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67797A - 영상 및 음성정보 기록/재생장치 - Google Patents

영상 및 음성정보 기록/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67797A
KR20050067797A KR1020030098817A KR20030098817A KR20050067797A KR 20050067797 A KR20050067797 A KR 20050067797A KR 1020030098817 A KR1020030098817 A KR 1020030098817A KR 20030098817 A KR20030098817 A KR 20030098817A KR 20050067797 A KR20050067797 A KR 200500677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rd disk
disk drive
main body
support
vide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8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988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67797A/ko
Publication of KR200500677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779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1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disks or drum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4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11B2020/10537Audio or video recor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체;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며, 영상 및 음성을 포착하는 카메라유닛과; 카메라유닛으로부터 포착된 영상 및 음성을 저장하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와; 본체에 결합된 상태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를 지지하여 본체로부터의 충격이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로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및 음성정보 기록/재생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영상 및 음성정보 기록/재생장치{A video/audio data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본 발명은 콤팩트한 정보 기록매체를 채용하는 영상 및 음성정보 기록/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스틸 카메라(DSC ; Digital Still Camera)는 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영상을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저장한다. 이러한 디지털 스틸 카메라는 퍼스널 컴퓨터와의 호환성이 높아 편집 및 수정이 간편하고, 외부 컴퓨터와 연결하여 찍은 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스틸 카메라는 렌즈장치와, 메모리장치와, 신호변조장치와, 디스플레이장치 등을 구비한다. 그런데, 이러한 디지털 스틸 카메라는 영상을 기록하는 기록매체의 용량 등의 이유로 주로 정지영상을 생성하는데 주로 사용한다. 즉, 일부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기능을 갖고 있으나, 장시간 촬영이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 특히, 동영상 촬영하고 재생시 음향을 함께 기록하고 재생하는 장치가 없으므로 실질적으로 동영상을 촬영하여 저장 및 재생하기에는 부적합하다. 이러한 점을 충족하기 위해, 테이프와 같은 기록매체에 촬영되는 피사체의 화상 및 음향 등을 기록 및 재생하는 기록/재생장치 예컨대, 캠코더(Camcoder)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캠코더는 렌즈장치와, 신호변환장치와, 촬영된 영상을 기록/재생하는 데크장치와, 디스플레이장치 등을 구비한다. 이러한 캠코더는 주로 카세트 테이프를 기록매체로서 사용하여 촬영된 동영상을 기록하게 된다. 또한, 캠코더는 마이크장치와 스피커장치가 구비되어 있으며, 장착된 카세트 테이프에다 1시간 이상 분량의 촬영이 가능하다. 이러한 캠코더도 정지영상을 촬영하는 기능을 갖고 있으나, 상술한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화질에 비해 떨어지므로, 주로 동영상을 촬영하는데 사용된다. 그리고, 캠코더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보다 많은 기능을 가지고 복잡한 기능을 갖고 있으므로, 부피가 상대적으로 크고 고가인 경우가 일반적이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캠코더 및 디지털 카메라 등이 가지는 기본적인 영상처리 기능 이외에 다양한 기능을 구현시킬 수 있는 영상 및 음성정보 기록/재생장치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또한, 캠코더와 기존의 복합 영상 및 음성정보장치는, 구 부피가 크며 기록용량이 적어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사용하기가 불편하였으므로, 많은 기록용량을 가지면서 휴대하기 용이한 영상 및 음성정보 기록/재생장치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콤팩트한 기록매체를 채용하여 소형화 및 경량화가 가능한 영상 및 음성정보 기록/재생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영상 및 음성정보 기록/재생장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며, 영상 및 음성을 포착하는 카메라유닛과; 상기 카메라유닛으로부터 포착된 영상 및 음성을 저장하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와; 상기 본체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를 지지하여 본체로부터의 충격이 상기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로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본체에 결합되며, 상기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일측을 접촉 지지하는 제1지지브라켓과; 상기 본체에 결합되며, 상기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타측을 접촉 지지하는 제2지지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지지브라켓은, 상기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측면을 지지하는 메인 지지벽과; 상기 메인 지지벽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며, 상기 본체에 체결되는 체결부와; 상기 메인 지지벽에서 절곡연장되며, 상기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상면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덮개부;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지지브라켓은, 상기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모서리부를 감싸서 지지하는 클램핑부를 가지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클램핑부는, 상기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모서리부를 이루는 상하면과, 측면들 각각을 접촉지지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는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공을 가지며,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본체의 내측면에서 돌출형성되어 상기 가이드공에 상대적으로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보스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가이드공은 상기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모서리부 각각에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보스는 상기 각 모서리부의 가이드공에 대응되게 상기 본체에 형성된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는 상하면을 관통하는 가이드공을 가지며, 상기 본체에는 상기 가이드공을 통과하여 상기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상면으로 노출되는 가이드보스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보스는 상기 가이드공을 통과하여 상기 하드디스크의 상면으로 돌출되며, 상기 덮개부에에는 상기 가이드공을 통과한 가이드보스가 끼워지는 결합공이 형성된 것이 좋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및 음성정보 기록/재생장치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도 2 및 도 3을 각각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및 음성정보 기록/재생장치(10)는, 본체(11), 카메라유닛(13), 디스플레이장치(15), 정보 기록매체인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0) 및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지지유닛(30)을 구비한다.
본체(11)는 제1하우징(11d), 제2하우징(11e), 제3하우징(11f)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11) 특히, 제2하우징(11e)에는 복수의 조작버튼이 설치되어 있다. 본체(11)의 내부에는 상기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0)가 설치된다. 즉, 상기 제1하우징(11d)이 내측에 상기 지지유닛(30)에 의해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0)가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제3하우징(11f)의 외측에는 배터리가 설치된다. 이 배터리는 제3하우징(11f)의 외측에 결합되는 커버(12)에 의해 덮여진다.
또한, 본체(11)는, 그 일측에 보조 정보 기록매체로서 스마트 카드, 메모리스틱과 같은 착탈형 스토리지(40)가 착탈되는 슬롯(11a)을 구비한다. 이 외에도 플래쉬 메모리, SDRAM 등이 정보 기록매체로서 더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의 미설명부호 11b는 착탈형 스토리지(40)의 착탈유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설치된 윈도우를 나타낸다. 그리고, 도 1의 참조부호 M은 모드 변환스위치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모드 변환스위치(M)의 조작을 통해서 예컨대, 캠코더 기능과, 디지털 스틸 카메라 기능, MP3 플레이어 기능 모드 등으로 전환선택된다. 참조부호 V는 예컨대, 음량조절 등을 위해 설치되는 다이얼 스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2의 미설명 부호 11g는 회로기판이다.
상기 제1하우징(11d)에는 디스플레이유닛(15)이 설치된다. 이 디스플레이장치(15)는 일반 캠코더에 적용되는 LCD 패널로서, 서로 교차하는 두 축(P1,P2)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디스플레이유닛(15)은 카메라유닛(13)에서 촬영되고 있는 영상을 실시간으로 표시해주거나, 상기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0)에 저장된 영상데이터 및 외부 정보처리기기로부터 수신된 영상데이터들 중 어느 하나를 디스플레이 할 수도 있다.
상기 카메라유닛(13)은 본체(11)와 일체로 구성된 외장케이스(13c)가 감싸고 있으며, 렌즈(13a)를 포함하는 소정 광학계와, 상기 광학계를 통해 결상된 광학상을 광전변환시키는 CCD와, 광학계의 외관을 감싸는 외장케이스(13c)와, 외장케이스(13c)의 일측, 즉, 상기 렌즈(13a)와 대칭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줌버튼(13b)을 포함한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지지유닛(30)은, 본체(11)에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0)로 충격이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지지유닛(30)은 제1지지브라켓(31)과, 제2지지브라켓(33) 및 복수의 가이드보스(35)를 구비한다.
상기 제1지지브라켓(31)은 상기 드라이브(20)의 일측을 접촉지지하며, 제2지지브라켓(33)은 드라이브(20)의 타측을 접촉지지한다.
상기 제1지지브라켓(31)은 드라이브(20)의 제1측면(21)을 접촉지지하는 메인 지지벽(31a)과, 메인 지지벽(31a)이 하측 테두리에서 연장된 체결부(31b)와, 덮개부(31c) 및 클램핑부(31d)를 구비한다. 상기 체결부(31b)에는 나사공이 형성되며, 이 나사공을 통과하도록 스크류를 본체(11)에 체결하여 지지브라켓(31)을 본체(11)에 체결하게 된다. 상기 덮개부(31c)는 메인 지지벽(31a)이 상부테두리로부터 드라이브(20)의 상면(23)쪽으로 굴곡 연장된다. 따라서, 덮개부(31c)는 드라이브(20)의 상면(23)을 접촉 지지한다. 이러한 덮개부(31c)는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게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각 덮개부(31c)는 서로 다른 높이에서 절곡될 수 있다. 즉, 접촉 지지하는 드라이브(20)의 상면(23)의 형상 및 형태에 따라서, 덮개부(31c)의 높이는 적절히 설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0)의 형상을 대략 육면체의 모양으로 도시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본체(11)의 형상 및 사이즈에 따라서 드라이브(20)의 외형은 달라질 수 있다.
한편, 드라이브(20)의 모서리부 각각에는 상하면을 관통하는 가이드공(20a)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공(20a) 각각에 대응되게 본체(11)의 내측면에는 복수의 가이드보스(35)가 소정 높이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공(20a)에 가이드보스(35)가 통과하도록 드라이브(20)가 위치 결정되어 지지된다. 상기 덮개부(31c)에는 상기 가이드공(20a)에 대응되는 구멍이 형성된다. 따라서, 가이드공(20a)을 통과하여 상면(23)으로 돌출된 가이드보스(35)가 덮개부(31c)의 구멍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클램핑부(31d)는 드라이브(20)의 일측 모서리부를 감싸서 클램핑하도록 메인 지지벽(31a)의 일단부에 일체로 형성된다. 즉, 클램핑부(31d)는 지지벽(31a)의 상부 및 하부 모서리부와 단부로부터 각각 드라이브(20) 쪽으로 절곡 형성된다. 따라서, 클램핑부(31d)는 드라이브(20) 모서리부의 상면(23)이 하면, 그리고 제1측면(21)과 제3측면(24)을 각각 접촉 지지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제1지지브라켓(31)은 드라이브(20)의 일측을 접촉 지지하되, 한쪽 모서리부는 클램핑부(31d)를 이용하여 모두 감싸서 지지함으로서 충격의 흡수를 효과적으로 한다. 반면에, 제1지지브라켓(31)은 드라이브(20)의 클램핑된 모서리부 반대측은 상면(23)에서만 접촉 지지함으로서 흡수된 충격이 재차 드라이브(20)의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지지브라켓(33)은 메인 지지벽(33a)과, 체결부(33b)와, 덮개부(33c)와, 클램핑부(33d)를 가진다. 상기 메인 지지벽(33a)은 드라이브(20)의 제2측면(22)을 접촉 지지한다. 체결부(33b)는 메인 지지벽(33a)의 하측 테두리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며, 나사공을 가진다. 물론, 본체(11)에는 체결부(33)가 스크류에 의해 체결되는 체결보스(37)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덮개부(33c)는 메인 지지벽(33a)의 상측 테두리에서 절곡 연장되어 드라이브(20)의 상면을 접촉 지지한다. 이 덮개부(33c)에도 상기 가이드공(20a)에 대응되는 구멍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덮개부(33c)는 복수개가 마련되며, 그중 어느 하나는 드라이브(20)의 모서리부를 덮도록 배치되는 것이 좋다.
상기 클램핑부(33d)는 제1지지브라켓(31)의 클램핑부(31d)에 대응되는 형상으로서, 드라이브(20)의 모서리부를 감싸서 접촉 지지한다. 이러한 클램핑부(33d)의 형상 및 구조를 상기 클램핑부(31d)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상기 각 클램핑부(31d)(33d)가 드라이브(20)의 모서리부를 감싸서 지지하도록 드라이브(20)에 지지브라켓(31)(33)을 결합한다. 이 상태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드라이브(20)의 모서리부에 형성된 가이드공(20a)이 가이드보스(35)에 끼워지도록 본체(11)의 내측에 안착시킨다. 이 상태에서, 상기 체결부(31b,33b) 각각을 스크류를 이용하여 본체(11)에 체결하면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0)의 조립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0)를 본체(11)에 직접 체결하지 않고, 별도의 지지유닛(30)을 이용하여 설치하게 되면, 본체(11)의 충격이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0)로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지지유닛의 구조가 단순하여 조립이 간단하다.
또한, 충격흡수를 위한 별도의 댐핑부재나 스프링 등을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되므로, 휴대 가능한 포터블 제품의 특성상 소형화, 슬림화되는 추세에 맞추어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0)를 채용하기 위한 공간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각 지지브라켓(31,33) 각각은 한곳의 체결부(31b.33b)를 통해 본체(11)에 지지되므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0)는 본체(11)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소정 높이 떠있는 자세로 지지된다. 그리고,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0)는 가이드보스(35)에 의해 움직임이 가이드된다. 따라서, 본체(11)에 진동 및 충격이 발생하더라도, 그 진동 및 충격은 각 지지브라켓(31,33)의 체결부(31b,33b)로 전달된 뒤, 다시 메인 지지벽(31a,33a)을 통해 드라이브(20)로 전달된다. 따라서, 전달되는 과정에서 대부분의 진동 및 충격은 흡수되어 실질적으로 드라이브(20)에는 기기의 손상이 발생되지 않을 정도로 감소하여 전달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영상 및 음성정보 기록/재생장치에 따르면,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를 본체에 직접 체결하지 않고 지지유닛을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지지시킴으로서, 충격 및 진동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지지유닛은 본체에 대해 어느 정도 유동성을 갖도록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를 지지함으로서, 지지유닛을 통해 전달된 충격 및 진동에 의해 파손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및 음성정보 기록/재생장치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2에 도시된 영상 및 음성정보 기록/재생장치를 나타내 보인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요부를 발췌하여 나타내 보인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상태에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가 지지유닛에 의해 본체에 체결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본체 13..카메라유닛
15..디스플레이유닛 20..하드디스크 드라이브
30..지지유닛 31,33..제1 및 제2지지브라켓
35..가이드보스 40..스토리지

Claims (8)

  1.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며, 영상 및 음성을 포착하는 카메라유닛과;
    상기 카메라유닛으로부터 포착된 영상 및 음성을 저장하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와;
    상기 본체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를 지지하여 본체로부터의 충격이 상기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로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및 음성정보 기록/재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본체에 결합되며, 상기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일측을 접촉 지지하는 제1지지브라켓과;
    상기 본체에 결합되며, 상기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타측을 접촉 지지하는 제2지지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및 음성정보 기록/재생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지지브라켓은,
    상기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측면을 지지하는 메인 지지벽과;
    상기 메인 지지벽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며, 상기 본체에 체결되는 체결부와;
    상기 메인 지지벽에서 절곡연장되며, 상기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상면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덮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및 음성정보 기록/재생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지지브라켓은,
    상기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모서리부를 감싸서 지지하는 클램핑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및 음성정보 기록/재생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부는, 상기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모서리부를 이루는 상하면과, 측면들 각각을 접촉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및 음성정보 기록/재생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는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공을 가지며,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본체의 내측면에서 돌출형성되어 상기 가이드공에 상대적으로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및 음성정보 기록/재생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공은 상기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모서리부 각각에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보스는 상기 각 모서리부의 가이드공에 대응되게 상기 본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및 음성정보 기록/재생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는 상하면을 관통하는 가이드공을 가지며,
    상기 본체에는 상기 가이드공을 통과하여 상기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상면으로 노출되는 가이드보스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보스는 상기 가이드공을 통과하여 상기 하드디스크의 상면으로 돌출되며,
    상기 덮개부에에는 상기 가이드공을 통과한 가이드보스가 끼워지는 결합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및 음성정보 기록/재생장치.
KR1020030098817A 2003-12-29 2003-12-29 영상 및 음성정보 기록/재생장치 KR200500677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8817A KR20050067797A (ko) 2003-12-29 2003-12-29 영상 및 음성정보 기록/재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8817A KR20050067797A (ko) 2003-12-29 2003-12-29 영상 및 음성정보 기록/재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7797A true KR20050067797A (ko) 2005-07-05

Family

ID=37258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8817A KR20050067797A (ko) 2003-12-29 2003-12-29 영상 및 음성정보 기록/재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6779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1111877A (ja) 光ディスク付きビデオカメラ
US7660522B2 (en) Camera with display panel
CN101867757B (zh) 视频、音频数据记录和重放设备
JP2001111877A5 (ko)
US20070165996A1 (en) Electronic apparatus
US2006002661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liance
JP2004120598A (ja) 音響部品の保持構造および携帯型電子機器
JP2004007214A (ja) 撮像装置
JP4662165B2 (ja) 電子機器
JP4193840B2 (ja) 電子機器
KR20050067797A (ko) 영상 및 음성정보 기록/재생장치
US2006008069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liance
JPH1164928A (ja) ディジタルメモリ付きカメラ
JP4580643B2 (ja) 映像および音声情報記録再生装置
KR100826242B1 (ko) 폴더형 화상 촬영장치
CN100379261C (zh) 图像拍摄装置
JPH062376Y2 (ja) カメラの再生装置
JP2007164884A (ja) 携帯通信端末
JP2007101898A (ja) 携帯型音楽再生装置及び音楽再生システム
KR100573695B1 (ko) 영상 촬영장치
JP2006287701A (ja) 電子カメラ
JPH01220980A (ja) 静止画記録装置
JP2002247432A (ja) デジタルスチルカメラ
JPH11252415A (ja) ビデオカメラ
JP2009065690A (ja) 記録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