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6308B1 - 양방향 콘베어를 이용한 건식 재생골재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양방향 콘베어를 이용한 건식 재생골재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6308B1
KR100696308B1 KR1020060033725A KR20060033725A KR100696308B1 KR 100696308 B1 KR100696308 B1 KR 100696308B1 KR 1020060033725 A KR1020060033725 A KR 1020060033725A KR 20060033725 A KR20060033725 A KR 20060033725A KR 100696308 B1 KR100696308 B1 KR 1006963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air
waste
blower
s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3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금녀
Original Assignee
합자회사 홍천환경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합자회사 홍천환경산업 filed Critical 합자회사 홍천환경산업
Priority to KR10200600337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63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63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63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eciprocating members
    • B02C1/02Jaw crushers or pulveri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9/00Other disintegrating devices or methods
    • B02C19/16Mills provided with vib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B03C1/02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9/00Conveyors comprising an impeller or a series of impellers carried by an endless traction element and arranged to move articles or materials over a supporting surface or underlying material, e.g. endless scraper convey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6Waste materials; Refuse from building or ceramic indust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6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방향 콘베어를 이용한 건식 재생골재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공급되는 건설폐기물을 처리하는 1세트의 건식골재 제조장치를 구비하되, 건식골재를 제조하는 어느 한 단계에 양방향콘베어를 설치하여 폐기물의 종류에 따라 콘베어를 좌우측으로 가변시키면서 처리하므로 각각 다른 종류의 건설폐기물도 효과적으로 처리하면서도 양질의 재생골재의 생산도 용이하도록 한 양방향 콘베어를 이용한 건식 재생골재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구성은 굴삭기나 휠로더등의 중장비를 이용 건설 폐기물을 진동호퍼에 투입하는 단계와; 투입된 건설 폐기물을 죠크라셔로 파쇄하는 1차 죠크라셔 파쇄 단계와; 1차 분쇄된 건설폐기물 중에 포함된 철류를 자력선별기로 선별하는 자력선별 단계와; 철류가 제거된 폐기물을 선별스크린을 이용하여 건설폐기물 중에 포함된 25mm 이하의 토사를 선별하여 하부로 배출 후 배출콘베어를 통해 야적지로 이송시키고, 하부로 선별되지 않은 건설폐기물은 끝단에서 낙하시켜 선별하는 단계와; 상기 선별단계에서 낙하되는 건설폐기물을 송풍기를 이용하여 송풍시켜 이물질을 분리하는 송풍단계와; 송풍단계를 거쳐 낙하된 건설폐기물을 선별콘베어로 이송하면서 비철금속이나 기타 송풍단계에서 선별되지 않은 이물질을 선별분리하는 단계와; 상기 선별콘베어에서 선별분리단계를 거친 건설폐기물이 양방향콘베어에 낙하되어 폐기물의 품질에 따라 이물질함유폐기물 처리단계 또는 양질의 폐콘크리트 폐기물 처리단계 중의 어느 한 단계로 이송되어 처리되도록 폐기물의 이송방향이 선택적으로 가변되는 단계로 이루어져 공급되는 폐기물의 품질에 따라 선택적으로 골재 제조단계를 가변시키는 방법을 그 기술적 사상의 특징으로 한다.
양방향콘베어, 건설폐기물, 2단가변식진동스크린, 조크라셔, 더블진동스크린

Description

양방향 콘베어를 이용한 건식 재생골재 제조방법{Dry type manufacturing method of recycling aggregate using bidirectional conveyer}
도 1은 본 발명 장치의 개략적인 전체 평면도이고,
도 2a 는 상기 도 1의 양질의 폐콘크리트 폐기물 처리수단의 전체 실시예를 보인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전체 실시예를 보인 개략적인 정면도,
도 2c는 본 발명 공기순환형 미분 및 이물질 분리장치를 상세하게 보인 정면도,
도 2d는 본 발명 공기순환형 미분 및 이물질 분리장치를 상세하게 보인 평면도,
도 2e는 본 발명 공기순환형 미분 및 이물질 분리장치를 상세하게 보인 측면도이고,
도 3a는 본 발명의 더블진동스크린의 각단에 포함되는 설치되는 풍속조절노즐의 사시도,
도 3b는 일부 절개면을 포함한 도 3a의 측면도,
도 3c은 도 3a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전체 제조공정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진동호퍼 (2) : 죠크라셔
(3) : 자력선별기 (4) : 진동스크린
(5) : 배출콘베어 (5) : 송풍기
(6) : 선별콘베어 (7) : 양방향콘베어
(8) : 이물질함유폐기물 처리수단
(9) : 양질의 폐콘크리트 폐기물 처리수단
본 발명은 양방향 콘베어를 이용한 건식 재생골재 제조방법에 관한 것을, 자세하게는 공급되는 건설 폐기물의 품질에 따라 골재 제조라인을 선택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건설폐기물에 대한 건식 재생골재 제조방법은 적벽돌, 아스콘 등등의 이물질이 다량 함유한 폐기물 저품질의 건설폐기물 또는 폐 폐콘크리트 등과 같은 양질의 건설폐기물을 그 품질과 상관없이 일괄로 처리해 왔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일괄처리방법으로 인해 생산되는 재생골재의 품질이 떨 어지는 원인이 되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는 2세트 이상의 파쇄 선별 분리시설을 설치하여 건설폐기물의 종류별로 파쇄분리하여 생산하는 방법을 사용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2세트 이상의 파쇄 선별 분리시설을 사용하는 방법은 설치공간이 많이 필요하고, 중복되는 장치구성들로 인해 장치 구성이 많고, 전체적인 시스템이 복잡해 진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급되는 건설폐기물을 처리하는 1세트의 건식골재 제조장치를 구비하되, 건식골재를 제조하는 어느 한 단계에 양방향콘베어를 설치하여 폐기물의 종류에 따라 콘베어를 좌우측으로 가변시키면서 처리하므로 각각 다른 종류의 건설폐기물도 효과적으로 처리하면서도 양질의 재생골재의 생산도 용이하도록 한 양방향 콘베어를 이용한 건식 재생골재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양방향 콘베어를 이용한 건식 재생골재 제조방법을 제공함과 동시에 건설 폐기물 포함의 분리와 선별과정에서 발생하는 분진을 제거하기 위해 파쇄기의 파쇄과정을 통하여 배출되는 폐기물을 파쇄 즉시 건식으로 순환하는 공기로 송풍시켜 미분과 이 물질을 싸이클론으로 제거하는 공기순환형 이물질, 미분 제거수단을 포함한 양방향 콘베어를 이용한 건식 재생골재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양방향 콘베어를 이용한 건식 재생골재 제조방법을 제공함과 동시에 더블진동스크린처럼 넓은 면적으로 낙하하는 폐기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풍력을 이용하여 분리하되, 여기에 사용되는 노즐의 구조를 변경하여 토출되는 송풍속도가 노즐 길이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제어되어 토출 되도록 하고, 또한 토출시 기체화된 물과 함께 토출되도록 하여 이물질의 비산을 막고, 또한 필요시 노즐의 구경을 용이하게 교체하여 풍속 크기를 변경할 수 있는 장치수단을 포함한 양방향 콘베어를 이용한 건식 재생골재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은 죠크라셔 또는 임팩트크랴셔 등의 파쇄기와, 원통형 또는 사각진동선별기 등의 선별기와, 폐기물을 송풍하는 송풍기, 각 단계별 폐기물을 다음 단계로 이송하는 콘베어 등을 구비 후 사용 목적에 맞게 배치하여 건설폐기물을 크기별로 분별하여 생산하는 제조장치에 있어서,
굴삭기나 휠로더등의 중장비로부터 건설 폐기물이 투입되는 진동호퍼와;
진동호퍼 투입된 건설 폐기물을 파쇄하는 1차 죠크라셔와;
1차 분쇄된 건설폐기물 중에 포함된 철류를 선별하는 자력선별기와;
철류가 제거된 폐기물을 공급받아 선별하는 진동스크린과;
진동스크린에 의해 선별된 건설폐기물 중에 포함된 25mm 이하의 토사를 일측 으로 이송하는 배출콘베어와;
진동스크린에 의해 하부로 선별되지 않은 건설폐기물이 진동스크린 끝단에서 낙하시 송풍하도록 진동스크린 끝단 하단부에 위치하고 있는 송풍기와;
상기 진동스크린의 끝단에서 낙하된 건설폐기물중에서 비철금속이나 기타 송풍단계에서 선별되지 않은 이물질을 인력으로 선별분리하도록 설치된 선별콘베어와;
상기 선별콘베어에서 선별분리단계를 거친 건설폐기물이 낙하되어 폐기물의 품질에 따라 이물질함유폐기물 처리수단 또는 양질의 폐콘크리트 폐기물 처리수단 중의 어느 한 수단으로 이송되어 처리되도록 폐기물의 이송방향을 구동력 변환에 의해 선택적으로 가변시키는 양방향콘베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물질함유폐기물 처리수단은 양방향콘베어로부터 공급된 이물질함유폐기물을 45mm이하의 순환골재로 파쇄하는 2차 죠크라셔와;
파쇄된 45mm이하의 순환골재를 이송하여 배출하는 배출콘베어로 이루어진다.
상기 양질의 폐콘크리트 폐기물 처리수단은,
폐기물을 일정크기로 분쇄하도록 공급받은 폐기물을 토사 및 토사 이외의 폐기물로 선별하여 토사는 하부에 설치된 측면컨베어로 배출시키고 폐기물은 임팩트크러셔로 공급하는 진동호퍼와, 진동호퍼로부터 폐기물을 공급받아 파쇄하는 임팩트크러셔와, 임팩트크러셔 하부에 설치되어 파쇄물을 배출하는 배출컨베어와, 배출 콘베어 상부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파쇄물로부터 철재류를 분리하는 자력선별기를 일체형으로 결합구성한 파쇄장치와;
상기 파쇄장치인 임팩트크러셔에서 파쇄된 파쇄물이 이송되는 배출콘베어 끝단 하부에 설치되어, 배출콘베어 끝단에서 낙하하는 파쇄물에 송풍기에서 공급된 공기를 토출하여 파쇄물이 개방형에어콘베어박스 내에서 비중에 따라 일정한 거리의 낙차로 비산시키도록 구성되고, 일지점이 싸이클론 및 개방형에어콘베어박스와 연결되어 송풍기에 의해 재순환하는 송풍배출통로와, 비산된 파쇄물들의 분산을 막도록 측면 및 상부면이 막히고 측면 상부 일측지점에서 싸이클론과 연통되는 송풍배출통로가 형성된 개방형에어콘베어박스와, 이 개방형에어콘베어박스 내로 비산된 파쇄물 중에서 미분 및 이물질을 건식 흡입하여 분리하는 싸이클론을 포함하여 구성된 공기순환형 미분 및 이물질 분리장치와;
상기 싸이클론의 흡입력을 이기고 낙하하는 파쇄물을 선별장치인 더블진동 스크린으로 이송하도록 개방형에어콘베어박스 하부에 설치된 에어콘베어와;
상기 에어콘베어로부터 공급받은 파쇄물을 미분 및 이물질이 제거된 3가지의 골재로 선별하는 더블진동스크린을 포함하여 결합구성된다.
상기 공기순환형 미분 및 이물질 분리장치는 싸이클론에서 집진 후 보내진 공기를 재송풍시키는 송풍기와;
송풍기로부터 재송풍된 공기로 파쇄장치에서 낙하하는 파쇄물을 송풍시켜 비산시키도록 배출컨베어 끝단 하부에 설치된 송풍배출통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송풍기와 송풍배출통로 사이에 설치되어 싸이클론에서 미쳐 제거되지 않은 미분을 제거함과 동시에 일정량의 공기를 정화하여 외부로 배출하므로 개방형에어콘베어박스 내부에 음압을 발생하도록 구성된 쳄버필터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싸이클론과 송풍기 중간에 설치되어 송풍량을 감압하여 싸이클론의 흡입력을 조절토록 설치된 휀조절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싸이클론은 개방형에어콘베어박스로부터 싸이클론 상부 측면의 일측방향으로 공급된 미분 및 이물질이 함유된 공기가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하향회전하면서 미분과 이물질은 원심력에 의하여 가라 않고 미분과 이 물질이 제거된 공기는 싸이클론 상부의 배출통로로 배출토록 콘 모양으로 구성한다.
상기 더블진동스크린에 장치되어 낙하하는 폐기물 중 이물질을 분리하도록 이물질에 공기를 배출시키는 풍속조절노즐과, 풍속조절노즐에 바람을 공급하도록 연결된 송풍통로와, 송풍통로에 풍량분배기를 통해 바람을 공급하는 송풍기와, 송풍통로에 설치되어 풍속을 조절하는 풍량조절기를 포함하는 이물질 분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풍속조절노즐의 전면부에 위치하여 체결수단에 의해 교체되도록 구성된 풍속조절판과;
상기 풍속조절노즐에 공기를 공급하는 유로가 바깥부분은 라운드지게 절곡된 송풍통로곡면부로 형성되고, 내측부분은 점차로 폭이 좁아지도록 경사각으로 형성하여 풍속조절노즐과 접하도록 형성된 송풍통로사선부로 형성된 송풍통로와;
상기 송풍통로를 관통 설치되어 내부에 물을 공급하여 기체화된 물이 공기 흐름에 실려 공기의 분사방향 및 범위로 분사토록 구성된 물분사노즐과;
상기 송풍통로의 송풍통로곡면부와 풍속조절노즐 사이의 어느 일지점에 설치되어 축회전에 따라 각도를 가지면서 공기의 유로를 개폐하여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공기 유도 조절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공기유도조절판은 송풍통로 외부에 있는 공기유도조절판 조절레버에 의해 각도 조절토록 구성하고,
상기 풍속조절판은 'ㄴ'자로 절곡시켜 풍속조절노즐과 밀착되도록 형성하며,
상기 'ㄴ'자 형상의 풍속조절판을 지지하도록 풍속조절노즐의 끝단부 일부분을 풍속조절판 수평지지부와, 절곡된 풍속조절판 수직지지부로 형성하고, 이 풍속조절판 수평지지부와 풍속조절판 수직지지부에 각각 홀을 형성하여 체결수단으로 체결토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은 굴삭기나 휠로더 등의 중장비를 이용 건설 폐기물을 진동호퍼에 투입하는 단계와; 진동호퍼에 투입된 건설 폐기물을 죠크라셔로 공급하여 파쇄하는 1차 죠크라셔 파쇄 단계와; 1차 죠크라셔에서 1차 분쇄된 건설폐기물 중에 포함된 철류를 자력선별기로 선별하는 자력선별 단계와; 자력선별기에 의해 철류가 제거된 폐기물을 선별스크린을 이용하여 건설폐기물 중에 포함된 25mm 이하의 토사를 선별하여 하부로 배출 후 배출콘베어를 통해 야적지로 이송시키고, 하부로 선별되지 않은 건설폐기물은 끝단에서 낙하시켜 선별하는 단계와; 상기 선별단계에서 낙하되는 건설폐기물을 송풍기를 이용하여 송풍시켜 이물질을 분리하는 송풍단계와; 송풍단계를 거쳐 낙하된 건설폐기물을 선별콘베어로 이송하면서 비철금속이나 기타 송풍단계에서 선별되지 않은 이물질을 선별분리하는 단계로 이루어져 건설폐기물을 크기별로 분별하여 생산하는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선별콘베어에서 선별분리단계를 거친 건설폐기물이 양방향콘베어에 낙하되어 공급된 폐기물의 품질에 따라 이물질함유폐기물 처리단계 또는 양질의 폐콘크리트 폐기물 처리단계 중의 어느 한 단계로 이송되어 처리되도록 양방향콘베어의 이송방향을 선택적으로 전환하여 폐기물의 이송방향이 선택적으로 가변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이물질함유폐기물 처리단계는,
양방향콘베어로부터 공급된 이물질함유폐기물을 2차죠크러셔를 이용 45mm이하의 순환골재로 파쇄하는 2차 죠크라셔 파쇄단계와;
파쇄된 폐기물을 배출 콘베어를 통해 45mm이하의 순환골재로 배출하는 단계로 이루어지고,
상기 양질의 폐콘크리트 폐기물 처리단계는,
양방향콘베어로부터 호퍼로 공급된 양질의 폐콘크리트 폐기물을 파쇄하는 임팩트크러셔 파쇄단계와;
파쇄되어 배출된 파쇄물 중에서 배출콘베어 상부에 설치된 자력선별기로 철근 등의 철재류를 분리 후 배출콘베어를 통하여 배출시키는 자력선별단계와;
배출콘베어 하부에서 낙하하는 파쇄물에 송풍배출통로상의 순환 공기를 송풍하여 에어콘베어 상부에 설치된 개방형 에어콘베어박스로 비중에 따라 비산되면 미분과 이 물질은 싸이클론의 흡입력으로 분리되고 흡입력을 이기고 낙하하는 파쇄물은 하부의 에어콘베어에 의하여 선별장치로 배출하는 개방형에어콘베어박스 선별단계와;
상기 개방형에어콘베어박스 선별단계에서 싸이클론의 흡입력을 이기고 낙하한 파쇄물이 개방형에어콘베어박스 하부에 설치된 에어콘베어를 통하여 이송되어 그 끝단에서 2단가변식 더블진동스크린으로 낙하되어 더블진동스크린에서 크기별로 분리되는 단계와;
상기 분리단계에 따라 크기별로 낙하한 폐기물이 콘베어를 통해 6mm이하의 순환잔골재(모래), 25mm이하의 순환골재로 배출되고, 25㎜ 이상의 폐기물은 재차 파쇄하기 위하여 리턴콘베어를 통하여 임팩트크러셔로 재차 투입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 개방형에어콘베어박스 내부로 비산된 파쇄물은 송풍기의 감압장치에 의하여 비산되는 비중과 크기에 따라 싸이클론에 흡입되어 미분과 이물질이 분리되어 싸이클론 하부에 위치한 배출콘베어를 통하여 배출하고, 집진에 사용된 공기는 재순환하여 사용토록 송풍기로 보내지는 단계와;
송풍기로 흡입된 공기는 송풍배출통로를 통해 반복적으로 재순환시키는 단계와;
상기 송풍기를 이용하여 재환시 송풍배출통로 중간에 설치된 쳄버필터로 일부 공기를 배출시켜 싸이클론에서 미쳐 제거되지 않은 미분 및 이물질을 제거하여 정화한 후 일정량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개방형에어콘베어박스 내의 음압(-압)을 유지시켜 비산먼지의 발생을 방지하면서 송풍공기를 반복적으로 재순환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2단 가변식 더블진동스크린 하부로 배출되어 컨베어로 낙하시 송풍기를 통해 재차 송풍하되, 풍속조절을 통해 송풍기로부터 2단 가변식 더블진동스크린로 공급되는 풍속을 조절하도록,
상기 송풍기로부터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단계와;
송풍된 공기를 풍량분배기를 통해 2단가변식 더블진동스크린의 양측으로 분배하는 풍량분배단계와;
풍량분배된 공기의 세기를 풍량조절기를 사용하여 조정하는 단계와;
풍량조절되어 공급된 공기의 풍속을 풍속조절기를 사용하여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인 구성과 그 작용을 첨부도면에 연계시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장치의 개략적인 전체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는데, 그 구성을 오른쪽에 도시된 호퍼로부터 순차적으로 설명하면,
굴삭기나 휠로더등의 중장비로부터 건설 폐기물이 투입되는 진동호퍼(1)와;
진동호퍼 투입된 건설 폐기물을 파쇄하는 1차 죠크라셔(2)와;
1차 분쇄된 건설폐기물 중에 포함된 철류를 선별하는 자력선별기(3)와;
철류가 제거된 폐기물을 공급받아 선별하는 진동스크린(4)과;
진동스크린에 의해 선별된 건설폐기물 중에 포함된 25mm 이하의 토사를 일측으로 이송하는 배출콘베어(5)와;
진동스크린에 의해 하부로 선별되지 않은 건설폐기물이 진동스크린 끝단에서 낙하시 송풍하도록 진동스크린 끝단 하단부에 위치하고 있는 송풍기(5)와;
상기 진동스크린의 끝단에서 낙하된 건설폐기물중에서 비철금속이나 기타 송 풍단계에서 선별되지 않은 이물질을 인력으로 선별분리하도록 설치된 선별콘베어(6)와;
상기 선별콘베어에서 선별분리단계를 거친 건설폐기물이 낙하되어 폐기물의 품질에 따라 이물질함유폐기물 처리수단(8) 또는 양질의 폐콘크리트 폐기물 처리수단(9) 중의 어느 한 수단으로 이송되어 처리되도록 폐기물의 이송방향을 구동력 변환에 의해 선택적으로 가변시키는 양방향콘베어(7)로 구성된다.
상기 이물질함유폐기물 처리수단(8)은 양방향콘베어로부터 공급된 이물질함유폐기물을 45mm이하의 순환골재로 파쇄하는 2차 죠크라셔(81)와;
파쇄된 45mm이하의 순환골재를 이송하여 배출하는 배출콘베어(82)로 이루어진다.
도 2a 는 상기 도 1의 양질의 폐콘크리트 폐기물 처리수단의 전체 실시예를 보인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전체 실시예를 보인 개략적인 정면도, 도 2c는 본 발명 공기순환형 미분 및 이물질 분리장치를 상세하게 보인 정면도, 도 2d는 본 발명 공기순환형 미분 및 이물질 분리장치를 상세하게 보인 평면도, 도 2e는 본 발명 공기순환형 미분 및 이물질 분리장치를 상세하게 보인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는데, 도 1에 도시된 상기 양질의 폐콘크리트 폐기물 처리수단(9)를도 2a를 참조하여 보다 자세히 본 발명의 유기적 결합구성을 살펴보면,
양방향콘베어(7)로부터 폐기물을 공급받는 진동호퍼(그리질리, 91)와; 폐기 물을 일정 크기 이하로 파쇄하는 임팩트크러셔(92)와, 파쇄물을 이송하는 배출콘베어(94)와, 배출콘베어의 상부에서 철재류를 분리하는 자력선별기(95)로 구성되는 일체형 파쇄장치로 구성된다. 즉, 상기 임팩트크러셔에서 분쇄된 폐기물은 임팩트크러셔에서 분쇄된 폐기물을 이송하도록 하부에 설치된 배출콘베어를 따라 이송하면서 배출콘베어 상부에 설치구성한 자력선별기에서 철근 등의 철재류가 분리된 후 배출콘베어를 통하여 배출되도록 구성하였다.
배출 콘베어의 끝단에 오면 파쇄물은 배출콘베어(94)의 끝단 하부에 설치된 에어콘베어(96)로 낙하하게 되는데, 배출콘베어의 끝단에서 하부로 낙하하는 파쇄물은 공기순환형 미분 및 이물질 분리장치의 송풍배출통로(97)가 설치되어 송풍하게 된다. 즉, 배출콘베어의 하부에 설치된 송풍배출통로(97)를 통해 재순환되는 공기의 송풍에 의해 파쇄물이 날리면서 파쇄물 중의 이물질 및 미분이 개방형에어콘베어박스(98)로 비산하도록 구성하였다.
비산된 이물질 및 분진은 개방형에어콘베어박스(98) 내로 비산하다가 싸이클론(99)으로 흡입되어 회전 분류되어 집진된다.
싸이클론의 흡입력을 이기고 낙하한 파쇄물은 에어콘베어를 통하여 배출되어 더블진동스크린(910)에서 각각의 크기에 따라 분류된다.
더블 진동스크린에서는 크기별로 3가지로 분리하여 더블진동 스크린 하부에 설치된 하부콘베어(911)로 적은 크기(0.3 ~ 8㎜)는 순환모래로 사용하기 위하여 배출하고, 중간 크기(8 ~ 25㎜) 측면 콘베어(912)로 배출하여 순환골재로 사용하고, 그 이상 크기(25㎜ 이상)의 폐기물은 재차 파쇄하기 위하여 또 다른 측면의 리턴 콘베어(913)를 통하여 임팩트 크려셔로 재차 투입하여 파쇄 하도록 장치를 구성한다.
도 2b에서는 도 2a에 도시된 리턴콘베어(913) 일부, 양방향콘베어(7), 챔버필터(915), 휀조절판(916), 배출콘베어(917)가 도면 설명의 편의상 생략되었다.
도 2a 내지 2e를 참조하여 본 발명 장치에서 이물질 및 미분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 구성을 살펴보면 크게 개방형에어콘베어박스(98)와 이로부터 이물질 및 미분을 흡입하는 싸이클론(99)으로 구성된다.
상기 개방형에어콘베어박스(98)는 파쇄장치에서 낙하하는 파쇄물을 송풍하는 과정에서 이물질과 미분이 비산되는 곳으로 비산먼지가 밖으로 나가지 못하도록 상부 및 측면이 폐쇄되어 구성된다. 이 개방형에어콘베어박스의 상단부와 싸이클론의 일측이 연결 구성되어 비산된 미분 및 이물질이 흡입된다. 상기 연결 지점은 개방형에어콘베어박스의 어디 지점에 형성해도 되나 가장 집진효율이 높은 곳에 설치하면 족하다.
상기 싸이클론(99)은 송풍기(914)의 흡입력으로 개방형에어콘베어박스(8)에 비산된 미분 및 이물질을 흡입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흡입된 미분 및 이물질은 싸이클론(99)으로 흡입 후 싸이클론(99)에 일측방향으로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회전하면서 깔때기 모양을 가지는 싸이클론 구조에 의해 하부방향에서 집진하여 하부에 설치된 배출콘베어(917)에 의하여 배출되도 록 구성한다.
상기 송풍기(914)로 흡입된 공기는 송풍배출통로(97) 중간에 설치된 쳄버필터(915)에 의하여 싸이클론(99)에서 미쳐 제거되지 않은 미분 및 이물질을 제거하고, 공기를 정화하여 일정량의 공기는 배출토록 구성하고, 송풍기(914) 전단에 휀조절판(916)을 설치하여 송풍량을 감압하고 흡입공기를 조절토록 구성하여 개방형에어콘베어박스 내부의 음압(-압)을 유지시켜서 비산먼지의 발생을 방지한다. 배출되지 않은 나머지 대부분의 공기는 재사용되는 반복 공정을 통하여 순환되도록 송풍기(914)와 송풍배출통로(97)를 통해 재순환 공급한다.
도 3a는 본 발명에의 더블진동스크린의 각단에 포함되는 설치되는 풍속조절노즐의 사시도, 도 3b는 일부 절개면을 포함한 도 3a의 측면도, 도 3c은 도 3a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체적인 형상은 대칭형상으로 형성된 구조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좌우대칭 구조는 하나의 구조로 구성할 수도 있고, 각각 별도의 유로를 가진 별도의 풍속 조절노즐을 하나인 것처럼 용접 또는 볼트 등의 통상적인 체결수단을 연결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주로 일측 형상 위주로 설명한다. 미설명된 타측면은 동일한 구성이다.
도 3a의 좌측 상단에 확대된 것처럼 본 발명 풍속조절노즐(1003)의 전면부에 는 볼트 너트 결합(도시 없음)과 체결수단에 의해 교체되도록 구성된 풍속조절판(1008)이 설치된다. 이와 같은 풍속조절판(1008) 설치구조의 장점은 교체시 그 체결수단이 외부로 돌출되어 체결해제 작업이 용이하여 풍속조절판을 폐기물 처리시의 상황에 맞게 적합한 것으로 교체할 수 있다는 장점과, 수리 역시 용이한 구조라는 장점이 있다.
즉,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풍속조절판(1008)은 'ㄴ'자로 절곡시켜 풍속조절노즐과 밀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ㄴ'자 형상의 풍속조절판(1008)을 지지하도록 풍속조절노즐의 끝단부 일부분을 풍속조절판 수평지지부(1031)와, 절곡된 풍속조절판 수직지지부(1032)로 형성하고, 이 풍속조절판 수평지지부와 풍속조절판 수직지지부에 각각 홀을 형성하여 풍속조절판(1008)에 형성된 대응하는 홀(1081)에 일측방향에서 볼트를 관통시켜 타측방향에서 너트 체결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풍속조절노즐(1003)은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통로(1004)와 연결되어 공기를 공급받게 되는데, 이 송풍통로(1004)의 형상은 본 발명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 중의 하나이다.
구체적인 형상을 들어 설명하자면 절곡부분의 바깥부분 형상이 절곡시 라운드지게 가공된 송풍통로곡면부(1042)로 이루어진 것임을 알 수 있고,
내측부분은 점차로 폭이 좁아지도록 경사각으로 형성하여 풍속조절노즐(1003)과 접하도록 형성된 송풍통로사선부(1041)로 형성된 것임을 알 수 있다.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송풍통로(1004)를 관통하여 송풍통로 내부에 물을 공급하여 공기 흐름에 실려 공기의 분사방향 및 범위로 분사토록 구성된 물분사노즐(1011)이 형성된다. 이러한 위치에 설치됨으로써 유속이 빠른 곡면부에 분사된 물이 스프레이 작용에 의해 기체화되어 공기의 흐름과 동일한 범위 및 방향으로 분사되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송풍통로(1004)의 송풍통로곡면부(1042)와 풍속조절노즐(1003) 사이의 어느 일지점에 설치되어 힌지축(1091)의 축회전에 따라 각도를 가지면서 공기의 유로를 개폐하여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공기 유도 조절판(1009)이 설치된다.
이 공기 유도 조절판(1009)의 힌지축(1091)은 송풍통로(1004) 외부에 설치된 공기유도조절판 조절레버(1010)에 의해 수동으로 임의의 각도로 조절된다.
이 조절레버는 볼트로 이루어진 힌지축의 양쪽을 너트로 체결하여 회전토록 구성하였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스크린처럼 넓은 면적으로 낙하하는 폐기물에서 풍력으로 이 물질을 분리하기 위하여 노즐의 모양과 구조를 개선하여 배출되는 공기의 풍속을 일정하고 균등하게 유지하여 효율적으로 이 물질을 분리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나비 모양의 양 옆으로 공기가 투입되면 고면부에서 부딪치는 공기는 경사각으로 형성된 공기통로에서 부딪쳐서 고르게 공기배출구로 배출되는데 본 발명과 같은 구조의 노즐은 풍속은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공기 배출구의 풍속조절판에서 일정한 압력의 풍속을 유지할 수 있는 구조이다.
또한 노즐 통로 중간에 공기유도 조절판은 공기가 경사각으로 유지되는 통로에 부디 치면서 일정하게 풍속조절판 밖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공기를 유도하며 풍속조절판으로 배출되지 못하고 공기의 역류하는 것도 방지하게 된다.
또한 풍속이 가장 높은 곡면구에 물 노즐을 설치함으로써 스프레이 작용으로 물이 공기에 기체화하여 노즐배출구로 공기와 같이 배출되어 적은 양의 물로도 비산먼지의 발생을 방지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전체 제조공정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는데, 구체적인 단계를 이하 설명한다.
본원 발명의 단계는 죠크라셔 또는 임팩트크랴셔 등의 파쇄기와, 원통형 또는 사각진동선별기 등의 선별기와, 폐기물을 송풍하는 송풍기, 각 단계별 폐기물을 다음 단계로 이송하는 콘베어 등을 구비 후 사용 목적에 맞게 배치하여 건설폐기물을 크기별로 분별하여 생산하는 제조방법에 있어서,
굴삭기나 휠로더등의 중장비를 이용 건설 폐기물을 진동호퍼에 투입하는 단계(S1100)와;
투입된 건설 폐기물을 죠크라셔로 파쇄하는 1차 죠크라셔 파쇄 단계(S1110)와;
1차 분쇄된 건설폐기물 중에 포함된 철류를 자력선별기로 선별하는 자력선별 단계(S1120)와;
철류가 제거된 폐기물을 선별스크린을 이용하여 건설폐기물 중에 포함된 25mm 이하의 토사를 선별하여 하부로 배출 후 배출콘베어를 통해 야적지로 이송시키고, 하부로 선별되지 않은 건설폐기물은 끝단에서 낙하시켜 선별하는 단계(S1130)와;
상기 선별단계에서 낙하되는 건설폐기물을 송풍기를 이용하여 송풍시켜 이물질을 분리하는 송풍단계(S1140)와;
송풍단계를 거쳐 낙하된 건설폐기물을 선별콘베어로 이송하면서 비철금속이나 기타 송풍단계에서 선별되지 않은 이물질을 선별분리하는 단계(S1150)와;
상기 선별콘베어에서 선별분리단계를 거친 건설폐기물이 양방향콘베어에 낙하되어 폐기물의 품질에 따라 이물질함유폐기물 처리단계 또는 양질의 폐콘크리트 폐기물 처리단계 중의 어느 한 단계로 이송되어 처리되도록 폐기물의 이송방향이 선택적으로 가변되는 단계(S1160)로 이루어진다.
상기 이송방향 가변단계에 따라 이물질함유폐기물 처리단계로 진행시의 단계는 양방향콘베어로부터 공급된 이물질함유폐기물을 2차죠크러셔를 이용 45mm이하의 순환골재로 파쇄하는 2차 죠크라셔 파쇄단계(S1170)와;
파쇄된 폐기물을 배출 콘베어를 통해 45mm이하의 순환골재로 배출하는 단계(S1180)로 이루어진다.
상기 이물질함유 폐기물은 벽돌, 아스콘 등의 저품질 건설 폐기물을 많이 하유한 폐기물을 말한다.
상기 이송방향 가변단계에 따라 양질의 폐콘크리트 폐기물 처리단계로 진행시의 단계는,
양방향콘베어로부터 호퍼로 공급된 양질의 폐콘크리트 폐기물을 파쇄하는 임팩트크러셔 파쇄단계(S1190)와;
파쇄되어 배출된 파쇄물 중에서 배출콘베어 상부에 설치된 자력선별기로 철근 등의 철재류를 분리 후 배출콘베어를 통하여 배출시키는 자력선별단계(S1200)와;
배출콘베어 하부에서 낙하하는 파쇄물에 송풍배출통로상의 순환 공기를 송풍하여 에어콘베어 상부에 설치된 개방형 에어콘베어박스로 비중에 따라 비산되면 미분과 이 물질은 싸이클론의 흡입력으로 분리되고 흡입력을 이기고 낙하하는 파쇄물은 하부의 에어콘베어에 의하여 선별장치로 배출하는 개방형에어콘베어박스 선별단계(S1210)와;
상기 개방형에어콘베어박스 선별단계에서 싸이클론의 흡입력을 이기고 낙하한 파쇄물이 개방형에어콘베어박스 하부에 설치된 에어콘베어를 통하여 이송되어 그 끝단에서 2단가변식 더블진동스크린으로 낙하되어 더블진동스크린에서 크기별로 분리되는 단계(S1220)와;
상기 분리단계에 따라 크기별로 낙하한 폐기물이 콘베어를 통해 6mm이하의 순환잔골재(모래), 25mm이하의 순환골재로 배출되고, 25㎜ 이상의 폐기물은 재차 파쇄하기 위하여 리턴콘베어를 통하여 임팩트크러셔로 재차 투입하는 단계(S1230)로 이루어진다.
상기 개방형에어콘베어박스 내부로 비산된 파쇄물은 송풍기의 감압장치에 의하여 비산되는 비중과 크기에 따라 싸이클론에 흡입되어 미분과 이물질이 분리되어 싸이클론 하부에 위치한 배출콘베어를 통하여 배출하고, 집진에 사용된 공기는 재순환하여 사용토록 송풍기로 보내지는 단계(S1240)와;
송풍기로 흡입된 공기는 송풍배출통로를 통해 반복적으로 재순환시키는 단계(S1250)와;
상기 송풍기를 이용하여 재환시 송풍배출통로 중간에 설치된 쳄버필터로 일부 공기를 배출시켜 싸이클론에서 미쳐 제거되지 않은 미분 및 이물질을 제거하여 정화한 후 일정량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개방형에어콘베어박스 내의 음압(-압)을 유지시켜 비산먼지의 발생을 방지하면서 송풍공기를 반복적으로 재순환시키는 (S1260)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2단 가변식 더블진동스크린 하부로 배출되어 컨베어로 낙하시 송풍기를 통해 재차 송풍하되, 풍속조절을 통해 송풍기로부터 2단 가변식 더블진동스크린로 공급되는 풍속을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그 단계는,
상기 송풍기로부터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단계(S1270)와;
송풍된 공기를 풍량분배기를 통해 2단가변식 더블진동스크린의 양측으로 분배하는 풍량분배단계(S1280)와;
풍량분배된 공기의 세기를 풍량조절기를 사용하여 조정하는 단계(S1290)와;
풍량조절되어 공급된 공기의 풍속을 풍속조절기를 사용하여 조절하는 단계(S13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공급되는 건설폐기물을 처리하는 1세트의 건식골재 제조장치를 구비하되, 건식골재를 제조하는 어느 한 단계에 양방향콘베어를 설치하여 폐기물의 종류에 따라 콘베어를 좌우측으로 가변시키면서 처리하므로 각각 다른 종류의 건설폐기물도 효과적으로 처리하면서도 양질의 재생골재의 생산도 용이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상기 효과를 포함한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폐기물(건설 폐기물 포함)의 분리와 선별과정에서 발생하는 분진을 파쇄 즉시 공기순환형 미분 및 이물질분리장치로 투입하여 미분과 이물질을 분리하여 파쇄물의 선별이나 분리과정에 발생 하는 비산먼지 발생을 방지하면서 양질의 순환골재를 생산하는 시설로 종래와 같은 일정규모 이상의 탁수처리 시설, 토양오염을 유발하는 응집제, 건식 방법에 따른 분진 발생, 분진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살수 장치, 살수장치 설치시 건식 싸이클론으로 미분 제거시의 어려움등의 문제점이 발생치 않는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상기 효과를 포함한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더블진동스크린처럼 넓은 면적으로 낙하하는 폐기물에서 풍력으로 이 물질을 분리하기 위하여 노즐의 모양과 구조를 개선하여 배출되는 공기의 풍속을 일정하고 균등하게 유지하여 효율적으로 이 물질을 분리한다는 장점과, 노즐 통로 중간에 공기유도 조절판은 공기가 경사각으로 유지되는 통로에 부딪치면서 일정하게 풍속조절판 밖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공기를 유도하며, 풍속조절판으로 배출되지 못한 공기의 역류도 방지한다는 장점과, 또한 풍속이 가장 높은 곡면부에 물 노즐을 설치하여 스프레이 작용으로 물이 공기에 기체화되어 노즐배출구로 공기와 같이 배출되어 적은 양의 물로도 비산먼지의 발생을 방지한다는 효과를 가진 유용한 발명으로 산업상 그 이용이 크게 기대되는 발명인 것이다.
삭제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굴삭기나 휠로더 등의 중장비를 이용 건설 폐기물을 진동호퍼에 투입하는 단계와; 진동호퍼에 투입된 건설 폐기물을 죠크라셔로 공급하여 파쇄하는 1차 죠크라셔 파쇄 단계와; 1차 죠크라셔에서 1차 분쇄된 건설폐기물 중에 포함된 철류를 자력선별기로 선별하는 자력선별 단계와; 자력선별기에 의해 철류가 제거된 폐기물을 선별스크린을 이용하여 건설폐기물 중에 포함된 25mm 이하의 토사를 선별하여 하부로 배출 후 배출콘베어를 통해 야적지로 이송시키고, 하부로 선별되지 않은 건설폐기물은 끝단에서 낙하시켜 선별하는 단계와; 상기 선별단계에서 낙하되는 건설폐기물을 송풍기를 이용하여 송풍시켜 이물질을 분리하는 송풍단계와; 송풍단계를 거쳐 낙하된 건설폐기물을 선별콘베어로 이송하면서 비철금속이나 기타 송풍단계에서 선별되지 않은 이물질을 선별분리하는 단계로 이루어져 건설폐기물을 크기별로 분별하여 생산하는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선별콘베어에서 선별분리단계를 거친 건설폐기물이 양방향콘베어에 낙하되어 공급된 폐기물의 품질에 따라 이물질함유폐기물 처리단계 또는 양질의 폐콘크리트 폐기물 처리단계 중의 어느 한 단계로 이송되어 처리되도록 양방향콘베어의 이송방향을 선택적으로 전환하여 폐기물의 이송방향이 선택적으로 가변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이물질함유폐기물 처리단계는,
    양방향콘베어로부터 공급된 이물질함유폐기물을 2차죠크러셔를 이용 45mm이하의 순환골재로 파쇄하는 2차 죠크라셔 파쇄단계와;
    파쇄된 폐기물을 배출 콘베어를 통해 45mm이하의 순환골재로 배출하는 단계로 이루어지고,
    상기 양질의 폐콘크리트 폐기물 처리단계는,
    양방향콘베어로부터 호퍼로 공급된 양질의 폐콘크리트 폐기물을 파쇄하는 임팩트크러셔 파쇄단계와;
    파쇄되어 배출된 파쇄물 중에서 배출콘베어 상부에 설치된 자력선별기로 철근 등의 철재류를 분리 후 배출콘베어를 통하여 배출시키는 자력선별단계와;
    배출콘베어 하부에서 낙하하는 파쇄물에 송풍배출통로상의 순환 공기를 송풍하여 에어콘베어 상부에 설치된 개방형 에어콘베어박스로 비중에 따라 비산되면 미분과 이 물질은 싸이클론의 흡입력으로 분리되고 흡입력을 이기고 낙하하는 파쇄물은 하부의 에어콘베어에 의하여 선별장치로 배출하는 개방형에어콘베어박스 선별단계와;
    상기 개방형에어콘베어박스 선별단계에서 싸이클론의 흡입력을 이기고 낙하한 파쇄물이 개방형에어콘베어박스 하부에 설치된 에어콘베어를 통하여 이송되어 그 끝단에서 2단가변식 더블진동스크린으로 낙하되어 더블진동스크린에서 크기별로 분리되는 단계와;
    상기 분리단계에 따라 크기별로 낙하한 폐기물이 콘베어를 통해 6mm이하의 순환잔골재(모래), 25mm이하의 순환골재로 배출되고, 25㎜ 이상의 폐기물은 재차 파쇄하기 위하여 리턴콘베어를 통하여 임팩트크러셔로 재차 투입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콘베어를 이용한 건식 재생골재 제조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형에어콘베어박스 내부로 비산된 파쇄물은 송풍기의 감압장치에 의하여 비산되는 비중과 크기에 따라 싸이클론에 흡입되어 미분과 이물질이 분리되어 싸이클론 하부에 위치한 배출콘베어를 통하여 배출하고, 집진에 사용된 공기는 재순환하여 사용토록 송풍기로 보내지는 단계와;
    송풍기로 흡입된 공기는 송풍배출통로를 통해 반복적으로 재순환시키는 단계와;
    상기 송풍기를 이용하여 재환시 송풍배출통로 중간에 설치된 쳄버필터로 일부 공기를 배출시켜 싸이클론에서 미쳐 제거되지 않은 미분 및 이물질을 제거하여 정화한 후 일정량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개방형에어콘베어박스 내의 음압(-압)을 유지시켜 비산먼지의 발생을 방지하면서 송풍공기를 반복적으로 재순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콘베어를 이용한 건식 재생골재 제조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2단 가변식 더블진동스크린 하부로 배출되어 컨베어로 낙하시 송풍기를 통해 재차 송풍하되, 풍속조절을 통해 송풍기로부터 2단 가변식 더블진동스크린으로 공급되는 풍속을 조절하도록,
    상기 송풍기로부터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단계와;
    송풍된 공기를 풍량분배기를 통해 2단가변식 더블진동스크린의 양측으로 분배하는 풍량분배단계와;
    풍량분배된 공기의 세기를 풍량조절기를 사용하여 조정하는 단계와;
    풍량조절되어 공급된 공기의 풍속을 풍속조절기를 사용하여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콘베어를 이용한 건식 재생골재 제조방법.
  6. 삭제
KR1020060033725A 2006-04-13 2006-04-13 양방향 콘베어를 이용한 건식 재생골재 제조방법 KR1006963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3725A KR100696308B1 (ko) 2006-04-13 2006-04-13 양방향 콘베어를 이용한 건식 재생골재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3725A KR100696308B1 (ko) 2006-04-13 2006-04-13 양방향 콘베어를 이용한 건식 재생골재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6308B1 true KR100696308B1 (ko) 2007-03-19

Family

ID=41623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3725A KR100696308B1 (ko) 2006-04-13 2006-04-13 양방향 콘베어를 이용한 건식 재생골재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6308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7116B1 (ko) 2007-05-16 2008-01-22 홍민기 스프링코일 내장형 매트리스 처리방법 및 장치
KR100878841B1 (ko) 2008-01-02 2009-01-15 주식회사 이지엠 모래 및 골재의 선별처리시스템
KR100889809B1 (ko) 2008-06-09 2009-03-20 주식회사 신텍 건식 공정으로 도로공사용 또는 콘크리트용 순환골재를생산하는 장치 및 그 방법
JP2017205737A (ja) * 2016-05-20 2017-11-24 株式会社中山鉄工所 破砕装置用移送システム
CN109107738A (zh) * 2018-10-30 2019-01-01 湖北力帝机床股份有限公司 10000马力废钢破碎生产线
KR102039169B1 (ko) 2019-06-05 2019-11-27 박광엽 골재 이송장치
KR102039168B1 (ko) 2019-06-05 2019-11-27 박광엽 폐골재 이송장치
KR102060833B1 (ko) 2019-06-05 2020-02-13 (유)정한 자재 이송장치
CN112108234A (zh) * 2020-09-09 2020-12-22 于志勇 一种建筑垃圾处理装置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1550A (ja) * 1990-05-16 1992-01-24 Atsuhiro Honda コンクリート屑の再生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920016683A (ko) * 1991-02-07 1992-09-25 쇼이찌 사이토 2단 팔레트형 입체 주차장치의 작동방법
KR100235319B1 (ko) 1998-01-21 1999-12-15 오종택 건설폐기물 처리와 재활용을 위한 중간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KR20000058365A (ko) * 2000-05-02 2000-10-05 박종철 건설폐기물의 재활용 처리방법 및 그 장치
KR200266263Y1 (ko) 2001-11-08 2002-02-27 김구회 건설폐기물 파쇄 및 선별시스템
KR100393844B1 (en) 2003-07-01 2003-08-02 Okok Ind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construction wastes equipped with soil removing scalping device for detour process
KR100455833B1 (ko) * 2004-06-17 2004-11-10 삼성환경산업 주식회사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골재 재생방법 및 재생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1550A (ja) * 1990-05-16 1992-01-24 Atsuhiro Honda コンクリート屑の再生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920016683A (ko) * 1991-02-07 1992-09-25 쇼이찌 사이토 2단 팔레트형 입체 주차장치의 작동방법
KR100235319B1 (ko) 1998-01-21 1999-12-15 오종택 건설폐기물 처리와 재활용을 위한 중간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KR20000058365A (ko) * 2000-05-02 2000-10-05 박종철 건설폐기물의 재활용 처리방법 및 그 장치
KR200266263Y1 (ko) 2001-11-08 2002-02-27 김구회 건설폐기물 파쇄 및 선별시스템
KR100393844B1 (en) 2003-07-01 2003-08-02 Okok Ind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construction wastes equipped with soil removing scalping device for detour process
KR100455833B1 (ko) * 2004-06-17 2004-11-10 삼성환경산업 주식회사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골재 재생방법 및 재생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7116B1 (ko) 2007-05-16 2008-01-22 홍민기 스프링코일 내장형 매트리스 처리방법 및 장치
KR100878841B1 (ko) 2008-01-02 2009-01-15 주식회사 이지엠 모래 및 골재의 선별처리시스템
KR100889809B1 (ko) 2008-06-09 2009-03-20 주식회사 신텍 건식 공정으로 도로공사용 또는 콘크리트용 순환골재를생산하는 장치 및 그 방법
JP2017205737A (ja) * 2016-05-20 2017-11-24 株式会社中山鉄工所 破砕装置用移送システム
CN109107738A (zh) * 2018-10-30 2019-01-01 湖北力帝机床股份有限公司 10000马力废钢破碎生产线
CN109107738B (zh) * 2018-10-30 2023-09-22 湖北力帝机床股份有限公司 10000马力废钢破碎生产线
KR102039169B1 (ko) 2019-06-05 2019-11-27 박광엽 골재 이송장치
KR102039168B1 (ko) 2019-06-05 2019-11-27 박광엽 폐골재 이송장치
KR102060833B1 (ko) 2019-06-05 2020-02-13 (유)정한 자재 이송장치
CN112108234A (zh) * 2020-09-09 2020-12-22 于志勇 一种建筑垃圾处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6308B1 (ko) 양방향 콘베어를 이용한 건식 재생골재 제조방법
KR100544233B1 (ko) 공기순환형 이물질, 미분 제거수단을 포함한 양질의순환골재 생산 방법 및 그 장치
KR100582847B1 (ko) 건축 폐기물 순환골재 선별장치 및 그 선별방법
KR101685025B1 (ko) 건설폐기물의 순환골재 선별처리장치
CN109967494B (zh) 一种处理建筑垃圾的工艺方法及系统装置
KR102164244B1 (ko) 원석의 선택적 파쇄와 필터링이 가능한 크러싱 시스템
KR100889809B1 (ko) 건식 공정으로 도로공사용 또는 콘크리트용 순환골재를생산하는 장치 및 그 방법
KR100559483B1 (ko) 재활용 골재 생산 시스템
KR200255197Y1 (ko) 송풍기를 이용한 건식 건설폐기물선별장치
KR100467868B1 (ko) 건설폐기물 파쇄 및 선별시스템
KR200266263Y1 (ko) 건설폐기물 파쇄 및 선별시스템
JPH10231004A (ja) 車載式固形物粒状化装置
KR100801590B1 (ko) 미세 이물질 분리장치와 그 방법
KR100689796B1 (ko) 블러스터를 이용한 재생 굵은골재용 모르타르 박리기
KR102293348B1 (ko) 건설폐기물 중간처리 과정 중 분진저감과 이물질 제거 및 악취를 저감하는 재생토사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030078844A (ko) 건설 폐기물 처리장치
KR100595006B1 (ko) 건설폐기물 처리시스템
KR200418149Y1 (ko) 건축폐기물의 재활용 처리장치
KR100452857B1 (ko) 건설폐기물 재생처리 시스템의 쓰레기 분리장치
JP2006150312A (ja) 風力選別装置
KR100488476B1 (ko) 건설 폐기물의 파쇄 및 선별장치
KR102051412B1 (ko) 건축폐기물 처리장치
KR20030064185A (ko) 건설폐기물 골재화 장치 및 재생모래 생산장치
KR102581345B1 (ko) 판형 및 로터리형 이물질 분리장치를 구비한 골재 제조 시스템
KR100464790B1 (ko) 골재의 입형개선 및 그 속에 포함된 이물질 선별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