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65333A - 화상 기록 재생 장치 및 화상 재생 방법 - Google Patents

화상 기록 재생 장치 및 화상 재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65333A
KR20050065333A KR1020040108682A KR20040108682A KR20050065333A KR 20050065333 A KR20050065333 A KR 20050065333A KR 1020040108682 A KR1020040108682 A KR 1020040108682A KR 20040108682 A KR20040108682 A KR 20040108682A KR 20050065333 A KR20050065333 A KR 200500653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reproducing
image
web page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86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5559B1 (ko
Inventor
이치오카히데토시
마에다타카아키
코가와무츠미
와카이신이치
키무라히토시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653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53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5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55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7921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for more than one processing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3Regener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or of selected parts thereof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05Reproducing at a different information rate from the information rate of recor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4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11B27/105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of operating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6Monitoring, i.e. supervising the progress of recording or reproduc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35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xternal recor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1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of read-only, rewritable, or recordable type
    • G11B2220/215Recordable discs
    • G11B2220/216Rewritable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1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of read-only, rewritable, or recordable type
    • G11B2220/215Recordable discs
    • G11B2220/218Write-once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08Magnetic discs
    • G11B2220/2516Hard disk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45C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62DVDs [digital versatile discs]; Digital video discs; MMCDs; HDC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40Combinations of multiple record carriers
    • G11B2220/45Hierarchical combination of record carriers, e.g. HDD for fast access, optical discs for long term storage or tapes for backup
    • G11B2220/455Hierarchical combination of record carriers, e.g. HDD for fast access, optical discs for long term storage or tapes for backup said record carriers being in one device and being used as primary and secondary/backup media, e.g. HDD-DVD combo device, or as source and target media, e.g. PC and portable play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2Retrieving content or additional data from different sources, e.g. from a broadcast channel and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1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disks or dru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84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 H04N5/85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on discs or dru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07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static stores, e.g. storage tubes or semiconductor 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4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4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 H04N9/8047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using transform co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동화상 컨텐츠의 재생 조작뿐만 아니라, 정지화상 컨텐츠의 재생 조작을 직감적으로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비디오 기록 재생 처리부(40)는 비디오 컨텐츠를 재생하고, Web 컨텐츠 처리부(60)는 예를 들면, 재생한 Web 페이지의 데이터로부터 다음에 표시시키는 다른 Web 페이지를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자동적으로 선택하여 대응하는 Web 페이지를 재생함으로써 복수의 Web 페이지를 일정 시간 간격으로 연속적으로 재생 출력한다. 주제어부(20)는 입력 변환 테이블(21)에 의거하여 비디오 기록 재생 처리부(40)에 의한 비디오 컨텐츠의 재생 동작과, Web 컨텐츠 처리부(60)에 의한 Web 컨텐츠의 연속 재생 동작을 같은 조작 키군에 대한 입력 조작에 따라 입력되는 신호에 의거하여 제어한다.

Description

화상 기록 재생 장치 및 화상 재생 방법{PICTURE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AND PICTURE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
기술분야
본 발명은 동화상 컨텐츠 및 정지화상 컨텐츠를 기록 매체에 기록하고, 또한 이 기록 매체에 기록된 각 컨텐츠를 재생하는 것이 가능한 화상 기록 재생 장치 및 이와 같은 화상 기록 재생 장치에 있어서의 화상 재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근래, 방송 위성(BS : Broadcasting Satellite)이나 통신 위성(CS : Communication Satellite) 등을 이용한 디지털 방송의 보급이 진행되고 있고, 이에 수반하여, 디지털 방송을 수신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가 주목받고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 의해 수신한 컨텐츠의 데이터를 기록형의 DVD(Digital Versatile Disk)나 HDD(Hard Disk Drive) 등의 대용량의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화상 기록 장치도 실현되어 있다.
한편, 화상을 촬상하여 디지털 데이터로서 기록 가능한 디지털 스틸 카메라 등의 촬상 장치도 널리 보급되어 있다. 이와 같은 촬상 장치에 의해 기록된 정지화상 데이터는 PC(퍼스널 컴퓨터) 등에 전송되고, 이 데이터에 의거한 화상의 디스플레이상에의 표시나 인쇄가 행하여지는 일이 많다. 그러나, 최근에는 이와 같은 정지화상을 PC를 이용하지 않고 보다 간단하게 열람할 수 있는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또한, 근래에는 인터넷이 널리 보급되고, PC 등으로 Web 페이지를 열람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되어 있는데, 이와 같은 Web 페이지에 대해서도 보다 간단하게 열람할 수 있는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이와 같은 요구에 대해 촬상 장치에 의해 촬상된 정지화상이나 Web 페이지라는 정지화상 컨텐츠를 텔레비전 수상기에서 표시시키는 것이 고려되고 있다. 예를 들면, 수신한 방송 화상을 디지털 데이터로서 HDD 등의 대용량의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기능과 함께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를 이용한 가반형의 메모리 카드의 슬롯을 구비하고, 디지털 스틸 카메라에 의해 촬상되고, 기록된 정지화상의 데이터를 메모리 카드를 통하여 받아들이고, 그 정지화상을 재생 출력하는 것이 가능한 화상 기록 재생 장치가 실현되어 있다. 또한, 통신 I/F(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인터넷에 접속하여 Web 페이지를 표시하는 것이 가능한 화상 기록 재생 장치도 실현되어 있다.
또한, 디지털 스틸 카메라에 신호 커넥터를 통하여 접속하고, 이 디지털 스틸 카메라에 기록된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여 축적함과 함께 텔레비전 수상기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신호 커넥터를 통하여 수신하면, 축적된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고, 이 화상 데이터에 의거한 정지화상 신호를 텔레비전 수상기에 출력함으로써 정지화상을 표시시키는 것이 가능한 화상 축적 장치가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또한, 디지털 스틸 카메라 재치부에 디지털 스틸 카메라를 재치하면, 이 디지털 스틸 카메라에 기록된 화상 데이터를 신호 커넥터를 통하여 자동적으로 전송시켜 내부의 대용량 기억 장치에 기억하는 텔레비전 수상기도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2 참조).
또한, 축적된 화상에 관해서는 예를 들면, 그들의 섬네일 화상을 텔레비전 수상기의 화면상에 일람 표시시키고, 그 중에서 임의의 화상 데이터 파일을 선택함으로써 재생 표시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축적된 화상 데이터를 차례차례로 판독하고, 일정 시간 간격으로 연속적으로 재생 표시시키는 슬라이드쇼라고 불리는 표시 방법도 실현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특개 2000―341614호 공보(단락 번호 [0057] 내지 [0126], 도 1) (대응 US 공개 : 2003011702, 2003011680, 2003011681, 2003011703, 2003025797, 2003025809, 2003025806, 2003035054, 2003048364)
[특허 문헌 2]
특개2000―354227호 공보(단락 번호 [0183] 내지 [0186], 도 50) (대응 US 공개 : 2003011702, 2003011680, 2003011681, 2003011703, 2003025797, 2003025809, 2003025806, 2003035054, 2003048364)
상술한 바와 같이, 방송을 통하여 수신된 동화상 컨텐츠를 기록 매체에 기록하고, 재생 출력하는 기능과 함께 정지화상의 재생 출력 기능이나 Web 페이지 등의 정지화상 컨텐츠의 표시 기능을 구비하는 화상 기록 장치가 실현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화상 기록 장치에서는 기록된 동화상의 재생시의 조작 방법과, 정지화상이나 Web 페이지 등의 정지화상 컨텐츠의 재생시의 조작 방법이 전혀 달랐다. 예를 들면, 이와 같은 화상 기록 장치에 대한 입력 조작은 리모트 컨트롤러에 의해 행하여지는 것이 많지만, 상기한 정지화상 컨텐츠를 표시 장치에 표시시키기 위해, 리모트 컨트롤러상에, 동화상의 재생 제어용과는 다른 조작 버튼을 마련하는 또는 메뉴 화면이나 팝업 메뉴 등으로부터 해당 기능을 기동시킬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동화상의 재생 조작에 익숙해진 유저에 있어서는 정지화상 컨텐츠를 표시시키기 위해 친숙하지 않은 새로운 조작을 습득하거나, 그때마다 화면을 전환할 필요가 있는 등, 조작의 간편함이나 알기 쉬움이라는 점에서 문제였다.
또한, Web 페이지를 열람할 때에는 통상, Web 페이지상의 링크 앵커를 유저 조작에 의해 선택함으로써 다음의 Web 페이지를 표시시키는데, 텔레비전 수상기로 Web 페이지를 열람하는 경우, 링크 앵커가 존재하는 위치를 특정하는 조작이 용이하지 않아, 유저에 있어서 보다 쾌적한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동화상 컨텐츠의 재생 조작뿐만 아니라, 정지화상 컨텐츠의 재생 조작을 직감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한 조작성이 높은 화상 기록 재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동화상 컨텐츠의 재생 조작뿐만 아니라, 정지화상 컨텐츠의 재생 조작을 직감적으로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조작성을 높인 화상 기록 재생 장치에 있어서의 화상 재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동화상 컨텐츠 및 정지화상 컨텐츠의 기록 매체에의 기록과, 상기 각 컨텐츠의 재생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한 화상 기록 재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동화상 컨텐츠를 재생하는 동화상 컨텐츠 재생 수단과, 복수의 상기 정지화상 컨텐츠를 일정 시간 간격으로 연속적으로 재생하는 정지화상 컨텐츠 재생 수단과, 상기 동화상 컨텐츠 재생 수단에 의한 재생 동작과, 상기 정지화상 컨텐츠 재생 수단에 의한 연속 재생 동작을 같은 조작 키군에 대한 입력 조작에 따라 입력되는 신호에 의거하여 제어하는 동작 제어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재생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동화상 컨텐츠 및 정지화상 컨텐츠의 기록 매체에의 기록과, 상기 각 컨텐츠의 재생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한 화상 기록 재생 장치에 있어서의 화상 재생 방법에 있어서, 동화상 컨텐츠 재생 수단에 의해 상기 동화상 컨텐츠를 재생하는 재생 동작과, 정지화상 컨텐츠 재생 수단에 의해 복수의 상기 정지화상 컨텐츠를 일정 시간 간격으로 연속적으로 재생하는 연속 재생 동작을 동작 제어 수단에 의해 같은 조작 키군에 대한 입력 조작에 따라 입력되는 신호에 의거하여 제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재생 방법이 제공된다.
이와 같은 화상 기록 재생 장치 및 화상 재생 방법에서는 동화상 컨텐츠 재생 수단에 의해 동화상 컨텐츠가 재생되고, 정지화상 컨텐츠 재생 수단에 의해 복수의 정지화상 컨텐츠가 일정 시간 간격으로 연속적으로 재생된다. 그리고, 동작 제어 수단에 의해 동화상 컨텐츠 재생 수단에 의한 재생 동작과, 정지화상 컨텐츠 재생 수단에 의한 연속 재생 동작이, 같은 조작 키군에 대한 입력 조작에 따라 입력되는 신호에 의거하여 제어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동화상 컨텐츠의 재생 동작과, 정지화상 컨텐츠의 연속 재생 동작이, 같은 조작 키군에 대한 입력 조작에 따라 입력되는 신호에 의거하여 제어되기 때문에, 동화상의 재생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에 익숙해진 유저는 정지화상 컨텐츠의 재생 동작의 제어 조작을 직감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동화상 컨텐츠의 재생 동작 제어용과, 정지화상 컨텐츠의 재생 동작 제어용으로 개별의 조작 키를 마련할 필요가 없어진다.
또한, 예를 들면, 정지화상 컨텐츠가 Web 페이지인 경우에는 정지화상 컨텐츠 재생 수단은 재생한 Web 페이지의 데이터로부터 다음에 표시시키는 다른 Web 페이지를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자동적으로 선택하여, 선택한 지시 정보에 대응하는 Web 페이지를 재생함으로써 연속 재생 동작을 실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로써, 유저는 Web 페이지의 재생 동작 제어를 동화상 컨텐츠의 재생 동작 제어시와 거의 같은 감각으로 조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하, 텔레비전 방송을 수신하여 동화상 신호를 표시 장치에 출력함과 함께 수신한 동화상을 디지털 데이터로서 기록 매체에 기록하고, 또한 판독하여 재생 출력하는 것이 가능한 화상 기록 재생 장치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경우를 상정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화상 기록 재생 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서는 예로서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여 기록하는 것이 가능한 화상 기록 재생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이 화상 기록 재생 장치는 튜너(1), 복조부(2), DMUX(Demultiplexer)(3),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디코더(4), 화상 출력 처리 회로(5), 음성 출력 처리 회로(6), CPU(Central Processing Unit)(7), ROM(Read Only Memory)(8), RAM(Random Access Memory)(9), 메모리 카드 I/F(인터페이스)(10), HDD(11), 광디스크 드라이브(12), 입력 I/F(13), 통신 I/F(14), 화상 처리 회로(15) 및 내부 버스(16)를 구비한다. 또한, 메모리 카드 I/F(10)에는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로 이루어지는 착탈 가능한 메모리 카드(10a)가 장착되고, 광디스크 드라이브(12)에는 판독 전용, 또는 기록 가능한 DVD, CD 등의 착탈 가능한 광디스크 매체(12a)가 장착된다.
튜너(1)는 외부의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방송 전파의 입력을 받아서, CPU(7)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소정의 반송(搬送) 주파수의 신호를 선택하고, 선택한 수신 신호를 복조부(2)에 출력한다. 방송 전파는 예를 들면 지상파, 또는 BS, CS에 의해 중계된 위성파라도 좋다. 또한, 유선 케이블을 통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도 좋다.
복조부(2)는 튜너(1)로부터의 방송 신호에 대해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복조 및 오류 정정 처리를 시행하고,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DMUX(3)에 출력하다. 또한, 스크램블 처리된 방송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튜너(1)로부터의 수신 신호로부터 방송프로그램 시청의 계약 정보를 추출하여 CPU(7)에 전송하고, CPU(7)의 제어에 의해 시청 가능하다고 판단된 트랜스포트 스트림 내의 데이터에 대해 CPU(7)로부터 공급된 키 정보를 이용하여 디스크램블 처리를 시행한다.
DMUX(3)는 복조부(2)로부터 공급된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부터 동화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등의 데이터 방송용의 부가 정보 등을 분리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동화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는 MPEG 방식에 의해 부호화된 동화상 스트림 및 음성 스트림으로서 공급되고, DMUX(3)에서 분리되어 MPEG 디코더(4)에 공급된다. 또한, DMUX(3)는 분리한 동화상 스트림 및 음성 스트림을 내부 버스(16)를 통하여 HDD(11)나 광디스크 드라이브(12)에 공급할 수도 있다. 또한, 분리한 데이터 방송용의 부가 정보는 내부 버스(16)를 통하여 CPU(7)에 공급된다.
MPEG 디코더(4)는 CPU(7)의 제어하에서, DMUX(3)나, HDD(11), 광디스크 드라이브(12)로부터 공급된 동화상 스트림 및 음성 스트림을 MPEG 방식에 따라 신장 복호화 처리한다. 복호화된 동화상 데이터는 화상 출력 처리 회로(5)에 출력되고, 음성 데이터는 음성 출력 처리 회로(6)에 출력된다. 또한, MPEG 디코더(4)는 처리시의 작업 영역으로서 전용의 메모리(4a)를 구비하여도 좋다.
화상 출력 처리 회로(5)는 MPEG 디코더(4)에 의해 복호화된 동화상 데이터나, CPU(7)에 의해 복호화된 정지화상 데이터, 생성된 Web 페이지의 화상 데이터에, 화상 처리 회로(15)에 의해 생성된 GUI(Graphical User Interface) 화상이나 OSD(On Screen Display) 화상의 데이터를 필요에 따라 합성하고, 또한 예를 들면 NTSC(National Television Standards Committee) 방식의 아날로그 화상 신호로 변환하여, 외부의 디스플레이 등에 출력한다.
음성 출력 처리 회로(6)는 MPEG 디코더(4)에 의해 복호화된 음성 데이터에, CPU(7)의 처리에 의해 출력된, 입력 조작에 대한 부가음의 데이터를 필요에 따라 합성하고, 또한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외부의 앰프 등에 출력한다.
CPU(7)는 ROM(8)이나 HDD(11)에 격납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에 의해 화상 기록 재생 장치 내의 각 부분을 제어한다. 또한, 정지화상 데이터의 신장 복호화나 리사이즈, 포맷 변환 등의 처리, 또한 인터넷을 통하여 수신한 Web 페이지의 데이터의 브라우즈 처리 등을 실행한다.
ROM(8)에는 OS(Operating System)나 BIOS(Basic Input/Output System),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그 밖의 각종 데이터가 미리 격납된다. RAM(9)은 CPU(7)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의 적어도 일부나, 이 프로그램에 의한 처리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한다.
메모리 카드 I/F(10)는 메모리 카드(10a)가 장착되는 도시하지 않은 카드 슬롯을 구비하고, 이 카드 슬롯에 장착된 메모리 카드(10a)에 대한 데이터의 기록 및 판독의 동작을 제어하는 I/F 회로이다. 장착된 메모리 카드(10a)에는 외부의 디지털 스틸 카메라나 PC 등으로부터 전송된 정지화상 데이터 등이 기록되어 있다.
HDD(11)는 장시간의 동화상 데이터를 기록하는 것이 가능한, 예를 들면 100GByte라는 비교적 대용량의 기억 장치로서, CPU(7)에 의해 지정되는 커맨드나 어드레스 정보에 의거하여 데이터의 기록 및 판독의 동작을 행한다. HDD(11)에는 동화상 스트림이나 음성 스트림 등의 방송 컨텐츠의 데이터나 데이터 방송용의 부가 정보, 메모리 카드(10a)로부터 판독된 정지화상 데이터, 인터넷을 통하여 수신된 Web 페이지의 데이터 등이 기록된다. 또한, HDD(11)에는 CPU(7)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이나 실행에 필요한 데이터 등이 기억되어도 좋다.
광디스크 드라이브(12)는 광디스크 매체(12a)가 장착되어 데이터의 판독·기록이 행하여지는 드라이브 장치나 구동 회로 등을 구비한다. 광디스크 매체(12a)에는 이 화상 기록 재생 장치, 또는 다른 장치에서 수신된 방송 컨텐츠의 데이터 등이 기록된다.
입력 I/F(13)는 예를 들면, 외부의 리모트 컨트롤러(100)로부터의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회로나, 유저가 매뉴얼 조작을 행하기 위한 조작 키 등을 구비하고, 유저의 입력 조작에 따른 제어 신호를 CPU(7)에 대해 공급한다.
통신 I/F(14)는 인터넷에 접속하여 통신을 행하기 위한 I/F 회로로서,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LAN(Local Area Network)에 접속하기 위한 I/F 회로로서 마련되고, 외부의 네트워크 접속 기기를 통하여 인터넷에 접속한다.
화상 처리 회로(15)는 CPU(7)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수신한 텔레비전 영상의 시청이나, 각종 기록 매체를 이용한 화상이나 음성의 기록·재생, Web 페이지의 시청 등을 행하기 위한 GUI 화상이나, 각종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OSD 화상 등의 데이터를 생성하고, 화상 출력 처리 회로(5)에 출력한다.
여기서, 이 화상 기록 재생 장치에 있어서의 기본적인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화상 기록 재생 장치에서는 대별하여, 방송 전파에 의해 수신한 동화상 및 음성으로 이루어지는 방송 컨텐츠와, HDD(11)나 광디스크 매체(12a)에 기록된 동화상·음성으로 이루어지는 비디오 컨텐츠와, 메모리 카드(10a)나 HDD(11) 등에 기록된 정지화상(이하, 포토 컨텐츠라고 칭한다)과, 통신 I/F(14)를 통하여 수신된 Web 페이지(이하, Web 컨텐츠라고 칭한다)를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방송 컨텐츠에는 동화상이나 음성과 함께 수신된 데이터 방송용의 부가 정보 등을 포함하여도 좋다. 그리고, 수신한 방송 컨텐츠는 HDD(11)나 광디스크 매체(12a)에 기록할 수 있고, 기록된 컨텐츠도 비디오 컨텐츠로 된다.
유저가 디지털 방송의 방송 컨텐츠를 시청할 때에는 CPU(7)는 입력 I/F(13)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거하여 선국 정보를 튜너(1)에 출력하고, 튜너(1)는 입력된 선국 정보에 따른 반송 주파수의 수신 신호를 선국하고, 복조부(2)에 출력한다. 복조부(2)에서는 튜너(1)로부터 방송 신호에 대해 QPSK 복조 및 오류 정정 처리가 시행되고, 처리 후의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부터 DMUX(3)에서 동화상 스트림, 음성 스트림, 데이터 방송용의 부가 정보가 분리된다.
분리된 동화상 스트림 및 음성 스트림은 MPEG 디코더(4)에 의해 신장 복호화 처리된다. 복호화된 동화상 스트림은 화상 출력 처리 회로(5)를 통하여 예를 들면 외부의 디스플레이에 출력되고, 이로써 수신한 방송 화상이 표시된다. 또한, 음성 스트림은 음성 출력 처리 회로(6)를 통하여 예를 들면 외부의 앰프에 출력되고, 스피커로부터 음성이 출력된다.
또한, 스크램블 처리된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튜너(1)로부터의 방송 신호는 복조부(2)에서 복조된 후, 디스크램블 처리가 행하여진다. 이 경우, 방송프로그램의 계약 정보나 디스크램블 처리를 위한 키 정보 등이 기록된 메모리 카드의 I/F가 또한 마련되고, CPU(7)는 이 메모리 카드로부터 계약 정보를 판독함과 함께 복조부(2)는 수신한 방송 신호중으로부터 계약 정보를 추출하고, CPU(7)에 공급한다. CPU(7)는 이들의 계약 정보를 조합하여, 시청 가능하다고 판단한 경우에 메모리 카드로부터 키 정보를 판독하고, 복조부(2)에 공급한다. 복조부(2)는 공급된 키 정보를 이용하여 디스크램블 처리를 행한다.
또한, DMUX(3)에서 분리된 데이터 방송용의 부가 정보는 입력 I/F(13)를 통한 유저로부터의 조작 입력에 따라 화상 처리 회로(15)로부터의 소정의 OSD 화상의 데이터와 함께 화상 출력 처리 회로(5)에 공급되고, 동화상과 함께 표시된다.
다음에, 수신한 방송 컨텐츠를 예를 들면 HDD(11)에 기록하는 경우에는 , DMUX(3)에서 분리된 동화상 스트림 및 음성 스트림이, 내부 버스(16)를 통하여 HDD(11)에 공급되고, 기록된다.
또한, HDD(11)에 기록된 비디오 컨텐츠를 재생하는 경우에는 HDD(11)로부터 이 비디오 컨텐츠에 대응하는 동화상 스트림 및 음성 스트림이 판독되고 MPEG 디코더(4)에 공급되고, 신장 복호화 처리되어, 화상 신호 및 음성 신호가 외부에 출력된다.
또한, 수신한 방송 컨텐츠는 마찬가지 처리에 의해 광디스크 매체(12a)에 기록할 수도 있다. 또한, 광디스크 매체(12a)에 기록된 화상·음성의 데이터를 재생 출력할 수도 있다.
다음에, 메모리 카드(10a)에 기록된 포토 컨텐츠를 재생 출력하는 경우에는 메모리 카드(10a)로부터 판독된 정지화상의 압축 데이터가, CPU(7)의 처리에 의해 신장 복호화되고, 화상 처리 회로(15)로부터의 소정의 GUI 화상이나 OSD 화상의 데이터와 함께 화상 출력 처리 회로(5)에 출력된다. 이로써, GUI 화상이나 OSD 화상과 함께 정지화상이 합성되어, 외부의 디스플레이에서 재생 출력된다.
또한, 메모리 카드(10a)로부터 판독한 정지화상의 압축 데이터는 HDD(11)나 광디스크 매체(12a)에 기록할 수도 있고, 또한 이들에 기록한 정지화상의 재생 출력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메모리 카드(10a)나 HDD(11) 등에 기록된 정지화상 데이터를 순차로 판독하여, 일정 시간마다 연속적으로 화상을 재생시키는 "슬라이드쇼"를 실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Web 컨텐츠를 표시시키는 경우에는 통신 I/F(14)를 통하여 Web 페이지의 데이터가 수신되면, CPU(7)의 처리에 의해 수신 데이터에 의거한 화상 데이터가 생성되고, 화상 처리 회로(15)로부터의 소정의 GUI 화상의 데이터와 함께 화상 출력 처리 회로(5)에 출력된다. 이로써, GUI 화상 내의 소정 위치에 Web 페이지의 화상이 합성되고, 외부의 디스플레이에서 재생 출력된다.
그리고, 이 Web 페이지 내의 소정의 링크가 입력 I/F(13)를 통하여 선택되면, 이 링크에 대응하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에 대해 통신 I/F(14)를 통하여 액세스되고, 대응하는 Web 페이지의 데이터가 수신되어, 마찬가지로 재생 출력된다. 또한, 표시한 Web 페이지 내의 소정의 링크를 자동적으로 선택함으로써 일정 시간마다 자동적으로 Web 페이지를 천이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이 기능을 "자동 링크"라고 칭하기로 한다.
다음에, 도 2는 상기한 화상 기록 재생 장치의 주된 기능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한 화상 기록 재생 장치는 주제어부(20), 방송 수신 처리부(30), 비디오 기록 재생 처리부(40), 포토 기록 재생 처리부(50) 및 Web 컨텐츠 처리부(60)를 구비한다. 이들의 기능 블록은 ROM(8) 또는 HDD(11)에 기억되고, CPU(7)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로서 실현된다. 또한, 주제어부(20)에는 입력 변환 테이블(21)이 접속되어 있다. 입력 변환 테이블(21)은 ROM(8) 또는 HDD(11)에 격납되어 있다.
주제어부(20)는 입력 I/F(13)로부터의 입력 신호에 대한 처리나, 상기한 각 컨텐츠의 분류에 따른 동작 제어 등, 화상 기록 재생 장치의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기능 블록이다. 주제어부(20)는 입력 I/F(13)로부터의 입력 신호에 따라 방송 수신 처리부(30)나 비디오 기록 재생 처리부(40), 포토 기록 재생 처리부(50), Web 컨텐츠 처리부(60), 화상 처리 회로(15) 등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이들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입력 변환 테이블(21)은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의 적외선 신호를 수신한 입력 I/F(13)로부터의 입력 정보를 재생하는 컨텐츠의 종류에 따른 동작 모드에 따라 변환하여 처리하기 위한 테이블이다. 주제어부(20)가, 이 입력 변환 테이블(21)을 참조하여 동작을 제어함에 의해 화상 기록 재생 장치를 조작하는 유저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HDD(11)나 광디스크 매체(12a)에 기록된 비디오 컨텐츠를 재생 출력할 때와 가까운 조작으로 포토 컨텐츠나 Web 컨텐츠를 재생 출력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방송 수신 처리부(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방송 컨텐츠를 수신하여 신장 복호화하고, 재생 신호를 출력하는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 블록으로서, 주제어부(20)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튜너(1)에 의한 선국이나 복조부(2), DMUX(3), MPEG 디코더(4), 화상 출력 처리 회로(5) 및 음성 출력 처리 회로(6)의 동작 제어를 행한다. 또한, 수신한 방송 컨텐츠를 HDD(11)나 광디스크 매체(12a)에 기록할 때에는 DMUX(3)에 의해 분리된 동화상 스트림 및 음성 스트림이나 부가 정보를 비디오 기록 재생 처리부(40)에 공급한다.
비디오 기록 재생 처리부(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HDD(11) 및 광디스크 매체(12a)에 대해 방송 컨텐츠를 기록하고, 또한 각 기록 매체에 기록된 비디오 컨텐츠를 판독하여 재생 출력하기 위한 기능 블록이다. 기록시에는 DMUX(3)에 의해 분리된 동화상 스트림 및 음성 스트림, 부가 정보의 공급을 받고, 각 기록 매체에 기록한다. 또한, 재생시에는 각 기록 매체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고, 동화상 스트림 및 음성 스트림에 관해서는 MPEG 디코더(4)에 공급한다.
포토 기록 재생 처리부(50)는 예를 들면 디지털 스틸 카메라 등으로 촬상된 화상 등의 포토 컨텐츠의 재생이나 파일 관리 등을 행하기 위한 기능 블록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포토 컨텐츠의 데이터는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 방식을 이용한 압축 데이터로서 기록되어 있다.
Web 컨텐츠 처리부(60)는 통신 I/F(14)를 통하여 액세스한 Web 페이지의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기능 블록이다.
도 3은 포토 기록 재생 처리부(50)의 더욱 상세한 기능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토 기록 재생 처리부(50)는 포토 컨텐츠의 데이터 파일(이하, 포토 파일이라고 칭한다)을 관리하는 포토 관리부(51)와, 메모리 카드(10a)의 장착의 유무를 감시하는 메모리 카드 감시부(52)와, 포토 파일의 데이터 변환 등의 처리를 행하는 화상 변환 처리부(53)를 구비한다.
포토 관리부(51)는 주제어부(20)로부터의 요구나, 메모리 카드 감시부(52)로부터의 통지에 따라 메모리 카드(10a)나 HDD(11)에 있어서의 포토 파일 등의 데이터 판독·기록을 제어하고, 메모리 카드(10a)가 장착되었을 때 그 기억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HDD(11)에 보존하는 처리나, HDD(11)로부터의 데이터 판독, 포토 파일의 슬라이드쇼 처리, HDD(11) 내의 포토 파일의 이력 관리 등을 실행한다.
메모리 카드 감시부(52)는 메모리 카드 I/F(10)를 통하여 메모리 카드(10a)가 장착되었는지의 여부를 감시하고, 착탈이 행하여진 때 포토 관리부(51)에 통지한다.
화상 변환 처리부(53)는 포토 파일의 신장 복호화나 리사이즈, 포맷 변환 등의 처리를 실행한다.
이와 같은 포토 기록 재생 처리부(50)에서는 메모리 카드(10a)나 HDD(11)에 기록된 포토 파일을 슬라이드쇼에 의해 표시할 때 고속의 화상의 묘화를 실현하기 위해, 메모리 카드(10a)에 기억된 포토 파일은 메모리 카드 I/F(10)에 장착되면 자동적으로 HDD(11) 내에 일시적으로 보존된다. 이와 함께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든 포토 파일에 관해 HDD(11) 내에서, 원래의 포토 파일(50a)과 함께 기억된 포토 컨텐츠를 일람 표시할 때 이용하는 섬네일용 파일(50b)과, 디스플레이 표시용으로 최적화한 표시용 파일(50c)이 생성되고, 해당 포토 파일의 메타 데이터인 포토 정보 파일(50d)과 함께 관련시켜져 보존된다.
구체적으로는 메모리 카드(10a)가 장착되면, 포토 관리부(51)는 메모리 카드 감시부(52)로부터의 통지를 받고, 메모리 카드(10a) 내의 포토 파일을 자동적으로 순차로 판독하고, 포토 정보 파일(50d)을 생성하여, 포토 파일(50a)과 함께 HDD(11) 내에 일시 파일로서 보존한다. 이와 함께 화상 변환 처리부(53)에 대해 해당 포토 파일(50a)의 섬네일용 파일(50b) 및 표시용 파일(50c)의 생성을 요구한다.
화상 변환 처리부(53)는 포토 파일(50a)을 신장 복호화 처리하고, 또한 리사이즈를 행하여, 섬네일용 파일(50b) 및 표시용 파일(50c)을 RAW(생(生)) 형식으로 생성하고, 이들의 파일을 포토 파일(50a)에 대응시켜 HDD(11)에 일시 파일로서 보존하다. 또한, NTSC 방식의 경우, 표시용 파일(50c)은 720×480의 픽셀 수로 된다.
그리고, 유저의 조작 입력에 의해 메모리 카드(10a) 내의 포토 파일의 재생 출력이나, 메모리 카드(10a) 내의 기록 파일의 일람 표시, 포토 파일의 관련 정보 등이 요구된 경우에는 포토 관리부(51)는 주제어부(20)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HDD(11) 내에 보존한 일시 파일을 판독하고, 화상 출력 처리 회로(5)에 출력한다. 이로써, 화상을 표시할 때 신장 복호화 처리 등을 행할 필요가 없어지고, 고속의 표시가 가능해진다. 특히, 슬라이드쇼에 의한 재생 출력이 요구된 경우에는 HDD(11) 내의 표시용 파일(50c)을 순차로 판독함으로써 유저에게 스트레스가 없는 화상 표시가 행하여진다.
또한, 메모리 카드(10a) 내의 포토 파일을 HDD(11)에 전송하여 기록하도록 요구된 경우는 포토 관리부(51)의 처리에 의해 HDD(11) 내에 이미 보존된 해당하는 일시 파일이, 항구적으로 기록된 상태로 변경된다.
또한, 기록된 포토 파일의 HDD(11)에의 항구적인 기록이 요구되지 않은 채 메모리 카드(10a)가 뽑인 경우에는 포토 관리부(51)는 메모리 카드 감시부(52)로부터 그 취지의 통지를 받고, HDD(11) 내의 해당하는 일시 파일을 소거한다. 또한, 이 때 일시 파일을 소거하지 않고, 재생 출력이 불가능한 상태로서 보존하여 두고, 후에 동일한 포토 파일이 기록된 메모리 카드(10a)가 재차 장착되었을 때 메모리 카드(10a)로부터의 데이터 판독을 행하지 않고, HDD(11) 내의 일시 파일을 이용하여 재생 출력 등을 행하도록 하여, 필요없는 처리를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에, 도 4는 Web 컨텐츠 처리부(60)의 더욱 상세한 기능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Web 컨텐츠 처리부(60)는 Web 컨텐츠의 데이터 관리를 행하는 Web 컨텐츠 관리부(61)와, Web 페이지의 브라우즈 처리를 행하는 Web 브라우즈 처리부(62)와, 외부의 Web 서버와의 통신을 제어하는 통신 제어부(63)를 구비한다.
Web 컨텐츠 관리부(61)는 주제어부(20)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HDD(11) 내에 초기 표시 설정 데이터(60a)를 설정하고, 이 초기 표시 설정 데이터(60a) 내의 지시된 URL을 Web 브라우즈 처리부(62)를 통하여 통신 제어부(63)에 통지한다. 또한, 수신된 Web 페이지의 데이터를 HDD(11) 내의 데이터 캐시 영역(60b)에 이력으로서 보존하고, Web 컨텐츠의 표시시에 데이터 캐시 영역(60b)을 참조한다. 또한, 주제어부(20)로부터의 정보에 따라 표시중의 Web 페이지 내의 링크 앵커의 선택 위치를 Web 브라우즈 처리부(62)에 통지한다.
Web 브라우즈 처리부(62)는 통신 제어부(63)에 의해 수신된 Web 페이지의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데이터를 해석하고,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여 화상 출력 처리 회로(5)에 출력한다. 이 때, 소정의 GUI 화상의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Web 컨텐츠 관리부(61) 및 주제어부(20)를 통하여 화상 처리 회로(15)에 요구한다. 이로써, 소정의 GUI 화상과 Web 페이지의 화상이 합성된 화상 신호가 출력된다.
또한, Web 브라우즈 처리부(62)는 Web 컨텐츠 관리부(61)로부터 링크 앵커의 선택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링크 앵커의 포커스 위치를 변경한다. 그리고, 그 링크 앵커에 대응하는 URL을 우선 Web 컨텐츠 관리부(61)에 통지하고, 대응하는 Web 페이지의 데이터가 데이터 캐시 영역(60b)에 보존되어 있는 경우는 이것을 수취하고, Web 페이지의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또한, 대응하는 데이터가 데이터 캐시 영역(60b)에 보존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해당 URL을 통신 제어부(63)에 통지하고, 액세스를 요구한다. 그리고, 수신된 Web 페이지의 데이터를 기초로,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출력한다.
통신 제어부(63)는 Web 브라우즈 처리부(62)로부터 URL의 통지를 받고, 대응하는 Web 서버에 액세스하기 위할 필요한 정보를 생성하고, 통신 I/F(14)를 통하여 인터넷상에 송신한다. 또한, 통신 I/F(14)를 통하여 수신한 정보로부터 Web 페이지의 데이터를 추출하고, Web 브라우즈 처리부(62)에 공급한다.
여기서, Web 컨텐츠를 표시시킬 때에는 유저는 초기 화면으로서 표시시키는 Web 페이지를 복수 등록해 두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하, 이와 같이 등록된 Web 페이지를 초기 표시 페이지라고 칭한다. 이들의 초기 표시 페이지의 URL은 초기 표시 설정 데이터(60a)로서 등록되고, Web 컨텐츠의 표시시에는 초기 표시 설정 데이터(60a)로부터 임의의 URL을 선택하여, 그 Web 페이지를 표시시킬 수 있다. 그리고, 표시시킨 Web 페이지 내의 링크 앵커를 선택하여, 또다른 Web 페이지를 표시시킬 수 있다. 또한, Web 컨텐츠의 표시시에는 데이터 캐시 영역(60b)에 캐시되어 있던 Web 페이지에 관해서는 다시 대응하는 Web 서버에 액세스하는 일 없이, 표시시킬 수 있다.
또한, Web 컨텐츠 관리부(61)의 제어에 의해 등록된 초기 표시 페이지를 기점으로 Web 페이지 내의 소정의 링크 앵커를 자동적으로 선택하여, 차례차례로 Web 페이지를 표시하여 가는 자동 링크를 실행하는 것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자동 링크의 실행시에는 Web 페이지가 일정 시간마다 연속하고 표시됨과 함께 이력을 참조하여 표시하여 온 화면을 역방향으로 자동적으로 천이시킬 수도 있다.
다음에, 도 5는 비디오 컨텐츠, 포토 컨텐츠 및 Web 컨텐츠의 파일 관리 방법을 모식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각 컨텐츠의 관리는 각각 비디오 기록 재생 처리부(40), 포토 기록 재생 처리부(50) 및 Web 컨텐츠 처리부(60)의 제어에 의해 행하여진다.
우선,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디오 컨텐츠를 구성하는 데이터 파일(도 5에서는 비디오 파일이라고 표기)은 카테고리별로 관리된다. 카테고리는 그 비디오 컨텐츠가 속하는 장르를 나타내고 있고, 예를 들면, 영화, 스포츠, 뉴스, 드라마, 애니메이션 등으로 분류된다. 또한, 이와 같은 카테고리별의 분류는 예를 들면 수신한 방송 컨텐츠의 HDD(11)나 광디스크 매체(12a)에의 기록시에, 그 방송 컨텐츠의 부가 정보 등으로부터 자동적으로 카테고리를 판별함으로써 행하여져도 좋다. 또한, 유저의 조작에 따라 분류가 행하여져도 좋다.
한편, 포토 컨텐츠를 구성하는 데이터 파일(포토 파일)은 폴더에 상당하는 앨범 단위로 관리된다. 앨범 단위에서의 분류는 유저의 조작에 의해 임의로 행할 수 있다. 단, 기본적으로는 메모리 카드(10a) 내의 포토 파일과, HDD(11) 내에 일상적으로 기록된 포토 파일은 다른 앨범의 배하(配下)에 관리되는 것으로 한다.
이와 같은 분류에 의해 포토 컨텐츠의 표시시에는 임의의 앨범을 선택함으로써 그 앨범 내의 포토 파일을 일정 시간 간격으로 차례로 표시시켜 슬라이드쇼를 실현할 수 있다. 즉, 슬라이드쇼는 앨범 단위로 실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면, 슬라이드쇼의 통상 실행시에는 각 앨범 내의 선두의 포토 파일부터 차례로, 대응하는 표시용 파일(50c)을 10초 간격으로 판독하고, 재생 표시시킨다. 또한, 판독의 시간 간격이나 방향을 조정함으로써 동화상 컨텐츠에 있어서의 빨리감기 슬로우 재생, 되감기 등에 상당하는 동작을 실행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Web 컨텐츠를 구성하는 데이터 파일은 Web 페이지를 차례차례로 표시시켜 가는 것에 수반하여, HDD(11) 내의 데이터 캐시 영역(60b)에서, 초기 표시 설정 데이터(60a)로 설정된 초기 표시 페이지 단위로 축적된다. 예를 들면, 초기 표시 페이지 단위로 폴더가 생성되고, 각 폴더 내에는 선두가 되는 초기 표시 페이지의 데이터 파일에 계속해서, 그 초기 표시 페이지를 기점으로 링크가 행하여진 링크처의 Web 페이지의 데이터 파일이 순차로 격납된다.
여기서, 초기 표시 페이지 단위로 관리하는 이유는 초기 표시 페이지 단위로 자동 링크가 실행되기 때문이다. 즉, 등록된 중에서 임의로 선택된 초기 표시 페이지를 기점으로 자동 링크가 실행된다. 따라서, 도 5와 같은 분류에 의해 이미 표시한 Web 페이지를 용이하게 반대의 순번으로 표시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로써, 자동적으로 화면을 천이시키는 시간 간격이나 방향을 조정함으로써 동화상 컨텐츠에 있어서의 빨리감기 슬로우 재생, 되감기 등에 상당하는 동작을 실행시킬 수 있다.
또한, 초기 표시 페이지나 그 배하의 링크처의 Web 페이지의 각 데이터는 Web 컨텐츠를 표시시키기 위한 동작 모드시에 일시 파일로서 HDD(11) 내의 데이터 캐시 영역(60b)에 생성되고, 예를 들면 다른 가상 채널이 선택되는 또는 전원이 절단되는 등의 타이밍에서, 그들의 일시 파일이 소거된다. 또한, 역으로 상기 타이밍의 후에도 데이터 캐시 영역(60b) 내의 Web 페이지의 데이터 파일을 보존하여 두어도 좋고, 이로써, 그 후에 같은 초기 표시 페이지가 선택되었을 때 데이터 캐시 영역(60b)에 기억된 링크의 순번으로 자동 링크를 실행시킬 수 있다.
그런데, 상기한 화상 기록 재생 장치에서는 이상과 같은 방송 컨텐츠나 비디오 컨텐츠, 포토 컨텐츠, Web 컨텐츠를 표시시키기 위해, 가상 채널이라는 개념을 이용한다. 가상 채널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송 컨텐츠, 비디오 컨텐츠 내의 각 카테고리, 포토 컨텐츠 및 Web 컨텐츠를 단위로 하여 할당된다. 이로써, 포토 컨텐츠나 Web 컨텐츠와 같은 비(非) 동화상 컨텐츠에 대해서도, 종래와 같이 복잡한 메뉴 조작 등을 행하는 일 없이, 방송 컨텐츠 등의 동화상을 이용한 컨텐츠와 같은 차원으로 선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6은 가상 채널을 선택하는 화면의 표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의 화면 표시예에서는 컨텐츠의 표시부(201) 위에, 가상 채널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부(202 내지 206)가 OSD 표시되어 있다. 도 6에서는 예로서, 선택부(202)에서는 방송 컨텐츠(도면중에서는 "TV"라고 표기)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비디오 컨텐츠의 카테고리로서 선택부(203 및 204)에서 각각 「영화」 「스포츠」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선택부(205)에서는 포토 컨텐츠가 선택 가능하게 되고, 선택부(206)에서는 Web 컨텐츠가 선택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각 선택부(202 내지 206)는 유저의 조작에 의해 포커스 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선택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예로서, 「스포츠」의 카테고리를 나타내는 선택부(204)에 포커스가 맞추어져 있고, 이 후에 확정 조작을 행함으로써 스포츠의 카테고리의 배하의 비디오 컨텐츠의 재생이 시작된다. 마찬가지로, 포토 컨텐츠를 나타내는 선택부(205)를 선택하고, 확정함으로써 소정의 앨범의 1장째의 포토 파일로부터 슬라이드쇼가 시작된다. 또는 선택부(205)의 선택에 따라 앨범의 일람이 표시되고, 임의의 앨범이나 그 중의 포토 파일을 선택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Web 컨텐츠를 나타내는 선택부(206)를 선택하고, 확정함으로써 소정의 초기 표시 페이지를 기점으로 하여 자동 링크가 시작된다.
이와 같이, 포토 컨텐츠 및 Web 컨텐츠를 방송 컨텐츠나 비디오 컨텐츠와 같은 차원의 가상 채널에 할당함에 의해 유저는 각 종류의 컨텐츠를 같은 조작으로 선택하는 것이 가능해지다. 따라서, 포토 컨텐츠나 Web 컨텐츠를 선택할 때 고유의 조작이나 메뉴 화면 등을 이용한 복잡한 조작을 행할 필요가 없어지고, 유저의 조작성이 높아진다.
또한, 가상 채널로서 포토 컨텐츠나 Web 컨텐츠가 선택되었을 때 명시적인 시작 조작을 행하는 일 없이, 각 컨텐츠의 연속 재생(슬라이드쇼 및 자동 링크)을 자동적으로 시작시킴에 의해 유저는 방송 컨텐츠나 비디오 컨텐츠의 재생시와 같은 감각으로 정지화상 컨텐츠를 열람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7은 포토 컨텐츠의 슬라이드쇼 실행시의 화면 표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한 화면은 도 6에 도시한 화면으로부터 포토 컨텐츠를 나타내는 선택부(205)를 선택하였을 때 천이하는 슬라이드쇼의 화면이다. 도 7의 화면에서, 표시부(211)에는 포토 컨텐츠의 화상이 표시되고, 그 위에 유저 조작에 따라 이하와 같은 다양한 정보를 나타내는 OSD 화상을 합성 표시시킬 수 있다.
표시부(212)에는 가상 채널로서 현재 포토 컨텐츠가 선택되어 있는 것이 표시되고, 표시부(213)에는 현재 선택되어 있는 앨범의 타이틀이 표시되어 있다. 또한, 표시부(214)에는 장착되어 있는 메모리 카드(10a) 및 HDD(11) 내에 격납되어 있는 포토 컨텐츠의 앨범 수와, 현재 선택되어 있는 앨범의 번호가 표시되어 있다.
또한, 표시부(215)에는 슬라이드쇼의 표시 속도가 표시되고, 도 7의 예에서는 표준의 속도인 것이 나타나 있다. 또한, 아이콘(216)은 현재 실행되고 있는 슬라이드쇼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고, 도 7의 예에서는 차례방향으로의 통상 속도로의 재생 중인 것이 나타나 있다. 또한, 슬라이드 바(217)는 현재 표시중의 포토 파일이, 격납되어 있는 앨범 중의 어느 위치에 있는지를 나타내고 있고, 표시부(218)는 선택되어 있는 앨범 내의 포토 파일의 수와, 현재 표시중의 포토 파일의 번호를 나타내고, 슬라이드 바(217)에 연동하여 포토 파일의 번호가 변화한다.
또한, 표시부(219)에는 HDD(11)의 나머지 용량이, 비디오 컨텐츠의 기록 시간이나 포토 파일의 매수로서 표시되어 있다.
도 8은 Web 컨텐츠의 자동 링크 실행시의 화면 표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한 화면은 도 6에 도시한 화면으로부터 Web 컨텐츠를 나타내는 선택부(206)를 선택하였을 때 천이하는 Web 페이지의 화면이다. 도 8의 화면에서, 표시부(221)에는 Web 페이지의 화상이 표시되고, 그 위에 이하와 같은 다양한 정보를 나타내는 OSD 화상이 합성 표시된다.
표시부(222)에는 가상 채널로서 현재 Web 컨텐츠가 선택되어 있는 것이 표시되고, 표시부(223)에는 현재 표시되어 있는 Web 페이지의 타이틀이 표시되어 있다. 또한, 아이콘(224)은 현재 실행되어 있는 자동 링크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고, 도 8의 예에서는 차례방향의 재생중인 것이 나타나 있다. 또한, 표시부(225)에는 자동 링크의 표시 속도가 표시되고, 도 8의 예에서는 표준의 속도인 것이 나타나 있다.
그런데, 표시부(221)의 Web 페이지의 화상에는 다른 Web 페이지에 링크하기 위한 복수의 링크 앵커(221a 내지 221e)가 표시되어 있다. 또한, 도 8의 예에서는 링크 앵커(221a)가 포커스되어 있고, 유저에 의해 확정 조작이 행하여지면, 이 링크 앵커(221a)에 대응하는 URL로 액세스하여, 다음의 Web 페이지를 표시시킬 수 있다.
자동 링크에서는 포커스를 주는 링크 앵커의 초기 위치를 Web 페이지마다 정하여 둠으로써 유저 조작에 의해 링크 앵커의 위치 지정을 행하는 일 없이, Web 페이지를 연속적으로 링크시켜 표시시킨다. 링크 앵커의 초기 위치는 예를 들면, Web 페이지의 HTML 데이터 중에 기술되는 「tabindex 속성」을 참조하여 설정할 수 있다.
「tabindex 속성」은 예를 들면 PC의 키보드상의 TAB 키 등을 이용하여 Web 페이지상의 링크 앵커에 대한 포커스 위치를 차례로 이동시킬 때 그 순번을 지정하기 위한 속성으로서, HTML―ver4.0에서는 0 내지 32767 범위의 임의의 수치를 할당함으로써 TAB 키에 의해 수치가 작은 링크 앵커로부터 차례로 포커스 위치를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자동 링크 실행시의 초기 포커스 위치로서, 예를 들면 「tabindex 속성」의 수치가 가장 작은 링크 앵커로 설정하여 둠으로써 자동적으로 다음의 Web 페이지를 표시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로써, 정적인 컨텐츠인 Web 컨텐츠를 동화상 컨텐츠와 같은 조작으로 열람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유저는 큰 위화감을 갖는 일 없이, 텔레비전 수상기를 이용하여 Web 컨텐츠를 열람할 수 있다.
또한, 유저가 초기 포커스 위치 이외의 링크 앵커를 선택하고 싶은 경우에는 커서 키의 조작 등에 의해 「tabindex 속성」의 수치가 작은 순으로 포커스 위치를 이동시키도록 하고, 그 후에 「tabindex 속성」이 할당되어 있지 않은 링크 앵커를 다시 선택 대상으로 하면 좋다.
다음에, 포토 컨텐츠나 Web 컨텐츠의 재생시에 있어서의 유저의 조작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한 각 컨텐츠의 선택이나 표시, 동작 상태 변경 등을 위한 유저의 조작 입력은 적외선 통신 등을 이용한 리모트 컨트롤러(100)를 이용하여 주로 행하여진다.
도 9는 리모트 컨트롤러(100)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한 리모트 컨트롤러(100)는 전원 키(101), 녹화 키(102), 방송프로그램표 키(103), 방송프로그램 설명 키(104), 화면 표시 키(105), 메뉴 키(106), 타이틀 키(107), 커서 키(108), 플래시 키(109), 재생 키(110), 빨리감기 키(111), 되감기 키(112), 일시정지 키(113), 슬로우 키(114), 처음부터 재생(頭出) 키(115), 채널 키(116) 및 텔레비전 음량 키(117)를 구비하고 있다.
전원 키(101)는 화상 기록 재생 장치의 전원의 온/오프를 지시하기 위한 키이다. 녹화 키(102)는 수신중의 방송 컨텐츠를 기록 매체에 기록시키기 위한 키이다. 방송프로그램표 키(103), 방송프로그램 설명 키(104) 및 화면 표시 키(105)는 표시중의 컨텐츠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표시시키기 위한 키이다.
메뉴 키(106)는 메뉴 화면을 표시시키기 위한 키로서, 예를 들면 후술하는 동작 모드의 전환 화면 등을 표시시킬 수 있다. 타이틀 키(107)는 기록 매체에 기록된 컨텐츠를 확인하기 위한 타이틀 일람을 표시시키기 위한 키이다.
커서 키(108)는 상하 키(108a 및 108b), 좌우 키(108c 및 108d), 결정 키(108e)를 구비하고, 예를 들면 메뉴 화면상 등의 커서의 이동 및 확정 등을 행하기 위한 키이다.
플래시 키(109), 재생 키(110), 빨리감기 키(111), 되감기 키(112), 일시정지 키(113), 슬로우 키(114) 및 처음부터 재생 키(115)는 컨텐츠의 재생에 관한 조작을 행하기 위한 키이다. 또한, 플래시 키(109)는 차례방향측, 역방향측의 조작을 각각 지정하는 조작 키(109a 및 109b)로 이루어진다.
채널 키(116)는 주로 수신하고 있는 텔레비전 방송의 선국을 행하기 위한 키이다. 텔레비전 음량 키(117)는 스피커나 이어폰 등으로부터 출력되고 있는 음량을 조절하기 위한 키이다.
이와 같이, 리모트 컨트롤러(100)에는 종래의 화상 기록 재생 장치용의 것과 마찬가지로, 주로 방송 컨텐츠 및 비디오 컨텐츠의 녹화·재생에 특화된 조작 키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한 화상 기록 재생 장치에서는 이들의 조작 키를 이용하여, 정지화상 컨텐츠의 연속 재생(구체적으로는 포토 컨텐츠의 슬라이드쇼 및 Web 컨텐츠의 자동 링크)의 조작도 실현함으로써 종래와 거의 같은 감각으로 이들의 조작을 가능하게 한다. 각 컨텐츠의 선택시의 조작 키의 배당은 입력 변환 테이블(21)에 따라 주제어부(20)의 처리에 의해 변환된다.
여기서, 표 1에, 입력 변환 테이블(21)의 내용의 예를 나타낸다.
[표 1]
비디오컨텐츠 포토컨텐츠 Web 컨텐츠
상하키 카테고리내의파일전환 앨범전환 초기 표시 페이지전환
좌우키 - - 포커스 위치 변경
채널키 카테고리내의파일전환 앨범전환 초기 표시 페이지전환
재생키 비디오재생 슬라이드쇼개시(10초) 자동링크개시(30초)
빨리감기키 비디오빨리감기 슬라이드쇼속도변경(순방향, 6초→3초→1초) 자동링크속도변경(순방향, 10초→6초)
되감기키 비디오되감기 슬라이드쇼속도변경(역방향, 6초→3초→1초) 자동링크속도변경(역방향, 10초→6초)
일시정지키 비디오일시정지 슬라이드쇼일시정지 자동링크일시정지
슬로우키 비디오슬로우재생 슬라이드쇼속도변경(30초) 자동링크속도변경(60초)
처음부터재생키 파일의선두로부터재생 앨범의선두의포토를표시 초기표시페이지를표시
플래시키 15초빨리감기 ·되감기 전후의포토를표시 포커스된링크처또는전의페이지로점프
프로그램표키 파일일람표시 앨범일람표시 초기표시페이지일람표시
프로그램설명키 부가정보를표시 포토에관한정보를표시 -
화면표시키 재생동작에관한정보를표시 슬라이드쇼의현재위치를표시 -
상기한 도 6에 도시한 가상 채널의 선택 화면으로부터 비디오 컨텐츠의 카테고리가 선택된 경우에는 비디오 기록 재생 처리부(40)의 처리에 의해 선택된 카테고리 내의 선두의 비디오 컨텐츠의 재생이 시작된다. 이 때,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 키(108a 및 108b)에 의해 선택된 카테고리 내의 비디오 파일의 전환이 행하여진다. 또한, 채널 키(116)에 의해 마찬가지로 해당 카테고리 내의 비디오 파일이 전환된다. 즉, 이들의 키에 의해 카테고리 내의 임의의 비디오 파일을 선택하여, 그 선두(또는 전회 재생을 정지한 장소)로부터 재생을 시작시킬 수 있다.
또한, 재생 키(110)에 의해 비디오 파일의 재생이 시작되고, 빨리감기 키(111) 및 되감기 키(112)에 의해 각각 비디오 파일의 빨리감기, 되감기가 행하여진다. 또한, 일시정지 키(113)에 의해 재생이 일시정지되고, 화면이 멈춘 상태로 된다. 또한, 슬로우 키(114)에 의해 재생 속도가 저하되고, 처음부터 재생 키(115)에 의해 재생중의 비디오 파일의 선두로 되돌아와 재생이 재차 시작된다.
또한, 플래시 키(109)의 조작 키(109a 및 109b)에 의해 각각 차례방향, 역방향으로의 스킵 재생(예를 들면 15초분만큼 빨리감기 및 되감기)이 행하여진다. 또한, 방송프로그램표 키(103)에 의해 선택되어 있는 카테고리 내의 비디오 파일을 확인하거나, 또는 선택하기 위해, 그 파일명 등이 일람 표시된다. 또한, 방송프로그램 설명 키(104)에 의해 재생중의 비디오 파일의 부가 정보가 표시되고, 화면 표시 키(105)에 의해 예를 들면 재생중의 비디오 파일의 경과 시간 등, 재생 동작에 관한 정보가 표시된다.
이에 대해 포토 컨텐츠가 선택된 경우에는 포토 기록 재생 처리부(50)의 처리에 의해 슬라이드쇼가 시작되고, 소정의 앨범 내의 포토 파일이 차례차례로 재생 출력된다. 이 때, 상하 키(108a 및 108b)에 의해 메모리 카드(10a) 또는 HDD(11)에 기록된 앨범의 전환이 행하여진다. 또한, 채널 키(116)에 의해 마찬가지로 앨범이 전환된다. 이 때, 전환된 앨범의 선두의 포토 컨텐츠를 기점으로 슬라이드쇼가 시작된다. 이와 같이 상하 키(108a 및 108b)나 채널 키(116)에 의해 종래, 방송 컨텐츠를 시청할 때 방송 채널의 전환을 행하는 것과 같은 조작으로 기록된 앨범을 전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재생 키(110)에 의해 예를 들면 일시정지시 등에 슬라이드쇼가 시작된다. 이 때, 슬라이드쇼의 화상 표시는 통상 속도(10초 간격)로 행하여진다.
또한, 빨리감기 키(111) 및 되감기 키(112)에 의해 슬라이드쇼의 표시 간격이 짧아지도록 변경된다. 예를 들면, 빨리감기 키(111)에 의해 차례방향으로의 표시 간격이 변경되는데, 이 키가 압하될 때마다, 표시 간격이 6초, 3초, 1초로 변경된다. 또한, 되감기 키(112)에 의해 재생 방향이 역전됨과 함께 상기한 바와 마찬가지로 표시 간격이 압하 회수에 따라 순차로 변경된다.
또한, 일시정지 키(113)에 의해 슬라이드쇼가 일시정지되고, 그 시점에서 표시된 포토 파일의 화상이 계속 표시된다. 또한, 슬로우 키(114)에 의해 슬라이드쇼의 표시 간격이 30초로 변경되어, 표시 속도가 저하된다. 또한, 처음부터 재생 키(115)에 의해 선택중 앨범 내의 선두의 포토 파일로 되돌아와, 슬라이드쇼가 다시 시작된다. 또한, 플래시 키(109)의 조작 키(109a 및 109b)에 의해 해당 앨범 내의 직전 및 직후의 포토 파일이 각각 표시된다.
이와 같이, 슬라이드쇼에서는 단지 화상이 연속적으로 재생될 뿐만 아니라, 다양한 동작이 행하여지는데, 이들에 대한 동작 제어의 조작은 비디오 컨텐츠의 재생 조작에 감각적으로 가깝도록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비디오 컨텐츠의 재생 조작에 익숙해진 유저도, 조작에 대해 큰 위화감을 받는 일 없이, 포토 컨텐츠를 열람할 수 있다.
또한, 나아가 방송프로그램표 키(103)나 방송프로그램 설명 키(104), 화면 표시 키(105)를 이용하여, 포토 컨텐츠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OSD 화상으로서 표시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예를 들면, 방송프로그램표 키(103)에 의해 메모리 카드(10a)나 HDD(11)에 기록되어 있는 앨범의 앨범명 등이 일람 표시되고, 방송프로그램 설명 키(104)에 의해 예를 들면 포토 파일의 데이터량이나 촬영 일시 등, 표시중의 포토 파일에 관한 정보의 표시·비표시가 변환되고, 화면 표시 키(105)에 의해 현재 표시중의 포토 파일이, 선택된 앨범 내의 어느 위치에 있는가를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면, 도 7의 슬라이드 바(217)나 표시부(218)에 대응한다)의 표시·비표시가 변환된다.
또한, Web 컨텐츠가 선택된 경우에는 Web 컨텐츠 처리부(60)의 처리에 의해 자동 링크가 시작된다. 자동 링크에서는 Web 페이지 내의 링크 앵커가 자동적으로 선택되고, 그 링크처로 점프되는데, 리모트 컨트롤러(100)의 조작에 의해 Web 페이지 내의 다른 링크 앵커로도 포커스를 이동시키고, 그 링크처로 점프하는 것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자동 링크의 실행시에는 상하 키(108a 및 108b)에 의해 표시하는 초기 표시 페이지의 전환이 행하여진다. 또한, 채널 키(116)에 의해 마찬가지로 초기 표시 페이지가 전환된다. 이 때, 전환된 초기 표시 페이지가 표시되고, 이 초기 표시 페이지를 기점으로 자동 링크가 시작된다. 이와 같이 상하 키(108a 및 108b)나 채널 키(116)에 의해 종래, 방송 컨텐츠를 시청할 때 방송 채널의 변경을 행하는 것과 같은 조작으로 초기 표시 페이지를 전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좌우 키(108c 및 108d)에 의해 표시중의 Web 페이지 내의 링크 앵커에 대한 포커스 위치가 변경된다. 좌우 키(108c 및 108d)가 압하된 경우에는 예를 들면 다음의 Web 페이지로 점프하기 까지의 시간의 카운트를 수초 정도 동안 정지하여, 링크처를 찾는 동안에 의도하지 않은 다음의 Web 페이지로 점프하지 않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재생 키(110)에 의해 예를 들면 일시정지시 등에 자동 링크가 시작된다. 이 때, 다음의 Web 페이지로 점프하기 까지의 화상 표시 간격은 통상 간격인 30초로 된다.
또한, 빨리감기 키(111) 및 되감기 키(112)에 의해 자동 링크의 표시 간격이 짧아지도록 변경된다. 예를 들면, 빨리감기 키(111)에 의해 다음의 Web 페이지로 차례방향의 표시 간격이 변경되는데, 이 키가 압하될 때마다, 표시 간격이 10초, 6초로 변경된다(다시 압하하면, 10초로 되돌아온다). 또한, 되감기 키(112)에 의해 링크 방향이 역전되어 직전의 Web 페이지가 순차로 표시됨과 함께 상기한 바와 마찬가지로 표시 간격이 압하 회수에 따라 순차로 변경된다.
또한, 일시정지 키(113)에 의해 자동 링크가 일시정지되고, 그 시점에서 표시된 Web 페이지의 화상이 계속 표시된다. 또한, 슬로우 키(114)에 의해 자동 링크의 표시 간격이 60초로 변경되고, 표시 속도가 저하된다. 또한, 처음부터 재생(頭出) 키(115)에 의해 이 때 기점으로 되어 있던 초기 표시 페이지로 되돌아오고, 그 때까지 천이하고 있던 순으로 자동 링크가 재차 시작된다. 또한, 플래시 키(109)의 조작 키(109a)에 의해 표시중의 Web 페이지 내에서 포커스되어 있는 링크 앵커에 대응하는 링크처로 강제적으로 점프되고, 다음의 Web 페이지가 표시된다. 또한, 조작 키(109b)에 의해 직전의 Web 페이지가 표시된다.
이와 같이, 자동 링크에서도, 단지 Web 페이지가 연속적으로 자동 표시될 뿐만 아니라, 다양한 동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이들에 대한 동작 제어의 조작은 포토 컨텐츠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비디오 컨텐츠의 재생 조작에 감각적으로 가깝도록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비디오 컨텐츠의 재생 조작에 익숙해진 유저도, 조작에 대해 큰 위화감을 갖는 일 없일, Web 컨텐츠를 열람할 수 있다.
또한, 나아가 포토 컨텐츠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프로그램표 키(103)에 의해 등록되어 있는 초기 표시 페이지의 사이트명이나 제작자명, URL 등을 일람 표시시킬 수 있다.
다음에, 포토 컨텐츠의 슬라이드쇼 및 Web 컨텐츠의 자동 링크의 실행시에 있어서의 화상 기록 재생 장치 내의 처리에 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도 10은 컨텐츠의 재생시에 있어서의 주제어부(20)의 처리의 흐름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컨텐츠의 재생시에는 주제어부(20)는 입력 I/F(13)로부터의 입력 신호에 의거하여 가상 채널의 변경 조작의 유무(스텝 S101에 대응) 및 재생 동작의 조작을 위한 입력의 유무(스텝 S104)를 항상 감시한다.
스텝 S101에서, 입력 I/F(13)를 통하여 리모트 컨트롤러(100)로부터 가상 채널을 변경하기 위한 입력을 받으면, 스텝 S102로 진행한다. 이 입력이 없는 경우는 스텝 S104로 진행한다.
스텝 S102에서, 변경된 가상 채널에 대응하는 처리부에 대해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동작의 시작을 요구한다. 예를 들면, 비디오 컨텐츠의 카테고리가 선택된 경우는 비디오 기록 재생 처리부(40)에 대해 해당 카테고리 내의 비디오 데이터의 재생 출력을 요구한다.
또한, 포토 컨텐츠가 선택된 경우는 포토 기록 재생 처리부(50)에 대해 소정의 앨범 내의 포토 파일을 이용한 슬라이드쇼의 실행 시작을 요구한다. 또한, Web 컨텐츠가 선택된 경우는 Web 컨텐츠 처리부(60)에 대해 소정의 초기 표시 페이지를 기점으로 한 자동 링크의 실행 시작을 요구한다.
스텝 S103에서, 입력 변환 테이블(21)을 참조할 때의 판독 대상으로 하는 컨텐츠의 설정을 선택된 가상 채널에 따라 변경한다. 이 후, 스텝 S104로 진행한다.
스텝 S104에서, 재생 동작의 조작 입력을 받으면, 스텝 S105로 진행한다. 또한, 이 입력이 없는 경우는 스텝 S107로 진행한다.
스텝 S105에서, 입력 변환 테이블(21)을 참조하여, 판독 대상으로서 설정된 컨텐츠에 대응하는 정보에 의거하여 스텝 S104에서 입력 I/F(13)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따른 제어 신호를 동작중의 처리부(예를 들면, 비디오 기록 재생 처리부(40)나 포토 기록 재생 처리부(50), Web 컨텐츠 처리부(60) 등)에 출력한다. 이로써, 출력처의 처리부에서, 입력 조작에 따른 재생 동작이 실행된다.
스텝 S106에서, 스텝 S105에서 출력한 제어 신호에 따라 실행된 재생 동작에 수반하여, 처리부로부터 화면상의 OSD 화상을 변화시키도록 요구되면, 이 요구에 따른 OSD 화상의 생성 및 출력을 화상 처리 회로(15)에 대해 요구한다. 이로써, 실행된 재생 동작에 따라 OSD 화상상의 표시 정보가 변화한다. 이 후, 스텝 S107로 진행한다.
스텝 S107에서, 예를 들면, 전원 키(101)의 압하 등에 의해 재생 동작의 종료가 요구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요구되지 않은 경우만, 스텝 S101로 되돌아와 처리를 속행한다.
다음에, 도 11은 가상 채널로서 포토 컨텐츠가 선택된 경우의 포토 기록 재생 처리부(50)의 처리의 흐름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스텝 S201에서, 소정의 앨범 내의 선두의 포토 파일(실제로는 이 포토 파일에 관련시켜진 표시용 파일(50c))을 HDD(11)로부터 취득한다. 또한, 이 때 선택된 앨범은 예를 들면 그 이전에 최후로 슬라이드쇼가 실행된 앨범으로 된다.
스텝 S202에서, 취득한 포토 파일을 화상 출력 처리 회로(5)에 출력하고, 화상 신호의 출력을 요구한다.
스텝 S203에서, 화상의 표시 타이밍을 얻기 위한 타이머의 카운트 값을 리셋한다.
스텝 S204에서, 플래시 키(109)의 압하를 검출한 경우에는 스텝 S205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는 스텝 S208로 진행한다.
스텝 S205에서, 스텝 S204에서 압하된 조작 키의 종류(조작 키(109a) 또는 109b)에 따라 필요하다면 화상의 표시 방향의 설정을 변경한다. 예를 들면, 방향 설정이 차례방향인 경우에, 역방향의 인접 파일의 표시를 요구하는 조작 키(109b)가 압하된 경우는 방향 설정을 역방향으로 설정한다. 역으로 방향 설정이 역방향인 경우에, 차례방향의 인접 파일의 표시를 요구하는 조작 키(109a)가 압하된 경우는 방향 설정을 차례방향으로 설정한다.
스텝 S206에서, 타이머의 카운트를 종료시키기 위한 설정치가, 통상치인 10초가 아닌 경우에는 그 설정치를 통상치로 변경하여도 좋다.
스텝 S207에서, 방향 설정에 따른 방향으로 인접하는 포토 파일(표시용 파일(50c))을 HDD(11)로부터 취득하고, 스텝 S202로 되돌아온다. 이상의 스텝 S204 내지 S207 및 스텝 S202의 처리에 의해 앨범 내의 직후 또는 직전의 포토 파일을 유저 조작에 따라 재생 출력시킬 수 있다.
또한, 스텝 S208에서, 빨리감기 키(111) 또는 되감기 키(112)의 압하를 검출한 경우에는 스텝 S209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는 스텝 S211로 진행한다.
스텝 S209에서, 필요에 따라 방향 설정을 변경한다. 즉, 차례방향으로의 표시시에 되감기 키(112)가 압하된 경우 및 역방향으로의 표시시에 빨리감기 키(111)가 압하된 경우에, 방향 설정을 변경한다.
스텝 S210에서, 타이머 설정치를 변경한다. 이 때, 각 키에 대해 1회 압하될 때마다(즉, 각 키에 대해 스텝 S210이 실행될 때마다), 타이머 설정치를 6초, 3초, 1초의 순으로 변경한다. 이로써, 타이머 설정치가 통상시보다 짧은 간격으로 설정된다. 이 후, 스텝 S218로 진행한다.
또한, 스텝 S211에서, 일시정지 키(113)의 압하를 검출한 경우는 스텝 S212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는 스텝 S215로 진행한다.
스텝 S212에서, 타이머의 카운트 동작을 일시적으로 정지한다. 이 때, 카운트 값을 보존함과 함께 화상을 표시시킨 채로 한다.
스텝 S213에서, 재생 키(110)가 압하될 때까지 대기하고 압하를 검출하면, 스텝 S214로 진행한다. 이로써, 재생 키(110)가 압하되기 까지의 동안, 같은 포토 파일에 의거한 화상이 표시된다.
스텝 S214에서, 타이머의 카운트 동작을 보존하고 있던 카운트 값으로부터 재개한다. 이 후, 스텝 S218로 진행한다.
또한, 스텝 S212의 종료 후에 예를 들면 플래시 키(109)나 빨리감기 키(111), 되감기 키(112) 등이 압하된 경우에는 각각의 키 압하에 의거한 동작이 행하여져도 좋다. 즉, 이들 키의 압하가 스텝 S204 및 S208로 검출된 경우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때, 타이머의 카운트 동작이 재개된다.
스텝 S215에서, 재생 키(110)의 압하를 검출한 경우는 스텝 S216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는 스텝 S218로 진행한다. 이 스텝 S215에서는 현재 통상 속도에 의한 차례방향으로의 슬라이드쇼가 실행되어 있지 않은 경우(예를 들면 빨리감기 키(111)나 되감기 키(112), 슬로우 키(114) 등의 압하에 의거한 동작시)에만, 스텝 S216으로의 천이를 행한다.
스텝 S216에서, 방향 설정이 역방향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방향 설정을 차례방향으로 변경한다.
스텝 S217에서, 타이머 설정치를 통상치인 10초로 변경한다. 이로써, 통상 속도에 의한 차례방향으로의 슬라이드쇼가 실행된다. 이 후, 스텝 S218로 진행한다.
스텝 S218에서, 타이머의 카운트 값이 설정치에 달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달하지 않은 경우는 스텝 S219로 진행하고, 달한 경우는 스텝 S207로 진행한다. 이로써, 빨리감기 키(111)나 되감기 키(112), 재생 키(110)의 압하에 따라 설정된 타이머 설정치가 적용되어 카운트 동작이 행하여지고, 카운트가 종료되면 스텝 S207로 진행하고, 다음의 포토 파일이 판독되고 그 화상이 재생 출력된다.
스텝 S219에서, 예를 들면 다른 가상 채널의 선택이나 전원 절단 등의 조작 입력에 의해 처리의 종료가 요구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요구되지 않은 경우는 스텝 S204로 되돌아온다.
또한, 상기한 플로우 차트에서는 생략하였지만, 예를 들면, 슬로우 키(114)가 압하된 경우에는 타이머 설정치가 통상시보다 긴 시간(30초)으로 설정되어 스텝 S218로 진행하고, 이로써 화상의 표시 간격이 길게 된다. 또한, 처음부터 재생 키(115)가 압하된 경우에는 선택되어 있는 앨범 내의 선두의 포토 파일을 취득한 후, 스텝 S202로 진행한다.
이상의 처리에 의해 동화상 컨텐츠의 조작시와 감각적으로 유사한 조작에 의해 포토 컨텐츠의 재생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포토 컨텐츠의 재생 동작 제어용의 조작 키를 리모트 컨트롤러(100) 등에 마련할 필요가 없어짐과 함께 동화상 컨텐츠의 조작에 익숙해진 유저가, 특히 새로운 조작 방법을 기억하는 일 없이, 포토 컨텐츠를 간단하게 열람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에, 도 12 및 도 13은 가상 채널로서 Web 컨텐츠가 선택된 경우의 Web 컨텐츠 처리부(60)의 처리의 흐름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스텝 S301에서, 소정의 초기 표시 페이지의 데이터를 취득한다. 구체적으로는 Web 컨텐츠 관리부(61)가, 초기 표시 설정 데이터(60a)를 참조하여, 소정의 초기 표시 페이지의 URL을 취득한다. 또한, 이 때 선택되는 초기 표시 페이지는 예를 들면, 그 이전에 최후로 자동 링크가 실행된 초기 표시 페이지로 된다.
그리고, 취득한 URL에 대응하는 Web 페이지의 데이터가 데이터 캐시 영역(60b)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이 데이터를 판독하여 Web 브라우즈 처리부(62)에 공급한다. 또한, 데이터 캐시 영역(60b)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나, 예를 들면 이 영역의 데이터의 최종 액세스 일시로부터 소정 기간 이상 경과하고 있는 경우에는 URL을 Web 브라우즈 처리부(62)를 통하여 통신 제어부(63)에 공급하고, 액세스를 요구한다. 이로써, 통신 제어부(63)는 공급된 URL로부터 Web 페이지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Web 브라우즈 처리부(62)에 공급한다.
스텝 S302에서, Web 브라우즈 처리부(62)의 처리에 의해 취득한 데이터를 해석하여 Web 페이지의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그 화상 데이터를 화상 출력 처리 회로(5)에 출력하여, 화상 신호의 출력을 요구한다. 이로써, Web 페이지의 화상이 디스플레이에 표시된다.
스텝 S303에서, 이 때 표시중의 Web 페이지의 데이터가 데이터 캐시 영역(60b)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 데이터를 데이터 캐시 영역(60b)에 등록한다.
스텝 S304에서, 화상의 표시 타이밍을 얻기 위한 타이머의 카운트 값을 리셋한다.
스텝 S305에서, 플래시 키(109)중 차례방향을 나타내는 조작 키(109a)의 압하를 검출한 경우는 스텝 S306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는 스텝 S311로 진행한다.
스텝 S306에서, 타이머 설정치가 통상치(30초)가 아닌 경우에는 통상치로 변경하여도 좋다.
스텝 S307에서, 이 때 표시중의 Web 페이지에서 포커스되어 있는 링크 앵커에 대응하는 URL의 Web 페이지의 데이터가, 데이터 캐시 영역(60b)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존재하지 않는 경우는 스텝 S308로 진행하고, 존재하는 경우는 스텝 S310로 진행한다.
스텝 S308에서, 포커스된 링크 앵커에 대응하는 URL의 Web 페이지의 데이터를 취득한다. 구체적으로는 URL을 Web 브라우즈 처리부(62)를 통하여 통신 제어부(63)에 공급하고, 액세스를 요구한다. 이로써, 통신 제어부(63)는 공급된 URL로부터 Web 페이지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Web 브라우즈 처리부(62)에 공급한다.
스텝 S309에서, 취득한 데이터 중에서 「tabindex 속성」의 설정치를 추출하고, 그 설정치가 최소인 링크 앵커를 포커스시킨다. 이 후, 스텝 S302로 되돌아온다. 이로써, 포커스된 링크 앵커에 대응하는 링크처로 점프하고, 다음의 Web 페이지가 표시된다. 이 때 표시된 Web 페이지에서는 「tabindex 속성」의 값이 최소인 링크 앵커가 포커스된 상태로 되어 있다.
스텝 S310에서, 데이터 캐시 영역(60b)으로부터 대응하는 Web 페이지의 데이터를 취득한다. 즉, 데이터 캐시 영역(60b)으로부터 판독 데이터가, Web 브라우즈 처리부(62)에 공급된다. 이 후, 스텝 S302로 되돌아와, 다음의 Web 페이지가 표시된다.
또한, 스텝 S311에서, 빨리감기 키(111)의 압하를 검출한 경우는 스텝 S312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는 스텝 S313으로 진행한다.
스텝 S312에서, 타이머 설정치를 변경한다. 이 때, 각 키에 대해 1회 압하될 때마다(즉, 각 키에 대해 스텝 S312가 실행되었을 때마다), 타이머 설정치를 10초, 6초의 순으로 변경한다. 이로써, 타이머 설정치가 통상시보다 짧은 간격으로 설정된다. 이 후, 스텝 S307로 진행하고, 통상보다 짧은 표시 간격으로 다음의 Web 페이지가 표시된다.
또한, 스텝 S313에서, 플래시 키(109)중 역방향을 나타내는 조작 키(109b)의 압하를 검출한 경우는 스텝 S314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는 스텝 S316으로 진행한다.
스텝 S314에서, 타이머 설정치가 통상치(30초)가 아닌 경우에는 통상치로 변경하여도 좋다.
스텝 S315에서, 데이터 캐시 영역(60b)으로부터 이 때 포커스되어 있는 링크 앵커에 대응하는 URL의 Web 페이지의 데이터를 취득한다. 즉, 이 데이터를 판독하여 Web 브라우즈 처리부(62)에 공급한다. 그리고, 스텝 S302로 진행하고, 직전에 표시하고 있던 Web 페이지의 화상이 표시된다.
또한, 스텝 S316에서, 되감기 키(112)의 압하를 검출한 경우는 스텝 S317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는 스텝 S318로 진행한다.
스텝 S317에서, 타이머 설정치를 변경한다. 이 때, 각 키에 대해 1회 압하될 때마다(즉, 각 키에 대해 스텝 S317이 실행될 때마다), 타이머 설정치를 10초, 6초의 순으로 변경한다. 이로써, 타이머 설정치가 통상시보다 짧은 간격으로 설정된다. 이 후, 스텝 S315로 진행하고, 통상보다 짧은 표시 간격으로 다음의 Web 페이지가 표시된다.
또한, 스텝 S318에서, 좌우 키(108c 또는 108d)의 압하를 검출한 경우는 스텝 S319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는 스텝 S323으로 진행한다.
스텝 S319에서, 타이머의 카운트 동작을 정지한다. 이 때, 카운트 값을 보존함과 함께 화상을 표시한 채로 한다.
스텝 S320에서, 현재 표시중의 Web 페이지의 데이터 중의 「tabindex 속성」의 설정치를 참조하여, 좌우 키(108c)가 압하된 경우는 상기한 설정치가 현재 포커스되어 있는 링크 앵커의 설정치의 다음으로 높게 설정된 링크 앵커오, 포커스 위치를 이동시킨다. 또한, 좌우 키(108c)가 압하된 경우는 다음으로 낮게 설정된 링크 앵커로 포커스 위치를 이동시킨다.
스텝 S321에서, 결정 키(108e)(또는 플래시 키(109)중의 조작 키(109a))의 압하를 대기하고, 압하를 검출한다면 스텝 S322로 진행한다.
스텝 S322에서, 이동된 포커스 위치의 링크 앵커에 대응하는 URL을 현재의 Web 페이지의 데이터 중에서 취득하고, 이 URL의 Web 페이지의 데이터를 취득한다. 즉, 이 URL을 Web 브라우즈 처리부(62)를 통하여 통신 제어부(63)에 공급하고, 액세스를 요구한다. 이로써, 통신 제어부(63)는 공급된 URL로부터 Web 페이지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Web 브라우즈 처리부(62)에 공급한다. 그리고, 스텝 S307로 되돌아와, 링크처의 Web 페이지가 표시된다.
또한, 스텝 S320의 종료 후에 예를 들면 빨리감기 키(111)나 되감기 키(112), 플래시 키(109)중의 조작 키(109b) 등이 압하된 경우에는 각각의 키 압하에 의거한 동작이 행하여져도 좋다. 즉, 이들 키의 압하가 스텝 S311, S316 및 S313에서 검출된 경우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때, 타이머의 카운트 동작이 재개된다.
또한, 스텝 S323에서, 일시정지 키(113)의 압하를 검출한 경우는 스텝 S324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는 스텝 S327로 진행한다.
스텝 S324에서, 타이머의 카운트 동작을 일시적으로 정지한다. 이 때, 카운트 값을 보존함과 함께 화상을 표시시킨 채로 한다.
스텝 S325에서, 재생 키(110)가 압하될 때까지 대기하고, 압하를 검출하면, 스텝 S326으로 진행한다. 이로써, 재생 키(110)가 압하되기 까지의 동안, 같은 포토 파일에 의거한 화상이 표시된다.
스텝 S326에서, 타이머의 카운트 동작을 보존하고 있던 카운트 값으로부터 재개한다. 이 후, 스텝 S329로 진행한다.
또한, 스텝 S324의 종료 후에 예를 들면 플래시 키(109)의 조작 키(109a 및 109b), 빨리감기 키(111), 되감기 키(112) 등이 압하된 경우에는 각각의 키 압하에 의거한 동작이 행하여져도 좋다. 즉, 이들 키의 압하가 스텝 S305, S313, S311 및 S316에서 각각 검출된 경우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때, 타이머의 카운트 동작이 재개된다.
스텝 S327에서, 재생 키(110)의 압하를 검출한 경우는 스텝 S328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는 스텝 S329로 진행한다. 이 스텝 S327에서는 현재 통상 속도에 의한 차례방향으로의 자동 링크가 실행되어 있지 않은 경우(예를 들면 빨리감기 키(111)나 되감기 키(112), 슬로우 키(114) 등의 압하에 의거한 동작시)에만, 스텝 S328로의 천이를 행한다.
스텝 S328에서, 타이머 설정치를 통상치인 30초로 변경한다. 그리고, 스텝 S329로 진행한다.
스텝 S329에서, 타이머의 카운트 값이 설정치에 달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달하지 않은 경우는 스텝 S330로 진행하고, 달한 경우는 스텝 S307로 진행한다. 이로써, 플래시 키(109)나 빨리감기 키(111), 되감기 키(112), 재생 키(110)의 압하에 따라 설정된 타이머 설정치가 적용되어 카운트 동작이 행하여지고, 카운트가 종료되면 스텝 S307로 진행하고, 다음의 Web 페이지가 표시된다.
스텝 S330에서, 예를 들면 다른 가상 채널의 선택이나 전원 절단 등의 조작 입력에 의해 처리의 종료가 요구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요구되지 않은 경우는 스텝 S305로 되돌아온다.
또한, 이상의 처리에서는 링크 앵커를 선택하기 위해 「tabindex 속성」의 값을 이용하였지만, 다른 방법에 의해 링크처를 자동적으로 선택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표시시킨 Web 페이지의 HTML의 소스 코드를 스캔하여, 최초에 나타나는 링크처의 URL을 추출하여 다음의 링크처를 결정하여도 좋다. 또는 링크 앵커에 대응시킨 URL에 선택할 때의 우선 순위를 식별하는 정보를 미리 포함하여 두고, 그 URL에 의거하여 다음의 링크처를 결정하여도 좋다.
이상의 처리에 의해 동화상 컨텐츠의 조작시와 감각적으로 유사한 조작에 의해 Web 컨텐츠를 열람하기 위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Web 컨텐츠의 재생 동작 제어용의 조작 키를 리모트 컨트롤러(100) 등에 마련할 필요가 없어짐과 함께 비디오 컨텐츠나 포토 컨텐츠를 포함하는 다른 컨텐츠의 사이에서 조작 순서가 거의 통일되고, 유저의 조작성이 높아진다.
또한, 자동적으로 링크 앵커가 선택되어, Web 페이지가 천이하여 가기 때문에, 유저의 선택 조작의 부담이 경감됨과 함께 Web 컨텐츠의 제작자측에 있어서, 의도를 반영시키기 쉬워진다.
또한, 이상의 도 11 내지 도 13의 플로우 차트의 스텝 S204, S208, S211, S213, S215, S305, S311, S313, S316, S318, S321, S323, S325 및 S327에서는 키 조작의 대응을 알기 쉽게 설명하기 위해 압하된 키를 판단하도록 기술하였지만, 실제로는 이와 같은 판단은 주제어부(20)에서 행하여지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상기한 바와 같은 화상 기록 재생 장치와,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나 음성을 출력하는 앰프나 스피커 등이 일체로 이루진 장치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한 화상 기록 재생 장치에서는 수시간이라는 장시간의 비디오 컨텐츠 등과 함께 포토 컨텐츠나 Web 컨텐츠의 데이터 등의 일시 파일을 축적하는 것이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HDD를 마련하였지만, 다른 기록 매체를 적용하여도 좋다. 단, 이 기록 매체로서는 비교적 대용량이며 또한 고속의 랜덤 액세스가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동화상 컨텐츠의 재생 동작과, 정지화상 컨텐츠의 연속 재생 동작이, 같은 조작 키군에 대한 입력 조작에 따라 입력되는 신호에 의거하여 제어되기 때문에, 동화상의 재생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에 익숙해진 유저는 정지화상 컨텐츠의 재생 동작의 제어 조작을 직감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동화상 컨텐츠의 재생 동작 제어용과, 정지화상 컨텐츠의 재생 동작 제어용으로 개별의 조작 키를 마련할 필요가 없어진다.
또한, 예를 들면, 정지화상 컨텐츠가 Web 페이지인 경우에는 정지화상 컨텐츠 재생 수단은 재생한 Web 페이지의 데이터로부터 다음에 표시시키는 다른 Web 페이지를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자동적으로 선택하여, 선택한 지시 정보에 대응하는 Web 페이지를 재생함으로써 연속 재생 동작을 실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로써, 유저는 Web 페이지의 재생 동작 제어를 동화상 컨텐츠의 재생 동작 제어시와 거의 같은 감각으로 조작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화상 기록 재생 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화상 기록 재생 장치의 주된 기능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포토 기록 재생 처리부의 더욱 상세한 기능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Web 컨텐츠 처리부의 더욱 상세한 기능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비디오 컨텐츠, 포토 컨텐츠 및 Web 컨텐츠의 파일 관리 방법을 모식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가상 채널을 선택하는 화면의 표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포토 컨텐츠의 슬라이드쇼 실행시의 화면 표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Web 컨텐츠의 자동 링크 실행시의 화면 표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리모트 컨트롤러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컨텐츠의 재생시에 있어서의 주제어부의 처리의 흐름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
도 11은 가상 채널로서 포토 컨텐츠가 선택된 경우의 포토 기록 재생 처리부의 처리의 흐름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
도 12는 가상 채널로서 Web 컨텐츠가 선택된 경우의 Web 컨텐츠 처리부의 처리의 흐름을 도시한 제 1의 플로우 차트.
도 13은 가상 채널로서 Web 컨텐츠가 선택된 경우의 Web 컨텐츠 처리부의 처리의 흐름을 도시한 제 2의 플로우 차트.

Claims (9)

  1. 동화상 컨텐츠 및 정지화상 컨텐츠의 기록 매체에의 기록과, 상기 각 컨텐츠의 재생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한 화상 기록 재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동화상 컨텐츠를 재생하는 동화상 컨텐츠 재생 수단과,
    복수의 상기 정지화상 컨텐츠를 일정 시간 간격으로 연속적으로 재생하는 정지화상 컨텐츠 재생 수단과,
    상기 동화상 컨텐츠 재생 수단에 의한 재생 동작과, 상기 정지화상 컨텐츠 재생 수단에 의한 연속 재생 동작을 같은 조작 키군에 대한 입력 조작에 따라 입력되는 신호에 의거하여 제어하는 동작 제어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재생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키군은 상기 동화상 컨텐츠의 재생 동작을 시작시키기 위한 제 1의 조작 키와, 상기 동화상 컨텐츠를 차례방향 및 역방향에 대해 각각 통상보다 고속으로 재생시키기 위한 제 2 및 제 3의 조작 키와, 상기 동화상 컨텐츠를 차례방향 및 역방향에 대해 각각 일정 시간분만큼 경과한 위치로부터 재생을 시작시키기 위한 제 4 및 제 5의 조작 키와, 상기 동화상 컨텐츠의 재생 동작을 동일 프레임의 화상의 재생 출력을 계속시킨 상태에서 일시적으로 정지시키기 위한 제 6의 조작 키를 포함하고,
    상기 정지화상 컨텐츠의 연속 재생 동작을 실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 1의 조작 키에 의해 연속 재생 동작이 시작되고, 상기 제 2 및 제 3의 조작 키에 의해 각각 차례방향 및 역방향으로 인접하는 상기 정지화상 컨텐츠가 재생되기 까지의 시간 간격이 통상보다 짧게 설정되고, 상기 제 4 및 제 5의 조작 키에 의해 각각 차례방향 및 역방향으로 인접하는 상기 정지화상 컨텐츠를 재생시키고, 상기 제 6의 조작 키에 의해 동일한 상기 정지화상 컨텐츠의 재생 출력을 계속시킨 상태에서 연속 재생 동작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재생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제어 수단은 상기 정지화상 컨텐츠를 재생시키는 동작 모드가 유저 조작에 의해 선택되면, 상기 정지화상 컨텐츠 재생 수단에 상기 정지화상 컨텐츠의 연속 재생 동작을 자동적으로 시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재생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화상 컨텐츠가 Web 페이지인 경우에,
    상기 정지화상 컨텐츠 재생 수단은 재생한 Web 페이지의 데이터로부터 다음에 표시시키는 다른 Web 페이지를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자동적으로 선택하여, 선택한 상기 지시 정보에 대응하는 Web 페이지를 재생함으로써 연속 재생 동작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재생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화상 컨텐츠 재생 수단은 재생한 Web 페이지의 데이터로부터 상기 지시 정보를 선택할 때의 우선 순위를 나타내는 순위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순위 정보를 기초로 다음에 표시시키는 Web 페이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재생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화상 컨텐츠 재생 수단은 상기 순위 정보에 의거한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상기 지시 정보를 선택하여, 선택한 상기 지시 정보에 대응하는 Web 페이지를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재생 장치.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화상 컨텐츠 재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상기 지시 정보에 대응하는 Web 페이지의 데이터를 이력으로서 순차로 기억하는 이력 기억 수단을 또한 가지며,
    상기 동작 제어 수단이, 상기 조작 키군에 대한 조작 입력에 따라 역방향으로의 상기 정지화상 컨텐츠의 연속 재생을 요구한 경우에, 상기 정지화상 컨텐츠 재생 수단은 상기 이력 기억 수단에 기억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이전에 재생한 Web 페이지를 순차로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 장치.
  8. 동화상 컨텐츠 및 정지화상 컨텐츠의 기록 매체에의 기록과, 상기 각 컨텐츠의 재생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한 화상 기록 재생 장치에 있어서의 화상 재생 방법에 있어서,
    동화상 컨텐츠 재생 수단에 의해 상기 동화상 컨텐츠를 재생하는 재생 동작과, 정지화상 컨텐츠 재생 수단에 의해 복수의 상기 정지화상 컨텐츠를 일정 시간 간격으로 연속적으로 재생하는 연속 재생 동작을 동작 제어 수단에 의해 같은 조작 키군에 대한 입력 조작에 따라 입력되는 신호에 의거하여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재생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화상 컨텐츠가 Web 페이지인 경우에,
    상기 정지화상 컨텐츠 재생 수단은 재생한 Web 페이지의 데이터로부터 다음에 표시시키는 다른 Web 페이지를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자동적으로 선택하여, 선택한 상기 지시 정보에 대응하는 Web 페이지를 재생함으로써 연속 재생 동작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재생 방법.
KR1020040108682A 2003-12-24 2004-12-20 화상 기록 재생 장치 및 화상 재생 방법 KR1011055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426287 2003-12-24
JP2003426287A JP4311194B2 (ja) 2003-12-24 2003-12-24 画像再生装置および画像再生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5333A true KR20050065333A (ko) 2005-06-29
KR101105559B1 KR101105559B1 (ko) 2012-01-17

Family

ID=34785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8682A KR101105559B1 (ko) 2003-12-24 2004-12-20 화상 기록 재생 장치 및 화상 재생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270803B2 (ko)
JP (1) JP4311194B2 (ko)
KR (1) KR101105559B1 (ko)
CN (1) CN100399818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62938B2 (en) * 2004-04-27 2011-06-14 Microsoft Corporation Specialized media presentation via an electronic program guide (EPG)
US20060248192A1 (en) * 2005-04-29 2006-11-02 Morris Stanley S Iii Method for pulling images from the internet for viewing on a remote digital display
KR100744515B1 (ko) * 2005-07-19 2007-08-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녹화 파일 자동 분류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 및 그제어방법
JP2007026356A (ja) * 2005-07-21 2007-02-01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この情報処理装置における処理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プログラム
JP4906075B2 (ja) * 2006-06-28 2012-03-28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JP4902285B2 (ja) * 2006-07-18 2012-03-21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閲覧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8097266A (ja) * 2006-10-11 2008-04-24 Koyo Electronics Ind Co Ltd 表示画面上の部品のフォーカス移動方式および表示器
WO2008146784A1 (ja) * 2007-05-29 2008-12-04 Access Co., Ltd. 端末装置、ヒストリ管理方法、およびヒストリ管理の為のコンピュータ使用可能な記憶媒体
JP2009260718A (ja) * 2008-04-17 2009-11-05 Nikon Corp 画像再生装置及び画像再生処理プログラム
JP4513894B2 (ja) * 2008-05-16 2010-07-28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画像再生装置、画像再生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567814B1 (ko) * 2009-01-21 2015-11-11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드 쇼를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JP5502567B2 (ja) * 2010-04-02 2014-05-28 ソフトバンクBb株式会社 同報配信システム、同報配信方法及びコンテンツ視聴プログラム
JP5300934B2 (ja) * 2011-08-08 2013-09-2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8332897B1 (en) * 2011-11-08 2012-12-11 Google Inc. Remote rendering of webpages on television
US20140090004A1 (en) * 2012-09-25 2014-03-27 Aereo, Inc. Antenna System and Installation for High Volume Television Capture
JP6021612B2 (ja) * 2012-11-29 2016-11-0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制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6261183B2 (ja) * 2013-04-22 2018-01-17 株式会社ハート・オーガナイゼーション 医用画像データ情報交換システム
US10765938B2 (en) * 2018-02-28 2020-09-08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LLC De-interleaving gameplay data

Family Cites Families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422301C2 (de) * 1993-06-28 1996-11-28 Gold Star Co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Aufzeichnung/Wiedergabe eines Sendesignales
TW301101B (ko) * 1994-11-17 1997-03-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JP3740213B2 (ja) * 1996-05-22 2006-02-01 キヤノン株式会社 再生装置
CN1178494C (zh) * 1996-08-30 2004-12-01 索尼公司 记录静止画面和动态画面的方法和装置
US6807570B1 (en) * 1997-01-21 2004-10-1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re-loading of web pages corresponding to designated links in HTML
US7533400B1 (en) * 1997-04-14 2009-05-12 Thomson Licensing System for automatically forming a program guide from information derived from multiple sources
JPH10301748A (ja) 1997-04-23 1998-11-13 Sharp Corp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媒体
US6600496B1 (en) * 1997-09-26 2003-07-29 Sun Microsystems, Inc. Interactive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television set-top box
JPH11143674A (ja) * 1997-11-05 1999-05-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自動ページ表示装置及び自動ページ表示方法
JPH11150693A (ja) 1997-11-17 1999-06-02 Sony Corp 電子機器、電子機器における機能操作方法、電子機器において実行可能なプログラムが格納された媒体
US6580870B1 (en) * 1997-11-28 2003-06-17 Kabushiki Kaisha Toshiba Systems and methods for reproducing audiovisual information with external information
US7047489B2 (en) * 1998-07-29 2006-05-16 Fujitsu Limited Slide show system and method using a browser
JP2000112976A (ja) 1998-10-05 2000-04-21 Hitachi Ltd マルチメディア情報機器の情報表示方法、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US6374404B1 (en) * 1998-12-16 2002-04-16 Sony Corporation Of Japan Intelligent device having background caching of web pages from a digital television broadcast signal and method of same
US6396500B1 (en) * 1999-03-18 2002-05-28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nd displaying a slide show with animations and transitions in a browser
US7313809B1 (en) * 1999-04-16 2007-12-25 Apple, Inc. Convergence-enabled DVD and web system
US7178106B2 (en) * 1999-04-21 2007-02-13 Sonic Solutions, A California Corporation Presentation of media content from multiple media sources
JP3389545B2 (ja) * 1999-12-27 2003-03-24 シャープ株式会社 記録装置、再生装置およびこれらを接続した記録再生装置
US7149982B1 (en) * 1999-12-30 2006-12-12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saving user-specified views of internet web page displays
JP4158304B2 (ja) 2000-01-27 2008-10-0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再生方法及び装置並びに電子カメラ
JP4813638B2 (ja) * 2000-04-20 2011-11-09 ソニー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番組録画予約システム及びネットワーク番組録画予約方法並びに録画機器及び情報端末機器
US7120676B2 (en) * 2000-04-28 2006-10-10 Agilent Technologies, Inc. Transaction configuration system and method for transaction-based automated testing
JP4428824B2 (ja) * 2000-06-27 2010-03-10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制御装置及び方法
JP2002094946A (ja) 2000-09-20 2002-03-29 Aiwa Co Ltd 集積回路
JPWO2002028100A1 (ja) * 2000-09-29 2004-02-12 株式会社東芝 記録再生装置およびこの記録再生装置の録画予約方法
US7428707B2 (en) * 2000-10-20 2008-09-23 Adaptive Avenue Associates, Inc. Customizable web site access system and method therefore
JP2002320218A (ja) * 2001-04-20 2002-10-31 Fujitsu General Ltd 監視画像表示装置
JP2003015809A (ja) 2001-06-29 2003-01-17 Nec Yonezawa Ltd 情報処理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情報処理方法
JP2003085527A (ja) * 2001-09-14 2003-03-20 Sony Corp 情報作成方法、情報作成装置およびネットワーク情報処理システム
KR100820797B1 (ko) * 2001-10-30 2008-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터넷을 이용한 대화형 광디스크 재생방법
US7050097B2 (en) * 2001-11-13 2006-05-23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display of still images from image files
US20030160814A1 (en) * 2002-02-27 2003-08-28 Brown David K. Slide show presentation and method for viewing same
KR100353602B1 (en) * 2002-04-15 2002-09-28 Id Digital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reproducing motion picture streams regardless of change in playback speed
EP1535281A4 (en) * 2002-09-06 2009-08-12 Lg Electronics Inc RECORDING MEDIUM HAVING A DATA STRUCTURE FOR MANAGING THE READING OF STILL IMAGES RECORDED ON THE RECORDING MEDIUM, AND METHODS AND DEVICES FOR RECORDING AND READING THEM
JP4096670B2 (ja) * 2002-09-19 2008-06-0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再生システム
US20050050576A1 (en) * 2003-08-29 2005-03-03 Manish Upendran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ing broadcast content and non-broadcast content
US7444588B2 (en) * 2004-08-05 2008-10-28 At&T Intellectual Property, I.L.P. Methods, systems, and storage mediums for providing multi-media content storage and management ser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180728A1 (en) 2005-08-18
CN100399818C (zh) 2008-07-02
JP2005184728A (ja) 2005-07-07
CN1645924A (zh) 2005-07-27
KR101105559B1 (ko) 2012-01-17
US8270803B2 (en) 2012-09-18
JP4311194B2 (ja) 2009-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5559B1 (ko) 화상 기록 재생 장치 및 화상 재생 방법
JP4799068B2 (ja) テレビ受信装置及びその表示制御方法
KR101111537B1 (ko) 컨텐츠 시청 지원 장치 및 컨텐츠 시청 지원 방법
US20060174301A1 (en) Video clip display device
JP2004056462A (ja) 映像検索支援方法及び映像検索支援装置、並びに放送受信装置
JP2004357184A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050028204A1 (en) Electronic apparatus, screen control method and screen control program
JP2007251803A (ja) 記録再生装置、携帯端末装置、記録再生システム、及び記録再生方法
JP2005515723A (ja) サービス番組再生再開方法およびその装置
US20060024025A1 (en) Signal reproducing apparatus and signal reproducing method
US20090022475A1 (en) Automatic recording/reproducing method and automatic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EP200845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recordings
JP4162014B2 (ja) 表示制御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
JP4739388B2 (ja) 記録再生装置、携帯端末装置、記録再生システム、及び記録再生方法
JP4882687B2 (ja) 録画番組管理装置
JP2007306527A (ja) コンテンツ表示装置
JP4872401B2 (ja) 録画番組管理装置
US20100306807A1 (en) Content Reproduction Apparatus and Content Reproduction Method
US8538235B2 (en) Reproducing device, reproducing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JP4574566B2 (ja) 放送受信装置およびその画面表示方法
JP2009076988A (ja) コンテンツ情報表示装置、コンテンツ情報の表示方法
JP3782014B2 (ja) テレビ放送録画再生装置及び情報提供サービスシステム
KR101242758B1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녹화상태 확인방법
JP2007043401A (ja) 情報記録再生装置
JP2009171049A (ja) インターネットテレビジョ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