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2635A - 자동차의 후방감시 비디오 카메라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후방감시 비디오 카메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2635A
KR20050072635A KR1020040000997A KR20040000997A KR20050072635A KR 20050072635 A KR20050072635 A KR 20050072635A KR 1020040000997 A KR1020040000997 A KR 1020040000997A KR 20040000997 A KR20040000997 A KR 20040000997A KR 20050072635 A KR20050072635 A KR 200500726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camera
vehicle
video
monitor
video camer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0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73973B1 (ko
Inventor
이세창
Original Assignee
이세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세창 filed Critical 이세창
Priority to KR10200400009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3973B1/ko
Publication of KR200500726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26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39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39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D06F57/08Folding stand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D06F57/02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mounted on pillars, e.g. rotatably
    • D06F57/04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mounted on pillars, e.g. rotatably and having radial arms, e.g. collapsibl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D06F57/06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comprising vertical members connected by horizontal b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6Chambers, containers, or receptacles
    • F26B25/14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 F26B25/18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mainly open, e.g. dish, tray, pan, rack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후방감시 비디오 카메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의 후면 좌우와 후방의 가시거리 이내의 자동차의 접근이나 후방의 물체의 이동을 쉽게 확인 하거나 이를 주시하고, 주행시 안전한 운전을 할 수 있도록 자동차의 좌우측 싸이드 도어체의 상단에 비디오 카메라를 설치하고 이에 모니터를 연결하여 운전대 앞에 설치하여, 후방의 유리윗부분의 상단부분(상)에, 또한 본넷 끝부분(중), 혹은 하단 범퍼 윗부분(하) 등에 각각 비디오 카메라를 설치하여 이를 모두 운전대 앞의 모니터에 연결하여 차량의 진행속도에 따라서 후방 비디오 카메라를 상, 중, 하로 구분하여 콘트롤러를 통해 조작장치로 조작하여 모니터에 서 그 영상을 볼 수 있게 하여 안전한 운전을 도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후방감시 비디오 카메라 시스템 {Rear watching video camera system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종래의 백 밀러의 후방 시야 확보에서 문제가 되는 시야의 사각지대를 없애고 전진이나 후진 시에 발생되는 시야의 불량으로 인한 각종 차량의 사고를 예방하고 특히 후진시에 근거리의 후방의 상태를 확인하여 어린아이들로 인한 교통사고를 예방하고자 하고 또한 사고 발생시의 각 카메라의 데이터를 녹화기록장치를 통하여 재생 시키므로서 사고에 따른 책임의 소재도 밝힐 수 있는 목적으로 제안 된 것이다.
특히 종래의 싸이드 밀러는 외부로 20-30cm 정도 돌출되어 있어 좁은 골목에서 차가 서로 마주보며 지나칠 경우에 싸이드 밀러가 부딪쳐서 파손되는 사고가 흔하고 특히 최근에는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주정차시에 싸이드 밀러가 회전하여 삐죽이 나온 부분을 접어버리는 형태의 차량이 많이 생산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싸이드 밀러는 주행시에는 유선형의 차체에 대해 튀어나온 형태로 조립 되어 있으므로, 공기 저항을 일으켜서 소음을 발생시킬 뿐만 아니라 최대의 속도저하를 가져오는 요인으로도 판단 되며 따라서 무용한 연료의 소비도 일으키는 것으로 생각 된다. 또한 우천시에는 빗물이 그대로 부딪혀서 결로현상이 발생되고 시계가 불량해져서 안전운전을 크게 위협하는 등 사고의 위험이 컸다.
종래의 자동차는 차량 좌우측 도어에 부착된 싸이드 밀러와 차량 실내의 운전석 위에 있는 빽밀러를 이용하여 후방의 상태를 파악하면서 전진을 하든지 혹은 후진을 했는데 이와 같은 경우에는 시야의 사각 지대인 좌우측 후방의 상태를 확인 할 수가 없어서 잠간의 부주의로 우측으로 진입시 좌측 후방차량과의 추돌하는 사고가 많았고 또한 후진 시에 후방 트렁크 아래를 잘 볼 수가 없으므로 어린아이가 시계에 잡히지 않아 후진으로 인한 인사사고가 많았던 것이 사실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자동차의 후방 시계 부족으로 인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동시에 향후에 그 운전 녹화자료로 인하여 사고발생시의 분쟁의 판단자료로 활용하여 차량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함은 물론 억울한 사고의 책임소재를 분명히 할 수 있고, 또한 상술한 여러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고 따라서 돌출된 부위가 없어짐으로서 접촉사고로 인한 파손의 위험이 줄고 경제적인 손해를 축소 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고 또한 공기 저항등으로 인한 소음발생의 문제도 쉽게 해결 될 수 있다. 또한 우천시 시계불량으로 인한 교통사고를 크게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자동차의 싸이드 비디오 카메라와 후방 비디오 카메라를 연결하여 운전자가 항상 잘 볼 수 있는 계기판 위의 모니터에 연결시켜서, 전진시 또는 후진시에 종래의 완전한 고개돌림이나 몸놀림을 하지 않아도, 이를 파악하여 전진 또는 후진시에 참고하도록 하였다. 본 발명은 싸이드 비디오 카메라와 후방 비디오 카메라를 모니터에 연결하여 후방의 사각지대 없이 전반적으로 한번에 볼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또한 각 비디오 카메라의 개별 조작에 의해 운전자가 운전 중에 특히 의심스러운 부분에 대해서도 특별히 확대 근접 확인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고 또한 사각지대에 대한 문제도 싸이드 비디오 카메라의 각도 변환 조작이나 후방 비디오 카메라의 각도 변환 조작으로 의심부분을 집중 확대하여 봄으로서 안전 운전에 만전을 기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공된 것으로서 상기와 같은 비디오 카메라들을 자동차의 해당 부위에 카메라의 렌즈가 이동 가능하게 장착하여 필요시 운전자의 조작으로 어느 정도까지 카메라의 렌즈가 위치 변동할 수 있도록 특정 부위를 소형모타를 장착시켜서 이동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전자에게 종래와 같은 사각지대를 없앨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좌우측 싸이드 밀러가 필요 없게 되고, 운전자의 조작으로 확대 또는 원거리 근접 시계확보도 가능하여 안전 운전에 만전을 기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자동차의 후면 좌우와 후방의 가시거리이내의 자동차의 접근이나 후방의 물체의 이동을 쉽게 확인하거나 이를 주시하여 안전한 운전을 할 수 있도록 자동차의 좌우측 싸이드 도어체의 중단에 비디오 카메라를 설치하여 이에 모니터를 연결하여 운전대 앞에 설치하고, 후방의 유리윗부분의 상단(상)에 또한 본넷 끝부분(중) 혹은 하단 범퍼 윗 부분(하)등에 비디오 카메라를 설치하여 이를 모두 운전대 앞에 모니터에 연결하여 차량의 진행속도에 따라서 상, 중, 하로 구분하여 모니터에 볼 수 있게 하여 구성 된 것이다.
특히 좌우측 비디오 카메라와 후방 상중하 비디오 카메라는 그 비디오 카메라의 개수나 위치를 특정한 것이 아니고 상술한 위치 이외에서도 사각지대를 없애거나 시계확보에 필요하면 더 많은 개수의 비디오 카메라를 설치하여 안전운전에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후방 감시 비디오 카메라 시스템은 운전시 시야의 사각지대에 가시거리를 확보하고 초보자의 주차시에도 접근에 대한 감각의 부족으로 접촉사고가 일어 나는 경우가 많으나 이 장치를 이용하므로서 초보 운전자의 주차시 문제점등은 쉽게 해결 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자동차의 후면 좌우와 후방의 가시거리이내의 자동차의 접근이나 후방의 물체의 이동을 쉽게 확인하거나 이를 주시하여 안전한 운전을 할 수 있도록 자동차의 좌우측 싸이드 도어의 상단에 비디오 카메라를 설치하여 이에 모니터를 연결하여 운전대 앞에 설치하고, 후방의 유리윗부분의 상단(상)에 또한 본넷 끝부분(중) 혹은 하단 범퍼 윗 부분(하)등에 비디오 카메라를 설치하여 이를 모두 운전대 앞에 모니터에 연결하여 차량의 진행속도에 따라서 상, 중, 하로 구분하여 모니터에 볼 수 있게 하여 구성 된 것이다.
상기 모니터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운전대 앞에 설치하여 설명을 하였으니 모니터 설치위치는 이것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운전석에서 볼 수 있는 위치이면 어떠한 위치라도 상관없는 것이다.
도 1을 보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후방 감시 비디오 카메라 시스템은 운전대의 근접위치에서 운전자가 쉽고 안전하게 보고 조작 할 수 있게 되어 있고 각 조작 스위치에 의한 작동으로 싸이드 비디오 카메라(1,2)와 후방 상중하 비디오 카메라(3,4,5) 가 작동을 하여 필요한 화면을 원하는 각도에서 손 쉽게 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비디오 카메라(1)는 (가,나)의 시계를 볼 수 있고, 우측 비디오 카메라(2)는 (다,라)의 시계를 볼 수 있으며 후방 비디오 카메라(3,4,5)는 (마,바)의 시계를 볼 수 있어 종래와 같은 차량 내부의 빽 밀러를 이용할 때 생기는 시야의 사각 지대가 없어지게 된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체의 시스템을 도시한 브록 다이아 그램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장치(11) 에서 운전자가 조작장치(11)에 의해 입력하는 입력신호에 따라 콘트롤러(7)는 각 비디오 카메라(1-5)의 기능과 작동을 지시하게 되고 그 결과 모니터(7,8,9)에는 상기 카메라의 화면이 운전자의 지시대로 표시하게 되고 이에 따라 운전자는 종래와 같은 불편한 동작이나 움직임이 없이도 후방의 여러가지 상태를 잘 파악하여 불의의 사고에 대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녹화장치(6)에는 각 비디오 카메라에서 입력된 영상자료를 기록해놓고 있으며 상기 녹화된 영상자료는 교통사고시 후일에 사고의 원인을 밝히는 자료로 쓰이거나 혹은 판단자료로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종래와 같은 돌출된 싸이드 밀러를 없애므로서 소음을 방지하고 속도 저하를 막을 수 있고 충돌의 위험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운전 계기판에 설치된 모니터로써 계기판 상단에 좌측모니터(8), 우측모니터(10)가 설치되고 중앙에는 후방모니터(9)로서 상중하 비디오 카메라의 영상이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편리하게 나타나도록 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좌측 싸이드 비디오 카메라(1)가 종래의 좌측 싸이드 밀러의 자리에 있는 것으로서 내장된 상태(가)에서 운전자가 자동차에 시동을 걸면 자동으로 밖으로 나와서 도 4의 구성과 같이 내장 스프링의 탄발력이나 모타의 구동으로 비디오 카메라가 나오게 되고 후진시에는 이 비디오 카메라가 약간 후방아래를 비추도록 하여 후진시 뒷바퀴의 주변 상태를 확인하면서 운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카메라의 좌우 상하 이동을 설명하는 사시도로서 비디오 카메라(21)는 작동간(22)에 고정되고, 작동간(22)에는 수직 수평으로 작동 톱니대(23B,24B) 가 설치되며 지지대(25)로 지지되어 작동 소형모타(23,24)의 작동으로 그에 따라 회전하는 연결톱니(23A,24A)의 작동으로 작동 톱니대(23B,24B)가 작동되어 비디오 카메라(21)가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상하좌우로 움직여서 비디오 카메라의 시계를 필요에 따라 넓혀주게 된다. 이것은 상당히 작은 범위의 움직임이고, 전부 운전자의 미세한 작동으로 제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카메라의 작동 방법은 상기 설명에 한하지 않고 리모콘에 의한 방법이라든지 얼마든지 다른 방법의 작동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일반 백밀러 자동차와는 다르게 좌우측의 싸이드 비디오 카메라와 후방 비디오 카메라를 이용하여 종래의 운전시 사고의 원인이 되었던 시야의 사각지대를 없애므로서 교통안전에 크게 기여하게 되었고, 특히 후진시에 어린이와 같은 작은 움직임이 트렁크로 인하여 포착될 수 없었음에도 불구 하고 본 발명에 따른 여러가지 비디오 카메라의 작동으로 손쉽게 포착되어 안전 운전에 크게 도움이 되며, 또한 초보 운전자들로 하여금 좌우측 자동차의 접근에 따른 주차시의 문제점을 비디오 카메라로 쉽게 파악하게 하므로서 주차에도 크게 도움이 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후방 감시 비디오 카메라 시스템을 적용한 자동차는 차량의 대소에 관계없이 시야의 사각지대의 문제점이나 차량 높이에 따른 작은키의 아이들이나 노약자들의 접근도 쉽게 포착하여 사고를 미연에 방지 할 수 있는 커다란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후방 감시카메라 시스템을 적용한 자동차는 대용량의 소형기록 녹화장치를 장착하므로서 차량 추돌사고시에 그 장면을 위치 별로 녹화하여 책임의 소재를 보다 쉽게 파악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고 방지장치로서도 충분히 역할을 하고 있다고 본다.
또한 종래의 돌출된 싸이드 밀러를 없애므로서 부품값에 따른 경제적 절감효과 뿐만 아니라 사고의 위험도 줄고, 소음감소의 효과와 차폭축소의 효과 등 여러가지 경제적 효과가 있다고 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에서 비디오 카메라의 위치와 그 시야의 각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내부에서 운전대의 앞의 계기판 위에 설치한 후반 감시 비디오 카메라의 모니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전방 도어체의 중단에 설치한 싸이드 비디오 카메라가 주행시 운전자의 조작으로 돌출하여 나타나는 상태를 표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돌출하는 싸이드 비디오 카메라의 함몰과 돌출을 표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내부에서 싸이드 카메라와 후방의 상중하 카메라와 모니터와의 연결구성을 표시하는 브록 다이아 그램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있어서 자동차에 내장된 비디오 카메라의 상하좌우 이동 구조를 표시한 구조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좌측 싸이드 비디오 카메라 2. 우측 싸이드 비디오 카메라
3. 후방 상 비디오 카메라 4. 후방 중 비디오 카메라
5. 후방 하 비디오 카메라 6. 녹화장치
7. 콘트롤러 8. 좌측모니터
9. 후방모니터 10. 우측모니터
11. 조작장치 21. 비디오 카메라
22. 작동간 23,24. 작동모타
23A, 24A 작동톱니 23B, 24B. 작동톱니대
25. 지지대

Claims (7)

  1. 좌우측 차량주행을 감시할 수 있는 좌우측 싸이드 비디오 카메라(1, 2)와, 후방물체의 이동을 감시할 수 있는 후방비디오카메라(3, 4, 5)와, 상기 카메라에 입력되는 영상을 차량 내부에 장착되어 표시되는 모니터(8, 9, 10)를 포함하고, 이를 조작 감시하는 콘트롤부와, 상기 영상을 녹화하는 녹화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후방 감시 비디오 카메라.
  2. 자동차의 좌우측 싸이드 도어체의 중단에 비디오 카메라(1,2)를 설치하고 이에 모니터(8,10)를 연결하여 운전대 앞에 설치하고, 후방의 유리윗부분의 상단부분(상)(3)에, 또한 본넷 끝부분(중) (4)에, 혹은 하단 범퍼 윗 부분(하)(5) 등에 비디오 카메라를 설치하고, 차량의 진행속도에 따라서 좌우측 싸이드 비디오카메라(1,2)와 상기 후방 비디오 카메라(3,4,5)를 상, 중, 하로 구분하여 연결하고, 이를 모두 차량의 내부에 장착되는 모니터(8,9,10)에 연결하여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콘트롤러(7)에 신호를 보내서 좌우측 싸이드 비디오 카메라(1,2)의 영상을 모니터(8,10)를 볼 수 있게 하고, 또한 후방 상중하 비디오 카메라(3,4,5)를 전진 또는 후진시 자동차의 필요에 따라 운전자의 조작으로 중간모니터(9)로 후방 상,중,하 비디오 카메라(3,4,5)의 영상을 보면서 운전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후방 감시 비디오 카메라 시스템.
  3. 상기 제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카메라들을 자동차의 해당부위 내부에 내장시키고, 받침대(22)로 좌우 상하로 고정시키고, 소형모타(23,24) 등의 회전에 의해 연결톱니의 작동으로 상하좌우로 위치를 바꾸어 모니터에서 후방의 넓은 범위의 영상 신호를 받아 시야를 확보 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후방 감시 카메라 시스템.
  4. 상기 제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비디오 카메라(3,4,5)의 영상이 상 중 하의 위치에 따라 상비디오 카메라(3)는 원거리 시계를 확보하고 중 비디오 카메라(4)는 점차 근거리 시야를 확보하며 하 비디오 카메라(5)는 근접거리의 시야를 확보하여 전진 및 후진시에 후방의 움직임을 빨리 판단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후방 감시 비디오 카메라 시스템.
  5. 상기 제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8,9,10)를 운전석 앞의 일측에 배치하여 운전자가 영상정보를 운전중에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후방 감시 비디오 카메라 시스템.
  6. 상기 제 2항에 있어서,
    주행시 각 비디오 카메라의 영상을 녹화하여 향후에 별도의 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녹화장치를 구비한 구성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후방 감시 비디오 카메라 시스템.
  7. 상기 제1항에 있어서,
    각 후방 감시 비디오 카메라의 위치와 개수는 이에 국한하지 않고 필요에 따라 그 위치나 개수를 가감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후방 감시 비디오 시스템.
KR1020040000997A 2004-01-07 2004-01-07 자동차의 후방감시 비디오 카메라 시스템 KR1005739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0997A KR100573973B1 (ko) 2004-01-07 2004-01-07 자동차의 후방감시 비디오 카메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0997A KR100573973B1 (ko) 2004-01-07 2004-01-07 자동차의 후방감시 비디오 카메라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0370U Division KR200351131Y1 (ko) 2004-01-07 2004-01-07 자동차의 후방감시 비디오 카메라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2635A true KR20050072635A (ko) 2005-07-12
KR100573973B1 KR100573973B1 (ko) 2006-04-28

Family

ID=37261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0997A KR100573973B1 (ko) 2004-01-07 2004-01-07 자동차의 후방감시 비디오 카메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397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3704B1 (ko) * 2007-03-09 2008-05-29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주변감지방법
WO2020059900A1 (ko) * 2018-09-19 2020-03-26 차병옥 사각지역 모니터링이 가능한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6011B1 (ko) 2008-12-27 2010-05-04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지능형 자동차 주변 감시 시스템
KR101287902B1 (ko) * 2013-03-22 2013-07-24 제현승 후방감지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잠금레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3704B1 (ko) * 2007-03-09 2008-05-29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주변감지방법
WO2020059900A1 (ko) * 2018-09-19 2020-03-26 차병옥 사각지역 모니터링이 가능한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73973B1 (ko) 2006-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85294B2 (en) Movable image recording device and vehicle provided with such device
KR102118882B1 (ko) 차량용 홀딩 장치
US20140192196A1 (en) Camera system for large vehicles
KR100613233B1 (ko) 자동차의 백미러 대체용 측방 및 후방 감지 시스템
JPH10138831A (ja) 車両モニタシステム
KR20020010498A (ko) 차량용 감시 장치
JP6886106B2 (ja) 電子ミラーシステム、自動車用ドア及び自動車
CN102639363A (zh) 用于车辆的后视视频摄像机与显示屏幕系统
KR100722496B1 (ko) 자동 카메라가 장착된 차량
JP3205730U (ja) マルチ画面切替式自動車のサイドミラー
KR200351131Y1 (ko) 자동차의 후방감시 비디오 카메라 시스템
KR100573973B1 (ko) 자동차의 후방감시 비디오 카메라 시스템
JPH11245729A (ja) 車両用後方確認装置
CN202650096U (zh) 行车记录仪及安装此行车记录仪的车辆
CN205210982U (zh) 行车记录仪
CN115366809B (zh) 智慧公交车辆电子后视镜用驾驶辅助警示系统及其方法
KR102250682B1 (ko) 자동차용 가변형 사이드미러
JP3573187B2 (ja) 車両用周辺視認装置
CN203974672U (zh) 行车辅助装置
CN211223285U (zh) 一种监控装置和汽车
JP2008155786A5 (ko)
JPH1159271A (ja) 自動車用死角安全確認装置
KR200206606Y1 (ko) 차량 전, 후방 관측장치
KR200439329Y1 (ko) 차량용 다축 백미러 구조
KR200353881Y1 (ko) 자동차 감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8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