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9168B1 - 폐골재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폐골재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9168B1
KR102039168B1 KR1020190066701A KR20190066701A KR102039168B1 KR 102039168 B1 KR102039168 B1 KR 102039168B1 KR 1020190066701 A KR1020190066701 A KR 1020190066701A KR 20190066701 A KR20190066701 A KR 20190066701A KR 102039168 B1 KR102039168 B1 KR 1020391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gregate
waste
transfer
frame
recyc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6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광엽
박승학
Original Assignee
박광엽
박승학
주식회사 대광아스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광엽, 박승학, 주식회사 대광아스콘 filed Critical 박광엽
Priority to KR10201900667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91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91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91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6Feed or discharge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1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 B65G21/12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to allow adjustment of position of load-carrier or traction element as a who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conveyors of the same kind, or of different kind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or use in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16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materials in bulk
    • B65G47/18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30Methods or devices for filling or emptying bunkers, hoppers, tanks, or like container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use in particular 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or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e.g.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B65G65/34Emptying devices
    • B65G65/40Devices for emptying otherwise than from the to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9/00Auxiliary measures taken, or devices used, in connection with loading or unloading
    • B65G69/18Preventing escape of dust
    • B65G69/181Preventing escape of dust by means of sealed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9/00Auxiliary measures taken, or devices used, in connection with loading or unloading
    • B65G69/18Preventing escape of dust
    • B65G69/185Preventing escape of dust by means of non-sealed systems
    • B65G69/188Preventing escape of dust by means of non-sealed systems with spray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5Sand, soil and mineral 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B65G2203/0258Weight of th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14Combination of conveyors

Abstract

본 발명의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에 혼합하여 사용되는 골재를 재사용 골재와 폐기되는 폐골재로 분리하여 재사용 측과 폐기 측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폐골재 이송장치는, 골재를 저장 보관하며, 저장 보관된 골재를 골재이송부 측으로 설정된 골재 배출량 또는 골재 배출시간 중 어느 하나의 설정을 선택하여 자동배출되거나, 작업자가 직접 수동배출하기 위해 형성되는 골재호퍼부; 및 상기 골재호퍼부에서 배출되는 골재를 골재분리이송부 측으로 이송하기 위한 골재이송부; 및 상기 골재이송부를 통해 이송되는 골재를 재사용 하기 위한 골재와 폐기하기 위한 폐골재로 분리도록 형성되는 골재분리이송부를 포함하는 폐골재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폐골재 이송장치{Construction material transport device}
본 발명 폐골재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에 혼합하여 사용되는 골재를 재사용 골재와 폐기되는 폐골재로 분리하여 재사용 측과 폐기 측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장치인 폐골재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시멘트에 혼합하여 사용하고 있는 골재 또는 폐기처리된 콘크리트 등의 건설 폐자재는 분쇄하여 컨베어를 통해 이송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폐자재를 분리 선별하여 분쇄장치를 통해 분쇄시켜 이송시킴으로 작업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자동 컨베어를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기존 장치는 분쇄되어 이송시 분진이 발생되어 작업자의 건강을 헤치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분진이 다량으로 비산되어 장비에 퇴적됨으로 장비의 수명이 짧아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분쇄를 하여 이송되는 폐자재가 완전히 분쇄되지 않아 작업자가 직접 선별해야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696308호
본 발명은 저장 보관되는 골재를 이송과 분리의 공정을 거쳐 재생골재와 폐골재를 분리하도록 하는 구성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골재를 분리하는 구성에 의해 생성되는 재생골재를 이송시키는 구성과 골재를 분리하는 구성에 의해 생성되는 폐골재를 이송시켜 보관 및 저장하거나,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는 구성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골재와 재생골재와 폐골재의 이송시 발생되는 분진에 물을 분무함으로 비산을 방지하는 구성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골재 분리시 덩어리로 뭉쳐진 골재를 진동 또는 충격을 가해 재생골재와 폐골재를 분리하도록 바이브레이터의 구성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이송되는 재생골재의 무게를 실시간 측정함으로 일별 생산량, 월별 생산량 등을 확인할 수 있는 무게측정수단의 구성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폐골재의 배출시 다방향으로 배출이 용이하도록 가변수단 구성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에 혼합하여 사용되는 골재를 재사용 골재와 폐기되는 폐골재로 분리하여 재사용 측과 폐기 측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폐골재 이송장치는, 골재를 저장 보관하며, 저장 보관된 골재를 골재이송부 측으로 설정된 골재 배출량 또는 골재 배출시간 중 어느 하나의 설정을 선택하여 자동배출되거나, 작업자가 직접 수동배출하기 위해 형성되는 골재호퍼부; 및 상기 골재호퍼부에서 배출되는 골재를 골재분리이송부 측으로 이송하기 위한 골재이송부; 및 상기 골재이송부를 통해 이송되는 골재를 재사용 하기 위한 골재와 폐기하기 위한 폐골재로 분리도록 형성되는 골재분리이송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골재호퍼부는, 배출하여 분리하기 위한 골재를 보관 및 저장하도록 형성되는 호퍼; 상기 호퍼에 저장 보관되는 골재를 골재 배출컨베어 측으로 배출하기 위해 호퍼 하측으로 형성되는 호퍼구동모터; 상기 호퍼구동모터의 작동으로 배출되는 호퍼를 골재이송부 측으로 이송시키기 위해 호퍼구동모터 하측 방향에 수평으로 형성되는 골재배출컨베어를 포함하며, 상기 골재이송부는, 골재호퍼부에서 배출되는 골재를 제2골재이송수단 측으로 수평 이송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제1골재이송수단; 및 제1골재이송수단을 통해 이송되는 골재를 제공받아 골재분리이송부 측으로 골재를 상승 이송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제2골재이송수단으로 포함되되, 상기 제1골재이송수단은, 복수의 호퍼에서 배출되는 골재를 이송하기 위해 복수의 호퍼 하측 방향으로 수평 형성되는 제1이송프레임; 상기 제1이송프레임 상측으로 골재가 안착 되어 이송될 수 있도록 제1이송롤러를 따라 형성되는 제1이송컨베어벨트; 복수의 제1이송롤러 중 일측 끝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이송롤러를 회전 시키기 위해 일측 끝 방향에 형성된 제1이송롤러에 연결 형성되는 제1이송모터; 제1이송컨베어벨트를 회전 이동시키기 위해 제1이송컨베어벨트 사이에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개 형성되는 제1이송롤러; 제1이송컨베어벨트를 따라 이송되는 골재에서 발생되는 분진이 비산되지 않도록 제1이송프레임에 안착 형성되는 제1비산방지망을 포함하며, 상기 제1골재이송수단은, 제1이송컨베어벨트에 안착되어 이송되는 골재에서 발생된 분진을 물을 분무하여 제거하기 위해 제1비산방지망 내부에 복수개 형성되는 제1분무노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골재이송수단은, 제1골재이송수단 측에서 제공되는 골재를 분리골재이송부 측으로 이송시키기 위해 제1골재이송수단 일측 방향으로 상승 형태의 사선으로 형성되는 제2이송프레임; 제1골재이송수단 측에서 제공되는 골재가 이송 반대방향 측으로 낙하되지 않도록 방지하기 위해 제2이송프레임 일측으로 형성되는 골재낙하방지부재; 상기 제2이송프레임 상측으로 골재가 안착되어 이송될 수 있도록 제2이송롤러를 따라 형성되는 제2이송컨베어벨트; 복수의 제2이송롤러 중 일측 끝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이송롤러를 회전 시키기 위해 일측 끝 방향에 형성된 제2이송롤러에 연결 형성되는 제2이송모터; 제2이송컨베어벨트를 회전 이동시키기 위해 제2이송컨베어벨트 사이에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개 형성되는제2이송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골재분리이송부는, 제2골재이송수단 측에서 제공되는 골재를 분리하기 위해 제2골재이송수단 일측 방향으로 형성되는 골재분리이송프레임; 제2골재이송수단 측에서 제공받은 골재를 재생골재와 폐골재로 분리하기 위해 골재분리이송프레임 상측으로 복수의 홈으로 형성되는 골재분리망; 상기 골재분리망에서 분리되는 폐골재가 골재분리이송프레임에서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골재분리이송프레임 양측으로 형성되는 이탈방지부재; 상기 골재분리망을 통해 분리되는 폐골재가 배출되도록 골재분리이송프레임 일측으로 형성되는 배출구를 포함하되, 상기 골재분리이송부는, 골재분리망에서 진동을 통한 골재 분리를 위해 골재분리망 일측으로 형성되는 분리바이브레이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폐골재를 다방향으로 배출하기 위해 좌우측으로 가변되도록 배출구와 골재분리이송프레임 간의 연결 형성되는 배출구가변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골재분리이송부를 통해 걸러져 분리되는 골재를 이송시키기 위해 상기 골재분리이송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재생골재이송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재생골재이송수단은, 재생골재를 이송시키기 위해 골재분리이송부 하측으로 사선 방향으로 상승하도록 형성되는 재생골재프레임; 골재분리이송부에서 분리되어 하측으로 떨어지는 재생골재를 이송시키기 위해 상기 재생골재프레임 상에 형성되는 재생골재컨베어벨트; 재생골재롤러를 회전시키기 위해 재생골재이송수단 일측 끝단에 형성된 재생골재롤러에 연결 형성되는 재생골재이송모터; 재생골재컨베어벨트를 회전시키기 위해 재생골재컨베어벨트 사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 형성되는 재생골재이송롤러; 재생골재컨베어벨트에 안착되어 이송되는 재생골재에서 발생되는 분진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해 재생골재프레임에 형성되는 재생골재비산방지망을 포함하되, 상기 재생골재이송수단은, 재상골재의 이송시 발생되는 분진을 물을 분무하여 제거하기 위해 재재생골재비산방지망 내부에 복수개 형성되는 재생골재분무노즐; 재생골재컨베어벨트에 안착되어 이송되는 재생골재의 무게를 구간별 측정하여 이송되는 재생골재의 무게를 측정하기 위해 재생골재컨베어벨트의 사이 일측에 형성되는 무게측정수단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폐골재 이송장치는, 분리된 골재 중 폐기되는 폐골재가 보관되도록 형성되는 폐골재호퍼부; 및 폐골재호퍼부에서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형성되는 폐골재이송부를 포함하되, 상기 폐골재호퍼부는, 골재분리이송부를 통해 걸러진 폐골재가 보관 저장되도록 형성되는 폐골재호퍼; 상기 폐골재호퍼에서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폐골재호퍼 하측으로 형성되는 폐골재호퍼모터; 상기 폐골재호퍼모터에 의해 배출되는 폐골재를 폐골재이송부 측으로 이송시키기 위해 상기 폐골재호퍼모터 하측 방향으로 형성되는 폐골재배출컨베어; 상기 폐골재이송부는, 폐골재호퍼부에서 제공되는 폐골재를 이송하기 위한 폐골재이송수단; 및 상기 폐골재이송수단에서 제공되는 폐골재를 다방향의 장소로 배출하기 위한 폐골재프레임가변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폐골재이송수단은, 폐골재를 이송시키기 위해 사선 방향으로 상승하도록 형성되는 폐골재이송프레임; 폐골재호퍼부에서 낙하되는 폐골재를 이송시키기 위해 상기 폐골재이송프레임 상에 형성되는 폐골재이송컨베어; 폐골재이송롤러를 회전시키기 위해 폐골재이송수단 일측 끝단에 형성되는 폐골재이송롤러에 연결 형성되는 폐골재이송모터; 폐골재컨베어벨트를 회전시키기 위해 폐골재컨베어벨트 사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 형성되는 폐골재이송롤러; 폐골재컨베어벨트에 안착되어 이송되는 폐골재에서 발생되는 분진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해 폐골재프레임에 형성되는 폐골재비산방지망을 포함하고, 상기 폐골재이송수단은, 폐골재의 이송시 발생되는 분진에 물을 분무하여 제거하기 위해 폐골재비산방지망 내부에 복수개 형성된느 폐골재분무노즐을 더 포함하며, 상기 폐골재프레임가변수단은, 폐골재를 다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해 슬라이드 승하강 또는 좌우로 회전되도록 형성되는 가변프레임; 가변프레임이 슬라이드 방식으로 승하강 되도록 가변프레임 일측으로 형성되는 슬라이드부재; 가변프레임이 좌우 측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슬라이드부재 일측으로 형성되는 회전부재; 폐골재이송수단으로부터 제공받는 폐골재를 이송시키기 위해 가변프레임 상에 형성되는 가변이송컨베어; 가변이송롤러를 회전시키기 위해 폐골재프레임가변수단 일측 끝단에 형성되는 가변이송모터; 가변이송컨베어를 회전시키기 위해 가변이송컨베어 사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 형성되는 가변이송롤러; 회전부재의 일정 각도록 회전 시키기 위해 회전부재 일측으로 형성되는 배출각도조절수단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폐골재 이송장치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되는 골재 및 폐골재가 원활하게 이송되도록 이송컨베어를 수직방향으로 승하강 시키기 위해 제2이송프레임과 폐골재이송프레임에 각각 형성되는 승하강부를 포함하되, 상기 승하강부는, 제2이송프레임과 폐골재이송프레임 하측으로 형성되는 승하강부재; 상기 승하강부재와 대응되는 방향인 지면에 고정 형성되는 고정부재; 상기 승하강부재와 고정부재 간의 연결을 위한 것으로, 제2연결프레임과 교차되도록 형성되는 제1연결프레임; 상기 승하강부재와 고정부재 간의 연결을 위한 것으로, 제1연결프레임과 표차되도록 형성되는 제2연결프레임; 승하강부재를 고정부재를 중심으로 승하강 시키기 위해, 제1연결프레임과 제2연결프레임에 각각 연결 형성되는 승하강실린더; 상기 승하강실린더와 제1연결프레임 간의 연결 결합과 승하강실린더와 제2연결프레임 간의 연결 결합을 위한 슬라이드부재; 상기 슬라이드부재가 승하강실린더의 의해 슬라이드 되도록 승하강부재와 고정부재 내부에 각각 형성되는 슬라이드홈을 포함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골재를 분리하는 구성에 의해 생성되는 재생골재를 이송시키는 구성과 골재를 분리하는 구성에 의해 생성되는 폐골재를 이송시켜 보관 및 저장하거나,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여 자동 분리가 가능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골재와 재생골재와 폐골재의 이송시 발생되는 분진에 물을 분무함으로 비산을 방지함으로 작업장의 공기 오염을 미연에 방지하여 작업자의 건강을 헤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골재 분리시 덩어리로 뭉쳐진 골재를 바이브레이터에 의해 진동 또는 충격을 가해 재생골재와 폐골재의 분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 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송되는 재생골재의 무게를 실시간 측정함으로 일별 생산량, 월별 생산량 등을 확인할 수 있어 작업의 생산성을 극대화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폐골재의 배출시 가변수단으로 인해 다방향 배출이 용이하여 작업의 효율성과 공간의 효율성 및 작업환경을 극대화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골재 이송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골재 이송장치에 대한 골재호퍼부의 상세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골재 이송장치에 대한 골재이송부의 상세도이다.
도 4는 도 3에 대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재이송부의 상세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골재 이송장치에 대한 골재분리이송부의 상세도이다.
도 6은 도 5에 대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재분리이송부의 상세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골재 이송장치에 대한 재생골재이송수단의 상세도이다.
도 8은 도 7에 대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생골재이송수단의 상세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폐골재 이송장치에 대한 폐골재이송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0 도 9에 대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폐골재호퍼부의 폐골재프레임가변수단의 상세도이다.
도 11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하강부의 상세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콘트리트 또는 모르타르에 혼합하여 사용되는 골재를 재사용 골재와 폐기처리되는 폐골재로 분리하기 위한 폐골재 이송장치(10)는, 골재호퍼부(100), 골재이송부(200), 골재분리이송부를 포함한다.
상기 골재호퍼부(100)는 외부에서 투입되는 골재를 저장 및 보관하기 위한 함체로써, 골재를 재생골재와 폐골재로 분리되기 전의 골재가 저장 및 보관하며, 골재를 골재이송부(200) 측으로 배출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골재이송부(200)는 골재호퍼부(100)에서 배출되는 골재를 골재분리이송부 측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골재분리이송부는 제공받은 골재를 재생골재와 폐골재로 분리하기 위한 구성 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재호퍼부(100)의 상세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골재호퍼부(100)는, 호퍼(110), 호퍼구동모터(120), 골재배출컨베어(130)를 포함한다.
상기 호퍼(110)는, 재생골재와 폐골재를 분리하기 전에 보관 및 저장하는 챔버로써, 상부측으로 골재가 투입되며, 하측으로 골재가 배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호퍼(110)는 골재의 양에 따라 하나 또는 복수개로 형성된다.
상기 호퍼구동모터(120)는, 상기 호퍼(110)에 저장 및 보관된 골재를 골재배출컨베어(130) 측으로 배출하기 위해 호퍼(110) 하부에 형성된다.
상기 호퍼구동모터(120)는 설정되는 배출시간 또는 배출량에 따라 작동하며, 호퍼구동모터(120)에 연결 형성된 스크류(미도시)에 의해 이동 배출되며, 스크류는 호퍼구동모터(120)의 작동시 제자리에서 회전되도록 형성되어 스크류의 홈을 따라 골재가 이동 배출된다.
상기 골재배출컨베어(130)는, 호퍼구동모터(120)에 의해 배출되는 골재가 안착되도록 상기 호퍼구동모터(120) 하측방향에 형성된다.
상기 골재배출컨베어(130)는 수평형성되어 일측이 골재이송부(200) 측으로 향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골재배출컨베어(130)를 따라 이송되는 골재는 골재이송부(200) 측으로 제공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재이송부(200)의 상세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골재이송부(200)는, 제1골재이송수단(210), 제2골재이송수단(220)을 포함한다.
상기 제1골재이송수단(210)은, 골재호퍼부(100)로부터 제공받은 골재를 제2골재이송수단(220) 측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골재호퍼부(100) 하측으로 수평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2골재이송수단(220)은, 제1골재이송수단(210)으로부터 제공받은 골재를 골재분리이송부 측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제2골재이송수단(220)은 하측에서 상측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골재가 상측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측으로 이송된 골재가 골재분리이송부 측으로 낙하되도록 함으로 뭉쳐진 골재가 낙하로 인한 충격으로 1차 분리가 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골재이송수단(210)은, 제1이송프레임(211), 제1이송컨베어벨트(212), 제1이송모터(213), 제1이송롤러(214), 제1비산방지망(215)을 포함한다.
상기 제1이송프레임(211)은, 제1골재이송수단(210)의 틀을 형성하는 것으로, 제1이송컨베어벨트(212)와 제1이송롤러(214)가 안착 형성되도록 직사각형의 틀로 형성되며, 상기 제1이송프레임(211)은 골재호퍼부(100)의 골재배출컨베어(130) 하측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이송컨베어벨트(212)는, 제1이송프레임(211) 상측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제1이송롤러(214)에 의해 공회전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이송컨베어벨트(212)는 시작점에서 회전되는 벨트가 다시 재위치로 복귀되는 방식의 회전이 이루어진다. 상기 제1이송컨베어벨트(212)는 골재배출컨베어(130)에서 하강되는 골재를 제공받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이송컨베어벨트(212)는 제1이송롤러(214)의 구조 및 형상에 따라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1이송롤러(214)가 "V" 형인 경우 제1이송컨베어벨트(212)가 "V"형태로 형성되어 골재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고 용이하게 이송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형태, "U"형태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V"또는 "U"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이송모터(213)는, 제1이송롤러(214)를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더욱상세히는 제1이송컨베어벨트(212) 사이에 복수의 제1이송롤러(214)가 형성되며, 일측 끝단에 형성되는 제1이송롤러(214)에 제1이송모터(213)가 연결 형성된다.
따라서, 제1이송모터(213)가 작동시 제1이송롤러(214)가 회전되며, 제1이송롤러(214)의 회전시 제1이송컨베어벨트(212)를 당겨줌으로 제1이송컨베어벨트(212)가 복수의 제1이송롤러(214)를 따라 회전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이송롤러(214)는, 제1이송컨베어벨트(212) 사이에 복수개 형성되며, 제1이송롤러(214)는 제1이송컨베어벨트(212)가 일측방향으로 이동시 제1이송롤러(214)가 제1이송컨베어벨트(212)와 마찰로 인해 회전되며, 복수개의 제1이송롤러(214)가 회전됨에 따라 제1이송컨베어벨트(212)가 원활하게 일측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상기 제1비산방지망(215)은, 제1이송컨베어벨트(212)에 안착되어 이송되는 골재에서 발생되는 분진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제1비산방지망(215)은 제1이송프레임(211) 상측으로 제1이송컨베어벨트(212)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비산방지망(215)은 골재의 이송시 부딪힘으로 찢겨지지 않도록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제1비산방지망(215)은 "∩" 형태의 프레임이 복수개 형성되며 이 프레임은 제1이송프레임(211)을 따라 형성된다.
상기 제2골재이송수단(220)은, 제2이송프레임(221), 골재낙하방지부재(222), 제2이송컨베어벨트(223), 제2이송모터(224), 제2이송롤러(225)를 포함한다.
상기 제2이송프레임(221)은, 제2골재이송수단(220)의 틀을 형성하는 것으로, 제2이송컨베어벨트(223)와 제2이송롤러(225)가 안착 형성되도록 직사각형의 틀로 형성되며, 상기 제2이송프레임(221)은 제1골재이송수단(210)의 일측에서 일정간격 떨어져 형성되며, 더욱 상세히는 제1골재이송수단(210) 일측 하부 방향으로 제2이송프레임(221)의 일측이 형성된다.
상기 제2이송프레임(221)은 제1골재이송수단(210) 하측방향에서 골재분리이송부 상측방향으로 사선의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골재낙하방지부재(222)는, 제2이송프레임(221) 일측 끝단에 형성되며, 더욱 상세히는 제1골재이송수단(210) 측으로 형성되어 제1골재이송수단(210)에서 낙하 이송되는 골재가 제2이송프레임(221)의 하측방향 측으로 밀리지 않도록 형성된다.
사선의 형태로 형성되는 제2이송프레임(221)으로 제2이송컨베어벨트(223)의 회전 이송시에도 골재 무게에 의해 쳐짐으로 밀리는 현상이 발생되어 이를 방지하기 위해 골재낙하방지부재(222)가 형성된다.
상기 제2이송컨베어벨트(223)는, 제2이송프레임(221) 상측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제2이송롤러(225)에 의해 공회전 즉, 일측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2이송컨베어벨트(223)는 시작점에서 회전되는 벨트가 다시 재위치로 복귀되는 방식의 회전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이송컨베어벨트(223)는 제1골재이송수단(210)에서 하강되는 골재를 제공받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2이송컨베어벨트(223)는 제2이송롤러(225)의 구조 및 형상에 따라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2이송롤러(225)가 "V" 형인 경우 제2이송컨베어벨트(223)가 "V"형태로 형성되어 골재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고 용이하게 이송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형태, "U"형태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V"또는 "U"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이송모터(224)는, 제2이송롤러(225)를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제2이송컨베어벨트(223) 사이에 복수의 제2이송롤러(225)가 형성되며, 일측 끝단에 형성되는 제2이송롤러(225)에 제2이송모터(224)가 연결 형성된다.
따라서, 제2이송모터(224)가 작동시 제2이송롤러(225)가 회전되며, 제2이송롤러(225)의 회전시 제2이송컨베어벨트(223)를 당겨줌으로 제2이송컨베어벨트(223)가 복수의 제2이송롤러(225)를 따라 회전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2이송롤러(225)는, 제2이송컨베어벨트(223) 사이에 복수개 형성되며, 제2이송롤러(225)는 제2이송컨베어벨트(223)가 일측 방향으로 이동시 제2이송롤러(225)가 제2이송컨베어벨트(223)와 마찰로 인해 회전되며, 복수개의 제2이송롤러(225)가 회전됨에 따라 제2이송컨베어벨트(223)가 원활하게 일측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골재이송부(200)의 또다른 실시예에 대한 상세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골재이송수단(210)은, 제1분무노즐(216)을 포함한다.
상기 제1분무노즐(216)은, 제1이송컨베어벨트(212)를 따라 이동되는 골재에서 발생되는 분진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골재 측으로 물을 분사하도록 제1비산방지망(215) 내측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분무노즐(216)은 복수개 형성되어 이송되는 골재 측으로 물을 분사하도록 형성되며, 제1분무노즐(216)은 하나의 제1분무노즐(216)에 복수의 분사노즐이 형성됨으로 물이 다방향으로 분사되어 분진을 잡아주도록 형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재분리이송부에 대한 상세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골재분리이송부는, 골재분리이송프레임(310), 골재분리망(311), 이탈방지부재(312), 배출구(313)를 포함한다.
상기 골재분리이송부는, 제2골재이송수단(220) 측에서 낙하되는 골재를 재생골재와 폐골재로 분리하기 위한 것으로, 재생골재이송수단(320) 상측 방향으로 일정간격 떨어져 형성된다.
상기 골재분리이송부는, 제2골재이송수단(220)에서 낙하됨으로 낙하 충격에 의해 재생골재와 폐골재가 분리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골재분리이송프레임(310)은, 골재분리이송부를 형성하기 위한 프레임으로 재생골재이송수단(320) 일측에 연결 형성된다. 더욱 상세히는 재생골재프레임(321) 일측 끝단 상측으로 안착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골재분리망(311)은, 제2골재이송수단(220) 측에서 낙하되는 골재가 부딪힘으로 충격이 가해지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골재분리이송프레임(310) 상측으로 형성된다.
상기 골재분리망(311)은 일정간격을 두고 분리바가 복수개 형성되며, 상기 분리바는 재생골재의 크기에 따라 추가 및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분리바의 추가는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분리바이며, 조절은 분리바를 좌우측으로 밀어 분리바와 분리바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이탈방지부재(312)는, 골재분리망(311)으로 낙하되는 골재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이탈방지부재(312)는 골재분리이송프레임(310) 양측으로 형성된다.
상기 배출구(313)는, 골재분리망(311)을 통해 걸러진 폐골재가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배출구(313)는, 골재분리이송프레임(310) 일측 방향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골재분리망(311)에서 걸러지는 폐골재는 낙하의 힘에 의해 배출구(313) 측으로 이송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골재분리이송부의 또다른 실시예에 대한 상세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골재분리이송부는, 분리바이브레이터(314), 배출구가변수단(315)을 포함한다.
상기 분리바이브레이터(314)는, 골재분리망(311)에 걸러지는 골재에 진동을 주기위한 것으로, 골재분리이송프레임(310)과 재생골재프레임(321)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분리바이브레이터(314)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이 골재분리망(311) 측으로 낙하 되는 골재에 전달함에 따라 낙하시 충격에 의해 골재가 분리됨과 골재분리망(311)에 안착된 골재에 진동을 줌으로 재생골재와 폐골재로 분리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에 따라, 낙하에 의한 충격으로 1차 분리되고, 분리바이브레이터(314)에 의한 진동으로 2차 분리되도록 한다.
상기 배출구가변수단(315)은, 배출구(313)를 통해 배출되는 폐골재의 배출 방향을 변환시켜주기 위한 것으로, 상기 배출구가변수단(315)은 골재분리이송프레임(310) 일측으로 형성된다.
상기 배출구가변수단(315)은 좌측과 우측으로 일정 각도로 회전되도록 형성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생골재이송수단(320)에 대한 상세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재생골재이송수단(320)은, 골재분리망(311)에서 분리되어 낙하되는 재생골재를 이송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재생골재이송수단(320)은 골재분리이송부 하측으로 형성된다.
상기 재생골재이송수단(320)은, 재생골재프레임(321), 재생골재컨베어벨트(322), 재생골재이송모터(323), 재생골재이송롤러(324), 재생골재비산방지망(325)을 포함한다.
상기 재생골재프레임(321)은, 재생골재이송수단(320)의 틀을 형성하는 것으로, 재생골제컨베어벨트와 재생골재이송롤러(324)가 안착 형성되도록 직사각형의 틀로 형성되며, 상기 재생골재프레임(321)은 골재분리이송부의 하측 방향으로 일정간격 떨어져 형성된다.
상기 재생골재컨베어벨트(322)는, 재생골재프레임(321) 상측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재생골재이송롤러(324)에 의해 공회전 즉, 일측 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재생골재컨베어벨트(322)는 시작점에서 회전되는 벨트가 다시 재위치로 복귀되는 방식의 회전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재생골재컨베어벨트(322)는 골재분리이송부에서 하강되는 재생골재를 제공받도록 형성된다.
상기 재생골재컨베어벨트(322)는 재생골재이송롤러(324)의 구조 및 형상에 따라 형성된다.
예를 들어, 재생골재이송롤러(324)가 "V" 형인 경우 재생골재컨베어벨트(322)가 "V"형태로 형성되어 재생골재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고 용이하게 이송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형태, "U"형태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V"또는 "U"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재생골재이송모터(323)는, 재생골재이송롤러(324)를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재생골재컨베어벨트(322) 사이에 복수의 재생골재이송롤러(324)가 형성되며, 일측 끝단에 형성되는 재생골재이송롤러(324)에 재생골재이송모터(323)가 연결 형성된다.
따라서, 재생골재이송모터(323)가 작동시 재생골재이송롤러(324)가 회전되며, 재생골재이송롤러(324)의 회전시 재생골재컨베어벨트(322)를 당겨줌으로 재생골재컨베어벨트(322)가 복수의 재생골재이송롤러(324)를 따라 회전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재생골재이송롤러(324)는, 재생골재이송롤러(324)는 재생골재컨베어벨트(322) 사이에 복수개 형성되며, 재생골재이송롤러(324)는 재생골재컨베어벨트(322)가 일측 방향으로 이동시 재생골재이송롤러(324)가 재생골재컨베어벨트(322)와 마찰로 인해 회전되며, 복수개의 재생골재이송롤러(324)가 회전됨에 따라 재생골재컨베어벨트(322)가 원활하게 일측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상기 재생골재비산방지망(325)은, 재생골재컨베어벨트(322)에 안착되어 이송되는 재생골재에서 발생되는 분진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재생골재비산방지망(325)은 재생골재프레임(321) 상측으로 재생골재컨베어벨트(322)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상기 재생골재비산방지망(325)은 골재의 이송시 부딪힘으로 찢겨지지 않도록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재생골재비산방지망(325)은 "∩" 형태의 프레임이 복수개 형성되며, 이 프레임은 재생골재프레임(321)을 따라 형성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재생골재이송수단(320)의 또다른 실시예에 대한 상세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재생골재이송수단(320)은, 재생골재분무노즐(326), 무게측정수단(327)을 포함한다.
상기 재생골재분무노즐(326)은, 재생골재컨베어벨트(322)를 따라 이동되는 재생골재에서 발생되는 분진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재생골재 측으로 물을 분사하도록 재생골재비산방지망(325) 내측으로 형성된다.
상기 재생골재분무노즐(326)은 복수개 형성되어 이송되는 재생골재 측으로 물을 분사하도록 형성되며, 재생골재분무노즐(326)은 하나의 재생골재분무노즐(326)에 복수의 분사노즐이 형성됨으로 물이 다방향으로 분사되어 분진을 잡아주도록 형성된다.
상기 무게측정수단(327)은, 재생골재컨베어벨트(322)를 따라 이송되는 재생골재의 무게를 측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재생골재컨베어벨트(322)와 재생골재이송롤러(324) 사이 일측으로 형성된다.
상기 무게측정수단(327)은 이송되는 재생골재의 시간별 이송된 재생골재의 무게 또는 일별 이송된 재생골재의 무게 또는 현재 이송되고 있는 재생골재의 무게를 측정하는 구성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예에 폐골재 이송장치(10)에 대한 폐골재 이송장치(20)의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폐골재이송장치(20)는, 골재분리이송부(300)를 통해 분리된 폐골재를 저장 및 보관하고, 저장 및 보관된 폐골재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구성에 대한 것이다.
상기 폐골재이송장치(20)는, 폐골재호퍼부(400), 폐골재이송부(420)를 포함한다.
상기 폐골재호퍼부(400)는, 골재분리이송부에서 제공받은 폐골재를 저장 및 보관하며, 저장 및 보관된 폐골재를 폐골재이송부(420) 측으로 배출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폐골재이송부(420)는, 폐골재호퍼부(400)에서 제공받는 폐골재를 외부의 장소로 이송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폐골재호퍼부(400)는, 폐골재호퍼(410), 폐골재호퍼모터(411), 폐골재배출컨베어(412)를 포함한다.
상기 폐골재호퍼(410)는, 골재분리이송부(300)로부터 제공받은 폐골재를 저장 및 보관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폐골재호퍼모터(411)는, 폐골재호퍼(410)에 저장 및 보관된 폐골재를 폐골재이송부(420) 측으로 배출하기 위한 구동수단이다.
상기 폐골재배출컨베어(412)는, 폐골재호퍼모터(411)의 구동으로 배출되는 폐골재가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폐골재배출컨베어(412)는 폐골재호퍼모터(411) 하측 방향으로 일정간격 떨어져 형성된다.
상기 폐골재이송부(420)는, 폐골재이송수단(421), 폐골재프레임가변수단(430)을 포함한다.
상기 폐골재이송수단(421)은, 폐골재호퍼부(400)로부터 제공받은 폐골재를 외부 장소로 이송시키기 위한 것으로, 폐골재이송수단(421)은 폐골재호퍼부(400) 하측방향으로 일정간격 떨어져 형성된다. 더욱 상세히는 폐골재배출컨베어(412) 하측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폐골재이송수단(421)은, 폐골재이송프레임(422), 폐골재이송컨베어벨트(423), 폐골재이송모터(424), 폐골재이송롤러(425), 폐골재비산방지망(426)을 포함한다.
상기 폐골재이송프레임(422)은, 폐골재이송수단(421)의 틀을 형성하는 것으로, 폐골재이송컨베어벨트(423)와 폐골재이송롤러(425)가 안착 형성되도록 직사각형의 틀로 형성되며, 상기 폐골재이송프레임(422)은 폐골재호퍼부(400)의 하측 방향으로 일정 간격 떨어져 형성된다.
상기 폐골재이송컨베어벨트(423)는, 폐골재이송프레임(422) 상측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폐골재이송롤러(425)에 의해 공회전 즉, 일측 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폐골재이송컨베어벨트(423)는 시작점에서 회전되는 벨트가 다시 재위치로 복귀되는 방식의 회전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폐골재이송컨베어벨트(423)는 폐골재이송롤러(425)의 구조 및 형상에 따라 형성된다.
예를 들어, 폐골재이송롤러(425)가 "V" 형인 경우 폐골재이송컨베어벨트(423)가 "V"형태로 형성되어 폐골재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고 용이하게 이송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형태, "U"형태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V"또는 "U"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폐골재이송모터(424)는, 폐골재이송롤러(425)를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폐골재이송컨베어벨트(423) 사이에 복수의 폐골재이송롤러(425)가 형성되며, 일측 끝단에 형성되는 폐골재이송롤러(425)에 폐골재이송모터(424)가 연결 형성된다.
따라서, 폐골재이송모터(424)가 작동시 폐골재이송롤러(425)가 회전되며, 폐골재이송롤러(425)의 회전시 폐골재이송컨베어벨트(423)를 당겨줌으로 폐골재이송컨베어벨트(423)가 복수의 폐골재이송롤러(425)를 따라 회전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폐골재이송롤러(425)는, 폐골재이송컨베어벨트(423) 사이에 복수개 형성되며, 폐골재이송롤러(425)는 폐골재이송컨베어벨트(423)가 일측 방향으로 이동시 폐골재이송롤러(425)가 폐골재이송컨베어벨트(423)와 마찰로 인해 회전되며, 복수개의 폐골재이송롤러(425)가 회전됨에 따라 폐골재이송컨베어벨트(423)가 원활하게 일측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상기 폐골재비산방지망(426)은, 폐골재이송컨베어벨트(423)에 안착되어 이송되는 폐골재에서 발생되는 분진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폐골재비산방지망(426)은 폐골재이송프레임(422) 상측으로 폐골재이송컨베어벨트(423)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상기 폐골재비산방지망(426)은 폐골재의 이송시 부딪힘으로 찢겨지지 않도록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폐골재비산방지망(426)은 "∩" 형태의 프레임이 복수개 형성되며, 이 프레임은 폐골재이송프레임(422)을 따라 형성된다.
상기 폐골재이송수단(421)은, 폐골재분무노즐(427)을 더 포함한다.
상기 폐골재분무노즐(427)은, 폐골재이송컨베어벨트(423)를 따라 이동되는 폐골재에서 발생되는 분진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폐골재 측으로 물으 분사하도록 폐골재비산방지망(426) 내측으로 형성된다.
상기 폐골재분무노즐(427)은 복수개 형성되어 이송되는 폐골재 측으로 물을 분사하도록 형성되며, 폐골재분무노즐(427)은 하나의 폐골재분무노즐(427)에 복수의 분사노즐이 형성됨으로 물이 다방향으로 분사되어 분진을 잡아주도록 형성된다.
도 10은 도 10에 대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폐골재프레임가변수단(430)에 대한 상세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폐골재프레임가변수단(430)은, 폐골재이송부(420)를 통해 외부 장소로 배출되는 폐골재의 방향을 조절하도록 하여 한 곳의 장소가 아닌 다방향의 장소로 폐골재를 배출하도록 하기 위한 수단이다.
상기 폐골재프레임가변수단(430)은 가변프레임(431), 슬라이드부재(438), 회전부재(432), 가변이송컨베어벨트(434), 가변이송모터(436), 가변이송롤러(435), 배출각도조절수단(437)을 포함한다.
상기 가변프레임(431)은, 폐골재이송프레임(422)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일측이 폐골재이송프레임(422)에 형성되고, 타측이 일정 거리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드부재(438)는, 상기 가변프레임(431)이 폐골재이송프레임(422)을 중심으로 슬라이드 돌출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슬라이드부재(438)는 폐골재이송프레임(422) 일측 끝단 하측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드부재(438)을 따라 가변프레임(431)이 슬라이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회전부재(432)는, 상기 가변프레임(431)이 다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회전부재(432)는 폐골재이송프레임(422)과 슬라이드부재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회전부재(432)는 배출각도조절수단(437)에 의해 조절되며, 회전된 후 정지된 방향 측으로 슬라이드부재(438)를 중심으로 가변프레임(431)이 돌출된다.
상기 가변이송컨베어벨트(434)는, 가변프레임(431) 상측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가변이송롤러(435)에 의해 공회전 즉, 일측 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가변이송컨베어벨트(434)는 시작점에서 회전되는 벨트가 다시 재위치로 복귀되는 방식의 회전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변이송컨베어벨트(434)는 가변이송롤러(435)의 구조 및 형상에 따라 형성된다.
예를 들어, 가변이송롤러(435)가 "V" 형인 경우 가변이송컨베어벨트(434)가 "V"형태로 형성되어 폐골재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고 용이하게 이송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형태, "U"형태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V"또는 "U"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변이송모터(436)는, 가변이송롤러(435)를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가변이송컨베어벨트(434) 사이에 복수의 가변이송롤러(435)가 형성되며, 일측 끝단에 형성되는 가변이송롤러(435)에 가변이송모터(436)가 연결 형성된다.
따라서, 가변이송모터(436)가 작동시 가변이송롤러(435)가 회전되며, 가변이송롤러(435)의 회전시 가변이송컨베어벨트(434)를 당겨줌으로 가변이송컨베어벨트(434)가 복수의 가변이송롤러(435)를 따라 회전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가변이송롤러(435)는, 가변이송컨베어벨트(434) 사이에 복수개 형성되며, 가변이송롤러(435)는 가변이송컨베어벨트(434)가 일측 방향으로 이동시 가변이송롤러(435)가 가변이송컨베어벨트(434)와 마찰로 인해 회전되며, 복수개의 가변이송롤러(435)가 회전됨에 따라 가변이송컨베어벨트(434)가 원활하게 일측 방햐응로 이동되도록 한다.
상기 배출각도조절수단(437)은, 회전부재(432)의 회전 반경을 조절하기 위한 수단으로, 작업자의 선택 또는 폐골재가 배출되는 방향에 따라 자동 또는 수동으로 조절하도록 형성된다.
설정에 따라 회전부재(432)가 회전하며, 회전시 슬라이드부재(438)를 따라 가변프레임(431)이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1은 본 바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하강부(500)의 상세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를 참조하면, 상기 승하강부(500)는, 사선으로 형성되는 제2이송프레임(221)과 재생골재프레임(321)과 폐골재이송프레임(422)에 각각 형성되는 것으로, 제2이송프레임(221)과 재생골재프레임(321)과 폐골재이송프레임(422)의 일측을 승하강 시키는 것으로 제2이송프레임(221)은 골재의 낙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함이며, 재생골재프레임(321)과 폐골재이송프레임(422)은 이송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해 형성된다.
상기 승하강부(500)는, 승하강부재(510), 고정부재(511), 제1연결프레임(512), 제2연결프레임(513), 승하강실린더(514), 회동부재(515), 슬라이드홈(516)을 포함한다.
상기 승하강부재(510)는, 제2이송프레임(221)의 일측 하부와 재생골재프레임(321) 일측 하부와 폐골재이송프레임(422) 일측 하부에 각각 결합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재(511)는, 상기 제2이송프레임(221)에 형성된 승하강부재(510)의 대응되는 방향의 지면과, 상기 재생골재프레임(321)에 형성된 승하강부재(510)의 대응되는 방향의 지면과, 상기 폐골재이송프레임(422)에 형성된 승하강부재(510)의 대응되는 방향의 지면에 고정 형성된다.
상기 제1연결프레임(512)은, 승하강부재(510)와 고정부재(511) 간의 연결을 위한 것으로, 제2연결프레임(513)과 교차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2연결프레임(513)은, 승하강부재(510)와 고정부재(511) 간의 연결을 위한 것으로, 제1연결프레임(512)과 교차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승하강실린더(514)는, 고정부재(511)를 중심으로 승하강부재(510)를 상승 또는 하강 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승하강실린더(514)는 고정부재(511) 중앙에서 서로 대응되는 방향으로 제1연결프레임(512) 측과 제2연결프레임(513) 측의 실린더로 형성된다.
상기 회동부재(515)는, 고정부재(511) 중앙에서 일측으로 형성되는 승하강실린더(514)와 제1연결프레임(512) 간의 연결과, 고정부재(511) 중앙에서 타측으로 형성되는 승하강실린더(514)와 제2연결프레임(513) 간의 연결을 위한 구성이다.
상기 회동부재(515)는 힌지구성으로 형성되어 승하강실린더(514)와 제1연결프레임(512), 승하강실린더(514)와 제2연결프레임(513)은 공회전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드홈(516)은, 승하강실린더(514)의 작동시 회동부재(515)가 슬라이드 되도록 고정부재(511)와 승하강부재(510) 내부에 형성된다.
따라서, 각각의 승하강실린더(514) 작동시 제1연결프레임(512)에 연결된 회동부재(515)와 제2연결프레임(513)에 연결된 회동부재(515)가 슬라이드홈(516)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것으로 형성된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자재이송장치 20 : 폐골재이송장치
S : 재생골재 P : 폐골재
100 : 골재호퍼부 110 : 호퍼
120 : 호퍼구동모터 130 : 골재배출컨베어
200 : 골재이송부 210 : 제1골재이송수단
211 : 제1이송프레임 212 : 제1이송컨베어벨트
213 : 제1이송모터 214 : 제1이송롤러
215 : 제1비산방지망 216 : 제1분무노즐
220 : 제2골재이송수단 221 : 제2이송프레임
222 : 골재낙하방지부재 223 : 제2이송컨베어벨트
224 : 제2이송모터 225 : 제2이송롤러
300 : 골재분리이송부 310 : 골재분리이송프레임
311 : 골재분리망 312 : 이탈방지부재
313 : 배출구 314 : 분리바이브레이터
315 : 배출구가변수단
320 : 재생골재이송수단 321 : 재생골재프레임
322 : 재생골재컨베어벨트 323 : 재생골재이송모터
324 : 재생골재이송롤러 325 : 재생골재비산방지망
326 : 재생골재분무노즐 327 : 무게측정수단
400 : 폐골재호퍼부 410 : 폐골재호퍼
411 : 폐골재호퍼모터 412 : 폐골재배출컨베어
420 : 폐골재이송부 421 : 폐골재이송수단
422 : 폐골재이송프레임 423 : 폐골재이송컨베어벨트
424 : 폐골재이송모터 425 : 폐골재이송롤러
426 : 폐골재비산방지망 427 : 폐골재분무노즐
430 : 폐골재프레임가변수단 431 : 가변프레임
432 : 회전부재 434 : 가변이송컨베어벨트
435 : 가변이송롤러 436 : 가변이송모터
437 : 배출각도조절수단 438 : 슬라이드부재
500 : 승하강부 510 : 승하강부재
511 : 고정부재 512 : 제1연결프레임
513 : 제2연결프레임 514 : 승하강실린더
515 : 회동부재 516 : 슬라이드홈

Claims (2)

  1. 골재호퍼부에서 배출되는 골재를 골재분리이송부 측으로 이송하기 위한 골재이송부;를 포함하되,
    골재를 저장 보관하며, 저장 보관된 골재를 골재이송부 측으로 설정된 골재 배출량 또는 골재 배출시간 중 어느 하나의 설정을 선택하여 자동배출되거나, 작업자가 직접 수동배출하기 위해 형성되는 골재호퍼부; 및
    상기 골재이송부를 통해 이송되는 골재를 재사용 하기 위한 골재와 폐기하기 위한 폐골재로 분리도록 형성되는 골재분리이송부를 포함하되,
    상기 골재호퍼부는,
    배출하여 분리하기 위한 골재를 보관 및 저장하도록 형성되는 호퍼; 상기 호퍼에 저장 보관되는 골재를 골재 배출컨베어 측으로 배출하기 위해 호퍼 하측으로 형성되는 호퍼구동모터; 상기 호퍼구동모터의 작동으로 배출되는 호퍼를 골재이송부 측으로 이송시키기 위해 호퍼구동모터 하측 방향에 수평으로 형성되는 골재배출컨베어를 포함하며,
    상기 골재이송부는, 골재호퍼부에서 배출되는 골재를 제2골재이송수단 측으로 수평 이송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제1골재이송수단; 및 제1골재이송수단을 통해 이송되는 골재를 제공받아 골재분리이송부 측으로 골재를 상승 이송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제2골재이송수단으로 포함되되,
    상기 제1골재이송수단은, 복수의 호퍼에서 배출되는 골재를 이송하기 위해 복수의 호퍼 하측 방향으로 수평 형성되는 제1이송프레임; 상기 제1이송프레임 상측으로 골재가 안착 되어 이송될 수 있도록 제1이송롤러를 따라 형성되는 제1이송컨베어벨트; 복수의 제1이송롤러 중 일측 끝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이송롤러를 회전 시키기 위해 일측 끝 방향에 형성된 제1이송롤러에 연결 형성되는 제1이송모터; 제1이송컨베어벨트를 회전 이동시키기 위해 제1이송컨베어벨트 사이에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개 형성되는 제1이송롤러; 제1이송컨베어벨트를 따라 이송되는 골재에서 발생되는 분진이 비산되지 않도록 제1이송프레임에 안착 형성되는 제1비산방지망을 포함하며,
    상기 제1골재이송수단은, 제1이송컨베어벨트에 안착되어 이송되는 골재에서 발생된 분진을 물을 분무하여 제거하기 위해 제1비산방지망 내부에 복수개 형성되는 제1분무노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골재이송수단은, 제1골재이송수단 측에서 제공되는 골재를 분리골재이송부 측으로 이송시키기 위해 제1골재이송수단 일측 방향으로 상승 형태의 사선으로 형성되는 제2이송프레임; 제1골재이송수단 측에서 제공되는 골재가 이송 반대방향 측으로 낙하되지 않도록 방지하기 위해 제2이송프레임 일측으로 형성되는 골재낙하방지부재; 상기 제2이송프레임 상측으로 골재가 안착되어 이송될 수 있도록 제2이송롤러를 따라 형성되는 제2이송컨베어벨트; 복수의 제2이송롤러 중 일측 끝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이송롤러를 회전 시키기 위해 일측 끝 방향에 형성된 제2이송롤러에 연결 형성되는 제2이송모터; 제2이송컨베어벨트를 회전 이동시키기 위해 제2이송컨베어벨트 사이에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개 형성되는제2이송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골재분리이송부는, 제2골재이송수단 측에서 제공되는 골재를 분리하기 위해 제2골재이송수단 일측 방향으로 형성되는 골재분리이송프레임; 제2골재이송수단 측에서 제공받은 골재를 재생골재와 폐골재로 분리하기 위해 골재분리이송프레임 상측으로 복수의 홈으로 형성되는 골재분리망; 상기 골재분리망에서 분리되는 폐골재가 골재분리이송프레임에서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골재분리이송프레임 양측으로 형성되는 이탈방지부재; 상기 골재분리망을 통해 분리되는 폐골재가 배출되도록 골재분리이송프레임 일측으로 형성되는 배출구를 포함하되,
    상기 골재분리이송부는, 골재분리망에서 진동을 통한 골재 분리를 위해 골재분리망 일측으로 형성되는 분리바이브레이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폐골재를 다방향으로 배출하기 위해 좌우측으로 가변되도록 배출구와 골재분리이송프레임 간의 연결 형성되는 배출구가변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골재분리이송부를 통해 걸러져 분리되는 골재를 이송시키기 위해 상기 골재분리이송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재생골재이송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재생골재이송수단은, 재생골재를 이송시키기 위해 골재분리이송부 하측으로 사선 방향으로 상승하도록 형성되는 재생골재프레임; 골재분리이송부에서 분리되어 하측으로 떨어지는 재생골재를 이송시키기 위해 상기 재생골재프레임 상에 형성되는 재생골재컨베어벨트; 재생골재롤러를 회전시키기 위해 재생골재이송수단 일측 끝단에 형성된 재생골재롤러에 연결 형성되는 재생골재이송모터; 재생골재컨베어벨트를 회전시키기 위해 재생골재컨베어벨트 사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 형성되는 재생골재이송롤러; 재생골재컨베어벨트에 안착되어 이송되는 재생골재에서 발생되는 분진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해 재생골재프레임에 형성되는 재생골재비산방지망을 포함하되,
    상기 재생골재이송수단은, 재상골재의 이송시 발생되는 분진을 물을 분무하여 제거하기 위해 재재생골재비산방지망 내부에 복수개 형성되는 재생골재분무노즐; 재생골재컨베어벨트에 안착되어 이송되는 재생골재의 무게를 구간별 측정하여 이송되는 재생골재의 무게를 측정하기 위해 재생골재컨베어벨트의 사이 일측에 형성되는 무게측정수단을 포함하고,
    폐골재 이송장치는, 분리된 골재 중 폐기되는 폐골재가 보관되도록 형성되는 폐골재호퍼부; 및 폐골재호퍼부에서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형성되는 폐골재이송부를 포함하되, 상기 폐골재호퍼부는, 골재분리이송부를 통해 걸러진 폐골재가 보관 저장되도록 형성되는 폐골재호퍼; 상기 폐골재호퍼에서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폐골재호퍼 하측으로 형성되는 폐골재호퍼모터; 상기 폐골재호퍼모터에 의해 배출되는 폐골재를 폐골재이송부 측으로 이송시키기 위해 상기 폐골재호퍼모터 하측 방향으로 형성되는 폐골재배출컨베어; 상기 폐골재이송부는, 폐골재호퍼부에서 제공되는 폐골재를 이송하기 위한 폐골재이송수단; 및 상기 폐골재이송수단에서 제공되는 폐골재를 다방향의 장소로 배출하기 위한 폐골재프레임가변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폐골재이송수단은, 폐골재를 이송시키기 위해 사선 방향으로 상승하도록 형성되는 폐골재이송프레임; 폐골재호퍼부에서 낙하되는 폐골재를 이송시키기 위해 상기 폐골재이송프레임 상에 형성되는 폐골재컨베어벨트; 폐골재이송롤러를 회전시키기 위해 폐골재이송수단 일측 끝단에 형성되는 폐골재이송롤러에 연결 형성되는 폐골재이송모터; 폐골재컨베어벨트를 회전시키기 위해 폐골재컨베어벨트 사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 형성되는 폐골재이송롤러; 폐골재컨베어벨트에 안착되어 이송되는 폐골재에서 발생되는 분진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해 폐골재프레임에 형성되는 폐골재비산방지망을 포함하고,
    상기 폐골재이송수단은, 폐골재의 이송시 발생되는 분진에 물을 분무하여 제거하기 위해 폐골재비산방지망 내부에 복수개 형성된느 폐골재분무노즐을 더 포함하며,
    상기 폐골재프레임가변수단은, 폐골재를 다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해 슬라이드 승하강 또는 좌우로 회전되도록 형성되는 가변프레임; 가변프레임이 슬라이드 방식으로 승하강 되도록 가변프레임 일측으로 형성되는 슬라이드부재; 가변프레임이 좌우 측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슬라이드부재 일측으로 형성되는 회전부재; 폐골재이송수단으로부터 제공받는 폐골재를 이송시키기 위해 가변프레임 상에 형성되는 가변이송컨베어벨트; 가변이송롤러를 회전시키기 위해 폐골재프레임가변수단 일측 끝단에 형성되는 가변이송모터; 가변이송컨베어벨트를 회전시키기 위해 가변이송컨베어 사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 형성되는 가변이송롤러; 회전부재의 일정 각도록 회전 시키기 위해 회전부재 일측으로 형성되는 배출각도조절수단을 포함하고,
    폐골재 이송장치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되는 골재 및 폐골재가 원활하게 이송되도록 이송컨베어를 수직방향으로 승하강 시키기 위해 제2이송프레임과 폐골재이송프레임에 각각 형성되는 승하강부를 포함하되,
    상기 승하강부는, 제2이송프레임과 폐골재이송프레임 하측으로 형성되는 승하강부재; 상기 승하강부재와 대응되는 방향인 지면에 고정 형성되는 고정부재; 상기 승하강부재와 고정부재 간의 연결을 위한 것으로, 제2연결프레임과 교차되도록 형성되는 제1연결프레임; 상기 승하강부재와 고정부재 간의 연결을 위한 것으로, 제1연결프레임과 표차되도록 형성되는 제2연결프레임; 승하강부재를 고정부재를 중심으로 승하강 시키기 위해, 제1연결프레임과 제2연결프레임에 각각 연결 형성되는 승하강실린더; 상기 승하강실린더와 제1연결프레임 간의 연결 결합과 승하강실린더와 제2연결프레임 간의 연결 결합을 위한 슬라이드부재; 상기 슬라이드부재가 승하강실린더의 의해 슬라이드 되도록 승하강부재와 고정부재 내부에 각각 형성되는 슬라이드홈을 포함하는 폐골재 이송장치.
  2. 삭제
KR1020190066701A 2019-06-05 2019-06-05 폐골재 이송장치 KR1020391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6701A KR102039168B1 (ko) 2019-06-05 2019-06-05 폐골재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6701A KR102039168B1 (ko) 2019-06-05 2019-06-05 폐골재 이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9168B1 true KR102039168B1 (ko) 2019-11-27

Family

ID=68729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6701A KR102039168B1 (ko) 2019-06-05 2019-06-05 폐골재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916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36605A (zh) * 2021-04-12 2021-06-11 广西大都混凝土集团有限公司 一种节能环保型的骨料集中上料系统
CN114261696A (zh) * 2021-11-15 2022-04-01 济南天辰智能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型材组框生产线及其组框方法
KR102453760B1 (ko) * 2022-03-22 2022-10-12 주식회사 동광 펠릿 이송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5909A (ko) * 2002-12-23 2004-06-30 엠비렌탈주식회사 부순 모래 생산을 위한 시스템 구성 장치 및 그 방법
KR20040071097A (ko) * 2004-07-20 2004-08-11 (주)씨에스티개발 건설폐기물의 길이조절용 콘베이어 시설
KR100696308B1 (ko) 2006-04-13 2007-03-19 합자회사 홍천환경산업 양방향 콘베어를 이용한 건식 재생골재 제조방법
KR20140055836A (ko) * 2012-11-01 2014-05-09 조성현 폐기물의 파/분쇄 및 선별장치와 그 방법
KR101427849B1 (ko) * 2013-12-10 2014-08-07 광일토건환경 주식회사 에어(air)를 이용한 건설폐기물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설폐기물 처리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5909A (ko) * 2002-12-23 2004-06-30 엠비렌탈주식회사 부순 모래 생산을 위한 시스템 구성 장치 및 그 방법
KR20040071097A (ko) * 2004-07-20 2004-08-11 (주)씨에스티개발 건설폐기물의 길이조절용 콘베이어 시설
KR100696308B1 (ko) 2006-04-13 2007-03-19 합자회사 홍천환경산업 양방향 콘베어를 이용한 건식 재생골재 제조방법
KR20140055836A (ko) * 2012-11-01 2014-05-09 조성현 폐기물의 파/분쇄 및 선별장치와 그 방법
KR101427849B1 (ko) * 2013-12-10 2014-08-07 광일토건환경 주식회사 에어(air)를 이용한 건설폐기물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설폐기물 처리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36605A (zh) * 2021-04-12 2021-06-11 广西大都混凝土集团有限公司 一种节能环保型的骨料集中上料系统
CN114261696A (zh) * 2021-11-15 2022-04-01 济南天辰智能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型材组框生产线及其组框方法
KR102453760B1 (ko) * 2022-03-22 2022-10-12 주식회사 동광 펠릿 이송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0833B1 (ko) 자재 이송장치
KR102039168B1 (ko) 폐골재 이송장치
KR102039169B1 (ko) 골재 이송장치
US5207391A (en) Tub grinder
JP5657356B2 (ja) 廃棄物選別システム
RU2638191C2 (ru) Установка по переработке минеральных материалов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такой установкой
US2267419A (en) Coal loading and piling machine
EP1682436B1 (en) Bulk load device
CN111250201B (zh) 石灰石破碎均匀的自动化生产线
KR20180072610A (ko) 입상체 이송장치
CN206307606U (zh) 快速卸料式提升机料斗
KR20120002198A (ko) 모바일 스크린 플랜트
CN216686650U (zh) 一种用于沥青混合料生产的下料装置
CN109821603B (zh) 环保智能化建材骨料生产线
CN212092469U (zh) 一种煤矿开拓用运输装置
US1611026A (en) Crushing and screening apparatus
CN207142202U (zh) 新型分体式抗粘给料设备
GB2554758B (en) Mobile picking/sorting system utilising air separation means
CN109795037A (zh) 一种新型混凝土骨料配料机
CN218013276U (zh) 一种振动筛选送料机
JPH1133487A (ja) 仕分け装置
CN216605588U (zh) 一种模块化反击式破碎楼
US1331963A (en) Portable crusher
CN216631630U (zh) 一种红枣自动分级机构
CN218796393U (zh) 一种多功能筛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