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1633A - 신속 끼워 맞춤식 차량 휘일용 미끄럼 방지 시스템 및휘일에 고정하기 위한 관련 장치 - Google Patents

신속 끼워 맞춤식 차량 휘일용 미끄럼 방지 시스템 및휘일에 고정하기 위한 관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1633A
KR20050071633A KR1020057007342A KR20057007342A KR20050071633A KR 20050071633 A KR20050071633 A KR 20050071633A KR 1020057007342 A KR1020057007342 A KR 1020057007342A KR 20057007342 A KR20057007342 A KR 20057007342A KR 20050071633 A KR20050071633 A KR 200500716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ing
clamping element
wheel
chain
clamping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7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06317B1 (ko
Inventor
코라도 마기
장-삐에르 부비에르
Original Assignee
마기 카텐 에스.피.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기 카텐 에스.피.에이. filed Critical 마기 카텐 에스.피.에이.
Publication of KR200500716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16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63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63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7/00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 B60C27/02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extending over restricted arcuate part of tread
    • B60C27/04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extending over restricted arcuate part of tread the ground-engaging part being rig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7/00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 B60C27/06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extending over the complete circumference of the tread, e.g. made of chains or cables
    • B60C27/14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extending over the complete circumference of the tread, e.g. made of chains or cables automatically attach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7/00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 B60C27/02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extending over restricted arcuate part of tr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7/00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 B60C27/06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extending over the complete circumference of the tread, e.g. made of chains or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7/00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 B60C27/06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extending over the complete circumference of the tread, e.g. made of chains or cables
    • B60C27/062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extending over the complete circumference of the tread, e.g. made of chains or cables provided with fastening means
    • B60C27/063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extending over the complete circumference of the tread, e.g. made of chains or cables provided with fastening means acting on the wheel, e.g. on the rim or wheel bo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휘일용 미끄럼 방지 시스템에 대해 서술되고, 상기 시스템은 휘일의 트레드와 접촉할 수 있고, 중심 연결 본체에 연결되는 아암의 자유 단부에 배열되는 파지 요소와, 상기 휘일의 림에 체결되는 데 적합한 클램핑 요소(15)와, 상기 아암(21, 22)과 상기 클램핑 요소(15) 사이에 연결을 달성할 수 있는 구속 조립체를 포함하고, 아암(21, 22)은 가요성 박층 스트립의 형태로 되어 있고, 상기 구속 조립체는 신장될 수는 없지만 길이 방향으로 조절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선형 견인 부재(30)를 포함하며, 시스템을 비용면에서 효율적이게 하고, 이를 휘일 상에서 보다 편리하게 장착하게 하는 장점을 갖는 클램핑 요소(15)가 또한 서술된다.

Description

신속 끼워 맞춤식 차량 휘일용 미끄럼 방지 시스템 및 휘일에 고정하기 위한 관련 장치{QUICK-FIT ANTI-SKID SYSTEM FOR VEHICLE WHEELS AND ASSOCIATED DEVICE FOR FIXING TO THE WHEEL}
본 발명은 차량 휘일용 미끄럼 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의 휘일 상에 배치되고 차량의 이동 동안 첫번째 회전시 자동으로 타이어에 위치 설정되는 반경방향 지지 요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휘일 림의 볼트 상으로 클램핑되기 쉬운, 이러한 시스템을 고정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몇몇 공지된 미끄럼 방지 시스템이 유럽 특허 제496,702호 및 스위스 특허 제689,206호에 설명되어 있는데, 이들은 본 명세서에 참고 문헌으로서 합체되어 있다.
이들 공지된 장치에서, 스노우 체인의 네 개의 반경방향 지지 요소는 중심 연결 본체를 향해 수렴한다. 본체는 이어서 휘일 림의 볼트에 대한 구속을 보장하는 시스템에 다양한 방식으로 탄성 체결된다.
이들 시스템에서는 또한, 구속 시스템이 관통 끼워맞춰지는 부쉬형 본체의 형태로 된 림의 볼트에 대한 고정 기구가 제공된다.
부쉬는 변형 가능한 내부 본체에 라이너를 스크류 결합시킴으로써 볼트에 클램핑될 수 있는 조오형 배열체로 이루어진다. 휘일에 전체 미끄럼 방지 시스템을 장착하기 전에, 부쉬는 예비 작동으로 림의 볼트에 고정된다. 그러나, 이러한 작동은 공구의 도움으로 수행되어야만 하고, 다소 어렵고, 통상 동절기 시작시 수행되기 때문에, 부쉬가 장시간 차량 림 상에 방치되는 단점이 예상될 수 있다. 이러한 작동 후에, 필요시(예를 들면, 도로 상에 눈이 있는 경우), 운전자는 미끄러운 노면에 대한 적절한 파지력을 타이어에 제공하는 미끄럼 방지 시스템의 나머지 부분을 부쉬에 부착하여야만 한다.
상술된 어려움 뿐만 아니라, 부쉬의 배열체와 연관된 추가의 문제점이 존재한다. 볼트 상으로의 조임은, 스크류/암 나사형 헬리컬 커플링을 통해 얻어지는 부쉬 내부 요소의 부분 변형에 의해 수행되기 때문에, 치수가 다양한 매우 여러 종류의 볼트에 대한 우수한 조임 작용을 달성할 수 없다. 따라서, 각각의 볼트 크기에 대한 특정 부쉬[또한 기술 용어로 "픽스(fix)"라 불림]를 꾀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는 구매시 판매원이 정확한 장비를 제공할 수 있도록, 사용자가 그의 차량의 볼트 크기를 알아서, 이러한 정보를 판매원에게 공급해 주어야만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상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러한 절차는 불편하고, (다른 물건들 사이에서 많은 물품을 재고로 유지하고 있어야만 하는) 판매원 또는 구매자 양자 모두에 있어 실수의 원인이 될 수도 있다.
또한, 몇몇 사용자들은 미리 볼트에 체결된 부쉬 상으로 실제의 미끄럼 방지 시스템을 장착할 때에 어려움에 직면할 수도 있다. 실제로, 한 손으로는 미끄럼 방지 시스템이 휘일의 타이어에 대해 위치 설정되고 가압되는 상태를 유지할 것이 필요하고, 동시에 다른 한 손으로는 커플링 레버 또는 코터 핀이 볼트 상에 미리 장착된 부위와 결합되고 반경방향 지지 요소 뒤에 위치하도록 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들 단점을 극복하고 이미 제안된 장치보다 더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는 미끄럼 방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휘일 볼트로부터 쉽게 체결되고 제거될 수 있으며, 최종 사용자에 의해 림의 특정 볼트에 적용될 수 있는 단일의, 충분히 저가인 키트(kit)로서 사용할 수 있는 고정 부쉬 또는 클램핑 요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임의의 변경 없이 폭넓은 범위의 크기 내의 볼트에 체결될 수 있는 추가의 향상된 고정 부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추가의 특징적인 기술 구성과 장점이 예시적으로 제공되고 첨부 도면에 도시되는 몇몇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확해 질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 설치된 차량 휘일의 부분 측단면도이다.
도2는 화살표 Ⅱ의 방향에서의, 도1에 따른 시스템의 연결 본체의 부분 정면도이다.
도3은 도2에 따른 연결 본체의 다른 실시예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4는 도3의 정면도이다.
도5a, 도5b 및 도5c는 각각, 도2에 따른 연결 본체의 다른 실시예의 선Ⅴ-Ⅴ를 따라 취해진 평면도, 정면도 및 종단면도이다.
도6a 및 도6b는 각각 차량 휘일의 볼트에 전체가 체결된 구속 요소를 상세히 도시하는 평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7의 (a) 및 도7의 (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클램핑 요소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부분 측단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8의 (a), 도8의 (b) 내지 도13의 (a), 도13의 (b)는 각각 클램핑 요소의 추가의 실시예의 도7의 (a) 및 도7의 (b)의 도면과 유사한 도면이다.
상술된 목적은, 첨부되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주요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 방지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 방지 시스템은 시스템에 대한 견인력(pulling force)을 가하기 위해 림과 연결 본체 사이에 배열된 임의의 탄성 요소를 더 이상 갖지 않는다. 이러한 견인력 및/또는 인장력은 적절한 구조로 설계된 아암의 연결 본체에 구속 레버를 결합하는 체인 또는 케이블 등의 신장될 수 없는 선형 견인 부재로 이루어진 조절 가능한 구속 장치에 의해 인장되는 적절한 형상 및 탄성을 갖는 아암을 사용함으로써 대신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중요한 태양에 따르면, 휘일 볼트에 제거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한 클램핑 장치는 고정 및 제거 작동을 보다 쉽게 하는 방식으로 형상화되고 함께 커플링된 외부 본체와, 제거 가능한 내부 본체 및 작동 부재를 갖는다.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내부 본체는 제거될 수 없지만, 다양한 크기의 폭넓은 범위의 볼트에 일반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방식으로 형상화된다.
도1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휘일은 타이어(11)와, 차량의 액슬에 림을 연결시키는 고정 볼트(13)들이 제공되는 림(12)을 포함한다. 이하 보다 상세히 설명될 구속 조립체(14)는 휘일의 볼트(13)들 중 하나에 제거 가능한 방식으로 장착된다.
구속 조립체(14)는 볼트(13)를 클램핑하도록 되어 있는 클램핑 요소(15)를 포함하는데, 클램핑 요소로부터는 커플러 레버 또는 로드를 지지하는 원형 칼라(17)를 관통하는 나사형 섕크(16)가 연장된다. 커플러 로드(18)는 칼라(17) 상에 편심되게 배열되고, 휘일의 중심을 향해 연장되어, 이를 지나 소정의 거리만큼 또한 연장된다. 클램핑 요소(15)는 회전 노브와 같은 작동 부재(19)에 의해 볼트(13)에 체결되고 이로부터 제거되는데, 그 작동은 이하 추가로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로드(18)는 칼라(17)의 시트 내측으로 자유롭게 활주할 수 있지만, 예를 들어 그 단부에 배열된 보유 링(42)으로 인해, 이로부터 완전히 견인될 수는 없다.
또한, 휘일의 중심을 향해 배향된 부분 상에서, 로드(18)는 로드(18) 상에서 길이 방향으로 자유롭게 활주하며 비신장성 인장 부재, 예들 들어 도면에 도시된 체인(30)의 단부가 견고하게 부착되는 브라켓(38) 상에서 이동한다.
바람직하게는, 체인(30)의 이 단부는 합성 재료의 링과 클립(41)의 형태로 도시된 진동 감쇠 수단(40)에 의해 브라켓(38)에 또한 구속된다.
그 다른 자유 단부에서, 체인(30)은 이하에서 보다 잘 알 수 있는 미끄럼 방지 시스템의 힌지 핀(25)에 장착되는 후크(36)에 현수되도록 한 고무편(35, 도1)을 갖는다.
고무편(35)은 차량 휘일 상에서의 시스템의 인장을 수행하기 위해 체인(30)과 상호작용하는 기능을 갖지는 않고, 단순히 휘일 회전 시에 부품을 이동시키고 타격하는 것이 자유롭지 않도록 이를 휘일에 유지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미끄럼 방지 시스템(20)은 또한 시스템이 휘일 상에 작동식으로 장착될 경우 서로에 대해 대략 90°를 이루어 배열되는 두 개의 아암(21, 22, 도2)을 포함한다. 실제 미끄럼 방지 부품, 예들 들어 스파이크(24)가 제공되고 체인 섹션(미도시)에 연결되는 네 개의 판(23)은 아암(21, 22)의 각 단부에 체결된다.
미끄럼 방지 시스템의 이 부분은, 그 부품이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들에게는 공지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스위스 특허 제689,206호에 설명되어 있기 때문에, 본 명세서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아암(21, 22)은 바람직하게는 탄성, 금속, 박층 스트립에 의해 형성되고, 금속 또는 충분한 경질의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될 수도 있는 중심 연결 본체(26) 상에서 그 중심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두 개의 아암(21, 22)은 예들 들어 본체(26)의 원형 레이스 상에 지지되고, 탄성 링과 같은 얇은 클립형 스페이서(28)에 의해 분리된다.
아암은 도1에 명확하게 도시된 특이한 형태를 갖는데, 즉 시스템이 상기 아암의 고유 탄성을 사용하여 인장될 경우 림(12)과 접촉하도록 배열되는 엘보우 부분을 포함한다.
연결 본체(26)는 일반적으로 확개된 형태이고, 그 중심에는 체인(30)이 관통하는 구멍(29)이 제공된다. 확개된 연결 본체(26)는 그 입구에, 서로에 대해 약 90°를 이루게 놓여진 일련의 네 개의 그루브(31, 32, 33, 34, 도2)를 갖고, 그루브는 인장될 경우 빠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체인(30)의 링크를 엣지를 따라서 수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전체 구조가 설명되었고, 그 작동 원리는 쉽게 이해될 수 있다.
먼저, 구속 조립체(14)는 조임 노브(19)를 적절히 작동시킴으로써 휘일의 볼트에 고정된다. 이러한 작동은 또한 양 손을 사용하여 쉽게 수행될 수도 있다.
다음에, 종래의 방식으로, 미끄럼 방지 시스템의 나머지 부분이 휘일에 이르러, 연관된 파지 요소와 함께 실제의 스노우 체인이 가능한 한 밀접하게 타이어를 감싸도록 만든다. 이러한 작동 동안, 체인(30)은 느슨하게 유지된다. 이 때, 압력은 연결 본체(26)에 인가되어, 이를 림에 보다 밀접하게 이동시키고 아암(21, 22)을 인장하며, 일단 원하는 위치에 도달되면, 체인(30)은 권취되고, 인장되어 다시 아암 중 하나를 따라 절첩되고, 제 위치에 로킹하도록 본체(26)의 그루브(31 내지 34) 중 하나의 내부로 연결 본체를 삽입한다. 휘일의 구름 이동 동안 체인의 나머지 자유부가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무 부분(35)이 제공되는 체인의 단부는 후크(36)에 체결된다.
최종적으로, 차량을 다시 기동시킬 수 있어, 미끄럼 방지 시스템이 인장 하에 있는 아암(21, 22)에 의해 일정하게 발생되는 탄성력으로 인해 타이어 주위에 적절하게 끼움 결합된다.
미끄럼 방지 시스템을 제거할 필요가 있는 경우, 그루브(31)로부터 이를 추출하고 타이어에 밀착하는 체임의 상부 부분 상에 견인력을 가함으로써 체인(30)을 해제하는데 충분하고, 이에 따라 체인의 상부 및 측부 영역을 해방시킨다. 그런 다음, 시스템을 제거하고 이를 다시 그 용기에 배치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휘일의 1/2 회전만큼 전방으로 이동될 필요가 있다.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안된 기술적 해결책은 한편으로는 조립 공정을 보다 간단히 할 수 있어, 각 작동 동안 양 손을 자유롭게 남겨두고, 다른 한편으로는 아암의 탄성만을 충분히 사용함으로써 원하는 보유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개별 탄성 요소의 사용을 피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만족스럽다. 실제로, 이에 의해 이들 탄성 부분의 마모와 파손의 문제가 회피된다. 탄성편(35)은 단부가 차량 휘일의 측면을 타격할 수 없지만, 상기 편이 어떠한 심각한 정도의 인장력도 받지 않도록 간단한 방식으로 체인(30)의 단부의 체결을 허용하여, 결과적으로는 어떠한 문제점도 초래하지 않을 것이라는 것을 당 업계의 숙련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작동 노브(19)의 작동의 용이함으로 인해, 구속 조립체 전체를 어려움 없이 고정 및 제거할 수 있어서, 필요할 경우에만 장착되고 동절기 내내 휘일 림 상에 남겨지지 않을 수도 있다.
도3 및 도4는 다양한 연결 본체(26)를 도시한 것이다. 이전 실시예에서와 같이, 중심 지지체(26)는 체인(30)이 관통하는 구멍(29)을 갖는다. 그러나, 이 실시예에서는, 체인의 링크를 보유하는 그루브(31 내지 34)가 후크(45)에 의해 형성되는 결합 장치에 의해 대체되어, 본체(26)의 핀(46)을 중심으로 피봇하고 작동 레버(47)에 결합된다.
여기서 설명되는 조임 장치의 변형예의 작동 원리는 매우 이해하기 쉽다. 레버(47)는 미끄럼 방지 시스템이 휘일 상에 장착되고 아암(21, 22)이 인장될 때까지, 후크(45)를 체인(30)의 경로로부터 멀리 이동시키도록 낮은 상태로 유지된다. 그런 다음, 후크(45)는 체인(30)의 링크에 삽입되며, 체인은 추가의 느슨해짐을 방지하고 체인을 본체 상에 로킹하도록 후크(45), 체인 링크 및 본체(26)를 함께 로킹하는 데 필요한 작은 양만큼 느슨하게 된다. 따라서, 아암(21, 22)은 인장되고, 시스템이 휘일에 인가된다. 그런 다음, 레버(47)의 간단한 압력은 체인(30)이 분해 중에 해제되도록 한다.
도5a 내지 도5c는 연결 본체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여기서, 확개된 본체(260)는 단일 그루브(340)를 갖고, 그 근방에는 그루브(341)가 또한 제공되는 융기 립(261)이 제공되는 연장부가 연장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체인(30)은 항상 동일한 방향으로 놓여지고 로킹되지만, 그 상당 부분을 따라 하부의 아암(21, 22)으로부터 상승된 상태로 유지된다. 그 결과, 아암을 체인과의 진동 충격에 대해 보호하여 표면 마감 처리의 손상 및 열화를 종결시키도록 아암(21, 22) 중 적어도 하나를 따라 배열되는 충격 흡수 삽입체에 대한 필요성을 회피할 수 있다.
도6a 및 도6b는 본 발명에 따른 클램핑 요소(15)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다.
종 형상 본체(50)는 칼라(17)와 일체로 연장된다. 종 형상 요소(50)의 벽은 그 입구의 구역에 내부 모따기부(51)를 갖는다.
종 형상 요소(50)는 함께 인접할 수 있는 일련의 페탈(petal, 52a)이 제공되는 슬리브(52)를 내부적으로 수용하여, 중간에 볼트(13 또는 14)의 헤드를 클램핑한다. 각각의 페탈(52a)은 종 형상 요소(50)의 내부 모따기면과 상보적으로 정합하는 경사진 외부면을 갖는다. 이러한 설계로 인해, 슬리브(52)와 종 형상 요소(52) 사이의 결합 작용이 증가됨에 따라(즉, 슬리브가 도6a에 도시된 화살표와는 반대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클램핑 요소(15)는 볼트(13)를 클램핑할 수 있다.
슬리브와 종 형상 요소 사이의 이러한 상대적인 변위를 달성하기 위해서, 나사형 타이 로드(tie-rod, 16)가 제공되고, 상기 타이 로드는 슬리브(52)와 적어도 길이 견인 방향으로 일체로 되어 있다. 예들 들어, 타이 로드(16)는 슬리브(52)의 적절한 시트에 결합되는 헤드(16a)를 갖는 나사형 스크류이다. 나사형 타이 로드(16)의 대향 단부에서, 칼라(17)를 지나 작동 노브(19)가 스크류 결합된다.
노브(19)의 스크류 결합은 스크류(16)를 우측으로 당겨서 클램핑 요소(15)가 볼트(13) 상으로 조여지게 한다. 노브(19)는 상대적으로 큰 치수를 갖기 때문에, 볼트(13) 상으로의 시스템의 조임은 매우 효과적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슬리브(52)는 대체 가능하거나 또는 교환 가능한 부품일 수도 있다. 하나의 슬리브와 다른 슬리브 사이에, 타이 로드(16)의 삽입을 위한 구멍은 동일한 상태로 유지되지만, 페탈(52a)의 두께는 변하고, 이러한 방식으로 상업적으로 제조된 차량에 이용 가능한 볼트(13)의 전체 범위에 클램핑 요소를 사용할 수 있도록 일련의, 예를 들면 세 개의 다른 슬리브(52)를 충분히 예상할 수 있다. 슬리브(52)는 매우 간단하고 저비용인 부품이기 때문에, 구매자에게 비용의 실질적인 비용의 증가 없이 동일 패키지에 완전한 시리즈를 제공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폭넓은 범위의 차량과의 동일한 물품의 충분한 호환성을 달성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내부 슬리브(52)와 종 형상 본체(52) 사이의 경사진 정합면의 개방 각도(α) - 이 각도는 제공될 수 있는 모든 상이한 슬리브에 대해 동일함 - 는 작동 노브(19)를 작동해야만 하는 사람 측의 과도한 힘을 필요로 하지 않고, 유효한 조임 작용을 달성할 수 있도록 선택된다. 이러한 각도(α)는 바람직하게는 10°내지 30°의 범위 내에 있다.
클램핑 요소(15)의 몇몇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가 설명될 것이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는 유사한 요소에 부여된다.
도7의 (a) 및 도7의 (b)에 도시된 제1 실시예에서, 클램핑 요소는 파지 조오를 형성하는 일련의 독립 클램핑 블럭(4')이 대항하여 활주하도록 된 모따기부(3')가 내부에 형성된 중심 종 형상 본체(50)를 포함한다.
도7의 (b)에 명확히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 조오는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클램핑 블럭의 두 개의 단부에 제공되는 측방향 구멍(6')에 배열되는 압축 스프링(5')에 의해 함께 연결되는 여섯 개의 독립 클램핑 블럭(4')으로 이루어진다.
클램핑 블럭(4')의 내부 단부는 길이 방향 중심 축을 향해 배향되고 조임 스크류(9')의 헤드(8')의 언더컷부(undercut portion)가 결합되는 스퍼(spur, 7')를 갖는다. 조임 스크류(9')는 그 위에 스크류 결합되고, 종 형상 요소(50)와 구속 로드(18)가 결합되는 칼라(17, 이들 도면에는 단지 개략적으로만 도시됨)에 대항하여 작동하는 작동 노브(19)를 갖는다.
클램핑 블럭과 종 형상 본체(50)의 하부 사이에 스프링(11')이 배열된다.
또한, 본 발명의 특정 기술 구성에 따르면, 도7의 (a)로부터 명확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클랭핑 블럭(4')의 외부 보유 단부는 단차 형상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단차 형상 단부의 측 표면(4a')은 외향으로 감소되는 대칭 중심 축으로부터 반경방향 거리를 갖도록 약간 확개된다.
클램핑 요소는 볼트 주위에 또는 다르게는 큰 치수의 볼트(14) 상으로 조여진다. 실제로, 클램핑 블럭(4')의 단차 단부의 특정 형상으로 인해, 이들에 의해 형성되는 조오는 표준 차량에서 예상될 수 있는 적어도 모든 폭넓은 치수 범위 내의 볼트를 적절하게 보유할 수 있다.
노브(19)의 회전은 스크류(9')의 축방향 변위와 그에 따른 스프링(11')에 대향하는 본체(50)로부터/본체 내로의 클램핑 블럭(4')의 견인 또는 후퇴를 야기한다.
유리하게는, 노브(19)의 반시계 방향 회전은 클램핑 블럭(4')에 의해 형성된 파지부를 "개방"시키는데, 즉, 또는 본체(2')의 외부 부분을 향해 클램핑 블럭(4')를 또한 미는 스프링(11')의 편향(bias)의 결과 (도면에서) 좌측으로 이동하는 스크류의 헤드(8')를 해제시켜서 볼트를 해방시키고, 역으로, 노브(19)의 시계방향 회전은 서로를 향한 클램핑 블럭(4')들의 이동을 야기하고, 그에 따라 볼트에 대한 클램핑 요소(15)의 견고한 조임을 야기한다.
이러한 장치는 매우 간단하고, 이미 상술된 바와 같이 상이한 폭의 볼트를 보유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다양한 부품들이 예를 들어 프레스 가공된 금속으로 제조될 수도 있고, 구멍(6')들이 천공에 의해 얻어질 수도 있다.
도8의 (a) 및 도8의 (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구멍(6')과 압축 스프링(5') 대신에, 개별 클램핑 블럭이 고무 또는 합성 재료(10')로 제조된 브릿지편에 의해 함께 유지된다. 상기 소정의 탄성을 갖는 브릿지편은 가황처리(vulcanization), 아교처리(gluing) 또는 기계적 고정처리에 의해 클램핑 블럭(4')에 결합된다.
도9의 (a) 및 도9의 (b)에 따른 실시예는 필수적으로 상기 두 개의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부품으로 이루어진 클램핑 요소를 갖는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 파지부의 여섯 개의 클램핑 블럭(16')은 그에 인접한 두 개의 클램핑 블럭이 서로로부터 멀리 그리고 서로를 향해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슬릿(18a')이 그 높이 전체를 따라 제공되는 클램핑 블럭의 내부 기부 상에, 공통 환형 본체(18')를 갖는 일편으로서 제조된다. 여섯 개의 클램핑 블럭(16')은 작은 크기로 되어 있어서 특히 제조되는 금속이 적절한 방식으로 선택된다면, 충분한 탄성 연결을 보장하는 환형 본체(18')에 의해 함께 유지된다. 이러한 부품은 경합금 또는 탄성 강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도10의 (a) 및 도10의 (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여섯 개의 클램핑 블럭(4')은 탄성 와셔 또는 탄성 금속으로 제조된 벨레빌 와셔(Belleville washer, 20')에 의해 함께 결합된다. 이러한 스프링 와셔(20')는 클램핑 블럭(4')의 내부 기부 상에 형성된 슬릿(21') 내부에 수용되고, 상술된 클램핑 블럭은 보유 스프링(20')이 예비 압축하에 있는 경우 본체(2) 내부에 유입될 수 있다.
도11의 (a) 및 도11의 (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여섯 개의 클램핑 블럭(4')은 개방 V자 형태이고 내부 기부 상에 각각의 클램핑 블럭에 대한 힌지 축을 형성하는 연결 브릿지를 생성하는 기능을 갖는 얇은 경질의 클립에 의해 함께 유지된다. 원형 팽창 스프링(23')은 클램핑 블럭의 외부 부분에 제공되어, 클램핑 블럭(4')을 본체(50)의 환형면(3')에 대해 밀려진 상태로 유지시킨다.
도12의 (a) 및 도12의 (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클램핑 요소(15)는 종 형상 본체(50)의 입구에 제공되는 피봇형 돌출부(26') 상에 힌지 결합된 여섯 개의 부유 클램핑 블럭(25')을 갖는다. 나사형 섕크(9')는 클램핑 블럭(25')의 경사진 내부면과 협동할 수 있는 절두 원추 형상을 갖는 헤드(28')를 갖는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 클램핑 블럭의 견인/후퇴를 허용하는 경사 커플링이 종 형상 본체와 클램핑 블럭 사이 대신에 헤드(28')와 클램핑 블럭 사이에 제공된다.
클램핑 블럭의 소환(recall)은 클램핑 블럭의 최외각부에 배열되는 팽창 스프링(10')에 의해 수행된다.
도13의 (a) 및 도13의 (b)에 도시된 마지막 실시예에서, 클램핑 요소(15)는 칼라(17)를 관통하는 나사형 볼트(37') 상에 장착되는 보통의 와셔(36') 상에 힌지되거나 또는 배열되는 여섯 개의 독립 클램핑 블럭(35')을 갖는다. 감소된 두께(40')의 모따기 처리된 내부벽을 갖는 종 형상 실린더 벽(39')은 칼라(17)로부터 연장된다. 최종적으로, 와셔(36') 상에 위치 설정되고 힌지 결합되는 클램핑 블럭(35')의 세트는 와셔(36')의 내향으로 제공되는 O링(42')에 의해 함께 보유된다. 이러한 O링은, 그 위치에 있어서, 클램핑 블럭이 개방 위치로 강제되는 것을 허용한다.
또한, 이러한 경우에, 클램핑 블럭의 단차 형상은 도13에서 명확하게 도시되고 이해될 수 있는 후크 형상을 형성하도록 결정된다.
클램핑 블럭의 외부 단부의 단차 형상이 가장 적절한 방식으로 변형될 수도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이러한 클램핑 블럭 단부의 내부면이 상이한 경사를 갖는 세 개의 인접면으로 형상화되고, 이는 세 개의 상이한 볼트 치수가 적절하게 파지되게 만든다는 것을 또한 예상할 수 있다.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들 클램핑 블럭의 혁신적인 실시예의 형상으로 인해, 본 발명의 시스템은 어떠한 부품도 대체할 필요없이 폭넓게 다양한 볼트에 적용할 수 있다. 이는 구매자에게 있어 더할 나위 없는 장점을 만들고, 도입부에서 언급된 목적 중 하나를 완벽하게 달성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범주 내의 비제한적인 예를 단지 형성하고 상기 설명된 특정 구성에 제한되지 않으며 상기 본 발명의 범주를 일탈하지 않고,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의 도달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시스템은 두 개의 탄성 아암(21, 22)을 참조하여 설명되었다. 그러나, 예들 들어 매우 큰 휘일을 모터 차량에 설치하는 데 유용한 모델을 위해 세 개의 아암을 예상해 볼 수 있다.
또한, 종 형상 본체의 모따기 각도가 항상 외부를 향해 발산하는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유사한 작동 원리 및 설계는 모따기 외부를 향해 수렴하는 것으로 얻어질 수 있다.

Claims (29)

  1. 휘일의 트레드와 접촉할 수 있고, 중심 연결 본체에 연결되는 아암의 자유 단부에 배열되는 파지 요소와, 상기 휘일의 림에 체결되기에 적합한 클램핑 요소(15)와, 상기 아암(21, 22)과 상기 클램핑 요소(15) 사이의 연결을 달성할 수 있는 구속 조립체를 포함하는 차량 휘일용 미끄럼 방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아암(21, 22)은 가요성 박층 스트립의 형태로 되어 있고, 상기 구속 조립체는 신장될 수는 없지만 길이 방향으로 조절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선형 견인 부재(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신장성 선형 견인 부재(30)는 클램핑 요소(15)에 고정된 구속 요소(18)에 견고하게 연결되며, 상기 비신장성 선형 견인 부재는 이를 조절 가능한 방식으로 구속되게 할 수 있는 상기 연결 본체(26)를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신장성 선형 견인 부재는 체인(30)이고, 상기 연결 본체(26)는 체인을 로킹하기 위한 수단을 갖는 미끄럼 방지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본체(26)는 그 입구에, 체인(30)의 링크가 원하는 로킹 작용을 얻도록 엣지를 따라서 내부로 삽입될 수도 있는 적어도 하나의 반경방향 그루브(31, 32, 33, 34)가 제공되는 확개된 형상을 갖는 미끄럼 방지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본체(26)는 내측에 그루브(341)가 또한 구비된 부가의 융기된 립(261)을 가져서, 체인(30)의 다른 링크가 상기 아암(21, 22)이 놓여 있는 평면으로부터 융기된 상태에서 립을 유지하도록 그루브 내에 배열될 수 있는 미끄럼 방지 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수단은 상기 연결 본체(26) 상에 힌지(46) 결합되고, 레버(47)에 의해 작동 가능하며, 상기 체인(30)의 링크 내로 삽입될 수 있는 후크형 요소(45)를 포함하는 미끄럼 방지 시스템.
  7.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의 자유 단부는 상기 체인이 미끄럼 방지 시스템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탄성 체결 수단(35, 36)을 갖는 미끄럼 방지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수단은 상기 아암(21, 22) 중 하나의 주연부에 일체로 형성된 후크(36)에 체결될 수 있는 탄성 버클(35)로 이루어진 미끄럼 방지 시스템.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 조립체는 상기 비신장성 선형 견인 부재(30)의 단부가 체결되고 상기 클램핑 요소(15)와 일체인 칼라(17)에 차례로 활주 가능하게 삽입되는 연결 로드(18) 상에 활주 가능하게 장착되는 브라켓(28)을 포함하고,
    상기 클램핑 요소는 휘일 림(12)의 볼트(13, 14)를 보유하고, 상기 로드(18)는 클램핑 요소(15)의 조임 축에 수직한 길이 방향 축을 갖고 회전 축(a-a')과 교차하도록 휘일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배열되는 미끄럼 방지 시스템.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은 엘보우 형상을 갖고, 엘보우의 절곡부는 차량 휘일의 림(12)과 접촉하도록 된 미끄럼 방지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은 개수가 두 개이고, 시스템이 사용되지 않는 경우 이들이 중첩되는 위치와, 서로에 대해 90°를 이루어 배열된 작동 위치에서 중심 연결 본체 주위를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미끄럼 방지 시스템.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요소(15)는, 내부 슬리브(52)의 대응하는 모따기 가공된 표면과 협동할 수 있는 모따기 가공된 내부면(51)을 적어도 입구부에 갖는 종 형상 본체(50)가 돌출되는 칼라(17)를 갖고,
    상기 슬리브(52)는 칼라(17)로부터 돌출된 나사형 핀(16)에 의해 기동되고 상기 칼라(17)에 대향하여 상기 핀(16) 상에 스크류 결합될 수 있는 작동 노브(19)에 의해 변위될 수 있는 종 형상 본체(50) 내부를 활주할 수 있는 미끄럼 방지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52)는 일련의 변형 가능한 페탈형 요소(52a)가 일체로 연장되는 원형 기부를 갖고, 상기 요소는 슬리브가 종 형상 본체(50) 내부에서 변위될 경우 볼트 주위를 함께 폐쇄할 수 있는 미끄럼 방지 시스템.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따른 시스템과, 변동 치수의 볼트와 결합될 수 있는 상이한 치수로 된 복수의 슬리브(52)를 포함하는 패키지.
  15. 볼트를 클램핑할 수 있는 조오 구성요소와, 볼트 주위에 조오 본체를 점진적으로 구속하도록 형상화된 구속 본체와, 조오 구성요소 사이에서 상대 운동을 일으킬 수 있는 조임 수단을 포함하는,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미끄럼 방지 시스템용 클램핑 요소에 있어서,
    조오 본체는 탄성 수단(5', 10', 20', 23', 30', 42')에 의해 함께 결합되는 복수의 독립 클램핑 블럭(4', 25', 3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 시스템용 클램핑 요소.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블럭(4')이 내부를 활주하는 종 형상 본체(50)는, 적어도 입구부에, 클램핑 블럭(4', 35')의 모따기 가공된 외부면이 활주하는 모따기 가공된 내부면을 갖는 미끄럼 방지 시스템용 클램핑 요소.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수단은 상기 클램핑 블럭(4')의 인접면 사이에 주연방향으로 배열되는 압축 스프링(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요소.
  18. 제17항에 있어서, 압축 스프링(5')의 두 개의 서클 중, 하나는 상기 클램핑 블럭(4')의 외부에, 하나는 그 내부에 제공되는 미끄럼 방지 시스템용 클램핑 요소.
  19.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수단은 인접한 클램핑 블럭의 대향면에 접착 수단, 가황 처리 또는 기계적으로 고정되는 박편의 고무 또는 합성 재료(10')인 미끄럼 방지 시스템용 클램핑 요소.
  20.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수단은 클램핑 블럭(4')의 내부에 형성된 슬릿(21')에 결합되는 스프링(20')을 보유한 탄성 와셔로 이루어지고, 상기 와셔는 클램핑 블럭(4')을 서로 멀리 변위시키게 만드는 예비 압축력을 발생시키는 미끄럼 방지 시스템용 클램핑 요소.
  21.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수단은 클램핑 블럭(4')의 외부 부분의 내부면에 형성된 그루브에 배열되는 탄성 팽창 링(23')으로 이루어진 미끄럼 방지 시스템용 클램핑 요소.
  22.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수단은 블럭이 내부 와셔(36') 상에 안착하는 클램핑 블럭(35')의 내부에 배열되는 O링(42')을 포함하는 미끄럼 방지 시스템용 클램핑 요소.
  23. 제15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블럭을 외향으로 밀 수 있는, 종 형상 본체(50)의 하부와 클램핑 블럭 사이에 위치한 트러스트 스프링(11')을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 시스템용 클램핑 요소.
  24. 제15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블럭(4', 25', 35')은 개수가 여섯 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 시스템용 클램핑 요소.
  25. 제15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블럭(4', 25')은 단차 형상인 외부 단부를 갖는 미끄럼 방지 시스템용 클램핑 요소.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블럭은 네갈고리 닻(grapnel, 35')의 형태로 된 미끄럼 방지 시스템용 클램핑 요소.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블럭(4')은 몇몇 인접면이 상이한 경사를 갖는 상태의 외부 단부를 갖는 미끄럼 방지 시스템용 클램핑 요소.
  28. 제15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 수단은 클램핑 블럭(4', 25', 35')과 결합되고, 지지 칼라(17)를 관통하며, 상기 칼라에 대향하여 작용하는 작동 부재(19)에 의해 병진 구동되는 섕크(9')를 포함하는 미끄럼 방지 시스템용 클램핑 요소.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섕크(9')는 나사 결합되고, 상기 작동 부재(19)는 상기 칼라(17)에 대향하여 상기 나사형 섕크(9')에 스크류 결합될 수 있는 노브인 미끄럼 방지 시스템용 클램핑 요소.
KR1020057007342A 2002-10-29 2003-07-21 신속 끼워 맞춤식 차량 휘일용 미끄럼 방지 시스템 및휘일에 고정하기 위한 관련 장치 KR1010063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18172002 2002-10-29
CH1817/02 2002-10-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1633A true KR20050071633A (ko) 2005-07-07
KR101006317B1 KR101006317B1 (ko) 2011-01-06

Family

ID=32181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7342A KR101006317B1 (ko) 2002-10-29 2003-07-21 신속 끼워 맞춤식 차량 휘일용 미끄럼 방지 시스템 및휘일에 고정하기 위한 관련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380578B2 (ko)
EP (1) EP1562764B1 (ko)
JP (1) JP4719467B2 (ko)
KR (1) KR101006317B1 (ko)
AT (1) ATE482094T1 (ko)
AU (1) AU2003246994A1 (ko)
DE (1) DE60334314D1 (ko)
RU (1) RU2329157C2 (ko)
WO (1) WO200403961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672Y1 (ko) * 2007-07-31 2013-09-02 마기 카텐 에스.피.에이. 차량 바퀴의 미끄럼 방지 시스템을 위한 안전 연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MI20040276U1 (it) 2004-06-10 2004-09-10 Maggi Catene Spa Dispositivo di vincolo con serraggio a leva per un sistema antislittamento di tuote di veicoli
ITMI20050573A1 (it) * 2005-04-06 2006-10-07 Maggi Catene Spa Sistema di svincolo perfezionato per una catena da neve per camion
US7426949B2 (en) * 2005-11-23 2008-09-23 Chaisson Jr Sidney J Tool-free tire traction device
DE602007004627D1 (de) * 2007-10-15 2010-03-18 Thule Spa Gleitschutzvorrichtung zur Montage von außen
DE102009004805B4 (de) 2009-01-13 2014-11-06 Rud Ketten Rieger & Dietz Gmbh U. Co. Kg Gleitschutzvorrichtung mit Felgenanbindung
DE102009004807A1 (de) 2009-01-13 2010-07-15 Rud Ketten Rieger & Dietz Gmbh &. Co. Kg Gleitschutzvorrichtung für Fahrzeugräder mit ergonomischer Handhabe
DE102010018251A1 (de) 2010-04-23 2011-10-27 Rud Ketten Rieger & Dietz Gmbh U. Co. Kg Gleitschutzvorrichtung für Fahrzeugräder mit Spannungsanzeige
KR101216472B1 (ko) * 2012-09-27 2012-12-31 주식회사 체인다 승용차 및 화물차 호환용 휠 고정식 원터치형 스노우 체인
FR3025744B1 (fr) * 2014-09-15 2016-11-11 Joubert Productions Dispositif antiderapant pour roue de vehicule automobile
CN111923668B (zh) * 2020-08-25 2023-05-30 安阳职业技术学院 一种汽车电控防滑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436257B (sv) 1980-10-29 1984-11-26 Ilon B E Anordning vid slirskydd for hjul
US4386643A (en) * 1981-06-11 1983-06-07 Belknap Iii John C Tire traction device
TR22356A (tr) * 1983-09-03 1987-02-24 Niveau Ag Buzlu ve karli yuezeyler cin lastikli,bilhassa havah lastikli tasit tekerleklerine mahsus patinaja karsi koruyucu tertibat
FI863590A (fi) 1985-09-13 1987-03-14 Confon Ag Glidskyddsanordning speciellt foer luftfyllda fordonsdaeck pao is- och snoeytor samt adapter foer skruvhuvuden och liknande.
JPH027051Y2 (ko) 1985-10-22 1990-02-20
JPS63145111A (ja) * 1986-12-10 1988-06-17 Keisuke Kotake 自動車タイヤの滑り止め固定具
KR910004257Y1 (ko) * 1988-11-18 1991-06-29 김계진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용 결속구
JP2581260B2 (ja) * 1990-04-28 1997-02-12 日立電線株式会社 超電導マグネット付のクライオスタット
JPH0635684Y2 (ja) * 1990-05-23 1994-09-21 ▲禎▼守 今泉 タイヤ滑り止めバンド
DE4018415C1 (en) 1990-06-06 1991-10-17 Rud-Kettenfabrik Rieger & Dietz Gmbh U. Co, 7080 Aalen, De Antiskid cover on vehicle wheel - incorporates retaining member with arms engaging links on chain
JP2628788B2 (ja) * 1990-08-09 1997-07-09 宇部興産株式会社 微多孔性膜の製造方法及びその方法で製造される耐溶断性微多孔性膜
CH685046A5 (fr) * 1991-01-24 1995-03-15 Autotyp Sa Dispositif antidérapant pour roue de véhicule.
DE4127448C2 (de) * 1991-08-16 1994-07-28 Rud Ketten Rieger & Dietz Vorrichtung zum Befestigen einer Gleitschutzvorrichtung an einem Fahrzeugrad
JPH0734731Y2 (ja) * 1992-05-08 1995-08-09 オカモト株式会社 タイヤ滑り止め具用締付け具
EP0594909B1 (en) * 1992-10-29 1996-12-27 YOSHIDA, Hirokazu Tyre chain and method of mounting it
JP3420600B2 (ja) * 1992-12-03 2003-06-23 ブリヂストンフローテック株式会社 チャック構造、タイヤ滑り止め装置用締結部材アダプター及びタイヤ滑り止め装置
JPH07117425A (ja) * 1993-10-22 1995-05-09 Bridgestone Corp タイヤ滑り止め装置
CH689206A5 (fr) 1994-01-07 1998-12-15 Autotyp Sa Dispositif antidérapant pour roue de véhicule.
DE10137512C1 (de) * 2001-07-26 2003-03-27 Rud Ketten Rieger & Dietz Gleitschutzvorrichtung für Fahrzeugräder
ATE348718T1 (de) * 2002-06-27 2007-01-15 Thule Spa Adapter um reifenketten an fahrzeugreifen zu befestig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672Y1 (ko) * 2007-07-31 2013-09-02 마기 카텐 에스.피.에이. 차량 바퀴의 미끄럼 방지 시스템을 위한 안전 연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62764B1 (en) 2010-09-22
ATE482094T1 (de) 2010-10-15
RU2005116247A (ru) 2006-01-20
JP4719467B2 (ja) 2011-07-06
US20050284555A1 (en) 2005-12-29
US7380578B2 (en) 2008-06-03
AU2003246994A1 (en) 2004-05-25
KR101006317B1 (ko) 2011-01-06
WO2004039611A1 (en) 2004-05-13
RU2329157C2 (ru) 2008-07-20
EP1562764A1 (en) 2005-08-17
JP2006504566A (ja) 2006-02-09
DE60334314D1 (de) 2010-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56737C2 (ru) Насадка аварийного хода колеса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KR101006317B1 (ko) 신속 끼워 맞춤식 차량 휘일용 미끄럼 방지 시스템 및휘일에 고정하기 위한 관련 장치
RU2757099C2 (ru) Насадка для колеса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US20090050249A1 (en) Anti-slipping device for dual tires
JPH029966B2 (ko)
JP2020536790A (ja) 緊急用ホイール
US4744132A (en) Lock ring assembly and disassembly method
US6860304B1 (en) Two sided traction belt for tires
US5070923A (en) Antiskid apparatus having doglegged linkages pivotally connected
US4120336A (en) Traction device for power driven vehicles
US2154047A (en) Traction device
US6802349B2 (en) Anti-skid device for motor vehicles with pneumatic tires
US4155388A (en) Traction device assembly for mounting on a vehicle tire
US5255577A (en) Tire chain tensioning
US2981303A (en) Traction attachment for an automobile wheel
EP0383545A1 (en) Tool, mounting means and ring device for anti-skid chains
EP2050593B1 (en) Anti-skid device with chain length adjustment system
US4872496A (en) Readily installed tire cleats with improved fastening means
JPS5996006A (ja) 陸用車のタイヤ用滑り止めデバイス
US8651153B2 (en) Device for increasing tire friction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5899536A (en) Tire chain wrapper
JPH0423044Y2 (ko)
KR200356219Y1 (ko) 타이어용 미끄럼 방지장치
KR20040031992A (ko) 아이젠을 갖는 스노우 체인
JPH0427608A (ja) 滑り止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