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8896B1 - 마일라 복합시트를 적용한 비노출 방수방근 공법 - Google Patents

마일라 복합시트를 적용한 비노출 방수방근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8896B1
KR102258896B1 KR1020200139209A KR20200139209A KR102258896B1 KR 102258896 B1 KR102258896 B1 KR 102258896B1 KR 1020200139209 A KR1020200139209 A KR 1020200139209A KR 20200139209 A KR20200139209 A KR 20200139209A KR 102258896 B1 KR102258896 B1 KR 1022588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ylar
mylar composite
composite sheet
sheet
str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9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희섭
이명수
선현종
Original Assignee
안희섭
승탑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희섭, 승탑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안희섭
Priority to KR10202001392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88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88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88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04D11/02Build-up roofs, i.e.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bonded together in situ, at least one of the layers being of watertight com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5/09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aluminium or cop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8Net structure, e.g. spaced apart filaments bonded at the crossing p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65Sheets or foils impervious to water and water vap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04D11/002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at least one of the layers permitting turfing of the ro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1/00Metals, their alloys or their compounds
    • B32B2311/24Aluminiu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 Y02A30/254Roof garden systems; Roof coverings with high solar reflectan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 Y02B80/32Roof garde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일라 복합시트를 적용한 비노출 방수방근 공법에 관련되며, 이는 옥상방수 및 녹화를 위하여 콘크리트 면을 바탕처리 후 마일라(Mylar)필름, 알루미늄 박판을 포함하는 마일라 복합시트를 시공하여 식물 뿌리 침투로 인한 콘크리트 손상을 방지함과 더불어 방수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마일라 복합시트 시공단계(S10), 마일라 복합띠 시공단계(S20), 마감층시공단계(S30)를 포함하여 주요구성으로 한다.

Description

마일라 복합시트를 적용한 비노출 방수방근 공법{Non-exposed waterproofing method using Mylar composite sheet}
본 발명은 마일라 복합시트를 적용한 비노출 방수방근 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옥상방수 및 녹화를 위하여 콘크리트 면을 바탕처리 후 마일라(Mylar)필름, 알루미늄 박판을 포함하는 마일라 복합시트를 시공하여 식물 뿌리 침투로 인한 콘크리트 손상을 방지함과 더불어 방수성 향상을 도모하는 마일라 복합시트를 적용한 비노출 방수방근 공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건축, 토목 분야에서 옥상 및 녹화를 위한 콘크리트 면은 방근기능을 가진 시트류, 도막류 또는 패널류 등의 재료를 사용하여 식물의 뿌리를 막음으로써 인공지반녹화 부위에 시공된 방수층 및 구조체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방근방수 방식은 구리시트 + 액상도막계 재료, FRP 도막 + 아스팔트시트 계 재료, 무기질계 시트 재료, 합성고분자계 시트 재료 + 경질 액상도막계 재료 등을 조합하는 방식이 널리 적용되고 있으나, 시트 간에 접합부의 미세한 미결합 부위, 접합부 웰딩부위의 시공하자 부위, 무기질 재료의 균열 및 갈라짐, 접합부 도막재의 방근성능 미비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식물 뿌리의 관통(뚫림) 하자가 빈번하게 발생되는 실정이다.
이에 종래에 개시된 등록특허 10-1202763에서, 금속재 필름을 중심기재로 하여 그의 상부면에 방수 및 방근성을 갖는 합성수지 필름이 적층되고 하부면에 폴리에스터(PET) 부직포가 적층되어 3겹층을 형성하는 방근층; 상기 방근층의 하단에 도포되며, 토양 및 수목식재의 적재하중을 탄성적으로 수용하기 위한 고무아스팔트 콤파운드층; 상기 고무아스팔트 콤파운드층 하단에 부착된 이형층; 및 상기 방근층간의 연결부위에 설치되는 수밀성 보강 방근테이프를 포함하는 기술이 선 등록된바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식생재의 뿌리가 구조부의 방수층에 도달되지 못하도록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기술이나, 방근층 간에 이음부위가 방근테이프에 의해 마감 처리되므로 이음부들이 균일하게 용융부착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되면 식물 뿌리가 쉽게 파고들고, 또 외부 요인에 의해 불가피하게 시트 표면이 미세하게 훼손되더라도 뿌리가 파고들면서 틈새 간격을 이격시켜 방근 방수 기능을 상실하게 되는 폐단이 따랐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안 된 것으로서, 옥상방수 및 녹화를 위하여 콘크리트 면을 바탕처리 후 마일라(Mylar)필름, 알루미늄 박판을 포함하는 마일라 복합시트를 시공하여 식물 뿌리 침투로 인한 콘크리트 손상을 방지함과 더불어 방수성 향상을 도모하는 마일라 복합시트를 적용한 비노출 방수방근 공법을 제공하려는데 목적을 둔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특징은, 본 발명은 콘크리트 바탕면(1)에 마일라 복합시트(10)를 시공하는 마일라 복합시트 시공단계(S10); 상기 마일라 복합시트(10) 사이 맞댐 접합부를 마일라 복합띠(20)로 마감하는 마일라 복합띠 시공단계(S20); 및 상기 마일라 복합띠 시공단계(S20) 이후, 상부에 보호 몰탈 또는 식생 토양으로 이루어지는 마감층(30)을 시공하는 마감층시공단계(S30);를 포함하고, 상기 마일라 복합시트(10) 및 마일라 복합띠(20)는, 25 um 두께의 마일라(Mylar)필름(100)과, 마일라(Mylar)필름(100) 저면에 합착되는 알루미늄 박판(200)과, 알루미늄 박판(200) 저면에 합착되는 자착식 부틸시트(300)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마일라 복합띠 시공단계(S20)에서, 마일라 복합시트(10) 상에 마일라 복합띠(20)를 부착한 후, 히팅롤러(21)를 이용하여 가열 가압하거나, 열풍기를 이용하여 히팅하면서 펀치(22)로 타격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 바탕면(1) 상에 보강섬유시트(40)가 시공되고, 상기 보강섬유시트는 유리섬유 직포, 부직포, 아라미드 섬유, 면 섬유, 합성고분자 섬유, 탄소 섬유 중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일라 복합시트(10) 및 마일라 복합띠(20) 내부에는 보강 메쉬층(120)이 구비되고, 상기 보강 메쉬층(120)은 유리섬유, 아라미드 섬유, 합성고분자 섬유, 탄소 섬유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한 조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일라 복합시트(10)와 마일라 복합띠(20) 사이에 배치되어, 마일라 복합시트(10) 및 마일라 복합띠(20)의 알루미늄 박판(200)을 연결하는 알루미늄 격벽부(400)가 구비되고, 상기 알루미늄 격벽부(400)는, 마일라 복합띠(20) 내부 알루미늄 박판(200)에 접촉되도록 매립 설치되는 횡판(420)과, 횡판(420) 중앙에 상단부가 연결되고, 하단부는 마일라 복합띠(20) 외부로 노출되어 톱니형 파지날(442)이 형성되는 종판(44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마일라 복합띠(20)를 마일라 복합시트(10) 상면에 포갠 상태로 가압하면, 알루미늄 격벽부(400)의 톱니형 파지날(442)이 마일라 복합시트(10) 상면에 파지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알루미늄 격벽부(400)의 종판(440) 일면에 광섬유띠(500)가 설치되고, 광섬유띠(500) 단부는 마감층(30) 상부로 노출되어 태양광을 집광하는 집광부(520)에 연결되며, 상기 광섬유띠(500)는 마일라 복합시트(10)와 마일라 복합띠(20) 사이에 배치되어 집광부(520)를 통하여 전달되는 빛에 의해 발광되어, 마일라 복합시트(10)와 마일라 복합띠(20) 사이로 침투하는 식물 뿌리를 고사시키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일라 복합시트(10)의 자착식 부틸시트(300)는 종, 횡라인(320)(340)이 서로 교차되어 복수의 공간부(310)를 가지는 격자형 메쉬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종, 횡라인(320)(340)을 사방향에서 당겨 팽창시킨 상태로 상면에 알루미늄 박판(200)을 부착하고, 이후 종, 횡라인(320)(340) 팽창력을 해제하여 수축작용에 의해 알루미늄 박판(200)에 주름(210)이 형성되며, 상기 마일라 복합시트(10)를 콘크리트 바탕면(1)에 시공시, 자착식 부틸시트(300)의 공간부(310)에 의해 알루미늄 박판(200)과 콘크리트 바탕면(1)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며, 콘크리트 바탕면(1)의 신축 거동 및 굴곡에 대응하여 마일라 복합시트(10) 및 마일라 복합띠(20)가 팽창시 알루미늄 박판(200)에 주름(210)이 펼쳐지면서 찢어짐이 방지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의하면, 본 발명은 옥상방수 및 녹화를 위하여 콘크리트 면을 바탕처리 후 마일라(Mylar)필름, 알루미늄 박판을 포함하는 마일라 복합시트를 시공하여 식물 뿌리 침투로 인한 콘크리트 손상을 방지함과 더불어 방수성 향상을 도모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마일라 복합시트를 적용한 비노출 방수방근 공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마일라 복합시트를 적용한 비노출 방수방근 공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마일라 복합시트를 적용한 비노출 방수방근 공법의 마일라 복합시트 및 마일라 복합띠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마일라 복합시트를 적용한 비노출 방수방근 공법의 마일라 복합띠 시공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마일라 복합시트를 적용한 비노출 방수방근 공법의 보강섬유시트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마일라 복합시트를 적용한 비노출 방수방근 공법의 보강 메쉬층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마일라 복합시트를 적용한 비노출 방수방근 공법의 알루미늄 격벽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마일라 복합시트를 적용한 비노출 방수방근 공법의 광섬유띠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일라 복합시트를 적용한 비노출 방수방근 공법의 알루미늄 박판을 주름지게 설치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마일라 복합시트를 적용한 비노출 방수방근 공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마일라 복합시트를 적용한 비노출 방수방근 공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마일라 복합시트를 적용한 비노출 방수방근 공법의 마일라 복합시트 및 마일라 복합띠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마일라 복합시트를 적용한 비노출 방수방근 공법의 마일라 복합띠 시공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마일라 복합 시트를 적용한 비노출 방수방근 공법의 보강섬유시트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마일라 복합 시트를 적용한 비노출 방수방근 공법의 보강 메쉬층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마일라 복합시트를 적용한 비노출 방수방근 공법의 알루미늄 격벽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마일라 복합시트를 적용한 비노출 방수방근 공법의 광섬유띠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마일라 복합시트를 적용한 비노출 방수방근 공법의 알루미늄 박판을 주름지게 설치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마일라 복합시트를 적용한 비노출 방수방근 공법에 관련되며, 이는 옥상방수 및 녹화를 위하여 콘크리트 면을 바탕처리 후 마일라(Mylar)필름, 알루미늄 박판을 포함하는 마일라 복합시트를 시공하여 식물 뿌리 침투로 인한 콘크리트 손상을 방지함과 더불어 방수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마일라 복합시트 시공단계(S10), 마일라 복합띠 시공단계(S20), 마감층시공단계(S30)를 포함하여 주요구성으로 한다.
1. 마일라 복합시트 시공단계(S10)
본 발명에 따른 마일라 복합시트 시공단계(S10)는, 콘크리트 바탕면(1)에 마일라 복합시트(10)를 시공하는 단계이다.
상기 마일라 복합시트(10)는, 도 3처럼 25 um 두께의 마일라(Mylar)필름(100)과, 마일라필름(100) 저면에 합착되는 알루미늄 박판(200)과, 알루미늄 박판(200) 저면에 합착되는 자착식부틸시트(30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25 um 두께의 마일라(Mylar)필름(100, 25 Micron Polyester Film)은 내구성이 우수하면서 방수성이 우수하고, 특히 우수한 내구성으로 인해 콘크리트 바탕면(1)에 긴밀하게 밀착 시공된다.
그리고, 상기 알루미늄 박판(200)은 마일라필름(100) 손상으로 인한 뿌리 침투를 차단하여 방근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일라 복합시트(10) 내부에는 보강 메쉬층(120)이 구비되고, 상기 보강 메쉬층(12)은 유리섬유, 아라미드 섬유, 합성고분자 섬유, 탄소 섬유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한 조직으로 형성된다.
이에 상기 마일라 복합시트(10)가 보강 메쉬층(120)에 의해 내구성이 보강되어 팽창 한계가 설정됨에 따라 콘크리트 바탕면(1)의 신축 거동 및 굴곡에 대응하여 마일라 복합시트(10)의 과도한 팽창변형으로 인한 알루미늄 박판(200)의 손상을 방지하게 된다.
도 5에서, 상기 콘크리트 바탕면(1) 상에 보강섬유시트(40)가 시공되고, 상기 보강섬유시트는 유리섬유 직포, 부직포, 아라미드 섬유, 면 섬유, 합성고분자 섬유, 탄소 섬유 중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상기 콘크리트 바탕면(1)이 보강섬유시트(40)에 의해 보강됨에 따라 신축 거동에 의한 균열이 방지된다.
2. 마일라 복합띠 시공단계(S20)
본 발명에 따른 마일라 복합띠 시공단계(S20)는, 상기 마일라 복합시트(10) 사이 맞댐 접합부를 마일라 복합띠(20)로 마감하는 단계이다.
상기 마일라 복합띠(20)는, 25 um 두께의 마일라(Mylar)필름(100)과, 마일라(Mylar)필름(100) 저면에 합착되는 알루미늄 박판(200)과, 알루미늄 박판(200) 저면에 합착되는 자착식부틸시트(30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25 um 두께의 마일라(Mylar)필름(100, 25 Micron Polyester Film)은 내구성이 우수하면서 방수성이 우수하고, 특히 우수한 내구성으로 인해 콘크리트 바탕면(1)에 긴밀하게 밀착 시공된다.
그리고, 상기 알루미늄 박판(200)은 마일라필름(100) 손상으로 인한 뿌리 침투를 차단하여 방근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한다.
또한, 상기 마일라 복합띠(20) 내부에는 보강 메쉬층(120)이 구비되고, 상기 보강 메쉬층(120)은 유리섬유, 아라미드 섬유, 합성고분자 섬유, 탄소 섬유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한 조직으로 형성된다.
이에 상기 마일라 복합띠(20)가 보강 메쉬층(120)에 의해 내구성이 보강되어 팽창 한계가 설정됨에 따라 콘크리트 바탕면(1)의 신축 거동 및 굴곡에 대응하여 마일라 복합띠(20)의 과도한 팽창변형으로 인한 알루미늄 박판(200)의 손상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마일라 복합띠 시공단계(S20)에서, 마일라 복합시트(10) 상에 마일라 복합띠(20)를 부착한 후, 히팅롤러(21)를 이용하여 가열 가압하거나, 열풍기를 이용하여 히팅하면서 펀치(22)로 타격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히팅롤러(21) 또는 열풍기에 의해 마일라 복합띠(20)가 히팅되면서 자착식부틸시트(300)의 접착부가 열에 용융되어 마일라 복합시트(10) 상면에 긴밀하게 침투하므로 접착성능이 향상된다.
3. 마감층시공단계(S30)
본 발명에 따른 마감층시공단계(S30)는, 상기 마일라 복합띠 시공단계(S20) 이후, 상부에 보호 몰탈 또는 식생 토양으로 이루어지는 마감층(30)을 시공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식생 토양으로 이루어지는 마감층(30) 상에는 식물이 식재되어 녹화가 이루어진다.
도 7에서, 상기 마일라 복합시트(10)와 마일라 복합띠(20) 사이에 배치되어, 마일라 복합시트(10) 및 마일라 복합띠(20)의 알루미늄 박판(200)을 연결하는 알루미늄 격벽부(400)가 구비된다.
상기 알루미늄 격벽부(400)는, 마일라 복합띠(20) 내부 알루미늄 박판(200)에 접촉되도록 매립 설치되는 횡판(420)과, 횡판(420) 중앙에 상단부가 연결되고, 하단부는 마일라 복합띠(20) 외부로 노출되어 톱니형 파지날(442)이 형성되는 종판(440)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마일라 복합띠(20)를 마일라 복합시트(10) 상면에 포갠 상태로 가압하면, 알루미늄 격벽부(400)의 톱니형 파지날(442)이 마일라 복합시트(10) 상면에 파지되도록 구비된다.
이처럼 상기 톱니형 파지날(442)이 마일라 복합시트(10) 상면에 파지된 상태로 마일라 복합시트(10)와 마일라 복합띠(20) 간에 결합력이 향상되고, 특히, 알루미늄 격벽부(400)에 의해 마일라 복합시트(10)와 마일라 복합띠(20) 내부에 매립된 알루미늄 박판(200)이 서로 연결되어 식물 뿌리의 침투를 긴밀하게 차단하게 된다.
도 8에서, 상기 알루미늄 격벽부(400)의 종판(440) 일면에 광섬유띠(500)가 설치된다.
상기 광섬유띠(500) 단부는 마감층(30) 상부로 노출되어 태양광을 집광하는 집광부(520)에 연결되며, 상기 광섬유띠(500)는 마일라 복합시트(10)와 마일라 복합띠(20) 사이에 배치되어 집광부(520)를 통하여 전달되는 자연광(태양빛)에 의해 발광되도록 구비된다.
이에 상기 마일라 복합시트(10)와 마일라 복합띠(20) 사이로 침투하는 식물 뿌리가 광섬유띠(500)에서 출력되는 광원에 노출되어 고사되므로 복합시트(10)와 마일라 복합띠(20) 사이로의 침투가 원천 차단된다.
한편, 상기 집광부(520) 측에 LED모듈을 설치하여, 야간이나 우천시에도 태양빛에 영향을 받지 않고 광원을 제공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도 9에서, 상기 마일라 복합시트(10)의 자착식 부틸시트(300)는 종, 횡라인(320)(340)이 서로 교차되어 복수의 공간부(310)를 가지는 격자형 메쉬구조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종, 횡라인(320)(340)을 사방향에서 당겨 팽창시킨 상태로 상면에 알루미늄 박판(200)을 부착하고, 이후 종, 횡라인(320)(340) 팽창력을 해제하여 수축작용에 의해 알루미늄 박판(200)에 주름(210)이 형성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마일라 복합시트(10)를 콘크리트 바탕면(1)에 시공시, 자착식 부틸시트(300)의 공간부(310)에 의해 알루미늄 박판(200)과 콘크리트 바탕면(1)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된다.
이에 상기 콘크리트 바탕면(1)의 신축 거동 및 굴곡에 대응하여 마일라 복합시트(10) 및 마일라 복합띠(20)가 팽창시 알루미늄 박판(200)에 주름(210)이 펼쳐지면서 찢어짐이 방지되도록 구비되는 이점이 있다.
10: 마일라 복합시트 20: 마일라 복합띠
30: 마감층

Claims (7)

  1. 콘크리트 바탕면(1)에 마일라 복합시트(10)를 시공하는 마일라 복합시트 시공단계(S10);
    상기 마일라 복합시트(10) 사이 맞댐 접합부를 마일라 복합띠(20)로 마감하는 마일라 복합띠 시공단계(S20); 및
    상기 마일라 복합띠 시공단계(S20) 이후, 상부에 보호 몰탈 또는 식생 토양으로 이루어지는 마감층(30)을 시공하는 마감층시공단계(S30);를 포함하고,
    상기 마일라 복합시트(10) 및 마일라 복합띠(20)는, 25 um 두께의 마일라(Mylar)필름(100)과, 마일라(Mylar)필름(100) 저면에 합착되는 알루미늄 박판(200)과, 알루미늄 박판(200) 저면에 합착되는 자착식 부틸시트(300)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마일라 복합시트(10)와 마일라 복합띠(20) 사이에 배치되어, 마일라 복합시트(10) 및 마일라 복합띠(20)의 알루미늄 박판(200)을 연결하는 알루미늄 격벽부(400)가 구비되고, 상기 알루미늄 격벽부(400)는, 마일라 복합띠(20) 내부 알루미늄 박판(200)에 접촉되도록 매립 설치되는 횡판(420)과, 횡판(420) 중앙에 상단부가 연결되고, 하단부는 마일라 복합띠(20) 외부로 노출되어 톱니형 파지날(442)이 형성되는 종판(44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마일라 복합띠(20)를 마일라 복합시트(10) 상면에 포갠 상태로 가압하면, 알루미늄 격벽부(400)의 톱니형 파지날(442)이 마일라 복합시트(10) 상면에 파지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일라 복합시트를 적용한 비노출 방수방근 공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일라 복합띠 시공단계(S20)에서, 마일라 복합시트(10) 상에 마일라 복합띠(20)를 부착한 후, 히팅롤러(21)를 이용하여 가열 가압하거나, 열풍기를 이용하여 히팅하면서 펀치(22)로 타격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일라 복합 시트를 적용한 비노출 방수방근 공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바탕면(1) 상에 보강섬유시트(40)가 시공되고, 상기 보강섬유시트는 유리섬유 직포, 부직포, 아라미드 섬유, 면 섬유, 합성고분자 섬유, 탄소 섬유 중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일라 복합시트를 적용한 비노출 방수방근 공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일라 복합시트(10) 및 마일라 복합띠(20) 내부에는 보강 메쉬층(120)이 구비되고, 상기 보강 메쉬층(120)은 유리섬유, 아라미드 섬유, 합성고분자 섬유, 탄소 섬유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한 조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일라 복합 시트를 적용한 비노출 방수방근 공법.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 격벽부(400)의 종판(440) 일면에 광섬유띠(500)가 설치되고, 광섬유띠(500) 단부는 마감층(30) 상부로 노출되어 태양광을 집광하는 집광부(520)에 연결되며, 상기 광섬유띠(500)는 마일라 복합시트(10)와 마일라 복합띠(20) 사이에 배치되어 집광부(520)를 통하여 전달되는 빛에 의해 발광되어, 마일라 복합시트(10)와 마일라 복합띠(20) 사이로 침투하는 식물 뿌리를 고사시키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일라 복합시트를 적용한 비노출 방수방근 공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마일라 복합시트(10)의 자착식 부틸시트(300)는 종, 횡라인(320)(340)이 서로 교차되어 복수의 공간부(310)를 가지는 격자형 메쉬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종, 횡라인(320)(340)을 사방향에서 당겨 팽창시킨 상태로 상면에 알루미늄 박판(200)을 부착하고, 이후 종, 횡라인(320)(340) 팽창력을 해제하여 수축작용에 의해 알루미늄 박판(200)에 주름(210)이 형성되며, 상기 마일라 복합시트(10)를 콘크리트 바탕면(1)에 시공시, 자착식부틸시트(300)의 공간부(310)에 의해 알루미늄 박판(200)과 콘크리트 바탕면(1)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며, 콘크리트 바탕면(1)의 신축 거동 및 굴곡에 대응하여 마일라 복합시트(10) 및 마일라 복합띠(20)가 팽창시 알루미늄 박판(200)에 주름(210)이 펼쳐지면서 찢어짐이 방지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일라 복합시트를 적용한 비노출 방수방근 공법.
KR1020200139209A 2020-10-26 2020-10-26 마일라 복합시트를 적용한 비노출 방수방근 공법 KR1022588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9209A KR102258896B1 (ko) 2020-10-26 2020-10-26 마일라 복합시트를 적용한 비노출 방수방근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9209A KR102258896B1 (ko) 2020-10-26 2020-10-26 마일라 복합시트를 적용한 비노출 방수방근 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8896B1 true KR102258896B1 (ko) 2021-06-01

Family

ID=76375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9209A KR102258896B1 (ko) 2020-10-26 2020-10-26 마일라 복합시트를 적용한 비노출 방수방근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88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6151B1 (ko) * 2021-05-31 2022-01-03 (주)지앤케이홀딩스 인공녹지조성용 방근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방근 시공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4125A (ko) * 2007-10-02 2009-04-07 김기태 방수 시트 이음용 복합 조인트 및 상기 복합 조인트가적용된 방수 시트의 이음 구조 및 상기 복합 조인트와 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 공법
KR20170049150A (ko) * 2015-10-28 2017-05-10 주식회사 성도 방수 및 방근 복합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 및 방근 공법
KR102096858B1 (ko) * 2019-09-30 2020-04-03 김성년 접합부 성형체와 방수방근 시트를 활용한 방수방근 시스템
KR102115242B1 (ko) * 2019-12-12 2020-06-08 주식회사 삼송마그마 금속분말이 포함된 방수방근 복합시트와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4125A (ko) * 2007-10-02 2009-04-07 김기태 방수 시트 이음용 복합 조인트 및 상기 복합 조인트가적용된 방수 시트의 이음 구조 및 상기 복합 조인트와 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 공법
KR20170049150A (ko) * 2015-10-28 2017-05-10 주식회사 성도 방수 및 방근 복합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 및 방근 공법
KR102096858B1 (ko) * 2019-09-30 2020-04-03 김성년 접합부 성형체와 방수방근 시트를 활용한 방수방근 시스템
KR102115242B1 (ko) * 2019-12-12 2020-06-08 주식회사 삼송마그마 금속분말이 포함된 방수방근 복합시트와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6151B1 (ko) * 2021-05-31 2022-01-03 (주)지앤케이홀딩스 인공녹지조성용 방근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방근 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109584A (ko) 식물재배구조, 방근구조 및 이것들에 사용하는 방근시트
CN207749543U (zh) 一种复合防水系统
KR102096858B1 (ko) 접합부 성형체와 방수방근 시트를 활용한 방수방근 시스템
KR100524221B1 (ko) 통기성 방수시트를 이용한 통기성 방수구조
KR100702921B1 (ko) 2중 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시공방법 및 방수구조
KR102258896B1 (ko) 마일라 복합시트를 적용한 비노출 방수방근 공법
TW200523438A (en) Prefab-type waterproofing structur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waterproofing structure
KR20190110012A (ko) 방수방근시트 및 그 시공방법
US3215243A (en) Method of repairing roofing material
KR102279090B1 (ko) 방수방근시트와 구리섬유로 직조한 방근 접합부 보강재를 활용한 방수방근 공법
KR101135165B1 (ko) 복합 방수시트, 이를 이용한 방수시공방법 및 방수시공구조
KR101096757B1 (ko) 옥상녹화용 시트
US20110000159A1 (en) Hail-resistant roofing membrane and method for making same
KR101039239B1 (ko) 단열방수용 접착성 단열방수시트
CN208996324U (zh) 一种环保型聚乙烯高分子复合防水卷材
KR101298794B1 (ko) 도로 및 교면 방수부재
KR100695721B1 (ko) 조립식 방수구조 및 조립식 방수공법
CN211058118U (zh) 一种三坡金属屋面屋脊交接节点
JP7486804B2 (ja) 水硬化性土木シートの施工方法
KR100530801B1 (ko) 통기성 방수시트
CN218843370U (zh) 一种强耐水性自粘防水卷材
JP3059155U (ja) 突起付き防水シート
CN215594636U (zh) 一种金属屋面接缝的防水结构
JP3048273U (ja) 不燃穴開き防水シート
KR102082049B1 (ko) 복합 방수 방근층의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