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44873A - 건축 폐기물 분류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건축 폐기물 분류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44873A
KR20050044873A KR1020050022426A KR20050022426A KR20050044873A KR 20050044873 A KR20050044873 A KR 20050044873A KR 1020050022426 A KR1020050022426 A KR 1020050022426A KR 20050022426 A KR20050022426 A KR 20050022426A KR 20050044873 A KR20050044873 A KR 200500448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und bar
outlet
conveyor
sand
slu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2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29690B1 (ko
Inventor
박영국
Original Assignee
(주)송대환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송대환경 filed Critical (주)송대환경
Priority to KR10-2005-0022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9690B1/ko
Publication of KR20050044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48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96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96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oz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7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f gases or vapours introduced in the liquid media
    • B01F23/2376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f gases or vapours introduced in the liquid media characterised by the gas being introduced
    • B01F23/23761Aerating, i.e. introducing oxygen containing gas in liquids
    • B01F23/237613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78Details relating to ozone treatment devices
    • C02F2201/784Diffusers or nozzles for ozon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1/00General aspects of water treatment
    • C02F2301/02Fluid flow conditions
    • C02F2301/026Spiral, helicoidal, radial

Abstract

본 발명은 발생 폐기물을 최소화한 친 환경 시스템인 건축 폐기물 분류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은 폐자재를 투입하는 호퍼(11)의 하부로 설치된 투입구(12)와 배출구(13)를 갖는 본체(14)의 상기 투입구와 배출구 사이의 한쌍의 로터리 분쇄치차가 1개 조로써 상에서 하로 점점 좁아지는 이격 간격을 가지게 적어도 2개 조 이상의 분쇄치차(15,16,17...)가 배열된 파쇄기(10); 상기 파쇄기(10)의 하부 배출구(13) 하부로는 호형 로드봉(21) 복수개를 일정간격으로 이격 배열하여 경사지게 설치한 환봉필터(20); 상기 환봉필터(20)의 경사 하부단이 상승 버킷 컨베이어(30)의 하부로 연결되고, 이 버킷 컨베이어의 상 단은 상기 호퍼(11)로 유입되는 슈트(31)로 연결 순환되게 설치되며, 상기 환봉필터 말단의 하부에 구비된 철재 수집수단;
환봉필터를 통과한 선처리된 분쇄 폐자재를 후처리 장치로 이동시키는 컨베이어(C1) 상에서 주지의 철재 수집장치(100)를 구비한 전처리장치; 및
상기 컨베이어로 철재를 선별한 모래 및 슬러지를 선별 및 제거하는 습식처리장치인 후처리 장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건축 폐기물 분류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for classifying construction waste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건축폐기물에서 발생되는 콘크리트 파쇄 분류장치의 기능을 보완하여 1차 파쇄기에서 파쇄되지 않은 콘크리트와 철근 목재 등에 붙어있는 콘크리트를 분류하여 순환 파쇄를 하여 철근 콘크리트 등 이물질을 최대한 제거하여 오폐수의 발생을 현저히 줄이도록 협잡물 등의 슬러지등 2차 발생 폐기물을 최소화한 친 환경 시스템인 건축 폐기물 분류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건축폐기물 처리시스템 공정은 파쇄기 ⇒ 컨베이어 ⇒ 수중 부유물제거(세척) ⇒ 컨베이어 ⇒ 입도분류 ⇒ 저장 등의 단순 공정으로 이루어져 각 공정마다 수동인력이 투입되어 철근, 목재, 이물질 등을 제거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파쇄방법으로는 파쇄기에서 1차파쇄하여 컨베이어벨트에 떨어져 이동하는 동안 인력에 의한 철근, 목재, 이물질 등을 제거하고 있으나 많은 인력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1차파쇄로 인해 미처 파쇄되지 못한 콘크리트에 철근, 목재 등이 붙어있어 후가공 처리가 반드시 이루어져야할 뿐만 아니라 인력에 의한 제거가 안될 경우 후공정에 잦은 고장의 원인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파쇄기 파쇄 한계성의 문제점을 보완하여 건축 폐자재의 안전한 순환 재처리 및 흙 등의 협잡물 슬러지 까지 안전하게 선별 처리하여 폐수 없는 환경친화적 처리장치 및 그 처리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1차 파쇄 후 파쇄되지 못한 굵은 콘크리트를 분류하여 다시 1차파쇄기로 보내어 2차파쇄를 진행토록 하는 시스템으로 2차 파쇄기 추가설치에 따른 비용부담(기계설치비용, 인력수거인건비 등)을 최소화하고 시스템을 자동화처리 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혐오시설에서의 인력난 해소와 인건비절감 후 공정의 고장원인 해소 등에 기여할 수 있도록하고, 건축폐기물은 크기와 형상 무게 등 그 성상이 매우 다양하여 분류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코자 파쇄기에서 1차파쇄하여 컨베이어벨트에 낙하하여 이송중 인력에 의한 분류 및 이 물질을 제거하는 방식을 개선 1차파쇄된 콘크리트를 완만한 호형의 환봉필터에 낙하시켜서 일정입도 이하의 콘크리트는 필터를 통과하여 하부에 설치된 컨베이어로 이송 후속공정으로 이동하고, 필터를 통과하지 못한 대형 콘크리트와 콘크리트에 부착된 이물질 철근등은 유선형 스크린을 통해 재처리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이때 철근과 쇠붙이는 환봉필터 말단의 하부에 부설된 전자석에 부착되게되며 전자석은 누적부착된 철재의 자중에 의해 차단됨으로서 부착된 쇠붙이를 제거함으로서 철근과 쇠붙이만 수집할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환봉필터를 통해 수집된 대형콘크리트와 철근이 부착된 콘크리트는 버킷형 컨베이어를 통하여 상부로 이동 파쇄기에 의해 재처리되도록 전 처리장치 및 그 처리방법을 제공한다.
그리고 후처리 장치는 개구된 상부 내부면에 워터 노즐파이프가 설치되고 하부 저면 바닥에 개폐변을 가지는 배출구로 이루어진 투입탱크의 수위면에 일부 잠기는 일정 간격의 로터리날을 구비한 축이 모터로 가동되며, 그 축 단에는 부유물 배출구를 구비하며;
원통형 케이스의 하부 윗 면이 상기 투입탱크의 배출구와 연결되어 상향 설치되고, 그 내부에 원통형 타공망이 설치되며, 그 내부에 모터로 회전되는 스크류 축이 종설되며, 이 케이스의 상부 아래 면에 타공망을 통과 못한 상대적으로 큰 입자로 선별된 굵은모래 배출슈트를 갖고 타공망 보다 작은 입자는 상기 케이스의 하부 아래 면에 형성된 배출구로 배출되는 굵은모래 선별기와;
상기 모래선별기의 하부 저면의 배출구에 연결되어 있으며, 그 하부에 위치되어 상향 설치하되 상협 하광의 콘형 케이스 내에 콘형 타공망이 설치되며, 그 내부에 콘형 스크루가 종설되고, 상부에는 가는모래 배출구를 갖는 가는모래 선별기와;
이 콘형 케이스의 하부 말단부에는 상기 콘형 케이스의 하부 배출구를 통하여 슬러지등 미세협잡물을 받아서 침전 분리시키는 슬러지 탱크로 구성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의 첨부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스템을 보인 흐름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전 처리 시스템을 보인 개략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후 처리 시스템을 보인 실시 예및 다른 실시 예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철재 수거장치를 보인 작동상태도이고, 도 5a는 후 처리 시스템의 투입호퍼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5b는 후 처리 시스템의 모래선별기 단면도이고, 도 5c는 후 처리 시스템의 슬러지압착배출기 단면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장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폐자재를 투입하는 호퍼(11)의 하부로 설치된 투입구(12)와 배출구(13)를 갖는 본체(14)의 상기 투입구와 배출구 사이의 한쌍의 로터리 분쇄치차가 1개 조로써 상에서 하로 점점 좁아지는 이격 간격을 가지게 적어도 2개 조 이상의 분쇄치차(1 5, 16,17...)가 배열된 파쇄기(10);
상기 파쇄기(10)의 하부 배출구(13) 하부로는 복수개의 호형 로드봉(21)을 일정간격으로 이격 배열하여 경사지게 설치한 환봉필터(20);
상기 환봉필터(20)의 경사 하부단이 상승 버킷 컨베이어(30)의 하부로 연결되고, 이 버킷 컨베이어의 상 단은 상기 호퍼(11)로 유입되는 슈트(31)로 연결 순환되게 설치되며, 상기 환봉필터 말단의 하부에 구비된 철재 수집수단;
환봉필터를 통과한 선처리된 분쇄 폐자재를 후처리 장치로 이동시키는 컨베이어(C1) 상에서 주지의 철재 수집장치(100)를 구비한 전처리장치; 및
상기 컨베이어로 철재를 선별한 모래 및 슬러지를 선별 및 제거하는 습식처리장치인 후처리 장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철재수집수단은 환봉필터(20)을 통과하지 못한 폐자재 중에서 철재를 자력으로 끌어 붙이도록 경사빗면(41)을 가지는 타측에 축설된 회전축(42)에 의해 선회 가능하고, 비틀림 스프링(43)으로 복귀하는 전자석(40)으로써, 상기 경사빗면(41)에 부착되는 철재의 가중에 따라 선회하며 스위치(44) 오프되어 자력을 상실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후처리 장치는 컨베이어(C1)로 이송된 전 처리 자재가 유입되게 개구되고, 상부 내부면에 워터 노즐파이프(51)가 설치되며 하부의 후드형 바닥에 개폐변(52)을 가지는 배출구(53)를 구비하며, 수위면에 일부 잠기는 일정 간격의 로터리날(54W)을 구비한 축(54S)을 가동하는 모터(54M)를 구비하고 상기 축 단에는 부유물 배출구(55)를 형성한 투입탱크(50);
원통형 케이스(61)의 하부의 윗 면이 상기 투입탱크(50)의 배출구(53)와 연결되어 상향 설치되고, 그 내부에 원통형 타공망(62)이 설치되며, 그 내부에 모터(63M)로 회전되는 선별스쿠루(63S)가 종설되며, 이 케이스의 상부 아래 면에 타공망을 통과 못한 상대적으로 큰 입자로 선별된 굵은모래 배출슈트(64)를 갖고, 타공망 보다 작은 입자는 상기 케이스의 하부 아래 면에 형성된 배출구(65)로 배출되는 굵은모래 선별기(60)와;
상기 굵은모래 선별기(60)의 하부 저면의 배출구(65)에 연결되어 있으며,
샹향 설치하되 상협 하광의 콘형 케이스(71)내에 콘형 타공망(72)이 설치되어 모터(73M) 가동으로 회전되는 콘형 스크루축(73S)이 종설되고, 이 콘형 케이스의 하부 말단부에는 배출구(75)가 부설되고 상부 말단부 하부로는 가는모래 배출슈트(74)가 구비된 가는모래 선별기(70);
상기 콘형 케이스(71)의 하부 배출구(75)를 통하여 슬러지등 미세협잡물을 받아서 침전 분리시키는 슬러지 탱크(8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모래선별기(60)는 동일한 적어도 2 이상의 선별기로 구비되어 원통형 케이스의 하단부의 아래면 배출구와 위면의 투입구가 상호 연결 설치하되 각각의 타공망은 상에서 하로 갈수록 점점 작아지는 타공망을 구비해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장치로 건축페기물을 처리하는 방법은;
한 쌍의 로터리날(15,16,17) 간격이 상에서 하로 점점 좁은 간격을 가지게 적어도 2 조 이상 배열되는 파쇄기(10)에 건축폐기물을 투입하는 투입단계;
파쇄기로 파쇄한 폐기물의 입자를 상기 패쇄기의 유출구 하부에 설치되는 호형 만곡부를 가지는 환봉을 일정틈새를 가지게 일정간격으로 슈트 방향으로 종설한환봉 필터(20)로 선별하는 입자 선별단계;
입자 선별후 환봉의 틈새를 통과하지 못한 큰 입자를 상승 버킷 콘베이어(30)로써 파쇄기의 투입호퍼(11)로 리사이클하는 재 순환 단계;
환봉 필터를 통과하지 못하고 미끄러져 환봉 필터의 말단에서 낙하되는 입자내의 철재를 자력으로 끌어 붙이도록 경사빗면(41)을 가지는 전자석(40)이 회전축(42)에서 비틀림 스프링(43)으로 받쳐진 상태로써 누적부착되는 철재의 자중으로 비틀림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기며 선회되어 스위치(44) 오프되어 자력을 상실하게 하여 철재를 추출 수집하는 철재수집 단계;
환봉 필터(21)를 통과한 입자가 안착되는 컨베이어(C1)에 주지의 철재수거수단(100)에 의해 철재를 수집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전처리 단계; 및 상기 컨베이어(C1)로 철재를 선별한 모래 및 협잡물등 슬러지를 제거하는 습식처리 공정인 후처리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후처리 단계는 전 처리 단계에서 컨베이어(C1)로 이송된 전 처리 자재가 투입탱크(50)에 투입되어 상부 개구의 내부면에 설치된 워터 노즐파이프(51)로 수세되고, 부유된 폐기물을 모터로 회전되는 축의 일정간격으로 구비된 로터리날(54W)에 의해 투입탱크의 측방 부유물 배출구(55)로 배출 컨베이어(C2)로 분류하고, 이 투입탱크의 하부 바닥에 개폐변(52)으로 열린 배출구(53)를 통하여 다음 단계로 전달하는 선별된 입자의 세척 부유물 제거 및 수집단계;
상기 선별재료를 받는 굵은모래 선별기(60)의 모터(63M) 가동으로 회전되는 스크류축(63S)에 의해 상승되는 굵은모래는 타공망(62)의 구멍보다 큰 입자로써 케이싱(61)의 상부에서 배출슈트(64)를 통하여 굵은모래를 선별하는 굵은모래 선별단계;
상기 타공망(62)을 통과한 가는모래등 슬러지는 배출구(65)를 통하여 가는모래 선별기(70)의 상협 하광의 콘형 케이스(71)하부 상면으로 유입되어 내설된 미세구멍을 갖는 콘형 타공망(82)으로 슬러지등을 배출시키며, 가는모래가 모터(73M) 가동으로 회전되는 콘형 스크루축(73S)의 회전으로 상향 이동되어 말단의 가는모래 배출슈트(74)를 통하여 가는모래를 선별하는 가는모래 선별단계;
상기 케이싱(71)의 하부 배출구(75)를 통하여 슬러지등 미세협잡물을 배출시키되 그 하부에 슬러지탱크(80)에 가두어 침전 분리시키는 슬러지 선별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고 처리 단계를 갖는 본 발명의 작용을 처리단계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에서와 같이, 투입호퍼(11)를 통하여 건축폐자재를 주지의 수단에 의해 투입한다. 이때 파쇄기(10) 내부 최상부의 한 쌍의 로터리 날(15) 간격이 제일 튼 상태에서 그 날 간격의 한도로 일차 분쇄 시키고, 그 하부의 한 쌍의 로터리날(16)은 좀 더 좁은 간격으로 배열되어서 더 작게 분쇄시키고 또 그 하부의 로터리날(17)은 좁은 간격으로 배열되어 있어서 상에서 하로 점점 좁은 간격을 가지게 되어 하부로 갈 수록 잘게 분쇄하는 작용을 한다.
이후 파쇄기(10)에서 파쇄한 폐기물의 입자는 환봉필터(20)로 떨어져서 호형을 따라 하부로 미끄러져 내려가면서 호형 만곡부를 가지는 환봉의 일정 틈새사이로 가는 입자를 필터링하여 낙하시키고 이때 잘게 분쇄된 철재도 포함된다.
한편 상기 환봉필터(20)의 틈새를 통과하지 못한 철재를 포함한 큰 입자는 그 하부단에서 상승버킷 컨베이어(30)에 의해 상승되어서 슈트(310를 통해서 다시 투입호퍼(11)를 통해 분쇄기(100로 내 유입시키므로써, 반복 분쇄에 의해 잘게 부수는 작용을 하는 한편, 환봉 필터(20)를 통과하지 못하고 미끄러져 환봉 필터의 말단에서 버킷 컨베이어(30)로 낙하되는 입자내의 철재를 자력으로 끌어 붙이도록하여 분리해내는데 그 작용은 경사빗면(41)을 가지는 전자석(40)이 회전축(42)에서 비틀림 스프링(43)으로 받쳐진 상태로써, 전자력을 발휘하여 그 경사면(41)에 누적부착되게 한다. 그러나 누적 부착되는 철재의 자중으로 비틀림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기며 선회되므로써, 스위치(44)가 자동 단락되어 오프키므로써 자력을 상실하게 하여 철재를 하부로 추출 수집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환봉 필터(20)를 통과한 입자가 안착되는 컨베이어(C1)에 주지의 철재수거수단(수작업, 자력에 의한 수집, 거름망에 의한 수집 등)에 의해 철재를 완전 수집 제거하므로써 본 발명의 전처리 단계가 종료되고,
상기 컨베이어(C1)로 모래 및 슬러지 등 협잡물을 제거하는 습식처리 공정인 후처리 단계로써,
전 처리 단계에서 컨베이어(C1)로 이송된 전 처리 자재가 투입탱크(50)에 투입되어 상부 개구의 내부면에 설치된 워터 노즐파이프(51)로 강력하게 분사되는 수압에 의해 수세되고, 그 탱크네에서 부유된 폐기물을 모터(54M)로 회전되는 축(54S)의 일정간격으로 구비된 로터리날(54W)에 의해 투입탱크의 측방 부유물 배출구(55)로 배출시켜서 컨베이어(C2)로 분류해 내고,
이 투입탱크(50)의 하부 바닥에 개폐변(52)으로 열린 배출구(53)를 통하여 다음 단계로 세척된 입자를 굵은모래 선별기(60)로 보낸다.
상기 선별재료를 받는 굵은모래 선별기(60)의 모터(63M) 가동으로 회전되는 스크류축(63S)에 의해 상승되는 굵은모래는 타공망(62)의 구멍보다 큰 입자로써 케이싱(61)의 상부에서 배출슈트(64)를 통하여 굵은모래를 선별하고, 상기 타공망(62)을 통과한 가는모래등 슬러지는 배출구(65)를 통하여 가는모래 선별기(70)의 상협 하광의 콘형 케이스(71)하부 상면으로 유입되어 내설된 미세구멍을 갖는 콘형 타공망(82)으로 슬러지등을 배출시키며, 가는모래가 모터(73M) 가동으로 회전되는 콘형 스크루축(73S)의 회전으로 상향 이동되어 말단의 가는모래 배출슈트(74)를 통하여 가는모래를 선별한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71)의 하부 배출구(75)를 통하여 슬러지등 미세협잡물을 배출시키되 그 하부에 슬러지탱크(80)에 가두어 주지의 방식으로 침전 분리시키므로써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세척된 모래 성분은 시판 중인 골재와 비교하여 전혀 손색이 없는 양질의 모래임이 판명되었다.
침사물 중에서 골재로 이용 가능한 모래 성분을 선별 세척하여 양질의 모래로 환원시켜주고 기타 유무기 협잡물은 압축 탈수시켜 소작을 용이하게 하여 줌으로써, 매립 대상 폐기물의 양을 90% 이상 감소시켜 쓰레기 매립장의 사용기간을 연장시킬 수있으며, 매립에 소요되는 비용의 절감이 가능하고 매립 양의 감소를 유도하여 매립에 따른 2차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선별 세척 결과로 얻어진 입도가 고른 양질의 모래 성분을 판매함으로써 경제적 이익을 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단지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동일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충분히 수정 또는 변경이 가능할 수 있겠지만 이러한 것 역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스템을 보인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전 처리 시스템을 보인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후 처리 시스템을 보인 실시 예의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철재 수거장치를 보인 작동상태도,
도 5a는 후 처리 시스템의 투입호퍼를 보인 단면도,
도 5b는 후 처리 시스템의 굵은모래 선별기 단면도,
도 5c는 후 처리 시스템의 가는모래 선별기 단면도.

Claims (5)

  1. 파쇄기(10) 내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로터리 날 간격이 상에서 하로 점점 좁은 간격을 가지게 적어도 2 조 이상 배열되는 파쇄기에 건축폐기물을 투입하는 투입단계;
    파쇄기로 파쇄한 폐기물의 입자를 상기 패쇄기의 유출구 하부에 설치되는 호형 만곡부를 가지는 환봉을 일정틈새를 가지게 일정간격으로 복수개를 슈트 방향으로 종설한 환봉 필터(20)로 선별하는 입자 선별단계;
    입자 선별후 환봉의 틈새를 통과하지 못한 큰 입자를 상승 버킷 컨베이어(30)로써 파쇄기의 투입호퍼로 리사이클하는 재 순환 단계;
    환봉 필터를 통과하지 못하고 미끄러져 환봉 필터의 말단에서 낙하되는 입자내의 철재를 자력으로 끌어 붙이도록 경사빗면(41)을 가지는 전자석(40)이 회전축(42)에서 비틀림 스프링(43)으로 받쳐진 상태로써 누적부착되는 철재의 자중으로 비틀림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기며 선회되어 스위치(44) 오프되어 자력을 상실하게 하여 철재를 추출 수집하는 철재수집 단계;
    환봉 필터를 통과한 입자가 안착되는 컨베이어(C1)에 주지의 철재수거수단에 의해 철재를 수집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전처리 단계; 및 상기 켄베이어로 철재를 선별한 모래 및 슬러지를 제거하는 습식처리 공정인 후처리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 건축 폐기물 분류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후처리 단계는 전 처리 단계에서 컨베이어(C1)로 이송된 전 처리 자재가 투입탱크(50)에 투입되어 상부 개구의 내부면에 설치된 워터 노즐파이프(51)로 수세되고, 부유된 폐기물을 모터로 회전되는 축의 일정간격으로 구비된 로터리날(54W)에 의해 투입탱크의 측방 부유물 배출구(55)로 배출 컨베이어(C2)로 분류하고, 이 투입탱크의 하부 바닥에 개폐변(52)으로 열린 배출구(53)를 통하여 다음 단계로 전달하는 선별된 입자의 세척 부유물 제거 및 수집단계;
    상기 선별재료를 받는 굵은모래 선별기(60)의 모터(63M) 가동으로 회전되는 스크류축(63S)에 의해 상승되는 굵은모래는 타공망(62)의 구멍보다 큰 입자로써 케이싱(61)의 상부에서 배출슈트(64)를 통하여 굵은모래를 선별하는 굵은모래 선별단계;
    상기 타공망(62)을 통과한 가는모래등 슬러지는 배출구(65)를 통하여 가는모래 선별기(70)의 상협 하광의 콘형 케이스(71)하부 상면으로 유입되어 내설된 미세구멍을 갖는 콘형 타공망(82)으로 슬러지등을 배출시키며, 가는모래가 모터(73M) 가동으로 회전되는 콘형 스크루축(73S)의 회전으로 상향 이동되어 말단의 가는모래 배출슈트(74)를 통하여 가는모래를 선별하는 가는모래 선별단계;
    상기 케이싱(71)의 하부 배출구(75)를 통하여 슬러지등 미세협잡물을 배출시키되 그 하부에 슬러지탱크(80)에 가두어 침전 분리시키는 슬러지 선별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 건축 폐기물 분류 방법.
  3. 폐자재를 투입하는 호퍼(11)의 하부로 설치된 투입구(12)와 배출구(13)를 갖는 본체(14)의 상기 투입구와 배출구 사이의 한쌍의 로터리 분쇄치차가 1개 조로써 상에서 하로 점점 좁아지는 이격 간격을 가지게 적어도 2개 조 이상의 분쇄치차(15,16,17...)가 배열된 파쇄기(10);
    상기 파쇄기(10)의 하부 배출구(13) 하부로는 호형 로드봉(21) 복수개를 일정간격으로 이격 배열하여 경사지게 설치한 환봉필터(20);
    상기 환봉필터(20)의 경사 하부단이 상승 버킷 컨베이어(30)의 하부로 연결되고, 이 버킷 컨베이어의 상 단은 상기 호퍼(11)로 유입되는 슈트(31)로 연결 순환되게 설치되며, 상기 환봉필터 말단의 하부에 구비된 철재 수집수단;
    환봉필터를 통과한 선처리된 분쇄 폐자재를 후처리 장치로 이동시키는 컨베이어(C1) 상에서 주지의 철재 수집장치(100)를 구비한 전처리장치; 및
    상기 컨베이어로 철재를 선별한 모래 및 슬러지를 선별 및 제거하는 습식처리장치인 후처리 장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 건축 폐기물 분류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철재수집수단은 환봉필터(20)을 통과하지 못한 폐자재 중에서 철재를 자력으로 끌어 붙이도록 경사빗면(41)을 가지는 타측에 축설된 회전축(42)에 의해 선회 가능하고, 비틀림 스프링(43)으로 복귀하는 전자석(40)으로써, 상기 경사빗면(41)에 부착되는 철재의 가중에 따라 선회하며 스위치(44) 오프되어 자력을 상실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한 건축 폐기물 분류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후처리 장치는 컨베이어(C1)로 이송된 전 처리 자재가 유입되게 개구되고, 상부 내부면에 워터 노즐파이프(51)가 설치되며 하부의 후드형 바닥에 개폐변(52)을 가지는 배출구(53)를 구비하며, 수위면에 일부 잠기는 일정 간격의 로터리날(54W)을 구비한 축(54S)을 가동하는 모터(54M)를 구비하고 상기 축 단에는 부유물 배출구(55)를 형성한 투입탱크(50);
    원통형 케이스(61)의 하부의 윗 면이 상기 투입탱크(50)의 배출구(53)와 연결되어 상향 설치되고, 그 내부에 원통형 타공망(62)이 설치되며, 그 내부에 모터(63M)로 회전되는 선별스쿠루(63S)가 종설되며, 이 케이스의 상부 아래 면에 타공망을 통과 못한 상대적으로 큰 입자로 선별된 굵은모래 배출슈트(64)를 갖고, 타공망 보다 작은 입자는 상기 케이스의 하부 아래 면에 형성된 배출구(65)로 배출되는 굵은모래 선별기(60)와;
    상기 굵은모래 선별기(60)의 하부 저면의 배출구(65)에 연결되어 있으며,
    샹향 설치하되 상협 하광의 콘형 케이스(71)내에 콘형 타공망(72)이 설치되어 모터(73M) 가동으로 회전되는 콘형 스크루축(73S)이 종설되고, 이 콘형 케이스의 하부 말단부에는 배출구(75)가 부설되고 상부 말단부 하부로는 가는모래 배출슈트(74)가 구비된 가는모래 선별기(70);
    상기 콘형 케이스(71)의 하부 배출구(75)를 통하여 슬러지등 미세협잡물을 받아서 침전 분리시키는 슬러지 탱크(8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건축 폐기물 분류 장치.
KR10-2005-0022426A 2005-03-17 2005-03-17 건축 폐기물 분류장치 및 그 방법 KR1005296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2426A KR100529690B1 (ko) 2005-03-17 2005-03-17 건축 폐기물 분류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2426A KR100529690B1 (ko) 2005-03-17 2005-03-17 건축 폐기물 분류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4873A true KR20050044873A (ko) 2005-05-13
KR100529690B1 KR100529690B1 (ko) 2005-11-21

Family

ID=37244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2426A KR100529690B1 (ko) 2005-03-17 2005-03-17 건축 폐기물 분류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9690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8678B1 (ko) * 2006-02-15 2006-07-19 (주)아이앤씨 수직형 대형 폐기물 파쇄기
KR100764643B1 (ko) * 2007-01-31 2007-10-08 태성개발(주)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순환골재의 생산방법 및 그 장치
KR100797116B1 (ko) * 2007-05-16 2008-01-22 홍민기 스프링코일 내장형 매트리스 처리방법 및 장치
KR100898187B1 (ko) * 2008-05-13 2009-05-25 주식회사 신기술특허컨설팅 더블그라인더와 원통형브러쉬를 이용하여 건설폐기물의고품위 순환골재를 생산하는 장치
CN108144690A (zh) * 2017-12-14 2018-06-12 郭世斌 一种牲畜干粪便粉碎设备
CN114798067A (zh) * 2022-04-27 2022-07-29 盛业建设有限公司 一种建筑废弃物处理装置
KR102601092B1 (ko) * 2022-08-30 2023-11-10 주식회사 케이엔모터스 폐플라스틱 회수할 수 있는 플라스틱 재활용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4418B1 (ko) * 2015-07-27 2017-01-10 임환규 폐 동식물 분쇄 건조 장치
WO2017082504A1 (ko) * 2015-11-13 2017-05-18 주식회사 포스코 성형탄 제조 장치
KR102111709B1 (ko) * 2019-09-11 2020-05-15 정영기 석재 자동 처리시스템
KR102195560B1 (ko) 2020-04-29 2020-12-28 새마을환경개발주식회사 건설폐기물의 처리과정에서 소성로를 이용한 연료화 방법
KR102257068B1 (ko) 2020-04-29 2021-06-10 새마을환경개발주식회사 소성로와 로더밀 선별 및 멀티싸이클론을 이용한 고강도 몰탈용 모래 제조장치와 그 방법
KR102270494B1 (ko) 2020-04-29 2021-06-29 한정근 건식분급입형 개선 타격밀과 이를 이용한 건식순환골재 제조방법
KR102321056B1 (ko) 2020-08-31 2021-11-03 한정근 로타리킬런노와 유동층노가 결합한 소성노를 이용한 몰탈용 모래 제조방법
KR102270492B1 (ko) 2020-08-31 2021-06-29 한정근 로타리킬런노와 유동층노가 결합한 소성노를 이용한 몰탈용 모래 제조장치
KR102258330B1 (ko) 2020-08-31 2021-05-31 한정근 로타리킬런노와 유동층노를 결합한 소성노
KR102249009B1 (ko) 2020-08-31 2021-05-07 한정근 가연성 혼합폐기물과 생활폐기물 및 사업장폐기물 연료화 방법
KR102451305B1 (ko) * 2021-11-18 2022-10-06 주식회사 브리콘 롤 크러셔 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8678B1 (ko) * 2006-02-15 2006-07-19 (주)아이앤씨 수직형 대형 폐기물 파쇄기
KR100764643B1 (ko) * 2007-01-31 2007-10-08 태성개발(주)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순환골재의 생산방법 및 그 장치
KR100797116B1 (ko) * 2007-05-16 2008-01-22 홍민기 스프링코일 내장형 매트리스 처리방법 및 장치
KR100898187B1 (ko) * 2008-05-13 2009-05-25 주식회사 신기술특허컨설팅 더블그라인더와 원통형브러쉬를 이용하여 건설폐기물의고품위 순환골재를 생산하는 장치
CN108144690A (zh) * 2017-12-14 2018-06-12 郭世斌 一种牲畜干粪便粉碎设备
CN114798067A (zh) * 2022-04-27 2022-07-29 盛业建设有限公司 一种建筑废弃物处理装置
CN114798067B (zh) * 2022-04-27 2023-09-26 盛业建设有限公司 一种建筑废弃物处理装置
KR102601092B1 (ko) * 2022-08-30 2023-11-10 주식회사 케이엔모터스 폐플라스틱 회수할 수 있는 플라스틱 재활용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29690B1 (ko) 2005-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9690B1 (ko) 건축 폐기물 분류장치 및 그 방법
KR101823975B1 (ko) 건설폐기물 내 부유물의 다단 선별 및 순환골재 회수 시스템
KR100650509B1 (ko) 침강저류조를 포함하여 제공되는 진동스크린 분리방법 및그 장치
KR100756420B1 (ko) 건설폐기물에서 골재와 이물질의 선별 분리장치 및 그 방법
KR100582847B1 (ko) 건축 폐기물 순환골재 선별장치 및 그 선별방법
KR100497318B1 (ko) 건설 폐기물을 이용한 재생 세 골재 제조방법 및 장치
CN104114289B (zh) 用于街道清扫废物和污土的转筒清洗器
KR20080058076A (ko) 진동스크린의 변형구조를 이용한 이물질 분리방법 및 그장치
KR20100138730A (ko) 건축폐기물에서 순환골재와 이물질의 선별 분리장치
KR20020042569A (ko) 폐 콘크리트를 이용한 재생 골재 제조방법 및 장치
KR101785001B1 (ko) 건식 및 습식 혼용 재생 잔골재 생산방법
KR100358687B1 (ko) 건설폐기물의 재활용 처리방법
KR100574675B1 (ko) 건설폐기물의 재생선별방법
KR100559483B1 (ko) 재활용 골재 생산 시스템
KR100771660B1 (ko) 참빗살 콘베이어를 이용한 토사 이물질 선별장치
CN210590074U (zh) 生活垃圾中塑料的分选及可再生系统
KR100722569B1 (ko) 트로멜과 버켓을 이용한 골재 선별 방법 및 그 장치
KR101883989B1 (ko) 건설폐기물 재활용 골재선별장치
KR100850372B1 (ko) 재생 골재용 분리 세척 수조장치
KR100633765B1 (ko) 건설폐기물의 재생선별방법
KR100434799B1 (ko) 건설 폐기물의 재활용을 통한 재생 모래의 제조 방법 및그 장치
JP5478483B2 (ja) 混合処理物の選別処理システム
KR100834710B1 (ko) 회전식 스크린을 이용한 건설폐기물 토사 처리방법 및 그장치
KR200298430Y1 (ko) 폐 콘크리트를 이용한 재생 골재 제조방법 및 장치
JP4551152B2 (ja) 比重選別機および比重選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0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