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3026A - 펄프 재생공정의 불순물 처리시스템 - Google Patents

펄프 재생공정의 불순물 처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3026A
KR20200023026A KR1020180099366A KR20180099366A KR20200023026A KR 20200023026 A KR20200023026 A KR 20200023026A KR 1020180099366 A KR1020180099366 A KR 1020180099366A KR 20180099366 A KR20180099366 A KR 20180099366A KR 20200023026 A KR20200023026 A KR 202000230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impurities
screen
crusher
crush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9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0806B1 (ko
Inventor
정현규
Original Assignee
(주) 제이에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제이에스티 filed Critical (주) 제이에스티
Priority to KR10201800993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0806B1/ko
Publication of KR20200023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30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08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080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CPRODUCTION OF CELLULOSE BY REMOVING NON-CELLULOSE SUBSTANCES FROM CELLULOSE-CONTAINING MATERIALS; REGENERATION OF PULPING LIQUORS; APPARATUS THEREFOR
    • D21C5/00Other processes for obtaining cellulose, e.g. cooking cotton linters ;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cellulose-containing starting materials
    • D21C5/02Working-up waste pa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7/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disc mills
    • B02C7/02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disc mills with coaxial dis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B03C1/02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B03C1/02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 B03C1/26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with free fall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B03C1/02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 B03C1/30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6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4Paper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Pap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펄프 재생공정의 불순물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재생 종이류를 파쇄하고 금속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재생작업의 효율성과 재생 종이류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고 재생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펄프 재생공정의 불순물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펄프 재생공정의 불순물 처리시스템은 펄프 재생공정의 불순물 처리시스템에 있어서, 불순물이 투입되어 파쇄되는 파쇄기; 상기 파쇄기의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파쇄 불순물을 이송하는 제1 이송컨베이어; 상기 제1 이송컨베이어의 배출단에 설치되어 파쇄 불순물에 포함된 금속 이물질을 자력에 의해 분리하는 제1 자력선별기; 상기 제1 이송컨베이어의 배출단으로부터 낙하하는 파쇄 불순물을 이송하는 제2 이송컨베이어; 상기 제1 자력선별기에 부착된 후 이탈하는 금속을 포함하는 파쇄불순물에 진동력을 인가하면서 이송하는 진동이송장치; 상기 진동이송장치의 배출단에 설치되어 파쇄 불순물에 포함된 금속 이물질을 자력에 의해 제거하는 제2 자력선별기; 및 상기 진동이송장치와 상기 제2 이송컨베이어의 배출단으로부터 낙하하는 파쇄불순물을 이송, 배출하는 제3 이송컨베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펄프 재생공정의 불순물 처리시스템{SYSTEM FOR IMPURITY PROCESSING OF PULP RECYCLING PROCESS}
본 발명은 펄프 재생공정의 불순물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재생 종이류를 파쇄하고 금속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재생작업의 효율성과 재생 종이류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고 재생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펄프 재생공정의 불순물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산업현장에서 배출되는 쓰레기는 재생 가능한 쓰레기와 재생 불가능한 쓰레기로 구분된다.
재생 가능한 쓰레기는 캔류, 종이류, 플라스틱류, 기타류 등으로 분류하게 되고, 그중 종이류는 신문지, 백상지(인쇄용지), 컴퓨터용지, 산업용지로 불리는 골판지등 색상과 무게, 두께, 강도등 용도에 따라 수많은 종류들로 분류된다.
이러한 수많은 재생 종이류는 재생할 경우 저렴한 비용으로 종이의 원료를 얻을 수 있고 원료인 나무의 벌목을 줄여 자연환경을 보호하는 장점이 있으므로 비교적 재활용이 잘 이루어지고 있다.
재생 종이류는 재생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용도별 선별을 위해 각종 불순물을 싣고 인라인 방식으로 흐르는 컨베이어 옆에 다수의 인력이 투입되어 용도별로 일일이 선별 분리작업을 수행하기도 한다.
이와 같이 선별된 재생 종이류는 해리, 조선, 탈묵, 정선, 농축 및 숙성의 등의 공정을 거져 재생펄프를 제조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한 재생펄프의 공정에서는 재생 종이류에 포함되어 있던 비닐 등과 같은 각종 이물질이나 금속 조각 등과 같은 금속 이물질이 존재하여 분리, 배출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여러 종류의 이물질이 혼재한 불순물을 일일이 분류하여야 재활용할 수 있으므로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259328호로 개시된 산업 및 가정용 불순물류 선별장치와 같은 동 분야에서 이용하고 있는 선별장치를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산업 및 가정용 불순물류 선별장치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거한 파지를 재활용하기 위하여 물품 별로 각기 분류하기 위하여 수거호퍼(10), 수거호퍼(10)로부터 파지류를 이송하기 위한 제1컨베이어(30), 제1컨베이어(30)로부터 공급된 파지류를 분류하기 위한 이송장치(20), 이송장치(20)하단에 위치한 제2컨베이어(40)와, 제2컨베이어(40)와 연계되어 고급인쇄용으로 분류된 파지를 이송하는 제3컨베이어(50)로 분류장치(100)를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종래 산업 및 가정용 불순물류 선별장치는 종이류를 종류별로 분류하기 위한 용도로 제작된 것이어서 비닐 등의 비자성 불순물은 선별할 수 있지만 금속류를 선별할 수 없으므로 실질적인 적용이 불가능하고 일일이 수작업에 의존하여 분리하여야 하므로 펄프 재생공정의 후처리 과정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고, 인건비의 상승 등 과도한 처리비용이 소요되는 한계점이 있다.
그리고, 비자성 불순물은 소각 등의 재활용 효율을 높이고 금속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분리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크기로 파쇄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파쇄를 위한 전용 파쇄기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 작업성이 떨어지고 처리비용이 상승되는 단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0259328호 "산업 및 가정용 불순물류 선별장치" 한국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402095호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 및 그 구성 장치" 한국등록특허 등록번호 제 10-1411465 호 " 자력 선별장치와 자력 선별장치용 마그네틱 드럼"
본 발명은 상기 내용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펄프의 재생공정에서 배출되는 불순물을 파쇄하고 금속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분리함으로써 펄프의 재생과정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폐자원을 재활용함으로써 생산비용을 절감할 있고 환경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펄프 재생공정의 불순물 처리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펄프 재생공정의 불순물 처리시스템은 펄프 재생공정의 불순물 처리시스템에 있어서, 불순물이 투입되어 파쇄되는 파쇄기; 상기 파쇄기의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파쇄 불순물을 이송하는 제1 이송컨베이어; 상기 제1 이송컨베이어의 배출단에 설치되어 파쇄 불순물에 포함된 금속 이물질을 자력에 의해 분리하는 제1 자력선별기; 상기 제1 이송컨베이어의 배출단으로부터 낙하하는 파쇄 불순물을 이송하는 제2 이송컨베이어; 상기 제1 자력선별기에 부착된 후 이탈하는 금속을 포함하는 파쇄불순물에 진동력을 인가하면서 이송하는 진동이송장치; 상기 진동이송장치의 배출단에 설치되어 파쇄 불순물에 포함된 금속 이물질을 자력에 의해 제거하는 제2 자력선별기; 및 상기 진동이송장치와 상기 제2 이송컨베이어의 배출단으로부터 낙하하는 파쇄불순물을 이송, 배출하는 제3 이송컨베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자력선별기와 상기 제2 자력선별기는, 선별기프레임; 상기 선별기프레임에 설치되고 전자석이 내장된 마그네트 바디; 상기 선별기프레임의 하측에 평행하게 전후로 배치되는 유입측 메인롤러 및 배출측 메인롤러; 상기 선별기프레임의 상측에 배치되는 보조롤러; 상기 유입측 메인롤러, 상기 배출측 메인롤러와 상기 보조롤러에 권취되어 상기 마그네트바디를 경유하여 무한궤도 운동을 수행하는 순환벨트; 및 상기 순환벨트가 무한궤도 운동을 수행하도록 상기 배출측 메인롤러를 회전시키는 벨트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자력선별기와 상기 제2 자력선별기는 상기 배출측 메인롤러 설치부위에 해당되는 상기 선별기프레임에 설치되는 배출슈트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자력선별기에 설치되는 상기 배출슈트 하방에 금속 이물질을 배출되는 금속이물질 수거함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파쇄기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되도록 형성된 파쇄기프레임; 상기 파쇄기프레임의 상부에 형성되는 호퍼; 상기 수용공간의 일측을 가로질러 배치되는 복수의 회전커터가 설치된 파쇄로터; 상기 파쇄로터와 접하여 상기 파쇄기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커터와 상호작용에 의해 파쇄작용을 수행하는 고정커터부; 상기 파쇄로터의 일측 및 타측에 설치되는 유압모터; 상기 유압모터에 유압작동유를 압송하는 유압공급모듈; 상기 파쇄로터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파쇄기프레임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크린장치; 및 상기 수용공간의 타측에 설치되고, 상기 파쇄로터를 향해 전후진되는 푸셔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푸셔장치는, 불순물에 가압력을 인가하는 복수의 톱니부재가 설치된 가압부재; 상기 가압부재를 전후진 시키도록 결합되는 이동블록; 상기 파쇄기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블록에 로드부가 결합되는 푸셔구동실린더; 상기 이동블록의 측면에 설치되는 슬라이딩부재; 및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파쇄기프레임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크린장치는 다수의 통과홀이 형성된 몸체의 일측이 상기 파쇄기프레임에 좁속되고 타측에 복수의 걸림고리가 형성된 스크린프레임; 상기 스크린프레임에 설치되는 스크린; 상기 스크린프레임의 걸고리고리에 삽입 및 이탈되는 스크린축; 상기 스크린축을 이동시켜 삽입 및 이탈동작을 수행하도록 양단에 접속되는 스크린아암; 및 상기 스트린아암에 로드부가 접속되어 구동력을 인가하는 스크린구동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펄프 재생공정의 불순물 처리시스템에 의하면, 파쇄기에 의해 불순물을 파쇄하고 제1 자력선별기에 의해 비자성 불순물과 금속 이물질을 포함하는 불순물로 1차 분리하고, 진동이송장치에 의해 서로 엉켜붙은 비자성 불순물을 서로 이격시켜 금속 이물질을 분리한 후 제2 자력선별기에 의해 비자성 불순물과 금속 이물질을 2차적으로 분리하여 제거함으로써 금속 이물질을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어서 원활한 흐름작업을 통해 펄프 재생공정의 후처리과정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펄프 재생공정의 불순물 처리시스템에 의하면, 분리된 비자성 불순물을 펄프 재생공정에서 필요한 스팀 등을 생산하기 위한 연료로 사용할 수 있어서 에너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금속 이물질과 같은 유가 금속을 판매하여 회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연 환경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 산업 및 가정용 폐지류 선별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펄프 재생공정의 불순물 처리시스템을 나타낸 개략적인 평면도,
도3a 내지 도3c는 도2의 부분 확대도로서, 도3a는 도2의 A부 확대도, 도3b는 도2의 B부 확대도, 도3c는 도2의 C부 확대도이다.
도4a는 도2의 A-A 선상에서 나타나는 형상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4b는 도2의 B-B 선상에서 나타나는 형상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4c는 도2의 C-C 선상에서 나타나는 형상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4d는 도2의 D-D 선상에서 나타나는 형상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4e는 도4a의 제1 자력선별기 부분을 확대한 도면,
도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펄프 재생공정의 불순물 처리시스템의 파쇄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6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펄프 재생공정의 불순물 처리시스템의 파쇄기를 나타낸 평면도,
도6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펄프 재생공정의 불순물 처리시스템의 파쇄기를 나타낸 정면도,
도6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펄프 재생공정의 불순물 처리시스템의 파쇄기를 나타낸 측면도,
도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펄프 재생공정의 불순물 처리시스템의 파쇄기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8a 및 도8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펄프 재생공정의 불순물 처리시스템의 파쇄기 요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8a는 분리사시도, 도8b는 확대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2 내지 도8b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 도2 내지 도8b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한다. 한편 각 도면에서 일반적인 기술로부터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과 그에 대한 작용 및 효과에 대한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도시하였다.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펄프 재생공정의 불순물 처리시스템을 나타낸 개략적인 평면도, 도3a 내지 도3c는 도2의 부분 확대도로서, 도3a는 도2의 A부 확대도, 도3b는 도2의 B부 확대도, 도3c는 도2의 C부 확대도이다. 도4a는 도2의 A-A 선상에서 나타나는 형상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4b는 도2의 B-B 선상에서 나타나는 형상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도4c는 도2의 C-C 선상에서 나타나는 형상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4d는 도2의 D-D 선상에서 나타나는 형상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4e는 도4a의 제1 자력선별기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2 내지 도4e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펄프 재생공정의 불순물 처리시스템은 비닐, 플라스틱 등과 같은 각종 이물질(이하 '불순물'라 칭함)를 파쇄하고 금속 이물질을 제거하여 재활용 과정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파쇄동작을 수행하는 파쇄기(1), 금속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1 자력선별기(2) 및 제2 자력선별기(3)와, 불순물을 이격 시키고 불순물로부터 금속 이물질을 분리하는 진동이송장치(4)와, 상기한 장치들의 사이에서 이송작용을 수행하는 제1 이송컨베이어(5), 제2 이송컨베이어(6) 및 제3 이송컨베이어(7)로 구성되어 있다.
파쇄기(1)는 처리공정의 맨 앞쪽에 배치되어 투입되는 불순물을 파쇄하는 장치로서 세부 구성에 대한 설명은 이하의 도5 내지 도8b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 이송컨베이어(5)는 파쇄기(1)를 경유하면서 파쇄되어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파쇄 불순물을 이송하는 이송수단으로서 도2 및 도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컨베이어로 구성되어 제1 자력선별기(2)를 향하여 상향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다.
제1 자력선별기(2)는 제1 이송컨베이어(5)의 배출단에서 파쇄 불순물에 포함된 금속 이물질을 자력에 의해 분리하는 구성요소로서, 제1 이송커베이어(5)의 배출단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행깅부재(91)에 결속되는 로프(미도시) 등에 의해 매달리는 형태로 설치되어 있다.
제2 이송컨베이어(5)는 제1 이송컨베이어(5)의 배출단으로부터 낙하하는 파쇄 불순물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수단으로서, 벨트컨베이어로 구성되어 도2 및 도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이송컨베이어(7)를 향하여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다.
진동이송장치(4)는 제1 자력선별기(2)에 부착된 후 이탈하는 금속을 포함하는 파쇄 불순물에 진동력을 인가하여 비닐 등의 불순물을 서로 이격시키고 불순물에 포함된 금속 이물질을 분리하면서 이송동작을 수행하는 장치로서 제1 자력선별기(2)와 제3 이송컨베이어(7)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2 자력선별기(3)는 진동이송장치(4)를 통해 이송되는 파쇄 불순물에 포함된 금속 이물질을 자력에 의해 2차적으로 분리하고, 금속 이물질을 외부로 제거하는 구성요소로서, 진동이송장치(4)의 배출단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행깅부재(91)에 결속되는 로프(미도시) 등에 의해 매달리는 형태로 설치되어 있다.
제3 이송컨베이어(7)는 진동이송장치(4)와 제2 이송컨베이어(6)의 배출단으로부터 낙하하는 파쇄 불순물을 이송, 배출하는 벨트컨베이어로 구성된 것으로서 도2 및 도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방향을 향하여 상향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다.
한편, 도2의 미설명부호 16은 이하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파쇄기(1)의 유압모터, 푸셔구동실린더 등과 같은 유압장치들에 유압작동유를 공급하고 제어하는 유압공급모듈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펄프 재생공정의 불순물 처리시스템의 파쇄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6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펄프 재생공정의 불순물 처리시스템의 파쇄기를 나타낸 평면도, 도6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펄프 재생공정의 불순물 처리시스템의 파쇄기를 나타낸 정면도, 도6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펄프 재생공정의 불순물 처리시스템의 파쇄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펄프 재생공정의 불순물 처리시스템의 파쇄기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8a 및 도8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펄프 재생공정의 불순물 처리시스템의 파쇄기 요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8a는 분리사시도, 도8b는 장착된 스크린장치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사시도이다.
도5 내지 도8b를 참조하면, 파쇄기(1)는 파쇄기프레임(11), 호퍼(12), 파쇄로터(13), 고정커터부(14), 유압모터(15), 유압공급모듈(16), 스크린장치(17), 및 푸셔장치(18)가 구비되어 있다.
파쇄기프레임(11)은 지지다리(111)에 상부에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 파쇄기본체(112)가 형성된 것으로, 파쇄기본체(112)의 내부에 불순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호퍼(12)는 불순물의 수용량을 증가시키고 불순물이 수용공간 내부로 용이하게 유입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 파쇄기프레임(11)의 상부에 결합되는 판재로 구성되어 있다.
파쇄로터(13)는 수용공간의 일측을 가로질러 배치되는 로터몸체(131)에 복수의 회전커터(132)가 설치된 구조로서, 로터몸체(131)의 중심에 설치되는 로터축(133)의 양단에 결합되는 유압모터(15)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
고정커터부(14)는 파쇄기프레임(11)의 수용공간에 파쇄로터(13)와 접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회전커터(132)와 상호작용에 의해 파쇄작용을 수행하는 다수의 고정커터(141)로 구성되어 된다.
유압모터(15)는 파쇄로터(13)에 회전력을 인가하기 위해 로터몸체(131)에 결합된 로터축(133)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유압공급모듈(16)은 유압모터(15)에 유압작동유를 압송하는 유압공급수단으로서, 유압작동유탱크, 모터, 유압펌프, 각종 유압밸브, 유압호스 등으로 구성되어 파쇄기의 유압모터, 푸셔구동실린더 등과 같은 유압장치들에 유압작동유를 공급하고 제어하는 것으로서 공지된 유압기구를 이용하여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스크린장치(17)는 도8a 및 도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쇄로터(13)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파쇄기프레임(11)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다수의 통과홀이 형성된 몸체(1711)의 일측이 파쇄기프레임(11)에 이동 가능하게 접속되고 타측에 복수의 걸림고리(1712)가 형성된 스크린프레임(171), 스크린프레임(171)의 걸림고리(1712)에 삽입되는 스크린축(172), 스크린축(172)을 이동시키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양단에 접속되는 스크린아암(173), 스크린아암(173)에 로드부가 접속되어 구동력을 인가하는 스크린구동실린더(174), 스크린프레임(171)에 설치되는 스크린(175)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스크린장치(17)는 스크린(175)의 유지보수작업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점에 특징이 있는 것으로, 파쇄기프레임(11)에 체결된 스크린프레임(171) 일측의 체결상태를 해제하고 스크린구동실린더(174)를 구동시켜 스크린아암(173)에 의해 스크린축(172)이 들어올려지도록 작동시키게 되면 스크린프레임(171) 일측이 파쇄기프레임(11)으로부터 이격되어 벌어지게 되므로 스크린(175)의 청소작업 등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
푸셔장치(18)는 도7 내지 도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공간의 타측에 설치되어 수용된 불순물을 파쇄로터(13)를 향해 이동시키도록 전후진되는 장치로서, 불순물에 가압력을 인가하는 복수의 톱니부재(1812)가 설치되는 가압부재(181), 판재에 의해 사각틀 형태로 형성되고 선단에 결합된 가압부재(181)를 전후진 시키는 이동블록(182), 이동블록(182)에 전후진력을 인가하기 위해 파쇄기프레임(11)에 설치되고 이동블록(182)에 로드부가 결합되는 푸셔구동실린더(183), 이동블록(182)의 측면에 설치되는 슬라이딩부재(184), 슬라이딩부재(184)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파쇄기프레임(11)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185)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도7에서 이동블록(182)의 상부에 위치한 판상의 부재(115)는 이동블록을 밀폐하도록 파쇄기프레임(11)에 설치되는 커버플레이트이다.
한편, 전술한 제1 자력선별기(2)와 제2 자력선별기(3)는 도4a, 도4c 및 도4e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공지의 자력선별기를 적용하여 구성한 것으로, 선별기프레임(21,31), 선별기프레임(21,31)에 설치되고 전자석이 내장된 마그네트 바디(22,32), 선별기프레임(21,31)의 하측에 평행하게 전후로 배치되는 유입측 메인롤러(23,33) 및 배출측 메인롤러(24,34), 선별기프레임의 상측 전후 방향에 배치되는 한 쌍의 보조롤러(25,35)와, 유입측 메인롤러, 배출측 메인롤러와 보조롤러에 권취되어 마그네트바디를 경유하여 무한궤도 운동을 수행하고 스크래퍼가 구비된 순환벨트(26,36), 및 순환벨트(26,36)가 무한궤도 운동을 수행하도록 배출측 메인롤러(24,34)를 회전시키는 벨트구동수단(27,37)으로 구성되어 있다.
마그네트 바디(22,32)에는 냉각유 유입구(281,381) 및 냉각유 배출구(282,382)가 형성된 오일탱크(28,38)가 연결되고, 내부에 전자석(미도시)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전자석은 주지된 바와 같이 코아, 보빈 및 코일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선별기프레임(21,31)에는 배출측 메인롤러(24,34) 설치부위에 해당되는 위치에 금속 이물질을 포함하는 불순물을 이탈, 낙하시키기 위해 배출슈트(29,39)가 설치되어 있다.
아울러 도2 및 도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자력선별기(3)에 설치되는 배출슈트(39) 하방에는 금속 이물질을 배출되는 금속이물질 수거함(49)이 구비되어 있다.
한편, 제1 내지 제3 이송컨베이어(5,6,7)는 설치각도와 길이에 다소 차이가 있는 공지된 통상의 벨트컨베이어로 구성되는 것으로, 형강재에 의해 직사각틀 형태로 형성된 컨베이어프레임(51,61,71), 이 컨베이어프레임(51,61,71)의 하방에 설치되는 복수의 지지다리(52,62,72), 컨베이어프레임의 측방에 설치되어 이송중에 불순물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판(53,63,73), 컨베이어프레임의 전후단에 설치되는 구동롤러(54,64,74) 및 아이들롤러(55,65,75), 구동롤러와 아이들롤러 사이에 설치되는 컨베이어벨트(56,66,76), 구동롤러에 구동을 인가하는 기어드모터(57,67,77)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진동이송장치(4)는 도3b 및 도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다리(42)에 올려진 진동컨베이어본체(41), 이 진동컨베이어본체(41)의 상부에 스프링댐퍼(43)에 의해 연결되고 불순물이 올려져 이송되는 이송본체(44), 진동컨베이어본체(41)에 설치되는 진동용 구동수단(45), 진동용 구동수단(45)에 의해 회전되는 편심축(46), 및 편심축(46)과 이송본체(44) 사이에 연결되어 편심축(46)의 회전시에 이송본체(44)를 진동시키는 커넥팅부재(미도시)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진동용 구동수단(45)은 진동컨베이어본체(41)에 설치되는 진동용 구동모터(미도시), 이 구동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풀리(452), 구동풀리(452)에 일측이 접속되는 벨트(453), 이 벨트(453)의 타측이 접속되고 편심축(46)에 결합되는 종동풀리(454)가 구비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펄프 재생공정의 불순물 처리시스템의 작용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도2를 참조하면, 불순물을 파쇄기(1)의 호퍼(12)를 통해 수용공간에 투입한 후 파쇄로터(13)를 작동시키게 되면 회전커터(132)와 고정커터(141)의 상호작용에 의해 파쇄작용을 수행한다.
그리고, 파쇄기프레임(11)에 푸셔장치(18)가 설치되어 수용공간에 투입된 불순물을 파쇄로터(13)측으로 가압하게 되므로 파쇄작용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데, 이러한 불순물의 가압동작은 푸셔구동실린더(183)의 작동으로 로드부가 전진되면 이에 접속된 이동블록(182)에 전진력이 작용되므로 슬라이딩부재(184) 및 가이드레일(185)의 안내작용에 의해 전진하게 되면서 가압부재(181)가 불순물에 압력을 인가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파쇄기(1)의 파쇄동작에 의해 파쇄된 파쇄 불순물은 스크린장치(17)를 경유하여 하방으로 낙하한 후 제1 이송컨베이어(5)의 유입측 컨베이어벨트(56) 표면에 올려져 배출단을 향해 이송된다.
파쇄 불순물이 제1 이송컨베이어(5)의 배출단 근처로 이송되면 제1 자력선별기(2)의 마그네트 바디(22)로부터 생성된 자력에 의해 금속 이물질이나 금속 이물질을 포함하는 불순물(불순물에 금속조각이 뭉쳐져 있거나 달라붙어 있는 상태 등)이 순환벨트(26)에 달라붙게 되고, 금속 이물질을 포함하지 않은 불순물은 제2 이송컨베이어(6)의 유입측 컨베이어벨트(66) 표면으로 낙하하여 배출단을 향해 이송된다.
그리고, 순환벨트(26)에 달라붙은 금속 이물질을 포함하는 불순물은 배출슈트(29)를 통해 낙하하여 진동이송장치(4)의 유입측 표면에 올려지게 된다.
이와 같이 낙하한 금속 이물질을 포함하는 불순물이 진동이송장치(4)에 올려지게 되면 진동용 구동수단(45)으로부터 생성된 진동력이 편심축(46)을 매개로 이송본체(44)로 전달되어 요동되므로 뭉쳐진 불순물을 서로 이격시키는 한편 금속 이물질을 분리하면서 이송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이후 이송본체(44)의 배출단으로 금속 이물질을 포함하는 불순물이 이송되면 제2 자력선별기(3)의 마그네트 바디(32)로부터 생성된 자력에 의해 분리된 금속 이물질이 순환벨트(26)에 달라붙은 후 배출슈트(39)를 통해 낙하하여 금속이물질 수거함(49)에 수거된다.
아울러, 금속 이물질이 제거된 불순물은 제3 이송컨베이어(7)의 유입측 컨베이어벨트(76) 표면에 올려져 배출단을 향해 이송되어 불순물 수집용기에 수집되므로 이를 스팀의 생산을 위한 설비등의 연소용 연료로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펄프 재생공정의 불순물 처리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은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상기한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파쇄기 11:파쇄기프레임
12:호퍼 13:파쇄로터
14:고정커터부 141:고정커터
15:유압모터 16:유압공급모듈
17:스크린장치 18:푸셔장치
2:제1 자력선별기 21,31:선별기프레임
22,32:마그네트 바디 24,34:배출측 메인롤러
25,35:보조롤러 26,36:순환벨트
27,37:벨트구동수단 3:제2 자력선별기
4:진동이송장치 41:진동컨베이어본체
42:진동컨베이어본체 43:스프링댐퍼
44:이송본체 45:진동용 구동수단
46:편심축 5:제1 이송컨베이어
6:제2 이송컨베이어 7:제3 이송컨베이어

Claims (6)

  1. 펄프 재생공정의 불순물 처리시스템에 있어서,
    불순물이 투입되어 파쇄되는 파쇄기;
    상기 파쇄기의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파쇄 불순물을 이송하는 제1 이송컨베이어;
    상기 제1 이송컨베이어의 배출단에 설치되어 파쇄 불순물에 포함된 금속 이물질을 자력에 의해 분리하는 제1 자력선별기;
    상기 제1 이송컨베이어의 배출단으로부터 낙하하는 파쇄 불순물을 이송하는 제2 이송컨베이어;
    상기 제1 자력선별기에 부착된 후 이탈하는 금속을 포함하는 파쇄불순물에 진동력을 인가하면서 이송하는 진동이송장치;
    상기 진동이송장치의 배출단에 설치되어 파쇄 불순물에 포함된 금속 이물질을 자력에 의해 제거하는 제2 자력선별기; 및
    상기 진동이송장치와 상기 제2 이송컨베이어의 배출단으로부터 낙하하는 파쇄불순물을 이송, 배출하는 제3 이송컨베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프 재생공정의 불순물 처리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력선별기와 상기 제2 자력선별기는,
    선별기프레임;
    상기 선별기프레임에 설치되고 전자석이 내장된 마그네트 바디;
    상기 선별기프레임의 하측에 평행하게 전후로 배치되는 유입측 메인롤러 및 배출측 메인롤러;
    상기 선별기프레임의 상측에 배치되는 보조롤러;
    상기 유입측 메인롤러, 상기 배출측 메인롤러와 상기 보조롤러에 권취되어 상기 마그네트바디를 경유하여 무한궤도 운동을 수행하는 순환벨트; 및
    상기 순환벨트가 무한궤도 운동을 수행하도록 상기 배출측 메인롤러를 회전시키는 벨트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프 재생공정의 불순물 처리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측 메인롤러 설치부위에 해당되는 상기 선별기프레임에 설치되는 배출슈트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자력선별기에 설치되는 상기 배출슈트 하방에 배출되는 금속 이물질이 투입되는 금속이물질 수거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프 재생공정의 불순물 처리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기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되도록 형성된 파쇄기프레임;
    상기 파쇄기프레임의 상부에 형성되는 호퍼;
    상기 수용공간의 일측을 가로질러 배치되는 복수의 회전커터가 설치된 파쇄로터;
    상기 파쇄로터와 접하여 상기 파쇄기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커터와 상호작용에 의해 파쇄작용을 수행하는 고정커터부;
    상기 파쇄로터의 일측 및 타측에 설치되는 유압모터;
    상기 유압모터에 유압작동유를 압송하는 유압공급모듈;
    상기 파쇄로터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파쇄기프레임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크린장치; 및
    상기 수용공간의 타측에 설치되고, 상기 파쇄로터를 향해 전후진되는 푸셔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프 재생공정의 불순물 처리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장치는,
    불순물에 가압력을 인가하는 복수의 톱니부재가 설치된 가압부재;
    상기 가압부재를 전후진 시키도록 결합되는 이동블록;
    상기 파쇄기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블록에 로드부가 결합되는 푸셔구동실린더;
    상기 이동블록의 측면에 설치되는 슬라이딩부재; 및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파쇄기프레임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프 재생공정의 불순물 처리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장치는 다수의 통과홀이 형성된 몸체의 일측이 상기 파쇄기프레임에 접속되고 타측에 복수의 걸림고리가 형성된 스크린프레임;
    상기 스크린프레임에 설치되는 스크린;
    상기 스크린프레임의 걸고리고리에 설치되는 스크린축;
    상기 스크린축을 이동시키도록 양단에 접속되는 스크린아암; 및
    상기 스트린아암에 로드부가 접속되어 구동력을 인가하는 스크린구동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프 재생공정의 불순물 처리시스템.
KR1020180099366A 2018-08-24 2018-08-24 펄프 재생공정의 불순물 처리시스템 Active KR1021608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9366A KR102160806B1 (ko) 2018-08-24 2018-08-24 펄프 재생공정의 불순물 처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9366A KR102160806B1 (ko) 2018-08-24 2018-08-24 펄프 재생공정의 불순물 처리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3026A true KR20200023026A (ko) 2020-03-04
KR102160806B1 KR102160806B1 (ko) 2020-09-29

Family

ID=69783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9366A Active KR102160806B1 (ko) 2018-08-24 2018-08-24 펄프 재생공정의 불순물 처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080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95548A (zh) * 2020-11-12 2021-03-16 李园媛 一种高效率的生物制药用原料研磨装置
CN114405668A (zh) * 2021-12-20 2022-04-29 厦门竣铭科技有限公司 一种便于清理的电池浆料除铁器
CN116377748A (zh) * 2023-03-14 2023-07-04 保定市跃进纸箱有限公司 一种瓦楞纸回收粉碎制浆装置及工艺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10000789B1 (ko) * 1978-12-11 1981-07-06 볼프강 바이첼 폐지 처리 공정
KR100259328B1 (ko) 1998-03-16 2000-12-01 안병훈 산업 및 가정용 폐지류 선별장치
KR100488241B1 (ko) * 2004-10-22 2005-05-10 (주)모악환경산업 파분쇄 건설폐기물 재생장치
JP2006104633A (ja) * 2004-10-08 2006-04-20 Sanpo Shoko:Kk 故紙再生処理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JP4001194B2 (ja) * 1999-09-14 2007-10-31 株式会社小松製作所 建設混合廃棄物の選別処理設備
KR20120087417A (ko) * 2011-01-28 2012-08-07 윤택수 목재 파쇄기
KR101402095B1 (ko) 2006-05-19 2014-05-30 가부시키가이샤 시드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 및 그 구성 장치
KR101411465B1 (ko) 2012-07-13 2014-06-27 주식회사 포스하이메탈 자력 선별장치와 자력 선별장치용 마그네틱 드럼
KR20140137027A (ko) * 2013-05-21 2014-12-02 주식회사 슈레텍 사각 형태의 커터날을 갖는 분할 가능한 회전드럼을 갖는 폐기물 슈레더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10000789B1 (ko) * 1978-12-11 1981-07-06 볼프강 바이첼 폐지 처리 공정
KR100259328B1 (ko) 1998-03-16 2000-12-01 안병훈 산업 및 가정용 폐지류 선별장치
JP4001194B2 (ja) * 1999-09-14 2007-10-31 株式会社小松製作所 建設混合廃棄物の選別処理設備
JP2006104633A (ja) * 2004-10-08 2006-04-20 Sanpo Shoko:Kk 故紙再生処理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KR100488241B1 (ko) * 2004-10-22 2005-05-10 (주)모악환경산업 파분쇄 건설폐기물 재생장치
KR101402095B1 (ko) 2006-05-19 2014-05-30 가부시키가이샤 시드 사용된 종이 재생 장치 및 그 구성 장치
KR20120087417A (ko) * 2011-01-28 2012-08-07 윤택수 목재 파쇄기
KR101411465B1 (ko) 2012-07-13 2014-06-27 주식회사 포스하이메탈 자력 선별장치와 자력 선별장치용 마그네틱 드럼
KR20140137027A (ko) * 2013-05-21 2014-12-02 주식회사 슈레텍 사각 형태의 커터날을 갖는 분할 가능한 회전드럼을 갖는 폐기물 슈레더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95548A (zh) * 2020-11-12 2021-03-16 李园媛 一种高效率的生物制药用原料研磨装置
CN112495548B (zh) * 2020-11-12 2022-01-25 山东大学齐鲁医院 一种高效率的生物制药用原料研磨装置
CN114405668A (zh) * 2021-12-20 2022-04-29 厦门竣铭科技有限公司 一种便于清理的电池浆料除铁器
CN114405668B (zh) * 2021-12-20 2024-05-24 厦门竣铭科技有限公司 一种便于清理的电池浆料除铁器
CN116377748A (zh) * 2023-03-14 2023-07-04 保定市跃进纸箱有限公司 一种瓦楞纸回收粉碎制浆装置及工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0806B1 (ko) 2020-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2028417U (zh) 一种一体化选矿机
KR101434571B1 (ko) 쓰레기 재활용 자원선별시스템
KR20200023026A (ko) 펄프 재생공정의 불순물 처리시스템
KR101260026B1 (ko) 파분쇄 및 선별을 이용한 고철 폐기물 재생 장치
US20140299684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paration of Fiber and Plastics in Municipal Solid Waste
KR100961271B1 (ko) 전자스크랩 파쇄장치
KR101920265B1 (ko) 캔 폐기물 압축방법
CN109967494A (zh) 一种处理建筑垃圾的工艺方法及系统
KR101086695B1 (ko) 재생원료의 재생장치
CN104084285A (zh) 一种矿石加工装置
CN211191388U (zh) 一种医疗玻璃全自动破碎系统
CN102755916A (zh) 一种一体化选矿机
CN110561649B (zh) 垃圾处理回收系统
KR20100005787A (ko) 폐그물 파쇄 및 선별 시스템
KR100722569B1 (ko) 트로멜과 버켓을 이용한 골재 선별 방법 및 그 장치
CN102836825B (zh) 多级快速节能分选垃圾系统
KR100341714B1 (ko) 캔 재활용 장치 및 그 방법
CN210705513U (zh) 垃圾处理回收系统
CN203124399U (zh) 一种废旧打印机的拆解装置
EP3837393B1 (fr) Procédé de traitement des matières ultimes issues de papeteries et installation de traitement mettant en oeuvre ledit procédé
CN114733873A (zh) 一种工地建筑垃圾处理装置
CN210701652U (zh) 一种含金属塑料类垃圾分类回收系统
KR20090044275A (ko) 산업폐기물 처리를 위한 이송장치
KR200202836Y1 (ko) 캔 재활용 장치
KR101934522B1 (ko) 냉장고 및 세탁기 겸용 리싸이클링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82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1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6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9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9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