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67135A - 도핑된 산화 아연 분말, 그의 제조 방법 및 그의 용도 - Google Patents

도핑된 산화 아연 분말, 그의 제조 방법 및 그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67135A
KR20050067135A KR1020057002057A KR20057002057A KR20050067135A KR 20050067135 A KR20050067135 A KR 20050067135A KR 1020057002057 A KR1020057002057 A KR 1020057002057A KR 20057002057 A KR20057002057 A KR 20057002057A KR 20050067135 A KR20050067135 A KR 200500671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zinc oxide
oxide powder
zone
zinc
dop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2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91038B1 (ko
Inventor
슈티판 카투식
귄터 미하엘
페터 크레스
구이도 침머만
안드레아스 구취
제오프리 제이. 바가
Original Assignee
데구사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구사 아게 filed Critical 데구사 아게
Publication of KR20050067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71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10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10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7Zinc; Compound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30/00Nanotechnology for materials or surface science, e.g. nanocomposi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9/00Compounds of zinc
    • C01G9/02Oxides; Hydroxides
    • C01G9/03Processes of production using dry methods, e.g. vapour phase proc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9/00Compounds of zinc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9/00Compounds of zinc
    • C01G9/02Oxides; Hydr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1/00Treatment of specific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C09C1/04Compounds of zin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1/00Treatment of specific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C09C1/04Compounds of zinc
    • C09C1/043Zinc 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2/00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 C01P2002/50Solid solu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54Particles characterised by their aspect ratio, i.e. the ratio of sizes in the longest to the shortest dimens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60Particles characterised by their size
    • C01P2004/64Nanometer sized, i.e. from 1-100 nanome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12Surface area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40Electric propert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82Particulate matter [e.g., sphere, flake,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82Particulate matter [e.g., sphere, flake, etc.]
    • Y10T428/2991Coat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82Particulate matter [e.g., sphere, flake, etc.]
    • Y10T428/2991Coated
    • Y10T428/2993Silicic or refractory material containing [e.g., tungsten oxide, glass, cement,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82Particulate matter [e.g., sphere, flake, etc.]
    • Y10T428/2991Coated
    • Y10T428/2993Silicic or refractory material containing [e.g., tungsten oxide, glass, cement, etc.]
    • Y10T428/2995Silane, siloxane or silicone co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82Particulate matter [e.g., sphere, flake, etc.]
    • Y10T428/2991Coated
    • Y10T428/2993Silicic or refractory material containing [e.g., tungsten oxide, glass, cement, etc.]
    • Y10T428/2996Glass particles or spher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no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r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Birds (AREA)
  • Inorganic Compounds Of Heavy Metals (AREA)
  • Cosmetics (AREA)
  • Conductive Materials (AREA)
  • Pigments, Carbon Blacks, Or Wood Stains (AREA)

Abstract

도핑 성분이 알루미늄, 갈륨, 인듐, 게르마늄, 주석의 군으로부터 적어도 1종의 산화물을 포함하고, 0.005 내지 15 중량%의 양으로 도핑된 산화 아연 분말 중에 존재하며, 상기 도핑된 산화 아연 분말은 30 내지 400 nm의 평균 최대 직경을 갖는 기본 입자의 응집물 형태인, 열에 의해서 제조된, 도핑된 산화 아연 분말. 이는 아연 분말과 적어도 1종의 도핑제로부터 산화에 의해 제조되며, 여기에서, 공정은 증기화, 핵형성, 산화 및 켄칭 영역을 통과하며, 상기 도핑제는 그 온도가 아연의 비점 아래인 핵형성 영역에서 계량된다. 상기 도핑된 산화 아연 분말은 전기 전도성 락커 및 피복에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도핑된 산화 아연 분말, 그의 제조 방법 및 그의 용도 {Doped Zinc Oxide Powder, Process for Its Preparation, and Its Use}
분석 방법
BET 표면적은 DIN 66131에 준하여 측정되었다.
TEM 영상은 히타치(Hitachi) TEM 장치 유형 H-75000-2를 이용하여 수득되었다. 약 500 내지 600 개 응집물을 TEM 장치의 CCD 카메라 및 이어지는 영상 분석에 의해 평가하였다.
변수 F(형태)는 최소 응집물 직경 대 최대 응집물 직경의 비와 같다. 변수 F(원형)는 다음과 같이 계산되었다: F(원형) = (4π x 평균 표면적) / 2 (P) [식 중, P = 응집물의 원주].
변수 F(형태) 및 F(원형)은 입자의 이상적인 원 형태로부터의 편차를 나타낸다. F(형태) 및 F(원형)은 이상적인 원형 물체의 경우에는 1이다. 그 값이 작을수록, 상기 물체의 구조는 이상적인 원 형태로부터 멀어진다.
상기 변수는 ASTM3849-89에 준하여 정의된다.
투과율
분말의 투과율은 1 중량% 분말 및 99 중량% 물을 함유하며, 먼저 용해기(2000 rpm, 5 분)에 이어 초음파 핑거(finger)(진폭 80 %, 4 분)에 의해 분산된 분산액 중에서 측정되었다. 2.0 g의 상기 분산액을 덜어 내어 물로 100 g을 만들었다. 탁도계(Hach, 2100AN 탁도계)를 이용하여 상기 분산액에 대하여 투과율 및 산란된 빛을 측정하였다.
고유 저항
분말의 고유 저항은 실온 및 40% 상대 습도에서 압축된 밀도(0.0 - 1.6 g/cm3)의 함수로서 측정되었다. 그것이 종료되면, 견본을 두 개의 이동가능한 전극 사이에 놓고, 직류를 적용한 후 전류 흐름을 측정하였다. 다음, 전극 사이의 거리를 줄임으로써 분말의 밀도를 단계적으로 증가시키고, 저항을 다시 측정하였다. 측정은 DIN IEC 93을 따라 수행하였다.
실시예 1
아연 분말(1000 g/h, 입자 크기 ≤ 5 ㎛)을 질소 기류(2.5 m3/h)에 의해, 수소/공기 화염(수소: 4.78 m3/h, 공기: 10.30 m3/h, 람다 = 0.9)이 연소되고 있는 증기화 영역 내로 이송하였다. 그로써 상기 아연 분말은 증기화되었다. 다음, 아연 증기, 수소, 질소 및 물의 반응 혼합물을 2 m3/h의 질소를 계측해 넣음으로써 850℃의 온도로 식히고, 300 g/h의 10 중량% 염화 알루미늄 수용액(AlCl3 x 6 H2O)을 에어로졸의 형태로 공급하였다. 다음, 3 m3/h의 산화 공기 및 20 m3/h의 켄칭 기체를 가하면, 반응 온도가 약 530℃의 값으로 하강되었다. 도핑된 산화 아연 분말을 여과에 의해 기체 흐름으로부터 분리하였다.
실시예 2
아연 분말(1000 g/h, 입자 크기 ≤ 5 ㎛)을 질소 기류(2.5 m3/h)에 의해, 수소/공기 화염(수소: 4.53 m3/h, 공기: 9.68 m3/h, 람다 = 0.9)이 연소되고 있는 증기화 영역 내로 이송하였다. 그로써 상기 아연 분말은 증기화되었다. 다음, 아연 증기, 수소, 질소 및 물의 반응 혼합물을 2 m3/h의 질소를 계측해 넣음으로써 870℃의 온도로 식히고, 350 g/h의 5 중량% 염화 인듐(III) 수용액(InCl3 x 4 H2O)을 에어로졸의 형태로 공급하였다. 다음, 3 m3/h의 산화 공기 및 20 m3/h의 켄칭 기체를 가하면, 반응 온도가 약 680℃의 값으로 하강되었다. 도핑된 산화 아연 분말을 여과에 의해 기체 흐름으로부터 분리하였다.
실시예 3
아연 분말(950 g/h, 입자 크기 ≤ 5 ㎛)을 질소 기류(2.5 m3/h)에 의해, 수소/공기 화염(수소: 4.53 m3/h, 공기: 9.68 m3/h, 람다 = 0.9)이 연소되고 있는 증기화 영역 내로 이송하였다. 그로써 상기 아연 분말은 증기화되었다. 다음, 아연 증기, 수소, 질소 및 물의 반응 혼합물을 2.5 m3/h의 질소를 계측해 넣음으로써 880℃의 온도로 식히고, 염화 인듐(III(InCl3 x 4 H2O) 및 사염화 주석(SnCl4)의 95:5 혼합물(각각 산화물 기준)의 6 중량% 수용액 320 g/h를 에어로졸의 형태로 공급하였다. 다음, 3 m3/h의 산화 공기 및 20 m3/h의 켄칭 기체를 가하면, 반응 온도가 약 650℃의 값으로 하강되었다. 도핑된 산화 아연 분말을 여과에 의해 기체 흐름으로부터 분리하였다.
실시예 4 (비교예):
아연 분말(200 g/h, 입자 크기 ≤ 5 ㎛) 및 14.3 g/h의 염화 알루미늄을 질소 기류(1.5 m3/h)에 의해, 수소/공기 화염(수소: 5 m3/h, 공기: 23 m3/h, 람다 = 1.93)이 연소되고 있는 증기화 영역 내로 이송하였다. 다음, 아연 증기, 도핑제, 수소, 질소 및 물의 반응 혼합물을 1.5 m3/h의 질소를 계측해 넣음으로써 990℃의 온도로 식혔다. 다음, 5 m3/h의 산화 공기 및 15 m3/h의 켄칭 기체를 가하면, 반응 온도가 약 440℃의 값으로 하강되었다. 도핑된 산화 아연 분말을 여과에 의해 기체 흐름으로부터 분리하였다.
실시예 5 (비교예)
아연 분말(300 g/h, 입자 크기 ≤ 5 ㎛)을 질소 기류(1.5 m3/h)에 의해, 수소/공기 화염(수소: 4.6 m3/h, 공기: 9.0 m3/h, 람다 = 0.84)이 연소되고 있는 증기화 영역 내로 이송하였다. 그로써 상기 아연 분말은 증기화되었다. 다음, 아연 증기, 수소, 질소 및 물의 반응 혼합물을 1.5 m3/h의 질소를 계측해 넣음으로써 870℃의 온도로 식혔다. 다음, 4 m3/h의 산화 공기 및 30 m3/h의 켄칭 기체를 가하면, 반응 온도가 약 300℃의 값으로 하강되었다. 도핑된 산화 아연 분말을 여과에 의해 기체 흐름으로부터 분리하였다.
시험을 위한 공정 변수를 표 1에 나타내며, 수득되는 분말의 제품 성질을 표 2에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법에 의해 제조된 실시예 1 및 3의 분말은 약 110 내지 150 nm의 평균 최대 응집물 직경을 갖는다. 매우 양호한 투과율 및 고유 저항 값이 수득되었다. 아연 분말의 비점보다 높은 온도에서 산화가 일어난 비교예 4의 분말은 300 nm보다 현저하게 큰 평균 최대 응집물 직경을 갖는다. 투과율 및 고유 저항의 결과된 값은 실시예 1 내지 3의 본 발명에 따르는 분말의 것보다 현저하게 높았다. 실시예 5는 아연의 비점 아래에서 산화에 의해 수득된 도핑되지 않은 산화 아연 분말의 제조를 기재한다. 상기 분말의 투과율은 본 발명에 따르는 분말의 것과 필적할 만하였으나, 고유 저항은 현저하게 높았다.
공정 변수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증기화 아연 g/h 1000 1000 950 200 + 14.3(1) 300
질소 m3/h 2.5 2.5 2.5 1.5 1.5
수소 m3/h 4.78 4.53 4.53 5 4.6
공기 m3/h 10.3 9.68 9.68 23 9.0
람다 0.9 0.9 0.9 1.93 0.84
핵형성 도핑제 InCl3 x 4H2O InCl3 x 4H2O+ SnCl4 (2) AlCl3 x 6H2O -
도핑제의양 g/h 300 g/h(10% sol.) 350 g/h(5% sol.) 320 g/h(6% sol.) - -
냉각 기체 m3/h 2 2 2.5 1.5 1.5
온도 850 870 880 990 870
산화 산화 공기 m3/h 3 3 3 5 4
켄칭 켄칭 기체 m3/h 20 20 20 15 30
온도 약 530 약 680 약 650 약 440 약 296
(1) 아연(200 g/h)과 염화 알루미늄(14.3 g/h)을 함께 증기화함;(2) 비: 95:5 (산화물 기준)
제품 성질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도핑 산화알루미늄 산화 인듐 산화 인듐/산화 주석 산화알루미늄 -
도핑의 양 중량% 2.0 2.6 2.8/0.15 3.0 -
평균 최대 응집물 직경 nm 109 145 130 1374 133
형태 인자 F (원형) 0.41 0.41 0.41 n.d.(1) 0.32
형태 인자 F (형태) 0.64 0.63 0.62 n.d. 0.61
평균 응집물 표면적 nm2 4734 8666 7243 n.d. n.d.
평균 기본 입자 직경 nm 23 20 19 n.d. n.d.
BET 표면적 m2/g 20 23 25 8.3 20
고유 저항 Ω x cm 102 105 103 4.3 x 109 108
투과율 71.2 83.8 83.8 n.d. 72.7
(1) n.d. = 측정되지 않음
본 발명은 도핑된 산화 아연 분말, 그의 제조 및 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플라스틱, 락커, 피복 또는 섬유와 같은 많은 응용에서 전기 전도성 물질이 요구된다. 전기 전도성 뿐만 아니라, 많은 경우에 그러한 물질은 예를 들면 옅은 색의 또는 착색된 피복의 경우에 거의 투명한 것이 바람직하다.
전도성 물질의 예로서 제 3 족 또는 4 족 주요 원소의 금속 산화물로 도핑된 산화 아연이다.
알칼리 아연산염 및 도핑제의 용액으로부터 산에 의한 공침전에 의하여 도핑된 산화 아연을 제조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EP-A-404087, EP-A-405364).
아연 분말 및 도핑제를 포함하는 증기 혼합물을 산소-함유 대기 중 산화시킴으로써 도핑된 산화 아연을 제조하는 것이 또한 공지되어 있다.
EP-A-598284는 알루미늄, 갈륨, 인듐, 주석, 게르마늄 또는 규소의 염화물 및 브롬화물로 된 군에서 선택된 도핑제의 존재 하에 아연 증기의 산화에 의해 도핑된 산화 아연을 제조하는 방법을 기재한다. 상기 도핑제는 그들이 산소 원자를 함유하지 않아야 하고 그들의 비점이 아연의 비점보다 높지 않도록 제한된다.
공지의 제조 방법은 통상적으로 마이크로미터 범위의 크기를 갖는 침상 또는 3-차원으로 분지화된 침상의 입자를 생성한다. 그러한 입자들은 전기 전도성의 면에서 구형 입자들에 비하여 장점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그들의 조악한 소결 성질 및 그들의 조악한 분산성은 불리하다.
공지된 구형의 도핑된 산화 아연 입자는 산화 아연 분말과 산화 갈륨을 탄소의 존재 하에 감압 하에 소성시킴으로써 수득된다(JP58-145620).
유사한 방법이 JP59-097531, JP58-145620 및 US3538022에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공지 방법에 의해 제조된 구형 입자의 단점은 종종, 침상 입자에 비하여 그들의 보다 낮은 전도성 및 보다 낮은 투명성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높은 투명도를 가지며 종래 기술의 단점을 갖지 않는 전기 전도성의 도핑된 산화 아연 분말을 제조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열에 의해서 제조된, 도핑된 산화 아연 분말에 의해 성취되는데, 여기에서, 상기 도핑 성분은 알루미늄, 갈륨, 인듐, 게르마늄, 주석, 규소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적어도 1종의 산화물을 포함하며, 이는 상기 도핑된 산화 아연 분말이 30 내지 400 nm의 평균 최대 직경을 갖는 응집물의 형태이고 상기 도핑 성분이 0.005 내지 1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것으로 특징된다.
열에 의해서란 화염 산화 및 화염 가수분해에 의해 도핑된 산화 아연이 형성됨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염 산화는 연소 기체, 바람직하게는 수소 및 산소의 반응에 의해 생성된 화염 중 기체 상에서 아연을 산화 아연으로 산화시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염 가수분해는 같은 화염 중 가수분해 및 이어지는 도핑제의 산화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 방법에서, 고도로 분산되어 있는 비-다공성의 기본 입자가 먼저 형성되고, 반응이 진행됨에 따라 그들이 함께 모여서 응집물을 형성하며, 이들 응집물들이 함께 더 연합하여 덩어리를 형성한다.
도핑 성분은 본 발명의 분말 중에 존재하는 것과 같이, 상기 언급된 금속의 1종 이상의 산화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핑제는 금속 성분으로 상기 언급된 금속을 담지하고 본 발명에 따르는 분말의 제조 도중 산화물로 변환되는 물질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산화 아연 분말 중 도핑 성분의 함량은 사용되는 특정 산화물에 근거한다.
기본 입자는 고-해상도 TEM 영상에서, 명백히 더 이상 분쇄될 수 없는 가장 작은 입자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여러 개의 기본 입자가 그들의 접촉점에서 함께 연합하여 응집물을 형성할 수 있다. 그러한 응집물은 분산 장치를 이용하여 다시 분리되기 어렵거나 전혀 분리될 수 없다. 여러 개의 응집물이 느슨하게 함께 연합하여 덩어리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과정은 적절한 분산에 의해 다시 되돌려지는 것이 가능하다.
평균 최대 응집물 직경은 ASTM 3849-89에 따르는 영상 분석에 의해 결정된다. 상기 과정에서, 약 1500 개 응집물의 최대 직경이 측정되고 그로부터 산술 평균이 계산된다. 최대 평균 직경은 응집물의 구조를 평균 직경보다 더 정확하게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르는 산화 아연 분말의 평균 최대 응집물 직경은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300 nm, 특히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200 nm의 값을 갖는다. 상기 범위 내에서, 전기 전도성 및 투명도가 특히 유리한 값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르는 분말의 응집물은 바람직하게는 0.5 미만의 형태 인자 F(원형)로 정의되는 대체로 이방성인 구조를 갖는다. 변수 F(원형)는 이상적인 원형 형태로부터 응집물의 편차를 나타낸다. 이상적인 원형의 물체의 경우 F(원형)는 1과 같다. 그 값이 작을 수록, 물체의 구조는 이상적인 원형의 형태에서는 멀어진다. 상기 변수의 정의는 ASTM 3849-89에 따른다.
ASTM 3849-89에 따르는 영상 분석으로부터 유사하게 결정된, 본 발명에 따르는 산화 아연 분말의 평균 기본 입자 직경은 유리하게는 5 내지 30 nm일 수 있다.
DIN 66131에 따라 측정된 본 발명에 따르는 산화 아연 분말의 BET 표면적은 5 내지 100 m2/g의 광범위한 한계 내에서 변할 수 있다. 30 내지 70 m2/g의 값이 바람직하다.
산화 아연 분말의 고유 저항도 넓은 범위에서 변할 수 있다. 산화 아연이 전기 전도성 분말의 형태로 사용되는 응용의 경우, 이는 106 Ohm x cm 이하여야 한다. 이는 1.0 g/cm3의 압축된 밀도에서 바람직하게는 102 내지 104 Ohm x cm이다.
또한, 산화 아연 분말의 투과율은 70%를 초과하는 값일 수 있다. 이는 높은 투명도가 요구되는 응용의 경우 중요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산화 아연 분말 중 도핑 성분의 양은 0.005 내지 15 중량% 산화 아연 분말에서 변한다. 도핑은 0.1 내지 6.0 중량%가 바람직할 수 있다. 0.5 내지 3.0 중량%의 범위가 특히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도핑 성분은 산화 알루미늄일 수 있다.
추가의 바람직한 도핑 성분은 산화 인듐과 산화 주석의 혼합물일 수 있다. 산화 인듐의 양은, 각 경우에 산화물로서 계산된, 산화 인듐과 산화 주석의 합을 기준으로 90 내지 99 중량%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도핑된 산화 아연 분말의 제조를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데, 상기 방법은 상기 분말이 아연 분말 및 적어도 1종의 도핑제로부터 4 개의 연속적 영역인 증기화 영역, 핵형성 영역, 산화 영역 및 켄칭 영역에서 수득되는 것으로 특징되고,
- 상기 증기화 영역에서는, 아연 분말이 공기 및(또는) 산소와 연소 기체, 바람직하게는 수소의 화염 중에서 증기화되며, 단, 상기 반응 변수는 아연의 산화가 일어나지 않도록 선택되고,
- 증기화 영역으로부터 화염 반응의 반응 생성물로서 아연 증기, 수증기 및 선택적으로 과량의 연소 기체로 구성되는 고온의 반응 혼합물이 통과하는 핵형성 영역에서는, 상기 반응 혼합물이 500 내지 900℃의 온도로 냉각되거나 비활성 기체에 의해 냉각되고, 적어도 1종의 도핑제를 함유하는 에어로졸이 산화 아연 분말 중 도핑제의 바람직한 양에 해당하는 양으로 공급되며,
- 산화 영역에서는, 상기 핵형성 영역으로부터의 혼합물이 공기 및(또는) 산소에 의해 산화되고,
- 켄칭 영역에서는, 산화 혼합물이 냉각 기체의 첨가에 의해 400℃ 미만의 온도로 냉각된다.
상기 에어로졸은 적어도 1종의 도핑제를 함유하는 수성, 알코올성 및 수성-알코올성 용액 또는 현탁액으로부터 수득될 수 있다.
2종 이상의 도핑제가 사용되는 경우, 상기 에어로졸은 형성되어 상기 핵형성 영역에 함께 또는 따로 도입될 수 있다. 에어로졸의 생성은 예를 들면 쌍을 이루는 노즐 또는 초음파 분무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법은 도핑제(들)을 에어로졸의 형태 대신 증기화된 형태로 핵형성 영역에 공급함으로써 수행될 수도 있다. 그러한 경우, 상기 도핑제는 아연 분말과 같은 방식으로, 즉 공기 및(또는) 산소 및 연소 기체, 바람직하게는 수소의 화염 중에서 증기화될 수 있다. 단, 상기 반응 변수는 도핑제의 산화가 일어나지 않도록 선택된다. 도핑제는 아연 분말과 따로 또는 함께 증기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법은 상기 증기화 영역 내 하나 이상의 위치에서 공기 및(또는) 산소 및 연소 기체를 공급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유사하게, 공기 및(또는) 산소 및 연소 기체는 산화 영역 내 하나 이상의 위치에서 공급될 수 있다.
기체 흐름으로부터 산화 아연 분말의 분리는 필터, 원심분리기(cyclone), 세척기 또는 기타 적합한 분리기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1a-c는 단순화된 반응 개요를 나타낸다. 도면에서:
A = 아연 분말, Av = 아연 증기, ANu = 핵형성 영역에서의 아연 입자,
B = 도핑제, Bv = 증기화된 도핑제, BNu = 핵형성 영역에서의 도핑제, BAe = 에어로졸 형태의 도핑제
C = 물,
P = 도핑된 산화 아연 분말,
a = 연소 기체, b = 공기 및(또는) 산소; c = 비활성 기체 (냉각 기체),
IA = 아연 분말 증기화, IB = 도핑제 증기화, IA+B = 아연 분말과 도핑제를 함께 증기화함, IAe = 도핑제를 에어로졸로 변환함
II = 핵형성, III = 산화, IV = 켄칭.
도 1a는 아연 분말이 증기화되고 도핑제가 에어로졸의 형태로 핵형성 영역으로 도입되는 변법을 나타낸다. 도 1b는 아연 분말 및 도핑제가 함께 증기화되는 변법을 나타내고, 도 1c는 그들이 별도로 증기화되어 핵형성 영역으로 공급되는 변법을 나타낸다.
아연 분말 및 선택적으로 또한 도핑제의 증기화 도중, 0.5 내지 0.99, 바람직하게는 0.8 내지 0.95의 람다 값으로 표현되는 과량의 연소 기체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핵형성 영역의 온도는 700℃ 내지 800℃인 것이 또한 유리할 수 있다.
추가의 변동가능한 공정 변수는 예를 들면 냉각 속도 및 공정의 각 단계 중 체류 시간이다.
핵형성 영역의 냉각 속도는 바람직하게는 100 K/s 내지 10,000 K/s이고, 2000 K/s 내지 3000 K/s의 값이 특히 바람직하다. 켄칭 영역에서 냉각 속도는 바람직하게는 1000 K/s 내지 50,000 K/s이고, 5000 K/s 내지 15,000 K/s의 값이 특히 바람직하다.
증기화 영역의 체류 시간은 바람직하게는 0.1 s 내지 4 s이고, 0.5 s 내지 2 s의 값이 특히 바람직하다. 핵형성 영역의 체류 시간은 바람직하게는 0.05 s 내지 1.00 s, 특히 바람직하게는 0.1 s 내지 0.2 s이다. 산화 영역의 체류 시간은 바람직하게는 5 ms 내지 200 ms이며, 10 ms 내지 30 ms의 값이 특히 바람직하다. 켄칭 영역의 체류 시간은 바람직하게는 0.05 s 내지 1.00 s이며, 0.1 s 내지 0.2 s의 값이 특히 바람직하다.
할로겐화물, 질산염, 알킬, 알콕시드 및(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도핑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알루미늄, 인듐 및 주석의 할로겐화물을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는 산화 아연 분말은 전기 전도성의 선택적으로 투명한 락커 및 피복에 충진재로서, 또는 태양광 보호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도핑된 산화 아연 분말은 새로운 제조 방법으로 인하여 예를 들면, 정의된 응집물 크기, 전기 전도성 또는 투명도와 같은 그의 성질을 획득한다. 열에 의한 공정이 항상 아연 및 도핑제의 증기의 산화와 함께 시작되는 종래 기술과 비교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법에서의 아연 증기는 산화 이전 아연의 비점 아래로 냉각된다. 그 결과, 아연 결정자의 형성과 함께 핵형성이 일어날 수 있다. 도핑제는 상기 핵형성 영역에 첨가된다.
상기 형성 메카니즘 및 결정자의 구조는 밝혀지지 않았다. 예를 들면, 냉각 속도, 체류 시간 및(또는) 온도와 같은 공정 변수를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분말의 성질을 특정 요건에 적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18)

  1. 도핑된 산화 아연 분말이 30 내지 300 nm의 평균 최대 직경을 갖는 응집물의 형태이고, 도핑 성분이 0.005 내지 1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핑 성분이 알루미늄, 갈륨, 인듐, 게르마늄, 주석, 규소 원소의 군으로부터 1종 이상의 산화물을 포함하는, 열에 의해서 제조된 도핑된 산화 아연 분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평균 최대 응집물 직경이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400 nm, 특히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200 nm의 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 아연 분말.
  3. 제 1 또는 2 항에 있어서, 상기 응집물이 0.5 미만의 형태 인자 F(원형)로 정의되는 대체로 이방성인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 아연 분말.
  4. 제 1 내지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평균 기본 입자 직경이 5 내지 30 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 아연 분말.
  5. 제 1 내지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BET 표면적이 5 내지 100 m2/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 아연 분말.
  6. 제 1 내지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105 Ohm x cm 이하의 고유 저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 아연 분말.
  7. 제 1 내지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70%의 투과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 아연 분말.
  8. 제 1 내지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핑 성분의 양이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6.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 아연 분말.
  9. 제 1 내지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핑 성분이 산화 알루미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 아연 분말.
  10. 제 1 내지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핑 성분이 산화 인듐과 산화 주석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 아연 분말.
  11. 아연 분말 및 적어도 1종의 도핑제로부터 4 개의 연속적 영역인 증기화 영역, 핵형성 영역, 산화 영역 및 켄칭 영역에서 산화 아연 분말이 수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증기화 영역에서는, 아연 분말이 공기 및(또는) 산소와 연소기체의 화염 중에서 증기화되며, 단, 상기 반응 변수는 아연의 산화가 일어나지 않도록 선택되고,
    증기화 영역으로부터 화염 반응의 반응 생성물로서 아연 증기, 수증기, 및 선택적으로 과량의 연소 기체로 구성되는 고온의 반응 혼합물이 통과하는 핵형성 영역에서는, 상기 반응 혼합물이 500 내지 900℃의 온도로 냉각되거나 비활성 기체에 의해 냉각되고, 적어도 1종의 도핑제를 함유하는 에어로졸이 산화 아연 분말 중 도핑제의 바람직한 양에 해당하는 양으로 공급되며,
    산화 영역에서는, 상기 핵형성 영역으로부터의 혼합물이 공기 및(또는) 산소에 의해 산화되고,
    켄칭 영역에서는, 산화 혼합물이 냉각 기체의 첨가에 의해 400℃ 미만의 온도로 냉각되는,
    제 1 내지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산화 아연 분말의 제조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에어로졸 대신 적어도 1종의 도핑제가 증기화된 형태로 핵형성 영역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11 또는 12 항에 있어서, 0.5 내지 0.99의 람다 값으로 표현되는 과량의 연소 기체가 아연 분말 및 도핑제의 증기화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 11 내지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핵형성 영역의 온도가 바람직하게는 700℃ 내지 8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 11 내지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냉각 속도가 핵형성 영역에서 바람직하게는 100 K/s 내지 10,000 K/s이고, 켄칭 영역에서 바람직하게는 1000 K/s 내지 50,000 K/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 11 내지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체류 시간이 증기화 영역에서 바람직하게는 0.1 s 내지 4 s이고, 핵형성 영역에서 바람직하게는 0.05 s 내지 1.00 s이고, 켄칭 영역에서 바람직하게는 0.05 s 내지 1.00 s이며, 산화 영역에서 바람직하게는 5 ms 내지 200 m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 11 내지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할로겐화물, 질산염, 알킬, 알콕시드 및(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도핑제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 1 내지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산화 아연 분말의, 전기 전도성의 선택적으로 투명한 락커 및 피복에서 충진재로서의, 또는 태양광 보호 조성물에서의 용도.
KR1020057002057A 2002-08-05 2003-07-07 도핑된 산화 아연 분말, 그의 제조 방법 및 그의 용도 KR1009910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35758A DE10235758A1 (de) 2002-08-05 2002-08-05 Dotiertes Zinkoxidpulver,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und Verwendung
DE10235758.7 2002-08-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7135A true KR20050067135A (ko) 2005-06-30
KR100991038B1 KR100991038B1 (ko) 2010-10-29

Family

ID=30775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2057A KR100991038B1 (ko) 2002-08-05 2003-07-07 도핑된 산화 아연 분말, 그의 제조 방법 및 그의 용도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7235298B2 (ko)
EP (1) EP1527017B1 (ko)
JP (1) JP4338638B2 (ko)
KR (1) KR100991038B1 (ko)
CN (1) CN100360422C (ko)
AT (1) ATE486815T1 (ko)
AU (1) AU2003282117B2 (ko)
CA (1) CA2494768C (ko)
DE (2) DE10235758A1 (ko)
WO (1) WO200401480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2593B1 (ko) * 2007-02-01 2008-10-09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투명 전도성 박막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18346A1 (de) * 2001-04-12 2002-10-17 Creavis Tech & Innovation Gmbh Textile Flächengebilde mit selbstreinigender und wasserabweisender Oberfläche
JP4320258B2 (ja) * 2001-11-13 2009-08-26 エボニック デグサ ゲーエムベーハー 硬化可能でかつ再剥離可能な接着結合体
DE10210666A1 (de) * 2002-03-12 2003-10-02 Creavis Tech & Innovation Gmbh Formgebungs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Formkörpern mit zumindest einer Oberfläche, die selbstreinigende Eigenschaften aufweist sowie mit diesem Verfahren hergestellte Formkörper
DE10210668A1 (de) * 2002-03-12 2003-09-25 Creavis Tech & Innovation Gmbh Vorrichtung, hergestellt durch Spritzgussverfahren, zur Aufbewahrung von Flüssigkeiten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ieser Vorrichtung
DE10210671A1 (de) * 2002-03-12 2003-09-25 Creavis Tech & Innovation Gmbh Entformungsmittel, welches hydrophobe, nanoskalige Partikel aufweist sowie Verwendung dieser Entformungsmittel
DE10210673A1 (de) * 2002-03-12 2003-09-25 Creavis Tech & Innovation Gmbh Spritzgusskörper mit selbstreinigenden Eigenschaften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solcher Spritzgusskörper
DE10210674A1 (de) * 2002-03-12 2003-10-02 Creavis Tech & Innovation Gmbh Flächenextrudate mit selbstreinigenden Eigenschaften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solcher Extrudate
DE10212680A1 (de) * 2002-03-22 2003-10-09 Degussa Nanoskaliges Zinkoxi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und Verwendung
DE10231757A1 (de) * 2002-07-13 2004-01-22 Creavis Gesellschaft Für Technologie Und Innovation 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tensidfreien Suspension auf wässriger basis von nanostrukturierten, hydrophoben Partikeln und deren Verwendung
DE10233830A1 (de) * 2002-07-25 2004-02-12 Creavis Gesellschaft Für Technologie Und Innovation Mbh Verfahren zur Flammpulverbeschichtung von Oberflächen zur Erzeugung des Lotus-Effektes
US20050126338A1 (en) * 2003-02-24 2005-06-16 Nanoproducts Corporation Zinc comprising nanoparticles and related nanotechnology
DE10308379A1 (de) * 2003-02-27 2004-09-09 Creavis Gesellschaft Für Technologie Und Innovation Mbh Dispersion von Wasser in hydrophoben Oxiden zur Herstellung von hydrophoben nanostrukturierten Oberflächen
DE10321851A1 (de) * 2003-05-15 2004-12-02 Creavis Gesellschaft Für Technologie Und Innovation Mbh Verwendung von mit Fluorsilanen hydrophobierten Partikeln zur Herstellung von selbstreinigenden Oberflächen mit lipophoben, oleophoben, laktophoben und hydrophoben Eigenschaften
DE10343728A1 (de) * 2003-09-22 2005-04-21 Degussa Zinkoxidpulver
DE10353995A1 (de) * 2003-11-19 2005-06-09 Degussa Ag Nanoskaliges, kristallines Siliciumpulver
DE10353996A1 (de) * 2003-11-19 2005-06-09 Degussa Ag Nanoskaliges, kristallines Siliciumpulver
DE102004003675A1 (de) * 2004-01-24 2005-08-11 Degussa Ag Dispersion und Beschichtungszubereitung enthaltend nanoskaliges Zinkoxid
US9096041B2 (en) 2004-02-10 2015-08-04 Evonik Degussa Gmbh Method for coating substrates and carrier substrates
DE102004006612A1 (de) * 2004-02-10 2005-08-25 Degussa Ag Keramischer Wandverkleidungsverbund
DE102004012682A1 (de) * 2004-03-16 2005-10-06 Degussa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dreidimensionalen Objekten mittels Lasertechnik und Auftragen eines Absorbers per Inkjet-Verfahren
DE102004018093A1 (de) * 2004-04-08 2005-10-27 Rohmax Additives Gmbh Polymere mit H-Brücken bildenden Funktionalitäten
DE102004018930A1 (de) * 2004-04-20 2005-11-17 Degussa Ag Verwendung eines keramischen Separators in Lithium-Ionenbatterien, die einen Elektrolyten aufweisen, der ionische Flüssigkeiten enthält
DE102004021778A1 (de) * 2004-04-30 2005-12-08 Rohmax Additives Gmbh Verwendung von Polyalkyl(meth)acrylaten in Schmierölzusammensetzungen
DE102004034618A1 (de) 2004-07-16 2006-02-16 Rohmax Additives Gmbh Verwendung von Pfropfcopolymeren
DE102004036073A1 (de) * 2004-07-24 2006-02-16 Degussa Ag Verfahren zur Versiegelung von Natursteinen
DE102004041747A1 (de) * 2004-08-28 2006-03-02 Degussa Ag Indium-Zinn-Mischoxidpulver
DE102004041746A1 (de) * 2004-08-28 2006-03-02 Degussa Ag Kautschukmischung, enthaltend nanoskalige, magnetische Füllstoffe
JP5086085B2 (ja) * 2004-10-21 2012-11-28 エボニック デグサ ゲーエムベーハー リチウムイオンバッテリー用の無機セパレータ電極ユニット、その製造方法及びリチウムバッテリーにおけるその使用
DE102005049136A1 (de) * 2004-12-01 2006-06-08 Degussa Ag Zubereitung, enthaltend ein polymerisierbares Monomer und/oder ein Polymer und darin dispergiert ein superparamagnetisches Pulver
US7790079B2 (en) * 2005-04-18 2010-09-07 Evonik Rohm Gmbh Thermoplastic molding material and molding elements containing nanometric Inorganic particles for making said molding material and said molding elements, and uses thereof
DE102005040157A1 (de) * 2005-08-25 2007-03-01 Degussa Ag Paste aus nanoskaligem Pulver und Dispergiermittel
CN1321900C (zh) * 2005-10-08 2007-06-20 北京科技大学 一种制备高产量掺铟氧化锌纳米盘的方法
DE102005049718A1 (de) * 2005-10-14 2007-04-19 Degussa Gmbh Durch Schweißen im elektromagnetischen Wechselfeld erhältliche Kunststoffverbundformkörper
DE102005056286A1 (de) * 2005-11-24 2007-05-31 Degussa Gmbh Schweißverfahren mittels elektromagnetischer Strahlung
DE102005059405A1 (de) * 2005-12-13 2007-06-14 Degussa Gmbh Zinkoxid-Ceroxid-Kompositpartikel
DE102005060121A1 (de) * 2005-12-16 2007-06-21 Degussa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Zinkoxidpulver
DE102006001641A1 (de) * 2006-01-11 2007-07-12 Degussa Gmbh Substrate mit bioziden und/oder antimikrobiellen Eigenschaften
DE102006001639A1 (de) * 2006-01-11 2007-07-12 Degussa Gmbh Keramische Wandverkleidungsverbände mit elektromagnetisch abschirmenden Eigenschaften
DE102006001640A1 (de) * 2006-01-11 2007-07-12 Degussa Gmbh Keramische Wandverkleidungsverbände mit IR-Strahlung reflektierenden Eigenschaften
DE102006007564A1 (de) * 2006-02-16 2007-08-30 Röhm Gmbh Nanoskalige superparamagnetische Poly(meth)acrylatpolymere
IL175477A (en) * 2006-05-08 2013-09-30 Efraim Kfir A kit for lifting the sinus membranes for use in dental implant surgery
DE102006027335A1 (de) * 2006-06-13 2008-01-10 Evonik Degussa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Metallmischoxidpulvern
DE102006027302A1 (de) * 2006-06-13 2008-01-10 Evonik Degussa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Mischoxidpulvern
DE102006027480A1 (de) * 2006-06-14 2008-01-10 Evonik Degussa Gmbh Kratz- und abriebfeste Beschichtungen auf polymeren Oberflächen
DE102006035136A1 (de) * 2006-07-29 2008-01-31 Evonik Degussa Gmbh Zink und Mangan enthaltende Oxidpartikel
CN101240144B (zh) * 2007-02-09 2011-01-26 上海沪正纳米科技有限公司 透明导电隔热纳米复合涂料
CN101239788B (zh) * 2007-02-09 2011-08-03 上海沪正纳米科技有限公司 透明导电隔热玻璃
DE102007009589A1 (de) * 2007-02-26 2008-08-28 Evonik Degussa Gmbh Glänzender und kratzfester Nagellack durch Zusatz von Silanen
DE102007009590A1 (de) * 2007-02-26 2008-08-28 Evonik Degussa Gmbh Glänzender und kratzfester Nagellack durch Zusatz von Sol-Gel-Systemen
DE102007018431A1 (de) * 2007-04-19 2008-10-30 Evonik Degussa Gmbh Pyrogenes Zinkoxid enthaltender Verbund von Schichten und diesen Verbund aufweisender Feldeffekttransistor
DE102007045146A1 (de) * 2007-09-20 2009-05-28 Evonik Degussa Gmbh Einachsfahrzeug mit einer Plattform und/oder einem Sitz für einen Fahrer
CN101188149B (zh) * 2007-11-15 2010-06-02 北京航空航天大学 一种Ge掺杂的AZO透明导电膜及其制备方法
JP4461169B2 (ja) * 2007-12-06 2010-05-12 シャープ株式会社 カラートナー、現像剤、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DE102007059805A1 (de) * 2007-12-11 2009-06-25 Evonik Degussa Gmbh Batteriepack
JPWO2009075375A1 (ja) * 2007-12-13 2011-04-28 株式会社平昭 導電性無機酸化物粒子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方法で得られる導電性無機酸化物粒子
FR2934705B1 (fr) * 2008-07-29 2015-10-02 Univ Toulouse 3 Paul Sabatier Materiau solide composite electriquement conducteur et procede d'obtention d'un tel materiau
CN101665237B (zh) * 2009-09-30 2012-09-05 西北稀有金属材料研究院 球形铝掺杂氧化锌纳米粉体的制备方法
CN102942209A (zh) * 2012-11-07 2013-02-27 上海大学 改变锡掺杂比例制备一维纳米结构氧化锌的方法
CN103031035B (zh) * 2012-12-12 2015-07-01 中国科学院过程工程研究所 一种导电涂料组合物
WO2015110575A1 (en) * 2014-01-24 2015-07-30 Grillo Zinkoxid Gmbh Mixture containing particles of zinc oxide having a reduced tendency of caking upon storage
JP5850189B1 (ja) 2015-01-30 2016-02-03 住友大阪セメント株式会社 酸化亜鉛粉体、分散液、塗料、化粧料
WO2016143629A1 (ja) * 2015-03-06 2016-09-15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球状酸化亜鉛粒子、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プラズモンセンサーチップ
JP6037080B1 (ja) * 2016-06-14 2016-11-30 住友大阪セメント株式会社 化粧料用の酸化亜鉛粉体、分散液、化粧料
JP6451913B1 (ja) * 2017-06-12 2019-01-16 堺化学工業株式会社 3価金属ドープ六角板状酸化亜鉛及びその製造方法
EP3467052B1 (de) 2017-10-06 2022-04-13 Evonik Operations GmbH Wässrige dispersion enthaltend siliziumdioxid und trimethyl 1,6-hexamethylendiamin
CN112892176A (zh) * 2021-01-15 2021-06-04 北京单原子催化科技有限公司 一种氧化锌脱硫废剂中锌的回收处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8022A (en) 1887-02-22 diokson-
GB435005A (en) 1933-12-13 1935-09-12 American Zinc Lead & Smelting Process of making zinc oxide
JP2707325B2 (ja) 1989-06-21 1998-01-28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白色導電性酸化亜鉛の製造方法
JP2840856B2 (ja) 1989-06-26 1998-12-24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針状導電性酸化亜鉛及びその製造方法
JP3242469B2 (ja) * 1992-11-09 2001-12-25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導電性酸化亜鉛の製造方法
DE10212680A1 (de) 2002-03-22 2003-10-09 Degussa Nanoskaliges Zinkoxi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und Verwendu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2593B1 (ko) * 2007-02-01 2008-10-09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투명 전도성 박막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1038B1 (ko) 2010-10-29
DE60334802D1 (de) 2010-12-16
CN1675132A (zh) 2005-09-28
AU2003282117A1 (en) 2004-02-25
US7235298B2 (en) 2007-06-26
US20060073092A1 (en) 2006-04-06
CA2494768A1 (en) 2004-02-19
JP4338638B2 (ja) 2009-10-07
EP1527017A1 (en) 2005-05-04
DE10235758A1 (de) 2004-02-26
CA2494768C (en) 2009-10-13
AU2003282117B2 (en) 2008-09-11
JP2005534607A (ja) 2005-11-17
CN100360422C (zh) 2008-01-09
ATE486815T1 (de) 2010-11-15
WO2004014800A1 (en) 2004-02-19
EP1527017B1 (en) 2010-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1038B1 (ko) 도핑된 산화 아연 분말, 그의 제조 방법 및 그의 용도
JP4342320B2 (ja) ナノスケールの酸化亜鉛、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使用
KR100649046B1 (ko) 나노스케일 인듐 주석 혼합 산화물 분말
US4297143A (en) Temperature stabilized silicon dioxide-mixed oxide, the process for its production and use
Zhu et al. Synthesis of SiO2 and SnO2 particles in diffusion flame reactors
JP4765051B2 (ja) スズドープ酸化インジウム粉
JPH07144917A (ja) 導電性酸化物粒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3242469B2 (ja) 導電性酸化亜鉛の製造方法
JP4171790B2 (ja) スズドープ酸化インジウム粉の製造方法
KR100840078B1 (ko) 인듐-주석 혼합 산화물 분말
Rodríguez et al. A new strategy toward enhancing the phosphate doping in LixMn2O4 cathode materials
JP2001220141A (ja) 酸化チタン分散体
KR101478556B1 (ko) 고온 플라즈마를 이용한 코어-쉘 구조를 갖는 Ni 나노파우더 및 그 제조 방법
EP2467331B1 (en) Mixed metal oxide powder, especially antimony-tin mixed oxide powder, and preparation thereof
JPH05229826A (ja) 導電性物質及びその製造法
WO2022202134A1 (ja) チタン酸バリウム系粉末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封止材用フィラー
Liu P-Type Transparent Conducting Oxides Synthesized by Electrohydrodynamic Proc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