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67172A - 폴리아미드 - Google Patents
폴리아미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50067172A KR20050067172A KR1020057005998A KR20057005998A KR20050067172A KR 20050067172 A KR20050067172 A KR 20050067172A KR 1020057005998 A KR1020057005998 A KR 1020057005998A KR 20057005998 A KR20057005998 A KR 20057005998A KR 20050067172 A KR20050067172 A KR 2005006717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lyamide
- hydroxy group
- acid
- compound
- polyamides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9/02—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9/02—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C08G69/08—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9/02—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C08G69/08—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 C08G69/14—Lactam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9/02—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C08G69/08—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 C08G69/14—Lactams
- C08G69/16—Preparatory processes
- C08G69/18—Anionic polymerisa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9/48—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8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mixtures of polycondensation products as major constituent with other polymers or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D01F6/9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mixtures of polycondensation products as major constituent with other polymers or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of polyamid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olyamides (AREA)
Abstract
하나 이상의 히드록시기를 갖고 아미드기에 의해 중합체 사슬의 말단에 대한 화학 결합을 갖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폴리아미드, 폴리아미드의 제조 방법, 및 1 종 이상의 상기 폴리아미드를 포함하는 섬유, 필름 및 성형체.
Description
실시예에서, 용액 점도는 DIN 51562-1 내지 4에 따라 96% 황산 중 상대 용액 점도로서 측정되었다.
이를 위해, 중합체 1 g을 용액 100 mL이 되게하고, Ubbelohde 점도계로 순수 용매와 비교하여 통과 시간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1>
카프로락탐 350 g (3.1 ㏖), 탈염수 35 g, 및 6-히드록시카프로산 (순도 95%) 1.6 g (8*10-3 ㏖)을 실험실 오토클레이브 내에서 270 ℃의 내부 온도로 질소 하에서 가열하고, 이어서 즉시 1 시간 이내에 대기압으로 감압하고, 60 분 동안 후-축합하고, 방출시켰다.
방출된 폴리아미드를 과립화하고, 끓는 물로 추출하여 카프로락탐 및 올리고머를 제거하고, 이어서 진공 건조 캐비넷에서 건조시켰다. 건조된 추출 과립은 고체 상태에서 160 ℃에서 다양한 시간 (5 시간, 10 시간, 20 시간, 30 시간) 동안 열처리되었다.
표 1은 다양한 열처리 시간 후에 생성된 상대 용액 점도를 나타낸다.
열처리 시간 | 0 시간 | 10 시간 | 15 시간 | 20 시간 | 30 시간 |
상대 용액 점도 | 2.47 | 2.74 | 2.83 | 2.86 | 3.00 |
<실시예 2>
실시예 1의 4 가지 폴리아미드 시편의 용융 거동이 연구되었다. 이를 위해 250 ℃에서 진동 전단 측정을 하였고 ISO 11433에 따라 용융 점도 측정을 실행하였다. 제로-전단 점도 η0, 즉 제로 전단에서의 용융 점도는 Schulz-Flory 분포를 갖는 선형 폴리아미드의 경우 몰 질량 Mn의 함수이다.
η0 ~ Mn 3.5
몰 질량은 광 산란으로 측정된다. 도 1은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폴리아미드가 선형임을 나타낸다.
<실시예 3>
다음의 혼합물: 카프로락탐 400 kg (3571 ㏖), 탈염수 40 kg, 및 6-히드록시카프로산 1.06 kg (8 ㏖)을 사용하여 압력 용기에서 실시예 1을 반복하여 실시하였다. 방출된 폴리아미드를 추출하고, 건조시키고 고체 상태에서 상대 용액 점도 RV = 2.72로 열처리하였다. 이어서 압출기를 사용하여 OCF 123 D 10 P 유리 섬유 (OCF 제품) 30 중량% 및 Lupolen KR 1270 고무 (BASF Aktiengesellschaft 제품) 7 중량%를 물질로 컴파운딩하였다 (비율은 최종 컴파운딩된 물질을 기준으로 함). 컴파운딩 후 상대 용액 점도는 2.80이었다.
<비교예>
6-히드록시카프로산 대신에 프로피온산 0.592 kg (8 ㏖)을 사용하여 실시예 3을 반복하여 실행하였다.
컴파운딩 후에 상대 용액 점도는 2.79였다.
<ISO 1133에 따른 용융 체적 흐름 비율 (MVR) 측정>
실시예 3 및 비교예의 컴파운딩된 물질에 대해 ISO 1133에 대해 용융 체적 유속 (MVR) 측정을 수행하였다. 여기서 용융 온도는 275 ℃이고 램 (ram) 중량은 5 kg이었다.
도 2는 용융물의 다양한 체류 시간 동안 용융 체적 유속의 비교를 나타낸다.
실시예 3 및 비교예의 컴파운딩된 물질에 대해 두 유형의 흐름 소용돌이 (직경 1.5 mm, 2 mm)의 유동성을 시험하였다. 소용돌이 (spiral)의 온도는 280 ℃였다. 흐름 경로를 cm로 측정하였다. 아래 표 2는 측정치를 나타낸다.
실시예 4 | 비교예 | |
흐름 소용돌이 (1.5 mm) | 26.9 cm | 24.5 cm |
흐름 소용돌이 (2 mm) | 41.4 cm | 38.8 cm |
<설명>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히드록시기를 갖고 아미드기에 의해 중합체 사슬의 말단에 대한 화학 결합을 갖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폴리아미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폴리아미드의 제조 방법, 및 1 종 이상의 상기 폴리아미드를 포함하는 섬유, 필름 및 성형체에 관한 것이다.
폴리아미드, 특히 나일론-6, 및 나일론-6,6은 산업적으로 중요한 중합체이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물의 존재 하에 적절한 단량체 예컨대 카프로락탐, 아디프산, 또는 헥사메틸렌디아민을 반응시켜 제조된다.
추가 조치가 취해지지 않을 경우에는 사출 성형과 같은 하류 가공 단계 동안 조절되지 않는 분자량 증가를 겪는 경향이 있으므로 가공성을 저해하는 폴리아미드가 수득된다. 특히, 용융 점도의 증가 (EN ISO 1133에 따라 용융 체적 유속 (melt volume flow rate)의 감소로 측정됨)가 발생하며, 그 결과 예컨대 사출 성형에서 더 긴 싸이클 시간을 초래한다.
이러한 유형의 조절되지 않는 분자량 증가에 대해 폴리아미드를 안정화시키기 위하여 중합체의 제조 동안 사슬 조절제, 예를 들어 프로피온산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사슬 조절제는 분자량 증가를 실질적으로 억제할 수 있으나 사출 성형에서 싸이클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해서는 DIN 51562-1 내지 4에 따라 측정한 상대 점도는 동일하게 유지시키면서 EN ISO 1133에 따른 폴리아미드의 용융 체적 유속을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의 방법으로 사슬-조절된 폴리아미드와 비교했을 때 DIN 51562-1 내지 4에 따라 측정한 상대 점도는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EN ISO 1133에 따른 더 높은 용융 체적 유속을 갖는 폴리아미드를 기술적으로 간단하고 비용-효과적인 방식으로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본 발명자들은 서두에 정의된 폴리아미드, 그 제조 방법, 및 1 종 이상의 상기 폴리아미드를 포함한 섬유, 필름, 및 성형체에 의해 상기 목적이 달성됨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폴리아미드는 주 중합체 사슬 중 실질적인 성분으로서 반복된 아미드기를 갖는 합성 장쇄 폴리아미드의 단일중합체, 공중합체, 혼합물, 및 그래프트이다. 상기 폴리아미드의 예로 나일론-6 (폴리카프로락탐), 나일론-6,6 (폴리헥사메틸렌아디프아미드), 나일론-4,6 (폴리테트라메틸렌아디프아미드), 나일론-6,10 (폴리헥사메틸렌세바스아미드), 나일론-7 (폴리엔안토락탐), 나일론-11 (폴리운데카노락탐), 나일론-12 (폴리도데카노락탐)이 있다. 상기 폴리아미드는 나일론이라는 일반적인 명칭으로 알려져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폴리아미드에는 또한 아라미드 (방향족 폴리아미드)로 알려진 것, 예컨대 폴리메타페닐렌이소프탈아미드 (NOMEX R Fiber, US-A-3,287,324), 및 폴리파라페닐렌테레프탈아미드 (KEVLAR R Fiber, US-A-3,671,542)가 포함된다.
폴리아미드는 원칙적으로 두 가지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디카르복실산과 디아민의 중합 반응, 또는 아미노산이나 그의 유도체, 예컨대 아미노카르복실산 니트릴, 아미노카르복스아미드, 아미노카르복실산 에스테르, 또는 아미노카르복실산 염의 중합 반응 동안, 출발 단량체 또는 출발 올리고머의 아미노 말단기와 카르복시 말단기는 서로 반응하여 아미드기 및, 예를 들어, 물을 형성한다. 이어서 중합체에서 물이 제거될 수 있다. 아미노카르복스아미드의 중합 반응 동안, 출발 단량체 또는 출발 올리고머의 아미노 말단기와 아미드 말단기는 서로 반응하여 아미드기 및 암모니아를 형성한다. 이어서 중합체에서 암모니아가 제거될 수 있다. 아미노카르복실산 에스테르의 중합 반응 동안, 출발 단량체 또는 출발 올리고머의 아미노 말단기와 에스테르 말단기는 서로 반응하여 아미드기와 알코올을 형성한다. 이어서 중합체에서 알코올이 제거될 수 있다. 아미노카르복실산 니트릴의 중합 반응 동안 니트릴기가 먼저 물과 반응하여 아미드기 또는 카르복실산기가 수득되고, 생성된 아미노카르복스아미드 또는 아미노카르복실산은 앞서 기술한 대로 반응할 수 있다. 상기 중합 반응을 일반적으로 중축합 반응이라 한다.
출발 단량체 또는 출발 올리고머로서 락탐의 중합 반응을 일반적으로 중부가 반응이라 한다.
폴리아미드는 락탐, 오메가-아미노카르복실산, 오메가-아미노카르보니트릴, 오메가-아미노카르복스아미드, 오메가-아미노카르복실산 염, 오메가-아미노카르복실산 에스테르, 동일한 몰량의 디아민과 디카르복실산, 디카르복실산/디아민염, 디니트릴과 디아민의 혼합물, 또는 상기 단량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단량체로부터 예를 들어 DE-A-14 95 198, DE-A-25 58 480, EP-A-129 196 또는 문헌 [Polymerization Processes, Interscience, New York, 1977, pp. 424-467, 특히 pp. 444-446]에 기술된 바와 같은 공지 방법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단량체는
단량체 또는 올리고머 형태로 C2-C20, 바람직하게는 C2-C18 아릴지방족 또는 바람직하게는 지방족 락탐, 예컨대, 엔안토락탐, 운데카노락탐, 도데카노락탐 또는 카프로락탐,
단량체 또는 올리고머 형태로 C2-C20, 바람직하게는 C3-C18 아미노카르복실산, 예를 들어 6-아미노카프로산, 11-아미노운데칸산, 및 이들의 염, 예컨대 리튬염, 나트륨염, 칼륨염과 같은 알칼리 금속염,
단량체 또는 올리고머 형태로 C2-C20, 바람직하게는 C3-C18 아미노카르보니트릴, 예컨대 6-아미노카프로니트릴, 11-아미노운데카노니트릴,
단량체 또는 올리고머 형태로 C2-C20 아미노카르복스아민, 예컨대 6-아미노카프라미드, 11-아미노운데카노아미드,
C2-C20, 바람직하게는 C3-C18 아미노카르복실산의 에스테르, 바람직하게는 C1-C4-알킬 에스테르, 예를 들어,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이소부틸, sec-부틸 에스테르, 예를 들어 메틸 6-아미노카프로에이트와 같은 6-아미노카프로에이트, 메틸 11-아미노운데카노에이트와 같은 11-아미노운데카노에이트,
단량체 또는 올리고머 형태로 C2-C20, 바람직하게는 C2-C12 알킬디아민, 예컨대 테트라메틸렌디아민 또는 바람직하게는 헥사메틸렌디아민과, C2-C20, 바람직하게는 C2-C14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또는 그의 모노- 또는 디니트릴, 예를 들어 세박산, 도데칸이산, 아디프산, 세바코니트릴, 데카노니트릴, 또는 아디포니트릴,
단량체 또는 올리고머 형태로 C2-C20, 바람직하게는 C2-C12 알킬디아민, 예를 들어 테트라메틸렌디아민 또는 바람직하게는 헥사메틸렌디아민과, C8-C20, 바람직하게는 C8-C12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또는 그의 유도체, 예컨대 클로라이드, 예를 들어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및 바람직하게는 이소프탈산 또는 테레프탈산,
단량체 또는 올리고머 형태로 C2-C20, 바람직하게는 C2-C12 알킬디아민, 예를 들어 테트라메틸렌디아민 또는 바람직하게는 헥사메틸렌디아민과, C9-C20, 바람직하게는 C9-C18 아릴지방족 디카르복실산 또는 그의 유도체, 예컨대, 클로라이드, 예를 들어 o-, m-, p-페닐렌디아세트산,
단량체 또는 올리고머 형태로 C6-C20, 바람직하게는 C6-C10 방향족 디아민, 예를 들어 m- 및 p-페닐렌디아민과, C2-C20, 바람직하게는 C2-C14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또는 그의 모노- 또는 디니트릴, 예를 들어 세박산, 도데칸이산, 아디프산, 세바코니트릴, 데카노니트릴, 또는 아디포니트릴,
단량체 또는 올리고머 형태로 C6-C20, 바람직하게는 C6-C10 방향족 디아민, 예를 들어 m- 및 p- 페닐렌디아민과, C8-C20, 바람직하게는 C8-C12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또는 그의 유도체, 예컨대 클로라이드, 예를 들어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및 바람직하게는 이소프탈산 또는 테레프탈산,
단량체 또는 올리고머 형태로 C6-C20, 바람직하게는 C6-C10 방향족 디아민, 예를 들어 m-, p-페닐렌디아민과, C9-C20, 바람직하게는 C9-C18 아릴지방족 디카르복실산 또는 그의 유도체, 예컨대 클로라이드, 예를 들어, o-, m-, 및 p-페닐렌디아세트산,
단량체 또는 올리고머 형태로 C7-C20, 바람직하게는 C8-C18 아릴지방족 디아민, 예를 들어 m- 및 p-크실렌디아민과, C2-C20, 바람직하게는 C2-C14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또는 그의 모노- 또는 디니트릴, 예를 들어 세박산, 도데칸이산, 아디프산, 세바코니트릴, 데카노니트릴 및 아디포니트릴,
단량체 또는 올리고머 형태로 C7-C20, 바람직하게는 C8-C18 아릴지방족 디아민, 예를 들어 m- 및 p-크실렌디아민과, C6-C20, 바람직하게는 C6-C10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또는 그의 유도체, 예컨대 클로라이드, 예를 들어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및 바람직하게는 이소프탈산 또는 테레프탈산,
단량체 또는 올리고머 형태로 C7-C20, 바람직하게는 C8-C18 아릴지방족 디아민, 예를 들어 m- 및 p-크실렌디아민과, C9-C20, 바람직하게는 C9-C18 아릴지방족 디카르복실산 또는 그의 유도체, 예컨대 클로라이드, 예를 들어 o-, m-, 및, p-페닐렌디아세트산,
및 또한 상기 출발 단량체 또는 출발 올리고머의 단일중합체, 공중합체, 혼합물, 및 그래프트이다.
사용될 수 있는 특정 올리고머는 앞서 언급한 단량체 또는 이러한 단량체의 혼합물의 이합체, 삼합체, 사합체, 오합체, 및 육합체이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사용된 락탐은 카프로락탐이고, 사용된 디아민은 테트라메틸렌디아민, 헥사메틸렌디아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고, 사용된 디카르복실산은 아디프산, 세박산, 도데칸이산,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디아민으로서 헥사메틸렌디아민, 및 디카르복실산으로서 아디프산 또는 테레프탈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마찬가지로 락탐으로서 카프로락탐이 특히 바람직하다.
중합 반응 동안 폴리아미드 나일론-6, 나일론-6,6, 나일론-4,6, 나일론-6,10, 나일론-6,12, 나일론-7, 나일론-11, 나일론-12 또는 아라미드 폴리메타페닐렌이소프탈아미드 또는 폴리파라페닐렌테레프탈아미드, 특히 나일론-6, 나일론-6,6을 생성하는 출발 단량체 또는 출발 올리고머가 특히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폴리아미드의 제조 동안 1 종 이상의 사슬 조절제를 사용할 수 있다. 사슬 조절제로서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는 화합물은 하나 이상, 예를 들어 2, 3 또는 4 개의 아미노기 또는 카르복시기, 섬유 형태로 폴리아미드를 형성하는 계의 경우 바람직하게는 2 개의 반응성 아미노기 또는 섬유 형태로 폴리아미드를 형성하는 계의 경우 바람직하게는 2 개의 반응성 카르복시기를 갖는 화합물이다.
첫번째 경우에 폴리아미드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단량체 및 사슬 조절제는 중합체 사슬 형성에 사용되는 카르복실산 또는 그 등가물 보다 많은 중합체 사슬 형성에 사용되는 아민기 또는 그 등가물을 갖는 폴리아미드를 생성한다.
두번째 경우에 폴리아미드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단량체 및 사슬 조절제는 중합체 사슬 형성에 사용되는 아민기 또는 그 등가물 보다 많은 중합체 사슬 형성에 사용되는 카르복실산 또는 그 등가물을 갖는 폴리아미드를 생성한다.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는 사슬 조절제는 모노카르복실산, 예를 들어 아세트산 및 프로피온산과 같은 알칸카르복실산, 및 벤젠- 또는 나프탈렌모노카르복실산, 예컨대 벤조산, 및 C4-C10 알칸디카르복실산 (예를 들어 아디프산, 아젤라산, 세박산, 도데칸이산), C5-C8 시클로알칸디카르복실산 (예를 들어 시클로헥산-1,4-디카르복실산)과 같은 디카르복실산, 또는 벤젠- 또는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예컨대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나프탈렌-2,6-디카르복실산, 및 C2-C20, 바람직하게는 C2-C12 알킬아민 (예를 들어, 시클로헥실아민) , C6-C20, 바람직하게는 C6-C10 방향족 모노아민 (예를 들어 아닐린), 또는 C7-C20, 바람직하게는 C8-C18 아릴지방족 모노아민 (예를 들어 벤질아민), 및 C4-C10 알칸디아민 (예를 들어 헥사메틸렌디아민)이다.
사슬 조절제는 예를 들어 지방족기, 바람직하게는 C1-C8-알킬기, 예컨대 메틸, 에틸, 이소프로필, n-프로필, n-부틸, 이소부틸, sec-부틸, n-펜틸, n-헥실, n-헵틸, n-옥틸, 2-에틸헥실, OH, =O, C1-C8-알콕시, COOH, C2-C6-카르브알콕시, C1-C10-아실옥시, 또는 C1-C8-알킬아미노, 또는 술폰산 또는 그의 염, 예컨대 알칼리 금속염 또는 알칼리토금속염, 시아노, 또는 할로겐, 예컨대 불소, 염소, 브롬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 될 수 있다. 치환된 사슬 조절제의 예는 술포이소프탈산, 이의 알칼리 금속염 또는 알칼리토금속염, 예컨대 리튬염, 나트륨염, 또는 칼륨염, 술포이소프탈산 에스테르, 예를 들어 C1-C16-알카놀과의 에스테르, 및 술포이소프탈산 모노- 또는 디아미드, 특히 폴리아미드를 형성하기에 적합하고 하나 이상의 아미노기를 갖는 단량체, 예를 들어 헥사메틸렌디아민 또는 6-아미노카프로산과의 아미드이다.
바람직한 사슬 조절제는 하기 화학식의 입체 장애형 피페리딘 유도체이다.
[상기 식에서 R1은 폴리아미드 중합체 사슬에서 아미드를 형성할 수 있는 관능기, 바람직하게는 -(NH)R5기 (R5는 수소 또는 C1-C8-알킬임)이거나 카르복시기, 또는 카르복시 유도체 또는 -(CH2)x(NH)R5기 (x는 1 내지 6, R5는 수소 또는 C1-C8-알킬임)이거나 -(CH2)yCOOH기 (y는 1 내지 6임)이거나 -(CH2)yCOOH의 산 유도체 (y는 1 내지 6임)이며, 특히 -NH2기이고,
R2는 알킬기, 바람직하게는 C1-C4-알킬기, 예컨대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이소부틸, sec-부틸, 특히 메틸기이고,
R3는 수소, C1-C4-알킬, 또는 O-R4 (R4는 수소 또는 C1-C7-알킬임), 특히 수소임]
이러한 유형의 화합물에서, 입체 장애는 일반적으로 피페리딘 고리계의 삼차, 및 특히 이차 아미노기의 반응을 방해한다.
특히 바람직한 입체 장애형 피페리딘 유도체는 4-아미노-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이다.
사슬 조절제는 폴리아미드의 아미드기 1 ㏖을 기준으로 0.001 ㏖% 이상, 바람직하게는 0.01 ㏖% 이상, 특히 0.03 ㏖%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0.08 ㏖% 이상의 양으로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사슬 조절제는 폴리아미드의 아미드기 1 ㏖을 기준으로 2.0 ㏖% 이하, 바람직하게는 1 ㏖% 이하, 특히 0.6 ㏖%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0.5 ㏖% 이하의 양으로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폴리아미드는 하나 이상의 히드록시기를 갖고 아미드기에 의해 중합체 사슬의 말단에 대한 화학 결합을 갖는 화합물을 함유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서, 하나 이상의 히드록시기를 갖는 화합물이란 또한 하나 이상의 히드록시기를 갖는 상기 화합물의 혼합물도 의미한다.
하나 이상의 히드록시기를 갖는 화합물은 하나 이상, 예를 들어 2, 3, 4, 5, 또는 6 개의 히드록시기, 바람직하게는 1, 2 또는 3개의 히드록시기, 특히 하나의 히드록시기를 갖는다.
하나 이상의 히드록시기를 갖는, 사용된 화합물은 유리하게는 하나 이상의 히드록시기를 갖는 모노카르복실산이다.
하나 이상의 히드록시기를 갖는, 사용된 화합물은 유리하게는 하나 이상의 히드록시기를 갖는 모노아민이다.
하나 이상의 히드록시기를 갖는, 사용된 화합물은 유리하게는 하나 이상의 말단 히드록시기를 갖는 화합물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히드록시기를 갖는 화합물이 하나 이상의 히드록시기를 갖는 모노아민인 경우, 특이 선형, 비분지형 알칸모노아민이 사용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히드록시기를 갖는 화합물이 하나 이상의 히드록시기를 갖는 모노카르복실산인 경우, 특이 선형, 비분지형 알칸모노카르복실산, 특히 바람직하게는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HO-(CH2)n-COOH
(상기 식에서, n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또는 15, 특히 n = 5임)
하나 이상의 히드록시기를 갖는 모노카르복실산은 제조 방법과 마찬가지로 알려져 있다.
하나 이상의 히드록시기를 갖는 모노아민은 제조 방법과 마찬가지로 알려져 있다.
하나 이상의 히드록시기를 갖는 화합물의 함량은 폴리아미드의 아미드기 1 ㏖을 기준으로 유리하게는 0.001 ㏖% 이상, 바람직하게는 0.01 ㏖% 이상, 특히 0.03 ㏖%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0.08 ㏖% 이상이다.
하나 이상의 히드록시기를 갖는 화합물의 함량은 폴리아미드의 아미드기 1 ㏖을 기준으로 유리하게는 2.0 ㏖% 이하, 바람직하게는 1 ㏖% 이하, 특히 0.6 ㏖%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0.5 ㏖% 이하이다.
본 발명의 폴리아미드는 하나 이상의 히드록시기를 갖는 화합물 또는 폴리아미드 제조를 위한 반응 조건 하에서 하나 이상의 히드록시기를 갖는 화합물을 이용하는 화합물의 존재 하에 폴리아미드 형성에 적합한 단량체, 올리고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반응시켜 수득할 수 있다.
폴리아미드 제조를 위한 반응 조건 하에서 하나 이상의 히드록시기를 갖는 모노카르복실산을 이용하기 위해서 사용된 화합물은 하나 이상의 히드록시기가 반응 조건 하에서 이용되는 화합물일 수 있다. 반응 조건 하에서 카르복실산기가 이용되는 화합물, 예를 들어 니트릴, 에스테르, 또는 아미드가 사용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히드록시기를 갖는 모노카르복실산을 이용하도록 폴리아미드 제조를 위한 반응 조건 하에서 사용된 화합물은 하나 이상의 히드록시기 및 카르복실산기가 반응 조건 하에서 이용되는 화합물이다.
폴리아미드 제조를 위한 반응 조건 하에서 하나 이상의 히드록시기를 갖는 모노아민을 이용하기 위해서 사용된 화합물은 하나 이상의 히드록시기가 반응 조건 하에서 이용되는 화합물일 수 있다. 반응 조건 하에서 아민기가 이용되는 화합물, 예컨대 아미드가 사용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히드록시기를 갖는 모노아민을 이용하도록 폴리아미드 제조를 위한 반응 조건 하에서 사용될 수 있는 다른 화합물은 하나 이상의 히드록시기 및 아민기가 반응 조건 하에서 이용되는 화합물이다.
본 발명의 폴리아미드 제조에 있어서 예를 들어 DE-A-14 95 198, DE-A-25 58 480, EP-A-129 196, DE-A-19 709 390, DE-A-35 34 817, WO 99/38908, WO 99/43734, WO 99/43732, WO 00/24808, WO 01/56984 또는 문헌 [Polymerization Processes, Interscience, New York, 1977, pp. 424-467, 특히, pp. 444-446]에 기술된 상응하는 단량체로부터 폴리아미드를 제조하는 통상적인 공정 조건을 이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중합 또는 중축합 반응은 하나 이상의 안료의 존재 하에 본 발명의 공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바람직한 안료는 바람직하게는 아나타제 또는 루틸 결정 형태로, 이산화티타늄, 또는 무기 또는 유기 착색제 화합물이다. 안료는 각각의 경우에 폴리아미드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0 내지 5 중량부, 특히 0.02 내지 2 중량부의 양으로 첨가된다. 안료는 출발물질과 함께 또는 별도로 반응기에 도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아미드는 상기 폴리아미드를 포함하거나 또는 특히 상기 폴리아미드로 구성된 섬유, 필름, 또는 성형체를 제조하는데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2)
- 하나 이상의 히드록시기를 갖고 아미드기에 의해 중합체 사슬의 말단에 대한 화학 결합을 갖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폴리아미드.
- 제 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히드록시기를 갖는 화합물이 모노카르복실산인 폴리아미드.
- 제 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히드록시기를 갖는 화합물이 모노아민인 폴리아미드.
-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히드록시기를 갖는 화합물이 하나 이상의 말단 히드록시기를 갖는 폴리아미드.
- 제 2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말단 히드록시기를 갖는 화합물이 하나 이상의 말단 히드록시기를 갖는 선형, 비분지형 알칸모노카르복실산인 폴리아미드.
- 제 3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말단 히드록시기를 갖는 화합물이 하나 이상의 말단 히드록시기를 갖는 선형, 비분지형 알칸모노아민인 폴리아미드.
- 제 5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말단 히드록시기를 갖는 모노카르복실산이 화학식 HO-(CH2)n-COOH (n=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또는 15)을 갖는 폴리아미드.
- 제 5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말단 히드록시기를 갖는 모노카르복실산이 화학식 HO-(CH2)5-COOH을 갖는 폴리아미드.
-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히드록시기를 갖는 화합물의 함량이 폴리아미드의 아미드기 1 ㏖을 기준으로 0.001 ㏖% 내지 2 ㏖%인 폴리아미드.
-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하나 이상의 히드록시기를 갖는 화합물의 존재 하에 폴리아미드를 형성하기에 적합한 단량체를 반응시켜 폴리아미드를 수득하는 것을 포함하는 폴리아미드 제조 방법.
-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하나 이상의 히드록시기를 갖는 화합물의 존재 하에 폴리아미드를 형성하기에 적합한 올리고머를 반응시켜 폴리아미드를 수득하는 것을 포함하는 폴리아미드 제조 방법.
-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폴리아미드를 포함하는 섬유, 필름 또는 성형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DE10250767.8 | 2002-10-30 | ||
DE10250767A DE10250767A1 (de) | 2002-10-30 | 2002-10-30 | Polyamid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67172A true KR20050067172A (ko) | 2005-06-30 |
KR100973620B1 KR100973620B1 (ko) | 2010-08-02 |
Family
ID=32185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7005998A KR100973620B1 (ko) | 2002-10-30 | 2003-10-28 | 폴리아미드 |
Country Status (17)
Country | Link |
---|---|
US (1) | US8268955B2 (ko) |
EP (1) | EP1558668B1 (ko) |
JP (1) | JP4282600B2 (ko) |
KR (1) | KR100973620B1 (ko) |
CN (1) | CN1305929C (ko) |
AR (1) | AR041721A1 (ko) |
AT (1) | ATE373034T1 (ko) |
AU (1) | AU2003301676A1 (ko) |
BR (1) | BR0315276B1 (ko) |
CA (1) | CA2503850A1 (ko) |
DE (2) | DE10250767A1 (ko) |
ES (1) | ES2290555T3 (ko) |
MX (1) | MX258179B (ko) |
MY (1) | MY136921A (ko) |
PL (1) | PL377054A1 (ko) |
TW (1) | TW200415180A (ko) |
WO (1) | WO2004039861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51763B1 (ko) * | 2008-09-26 | 2014-01-14 | 로디아 오퍼레이션스 | 개질된 폴리아미드, 그의 제조 방법 및 상기 폴리아미드로 수득된 물품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3033102A1 (en) * | 2001-10-19 | 2003-04-24 | Varco I/P, Inc. | A method of making a screen for a vibratory separator, a screen and an apparatus for making a screen |
DE10250767A1 (de) | 2002-10-30 | 2004-06-17 | Basf Ag | Polyamide |
FR2947823B1 (fr) * | 2009-07-09 | 2012-12-28 | Rhodia Operations | Article polyamide composite |
KR102049492B1 (ko) * | 2019-04-03 | 2019-11-27 | 김윤춘 | 임시 적재장치를 이용한 벽돌 제조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2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264293A (en) | 1938-09-29 | 1941-12-02 | Du Pont | Viscosity stabilization of polyamides |
US2264298A (en) * | 1939-09-25 | 1941-12-02 | George W Crabtree | Coil spring suspension for automobiles |
GB1266381A (ko) * | 1968-06-06 | 1972-03-08 | ||
US3924023A (en) * | 1973-04-03 | 1975-12-02 | Gaf Corp | Floor tile production and products |
NL185519C (nl) * | 1976-12-23 | 1990-05-01 | Schering Ag | Werkwijze voor het bereiden van smeltlijmen voor textiel en gevormde voortbrengselen. |
US4617235A (en) * | 1983-05-23 | 1986-10-14 | Unitika Ltd. | Antistatic synthetic fibers |
JPS6033002A (ja) * | 1983-08-04 | 1985-02-20 | Japan Servo Co Ltd | 位置センサ− |
CS254355B1 (en) * | 1985-04-10 | 1988-01-15 | Vladimir Saudek | Soluble and biodegradatable copolymeres activated for bond of biologicaly active substances |
JPH0684420B2 (ja) * | 1986-12-26 | 1994-10-26 |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 活性エネルギ−線硬化性樹脂組成物 |
JPH01167329A (ja) * | 1987-12-23 | 1989-07-03 | Idemitsu Kosan Co Ltd | ポリエステル、ポリエステルアミドまたはポリアミドの製造法 |
DE3921164A1 (de) * | 1989-06-28 | 1991-01-10 | Bayer Ag | Hochmolekulare (co)polyamide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
GB8916039D0 (en) * | 1989-07-13 | 1989-08-31 | Courtaulds Coatings Ltd | Coatings compositions |
CA2020492A1 (en) * | 1989-07-17 | 1991-01-18 | Matthew B. Hoyt | Polyamide fibers having reduced amino end groups, light-dyed and stain resistant polyamide fibers made therefrom, and method of preparation |
JPH04353519A (ja) * | 1991-05-31 | 1992-12-08 | Kawasaki Steel Corp | ポリエステルおよび/またはポリエステルアミドならびにその製造方法 |
JPH055030A (ja) * | 1991-06-21 | 1993-01-14 | Kawasaki Steel Corp | オーブン用耐熱食器 |
JPH0633002A (ja) * | 1992-07-16 | 1994-02-08 | Kansai Paint Co Ltd | 電着塗料組成物 |
JP2747784B2 (ja) * | 1994-03-23 | 1998-05-06 | 三洋化成工業株式会社 | 印刷インキ用バインダー |
US5686557A (en) * | 1994-09-21 | 1997-11-11 | Tomoegawa Paper Co., Ltd. | Polyamide resin which can be dissolved in alcohol solvent, composition thereof, and method of use thereof |
JP2001512783A (ja) * | 1997-08-08 | 2001-08-28 | ザ、プロクター、エンド、ギャンブル、カンパニー | 洗濯した布地の外観および状態を改良する、アミノ酸系重合体を含む洗濯用洗剤 |
US7105628B2 (en) * | 2002-08-27 | 2006-09-12 | Acushnet Company | Compositions for golf equipment |
DE10052875A1 (de) * | 2000-08-14 | 2002-02-28 | Bayer Ag | Wässrige Dispersionen |
JP4917719B2 (ja) * | 2000-08-30 | 2012-04-18 | 三洋化成工業株式会社 | 帯電防止剤及びこれを用いた樹脂組成物 |
BR0209444A (pt) * | 2001-05-15 | 2004-08-03 | Basf Ag | Sistema e processo para a preparação do mesmo |
DE10250767A1 (de) | 2002-10-30 | 2004-06-17 | Basf Ag | Polyamide |
-
2002
- 2002-10-30 DE DE10250767A patent/DE10250767A1/de not_active Withdrawn
-
2003
- 2003-10-24 AR ARP030103893A patent/AR041721A1/es unknown
- 2003-10-28 PL PL377054A patent/PL377054A1/pl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3-10-28 BR BRPI0315276-6B1A patent/BR0315276B1/pt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3-10-28 CN CNB2003801021679A patent/CN1305929C/zh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3-10-28 JP JP2004547574A patent/JP4282600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3-10-28 WO PCT/EP2003/011931 patent/WO2004039861A1/de active IP Right Grant
- 2003-10-28 AT AT03809735T patent/ATE373034T1/de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3-10-28 US US10/531,225 patent/US8268955B2/en active Active
- 2003-10-28 AU AU2003301676A patent/AU2003301676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3-10-28 CA CA002503850A patent/CA2503850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3-10-28 ES ES03809735T patent/ES2290555T3/es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3-10-28 KR KR1020057005998A patent/KR100973620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3-10-28 EP EP03809735A patent/EP1558668B1/de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3-10-28 DE DE50308194T patent/DE50308194D1/de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3-10-28 MX MXPA05003487 patent/MX258179B/es active IP Right Grant
- 2003-10-29 MY MYPI20034120A patent/MY136921A/en unknown
- 2003-10-30 TW TW92130292A patent/TW200415180A/zh unknow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51763B1 (ko) * | 2008-09-26 | 2014-01-14 | 로디아 오퍼레이션스 | 개질된 폴리아미드, 그의 제조 방법 및 상기 폴리아미드로 수득된 물품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DE50308194D1 (en) | 2007-10-25 |
ATE373034T1 (de) | 2007-09-15 |
CA2503850A1 (en) | 2004-05-13 |
EP1558668B1 (de) | 2007-09-12 |
US20060063907A1 (en) | 2006-03-23 |
TW200415180A (en) | 2004-08-16 |
US8268955B2 (en) | 2012-09-18 |
EP1558668A1 (de) | 2005-08-03 |
MXPA05003487A (es) | 2005-06-03 |
MX258179B (es) | 2008-06-25 |
ES2290555T3 (es) | 2008-02-16 |
AR041721A1 (es) | 2005-05-26 |
BR0315276B1 (pt) | 2013-06-25 |
JP4282600B2 (ja) | 2009-06-24 |
KR100973620B1 (ko) | 2010-08-02 |
PL377054A1 (pl) | 2006-01-23 |
DE10250767A1 (de) | 2004-06-17 |
JP2006504817A (ja) | 2006-02-09 |
WO2004039861A1 (de) | 2004-05-13 |
WO2004039861A9 (de) | 2004-10-21 |
MY136921A (en) | 2008-11-28 |
CN1708536A (zh) | 2005-12-14 |
BR0315276A (pt) | 2005-08-30 |
CN1305929C (zh) | 2007-03-21 |
AU2003301676A1 (en) | 2004-05-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60766B1 (ko) | 폴리아미드 | |
US8629237B2 (en) | Simplified production of nylon-6 | |
KR100973620B1 (ko) | 폴리아미드 | |
US7285601B2 (en) | Inherently crosslinkable polyamides | |
US7393913B2 (en) | Polyamides | |
JP2001081189A (ja) | ナイロン6又はその共重合体 | |
CZ20024251A3 (cs) | Polyami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711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710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714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