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2002A -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2002A
KR20050052002A KR1020030085697A KR20030085697A KR20050052002A KR 20050052002 A KR20050052002 A KR 20050052002A KR 1020030085697 A KR1020030085697 A KR 1020030085697A KR 20030085697 A KR20030085697 A KR 20030085697A KR 20050052002 A KR20050052002 A KR 200500520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upper electrode
ferroelectric
forming
lower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5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04693B1 (ko
Inventor
이승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30085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4693B1/ko
Publication of KR200500520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20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4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46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8/00Passive two-terminal components without a potential-jump or surface barrier for integrated circuits; Details thereof;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8/40Capacitors
    • H01L28/60Electrodes
    • H01L28/75Electrodes comprising two or more layers, e.g. comprising a barrier layer and a metal lay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10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296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performed before or after the formation of the layer
    • H01L21/02318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performed before or after the formation of the layer post-treatment
    • H01L21/02356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performed before or after the formation of the layer post-treatment treatment to change the morphology of the insulating layer, e.g. transformation of an amorphous layer into a crystalline lay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8/00Passive two-terminal components without a potential-jump or surface barrier for integrated circuits; Details thereof;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8/40Capacitors
    • H01L28/55Capacitors with a dielectric comprising a perovskite structure material
    • H01L28/57Capacitors with a dielectric comprising a perovskite structure material comprising a barrier layer to prevent diffusion of hydrogen or oxyge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53/00Ferroelectric RAM [FeRAM] devices comprising ferroelectric memory capaci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유전체막의 결정화를 위한 열처리시 스토리지노드콘택쪽으로 확산하는 산소의 침투를 억제할 수 있는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반도체 기판 상부에 층간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층간절연막을 관통하여 상기 반도체 기판의 일부에 연결되는 스토리지노드콘택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스토리지노드콘택을 포함한 상기 층간절연막의 전면에 산소확산방지막을 포함하는 하부전극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하부전극막 상에 강유전체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강유전체막의 결정화를 위한 열처리 단계, 상기 강유전체막 상에 제1상부전극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상부전극막, 강유전체막 및 상기 하부전극막을 동시에 패터닝하여 하부전극, 강유전체 및 제1상부전극의 순서로 적층된 복합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상부전극의 표면을 노출시키면서 상기 복합층을 에워싸는 고립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복합층을 포함한 상기 고립절연막 상에 제2상부전극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상부전극막을 패터닝하여 상기 제1상부전극과 연결되어 캐패시터의 상부전극을 이룰 제2상부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FERROELECTRIC RANDOM ACCESS MEMO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반도체 제조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메모리 소자에서 강유전체(Ferroelectric) 박막을 강유전체 캐패시터에 사용함으로써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소자에서 필요한 리프레쉬(Refresh)의 한계를 극복하고 대용량의 메모리를 이용할 수 있는 소자의 개발이 진행되어왔다. 이러한 강유전체 박막을 이용하는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Ferroelectric Random Access Memory; 이하 'FeRAM'이라 약칭함) 소자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Nonvolatile Memory device)의 일종으로 전원이 끊어진 상태에서도 저장 정보를 기억하는 장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동작 속도도 DRAM에 필적하여 차세대 기억소자로 각광받고 있다.
상기한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 제작시 셀면적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캐패시터의 하부전극간의 간격(spacing)을 작게 만들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하다.
따라서, 하부전극의 높이를 낮춘 상태에서 패터닝하여 식각각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하나의 마스크만을 사용하여 상부전극, 강유전체막 및 하부전극을 동시에 패터닝하는 방법이 주로 적용되었다.
또는, 하부전극만을 증착한 후 패터닝한 후 산화막 증착, 산화막의 화학적기계적연마(CMP), 강유전체막 증착, 상부전극 증착 및 산화분위기에서 열처리 등의 순서로 캐패시터를 형성한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기술에 따른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을 간략히 도시한 공정 단면도이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도체기판(11)에 활성영역을 정의하는 소자분리막(12)을 형성하고, 반도체기판(11) 상에 게이트산화막(13)과 워드라인(14)의 적층구조물을 형성하며, 워드라인(14) 양측의 반도체기판(11)에 소스/드레인영역(15a, 15b)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워드라인(14)과 소스/드레인영역(15a, 15b)을 포함하는 트랜지스터 상에 제1층간절연막(16)을 형성하고, 제1층간절연막(16)을 관통하여 일측 소스/드레인영역(15a)에 콘택되는 비트라인콘택(17)과 비트라인콘택(12)에 연결되는 비트라인(18)을 형성한다.
이어서, 비트라인(18)을 포함한 전면에 제2층간절연막(19)을 형성하고, 제2층간절연막(19)과 제1층간절연막(16)을 동시에 관통하여 타측 소스/드레인영역(15b)에 연결되는 스토리지노드콘택(20)과 배리어메탈(21)의 적층막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스토리지노드콘택(20) 및 배리어메탈(21)에 연결되는 하부전극(22)을 형성한 후, 이웃한 하부전극(22)간 격리를 위해 평탄화된 고립절연막(23)을 형성한다. 여기서, 고립절연막(23)이 하부전극(22)을 에워싸는 형태로 형성시키기 위해, 먼저 하부전극막을 증착 및 패터닝하여 하부전극(22)을 형성한 후 고립절연막(23)을 증착하고 하부전극(22) 표면이 드러날때까지 화학적기계적연마(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CMP)를 통해 고립절연막(23)을 평탄화시킨다.
다음으로, 고립절연막(23)과 하부전극(22) 상에 강유전체막(24)과 상부전극으로 사용될 상부전극막(25)을 형성한 후, 산화분위기에서의 열처리를 진행하여 강유전체막(24)을 결정화시킨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전극막(25)과 강유전체막(24)을 순차적으로 패터닝하여 캐패시터의 강유전체(24a)와 상부전극(25a)을 완성한다.
상술한 종래기술에서는 하부전극(22)이 미리 패터닝되어 고립절연막(23)에 의해 에워싸이는 형태를 가지므로써 후속 강유전체막(24)의 증착공정시 하부막의 평탄화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은 상부전극으로 사용되는 상부전극막(25) 증착후에 진행하는 산화분위기에서의 열처리시 산소(O2)가 강유전체막(24)을 통과하여 제2층간절연막(19)과 고립절연막(23)간 계면, 그리고 하부전극(22)과 제2층간절연막(19)간 계면을 통해 확산하는 문제가 있다.
이처럼 하부전극(22)을 미리 패터닝한 구조를 갖는 캐패시터에서 후속 열처리시 확산하는 산소의 침투는 강유전체 메모리소자가 고밀도화될수록 하부전극의 폭을 작게 패터닝해야 하므로 더욱 심각하게 발생한다. 즉, 하부전극의 면적이 감소하면 그만큼 산소가 침투하는 하부전극과 층간절연막간 계면 또는 하부전극과 고립절연막간 계면이 짧아지므로 스토리지노드콘택(20)이 산화되는 것을 피할 수 없다.
이와 같이, 스토리지노드콘택(20)이 산화되면 스토리지노드콘택(20)의 콘택저항이 높아져 강유전체막의 특성을 확보하기 위해 필요한 산소분위기에서의 열처리 온도에 제한을 받게 된다.
결국, 종래 기술은 산소의 침투를 효과적으로 억제하지 못하므로 스토리지노드콘택의 특성확보에 많은 문제점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해 제안된 것으로, 하부전극을 미리 패터닝한 구조를 갖는 캐패시터에서 후속 강유전체막의 결정화를 위한 열처리시 스토리지노드콘택쪽으로 확산하는 산소의 침투를 억제할 수 있는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는 반도체 기판, 상기 반도체 기판 상부에 적층된 층간절연막, 상기 층간절연막을 관통하여 상기 반도체 기판의 일부에 연결되는 스토리지노드콘택, 상기 스토리지노드콘택에 연결되면서 상기 스토리지노드콘택과 접하는 부분에 산소확산방지막을 포함하는 하부전극, 상기 하부전극 상에 적층된 강유전체와 제1상부전극, 상기 하부전극, 강유전체 및 상기 제1상부전극의 적층을 에워싸는 고립절연막, 및 상기 제1상부전극과 연결되면서 상기 고립절연막 상에 형성된 제2상부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은 반도체 기판 상부에 층간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층간절연막을 관통하여 상기 반도체 기판의 일부에 연결되는 스토리지노드콘택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스토리지노드콘택을 포함한 상기 층간절연막의 전면에 산소확산방지막을 포함하는 하부전극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하부전극막 상에 강유전체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강유전체막의 결정화를 위한 열처리 단계, 상기 강유전체막 상에 제1상부전극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상부전극막, 강유전체막 및 상기 하부전극막을 동시에 패터닝하여 하부전극, 강유전체 및 제1상부전극의 순서로 적층된 복합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상부전극의 표면을 노출시키면서 상기 복합층을 에워싸는 고립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복합층을 포함한 상기 고립절연막 상에 제2상부전극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상부전극막을 패터닝하여 상기 제1상부전극과 연결되어 캐패시터의 상부전극을 이룰 제2상부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의 구조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는 소자분리막(32), 워드라인 및 소스/드레인이 형성된 반도체 기판(31), 반도체 기판(31) 상부의 평탄화된 제1층간절연막(36), 제1층간절연막(36)을 관통하여 반도체 기판(31)의 일측 소스/드레인(35a)에 연결된 비트라인콘택(37)과 비트라인(38), 비트라인(38) 상부를 덮는 제2층간절연막(39), 제2층간절연막(39)과 제1층간절연막(36)을 동시에 관통하여 타측 소스/드레인(35b)에 연결되는 스토리지노드콘택(40)과 배리어메탈(41)의 적층, 배리어메탈(41)에 연결되면서 하부전극(100), 강유전체(200) 및 제1상부전극(301)의 순서로 적층된 복합층(400), 복합층(400)을 에워싸는 고립절연막(46), 그리고 복합층(400) 및 고립절연막(46) 상에 형성된 제2상부전극(302)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1상부전극(301)과 제2상부전극(302)은 캐패시터의 상부전극(300)을 구성하는 막들로, 제2상부전극(302)이 제1상부전극(301)에 비해 면적이 넓다. 그리고, 고립절연막(46)은 복합층(400)을 에워싸면서 복합층(400) 표면, 즉 제1상부전극(301)의 표면을 노출시키는 평탄한 표면을 갖는다.
도 2에서, 하부전극(100)은 배리어메탈(41)과 접하는 부분에서 산소확산방지막(42a)을 포함하는 적층 구조이며, 예를 들어, 산소확산방지막(42a)은 Ir, IrO2, Ru 및 RuO2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다.
도 3a 내지 도 3f는 도 2에 도시된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공정 단면도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도체기판(31)에 소자간 분리를 위한 소자분리막(32)을 형성하여 활성영역을 정의하고, 반도체기판(31)의 활성영역상에 게이트산화막(33)과 워드라인(34)을 차례로 형성한다.
다음으로, 워드라인(34) 양측의 반도체기판(31)에 불순물을 이온주입하여 트랜지스터의 소스/드레인영역(35a, 35b)을 형성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워드라인의 양측벽에 스페이서를 형성할 수 있고, 이에 따라 LDD(Lightly Doped Drain) 구조의 소스/드레인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워드라인을 마스크로 저농도 불순물을 이온주입하여 LDD 영역을 형성한 후, 워드라인의 양측벽에 스페이서를 형성하고, 워드라인과 스페이서를 마스크로 고농도 불순물을 이온주입하여 LDD 영역에 접하는 소스/드레인영역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트랜지스터가 형성된 반도체기판(31) 상에 제1층간절연막(36)을 증착 및 평탄화한 후, 콘택마스크(도시 생략)로 제1층간절연막(36)을 식각하여 일측 소스/드레인영역(35a)을 노출시키는 비트라인콘택홀을 형성하고, 비트라인콘택홀에 매립되는 비트라인콘택(37)을 형성한다. 여기서, 비트라인콘택(37)은 텅스텐(W)을 증착한 후 에치백(Etch back)이나 화학적기계적연마(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CMP)를 통해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전면에 비트라인용 도전막을 증착한 후 패터닝하여 비트라인콘택에 연결되는 비트라인(38)을 형성하고, 비트라인(38)을 포함한 전면에 제2층간절연막(39)을 증착한 후 평탄화한다.
다음으로, 스토리지노드콘택마스크(도시 생략)로 제2층간절연막(39)과 제1층간절연막(36)을 동시에 식각하여 타측 소스/드레인영역(35b)을 노출시키는 스토리지노드콘택홀을 형성한 후, 스토리지노드콘택홀에 스토리지노드콘택(40)과 배리어메탈(42)을 매립시킨다.
여기서, 스토리지노드콘택(40)은 텅스텐플러그이며, 배리어메탈(41)은 TiN이다. 스토리지노드콘택(40)과 배리어메탈(41)의 형성 방법은, 먼저 스토리지노드콘택홀에 텅스텐막을 증착한 후 에치백하여 텅스텐플러그를 형성하고, 텅스텐플러그 상에 배리어메탈을 증착한 후 화학적기계적연마하여 형성한다.
다음으로, 스토리지노드콘택(40) 및 배리어메탈(41)을 포함한 제2층간절연막(39) 상에 후속 강유전체막 증착후의 열처리공정시 산소가 스토리지노드콘택(40)쪽으로 확산하는 것을 억제시킬 수 있는 산소확산방지막(42a)을 포함하는 하부전극막(42)을 형성한다. 여기서, 산소확산방지막은 Ir, IrO2, Ru 및 RuO2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다.
예컨대, 산소확산방지막(42a)을 포함하는 하부전극막(42)은 산소확산방지막인 이리듐막(Ir, 42a), 이리듐산화막(IrO2, 42b) 및 백금막(42c)의 순서로 증착한 것이며, 여기서 이리듐막(42a)이 산소확산방지막(42a)이고, 이리듐산화막(42b)은 백금막(42c)과 이리듐막(42a)간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며, 백금막(42c)은 실질적으로 하부전극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하부전극막(42) 상에 강유전체막(43)을 증착한 후, 강유전체막(43)의 결정화를 위한 산소분위기의 열처리를 실시한다. 이때, 산소의 침투를 방지하는 이리듐막(42a)이 스토리지노드콘택(40) 상부를 모두 덮고 있기 때문에, 열처리시 산소(O2)가 스토리지노드콘택(40)쪽으로 침투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강유전체막(43)의 결정화를 위한 산소분위기의 열처리시에 하부전극막(42)에 포함된 이리듐막(42a)이 스토리지노드콘택(40)까지 산소가 확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강유전체막(43)의 결정화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처리를 통해 결정화된 강유전체막(43) 상에 상부전극막을 증착하되, 상부전극막의 일부 두께인 제1막(44a, 이하 '제1상부전극막'이라고 약칭함)을 증착한다. 이때, 제1상부전극막(44a)은 후속 화학적기계적연마(CMP) 등의 평탄화공정에서 충분히 견딜만한 가장 얇은 두께로 형성한다. 즉, 상부전극막을 한번에 설정된 두께로 증착하는 것이 아니라, 설정된 두께 중에서 일부를 먼저 증착하여 제1상부전극막(44a)을 형성하는 것이다.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상부전극막(44a) 상에 하부전극을 패터닝하기 위한 하부전극마스크층(45)을 형성한 후, 이 하부전극마스크층(45)을 식각마스크로 제1상부전극막(44a), 강유전체막(43) 및 하부전극막(42)을 순차적으로 패터닝한다.
이로써, 하부전극(100), 강유전체(200) 및 제1상부전극(301)의 순서로 적층된 복합층(400)이 형성된다. 여기서, 하부전극(100)은 이리듐막, 이리듐산화막 및 백금막의 순서로 적층된 하부전극막(42)을 패터닝하여 형성한 것이며, 강유전체(200)는 강유전체막(43)을 패터닝하여 형성한 것이고, 제1상부전극(301)은 제1상부전극막(44a)을 패터닝하여 형성한 것이다.
위와 같이 미리 강유전체막(43)의 결정화 열처리를 진행한 후에 하부전극(100)을 패터닝하므로 하부전극(100)의 폭을 작게 할 수 있다. 즉, 하부전극(100)의 패터닝후에 강유전체막(43)의 결정화 열처리를 진행하면 산소가 확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없었으나, 결정화 열처리후에 하부전극(100)을 패터닝하면 산소확산의 문제를 고려하지 않아도 되므로 하부전극(100)의 패터닝시에 그 폭을 작게 할 수 있다.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전극마스크층(45)을 제거한 후에, 복합층(400)을 포함한 전면에 고립절연막(46)을 증착한 후, 제1상부전극(301)을 연마스톱막으로 하는 화학적기계적연마를 진행하여 평탄화시킨다. 이때, 복합층(400)의 최상층인 제1상부전극(301)이 노출되는데, 제1상부전극막(301)은 화학적기계적연마공정시 충분히 견딜만한 두께로 증착했기 때문에 고립절연막(46)의 평탄화시에 자신은 일부가 손실되더라도 강유전체(200)가 손실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화학적기계적연마후에 제1상부전극(301)은 5nm∼50nm의 두께로 잔류하는데, 이를 위해 제1상부전극(301)을 형성하기 위한 제1상부전극막(44a) 증착시 두께를 조절한다.
위와 같은 일련의 화학적기계적연마후에 고립절연막(46)은 복합층(400)의 표면을 노출시키는 평탄한 표면을 갖고 복합층(400)을 에워싸는 형태로 잔류한다.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탄화된 결과물, 즉 복합층(400) 및 고립절연막(46) 상에 상부전극막중 나머지 두께를 갖는 제2상부전극막(44b)을 증착한다. 즉, 제1상부전극막(44a)의 두께에 더하여 최초 설정된 두께를 갖도록 제2상부전극막(44b)을 증착한다.
다음으로, 감광막의 도포, 노광 및 현상을 통해 상부전극마스크층(47)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상부전극마스크층(47)을 식각마스크로 제2상부전극막(44b)을 패터닝하여, 제1상부전극(301)과 제2상부전극(302)으로 구성되는 상부전극(300)을 형성한다. 여기서, 제2상부전극(302)은 제2상부전극막(44b)을 패터닝하여 형성한 것이다.
상부전극(300)까지 형성된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의 구조가 도 3f에 도시되어 있다.
도 3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전극(300)은 제1상부전극(301)과 제2상부전극(302)로 구성되는데, 여기서 제2상부전극(302)은 제1상부전극(301)에 비해 면적이 더 넓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상부전극(300)을 형성하는 상부전극막 증착시 제1상부전극막(44a)과 제2상부전극막(44b)으로 나누어 증착하고 있는데, 반대로 상부전극막을 한꺼번에 증착하고 하부전극마스크층으로 동시에 패터닝한 후 화학적기계적연마를 진행하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상부전극막을 한꺼번에 증착 및 하부전극마스크층을 이용한 패터닝후에에 화학적기계적연마를 수행하는 경우에는 화학적기계적연마 과정에서 상부전극 표면이 연마되는 것을 피할 수 없으며, 이와 같이 연마로 인해 상부전극 표면이 손실되면 상부전극의 설정된 두께보다 얇아져 캐패시터의 분극값이 감소된다. 또한 열공정을 수반하는 후속 공정에서 막질 손상으로 인해 뭉침(agglomeration) 현상이 발생되어 불균일한 캐패시터 특성과 막의 박리현상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부전극(300)을 제1상부전극(301)과 제2상부전극(302)으로 구분하여 형성하므로써 화학적기계적연마공정시 제1상부전극(301)이 손상되더라도 제2상부전극(302)이 이를 보상해주므로 상부전극(300)의 두께가 얇아지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은 산소확산방지막을 포함하는 하부전극의 패터닝전에 강유전체막의 증착 및 열처리를 진행하므로 강유전체막의 결정화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어 소자의 신뢰성 및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강유전체막의 결정화를 위한 열처리후에 하부전극을 패터닝하므로 하부전극의 폭을 작게하는 공정이 가능하여 셀면적을 감소시킨 고밀도 강유전체메모리소자를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 기술에 따른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을 간략히 도시한 공정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의 구조 단면도,
도 3a 내지 도 3f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공정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 : 반도체 기판 32 : 소자분리막
33 : 게이트산화막 34 : 워드라인
35a, 35b : 소스/드레인 36 : 제1층간절연막
37 : 비트라인콘택 38 : 비트라인
39 : 제2층간절연막 40 : 스토리지노드콘택
41 : 배리어메탈 100 : 하부전극
200 : 강유전체 300 : 상부전극

Claims (8)

  1. 반도체 기판;
    상기 반도체 기판 상부에 적층된 층간절연막;
    상기 층간절연막을 관통하여 상기 반도체 기판의 일부에 연결되는 스토리지노드콘택;
    상기 스토리지노드콘택에 연결되면서 상기 스토리지노드콘택과 접하는 부분에 산소확산방지막을 포함하는 하부전극;
    상기 하부전극 상에 적층된 강유전체와 제1상부전극;
    상기 하부전극, 강유전체 및 상기 제1상부전극의 적층을 에워싸는 고립절연막; 및
    상기 제1상부전극과 연결되면서 상기 고립절연막 상에 형성된 제2상부전극
    을 포함하는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소확산방지막은,
    Ir, IrO2, Ru 및 RuO2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상부전극은,
    상기 제1상부전극에 비해 면적이 더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
  4. 반도체 기판 상부에 층간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층간절연막을 관통하여 상기 반도체 기판의 일부에 연결되는 스토리지노드콘택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스토리지노드콘택을 포함한 상기 층간절연막의 전면에 산소확산방지막을 포함하는 하부전극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하부전극막 상에 강유전체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강유전체막의 결정화를 위한 열처리 단계;
    상기 강유전체막 상에 제1상부전극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상부전극막, 강유전체막 및 상기 하부전극막을 동시에 패터닝하여 하부전극, 강유전체 및 제1상부전극의 순서로 적층된 복합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상부전극의 표면을 노출시키면서 상기 복합층을 에워싸는 고립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복합층을 포함한 상기 고립절연막 상에 제2상부전극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상부전극막을 패터닝하여 상기 제1상부전극과 연결되어 캐패시터의 상부전극을 이룰 제2상부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강유전체 메모리소자의 제조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전극은,
    상기 스토리지노드콘택 및 상기 층간절연막에 접하는 산소확산방지막을 포함하는 적층막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산소확산방지막은,
    Ir, IrO2, Ru 및 RuO2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층을 에워싸는 고립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복합층을 포함한 상기 반도체 기판의 전면에 고립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복합층의 제1상부전극을 연마스톱막으로 하여 상기 고립절연막을 화학적기계적연마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적기계적연마후에,
    상기 제1상부전극은 5nm∼50nm의 두께로 잔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KR1020030085697A 2003-11-28 2003-11-28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10046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5697A KR101004693B1 (ko) 2003-11-28 2003-11-28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5697A KR101004693B1 (ko) 2003-11-28 2003-11-28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2002A true KR20050052002A (ko) 2005-06-02
KR101004693B1 KR101004693B1 (ko) 2011-01-04

Family

ID=37248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5697A KR101004693B1 (ko) 2003-11-28 2003-11-28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46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5373B1 (ko) 2006-09-15 2007-09-04 삼성전자주식회사 도전성 산화막을 갖는 콘택 구조체, 이를 채택하는강유전체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방법들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2719B1 (ko) * 2000-08-25 2003-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강유전체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500938B1 (ko) * 2000-12-30 2005-07-14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캐패시터 제조 방법
KR100406536B1 (ko) * 2001-03-28 2003-11-20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산소확산방지막으로서 알루미늄 산화막을 구비하는강유전체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5373B1 (ko) 2006-09-15 2007-09-04 삼성전자주식회사 도전성 산화막을 갖는 콘택 구조체, 이를 채택하는강유전체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방법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4693B1 (ko) 2011-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23834B2 (ja) 半導体記憶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3805603B2 (ja)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3759859B2 (ja)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449949B1 (ko)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
KR100763745B1 (ko)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0399072B1 (ko)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JP2002359354A (ja) 強誘電体メモリ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504693B1 (ko)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476375B1 (ko) 캐패시터 및 그를 구비하는 비휘발 소자의 제조 방법
US6887754B2 (en) Semiconductor device having a reduced leakage current and a fabrication process thereof
JP2010118439A (ja) 半導体記憶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004693B1 (ko)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US20080087926A1 (en) Ferroelectric random access memory and methods of fabricating the same
KR100846366B1 (ko)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0846367B1 (ko)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629692B1 (ko) 강유전체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
KR100883136B1 (ko) 오픈형 확산배리어막 구조를 갖는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및 그 제조 방법
KR100448237B1 (ko)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0540255B1 (ko)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형성 방법
KR100846365B1 (ko) 노블계 하드마스크를 이용한 강유전체 메모리소자의캐패시터 제조 방법
KR20040008638A (ko) 하부전극이 절연막에 고립된 구조를 갖는 강유전체 메모리소자의 제조방법
KR100846368B1 (ko)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JP2000307079A (ja)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972553B1 (ko)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의 캐패시터 및 그 제조 방법
KR100362182B1 (ko)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