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3512A - 조립식 방수구조 및 조립식 방수공법 - Google Patents

조립식 방수구조 및 조립식 방수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3512A
KR20050073512A KR1020040065732A KR20040065732A KR20050073512A KR 20050073512 A KR20050073512 A KR 20050073512A KR 1020040065732 A KR1020040065732 A KR 1020040065732A KR 20040065732 A KR20040065732 A KR 20040065732A KR 20050073512 A KR20050073512 A KR 200500735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hard
base
layer
waterproo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5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95721B1 (ko
Inventor
장성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페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페이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페이스
Priority to CN200410101108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0587200C/zh
Priority to TW093139408A priority patent/TWI267576B/zh
Priority to EP04030081A priority patent/EP1553241B1/en
Priority to JP2005003001A priority patent/JP4227960B2/ja
Priority to US11/030,293 priority patent/US7267735B2/en
Publication of KR20050073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3512A/ko
Priority to HK05109476.9A priority patent/HK1075285A1/xx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57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57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65Sheets or foils impervious to water and water vap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4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for making damp-proof;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 E04B1/644Damp-proof cour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완전 건식공법에 의한 조립식 방수구조 및 조립식 방수공법이 개시된다. 조립식 방수구조는 복수개의 바탕용 시트를 포함하는 바탕용 시트 층, 복수개의 경질 시트를 포함하는 경질 시트 층, 그리고 복수개의 덮개용 시트를 포함하는 덮개용 시트 층을 구비한다. 콘크리트 바탕면 상에 바탕용 시트 층, 경질 시트 층 및 덮개용 시트 층이 차례로 적층되며, 상기 시트 층들은 미리 준비된 시트를 배열하고, 열융착 또는 점착테이프를 이용하여 상호 결속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무기도막을 고분자 필름으로 라미네이팅한 경질 시트로 대체함으로써 내구성, 내근성, 내약품성 등을 현저하게 상승시킬 수 있으며, 종래의 방수공사에서 수행하던 경화 작업 등을 생략함으로써 방수공사 기간을 단축할 수가 있다. 또한, 폐자재 등을 이용하여 재활용하기 때문에 친환경적이며, 시공자의 숙련도에 대한 의존도를 경감시켜 균일한 품질의 시공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조립식 방수구조 및 조립식 방수공법 {PREFAB-TYPE WATERPROOFING STRUCTUR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WATERPROOFING STRUCTURE}
본 발명은 건물의 방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현장 배합 과정이나 장시간의 경화 과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 조립식 방수구조 및 조립식 방수공법에 관한 것이다.
건물의 방수란 건물에 빗물이 새는 것을 막고, 스며든 빗물을 처리하기 위한 처리방법을 의미한다. 건물의 방수는 넓은 뜻으로는 건물의 지붕면 및 바깥 벽면 전체에 대한 방수를 포함하지만, 일반적으로는 지붕 끝부분(처마), 골, 파라펫(Parapet or 난간벽)이 서 있는 곳과 천장, 벽의 문이나 창 주변 등 비가 새기 쉬운 부분의 처리를 가리킨다.
건설산업 분야에서의 눈부신 발전에 따라, 고속도로, 고속철도, 고층 빌딩, 국제공항, 지하철, 초대형 운동경기장 등과 같이 대규모 건설이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이렇게 경제성장과 더불어 세워진 많은 구조물이 그 진가를 발휘하기 전에 균열 및 누수의 문제로 보수/보강을 해야 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고 있다. 하지만, 보수/보강은 초기 시공비 이상의 비용이 투입되면서도, 완전한 보수가 어렵기 때문에 재누수로 인한 반복적인 보수가 필요하다는 점에서 막대한 손실을 발생시키고 있다.
이러한 부분 중에서 특히 보통 옥상면, 지붕면 및 벽면은 빗물 등이 집중적으로 침투할 수 있기 때문에 특수한 방수처리를 해야 한다.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옥상 등은 외부 환경에 직접 노출되어 있는 가장 열악한 환경 조건 하에 있기 때문에, 현재 다양한 방수재료가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옥상 등에 적용되고 있는 방수재료는 일부분에 국한되어 있다. 또한, 방수재료의 특성 뿐만 아니라 바탕층 상태 및 외부환경요건에 따라서도 방수재의 성능이 결정된다. 예를 들어, 바탕면의 함수율이 높으면 방수재가 바탕층에 부착되어 재료의 성능을 발휘하는데 나쁜 영향을 끼치며, 시공 후 기화되는 수증기 압력에 의해서 방수재 및 바탕층 사이에 에어포켓이 생겨 방수층의 찢김 또는 파단 등을 야기할 수가 있다.
이렇게 방수공사 후 보수/보강이 필요한 경우가 발생하는데, 그 원인은 크게 바탕의 구조에 의한 원인, 방수재료에 의한 원인, 시공자의 숙련도에 의한 원인 및 설계불량에 의한 원인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일단, 바탕의 구조에 의한 원인으로 구조체가 수축 또는 팽창함으로써 균열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바탕층을 완전히 건조시키기 않아 바탕층에 수분이 남게 되고, 남게된 수분이 수증기로 상태 전환되어 방수층을 국부적으로 부풀게 하고, 피로된 부분을 파손시킬 수가 있다. 이는 콘크리트의 수축 팽창률을 크게 하여, 온도 등에 의한 거동 발생시 파라펫과 옥상 슬라브 간의 균열을 발생시킬 수가 있다.
방수공사의 하자는 방수재료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다. 방수층이 바탕의 균열에 대한 균열 저항성이 약하거나, 부풀림이나 피로에 대해 약한 재료의 경우에 방수공사의 하자가 자주 발생할 수 있다. 일 예로, 유성재료는 방수층의 단열성이 확보되지 않는 경우에 내구성이나 내후성이 떨어질 가능성이 있다.
또한, 종래의 방수공사에서 하자는 시공자에 대한 의존도가 높다. 도막 방수를 하는 경우 재료간의 배합비를 정확하게 지키지 않거나, 충분한 경화시간을 부여하지 않는 경우에 부실한 방수공사가 될 수 있다.
특히, 작업자들은 방수공사의 중요성을 충분히 인식하고 정밀시공을 하여야 하나, 시공품질에 대한 작업자의 인식부족으로 부실시공의 우려가 높으며, 현실적으로 방수공사의 낮은 단가로 인해 고품질 장비, 기능 인력의 확보 등이 어렵기 때문에 방수공사에서 부실시공을 극복하기가 쉽지 않다.
물론, 방수공사 설계 단계에서도, 방수해야 할 부위의 필요한 환경 요건을 고려하지 않거나, 재료에 대한 물성 관리의 소홀, 조인트 및 드레인 위치 등과 같이 상세한 설계를 생략한 경우에 방수공사의 하자가 발생할 수가 있다.
게다가 최근 옥상에 정원 등을 꾸미는 녹화 사업이 진행됨에 따라 지붕 또는 옥상에 대한 방수처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옥상은 도시가 고층, 고밀도화 될수록 상층부에서 내려다보이는 경관의 중요성, 생태적인 측면에서 공기정화, 소음흡수 및 복사열 감소, 도시 열섬화 방지 등 여러 가지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으며, 지금까지 이해부족으로 방치되고 버려진 옥상공간에 대한 녹화시스템이 적극적으로 개발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옥상 녹화에 있어서, 방수층은 녹화시스템의 하부 구성요소인 건축물 외피를 감싸는 부분으로 상부 구성요소인 식재 기반과 식생층에 문제가 없더라도 방수층이 누수를 막는 기능을 하지 못하면 정원 등을 기초부터 다시 설치하여야 하는 커다란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건축물의 내구성을 증진하기 위한 방수구조 및 방수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완전 건식 공법을 이용함으로써, 신속하게 방수공사를 완료할 수 있으며, 경화 시간 등을 필요로 하지 않는 방수구조 및 방수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폐자재 및 산업 부산물 등을 재활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친환경적인 방수구조 및 방수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시공자의 숙련도에 크게 의존하지 않고, 간단한 지시 및 요령만 있으면 일반 시공자로도 하자 발생 없이 양질의 방수공사를 완료할 수 있는 방수구조 및 방수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옥상녹화시스템에 사용된 기존의 방수구조 및 방수공법이 갖는 누수 발생과 작업의 비효율성 등과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옥상 바닥인 콘크리트 슬라브의 거동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균열에 의한 누수를 차단하고, 상부 식재로 인하여 방수층에 발생할 수 있는 누수 현상을 차단할 수 있는 완전 건식의 방수구조 및 방수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립식 방수구조는 바탕 상에 적층되는 복수개의 바탕용 시트를 포함하는 바탕용 시트 층, 복수개의 경질 시트를 포함하는 경질 시트 층, 및 복수개의 덮개용 시트를 포함하는 덮개용 시트 층을 포함한다. 바탕용 시트 층, 경질 시트 층 및 덮개용 시트 층이 차례로 적층되어 3중의 적층 구조를 형성하며, 각 층에서는 시트들이 상하 좌우 방향으로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하나의 방수막 또는 보호막을 형성한다.
종래의 방수공사에서는 도막방수층을 형성하기 위해 액상의 방수액을 공사 대상이 되는 옥상 전면에 도포하고 2~3일간 건조시켜야 한다. 또한, 아스팔트 층을 형성하기 위해서 200~300℃의 온도로 아스팔트를 용융시켜야 하고, 아스팔트를 도포한 후에도 수 시간 동안 아스팔트의 건조를 대기하여야 한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방수구조에서 바탕용 시트 층, 경질 시트 층, 및 덮개용 시트 층은 복수개의 시트들로 구성되며, 시공자는 시공 전에 이미 만들어진 바탕용 시트, 경질 시트 또는 덮개용 시트를 차례로 배열함으로써 3층의 방수구조를 형성할 수가 있다.
바탕용 시트 및 덮개용 시트로는 고무아스팔트 시트가 사용될 수 있으며, 경질 시트로는 보호 코팅부가 도포된 금속 보드 등이 사용될 수가 있다. 옥상의 바탕면 상에 <고무아스팔트 시트>-<경질 시트>-<고무아스팔트 시트>로 구성된 3층의 방수층을 형성함으로써 콘크리트 슬라브의 거동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균열에 의한 누수를 차단하고, 상부 식재로 인하여 방수층에 발생할 수 있는 누수 현상을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완전 건식 방수공법으로서 작업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미리 제작된 시트를 나란하게 배열하는 과정으로 각각의 층 구조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약간의 주의사항 및 요령의 숙지로도 양질의 방수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조립식 방수구조는 바탕 상에 적층되는 복수개의 바탕용 시트를 포함하는 바탕용 시트 층, 복수개의 경질 시트를 포함하는 경질 시트 층, 경질 시트의 이음 부분에 부착된 제1 방수 테이프, 및 제1 방수 테이프 상에 부착된 제2 방수 테이프를 구비한다. 바탕용 시트 층 및 경질 시트 층이 차례로 적층된 적층 구조를 형성하며, 각 층에서는 시트들이 상하 좌우 방향으로 규칙적으로 배열 및 조립되어 하나의 방수막 또는 보호막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수구조에서 바탕용 시트 층 및 경질 시트 층은 복수개의 시트들로 구성되며, 시공자는 시공 전에 이미 만들어진 바탕용 시트 또는 경질 시트를 차례로 배열함으로써 고도의 숙련도 없이도 쉽게 바탕용 시트 층과 경질 시트 층을 형성할 수가 있다.
바탕용 시트로는 고무아스팔트 시트가 사용될 수 있으며, 경질 시트로는 보호 코팅부가 도포된 금속 보드, PVC 보드 또는 종이 보드 등이 사용될 수가 있다. 여기서, 보호 코팅부는 상기 보드 상에 차례로 적층된 도료층, Co-Polyester 층, 및 R-Polyester 층을 포함함으로써, 방수성은 물론 내식성, 내근성, 및 내약품성의 특성을 가질 수가 있다.
경질 시트의 연결 부위에 결합용 테이프가 부착되어 경질 시트의 단부를 접착하여 연결하며, 결합용 테이프는 탄성을 갖는 아크릴 폼 소재로 구성되어 인접한 경질 시트를 연결시켜 수축 팽창을 제어하고, 연결부위를 보호할 뿐만 아니라, 폼 테이프의 자체 복원력으로 공극을 매워 누수를 차단할 수도 있다.
결합용 테이프 상으로 제1 방수 테이프가 부착된다. 제1 방수 테이프는 1차적으로 결합용 테이프 상에 부착되어 결합용 테이프를 보호하며, 2차적으로 물의 침입 경로를 길게 연장함으로써 누수 차단의 효과를 높일 수가 있다. 경우에 따라서 제2 또는 제3 방수 테이프를 사용함으로써 테이프를 더 보호하고, 방수 효과를 개선시킬 수가 있다.
또한, 결합용 테이프를 부착하기 전에 경질 시트의 연결부위에 수팽창고무지수재를 삽입함으로써 방수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가 있다. 수팽창고무지수재는 경질 시트의 수축 팽창에 따른 거동을 흡수할 수 있으며, 경질 시트 사이로 누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하지만, 본 발명이 하기의 실시예들에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방수구조 및 방수공법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X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방수구조(100)는 바탕면(110) 상에 적층 구조를 형성하며, 그 적층 구조는 바탕용 시트 층(120), 경질 시트 층(130), 및 덮개용 시트 층(140)을 포함한다. 바탕면(110)은 콘크리트 슬라브로서, 옥상면, 지붕면 또는 벽면 등이 이에 해당할 수 있다.
바탕용 시트 층(120)은 바탕면(110) 상에 형성되며, 고무아스팔트 시트인 바탕용 시트(121, 122)가 정리된 바탕면(110) 상에 차례로 포개진 상태로 깔린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바탕용 시트(121, 122)는 약 1000mm의 폭으로 바탕면(110) 상에 깔리며, 약 30~50mm 정도 겹쳐지도록 순차적으로 깔린다.
바탕용 시트의 연결부위(A)는 열융착에 의해서 상호 밀착될 수 있다. 경질 시트(131, 132)가 금속 재질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경질 시트(131, 132)의 배면에는 스크래칭이 발생하여 경질 시트(131, 132)의 배면이 부식될 수가 있다. 하지만, 바탕용 시트(121, 122)가 경질 시트(131, 132)의 배면에 밀착됨으로써 경질 시트(131, 132)의 배면이 부식되는 것을 차단할 수가 있다. 또한, 칼블럭이나 디스크 등을 이용하여 바탕면(110)에 바탕용 시트(121, 122)를 고정시킬 수가 있는데, 이때 경질 시트(131, 132)와 바탕용 시트(121, 122)를 완전히 접착시킴으로써 풍압에 의한 파손에 대해서도 대책을 강구할 수가 있다.
바탕용 시트 층(120)은 바탕면(110)의 처리를 단순화시켜 주고, 작업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스크래칭에 대해 경질 시트(131, 132)의 부식을 막을 수 있고, 경질 시트(131, 132)를 부드럽게 지지함으로써 보행 감각을 소프트하게 전환할 수가 있다.
또한 아래쪽의 바탕용 시트 층(120) 위에 금속판을 포함하는 경질 시트(131, 132)를 사용하는 경우, 수분 등이 경질 시트(131, 132)의 하부에 결로되어 금속판을 부식시킬 수도 있지만 고무아스팔트시트인 바탕용 시트(121, 122)가 경질 시트(131, 132)에 밀접하게 부착됨으로써 금속판의 부식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주요 방수층이 되는 경질 시트(131, 132)는 바탕용 시트(121, 122)의 겨울철 파손에 대한 보호도 할 수가 있다. 물론, 연질 재료인 고무아스팔트는 주위 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지만, 경질 시트(131, 132) 또한 이러한 바탕용 시트(121, 122)의 결점을 보완하여 보다 확실하고 안정적인 방수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바탕용 시트 층(120) 상에는 경질 시트 층(130)이 형성되며, 경질 시트 층(130)은 복수개의 경질 시트(131, 132)로 구성된다. 경질 시트(131, 132)는 기본 보드(133) 및 보호 코팅부로 구성되며, 보호 코팅부는 도료층(134), Co-Polyester 필름(135), 및 R-Polyester 필름(136)의 적층 구조로 형성된다. 경질 시트 층(130)는 경질 시트(131, 132)를 전후 좌우로 배치하면서 바탕용 시트 층(120) 상에 적층되며 경질 시트(131, 132)의 연결 부위는 접착테이프(139)에 의해서 결속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종래의 합성고분자시트를 이용하는 경우, 방수재료가 우수한 신율, 인장강도 및 접착강도를 갖고 있어도, 찢겨지기 쉽고, 태양열에 의해 변색되며, 접합부에 박리가 생길 수 있고, 바탕면에 함유된 수분에 의해서 방수층이 부풀어 오르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가 있다.
또한, 종래의 도막방수를 이용하는 경우, 유/무기질계 모두 바탕면의 함수량에 따라 경화 정도가 불량하게 될 수 있으며, 수증기압에 의한 부풀어 오름, 콘크리트의 거동에 따른 방수층의 균열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시트 및 도막을 모두 이용한 복합 방수공법이 개시되어 있으나, 여전히 바탕면-시트-도막 간의 열팽창 정도가 달라 균열, 부풀어 오름 등의 문제가 해결되지 못했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경질 시트(131, 132)는 고강도 재료로서 시공과정에서 방수층에 외부 충격이 있어도 쉽게 파손되지 않고, 그 위에 정원을 가꿔도 식재된 나무에 대한 내근성이 뛰어나 옥상녹화시스템의 내구성을 보장할 수가 있다.
Co-Polyester 필름(135) 및 R-Polyester 필름(136)로 구성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열을 가하면, Co-Polyester 필름(135) 영역에서 강한 접착력이 나타나며, 이를 특수하게 제조된 폴리에스터 계열의 도료층(134)에 라미네이트하게 되면 고광택, 고가공성의 우수한 내약품성을 지닌 라미네이팅 필름이 된다. 그리고, 라미네이팅 필름에 무늬나 도안을 표현함으로써 경질 시트(131, 132)의 디자인을 다양하게 변경시킬 수가 있는데, 이때 Co-Polyester 필름(135) 및 도료층(134) 사이에 인쇄층을 형성함으로써 다양한 디자인의 표현을 가능하게 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폴리에스터 계열이 아닌 PVC 계열, 기타 합성수지계열의 필름을 사용할 수도 있지만, PVC 계열의 경우 환경호르몬 문제가 거론되고 있기 때문에 보다 주의 깊은 처리가 필요하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경질 시트(131, 132)는 약 1,500-1,650㎜ 정도의 너비를 갖는 크기로 형성되며, 경질 시트(131, 132)의 연결부위는 약 30㎜의 폭으로 접착된다. 경질 시트(131, 132)에서 서로 겹치는 연결부위에는 자가 점착식 접착테이프(139)가 사용되며, 접착테이프(139)는 아크릴을 기재로 하여 고강도 재료인 경질 시트(131, 132)를 서로 연결하여 일체화시키고, 소정의 탄성을 갖고 경질 시트(131, 132)의 수축 팽창을 제어하여 하부의 바탕용 시트 층(120)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외부충격에 대해 두께가 있는 접착테이프(139)의 특수한 자체 복원력으로 이들 경질 시트(131, 132)를 수축하여 그 공극을 메움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누수를 구조적으로 차단하는 효과를 갖도록 한다.
경질 시트 층(130)의 상부로는 덮개용 시트 층(140)이 형성된다. 덮개용 시트 층(140)을 구성하는 덮개용 시트(141, 142)는 바탕용 시트(121, 122)와 동일한 고무아스팔트 시트로서 콘크리트 바탕면(110)에 깔린 것과 동일하게 시공된다.
바탕용 시트 층(120), 경질 시트 층(130) 및 덮개용 시트 층(140)으로 바탕면(110) 상에는 샌드위치 형상의 3중 방수구조가 형성된다. 이는 옥상녹화시스템의 방수층에 요구되는 내식성, 내약품성, 내근성의 기능을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는바, 종래의 무기도막이나 유기도막에 따른 습식재료의 시공 하자의 발생 가능성 자체를 구조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특히 일반 방수층과 달리 옥상 바탕층인 콘크리트 슬라브의 거동에 따른 균열 발생시 바탕용 시트 층(120)과 경질 시트 층(130)을 이용함에 따라 방수층인 방수구조물의 파손 방지와, 식물의 뿌리에 의한 구조체의 손상을 적극적으로 막아줄 수 있다.
실시예 2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방수구조 및 방수공법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들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방수구조(200)는 바탕면(210) 상에 적층 구조를 형성하며, 그 적층 구조는 바탕용 시트 층(220), 경질 시트 층(230), 수팽창고무지수재(240), 결합용 테이프(250) 및 제1 방수 테이프(260)을 포함한다. 바탕면(210)은 콘크리트 슬라브로서, 옥상면, 지붕면 또는 벽면 등이 이에 해당할 수 있다.
바탕용 시트 층(220)은 바탕면(210) 상에 형성되며, 고무아스팔트 시트인 바탕용 시트가 정리된 바탕면(210) 상에 차례로 포개진 상태로 깔린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바탕용 시트는 약 1000mm의 폭으로 바탕면(210) 상에 깔리며, 약 30~50mm 정도 겹쳐지도록 순차적으로 깔린다. 바탕용 시트의 연결부위는 열융착에 의해서 상호 밀착된다.
경질 시트(231, 232)가 금속 재질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경질 시트(231, 232)의 배면에는 스크래칭이 발생하여 경질 시트(231, 232)의 배면이 부식될 수가 있다. 하지만, 바탕용 시트가 경질 시트(231, 232)의 배면에 밀착됨으로써 경질 시트(231, 232)의 배면이 부식되는 것을 차단할 수가 있다. 또한, 칼블럭이나 디스크 등을 이용하여 바탕면(210)에 바탕용 시트를 고정시킬 수가 있는데, 이때 경질 시트(231, 232)와 바탕용 시트를 완전히 접착시킴으로써 풍압에 의한 파손에 대해서도 대책을 강구할 수가 있다.
바탕용 시트 층(220) 위에 금속판을 포함하는 경질 시트(231, 232)를 사용하는 경우, 수분 등이 경질 시트(231, 232)의 하부에 결로되어 금속판을 부식시킬 수도 있지만 고무아스팔트시트인 바탕용 시트가 경질 시트(231, 232)에 밀접하게 부착됨으로써 금속판의 부식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주요 방수층이 되는 경질 시트(231, 232)의 겨울철 파손을 바탕용 시트가 보호할 수도 있다. 또한, 연질 재료인 고무아스팔트는 주위 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지만, 경질 시트(231, 232) 또한 이러한 바탕용 시트의 결점을 보완하여 보다 확실하고 안정적인 방수효과를 얻을 수가 있음은 이미 언급한 바와 같다.=
바탕용 시트 층(220) 상에는 경질 시트 층(230)이 형성되며, 경질 시트 층(230)은 복수개의 경질 시트(231, 232)로 구성된다. 경질 시트(231, 232)는 기본 보드(133) 및 보호 코팅부로 구성되며, 보호 코팅부는 도료층(234), Co-Polyester 필름(235), 및 R-Polyester 필름(236)의 적층 구조로 형성된다. 경질 시트 층(230)는 경질 시트(231, 232)를 전후 좌우로 배치하면서 바탕용 시트 층(220) 상에 적층되며, 경질 시트(231, 232)의 연결 부위는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있다.
이미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경질 시트(231, 232)는 금속판, PVC, 종이 등으로 구성된 기본 보드(133)를 포함하며, 기본 보드 상에는 도료층(134), 비결정 상태의 Co-Polyester 필름(135) 및 결정 상태의 R-Polyester 필름(136)이 차례대로 적층된다. 기본 보드(133)는 고강도 재료로서 시공과정에서 방수층에 외부 충격이 있어도 쉽게 파손되지 않는다.
Co-Polyester 필름(135) 및 R-Polyester 필름(136)로 구성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열을 가하면, Co-Polyester 필름(135) 영역에서 강한 접착력이 나타나며, 이를 특수하게 제조된 폴리에스터 계열의 도료층(134)에 라미네이트하게 되면 고광택, 고가공성의 우수한 내약품성을 지닌 라미네이팅 필름이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라미네이팅 필름이 바로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안정적인 특성을 갖는 폴리에스터 계열의 라미네이팅 필름이 경질 시트(231, 232)의 보호 코팅부로서 적합하다.
그리고, 라미네이팅 필름에 무늬나 도안을 표현함으로써 경질 시트(231, 232)의 디자인을 다양하게 변경시킬 수가 있는데, 이때 Co-Polyester 필름(135) 및 도료층(134) 사이에 인쇄층을 형성함으로써 다양한 디자인의 표현을 가능하게 할 수가 있다.
경질 시트(231, 232)는 다양한 크기 및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탕면(210)의 형상이나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할 수가 있다. 경질 시트(231, 232)를 배치시킨 후, 경질 시트(231, 232) 사이에는 수팽창고무지수재(240)가 개재된다.
수팽창성고무지수재(240)는 외부의 충격에 대해 경질 시트(231, 232)의 접합부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경질 시트(231, 232)의 형태의 안정성, 충격보호, 경질 시트(231, 232)의 팽창에 대한 충격 완화재 등의 역할을 할 수 있다. 게다가 외부 충격에 의해 결합용 테이프(250) 및 제1 방수 테이프(260)가 파손되어도 경질 시트(231, 232) 사이로 물이 침투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왜냐하면, 수팽창고무지수재(240)는 고무 탄성의 특성을 이용하여 1차적으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특수 변성고무로 만들어져 물과 접촉하면 스스로 자기 체적이 팽창하여 경질 시트(231, 232) 간의 공간을 완전히 밀폐시키고 물이 유입되는 것을 2차적으로 방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경질 시트(231, 232)에서 서로 연결되는 접합부에 수팽창고무지수재(240)가 삽입된 후, 접합부 및 수팽창고무지수재(240)를 따라 결합용 테이프(250)가 부착된다. 결합용 테이프(250)는 탄성을 갖는 아크릴 폼 소재로 구성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경질 시트(231, 232)를 연결시켜 수축 팽창을 제어하여 경질 시트(231, 232)의 거동을 흡수하고, 경질 시트(231, 232) 간의 접합부를 보호할 뿐만 아니라, 폼 테이프의 자체 복원력으로 공극을 매워 경질 시트(231, 232) 사이의 누수를 차단할 수도 있다.
결합용 테이프(250) 상으로 제1 방수 테이프(260)가 부착된다. 제1 방수 테이프(260)는 결합용 테이프(250) 상에 부착되어 결합용 테이프(250)를 보호하며, 물의 침입 경로를 길게 연장함으로써 누수 차단의 효과를 높일 수가 있다. 또한, 제1 방수 테이프(260)도 결합용 테이프(250)와 같이 외부 변형을 흡수할 수 있으며, 반복하중에 대한 내구성을 증가시킬 수가 있다.
바탕용 시트 층(220), 경질 시트 층(230), 수팽창고무지수재(240), 결합용 테이프(250) 및 제1 방수 테이프(260)에 의해서 하나의 방수구조(200)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다른 방수구조(200)는 이전 실시예의 방수구조(100)와는 일부 상이한 것으로서, 경질 시트 층(230)이 외부로 노출되며, 가혹한 외부 환경에 대한 내구성, 내약품성 등을 위해 경질 시트(231, 232)의 상면에 보호 코팅부가 코팅되어 있다. 이는 종래의 무기도막이나 유기도막에 따른 습식재료의 시공 하자의 발생 가능성 자체를 구조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완전 건식 과정에 따른 것이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방수공법을 설명한다.
바탕면(210) 상에 방수구조(200)를 형성하기 전에, 바탕면(210) 상의 돌출된 부분을 제거하고, 바탕면(210)에 이물질이 없도록 깨끗하게 청소를 한다. 깨끗하게 청소된 바탕면(210) 상에 바탕용 시트를 깔아 바탕용 시트 층(220)을 형성한다. 바탕용 시트는 약 1000mm의 폭으로 형성되며, 약 30mm 정도가 겹치도록 평행하게 배치시키며, 차례로 적층하여 옥상면을 덮는다.
고무아스팔트 시트인 바탕용 시트에 열과 압력을 가하면서, 바탕면(210)에 밀착시키며, 바탕용 시트의 연결 부위로는 고무아스팔트 시트를 상호 융착시킨다.
바탕용 시트를 바탕면(210) 상에 깔아 바탕용 시트 층(220)을 형성한 후, 바탕용 시트의 연결 부위나 불규칙적으로 돌출된 면을 칼블럭 및 디스크를 이용하여 바탕면(210)에 고정시킬 수가 있다.
바탕용 시트 층(220)을 형성한 후, 그 위에 경질 시트를 이용하여 경질 시트 층(230)을 형성한다. 경질 시트 층(230)에서 라미네이팅된 필름을 상면에 위치하도록 배치한다. 이때 경질 시트는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시켜 배치하며, 이격된 공간에 수팽창고무지수재(240)를 삽입한다. 수팽창고무지수재(240)는 경질 시트를 배치하면서, 경질 시트와 함께 바탕용 시트 층(220) 상에 적층할 수가 있다.
경질 시트 층(230)을 형성한 후, 경질 시트의 접합부 및 수팽창고무지수재(240)를 따라 결합용 테이프(250)를 부착시키며, 결합용 테이프(250)를 부착시킨 후, 그 위에 제1 방수 테이프(260)를 부착시킨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방수공법은 무기도막을 고분자 필름으로 대체하여 라미네이팅하고, 바탕용 시트 및 경질 시트를 미리 준비하여 현장에서 바로 깔며, 접합부만 현장에서 시공하는 완전 건식 방법을 택하고 있다. 또한, 전체적인 공정을 줄임으로써 다공정에 의한 하자를 원천적으로 차단하였으며, 공정의 난이도를 현저하게 낮춤으로써 고도의 숙련도가 없는 시공자라도 손쉽게 방수공사를 수행할 수 있게 하였다.
도 5는 제2 실시예와 유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방수구조 및 방수공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방수 테이프(260) 상에 제2 방수 테이프(265)가 제1 방수 테이프(260)를 따라 부착되어 있다. 제1 방수 테이프(260)가 경질 시트의 접합부를 보강하기 위한 것이라면, 제2 방수 테이프(265)는 전체 방수층을 일체화하기 위한 것으로서, 방수구조의 내구성을 증진시키는 마감 테이프로서의 기능을 한다고 할 수 있다.
물론, 제2 방수 테이프(265)는 물의 이동 경로를 더 길게 연장함으로써 물의 출입을 더욱 엄격하게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수구조는 건축물의 내구성을 증진하기 위한 것으로서, 완전 건식 공법을 이용함으로써 방수공사를 신속하게 완료할 수 있으며, 경화 시간 등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한, 고무아스팔트 시트, 폴리에스터 계열의 필름 등과 같이 폐자재 및 산업 부산물 등을 재활용한 재료를 이용함으로써 환경 오염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방수공법 자체가 시공자의 숙련도에 크게 의존하지 않기 때문에, 간단한 지시, 요령 및 경험만 있으면 일반 시공자로도 하자 발생 없이 양질의 방수공사를 완료할 수 있으며, 시공의 품질도 균일하게 유지할 수가 있다.
또한, 옥상녹화시스템에 사용된 기존의 방수구조 및 방수공법이 갖는 누수 발생과 작업의 비효율성 등과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옥상 바닥인 콘크리트 슬라브의 거동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균열에 의한 누수를 차단하고, 상부 식재로 인하여 방수층에 발생할 수 있는 누수 현상을 차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방수구조 및 방수공법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X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방수구조 및 방수공법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들이다.
도 5는 제2 실시예와 유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방수구조 및 방수공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210:바탕면 120, 220:바탕용 시트 층
130, 230:경질 시트 층 140:덮개용 시트 층
240:수팽창고무지수재 250:결합용 테이프
260:제1 방수 테이프 265:제2 방수 테이프

Claims (27)

  1. 바탕 상에 적층되는 복수개의 바탕용 시트를 포함하는 바탕용 시트 층;
    상기 바탕용 시트 층 상에 적층되는 복수개의 경질 시트를 포함하는 경질 시트 층; 및
    상기 경질 시트 층 상에 적층되는 복수개의 덮개용 시트를 포함하는 덮개용 시트 층; 을 구비하는 조립식 방수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탕용 시트 및 상기 덮개용 시트는 고무아스팔트 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방수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동일한 층에서 상기 바탕용 시트들 또는 상기 덮개용 시트들은 각각 부분적으로 융착되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방수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질 시트는 인접한 다른 경질 시트와 부분적으로 겹치도록 상기 바탕용 시트 층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방수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탕용 시트, 상기 경질 시트, 및 상기 덮개용 시트의 이음 부위는 상하로 인접한 상기 바탕용 시트, 상기 경질 시트, 또는 상기 덮개용 시트에 의해서 포개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방수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질 시트에서 상호 겹치는 부위로 접착 테이프가 개재되며, 상기 접착 테이프는 상호 겹치는 상기 경질 시트를 결속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방수구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질 시트는 금속, PVC 또는 종이로 구성된 기본 보드 및 상기 기본 보드 상에 적층된 보호 코팅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호 코팅부는 방수성, 내식성, 내근성, 또는 내약품성의 특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방수구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코팅부는 상기 기본 보드 상에 적층된 도료층, 상기 도료층의 적어도 일면 위로 적층된 Co-Polyester 층, 및 상기 Co-Polyester 층 상에 적층된 R-Polyester 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방수구조.
  9. 복수개의 바탕용 시트를 바탕 상에 배치하여 바탕용 시트 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바탕용 시트 층 상에 복수개의 경질 시트를 배치하여 경질 시트 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경질 시트 층 상에 복수개의 덮개용 시트를 배치하여 덮개용 시트 층을 형성하는 단계; 를 구비하는 조립식 방수공법.
  10. 제9항에 있어서,
    고무아스팔트 시트를 상기 바탕용 시트 및 상기 덮개용 시트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방수공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바탕용 시트 층 또는 상기 덮개용 시트 층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고무아스팔트시트들을 상호 겹치도록 배열하고, 열융착 방법에 의해 상기 고무아스팔트시트의 이음 부위를 결속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방수공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바탕용 시트, 상기 경질 시트, 및 상기 덮개용 시트의 이음 부위는 상하로 인접한 상기 바탕용 시트, 상기 경질 시트, 또는 상기 덮개용 시트에 의해서 포개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조립식 방수공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경질 시트에서 상호 겹치는 부위로 접착 테이프를 개재하며, 상기 접착테이프를 이용하여 상호 겹치는 상기 경질 시트를 결속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방수공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경질 시트 층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금속, PVC 또는 종이로 구성된 기본 보드를 제공하고, 상기 기본 보드 상에 적층된 도료층, 상기 도료층의 적어도 일면 위로 적층된 Co-Polyester 층, 및 상기 Co-Polyester 층 상에 적층된 R-Polyester 층을 차례로 코팅하여 상기 경질 시트를 형성하고, 상기 코팅 처리된 경질 시트를 상기 바탕용 시트 층에 서로 부분적으로 겹치도록 적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방수공법.
  15. 바탕 상에 적층되는 복수개의 바탕용 시트를 포함하는 바탕용 시트 층;
    상기 바탕용 시트 층 상에 적층되는 복수개의 경질 시트를 포함하는 경질 시트 층; 및
    상기 경질 시트의 이음 부분에 부착된 결합용 테이프; 및
    상기 결합용 테이프 상에 부착된 제1 방수 테이프;를 구비하는 조립식 방수구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바탕용 시트는 고무아스팔트 시트이며, 상기 바탕용 은 각각 부분적으로 융착되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방수구조.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경질 시트는 금속, PVC 또는 종이로 구성된 기본 보드 및 상기 기본 보드 상에 적층된 보호 코팅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호 코팅부는 방수성, 내식성, 내근성, 또는 내약품성의 특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방수구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코팅부는 상기 기본 보드 상에 적층된 도료층, 상기 도료층의 적어도 일면 위로 적층된 Co-Polyester 층, 및 상기 Co-Polyester 층 상에 적층된 R-Polyester 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방수구조.
  19. 제15항에 있어서,
    인접한 상기 경질 시트들 사이에는 수팽창고무지수재가 개재되어, 상기 경질 시트 사이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방수구조.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용 테이프는 점착식 폼 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방수구조.
  21.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수 테이프를 덮는 제2 방수 테이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방수구조.
  22. 복수개의 바탕용 시트를 바탕 상에 배치하여 바탕용 시트 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바탕용 시트 층 상에 복수개의 경질 시트를 배치하여 경질 시트 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경질 시트의 접합부를 따라 결합용 테이프를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경질 시트의 접합부를 따라 상기 결합용 테이프 상에 제1 방수 테이프를 부착하는 단계; 를 구비하는 조립식 방수공법.
  23. 제22항에 있어서,
    고무아스팔트 시트를 상기 바탕용 시트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방수공법.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바탕용 시트 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고무아스팔트시트들을 상호 겹치도록 배열하고, 열융착 방법에 의해 상기 고무아스팔트시트의 이음 부위를 결속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방수공법.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경질 시트의 접합부에서 상기 경질 시트 간의 공간에 수팽창고무지수재를 삽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조립식 방수공법.
  26.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경질 시트 층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금속, PVC 또는 종이로 구성된 기본 보드를 제공하고, 상기 기본 보드 상에 적층된 도료층, 상기 도료층의 적어도 일면 위로 적층된 Co-Polyester 층, 및 상기 Co-Polyester 층 상에 적층된 R-Polyester 층을 차례로 코팅하여 상기 경질 시트를 형성하고, 상기 코팅 처리된 경질 시트를 상기 바탕용 시트 층에 서로 부분적으로 겹치도록 적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방수공법.
  27.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수 테이프를 부착한 후,
    상기 경질 시트의 접합부를 따라 상기 제1 방수 테이프 상에 제2 방수 테이프를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조립식 방수공법.
KR1020040065732A 2004-01-09 2004-08-20 조립식 방수구조 및 조립식 방수공법 KR1006957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0410101108A CN100587200C (zh) 2004-01-09 2004-12-14 组装式防水结构及组装式防水施工法
TW093139408A TWI267576B (en) 2004-01-09 2004-12-17 Prefab-type waterproofing structur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waterproofing structure
EP04030081A EP1553241B1 (en) 2004-01-09 2004-12-18 Prefab-type waterproofing structur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waterproofing structure
JP2005003001A JP4227960B2 (ja) 2004-01-09 2005-01-07 組立式防水構造及び組立式防水工法
US11/030,293 US7267735B2 (en) 2004-01-09 2005-01-07 Prefab-type waterproofing structur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waterproofing structure
HK05109476.9A HK1075285A1 (en) 2004-01-09 2005-10-25 Prefab-type waterproofing structur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waterproofing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01763 2004-01-09
KR1020040001763 2004-01-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3512A true KR20050073512A (ko) 2005-07-14
KR100695721B1 KR100695721B1 (ko) 2007-03-15

Family

ID=37262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5732A KR100695721B1 (ko) 2004-01-09 2004-08-20 조립식 방수구조 및 조립식 방수공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95721B1 (ko)
HK (1) HK107528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05522A (zh) * 2014-05-21 2014-08-27 中国建筑土木建设有限公司 聚乙烯丙纶防水卷材与sbs改性沥青卷材的搭接构造及工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2343B1 (ko) * 2008-12-31 2011-10-11 주식회사 이파엘지종합특수방수 고분자 복합 방수 시트와 고무화 아스팔트 시트를 적층한 건식 시트 방수 공법
KR102169941B1 (ko) * 2019-11-27 2020-10-27 삼성엠에프씨 주식회사 무겹침 방수 시트 및 그 시공 방법
KR102402710B1 (ko) 2021-10-26 2022-06-13 (주) 애니콜세라픽 쿨루프형 복합방수구조 및 복합방수방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1421B1 (ko) * 1998-02-14 2000-11-15 장성주 경질시트를 이용한 도막 방수공법 및 그 방수시트
KR100316853B1 (ko) * 1999-05-20 2001-12-22 이계철 방수시트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세그먼트 블록의 이음부 방수 구조
KR100337618B1 (ko) * 1999-08-18 2002-05-23 김경옥 개량 방수시트 및 이를 사용한 복합도막 방수시공방법
JP2001311262A (ja) 2000-05-01 2001-11-09 Takenaka Komuten Co Ltd アスファルト防水層の施工構造
JP2002013253A (ja) 2000-06-30 2002-01-18 Tajima Roofing Co Ltd アスファルト防水工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アスファルト防水材用補強材
KR100407777B1 (ko) * 2001-05-08 2003-12-03 금호엔지니어링 (주) 지하차도 구조물 신축이음부 포장 층의 조인트 공법
KR20030066214A (ko) * 2002-02-05 2003-08-09 주식회사 삼호특수 비금속제 경질 방수 시트
KR100514097B1 (ko) * 2002-11-21 2005-09-13 주식회사 한양엔티 조인트 보강 구조를 갖는 방수시트 제조방법
KR20030070530A (ko) * 2003-01-15 2003-08-30 차민수 복층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공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05522A (zh) * 2014-05-21 2014-08-27 中国建筑土木建设有限公司 聚乙烯丙纶防水卷材与sbs改性沥青卷材的搭接构造及工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5721B1 (ko) 2007-03-15
HK1075285A1 (en) 2005-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27960B2 (ja) 組立式防水構造及び組立式防水工法
US8104245B2 (en) Method for waterproofing a structural surface
KR100363436B1 (ko) 옥상 방수용 플라스틱 패널
KR100804677B1 (ko) 자착식 복합 방수시트를 이용한 옥상 방수층 및 방수방법
KR100337618B1 (ko) 개량 방수시트 및 이를 사용한 복합도막 방수시공방법
CA2794462C (en) Roof structure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KR102051495B1 (ko) 방수방근시트 및 그 시공방법
KR100737619B1 (ko) 건설 구조물의 방수공법 및 방수구조
KR101027655B1 (ko) 옥상 및 인공지반 녹화를 위한 방근층을 겸비한 고무아스팔트 적층 방수재 및 그의 시공방법
KR101431380B1 (ko) 조인트 절연형 삼중 복합방수공법
KR101135165B1 (ko) 복합 방수시트, 이를 이용한 방수시공방법 및 방수시공구조
KR100695721B1 (ko) 조립식 방수구조 및 조립식 방수공법
KR100875897B1 (ko) 합성수지 시트 양면에 엘엠에프 부직포가 형성된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 공법
KR101133026B1 (ko) 노출방수를 위한 고무 아스팔트 도막 및 방수시트의 3중 적층공법
US20110000159A1 (en) Hail-resistant roofing membrane and method for making same
KR101039239B1 (ko) 단열방수용 접착성 단열방수시트
KR101866333B1 (ko) 노출형 아크릴기반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시공방법
KR102258896B1 (ko) 마일라 복합시트를 적용한 비노출 방수방근 공법
KR200247450Y1 (ko) 패드형 단열방수시트
US20080193778A1 (en) Isolation Material
CN110805208A (zh) 一种屋面防水结构及其施工方法
KR101350666B1 (ko) 단열 보드를 이용한 건식형 복합방수구조
KR20090081082A (ko) 조립식 외단열 방수 구조
KR200420571Y1 (ko) 에어라인을 이용한 시트와 우레탄 모르타르 방수구조
KR200418187Y1 (ko) 에어라인을 이용한 시트와 우레탄 모르타르 방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