은 온도에서 용기에 쉽게 담을 수 있는 점도를 갖고, 쉽게 도포되고, 장기간 부착력이 있으며, 속눈썹 길이를 늘릴 수 있고, 속눈썹에 볼륨감을 주며 눈꺼풀로 이동되지 않고, 방수성 및 내누성(tear-resistant)이 있고, 건조 후 부스러지지 않고 다시 쉽게 제거되는 제품을 개발하는 데 본 발명의 목적을 두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든 이들 목적들은, 수중유형(O/W) 에멀젼의 형태로서 통상의 화장료 구성성분 외에 왁스 성분, 막 형성제 및 겔 성분을 함유하고,상기 겔 성분은 적어도 하나의 팽윤 수성 콜로이드인 화장료 조성물에 의해 달성된다.
놀랍게도, 팽윤 수성 콜로이드의 사용은, 조성물에 구조성을 부여할 수 있고, 착색제와 안료가 조성물 재료로부터 더 이상 빠져나오지 않도록 착색제와 안료를 결합시켜, 도포된 건조 재료가 물과 접촉되더라도 흐르지 않게 함을 발견하였다. 또한, 상기 팽윤 수성 콜로이드는, 높은 온도에서도 상기 혼합물의 성분의 분리가 일어나지 않도록 고체와 유체 조건하에서 상기 조성물의 구조를 안정화시킨다. 이는 조성물이 문제없이 가열될 수 있고, 가열 조건하에서 용기로 담겨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성물의 생산은 간단하며, 이용가능한 종래의 장치를 가지고 용이하고 신뢰성 있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특히 케라틴 물질에 적용하려 하고, 특히 속눈썹, 눈썹, 모발, 가발이 그에 해당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성물은 특히 마스카라로서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성물의 가장 중요한 성분들은 에멀젼의 연속상을 형성하는 물 이외에 왁스 성분, 막 형성계 및 적어도 하나의 겔 성분이다.
상기 왁스 성분은 적어도 하나의 왁스 및 바람직하게는 추가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오일 및/또는 지방을 포함하며, 각각 식물성, 동물성, 무기물 또는 합성물 기원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유화제를,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보조 유화제를 선택적으로 함유하여 에멀젼 구성을 위한 왁스 성분의 처리가 용이하게 되도록 한다. 심미적으로 특히 만족스러운 최종 제품을 얻기 위하여 상기 왁스 성분은 추가적으로 비닐피롤리돈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왁스 성분은 상기 재료에 경도(consistency)를 부여하고 상기 조성물이 방수성을 갖도록 한다. 그 목적을 위해, 상기 왁스 성분은 대기 온도하에서 유체, 페이스트, 또는 고체가 될 수 있는 지방 유사 물질, 오일 유사 물질 및 왁스 유사 물질들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왁스 및 적어도 하나의 오일의 조합이 상기 최적의 경도를 조정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바람직하게는, 대기의 온도하에서 고체인 적어도 하나의 왁스가 사용된다. 특히 바람직한 것은 적점(dropping point)이 50 ~ 200℃인 왁스이다. 적점이 50℃ 미만인 왁스는 저장성에 대한 문제를 유발하고, 적점이 200℃를 초과하는 왁스는 작업성에 부분적인 문제가 있다.
화장료에서 통상 사용되는 왁스는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왁스 성분으로도 적합하고, 특히 카르나우바 왁스(carnauba wax), 칸데릴라 왁스(candellila wax), 오우리커리 왁스(ouricurri wax), 재팬 왁스(japan wax), 코튼 왁스(cotton wax), 라이스 왁스(rice wax), 플라워 왁스(flower waxes) 및 조조바 경화유(hydrogenated jojoba oil)와 같은 식물성 왁스; 비즈왁스(beeswaxes), 개질 비즈왁스(modified beeswaxes), 특히 세라 벨리나(Cera bellina), 라놀린 왁스(lanolin waxes) 및 인섹트 왁스(insect waxes)와 같은 동물성 왁스; 파라핀 왁스(paraffin waxes), 미결정질 왁스(microcrystalline waxes), 몬탄 왁스(montan waxes) 및 오조세라이트(ozocerite)와 같은 무기물 왁스; 피셔-트롭쉬 왁스(Fischer-Tropsch waxes), 왁스 고분자 혼성물(wax polymer hybrids), 폴리에틸렌 왁스(polyethylene waxes), 실리콘 왁스(silicone waxes) 및 아젤라익산 디올레일 에스터(azelaic acid dioleyl esters), 아젤라익산 디베헤닐 에스터(azelaic acid dibehenyl esters), 베헤닐올레이트(behenyloleate), 세틸 팔미테이트(cetyl palmitate)와 같은 합성물 왁스 및 모든 상기 언급된 왁스의 혼합물이 적합하다. 특히 바람직한 형태로는 동물성 왁스 및 합성물 왁스, 그리고 특히 그들의 혼합물이 이용된다.
적어도 하나의 지방 또는 오일이 상기 조성물의 점도를 조정하고 상기 조성물에 작업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상기 왁스 성분에 포함된다. 그 목적을 위하여 동물성 및 식물성 지방과 오일이 모두 고려되고, 또한 경화된 상태 또는 개질된 상태로 사용될 수 있다. 적합한 지방과 오일의 예로는 평지씨 기름(rapeseed oil), 해바라기 기름(sunflower oil), 참기름(sesame oil), 땅콩 기름(groundnut oil), 엉겅퀴 기름(thistle oil), 코코넛 기름(coconut oil), 코코넛 경화유 (hydrogenated coconut oil), 피마자유(castor oil), 피마자 경화유(hydrogenated castor oil), 우지(beef tallow),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isopropylmyristate), 이소프로필팔미테이트(isopropylpalmitate), 이소프로필스테아레이트(isopropylstearate), 이소부틸스테아레이트(isobutylstearate), 이소스테아릴이소스테아레이트(isostearylisostearate), 올레일올레이트(oleyloleate), 조조바 오일(jojoba oil), 캐프릴릭/캐프릭 트리글리세리드 및 유사 합성 트리글리세리드(caprylic/capric triglyceride and similar synthetic triglycerides), 파라핀 오일(paraffin oil), 폴리부텐(polybutene), 스쿠알렌(squalane), 스쿠알렌 및 그 혼합물(squalene and mixtures thereof), 합성 에스터(synthetic esters) 및 실리콘 오일(silicone oils)을 들 수 있고, 휘발성 오일 및 비휘발성 오일 모두가 고려되며, 특히 휘발성 및 비휘발성 이소파라핀뿐만 아니라 디메티콘(dimethicone) 및 사이클로메티콘(cyclomethicone)이 고려된다. 그러한 성분들의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서로 다른 성질을 제공하기 위하여, 비휘발성 지방 또는 비휘발성 오일 및 휘발성 오일 모두가 흔히 함유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왁스 성분은 휘발성 성분을 함유하고, 특히 합성 에스터, 실리콘 오일, 디메티콘, 사이클로메티콘 및 이소파라핀을 20% 이하의 농도로 함유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왁스, 지방 및 오일의 혼합물이 사용되고, 상기 각각의 선택된 물질들은 질감 및 점도와 같은 요구되는 물성들을 얻기 위한 함량만큼 사용된다. 사용되는 각각의 함량과 혼합물은 이 분야에 능숙한 자에게 알려져 있고, 여기에서 더 상세히 논의할 필요는 없다.
또한, 상기 왁스 성분은 이 분야에 능숙한 자에게 그 자체로 알려져 있고, 안정성, 점도, 작업성 및 내구성과 같은 물성들에 영향을 끼치는 성분들을 더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당 유도체를 함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왁스 성분은 최종 조성물의 0 ~ 50%의 비율,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 30%인 비율을 조성하며, 달리 상술하지 않는다면 명세서의 다른 정보와 마찬가지로 백분율은 중량과 관계 있다. 상기 왁스 성분 내에서 왁스 또는 왁스들의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20 ~ 10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 95%이다.
상기 지방 또는 오일은 통상 상기 조성물의 경도가 원하는 범위에 있도록 하는 비율로 첨가된다. 보통 상기 왁스 성분에 있는 지방 및 오일의 비율은 사용된 재료에 의존하며, 20 ~ 80%이고, 그 중에서도 낮은 영역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술한 대로, 상기 왁스 성분은 유화제 및 추가적으로 보조유화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보조유화는 에멀젼 형성 및 균질성을 촉진하고, 형성된 에멀젼을 안정화시킨다. 그 성분의 선택이 결정적인 요소는 아니지만, 화장료 조성물에 요구되는 물성들을 나타내고, 특히 자극을 유발하지 않고 독성이 없어야 한다. 화장료에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이 분야에 능숙한 자에게 알려진 모든 성분이 여기에서 사용될 수 있다. 그 예로는 음이온 활성 유화제, 양이온 활성 유화제, 비이온 유화제 및 앰포텐시드(amphotenside)뿐만 아니라, 예를 들면 공중합체, 블록 공중합체 및 그라프트 중합체로부터 형성될 수 있는 고분자 텐시드, 실리콘 텐시드 및 고분자 실리콘 텐시드, 실리콘 공중합체, 천연 지방산의 PEG 유도체 및 베타인(betaine)이 있다.
상기 유화제 및 보조유화제는 통상의 함량으로 상기 왁스 성분에 첨가된다. 만일 존재한다면, 왁스 성분에 대한 바람직한 함량은 약 0.5 ~ 40%이다. 상기 최적 함량은 특히 상기 왁스 성분의 성질과 함량 및 사용되는 상기 유화제의 성질에 의존하며, 일반적인 시험방법에 의하여 쉽게 결정될 수 있다. 특히 좋은 결과는 10 ~ 25%의 범위내의 비율에서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두 번째 필수 성분은 막 형성계이다. 상기 막 형성계는 매질에 분산되거나 용해된 고분자 또는 복수개의 고분자에 의해 통상 형성되고, 상기 고분자 또는 복수개의 고분자는 용매 또는 분산제인 상기 매질의 제거시 막을 형성한다. 고형분은 고분자와 매질의 각 함량에 의존하며, 통상 10 ~ 70%이고, 바람직하게는 20 ~ 40%이다. 고분자 분야에서 용액과 분산 사이의 전이는 유동적이므로, 본 명세서에서 막 형성제와 매질(용해제, 용매 또는 분산제)을 포함하는 모든 계는 불명료를 제거하기 위하여 분산으로 일반적으로 지칭된다. 그러므로, 상기 '분산'의 표현은 용액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막 형성 고분자가 예를 들어 산 이나 염기의 첨가에 의하여 용해되는 계도 포함된다. 상기 매질은 바람직하게는 물이다.
막 형성 고분자는 그 자체로 알려져 있고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 사용되는 모든 고분자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막 형성제는 상기 왁스 성분과 함께, 케라틴 물질, 예를 들면 속눈썹, 눈썹 또는 모발을 위한 매우 내구성있는 코팅을 형성한다.
상기 막 형성 고분자는 고분자축합물(polycondensate), 라디칼 형성 고분자 또는 천연 고분자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성물에 특히 적합한 막 형성계는 폴리우레탄(polyurethanes), 폴리우레아(polyureas), 폴리에스터(polyesters) 및 폴리에터(polyethers), 그리고 상기 고분자들의 유도체, PVP, 폴리아미드(polyamides), 비닐 고분자(vinyl polymers), 아크릴릭(acrylic) 및 메타크릴릭 고분자(methacrylic polymers) 및 그 공중합체, 에폭시 에스터(epoxy esters), 실리콘 고분자(silicone polymers) 및 그 공중합체 및 상기 언급된 고분자들로부터 형성된 혼성 고분자들(hybrid polymers)의 부류로부터의 음이온성, 양이온성, 비이온성 및/또는 양쪽성 고분자들을 함유한다. 상기 막 형성계는 통상 분산 형태이며, 수용성계가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한 막 형성제는 폴리우레탄,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아크릴산 공중합체(polyurethane-acrylic acid copolymers)와 같은 폴리우레탄 및 폴리우레탄 공중합체, 폴리우레탄-폴리비닐피롤리돈(polyurethane-polyvinylpyrrolidones), 폴리에스터-폴리우레탄(polyester-polyurethanes), 폴리에터-폴리우레탄(polyether-polyurethanes), 폴리우레아, 폴리에스터 아미드(polyester amides), 지방사슬을 갖는 폴리에스터(polyesters with fatty chain), 폴리아미드, 에폭시 에스터 수지 및/또는 폴리프로필렌 글리콜-말레익 에스터 공중합체이다. 이들 고분자 가운데 다수는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하다. 더 바람직한 군은 아크릴 고분자(acryl polymers), 아크릴/스티렌 공중합체(acryl/styrene copolymers), 아크릴/비닐 공중합체(acryl/vinyl copolymers) 및 아크릴/실리콘 공중합체(acryl/silicone copolymers)뿐 아니라 니트로셀룰로오즈(nitrocellulose)와 아크릴 고분자(acryl polymer)의 조합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혼성 고분자도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다당류 및 셀룰로오즈 유도체와 같은, 개질된 형태로도 존재할 수 있는 천연 고분자가 적합하다. 상기 열거된 고분자의 둘 또는 그 이상의 혼합물이 또한 사용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혼합물은 원하는 물성이 얻어지도록 형성된다. CTFA에 의해 승인된 제품, 특히 폴리우레탄-1 내지 폴리우레탄-13이 또한 특히 적합하다.
상기 막 형성계는 원하는 효과에 맞는 양으로 사용된다. 그 함량 범위는 5 ~ 95%가 적합하다. 예를 들면, 내구성 및 부착력과 관련된 특별히 유리한 물성을 얻기 위하여, 5 ~ 60%, 바람직하게는 20 ~ 35%의 함량이 사용되며, 개별적인 경우에 사용되는 함량은 사용되는 고분자에 의존하며 상기 왁스 성분 및 상기 겔 성분의 비율과 성질에 의존한다. 상기 겔 성분에 의해 형성되는 구조가 두꺼울수록, 그리고 각 경우에 형성되는 막이 두꺼울수록, 그에 따라 상기 막 형성계의 양을 줄일 수 있다. 최적 함량은 이 분야에 능숙한 자는 쉽게 발견할 수 있다. 이 관점에서, 상기 함량은 사용되는 계, 즉 막 형성 고분자와 용해제의 함량의 지표가 된다.
본 발명에 필수적인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성분은 유리한 물성을 얻기 위하여 포함되어야만 하는 겔 성분이다. 상기 겔 성분으로서 팽윤 수성 콜로이드 사용은 구조 형성 작용을 갖고, 건조 후 상기 조성물이 케라틴 물질상에 내구적이고, 방수성인 막을 형성하도록 상기 구조를 안정화하고, 상기 막 형성제 및 상기 왁스 성분과 함께, 상기 조성물의 모든 성분이 걸러지거나 빠져나오거나 또는 흘러나오지 않도록 이들을 보유하는 것이 발견되었다. 그러므로, 상기 겔 성분은 착색제 및 안료, 또한 다른 성분을 용해시키고 보유하는 데 이상적으로 적합한 물질을 제공한다.
상기 겔 성분은 적어도 하나의 팽윤 수성 콜로이드로부터 형성되고, 바람직하게는 물에 의해 팽윤된다. 팽윤 상태의 수성 콜로이드는 원하는 격자를 퍼지게 한 다음, 상기 막 형성계와 함께, 다른 성분들을 용해시키고 안정화시킬 수 있음이 확립되었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수성 콜로이드의 용어는 용매에서, 특히 수용성계에서 겔 또는 점성의, 특히 고점성의 용액을 형성하는 천연 및 합성 고분자를 가리키는 데 사용된다. 예로서, 특히 셀룰로오즈(celluloses) 및 셀룰로오즈 유도체(cellulose derivatives), 전분(starch) 및 전분 유도체(starch derivatives), 알기네이트(alginates), 카라긴(carrageens), 펙틴(pectins), 트래거캔스(tragacanth) 및 검(gums) 뿐만 아니라 폴리비닐알콜(polyvinyl alcohol) 및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 pyrrolidone) 및 덱스트란(dextran)을 들 수 있다. 비록 분말 형태에 있는 이들 물질들이 이미 화장료의 증점제 용도로는 이미 부분적으로 알려져 있더라도, 팽윤 상태에서 이들이 화장료 조성물에 특히 유리한 물성을 부여할 수 있다는 것은 지금까지 인식되지 않았다. 이제 놀랍게도 팽윤 상태의 이들 수성 콜로이드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구조, 안정성 및 볼륨감을 부여한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팽윤 수성 콜로이드의 사용은 건조 과정 후 상기 조성물의 부피가 거의 감소하지 않거나 전혀 감소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성물은 건조 후 눈썹을 길고 풍부하게 만들어 미적 감각을 증진시킨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성물의 생산에 있어서 상기 수성 콜로이드는 팽윤 상태로 사용되고, 상기 조성물에서 팽윤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만약 수성 콜로이드가 가열된 물에서 팽윤되면, 특히 40 ~ 100℃의 온도의 물에서 팽윤되면 특히 우수한 물성이 얻어진다. 통상, 상기 수성 콜로이드는 물과 예를 들면, 교반의 방법으로 혼합되고, 그 다음 후속 처리에 앞서 적어도 약 40℃로바람직하게는 냉각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대기 온도로 냉각된다. 팽윤(swelling)은 상기 수성 콜로이드의 물리적 성질을 비가역적으로 변화시켜, 원하는 구조를 제공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되는 미리 팽윤된 수성 콜로이드는 안정적이고 저장 가능하므로 후속 공정에 앞서 얼마 동안 예를 들면, 수 시간 또는 그 이상의 기간 동안 저장될 수 있다.
팽윤은 물 결합 능력을 증가시켜 최종 조성물이 이후에 보다 많은 물과 결합하거나 보다 많은 물을 보유할 수 있도록 하여, 유리한 물성으로 특히 이어진다고 여겨진다.
그러므로, 바람직한 특징은 100 ~ 600%,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 ~ 500% 및 보다 특히 350 ~ 430%의 물 결합 능력을 가진 수성 콜로이드를 사용할 때 나타난다. 상기 수성 콜로이드의 물 결합 능력은 그 자체로 알려진 방법을 사용하여 결정될 수 있고, 예를 들면 칼-피셔 적정(Karl-Fischer titration), 또는 건조 잔여물 결정 방법이 있다.
더 나아가, 80℃에서 고 팽윤력을 갖는 수성 콜로이드가 특히 유리하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그러므로, 바람직한 수성 콜로이드는 팽윤력이 80℃에서 측정하였을 때 250 ~ 500%인 것이다. 상기 팽윤력은 그 자체로 알려진 방법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그 방법은 상기 수성 콜로이드가 물에서 가열되고, 균일하게 팽윤된 후(즉, 덩어리 형성없이), 교반과 함께 대기 온도로 냉각되고, 상등액을 가만히 따르고, 흡수된 물을 칼-피셔 방법 또는 건조 중량 측정기구로 결정하는 것이다.
특히 유리한 팽윤력과 특히 고수준의 물 결합 능력이 개질 전분의 경우에 확립되었으며, 따라서 개질 전분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적합한 전분의 예는 식물성 전분, 특히 밀, 옥수수 및 쌀 전분과 같은 곡류 전분이고, 여기서 개질된 형태의 쌀 전분이 특히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서 사용되는 수성 콜로이드는 전분 또는 전분 유도체, 또는 유도(derivatised) 또는 개질된 전분, 특히 쌀 전분이다. 특히, 유리한 물성은 하이드록시알킬- 또는 디메틸이미다졸리디논 쌀 전분에서 얻어질 수 있다.
상기 팽윤 수성 콜로이드는 그 안정성에 의하여 상기 화장료 조성물 생산의 후속 공정에 사용되기 전에 긴 시간 동안 저장될 수 있다. 상기 팽윤 수성 콜로이드를 박테리아 오염으로부터 막기 위하여 방부제가 수성 콜로이드 및 물의 계에 첨가될 수 있다. 그러한 계에 대한 방부제는 이 분야의 능숙한 자에게 잘 알려져 있고, 식료품 및 화장료에 적합한 방부제가 여기에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분산제가 상기 계에 첨가될 수 있다. 방부제 및 분산제의 조합은 살균 효과를 상승적으로 증가시킨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벤질 알콜(benzyl alcohol) 및 그 에스터(the esters thereof), 파라벤(parabens) 및 그 염(salts thereof), 페닐에틸 알콜(phenylethyl alcohol), IPBC, 디이미다졸리디닐 우레아와 같은 포름알데히드 해리제(cleaving agents), 유기 방향산(organic aromatic acids), 페녹시에탄올(phenoxyethanol) 등을 적합한 방부제로 들 수 있다. 분산제의 예로는 PEG 유도체, 비이온성 텐시드, 블록고분자, 유기 폴리산의 에스터, 다가 금속염의 비누, 아미노산 또는 그 에스터, 실리코닐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siliconyl acrylate copolymers) 및 기타 알려진 습윤제가 있다.
또한, 토코페롤, NDGA, 참기름, γ-오리자놀(γ-oryzanol), 로즈마리 오일, BHT 및 화장료에 사용되는 기타 제제와 같은 항산화제를 상기 조성물의 안정화를 위해 사용할 수 있다. 필요하다면 미생물적 안정성은 화장료에 통상 사용되는 것 처럼 방부제의 첨가에 의해 보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성물에서 상기 겔 성분(즉, 팽윤 상태의 수성 콜로이드)의 비율은 넓은 범위에서 변할 수 있다. 바람직한 비율은 3 ~ 50%이고, 특히 바람직한 비율은 3 ~ 20%이다. 이 비율은 상기 조성물에 대한 팽윤 수성 콜로이드, 즉 액체 가운데 흡수된 부분을 포함하는 수성 콜로이드의 중량에 해당한다. 비율이 3% 미만이면 그 효과는 더 이상 최적이지 않고, 50%를 초과하면 상기 조성물의 점도와 구조가 악영향을 받을 수 있다. 상기 팽윤 겔 성분에서 상기 수성 콜로이드의 비율은 상기 수성 콜로이드의 성질에 따라 넓은 범위에서 변할 수 있고, 예를 들면 각 팽윤력에 따라 5 ~ 90%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성물의 상기 겔 성분은 천연 고분자, 바람직하게는 단가 및/또는 다가 알콜형태의 수성 콜로이드의 두 번째 겔을 추기로 가질 수 있다. 상기 두 번째 '알콜성' 겔은 구조를 안정화시키고 상기 유변학적(rheological) 물성에 영향을 주기 위한 것이다. 또한, 그것은 상기 조성물의 건조 물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상기 알콜성 겔 성분은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은 아니며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포함된다. 상기 두 번째 겔의 고분자는 상기 첫 번째 겔의 상기 수성 콜로이드와 동일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그와 다른 것이 좋다.
사용되는 두 번째 겔은 바람직하게는 물 및 알콜 또는 물과 알콜의 혼합물에 용해되는 셀룰로오즈 유도체로, 특히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carboxymethylcellulose),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즈(hydroxymethylcellulose),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즈(hydroxyethylcellulose) 또는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즈(hydroxypropylcellulose)이고,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즈(hydroxypropylcellulose)가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셀룰로오즈 유도체가 알콜에 용해되거나 분산되어 겔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C2-C4의 사슬 길이를 갖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가 알콜 및 C2-C6의 사슬 길이를 갖고 적어도 두 개의 수산화기를 갖는 다가 알콜을 포함하는 혼합물이 그 목적으로 사용된다. 적합한 단가 알콜의 예로는 에탄올(ethanol), n-프로판올(n-propanol), i-프로판올(i-propanol), n-부탄올(n-butanol), i-부탄올(i-butanol)이 있고 에탄올이 바람직하다. 다가 알콜의 예로는 프로판-1,2-디올(propane-1,2-diol), 디프로판 디올(dipropane diol)과 같은 프로판 디올, 부탄-1,2-디올(butane-1,2-diol), 부탄-1,3-디올(butane-1,3-diol), 부탄-1,4-디올(butane-1,4-diol)과 같은 부탄 디올, 글리세린(glycerine), 디글리세린(diglycerine), 트리글리세린(triglycerine), 디에틸렌글리콜(diethylene glycols), 아밀알콜(amyl alcohol), 헥산-1,2-디올(hexane-1,2-diol), 헥산-1,3-디올(hexane-1,3-diol)과 같은 헥산 디올, 펜타에리트리톨(pentaerythritol), 소비톨(sorbitol), 자일리톨(xylitol), 만니톨(mannitol) 및 알디톨(alditol)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다가 알콜은 프로판-1,2-디올 또는 부탄-1,3-디올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먼저 상기 셀룰로오즈 유도체가 다가 알콜의 현탁액으로 만들어지고, 그 다음 원하는 점도를 얻을 때까지 단가 알콜을 첨가한다. 그 상황에서 고 점도의 겔이 형성되고,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성물의 다른 성분과 함께 혼합될 수 있다.
알콜성 겔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성물에서 사용될 때, 그 함량은 건조 물성뿐만 아니라 상기 원하는 점도에도 의존적이다. 0 ~ 10% (고분자 + 알콜)의 함량이 적절하다고 판명되었다. 이 경우, 상기 고분자의 비율은 상기 겔의 0.5 ~ 20%의 범위에 있다. 상기 조성물이 매우 천천히 건조되면, 상기 알콜성 겔의 비율 또는 상기 겔의 알콜 비율은 각각 증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성물은 특히 원하는 물성에 영향을 주는 통상의 화장료 성분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대부분의 화장료 제품에서 중요한 성분은 요구하는 색을 나타낼 수 있는 착색제 또는 안료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성물은 유기 착색제와 안료가 모두 걸러지지 않도록 이들을 안정화하는 데에 적합하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화장료에 대해 알려진 모든 성분들이 안료 또는 착색제로 이용될 수 있다. 유일한 필요 조건은 상기 성분들이 독성이 없고 자극적이지 않아야 한다는 것이다. 안료는 바람직하게는 미세 분말 형태로 사용된다. 안료의 예로는 산화철(iron oxides), 울트라마린(ultramarine), 크롬 옥사이드 그린(chromium oxide green), 크롬 하이드록사이드 그린(chromium hydroxide green), 카본 블랙(carbon black), 이산화티타늄(titanium dioxide), 산화아연(zinc oxide), 황산바륨(barium sulfate), 활석(talcum) 및 고령토(kaolin)가 있다. 유기 착색제의 예로는 알루미늄, 바륨, 칼슘, 칼륨, 스트론튬 및 아연 레이크(lakes)와 같은 레이크, 카민 및 이 분야에 능숙한 자에게 잘 알려진 기타 착색 물질들이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진주 광택 안료를 또한 함유할 수 있다. 화장료에 통상 사용된 비율로 상기 미립자 성분들이 사용되고, 선택되는 함량은 입자상의 성질 및 원하는 효과에 의존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미립자 성분의 비율은 최대 30%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2 ~ 20%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에 원하는 구조를 부여하는 충진재 및 미립자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그러한 충진재 및 입자 역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성물에 의하여 안정화되어 침착되지 않는다. 상기 충진재 및 미립자의 예로는 활석, 고령토, 벤토나이트(bentonite), 헥토라이트(hectorite), 몬모릴로나이트(montmorillonite), 산화세륨(cerium oxide), 이산화규소(silicon dioxide), 보로나이트라이드(boronitride), 나일론 분말(nylon powder), 폴리에틸렌 분말(polyethylene powder), 폴리프로필렌 분말(polypropylene powder), 실크 분말(silk powder) 및 그 혼합물, 다가 금속 비누, 비-팽윤성 전분(non-swellable starches), 과일 섬유(fruit fibers), 천연 및 합성 박리(exfoliation) 물질, 모래(sand), 왕겨 산물(bran products), 과일씨(stone fruit)로부터 만든 씨 분말(stone powder), 조류 유도체(algae derivatives), 열경화성, 열가소성 및 탄성체 분말 및 그 혼합물 및 상기 열거한 성분의 혼성물이 있다.
상기 조성물을 촉감이 매끄럽고 광택이 나게 하기 위하여 가소제를 첨가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그 예는 다가 알콜 및 에스터로서,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트리글리세린, 디에틸렌 글리콜, 아밀 알콜(amyl alcohol), 헥산 디올(hexane diols), 펜타에리트리톨(pentaerythritol), 소르비톨, 자일리톨, 만니톨 및 알디톨이 있고, 사카로우즈 아세테이트 이소부티레이트(Saccharose acetate isobutyrate), 로레쓰-2-벤조에이트(laureth-2-benzoate), 에틸헥실세바케이트(ethylhexylsebacate), 트리부틸시트레이트(tributylcitrate)와 같은 시트릭산 에스터, 합성 단쇄 에스터(synthetic short-chain esters), 펜타에리트리톨 에스터(pentaerythritol esters) 및 올리고펜타에리트리톨 에스터(oligopentaerythritol esters)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성물이 마스카라로서 사용된다면, 통상 요구되는 색상, 즉 흑색, 청색, 갈색 및 회색을 나타내는 안료 및 착색제가 이용된다. 그렇지만, 예를 들면 모발의 끝 또는 눈썹의 끝을 상기 모발이나 눈썹의 나머지 부분과 다른 색으로 채색하기 위하여 다른 색을 갖는 조성물을 제조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상기 채색 성분, 즉 안료 및 착색제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성물에서 꼭 포함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채색 성분과 및 구조 부여 성분이 별개이고, 채색 성분이 없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성물이 우선적으로 케라틴 물질에 도포되고, 그 다음 상기 착색제 또는 안료의 배합이 도포되는 실시형태 역시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성물의 pH는 화장료에서 통상 사용되는 막 형성제의 다수가 약산성 pH에서 이미 침전될 수 있으므로, 중성에서 약염기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상기 pH를 조정하거나 완충시키기 위해, 상기 조성물은, 예를 들면 NaOH, 아민 및 종래의 완충제와 같은 염기제 및/또는 완충제를 또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의 pH는 6.5 ~ 8.8, 특히 바람직하게는 6.8 ~ 7.5의 범위에 있도록 조정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르면, 에멀젼의 형태로 있고, 특히 유리한 물성들을 결합시킨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조성물은 쉽게 제조되고, 안정한 제품으로 생산되며, 고온의 조건하에서 안정적이어서 후속 공정에 쉽게 적용할 수 있고, 내부에 포함된 성분의 분리없이 오랜 시간 동안 부착되는 막을 형성한다. 상기 막은 그것이 도포된 케라틴 섬유가 풍부하게 보이게 하고, 매력적이고 지속적으로‘곱슬’거리게 한다. 원하는 시점에서 상기 조성물은 물을 가함에 의해 다시 쉽게 제거되고, 이것은 선택적으로 습윤제와 함께 이루어질 수 있고, 이는 상기 막의 팽윤을 유도하여 막이 다시 쉽게 제거될 수 있는 것이다. 왁스 성분, 막 형성제 및 겔 성분의 특정 조합은 케라틴 섬유에 내구적인 부착을 하는 망 또는 격자를 형성하여, 그 결과 굳건하게 부착하는 균일하고 거대한 막을 만든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주제는 청구항 23항에 설명된 바와 같은 상기 조성물의 제조 방법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상기 수성 겔 성분이 우선적으로 물에 의해 팽윤되는 상기 수성 콜로이드에 의해 제조된다. 그 목적으로 40 ~ 100℃, 바람직하게는 65 ~ 90℃ 온도가 유리한, 가열된 물이 바람직하게는 교반되면서 콜로이드와 접촉되고, 그 후에 냉각되고 팽윤되도록 방치될 수 있다. 방부제 및/또는 분산제가 또한 선택적으로 상기 혼합물에 가해질 수 있다. 상기 팽윤된 겔은 안정적이고 긴 시간 동안에서도 저장 가능하므로 즉시 후속 공정을 하여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왁스 성분으로 이용되는 왁스는 용융되고, 선택적으로 지방 및/또는 오일과 함께 용용되고, 50 ~ 100℃의 온도 범위로, 바람직하게는 65 ~ 85℃로 가열된다. 에멀젼을 제조하는 데 필요하고, 유화제와 보조유화제를 함유할 수 있는 함량의 물 또한 바람직하게 가열되고, 그 다음 상기 왁스 성분과 혼합된다. 다음 단계는 결과물인 수중유형(O/W) 에멀젼에, 상기 팽윤 수성 콜로이드, 선택적으로 상기 알콜성 겔 및 상기 막 형성제의 분산을 첨가하는 것이다. 상기 혼합 단계는 균일 분산 또는 에멀젼이 제조될 때까지 각 경우에 있어 수행된다. 다음, 특히 안료 및 충진재의 상기 미립자 성분 또한 혼합에 의해 선택적으로 첨가될 수 있고, 이때 융화성을 개선시키는 보조 물질이 손택적으로 함께 첨가될 수 있다.
상기 혼합물은 그 다음 균일할 때까지 교반되고, 그 다음 교반되면서 냉각된다. 그 다음 상기 혼합물에 향료, 가소제, 광택 물질 등의 통상 화장료에 첨가되는 활성 물질과 첨가제를 선택적으로 첨가할 수 있으며, 이는 아직 뜨거울 때이거나, 또는 민감한 첨가제가 관련되는 경우에는 냉각 단계 동안 이루어질 수 있다.
얻어진 상기 조성물은 그 다음 충진 목적으로 포장 용기로 이송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성물은 특별한 안정성이라는 특징을 가지므로, 가열 조건에서도 포장될 수 있고, 이 경우 ‘저온 교반’은 필요가 없다. 이는 한편으로는 위생적인 이유, 다른 한편으로는 유동성은 뜨거운 조건에서 일반적으로 더 우수하다는 이유에서 유리하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막 형성제의 이부가 왁스 성분에 첨가되는 것이 유리하다는 점이 입증되었고, 이는 특히 심미적인 제품을 낳는다. 특히 이 실시형태를 위한 왁스 성분에 대한 막 형성제로서 비닐피롤리돈 공중합체가 이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방법은 상기 조성물이 쉽고, 재현성있고 및 대량으로 제조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게 한다. 그 안정성에 의하여, 상기 조성물은 상승된 온도에서 제조될 수 있으므로, 공지된 제품보다 위생 및 제조 기법 모두에 관해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성물은 특히 케라틴 물질을 코팅하는 데에 특히 적합하다. 그러므로, 속눈썹, 눈썹, 모발, 가발, 수염 및 기타 케라틴 성분의 채색 및/또는 형상화를 위해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성물은 특히 눈썹에 굳게 부착되고, 번져 나오지 않고, 부서지지 않고, 다시 제거될 때까지 오랜 시간 동안 내구성 있게 속눈썹상에 남아있으므로 마스카라로서 적합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추가적인 주제는 케라틴 물질의 채색과 형상화, 특히 마스카라의 상기 제조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용도이다.
본 발명은 다음의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지만, 그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마스카라 물질은 다음 조성에 의해 제조된다. (함량은 각각 중량%이고, 상기 성분은 INCI/CTFA 명명법을 따른다):
2.3 세라 카르나우바/코페니시아 코니페라(카르나우바) 왁스(Cera carnauba/Copernicia conifera (carnauba) wax)
9.2 세라 알바/비즈왁스(Cera alba/beeswax)
4.0 해바라기 기름(Sun flower oil)
1.7 스테아릭산(Stearic acid)
1.7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Glyceryl stearate)
0.2 항산화제
48 물(Aqua)
0.5 소듐 로릴 설페이트(Sodium lauryl sulfate)
3.4 산화철
3.4 마이카(Mica)
1.8 디아졸리디닐 쌀 전분(Diazolidinyl rice starch) *
0.8 아몬드 오일 PEG-6 에스터(Almond oil PEG-6 ester)
0.2 방부제
3 에틸렌 글리콜
19.8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상기 수성 콜로이드 (디아졸리디닐 쌀 전분)의 중량은 팽윤되기 전의 중량과 관련있다.)
상기 특정 성분들은 위에 설명된 것과 같이 에멀젼 제조에 이용되었고, 이 에멀젼은 도포 후, 오랜 시간 동안 고착되었다.

Claims (29)

  1. 통상의 화장료 성분 외에 왁스 성분, 막 형성계 및 적어도 하나의 겔 성분을 함유하고, 상기 겔 성분은 적어도 하나의 팽윤 수성 콜로이드를 갖는 수중유형 에멀젼 형태의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왁스 성분은 대기 온도에서 고체이고, 50 ~ 200℃의 적점을 갖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왁스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상기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화제 및 보조유화제의 조합이 상기 왁스 성분에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상기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왁스 성분은 추가적으로 휘발성 성분, 특히 합성 에스터, 실리콘 오일, 디메티콘, 사이클로메티콘 및 이소파라핀을 최대 20%의 농도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상기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막 형성계는 매질에 분산 및/또는 용해되는 막 형성 고분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막 형성계는 음이온성, 양이온성, 비이온성 및/또는 양쪽성 폴리우레탄, 폴리우레탄-아크릴산 고분자, 폴리우레탄-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에스터-폴리우레탄, 폴리에터-폴리우레탄, 폴리우레아, 폴리에스터, 폴리에스터 아미드, 지방 사슬을 갖는 폴리에스터, 폴리아미드, 에폭시 에스터 수지, 아크릴 및/또는 비닐 고분자, 아크릴-실리콘 공중합체, 니트로셀룰로오즈/아크릴 공중합체, 선택적으로 개질된 형태인 천연 고분자, 혼성 고분자, 고분자 축합물 및/또는 실리콘 공중합체 또는 상기 고분자의 둘 또는 그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7. 상기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성 콜로이드는 물에서 팽윤되어 겔 또는 고점도 용액을 형성하는 수용성, 천연 또는 합성 고분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8. 상기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성 콜로이드는 알기네이트, 캐러긴, 펙틴, 트래거캔쓰, 검, 셀룰로오즈 및 이들의 유도체, 전분 및 그 유도체, 폴리비닐 알콜 및 폴리비닐피롤리돈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9. 상기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용성 겔 및 알콜성 겔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0. 상기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겔은 물에서 팽윤되는 전분 유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1. 상기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알콜성 겔은 단가 및/또는 다가 알콜로 팽윤되는 셀룰로우즈 유도체이고, 상기 단가 알콜은 특히 C2-C4 알콜이고, 상기 다가 알콜은 특히 C2-C6 알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2. 상기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겔 성분 중 하나는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즈,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즈,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즈,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와 같은 셀룰로오즈 유도체; 히드록시알킬 전분 또는 디메틸이미다졸리디논 전분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3. 상기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겔은 추가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방부제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분산제 및 선택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가소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팽윤된 겔은 3 ~ 50%의 비율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5. 상기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성 콜로이드의 물 흡수 능력은 100 ~ 600%의 범위이고, 바람직하게는 200 ~ 500%인 화장료 조성물.
  16. 상기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추가적으로 입자상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7. 상기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자상은 무기 및/또는 유기 안료, 충진재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8. 상기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안료로서 산화철, 울트라마린, 크롬 옥사이드 그린, 크롬 하이드록사이드 그린, 카본 블랙, 이산화티탄, 산화아연, 황산바륨, 카민, 특히 알루미늄, 바륨, 칼슘, 칼륨, 스트론튬 및/또는 아연 레이크와 같은 유기 착색제의 레이크, 활석 및/또는 고령토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9. 상기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충진재로서 활석, 고령토, 벤토나이트, 헥토라이트, 몬모릴로나이트, 산화세륨, 이산화규소, 오르니트라이트, 나일론 분말, 폴리에틸렌 분말, 폴리프로필렌 분말, 실크 분말, 다가 금속 비누, 비-팽윤성 전분, 과일 섬유, 천연 및 합성 박리 물질, 모래, 왕겨 산물, 과일씨로부터 얻은 씨 분말, 조류 유도체, 열경화성, 열가소성 및/또는 탄성체 분말 및 이들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20. 상기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자상의 비율은 최대 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21. 상기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체 조성물의 중량에 대해 상기 왁스 성분이 15 ~ 30%의 비율로 포함되고, 상기 막 형성계가 5 ~ 60%로 포함되고, 상기 겔 성분이 3 ~ 50%로 포함되고, 나머지는 물 및 선택적으로 통상의 화장료 첨가제로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22. 상기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화장료 첨가제로서 특히 방부제, 향료, 추출물, 단백질 가수분해물 및/또는 실크 분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23. 수성 콜로이드가 선택적으로 분산제 및/또는 방부제 존재하에, 물에서 팽윤되는 단계;
    왁스 성분이 용융되는 단계;
    상기 왁스 성분, 물 및 선택적으로 유화제 및 보조유화제로부터 에멀젼이 형성되는 단계;
    팽윤 수성 콜로이드, 입자상 및 막 형성제가 상기 에멀젼에 첨가되는 단계; 및
    그 혼합물이 균일해질 때까지 교반되고, 선택적으로 통상의 화장료 성분과 첨가제가 첨가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겔 함유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에 적어도 하나의 단가 알콜, 적어도 하나의 다가 알콜 및 특히 셀룰로오즈 유도체인 겔 형성제를 포함하는 알콜성 겔이 추가적으로 가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 함유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로오즈 유도체는 첨가 전에 팽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 함유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26. 제23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의 pH는 6.5 ~ 8.8로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 함유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27. 상기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케라틴 물질의 형상화 및/또는 채색을 위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용도.
  28. 상기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마스카라의 제조를 위한 조성물의 용도.
  29. 상기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케라틴 물질로서 속눈썹, 눈썹, 모발, 가발 및/또는 수염의 채색 및/또는 형상화를 위한 용도.
KR1020057008664A 2002-11-13 2003-11-11 왁스 성분, 막 형성제 및 겔 성분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08364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52816A DE10252816B4 (de) 2002-11-13 2002-11-13 Kosmetische Zubereitung, sowie ein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DE10252816.0 2002-11-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5010A true KR20050075010A (ko) 2005-07-19
KR100836418B1 KR100836418B1 (ko) 2008-06-09

Family

ID=32240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8664A KR100836418B1 (ko) 2002-11-13 2003-11-11 왁스 성분, 막 형성제 및 겔 성분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2) US20060051309A1 (ko)
EP (1) EP1562534B1 (ko)
JP (1) JP2006507320A (ko)
KR (1) KR100836418B1 (ko)
CN (1) CN1711066A (ko)
AT (1) ATE482003T1 (ko)
AU (1) AU2003285327A1 (ko)
BR (1) BR0316247B1 (ko)
CA (1) CA2505804A1 (ko)
DE (2) DE10252816B4 (ko)
MX (1) MXPA05005134A (ko)
WO (1) WO2004043410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1250B1 (ko) * 2009-01-21 2009-06-08 채민호 자외선 차단 효과를 가진 폴리우레아 수지 조성물
KR20160133559A (ko) * 2014-03-19 2016-11-22 마리 케이 인코포레이티드 마스카라 제형
KR20190012895A (ko) * 2017-07-29 2019-02-11 주식회사 바이오스탠다드 천연 성분으로 구성된 고도로 개선된 물성을 가지는 페트롤라툼 젤리(바셀린) 대체제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90059122A (ko) * 2017-11-22 2019-05-30 권흥원 인조 다이아몬드를 이용한 화장품원료용 수성콜로이드 분산액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20243B2 (ja) * 2003-11-14 2009-08-26 株式会社資生堂 化粧料
DE102005033520B4 (de) * 2005-07-14 2007-12-20 Schwan-Stabilo Cosmetics Gmbh & Co. Kg Zubereitung, insbesondere kosmetische Zubereitung,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EP2091752B1 (en) * 2006-12-07 2010-10-06 Agfa-Gevaert N.V. Method of producing an information carrier
WO2012109382A2 (en) 2011-02-08 2012-08-16 Advanced Bifurcation Systems, Inc. Multi-stent and multi-balloon apparatus for treating bifurcations and methods of use
CA2887551A1 (en) * 2012-10-12 2014-04-17 Alzo International, Inc. Enhanced water and transfer resistant film forming
KR102092359B1 (ko) * 2013-08-30 2020-03-23 (주)아모레퍼시픽 세안이 용이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CN105434199B (zh) * 2015-12-28 2018-06-19 佛山市雅丽诗化妆品股份有限公司 一种双色油彩的生产工艺
KR102644389B1 (ko) * 2016-09-30 2024-03-07 (주)아모레퍼시픽 눈썹용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CN108201514B (zh) * 2016-12-17 2021-09-03 上海明轩化妆品科技有限公司 一种淀粉睫毛膏及其制备方法
KR101977889B1 (ko) * 2017-11-15 2019-05-13 (주)이미인 하이드로 겔 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방법
FR3094224B1 (fr) * 2019-03-29 2021-05-28 Chanel Parfums Beaute Composition permettant le transfert d’un motif coloré sur la peau et utilisations
CN114344173B (zh) * 2020-09-30 2024-04-16 常州柚盾实业投资有限公司 一种干膜配方体系、干膜及其制备方法和制备系统
FR3117031A1 (fr) * 2020-12-08 2022-06-10 Chanel Parfums Beaute Composition cosmétique comprenant un amidon hydroxyalkylé à titre de système émulsionnant principal

Family Cites Families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85915A (en) * 1966-04-22 1969-12-23 Revlon Thickened hydroxypropyl cellulose compositions
IT1006109B (it) * 1972-10-31 1976-09-30 Cpc International Inc Emulsioni olio in acqua contenenti esteri d amido
US4059458A (en) * 1973-08-03 1977-11-22 Cpc International Inc. Oil-in-water emulsion containing starch esters
DE2603211A1 (de) * 1976-01-29 1977-08-04 Merck Patent Gmbh Pulverfoermige perlglanzpigment-zubereitungen
US4318907A (en) * 1978-04-04 1982-03-09 Westwood Pharmaceuticals, Inc. Method for treating acne vulgaris and compositions useful for that purpose
LU84210A1 (fr) * 1982-06-17 1984-03-07 Oreal Composition a base de polymeres cationiques,de polymeres anioniques et de cires destinee a etre utilisee en cosmetique
US4582865A (en) * 1984-12-06 1986-04-15 Biomatrix, Inc. Cross-linked gels of hyaluronic acid and products containing such gels
LU87030A1 (fr) * 1987-10-28 1989-05-08 Oreal Utilisation en cosmetique de nouvelles substances a titre de reflecteurs du rayonnement infrarouge,compositions cosmetiques les contenant et leur utilisation pour la protection de l'epiderme humain contre le rayonnement infrarouge
US5041281A (en) * 1989-03-16 1991-08-20 Amway Corporation Oil in water emulsion sunscreen composition
US5444076A (en) * 1990-11-26 1995-08-22 Roemmers S.A.I.C.F. Pharmaceutical preparation for topical application
DE4141268A1 (de) * 1991-12-14 1993-06-17 Merck Patent Gmbh Pharmazeutische zubereitung
FR2687569B1 (fr) * 1992-02-21 1995-06-09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pour le maquillage des yeux, comprenant une microdispersion de cire.
JPH08506574A (ja) * 1993-02-11 1996-07-16 バイヤースドルフ・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耐水性化粧品的または皮膚科学的光保護配合物
US5534247A (en) * 1993-03-25 1996-07-09 Maybelline Intermediate Co. Mascara composition
US5866149A (en) * 1993-12-10 1999-02-02 L'oreal Composition for making up the eyelashes and the eyebrows stabilized oxyethylenated derivatives
JPH07206628A (ja) * 1994-01-21 1995-08-08 Nippon Oil & Fats Co Ltd 化粧料
AU2068895A (en) * 1994-03-24 1995-10-09 Ciba-Geigy Ag Dl- di- or tri-hydroxyphenylglycine alkyl esters for the treatment of inflammatory and allergic conditions
JPH07267828A (ja) * 1994-03-31 1995-10-17 Shiseido Co Ltd 水中油型まつ毛用化粧料
JP3405588B2 (ja) * 1994-03-31 2003-05-12 株式会社資生堂 水中油型まつ毛用化粧料
JP3543838B2 (ja) * 1994-03-31 2004-07-21 株式会社資生堂 水中油型メーキャップ化粧料
FR2721034B1 (fr) * 1994-06-08 1996-09-13 Oreal Dispersions aqueuses de polymères choisis parmi les polyuréthannes et les polyurées, leur utilisation dans des compositions cosmétiques et compositions cosmétiques les contenant.
CA2210160A1 (en) * 1995-01-18 1996-07-25 Roger Jeffcoat Cosmetics containing thermally-inhibited starches
FR2742049B1 (fr) * 1995-12-12 1998-02-27 Rocher Yves Biolog Vegetale Melange comprenant des extraits vegetaux pour l'hydratation des couches superieures de l'epiderme
DE19627498A1 (de) * 1996-07-08 1998-01-15 Nat Starch Chem Invest Stärkehaltige Reinigungs- und Pflegemittel
US6503495B1 (en) * 1996-10-31 2003-01-0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smetic compositions having improved wear and beauty
EP0942708B2 (en) * 1996-11-27 2007-05-3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ascara compositions having improved wear and beauty benefits
FR2773068B1 (fr) * 1997-12-29 2000-09-01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filmogene a base d'un derive de cellulose contenant, en tant qu'agent epaississant, un tetraborate de metal alcalin
US6033651A (en) * 1998-06-10 2000-03-07 Revlon Consumer Products Corporation Gel cosmetic compositions
FR2783171B1 (fr) * 1998-09-16 2000-11-17 Oreal Emulsion comprenant un compose epaississant hydrophile et un alkylether de polysaccharide, compositions comprenant ladite emulsion, et utilisations
FR2787998B1 (fr) * 1999-01-06 2001-02-09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comprenant un copolymere styrene/ acrylate et une phase grasse
WO2001001949A1 (en) * 1999-07-01 2001-01-11 Johnson And Johnson Consumer Companies, Inc. Cleansing compositions
JP2003508472A (ja) * 1999-09-03 2003-03-04 ロレアル ソシエテ アノニム 特定のポリサッカライド樹脂を含む化粧品組成物
DE29919474U1 (de) * 1999-11-05 2000-12-07 Schwan Stabilo Cosmetics Gmbh Strukturierte Kosmetikmasse
DE19953336B4 (de) * 1999-11-05 2004-08-12 Schwan-Stabilo Cosmetics Gmbh & Co. Kg Strukturierte Kosmetikmass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sowie ihre Verwendung
US6517823B1 (en) * 2000-01-27 2003-02-11 L'oreal S.A. High gloss mascara
FR2814944B1 (fr) * 2000-10-09 2002-12-20 Oreal Composition de maquillage
JP2002138019A (ja) * 2000-10-30 2002-05-14 Kose Corp アイメークアップ化粧料
DE10111559A1 (de) * 2001-03-10 2002-09-19 Cognis Deutschland Gmbh Verwendung von Esterquats
DE10113334A1 (de) * 2001-03-20 2002-09-26 Cognis Deutschland Gmbh Quartäre Tenside
US20020048603A1 (en) * 2001-12-07 2002-04-25 Fred Burmeister Hydrogel composition
DE10216503A1 (de) * 2002-04-11 2004-02-19 Beiersdorf Ag Selbstschäumende oder schaumförmige Zubereitungen, enthaltend ein oder mehrere vorgelatinisierte, quervernetzte Stärkederivate
DE10216508A1 (de) * 2002-04-11 2003-10-23 Beiersdorf Ag Kosmetische und dermatologische Formulierungen mit einem Gehalt an Hydroxybenzophenonen und einem oder mehreren vorgelatinisierten, quervernetzten Stärkederivaten
US20040091447A1 (en) * 2002-09-06 2004-05-13 Societe L'oreal. S.A. Charging/separating cosmetic makeup compositions for keratin fiber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1250B1 (ko) * 2009-01-21 2009-06-08 채민호 자외선 차단 효과를 가진 폴리우레아 수지 조성물
KR20160133559A (ko) * 2014-03-19 2016-11-22 마리 케이 인코포레이티드 마스카라 제형
KR20190012895A (ko) * 2017-07-29 2019-02-11 주식회사 바이오스탠다드 천연 성분으로 구성된 고도로 개선된 물성을 가지는 페트롤라툼 젤리(바셀린) 대체제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90059122A (ko) * 2017-11-22 2019-05-30 권흥원 인조 다이아몬드를 이용한 화장품원료용 수성콜로이드 분산액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52816B4 (de) 2008-02-14
CA2505804A1 (en) 2004-05-27
MXPA05005134A (es) 2005-08-19
DE50313117D1 (de) 2010-11-04
DE10252816A1 (de) 2004-06-03
JP2006507320A (ja) 2006-03-02
BR0316247A (pt) 2005-10-11
WO2004043410A1 (de) 2004-05-27
CN1711066A (zh) 2005-12-21
ATE482003T1 (de) 2010-10-15
BR0316247B1 (pt) 2014-02-04
EP1562534A1 (de) 2005-08-17
KR100836418B1 (ko) 2008-06-09
US20060051309A1 (en) 2006-03-09
EP1562534B1 (de) 2010-09-22
AU2003285327A1 (en) 2004-06-03
US20090196843A1 (en) 2009-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196843A1 (en) Cosmetic dressings containing a waxy component, a film-forming agent and a gel-forming substance
CA2523673C (en) Stable cosmetic preparation comprising sorbitan olivate and partially neutralised stearic acid
US20080292668A1 (en) Water-Free Cosmetic Preparation
JP3984259B2 (ja) 化粧用調製品
JP3934472B2 (ja) 半結晶性ポリマーによりゲル化される液状脂肪相を含む組成物
JPH04505469A (ja) まつ毛を被覆するための耐水性組成物とその製造方法
US20070292377A1 (en) Oil-Based Cosmetic Composition
FR2687569A1 (fr) Composition cosmetique pour le maquillage des yeux, comprenant une microdispersion de cire.
PL178156B1 (pl) Kompozycja do makijażu rzęs i brwi
KR100305955B1 (ko) 고형미용조성물및그의용도
JP2003055150A (ja) 粉体化粧品組成物
KR20000023429A (ko) 폴리-알파-올레핀을 함유하는 메이크업 조성물
KR101227822B1 (ko)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
JP2004515514A (ja) ワックス及びポリマーを含む化粧品組成物
KR100305956B1 (ko) 고형미용조성물및그의용도
JP2004529985A (ja) ポリアミドゲル化剤を含む安定な化粧用エマルション
DE202005011257U1 (de) Zubereitung, insbesondere kosmetische Zubereitung
JP2022518413A (ja) ポリウレタン樹脂を含む化粧用o/wマスカラ組成物
FR2806302A1 (fr) Composition cosmetique ou pharmaceutique sous forme d'un gel aqueux solide, comprenant un alcool polyvinylique et un alcool polyhydriqu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3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