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9129B1 - 고철 선별장치 - Google Patents

고철 선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9129B1
KR101219129B1 KR1020120029137A KR20120029137A KR101219129B1 KR 101219129 B1 KR101219129 B1 KR 101219129B1 KR 1020120029137 A KR1020120029137 A KR 1020120029137A KR 20120029137 A KR20120029137 A KR 20120029137A KR 101219129 B1 KR101219129 B1 KR 1012191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ap
separator
scrap metal
rotary
scrap ir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9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근열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남북철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남북철강 filed Critical 유한회사 남북철강
Priority to KR10201200291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91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91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9129B1/ko
Priority to PCT/KR2013/002403 priority patent/WO201314165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7/00Disintegrating by tumbling mills, i.e. mills having a container charged with the material to be disintegrated with or without special disintegrating members such as pebbles or balls
    • B02C17/002Disintegrating by tumbling mills, i.e. mills having a container charged with the material to be disintegrated with or without special disintegrating members such as pebbles or balls with rotary cutting or beat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B03C1/02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B03C1/02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 B03C1/025High gradient magnetic separators
    • B03C1/031Component parts; Auxiliary operations
    • B03C1/033Component parts; Auxiliary operation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circuit
    • B03C1/0335Component parts; Auxiliary operation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circuit using co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B03C1/02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 B03C1/04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with the material carriers in the form of trays or with t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2201/00Details of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 B03C2201/20Magnetic separation whereby the particles to be separated are in solid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4/00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ubjecting their mixture to gas currents
    • B07B4/02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ubjecting their mixture to gas currents while the mixtures fall
    • B07B4/06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ubjecting their mixture to gas currents while the mixtures fall using revolving dru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식 고철분리기 및 이를 이용한 고철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회전식 고철분리기는 일단의 입구로 이물질이 부착된 고철이 투입되며, 타단의 출구로 분리된 고철과 이물질이 배출되는 원통 형상의 기기본체와, 상기 기기본체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과, 상기 기기본체의 내주면에 고정되어 중심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되, 기기본체의 내주면에 방사상으로 배열됨과 함께 기기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이 되는 다수의 충격유도판을 포함하여, 상기 기기본체가 회전하면, 상기 다수의 충격유도판은 상기 이물질이 부착된 고철을 지지하여 내주면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까지 상승 유도하면서 낙하시킴으로써 이물질이 부착된 고철에 낙하에 의한 충격력을 반복 제공하여 부착된 고철과 이물질이 서로 분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철로부터 이물질을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으며, 이물질이 깨끗하게 제거된 순수고철을 선별함으로써 자원 재활용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고철 선별장치 {Sorting equipment for scrap iron}
본 발명은 회전식 고철분리기 및 이를 이용한 고철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고철폐기물부터 순수고철만을 용이하게 분리하여 선별할 수 있는 회전식 고철분리기를 이용한 고철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강업체, 또는 각종 산업현장, 건설현장 등에서는 고철이 포함된 다량의 고철폐기물(이를 현장용어로는 소위 “미세철”이라고도 호칭함.)이 발생되는데, 고철폐기물의 국내 발생량은 대략적으로 월간 수만 톤(ton)에 이르는 실정이다.
이러한 고철폐기물은 대략 고철 20%, 철가루 20%, 흙 등의 이물질 60%가 혼합된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자원을 재활용하기 위해서는 이물질과 고철이 혼합된 고철폐기물로부터 고철만을 선별할 필요성이 있게 되며, 그에 따라 종래에도 고철폐기물로부터 고철을 선별하기 위한 장치들이 다양하게 제안되어 왔다.
종래 제안된 고철 선별장치로는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49344호의 고철 선별기,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05600호의 고철 선별장치, 등록특허공보 제10-1017248호의 혼합고철폐기물 성상별 선별장치 등이 있다.
그러나, 상기 제안된 종래의 고철 선별장치들은 구성상 세부적인 차이점은 있지만 대부분 고철과 이물질이 혼합되어 있는 고철폐기물을 자력을 이용하거나 스크린을 통해 대상물의 크기에 따라 선별하는 방식으로만 구성되어 있으므로 이물질이 완전히 제거된 순수고철을 선별하기에는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고철과 이물질이 혼합된 고철폐기물의 경우, 각종 이물질과 고철이 단순하게 섞여서 혼합되어 있는 상태만이 아니라 이물질이 고철에 견고하게 부착되어 분리가 쉽지 않은 상태 또는 고철 표면이 산화되어 녹과 같은 산화물이 발생된 상태를 가지게 되는데, 종래의 선별장치들은 전술한 것처럼 자력을 이용하거나 대상물의 크기를 이용하므로 단순하게 섞여 있는 이물질로부터 고철을 선별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이물질이 고철에 견고하게 부착되어 있거나 고철 표면이 산화된 상태인 경우에는 이러한 이물질이나 산화물이 제거된 깨끗한 고철을 선별하는 것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철에 낙하에 의한 충격력을 반복 제공함으로써 부착된 이물질이나 산화물을 고철로부터 용이하게 분리 및 박리시킬 수 있는 회전식 고철분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철로부터 이물질이나 산화물을 용이하게 분리 및 박리시키는 회전식 고철분리기를 이용하여 이물질이나 산화물이 깨끗하게 제거된 순수고철을 선별함으로써 자원 재활용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고철 선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해결수단으로서,
일단의 입구로 이물질이 부착된 고철이 투입되며, 타단의 출구로 분리된 고철과 이물질이 배출되는 원통 형상의 기기본체와, 상기 기기본체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과, 상기 기기본체의 내주면에 고정되어 중심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되, 기기본체의 내주면에 방사상으로 배열됨과 함께 기기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이 되는 다수의 충격유도판을 포함하여, 상기 기기본체가 회전하면 상기 다수의 충격유도판은 상기 이물질이 부착된 고철을 지지하여 내주면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까지 상승 유도하면서 낙하시킴으로써 이물질이 부착된 고철에 낙하에 의한 충격력을 반복 제공하여 부착된 고철과 이물질이 서로 분리되도록 하는 회전식 고철분리기가 개시된다.
여기서, 상기 충격유도판은 기기본체의 출구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기기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충격유도판은, 전단측의 충격유도판과 후단측의 충격유도판이 서로 일부분 중첩이 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해결수단으로서, 상기 회전식 고철분리기를 이용한 고철 선별장치로서, 이물질과 혼합된 고철이 투입되면 진동에 의해 펼치면서 이송하는 1차 진동이송기와, 상기 1차 진동이송기에서 이송되는 고철만을 자력에 의해 선별하는 1차 자력선별기로 구성된 1차 고철선별부와, 상기 1차 고철선별부로터 선별되어 입구로 투입된 고철에 낙하에 의한 충격력을 반복 제공하여 고철에 붙어있던 이물질과 고철을 서로 분리시키면서 출구로 이송하는 회전식 고철분리기와, 상기 회전식 고철분리기의 출구에서 배출된 고철과 이물질을 진동에 의해 펼치면서 이송하는 2차 진동이송기와, 상기 2차 진동이송기에서 이송되는 고철만을 자력에 의해 선별하는 2차 자력선별기로 구성된 2차 고철선별부를 포함하는 고철 선별장치가 개시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식 고철분리기의 출구 측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식 고철분리기의 내부로 열풍을 제공하는 열풍제공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식 고철분리기의 입구 측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식 고철분리기의 내부로 연마제를 공급하는 연마제공급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1차 고철선별부는 상기 1차 자력선별부에서 선별된 고철에 풍력을 가하는 풍력제공기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고철분리기 및 이를 이용한 고철 선별장치에 의하면,
고철에 낙하에 의한 충격력을 반복적으로 제공하게 되므로 부착된 이물질이나 표면의 산화물을 고철로부터 용이하게 분리 및 박리하여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1차적으로 섞여있는 이물질로부터 고철을 선별하고, 부착된 이물질이나 산화물은 회전식 고철분리기를 통해 분리 및 박리시킨 후 2차적으로 고철을 재차 선별하게 되므로 이물질이나 산화물이 깨끗하게 제거된 순수고철을 선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회전식 고철분리기에 열풍, 연마제, 세척수를 선택적 또는 순차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이물질이나 산화물의 분리 및 박리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한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 명시한 효과 이외에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으로부터 용이하게 도출되고 기대될 수 있는 특유한 효과 또한 본 발명의 효과에 포함될 수 있음을 첨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고철분리시를 나타내는 사시도면이고,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충격유도판의 방사상 배열상태를 각각 예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유도판의 길이방향 배열상태를 일부 예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철 선별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면이며,
도 6은 도 5에 있어 “A”방향에서의 측면도면이고,
도 7은 도 5에 있어 “B”방향에서의 측면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철 선별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고철분리기 및 이를 이용한 고철 선별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크기, 요소간의 간격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축소 또는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기재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원칙적으로 관련된 공지의 기능이나 공지의 구성과 같이 이미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고철분리기(10)를 나타내는 도면들로서, 상기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고철분리기(10)는 기기본체(11)와, 구동수단(12)과, 충격유도판(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기기본체(11)는 일정한 길이를 갖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회전이 가능하도록 베어링체(14)에 의해 지지가 된다.
상기 기기본체(11)의 양단은 개방되어 일단이 입구(11a), 타단이 출구(11b)가 되며, 상기 입구(11a)로 작업대상 고철이 투입되고 상기 출구(11b)로는 고철과 고철로부터 분리 및 박리된 이물질이나 산화물이 함께 배출된다.
상기 구동수단(12)은 상기 기기본체(11)에 회전동력을 제공하여 상기 기기본체(11)를 회전시킨다. 이러한 구동수단(12)은 구동모터, 동력전달벨트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특별한 제한 없이 주지된 다양한 동력발생 및 동력전달수단들이 채용될 수 있다.
상기 충격유도판(13)은 기기본체(11)의 내주면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기기본체(11)의 중심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판재로서, 상기 기기본체(11)가 회전을 하면 그에 따라 기기본체(11)의 내주면 바닥에 위치된 고철을 지지하여 일정한 높이까지 상승시킨 후 낙하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충격유도판(13)은 지지된 고철이 일정한 높이까지는 낙하되지 않고 상승이 유도되도록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타단부가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거나 또는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원호 형상으로 형성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충격유도판(13)은 상기 기기본체(11)의 내주면에 다수 개가 배열이 되는데, 입구(11a)에서부터 출구(11b)까지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이 됨과 함께 길이방향의 각 위치에서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방사상 일정한 각도로 배열이 된다.
이렇게 방사상 일정한 각도로 배열된 충격유도판(13)은 또한 그 길이방향을 따라서 전단측의 충격유도판(13a)과 후단측의 충격유도판(13b)이 서로 상이한 각도로 배열될 수 있다. 여기서, 도 2와 도 3에는 90도 간격으로 4개의 충격유도판이 방사상으로 배열됨과 함께 전단측의 충격유도판(13a)과 후단측의 충격유도판(13b)이 45도의 각도를 이루고 있는 것이 예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충격유도판(13)은 지지된 고철이 낙하되면서 기기본체(11)의 출구(11b) 측으로 점차 이송이 될 수 있도록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출구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됨에 있어서도 전단측의 충격유도판(13a)에서 낙하된 고철이 다음에는 후단측의 충격유도판(13b)에 의해 상승되면서 낙하될 수 있도록 전단측의 충격유도판(13a)과 후단측의 충격유도판(13b)이 서로 일부분이 중첩이 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회전식 고철분리기(10)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구동수단(12)에 의해 기기본체(11)가 회전을 하게 되며, 기기본체(11)의 입구(11a)로 작업대상 고철이 투입된다.
그러면, 입구(11a)측 최선단의 충격유도판(13)이 회전되면서 기기본체(11)의 내주면 바닥에 위치되어 있던 상기 고철을 지지하여 상승을 시키게 된다.
그리고, 일정한 높이까지 상승이 되면서 충격유도판(13)에 지지된 상기 고철은 바닥으로 낙하가 된다. 이 때, 충격유도판(13)이 출구방향으로 경사져 있는 바, 대부분은 출구방향으로 전진된 위치, 즉 후단측 충격유도판(13)에 의해 다시 지지될 수 있는 위치로 낙하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렇게 낙하된 고철은 내주면 바닥에 부딛치면서(또한, 고철 상호간에 부딛치면서) 충격력을 제공받게 되고, 이러한 충격력에 의해 부착된 이물질이나 표면의 산화물이 고철로부터 분리 및 박리가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낙하된 상기 고철은 후단의 충격유도판(13)에 의해 동일하게 상승 후 낙하되면서 재차 충격력을 제공받게 되고, 이러한 충격력의 제공과 분리 및 박리과정은 출구(11b)로 순차 이송될 때까지 반복적으로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반복적 과정을 거친 후 최종적으로 기기본체(11)의 출구(11b)로는 고철로부터 분리 및 박리된 이물질, 산화물과 이러한 이물질이나 산화물이 제거된 깨끗한 고철이 함께 배출되는 것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철 선별장치를 나타내는 도면들로서, 상기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철 선별장치는 전술한 회전식 고철분리기(10)와, 1차 진동이송기(20), 1차 자력선별기(30), 풍력제공기(40)로 구성된 1차 고철선별부와, 2차 진동이송기(50), 2차 자력선별기(60)로 구성된 2차 고철선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상기 1차 고철선별부는 고철과 이물질이 섞여 혼합된 고철폐기물로부터 고철을 1차적으로 선별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데, 상기 1차 진동이송기(20)는 이물질과 고철이 혼합된 고철폐기물이 투입되면 진동에 의해서 혼합된 고철과 이물질을 펼치면서 이송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1차 자력선별기(30)는 상기 1차 진동이송기(20)의 후단측 상부에 구비가 되며, 전자석(31)의 자력에 의해서 상기 1차 진동이송기(20)에서 이송되는 고철과 이물질 중 고철만을 이송벨트(32)에 부착시켜 선별 이송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1차 자력선별기(30)에 의해 선별 이송된 고철은 이송벨트(32)의 후단 측에서 전자석(31)의 자력이 미치지 않게 됨에 따라 상기 풍력제공기(40)의 내부로 낙하되면서 투입이 되며, 상기 풍력제공기(40)는 투입된 고철에 풍력을 제공하여 고철에 붙어 있는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을 추가적으로 분리시키게 된다. 이러한 풍력제공기(40)는 별도의 집진시설과 연결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의 1차 고철선별부를 거치면서 1차적으로 이물질과 분리 선별이 된 고철은 상기 회전식 고철분리기(10)의 입구로 투입이 되며, 상기 회전식 고철분리기(10)는 고철에 충격력을 반복 제공하여 부착된 이물질과 산화물을 상기 고철로부터 분리 및 박리시키면서 출구로 이송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식 고철분리기(10)의 세부적인 구성 및 작동과정은 앞에서 상세하게 설명하였는 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2차 고철선별부는 상기 회전식 고철분리기(10)에서 배출된 고철과 이물질에서 고철을 2차적으로 선별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바, 이러한 2차 고철선별부는 상기 1차 고철선별부의 1차 진동이송기(20) 및 1차 자력선별기(30)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을 하는 2차 진동이송기(50)와 2차 자력선별기(6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2차 고철선별부는 상기 2차 진동이송기(50)가 상기 회전식 고철분리기(10)의 출구(11b)에서 배출된 고철과 이물질 등을 진동에 의해 펼치면서 이송시키게 되고, 2차 자력선별기(60)는 전자석(71)의 자력에 의해서 상기 2차 진동이송기(50)에서 이송되는 고철과 이물질 중 고철만을 이송벨트(72)에 부착시켜 선별 이송을 하게 된다.
그리고, 이송벨트(72)의 후단 측에서 전자석(71)의 자력이 미치지 않게 됨에 따라 2차까지 최종 선별된 고철은 낙하되면서 도시되지 않은 별도의 보관통 등으로 수집이 되면서 선별이 완료되게 된다.
상기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고철 선별장치는 1차 고철선별부를 통하여 1차적으로 이물질이 섞여 있는 고철폐기물로부터 고철을 선별한 후, 선별된 고철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이나 산화물을 회전식 고철분리기를 통해 분리 및 박리시키고, 이렇게 분리된 고철과 이물질로부터 2차적으로 다시 고철만을 선별하도록 작동하므로 이물질이나 산화물이 깨끗하게 제거된 순수고철을 보다 용이하게 획득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실시예에 따라서는 열풍제공기(70)가 더 포함될 수 있는데, 상기 열풍제공기(70)는 상기 회전식 고철분리기(10)의 출구(11b) 측에 구비가 되어, 상기 회전식 고철분리기(10)의 내부로 열풍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렇게 열풍제공기(70)에 의해 회전식 고철분리기(10)의 내부로 열풍이 제공되면, 회전식 고철분리기(10)의 내부에서 이송되는 고철이 건조되므로 충격력에 의한 분리 및 박리효율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분리 및 박리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도록 상기 회전식 고철분리기(10)의 입구 측에 연마제공급기(도면 미도시)가 더 구비되는 것도 가능한데, 상기 연마제공급기는 회전식 고철분리기(10)의 내부로 금강석 등과 같은 연마제를 공급하게 되며, 이렇게 연마제가 공급되면 회전식 고철분리기(10)의 내부에서는 낙하에 의한 충격시 고철이 연마제와 섞여 서로 마찰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이물질이나 산화물이 보다 더 잘 분리 및 박리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회전식 고철분리기(10)의 입구 측에 세척수공급기(도면 미도시)가 더 구비되는 것도 가능한데, 상기 세척수공급기는 회전식 고철분리기(10)의 내부로 세척수를 공급하게 되며, 이렇게 세척수가 공급되면 회전식 고철분리기(10)의 내부에서 고철이 세척수와 혼합되어 세척이 되므로 이물질이나 산화물이 보다 더 깨끗하게 제거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고철 선별장치는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2차 고철선별부의 후단에 본 발명을 구성하는 회전식 고철분리기와 진동이송기 및 자력선별기를 추가적으로 배치하여 이물질과 고철의 분리 및 그 선별 과정이 한번 더 반복되도록 함으로써 더욱더 깨끗한 순수고철을 획득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회전식 고철분리기가 2개로 구성되는 바, 각각 1차 회전식 고철분리기와 2차 회전식 고철분리기로 용어를 정의하기로 한다.
이하, 본 실시예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전술한 것과 동일하게 1차 선별부와 1차 회전식 고철분리기(10a) 및 2차 고철선별부가 구성되고, 상기 2차 고철선별부의 후단에 2차 회전식 고철분리기(10b)와, 3차 진동이송기(80) 및 3차 자력선별기(90)로 구성된 3차 고철선별부를 더 추가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1차 회전식 고철분리기(10a)의 출구 측에는 1차 회전식 고철분리기(10a)의 내부로 열풍을 제공하는 상기 열풍제공기(70)가 구비되고, 2차 회전식 고철분리기(10b)의 입구 측에는 2차 회전식 고철분리기(10b)의 내부로 각각 연마제와 세척수를 공급하는 상기 연마제공급기와 세척수공급기가 함께 구비되도록 구성이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먼저 전술한 것과 동일하게 1차 고철선별부를 거치면서 섞여있는 이물질로부터 고철을 1차적으로 선별하고, 상기 고철을 열풍에 의해 건조시키면서 1차 회전식 고철분리기를 통과시켜 이물질이나 산화물을 분리 및 박리시킨 후 2차 고철선별부를 통해 고철을 2차적으로 선별하게 된다.
그리고 이렇게 2차적으로 선별된 고철은 다시 2차 회전식 고철분리기(10b)로 투입이 되며 다시 한번 분리 및 박리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 때, 2차 회전식 고철분리기(10b)에서는 고철이 공급된 연마제 및 세척수와 혼합되면서 마찰이 발생하게 되므로 미세한 이물질이나 산화물까지도 깨끗하게 분리되게 된다.
이렇게 2차 회전식 고철분리기(10b)를 통과한 고철은 3차 진동이송기(80) 및 3차 자력선별기(90)로 구성된 3차 고철선별부에 의해 최종적으로 선별됨으로써 고철의 선별작업이 완료되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 및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라 할 것이다.
첨부된 도면들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0: 회전식 고철분리기 11: 기기본체
12: 구동수단 13: 충격유도판
20: 1차 진동이송기 30: 1차 자력선별기
40: 풍력제공기 50: 2차 진동이송기
60: 2차 자력선별기 70: 열풍제공기
80: 3차 진동이송기 90: 3차 자력선별기

Claims (8)

  1. 이물질과 혼합된 고철폐기물이 투입되면 진동에 의해 펼치면서 이송하는 1차 진동이송기와, 상기 1차 진동이송기에서 이송되는 고철만을 자력에 의해 선별하는 1차 자력선별기로 구성된 1차 고철선별부;
    상기 1차 고철선별부로부터 선별되어 입구로 투입된 고철에 낙하에 의한 충격력을 반복 제공하여 고철에 부착된 이물질이나 고철표면의 산화물을 분리 및 박리시키면서 출구로 이송하는 1차 회전식 고철분리기;
    상기 1차 회전식 고철분리기의 출구 측에 구비되어 1차 회전식 고철분리기의 내부로 열풍을 제공하는 열풍제공기;
    상기 1차 회전식 고철분리기의 출구에서 배출된 고철과 이물질을 진동에 의해 펼치면서 이송하는 2차 진동이송기와, 상기 2차 진동이송기에서 이송되는 고철만을 자력에 의해 선별하는 2차 자력선별기로 구성된 2차 고철선별부;
    상기 2차 고철선별부로부터 선별되어 입구로 투입된 고철에 낙하에 의한 충격력을 반복 제공하여 고철에 부착된 이물질이나 고철표면의 산화물을 분리 및 박리시키면서 출구로 이송하는 2차 회전식 고철분리기;
    상기 2차 회전식 고철분리기의 입구 측에 구비되어 2차 회전식 고철분리기의 내부로 연마제를 공급하는 연마제공급기;
    상기 2차 회전식 고철분리기의 입구 측에 구비되어 2차 회전식 고철분리기의 내부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공급기; 및
    상기 2차 회전식 고철분리기의 출구에서 배출된 고철과 이물질을 진동에 의해 펼치면서 이송하는 3차 진동이송기와, 상기 3차 진동이송기에서 이송되는 고철만을 자력에 의해 선별하는 3차 자력선별기로 구성된 3차 고철선별부;를 포함하며,
    상기 1차 및 2차 회전식 고철분리기는
    고철이 일단의 입구로 투입되고 타단의 출구로 배출되는 원통 형상의 기기본체;
    상기 기기본체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 및
    상기 기기본체의 내주면에 고정되어 중심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되, 기기본체의 내주면에 방사상으로 배열됨과 함께 기기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이 되는 다수의 충격유도판;을 포함하여,
    상기 기기본체가 회전하면, 상기 다수의 충격유도판은 상기 고철을 지지하여 내주면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까지 상승 유도하면서 낙하시킴으로써 고철에 낙하에 의한 충격력을 반복 제공하여 부착된 이물질이나 표면의 산화물이 분리 및 박리되도록 하는 고철 선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유도판은 기기본체의 출구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기기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충격유도판은, 전단측의 충격유도판과 후단측의 충격유도판이 서로 일부분 중첩이 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철 선별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고철선별부는 상기 1차 자력선별부에서 선별된 고철에 풍력을 가하는 풍력제공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철 선별장치.
  8. 삭제
KR1020120029137A 2012-03-22 2012-03-22 고철 선별장치 KR1012191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9137A KR101219129B1 (ko) 2012-03-22 2012-03-22 고철 선별장치
PCT/KR2013/002403 WO2013141650A1 (ko) 2012-03-22 2013-03-22 회전식 고철분리기 및 이를 이용한 고철 선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9137A KR101219129B1 (ko) 2012-03-22 2012-03-22 고철 선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9129B1 true KR101219129B1 (ko) 2013-01-09

Family

ID=47841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9137A KR101219129B1 (ko) 2012-03-22 2012-03-22 고철 선별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19129B1 (ko)
WO (1) WO201314165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8318B1 (ko) * 2015-09-04 2016-05-09 주식회사 세성 고철재생장치
KR102052677B1 (ko) * 2019-05-30 2019-12-05 최중경 고철더스트에서 부착된 이물질을 분리하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09017B (zh) * 2019-03-25 2020-09-29 潜山市天宝农业开发有限公司 一种瓜蒌子去杂清理分类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9400A (ko) * 2000-02-16 2000-08-05 전운택 캔 재활용 장치 및 그 방법
KR200314554Y1 (ko) 2002-12-31 2003-05-27 주식회사 남부환경개발 건설폐기물의 자원 재활용 장치
JP2004202342A (ja) 2002-12-25 2004-07-22 Tobu Shoji Kk 被処理物の分離装置
KR100923325B1 (ko) * 2009-02-13 2009-10-22 동부이엔티 주식회사 건설폐기물 중간처리 시설의 순환골재용 입형 개선 및 이물질 제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7717Y2 (ko) * 1985-01-16 1991-08-09
JP2008149203A (ja) * 2006-12-14 2008-07-03 Takuo Mori 泥、粘土等を含む土石塊の破砕・分離装置及びそれにより分離された原料の処理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9400A (ko) * 2000-02-16 2000-08-05 전운택 캔 재활용 장치 및 그 방법
JP2004202342A (ja) 2002-12-25 2004-07-22 Tobu Shoji Kk 被処理物の分離装置
KR200314554Y1 (ko) 2002-12-31 2003-05-27 주식회사 남부환경개발 건설폐기물의 자원 재활용 장치
KR100923325B1 (ko) * 2009-02-13 2009-10-22 동부이엔티 주식회사 건설폐기물 중간처리 시설의 순환골재용 입형 개선 및 이물질 제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8318B1 (ko) * 2015-09-04 2016-05-09 주식회사 세성 고철재생장치
KR102052677B1 (ko) * 2019-05-30 2019-12-05 최중경 고철더스트에서 부착된 이물질을 분리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41650A1 (ko) 2013-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1717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covering materials from soil
CN202123070U (zh) 干式碎玻璃清洗线装置
KR101219129B1 (ko) 고철 선별장치
KR20110049344A (ko) 고철 선별기
KR101434571B1 (ko) 쓰레기 재활용 자원선별시스템
KR100771660B1 (ko) 참빗살 콘베이어를 이용한 토사 이물질 선별장치
CN204075062U (zh) 一种铸造废砂破碎分选装置
JP2011104509A (ja) トロンメル分離装置
JP2007289930A (ja) 破砕残渣からの有価物の回収方法および回収システム
JP2011224441A (ja) 廃材処理設備
JP3176156U (ja) 粉粒体分離回収処理システム
KR101170952B1 (ko) 자성금속 선별기
JP5478483B2 (ja) 混合処理物の選別処理システム
JP2530554B2 (ja) 軽重混合物の選別方法
KR101256750B1 (ko) 폐전선 선별장치
KR20150139070A (ko) 원심 분리 장치
KR101860787B1 (ko) 원심력과 자력을 이용한 가연성 폐기물의 이물질 선별장치
KR101391856B1 (ko) 타격에 의한 표면 박리와 입형 개선이 가능한 순환골재 연마기
KR101750252B1 (ko) 다단 골재 박리기
JP2518800B2 (ja) 重液選別前処理方法
JP3191023U (ja) ふるい下残渣の乾式精選選別システム
CN215464702U (zh) 一种炼钢用钒渣的破碎分选装置
CN211586968U (zh) 硒鼓保密销毁粉碎回收设备
KR20090005600A (ko) 고철 선별장치
JP2006181464A (ja) シュレッダーダストの処理方法及びその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