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7116B1 - 스프링코일 내장형 매트리스 처리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스프링코일 내장형 매트리스 처리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7116B1
KR100797116B1 KR1020070047524A KR20070047524A KR100797116B1 KR 100797116 B1 KR100797116 B1 KR 100797116B1 KR 1020070047524 A KR1020070047524 A KR 1020070047524A KR 20070047524 A KR20070047524 A KR 20070047524A KR 100797116 B1 KR100797116 B1 KR 1007971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tress
spring coil
conveyor
discharge
c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75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민기
이종필
이상훈
변종진
Original Assignee
홍민기
이종필
이상훈
변종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민기, 이종필, 이상훈, 변종진 filed Critical 홍민기
Priority to KR10200700475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71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7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71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2Fee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5/00Contro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B03C1/02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9/00Conveyors comprising an impeller or a series of impellers carried by an endless traction element and arranged to move articles or materials over a supporting surface or underlying material, e.g. endless scraper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6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프링코일 내장형 매트리스 처리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다양한 경로를 거쳐 수거된 매트리스를 잘게 파쇄한 후 마그넷의 자력에 의해 스프링코일만을 선별하는 방식에 의해 매트리스 처리의 완전 자동화를 구현하여 노동력과 작업시간의 낭비를 막고, 매트리스의 재활용도를 비약적으로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매트리스 처리방법의 경우, 매트리스를 유입하는 단계와, 유입된 매트리스를 파쇄하는 단계와, 마그넷의 자력에 의해 파쇄된 매트리스의 칩으로부터 스프링코일만을 부착하여 선별하는 단계와, 선별된 스프링코일과 나머지 파쇄된 매트리스의 칩을 구분하여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매트리스, 스프링코일, 파쇄기, 마그넷, 마그네틱 컨베이어

Description

스프링코일 내장형 매트리스 처리방법 및 장치{METHOD AND EQUIPMENT FOR TREATING MATTRESS HAVING BUILT-IN SPRING COIL}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스프링코일 내장형 매트리스 처리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2는 도 1의 A-A에 따른 측면도.
도 3은 도 1의 B-B에 따른 측면도.
도 4는 도 1의 C-C에 따른 측면도.
도 5는 변형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매트리스 처리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6은 도 5의 D-D에 따른 측면도.
도 7은 도 5의 E-E에 따른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해 매트리스가 처리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해 매트리스가 아닌 일반폐기물이 처리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120 : 파쇄기 130 : 마그네틱 컨베이어
141 : 유입 컨베이어 143 : 제1이송 컨베이어
145 : 중간 배출 컨베이어 147 : 최종 배출 컨베이어
149 : 제2이송 컨베이어 150 : 자동제어 가이드 컨베이어
160 : 레벨 측정센서 170 : 양방향 가이드 컨베이어
본 발명은 스프링코일 내장형 매트리스 처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거된 매트리스를 잘게 파쇄한 후 마그넷의 자력에 의해 스프링코일만을 선별하는 방식에 의해 매트리스 처리의 완전 자동화를 구현하여 노동력과 작업시간의 낭비를 막고, 매트리스의 재활용도를 비약적으로 높이는데 적당한 스프링코일 내장형 매트리스 처리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매트리스는 다수의 스프링코일, 이들을 지지하는 사각 프레임 및 외측을 감싸는 천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같은 스프링코일 내장형 매트리스의 경우 말려있는 독특한 형태와 강성을 갖는 스프링코일로 인해 다른 일반적인 폐기물들과는 달리 파쇄하더라도 처리하기가 곤란한 치명적인 문제들을 야기하곤 하였다. 예컨대 파쇄된 매트리스를 소각로에서 소각하는 경우 조각난 스프링코일이 소각로에 끼워지는 잼을 야기하여 소각로가 다운되는 현상이 빈번하였다. 따라서 매트리스를 자동화하여 처리하기 위해서는 매트리스를 어느 정도 크기로 파쇄한 다음에 재활용하지 못하고 그대로 땅속에 매립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한편, 매트리스를 소각장으로 가져가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일일이 매트리스를 분해하여 내장된 스프링코일을 제거하는 수작업이 불가피하였다. 그러나 이같은 수작업에 의하면 작업자 한사람 당 하루에 겨우 5개 정도의 매트리스만을 분해할 수 있을 정도로 노동력의 낭비가 극심하였고, 쏟아져 나오는 많은 수의 매트리스를 처리하기에는 작업속도가 현저히 뒤쳐지는 문제가 발생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수거된 매트리스를 자동화에 의해 스프링코일과 그 외의 부품으로 선별하여 처리하는 스프링코일 내장형 매트리스 처리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스프링코일 내장형 매트리스 처리방법은, 수거된 스프링코일 내장형 매트리스를 처리하기 위한 스프링코일 내장형 매트리스 처리방법으로서, 매트리스를 유입하는 단계와; 유입된 매트리스를 파쇄하는 단계와; 마그넷의 자력에 의해 파쇄된 매트리스의 칩으로부터 스프링코일만을 부착하여 선별하는 단계와; 선별된 스프링코일과 나머지 파쇄된 매트리스의 칩을 구분하여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파쇄하는 단계에서 상기 매트리스를 2번 이상 단계적으로 파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트리스의 파쇄를 위해 파쇄기들을 직렬로 배치하되, 보다 작은 크기로 파쇄할 수 있는 파쇄기들을 후방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트리스의 스프링코일은 최종적으로 1.5인치 미만의 크기로 파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코일만을 선별하는 단계에서, 상기 파쇄된 매트리스의 칩이 배출되는 도중 마그네틱 컨베이어를 교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매트리스가 아닌 일반폐기물들을 매트리스와 구분하여 유입한 후 파쇄하고, 이를 매트리스 칩과는 별도의 배출경로를 거쳐 배출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매트리스가 아닌 일반폐기물들을 매트리스와 구분하여 유입한 후 파쇄하고, 이를 매트리스 칩과는 별도의 경로를 통해 이송시키되 최종적으로는 스프링코일이 선별되고 난 나머지 매트리스의 칩과 합류시켜 배출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매트리스 처리장치는, 수거된 스프링코일 내장형 매트리스를 처리하기 위한 스프링코일 내장형 매트리스 처리장치로서, 수거된 매트리스를 파쇄하는 제1파쇄기와; 상기 제1파쇄기와 직렬로 배치되고 마그넷의 자력에 의해 파쇄된 매트리스의 칩으로부터 스프링코일만을 부착하여 선별하는 스프링코일 선별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파쇄기와 스프링코일 선별수단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파쇄기가 파쇄한 매트리스 칩을 더욱 잘게 파쇄하는 제2파쇄기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트리스는 최종적으로 1.5인치 미만의 크기로 파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프링코일 선별수단은 자력에 의해 상기 스프링코일만을 연속적으로 부착하여 배출하는 마그네틱 컨베이어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그네틱 컨베이어의 배출측에는 배출되는 스프링코일을 받아 수용하는 스프링코일 수거함이 더욱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파쇄기의 배출측에 양방향 이송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파쇄기에서 매트리스가 아닌 다른 일반폐기물이 파쇄되어 배출되는 경우 이를 받아 상기 매트리스의 칩과는 구분되는 다른 배출경로로 안내하는 양방향 가이드 컨베이어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쇄된 매트리스 칩의 배출위치를 안내하는 자동제어 가이드 컨베이어와; 배출되어 적층되는 매트리스 칩의 높이를 측정하는 레벨 측정센서를 더욱 구비하여, 상기 레벨 측정센서가 매트리스 칩의 적층되는 높이를 측정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자동제어 가이드 컨베이어가 매트리스 칩의 배출 위치를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매트리스 처리시스쳄은, 수거된 폐기물을 파쇄하는 제1파쇄기와; 상기 제1파쇄기의 배출측에 양방향 이송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파쇄기 에서 파쇄된 폐기물이 매트리스인 경우 이를 받아 일방향으로 안내하고, 매트리스가 아닌 일반폐기물인 경우 이를 받아 타방향으로 안내하는 양방향 가이드 컨베이어와; 상기 양방향 가이드 컨베이어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파쇄된 매트리스의 칩을 이송하는 제1이송 컨베이어와; 상기 제1이송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된 매트리스의 칩을 받아 더욱 잘게 파쇄하는 제2파쇄기와; 상기 제2파쇄기에서 배출된 매트리스의 칩을 이송하는 중간 배출 컨베이어와; 상기 중간 배출 컨베이어와 교차 설치되어 자력에 의해 상기 매트리스의 칩으로부터 스프링코일만을 연속적으로 부착하여 선별하고 이를 배출하는 마그네틱 컨베이어와; 상기 중간 배출 컨베이어로부터 상기 스프링코일이 선별되고 난 나머지 매트리스의 칩을 받아 최종 배출시키는 최종 배출 컨베이어와; 상기 양방향 가이드 컨베이어의 타단과 최종 배출 컨베이어를 연결하여 상기 파쇄된 일반폐기물의 칩을 상기 최종 배출 컨베이어에 이송하는 제2이송 컨베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최종 배출 컨베이어의 배출측단에 변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폐기물 칩의 배출위치를 안내하는 자동제어 가이드 컨베이어와; 상기 최종 배출 컨베이어로부터 배출되어 적층되는 폐기물 칩의 높이를 측정하는 레벨 측정센서를 더욱 구비하여, 상기 레벨 측정센서가 폐기물 칩의 적층되는 높이를 측정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자동제어 가이드 컨베이어가 폐기물 칩의 배출 위치를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본 발명의 매트리스 처리장치는 수작업에 의하지 않고 완전 자동화에 의해 매트리스에서 코일스프링과 다른 부품들을 신속히 분리해내고 이를 구분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로써, 코일스프링으로 인해 매트리스를 소각하거나 재활용할 때 발생되던 치명적인 문제들을 해소하고 매트리스 처리의 새로운 기틀을 마련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매트리스 처리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스프링코일 내장형 매트리스 처리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에 따른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B-B에 따른 측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C-C에 따른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매트리스 처리장치는 파쇄기(110,120)와 마그네틱 컨베이어(130)가 기본적으로 설치되고, 이들을 중심으로 매트리스를 유입하여 적소에 이송시키면서 최종 배출하기까지 원활한 물류를 위한 컨베이어들(141,143,145,147)이 설치된다. 아래에서는 이들 구성요소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매트리스 처리장치는 제1파쇄기(110), 제2파쇄기(120), 마그네틱 컨베이어(130), 유입 컨베이어(141), 제1이송 컨베이어(143), 중간 배출 컨베이어(145), 최종 배출 컨베이어(147)를 포함한다.
상기 제1파쇄기(110)는 수거된 매트리스를 일차적으로 잘게 파쇄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파쇄기(110)는 매트리스에 포함된 스프링코일을 비롯하여 나머지 부품들을 잘게 파쇄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떤 종류의 것으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예컨대 상호 맞물려 회전하는 커터의 전단력에 의해 폐기물을 파쇄하는 'Shredder'종류라면 적당하며 250마력(HP) 정도의 2-Shaft 또는 4-Shaft 제품이 사용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1파쇄기(110)는 단지 매트리스뿐만 아니라 다른 일반 가구와 책상, 의자 소파 등 다른 일반폐기물들을 파쇄하는 다목적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2파쇄기(120)는 상기 제1파쇄기(110)와 직렬로 배치되어 상기 제1파쇄기(110)에서 이미 파쇄된 매트리스의 칩을 더욱 잘게 파쇄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파쇄기(120) 역시 제1파쇄기(110)와 마찬가지로 매트리스 특히, 스프링코일을 잘게 파쇄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떤 종류의 것으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며 'Shredder'종류라면 적당하다. 예컨대 상기 제1파쇄기와 비교하여 보다 작은 출력을 갖는 100마력(HP)의 2-Shaft 또는 4-Shaft의 제품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2파쇄기(120)의 경우 제1파쇄기(110)에서 1차 파쇄된 매트리스의 칩을 더욱 잘게 파쇄하는 용도이기 때문에 출력은 작지만 보다 잘게 파쇄할 수 있는 것으로 구비하면 된다.
여기서, 상기 제2파쇄기(120)는 제1파쇄기(110)를 보조하면서 매트리스를 단계적으로 파쇄하기 위한 것으로 만일 상기 제1파쇄기(110)가 매트리스를 충분히 작은 크기로 파쇄하는 경우 당연히 구비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기존의 파쇄기 하나만을 사용해서는 매트리스를 목적하는 작은 크기와 균일한 품질로 파쇄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2개의 파쇄기를 직렬로 배치하여 단계적으로 파쇄하는 것이 현재로서는 바람직하다. 또한, 필요에 따라 더욱더 많은 수의 파쇄기를 구비하여 매트리스를 여러 단계에 걸쳐 점진적으로 잘게 파쇄할 수도 있다. 단, 상기 파쇄기들에 의해 매트리스를 잘게 파쇄하는 목적은 마그네틱 컨베이어(130)에 부착되는 스프링코일과 나머지 매트리스 칩의 엮임(Commingle)현상을 방지하고 양자간을 거의 완전히 분리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파쇄기들을 통해 엮임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충분한 정도의 크기로 파쇄하는 것이 중요하며 출원인의 자체 실험에 의하면 파쇄된 매트리스 칩의 크기가 1.5인치[inch] 미만인 20mm 내지 40mmm 정도에 이르는 경우 스프링코일과 다른 부품들이 99.5%까지 선별되어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처럼 본 발명은 제1파쇄기(110)와 제2파쇄기(120)에 의해 매트리스를 충분히 작은 크기가 될 때까지 단계적으로 파쇄하여 상기 마그네틱 컨베이어(130)에 의한 스프링코일의 선별시 매트리스의 다른 부품 칩과의 엮임현상을 방지하고 양자간을 완전히 분리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마그네틱 컨베이어(130)는 도 1과 도 4를 참조할 수 있듯이 중간 배출 컨베이어(145)의 상부에 교차 설치된다. 이로써 파쇄된 매트리스의 칩이 중간 배출 컨베이어(145)에 의해 이송되고 있는 도중에 스프링코일만을 자력에 의해 연속적으로 부착하여 배출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마그네틱 컨베이어(130)는 스프링코일 선별수단으로 사용되는 것이며, 마그넷의 자력을 이용하여 스프링코일을 부착하여 선별할 수 있는 것이라면 다른 어떤 것으로도 대체 가능하다. 예컨대 전자 석 기중기를 들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마그네틱 컨베이어(130)는 중간 배출 컨베이어(145)와 보조를 맞추면서 매트리스 칩의 이송을 중단시키지 않으면서도 스프링코일을 연속적으로 부착하여 선별해낼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장점이 있다. 나아가 상기 마그네틱 컨베이어(130)는 별도의 컨베이어 없이도 선별된 스프링코일을 직접 이송하여 배출할 수 있는 장점도 가진다.
여기서, 상기 마그네틱 컨베이어(130)의 배출측에는 스프링코일 수거함(135)이 설치되어 상기 마그네틱 컨베이어(130)가 배출하는 스프링코일을 받아 수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스프링코일은 제1파쇄기(110) 및 제2파쇄기(120)에 의해 잘게 조각난 상태이기 때문에 수거함 내부에 빈틈없이 효과적으로 수용된다.
상기 유입 컨베이어(141)는 도 2를 참조할 수 있듯이 상기 제1파쇄기(110)의 상부 유입측에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외부에서 다양한 경로를 통해 수거된 매트리스를 제1파쇄기(110)에 이송한다. 상기 유입 컨베이어(141)는 낮은 위치에서 매트리스를 받은 후 보다 높게 위치한 제1파쇄기(110)의 상부 유입측으로 공급하기 위해 경사진 형태로 설치된다. 참고로 도시되지 않았지만 수거된 매트리스를 유입 컨베이어(141)에 올려놓는 작업은 집게차가 간단히 수행하면 된다.
상기 제1이송 컨베이어(143)는 도 3을 참조할 수 있듯이 상기 제1파쇄기(110)의 하부 배출측으로부터 제2파쇄기(120)의 상부 유입측까지 경사진 형태로 설치된다. 이로써 상기 제1이송 컨베이어(143)는 제1파쇄기(110)에서 파쇄된 매트리스의 칩을 받아 제2파쇄기(120)까지 이송한다.
상기 중간 배출 컨베이어(145)는 도 4를 참조할 수 있듯이 상기 제2파쇄 기(120)의 하부 배출측으로부터 상기 최종 배출 컨베이어(147)의 상부측까지 경사진 형태로 설치된다. 이로써 상기 중간 배출 컨베이어(145)는 제2파쇄기(120)에서 더욱 잘게 파쇄된 매트리스의 칩을 최종 배출 컨베이어(147)까지 배출하게 된다. 한편, 상기 중간 배출 컨베이어(145)는 도중에 마그네틱 컨베이어(130)의 하측으로 교차되게 설치된다. 이로써 매트리스 칩에 포함된 스프링코일은 중간 배출 컨베이어(145)에 의해 이송되는 도중 마그네틱 컨베이어(130)에 의해 부착되어 별도의 배출경로를 통해 배출되며 나머지 매트리스 칩만이 상기 최종 배출 컨베이어(147)에 도달하여 실린다.
상기 최종 배출 컨베이어(147)는 상기 중간 배출 컨베이어(145)와 연결되어 스프링코일이 선별되고 난 나머지 매트리스의 칩을 공급받아 최종 배출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최종 배출 컨베이어(147)의 배출측단에는 변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매트리스 칩의 배출위치를 안내하는 자동제어 가이드 컨베이어(150)가 설치되는 한편, 적층되는 매트리스 칩의 높이를 측정하는 레벨 측정센서(160)가 더욱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상기 레벨 측정센서(160)가 측정한 매트리스 칩의 적층높이에 따라 자동제어 가이드 컨베이어(150)가 매트리스 칩의 배출 위치를 조절하여 배출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이같은 구성은 파쇄된 매트리스 칩을 콘테이너에 일정 높이로 가득 채울 수 있도록 하여 상차작업의 효율을 극대화한다.
한편, 본 발명의 매트리스 처리장치는 간단한 추가 구성에 의해 매트리스와 함께 일반가구, 책상, 의자, 소파 등의 다른 폐기물들을 파쇄하여 처리할 수 있는 보강된 형태의 변형이 가능하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를 설명한다.
[변형 실시예]
도 5는 변형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매트리스 처리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D-D에 따른 측면도이며, 도 7은 도 5의 E-E에 따른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매트리스 처리장치는 변형 전 구성과 비교하여 제1파쇄기(110)에서 매트리스가 아닌 다른 일반폐기물이 파쇄되는 경우 이를 다른 경로로 배출하기 위한 양방향 가이드 컨베이어(170)와 제2이송 컨베이어(149)가 추가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양방향 가이드 컨베이어(170)는 도 6을 참조할 수 있듯이 상기 제1파쇄기(110)의 하부 배출측에 양방향으로 이송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그 일단과 타단은 각각 제1이송 컨베이어(143)와 제2이송 컨베이어(149)의 상측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제1이송 컨베이어(143)는 변형전 실시예와 같이 제1파쇄기(110)의 하부 배출측에 직접 연결되지 않고 일방향으로 치우쳐진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양방향 가이드 컨베이어(170)의 안내에 의해 파쇄된 매트리스 칩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한 것을 볼 수 있다. 이같은 구성에서 상기 양방향 가이드 컨베이어(170)는 제1파쇄기(110)에서 파쇄된 폐기물이 매트리스인 경우 일방향으로 이송시켜 제1이 송 컨베이어(143)에 안내하고 파쇄된 폐기물이 매트리스가 아닌 일반폐기물인 경우 타방향으로 이송시켜 제2이송 컨베이어(149)에 구분하여 안내한다.
상기 제2이송 컨베이어(149)는 도 6과 도 7을 참조할 수 있듯이 상기 양방향 가이드 컨베이어(170)의 하측으로부터 상기 최종 배출 컨베이어(147)의 상측까지 경사진 형태로 설치된다. 이로써 상기 제2이송 컨베이어(149)는 상기 양방향 가이드 컨베이어(170)로부터 파쇄된 일반폐기물 칩을 받아 최종 배출 컨베이어(147)에 이송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2이송 컨베이어(149)는 상기 최종 배출 컨베이어(147)에 연결되는 대신 다른 배출경로를 구성하여 일반폐기물 칩을 단독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처럼 변형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매트리스 처리장치는 간단한 추가 구성에 의해 매트리스와 다른 일반폐기물들을 모두 처리할 수 있는 다용도 처리장치로의 활용이 가능하다.
계속해서, 본 발명의 매트리스 처리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해 매트리스가 처리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매트리스 처리방법은 매트리스를 유입하는 단계(S110), 제1차 파쇄단계(S120), 제2차 파쇄단계(S130), 스프링코일 선별 및 배출단계(S140), 나머지 매트리스 칩 배출단계(S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매트리스를 유입하는 단계(S110)에서는, 수거된 매트리스가 집게차 등 에 의해 유입 컨베이어(141)에 놓여진 후 이송되어 제1파쇄기(110)에 유입된다.
상기 제1차 파쇄단계(S120)에서는, 제1파쇄기(110)가 유입된 매트리스를 잘게 파쇄하게 된다. 이후, 파쇄된 매트리스 칩은 제1이송 컨베이어(143)에 의해 제2파쇄기(120)로 이송된다.
상기 제2차 파쇄단계(S130)에서는, 상기 제1파쇄기(110)에서 이미 파쇄된 매트리스 칩을 제2파쇄기(120)에서 보다 잘게 파쇄한다. 이때 최종 파쇄된 매트리스 칩의 크기는 1.5인치 미만의 크기가 된다. 이로써 파쇄된 매트리스의 스프링코일과 그 외 부품들의 칩이 서로 혼합되어 있기는 하지만 서로 엮어지지 않고 쉽게 분리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후, 상기 제2파쇄기(120)에서 더욱 잘게 파쇄된 매트리스 칩은 중간 배출 컨베이어(145)에 의해 이송된다.
상기 스프링코일 선별 및 배출단계(S140)에서는, 파쇄된 매트리스의 칩 중 스프링코일만을 마그넷의 자력에 의해 부착하여 선별하고 배출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중간 배출 컨베이어(145)와 교차 설치된 마그네틱 컨베이어(130)가 상기 중간 배출 컨베이어(145)에 의해 이송 도중인 매트리스 칩으로부터 스프링코일만을 연속적으로 부착하고 배출하게 된다. 이 단계(S110)에서는 상기 마그네틱 컨베이어(130)가 스프링코일의 선별작업과 배출작업을 동시에 수행하는 것이다. 이때 배출되는 스프링코일은 상기 마그네틱 컨베이어(130)의 배출측에 설치된 수거함(135)에 수용된다.
상기 매트리스 칩 배출단계(S150)에서는, 최종 배출 컨베이어(147)가 상기 스프링코일이 선별되고 남은 나머지 매트리스 칩을 중간 배출컨베이어로부터 받은 후 최종적으로 배출하게 된다. 이때 최종 배출 컨베이어(147)의 배출측단에 설치된 자동제어 가이드 컨베이어(150)는 레벨 측정센서(160)에서 측정된 칩의 적층높이를 근거로 매트리스 칩의 배출위치를 안내하여 원활한 배출을 돕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매트리스 처리방법은 매트리스를 잘게 파쇄하여 코일스프링과 그 외의 부품들이 쉽게 분리 가능하도록 만들고, 이후 마그네틱 컨베이어(130)에 의해 코일스프링만을 선별하여 배출하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해 매트리스가 아닌 일반폐기물이 처리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매트리스 처리방법은 매트리스가 아닌 일반폐기물이 유입되는 경우 일반폐기물 유입단계(S210), 제1차 파쇄단계(S220), 일반폐기물 칩 배출 단계(S230)를 통해 처리한다.
상기 일반폐기물 유입단계(S210) 및 제1차 파쇄단계(S220)는 수거된 일반폐기물을 유입 컨베이어(141)에 의해 제1파쇄기(110)로 이송시켜 유입하고 이를 제1파쇄기(110)가 잘게 파쇄하는 것으로, 매트리스를 처리할 때와 동일하다. 단, 폐기물이 매트리스인지 일반폐기물인지 여부는 컨트롤 패널을 조작하는 작업자가 확인하거나 비젼을 설치하여 간단히 구분하면 된다. 매트리스의 형태는 대부분 유사하기 때문에 비젼으로 확인하는데 거의 문제가 없다.
이후 상기 일반폐기물 칩 배출단계(S230)에서는, 파쇄된 일반폐기물 매트리스를 처리할 때와는 달리 제2파쇄기(120)나 마그네틱 컨베이어(130)를 거치지 않고 제2이송 컨베이어(149)를 통해 곧바로 최종 배출 컨베이어(147)에 이송시켜 배출시 킨다. 이때 제1파쇄기(110)에서 배출되는 폐기물이 매트리스인지 일반폐기물인지에 따라 구분하여 제1이송 컨베이어(143) 및 제2이송 컨베이어(149)에 안내하는 역할은 양방향 가이드 컨베이어(170)가 담당한다.
이처럼 본 발명의 매트리스 처리장치는 매트리스뿐만 아니라 일반폐기물도 함께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스프링코일 내장형 매트리스 처리방법 및 장치는 그동안 수작업에 의존하던 매트리스 분해 및 처리작업을 완전 자동화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종류의 파쇄기들을 직렬로 배치하여 매트리스에 포함된 스프링코일을 소망하는 크기까지 단계적으로 파쇄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균일한 파쇄가 가능하며, 특별히 제작된 전용의 파쇄기를 사용하는 대신 기존의 파쇄기를 그대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매트리스를 1.5인치 미만의 크기로 파쇄하기 때문에 파쇄된 스프링코일과 다른 부품들 간의 엮임 현상 없이 자력에 의한 스프링코일의 선별작업이 거의 100%에 가깝게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매트리스에 스프링코일 외에의 금속성 물질이 포함된 경우에도 스프링코일과 함께 선별해 재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파쇄된 매트리스로부터 스프링코일을 선별하기 위해 마그네틱 컨베이어를 사용하기 때문에 스프링코일의 선별작업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동시에 배출작업까지도 함께 수행할 수 있는 복합적인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양방향 가이드 컨베이어의 설치로 일반 가구, 책상, 의자 및 소파 등가 같이 매트리스가 아닌 일반폐기물인 경우 별도의 배출경로를 통해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배출위치를 안내하는 자동제어 가이드 컨베이어와 레벨 측정센서를 구비하여 파쇄된 매트리스의 원활한 배출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스프링코일을 완전히 선별할 수 있기 때문에 폐기된 매트리스를 새로운 재활용 자원으로 적극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동화에 의해 매트리스를 처리하기 때문에 수작업에 의한 노동력의 낭비를 막고 처리속도를 비약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16)

  1. 수거된 스프링코일 내장형 매트리스를 처리하기 위한 스프링코일 내장형 매트리스 처리방법으로서,
    매트리스를 유입하는 단계와;
    유입된 매트리스를 파쇄하는 단계와;
    마그넷의 자력에 의해 파쇄된 매트리스의 칩으로부터 조각난 스프링코일을 부착하여 선별하는 단계와;
    선별된 스프링코일과 나머지 파쇄된 매트리스의 칩을 구분하여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파쇄하는 단계에서 상기 매트리스의 파쇄를 위해 파쇄기들을 직렬로 배치하되, 보다 작은 크기로 파쇄할 수 있는 파쇄기들을 후방에 배치하여 상기 매트리스를 2번 이상 단계적으로 파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코일 내장형 매트리스 처리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리스는 최종적으로 1.5인치 미만의 크기로 파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스프링코일 내장형 매트리스 처리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코일만을 선별하는 단계에서, 상기 파쇄된 매트리스의 칩이 배출되는 도중 마그네틱 컨베이어를 교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코일 내장형 매트리스 처리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매트리스가 아닌 일반폐기물들을 매트리스와 구분하여 유입한 후 파쇄하고, 이를 매트리스의 칩과는 별도의 배출경로를 거쳐 배출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코일 내장형 매트리스 처리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매트리스가 아닌 일반폐기물들을 매트리스와 구분하여 유입한 후 파쇄하고, 이를 매트리스 칩과는 별도의 경로를 통해 이송시키되 최종적으로는 스프링코일이 선별되고 난 나머지 매트리스의 칩과 합류시켜 배출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코일 내장형 매트리스 처리방법.
  8. 수거된 스프링코일 내장형 매트리스를 처리하기 위한 스프링코일 내장형 매트리스 처리장치로서,
    수거된 매트리스를 파쇄하는 제1파쇄기와;
    상기 제1파쇄기와 직렬로 배치되고 마그넷의 자력에 의해 파쇄된 매트리스의 칩으로부터 스프링코일만을 부착하여 선별하는 스프링코일 선별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1파쇄기와 스프링코일 선별수단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파쇄기가 파쇄한 매트리스 칩을 더욱 잘게 파쇄하는 제2파쇄기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코일 내장형 매트리스 처리장치.
  9. 삭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리스는 최종적으로 1.5인치 미만의 크기로 파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스프링코일 내장형 매트리스 처리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코일 선별수단은 자력에 의해 상기 스프링코일만을 연속적으로 부착하여 배출하는 마그네틱 컨베이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코일 내장형 매트리스 처리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틱 컨베이어의 배출측에는 배출되는 스프링코일을 받아 수용하는 스프링코일 수거함이 더욱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코일 내장형 매트리스 처리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파쇄기의 배출측에 양방향 이송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파쇄기에서 매트리스가 아닌 다른 일반폐기물이 파쇄되어 배출되는 경우 이를 받아 상기 매트리스의 칩과는 구분되는 다른 배출경로로 안내하는 양방향 가이드 컨베이어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코일 내장형 매트리스 처리장치.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된 매트리스 칩의 배출위치를 안내하는 자동제어 가이드 컨베이어와;
    배출되어 적층되는 매트리스 칩의 높이를 측정하는 레벨 측정센서를 더욱 구비하여,
    상기 레벨 측정센서가 매트리스 칩의 적층되는 높이를 측정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자동제어 가이드 컨베이어가 매트리스 칩의 배출 위치를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코일 내장형 매트리스 처리장치.
  15. 수거된 스프링코일 내장형 매트리스를 처리하기 위한 스프링코일 내장형 매트리스 처리장치로서,
    수거된 폐기물을 파쇄하는 제1파쇄기와;
    상기 제1파쇄기의 배출측에 양방향 이송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파쇄기에서 파쇄된 폐기물이 매트리스인 경우 이를 받아 일방향으로 안내하고, 매트리스가 아닌 일반폐기물인 경우 이를 받아 타방향으로 안내하는 양방향 가이드 컨베이어와;
    상기 양방향 가이드 컨베이어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파쇄된 매트리스의 칩을 이송하는 제1이송 컨베이어와;
    상기 제1이송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된 매트리스의 칩을 받아 더욱 잘게 파쇄하는 제2파쇄기와;
    상기 제2파쇄기에서 배출된 매트리스의 칩을 이송하는 중간 배출 컨베이어와;
    상기 중간 배출 컨베이어와 교차 설치되어 마그넷의 자력에 의해 상기 매트리스의 칩으로부터 스프링코일만을 연속적으로 부착하여 선별하고 이를 배출하는 마그네틱 컨베이어와;
    상기 중간 배출 컨베이어로부터 상기 스프링코일이 선별되고 난 나머지 매트리스의 칩을 받아 최종 배출시키는 최종 배출 컨베이어와;
    상기 양방향 가이드 컨베이어의 타단과 최종 배출 컨베이어를 연결하여 상기 파쇄된 일반폐기물의 칩을 상기 최종 배출 컨베이어에 이송하는 제2이송 컨베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스프링코일 내장형 매트리스 처리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 배출 컨베이어의 배출측단에 변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폐기물 칩의 배출위치를 안내하는 자동제어 가이드 컨베이어와;
    상기 최종 배출 컨베이어로부터 배출되어 적층되는 폐기물 칩의 높이를 측정하는 레벨 측정센서를 더욱 구비하여,
    상기 레벨 측정센서가 폐기물 칩의 적층되는 높이를 측정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자동제어 가이드 컨베이어가 폐기물 칩의 배출 위치를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코일 내장형 매트리스 처리장치.
KR1020070047524A 2007-05-16 2007-05-16 스프링코일 내장형 매트리스 처리방법 및 장치 KR1007971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7524A KR100797116B1 (ko) 2007-05-16 2007-05-16 스프링코일 내장형 매트리스 처리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7524A KR100797116B1 (ko) 2007-05-16 2007-05-16 스프링코일 내장형 매트리스 처리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7116B1 true KR100797116B1 (ko) 2008-01-22

Family

ID=39218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7524A KR100797116B1 (ko) 2007-05-16 2007-05-16 스프링코일 내장형 매트리스 처리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711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6460B1 (ko) 2016-01-15 2016-09-12 주식회사 에치케이텍 폐 매트리스 분해 처리장치
KR102162275B1 (ko) * 2019-06-27 2020-10-06 김성수 포켓 매트리스 파쇄 분리기
KR20200122940A (ko) 2019-04-19 2020-10-28 김영대 매트리스 해체 장치 및 방법
KR20210080037A (ko) 2019-12-20 2021-06-30 김영대 매트리스 해체 장치
KR102498216B1 (ko) * 2022-04-08 2023-02-10 주식회사 우리산업 폐기물 선별시스템
KR20240063793A (ko) 2022-11-03 2024-05-10 박대식 폐 매트리스 커버 제거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90940A (ja) 1997-04-18 1998-11-04 Fuji Car Mfg Co Ltd ごみの破砕選別処理装置
JPH11342348A (ja) 1999-03-19 1999-12-14 Hitachi Ltd 破砕分別方法および装置
KR20050044873A (ko) * 2005-03-17 2005-05-13 (주)송대환경 건축 폐기물 분류장치 및 그 방법
KR100696308B1 (ko) 2006-04-13 2007-03-19 합자회사 홍천환경산업 양방향 콘베어를 이용한 건식 재생골재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90940A (ja) 1997-04-18 1998-11-04 Fuji Car Mfg Co Ltd ごみの破砕選別処理装置
JPH11342348A (ja) 1999-03-19 1999-12-14 Hitachi Ltd 破砕分別方法および装置
KR20050044873A (ko) * 2005-03-17 2005-05-13 (주)송대환경 건축 폐기물 분류장치 및 그 방법
KR100696308B1 (ko) 2006-04-13 2007-03-19 합자회사 홍천환경산업 양방향 콘베어를 이용한 건식 재생골재 제조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6460B1 (ko) 2016-01-15 2016-09-12 주식회사 에치케이텍 폐 매트리스 분해 처리장치
KR20200122940A (ko) 2019-04-19 2020-10-28 김영대 매트리스 해체 장치 및 방법
KR102162275B1 (ko) * 2019-06-27 2020-10-06 김성수 포켓 매트리스 파쇄 분리기
KR20210080037A (ko) 2019-12-20 2021-06-30 김영대 매트리스 해체 장치
KR102498216B1 (ko) * 2022-04-08 2023-02-10 주식회사 우리산업 폐기물 선별시스템
KR20240063793A (ko) 2022-11-03 2024-05-10 박대식 폐 매트리스 커버 제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7116B1 (ko) 스프링코일 내장형 매트리스 처리방법 및 장치
KR101656460B1 (ko) 폐 매트리스 분해 처리장치
US5522554A (en) Method and device for preparing plastic waste
KR101556406B1 (ko) 작업효율성을 향상시킨 재활용쓰레기 선별시스템
KR101260026B1 (ko) 파분쇄 및 선별을 이용한 고철 폐기물 재생 장치
KR20130012870A (ko) 폐차 잔재물의 폴리우레탄 폼 및 섬유 선별 장치
KR20100070698A (ko) 폐비닐 압축 절단 시스템
KR100492696B1 (ko) 재활용품 선별 시스템
KR20150004632A (ko) 재활용 쓰레기 처리장치
EP3275551A1 (en) Machine for recycling laminated plasterboard, separation method performed by said machine and use of same
CN107597584A (zh) 一种全自动钢刨花粉碎压块流水线
KR101976741B1 (ko) 펠릿 제조용 선별장치
KR20200023026A (ko) 펄프 재생공정의 불순물 처리시스템
KR101022969B1 (ko) 가연성 쓰레기 정량 공급장치
CN212092691U (zh) 一种循环粉碎系统
KR20030078844A (ko) 건설 폐기물 처리장치
KR200225561Y1 (ko) 생활폐기물 중 재활용품 선별장치
EP2128883A1 (en) Recycling plant for cathode-ray tube television receivers
CN211160166U (zh) 一种焚烧渣处理集成设备
KR20060129635A (ko) 산업폐기물 및 폐차량 처리용 슈레더
KR200437984Y1 (ko) 공용압축기를 구비한 재활용품 선별장치
JP2019214030A (ja) 精米設備
KR19980034982A (ko) 압축/분쇄 및 건조방식에 의한 음식물쓰레기 처리설비
CN212831611U (zh) 一种具有回粉均化功能的储料装置
EP0985452A2 (en) Crush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1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