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8318B1 - 고철재생장치 - Google Patents

고철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8318B1
KR101618318B1 KR1020150125853A KR20150125853A KR101618318B1 KR 101618318 B1 KR101618318 B1 KR 101618318B1 KR 1020150125853 A KR1020150125853 A KR 1020150125853A KR 20150125853 A KR20150125853 A KR 20150125853A KR 101618318 B1 KR101618318 B1 KR 1016183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regenerating
scrap
rust
recyc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5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진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성
Priority to KR10201501258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83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83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83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08B1/001
    • B08B1/02
    • B08B1/0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철에 발생된 녹이나 기타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재생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고철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고철재생장치는, 지지프레임(2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재생통체(30)를 회전시켜, 재생통체(30)의 내부로 공급된 고철이 후방으로 이송되면서 상호 충돌 및 마찰되어 둘레면에 발생된 녹이나 기타 이물질이 제거되도록 함으로, 고철의 표면에 발생된 녹이나 고철에 부착된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다량의 고철을 효과적으로 재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고철재생장치{scrap metal recycling apparatus}
본 발명은 고철에 발생된 녹이나 기타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재생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고철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출공장 등에서 발생되는 고철은 둘레면에 녹이 발생되거나 다양한 이물질이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고철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등록특허 10-1237096호를 비롯한 다수의 선행문건에 다타난 바와 같은 녹제거장치를 이용하여, 고철의 표면에 발생된 녹이나 이물질을 제거하여 재생하여야 한다.
그런데, 이러한 녹제거장치는 컨베이어장치에 의해 이송되는 고철의 표면을 브러시로 문질러 녹을 제거함으로, 고철의 표면에 있는 녹이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고철에 발생된 녹이나 기타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재생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구조의 고철재생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지프레임(20)과,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통형상으로 구성되며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회전중심축을 갖도록 상기 지지프레임(20)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재생통체(30)와, 상기 재생통체(30)에 연결되어 재생통체(30)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40)을 포함하며, 상기 재생통체(30)의 전후단에는 고철을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31)와 고철이 배출되는 배출구(32)가 형성되며, 상기 재생통체(30)의 내부에는 나선방향으로 연장된 이송블레이드(33)가 구비되어, 상기 투입구(31)로 고철을 투입한 후, 상기 구동수단(40)으로 재생통체(30)를 회전시키면, 상기 이송블레이드(33)에 의해 고철이 후방으로 이송되면서 상호 충돌 및 마찰되어 둘레면에 발생된 녹이나 기타 이물질이 제거된 후, 상기 배출구(32)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철재생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재생통체(30)의 둘레면에는 다수개의 배출공(34a)이 형성되어 상기 고철에서 떨어져 나온 녹이나 이물질이 상기 배출공(34a)을 통해 재생통체(30)의 하측으로 배출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재생통체(30)의 외측을 덮도록 구비된 외부케이스(10)와, 상기 외부케이스(10)에 연결되어 상기 배출공(34a)으로 배출되는 녹이나 이물질에서 발생되는 먼지나 분진을 흡입하여 제거하는 집진기(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철재생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재생통체(30)의 배출구(32)에는 잠금장치가 구비된 도어(38)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철재생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외부케이스(10)의 전후단에는 통공(11)이 형성되어, 상기 재생통체(30)의 전후단이 상기 통공(11)을 상기 외부케이스(10)의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철재생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배출구(32)는 상기 재생통체(30)의 후단부에 구비된 후방 막음판(36)의 일측에 위치된 반원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배출구(32)가 하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재생통체(30)가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38)를 열면 재생통체(30) 내부의 고철이 배출구(3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재생통체(30)에는 상기 재생통체(30)의 회전각도를 측정하는 각도측정수단(90)이 구비되고, 상기 각도측정수단(9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구동수단(40)을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10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유닛(100)은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재생통체(30)를 정지시킬 때, 상기 각도측정수단(9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배출구(32)가 하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재생통체(30)가 정지되도록 상기 구동수단(40)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철재생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철재생장치는, 지지프레임(2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재생통체(30)를 회전시켜, 재생통체(30)의 내부로 공급된 고철이 후방으로 이송되면서 상호 충돌 및 마찰되어 둘레면에 발생된 녹이나 기타 이물질이 제거되도록 함으로, 고철의 표면에 발생된 녹이나 고철에 부착된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다량의 고철을 효과적으로 재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철재생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철재생장치를 도시한 후측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철재생장치를 도시한 후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철재생장치의 배출구 및 도어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철재생장치의 작용을 설명한 참고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고철재생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후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고철재생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회로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철재생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외부케이스(10)와, 상기 외부케이스(10)의 내부에 위치된 지지프레임(20)과, 지지프레임(20)과,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통형상으로 구성되며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회전중심축을 갖도록 상기 지지프레임(20)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재생통체(30)와, 상기 재생통체(30)에 연결되어 재생통체(30)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40)과, 상기 외부케이스(10)의 일측에 연결된 집진기(50)로 구성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외부케이스(10)는 강도가 높으면서 방음효과가 있는 패널로 구성된 것으로, 전후단에는 상기 재생통체(30)가 관통하는 통공(11)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프레임(20)은 강도가 높은 빔을 상호 볼트로 결합고정하거나, 용접결합하여, 상기 재생통체(30)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상면에는 후술하는 재생통체(30)의 지지링체(37)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지지로울러(21)가 구비된다.
상기 재생통체(30)는 강도가 높은 금속재질로 구성된 것으로, 전후단에는 고철을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31)와 고철이 배출되는 배출구(32)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나선방향으로 연장된 이송블레이드(33)가 구비되어, 상기 투입구(31)로 고철을 투입한 후 상기 구동수단(40)으로 재생통체(30)를 회전시키면, 상기 재생통체(30)의 내부로 투입된 고철이 상호 충돌 및 마찰되어 고철의 둘레면에 발생된 녹이나 고철에 부착된 기타 이물질이 분리됨과 동시에, 상기 이송블레이드(33)에 의해 고철과, 고철에서 분리된 녹이나 이물질이 전방으로 이송되도록 구성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재생통체(30)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금속재의 회전관체(34)와, 상기 회전관체(34)의 양단에 결합된 전, 후방 막음판(35,36)과, 상기 회전관체(34)의 전후단 둘레부에 구비된 지지링체(37)가 구비된 것으로, 상기 지지링체(37)가 상기 지지로울러(21)에 올려져 별도의 회전축 없이 회전될 수 있도록 지지된다.
이때, 상기 이송블레이드(33)는 상기 회전관체(34)의 내주면에 용접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투입구(31)는 상기 전방 막음판(35)의 중앙부에 형성되며, 상기 투입구(31)에는 상기 고철을 공급하는 공급컨베이어(60)가 구비된다.
상기 배출구(32)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후방 막음판(36)을 절반으로 자른 반원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배출구(32)에는 도어(38)가 구비된다.
상기 도어(38)는 상기 배출구(32)에 대응되는 반원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경첩(38a)에 의해 상기 후방 막음판(36)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도어(38)를 회동시켜 상기 배출구(32)를 개폐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어(38)에는 도시 안된 잠금장치가 구비되어, 상기 재생통체(30)가 회전될 때, 도어(38)가 열리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잠금장치는 다양한 것이 이용될 수 있음으로, 잠금장치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재생통체(30)의 후단부 둘레면, 즉, 상기 회전관체(34)의 후단부 둘레면에는 다수개의 배출공(34a)이 형성되어, 상기 고철에서 떨어져 나온 녹이나 이물질이 상기 배출공(34a)을 통해 하측으로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재생통체(30)의 후단부 하측에는 상기 배출공(34a)에서 배출된 녹이나 이물질을 수집하는 호퍼(70)가 구비되며, 상기 호퍼(70)의 하측에는 상기 외부케이스(10)의 측면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연장된 배출컨베이어(80)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호퍼(70)를 통해 하측으로 배출된 녹이나 이물질은 상기 배출컨베이어(80)를 통해 외측으로 자동으로 배출된다.
상기 구동수단(40)은 상기 재생통체(30)의 둘레부에 결합된 피동스프로켓(41)과, 상기 지지프레임(20)의 일측에 구비되며 구동스프로켓(42a)이 연결된 구동모터(42)와, 상기 구동스프로켓(42a)과 피동스프로켓(41)을 연결하는 체인(43)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피동스프로켓(41)은 상기 재생통체(30)의 지지링체(37)에 볼트로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42)를 구동시키면, 상기 피동스프로켓(41)과 재생통체(30)가 함께 회전된다.
상기 집진기(50)는 배기관(51)을 통해 상기 외부케이스(10)에 연결되어, 외부케이스(10) 내부의 공기를 강제로 흡입하여 공기중에 포함된 먼지나 분진을 걸러내어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설명하지 않은 도면번호 12는 상기 외부케이스(10)의 후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배출구(32)로 배출되는 고철을 안내하는 배출가이드를 도시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고철재생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잠금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도어(38)가 열리지 않도록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공급컨베이어(60)를 이용하여 상기 재생통체(30)의 투입구(31)로 고철을 투입하고, 상기 구동수단(40)을 이용하여 재생통체(30)를 회전시키면, 상기 재생통체(30)의 내부로 투입된 고철이 상호 충돌 및 마찰되어, 고철의 둘레면에 발생된 녹이나 고철에 부착된 기타 이물질이 분리된다.
그리고, 상기 재생통체(30)와 함께 회전되는 이송블레이드(33)에 의해 고철과 함께 녹이나 이물질이 후방으로 이송된다.
이때, 상기 고철에서 분리된 녹이나 이물질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배출공(34a)을 통해 하측으로 배출된 후, 상기 호퍼(70)를 통해 배출컨베이어(80)로 배출되고, 배출컨베이어(80)에 의해 외부케이스(10)의 외측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블레이드(33)에 의해 고철이 재생통체(30)의 후단부로 이송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상기 도어(38)를 열면, 녹이나 이물질이 제거된 고철이 상기 배출구(32)를 통해 전방으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고철재생장치는, 지지프레임(2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재생통체(30)를 회전시켜, 재생통체(30)의 내부로 공급된 고철이 후방으로 이송되면서 상호 충돌 및 마찰되어 둘레면에 발생된 녹이나 기타 이물질이 제거되도록 함으로, 고철의 표면에 발생된 녹이나 고철에 부착된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다량의 고철을 효과적으로 재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재생통체(30)의 둘레면에는 다수개의 배출공(34a)이 형성되어 상기 고철에서 떨어져 나온 녹이나 이물질이 상기 배출공(34a)을 통해 재생통체(30)의 하측으로 배출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재생통체(30)의 외측을 덮도록 구비된 외부케이스(10)와, 상기 외부케이스(10)에 연결되어 상기 배출공(34a)으로 배출되는 녹이나 이물질에서 발생되는 먼지나 분진을 흡입하여 제거하는 집진기(50)가 더 구비되며, 상기 외부케이스(10)의 전후단에는 통공(11)이 형성되어 재생통체(30)의 전후단이 상기 통공(11)을 상기 외부케이스(10)의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재생통체(30)의 배출구(32)에는 잠금장치가 구비된 도어(38)가 구비됨으로, 상기 고철에서 제거된 녹이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으며, 이때 발생된 먼지나 분진을 효과적으로 처리하여, 먼지나 분진에 의해 작업장의 환경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고철재생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재생통체(30)에는 상기 재생통체(30)의 회전각도를 측정하는 각도측정수단(90)이 구비되고, 상기 각도측정수단(90)에는 각도측정수단(9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구동수단(40)을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100)이 연결된다.
상기 각도측정수단(90)은 상기 지지로울러(21)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재생통체(30)가 회전될 때, 상기 지지로울러(21)가 회전되는 각도를 측정함으로써, 상기 재생통체(30)에 형성된 배출구(32)와 도어(38)의 방향, 즉, 상기 배출구(32)와 도어(38)가 상측을 향하는지 아니면, 하측을 향하는지를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회전하는 대상물에 연결되어 대상물이 회전하는 각도를 측정하는 각도측정수단(90)은 다양한 것이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음으로, 이에 대한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어유닛(100)에는 작업자가 조작하여 상기 구동수단(40)의 구동모터(42)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스위치(101)가 구비되며, 사용자가 상기 제어스위치(101)를 조작하여 상기 구동수단(40)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재생통체(30)가 회전되거나 정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유닛(100)은 상기 구동수단(40)이 구동되는 상태에서, 작업자가 상기 제어스위치(101)를 조작하여 상기 재생통체(30)를 정지시킬 때, 상기 각도측정수단(9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구동수단(40)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배출구(32)가 하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재생통체(30)가 정지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재생통체(30)가 회전되는 상태에서, 상기 재생통체(30)를 정지시킨 후 도어(38)를 열어, 재생통체(30) 내부의 고철이 배출되도록 하는 작업이 매우 용이한 장점이 있다.
즉, 상기 배출구(32)와 도어(38)는 반원형으로 구성됨으로, 재생통체(30)를 정지시키고 도어(38)를 열어 상기 재생통체(30) 내부의 고철이 배출구(32)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도어(38)와 배출구(32)가 하측으로 향하도록 상기 재생통체(30)가 정지되어야 한다.
그런데, 전술한 제1 실시예의 경우, 작업자가 상기 구동수단(40)을 직접 제어하여 상기 도어(38)와 배출구(32)가 하측을 향하도록 재생통체(30)를 정지시키는 것이 번거롭게 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경우, 작업자가 재생통체(30)를 정지시키면, 상기 제어유닛(100)이 상기 구동수단(40)을 제어하여, 상기 배출구(32)와 도어(38)가 하측을 향하도록 상기 재생통체(30)를 정지시킴으로, 재생통체(30)를 정지시키고 상기 도어(38)를 열어 고철이 배출되도록 하는 장점이 매우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10. 외부케이스 20. 지지프레임
30. 재생통체 40. 구동수단
50. 집진기 60. 공급컨테이너
70. 호퍼 80. 배출컨베이어
90. 각도측정수단 100. 제어유닛

Claims (5)

  1. 지지프레임(20)과,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통형상으로 구성되며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회전중심축을 갖도록 상기 지지프레임(20)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재생통체(30)와,
    상기 재생통체(30)에 연결되어 재생통체(30)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40)을 포함하며,
    상기 재생통체(30)의 전후단에는 고철을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31)와 고철이 배출되는 배출구(32)가 형성되며,
    상기 재생통체(30)의 내부에는 나선방향으로 연장된 이송블레이드(33)가 구비되어,
    상기 투입구(31)로 고철을 투입한 후, 상기 구동수단(40)으로 재생통체(30)를 회전시키면, 상기 이송블레이드(33)에 의해 고철이 후방으로 이송되면서 상호 충돌 및 마찰되어 둘레면에 발생된 녹이나 기타 이물질이 제거된 후, 상기 배출구(32)로 배출되도록 하되,
    상기 재생통체(30)의 둘레면에는 다수개의 배출공(34a)이 형성되어 상기 고철에서 떨어져 나온 녹이나 이물질이 상기 배출공(34a)을 통해 재생통체(30)의 하측으로 배출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재생통체(30)의 외측을 덮도록 구비된 외부케이스(10)와,
    상기 외부케이스(10)에 연결되어 상기 배출공(34a)으로 배출되는 녹이나 이물질에서 발생되는 먼지나 분진을 흡입하여 제거하는 집진기(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재생통체(30)의 배출구(32)에는 잠금장치가 구비된 도어(38)가 구비되며,
    상기 외부케이스(10)의 전후단에는 통공(11)이 형성되어,
    상기 재생통체(30)의 전후단이 상기 통공(11)을 상기 외부케이스(10)의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배출구(32)는 상기 재생통체(30)의 후단부에 구비된 후방 막음판(36)의 일측에 위치된 반원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배출구(32)가 하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재생통체(30)가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38)를 열면 재생통체(30) 내부의 고철이 배출구(3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재생통체(30)에는 상기 재생통체(30)의 회전각도를 측정하는 각도측정수단(90)이 구비되고,
    상기 각도측정수단(9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구동수단(40)을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10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유닛(100)은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재생통체(30)를 정지시킬 때, 상기 각도측정수단(9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배출구(32)가 하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재생통체(30)가 정지되도록 상기 구동수단(40)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철재생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50125853A 2015-09-04 2015-09-04 고철재생장치 KR1016183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5853A KR101618318B1 (ko) 2015-09-04 2015-09-04 고철재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5853A KR101618318B1 (ko) 2015-09-04 2015-09-04 고철재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8318B1 true KR101618318B1 (ko) 2016-05-09

Family

ID=56020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5853A KR101618318B1 (ko) 2015-09-04 2015-09-04 고철재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831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83621A (ja) * 2008-09-30 2010-04-15 Shinmaywa Industries Ltd 塵芥貯留装置
KR101219129B1 (ko) * 2012-03-22 2013-01-09 유한회사 남북철강 고철 선별장치
KR101310854B1 (ko) * 2011-04-28 2013-09-23 현대제철 주식회사 고철 분리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83621A (ja) * 2008-09-30 2010-04-15 Shinmaywa Industries Ltd 塵芥貯留装置
KR101310854B1 (ko) * 2011-04-28 2013-09-23 현대제철 주식회사 고철 분리 장치
KR101219129B1 (ko) * 2012-03-22 2013-01-09 유한회사 남북철강 고철 선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8631B1 (ko) 폐플라스틱 파쇄 및 세척 시스템
KR101556967B1 (ko) 칩 배출용 컨베이어장치
KR101928748B1 (ko) 쇼트볼 분리 및 세정장치를 구비한 연속 벨트 컨베이어 방식의 쇼트 블라스트 시스템
KR101705100B1 (ko) 도장막 제거장치,도막 수거장치, 쇼트블라스트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노후관 갱생방법
KR101525219B1 (ko) 노후관 갱생을 위한 쇼트 블라스트 장치
CN211563140U (zh) 一种煤矿开采用破碎装置
JP2007138420A (ja) 路面切削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路面切削車両並びにフィルタ目詰まり防止方法
KR101618318B1 (ko) 고철재생장치
KR101462808B1 (ko) 도장지그용 표면처리장치
KR101286451B1 (ko) 원주 회전식 이송구조를 갖는 연속식 쇼트 피닝 장치
CN105502017B (zh) 永磁除铁螺旋输送机
KR101195971B1 (ko) 표면가공장치
JP2665474B2 (ja) 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ーの外面清掃装置
CN103802038A (zh) 滚筒式抛丸机
CN106820227A (zh) 饲料打浆清理装置
JP2013071046A (ja) 粉砕機及び粉砕システム
CN210060823U (zh) 一种自动上料履带式抛丸清理机
CN211412285U (zh) 一种便于粉碎废弃物的固体废弃物处理装置
CN113997208A (zh) 自动喷砂机
JP2000140676A (ja) 掘削物の破砕装置
CN211140940U (zh) 一种焦煤运输用防结块装置
JP2021035663A (ja) 粉体混合機のフィルタユニット
CN114798673B (zh) 一种危废物的清洗滚筒装置
CN212333764U (zh) 一种污染底泥处理用螺旋输送机
CN220844269U (zh) 一种农产品储运及加工一体化平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