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9070A - 원심 분리 장치 - Google Patents

원심 분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9070A
KR20150139070A KR1020140066771A KR20140066771A KR20150139070A KR 20150139070 A KR20150139070 A KR 20150139070A KR 1020140066771 A KR1020140066771 A KR 1020140066771A KR 20140066771 A KR20140066771 A KR 20140066771A KR 20150139070 A KR20150139070 A KR 201501390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ntrifugal
centrifugal separator
separation
units
sepa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6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병남
조돈균
Original Assignee
윤병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병남 filed Critical 윤병남
Priority to KR10201400667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39070A/ko
Publication of KR201501390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90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18Drum screens
    • B07B1/22Revolving 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2Drive mechanisms, regulating or controlling devices, or balanc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6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 B07B1/4609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ing surfaces or me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6Feed or discharge arrang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원심 분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심 분리 장치는,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분리 대상물이 투입되는 공급부와, 공급부와 인접하여 배치되며, 일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분리 대상물을 크기에 따라 분리하는 복수의 원심 분리부와, 복수의 원심 분리부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며, 복수의 원심 분리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 구동부와, 복수의 원심 분리부 각각의 하단에 배치되며, 복수의 원심 분리부로부터 크기에 따라 분리되는 분리 대상물을 회수하는 복수의 회수부 및 복수의 원심 분리부와 인접하게 연결되며, 분리 대상물 중 복수의 원심 분리부를 통해 분리되고 남은 분리 대상물을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원심 분리 장치{Centrifugal separator}
본 발명은 원심 분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다 간단한 구조로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분리 대상물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원심 분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토목 및 건축 공사 현장에서는 목재, 석재, 토사, 콘크리트, 철근, 아스팔트, 암석, 합성 수지, 지류 및 비닐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혼합 폐기물이 발생한다. 기존에는 이러한 혼합 폐기물들을 매립지로 운송하여 매립 처리하였으나, 최근에는 환경 보존 차원에서 사용 가능한 매립 폐기물은 분류하여 재생시켜 재활용하고 최종적으로 잔여 폐기물만 매립시키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에는 재활용이 가능한 종류의 폐기물도 분류하고 선별해야 하는 작업이 난해하고 경제성이 낮다는 이유로, 모든 혼합 폐기물을 그대로 매립하거나 폐기 처리하므로, 자원의 낭비뿐만 아니라 폐기물들을 매립할 때에 발생하는 토양의 산성화 및 침출수에 의한 지하수의 오염 등으로 인한 자연 환경의 파괴와 고갈되어 가는 천연 자원을 대체할 수 있는 물질에 대한 연구 비용이 증대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근래에 개발된 건설 폐기물 선별 장치는 일종의 원심 분리 장치로서, 공급되는 건설 폐기물을 상부 스크린의 회전 작동과 분리 장치의 접촉을 통해 상부 스크린의 망사공보다 작은 지름을 가진 건설 폐기물은 하부에 위치하는 이송 컨베이어에 낙하시키고 상부 스크린의 망사공보다 큰 지름을 가진 건설 폐기물은 일측 끝단에 위치하는 이송 컨베이어에 공급하는 과정을 통해서 건설 폐기물을 선별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폐기물 선별용 원심 분리 장치는 회전 작동하는 상부 스크린의 망사공에 건설 폐기물이 끼거나 고정될 때 건설 폐기물의 선별 능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폐기물 선별용 원심 분리 장치는 상부 스크린의 망사공으로 건설 폐기물이 고정되거나 낀 상태에서 분리 수단과 연속해서 접촉하다 보면 상부 스크린이나 분리 수단에 부하가 발생하여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보다 간단한 구조로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건설 폐기물과 같은 분리 대상물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원심 분리 장치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분리 대상물을 크기에 따라 분리할 수 있도록 복수의 원심 분리부를 순차적으로 조합하여 구성함으로써, 보다 간단한 구조로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분리 대상물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원심 분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심 분리 장치는,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분리 대상물이 투입되는 공급부와, 상기 공급부와 인접하여 배치되며, 일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분리 대상물을 크기에 따라 분리하는 복수의 원심 분리부와, 상기 복수의 원심 분리부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원심 분리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 구동부와, 상기 복수의 원심 분리부 각각의 하단에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원심 분리부로부터 크기에 따라 분리되는 상기 분리 대상물을 회수하는 복수의 회수부 및 상기 복수의 원심 분리부와 인접하게 연결되며, 상기 분리 대상물 중 상기 복수의 원심 분리부를 통해 분리되고 남은 분리 대상물을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원심 분리부는 상기 공급부로부터 상기 배출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아래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원심 분리부 각각의 몸체는 서로 다른 크기의 격자를 가지는 와이어 메쉬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심 분리 장치에 따르면,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분리 대상물을 크기에 따라 분리할 수 있도록 복수의 원심 분리부를 순차적으로 조합하여 구성함으로써, 보다 간단한 구조로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분리 대상물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심 분리 장치에 따르면, 크기에 따라 분리 대상물을 분리하는 복수의 원심 분리부를 경사지게 배치함으로써,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분리 대상물을 보다 정확하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심 분리 장치에 따르면, 분리 대상물을 분리하는 복수의 원심 분리부 각각의 몸체를 서로 다른 크기의 격자를 가지는 와이어 메쉬망으로 형성함으로써, 보다 간단한 구조로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분리 대상물에 대한 분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심 분리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심 분리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심 분리 장치에서 복수의 원심 분리부가 경사지게 배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심 분리 장치에서 원심 분리부와 회전 구동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심 분리 장치에서 원심 분리부와 회전 구동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심 분리 장치에서 복수의 원심 분리부가 와이어 메쉬망으로 형성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원심 분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심 분리 장치(1)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심 분리 장치(1)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심 분리 장치(1)는 공급부(100), 복수의 원심 분리부(200), 회전 구동부(300), 회수부(400) 및 배출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공급부(100)는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분리 대상물이 투입될 수 있다. 여기서 분리 대상물은 다양한 크기의 석재, 목재 등이 섞여 있는 혼합물을 의미하며, 본 발명에서는 다양한 크기의 돌들이 섞여 있는 석재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부(100)는 얇은 판상 형태의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단부가 개방된 호퍼(Hopper)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복수의 원심 분리부(200)는 공급부(100)와 인접하여 배치되며, 일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공급부(100)로부터 공급되는 분리 대상물을 크기에 따라 분리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원심 분리부(200) 각각은 대략 원통 형태로 형성되고 철강(Steel), 스테인레스강(SUS) 등의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몸체(도 4의 211)를 가지며, 몸체의 외주면에 분리 대상물이 배출되어 분리되도록 복수의 배출공(도 4의 212)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원심 분리부(200)는 원심 분리 장치(1)의 프레임(201)에 의해 지지되며, 수평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원심 분리부(200)는 분리 대상물이 분리되는 크기에 따라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공급부(100)로부터 공급되는 다양한 크기의 석재를 4 가지 크기, 즉, 제1 석재(S1), 제2 석재(S2), 제3 석재(S3) 및 제4 석재(S4)로 분리하기 위해 3 개의 원심 분리부(200), 즉, 제1 원심 분리부(210), 제2 원심 분리부(220) 및 제3 원심 분리부(230)를 포함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원심 분리부(200)의 형태, 개수 등은 당업자에 의해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원심 분리부(200)의 구체적인 구조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회전 구동부(300)는 복수의 원심 분리부(200)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며, 복수의 원심 분리부(200)를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회전 구동부(300)는 적어도 하나 구비될 수 있는데, 도 1 및 도 2에서는 복수의 원심 분리부(200)를 중심으로 양 측에 각각 회전 구동부(300)를 구비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즉, 도 1 및 도 2에서는 공급부(100)에 직접 연결된 제1 원심 분리부(210)의 일 측에 설치된 제1 회전 구동부(300)와, 배출부(500)에 직접 연결된 제2 원심 분리부(220)의 일 측에 설치된 제2 회전 구동부(300)를 예로 들고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회전 구동부(300)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회전 구동부(300)의 구조, 개수, 설치 위치 등은 당업자에 의해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회전 구동부(300)의 구체적인 구조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복수의 회수부(400)는 복수의 원심 분리부(200) 각각의 하단에 배치되며, 복수의 원심 분리부(200)로부터 크기에 따라 분리되는 분리 대상물을 회수할 수 있다. 이러한 회수부(400)는 얇은 판상 형태의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단부가 개방된 호퍼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비록 자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회수부(400) 각각의 일 측에는 분리된 분리 대상물을 외부로 수거하기 위한 이송 장치(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회수부(400)는 원심 분리부(200)의 개수만큼 구비될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회수부(400)는 제1 원심 분리부(210)로부터 분리된 제1 석재(S1)를 회수하기 위한 제1 회수부(410), 제2 원심 분리부(220)로부터 분리된 제2 석재(S2)를 회수하기 위한 제2 회수부(420) 및 제3 원심 분리부(230)로부터 분리된 제3 석재(S3)를 회수하기 위한 제3 회수부(430)로 구성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배출부(500)는 복수의 원심 분리부(200)와 인접하게 연결되며, 분리 대상물 중 복수의 원심 분리부(200)를 통해 분리되고 남은 분리 대상물을 배출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부(500)는 얇은 판상 형태의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고, 하단부가 개방된 호퍼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심 분리 장치(1)에 구비된 복수의 원심 분리부(200)는 공급부(100)로부터 배출부(500)를 향하는 방향으로 아래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심 분리 장치(1)에서 복수의 원심 분리부(200)가 경사지게 배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복수의 원심 분리부(2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복수의 원심 분리부(200)와는 달리, 공급부(100)로부터 배출부(500)까지 분리 대상물이 이송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원심 분리부(200)는 원심 분리 장치(1)의 프레임(201)에 의해 지지되며,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심 분리 장치(1)는 복수의 원심 분리부(200)를 경사지게 배치함으로써, 각각 다른 크기의 석재들이 해당하는 원심 분리부(200)에서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심 분리 장치(1)는 복수의 원심 분리부(200) 중 공급부(100)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1 원심 분리부(210)의 일 측에 연결되고, 제1 원심 분리부(210)에 외력을 제공하여 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진동 발생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심 분리 장치(1)는 복수의 원심 분리부(200)에 진동을 제공하는 진동 발생부(600)를 구비함으로써, 분리 대상물인 석재들이 원심 분리부(200)의 배출공(도 4의 212)에 막히는 현상을 방지하여 각각 다른 크기의 석재들이 해당하는 원심 분리부(200)에서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진동 발생부(600)가 제1 원심 분리부(210)의 일 측에 연결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진동 발생부(600)의 구조, 설치 위치 등은 당업자에 의해 얼마든지 변경 가능한다.
한편,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심 분리 장치(1)는 공급부(100), 복수의 원심 분리부(200), 적어도 하나의 회전 구동부(300), 복수의 회수부(400) 및 배출부(500)에 연결되며, 공급부(100), 복수의 원심 분리부(200), 적어도 하나의 회전 구동부(300), 복수의 회수부(400) 및 배출부(5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는 공급부(100)에 연결되어 복수의 원심 분리부(200)로 공급되는 분리 대상물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고, 복수의 원심 분리부(200)에 연결되어 분리 대상물이 복수의 원심 분리부(200) 내에서 이송되는 속도 등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 구동부(300)에 연결되어 복수의 원심 분리부(200)의 회전 속도 등을 조절할 수 있고, 배출부(500)에 연결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분리 대상물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제어부는 분리 대상물을 분리하는데 필요한 각종 데이터(분리 대상물의 공급량, 분리 대상물의 이송 속도, 원심 분리부(200)의 회전 속도, 분리 대상물의 배출량 등)를 작성하여 입력하고, 각각 공정의 수행 결과를 출력할 수 있도록 키입력부, LCD와 같은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심 분리 장치(1)에 구비된 원심 분리부(200)와 회전 구동부(300)의 구체적인 구조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심 분리 장치(1)에서 원심 분리부(200)와 회전 구동부(300)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심 분리 장치(1)에서 원심 분리부(200)와 회전 구동부(300)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복수의 원심 분리부(200) 각각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구현될 수 있으므로, 도 4 및 도 5에서는 복수의 원심 분리부(200) 중 공급부(100)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1 원심 분리부(210)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원심 분리부(210)는 대략 원통 형태로 형성되고 원통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내부에 분리 대상물의 이송 공간이 형성된 몸체(211)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몸체(211)는 일단으로부터 분리 대상물을 공급 받고, 분리된 분리 대상물을 제외한 나머지 분리 대상물을 타단으로 공급하기 위해 양 단이 모두 개방될 수 있다. 이러한 몸체(211)는 철강(Steel), 스테인레스강(SUS) 등의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원심 분리부(210)에 구비된 몸체(211)의 외주면에는 분리 대상물이 배출되어 분리되도록 복수의 배출공(212)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원심 분리부(210)에 형성된 복수의 배출공(212)보다 작은 분리 대상물들은 제1 원심 분리부(210)에서 외부로 배출되어 분리되고, 복수의 배출공(212)보다 작은 분리 대상물들은 그대로 이송되어 제2 원심 분리부(220)로 공급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복수의 배출공(212)이 대략 원형 단면을 가지는 것을 예로 들고 있으나, 복수의 배출공(212)의 단면 형상은 당업자에 의해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한편, 비록 자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복수의 원심 분리부(200)는 각각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구성될 수도 있고,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복수의 원심 분리부(200) 각각이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구성된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복수의 원심 분리부(200) 각각을 다른 회전 속도로 구동시킬 수도 있다.
한편, 회전 구동부(300)는 공급부(100)에 직접 연결된 제1 원심 분리부(210)의 일 측에 설치되며, 제1 원심 분리부(210)를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구동부(300)는 제1 원심 분리부(210)의 하단 일 측에 배치되어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력 발생부(310)와, 제1 원심 분리부(210)의 하단 타측에 배치되어, 제1 원심 분리부(210)가 회전할 때에 이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구동 지지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력 발생부(310)는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 모터(311)와, 제1 원심 분리부(210)의 외주면에 맞닿은 상태로 구동 모터(311)로부터 제공 받은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여 제1 원심 분리부(210)를 회전시키는 회전 롤러(312), 구동 모터(311)에서 발생한 회전 구동력을 회전 롤러(312)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 전달 부재(313) 및 회전 롤러(312)의 회전을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회전 롤러 지지 블록(31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모터(311)에서 발생한 회전 구동력을 회전 롤러(312)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 전달 부재(313)는 타이밍 벨트(Timing belt)를 사용할 수 있다. 회전 롤러(312) 및 회전 롤러 지지 블록(314)는 제1 원심 분리부(210)의 일단과 끝단에 한 쌍이 구비될 수 있으며, 한 쌍의 회전 롤러(312)는 샤프트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구동 지지부(320)는 제1 원심 분리부(210)의 외주면에 맞닿은 상태로 제1 원심 분리부(210)가 회전할 때에 회전 구동을 지지하도록 함께 회전하는 가이드 롤러(321)와, 가이드 롤러(321)의 회전을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가이드 롤러 지지 블록(3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서는 구동력 발생부(310)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구동력 발생부(310)의 종류, 형상 및 배치 형태 등은 당업자에 의해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심 분리 장치(1)에 구비되는 복수의 원심 분리부(200) 각각의 몸체는 서로 다른 크기의 격자를 가지는 와이어 메쉬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심 분리 장치(1)에서 복수의 원심 분리부(200)가 와이어 메쉬망으로 형성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복수의 원심 분리부(20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복수의 원심 분리부(200)와는 달리, 원통 형상의 몸체(211, 221, 231)에 복수의 배출공(도 4의 212)이 형성된 것이 아니라, 원통 형상의 몸체 자체를 와이어 메쉬망으로 형성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심 분리 장치(1)는 복수의 원심 분리부(200)를 와이어 메쉬망으로 형성함으로써, 복수의 원심 분리부(200)의 제조 공정을 단순화하고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심 분리 장치는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분리 대상물을 크기에 따라 분리할 수 있도록 복수의 원심 분리부를 순차적으로 조합하여 구성함으로써, 보다 간단한 구조로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분리 대상물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크기에 따라 분리 대상물을 분리하는 복수의 원심 분리부를 경사지게 배치함으로써,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분리 대상물을 보다 정확하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분리 대상물을 분리하는 복수의 원심 분리부 각각의 몸체를 서로 다른 크기의 격자를 가지는 와이어 메쉬망으로 형성함으로써, 보다 간단한 구조로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분리 대상물에 대한 분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다양한 크기의 석재를 분리하는데 사용되는 원심 분리 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목재, 곡물, 과일 등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분리 대상물을 분리하는데 사용되는 다양한 형태의 원심 분리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원심 분리 장치
100: 공급부 200: 원심 분리부
300: 회전 구동부 400: 회수부
500: 배출부 600: 진동 발생부

Claims (3)

  1.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분리 대상물이 투입되는 공급부;
    상기 공급부와 인접하여 배치되며, 일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분리 대상물을 크기에 따라 분리하는 복수의 원심 분리부;
    상기 복수의 원심 분리부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원심 분리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 구동부;
    상기 복수의 원심 분리부 각각의 하단에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원심 분리부로부터 크기에 따라 분리되는 상기 분리 대상물을 회수하는 복수의 회수부; 및
    상기 복수의 원심 분리부와 인접하게 연결되며, 상기 분리 대상물 중 상기 복수의 원심 분리부를 통해 분리되고 남은 분리 대상물을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 분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원심 분리부는 상기 공급부로부터 상기 배출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아래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 분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원심 분리부 각각의 몸체는 서로 다른 크기의 격자를 가지는 와이어 메쉬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 분리 장치.
KR1020140066771A 2014-06-02 2014-06-02 원심 분리 장치 KR201501390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6771A KR20150139070A (ko) 2014-06-02 2014-06-02 원심 분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6771A KR20150139070A (ko) 2014-06-02 2014-06-02 원심 분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9070A true KR20150139070A (ko) 2015-12-11

Family

ID=55020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6771A KR20150139070A (ko) 2014-06-02 2014-06-02 원심 분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3907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16222A (zh) * 2016-08-10 2016-12-14 中国建筑第八工程局有限公司 锥筒式砂石过滤装置及其过滤方法
CN107812696A (zh) * 2017-09-26 2018-03-20 共享装备股份有限公司 冷铁筛选装置
CN111495746A (zh) * 2020-04-21 2020-08-07 天津市职业大学 一种球形水果分拣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16222A (zh) * 2016-08-10 2016-12-14 中国建筑第八工程局有限公司 锥筒式砂石过滤装置及其过滤方法
CN107812696A (zh) * 2017-09-26 2018-03-20 共享装备股份有限公司 冷铁筛选装置
CN111495746A (zh) * 2020-04-21 2020-08-07 天津市职业大学 一种球形水果分拣装置
CN111495746B (zh) * 2020-04-21 2021-04-30 天津市职业大学 一种球形水果分拣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934204B (zh) 垃圾处理预分选装置
CN204602379U (zh) 履带式移动圆锥破碎站
KR101290108B1 (ko) 토사내 이물질 분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폐기물 선별 시스템
KR20150139070A (ko) 원심 분리 장치
KR20140134829A (ko) 가연성 이물질 건식타격 선별장치
KR101320976B1 (ko) 음식물 쓰레기 파쇄 및 이물질 선별장치
KR101136047B1 (ko) 토사와 골재에 혼재된 이물질 분리 선별장치
CN110773410A (zh) 一种立式旋转筛沙机
KR101290247B1 (ko) 슬래그 선별장치
CN101947493B (zh) 磁力分选机
KR101196306B1 (ko) 폐합성수지 및 토사선별을 위한 회전디스크 선별장치
CN103264043A (zh) 建筑垃圾分拣机及其分类系统
KR101556664B1 (ko) 토사내 다용도골재 선별이 우수한 스마트 키질스크린 장치
KR101846131B1 (ko) 비철선별장치
CN103302019A (zh) 充填开采固体物料筛分装置
JP2012110855A (ja) プラスチック選別方法およびプラスチック選別装置
KR101146101B1 (ko) 트로멜 및 이 트로멜을 포함하는 폐기물 선별기
KR101219129B1 (ko) 고철 선별장치
KR100869063B1 (ko) 폐그물 선별 장치
KR20130003489A (ko) 트로멜 및 이 트로멜을 포함하는 폐기물 선별기
CN106269460A (zh) 一种砖混分选站
KR101693006B1 (ko) 매립폐기물 선별방법
CN205851321U (zh) 一种用于无害化降解完成物的筛选装置
CN201815382U (zh) 磁力分选机
KR20090044275A (ko) 산업폐기물 처리를 위한 이송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