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9532B1 - 골재 분리장치 - Google Patents

골재 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9532B1
KR101839532B1 KR1020170069164A KR20170069164A KR101839532B1 KR 101839532 B1 KR101839532 B1 KR 101839532B1 KR 1020170069164 A KR1020170069164 A KR 1020170069164A KR 20170069164 A KR20170069164 A KR 20170069164A KR 101839532 B1 KR101839532 B1 KR 1018395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gregate
size
outlet
hopper
storag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9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숙
Original Assignee
김종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숙 filed Critical 김종숙
Priority to KR10201700691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95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95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95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18Drum screens
    • B07B1/22Revolving 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2Drive mechanisms, regulating or controlling devices, or balanc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6Feed or discharge arrangements

Landscapes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골재 분리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구체예들에 따른 골재 분리장치는 길이 방향과 원통형 몸체의 원주 방향으로 정렬되어 형성되는 분리홈이 형성된 회전드럼을 호퍼의 배출구에 접하도록 배치함으로써 상기 분리홈을 통해 크기별로 골재를 분리할 수 있으며, 이러한 회전드럼을 높이 방향으로 복수개 설치함으로써 여러 크기를 갖는 골재들을 크기별로 4종류로 분리하는 것이 가능한 바, 골재 분리 작업의 효율을 크게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골재 분리장치{APPRATUS FOR SEPARATING AGGREGAT}
본 발명은 골재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파쇄된 골재를 크기별로 분리시키는 골재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골재는 하천, 산림, 공유수명, 기타 지상, 지하 등에 부존되어 있는 암석, 모래, 자갈 등을 통칭하는 것으로, 건설공사의 기초재로 사용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골재는 석재를 가공하여 형성하는 경우도 있고 순환골재와 같이 건설폐기물을 재활용하여 형성하기도 한다. 전자의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큰 크기의 석재를 파쇄장치 등을 이용하여 적정크기로 파쇄하여 운반한 후, 조크라셔(Jaw crusher) 등에서 1차 파쇄하고 콘크라셔(Cone crusher) 등을 이용하여 더 작은 크기로 파쇄하는 과정을 거친다. 또한 현장에서 요구되는 골재의 크기가 각각 상이할 수 있는 바, 이러한 골재들을 크기별로 분류하는 작업을 거치게 된다. 후자의 경우에는 건설현장에서 배출되는 건설폐기물을 파쇄, 선별, 입자조정 등의 물리적 또는 화학적 처리과정을 거쳐, 특정 기준에 적합하도록 가공한 후, 건설토목공사 등에 다시 사용하게 된다. 여기에서도 마찬가지로 골재들을 크기별로 분류하는 작업을 거치게 된다.
골재의 크기별 분리를 위해 종래에는 진동스크린이 주로 이용되어 왔다. 예컨대 한국등록특허 제10-1355785호에 개시된 것과 같이, 복수개로 분할된 스크린보드가 순차적으로 회전되면서 진동을 발생시킴으로써 일정크기 이하의 골재를 선별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스크린보드를 이용한 골재 분리의 경우 골재의 선별 능력이 아직은 부족하여 많은 추가 작업이 요구되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다른 방식의 골재 분리장치를 설계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특허문헌 1: 한국등록특허 제10-1355785호 (2014.01.20 등록)
본 발명은 여러 크기를 갖는 골재들이 혼합된 골재로부터 크기별로 골재를 분리할 수 있는 골재 분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1 골재를 운반하는 제1 벨트부와, 제1 벨트부로부터 제1 골재를 제공받아 제1 골재로부터 제1 크기 이하의 제2 골재를 분리시켜 저장하고 제2 크기(제2 크기는 제1 크기보다 작음) 이하의 제3 골재를 하부로 배출시키는 제1 분리부와, 제1 분리부로부터 제3 골재를 제공받아 제3 크기(제3 크기는 제2 크기보다 작음) 이하의 제4 골재를 분리시켜 저장하는 제2 분리부와, 제2 벨트부 및 제3 벨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분리부는, 제1 벨트부의 단부와 근접하게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고 하부에는 제1 배출구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제1 골재를 수용하는 제1 호퍼와; 상기 제1 호퍼의 제1 배출구 하부에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고 회전되는 제1 원통형 몸체와, 상기 제1 원통형 몸체의 길이 방향과 원주 방향으로 정렬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 크기와 상응하는 크기를 갖는 복수의 제1 분리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원통형 몸체의 측부 표면의 일부가 상기 제1 배출구에 근접하여 배치됨으로써 상기 제1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제1 골재 중 제1 크기 이하의 제2 골재를 상기 제1 분리홈에 수용하는 제 1 회전드럼과; 상기 제1 회전드럼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 회전드럼으로부터 낙하하는 제2 골재를 수용하는 제1 저장 몸체와, 상기 제1 저장 몸체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2 크기 이하의 제3 골재를 하방향으로 통과시키는 메쉬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제1 운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분리부는, 제1 운반부의 하부에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고 하부에는 제2 배출구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제3 골재를 수용하는 제2 호퍼와; 상기 제2 호퍼의 제2 배출구 하부에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고 회전되는 제2 원통형 몸체와, 상기 제2 원통형 몸체의 길이 방향과 원주 방향으로 정렬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3 크기와 상응하는 크기를 갖는 복수의 제2 분리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원통형 몸체의 측부 표면의 일부가 상기 제2 배출구에 근접하여 배치됨으로써 제2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제3 골재 중 제3 크기 이하의 제4 골재를 상기 제2 분리홈에 수용하는 제2 회전드럼과; 상기 제2 회전드럼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2 회전드럼으로부터 낙하하는 제4 골재를 수용하는 제2 저장 몸체를 포함하는 제2 운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벨트부는 상기 제1 운반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제1 운반부를 길이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것으로, 복수의 회전축과, 각 회전축의 일단부에 결합하는 제1 롤러와, 각 회전축의 타단부에 결합하는 제2 롤러와, 제1 롤러들을 감싸되 상기 제1 저장 몸체의 일측 하단부를 안착시키는 안착부가 형성된 제1 벨트와, 제2 롤러들을 감싸되 상기 제1 저장 몸체의 타측 하단부를 안착시키는 안착부가 형성된 제2 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벨트부는 상기 제2 운반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제2 운반부를 길이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골재 분리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삭제
또한, 상기 메쉬 플레이트에는 제1 저장 몸체의 무게를 실시간 센싱하는 제1 무게 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제2 저장 몸체의 하부에는 제2 저장 몸체의 무게를 실시간 센싱하는 제2 무게 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분리부는, 일단이 상기 제1 호퍼의 제1 배출구에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제1 회전드럼의 제1 원통형 몸체의 측부 표면에 접하도록 위치되는 한 쌍의 제1 스톱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분리부는, 일단이 상기 제2 호퍼의 제2 배출구에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제2 회전드럼의 제2 원통형 몸체의 측부 표면에 접하도록 위치되는 한 쌍의 제2 스톱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들에 따른 골재 분리장치는 길이 방향과 원통형 몸체의 원주 방향으로 정렬되어 형성되는 분리홈이 형성된 회전드럼을 호퍼의 배출구에 접하도록 배치함으로써 상기 분리홈을 통해 크기별로 골재를 분리할 수 있으며, 이러한 회전드럼을 높이 방향으로 복수개 설치함으로써 여러 크기를 갖는 골재들을 크기별로 4종류로 분리하는 것이 가능한 바, 골재 분리 작업의 효율을 크게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골재 분리장치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골재 분리장치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을 구체적인 예시를 들어 기술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하기의 설명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 각 부재의 두께나 크기 등은 설명의 편의 등을 위해 과장, 생략, 개략적으로 도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본 발명 구조에 대한 설명에서 위치관계나 방향은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기준으로 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본 발명 구조에 대한 설명에서 공간에 대한 설명이나 위치관계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을 이루는 구성요소들 간의 상대적인 위치를 의미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골재 분리장치(100)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골재 분리장치(100)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골재 분리장치(100)는 제1 벨트부(10), 제1 분리부(120), 제2 분리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벨트부(10)는 제1 골재를 운반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골재는 다양한 크기를 갖는 골재들이 혼합되어 있는 골재를 의미한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제1 골재는 서로 다른 4개의 크기를 갖는 골재들이 혼합될 수 있다. 관련하여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도 1에서는 크기별 골재들을 각각 부호 ①, ②, ③, ④ 로 표기하고 있으며, 골재들의 크기는 ① > ② > ③ > ④ 이다.
제1 분리부(120)에서는 제1 벨트부(10)로부터 제1 골재(①, ②, ③, ④ 골재가 모두 혼합됨)를 제공받고 제1 크기 이하의 제2 골재를 분리시켜 저장한다. 그리고 제2 크기 이하의 제3 골재는 하부로 배출시킨다. 즉, 제1 분리부(120)를 통해 제1 골재가 제1 크기를 초과하는 골재(도 1에서 부호 ①), 제1 크기 이하 및 제2 크기 초과인 골재(도 1에서 부호 ②), 제2 크기 이하인 골재(도 1에서 부호 ③, ④)로 분리된다(3종류). 본 명세서에서 제2 골재는 제1 분리부(120)에 저장되는 골재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제2 골재는 제1 크기 이하 및 제2 크기 초과에 해당하는 크기를 갖는다(도 1에서 부호 ②).
제2 분리부(130)에서는 제1 분리부(120)로부터 제3 골재(도 1에서 부호 ③, ④)를 제공받고 제3 크기 이하의 제4 골재(도 1에서 부호 ④)를 분리시켜 저장한다. 즉, 제2 분리부(130)를 통해 제3 골재가 제3 크기를 초과하는 골재(도 1에서 부호 ③)와, 제3 크기 이하인 골재(도 1에서 부호 ④)로 분리된다(2종류). 본 명세서에서 제3 골재는 제1 분리부(120)로부터 제공받는 골재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제3 골재는 제2 크기 이하에 해당하는 크기를 갖는다(도 1에서 부호 ③, ④).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제4 골재는 제2 분리부(130)에 저장되는 골재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제4 골재는 제3 크기 이하에 해당하는 크기를 갖는다(도 1에서 부호 ④).
종합하자면, 본 발명의 구체예들에 따른 골재 분리장치를 통해 크기별 골재들이 혼합되어 있는 골재들로부터 서로 다른 4 종류의 크기별 골재들을 각각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골재 분리 작업 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각 구성요소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 벨트부(10), 제1 분리부(120), 제2 분리부(130)는 모두 프레임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골재 분리 장치(100)의 외관을 이루는 것으로 수평 부재와 수직 부재가 짜여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제1 벨트부(10), 제1 분리부(120), 제2 분리부(130)을 배치시킬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면 충분하고, 특정 형태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물론 이하에서 설명할 제1 벨트부(10), 제1 분리부(120) 및 제2 분리부(130)의 동작과 관련하여 각 구성요소들이 상호 간섭을 일으켜 서로의 동작에 방해되지 않도록 프레임에 배치되는 것을 전제로 한다.
제1 벨트부(10)는 제1 골재(①+②+③+④)를 제1 분리부(120)로 운반하는 역할을 한다. 제1 벨트부(10)는 통상의 운반용 밸트장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운반용 밸트장치의 기술 원리 및 세부 기술적 사항은 당업계에 알려져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제1 벨트부(10)는 제1 골재(①+②+③+④)를 도 1을 기준으로 좌측에서 우측 방향으로 운반한다.
제1 분리부(120)는 제1 호퍼(121), 제1 회전드럼(124), 제1 운반부(127)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호퍼(121)는 제1 벨트부(10)의 단부와 근접하게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고 하부에는 제1 배출구(121a, 도 2 참고)가 형성된다. 여기에서 "길이 방향"은 도 1을 기준으로 가로 방향을 의미하며 이하에서도 마찬가지다. 제1 호퍼(121)는 바스켓 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하부가 개방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개방된 상부로 제1 골재(①+②+③+④)가 투입될 수 있다. 뒤에서 설명하겠지만 제1 배출구(121a)는 제1 회전드럼(124)에 의해 막혀 있으므로 제1 호퍼(121)의 내부에 제1 골재(①+②+③+④)가 수용될 수 있다.
제1 회전드럼(124)은 제1 원통형 몸체(125)와 제1 분리홈(126)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 원통형 몸체(125)의 중심부에는 회전축(미도시)이 결합되거나 제1 원통형 몸체(125)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은 상술한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으며, 통상의 구동모터 등에 의해 회동 동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제1 원통형 몸체(125)는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제1 원통형 몸체(125)는 제1 호퍼(121)의 제1 배출구(121a)와 근접하도록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다.
제1 분리홈(126)은 제1 호퍼(121)로부터 배출되는 제1 골재의 일부를 일시적으로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제1 분리홈(126)은 길이 방향과 제1 원통형 몸체(125)의 원주 방향으로 정렬되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제1 분리홈(126)이 제1 원통형 몸체(125)의 길이 방향으로 일렬로 정렬되어 형성된다. 이 때, 제1 분리홈(126)은 소정 간격을 유지한다. 일렬로 정렬된 복수의 제1 분리홈(126)을 한 세트로 하여, 복수의 세트가 제1 원통형 몸체(125)의 원주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어 형성된다.
제1 분리홈(126)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도 1,2에서는 슬릿형으로 형성되어 있음), 제1 분리홈(126)의 크기는 제1 크기와 상응하도록 특정된다. 여기에서 제1 크기는 임의적 크기로써 제1 골재(①+②+③+④)들 중에서 제1 크기를 초과하는 골재들을 걸러내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제1 골재로부터 직경 6cm를 초과하는 골재들을 걸러내기 위해서, 제1 분리홈(126)은 직경 6cm를 초과하는 골재가 들어갈 수 없는 크기 범위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원통형 몸체(125)는 측부 표면이 제1 호퍼(121)의 제1 배출구(121a)에 근접하여 배치된다. 따라서 제1 원통형 몸체(125)가 회전하면 상기 한 세트의 제1 분리홈(126)이 순차대로 제1 호퍼(121)의 제1 배출구(121a)에 노출된다. 이에 따라 제1 호퍼(121)에 수용된 제1 골재 중 제1 분리홈(126)에 들어갈 수 있는 크기를 갖는 골재들(즉, 제1 크기 이하의 골재들)이 제1 분리홈(126)에 수용될 수 있다.
한편, 제1 분리부(120)는 제1 호퍼(121)의 제1 배출구(121a)에 결합되는 한 쌍의 제1 스톱퍼(1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톱퍼(123)의 일단은 제1 호퍼(121)의 제1 배출구(121a)에 결합된다. 제1 스톱퍼(123)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타단부에는 날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스톱퍼(123)의 일단은 제1 배출구(121a)에 길이 방향으로 결합한다. 이 때, 제1 스톱퍼(123)의 타단은 제1 회전드럼(124)의 제1 원통형 몸체(125)의 측부 표면에 접하도록 위치된다. 제1 스톱퍼(123)의 타단에는 날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1 원통형 몸체(125)가 회전하면 제1 호퍼(121)에 수용된 제1 골재들 중에서 제1 분리홈(126)에 수용되지 않고 제1 원통형 몸체(125)의 측부 표면에 놓여진 골재들이 상기 날에 의해 막히거나, 채워지지 않은 제1 분리홈(126)으로 진입할 수 있다.
제1 배출구(121a) 하부에 노출되는 제1 분리홈(126)에는 제1 호퍼(121) 내에 수용된 제1 골재들 중 제1 크기 이하의 골재들이 수용된다. 그리고 제1 회전드럼(124)의 제1 원통형 몸체(125)가 회전하여 제1 분리홈(126)이 제1 스톱퍼(123)를 지나치게 된다. 이어서 제1 분리홈(126)이 제1 원통형 몸체(125)의 하부분에 위치하면 중력에 의해 제1 분리홈(126)에 수용된 골재(②+③+④)들이 낙하한다. 이에 따라, 제1 호퍼(121)의 내부에는 제1 크기를 초과하는 골재(도 1에서 부호 ①)만 남게 된다. 한편, 제1 호퍼(121)의 측부에는 제1 개폐구(122a, 도 1 참고)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호퍼(121)의 내부에 남게 된 제1 크기를 초과하는 골재(도 1에서 부호 ①)들은 제1 개폐구(122a)를 통해 배출시킬 수 있다.
제1 운반부(127)는 제1 저장 몸체(128)과, 제1 저장 몸체(128)의 하부에 결합되는 메쉬 플레이트(129)를 포함할 수 있다(도 2 참고). 제1 저장 몸체(128)는 바스켓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상하부는 중앙 부분이 개방된 형태의 플레이트로 형성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제1 저장 몸체(128)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플레이트가 보다 넓은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고, 하부 플레이트가 보다 좁은 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플레이트의 양측 단부로부터 하부 플레이트의 양측 단부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몸체의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부 플레이트의 개방된 중앙 부분을 둘러싸는 테두리 부분은 소정 크기의 면적을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제1 회전드럼(124)으로부터 낙하하는 골재들이 제1 저장 몸체(128) 내부로 진입하지 않는 경우에도 상기 테두리 부분으로 낙하할 수 있도록 한다.
메쉬 플레이트(129)는 전면에 타공이 형성되거나 메쉬망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메쉬 플레이트(129)는 제1 저장 몸체(128)의 저면에 결합된다. 메쉬 플레이트(129)의 타공 크기 또는 메쉬의 크기는 제2 크기와 상응하도록 특정된다. 여기에서 제2 크기는 임의적 크기로써 제1 분리홈(126)에 수용 가능한 골재(②+③+④)들 중에서 제2 크기를 초과하는 골재(②)를 걸러내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제1 분리홈(126)에 수용되는 직경 6cm 이하의 골재들 중에서 직경 4cm를 초과하는 골재들을 걸러내기 위해서, 메쉬 플레이트의 타공 크기 또는 메쉬의 크기는 직경 4cm를 초과하는 골재가 들어갈 수 없는 크기 범위로 형성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메쉬 플레이트(129)는 2 이상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하나의 메쉬 플레이트(129)가 제1 저장 몸체(128)의 저면에 결합되고, 또 하나의 메쉬 플레이트(129)가 저면에 결합된 메쉬 플레이트(129)보다 조금 높은 위치에 결합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메쉬 플레이트(129)에는 제1 저장 몸체(128)의 무게를 실시간 센싱하는 제1 무게 센서(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무게 센서(미도시)는 제1 저장 몸체(128)의 무게를 실시간 센싱하고, 미리 정해진 기준치에 제1 저장 몸체(128)의 무게가 도달하는 경우에 이를 알릴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골재 분리장치(100)는 제1 운반부(127)의 하부에 설치되어 제1 운반부(127)를 길이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2 벨트부(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벨트부(20)는 복수의 회전축(21)과, 각 회전축(21)의 일단부에 결합하는 제1 롤러(22)와, 각 회전축(21)의 타단부에 결합하는 제2 롤러(23)와, 제1 롤러(22)들을 감싸되 제1 저장 몸체(128)의 일측 하단부를 안착시키는 안착부가 형성된 제1 벨트(24)와, 제2 롤러(23)들을 감싸되 제1 저장 몸체(128)의 타측 하단부를 안착시키는 안착부(25a)가 형성된 제2 벨트(25)를 포함할 수 있다. 안착부(25a)는 제2 저장 몸체(128)의 하부 플레이트의 측부와 상응하도록 소정 크기 내측으로 인입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제2 벨트부(20)는 제1 밸트(24)와 제2 밸트(25)를 분리하여 양측에 배치되는 제1 롤러(22), 제2 롤러(23)를 각각 감싸도록 구성됨으로써, 제1 저장 몸체(128)를 이송시킬수 있고 제1 저장 몸체(128)의 하부로 빠져나가는 골재들을 차단하지도 않는다.
즉, 제1 운반부(127)에서의 골재 이동에 대해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제1 호퍼(121) 및 제1 회전드럼(124)의 구동에 의해 제1 호퍼(121)의 내부에는 제1 크기를 초과하는 골재(도 1에서 부호 ①)만 남게 되고, 제1 크기 이하의 골재(도 1에서 부호 ②+③+④)들은 제1 운반부(127)의 제1 저장 몸체(128)로 낙하한다. 그리고 제1 저장 몸체(128)의 하부에 결합되는 메쉬 플레이트(129)가 제2 크기에 해당하는 타공 크기 또는 메쉬 크기를 가지고 있으므로, 제1 저장 몸체(128)의 내부에는 제2 크기를 초과하는 골재(도 1에서 부호 ②)만 남게 되고, 제2 크기 이하의 골재(도 1에서 부호 ③+④)들은 메쉬 플레이트(129)를 통과하여 낙하한다. 이 때, 제1 운반부(127)의 하부에는 제2 벨트부(20)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으나, 제2 벨트부(20)는 골재의 낙하를 방해하지 않으므로, 상술한 제2 크기 이하의 골재(도 1에서 부호 ③+④)들은 제2 벨트부(20)를 통과하여 낙하할 수 있다.
제2 분리부(130)는 제2 호퍼(131), 제2 회전드럼(134), 제2 운반부(137)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분리부(130)는 제1 분리부(120)와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지는 바, 이하에서는 중복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나는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제2 호퍼(131)는 제1 호퍼(121)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2 호퍼(131)의 개방된 상부로 제3 골재(③+④)가 투입될 수 있다. 제2 호퍼(131)의 하부에는 제2 배출구(131a)가 형성되고, 제2 배출구(131a)는 제2 회전드럼(134)에 의해 막혀 있으므로 제2 호퍼(131)의 내부에 제3 골재(③+④)가 수용될 수 있다.
제2 회전드럼(134)은 제2 원통형 몸체(135)와 제2 분리홈(136)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회전드럼(134)은 상술한 제1 회전드럼(124)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2 분리홈(136)은 제2 호퍼(131)로부터 배출되는 제3 골재(③+④)의 일부를 일시적으로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관련하여 제2 분리홈(136)의 크기는 제3 크기와 상응하도록 특정된다. 여기에서 제3 크기는 임의의 크기로써 제3 골재(③+④)들 중에서 제3 크기를 초과하는 골재(③)를 걸러내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제3 골재들로부터 직경 2cm를 초과하는 골재들을 걸러내기 위해서, 제2 분리홈(136)은 직경 2cm를 초과하는 골재가 들어갈 수 없는 크기 범위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2 분리부(130)는 제2 호퍼(131)의 제2 배출구(131a)에 결합되는 한 쌍의 제2 스톱퍼(1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스톱퍼(133)는 상술한 제1 스톱퍼(123)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2 배출구(131a) 하부에 노출되는 제2 분리홈(136)에는 제2 호퍼(131) 내에 수용된 제3 골재들 중 제3 크기 이하의 골재들이 수용된다. 그리고 제2 회전드럼(134)의 제2 원통형 몸체(135)가 회전하여 제2 분리홈(136)이 제2 스톱퍼(133)를 지나치게 된다. 이어서 제2 분리홈(136)이 제2 원통형 몸체(135)의 하부분에 위치하면 중력에 의해 제2 분리홈(136)에 수용된 골재(④)들이 낙하한다. 이에 따라, 제2 호퍼(131)의 내부에는 제3 크기를 초과하는 골재(도 1에서 부호 ③)만 남게 된다. 한편, 제2 호퍼(131)의 측부에는 제2 개폐구(132a, 도 1 참고)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호퍼(131)의 내부에 남게 된 제3 크기를 초과하는 골재(도 1에서 부호 ③)들은 제2 개폐구(132a)를 통해 배출시킬 수 있다.
제2 운반부(137)는 제2 저장 몸체(미표기)를 포함한다. 제2 저장 몸체는 상술한 제1 저장 몸체(128)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는 바,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제2 저장 몸체는 제1 저장 몸체(128)와는 달리 메쉬 플레이트가 하부에 결합되지 않을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제2 저장 몸체의 하부에는 제2 저장 몸체의 무게를 실시간 센싱하는 제2 무게 센서(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무게 센서(미도시)는 제2 저장 몸체의 무게를 실시간 센싱하고, 미리 정해진 기준치에 제2 저장 몸체의 무게가 도달하는 경우에 이를 알릴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골재 분리장치(100)는 제2 운반부(137)의 하부에 설치되어 제2 운반부(137)를 길이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3 벨트부(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벨트부(30)는 통상의 운반용 밸트장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운반용 밸트장치의 기술 원리 및 세부 기술적 사항은 당업계에 알려져 있다.
즉, 제2 분리부(130)에서의 골재 이동에 대해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제1 분리부(120)에서는 제2 크기 이하의 골재(도 1의 부호 ③+④)를 낙하시킨다. 제2 분리부(130)에서 제2 호퍼(131) 및 제2 회전드럼(134)의 구동에 의해 제2 호퍼(131)의 내부에는 제3 크기를 초과하는 골재(도 1에서 부호 ③)만 남게 되고, 제3 크기 이하의 골재(도 1에서 부호 ④)들은 제2 운반부(137)의 제2 저장 몸체로 낙하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예들에 따른 골재 분리장치(100)는 제1 분리부(120) 및 제2 분리부(130)를 통해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골재들을 크기별로 4종류로 분리할 수가 있다. 또한 제1 운반부(127)나 제2 운반부(137)는 각각 벨트부(20,30)를 통해 이송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바, 제1 운반부(127)의 제1 저장 몸체(128), 제2 운반부(137)의 제2 저장 몸체에 골재들이 가득 차게 되면 전방으로 이송시키고 후방에 대기하고 있는 다른 저장 몸체들에 골재들을 수용할 수 있다.
상술한 벨트부(10,20,30), 제1 분리부(120) 및 제2 분리부(130)의 구성요소들은 전자적으로 제어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제어부(미도시, 통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컴퓨터 장치 등)가 추가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골재 분리장치(100)의 각 구성요소들을 전자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상술한 것과 같이 제1 운반부(127)의 제1 저장 몸체(128), 제2 운반부(137)의 제2 저장 몸체에는 각각 무게 센서가 배치된다. 이 때, 제1 저장 몸체(128)에 배치된 제1 무게 센서가 미리 정해진 기준치에 제1 저장 몸체(128)의 무게가 도달했음을 상기 제어부에 알릴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제2 벨트부(20)를 구동시켜 골재로 가득찬 제1 운반부(127)를 전방으로 이송시키고, 뒤에 대기하고 있는 다른 제1 운반부(127)를 제1 회전드럼(124)의 하부에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동시에 제1 회전드럼(124)의 구동을 멈춤으로써 골재가 낙하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구현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기술의 구체적 적용에 따른 단순한 설계변경, 일부 구성요소의 생략, 단순한 용도의 변경 등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형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됨은 자명하다.
100 : 골재 분리장치
120: 제1 분리부
121: 제1 호퍼
124: 제1 회전드럼
127: 제1 운반부
130: 제2 분리부
131: 제2 호퍼
134: 제2 회전드럼
137: 제2 운반부
10: 제1 벨트부
20: 제2 벨트부
30: 제3 벨트부

Claims (4)

  1. 제1 골재를 운반하는 제1 벨트부와, 제1 벨트부로부터 제1 골재를 제공받아 제1 골재로부터 제1 크기 이하의 제2 골재를 분리시켜 저장하고 제2 크기(제2 크기는 제1 크기보다 작음) 이하의 제3 골재를 하부로 배출시키는 제1 분리부와,
    제1 분리부로부터 제3 골재를 제공받아 제3 크기(제3 크기는 제2 크기보다 작음) 이하의 제4 골재를 분리시켜 저장하는 제2 분리부와,
    제2 벨트부 및 제3 벨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분리부는, 제1 벨트부의 단부와 근접하게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고 하부에는 제1 배출구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제1 골재를 수용하는 제1 호퍼와; 상기 제1 호퍼의 제1 배출구 하부에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고 회전되는 제1 원통형 몸체와, 상기 제1 원통형 몸체의 길이 방향과 원주 방향으로 정렬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 크기와 상응하는 크기를 갖는 복수의 제1 분리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원통형 몸체의 측부 표면의 일부가 상기 제1 배출구에 근접하여 배치됨으로써 상기 제1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제1 골재 중 제1 크기 이하의 제2 골재를 상기 제1 분리홈에 수용하는 제 1 회전드럼과; 상기 제1 회전드럼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 회전드럼으로부터 낙하하는 제2 골재를 수용하는 제1 저장 몸체와, 상기 제1 저장 몸체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2 크기 이하의 제3 골재를 하방향으로 통과시키는 메쉬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제1 운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분리부는, 제1 운반부의 하부에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고 하부에는 제2 배출구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제3 골재를 수용하는 제2 호퍼와; 상기 제2 호퍼의 제2 배출구 하부에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고 회전되는 제2 원통형 몸체와, 상기 제2 원통형 몸체의 길이 방향과 원주 방향으로 정렬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3 크기와 상응하는 크기를 갖는 복수의 제2 분리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원통형 몸체의 측부 표면의 일부가 상기 제2 배출구에 근접하여 배치됨으로써 제2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제3 골재 중 제3 크기 이하의 제4 골재를 상기 제2 분리홈에 수용하는 제2 회전드럼과; 상기 제2 회전드럼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2 회전드럼으로부터 낙하하는 제4 골재를 수용하는 제2 저장 몸체를 포함하는 제2 운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벨트부는 상기 제1 운반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제1 운반부를 길이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것으로, 복수의 회전축과, 각 회전축의 일단부에 결합하는 제1 롤러와, 각 회전축의 타단부에 결합하는 제2 롤러와, 제1 롤러들을 감싸되 상기 제1 저장 몸체의 일측 하단부를 안착시키는 안착부가 형성된 제1 벨트와, 제2 롤러들을 감싸되 상기 제1 저장 몸체의 타측 하단부를 안착시키는 안착부가 형성된 제2 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벨트부는 상기 제2 운반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제2 운반부를 길이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골재 분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쉬 플레이트에는 제1 저장 몸체의 무게를 실시간 센싱하는 제1 무게 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제2 저장 몸체의 하부에는 제2 저장 몸체의 무게를 실시간 센싱하는 제2 무게 센서가 설치되는 골재 분리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분리부는, 일단이 상기 제1 호퍼의 제1 배출구에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제1 회전드럼의 제1 원통형 몸체의 측부 표면에 접하도록 위치되는 한 쌍의 제1 스톱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분리부는, 일단이 상기 제2 호퍼의 제2 배출구에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제2 회전드럼의 제2 원통형 몸체의 측부 표면에 접하도록 위치되는 한 쌍의 제2 스톱퍼를 더 포함하는 골재 분리장치.
  4. 삭제
KR1020170069164A 2017-06-02 2017-06-02 골재 분리장치 KR1018395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9164A KR101839532B1 (ko) 2017-06-02 2017-06-02 골재 분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9164A KR101839532B1 (ko) 2017-06-02 2017-06-02 골재 분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9532B1 true KR101839532B1 (ko) 2018-03-16

Family

ID=61910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9164A KR101839532B1 (ko) 2017-06-02 2017-06-02 골재 분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953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74393A (ja) 2002-11-27 2004-06-24 Sumitomo (Shi) Construction Machinery Manufacturing Co Ltd ロール回転式篩装置
KR101233242B1 (ko) 2012-08-01 2013-02-14 전종호 과실 손상방지 기능을 갖는 블루베리 선별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74393A (ja) 2002-11-27 2004-06-24 Sumitomo (Shi) Construction Machinery Manufacturing Co Ltd ロール回転式篩装置
KR101233242B1 (ko) 2012-08-01 2013-02-14 전종호 과실 손상방지 기능을 갖는 블루베리 선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8279B1 (ko) 골재 선별장치
KR101223668B1 (ko) 건축폐기물에서 순환골재와 이물질의 선별 분리장치
JP5770780B2 (ja) がれき類処理装置
KR102111709B1 (ko) 석재 자동 처리시스템
KR101068582B1 (ko) 건설 폐기물의 선별 분리장치
CN103240157A (zh) 垃圾分类回收处理系统及垃圾分类回收方法
KR101795518B1 (ko) 골재 선별장치
CN207103398U (zh) 移动式建筑垃圾处理设备
EP234661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laiming material
KR101952538B1 (ko) 건축 자재용 골재 생산을 위한 파쇄 플랜트 시스템
KR20140105041A (ko) 폐기물의 파쇄 및 선별장치와 그 방법
ES2587560B1 (es) Máquina para el reciclaje de placas de yeso laminado, procedimiento de separación realizado por dicha máquina y utilización de la misma
JP3342851B2 (ja) 混合廃棄物の分別処理システム
KR101839532B1 (ko) 골재 분리장치
KR101882387B1 (ko) 골재 선별 회수장치
KR101882388B1 (ko) 복수의 크기별로 골재를 선별 가능한 골재 선별 회수장치
CN203235535U (zh) 垃圾分类回收处理系统
CN106076855B (zh) 垃圾自动分选成套设备
KR20120002198A (ko) 모바일 스크린 플랜트
KR100494579B1 (ko) 폐기물선별장치
KR100465313B1 (ko) 건설폐기물 재활용골재 선별장치
KR20150139070A (ko) 원심 분리 장치
KR100751838B1 (ko) 건축 폐기물의 분리장치
CN114101273A (zh) 一种建筑垃圾的回收加工处理方法
KR20060027923A (ko) 건설폐기물의 파쇄선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