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1709B1 - 석재 자동 처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석재 자동 처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1709B1
KR102111709B1 KR1020190112657A KR20190112657A KR102111709B1 KR 102111709 B1 KR102111709 B1 KR 102111709B1 KR 1020190112657 A KR1020190112657 A KR 1020190112657A KR 20190112657 A KR20190112657 A KR 20190112657A KR 102111709 B1 KR102111709 B1 KR 1021117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ne
crushing
crushed
rollers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2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영기
Original Assignee
정영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영기 filed Critical 정영기
Priority to KR10201901126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17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17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17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02C23/14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with more than one separ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eciprocating members
    • B02C1/14Stamping m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4/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 B02C4/02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with two or more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28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6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석재 자동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폐석재, 또는 채광 석재를 자동 처리시스템에 의하여 파쇄 및 선별하여 활용성을 극대화 시킨 석재 자동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폐 석재, 채굴 석재를 투입하는 석재 투입단계;
투입된 석재를 선별하는 것으로, 중앙에 메쉬망을 갖는 선별판이 구비되되, 상기 선별판 일측은 힌지에 의해 회동되도록 구비되며, 타측은 풀리에 편심되게 설치되고, 상기 풀리는 모터에 의해 회동되도록 구비되어 모터의 작동에 의하여 선별판의 진동에 의해 투입되는 석재 중 크기(모래입자)가 작은 입자는 하단에 구비되는 이송컨베어로 하강시키고 상기 이송컨베어에 의해 배출되는 제1차 분리단계;
입자가 큰 석재를 파쇄하는 것으로, 승하강 하는 파쇄 펀치와 상기 파쇄 펀치의 하단에는 석재가 안착되며, 모터의 작동에 의해 일방향 회전하는 하부금형과, 상기 하부금형의 회전을 단속하는 스토퍼로 이루어지되, 상기 하부금형으로 석재가 투입되면 상기 파쇄펀치가 하강하여 석재를 파쇄하고, 하부금형이 회전함에 의해 파쇄된 석재가 하부에 구비된 컨베이어로 하강하여 다음 공정으로 이송을 행하는 제1차 파쇄단계;
제1차 파쇄단계에 의해 1차 파쇄된 석재를 더 작은 입자로 파쇄하는 것으로, 석재가 담겨지는 호퍼와, 상기 호퍼의 외주연은 기어가 구비되고, 호퍼의 외측에는 상기 호퍼를 회동하는 모터가 구비되되, 상기 모터축에는 상기 기어와 맞물려 작동하도록 구동기어가 구비되며, 상기 호퍼의 하단에는 원활한 회전을 위한 부싱이 구비되며, 상기 호퍼의 내주연에는 다수의 돌기가 구비되어 투입되는 석재를 호퍼의 회전에 의해 내측에 구비된 돌기의 탁격에 의해 2차 파쇄하는 제2차 파쇄단계;
상기 제2차 파쇄단계를 거쳐 파쇄된 석재를 더 작은 입자로 파쇄하는 것으로, 원주 방향으로 다수의 돌기가 돌출형성는 한 쌍의 롤러가 상,하로 구비되되, 한 쌍의 상부롤러의 간격과 한 쌍의 하부롤러의 간격을 서로 달리하여 순차적으로 작은 입자로 파쇄를 행하도록 구비하고, 상기의 롤러에 의해 파쇄된 석재를 더 작은 입자로 파쇄하는 한 쌍의 롤러가 구비되어 각각 3단계를 거쳐 파쇄를 행하는 제3차 파쇄단계;
상기 제3차 파쇄단계를 거쳐 미세한 입자를 분리하는 것으로, 매쉬망을 갖는 선별판과, 상기 선별판의 일측부에는 상기 선별판을 진동을 행하여 미세한 입자를 하강 배출하는 제2차 분리단계;
상기 3차파쇄단계에서 파쇄된 석재가 제2차 분리단계를 통과하지 못하고 걸려진 것을 재 순환시켜 파쇄하는 것으로, 호퍼와 상기 호퍼 내측에는 외주연에 다수의 돌기가 구비되는 한 쌍의 롤러와, 상기 한 쌍의 롤러 하단에는 내측이 빈 공간을 갖는 롤러가 구비되되, 상기 롤러는 내주연에 쐐기형의 돌기가 다수 돌출되어 투입되는 석재를 원심력에 의해 회전시켜 쐐기형 돌기에 타격되도록 하여 더 파쇄를 행하는 제4차 파쇄단계;
상기 제2차 분리단계를 통과한 미세한 입자를 배출하는 배출단계;로 구성한 것에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석재 자동 처리시스템{SYSTEM AND MTEHOD AUTOMATICAL TRANSFERING OF STONES}
본 발명은 석재 자동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폐석재, 또는 채광 석재를 자동 처리시스템에 의하여 파쇄 및 선별하여 활용성을 극대화 시킨 석재 자동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재건축에 따른 건축물 붕괴현장에서는 폐 석재가 많이 발생하게된다. 종래에는 이러한 폐석재를 그대로 폐기처리하였으나, 이러한 현상은 자연을 훼손하는 문제로 최근들어 상기와 같은 폐 석재를 파쇄 선별하여 재활용 하고 있다.
그리고 광산 등에서 채굴하는 석재는 그 용도에 따라 선별하고 파쇄하여 활용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폐 석재와 채굴 석재는 사용 목적에 따라 파쇄하고 선별하여야 하는데 종래에는 파쇄 선별에 따른 인력과 비용이 많이 발생하여 경제적 손실을 안겨주는 산업분야로 야기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폐 석재와 채굴 석재를 자동으로 파쇄 선별하는 장치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65195호(2006.06.14) 등록특허공보 제10-1651233호(2016.08.19)
본 발명은 폐 석재 및 채굴 석재를 파쇄 분리 함에 있어, 전 공정을 자동화로 파쇄 선별할 수 있도록 하여 경제적 손실을 줄일 수 있는 석재 자동 처리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폐 석재, 채굴 석재를 투입하는 석재 투입단계;
투입된 석재를 선별하는 것으로, 중앙에 메쉬망을 갖는 선별판이 구비되되, 상기 선별판 일측은 힌지에 의해 회동되도록 구비되며, 타측은 풀리에 편심되게 설치되고, 상기 풀리는 모터에 의해 회동되도록 구비되어 모터의 작동에 의하여 선별판의 진동에 의해 투입되는 석재 중 크기(모래입자)가 작은 입자는 하단에 구비되는 이송컨베어로 하강시키고 상기 이송컨베어에 의해 배출되는 제1차 분리단계;
입자가 큰 석재를 파쇄하는 것으로, 승하강 하는 파쇄 펀치와 상기 파쇄 펀치의 하단에는 석재가 안착되며, 모터의 작동에 의해 일방향 회전하는 하부금형과, 상기 하부금형의 회전을 단속하는 스토퍼로 이루어지되, 상기 하부금형으로 석재가 투입되면 상기 파쇄펀치가 하강하여 석재를 파쇄하고, 하부금형이 회전함에 의해 파쇄된 석재가 하부에 구비된 컨베이어로 하강하여 다음 공정으로 이송을 행하는 제1차 파쇄단계;
제1차 파쇄단계에 의해 1차 파쇄된 석재를 더 작은 입자로 파쇄하는 것으로, 석재가 담겨지는 호퍼와, 상기 호퍼의 외주연은 기어가 구비되고, 호퍼의 외측에는 상기 호퍼를 회동하는 모터가 구비되되, 상기 모터축에는 상기 기어와 맞물려 작동하도록 구동기어가 구비되며, 상기 호퍼의 하단에는 원활한 회전을 위한 부싱이 구비되며, 상기 호퍼의 내주연에는 다수의 돌기가 구비되어 투입되는 석재를 호퍼의 회전에 의해 내측에 구비된 돌기의 탁격에 의해 2차 파쇄하는 제2차 파쇄단계;
상기 제2차 파쇄단계를 거쳐 파쇄된 석재를 더 작은 입자로 파쇄하는 것으로, 원주 방향으로 다수의 돌기가 돌출형성는 한 쌍의 롤러가 상,하로 구비되되, 한 쌍의 상부롤러의 간격과 한 쌍의 하부롤러의 간격을 서로 달리하여 순차적으로 작은 입자로 파쇄를 행하도록 구비하고, 상기의 롤러에 의해 파쇄된 석재를 더 작은 입자로 파쇄하는 한 쌍의 롤러가 구비되어 각각 3단계를 거쳐 파쇄를 행하는 제3차 파쇄단계;
상기 제3차 파쇄단계를 거쳐 미세한 입자를 분리하는 것으로, 매쉬망을 갖는 선별판과, 상기 선별판의 일측부에는 상기 선별판을 진동을 행하여 미세한 입자를 하강 배출하는 제2차 분리단계;
상기 3차파쇄단계에서 파쇄된 석재가 제2차 분리단계를 통과하지 못하고 걸려진 것을 재 순환시켜 파쇄하는 것으로, 호퍼와 상기 호퍼 내측에는 외주연에 다수의 돌기가 구비되는 한 쌍의 롤러와, 상기 한 쌍의 롤러 하단에는 내측이 빈 공간을 갖는 롤러가 구비되되, 상기 롤러는 내주연에 쐐기형의 돌기가 다수 돌출되어 투입되는 석재를 원심력에 의해 회전시켜 쐐기형 돌기에 타격되도록 하여 더 파쇄를 행하는 제4차 파쇄단계;
상기 제2차 분리단계를 통과한 미세한 입자를 배출하는 배출단계;로 포함하는 석재 자동 처리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된다.
서술된 바에 의하면, 본 발명은 석재를 파쇄 분리함에 있어 전 공정을 자동화로 처리함으로써, 인건비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하여 경제적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산업분야를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석재 자동 처리시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석재 자동 처리시스템의 제1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석재 자동 처리시스템의 제1구성에 의해 석재가 분리 파쇄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석재 자동 처리시스템의 제2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석재 자동 처리시스템의 제3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a 및 6b는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석재 자동 처리시스템의 제3구성중 파쇄 롤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석재 자동 처리 시스템을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 용어들은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용어들의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석재 자동 처리시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로서, 본 발명은 폐 석재, 채굴 석재를 투입하는 석재 투입단계(S100)와;
투입된 석재 중 미세한 입자를 분리 배출하는 제1차 분리단계(S110)와;
투입된 석재를 파쇄하는 제1차 파쇄단계(S120)와;
제1차 파쇄된 석재를 더 미세한 입자로 파쇄하는 제2차 파쇄단계(S130)와;
제2차 파쇄된 석재를 더 미세한 입자로 파쇄하는 제3차 파쇄단계(S140)와;
제 3차 파쇄단계에서 미세한 입자를 분리하는 제2차 분리단계(S150)와;
제2차 분리단계에서 분리되지 않는 석재를 다시 파쇄하여 순환시키는 제4차 파쇄단계(S160)와;
상기 단계를 거쳐 미세하게 파쇄된 입자를 배출하는 배출단계(S170)로 구비된다.
첨부 도면 도 2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석재 자동 처리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석재 자동 처리시스템의 제1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석재 자동 처리시스템의 제1구성에 의해 석재가 분리 파쇄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석재 자동 처리시스템의 제2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석재 자동 처리시스템의 제3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a 및 6b는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석재 자동 처리시스템의 제3구성중 파쇄 롤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제1차 분리단계(S110)는 선별판(110)에 의해 미세한 입자를 선별하되, 상기 선별판(110)은 중앙에 메쉬망(111)이 형성되고, 상기 선별판(110)의 일측부는 힌지(112)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며, 타측은 풀리(113)에 의해 편심되게 구비되며, 상기 풀리(113)는 모터(114)와 연동되게 설치된다.
즉, 모터(114)가 작동을 하면 풀리(113)가 회전하면서 힌지(112)를 중심으로 선별판(110)이 일정한 각으로 회전진동하면서 미세한 입자가 걸려지는 것이다.
이와 같이 선별판(110)에 의해 걸려진 미세한 입자는 하단에 설치된 컨베이어(115)에 의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컨베이어(115)를 안내하는 롤러(116)는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져 설치되며 컨베이어 또한 "V"자 형상으로 구비하여 입자가 외측으로 낙하되는 것이 방지된다.
제1차 파쇄단계(S120)는 투입된 석재를 1차 파쇄하는 것으로, 승하강 직선운동 하는 파쇄펀치(121)가 구비되고, 상기 파쇄 펀치 하단에는 모터(123)축과 연동되게 설치되어 모터의 작동에 의해 일방향 회전하는 하부금형(122)이 구비되며, 상기 하부 금형의 일측부에는 상기 하부금형(122)을 단속하는 스토퍼(125)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유닛을 감싸는 호퍼(120)가 구비되며, 상기 호퍼의 하단은 파쇄된 석재를 이송하는 컨베이어(126)이 구비된다.
상기 컨베이어(126)는 안내하는 롤러는 내측으로 경사지게 구성함이 바람직하고 컨베이어(126) 또한 "V"자 형상으로 구비하여 컨베이어의 외측으로 석재가 낙하 되지 않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즉 제1차 파쇄단계(S120)에서는 석재가 하부금형(122)으로 투입되면, 상부 펀치(121)가 승하강하여 투입된 석재의 상부를 타격하여 파쇄되는 것이며, 파쇄펀치(121)가 상승하면 모터(123)의 작동에 의해 하부금형(122)이 회전하여 파쇄된 석재를 컨베이어(126) 낙하되어 다음 공정으로 이송된다.
그리고 하부금형(122)이 원상복귀시 하부금형(122)의 역회전은 스토퍼(125)에 의해 단속된다.
상기 제2차 파쇄단계(130)는 1차 파쇄된 석재를 더 작은 입자로 파쇄하는 것으로, 호퍼(130)와, 상기 호퍼의 내측에 설치되는 회전통(131)과 상기 회전통(131)의 상부 외주연에 설치되는 기어(132)와, 상기 회전통(131)의 측부에는 모터(133)가 구비되고 상기 모터(133)의 축에는 기어(134)가 구비되되, 상기 기어(132)(134)는 상호 연동되게 맞물려 설치되며, 상기 회전통(131)의 하부는 부싱(137)에 의해 안정되게 회전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회전통(131)의 내주연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돌기(135)가 구비되되, 상부 부터 하부로 돌출된 정도를 서로 달리하여 투입된 석재의 순차적인 파쇄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통(131)의 하단 경사부 표면에는 상기의 돌기(135)에 의해 파쇄된 석재의 파쇄가 더 이루어지도록 쐐기형상의 돌기(136)가 더 구비된다.
한편, 제3차 파쇄단계(140)는, 제2차 파쇄단계에 의해 파쇄된 석재를 더 작은 입자로 파쇄하는 것이로, 호퍼(14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부에 설치되어 1단계파쇄를 행하는 한 쌍의 롤러(141)와, 상기 롤러의 하단에 설치되어 2단계 파쇄를 행하는 한 쌍의 롤러(142)와, 상기 롤러(142)에 의해 파쇄된 석재를 더 파쇄하여 미세한 입자로 파쇄를 행하는 한 쌍의 롤러(143)로 구비되어 각 3단계에 걸쳐 파쇄를 행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롤러(141)(142)는 외주연에 다수의 돌기(141a)(142a)가 돌출 구성되며 롤러의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롤러(141)의 간격은 하단에 설치되는 롤러(142)의 간격보다 더 넓게 구비하여 순차적인 파쇄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롤러(141)(142)(143)의 간격은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제2차 분리단계(S150)는 상기 제3파쇄단계를 거쳐 미세하게 파쇄된 입자를 선별 배출하는 것으로, 매쉬망(151)을 갖는 선별판(150)과 선별판 일측부에 상기 선별판(150)으로 진동을 가해 미세 입자가 배출 되도록 하는 진동부(미도시함)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선별판(150)의 하단에는 낙하한 미세 입자를 외부로 배출하는 컨베이어(152)가 구비된다.
즉, 진동부에 의해 진동하는 선별판(150)의 매쉬망(151)으로 미세 입자가 하단으로 배출되며, 배출된 미세 입자는 컨베이어(170)에 의해 외부 배출된다.
이때 상기 컨베이어(152)는 입자가 측부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V"자 형태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2차 분리단계(S150)를 통과하지 못한 석재는 선별판(150)의 하단에 구비된 출구를 통해 컨베이어(163)에 의해 제4차 파쇄단계(S160)으로 이송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제4차 파쇄단계(S160)는, 호퍼(160)와, 상기 호퍼 내측에는 외주연에 다수의 돌기(161a)가 구비되는 한 쌍의 롤러(161)와, 상기 한 쌍의 롤러 하단에는 내측이 빈 공간부(162b)를 갖는 롤러(162)가 구비되되, 상기 롤러(162)의 내주연에 쐐기형의 돌기(162c)가 다수 돌출되며, 상기 롤러(161)에서 파쇄된 석재가 내부로 투입되게 투입구(162a)가 구비된다.
즉, 상기 롤러(161)에서 파쇄된 석재가 하단에 구비된 롤러(162)의 투입구(162a)로 유입되고, 회전되는 롤러(162)의 원심력에 의해 돌기(162c)와 충돌하면서 더욱 미세한 입자로 파쇄된다.
상기 제4차 파쇄단계(S160)를 거쳐 다시 파쇄된 석재는 컨베이어(164)의 이송에 의해 컨베이어(148)로 재 이송되며, 상기 컨베이어(148)에 의해 제3파쇄단계로 투입되어 제2선별단계에 의해 선별 및 배출단계(S170)에 의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전술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S100: 석재투입단계 S110: 제1차 분리단계
S120: 제1차 파쇄단계 S130: 제2차 파쇄단계
S140: 제3차 파쇄단계 S150: 제2차 분리단계
S160: 제4차 파쇄단계 S170: 배출단계
110: 선별판 111: 매쉬망
121: 파쇄펀치 122: 하부금형
125: 스토퍼 131: 회전통
135,136: 돌기 140 : 호퍼

Claims (2)

  1. 폐 석재, 채굴 석재를 투입하는 석재 투입단계;
    투입된 석재를 선별하는 것으로, 중앙에 메쉬망을 갖는 선별판이 구비되되, 상기 선별판 일측은 힌지에 의해 회동되도록 구비되며, 타측은 풀리에 편심되게 설치되고, 상기 풀리는 모터에 의해 회동되도록 구비되어 모터의 작동에 의하여 선별판의 진동에 의해 투입되는 석재 중 크기가 작은 입자는 하단에 구비되는 이송컨베어로 하강시키고 상기 이송컨베어에 의해 배출되는 제1차 분리단계;
    입자가 큰 석재를 파쇄하는 것으로, 승하강 하는 파쇄 펀치와 상기 파쇄 펀치의 하단에는 석재가 안착되며, 모터의 작동에 의해 일방향 회전하는 하부금형과, 상기 하부금형의 회전을 단속하는 스토퍼로 이루어지되, 상기 하부금형으로 석재가 투입되면 상기 파쇄펀치가 하강하여 석재를 파쇄하고, 하부금형이 회전함에 의해 파쇄된 석재가 하부에 구비된 컨베이어로 하강하여 다음 공정으로 이송을 행하는 제1차 파쇄단계;
    제1차 파쇄단계에 의해 1차 파쇄된 석재를 더 작은 입자로 파쇄하는 것으로, 호퍼와, 상기 호퍼의 내측에 설치되되 내주연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돌기가 구비되고, 상부로 부터 하부로 돌출된 정도를 서로 달리하여 투입된 석재의 순차적인 파쇄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며, 하단에는 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경사부 표면에는 상기의 돌기에 의해 파쇄된 석재의 파쇄가 더 이루어지도록 쐐기형상의 돌기가 더 구비된 회전통과, 상기 회전통의 상부 외주연에 설치되는 기어와, 상기 회전통의 측부에는 모터가 구비되고 상기 모터의 축에는 기어가 구비되되, 상기 기어는 상호 연동되게 맞물려 설치되며, 상기 회전통의 하부는 부싱에 의해 안정되게 회전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회전통에 의해 파쇄된 석재를 다음 과정으로 이송을 행하는 컨베이어로 구비되는 제2차 파쇄단계;
    상기 제2차 파쇄단계를 거쳐 파쇄된 석재를 더 작은 입자로 파쇄하는 것으로, 원주 방향으로 다수의 돌기가 돌출형성는 한 쌍의 롤러가 상,하로 구비되되, 한 쌍의 상부롤러의 간격과 한 쌍의 하부롤러의 간격을 서로 달리하여 순차적으로 작은 입자로 파쇄를 행하도록 구비하고, 상기의 롤러에 의해 파쇄된 석재를 더 작은 입자로 파쇄하는 한 쌍의 롤러가 구비되어 각각 3단계를 거쳐 파쇄를 행하는 제3차 파쇄단계;
    상기 제3차 파쇄단계를 거쳐 미세한 입자를 분리하는 것으로, 매쉬망을 갖는 선별판과, 상기 선별판의 일측부에는 상기 선별판을 진동을 행하여 미세한 입자를 하강 배출하는 제2차 분리단계;
    상기 제3차 파쇄단계에서 파쇄된 석재가 제2차 분리단계를 통과하지 못하고 걸려진 것을 재 순환시켜 파쇄하는 것으로, 호퍼와 상기 호퍼 내측에는 외주연에 다수의 돌기가 구비되는 한 쌍의 롤러와, 상기 한 쌍의 롤러 하단에는 내측이 빈 공간을 갖는 롤러가 구비되되, 상기 롤러는 내주연에 쐐기형의 돌기가 다수 돌출되어 투입되는 석재를 원심력에 의해 회전시켜 쐐기형 돌기에 타격되도록 하여 더 파쇄를 행하는 제4차 파쇄단계;
    상기 제2차 분리단계를 통과한 미세한 입자를 배출하는 배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자동 처리시스템.
  2. 삭제
KR1020190112657A 2019-09-11 2019-09-11 석재 자동 처리시스템 KR1021117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2657A KR102111709B1 (ko) 2019-09-11 2019-09-11 석재 자동 처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2657A KR102111709B1 (ko) 2019-09-11 2019-09-11 석재 자동 처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1709B1 true KR102111709B1 (ko) 2020-05-15

Family

ID=70678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2657A KR102111709B1 (ko) 2019-09-11 2019-09-11 석재 자동 처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1709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71576A (zh) * 2020-07-29 2020-11-03 襄阳市政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砖块回收用破碎装置及其使用方法
CN112473799A (zh) * 2020-11-11 2021-03-12 柳州市中晶科技有限公司 一种药品生产加工用粉碎研磨装置
CN112588347A (zh) * 2020-12-02 2021-04-02 于建锤 一种市政道路修补用废弃石块破碎机
CN112642516A (zh) * 2020-09-17 2021-04-13 武汉青铜科技信息咨询有限公司 一种有色金属用破碎处理设备及其破碎方法
CN112774791A (zh) * 2020-12-27 2021-05-11 余华东 一种高效环保矿石粉碎装置
CN114405643A (zh) * 2022-01-21 2022-04-29 东北农业大学 一种猪饲料粉碎装置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9683U (ja) * 1999-12-15 2000-06-23 株式会社キムラ ブラウン管等のガラス破砕機
KR200308843Y1 (ko) * 2002-12-23 2003-03-28 엠비렌탈주식회사 부순 모래 생산을 위한 시스템 구성 장치
KR100529690B1 (ko) * 2005-03-17 2005-11-21 (주)송대환경 건축 폐기물 분류장치 및 그 방법
JP2006007278A (ja) * 2004-06-25 2006-01-12 Ryoei Engineering Kk 固化鋳物砂の破砕再生装置
KR20060065195A (ko) 2004-12-10 2006-06-14 김용식 이동식 모래·자갈 세척 수처리 설비공정 시스템
KR101590960B1 (ko) * 2015-07-21 2016-02-02 신화환경개발 주식회사 콘크리트용 순환골재 파쇄 및 분리 선별장치
KR101651233B1 (ko) 2014-09-17 2016-09-05 주식회사 정도산업 석재 자동 이송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9683U (ja) * 1999-12-15 2000-06-23 株式会社キムラ ブラウン管等のガラス破砕機
KR200308843Y1 (ko) * 2002-12-23 2003-03-28 엠비렌탈주식회사 부순 모래 생산을 위한 시스템 구성 장치
JP2006007278A (ja) * 2004-06-25 2006-01-12 Ryoei Engineering Kk 固化鋳物砂の破砕再生装置
KR20060065195A (ko) 2004-12-10 2006-06-14 김용식 이동식 모래·자갈 세척 수처리 설비공정 시스템
KR100529690B1 (ko) * 2005-03-17 2005-11-21 (주)송대환경 건축 폐기물 분류장치 및 그 방법
KR101651233B1 (ko) 2014-09-17 2016-09-05 주식회사 정도산업 석재 자동 이송 방법 및 시스템
KR101590960B1 (ko) * 2015-07-21 2016-02-02 신화환경개발 주식회사 콘크리트용 순환골재 파쇄 및 분리 선별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71576A (zh) * 2020-07-29 2020-11-03 襄阳市政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砖块回收用破碎装置及其使用方法
CN112642516A (zh) * 2020-09-17 2021-04-13 武汉青铜科技信息咨询有限公司 一种有色金属用破碎处理设备及其破碎方法
CN112473799A (zh) * 2020-11-11 2021-03-12 柳州市中晶科技有限公司 一种药品生产加工用粉碎研磨装置
CN112588347A (zh) * 2020-12-02 2021-04-02 于建锤 一种市政道路修补用废弃石块破碎机
CN112774791A (zh) * 2020-12-27 2021-05-11 余华东 一种高效环保矿石粉碎装置
CN114405643A (zh) * 2022-01-21 2022-04-29 东北农业大学 一种猪饲料粉碎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1709B1 (ko) 석재 자동 처리시스템
KR102178279B1 (ko) 골재 선별장치
KR101223668B1 (ko) 건축폐기물에서 순환골재와 이물질의 선별 분리장치
CN110562768B (zh) 垃圾分散装置
JP2000225354A (ja) クラッシャ
KR101787666B1 (ko) 폐기물 파쇄장치
KR102050101B1 (ko) 재생 및 순환골재 선별기
CN114074014B (zh) 一种薄玻璃破碎筛分装置
CN110586629B (zh) 垃圾粗处理方法
CN210994502U (zh) 一种具有提升机构的稀土合金材料破碎装置
KR102132932B1 (ko) 풍력 토사 선별기
CN117443543A (zh) 一种多层立交桥式固废处理系统
KR100722569B1 (ko) 트로멜과 버켓을 이용한 골재 선별 방법 및 그 장치
KR102390539B1 (ko) 자동 골재 파쇄 및 선별 시스템
KR20120002198A (ko) 모바일 스크린 플랜트
KR20030063758A (ko) 건설폐기물에서의 재생골재 선별장치
KR102307715B1 (ko) 폐석고보드 파분쇄장치
KR100465313B1 (ko) 건설폐기물 재활용골재 선별장치
CN210098206U (zh) 一种茶砖原料筛分装置
KR101629369B1 (ko) 폐비닐 선별 시스템
KR102085362B1 (ko) 폐각 분쇄 장치
KR101839532B1 (ko) 골재 분리장치
KR101882387B1 (ko) 골재 선별 회수장치
KR20020029059A (ko) 폐기물선별장치
KR101785218B1 (ko) 폐기물선별장치로 투입되는 폐기물을 정량으로 연속하여 공급하는 정량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