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9306A - 케이스 - Google Patents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9306A
KR20050059306A KR1020057007201A KR20057007201A KR20050059306A KR 20050059306 A KR20050059306 A KR 20050059306A KR 1020057007201 A KR1020057007201 A KR 1020057007201A KR 20057007201 A KR20057007201 A KR 20057007201A KR 20050059306 A KR20050059306 A KR 200500593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ridge
shutter
side plate
cas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7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54314B1 (ko
Inventor
슈지 다부치
Original Assignee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593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93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4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43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of special shap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54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of special shape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gramophone recor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02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 G11B33/04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modified to store record carriers
    • G11B33/0405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modified to store record carriers for storing discs
    • G11B33/0411Single disc boxes
    • G11B33/0416Single disc boxes for disc cart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10Devices to locate articles in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For Recording Disks (AREA)
  • Feeding And Guiding Record Carriers (AREA)
  • Photographic Developing Apparatuses (AREA)

Abstract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바닥판(2)과, 제1 측판(3)과, 제2 측판(4)과, 제3 측판(5)을 구비하고, 상기 카트리지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구(6)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측판(3)의 내면에는 제1 리브(7)가, 상기 제2 측판(4)의 내면에는 제2 리브(8)가 구비되는 카트리지용 케이스.

Description

케이스{CASE}
본 발명은 디스크 형상 정보 매체를 회전가능하게 수납한 카트리지를 수납하는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디스크 형상 정보 매체를 수용한 카트리지는, 예를 들면 광자기 디스크 카트리지가 알려져 있다. 상기 카트리지를 걸어 수용하는 케이스로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 5-278772호 공보(단락 번호 0021∼동 0049, 도 1, 도 7)(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천판부(天板部)와 바닥판부를 맞대어 결합한 슬리브 케이스의 절결(切缺)을 구비한 개구부에서, 카트리지의 셔터를 개방방향으로 삽입하고, 삽입한 안쪽으로 상기 카트리지의 셔터 걸어맞춤(係合) 측면과 상기 셔터 걸어맞춤 측면에 대응하는 측면에 구비한 한쌍의 구멍에 걸어맞춰지는 걸림부에 의해 카트리지를 걸어맞춤하여 수용하고, 슬리브 케이스로부터 카트리지를 꺼낼 때는, 개구부에 구비한 절결에 노출되는 카트리지를 잡고 인출하는 디스크 카트리지용 케이스가 제안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에 제안되어 있는 기술은, 카트리지와 케이스가 슬라이드하여 걸어맞춤하는 면은, 셔터와 상하 절반부(half)가 슬라이드하는 셔터 슬라이드 측면 및 상기 셔터 슬라이드 측면에 대향하는 측면이고, 상기 양 측면은 기본적으로는 평탄면 중에 오목부를 부분적으로 구비하므로, 카트리지의 두께를 수납하는 홈을 구비하는 것이 필수적이어서, 케이스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과제가 있다.
도 1a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케이스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케이스의 다른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c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케이스의 다른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d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케이스의 다른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케이스의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다른 케이스의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다른 케이스의 구성을 도시하는 우측면도이다.
도 5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다른 케이스의 구성을 도시하는 좌측면도이다.
도 6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다른 케이스의 개방 측면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셔터 폐색 상태에 있어서의 카트리지의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셔터 개방 상태에 있어서의 카트리지의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카트리지의 구성을 도시하는 이면도이다.
도 10은 본 실시의 형태에 관한 카트리지와 케이스와의 걸어맞춤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카트리지를 케이스에 수용을 끝낸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카트리지와 케이스의 걸어맞춤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카트리지의 중요부 확대 부분을 도시하는 파단도이다.
도 14는 본 실시의 형태에 관한 카트리지를 케이스에 수용을 끝낸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실시의 형태에 관한 카트리지의 평면도이다.
도 16은 본 실시의 형태에 관한 카트리지의 도어 개방 상태의 도면이다.
도 17은 본 실시의 형태에 관한 카트리지와 케이스의 걸어맞춤 개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실시의 형태에 관한 카트리지와 케이스의 걸어맞춤 도중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실시의 형태에 관한 카트리지와 케이스의 걸어맞춤 도중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0은 본 실시의 형태에 관한 카트리지를 케이스에 수용을 끝낸 상태를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도 21은 본 실시 형태의 케이스에 수납하는 카트리지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2a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케이스의 덮개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2b∼도 22h는 본 실시의 형태에 관한 케이스의 다른 덮개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카트리지에 수납한 디스크에 대해 대략 수직인 방향에 따라 두께를 얇게 할 수 있고, 또한 카트리지에 수납한 디스크에 먼지 등의 이물이 부착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에 관한 케이스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을 형성하는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변에서 각각 세워 설치된 제1 측판 및 제2 측판을 구비하고, 상기 한쌍의 변에 직교하는 어느 한쪽 변측을 삽입구로 하여, 다른쪽 변측을 향해 수납물을 삽입하여 수용하는 케이스로서, 상기 제1 측판과 상기 제2 측판이 대면하는 상기 제1 측판의 내면에는, 상기 제1측판의 내면에 평행한 정상(頂上)면을 갖는 제1 리브가, 상기 제1 측판의 내면과 상기 정상면과의 사이의 세움 거리(D1)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측판과 상기 제1 측판이 대면하는 제2 측판의 내면에는, 상기 제2 측판의 내면에 평행한 정상면을 갖는 제2 리브가, 상기 세움 거리(D1)보다도 짧은 세움 거리(D2)로, 상기 제1 리브와 대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리브보다도 상기 삽입구측의 상기 제1 측판의 내면에는, 상기 제1측판의 내면에 평행한 정상면을 갖는 제1 돌기부가 상기 세움 거리(D1)보다도 짧은 세움 거리(D3)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리브의 정상면과 상기 제1 측판의 내면과의 사이의 공간 거리(D4)와, 상기 제1 돌기부의 정상면과 상기 제2 측판의 내면과의 사이의 공간 거리(D5)는 모두, 상기 제1 측판과 상기 제2 측판의 대향 방향에서의 상기 수납물의 폭(D6)이 헐겁게 삽입될 수 있는 길이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카트리지의 셔터를 개방하는 방법은 원반형상 정보 매체를 수납하는 간극을 두고 대향하는 윗쪽 절반부 및 아래쪽 절반부와, 상기 윗쪽 절반부 및/또는 상기 아래쪽 절반부에 상기 원반형상 정보 매체의 일부를 노출하는 개구 창(窓)부와, 상기 개구 창부를 개폐하는 셔터와, 상기 셔터에 걸어맞춤하여 상기 윗쪽 절반부 및 상기 아래쪽 절반부를 연속 설치하는 전방벽과, 상기 윗쪽 절반부 및 상기 아래쪽 절반부와 상기 전방벽 각각을 연속 설치하는 제1 측벽 및 제2 측벽과, 상기 전방벽에 대향하는 후방벽과, 상기 제1 측벽 및 상기 제2 측벽과 상기 전방벽과의 경계선에서 각각 서로 대향하는 측벽측에 단차를 갖는 홈부를 구비하는 카트리지를, 제1항에 기재된 케이스에 삽입하여 상기 카트리지의 상기 셔터를 개방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카트리지를 상기 케이스의 상기 삽입구에 삽입하는 제1 공정과, 상기 제1 측벽에 형성한 상기 홈부에 따라 상기 제1 돌기부를 삽입하는 제2 공정과, 상기 제1 측벽에 형성한 홈부에 따라 상기 제1 리브를 삽입하고, 또한, 상기 제2 측벽에 형성한 홈부에 따라 상기 제2 리브를 삽입하는 제3 공정과, 상기 제2 공정과 상기 제3 공정과의 사이에서, 상기 셔터를 개폐하는 개폐 걸어맞춤부가 상기 제1 돌기부에 걸어맞춰짐으로써, 상기 셔터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의 형태에 관한 케이스에서는, 제2 리브의 정상면과 제1 측판의 내면과의 사이의 공간 거리(D4)와, 제1 돌기부의 정상면과 제2 측판의 내면과의 사이의 공간 거리(D5)는 모두 케이스에 수납하는 수납물이 삽입구를 통해 삽입되는 삽입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따른 수납물의 폭(D6)과 대략 동일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수납물을 수납할 때에, 케이스의 바닥판에 대향하는 수납물의 면이 어느 쪽이라도 제1 돌기부와 제2 측판의 내면과의 사이의 공간 거리(D5) 및 제2 리브와 제1 측판의 내면과의 사이의 공간 거리(D4)가 수납물의 삽입 한계를 규정하는 동시에, 수납물의 케이스에의 삽입 방향만 동일하면, 케이스의 바닥판에 대향하는 수납물의 면의 표리(表裏)에 상관없이 케이스에 장착할 수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상기 제1 돌기부 보다도 상기 삽입구측의 상기 제1 측판의 내면에는, 상기 제1 측판의 내면에 평행한 정상면을 갖는 제2 돌기부가 상기 세움 거리(D3)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돌기부와 상기 제2 돌기부와의 사이의 상기 제1 측판의 내면에는, 상기 세움 거리(D3) 이하의 세움 거리(D7)로 래크(rack)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돌기부 및/또는 래크부에 수납물의 측벽이 슬라이드하여 걸어맞춤함으로, 수납물 삽입에 있어서의 수납물의 측벽 방향에 불균일한 힘을 부여함으로써, 예를 들면 케이스의 제1 돌기부와 제2 측면에 수납물의 전방측의 각이 접하면서 삽입되는 저항을 억제할 수 있어, 수납물의 케이스에의 삽입 정확도가 향상된다. 또한, 제2 리브를 구비하는 제2 측판의 내면에서 제2 돌기부에 대향하는 위치보다도 삽입 방향 안쪽으로 제2 리브보다도 세움 거리가 짧은 제3 리브를 구비하는 구성을 채용하면, 수납물의 측벽 방향에의 삽입 저항이 더욱 경감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제3 리브의 세움 거리는 제2 리브의 세움 거리보다도 짧으므로, 제3 리브 정상면과 제1 리브를 세워 설치한 측면과의 거리는, 수납물을 케이스에 삽입하는 방향에 직교하는 수납물의 폭보다도 길어지는데, 케이스에 대한 수납물의 삽입 개시 시점에서는 대강의 가이드가 가능한 헐거운 삽입(遊揷) 관계인 것이 바람직하므로, 제3 리브의 세움 거리를 제2 리브의 세움 거리와 동일하게 하는 구성보다도 바람직하다.
상기 수납물은, 원반형상 정보 매체를 수납하는 간극을 두고 대향하는 윗쪽 절반부 및 아래쪽 절반부와, 상기 윗쪽 절반부 및/또는 상기 아래쪽 절반부에 상기 원반형상 정보 매체의 일부를 노출하는 개구 창부와, 상기 개구 창부를 개폐하는 셔터와, 상기 셔터에 걸어맞춤하여 상기 윗쪽 절반부 및 상기 아래쪽 절반부를 연속 설치하는 전방벽과, 상기 윗쪽 절반부 및 상기 아래쪽 절반부와 상기 전방벽 각각을 연속 설치하는 제1 측벽 및 제2 측벽과, 상기 전방벽에 대향하는 후방벽을 구비하는 카트리지이고, 상기 제1 측벽이 상기 전방벽에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선에서 상기 후방벽을 향해 상기 윗쪽 절반부 및 상기 아래쪽 절반부의 간극의 대략 중앙부에 상기 제2 측벽 방향에 단차를 갖는 상기 제1 측벽의 일부에 형성된 제1 부분 단차홈과, 상기 제1 부분 단차홈에 대향하는 위치로서 상기 제2 측벽에 상기 제1 측벽 방향으로 단차가 형성된 제2 부분 단차홈을 가지고, 상기 제1 부분 단차홈에 상기 제1 돌기부와 상기 제1 리브가 슬라이드 접하고, 상기 제2 부분 단차홈에 상기 제2 리브가 슬라이드 접함으로써, 상기 카트리지를 삽입하는 구성이 바람직하다.
삽입구로 카트리지를 삽입할 때는, 우선 제1 부분 단차홈이 제1 돌기부와 걸어맞춤하고, 이어서 제1 돌기부의 정상면과 제2 측판의 내면의 공간 거리(D5)가 상기 카트리지의 삽입 방향에 직교하는 폭 방향(D6)을 헐겁게 삽입함으로써 대강의 위치 결정을 할 수 있고, 케이스에의 삽입 동작이 진행함에 따라, 제1 리브와 제2 리브가 제1 부분 단차홈과 제2 부분 단차홈 각각에 슬라이드 접함으로써, 케이스에 대한 카트리지의 위치가 결정되므로, 카트리지의 케이스에 대한 삽입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케이스 바닥판에 대향하는 카트리지의 윗쪽 절반부로 한 절반부를 역방향으로 하여 삽입하는 경우(즉, 케이스의 제1 측판과 카트리지의 제2 측벽측을 걸어맞추게 한다)라도 완전히 동일하게 삽입 및 케이스에 대한 카트리지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에 수납하는 수납물이 카트리지이고, 상기 카트리지의 상기 전방벽에 걸어맞춤하는 상기 윗쪽 절반부 및 상기 아래쪽 절반부의 전방 변은 원호 형상을 형성하고, 상기 셔터는 상기 원호 형상에 따라 회전함으로써 상기 개구 창부를 개폐하고, 상기 개폐 걸어맞춤 부재는, 상기 제1측벽에서의 상기 윗쪽 절반부와 상기 아래쪽 절반부와의 대략 중앙부에 상기 제1 측벽 전 길이에 걸쳐 상기 제2 측벽측에 단차를 갖는 전체 길이 단차홈에 구비하고, 상기 제2 돌기부가 걸어맞춤하는 제1 구멍 및 제2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제1 구멍과 상기 제2 구멍과의 사이에 상기 래크와 걸어맞춤하는 기어부를 포함하는 구성이 바람직하다.
제1 리브, 제1 돌기부, 래크부 및 제2 돌기부를 세워 설치한 케이스의 제1 측판의 내면인 측면과 카트리지의 전체 길이 단차홈을 걸어맞추게 하는 방향에서 카트리지를 케이스에 삽입하면, 케이스에의 장착 동작만으로 카트리지의 셔터를 개방 또는 케이스로부터 떼어내는 동작만으로 카트리지의 셔터를 폐색할 수 있고, 반대로 제2 리브를 세워 설치한 케이스의 측면과 카트리지의 전체 길이 단차홈을 걸어맞추게 하는 방향에서 카트리지를 케이스에 삽입하면, 셔터는 개방·폐색 동작을 행하지 않고 카트리지를 케이스에 장착할 수 있고, 케이스에 대한 카트리지의 표리의 방향에 따라 셔터의 개방·폐색 동작의 유무를 선택할 수 있다. 그 결과, 예를 들면 카트리지를 케이스에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카트리지에 수납한 디스크 형상 정보 매체의 클리닝이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구성, 예를 들면 카트리지의 삽입 방향의 뒤쪽에 상기 카트리지에 수납한 디스크 형상 정보 매체를 꺼내는 도어(扉)를 구비하면 상기 도어로부터 상기 디스크 형상 정보 매체를 카트리지로부터 꺼내어 카트리지 비대응의 기록 재생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의 상기 바닥판을 통해 상기 삽입구에 대향하는 다른 쪽의 변에서, 상기 제1 측판 및 상기 제2 측판과 동일 높이로 세워 설치하는 제3 측판을 구비하는 구성을 채용하면, 바닥판에 제1 측판과 제2 측판을 구비하는 구성에 비해 기계 강도가 향상되는 동시에, 카트리지 등의 수납물의 삽입 방향에 대한 삽입 한계를, 제3 측판에서 규정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상기 수납물은 상기 삽입구로 삽입하는 전방벽과, 상기 전방벽의 상기 제1 측판 및 상기 제2 측판 각각에 대향하는 제1 측벽 및 제2 측벽을 구비하는 상자 형상이고, 상기 바닥판과 평행하게 상기 제1 전방벽과 상기 전방벽과의 걸어맞춤 부분으로부터 연장하여 (D8)의 함몰을 갖는 제1 바닥부를 갖는 제1 부분 단차홈과, 상기 바닥판과 평행하게 상기 제2 전방벽과 상기 전방벽과의 걸어맞춤 부분으로부터 연장하여 (D8)의 함몰을 갖는 제2 바닥부를 갖는 제2 부분 단차홈을 구비하고, 상기 수납물이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바닥부와 상기 제2 바닥부와의 사이의 거리(D9)가, 상기 제1 리브의 정상면과 제2 리브의 정상면이 끼워맞춰지는 구성을 구비하는 구성에 의하면, 삽입구측을 밑으로 기울인 경우라도 카트리지 등의 수납물이 케이스로부터 낙하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동시에, 수납물의 삽입 방향의 위치 결정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상기 바닥판에 대해 평행한 상기 제1 측판 중 어느 한 변, 상기 바닥판에 대해 평행한 상기 제2 측판 중 어느 한 변, 상기 삽입구를 형성하는 상기 바닥판의 변, 상기 삽입구를 형성하는 상기 바닥판의 변에 상기 바닥판을 통해 대향하는 변, 또는 상기 바닥판에 대해 평행한 제3 측변 중 어느 하나의 변을 회전축으로 하는 덮개체를 구비하는 구성을 채용하면, 카트리지 등의 수납물을 케이스에 장착한 상태로 장기 보존하는 경우라도, 상기 수납물에 먼지 등이 부착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본 실시의 형태에 관한 카트리지의 셔터를 개방하는 방법에서는, 원반형상 정보 매체를 수납하는 간극을 두고 대향하는 윗쪽 절반부 및 아래쪽 절반부와, 상기 윗쪽 절반부 및/또는 상기 아래쪽 절반부에 상기 원반형상 정보 매체의 일부를 노출하는 개구 창부와, 상기 개구 창부를 개폐하는 셔터와, 상기 셔터와 걸어맞춤하여 상기 윗쪽 절반부 및 상기 아래쪽 절반부를 연속 설치하는 전방벽과, 상기 윗쪽 절반부 및 상기 아래쪽 절반부와 상기 전방벽 각각을 연속 설치하는 제1 측벽 및 제2 측벽과, 상기 전방벽에 대향하는 후방벽과, 상기 제1 측벽 및 상기 제2 측벽과 상기 전방벽과의 경계선에서 각각 서로 대향하는 측벽측에 단차를 갖는 홈부를 구비하는 카트리지를, 케이스에 삽입하여 상기 카트리지의 상기 셔터를 개방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카트리지를 상기 케이스의 상기 삽입구에 삽입하는 제1 공정과, 상기 제1 측벽에 형성한 상기 홈부에 따라 상기 제1 돌기부를 삽입하는 제2 공정과, 상기 제1 측벽에 형성한 홈부에 따라 상기 제1 리브를 삽입하고, 또한, 상기 제2 측벽에 형성한 홈부에 따라 상기 제2 리브를 삽입하는 제3 공정과, 상기 제2 공정과 상기 제3 공정과의 사이에서, 상기 셔터를 개폐하는 개폐 걸어맞춤부가 상기 제1 돌기부에 걸어맞춤함으로써, 셔터의 개방 동작을 종료시킨다.
따라서, 케이스에 대한 카트리지의 삽입 방향은 동일하더라도, 케이스에 대한 카트리지의 장착·떼어냄 동작에 따라 셔터의 개방·폐색 동작을 일으키는 구성과, 케이스에 대한 카트리지의 장착·떼어냄 동작에 의해서도 셔터는 개방·폐색 동작을 일으키지 않는 구성을 케이스에 삽입하는 카트리지의 표리에서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고, 또한, 케이스에 대한 카트리지의 장착·떼어냄에 의해 셔터가 개방·폐색 동작을 하는 경우는, 셔터가 개방하여 개구 창으로부터 일부 노출되는 원반형상 정보 매체의 면은, 기록 재생 장치로 기록 재생을 행하는 정보층의 면이므로, 예를 들면 상기 정보층의 클리닝을 행할 때에 유용해진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 관한 카트리지의 셔터를 개방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원반형상 정보 매체를 수납하는 간극을 두고 대향하는 윗쪽 절반부 및 아래쪽 절반부와, 상기 윗쪽 절반부 및/또는 상기 아래쪽 절반부에 상기 원반형상 정보 매체의 일부를 노출하는 개구 창부와, 상기 개구 창부를 개폐하는 셔터와, 상기 셔터와 걸어맞춤하여 상기 윗쪽 절반부 및 상기 아래쪽 절반부를 연속 설치 하는 전방벽과, 상기 윗쪽 절반부 및 상기 아래쪽 절반부와 상기 전방벽 각각을 연속 설치하는 제1 측벽 및 제2 측벽과, 상기 전방벽에 대향하는 후방벽과, 상기 전방벽에 걸어맞춤하는 상기 윗쪽 절반부 및 상기 아래쪽 절반부의 전방 변은 원호 형상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측벽 및 상기 제2 측벽과 상기 전방벽과의 경계선에서 각각 서로 대향하는 측벽측에 단차를 갖는 홈부와, 상기 셔터는 상기 원호 형상에 따라 회전함으로써 상기 개구 창부를 개폐시키는 상기 제1 측벽에 형성하고, 제1 구멍, 제2 구멍 및 상기 제1 구멍과 상기 제2 구멍과의 사이에 기어부를 갖는 개폐 걸어맞춤 부재를 구비하는 카트리지를, 제2항에 기재된 케이스에 상기 카트리지를 삽입하여 상기 카트리지의 셔터를 개방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카트리지를 상기 케이스의 상기 삽입구에 삽입하는 제1 공정과, 상기 제1 측벽에 형성한 상기 홈부에 따라 상기 제2 돌기부를 삽입하고, 상기 개폐 부재에 구비하는 제1 구멍에 상기 제2 돌기부를 걸어맞추게 하는 제2 공정과, 상기 케이스의 상기 제1 측판에 형성된 상기 래크과 상기 기어부를 걸어맞추게 해 상기 셔터를 회전시키는 제3 공정과, 상기 제1 측판에 설치된 상기 제1 돌기부와 상기 제2 구멍을 걸어맞추게 함으로써, 상기 셔터의 개방 동작을 종료시킨다.
따라서, 카트리지에 구비하는 제1 구멍, 기어부 및 제2 구멍을 구비하는 개폐 걸어맞춤 부재가, 전체 길이 단차홈에서 제1 돌기부, 래크부 및 제2 돌기부와 걸어맞춰지므로써, 셔터를 회전에 의해 개방함으로써 개구 창부를 개구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에 장착 상태로 개방한 셔터를 폐색하기 위해서는, 카트리지를 케이스로부터 꺼내는 것만으로 반대 경로를 더듬어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반대로 전체 길이 단차홈을 제2 리브를 세워 설치한 측면과 걸어맞추게 하면, 셔터는 개방하지 않고 카트리지를 케이스에 장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는 카트리지로는, 기본적으로 아래쪽 절반부와 윗쪽 절반부와의 계면(界面)을 융착, 접착 또는 나사 등으로 일체화한 형태이고, 상기 한쌍의 절반부 중에 디스크 형상 정보 매체(이하, 디스크라고 칭한다)를 수납하는 디스크 수납부를 구비한다. 아래쪽 절반부에는, 디스크의 일부를 노출하고, 기록 및/또는 재생(이하, 기록 재생이라 칭한다)을 광학적으로 행하는 광 픽 업과, 스핀들 모터 등의 디스크를 회전하는 회전 수단과 일체화하여 디스크를 얹는 턴 테이블을 삽입할 수 있는 개구 창부를 구비한다. 또한, 윗쪽 절반부는 디스크 수납부 내에 디스크를 수납 지지하도록 아래쪽 절반부와 걸어맞춤하는 기능을 구비하면 되고, 예를 들면 윗쪽 절반부 전면(全面)을 덮는 판상태여도 되고, 아래쪽 절반부와 동일한 개구 창부를 구비해도 되고, 윗쪽 절반부 측의 디스크면을 거의 전면 노출하여 디스크의 외주부 근방만에서 디스크 수용부를 막는 노출 구멍을 형성해도 된다. 또한, 카트리지의 하나의 측벽, 아래쪽 절반부, 또는 윗쪽 절반부 중 어느 한 곳에 도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도어부를 해방함으로써 카트리지에 수납한 디스크를 꺼내는 구성을 구비해도 된다. 상기 도어부를 해방한 이력을 카트리지에 남기는 이력 지시부를 구비해도 된다.
또한, 카트리지와 걸어맞춤하는 셔터를 구비하고, 상기 셔터는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이하, 기록 재생 장치로 칭한다)에 카트리지가 장착되어 디스크가 기록 재생 위치에 있을 때에 개구 창부를 해방하고, 기록 재생 위치로부터 빠져나갔을 때에는 상기 개구 창부를 폐색 상태로 하는 기능을 가지면 좋다. 상기 셔터의 개방·폐색 동작은, 개구 창부의 한쌍의 직선에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직선 왕복 이동하는 구성, 또는 디스크의 대략 중심 구멍 둘레에 왕복 회전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기록 재생 장치에 구비하는 셔터 오프너로 칭해지는 부재에 의해서 셔터의 개방·폐색 자체는 일어나지 않지만, 상기 셔터 오프너와 걸어맞춤하는 셔터 걸어맞춤부는 카트리지에 구비할 필요가 있고, 셔터 걸어맞춤부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카트리지와 같이 디스크의 주변에 수직인 방향(소위 두께 방향 또는 높이 방향 등으로 칭해지는데, 본 명세서에서는 두께 방향이라고 칭한다)의 셔터 측벽에 구비한 오목부, 셔터측 측벽이 걸어맞춤하는 카트리지의 측벽(이하, 셔터측 측벽 또는 전체 길이 단차홈 측벽이라고 칭한다)보다 상기 셔터측 측벽이 돌출된 구성인 경우에는 상기 돌출부, 셔터와 걸어맞춤하는 셔터측 측벽에 인접하여 카트리지의 두께 방향을 규제하는 측벽(이하, 측단벽 또는 전방측 측벽이라고 칭한다)에 구비하여 셔터에 걸어맞춤하는 볼록 형상 또는 오목 형상의 피걸어맞춤부 중 어느 것이라도 적용 가능하다. 단, 상기 피걸어맞춤부를 셔터 걸어맞춤부로서 채용하는 경우에는, 측단벽에 카트리지에 수납한 디스크 방향으로 소정의 깊이를 갖는 홈부를 구비하고, 상기 홈부 내에 피걸어맞춤부를 대략 매몰시킨 구성을 채용하면, 카트리지의 측단벽으로부터 피걸어맞춤부가 돌출되지 않으므로 일반적이다. 또한, 셔터가 왕복 회전하는 구성인 경우에는, 셔터의 외형 형상을 회전 중심으로부터 원호 형상으로 가공함으로써 셔터의 회전 동작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셔터의 외형 형상을 원호 형상으로 가공하는 경우에는, 측벽도 원호 형상으로 가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케이스 형상은, 카트리지를 케이스 내부에 삽입하여 수용하는 구성을 기본으로 하기 때문에, 수용한 카트리지에 대해 대략 평행한 판부와, 카트리지의 삽입 방향(이하, 세로 방향으로 칭하고, 카트리지의 세로 방향의 길이를 카트리지의 세로로 칭하고, 케이스의 세로 방향의 길이를 케이스의 세로로 칭한다)에 직교하는 상기 판부의 단면으로부터 한쌍의 측면을 세워 설치한 コ자 형상으로, 상기 판부에 대략 평행하게 상기 측면으로부터 세워 설치하는 리브 및 돌기부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의 케이스에 카트리지를 수용할 때는, 판부에 대해 대략 평행하게 측면으로부터 카트리지를 슬라이드 삽입하기 때문에, 판부의 4개의 단면 중 어느 하나는 측면을 구비하지 않는 개방 측면으로 한다.
상기 판부의 카트리지 삽입 방향에 관해서는, 카트리지의 길이 이상이면 기본적으로 되지만, 카트리지의 삽입측(이하, 전방측 또는 카트리지의 전방측이라고 칭한다)을 케이스의 측면에서 걸리게 하는 구성에서는, 케이스의 전방측에 제3 측판의 내면(이하, 전방측 측면이라고 칭한다)을 구비하는 구성이 되고, 카트리지의 세로와 전방측 측면의 두께를 감안하여 케이스의 세로를 설정하면 된다. 또한, 전방측 측면을 구비하면, 케이스의 기계적 강도가 증가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바닥판의 카트리지 삽입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이하, 폭 방향으로 칭하고, 카트리지의 폭 방향의 길이를 카트리지의 폭으로 칭하고, 케이스의 가로 방향의 길이는 케이스의 폭으로 칭한다)에 관해서는, 카트리지의 폭과 바닥판의 양단면에서 세워 설치한 한쌍의 측판 내면의 공간 거리를 기본으로 하고, 상기 한쌍의 측면의 내측에 카트리지의 폭을 삽입할 수 있으면 된다. 단, 양측면 각각에서 세워 설치하는 리브의 세움 거리는, 카트리지의 윗쪽 절반부와 아래쪽 절반부와의 거리 등의 형상도 감안하여 결정된다.
또한, 바닥판에 대해 수직 방향의 케이스의 길이(이하, 케이스의 두께로 칭한다)는, 상술한 바와 같이 케이스의 한쌍의 측면이 카트리지의 측벽에 걸어맞춤하여 지지 수용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기본적으로는 카트리지의 두께와 바닥판의 판 두께의 거리 이하로 되지만, 예를 들면 카트리지에 홈부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윗쪽 절반부 또는 아래쪽 절반부의 주면(主面)으로부터 상기 홈부까지의 두께로 대응할 수 있으므로, 케이스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케이스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바닥판에 대향하는 면(이하, 대향면으로 칭한다)은 공동(空洞)을 전제로 하고 있는데, 상기 대향면을 덮는 덮개체를 구비해도 된다. 덮개체를 구비하면, 카트리지를 케이스 내에 수용하여 카트리지를 가지고 걷는 경우 등에, 먼지 등의 이물에 카트리지가 접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한데, 덮개체의 두께만큼 케이스의 박형화가 곤란하다.
다음에, 본 발명의 케이스에 수용하는 카트리지와, 케이스를 구성하는 요소와의 관계에 관해서 설명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케이스에 대해 카트리지를 삽입 수용하는 요인은, 카트리지의 측벽과 케이스의 측면 및/또는 측면에 세워 설치한 리브나 돌기부의 걸어맞춤 및 상호 거리이다. 거리 관계에 대해서는 전술한 대로이므로, 이하 걸어맞춤 관계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광학적으로 정보 신호를 기록 재생하는 디스크를 수납하는 카트리지를 기록 재생 장치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상기 카트리지를 트레이로 칭해지는 받침대에 얹는다. 트레이 상에 카트리지를 정확하게 얹기 위해, 카트리지에 구비하는 위치 결정 구멍과 트레이의 볼록부를 걸어맞추게 하는 것만으로 멈추지 않고, 카트리지의 전방측의 양 측면에는 전방측 측면에서 연결되는 가이드 오목부를 설치하여 상기 가이드 오목부에 트레이의 발톱부(爪)를 걸어맞추게 하는 구성을 채용한다. 본 발명의 케이스에 있어서의 제1 리브 및 제2 리브는, 카트리지를 케이스에 수용을 끝내기 직전에 상기 가이드 오목부에 걸어맞추게 한다. 이와 같이 제1 리브 및 제2 리브를 구비함으로써, 케이스에 수용한 후의 카트리지의 위치 결정을 확정할 수 있다.
또한, 제1 돌기부 정상면과 제2 리브를 세워 설치한 측면(이하, 제2 측면으로 칭한다)과의 거리가 수용하는 카트리지의 폭에 대략 동일한 구성에 의해, 제1 돌기부 정상면이 카트리지의 측단벽과 걸어맞추게 함으로써, 제2 측면과 제1 돌기부와의 사이에서 카트리지가 위치 결정할 수 있고, 카트리지를 케이스에 삽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카트리지가 예를 들면 셔터측 측벽과 같은 홈을 구비하지 않는 평면(가이드 오목부는 제외한다) 상태의 양 측벽을 구비하는 구성이거나, 한쪽 측벽만을 구비한 구성이라도, 가이드 오목부를 제외하고 홈부를 구비하지 않는 평면상태의 측벽(이하, 평면 측벽이라고 칭한다)을 제1 돌기부와 걸어맞추게 하면, 카트리지를 케이스에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수용하는 카트리지의 한쪽 측벽에 셔터측 측벽을 구비하고 다른쪽은 평면 측벽을 구비하는 카트리지에서, 제1 돌기부 및/또는 제2 돌기부와 래크부를 제1 리브를 세워 설치하는 측면(이하, 제1 측면이라고 칭한다)을 구비한 케이스에 수용하면, 삽입하는 카트리지의 표리에 따라 셔터를 폐색 상태로 수용하는 것과 셔터를 개방 상태로 수용하는 것을 임의로 선택할 수 있고, 셔터 폐색 상태를 선택하면 통상의 카트리지 수납 케이스가 되고, 셔터 개방을 선택하면 예를 들면 카트리지에 수납한 디스크의 클리닝, 또는 취출 가능한 카트리지의 경우 셔터가 개방함으로써 노출된 디스크의 중심 구멍 내주를 디스크를 꺼내는 방향으로 손가락으로 눌러 디스크 취출의 보조가 가능한 구성 등을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간단하게 달성할 수 있다.
특히, 셔터측 측벽을 구비한 카트리지로서, 상하 절반부 중 어느 쪽을 걸어맞춤하는 링 부재를 구비하는 제1 구멍, 기어부 및 제2 구멍에, 제1 측벽에 구비한 제1 돌기부, 래크부 및 제2 돌기부가 각각 걸어맞춤함으로써 셔터를 회전에 의해 개방·폐색 동작을 행하는 카트리지와 케이스의 조합인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발휘한다. 즉, 셔터측 측벽을 제2 측면에 걸어맞추게 하는 구성에서는, 카트리지 삽입 개시 시점에서, 대략 카트리지의 폭의 거리의 셔터측 측벽이 제2 측면과 면상태에서 슬라이드하여 평면측 벽이 제2 돌기부에 접하는데, 제2 측면은 면 상태인데 대해 제2 돌기부이므로 제2 돌기부와의 걸어맞춤은 거의 점상태로 되고, 카트리지의 폭 방향을 규제하면서 카트리지의 삽입에 있어서의 카트리지 폭 방향에 대한 자유도도 확보할 수 있어, 삽입 개시 동작에 불필요한 힘이나 신경씀 등을 억제할 수 있고, 카트리지의 삽입 도중에는 래크부가 평면 측벽을 가이드하면서 삽입 동작을 진행시키고, 제1 돌기부에 평면 측벽이 걸어맞춤함으로써 카트리지와 케이스의 폭 방향을 규정하고, 그대로 삽입 종료 시점의 제1 리브 및 제2 리브에 가이드 오목부가 걸어맞춤한다.
반대로 셔터측 측벽을 제1 측면에 걸리게 하는 구성에서는, 셔터측 측벽의 홈에 제2 돌기부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2 돌기부가 카트리지 삽입 개시 시점에서의 가이드로 되고, 다음에 래크부 및 제1 돌기부에 링 부재에 구비한 기어부 및 제1 구멍 등이 걸어맞춤함으로써 셔터를 개방하면서 카트리지의 삽입도 진행되고, 삽입 종료 시점에서는 상술과 같이 가이드 오목부에 제1 및 제2 리브가 걸어맞춤한다.
또한, 이 구성에서 제2 측면에 제3 리브를 구비하면, 카트리지 삽입 개시 시점에서 평면 측벽과 제3 리브가 슬라이드 걸어맞춤하는 동시에, 제2 돌기부가 셔터측 측벽의 홈의 바닥에 걸어맞춤하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돌기부의 형상에 의해 카트리지 삽입 개시 시점에서의 저항은 저감하면서 카트리지 삽입 개시에 있어서의 가이드도 확실히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카트리지의 전방측 측벽에서 케이스에 삽입하는 구성을 채용하는 한, 셔터 폐색 상태거나 셔터 개방 상태라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명에서 명확한 바와 같이, 제2 리브의 세움 거리는 제1 돌기의 세움 거리에 거의 동일하고, 제3 리브의 세움 거리는 래크부의 세움 거리에 대략 동일하고, 제1 리브의 세움 거리는 케이스에 대한 카트리지의 수용면에 따라 가이드 오목부에 걸어맞추게 하기 위한 제2 리브, 제1 돌기부, 래크부, 제2 돌기부 및 제3 리브중 어느 세움 거리보다도 길게 구성한다.
이상 설명한 구성 중, 본 발명의 케이스 및 수용하는 카트리지로 바람직한 구성을 예로 든 일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a∼도 1d는, 본 실시의 형태에 관한 케이스(1)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a에 도시하는 케이스(1)에는, 바닥판(2)을 통해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변에서 각각 세워 설치하는 제1 측판(3), 제2 측판(4)이 구비되고, 바닥판(2)에 대향하는 제1 측판(3)의 정상면에서 제1 리브(7)가 제1 측판(3)의 내면에서 거리(D1)의 높이로 세워 설치되고, 바닥판(2)에 대향하는 제2 측판(4)의 정상면에서 제2 리브(8)가, 거리(D1)보다도 짧은 거리(D2)의 높이로 세워 설치되고, 제1 리브(7)와 제2 리브(8)는 대략 대향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또한, 삽입구(6)측에는, 바닥판(2)의 대향하는 제1 측판(3)의 정상면에 제1 돌기부(9)가 거리(D3)의 높이로 제1 측판(3)의 내면에서 세워 설치되어 있다. 도 1b에 도시하는 케이스는, 기본적으로는 도 1a와 동일한 제1 리브(7), 제1 돌기부(9) 및 제2 리브(8)를 구비하고 있는데, 바닥판(2)을 통해 삽입구(6)에 대향하는 바닥판(2)의 변에서, 제1 측판(3) 및 제2 측판(4)과 동일 세움 높이로 바닥판(2)으로부터 세워 설치하는 제3 측판(5)을 구비하고 있다.
도 1c에 도시하는 케이스는, 도 1a에 도시하는 케이스와 마찬가지로 바닥판(2)을 통해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변에서 각각 세워 설치하는 제1 측판(3) 및 제2 측판(4)을 구비하는데, 제1 리브(7), 제1 돌기부(9) 및 제2 리브(8) 각각의 바닥판(2)으로부터의 높이가, 제1 측판(3) 및 제2 측판(4)의 대략 중간 위치인 점에서 상이하다. 또한, 도 1d에 도시하는 케이스는, 도 1b에 도시하는 케이스와 마찬가지로 바닥판(2)을 통해 삽입구(6)에 대향하는 바닥판(2)의 변에서, 제1 측판(3) 및 제2 측판(4)과 동일 세움 높이로 바닥판(2)으로부터 세워 설치하는 제3 측판(5)을 구비하는데, 제1 리브(7), 제1 돌기부(9) 및 제2 리브(8) 각각의 바닥판(2)으로부터의 높이가, 제1 측판(3) 및 제2 측판(4)의 대략 중간 위치인 점에서 상이하다.
본 발명의 케이스의 기본 구성은, 이 도 1a∼도 1d에 도시한 구성을 채용하는데, 제1 측판(3) 및 제2 측판(4)과 바닥판(2)의 기계적 강도의 점에서는 제3 측판(5)을 구비하는 구성 쪽이 우수하다. 또한, 제3 측판(5)을 구비하는 구성의 도 1b와 도 1d를 비교하면, 케이스(1)의 제1 측판(3)과 제2 측판(4)의 바닥판(2)으로부터의 세움 높이로 수납물의 높이를 흡수할 수 있는 구성이, 일반적인 케이스로서 바람직한 경우가 많다. 이 두 가지 점에서, 이하 도 1d에 도시한 케이스(1)를 예로 채용하여, 수납물을 카트리지로서 설명한다.
도 2는 본 실시의 형태에 관한 케이스(1)의 구성을 도시하는 대향면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케이스(1)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을 한 바닥판(2)을 구비하고 있다. 바닥판(2)의 한 변에는, 측판(3)이 세워 설치되어 있다. 바닥판(2)의 상기 한 변에 대향하는 한 변에는, 측판(4)이 측판(3)과 대향하도록 세워 설치되어 있다. 바닥판(2)의 상기 한 변에 수직인 한 변에는, 측판(5)이 측판(3) 및 측판(4)과 접속하도록 세워 설치되어 있다.
바닥판(2)의 측판(5)이 설치된 한 변과 반대측의 한 변측에는, 후술하는 카트리지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구(6)가, 측판(3) 및 (4)과 바닥판(2)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측판(3)의 내면에는, 측판(3)의 내면에 평행한 정상면을 갖는 리브(7)가, 측판(3)의 내면과 정상면과의 사이의 세움 거리(D1)로 구비되어 있다. 측판(4)의 내면에는, 측판(4)의 내면에 평행한 정상면을 갖는 리브(8)가, 세움 거리(D1)보다도 짧은 세움 거리(D2)로 리브(7)와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리브(7)보다도 삽입구(6)측의 측판(3)의 내면에는, 측판(3)의 내면에 평행한 정상면을 갖는 돌기부(9)가 세움 거리(D1)보다도 짧은 세움 거리(D3)로 형성되어 있다.
리브(8)의 정상면과 측판(3)의 내면과의 사이의 공간 거리(D4)와, 돌기부(9)의 정상면과 측판(4)의 내면과의 사이의 공간 거리(D5)는 모두 도 21에 도시한 카트리지(15A)가 삽입구(6)를 통과해 삽입되는 삽입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따른 상기 카트리지(15A)의 폭과 대략 동일하게 되어 있다.
카트리지(15A)는, 본체에 예를 들면 상 변화형 라이트 원스(write once)로 칭해지는 1회 기록만 가능한 디스크, 또는 광 자기 디스크 등이 수용되어 있다. 본체는, 슬라이드 가능하게 형성된 셔터(22A)를 가지고 있다. 셔터(22A)는 개방 범위(29A)를 슬라이드함으로써 도시하지 않은 개구 창부를 개방할 수 있고, 도시하지 않은 디스크가 노출된다. 본체는,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측벽(20A) 및 (21A)을 갖고 있다. 측벽(20A)에는 전방벽측에 홈(20B)이 부분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측벽(21A)에는 전방벽측에 홈(21B)이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카트리지(15A)의 셔터(22A)와 걸어맞춤하는 면에 대향하는 대향면의 후방벽(15B) 쪽에 슬라이드함으로써, 셔터(22A)를 개방하는 셔터 걸어맞춤부(22B)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케이스(1)에 카트리지(15A)를 삽입하기 위해서는, 삽입구(6)로부터 측판(3) 및 (4)에 카트리지의 폭 방향의 측벽(20A) 및 (21A)을 걸어맞추게 해 측판(5)을 향해 삽입한다. 상술한 치수 관계로부터, 케이스(1)에 카트리지(15A)의 삽입을 개시하는 시점에서, 측면(3)과 측면(4)의 간극에 카트리지(15A)를 삽입하기 때문에, 카트리지(15A)는 바닥판(2)에는 슬라이드 걸어맞춤하지만, 측판(3) 및 (4)에 대해서는 삽입 방향을 어느 한쪽으로 기울이지 않는 한 측벽(20A) 및 (21A)이 측판(3) 및 (4)에 동시에 걸어맞춤하는 경우는 없다. 따라서, 삽입 개시 시점에서는 케이스(1)의 측판(3) 및 (4)과 카트리지(15A)의 폭 방향의 측벽(20A) 및 (21A)와의 사이에는 간극이 있다.
카트리지(15A)의 삽입을 진행시키고, 측판(3)으로부터 세워 설치되는 돌기부(9)에 카트리지(15A)의 측벽(20A)이 도달하면, 돌기부(9)와 측판(4)과의 사이의 거리(D5)가 대략 카트리지(15A)의 폭이므로, 측판(3)에 대향하는 카트리지(15A)의 측벽(20A)과, 측판(4)에 대향하는 카트리지(15A)의 측벽(21A)이 측판(3) 및 측판(4)에 동시에 걸어맞춤하게 된다. 측판(4)과 카트리지(15A)의 측벽(21A)의 걸어맞춤은 면 상태인데, 돌기부(9)와 카트리지(15A)의 측벽(20A)과의 걸어맞춤은 점 상태에 가깝기 때문에, 걸어맞춤하는 점을 중심으로 하여 카트리지(15A)의 삽입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데, 도시한 바와 같이 돌기부(9)는 측판(3)의 세로 방향에 따른 대략 중앙부에 세워 설치되어 있으므로, 케이스(1) 내에 삽입되어 있는 카트리지(15A)의 부분에서 상기 회전에 대한 자유도가 저감되고, 카트리지(15A)의 측벽(21A)과 측판(4)이 슬라이드 걸어맞춤할 수 있도록 케이스(1) 내에서의 카트리지(15A)는 폭 방향에 따라 위치 결정할 수 있다. 카트리지(15A)의 측벽(21A)과 측판(4)이 슬라이드 걸어맞춤하면서 삽입 동작이 진행되고, 돌기부(9)가 셔터 걸어맞춤부(22B)에 걸어맞춤하고, 카트리지(15A)의 케이스(1)에의 삽입 동작에 따라 셔터 걸어맞춤부(22B)가 후방벽(15B)쪽에 슬라이드하고, 셔터(22A)가 셔터 개방 범위(29A)로 이동함으로써, 카트리지(15A)의 개구 창부가 개방된다. 또한, 삽입 종료 직전에 카트리지(15A)의 가이드 오목부(20B) 및 (21B)에 제1 리브 및 제2 리브(8)가 각각 걸어맞춤하여, 카트리지(15A)의 수용이 완료된다. 이 수용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카트리지(15A)의 셔터(22A)는 개방되어 카트리지(15A)가 수납하는 디스크의 일부가 개구 창부에서 노출된 상태이므로, 예를 들면 디스크에 부착된 먼지나 지문 등의 이물을 제거하는 디스크 클리닝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을 갖는 케이스(1)에서는, 카트리지(15A)의 측벽(20A) 및 (21A) 중 적어도 한쪽이 평면 측벽이면, 상기 평면 측벽(본 실시 형태에서는 21B)을 측면 3측으로서 삽입함으로써 상술과 완전히 동일한 삽입 동작을 실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셔터 걸어맞춤부(22B)를 갖는 셔터측 측벽에 측벽의 길이 전체에 걸쳐 단차를 갖는 전체 길이 단차홈을 한쪽 측벽에 구비하고, 다른쪽 측벽에는 셔터 걸어맞춤부(22b)를 구비하지 않은 전체 길이 단차홈을 구비하는 카트리지에서는, 돌기부(9)가 전체 길이 단차홈에 매몰되지 않도록 예를 들면 돌기부(9)의 세움 위치를 측판(3)의 두께 방향으로 기울이는 등으로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판(2)에서 측판(3) 및 (4)의 세움 위치 근방에 단부(10) 및 (11)을 구비하면, 리브(7) 및/또는 돌기부(9)와 단부(10)와의 사이, 및 리브(8)와 단부(11)와의 사이에서 카트리지 측벽을 걸어 고정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면 수용 후의 카트리지가 케이스(1)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동시에, 바닥판(2)에 걸어맞춤하는 카트리지의 윗쪽 절반부 또는 아래쪽 절반부 중 어느 쪽이 바닥판(2) 전면에 대해 면 상태로 슬라이드하는 마찰력도 저감시킬 수 있다.
도 22a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케이스의 덮개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덮개체(51)는, 케이스(1)의 전체를 덮도록, 케이스(1)를 향해 개구하는 대략 중공(中空) 직방체 형상을 하고 있다. 덮개체(51)는, 케이스(1)와는 별체로 형성되어 있다. 도 22b는 본 실시의 형태에 관한 케이스의 다른 덮개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케이스(1)에 측판(5)이 구비되는 이외는, 도 22a에 도시한 구성과 동일하다.
도 22c는 본 실시의 형태에 관한 케이스의 다른 덮개체(51C)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덮개체(51C)는, 측판(4)의 정상면에 회전축을 구비한 힌지(4A)의 둘레에 케이스 전체를 덮도록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도 22d는, 본 실시의 형태에 관한 케이스의 다른 덮개체(51D)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덮개체(51D)는 힌지(5D)를 바닥판(2), 측판(3) 및 측판(4)으로 둘러싸인 범위에 맞추어, 케이스 전체를 덮도록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도 22e는, 본 실시의 형태에 관한 케이스의 다른 덮개체(51E)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덮개체(51E)는, 리브(7) 및 리브(8)와 반대측의 삽입구측 바닥판(2)의 일단의 둘레에 구비하는 회전측을 설치한 힌지(6E)로 회전시킴으로써 판부(6D)로 막고, 힌지(6F) 및 힌지(5F)로 회전시킴으로써 판부(5D)에서 리브(7) 및 리브(8)를 구비하는 측을 막음으로써, 케이스 전체를 덮도록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도 22f는 본 실시의 형태에 관한 케이스의 다른 덮개체(51E)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덮개체(51E)는, 리브(7) 및 리브(8)측의 바닥판(2)의 일단의 둘레에 구비하는 회전축을 설치한 힌지(5E)로 회전시킴으로써 판부(5D)로 막고, 힌지(5F) 및 힌지(6F)로 회전시킴으로써 리브(7) 및 리브(8)와 반대측의 삽입구를 막고, 케이스 전체를 덮도록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도 22g는 본 실시의 형태에 관한 케이스의 다른 덮개체(51G)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덮개체(51G)는, 측판(5)과 반대측의 삽입구측 바닥판(2)의 일단에 구비하는 회전축을 갖는 힌지(6E)로 회전시킴으로써 판부(6D)로 삽입구를 막고, 힌지(6F)로 회전시킴으로써 케이스 전체를 덮도록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도 22h는 본 실시의 형태에 관한 케이스의 다른 덮개체(51H)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덮개체(51H)는 측판(5)의 둘레에 케이스 전체를 덮도록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도 22c∼도 22h에 도시하는 덮개체는, 어느 것이나 덮개체의 회전축을 힌지로 구비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구성이 간단하게 된다는 장점이 있고, 삽입 동작을 감안하면, 도 22c에 도시하는 구성에서는 덮개체가 삽입 동작을 방해하게 되는데, 도 22d∼도 22h에 도시하는 다른 구성은 어느 것이나 삽입 동작에 있어서 덮개체가 방해가 되지 않는다. 도 22d에 도시하는 구성에서는 케이스 자체가 도 22a 및 도 22b에 도시하는 구성으로 대형화된다. 도 22e 및 도 22f에 도시하는 구성은 삽입 동작에 방해는 되지 않지만, 제1 측판(3) 및 제2 측판(4)의 기계적 강도가 떨어진다. 따라서, 도 22g에 도시하는 구성이 가장 바람직한데, 어떠한 구성으로 할지는 기호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제1 리브(7), 돌기부(9), 제2 리브(8)는 측판의 높이 내의 구성인데, 도 22a 또는 도 22b에 도시하는 구성과 같이 측판의 정상부에 구비해도 된다.
도 3은 본 실시의 형태에 관한 다른 케이스(1A)의 구성을 도시하는 대향면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1d 및 도 2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요소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은 원칙적으로 할애한다.
도 3에서 새롭게 덧붙인 요소는, 돌기부(12), 래크(13) 및 리브(14)이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브(7) 및 돌기부(9)를 세워 설치한 측판(3)에는, 돌기부(9)보다도 삽입구(6)측에 돌기부(12)를 구비하고, 돌기부(9)와 돌기부(12)와의 사이에 소정의 피치를 갖는 래크(13)를 구비하고 있다. 리브(14)는 리브(8)를 세워 설치한 측판(4)의 삽입구(6)측으로서, 돌기부(12)가 측판(4)에 대향하는 위치보다도 리브(8)측에 세워 설치시킨다.
또한, 돌기부(12)의 세움 거리는 돌기부(9)의 세움 거리(D3)와 동일하고, 래크(13)의 정상(頂上)의 세움 거리(D7)는 돌기부(9)의 세움 거리(D3)(즉, 돌기부(12)의 세움 거리(D3)도 동일)보다도 짧고, 리브(14)의 세움 거리(D8)는 리브(8)의 세움 거리(D2)보다도 짧다.
리브(7), 돌기부(9), 래크(13) 및 돌기부(12) 각각을 세워 설치하는 측판(3)에 관한 위치 관계를, 측판(3)측에서 본 측면도를 도 4에 도시하고, 리브(8) 및 리브(14) 각각을 세워 설치하는 측판(4)에 관한 위치 관계를 도 5에 도시하고, 삽입구(6)로부터 본 리브(7), 돌기부(12)(돌기부(9) 및 래크(13)는 돌기부(12)의 배면에서 겹쳐 있다), 리브(8) 및 리브(14)의 측판(3) 및 측판(4)에 대한 위치 관계를 도 6에 도시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브(7), 돌기부(9), 래크(13), 돌기부(12), 리브(8) 및 리브(14)는 각각 2단으로 구성되는 동시에, 각각의 두께는 대략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브(7)의 하면과 리브(8)의 하면은 바닥판(2)으로부터의 거리가 대략 동일하고, 돌기부(12)(돌기부(9), 래크(13))의 하면과 돌기부(14)의 하면은 바닥판(2)으로부터의 거리가 대략 동일하다. 또한, 단부(10) 및 (11)의 면과 리브(7) 및 리브(8)의 하면과의 사이에 카트리지의 가이드 오목부를 형성하는 돌출부가 끼워맞춰짐으로써, 카트리지를 케이스(1)에 걸어 고정시킨다.
다음에, 본 실시의 형태에서 이용한 카트리지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 및 8은 카트리지(15)의 윗쪽 절반부(16)와 셔터(22)만을 빼낸 중요부 평면도이다. 도 7 및 도 8에서, 카트리지(15)는, 카트리지(15)를 기록 재생 장치 및 케이스(1)에 삽입하는 방향을 나타내는 카트리지 삽입 방향 지시부(17)와, 카트리지의 측벽을 형성하는 1개의 카트리지를 삽입하는 방향의 전방측 측벽(18)과, 전방측 측벽(18)의 반대측 측벽의 후방측 측벽(19)과, 카트리지(15) 측벽내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측벽(20) 및 (21)을 구비하고 있다.
측벽(20)은, 셔터(22)를 개방·폐색 동작을 일으키는 셔터 걸어맞춤부를 전체 길이 단차홈 내에 수납하는 셔터측 측벽이고, 측벽(21)은, 전방측 측벽(18)으로부터 연속 접하는 가이드 오목부를 구비한 부분 단차홈 측벽이다.
카트리지(15)에는, 셔터(22)에 걸어맞춤하여 셔터(22)의 개방·폐색을 회전에 의해 제어하는 링 부재(23)가 형성되어 있다. 셔터(22)와 링 부재(23)는 후술의 아래쪽 절반부(28)에 걸어맞춤한다. 카트리지(15)는, 셔터(22)가 폐색 상태일 때에, 후술하는 디스크(40)를 가압 지지하는 디스크 가압부(24)를 갖고 있다. 디스크 가압부(24)는, 셔터(22)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카트리지(15)에 수납한 디스크를 꺼내기 위해서, 도어(25)를 윗쪽 절반부(16)의 후측 측벽 근방에 구비하고, 상기 도어(25)를 회피한 이력(履歷)을 지시하는 이력 지시부(26)와 이력 지시부(26)를 제거한 후, 도어(25)를 회전에 의해 회피하는 도어 회전축(26)은 아래쪽 절반부에 구비한다.
도 7은 셔터(22)가 폐색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8은 셔터(22)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디스크 가압부(24)는 셔터(22)의 개방 동작에 따라 윗쪽 절반부(16)와 아래쪽 절반부(28)와의 사이에 들어가고, 셔터(22)가 개방 상태일 때는 디스크(40)를 뽑아내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9는 도 7에 도시하는 상태를 아래쪽 절반부(28)측에서 본 평면도이고, 아래쪽 절반부(28)에는 디스크(40)의 일부를 노출하는 개구 창부(29)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카트리지(15)를 케이스(1)에 수용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10 및 도 11은 윗쪽 절반부(16)를 바닥판(2)에 대향시킨 상태에서 카트리지(15)를 케이스(1A)에 수용하는 모양을 도시한다.
카트리지(15)를 케이스(1A)에 수용하기 시작하면,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1A)의 측판(3)에 형성된 돌기부(12)가 카트리지(15)의 부분 단차홈 측벽(21)에 접해 걸어맞춤하고, 측판(4)에 설치된 리브(14)는 전체 길이 단차홈에 들어가기 때문에 케이스(1A)의 측판(4)과 카트리지(15)의 셔터측 측벽(20)이 면 상태로 슬라이드하여 걸어맞춤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돌기부(12)의 정상과 측판(4)과의 사이의 공간 거리(D5)는, 카트리지(15)의 폭과 대략 같으므로 거의 수용 개시 시점에서 카트리지(15)와 케이스(1)가 폭 방향에 따라 위치 결정된다. 돌기부(12)와 부분 단차홈 측벽(21)과의 걸어맞춤은 거의 점 상태이므로, 카트리지(15)를 케이스(1A)에 수용 개시하는 시점에서는 상기 점 상태의 걸어맞춤을 중심으로 하여 삽입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수용 개시 시점에서 카트리지(15)의 삽입 방향의 수정이 가능하다.
또한, 리브(14)가 전체 길이 단차홈에 매몰되어 있으므로, 래크(13)와 부분 단차홈 측벽(21)과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된다. 이 때문에, 부분 단차홈 측벽(21)이 슬라이드하여 걸어맞춤함으로써 래크(13)의 정상을 손상시키지 않는다.
도 11은 카트리지(15)를 케이스(1)에 수용을 끝낸 상태를 도시하고, 돌기부(12)와 부분 단차홈 측벽(21)과의 접촉 걸어맞춤이 해제되지만 돌기부(9)가 부분 단차홈 측벽(21)과 접해 걸어맞춤하고 있다.
이와 같이, 윗쪽 절반부(16)와 바닥판(2)을 대향시킨 상태에서 카트리지(15)를 수용할 때는, 수용 개시부터 수용 종료까지 돌기부에 의한 접속 걸어맞춤과 면 상태 걸어맞춤으로 카트리지(15)의 폭을 규제하는 구성이므로, 삽입 동작에 있어 카트리지(1)가 폭 방향에 따라 흔들림으로써 쓸데없는 저항이 생겨, 카트리지(15) 및/또는 케이스(1A)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1)를 케이스(1A)에 수용을 끝낸 상태에서는, 리브(7) 및 리브(8)가 각각 도시하지 않은 가이드 오목부에 걸어맞춤함으로써, 전방측 측판(5)과 전방측 측벽(18)의 삽입 위치를 규정할 수 있는 동시에, 부분 단차홈 측벽(21)과 돌기부(9)의 접속 걸어맞춤 뿐만 아니라 리브(7)가 가이드 오목부에 걸어맞춤하여, 수용 상태에 있어서의 카트리지(15)의 부분 단차홈 측벽(21)측이 상하 진동하여 바닥판(2)에 접하여 발생하는 소음을 억제할 수 있고, 카트리지(15) 및/또는 케이스(1A)에 손상이 생기는 것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단부(10) 및 (11)을 구비함으로써, 단부(10)와 리브(7)와의 사이, 및 단부(11)와 리브(8)와의 사이에 가이드 내부를 형성하는 차양을 끼워맞출 수 있어, 카트리지(15)를 케이스(1A)에 걸리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에, 바닥판(2)과 아래쪽 절반부(28)를 대향시킨 상태에서 카트리지(15)를 케이스(1A)에 수용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12 및 도 14는 케이스(1A)에 카트리지(15)를 수용하는 과정을 아래쪽 절반부(28)만으로 설명한 도면이고, 도 13은 후술의 개폐 걸어맞춤부(31)의 부분 확대도이다.
아래쪽 절반부(28)를 바닥판(2)에 대향시킨 상태에서는, 부분 단차홈 측벽(21)은 측판(4)에 대향하고, 셔터측 측벽(20)은 측판(3)에 대향한다. 도 12 및 도 14에서, (30)은 링 부재(23)에 형성된 제2 구멍이고, (41)은 전체 길이 단차홈부이고, (42)는 부분 단차홈부이고, (39)는 가이드 오목부(44)에 걸어맞춤함으로써 카트리지(15)의 삽입 동작을 보조하는 가이드부이다. 셔터(22)는, 링 부재(23)와 제1 측면(20)에 구비하는 돌기부(12), 래크(13), 돌기부(9) 및 리브(7)가 걸어맞춤함으로써 개구 창부(29)를 개방한다. 이들 요소의 걸어맞춤 관계를 도 13에 상세히 설명한다.
도 13에서, (32)는 개폐 걸어맞춤 부재이고, 개폐 걸어맞춤 부재(32)는, 링 부재(23)에 형성된 제1 구멍(33)과 형동(形動) 실링 부재(23)와의 회전을 억제하는 회전 억제부(34)와, 상기 회전 억제부(34)를 제1 구멍(33)에 회전부재 회전축(35)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력을 가하는 회전부재 가압부(36)와, 회전부재 회전축(35)을 중심으로 하여 제1 구멍(33)에 대한 회전 억제부재(34)의 걸어맞춤을 해제하는 걸어맞춤 해제부로 구성되어 있다.
우선,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기부(12)가 제2 구멍(30)에 걸어맞춤하면, 래크(13)의 정점이 걸어맞춤 해제부(37)(도 13)에 접함으로써, 개폐 걸어맞춤 부재(32)(도 13)가 회전 부재 가압부의 힘에 저항하여 회전 부재 회전축(35)(도 13) 둘레로 회전하고, 회전 억제부(34)와 제1 구멍(33)의 걸어맞춤을 빼내어, 링 부재(23)의 회전을 개시시킨다.
링 부재(23)의 회전 개시에 연동하여, 셔터(22)의 선단부에 설치한 3개의 디스크 가압부(24)가 회전을 개시하고, 디스크(40)의 가압을 해제한다. 그 후, 링 부재(23)에 구비한 기어(38)와 래크(13)가 맞물림(齒合)으로써, 셔터(22)의 개방 동작을 개시하고,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기부(9)가 링 부재(23)에 형성된 제1 구멍(33)에 걸어맞춤함으로써 셔터(22)의 개방 동작을 종료한다(또한, 도 14는 돌기부(9)와 제1 구멍(33)이 걸어맞춤하기 직전의 상태를 도시하고, 셔터(22)의 개방 동작을 종료한 상태가 아니다).
한편, 부분 단차홈 측벽(21)과 측판(4)은 도시한 바와 같이 간극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카트리지(15)의 폭 방향을 엄밀하게 규제할 수 없다. 그래서, 예를 들면 가이드 오목부(44)에 걸어맞춤하는 가이드부(39)를 구비함으로써, 카트리지(15)와 케이스(1A)의 폭 방향의 규제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도 14의 상태에서 카트리지(15)의 삽입을 더 진행시키면, 리브(8)가 부분 걸어맞춤 홈부(42)에 걸어맞춤하고, 리브(7)가 전체 길이 단차홈(41)과 셔터측 측벽(20)이 이루는 면에 걸어맞춤함으로써, 카트리지(15)의 수납이 완료된다. 카트리지(15)의 수납을 끝낸 상태에 있어서의 리브(7) 및 리브(8)의 작용은 도 11과 동일하고, 또한 단부(10) 및 (11)이 가져오는 작용도 동일하다.
다음에, 본 실시의 형태에 관한 카트리지(15)와 디스크(40)의 관계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5는 윗쪽 절반부(16)에 형성된 노출 구멍으로부터 디스크(40)의 거의 전면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카트리지(15)의 평면도이다.
윗쪽 절반부(16)에는, 윗쪽 절반부(16)의 후측 측벽(19)의 일부를 잘라낸 도어(25)가 설치되어 있다. 도어(25)에는, 도어(25)를 연 이력의 유무를 지시하는 이력 지시부(26)가 구비되어 있다. 윗쪽 절반부(16)에는, 도어(25)를 회전에 의해 회피하기 위한 도어 회전축(27)이 설치되어 있다.
디스크(40)의 중앙에는, 원형의 디스크 센터 홀(51)이 형성되어 있다. 셔터(22)의 중앙에는, 셔터 센터 홀 돌기부(52)가 형성되어 있다. 셔터(22)가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셔터 센터 홀 돌기부(52)는 디스크 센터 홀(51)의 안쪽에 위치한다. 셔터 센터 홀 돌기부(52)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셔터(22)의 회전에 따라 디스크 센터 홀(51)의 안쪽에서 디스크(40)의 면에 대향하는 위치로 이동한다.
셔터(22)가 폐색 상태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크 가압부(24)에서 디스크(40)를 가압하고 있으므로, 이력 지시부(26)와 아래쪽 절반부(28)의 걸어맞춤을 제거하여 도어(25)를 열어도, 디스크(40)를 꺼내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래서,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력 지시부(26)와 아래쪽 절반부(28)의 걸어맞춤을 해제하여 이력 지시 구멍(43)으로 한 후, 도어(25)를 도어 회전축(27) 둘레로 회전시키고, 셔터(22)를 개방시킴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크 가압부(24)와 디스크(40)의 걸어맞춤이 해제되기 때문에, 디스크(40)를 꺼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 관한 케이스(1A)를 적용하면, 케이스(1A)에 카트리지(15)를 수납함으로써 디스크(40)를 케이스(1A)에서 꺼낼 수 있다. 도 17∼20을 참조하여 이 동작을 설명한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한 상태로 한 카트리지(15)를 케이스(1A)에 수용하기 시작한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 도 17은 도 12에 대응한다. 도 17에 도시하는 상태에서 도 18에 도시하는 상태까지 카트리지(15)를 케이스(1A)에 삽입하면, 제1 구멍(33)(도 13)과 회전 억제부(34)(도 13)의 걸어맞춤이 해제되고, 셔터(22)의 개방에 앞서 디스크 가압부(24)의 디스크(40)에 대한 가압 걸어맞춤이 해제된다.
셔터(22)는 개방 도중의 상태에 있기 때문에, 디스크 가압부(24)는 윗쪽 절반부(16)에 의해서 은폐되어 있지만, 셔터 센터 홀 돌출부(52)는 디스크 센터 홀(51) 속에 존재하고 있다.
그 후,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15)의 케이스(1A)에 대한 삽입을 진행시키면, 래크(13)와 기어(38)가 맞물리고, 도 1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셔터(22)가 거의 개방된다. 셔터(22)가 개방된 상태로 되면, 셔터 센터 홀 돌기부(52)는 디스크(40)에 의해서 은폐된다. 도 19에 도시하는 상태에서 카트리지(15)의 삽입을 더 진행시키고, 카트리지(15)를 케이스(1A)에 수용을 끝내면, 디스크(40)의 중심 구멍에 손가락 등을 삽입하고, 디스크(40)의 중심 구멍과 디스크(40)의 도어(25)측의 외주에서 디스크(40)를 집고, 케이스(1A)에 수용된 카트리지(15)로부터 디스크(40)를 꺼낼 수 있다. 카트리지(15)를 케이스(1)에 수용을 끝낸 상태를, 바닥판(2)측에서 본 평면도를 도 20에 도시한다.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셔터(22)가 개방된 결과, 개구 창부(29)로부터 디스크(40)의 일부가 노출되어 있다.
또한, 상술의 설명에서 카트리지(15)를 케이스(1A)에 수용을 끝낸 후 디스크(40)를 꺼내는 구성을 설명했다. 예를 들면 도 19에 도시하는 카트리지(15)를 케이스(1A)에 수용을 끝내기 직전의 상태라도 카트리지(15)로부터 디스크(40)를 꺼내는 자체는 가능하지만, 디스크(40)에 지문이 부착될 우려를 감안하면, 카트리지(15)의 케이스(1A)에의 수용을 완성시키고, 케이스(1A)와 카트리지(15)가 걸린 상태에서 카트리지(15)로부터 디스크(40)를 꺼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의 설명에서는 미리 도어(25)를 개방 상태로 한 후 케이스(1A)에 삽입하는 구성을 설명했는데, 카트리지(15)를 케이스(1A)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또는 수용을 끝낸 후에 있어서 도어(25)를 개방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셔터(22)를 아래쪽 절반부(28)의 내부에 구비하는 구성의 카트리지(15)로 설명했는데, 셔터(22)는 아래쪽 절반부(28)의 외부에 구비해도 되고, 윗쪽 절반부(16)와 아래쪽 절반부(28)의 양쪽에 구비해도 된다. 또한, 셔터(22)가 회전에 의해 개방·폐색하는 구성의 카트리지(15)로 설명했는데, 전방측 측벽에 따라 슬라이드하는 셔터라도 셔터측 측벽(20)을 구비하면, 예를 들면 제1 돌기부(9)에 셔터 걸어맞춤부를 걸어맞추게 하는 등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술의 실시 형태에서는, 대향면이 공동으로 된 케이스를 예를 들어 설명했는데, 상기 공동부를 막는 덮개를 구비해도 된다. 덮개를 구비하면 예를 들면 카트리지를 케이스에 수용하여 가지고 다니는 등의 경우, 카트리지에 먼지나 손상이 생길 염려를 현저하게 저감시킬 수 있다. 덮개는 케이스와 별도로 구비해도 되지만, 덮개만 잃을 염려가 있으므로, 덮개는 케이스의 측면을 형성하는 어느 하나의 변에 걸어맞추게 하는 구성이 바람직하다. 단, 케이스만이면 측면은 카트리지의 두께 이하로 되므로, 케이스의 두께는 측면의 두께로 되지만, 덮개를 구비하면 상기 덮개의 두께분만큼 케이스의 두께가 증가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의 형태에 관한 케이스에 의하면, 카트리지 또는 셔터의 형상에 관계없이 수용할 수 있고, 또한 종래 구성에 비해 박형화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한 형태를 채용함으로써, 셔터를 폐색 상태로 수용하는 통상의 수용 형태와, 셔터를 개방 상태로 수용하는 형태를 사용자가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동시에, 디스크 클리닝 키트를 바닥판에 부착함으로써 카트리지에 수납한 디스크를 클리닝할 수 있고, 또는 디스크를 카트리지로부터 꺼낼 때는 카트리지를 안정된 상태로 한 다음에 꺼낼 수 있으므로, 디스크에 손상이나 지문이 묻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기록 보증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카트리지에 수납한 디스크에 대해 대략 수직인 방향에 따른 두께를 얇게 할 수 있고, 또한 카트리지에 수납한 디스크에 먼지 등의 이물이 부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케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0)

  1.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을 형성하는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변에서 각각 세워 설치된 제1 측판 및 제2 측판을 구비하고, 상기 한쌍의 변에 직교하는 어느 한 쪽 변측을 삽입구로 하여, 다른 쪽 변측을 향해 수납물을 삽입하여 수용하는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제1 측판과 상기 제2 측판이 대면하는 상기 제1 측판의 내면에는, 상기 제1 측판의 내면에 평행한 정상면을 갖는 제1 리브가, 상기 제1 측판의 내면과 상기 정상면과의 사이의 세움 거리(D1)로 형성되고,
    상기 제2측판과 상기 제1 측판이 대면하는 제2 측판의 내면에는, 상기 제2 측판의 내면에 평행한 정상면을 갖는 제2 리브가, 상기 세움 거리(D1)보다도 짧은 세움 거리(D2)로, 상기 제1 리브와 대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리브보다도 상기 삽입구측의 상기 제1 측판의 내면에는, 상기 제1측판의 내면에 평행한 정상면을 갖는 제1 돌기부가 상기 세움 거리(D1)보다도 짧은 세움 거리(D3)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리브의 정상면과 상기 제1 측판의 내면과의 사이의 공간 거리(D4)와, 상기 제1 돌기부의 정상면과 상기 제2 측판의 내면과의 사이의 공간 거리(D5)는 모두, 상기 제1 측판과 상기 제2 측판의 대향 방향에서의 상기 수납물의 폭(D6)이 헐겁게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기부보다도 상기 삽입구측의 상기 제1 측판의 내면에는, 상기 제1 측판의 내면에 평행한 정상면을 갖는 제2 돌기부가 상기 세움 거리(D3)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돌기부와 상기 제2 돌기부와의 사이에서의 상기 제1 측판의 내면에는, 상기 세움 거리(D3) 이하의 세움 거리(D7)로 래크가 형성되는 케이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물은, 원반형상 정보 매체를 수납하는 간극을 두고 대향하는 윗쪽 절반부 및 아래쪽 절반부와, 상기 윗쪽 절반부 및/또는 상기 아래쪽 절반부에 상기 원반형상 정보 매체의 일부를 노출하는 개구 창부와, 상기 개구 창부를 개폐하는 셔터와, 상기 셔터와 걸어맞춤하여 상기 윗쪽 절반부 및 상기 아래쪽 절반부를 연속 설치하는 전방벽과, 상기 윗쪽 절반부 및 상기 아래쪽 절반부와 상기 전방벽 각각을 연속 설치하는 제1 측벽 및 제2 측벽과, 상기 전방벽에 대향하는 후방벽을 구비하는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벽이 상기 전방벽에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 선에서 상기 후방벽을 향해 상기 윗쪽 절반부 및 상기 아래쪽 절반부의 간극의 대략 중앙부에 상기 제2 측벽 방향으로 단차를 갖는 상기 제1 측벽의 일부에 형성된 제1 부분 단차홈과, 상기 제1 부분 단차홈에 대향하는 위치로서 상기 제2 측벽에 상기 제1 측벽 방향으로 단차가 형성된 제2 부분 단차홈을 가지고,
    상기 제1 부분 단차홈에 상기 제1 돌기부와 상기 제1 리브가 슬라이드 접하고, 상기 제2 부분 단차홈에 상기 제2 리브가 슬라이드 접함으로써, 상기 카트리지를 삽입하는 하는 케이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벽에 걸어맞춤하는 상기 윗쪽 절반부 및 상기 아래쪽 절반부의 전방 변은 원호 형상을 형성하고, 상기 셔터는 상기 원호 형상에 따라 회전함으로써 상기 개구 창부를 개폐하는 개폐 걸어맞춤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개폐 걸어맞춤 부재는, 상기 제1 측벽에서의 상기 윗쪽 절반부와 상기 아래쪽 절반부와의 대략 중앙부에 상기 제1 측벽 전체 길이에 걸쳐 상기 제2 측벽측에 단차를 갖는 전체 길이 단차홈에 구비하고, 상기 제2 돌기부가 걸어맞춤하는 제1 구멍 및 제2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제1 구멍과 상기 제2 구멍과의 사이에 상기 래크와 걸어맞춤하는 기어부를 포함하는 케이스.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을 통해 상기 삽입구에 대향하는 다른 쪽의 변에서, 상기 제1 측판 및 상기 제2 측판과 동일 높이로 세워 설치하는 제3 측판을 구비하는 케이스.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물은 상기 삽입구로 삽입하는 전방벽과, 상기 전방벽의 상기 제1 측판 및 상기 제2 측판 각각에 대향하는 제1 측벽 및 제2 측벽을 구비하는 상자 형상이고, 상기 바닥판과 평행하게 상기 제1 전방벽과 상기 전방벽과의 걸어맞춤 부분에서 연장되어 (D8)의 함몰을 갖는 제1 바닥부를 갖는 제1 부분 단차홈과, 상기 바닥판과 평행하게 상기 제2 전방벽과 상기 전방벽과의 걸어맞춤 부분에서 연장되어 (D8)의 함몰을 갖는 제2 바닥부를 갖는 제2 부분 단차홈을 구비하고,
    상기 수납물이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바닥부와 상기 제2 바닥부와의 사이의 거리(D9)가, 상기 제1 리브의 정상면과 제2 리브의 정상면이 걸어맞춤하는 구성을 구비하는 케이스.
  7. 제1항, 제2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에 대해 평행한 상기 제1 측판 중 어느 한 변, 상기 바닥판에 대해 평행한 상기 제2 측판 중 어느 한 변, 상기 삽입구를 형성하는 상기 바닥판의 변, 상기 삽입구를 형성하는 상기 바닥판의 변에 상기 바닥판을 통해 대향하는 변, 또는 상기 바닥판에 대해 평행한 제3 측판 중 어느 하나의 변을 회전축으로 하는 덮개체를 구비하는 케이스.
  8. 원반형상 정보 매체를 수납하는 간극을 두고 대향하는 윗쪽 절반부 및 아래쪽 절반부와, 상기 윗쪽 절반부 및/또는 상기 아래쪽 절반부에 상기 원반형상 정보 매체의 일부를 노출하는 개구 창부와, 상기 개구 창부를 개폐하는 셔터와, 상기 셔터에 걸어맞춤하여 상기 윗쪽 절반부 및 상기 아래쪽 절반부를 연속 설치하는 전방벽과, 상기 윗쪽 절반부 및 상기 아래쪽 절반부와 상기 전방벽 각각을 연속 설치하는 제1 측벽 및 제2 측벽과, 상기 전방벽에 대향하는 후방벽과, 상기 제1 측벽 및 상기 제2 측벽과 상기 전방벽과의 경계선에서 각각 서로 대향하는 측벽측에 단차를 갖는 홈부를 구비하는 카트리지를, 제1항에 기재된 케이스에 삽입하여 상기 카트리지의 상기 셔터를 개방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를 상기 케이스의 상기 삽입구에 삽입하는 제1 공정과,
    상기 제1 측벽에 형성한 상기 홈부에 따라 상기 제1 돌기부를 삽입하는 제2 공정과,
    상기 제1 측벽에 형성한 홈부에 따라 상기 제1 리브를 삽입하고, 또한, 상기 제2 측벽에 형성한 홈부에 따라 상기 제2 리브를 삽입하는 제3 공정과,
    상기 제2 공정과 상기 제3 공정과의 사이에서, 상기 셔터를 개폐하는 개폐 걸어맞춤부가 상기 제1 돌기부에 걸어맞춤함으로써, 상기 셔터를 개방하는 카트리지의 셔텨를 개방하는 방법.
  9. 원반형상 정보 매체를 수납하는 간극을 두고 대향하는 윗쪽 절반부 및 아래쪽 절반부와, 상기 윗쪽 절반부 및/또는 상기 아래쪽 절반부에 상기 원반형상 정보 매체의 일부를 노출하는 개구 창부와, 상기 개구 창부를 개폐하는 셔터와, 상기 셔터에 걸어맞춤하여 상기 윗쪽 절반부 및 상기 아래쪽 절반부를 연속 설치하는 전방벽과, 상기 윗쪽 절반부 및 상기 아래쪽 절반부와 상기 전방벽 각각을 연속 설치하는 제1 측벽 및 제2 측벽과, 상기 전방벽에 대향하는 후방벽과, 상기 전방벽에 걸어맞춤하는 상기 윗쪽 절반부 및 상기 아래쪽 절반부의 전방 변은 원호 형상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측벽 및 상기 제2 측벽과 상기 전방벽과의 경계선에서 각각 서로 대향하는 측벽측에 단차를 갖는 홈부와, 상기 셔터는 상기 원호 형상에 따라 회전함으로써 상기 개구 창부를 개폐시키는 상기 제1 측벽에 형성하고, 제1 구멍, 제2 구멍 및 상기 제1 구멍과 상기 제2 구멍과의 사이에 기어부를 갖는 개폐 걸어맞춤 부재를 구비하는 카트리지를, 제2항에 기재된 케이스에 상기 카트리지를 삽입하여 상기 카트리지의 셔터를 개방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를 상기 케이스의 상기 삽입구에 삽입하는 제1 공정과,
    상기 제1 측벽에 형성한 상기 홈부에 따라 상기 제2 돌기부를 삽입하고, 상기 개폐 부재에 구비하는 제1 구멍에 상기 제2 돌기부를 걸어맞추게 하는 제2 공정과,
    상기 케이스의 상기 제1 측판에 형성된 상기 래크와 상기 기어부를 걸어맞추게 해 상기 셔터를 회전시키는 제3 공정과,
    상기 제1 측판에 설치된 상기 제1 돌기부와 상기 제2 구멍을 걸어맞추게 함으로써, 상기 셔터의 개방 동작을 종료시키는 제4 공정을 포함하는 카트리지의 셔터를 개방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에는 상기 셔터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해 형성된 개폐 걸어맞춤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개폐 걸어맞춤 부재는, 상기 제1 구멍에 걸어맞춤함으로써 회전에 의한 상기 서텨의 개방 동작을 억제하는 회전 억제부와, 상기 회전 억제부와 상기 제1 구멍의 걸어맞춤을 해제하는 걸어맞춤 해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공정과 상기 제2 공정 사이에서 상기 래크가 상기 걸어맞춤 해제 부재에 접하고, 상기 회전 억제부와 상기 제1 구멍의 걸어맞춤을 해제하는 카트리지의 셔터를 개방하는 방법.
KR1020057007201A 2002-10-31 2003-10-31 케이스 KR1007543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318201 2002-10-31
JP2002318201 2002-10-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9306A true KR20050059306A (ko) 2005-06-17
KR100754314B1 KR100754314B1 (ko) 2007-08-31

Family

ID=32211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7201A KR100754314B1 (ko) 2002-10-31 2003-10-31 케이스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60102499A1 (ko)
EP (1) EP1574454A4 (ko)
JP (1) JP4009290B2 (ko)
KR (1) KR100754314B1 (ko)
CN (1) CN1329260C (ko)
TW (1) TWI278858B (ko)
WO (1) WO200403969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7008B1 (ko) * 2006-10-13 2013-04-23 파나소닉 주식회사 하우징의 결합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34274B3 (de) * 2003-07-25 2005-03-03 Carcoustics Tech Center Gmbh Schallisolierendes Verbundteil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665986B2 (en) * 1992-03-31 1996-01-25 Sony Corporation Casing for housing disc cartridge and method for packaging the casing
JPH0818631B2 (ja) * 1993-12-27 1996-02-28 昭和有機株式会社 扁平シェル収納用扁平ケ―ス
JPH08133374A (ja) * 1994-11-07 1996-05-28 Onkyo Corp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の収納ケース
JP3278343B2 (ja) * 1996-02-23 2002-04-30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収納ケース
US6081407A (en) * 1997-11-14 2000-06-27 Castlewood Systems, Inc. Cover springs for positioning a removable video disk cartridge
JP3519593B2 (ja) * 1998-02-27 2004-04-19 Tdk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及びカートリッジ用収納ケース
JP2000191075A (ja) * 1998-12-29 2000-07-11 Hitachi Maxell Ltd ディスクカ―トリッジ用収納ケ―ス
JP3718601B2 (ja) * 1999-03-01 2005-11-24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ならびにディスク用カートリッジ
JP4089140B2 (ja) * 2000-07-28 2008-05-28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7008B1 (ko) * 2006-10-13 2013-04-23 파나소닉 주식회사 하우징의 결합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278858B (en) 2007-04-11
CN1711198A (zh) 2005-12-21
EP1574454A4 (en) 2008-07-16
EP1574454A1 (en) 2005-09-14
JPWO2004039696A1 (ja) 2006-02-23
TW200415644A (en) 2004-08-16
KR100754314B1 (ko) 2007-08-31
WO2004039696A1 (ja) 2004-05-13
CN1329260C (zh) 2007-08-01
JP4009290B2 (ja) 2007-11-14
US20060102499A1 (en) 2006-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1576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a disk cartridge with pull-out type case
KR100917484B1 (ko) 기록 매체를 수납하기 위한 카트리지
KR100754314B1 (ko) 케이스
KR20040039184A (ko) 디스크를 교환 가능하게 수납하는 카트리지
US6874157B2 (en) Disk case
JPH10172227A (ja) ライトプロテクタ及び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KR100362369B1 (ko) 디스크카트리지어댑터및그구동장치
KR100261474B1 (ko) 크기가 다른 광 자기 디스크 수납용 카트리지
JP2003157650A (ja) 記録テープカートリッジ
US7360229B2 (en) Optical disc cartridge and apparatus having a disc fixing/releasing mechanism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data
JP3114636B2 (ja) ディスク装置
KR100421005B1 (ko) 디스크 카트리지
EP0740301A2 (en) Disk cartridge
KR100362366B1 (ko) 디스크수납용어댑터
KR100330027B1 (ko) 디스크카트리지아댑터
KR100608064B1 (ko) 디스크 카트리지
US7444654B2 (en) Optical disc cartridge casing providing for easy disc insertion/removal
JP3311913B2 (ja) ディスク収納マガジン
KR100289527B1 (ko) 수동형 셔터를 갖는 카트리지
KR100575623B1 (ko) 디스크카트리지
KR20050059317A (ko) 케이스
KR100620996B1 (ko) 디스크 드라이버
JP3282192B2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KR20050045207A (ko) 디스크 카트리지
KR20060126423A (ko) 디스크 카트리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