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6151B1 - 인공녹지조성용 방근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방근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인공녹지조성용 방근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방근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6151B1
KR102346151B1 KR1020210070220A KR20210070220A KR102346151B1 KR 102346151 B1 KR102346151 B1 KR 102346151B1 KR 1020210070220 A KR1020210070220 A KR 1020210070220A KR 20210070220 A KR20210070220 A KR 20210070220A KR 102346151 B1 KR102346151 B1 KR 1023461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composite resin
resin sheet
root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0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우성
Original Assignee
(주)지앤케이홀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앤케이홀딩스 filed Critical (주)지앤케이홀딩스
Priority to KR10202100702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61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61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61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04D11/002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at least one of the layers permitting turfing of the roof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04D11/02Build-up roofs, i.e.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bonded together in situ, at least one of the layers being of watertight composi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 Y02A30/254Roof garden systems; Roof coverings with high solar reflectan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 Y02B80/32Roof garde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인공녹지조성용 방근 구조는, 방근 시공 대상면에 형성된 방수층 및 복수의 복합수지시트가 상호 겹쳐진 형태로 이음 접착되어 방수층의 상면을 따라 형성된 방근층을 포함하되, 방근층은 일면에 식물 뿌리의 접근을 차단하는 금속성 입자가 함유된 접착필름이 복수의 복합수지시트의 겹침 이음경계를 따라 접착되고, 복합수지시트는 방수층의 상면에 부착되는 발포수지부와 발포수지부보다 얇은 두께를 가지는 수지필름부가 발포수지부의 상면에 적층된 형태로 마련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공녹지조성용 방근 시공 방법은, 방근 시공 대상면에 방수층을 형성하는 준비단계와 적어도 어느 하나의 복합수지시트의 일측 하면이 방수층에 미리 접착된 다른 복합수지시트의 타측 상면에 겹쳐지도록 방수층을 따라 연속적으로 이음 접착하여 베이스층을 형성하는 이음단계 및 pH 4 미만의 농도를 가지는 용액과의 중화 반응을 통해 Al3+을 용출시켜, 식물 뿌리의 접근을 차단하는 알루미늄 화합물이 함유된 접착필름을 베이스층의 이음경계를 따라 부착하여 방근층을 형성하는 부착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인공녹지조성용 방근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방근 시공 방법{ROOT-PROOF STRUCTURE FOR ARTIFICIAL GREEN LAND CREATION AND ROOT-PROOF CONSTRUCTION METHOD THERE OF}
본 발명은, 뿌리의 하방 침투를 방지하기 위해 인공녹지조성 대상면의 저면에 실시되는 방근 시공 기술에 관한 것이다.
방근 시공은 건축구조의 상부 또는 표면에 인공녹지조성을 위해 실시되며, 인공녹지조성을 위한 식물이 심어지는 토양층을 지지하면서, 식물의 뿌리 등이 하부의 건축구조 방향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시공 방법이다.
일반적으로 방근 시공은 건축구조의 상방에 조성된 토양층으로부터 하부의 건축구조로 물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건축구조의 상방에 방수층이 우선적으로 형성되어야 하며, 토양층에 심어진 식물의 뿌리가 하방으로 뻗어가면서 방수층을 파손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방수층의 표면에 시트를 부착시켜 마감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시트는 방수층의 폭 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겹쳐진 형태로 방수층에 부착됨으로써, 토양층에 심어진 식물의 뿌리가 방수층의 표면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상술한 방근 시공방식은 방근 시공의 대상 면인 콘크리트 슬라브층이 함수율 또는 온도변화에 의해 미세하게 수축과 팽창이 이루어지며, 이러한 콘크리트 슬라브층의 수축과 팽창에 의해 시트의 겹침 이음 부위의 부착상태가 해제되어, 방근 능력이 떨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96511호(출원일: 2020.06.09., 공고일: 2020.12.30., 이하, ‘종래기술’이라 함.)에는, 방수층의 상부에 방수방근을 위한 시트를 소정 간격 이격시켜 부착하고, 이격부위를 수축과 팽창이 우수한 씰재로 채운 뒤, 상부를 수지씰로 덮어 마감하는 방근 시공 기술이 개시된 바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은 시트의 이격 부착하고 이격 부위에 씰재를 채우며 씰재 상부를 수지씰로 마감하는 일련의 과정에 있어, 시공 시간이 현저하게 늘어날 수 있게 되고, 더욱이, 시트가 이루는 높이보다 이격부위를 덮는 형태로 마련되는 수지씰이 이루는 높이가 높아지게 되어, 토양층 또는 토양층의 하부에 구성되는 저배수층으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이 수지씰에 집중됨에 따라, 장시간동안 가해진 압력에 의해 씰링 상태가 해제되어 방근 능력이 떨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씰링 영역이 시트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됨으로 인해, 토양층을 통해 스며든 물이 씰링 부위 경계를 따라 고이게 되어 수분의 장기적 침습에 의해 씰링이 해제될 수 있음은 물론, 식물이 토양층의 수분을 향해 뿌리를 내림에 따라 씰링 영역에 식물의 뿌리에 의해 손상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시공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하면서도, 시트 이음 부위로의 식물의 뿌리가 침투함으로 인해 방수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방근 구조 및 방근 시공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인공녹지조성용 방근 구조는, 방근 시공 대상면에 형성된 방수층; 및 복수의 복합수지시트가 상호 겹쳐진 형태로 이음 접착되어 상기 방수층의 상면을 따라 형성된 방근층;을 포함하되, 상기 방근층은 일면에 식물 뿌리의 접근을 차단하는 금속성 입자가 함유된 접착필름이 복수의 복합수지시트의 겹침 이음경계를 따라 접착되고, 상기 복합수지시트는 상기 방수층의 상면에 부착되는 발포수지부와 상기 발포수지부보다 얇은 두께를 가지는 수지필름부가 상기 발포수지부의 상면에 적층된 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복합수지시트는 이웃한 다른 복합수지시트의 상면 방향으로 겹침 이음되는 일단은 겹침 이음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수지필름부가 상기 발포수지부보다 더 돌출된 형태로 마련되고, 이웃한 또 다른 복합수지시트의 하면 방향으로 겹침 이음되는 타단은 상기 발포수지부가 상기 수지필름부보다 더 돌출된 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지필름부는 고주파아크 처리를 통해 표면이 개질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으로 마련되며, 하면에 합성수지계 접착체가 도포되고 접착제가 도포된 면이 상기 발포수지부의 상면과 접촉된 상태에서 0.1kgf/cm2 내지 10kgf/cm2의 압력으로 가압되어 상기 발포수지부의 상면에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게다가, 상기 발포수지부는 상기 수지필름부보다 적어도 10배 이상의 두께를 가지되, 폴리에틸렌(PE),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EVA) 또는 폴리비닐 클로라이드(PVC)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수지화합물 수용액을 35 내지 45의 발포배율을 가지는 폼(Foam) 형상으로 제조한 발포수지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접착필름은 금속 화합물이 증착된 박형 수지 형태로 마련되는 필름부에 상기 복합수지시트의 겹침 이음경계를 향하는 일면에 아크릴계 접착제가 도포된 형태로 마련되는 접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필름부 또는 접착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pH 4 미만의 농도를 가지는 침투수와의 중화 반응을 통해, Al3+을 용출시키는 알루미늄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인공녹지 조성용 방근 시공 방법은, 방근 시공 대상면에 방수층을 형성하는 준비단계; 적어도 어느 하나의 복합수지시트의 일측 하면이 상기 방수층에 미리 접착된 다른 복합수지시트의 타측 상면에 겹쳐지도록 상기 방수층을 따라 연속적으로 이음 접착하여 베이스층을 형성하는 이음단계; 및 pH 4 미만의 농도를 가지는 침투수와의 중화 반응을 통해 Al3+을 용출시켜 식물 뿌리의 접근을 차단하는 알루미늄 화합물이 함유된 접착필름을 상기 베이스층의 이음경계를 따라 부착하여 방근층을 형성하는 부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복합수지시트는 상기 방수층의 상면에 부착되는 발포수지부와 상기 발포수지부보다 얇은 두께를 가지는 수지필름부가 상기 발포수지부의 상면에 적층된 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복합수지시트는 겹침 이음 방향을 기준으로 겹침 이음되는 일측은 상기 수지필름부가 상기 발포수지부보다 더 돌출된 형태로 마련되는 제1 이음영역을 가지고 타측은 상기 발포수지부가 상기 수지필름부보다 더 돌출된 형태로 마련되는 제2 이음영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이음단계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복합수지시트의 제1 이음영역의 하면이 상기 방수층에 미리 접착된 또 다른 복합수지시트의 제2 이음영역의 상면에 겹쳐지도록 상기 방수층을 따라 연속적으로 이음 접착하여, 일정한 수직높이를 가지는 베이스층을 형성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공녹지조성용 방근 구조는 복합수지시트의 접착면이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연질의 발포수지로 마련되고 방근층을 구성하는 복수의 복합수지시트의 겹침 이음영역이 상호 대응되는 경사면을 가지거나 삭제된 형태로 마련되어 겹침 이음되는 복수의 복합수지시트로 이루어진 방근층이 일정한 두께를 가지고, 이음 경계 또한 비교적 경질로 마련되는 접착필름을 통해 마감됨에 따라, 토양층으로부터 발생되는 압력을 균등하게 배분할 수 있고, 방근 구조의 바탕면이 되는 콘크리트의 수축 및 팽창이 발생한다 하더라도 방근층의 형상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게 되어, 방근층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한 이음경계의 들뜸 및 접착필름의 박리 발생에 의한 방근 능력 저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공녹지조성용 방근 구조는 방근층을 구성하는 복수의 복합수지시트의 겹침 이음영역이 상호 대응되는 경사면을 가지거나 삭제된 형태로 마련되어 방근층이 일정한 두께를 가지며 형성되고, 이음경계에 접착된 접착필름에 식물 뿌리의 접근을 방지하는 성분이 함유됨에 따라, 인공녹지가 조성된 토양층을 통해 유입된 수분이 이음경계에 고이거나, 이음경계 방향으로 식물의 뿌리가 침투 또는 접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방수층의 손상에 따른 방수 성능 저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합수지시트 및 접착필름으로 구성되는 방근층을 포함하는 인공녹지조성용 방근 구조를 간략하게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접착필름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합수지시트 및 접착필름을 통한 방근층 형성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근 시공 방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인공녹지조성용 방근구조 및 방근시공 방법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공녹지조성용 방근 구조>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합수지시트 및 접착필름으로 구성되는 방근층을 포함하는 인공녹지조성용 방근 구조를 간략하게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공녹지조성용 방근 구조를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에 따른 방근 구조의 상방으로는 인공녹지조성을 위해 식물이 생식하기 위한 토양이 적토된 토양층이 마련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토양층으로 흡수된 수분의 원활한 배수를 위한 저배수층이 토양층과 방근 구조의 사이에 위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방근 구조의 상방에 적토된 토양층 상이에 저배수층이 위치하는 것으로 한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자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근 구조 는, 방수층(100) 및 방근층(200)을 포함할 수 있다.
방수층(100)은 방근 시공 대상면(F)의 상면에 형성된다. 방수층(100)의 형성은 방근 시공 대상면(F)인 콘크리트 슬라브 등의 표면의 이물질 및 돌출물을 제거하여 방근 시공 대상면(F)을 정리하는 면 고르기 과정이 선행된 뒤, 표면에 프라이머를 1차적으로 도포하는 과정이 이루어진다. 이후, 프라이머가 도포된 상면에 액형의 폴리우레탄수지 또는 에폭시수지를 도포 건조시키고, 건조된 폴리우레탄수지의 상면에 접착방수제를 도포하거나, 또는 프라이머가 도포된 상면에 방수시트를 접착하고 상면에 접착제 또는 접착 방수제를 방수시트의 표면에 도포하는 과정에 방근 시공대상면에 방수층(100)이 형성될 수 있게 된다. 이때, 방수층(100)의 하면에는 방근 시공 대상면(F)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층이 위치하며, 콘크리트는 함수율 및 온도 변화에 따라 팽창 또는 수축이 발생할 수 있으며, 방수층(100)은 이러한 콘크리트가 가지는 물적 특성에 따라 탄성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는 수지조성물로 마련된 도료 또는 시트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접착필름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고,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합수지시트 및 접착필름을 통한 방근층 형성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자면, 방근층(200)은 복수의 복합수지시트(210)가 상호 겹쳐진 형태로 방수층(100)의 상면을 따라 이음 접착되어 베이스층을 형성하고, 형성된 베이스층을 구성하는 복수의 복합수지시트(210)의 겹침 이음경계를 따라 접착필름(220)이 접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복합수지시트(210)는 방수층(100)의 상면에 접착되는 발포수지부(212)와 발포수지부(212)보다 얇은 두께를 가지는 수지필름부(214)가 발포수지부(212)의 상면에 적층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발포수지부(212)는 후술할 수지필름부(214)보다 큰 두께를 가지되, 폴리에틸렌(PE, Poly Ethylene),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EVA,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또는 폴리비닐 클로라이드(PVC, Polyvinyl Chloride)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수지화합물 수용액을 35 내지 45의 발포배율을 가지는 폼(Foam) 형상으로 제조한 발포수지로 마련될 수 있다. 수지필름부(214)는 고주파아크 처리를 통해 표면이 개질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필름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30도 내지 35도의 상온에서 하면에 합성수지계 접착체가 도포되고 접착제가 도포된 면이 발포수지부(212)의 상면과 접촉된 상태에서 0.1kgf/cm2 내지 10kgf/cm2의 압력으로 가압되어 발포수지부(212)의 상면에 접착 적층될 수 있다. 이때, 발포수지부(212)가 이루는 두께는 0.5mm 내지 50mm이며, 수지필름부(214)는 0.1mm 내지 0.2mm의 두께를 가지는 박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자면, 접착필름(220)은 식물 뿌리(R)의 접근을 차단하는 금속성 입자(P)가 함유될 수 있으며, 금속 화합물이 표면에 증착된 박형 수지 형태로 마련되는 필름부(222)에 복합수지시트(200)의 겹침 이음경계를 향하는 일면에 아크릴계 접착제가 도포된 형태로 마련되는 접착부(22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필름부(222) 또는 접착부(22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pH 4 미만의 농도를 가지는 침투수와의 중화 반응을 통해 Al3+을 용출시키는 알루미늄 화합물(P)을 함유할 수 있다. 도 2의 (a)는 알루미늄 화합물(P)이 박막 형태로 마련되어 필름부(222)에 증착된 일예를 나타낸 것이며, 이때 알루미늄 화합물 박막(P)은 필름부(222)와 접착부(224)의 사이영역의 필름부(222)의 일면에 증착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필름부(222)의 외측 방향에 증착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도 2의 (b)에서와 같이, 알루미늄 화합물(P)은 분말 형태로 마련되어, 필름부(222′)의 표면에 도포된 형태로 마련되는 접착부(224′)의 아크릴계 접착제에 알루미늄 화합물 분말(P)이 함유된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이렇듯, 필름부(222)에 증착되는 박형 또는 접착부(224′)에 함유되는 분말형태의 알루미늄 화합물(P)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공녹지조성용 방근구조에서 방근층(200)의 상부에 적층된 토사층(L1)에 산성비 등과 같이 pH 농도 4 미만의 침투수가 침투하면, 토사층(L1)의 수분에서 H+가 소거되면서 중화되고, 토사층(L1)의 토양으로부터 교환성 염기가 용탈되어 토양의 산성화가 진행될 때, 알루미늄 화합물(P)은 H+에 의해 용해되어 Al3+가 방출되기 시작하며, Al3+은 지속적으로 토사층(L1)의 수분(H2O)을 OH- 와 H+로 분해시켜, 접착필름(220,220′)에 인접한 영역의 토양을 산성화시킴으로써, 식물의 뿌리(R)의 접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좀 더 상세하게는, pH 4 미만의 농도의 산성비 등에 의해 접착필름(220,220′)에 함유된 알루미늄 화합물(P)로부터 Al3+이 용출되어, 토사층(L1)에 Al3+의 농도가 증가하게 되면 접착필름(220,220′)에 인접한 영역은 산성토양이 되어 식물에게는 독성 성분으로 작용하여 뿌리(R)의 세포분열을 억제하며, Al3+는 뿌리(R)의 생장을 위해 토사층(L1)으로부터 흡수되어야할 칼슘(Ca) 및 인(P)의 흡수 및 흐름을 저해함으로써, 결과적으로 토사층(L1)의 뿌리(R)가 접착필름(220,220′)방향으로 생장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접착필름(220,220′)과 인접한 토사층(L1)에는 식물의 뿌리(R)가 접근하지 못하게 됨으로써, 복수의 복합수지시트(210)의 겹침 영역으로 뿌리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여, 겹침 이음된 복수의 복합수지시트(210)로 이루어진 베이스층에서 뿌리(R)가 침투할 가능성이 있는 겹침영역에 대한 방근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복합수지시트(210)는, 도 3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복합수지시트(210)는 겹침 이음 방향을 기준으로 겹침 이음되는 일측은 수지필름부(214)가 발포수지부(212)보다 더 돌출된 형태로 마련되는 제1 이음영역(A1)을 가지고 타측은 발포수지부(212)가 수지필름부(214)보다 더 돌출된 형태로 마련되는 제2 이음영역(A2)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복합수지시트(210)의 형상은 복수의 복합수지시트(210)가 겹침 이음되어 형성된 방근층(200)이 일정한 높이를 이루게 하기 위함이다.
도 3은 겹칩 이음방향을 기준으로 제1 이음영역(A1)과 제2 이음영역(A2)이 동일한 길이를 가지는 경사면 형상으로 마련되되, 제1 이음영역(A1)을 하방을 향하는 경사면을 가지고 제2 이음영역(A2)은 상방을 향하는 경사면을 가지는 복합수지시트(210)를 통한 방근층(200) 형성과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의 (a)에서와 같이 방수층(100)에 미리 접착된 다른 복합수지시트(210′)의 상방에서 복합수지시트(210)의 제1 영역(A1)이 다른 복합수지시트(210′)와 제2 영역(A2′)과 일치하도록 위치시킨 뒤, 복합수지시트(210)를 각각 방수층(100)에 미리 접착된 다른 복합수지시트(210′)와 다른 복합수지시트(210′)의 제2영역(A2′)과 인접한 방수층(100)의 표면상에 부착시키고, 이후, 또 다른 복합수지시트(210″) 또한 마찬가지로, 제1 영역(A1′)이 복합수지시트(210)의 제2 영역(A2)과 일치되도록 부착 위치시킨 뒤, 이음 부착함으로써 다른 복합수지시트(210′), 복합수지시트(210) 및 또 다른 복합수지시트(210″)가 이루는 높이는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복수의 복합수지시트(210)를 통해 방수층(100)을 따라 상술한 과정을 연속적으로 수행함으로써 복수의 복합수지시트(210)를 통해 전영역에서 각 발포수지부(212) 및 수지필름부(214)의 높이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베이스층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베이스층은 접착필름(220)이 아직 부착되지 않아 이음 경계를 가지는 복수의 복합수지시트로 구성되는 층(Layer)을 의미한다. 이때, 각 복합수지시트(210, 210′, 210″)는 발포수지부(212, 212′, 212″)의 하면과 제1 영역(A1, A1′)의 하방 경사면에 접착물질이 도포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후 도 3의 (b)에서와 같이, 각 복합수지시트(210, 210′, 210″)의 상면 이음 경계를 따라 접착필름(220)을 접착시킴으로써, 방근층(220)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접착필름(220)은 복합수지시트(210)의 수지필름부(214)가 이루는 두께보다 작거나 같은 두께를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겹칩 이음된 복수의 복합수지시트(210)의 이음경계에 접착필름(220)을 부착하여 형성한 방근층(200)은 접착필름(220)의 접착영역에 대해서만 미차가 발생할 뿐, 방근층(200)은 전영역에서 거의 동일한 두께를 가지게 된다.
도 4는 겹칩 이음방향을 기준으로 제1 이음영역(A1)과 제2 이음영역(A2)이 동일한 길이를 가지되, 제1 이음영역(A1)은 발포수지부(212)가, 제2 이음영역(A2)은 수지필름부(214)가 각각 삭제된 형상으로 마련되는 복수의 복합수지시트(210)를 통해 베이스층을 형성하는 단계(a)와 접착필름(220) 부착을 통해 방근층(220)을 형성하는 단계(b)를 도시한 것이며, 복합수지시트(200)의 제1 이음영역(A1) 및 제2 이음영역(A2)의 형상을 달리한 것일 뿐, 상술한 도 3의 방근층(200) 형성방식과 마찬가지로 동일 두께를 가지는 방근층(200)을 형성할 수 있다.
<인공녹지조성용 방근 시공 방법>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근 시공 방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근 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하며, 이미 설명한 부분에 대해서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축약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자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근 시공 방법은 준비단계(S100), 이음단계(S200) 및 부착단계(S300)를 포함할 수 있다.
준비단계(S100)는 방근시공 대상면(F)에 방수층(100)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방수층(100)은 방수시공 대상면(F)인 콘크리트 슬라브의 상면에 방수층을
이음단계(S200)는 도 3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적어도 어느 하나의 복합수지시트(200)의 제1 이음영역(A1)의 하면이 방수층(100)에 미리 접착된 또 다른 복합수지시트(210′)의 제2 이음영역(A2′)의 상면에 겹쳐지도록 방수층(100)을 따라 연속적으로 이음 접착하여, 일정한 수직높이를 가지는 베이스층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부착단계(S300)는 이음단계(S200)에서 형성한 베이스층의 이음경계를 따라 pH 4미만의 농도를 가지는 침투수와의 중화 반응을 통해 Al3+을 용출시켜 식물 뿌리의 접근을 차단하는 알루미늄 화합물(P)이 함유된 접착필름(220)을 부착하여 방근층(200)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인공녹지조성용 방근 구조는 복합수지시트의 접착면이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연질의 발포수지로 마련되고 방근층을 구성하는 복수의 복합수지시트의 겹침 이음영역이 상호 대응되는 경사면을 가지거나 삭제된 형태로 마련되어 겹침 이음되는 복수의 복합수지시트로 이루어진 방근층이 일정한 두께를 가지고, 이음 경계 또한 비교적 경질로 마련되는 접착필름을 통해 마감됨에 따라, 토양층으로부터 발생되는 압력을 균등하게 배분할 수 있고, 방근 구조의 바탕면이 되는 콘크리트의 수축 및 팽창이 발생한다 하더라도 방근층의 형상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게 되어, 방근층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한 이음경계의 들뜸 및 접착필름의 박리 발생에 의한 방근 능력 저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공녹지조성용 방근 구조는 방근층을 구성하는 복수의 복합수지시트의 겹침 이음영역이 상호 대응되게 삭제된 형태로 마련되어 방근층이 일정한 두께를 가지며 형성되고, 이음경계에 접착된 접착필름에 식물 뿌리의 접근을 방지하는 성분이 함유됨에 따라, 인공녹지가 조성된 토양층을 통해 유입된 수분이 이음경계에 고이거나, 이음경계 방향으로 식물의 뿌리가 침투 또는 접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방수층의 손상에 따른 방수 성능 저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방수층
200: 방근층
210, 210′, 210″: 복합수지시트
212, 212′,212″: 발포수지부
214, 214′,214″: 수지필름부
220, 220′: 접착필름
222, 222′: 필름부
224, 224′: 접착부
A1, A1′: 제1 이음영역
A2, A2′,A2″: 제2 이음영역
P: 알루미늄 화합물 박막, 알루미늄 화합물 분말
L1: 토양층
L2: 저배수층
R: 식물 뿌리
F: 방근 시공 대상면

Claims (9)

  1. 방근 시공 대상면에 형성된 방수층; 및
    복수의 복합수지시트가 상호 겹쳐진 형태로 이음 접착되어 상기 방수층의 상면을 따라 형성된 방근층;을 포함하되,
    상기 방근층은 일면에 식물 뿌리의 접근을 차단하는 금속성 입자가 함유된 접착필름이 복수의 복합수지시트의 겹침 이음경계를 따라 접착되고,
    상기 복합수지시트는 상기 방수층의 상면에 부착되는 발포수지부와 상기 발포수지부보다 얇은 두께를 가지는 수지필름부가 상기 발포수지부의 상면에 적층된 형태로 마련되되,
    상기 수지필름부는 고주파아크 처리를 통해 표면이 개질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으로 마련되며, 하면에 합성수지계 접착체가 도포되고 접착제가 도포된 면이 상기 발포수지부의 상면과 접촉된 상태에서 0.1kgf/cm2 내지 10kgf/cm2의 압력으로 가압되어 상기 발포수지부의 상면에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녹지조성용 방근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수지시트는 이웃한 다른 복합수지시트의 상면 방향으로 겹침 이음되는 일단은 겹침 이음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수지필름부가 상기 발포수지부보다 더 돌출된 형태로 마련되고, 이웃한 또 다른 복합수지시트의 하면 방향으로 겹침 이음되는 타단은 상기 발포수지부가 상기 수지필름부보다 더 돌출된 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녹지조성용 방근 구조.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수지부는 상기 수지필름부보다 적어도 10배 이상의 두께를 가지되, 폴리에틸렌(PE),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EVA) 또는 폴리비닐 클로라이드(PVC)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수지화합물 수용액을 35 내지 45의 발포배율을 가지는 폼(Foam) 형상으로 제조한 발포수지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녹지조성용 방근 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필름은 박형 수지 형태로 마련되는 필름부에 상기 복합수지시트의 겹침 이음경계를 향하는 일면에 아크릴계 접착제가 도포된 형태로 마련되는 접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필름부 또는 접착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pH 4 미만의 농도를 가지는 용액과의 중화 반응을 통해 Al3+을 용출시키는 알루미늄 화합물이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녹지조성용 방근 구조.
  6. 방근 시공 대상면에 방수층을 형성하는 준비단계;
    적어도 어느 하나의 복합수지시트의 일측 하면이 상기 방수층에 미리 접착된 또 다른 복합수지시트의 타측 상면에 겹쳐지도록 상기 방수층을 따라 연속적으로 이음 접착하여 베이스층을 형성하는 이음단계; 및
    pH 4 미만의 농도를 가지는 용액과의 중화 반응을 통해 Al3+을 용출시켜 식물 뿌리의 접근을 차단하는 알루미늄 화합물이 함유된 접착필름을 상기 베이스층의 이음경계를 따라 부착하여 방근층을 형성하는 부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녹지조성용 방근 시공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수지시트는 상기 방수층의 상면에 부착되는 발포수지부와 상기 발포수지부보다 얇은 두께를 가지는 수지필름부가 상기 발포수지부의 상면에 적층된 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녹지조성용 방근 시공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수지시트는 겹침 이음 방향을 기준으로 겹침 이음되는 일측은 상기 수지필름부가 상기 발포수지부보다 더 돌출된 형태로 마련되는 제1 이음영역을 가지고 타측은 상기 발포수지부가 상기 수지필름부보다 더 돌출된 형태로 마련되는 제2 이음영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녹지조성용 방근 시공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단계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복합수지시트의 제1 이음영역의 하면이 상기 방수층에 미리 접착된 다른 복합수지시트의 제2 이음영역의 상면에 겹쳐지도록 상기 방수층을 따라 연속적으로 이음 접착하여, 일정한 수직높이를 가지는 베이스층을 형성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녹지조성용 방근 시공 방법.
KR1020210070220A 2021-05-31 2021-05-31 인공녹지조성용 방근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방근 시공 방법 KR1023461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0220A KR102346151B1 (ko) 2021-05-31 2021-05-31 인공녹지조성용 방근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방근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0220A KR102346151B1 (ko) 2021-05-31 2021-05-31 인공녹지조성용 방근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방근 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6151B1 true KR102346151B1 (ko) 2022-01-03

Family

ID=79348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0220A KR102346151B1 (ko) 2021-05-31 2021-05-31 인공녹지조성용 방근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방근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615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6300A (ja) * 1992-07-06 1994-02-01 Fujimori Kogyo Kk 断熱防水施工用防水シート及び断熱防水施工方法
JP2003082825A (ja) * 2002-04-30 2003-03-19 Genichiro Nakamura 建築物の屋根構造体
KR20100131268A (ko) * 2009-06-05 2010-12-15 이대우 방근 시공용 실링제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방근 시공 방법
KR102258896B1 (ko) * 2020-10-26 2021-06-01 안희섭 마일라 복합시트를 적용한 비노출 방수방근 공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6300A (ja) * 1992-07-06 1994-02-01 Fujimori Kogyo Kk 断熱防水施工用防水シート及び断熱防水施工方法
JP2003082825A (ja) * 2002-04-30 2003-03-19 Genichiro Nakamura 建築物の屋根構造体
KR20100131268A (ko) * 2009-06-05 2010-12-15 이대우 방근 시공용 실링제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방근 시공 방법
KR102258896B1 (ko) * 2020-10-26 2021-06-01 안희섭 마일라 복합시트를 적용한 비노출 방수방근 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71184A (en) Insulated, water impermeable roofing system
US6453628B2 (en) Architectural waterproofing membrane and termite barrier
US20090133339A1 (en) Roof System
US8225546B2 (en) Plant cultivation structure, root-preventing structure and root-preventing sheet used in them
US4016323A (en) Method and construction of roof system
US11401724B2 (en) Below grade fluid containment
JP5882586B2 (ja) 床面の防水方法
US7793479B2 (en) Roof structure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7658052B2 (en) Roof structure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KR102346151B1 (ko) 인공녹지조성용 방근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방근 시공 방법
KR101812175B1 (ko) 방수 및 방근 복합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 및 방근 공법
CN110735499A (zh) 一种女儿墙防水结构及其施工方法
CN108360760B (zh) 一种屋顶绿化施工工艺方法
RU2006112352A (ru) Способ придания влагонепроницаемости, способ придания водонепроницаемости, способ уменьшения проникновения по меньшей мере одного из воды, радона, плесени, грибков, солей и пестицидов в строительную конструкцию и продукт с расположенной ниже поверхности земли поверхностью, имеющей присоединенную к ней термопластичную полиуретановую (тпу) мембрану
CN208379645U (zh) 抗浮锚杆的防水系统
US20040229020A1 (en) Corrosion resistant tile and protective tiling system
KR102214921B1 (ko) 방근 성능을 가진 폴리우레탄씰 조성물
US20140242361A1 (en) Roof-greening sheet
KR102295908B1 (ko) 수팽창성 아크릴레이트 복합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방근공법
KR101010566B1 (ko) 방수 기능을 갖는 방근 시트층 및 방근 시트층 시공 방법
KR101466644B1 (ko) 건축물의 옥상바닥 시공방법
JP3007041B2 (ja) 屋上緑化用仕切構造及びその改修方法
CN206903072U (zh) 一种种植屋面的构造结构
KR102487035B1 (ko) 수밀성 프라이머와 합성고분자 시트를 이용한 식재 뿌리 대응 방수시스템
KR102196511B1 (ko) 방근 성능을 가진 폴리우레탄씰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