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2734A - 반사체의 교체가 용이한 도로표지병 - Google Patents

반사체의 교체가 용이한 도로표지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2734A
KR20050072734A KR1020050053516A KR20050053516A KR20050072734A KR 20050072734 A KR20050072734 A KR 20050072734A KR 1020050053516 A KR1020050053516 A KR 1020050053516A KR 20050053516 A KR20050053516 A KR 20050053516A KR 20050072734 A KR20050072734 A KR 200500727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lector
fitting means
fitting
fixing
road sig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3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36862B1 (ko
Inventor
김영동
Original Assignee
제일종합안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종합안전(주) filed Critical 제일종합안전(주)
Priority to KR10200500535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6862B1/ko
Publication of KR200500727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27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6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68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53Low discrete bodies, e.g. marking blocks, studs or flexible vehicle-strik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사체의 교체가 용이한 도로표지병에 관한 것으로, 몸체부에 반사체가 부착된 도로표지병에 있어서, 반사체의 뒷판에 돌출된 끼움수단을 형성하고, 이를 고정하는 몸체부에 관통된 관통부를 다수개 형성하며, 이 관통부로 끼움수단을 끼워 고정하거나, 그 끼움수단의 끝에 잠금수단이 조립되어 반사체를 고정한 도로표지병을 구성하여, 반사체의 교환이 용이하고, 교체 시간을 단축하며, 시인성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을 대략 설명하면, 이는 내부가 비어 하부가 트인 육면체의 몸체부(10)가 구성되어, 그 양측면에 일부 면적이 내부로 들어간 고정부(11)를 형성하고, 상기 몸체부(10)의 하부를 판형의 밑판(20)이 닫으며, 이 밑판(20)의 저면에 일정 길이의 너트(40)가 다수개 끼움되어, 몸체부(10) 상면에서 상부볼트(30)가 끼워 잠그고, 조립된 너트(40) 하부에 중앙이 관통된 앵커(50)를 끼운 하부볼트(60)로 잠그며, 상기 고정부(11)에 빛을 반사하는 반사체(70)가 고정되어 도로표지병(100)을 구성하는데, 상기 반사체(70)에는 돌출된 끼움수단(73)을 형성하되, 이는 열에 녹는 합성수지로 구성하는 멜트형(73a), 그 끝에 단턱부(73b′)가 형성된 쐐기형(73b)으로 구성하거나, 또는, 상기 끼움수단(73)을 나사산(73c′)을 형성한 볼트형(73c), 십자 형상으로 트인 트임부(73d′)를 형성한 나사체결형(73d), 핀구멍(73e′)을 형성한 핀형(73e), 잠금홈(73f′)을 형성한 걸림형(73f)으로 구성하고, 이에 대응하는 너트(74c), 나사못(74d), 걸림핀(74e), 잠금캡(74f) 등의 잠금수단(74)이 각각 구비되어, 이를 통해 상기 몸체부(10)에 반사체(70)를 고정한 도로표지병(100)을 구성한다.
이와 같은 도로표지병은 중앙성, 또는, 차선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야간에 시인성을 높이는데, 시간이 지나면서 노후된 반사체를 교환할 시에는, 상기 상부볼트를 풀어 몸체부를 분리하고, 상기 몸체부 및 반사체의 형상에 따른 탈거 방법으로 반사체를 분리해내어, 새 반사체로 교환할 수 있으며, 다시 몸체부를 덮고 상부볼트가 조립되어 설치되므로, 반사체의 교환 시간을 단축하고, 도로 유지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다시 높아진 시인성으로 교통사고를 미리 방지하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반사체의 교체가 용이한 도로표지병 { the rood stud with changing reflector easily }
본 발명은 반사체의 교체가 용이한 도로표지병에 관한 것으로, 몸체부에 반사체가 부착된 도로표지병에 있어서, 반사체의 뒷판에 돌출된 끼움수단을 형성하고, 이를 고정하는 몸체부에 관통된 관통부를 다수개 형성하며, 이 관통부로 끼움수단을 끼워 고정하거나, 그 끼움수단의 끝에 잠금수단이 조립되어 반사체를 고정한 도로표지병을 구성하여, 반사체의 교환이 용이하고, 교체 시간을 단축하며, 시인성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표지병은 일정 형태의 몸체부 측면에 빛을 반사하는 유리구면렌즈, 프리즘형플라스틱과 같은 반사판, 또는 전기로 빛을 발하는 발광판 등이 부착된 것으로, 고속(산업 )도로, 커브길, 갈림길, 버스전용차로 등의 중앙선 및 차선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매입되어, 야간 주행시 시, 시인성을 확보하여 주행자의 안전성을 높여 주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도로표지병은, 상기 반사판 및 발광부가 부착된 몸체부의 하부에 앵커나 볼트 등의 지지부가 고정되어, 설치 지점에 해머드릴 등을 이용해 구멍을 뚫어 에폭시를 도포하고, 이에 상기 지지부를 끼워 지면에 설치되는데, 상기 몸체부는 지지부와 일체 형성되어 몸체부나 반사체의 교환시 모두 들어내야 하므로,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로표지병이 설치된 후 시간이 지나면서 노후화 되고, 도로표지병 위로 차량이 통과하면서 설치된 반사판 및 발광부 등이 훼손되고 부서지며, 또, 상기 반사판 또는 발광판에 먼지 및 오물 등이 부착되어 시인성이 떨어지는데, 이는 외부에서의 반사판 및 발광판의 교환이 용이하지 않으므로, 설치된 도로표지병을 분리해 내어 새 도로표지병으로 교체하면서, 시간과 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고, 작업 시간에 따른 교통 체증을 유발하며, 교체의 어려움으로 시인성이 떨어진 도로표지병의 교체가 빨리 이루어지지 않아, 교통 사고를 예방하는 초기 목적을 달성할 수 없는 문제점이 내포되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내부가 비어 하부가 트인 몸체부의 측면에 끼움부를 형성하고, 이에 다수개의 관통된 관통부를 형성하며, 이 하부를 밑판이 막고, 그 저면 너트가 끼움되어, 몸체부 상면에서 상부볼트를 끼워 고정하고, 너트의 하부로 앵커를 끼운 하부볼트를 고정하며, 일면에 돌출된 끼움수단이 형성된 반사체를 상기 몸체부에 고정한 도로표지병을 구성하여, 이를 차선, 중앙선 등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설치하고, 노후된 반사체의 교환시, 상기 상부볼트의 분해로 몸체부를 분리해 내고, 각 끼움수단에 의해 반사체의 조립과 탈거를 용이하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상기 끼움수단은 열에 녹는 합성수지로 구성하여, 관통부에 끼워 열에 녹여 고정하거나, 또는, 그 끝단을 끝으로 갈수록 좁아 드는 단턱부로 형성하고, 길이 방향을 따라 반으로 나뉘게 형성하여, 고정부의 관통부에 끼워진 끼움수단이 단턱부에 걸려 고정되어, 반사체의 조립이 용이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돌출된 끼움수단에 나사산, 십자 형상으로 트인 트임부, 핀구멍, 잠금홈을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는 잠금수단을 구성하되,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너트, 나사못, 걸림핀, 내부에 끼움턱이 형성된 잠금캡과 같은 잠금수단이 구비되어, 고정부의 관통부에 끼워진 끼움수단에 잠금수단이 조립하여, 반사체의 조립과 교환을 용이하게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반사체의 교체가 용이한 도로표지병에 관한 것으로, 몸체부에 반사체가 부착된 도로표지병에 있어서, 반사체의 뒷판에 돌출된 끼움수단을 형성하고, 이를 고정하는 몸체부에 관통된 관통부를 다수개 형성하며, 이 관통부로 끼움수단을 끼워 고정하거나, 그 끼움수단의 끝에 잠금수단이 조립되어 반사체를 고정한 도로표지병을 구성하여, 반사체의 교환이 용이하고, 교체 시간을 단축하며, 시인성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을 대략 설명하면, 이는 내부가 비어 하부가 트인 육면체의 몸체부(10)가 구성되어, 그 양측면에 일부 면적이 내부로 들어간 고정부(11)를 형성하고, 상기 몸체부(10)의 하부를 판형의 밑판(20)이 닫으며, 이 밑판(20)의 저면에 일정 길이의 너트(40)가 다수개 끼움되어, 몸체부(10) 상면에서 상부볼트(30)가 끼워 잠그고, 조립된 너트(40) 하부에 중앙이 관통된 앵커(50)를 끼운 하부볼트(60)로 잠그며, 상기 고정부(11)에 빛을 반사하는 반사체(70)가 고정되어 도로표지병(100)을 구성하는데, 상기 반사체(70)에는 돌출된 끼움수단(73)을 형성하되, 이는 열에 녹는 합성수지로 구성하는 멜트형(73a), 그 끝에 단턱부(73b′)가 형성된 쐐기형(73b)으로 구성하거나, 또는, 상기 끼움수단(73)을 나사산(73c′)을 형성한 볼트형(73c), 십자 형상으로 트인 트임부(73d′)를 형성한 나사체결형(73d), 핀구멍(73e′)을 형성한 핀형(73e), 잠금홈(73f′)을 형성한 걸림형(73f)으로 구성하고, 이에 대응하는 너트(74c), 나사못(74d), 걸림핀(74e), 잠금캡(74f) 등의 잠금수단(74)이 각각 구비되어, 이를 통해 상기 몸체부(10)에 반사체(70)를 고정한 도로표지병(100)을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로표지병(100)은, 크게 몸체부(10)과 밑판(20), 그리고 이를 조립하고 지지하는 상부볼트(30), 너트(74c), 앵커(50), 하부볼트(60), 또, 상기 몸체부(10)에 고정하는 반사체(70)로 구성되며,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몸체부(10)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가 비고 아래가 트인 용기 형상이되, 사각 형상의 횡단면과 윗부분이 좁은 사다리꼴, 즉, ‘’의 종단면을 형성하며, 그 상면에는 관통된 고정공(11)을 다수개 형성하되, 이 고정공(11)은 카운터 보링(counter boring) 또는 카운터 싱킹(counter sinking) 등의 작업으로 볼트머리자리(11′)를 일정 깊이로 형성하며, 몸체부(10)의 마주보는 두 측면은 일부 면적, 자세하게는 후설할 반사체(70)의 면적으로 내부로 들어간 고정부(12)를 형성하고, 이 고정부(12)에는 일정 위치에 관통된 관통부(12′)를 다수개 형성하며, 상기 몸체부(10)의 하부에는 단턱이 진 단턱부(13)가 형성되어 후설할 밑판(20)이 끼움된다.
다음으로, 밑판(20)은 일정 두께를 가진 사각판으로, 중앙 부분에는 관통된 관통공(21)을 다수개 형성하되, 이는 그 하부에서 후설할 너트(40)의 단면의 너트자리(21′)가 일정 깊이로 형성되어, 하부에서 너트(40)가 끼움되어 걸리도록 하며, 이 밑판(20)은 상기 몸체부(10)의 단턱부(13)에 끼움된다.
한편, 상기 몸체부(10)와 밑판(20)은 알루미늄 합금으로 주물, 다이캐스팅 등의 방법으로 각각 형성하되, 각 내측의 적절한 위치에 일정 높이로 형성된 격자 구조와, 각 고정공(11), 및 관통공(12)의 길이를 연장하는 원통형의 보강부(14)(22)를 일체로 형성하여, 강도를 보강하고, 각 고정공(11), 및 관통공(12)의 길이(깊이)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몸체부(10)의 제작시, 그 상부 부분에 보강판(10′)을 매입하는데, 이 보강판(10′)은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각형의 금속 판재에 상기 고정공(11′)과 대응하는 위치 및 다수개소에 관통된 관통공(10″)을 형성하여, 몸체부(10)의 제작시 그 상면 부분에 매입되어 강도를 보강하며, 이 몸체부(10) 및 보강판(10′)는 상기와 같이 사각 형상에 국한되지 않고, 원형(반구형)으로도 제작할 수 있다.
이외에도, 상부볼트(30), 너트(40), 앵커(50) 및 하부볼트(60)가 구비되어, 상기 몸체부(10)와 밑판(20)을 조립하는데, 먼저 너트(40)는 통상 많이 쓰이는 육각너트를 사용하되, 표준 길이보다 긴 일정 길이를 가진 것으로 사용하고, 이 너트(40)의 양쪽에 끼움되는 상부볼트(30) 및 하부볼트(60)도 어느 정도의 길이를 가진 것을 사용한다.
또한, 앵커(50)는 중앙이 관통된 파이프 형상의 몸통부(51)을 형성하고, 그 외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된 날개부(52)를 몸통부(51) 둘레로 다수개 형성하되, 이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점 좁아들게 형성되어, 도로표지병(100)이 지면에 설치되어 빠지지 않도록 견고히 고정하는데,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통부(51)와 날개부(52)의 길이를 서로 일치한 앵커(50)를 구성하여 지면에 고정하는 부분을 짧게 하거나,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통부(51)를 날개부(52)보다 일정 길이 더 돌출되게 형성하여, 지면에 고정하는 부분을 깊게 한다.
이와 같이 형성한 몸체부(10), 밑판(20), 상부볼트(30), 너트(40), 앵커(50) 및 하부볼트(60)가 조립된 구조를 도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먼저, 몸체부(10)의 하부, 즉 단턱부(13)로 밑판(20)을 조립하고, 밑판(20)의 관통공(21)에 너트(40)를 조립하며, 몸체부(10)의 상부에서 고정공(11)에 상부볼트(30)를 끼워 조립된 너트(40)에 고정하며, 앵커(50)를 끼운 하부볼트(60)를 너트(40)의 하부에 끼워 고정하는데, 상기 몸체부(10)의 고정부(12)에 다음 설명하는 반사체(70)가 안착되어 도로표지병(100)을 구성한다.
상기 언급한 반사체(70)의 구조를 살펴보면, 이는 빛을 받으면 반사하는 반사부(71)와 이에 부착되어, 반사부(71)를 보호하고, 몸체부(10)의 고정부(12)에 안착되는 뒷판(72)과, 이 뒷판(72)과 일체로 돌출·형성하는 끼움수단(73)으로 구성되어, 몸체부(10)의 고정부(12)에 안착하여 고정되는데, 상기 끼움수단(73)의 구조에 따라 다양한 제1실시예 내지 제7실시예에 이르는 다양한 실시예가 있으며, 이를 대략 설명하면, 상기 반사체의 뒷판(72)에 돌출된 다수개의 끼움수단(73)을 일체로 형성하고, 이를 몸체부(10)의 고정부(12)에 형성된 관통부(12′)에 각각 끼워, 반사체(70)를 고정부(12)에 안착시켜 고정하되, 그 끝단이 녹는 멜트형(73a), 단턱부(73b′)가 형성된 쐐기형(73b), 또, 상기 끼움수단(73)에 조립하는 고정수단(74)이 구비된 볼트형(73c), 나사체결형(73d), 핀형(73e), 및 걸림형(73f)이 있으며, 마지막으로, 끼움수단(73)을 뒷판(72)의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형성하고, 이에 대응하는 몸체부(10)에 끼움홈(15)을 형성한 끼움형(73g) 등의 실시예가 있는데,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멜트형(73a), 쐐기형(73b), 볼트형(73c), 나사체결형(73d), 핀형(73e), 및 걸림형(73f)의 끼움수단(73)은 뒷판(72)에 돌출되게 다수개 형성하고, 이와 대응하는 몸체부(10)의 고정부(12)에 다수개의 관통부(12′)를 형성하는데, 첫 번째로, 제1실시예에 따른 멜트형(73a)의 끼움수단(73)을 살펴보면, 이는 끼움수단(73)을 열에 녹고, 식으면 경화하는 합성수지로 형성하여, 도3 내지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통부(12′)를 통과한 끼움수단(73)의 끝단을 열로 녹인뒤 고형화하여 반사체(70)를 고정한다.
그리고 제2실시예에 따른 반사체(70)를 도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이는 쐐기형(73b)의 끼움수단(73)에 관한 것으로, 상기 끼움수단(73)을 일정 길이의 원기둥을 형성하고, 그 끝단을 더 큰 단면의 단턱부(73b)를 형성하되, 이는 끝으로 갈수록 좁아드는 원추형으로 형성하며, 끝 부분의 측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V’자 또는 사각형상으로 트인 트임부(73b″)를 형성하여, 그 끝이 두 부분으로 나뉘어, 이 쐐기형(73b)의 끼움수단(73)이 각 관통부(12′)에 끼움되어, 단턱부(13)가 걸리면서 반사체(70)를 고정부(12)에 안착·고정하는데, 상기 멜트형(73a) 및 쐐기형(73b)은 조립된 반사체(70)의 탈거시, 끼움수단(70)의 녹인 부분 또는 단턱부(73b)를 파손하여 반사체(70)를 분리해 낸다.
다음으로, 볼트형(73c), 나사체결형(73d), 핀형(73e), 및 걸림형(73f)의 끼움수단(72)은, 이에 조립하는 고정수단(74)이 함께 구비되는 것으로, 먼저, 제3실시예의 볼트형(73c)을 첨부된 도6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이 볼트형(73c)의 끼움수단(73)은, 돌출된 끼움수단(73)의 각 외주연에 나사산(73c′)을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는 고정수단(74)으로 내주연에 나사산(74c′)을 형성한 너트(74c)를 구비하여, 관통부(12′)를 통과한 볼트형(73c)의 끼움수단(73)에 너트(74c)를 잠가 반사체(70)를 고정하며, 또, 제4실시예에 따른 나사체결형(73d)을 도7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이 나사체결형(73d)의 끼움수단은, 돌출된 끼움수단(73)의 끝 부분을 십(十)자 형상으로 길이 방향을 따라 트인 트임부(73d′)를 형성하여, 네 부분으로 나뉘고, 이에 대응하는 고정수단(74)으로 나사못(74d)을 구비하여, 관통부(12′)를 통과한 나사체결형(73d)의 끼움수단(74)의 중심에 나사못(74d)을 박아 고정하면, 트임부(73d′)에 의해, 끼움수단(74)이 방사형으로 벌어져 반사체(70)가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한다.
그리고 제5실시예에 따른 핀형(73e)은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끼움수단(73)의 측면에 관통된 핀구멍(73e′)을 하나 또는 다수개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는 고정수단(74)으로, 하나 또는 다수개의 핀(74e′)이 형성되어, 그 단면을 ‘T’자 또는 ‘ㅠ’ 자 등으로 형성한 걸림핀(74e)을 구비하여, 관통부(12′)를 통과한 핀형(73e)의 끼움수단(73)에 걸림핀(74e)을 조립하되, 각 핀구멍(73e′)에 핀(74e′) 부분을 끼워 넣어 반사체(70)를 고정한다.
또한, 제6실시예에 따른 걸림형(73f)의 끼움수단(73)을 도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이는 상기 돌출된 끼움수단(73)의 끝 부분 단면을 원형의 양쪽 일부가 제거된 ‘’의 단면을 가진 끼움부(73f′) 일정 길이를 형성하고, 이 끼움부(73f′) 그 둘레를 일정폭 제거한 걸림홈(73f′)을 형성하되, 이는 제거된 중심을 원형으로 형성하며, 이에 대응하는 고정수단(74)인 잠금캡(74f)의 구조를 살펴보면, 이는 내부가 원통형으로 빈 뚜껑의 내부에, 원의 1/4 의 단면으로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한 스토퍼(74f′)를, 원주 방향으로 일정 거리를 두고 서로 마주보게 형성하여, ‘’의 단면을 형성하되, 도9의 A-A′단면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입구에 각 스토퍼(74f′)의 각 일측으로 돌출된 끼움턱(74f″)을 형성한 잠금캡(74f)을 구성하여, 관통부(12′)를 통과한 끼움수단(73)에 잠금캡(74f)을 끼우고, 잠금캡(74f)을 90도 회전하면, 상기 끼움턱(74f″)이 걸림홈(73f′)에 끼워지고, 90도 이상의 회전은 스토퍼(74f′)가 방지하여 고정한다.
참고로, 상기 제3실시예 내지 제6실시예의 볼트형(73c), 나사체결형(73d), 핀형(73e), 및 걸림형(73f)의 끼움수단(73)은 조립과 분해가 용이한 고정수단(74)이 추가 구성되어, 상기 멜트형(73a), 쐐기형(73b)의 끼움수단(73)보다 반사체(70)의 탈거가 더욱 용이한 특징이 있다.
마지막으로, 제7실시예에 따른 끼움형(73g)의 끼움수단(73)을 도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몸체부(10)의 고정부(12)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 깊이 및 폭으로 파인 끼움홈(15)을 형성하고, 그 끼움홈(15)에 다수개의 관통부(12′)를 형성하며, 이 관통부(12′)를 통과하는 탈거핀(75)을 구비하고, 반사체(70)는 그 뒷판(72)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 높이 및 폭으로 돌출된 끼움턱(73g′)을 일체 형성하여, 이 반사체(70)를 고정부(12)에 고정하되, 상기 끼움홈(15)에 끼움턱(73g′)이 억지 끼움되어 고정하고, 이를 탈거할 시에는, 몸체부(10)의 내부에서 탈거핀(75)을 관통부(12′)에 밀어 넣어 반체부(70)가 빠지도록 하는데, 상기 끼움홈(15)은 몸체부(10)를 다이캐스팅의 방법으로 일체로 제작되어, 치수의 정확도를 높여 끼움턱(73′)이 억지 끼움되어 반사체(70)가 빠지지 않도록 방지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몸체부에 반사체가 고정된 도로표지병은 왕복 2차선, 8차선 도로, 고속(산업)도로 등의 중앙선, 또는, 버스전용차로, 굽은 도로 등의 차선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야간에 시인성을 높이는데, 설치 방법을 살펴보면, 설치 지점(노면)에 드릴을 사용하여 구멍을 뚫은 후, 이물질을 완전히 제거하고 접착제(에폭시, 아스콘)를 지면에 뚫은 구멍과, 상기 너트와 앵커 등에 도포하여, 이를 접착제가 도포된 구멍에 끼워 넣어 설치한다.
또, 상기 도로표지병은 사용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차량이 지나가고, 돌이나 딱딱한 물체가 부딪히면서 반사체의 표면에 스크래치가 발생하며, 먼지 및 오물 등의 부착으로 시인성이 떨어지는데, 이때 반사체를 교환하되, 상기 상부볼트를 풀어 몸체부를 분리하고, 상기 몸체부 및 반사체의 형상에 따른 탈거 방법으로 반사체를 분리해내어, 새 반사체로 교환할 수 있으며, 다시 몸체부를 덮고 상부볼트가 조립되어 설치되므로, 반사체의 교환 시간을 단축하고, 도로 유지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다시 높아진 시인성으로 교통사고를 미리 방지하는 특징이 있다.
한편, 상기 반사체를 설명하면, 먼저 반사부는 통상 많이 쓰이는 프리즘형 플라스틱 재귀형 반사체로, 이에 사용하는 재료로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Methyl methacrylate), 충격 변형 메틸 메티메타크릴레이트, 폴리 카보네이트(폴리탄산에스테르, polycarbonate) 등과 같은 합성수지, 또는, 이 재료와 동등 이상의 광학 성질과 강도를 가진 재료로 성형하며, 색상은 황색, 파란색, 빨간색 등이 있으며, 뒷판, 이에 형성하는 끼움수단 및 고정수단은 ABS 수지(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Resin) 등과 같이 내충격성이 좋은 합성수지를 쓰되, 멜트형의 끼움수단은 열을 받으면 녹고, 식으면 경화하는 합성수지를 사용하여 각각 일체로 성형하며, 상기 반사판과 뒷판은 초음파로 부착하여 습기, 먼지, 배기가스 등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내부가 비어 하부가 트인 몸체부의 측면에 끼움부를 형성하고, 이에 다수개의 관통된 관통부를 형성하며, 이 하부를 밑판이 막고, 그 저면 너트가 끼움되어, 몸체부 상면에서 상부볼트를 끼워 고정하고, 너트의 하부로 앵커를 끼운 하부볼트를 고정하며, 일면에 돌출된 끼움수단이 형성된 반사체를 상기 몸체부에 고정한 도로표지병을 구성하여, 이를 차선, 중앙선 등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설치하고, 노후된 반사체의 교환시, 상기 상부볼트의 분해로 몸체부를 분리해 내고, 각 끼움수단에 의해 반사체의 조립과 탈거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끼움수단은 열에 녹는 합성수지로 구성하여, 관통부에 끼워 열에 녹여 고정하거나, 또는, 그 끝단을 끝으로 갈수록 좁아 드는 단턱부로 형성하고, 길이 방향을 따라 반으로 나뉘게 형성하여, 고정부의 관통부에 끼워진 끼움수단이 단턱부에 걸려 고정되어, 반사체의 조립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돌출된 끼움수단에 나사산, 십자 형상으로 트인 트임부, 핀구멍, 잠금홈을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는 잠금수단을 구성하되,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너트, 나사못, 걸림핀, 내부에 끼움턱이 형성된 잠금캡과 같은 잠금수단이 구비되어, 고정부의 관통부에 끼워진 끼움수단에 잠금수단이 조립하여, 반사체의 조립과 교환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부 조립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체 단면도.
도 4는 본 발병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체 단면도 및 앵커 사시도.
도 5는 본 발병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반사체의 사시도 및 일부 조립 단면도.
도 6은 본 발병의 제3실시예에 따른 반사체의 사시도 및 일부 조립 단면도.
도 7은 본 발병의 제4실시예에 따른 반사체의 사시도 및 일부 조립 단면도.
도 8은 본 발병의 제5실시예에 따른 반사체의 사시도 및 일부 조립 단면도.
도 9는 본 발병의 제6실시예에 따른 반사체의 사시도와 일부 조립 단면도 및 잠금캡의 측단면도.
도 10은 본 발병의 제7실시예에 따른 반사체의 사시도 및 일부 조립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보강판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몸체부 11 : 고정부 12 : 고정공
20 : 밑판 30 : 상부볼트 40 : 너트
50 : 앵커 60 : 하부볼트 70 : 반사체
73 : 끼움수단 74 : 고정수단 100 : 도로표지병

Claims (11)

  1. 몸체부에 반사체가 조립된 도로표지병에 있어서,
    내부가 비어 하부가 트인 용기 형상이되, 그 상부면 내에 금속의 보강판(10′)이 일체로 매입·형성되어, 상면에 관통된 고정공(11)을 다수개 형성하고, 양측면은 일정 면적으로 내부로 들어간 고정부(12)를 형성하며, 그 고정부(12)에 관통된 관통부(12′)를 다수개 형성한 몸체부(10); 판형으로 다수개의 관통된 관통공(21)을 형성한 밑판(20); 파이프 형상의 몸통부(51)와 외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된 날개부(52)를 일체 형성하되, 상기 날개부(52)는 끝으로 갈수록 그 돌출 면적이 좁아지게 형성한 앵커(50); 빛을 반사하는 반사부(71)와 판형의 일면에 돌출된 끼움수단(73)을 형성한 뒷판(72)이 부착된 반사체(60)와 일정 길이를 가지는 상부볼트(30), 너트(40) 및 하부볼트(60)가 구비되어,
    몸체부(10)의 저면에 밑판(20)과 너트(40)가 순차 조립되어, 몸체부(10) 상면에서 상부볼트(30)를 끼워 잠그고, 너트(40) 하부에 앵커(50)를 끼운 하부볼트(60)를 잠그며, 고정부(12)에 반사체(70)를 고정한 도로표지병(100)을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체의 교체가 용이한 도로표지병.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수단(73)은 멜트형(73a)으로 다수개 형성하되, 이는 끼움수단(73)을 열에 녹고, 식으면 굳는 합성수지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체의 교체가 용이한 도로표지병.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수단(73)은 쐐기형(73b)으로 다수개 형성하되, 이는 끼움수단(73)의 끝 부분을 단면이 커진 단턱부(73b)로 형성하되, 이는 끝으로 갈수록 좁아드는 원추형으로 형성하며, 끝 부분의 측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트인 트임부(73b″)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체의 교체가 용이한 도로표지병.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수단(73)은 다수개 돌출·형성하되, 이 끝 부분에 조립하는 고정수단(74)이 구비되어, 상기 몸체부의 관통부에 통과된 끼움수단에 조립되어 반사체의 조립 및 분해를 용이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체의 교체가 용이한 도로표지병.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수단(73)은 볼트형(73c)으로 형성하되, 이는 상기 끼움수단(73)의 끝 부분의 외주연에 나사산(73c′)을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는 고정수단(74)은 내주연에 나사산(73c′)을 형성한 너트(74c)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체의 교체가 용이한 도로표지병.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수단(73)은 나사체결형(73d)으로 형성하되, 이는 상기 끼움수단(73)의 끝 부분에 십자 형상으로 길이 방향을 따라 트인 트임부(73d′)를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는 고정수단(74)으로 나사못(74d)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체의 교체가 용이한 도로표지병.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수단(73)은 핀형(73e)으로 형성하되, 이는 상기 끼움수단(73)의 측면에 관통된 핀구멍(73e′)을 다수개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는 고정수단(74)은 다수개의 핀(74e′)이 형성된 걸림핀(74e)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체의 교체가 용이한 도로표지병.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수단(73)은 걸림형(73f)으로 형성하되, 이는 상기 끼움수단(73)의 끝 부분 단면을 원형의 양쪽 일부가 제거되어 ‘’의 단면을 가진 끼움부(73f′) 일정 길이를 형성하고, 이 끼움부(73f′) 그 둘레를 일정폭 제거한 걸림홈(73f′)을 형성하며, 이에 대응하는 고정수단(74)은, 내부가 원통형으로 빈 뚜껑의 내부에, 원의 1/4 의 단면으로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한 스토퍼(74f′)를, 원주 방향으로 일정 거리를 두고 서로 마주보게 형성하여, ‘’의 단면을 형성하되, 그 입구에 각 스토퍼(74f′)의 각 일측으로 돌출된 끼움턱(74f″)을 형성한 잠금캡(74f)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체의 교체가 용이한 도로표지병.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의 고정부(12)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 깊이 및 폭으로 파인 끼움홈(15)을 형성하고, 그 끼움홈(15)에 다수개의 관통부(12′)를 형성하며, 이 관통부(12′)를 통과하는 탈거핀(75)을 구비하고, 반사체(70)는 그 뒷판(72)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 높이 및 폭으로 돌출된 끼움턱(73g′)이 일체·형성되어, 억지 끼움된 반사체를 탈거핀을 통해 분해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체의 교체가 용이한 도로표지병.
  10. 제 1항 내지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 및 밑판(20)에는 그 내측으로 각각 보강부(14)(22)를 일체로 형성하되, 이는 일정 높이로 형성한 격자 구조와 각 고정공(11′) 및 관통공(21)의 깊이를 연장해 주는 보강대(14)(22)를 각각 형성하고, 고정공(11)의 상부 및 관통공(21)의 저면에 각각 상부볼트(30)의 볼트 머리가 묻히는 볼트머리자리(11′) 및 너트(40)의 단면으로 일정 깊이를 형성하는 너트자리(21′)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체의 교체가 용이한 도로표지병.
  11. 제 1항 내지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50)는, 몸통부(51)에서 날개부(52)의 길이보다 일정 길이로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체의 교체가 용이한 도로표지병.
KR1020050053516A 2005-06-21 2005-06-21 반사체의 교체가 용이한 도로표지병 KR1007368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3516A KR100736862B1 (ko) 2005-06-21 2005-06-21 반사체의 교체가 용이한 도로표지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3516A KR100736862B1 (ko) 2005-06-21 2005-06-21 반사체의 교체가 용이한 도로표지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2734A true KR20050072734A (ko) 2005-07-12
KR100736862B1 KR100736862B1 (ko) 2007-07-10

Family

ID=37262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3516A KR100736862B1 (ko) 2005-06-21 2005-06-21 반사체의 교체가 용이한 도로표지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686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8260B1 (ko) * 2005-11-24 2007-08-14 김동환 도로표지병
KR100787143B1 (ko) * 2007-09-14 2007-12-21 합자회사 신호산업 반사판 삽입식 도로표지병
KR100949672B1 (ko) * 2008-01-29 2010-03-29 박병수 미끄럼방지 기능이 구비된 도로표지병
CN104929061A (zh) * 2015-07-07 2015-09-23 王文展 一种地下管网路面标识
KR102524090B1 (ko) * 2021-11-29 2023-04-21 연안홀딩스 주식회사 축광체가 구비된 도로 차선규제봉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4819B1 (ko) * 2008-07-11 2012-03-26 임종출 반사체가 일체로 형성된 가이드레일 체결용 볼트
KR101101840B1 (ko) * 2008-11-06 2012-01-05 제일종합안전(주) 도로 표지병
KR101002289B1 (ko) 2008-11-07 2010-12-20 조성숙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럭
WO2010143754A1 (ko) * 2009-06-08 2010-12-16 Park Byeong-Su 미끄럼방지 기능이 구비된 도로표지병
KR101205656B1 (ko) 2009-11-18 2012-11-27 하연향 도로표지병
KR101971032B1 (ko) 2019-02-01 2019-04-22 주식회사 삼주이앤텍 도로표지병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2184B1 (ko) * 2000-02-08 2002-09-11 금호엔지니어링 (주) 도로안전표지병 구조체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8260B1 (ko) * 2005-11-24 2007-08-14 김동환 도로표지병
KR100787143B1 (ko) * 2007-09-14 2007-12-21 합자회사 신호산업 반사판 삽입식 도로표지병
KR100949672B1 (ko) * 2008-01-29 2010-03-29 박병수 미끄럼방지 기능이 구비된 도로표지병
CN104929061A (zh) * 2015-07-07 2015-09-23 王文展 一种地下管网路面标识
KR102524090B1 (ko) * 2021-11-29 2023-04-21 연안홀딩스 주식회사 축광체가 구비된 도로 차선규제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6862B1 (ko) 2007-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6862B1 (ko) 반사체의 교체가 용이한 도로표지병
KR100914928B1 (ko) 안전 가이드레일
KR102605922B1 (ko) 노면 결합력이 향상된 시선 유도봉 및 이의 시공 방법
JP4611867B2 (ja) 車止め支柱
KR100475463B1 (ko) 도로 표지병
KR101101840B1 (ko) 도로 표지병
KR200345530Y1 (ko) 차선규제봉
EP2354313B1 (en) Fixing system for posts for vertical traffic sign elements and the like
KR102214487B1 (ko) 시선 유도봉 및 그 시공방법
KR20020042317A (ko) 도로교통 안전 경계석 시공방법 및 그 구조
JP3914376B2 (ja) 道路鋲
KR200304306Y1 (ko) 도로표지병
KR200223964Y1 (ko) 도로 표지병
JP5210255B2 (ja) 柱状体用の固定具及び柱状体用の固定具を埋設するための埋設孔の形成方法
KR200419650Y1 (ko) 융착식 도료를 이용한 도로 표지병
KR200223974Y1 (ko) 도로 표지병
JP3594783B2 (ja) 道路鋲
KR200271654Y1 (ko) 안전표시판을 형성한 고가도로, 고속도로, 교랑가드레일의 난간지주
KR200347873Y1 (ko) 도로 표지병
KR100372977B1 (ko) 조립식 가드레일
KR200398245Y1 (ko) 도로 표지병
KR200184715Y1 (ko) 차선유도 표시기
KR100413179B1 (ko) 도로표지병
KR200216852Y1 (ko) 도로 중앙 분리대
KR200327757Y1 (ko) 도로 표지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