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61419A - 금속봉 전단접합장치 및 전단접합방법 - Google Patents

금속봉 전단접합장치 및 전단접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61419A
KR20050061419A KR1020050045855A KR20050045855A KR20050061419A KR 20050061419 A KR20050061419 A KR 20050061419A KR 1020050045855 A KR1020050045855 A KR 1020050045855A KR 20050045855 A KR20050045855 A KR 20050045855A KR 20050061419 A KR20050061419 A KR 200500614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mold
shear
shaped
cr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5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22535B1 (ko
Inventor
진인태
Original Assignee
진인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인태 filed Critical 진인태
Priority to KR1020050045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2535B1/ko
Publication of KR200500614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14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25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25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0/00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 B23K20/02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by means of a press ; Diffusion bonding
    • B23K20/023Thermo-compression bo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79/00Methods, machines, or devices not covered elsewhere, for working metal by removal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0/00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 B23K20/002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0/00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 B23K20/02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by means of a press ; Diffusion bonding
    • B23K20/028Butt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0/00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 B23K20/26Auxiliary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ressure Welding/Diffusion-Bonding (AREA)

Abstract

본원 발명은 길이가 길고 비교적 단면적이 큰 두 개의 금속봉소재를 전단접합금형내로 삽입하여 중첩시킨후 중첩부에 전단변형을 일으키며 한 개의 금속봉으로 접합시키기 위하여 두 개의 긴 금속봉소재의 중첩된 부분에 전단압축하중을 가하여 두 개의 금속봉소재가 접합될 때 접합부의 돌출금속이 하중방향과 직각방향으로 그리고 금속봉소재와 직각방향으로 놓여있는 틈새로 되어있는 빈공간을 향하여 반대방향의 두방향으로 압출되어 밀려나옴과 동시에 좌우측에 놓여있는 금속봉소재의 선단면과 접촉해 있는 좌우측 접합금형의 벽면상에 홈으로 되어있는 빈공간을 따라 접합부의 돌출금속이 각각 반대방향으로 압출되어 밀려나오게 하여 금속봉의 직각방향으로 십자형 돌출금속을 압출하면서 강한 전단력과 압축력으로 전단접합하도록하는 금속봉 전단접합장치와 전단접합방법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Description

금속봉 전단접합장치 및 전단접합방법 {Shear-Welding Device and Method of Metal Rods}
길이가 길고 비교적 직경이 큰 두 개의 금속원형봉소재를 접합하는 방법으로서 고상상태의 접합의 일종인 마찰압접을 통해 접합을 시도하고 있다. 이 마찰압접의 장점은 마찰열에 의한 높은 온도의 접합면상에 강한 회전전단변형을 가할 수 있어 접합면상의 두 금속소재가 전단변형중에 고착이 되어 비교적 낮은 압력에서도 접합이 가능하다. 그러나 마찰압접의 경우는 접합하고자 하는 면에 열을 가하는 방법이 접합면을 상호 회전시켜 발생하는 마찰열을 이용하기 때문에 소재단면의 형상이 원형단면의 형태에만 적용가능한 단점이 있다. 그리고 일정한 온도이상의 열이 발생하여 접합면이 용융되어 접합하기까지 부분적인 소재의 자유변형에 따른 접합면의 퍼짐으로 인한 분리가 발생하는 단점도 있다. 따라서 자유변형을 막고 접합면을 강하게 압접하기 위하여 밀폐형금형내에서 마찰압접시킬 필요가 있으나 회전하는 소재를 금형내에 압출하기 힘들기 때문에 소재를 회전시키지 않고 별도의 가열장치에의해 금속원형봉소재의 접합부에 열을 가한 후 두 개의 금속원형봉소재를 상호 중첩하여 전단변형에 의해 접합시킴으로써 길이가 긴 임의단면 금속봉을 강하게 접합하는 전단접합장치와 전단접합방법이 본원발명의 특징이다.
본원 발명은 길이가 길고 비교적 단면적이 큰 두 개의 금속봉소재를 한 개의 금속봉으로 접합시킬 때 금속봉소재의 선단면에 있는 금속불순물과 함께 압출되도록 하기위하여 금속봉소재와 직각방향으로 돌출되어진 십자형의 돌출금속를 만들면서 강한 전단력과 압축력으로 전단접합하도록하는 금속봉소재의 전단접합장치로써 접합과 동시에 돌출금속을 제거하는 전단접합방법이 기술적 과제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길이가 길고 비교적 직경이 큰 금속원형봉소재(1)와 전단접합금형을 사용하여 전단접합하는 장치와 방법에 대해서 도시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사각봉 돌출금속 금속원형봉 전단접합장치의 단면 사시도로로서 금속원형봉(1)을 접합하기전 금속봉 선단면을 중첩하여 성형공간의 중심부에 위치한 후 전단접합금형에 전단하중을 가하기 전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는 사각봉 돌출금속 금속원형봉 전단접합금형의 일부절개를 포함한 사시도로서 길이가 길고 비교적 직경이 큰 두 개의 금속원형봉소재(1)의 선단면(2)을 각각 유도가열장치로써 급속히 부분가열한 후 좌측전단접합금형(6)과 우측 전단접합금형(7)내의 소재삽입 원통공간(10)을 통하여 접합금형 성형공간(5)으로 각각 삽입한 후; 금속원형봉소재(1)의 각 선단원주표면(3)을 상호 중첩하여 접합면(4)을 구성하도록하고 접합면(4)이 전단접합금형 성형공간(5)의 중심부에 대칭적으로 위치하도록 한 후 좌우 전단접합금형이 상하로 슬라이딩하면서 중첩면에 전단압축하중을 가하여; 두 개의 금속원형봉소재(1)의 접합부를 하중방향과 직각방향으로 그리고 금속원형봉소재(1)와 직각방향으로 좌측금형 직선단(11)과 우측금형 직선단(12)의 사이의 틈새로 구성되는 각각 반대방향의 사각단면틈새 빈공간(13)으로 돌출하면서 사각단면틈새 돌출금속(14)을 압출하고; 또한 동시에 접합함과 동시에 좌측 금속원형봉소재(1)의 선단면(2)과 접촉해 있는 우측금형벽면(9)의 직선단(12)위의 벽면상에서 하중방향으로 사각단면홈 빈공간(15)과 그리고 우측에 놓여있는 금속원형봉소재의 선단면(2)과 접촉해 있는 좌측금형벽면(8)의 직선단(11)아래의 벽면상에서 하중방향으로 사각단면홈 빈공간(15)을 따라 소재가 상하로 밀려나오면서 소재의 선단면(2)에 있는 금속불순물과 함께 사각단면홈 돌출금속(16)이 압출되도록 하여; 금속원형봉소재(1)와 직각방향으로 십자형 사각봉형 돌출금속(17)을 압출하면서 강한 전단력과 압축력으로 전단접합이 완료된 후 돌출금속이 붙어있는 금속원형봉소재(1)의 한 쪽 방향으로 인발하중을 가하여 십자형 사각봉 돌출금속(17)이 접합금형에 의해 세이빙절삭되어 금속봉 주위에 돌출금속이 제거된 금속원형봉 전단접합장치와 전단접합방법을 나타낸다.
도 3은 부채꼴판 돌출금속 금속원형봉 전단접합금형의 일부절개를 포함한 사시도로서 길이가 길고 비교적 직경이 큰 두 개의 금속원형봉소재(1)의 선단면(2)을 각각 유도가열장치로써 급속히 부분가열한 후 좌측전단접합금형(6)과 우측 전단접합금형(7)내의 소재삽입 원통공간(10)을 통하여 접합금형 성형공간(5)으로 각각 삽입한 후; 금속원형봉소재(1)의 각 선단원주표면(3)을 상호 중첩하여 접합면(4)을 구성하도록하고 접합면(4)이 전단접합금형 성형공간(5)의 중심부에 대칭적으로 위치하도록 한 후 좌우 전단접합금형이 상하로 슬라이딩하면서 전단압축하중을 가하여; 두 개의 금속원형봉소재(1)의 접합부를 하중방향과 직각방향으로 그리고 금속원형봉소재(1)와 직각방향으로 놓여있는 좌측금형 곡선단(18)과 우측금형 곡선단(19)의 사이의 틈새로 구성되는 각각 반대방향의 부채꼴판형틈새 빈공간(20)으로 돌출되면서 부채꼴판형틈새 돌출금속(21)을 압출하고; 또한 동시에 좌측금속원형봉소재(1)의 선단면(2)과 접촉해 있는 우측금형벽면(9)의 곡선단(19)위의 벽면상에서 하중방향으로 부채꼴경사판형홈 빈공간(22)과 그리고 우측에 놓여있는 금속원형봉소재(1)의 선단면(2)과 접촉해 있는 좌측금형벽면(8)의 곡선단(18)아래의 벽면상에서 하중방향으로 부채꼴경사판형홈 빈공간(22)을 따라 소재가 상하로 밀려나오면서 소재의 선단면(2)에 있는 불순물과 함께 부채꼴경사판형홈 돌출금속(23)이 압출되도록 하여; 금속원형봉소재(1)와 직각방향으로 압출되어진 십자형 부채꼴판 돌출금속(24)을 압출하면서 강한 전단력과 압축력으로 전단접합이 완료됨과 동시에 추가의 공정이 필요없이 십자형 부채꼴판 돌출금속(24)이 자동적으로 세이빙절삭되어 금속봉 주위에 돌출금속이 제거된 금속원형봉 전단접합장치와 전단접합방법을 나타낸다.
도 4는 사각봉 돌출금속 좌측 전단접합금형(6)을 도시한 그림으로 금속원형봉소재(1)를 좌측전단접합금형(6)의 소재삽입 원통공간(10)으로 삽입하여 금형의 오른쪽 벽면인 좌측금형벽면(8)까지 관통하도록 되어있으며 좌측전단접합금형(6)의 오른쪽벽면인 좌측금형벽면(8)은 관통된 원통공간(10)의 가로 중심선을 기준으로 두 개의 금속봉이 중첩된 길이의 절반만큼 높은 위치에서 원형봉소재의 중첩된 길이와 같은 깊이로 가로로 절단하여 좌측금형 직선단(11)이 형성된 벽면의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같은 형상이면서 180도로 대칭되어있는 우측전단접합금형(7)과 결합하여 소재가 돌출될 사각단면틈새 빈공간(13)을 구성하여 사각단면틈새 돌출금속(14)을 돌출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좌측금형 직선단(11)아래의 벽면상에는 하중방향으로 사각단면홈 빈공간(15)이 파여져 있어 우측에 있는 금속원형봉소재(1)의 좌측 선단면(2)이 직선단(11)아래의 벽면과 접촉할 때 이 사각단면홈 빈공간(15)과 부분적으로 접촉하도록 되어 있어 두 금속원형봉소재(1)가 접합될때 돌출금속이 사각단면홈 빈공간(15)부분으로 밀려나면서 선단면(2)에 남아 있던 금속불순물과 함께 압출되어 사각단면홈 돌출금속(16)을 만들고 상기 좌측전단접합금형(6)과 우측전단접합금형(7)과의 사각단면틈새 빈공간(13)으로 압출된 사각단면틈새 돌출금속(14)과 함께 금속원형봉소재(1)와 직각방향으로 십자형 사각봉 돌출금속(17)을 압출하면서 강한 전단력과 압축력으로 전단접합하도록하는 좌측전단접합금형(6)의 구조를 나타내며 우측전단접합금형(7)의 구조는 좌측전단접합금형(6)의 구조와 같으며 180도 대칭으로 되어 있다.
도 5는 부채꼴판 돌출금속을 돌출하는 좌측전단접합금형(6)을 도시한 그림으로 금속원형봉소재(1)를 좌측전단접합금형(6)의 소재삽입 원통공간(10)으로 삽입하여 금형의 오른쪽 벽면인 좌측금형벽면(8)까지 관통하도록 되어있으며 좌측전단접합금형(6)의 오른쪽벽면인 좌측금형벽면(8)은 관통된 원통공간(10)의 가로 중심선을 기준접선으로 점점 벌어지는 포물선형 곡선형태와 금속봉소재의 중첩된 길이와 같은 깊이로 절단하여 좌측금형 곡선단(18)이 진 벽면의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같은 형상이면서 180도로 대칭되어있는 우측전단접합금형(7)과 결합하여 소재가 돌출될 부채꼴판형틈새 빈공간(20)을 구성하여 부채꼴판형틈새 돌출금속(21)을 돌출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좌측금형 곡선단(18)아래의 벽면상에는 하중방향으로 부채꼴경사판형홈 빈공간(22)이 파여져 있어 우측에 있는 금속원형봉소재(1)의 좌측 선단면(2)이 곡선단(18)아래의 벽면과 접촉할 때 이 부채꼴경사판홈 빈공간(22)과 부분적으로 접촉하도록 되어 있어 두 금속원형봉재(1)가 접합될때 돌출금속이 부채꼴경사판홈 빈공간(22)부분으로 밀려나면서 선단면(2)에 남아 있던 금속불순물과 함께 압출되어 부채꼴경사판홈 돌출금속(23)을 만들고 상기 좌측전단접합금형(6)과 우측전단접합금형(7)과의 부채꼴판형틈새 빈공간(20)으로 압출된 부채꼴판형 틈새 돌출금속(21)과 함께 금속원형봉소재(1)와 직각방향으로 압출되어진 십자형 부채꼴판 돌출금속(24)을 압출하면서 강한 전단력과 압축력으로 전단접합하도록하는 좌측전단접합금형(6)의 구조를 나타내며 우측전단접합금형(7)의 구조는 좌측전단접합금형(6)의 구조와 같으며 180도 대칭으로 되어 있다.
도 6은 십자형의 사각봉 돌출금속(17)이 돌출된 금속봉의 형상으로서 직선단(11)이 진 좌측전단접합금형(6)과 직선단(11)이 진 우측전단접합금형(7)을 결합하여 사각단면틈새 빈공간(13)과 사각단면홈 빈공간(15)를 구성하여 두 금속원형봉소재(1)가 접합될때 돌출금속이 상기의 빈공간으로 압출하면서 십자형 사각봉 돌출금속(17)이 돌출되어진 금속원형봉 형상을 나타낸다.
도 7은 십자형 부채꼴판 돌출금속(24)이 돌출된 금속봉 형상으로서 곡선단(18)이 진 좌측전단접합금형(6)과 곡선단(19)이 진 우측전단접합금형(7)를 결합하여 부채꼴판형틈새 빈공간(20)과 부채꼴경사판형홈 빈공간(22)을 구성하여 두 금속원형봉재(1)가 접합될때 돌출금속이 상기의 빈 공간으로 압출하면서 십자형 부채꼴판 돌출금속(24)이 돌출되어진 금속원형봉 형상을 나타낸다.
본원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서 예시하는 것을 바탕으로 십자형 사각봉 돌출금속(17)의 봉의 단면형상이 임의단면 형상봉으로 되어 있어 십자형 임의단면봉 돌출금속을 압출하면서 접합할 수 있는 것과 십자형 부채꼴판 돌출금속(24)의 판형상이 임의 형상판으로 되어 있어 십자형 임의형상판 돌출금속을 압출하면서 접합할 수 있는 것과 그리고 금속봉 주위로 돌출된 돌출금속의 형상이 십자형 돌출금속 대신 일자형 돌출금속의 형상으로 압출하면서 접합하는 전단접합장치와 전단접합방법이 특징이다.
또한 접합하고자하는 금속봉의 형상이 임의단면을 가진 금속봉에도 적용가능한 것과 접합하고자하는 금속봉의 금속종류 또는 금속상이 다른 종류의 금속일 경우는 각 금속의 물성치를 고려하여 각각 다른 열간가공 온도 또는 반용융온도로 소재를 가열하여 두 소재 재질의 소성변형특성이 같도록 한 후 밀폐형 금형내에서 전단가공으로 접합하여 재질이 다른 이종금속의 두 금속봉을 접합할 수 있는 것과 금속의 상형태가 고상 또는 반용융상태의 금속에도 적용가능한 것이 본원 발명의 특징이다.
길이가 길고 비교적 직경이 큰 금속원형봉소재를 접합하는 방법은 원주표면상에 부분적으로 열을 가해 접합하는 용융법으로는 접합하기 곤란하여 고상상태의 접합의 일종인 마찰압접 또는 압력접합을 통해 전면상의 접합을 시도하고 있으며 그 중 마찰압접의 장점은 마찰열에 의한 비교적 높은 온도의 접합면상에 강한 회전전단변형으로 접합할 수 있으나 접합면을 구속하는 부분이 없기 때문에 부분적인 소재의 자유변형에 따른 접합면의 퍼짐과 약한 접합압력으로 인하여 인한 분리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으며 또한 회전하면서 접합하기 위해서는 접합하고자 하는 소재의 단면형상이 원형이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사용하는 소재의 길이가 길어서 길이방향으로 압축하중을 가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접합면의 자유변형을 막고 접합면을 강하게 압접하기 위한 밀폐형금형내의 성형공간에서 두 개의 금속원형봉소재을 중첩하여 강한 전단압축하중을 가하여 하중방향에 직각방향으로 그리고 금속원형봉소재와 직각방향의 빈공간으로 소재를 압출하면서 전단변형에 의하여 강하게 압접할 수 있도록 하여 기존의 마찰회전압접가공대신 간단한 전단접합방법으로 상기의 단점들을 해결할 수 있다. 그리고 본원발명은 전단접합금형의 독특한 형상에 의해 두 금속원형봉소재가 접합할 때 십자형의 돌출금속을 압출하면서 강한 전단력을 부과할 수 있기 때문에 비교적 접합면이 넓은 단면을 가진 금속봉형상일지라도 강하게 접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접합과 동시에 금속원형봉의 선단면과 원주표면상에 남아있는 금속불순물도 함께 배출할 수 있어 양호한 접합을 얻을 수 있으며 접합과 동시에 돌출금속도 세이빙절삭이 가능하여 접합원주표면상의 돌출금속제거가 가능하다. 그리고 또한 전단접합방법을 사용하면 종류가 다른 금속간의 접합도 가능하여 다양한 기능을 가진 효율적인 이종재질 금속봉을 만들 수 있다.
도 1은 사각봉 돌출금속 금속원형봉 전단접합장치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2은 사각봉 돌출금속 금속원형봉 전단접합금형의 일부절개 사시도이다.
도 3는 부채꼴판 돌출금속 금속원형봉 전단접합금형의 일부절개 사시도이다.
도 4은 사각봉 돌출금속 좌측 전단접합금형 사시도이다.
도 5은 부채꼴판 돌출금속 좌측 전단접합금형 사시도이다.
도 6는 십자형 사각봉 돌출금속이 돌출된 금속봉 형상의 사시도이다.
도 7는 십자형 부채꼴판 돌출금속이 돌출된 금속봉 형상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한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금속원형봉소재 2:선단면 3:선단원주표면 4:접합면 5:접합금형 성형공간 6:좌측전단접합금형 7:우측전단접합금형 8:좌측금형벽면 9:우측금형벽면 10:소재삽입 원통공간 11:좌측금형 직선단 12:우측금형 직선단 13:사각단면틈새 빈공간 14:사각단면틈새 돌출금속 15:사각단면홈 빈공간 16:사각단면홈 돌출금속 17:십자형 사각봉 돌출금속 18:좌측금형 곡선단 19:우측금형 곡선단 20:부채꼴판형 틈새빈공간 21:부채꼴판형틈새 돌출금속 22:부채꼴경사판형홈 빈공간 23:부채꼴경사판형홈 돌출금속 24:십자형 부채꼴판 돌출금속.

Claims (9)

  1. 금속원형봉소재(1)를 좌측전단접합금형(6)의 소재삽입 원통공간(10)으로 삽입하여 금형의 오른쪽 벽면인 좌측금형벽면(8)까지 관통하도록 되어있으며 좌측전단접합금형6)의 오른쪽벽면인 좌측금형벽면(8)은 관통된 원통공간(10)의 가로 중심선을 기준으로 두 개의 금속봉이 중첩된 길이의 절반만큼 높은 위치에서 금속봉소재의 중첩된 길이와 같은 깊이로 가로로 절단하여 좌측금형 직선단(11)이 형성된 벽면의 형상을 가자고 있으며 같은 형상이면서 180도로 대칭되어있는 우측전단접합금형(7)과 결합하여 소재가 돌출될 사각단면틈새 빈공간(13)을 구성하여 사각단면 틈새돌출금속(14)을 돌출하도록 되어 있으며 그리고 좌측금형 직선단(11)아래의 벽면상에는 하중방향으로 사각단면홈 빈공간(15)이 파여져 있어 우측에 있는 금속원형봉소재(1)의 좌측 선단면(2)이 직선단(11) 아랫벽면과 접촉할 때 이 사각단면홈 빈공간(15)과 부분적으로 접촉하도록 되어 있어 두 금속원형봉소재(1)가 접합될때 돌출금속이 사각단면홈 빈공간(15)부분으로 밀려나면서 선단면(2)에 남아 있던 불순물과 함께 압출되어 사각단면홈 돌출금속(16)을 만들고 상기 좌측전단접합금형(6)과 우측전단접합금형(7)과의 사각단면틈새 빈공간(13)으로 압출된 사각단면틈새 돌출금속(14)과 함께 금속원형봉소재(1)와 직각방향으로 십자형 사각봉 돌출금속(17)를 만들면서 강한 전단력과 압축력으로 전단접합하도록하는 좌측전단접합금형(6)과 180도의 대칭적으로 배치한 우측전단접합금형(7)로 구성된 사각봉 돌출금속 금속원형봉 전단접합장치.
  2. 금속원형봉소재(1)를 좌측전단접합금형(6)의 소재삽입 원통공간(10)으로 삽입하여 금형의 오른쪽 벽면인 좌측금형벽면(8)까지 관통하도록 되어있으며 좌측전단접합금형의 오른쪽벽면인 좌측금형벽면(8)은 관통된 원통공간(10)의 가로 중심선을 기준접선으로 점점 벌어지는 포물선형 곡선형태와 금속봉소재의 중첩된 길이와 같은 깊이로 절단하여 좌측금형 곡선단(18)이 진 벽면의 형상으로 구성되어 같은 형상이면서 180도로 대칭되어있는 우측전단접합금형(7)과 결합하여 소재가 돌출될 부채꼴판형 틈새 빈공간(20)을 구성하여 부채꼴판형 틈새 돌출금속(21)을 돌출하도록 되어 있으며 그리고 좌측금형 곡선단(18)아래의 벽면상에는 하중방향으로 부채꼴경사판형 홈빈공간(22)이 파여져 있어 우측에 있는 금속원형봉소재(1)의 좌측 선단면(2)이 곡선단(18)아래의 벽면과 접촉할 때 이 부채꼴경사판홈 빈공간(22)과 부분적으로 접촉하도록 되어 있어 두 금속원형봉재(1)가 접합될때 돌출금속이 부채꼴경사판홈 빈공간(22)부분으로 밀려나면서 선단면(2)에 남아 있던 금속불순물과 함께 압출되어 부채꼴경사판홈 돌출금속(23)을 만들고 상기 좌측전단접합금형(6)과 우측전단접합금형(7)과의 부채꼴판형틈새 빈공간(20)으로 압출된 부채꼴판형틈새 돌출금속(21)과 함께 금속원형봉소재(1)와 직각방향으로 압출되어진 십자형 부채꼴판 돌출금속(24)을 압출하면서 강한 전단력과 압축력으로 전단접합하도록하는 좌측전단접합금형(6)과 180도 대칭적으로 배치된 우측전단접합금형(7)으로 구성된 부채꼴판 돌출금속 금속원형봉 전단접합장치.
  3. 길이가 길고 비교적 직경이 큰 두 개의 금속원형봉소재(1)의 선단면(2)을 각각 유도가열장치로써 급속히 부분가열한 후 좌측전단접합금형(6)과 우측 전단접합금형(7)내의 소재삽입 원통공간(10)을 통하여 접합금형 성형공간(5)으로 각각 삽입한 후; 금속원형봉소재(1)의 각 선단원주표면(3)을 상호 중첩하여 접합면(4)을 구성하도록하고 접합면(4)이 전단접합금형 성형공간(5)의 중심부에 대칭적으로 위치하도록 한 후 전단접합금형이 상하로 슬라이딩하면서 중첩면에 전단압축하중을 가하여; 두 개의 금속원형봉소재(1)의 접합부를 하중방향과 직각방향으로 그리고 금속원형봉소재(1)와 직각방향으로 놓여있는 좌측금형 직선단(11)과 우측금형 직선단(12)의 사이의 틈새로 구성되는 각각 반대방향의 사각단면틈새 빈공간(13)으로 돌출하면서 사각단면틈새 돌출금속(14)을 압출하고; 또한 동시에 좌측금속원형봉소재(1)의 선단면(2)과 접촉해 있는 우측금형벽면(9)의 직선단(12)위의 벽면상에서 하중방향으로 사각단면홈 빈공간(15)과 그리고 우측에 놓여있는 금속원형봉소재의 선단면(2)과 접촉해 있는 좌측금형벽면(8)의 직선단(11)아래의 벽면상에서 하중방향으로 사각단면홈 빈공간(15)을 따라 소재가 상하로 밀려나오면서 소재의 선단면(2)에 있는 금속불순물과 함께 사각단면홈 돌출금속(16)이 압출되도록 하여; 금속원형봉소재(1)와 직각방향으로 십자형의 사각봉 돌출금속(17)을 압출하면서 강한 전단력과 압축력으로 전단접합이 완료된 후 돌출금속이 붙어 있는 금속봉의 한 쪽 방향으로 인발하중을 가하여 십자형 사각봉 돌출금속(17)이 접합금형에 의하여 세이빙절삭되어 금속봉 주위에 돌출금속이 제거된 금속원형봉 전단접합방법.
  4. 길이가 길고 비교적 직경이 큰 두 개의 금속원형봉소재(1)의 선단면(2)을 각각 유도가열장치로써 급속히 부분가열한 후 좌측전단접합금형(6)과 우측 전단접합금형(7)내의 소재삽입 원통공간(10)을 통하여 접합금형 성형공간(5)으로 각각 삽입한 후; 금속원형봉소재(1)의 각 선단원주표면(3)을 상호 중첩하여 접합면(4)을 구성하도록하고 접합면(4)이 전단접합금형 성형공간(5)의 중심부에 대칭적으로 위치하도록 한 후 전단접합금형이 상하로 슬라이딩하면서 중첩면에 전단압축하중을 가하여; 두 개의 금속원형봉소재(1)의 접합부가 하중방향과 직각방향으로 그리고 금속원형봉소재(1)와 직각방향으로 놓여있는 좌측접합금형 곡선단(18)과 우측접합금형 곡선단(19)의 사이의 틈새로 구성되는 각각 반대방향의 부채꼴판형 틈새빈공간(20)으로 둘출되면서 부채꼴판형 틈새돌출금속(21)을 압출하고; 또한 동시에 좌측금속원형봉소재(1)의 선단면(2)과 접촉해 있는 우측금형벽면(9)의 곡선단(19)위의 벽면상에서 하중방향으로 부채꼴경사판형홈 빈공간(22)과 그리고 우측에 놓여있는 금속원형봉소재(1)의 선단면(2)과 접촉해 있는 좌측금형벽면(8)의 곡선단(18)아래의 벽면상에서 하중방향으로 부채꼴경사판형홈 빈공간(22)을 따라 소재가 상하로 밀려나오면서 소재의 선단면(2)에 있는 금속불순물과 함께 부채꼴경사판형홈 돌출금속(23)이 압출되도록 하여; 금속원형봉소재(1)와 직각방향으로 십자형 부채꼴판 돌출금속(24)을 압출하면서 강한 전단력과 압축력으로 전단접합이 완료됨과 동시에 추가의 공정이 필요없이 십자형 부채꼴판 돌출금속(24)이 자동적으로 세이빙절삭되어 금속봉 주위에 돌출금속이 제거된 금속원형봉 전단접합방법.
  5. 제 1항과 제 3항에 있어서 십자형 사각봉 돌출금속(17)의 단면형상이 임의단면 형상봉으로 되어 있어 십자형 임의단면봉 돌출금속을 압출하면서 접합하는 전단접합장치와 전단접합방법.
  6. 제 2항과 제 4항에 있어서 십자형 부채꼴판 돌출금속(24)의 판형상이 임의형상판으로 되어 있어 십자형 임의형상판 돌출금속을 압출하면서 접합하는 전단접합장치와 전단접합방법.
  7. 제 3항과 제 4항에 있어서 금속봉 주위로 돌출된 돌출금속의 형상이 일자형 돌출금속의 형상으로 압출하면서 접합하는 전단접합장치와 전단접합방법.
  8. 제 3항과 제 4항에 있어서 접합하고자하는 금속봉의 형상이 임의단면을 가진 금속봉의 전단접합장치와 전단접합방법.
  9. 제 3항내지 4항에 있어서 접합하고자하는 임의단면 금속봉의 금속종류가 다른 또는 금속상이 다른 종류의 금속일 경우는 각 금속의 물성치를 고려하여 각각 다른 온도로 소재를 가열하여 두 소재 재질의 소성변형 유동특성이 같도록 한 후 밀폐형 금형내에서 전단가공으로 접합하여 재질이 다른 이종금속의 두 금속봉을 접합할 수 있는 전단접합방법.
KR1020050045855A 2005-05-31 2005-05-31 금속봉 전단접합장치 및 전단접합방법 KR1006225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5855A KR100622535B1 (ko) 2005-05-31 2005-05-31 금속봉 전단접합장치 및 전단접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5855A KR100622535B1 (ko) 2005-05-31 2005-05-31 금속봉 전단접합장치 및 전단접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1419A true KR20050061419A (ko) 2005-06-22
KR100622535B1 KR100622535B1 (ko) 2006-09-13

Family

ID=37253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5855A KR100622535B1 (ko) 2005-05-31 2005-05-31 금속봉 전단접합장치 및 전단접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25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48045A1 (ko) * 2015-09-14 2017-03-23 주식회사 유레일 각봉 제조 시스템 및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7754B1 (ko) 2013-09-03 2015-03-31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금속판재의 전단접합장치 및 전단접합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44285A (ja) 1984-12-18 1986-07-01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圧延材料の接合方法
JPS61159205A (ja) 1984-12-28 1986-07-18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圧延材料の接合装置
JPS6213281A (ja) 1985-07-12 1987-01-22 Hitachi Ltd 冷間接合装置
JP4160794B2 (ja) 2002-07-11 2008-10-0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鋼板連続化設備、鋼板連続化方法及び連続化鋼板
KR100622524B1 (ko) * 2005-03-08 2006-09-13 진인태 열간금속판재 소성유동 고상접합장치 및 접합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48045A1 (ko) * 2015-09-14 2017-03-23 주식회사 유레일 각봉 제조 시스템 및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2535B1 (ko) 2006-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26074B2 (ja) アンカー固定要素を物体内にアンカー固定する方法、およびアンカー固定セット
KR20170091187A (ko) 전열판의 제조 방법 및 마찰 교반 접합 방법
KR100622535B1 (ko) 금속봉 전단접합장치 및 전단접합방법
US2004014980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joining at least two work pieces by friction stir welding
RU2601784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оединения труб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KR19990064729A (ko) 철근의 기계식 이음방법 및 그 이음구
JPH1035235A (ja) サスペンションアーム材
JPH0747480A (ja) 摩擦結合装置及び方法
JP2001304210A (ja) 杆体継合金具
KR100622531B1 (ko) 금속봉 압출접합장치 및 압출접합방법
JPS6211659B2 (ko)
JP4014258B2 (ja) 金属製パイプ及びその製造方法
JP3885067B2 (ja) 異形差筋アンカーとその製造法
JP3891653B2 (ja) 部材同士の交差部嵌合接合構造
JPS5870989A (ja) 異種部材の接合方法
JP2001191125A (ja) 分岐管の製造方法
RU2631043C1 (ru) Неразъёмное соединение деталей замкнутого контура и способ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JP2003285169A (ja) 摩擦撹拌接合方法
KR0142241B1 (ko) 금속파이프의 결합부 성형방법 및 그 장치
JPS632576A (ja) 摩擦圧接法
JPH0321289B2 (ko)
JPH0356789A (ja) 冷凍サイクルにおける溝付管材の接合方法
JP2001098847A (ja) 断熱形材
KR100220173B1 (ko) 철근 연결구조
JP2009209561A (ja) 木質部材を接合する接合具及びそれを使用した接合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