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1572A - 정색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정색 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1572A
KR20050071572A KR1020057006378A KR20057006378A KR20050071572A KR 20050071572 A KR20050071572 A KR 20050071572A KR 1020057006378 A KR1020057006378 A KR 1020057006378A KR 20057006378 A KR20057006378 A KR 20057006378A KR 20050071572 A KR20050071572 A KR 200500715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
test piece
mounting plate
light
optical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6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즈노리 야마우치
Original Assignee
하마마츠 포토닉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마마츠 포토닉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하마마츠 포토닉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715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1572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75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 G01N21/77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 G01N21/78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producing a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G01N21/27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using photo-electric detection ; circuits for computing concentr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483Investigating reagent ban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75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 G01N21/77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 G01N2021/7756Sensor type
    • G01N2021/7759Dipstick; Test strip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75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 G01N21/77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 G01N2021/7769Measurement method of reaction-produced change in sensor
    • G01N2021/7773Refle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1/00Features of devices classified in G01N21/00
    • G01N2201/02Mechanical
    • G01N2201/022Cas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1/00Features of devices classified in G01N21/00
    • G01N2201/06Illumination; Optics
    • G01N2201/062LED's
    • G01N2201/0627Use of several LED's for spectral resolu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1/00Features of devices classified in G01N21/00
    • G01N2201/06Illumination; Optics
    • G01N2201/064Stray light condition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1/00Features of devices classified in G01N21/00
    • G01N2201/10Scanning
    • G01N2201/101Scanning measuring hea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Immu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lasma & Fusion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Chemical Reaction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주사 기구(6)가 광학 헤드(5)를 재치 플레이트(2)에 대해서 주사 방향으로 이동시켜, 광학 헤드(5)에 장착된 발광 다이오드(3A, 3B)가 재치 플레이트(2) 상에 재치된 면역 크로마토그래픽 시험편의 2개의 정색 영역(TP3, TP3)에 각각 주사 방향을 따라 측정광을 조사하고, 광학 헤드(5)에 장착된 포토다이오드(4A, 4B)가 면역 크로마토그래픽 시험편의 정색 라인에 직교하여 2개의 정색 영역(TP3, TP3)으로부터 반사하는 반사광을 각각 수광함으로써, 면역 크로마토그래픽 시험편의 2개의 정색 영역(TP3, TP3)에 형성된 정색 라인의 정색도가 동시에 측정된다.

Description

정색 측정 장치{COLORATION MEASURING DEVICE}
본 발명은 면역 크로마토그래픽(immune chromatographic) 시험편 등의 시험편의 정색도(coloration level)를 측정하는 정색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면역 크로마토그래픽 시험편에는 검사 대상체중의 항원(또는 항체)과의 사이에 항원 항체 반응을 일으키는 항체(또는 항원)가 정색 영역에 미리 띠 모양으로 도포되어 있다. 이 시험편의 정색 영역에 색소로 표식된 검사 대상체중의 항원(또는 항체)이 전개액(展開液)에 의해 전개되면, 띠 모양으로 도포된 항체(또는 항원)와의 사이에 검사 대상체중의 항원(또는 항체)이 항원 항체 반응을 일으켜 트랩(trap)되고, 정색 영역에는 색소에 의해 발색한 정색 라인이 형성된다.
이러한 면역 크로마토그래픽 시험편에 있어서는, 정색 영역에 형성된 정색 라인의 정색도(coloration level)를 측정 장치에 의해 광학적으로 측정함으로써, 검사 대상체중의 항원(또는 항체)의 양을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가 있다.
여기서, 면역 크로마토그래픽 시험편 등의 시험편의 정색도를 측정하는 장치로서, 시험편의 정색 영역에 형성된 정색 라인(정색 존(zone))에 측정광을 조사하고, 그 반사광의 수광에 의해 정색 라인의 정색도를 측정하는 장치가 종래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 참조).
    [특허문헌 1] 특개평 11-326191호 공보
    [특허문헌 2] 특개평 11-83745호 공보
도 1은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된 정색 측정 장치의 주요부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의 정색 측정 장치에 의해 측정되는 면역 크로마토그래픽 시험편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광학 헤드 및 케이싱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된 정색 측정 장치에 부설되는 제어부 및 측정 결과 표시부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2에 나타낸 시험편의 정색 영역의 정색도를 나타내는 측정광의 반사율의 패턴도이다.
도 6은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된 정색 측정 장치의 광학 헤드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그런데, 전술한 면역 크로마토그래픽 시험편에 있어서는, 1회의 측정으로 분석할 수 있는 검사 대상체중의 항원(또는 항체)의 종류의 증가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이 요구에 대해서는 시험편의 정색 영역을 늘려 트랩(trap)할 수 있는 검사 대상체중의 항원(또는 항체)의 종류를 증가시키는 것이 생각될 수 있지만, 이 경우, 시험편의 크기나 취급의 용이성을 고려하면, 적어도 2개의 독립된 정색 영역을 서로 병렬로 배치하는 것이 타당하다.
그래서, 본 발명은 적어도 2개의 독립된 정색 영역이 서로 병렬로 배치된 특정의 시험편을 대상으로 하여 각 정색 영역에 형성된 정색 라인의 정색도를 동시에 측정할 수가 있는 정색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과 관련된 정색 측정 장치는, 시험편의 정색 영역에 형성된 정색 라인에 측정광을 조사하고, 그 반사광의 수광에 의해 정색 라인의 정색도를 측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독립된 정색 영역이 서로 병렬로 배치된 특정의 시험편을 재치하기 위한 단일의 재치 플레이트와, 특정 시험편의 각 정색 영역에 각각 측정광을 조사하는 복수의 조사 광학계와, 각 정색 영역으로부터의 반사광을 각각 수광하는 복수의 수광 광학계와, 복수의 조사 광학계 및 수광 광학계를 장착하는 광학 헤드와, 정색 라인을 횡단하는 주사 방향으로 재치 플레이트와 광학 헤드를 상대 이동시키는 주사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정색 측정 장치에서는, 주사 기구가 정색 라인을 횡단하는 주사 방향으로 재치 플레이트와 광학 헤드를 상대 이동시켜, 각 조사 광학계가 재치 플레이트(mounting plate) 상에 재치된 특정 시험편의 적어도 2개의 정색 영역에 각각 주사 방향을 따라 측정광을 조사하고, 각 수광 광학계가 정색 라인을 횡단하여 각 정색 영역으로부터 반사하는 반사광을 각각 수광함으로써, 특정 시험편의 적어도 2개의 정색 영역에 형성된 정색 라인의 정색도가 동시에 측정된다.
또, 복수의 조사 광학계 및 수광 광학계는 서로 차광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복수의 수광 광학계의 사이의 크로스토크(cross-talk)가 방지되어 특정 시험편의 복수의 정색 영역에 대한 정색도의 측정 정밀도가 향상된다.
또, 복수의 조사 광학계 및 수광 광학계는 단일의 광학 헤드에 장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구조가 간소하게 되고, 또한, 광학 헤드를 주사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경우의 주사 기구가 1계통으로 끝나 주사 기구의 구조나 그 제어계의 구성이 간단하게 된다.
또, 주사 기구가 광학 헤드는 재치 플레이트에 대해서 주사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재치 플레이트(mounting plate) 상에 재치된 특정 시험편이 진동하는 일 없이 정지 상태로 유지되고, 특정 시험편의 적어도 2개의 정색 영역에 대한 정색도의 측정 정밀도가 향상된다.
또, 특정 시험편은, 적어도 2개의 정색 영역을 노출시키는 복수의 측정 윈도우(window)와, 각 정색 영역으로 전개되는 전개액을 적하(滴下)하기 위한 복수의 적하 윈도우를 가지는 전용의 케이싱(casing) 내에 수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명세서에서 특정 시험편이라는 것은, 정색 영역을 포함한 전개액의 전개 영역이 각각 설치된 적어도 2매의 독립된 시험편, 또는 정색 영역을 포함하는 전개 영역이 적어도 2개로 구획된 1매의 시험편을 말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와 관련된 정색 측정 장치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 설명에서 동일 요소 또는 동일 기능을 가지는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이용하는 것으로 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된 정색 측정 장치의 주요부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의 정색 측정 장치에 의해 측정되는 면역 크로마토그래픽 시험편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광학 헤드 및 케이싱의 확대 사시도이다.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된 정색 측정 장치는, 도 1에 나타내듯이, 케이싱(1)에 수용된 특정의 면역 크로마토그래픽 시험편(도 2 참조)을 재치하기 위한 단일의 재치 플레이트(2)와, 한 쌍(pair)의 조사 광학계를 구성하는 반도체 발광 소자로서의 한 쌍의 발광 다이오드(3A, 3B)와, 한 쌍의 수광 광학계를 구성하는 반도체 수광 소자로서의 한 쌍의 포토다이오드(4A, 4B)와, 한 쌍의 발광 다이오드(3A, 3B) 및 포토다이오드(4A, 4B)를 장착하는 단일의 광학 헤드(5)와, 재치 플레이트(2)에 대해서 광학 헤드(5)를 주사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주사 기구(6)를 적어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된 정색 측정 장치는, 예를 들면 면역 크로마토그래픽 시험편의 정색 영역에 형성된 정색 라인에 측정광을 조사하고, 그 반사광의 수광에 의해 정색 라인의 정색도를 측정하는 장치이다.
여기서, 특정의 면역 크로마토그래픽 시험편은, 도 2에 나타내듯이, 가늘고 긴 장방형의 2매의 면역 크로마토그래픽 시험편(TP : Test Piece)에 의해 구성된다. 각 면역 크로마토그래픽 시험편(TP)의 일단부에는 검사 대상체중의 항원(또는 항체)을 표식(標識)하는 색소와 함께 검사 대상체가 혼입된 전개액(展開液)이 적하되는 적하 패드(pad)(TP1)가 설치된다. 각 면역 크로마토그래픽 시험편(TP)의 타단부에는 전개액을 흡수하는 흡수 패드(TP2)가 설치된다. 적하 패드(TP1)로부터 흡수 패드(TP2)를 향해 전개액이 전개하는 영역(전개 영역)에는 검사 대상체중의 항원(또는 항체)과의 사이에 항원 항체 반응을 일으키는 항체(또는 항원)가 미리 띠 모양으로 도포된 정색 영역(TP3)이 설치되어 있다. 이 정색 영역(TP3)에는 띠 모양으로 도포된 항체(또는 항원)와의 사이에 검사 대상체중의 항원(또는 항체)이 항원 항체 반응을 일으켜 트랩(trap)됨으로써, 색소에 의해 발색한 복수의 정색 라인(TP4∼TP7)이 형성된다.
각 면역 크로마토그래픽 시험편(TP)은 니트로셀룰로스멤브레인(nitrocellulose-membrane)이나 여과지를 주체(主體)로 구성된다. 적하 패드(TP1) 및 흡수 패드(TP2)는 흡수성이 있는 스펀지, 부직포, 여과지 등으로 구성된다. 정색 영역(TP3)에는 단백질의 비특이적 흡착을 방지하기 위해 미리 BSA 등에 의한 블로킹(blocking) 처리가 실시된다.
2매의 면역 크로마토그래픽 시험편(TP)은 그 장변 끼리를 서로 마주보게 하여 좌우로 평행으로 늘어놓은 상태로 케이싱(1) 내에 수용된다. 케이싱(1)의 일단부의 표면에는, 도 3에 나타내듯이, 2매의 면역 크로마토그래픽 시험편(TP)의 각 적하 패드(TP1)를 노출시키는 좌우 한 쌍의 적하 윈도우(1A, 1B)가 개구되어 있다. 케이싱(1)의 중앙부의 표면에는 2매의 면역 크로마토그래픽 시험편(TP)의 각 정색 영역(TP3)을 노출시키는 좌우 한 쌍의 측정 윈도우(1C, 1D)가 개구되어 있다.
광학 헤드(5)는, 도 1에 나타내듯이, 케이싱(1)의 좌우 방향으로 대응하는 좌우 대칭 형상의 블록(block)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광학 헤드(5)는 그 상부가 주사 기구(6)를 구성하는 슬라이더 블록(6A)에 지지판(6B)을 개재(介在)하여 고정됨으로써 케이싱(1)의 상방에 지지되어 있다.
이 광학 헤드(5)의 좌우의 단부 부근에는, 도 3에 나타내듯이, 케이싱(1)의 좌우 한 쌍의 측정 윈도우(1C, 1D)에 노출하는 각 면역 크로마토그래픽 시험편(TP)의 정색 영역(TP3, TP3)을 향해 좌우 한 쌍의 조사 통로(5A, 5B)가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조사 통로(5A, 5B)는 광학 헤드(5)의 상부에서 좌우 방향의 내측을 향하여 비스듬하게 경사져 있고, 그 상단부에는, 예를 들면 530nm의 측정광을 발광하는 발광 다이오드(3A, 3B)가 각각 매설되어 있다.
또, 광학 헤드(5)의 좌우 한 쌍의 조사 통로(5A, 5B) 사이의 부분에는, 좌우 한 쌍의 수광 통로(5C, 5D)가 상하 방향으로 대략 수직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고, 그 상단부에는 포토다이오드(4A, 4B)가 각각 매설되어 있다. 이 좌우 한 쌍의 수광 통로(5C, 5D)는, 각 발광 다이오드(3A, 3B)로부터 각 조사 통로(5A, 5B)를 통해 각 면역 크로마토그래픽 시험편(TP)의 정색 영역(TP3, TP3)을 향해 조사되고, 그 표면에서 반사되는 측정광을 각 포토다이오드(4A, 4B)가 수광할 수 있도록, 좌우 한 쌍의 조사 통로(5A, 5B)에 대한 위치가 설정되어 있다.
상술한 것처럼, 광학 헤드(5)에는 재치 플레이트(2) 측을 향하여 측정광을 조사하는 발광 다이오드(3A, 3B)(조사 광학계)와 재치 플레이트(2) 측으로부터 입사하는 광을 수광하는 포토다이오드(4A, 4B)(수광 광학계)를 쌍으로 하여 복수 쌍(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2쌍)이 장착되어 있다.
주사 기구(6)는, 도 1에 나타내듯이, 슬라이더 블록(6A)과, 좌우 한 쌍의 가이드 레일(6C, 6C)과, 피니언(pinion)(6E)과, 웜기어(worm gear)(6F)와, 구동 모터(6G)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가이드 레일(6C, 6C)은, 슬라이더 블록(6A)을 재치 플레이트(2)의 긴 방향, 즉, 도 2에 나타내는 면역 크로마토그래픽 시험편(TP)의 각 정색 라인(TP4∼TP7)을 직각으로 횡단하는 주사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내한다. 피니언(6E)은 가이드 레일(6C, 6C)의 긴 방향을 따라 슬라이더 블록(6A)의 측면에 형성된 락(lock)(6D)에 서로 맞물린다. 웜기어(6F)는 피니언(6E)에 서로 맞물린다. 구동 모터(6G)에는 웜기어(6F)가 고정된다.
주사 기구(6)에서는, 구동 모터(6G)에 의해 웜기어(6F)가 정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면, 피니언(6E)이 감속하여 회전 구동되고, 이 피니언(6E)에 서로 맞물리는 락(lock)(6D)이 형성된 슬라이더 블록(6A)이 좌우 한 쌍의 가이드 레일(6C, 6C)에 안내되어 주사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결과, 광학 헤드(5)가 재치 플레이트(2)에 대해서 도 2에 나타내는 면역 크로마토그래픽 시험편(TP)의 각 정색 라인(TP4∼TP7)을 직각으로 횡단하는 주사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 발광 다이오드(3A)와 포토다이오드(4A)의 쌍과 발광 다이오드(3B)와 포토다이오드(4B)의 쌍은 상기 주사 방향으로 교차하는 방향(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주사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병설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의 정색 측정 장치에는, 도 4에 나타내듯이, 주사 기구(6)의 구동 모터(6G)의 회전 제어, 발광 다이오드(3A, 3B)의 점등 제어, 및 포토다이오드(4A, 4B)의 수광 신호의 처리 및 그 처리 결과의 표시를 위해 제어부(7) 및 측정 결과 표시부(8)가 부설되어 있다.
제어부(7)는 주사 기구(6)의 구동 모터(6G)의 정회전, 정지, 역회전의 회전 제어를 한다. 또, 제어부(7)는 구동 모터(6G)의 정회전에 의해 광학 헤드(5)가 주사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안, 한 쌍의 발광 다이오드(3A, 3B)를 점등하여 그 측정광을 케이싱(1)의 각 측정 윈도우(1C, 1D)에 노출하는 각 면역 크로마토그래픽 시험편(TP)의 정색 영역(TP3) 상에 조사시킨다.
제어부(7)는 한 쌍의 발광 다이오드(3A, 3B)의 점등에 의해 각 면역 크로마토그래픽 시험편(TP)의 각 정색 영역(TP3)으로부터 반사하는 반사광을 수광한 한 쌍의 포토다이오드(4A, 4B)로부터 검출 신호를 입력하고, 이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예를 들면 530nm의 측정광의 반사율의 패턴(pattern)을 작성한다. 그리고, 작성한 반사율의 패턴으로부터, 각 면역 크로마토그래픽 시험편(TP)의 발색한 각 정색 라인(TP4∼TP7)의 흡광도 ABS를 ABS=logTi/To의 연산식에 의해 산출한다. 여기서, To는 발색한 정색 라인(TP4∼TP7)으로부터의 반사광의 출력 신호 강도이고, Ti는 발색이 없는 부분으로부터의 반사광의 출력 신호 강도이다.
제어부(7)는 미리 작성된 검량특성(檢量特性) 선도를 참조함으로써, 산출한 흡광도 ABS에 따라 검사 대상체중에 포함되는 항원(또는 항체)의 총량(농도)을 구하고 이를 측정 결과 표시부(8)에 표시시킨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실시 형태의 정색 측정 장치를 사용하여 면역 크로마토그래픽 시험편(TP)의 정색도를 측정하는데에는, 우선, 도 2에 나타내는 2매의 면역 크로마토그래픽 시험편(TP, TP)이 수용된 케이싱(1)(도 3 참조)을 준비하고, 표식용의 색소와 함께 검사 대상체가 혼입된 전개액을 케이싱(1)의 적하 윈도우(1A, 1B)로부터 면역 크로마토그래픽 시험편(TP, TP)의 적하 패드(TP1, TP1)에 적하한다. 이에 의해 전개액이 면역 크로마토그래픽 시험편(TP, TP)의 흡수 패드(TP2, TP2)를 향해 전개하고, 그 도중의 정색 영역(TP3, TP3)에 띠 모양으로 도포된 항체(또는 항원)와의 사이에 검사 대상체중의 항원(또는 항체)이 항원 항체 반응을 일으켜 트랩(trap)됨으로써, 색소에 의해 발색한 복수의 정색 라인(TP4∼TP7)이 형성된다.
이러한 준비후, 도 1에 나타내듯이, 2매의 면역 크로마토그래픽 시험편(TP, TP)이 수용된 케이싱(1)을 재치 플레이트(2) 상에 재치하고, 제어부(7)(도 4 참조)에 의해 구동 모터(6G)를 정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킴과 동시에 좌우의 발광 다이오드(3A, 3B)를 점등시킨다. 이 조작에 수반하여, 광학 헤드(5)가 주사 방향을 따라 이동을 개시하고, 좌우의 발광 다이오드(3A, 3B)가 케이싱(1)의 측정 윈도우(1C, 1D)를 통해 면역 크로마토그래픽 시험편(TP, TP)의 정색 영역(TP3, TP3)에 각각 주사 방향을 따라 530nm의 측정광을 조사한다. 이와 동시에 좌우의 포토다이오드(4A, 4B)가 면역 크로마토그래픽 시험편(TP, TP)의 정색 영역(TP3, TP3)으로부터 반사하는 반사광을 수광하여 검출 신호를 제어부(7)로 출력한다.
검출 신호를 입력한 제어부(7)는, 예를 들면 도 5에 나타내는 것 같은 530nm의 측정광의 반사율의 패턴을 작성하고, 이 반사율의 패턴으로부터, 각 면역 크로마토그래픽 시험편(TP) 상에 발색한 정색 라인(TP4∼TP7)의 흡광도 ABS를 ABS=logTi/To의 연산식에 의해 산출한다. 그리고, 제어부(7)는 미리 작성된 검량특성 선도를 참조함으로써, 산출한 흡광도 ABS에 따라 검사 대상체중에 포함되는 항원(또는 항체)의 총량(농도)을 구하고 이를 측정 결과 표시부(8)에 표시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본 실시 형태의 정색 측정 장치에 의하면, 케이싱(1) 내에 수용된 2매의 면역 크로마토그래픽 시험편(TP, TP)의 정색 영역(TP3, TP3)에 형성된 각각의 정색 라인(TP4∼TP7)의 정색도가 동시에 측정된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의 정색 측정 장치에 있어서는, 한 쌍의 조사 광학계를 구성하는 발광 다이오드(3A, 3B)가 광학 헤드(5)의 조사 통로(5A, 5B)에 매설되고, 한 쌍의 수광 광학계를 구성하는 포토다이오드(4A, 4B)가 광학 헤드(5)의 수광 통로(5C, 5D)에 매설되어 서로 차광되어 있기 때문에, 한 쌍의 포토다이오드(4A, 4B)가 수광하는 측정광 사이의 크로스토크(cross-talk)가 방지된다. 이 결과, 일실시 형태의 정색 측정 장치에 있어서는, 2매의 면역 크로마토그래픽 시험편(TP)의 각 정색 영역(TP3)에 대한 정색도의 측정 정밀도로서 높은 측정 정밀도를 얻을 수 있다.
또, 주사 기구(6)가 광학 헤드(5)를 재치 플레이트(2)에 대해서 주사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재치 플레이트(2) 상에 재치된 케이싱(1) 내의 2매의 면역 크로마토그래픽 시험편(TP)은, 미준비로 진동하는 일 없이 정지 상태로 유지된다. 이 결과, 2매의 면역 크로마토그래픽 시험편(TP)의 각 정색 영역(TP3)에 대한 정색도의 측정 정밀도로서 높은 측정 정밀도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발광 다이오드(3A, 3B) 및 한 쌍의 포토다이오드(4A, 4B)가 단일의 광학 헤드(5)에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광학 헤드(5)를 주사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주사 기구(6)가 1계통으로 끝나 그 구조나 제어계의 구성이 간단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 3에 나타낸 광학 헤드(5)에서는, 좌우 한 쌍의 수광 통로(5C, 5D)가 서로 이간하여 배치되어 있지만, 그 간격은 적당히 변경할 수가 있다. 도 6에 나타내듯이, 좌우 한 쌍의 면역 크로마토그래픽 시험편(TP, TP)이 좌우 방향으로 근접하여 배치되는 경우에는, 거기에 대응하여 좌우 한 쌍의 수광 통로(5C, 5D)도 서로 근접하여 배치되고, 좌우 한 쌍의 조사 통로(5A, 5B)도 그 하단부의 위치가 서로 근접하여 배치된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광학 헤드(5)가 재치 플레이트(2)에 대해서 주사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재치 플레이트(2)가 광학 헤드(5)에 대해서 주사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고, 재치 플레이트(2) 및 광학 헤드(5)의 양쪽 모두가 서로 주사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조사 광학계를 구성하는 반도체 발광 소자로서 발광 다이오드(3A, 3B)를 사용하고 있지만, 레이저 다이오드 등의 그 외의 반도체 발광 소자로 변경이 가능하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수광 광학계를 구성하는 반도체 수광 소자로서 포토다이오드(4A, 4B)를 사용하고 있지만, 포토트랜지스터(photo-transistor)나 CCD(Charge Coupled Device) 소자 등의 그 외의 반도체 수광 소자로 변경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의 정색 측정 장치는 면역 크로마토그래픽 시험편뿐만이 아니고, 정색도가 측정되는 시험편이어도, 어떤 종류의 시험편이어도 적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정색 측정 장치는 면역 크로마토그래픽 시험편의 정색 측정 장치에 이용할 수 있다.

Claims (7)

  1. 시험편의 정색 영역에 형성된 정색 라인에 측정광을 조사하고, 그 반사광의 수광에 의해 상기 정색 라인의 정색도를 측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독립된 정색 영역이 서로 병렬로 배치된 특정의 시험편을 재치하기 위한 단일의 재치 플레이트와,
    상기 특정 시험편의 각 정색 영역에 각각 측정광을 조사하는 복수의 조사 광학계와,
    각 정색 영역으로부터의 반사광을 각각 수광하는 복수의 수광 광학계와,
    상기 복수의 조사 광학계 및 수광 광학계를 장착하는 광학 헤드와,
    상기 정색 라인을 횡단하는 주사 방향으로 상기 재치 플레이트와 광학 헤드를 상대 이동시키는 주사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색 측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조사 광학계 및 수광 광학계는 서로 차광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색 측정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조사 광학계 및 수광 광학계는 단일의 광학 헤드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색 측정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 기구가 상기 광학 헤드를 상기 재치 플레이트에 대해서 주사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색 측정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시험편은, 적어도 2개의 정색 영역을 노출시키는 복수의 측정 윈도우(window)와, 각 정색 영역으로 전개되는 시료액을 적하(滴下)하기 위한 복수의 적하 윈도우를 가지는 케이싱(casing) 내에 수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색 측정 장치.
  6. 시험편에 형성된 정색 라인의 정색도를 측정하는 정색 측정 장치로서,
    상기 시험편을 재치하는 단일의 재치 플레이트와,
    상기 재치 플레이트 측을 향하여 측정광을 조사하는 조사 광학계와 상기 재치 플레이트측으로부터 입사하는 광을 수광하는 수광 광학계를 쌍(pair)으로 하여 복수 쌍 장착한 광학 헤드와,
    상기 재치 플레이트와 광학 헤드를 소정의 주사 방향으로 상대 이동시키는 주사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색 측정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사 광학계와 상기 수광 광학계의 복수 쌍은, 상기 소정의 주사 방향과는 교차하는 방향으로 병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색 측정 장치.
KR1020057006378A 2002-11-19 2003-10-30 정색 측정 장치 KR2005007157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335641 2002-11-19
JP2002335641A JP2004170217A (ja) 2002-11-19 2002-11-19 呈色測定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1572A true KR20050071572A (ko) 2005-07-07

Family

ID=32321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6378A KR20050071572A (ko) 2002-11-19 2003-10-30 정색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408644B2 (ko)
EP (1) EP1564546A4 (ko)
JP (1) JP2004170217A (ko)
KR (1) KR20050071572A (ko)
CN (1) CN100507528C (ko)
AU (1) AU2003280647A1 (ko)
WO (1) WO200404669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6460B1 (ko) * 2015-03-26 2016-06-01 주식회사 오영 원격제어가 가능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분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39673B2 (en) * 2004-03-05 2008-03-04 Siemens Healthcare Diagnostics Inc. Miniature optical readhead for optical diagnostic device
JP2007528491A (ja) * 2004-03-05 2007-10-11 バイエル・ヘルスケア・エルエルシー 画像システムアレイを有するハンディ型光学診断装置
JP4633510B2 (ja) * 2005-03-24 2011-02-16 株式会社常光 免疫学的クロマトグラフ法を用いた複数の試験紙片の短時間連続定量測定装置
JP4695025B2 (ja) 2006-06-19 2011-06-0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生体及び化学反応分析キット
GB2445160B (en) * 2006-12-29 2011-08-10 Mologic Ltd Diagnostic test device
GB2445161B (en) 2006-12-29 2011-08-10 Mologic Ltd Diagnostic test device
JP5026090B2 (ja) * 2007-01-09 2012-09-12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免疫クロマト試験片の測定装置
JP4860489B2 (ja) * 2007-01-09 2012-01-25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免疫クロマト試験片の測定方法
EP2034293B1 (de) * 2007-09-10 2009-10-21 F. Hoffmann-La Roche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uswerten eines trockenchemischen Testelementes
JP5184962B2 (ja) * 2007-10-31 2013-04-17 アークレイ株式会社 イムノクロマトグラフィ装置
CN101790685B (zh) * 2008-11-20 2013-10-30 爱科来株式会社 光学测定装置
WO2010118185A2 (en) * 2009-04-07 2010-10-14 Nexus Dx, Inc. Hand-held scanner systems and methods for reading point of care test results
JP5572359B2 (ja) * 2009-10-07 2014-08-13 株式会社テクノメデイカ 尿中物質濃度測定装置
JP2017201282A (ja) * 2016-05-07 2017-11-09 ニプロ株式会社 クロマトグラフィー試験片呈色測定装置
CN109923421B (zh) * 2016-09-02 2022-11-11 艾克雷泽私人有限公司 物质测试系统和方法
CN206817411U (zh) * 2017-01-19 2017-12-29 欧普照明股份有限公司 取色装置及取色遥控器
EP3615924A1 (en) 2017-03-13 2020-03-04 Zoetis Services LLC A lateral flow test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407754A1 (de) * 1984-03-02 1985-09-12 Boehringer Mannheim Gmbh, 6800 Mannheim Geraet zur bestimmung des diffusen reflexionsvermoegens einer probenflaeche kleiner abmessungen
JPS61130859A (ja) 1984-11-27 1986-06-18 シンテツクス・ダイアグノステイツク・リミテツド・パ−トナ−シツプ ポ−タブルアナライザ−
DE3882564T2 (de) * 1987-04-07 1994-02-17 Kyoto Daiichi Kagaku Kyoto Kk Verfahren zur Analyse von spezifischen Komponenten in Flüssigkeiten.
JP2564599B2 (ja) * 1987-04-07 1996-12-18 株式会社京都第一科学 液中の特定多成分分析方法及び装置
JP2564302B2 (ja) * 1987-04-27 1996-12-18 オムロン株式会社 生化学測定装置
JPS6426160U (ko) 1987-08-05 1989-02-14
US4833088A (en) * 1987-09-25 1989-05-23 Miles Inc. Reagent strip handling mechanism
JPH07151689A (ja) * 1993-11-29 1995-06-16 Mitsui Petrochem Ind Ltd 生化学測定システム
DE19639227B4 (de) * 1996-09-24 2006-11-23 Lre Technology Partner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Blutzuckermessung
JPH1183745A (ja) 1997-09-10 1999-03-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排泄物成分検査装置
JPH11237386A (ja) * 1998-02-23 1999-08-31 Fuji Photo Film Co Ltd 生化学分析装置
JPH11326191A (ja) 1998-05-15 1999-11-26 Kdk Corp 試験片の呈色測定装置
GB2339615B (en) * 1998-07-14 2001-02-07 Cozart Bioscience Ltd Screening device and method of screening an immunoassay test
US6248598B1 (en) 1998-09-17 2001-06-19 Stuart C. Bogema Immunoassay that provides for both collection of saliva and assay of saliva for one or more analytes with visual readout
US6180409B1 (en) * 1998-10-13 2001-01-30 Bayer Corporation Spectrophotometric apparatus with multiple readheads
US6261522B1 (en) 1998-10-13 2001-07-17 Bayer Corporation Spectrophotometric apparatus with reagent strip detection
US7227673B2 (en) * 2001-01-23 2007-06-0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lor measurement with distributed sensors in a color hard copy apparatus
US7623240B2 (en) * 2001-11-20 2009-11-24 Iris Deutschland Gmbh Optical measuring device for test strip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6460B1 (ko) * 2015-03-26 2016-06-01 주식회사 오영 원격제어가 가능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분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408644B2 (en) 2008-08-05
JP2004170217A (ja) 2004-06-17
EP1564546A1 (en) 2005-08-17
AU2003280647A1 (en) 2004-06-15
CN100507528C (zh) 2009-07-01
CN1714289A (zh) 2005-12-28
EP1564546A4 (en) 2006-08-30
WO2004046699A1 (ja) 2004-06-03
US20060055930A1 (en) 2006-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71572A (ko) 정색 측정 장치
US6819422B2 (en) Measuring method for immunochromatographic test strip
US5039225A (en) Apparatus for measurement of reflection density
JP4860489B2 (ja) 免疫クロマト試験片の測定方法
JPWO2015182747A1 (ja) 表面プラズモン増強蛍光測定方法、表面プラズモン増強蛍光測定装置および分析チップ
JP5026090B2 (ja) 免疫クロマト試験片の測定装置
US6879399B2 (en) Measuring method for immunochromatographic test strip
KR101033392B1 (ko) 면역 크로마토 그래피 시험편의 측정 장치 및 광원 장치
JPS638537A (ja) マイクロプレ−ト用吸光度測定装置
WO2004077028A1 (ja) 免疫クロマト試験片の測定装置
JP4247229B2 (ja) 免疫クロマト試験片の測定装置
JP4043699B2 (ja) 免疫クロマト試験用具及び免疫クロマト試験片の測定装置
US11035794B2 (en) Scalable, large-area optical sensing platform with compact light delivery and imaging system
JPH11326191A (ja) 試験片の呈色測定装置
JP4468129B2 (ja) 濃度測定装置
JP2002267664A (ja) 免疫クロマト試験片の測定装置
JP4128730B2 (ja) 免疫クロマト試験片の測定装置
JPS6311632Y2 (ko)
JPH11237337A (ja) 多成分系物質における特定成分及びその濃度計測方法
JP2009103485A (ja) センシ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