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42227A - 장식제품 및 차량용 램프 - Google Patents

장식제품 및 차량용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42227A
KR20050042227A KR1020047006660A KR20047006660A KR20050042227A KR 20050042227 A KR20050042227 A KR 20050042227A KR 1020047006660 A KR1020047006660 A KR 1020047006660A KR 20047006660 A KR20047006660 A KR 20047006660A KR 20050042227 A KR20050042227 A KR 200500422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light
lamp
decorative
appear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6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가시라켄
무라오까모또아끼
니따히로후미
Original Assignee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filed Critical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Publication of KR200500422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2227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3/255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17Devices integrating an element dedicated to another fun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8Cover gla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3/26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not provided in groups F21S43/235 - F21S43/255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9/00Elements for modifying spectral properties, polarisation or intensity of the light emitted, e.g. filters
    • F21V9/30Elements containing photoluminescent material distinct from or spaced from the light sour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 Vehicle Waterproofing, Decoration, And Sanitation Devic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광원(21)을 가지는 제품에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광원과 함께 장식효과를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장식제품(10)에 관한 것이다. 장식제품(10)은 광원(21)을 가지는 제품에 부착되며, 장식제품의 외관을 형성하는 외관제공층(15)과 이 외관제공층(15) 아래에 배치되며 광원(21)의 빛을 저장하고 잔광을 생성할 수 있는 광저장층(16)을 적어도 포함한다.

Description

장식제품 및 차량용 램프 {Decorative Article and Vehicular Lamp}
본 발명은 장식 제품에 관한 것이며, 특히, 차량용 램프나 기타 램프에 부착된 때에 주간에는 우수한 장식효과를 제공하며 야간에는 사람의 관심를 유인하는 외관디자인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장식 제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그러한 신규 장식제품을 가지는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
널리 알려진 바 같이, 차량용 램프는 전방에 구비된 광방사개구(light-emitting opening)를 갖는 하우징과 이 광방사개구를 덮는 판 또는 렌즈 형상의 램프커버 및 이 하우징과 램프커버에 의해 형성되는 램프룸에 배치되는 광원을 통상적으로 포함한다. 하우징의 내측벽에는 그에 일체화된 반사층이 구비되며, 다르게는 독립된 반사기가 구비된다. 그러한 차량용 램프에서는, 광원이 켜진 때에, 광원으로부터의 직사광선과 하우징의 내측벽에 반사된 빛이 램프커버를 통해 램프 밖으로 방사되어, 희망하는 조명기능을 수행한다.
최근 몇 년간, 그러한 차량용 램프는 조명상태에서의 조명기능 뿐만 아니라, 주간의 비조명상태에서도 향상된 외관을 가지는 것이 요구되어 왔다. 차량용 램프의 외관을 향상시키기 위해 채택되는 장식제품은 종종 램프가니쉬 및 피니셔를 포함한다. 이러한 장식 제품은 헤드램프의 램프커버(외부 커버 등으로도 불림), 후방결합램프 등에 부착되어 광원의 광경로를 피한다. 많은 경우에, 이러한 장식제품은 차량의 본체 색상과 동일한 색상을 갖는데, 이것은 차량을 조화감 있게 함으로써 차량용 램프 외관을 향상시키기 위해서이다. 나아가, 이러한 장식제품은 수지의 사출성형, 진공성형, 돌출성형 등, 또는 페인트 등의 코팅 등의 방법에 의해 다양한 두께로 제조될 수 있으며, 수지착색, 도장, 인쇄, 도금 등의 방법에 의해 외관디자인효과를 얻을 수 있다. 대부분의 경우, 그러한 장식제품은 압축되며 그 후방에 구비된 감압성 접착층에 의해 대상물에 부착된다.
그러나 상술한 장식제품은 주간의 밝은 환경에서 차량용 램프의 외관을 향상시키기 위해 이용되기 때문에, 야간의 빛 조건 하에서는 주간의 그와 같은 외관향상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더 나아가, 통상의 장식제품은 주로 램프의 변두리 측면부와 검은 접착부가 커버를 통해 보이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램프의 외측부를 은폐시키는 데 사용되므로, 램프 자체와 함께 장식효과를 높이지는 못 한다.
참고로 일본 등록실용신안 제3035801호에서는, 광투과/저장/방사성 전달 시일이 차량 헤드램프의 내측면에 부착되어 어두운 주차장에서 차량의 존재를 나타내는 것이 개시된다. 더 나아가, 미심사된 일본 공개특허출원(코카이) 제11-11368호에서는, 차량의 헤드램프에 관하여, 차량이 정차한 때에 운전자와 차량 주위의 보행자가 차량의 존재를 인식할 수 있도록 광저장물질로 형성된 광방사요소가 헤드램프의 내부 반사기 근처에 배치되어 빛을 방사하는 것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램프는 램프가 꺼진 후의 광방사를 활용함으로 단지 가시성만을 향상시키 위해 고안된 것이므로, 주간에 그 램프가 켜진 때에는 아무런 장식효과가 없으며, 야간에 외관 향상을 위해서 고안된 것도 아니다. 더 나아가, 차량의 헤드램프에 대한 전자의 아이디어에서, 시일이 부착된 부분의 투명성이 약간 떨어지며, 따라서 램프가 꺼진 때에는 어떤 것이라도 있으면 외관을 저하시킨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예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비광방사영역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식제품의 대표적인 일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식제품의 다른 대표적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식제품의 바람직한 예시적 사용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식제품의 다른 바람직한 예시적 사용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식제품의 다른 바람직한 예시적 사용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식제품의 다른 바람직한 예시적 사용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식제품의 다른 바람직한 예시적 사용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식제품의 다른 바람직한 예시적 사용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식제품의 다른 바람직한 예시적 사용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목적은 광원을 가지는 제품과 결합되어 사용되며 그 광원과 함께 현저하게 장식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식제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량용 램프나 기타 램프에 부착된 경우 주간에는 우수한 장식효과를 제공하며 야간에는 사람의 관심를 유인하는 외관디자인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장식제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주간에는 우수한 장식효과를 제공하며 야간에는 사람의 관심를 유인하는 외관디자인효과를 제공할 수 있고 현행법을 위반하지 않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서는, 광원을 가지는 제품에 부착되도록 설계된 장식제품이 제공된다. 이 장식제품은 그 외관을 형성하는 외관제공층, 그리고 이 외관제공층 아래에 배치되며 광원으로부터의 빛을 저장하고 잔광을 생성할 수 있는 광저장층을 적어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서는, 광원, 광원을 수용하며 램프룸을 형성하는 하우징, 이 하우징의 전방에 구비된 광방사개구, 그리고 이 광방사개구에 부착된 광투과성 램프커버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가 제공된다. 이 때 광원으로부터의 광방사에 실질적으로 관여하지 않는 램프커버의 비광방사영역(non-light-emitting area)에는 장식 제품이 구비되는데, 이 장식제품은 그 외관을 형성하는 외관제공층 그리고 이 외관제공층 아래에 배치되며 광원으로부터의 빛을 저장하고 잔광을 생성할 수 있는 광저장층을 적어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조명수단, 표시수단, 신호수단 등으로서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용 램프의 기본 형태는, 광원, 광원으로부터의 빛을 내부벽에서 반사할 수 있는 하우징, 광방사개구 및 광방사개구를 덮는 램프커버를 포함하는 요구조건을 만족하는 한, 제한 받지 않는다. 그러한 차량용 램프의 예시로는 헤드램프, 안개등, 간극등, 정지등, 후방등, 회전신호등, 후진등 등을 들 수 있으나 여기에 제한되지 않는다. 더 나아가, 그러한 차량용 램프는 복수의 램프의 조합으로 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의 후방에 있는 후방결합램프 또는 전방에 있는 전방결합램프로서 사용될 수 있다. 그러한 차량용 램프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헤드램프로서 사용되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구비한 차량으로는 승용차량, 레져차량, 버스, 트럭 등을 들 수 있지만 여기에 제한되지 않는다. 특히, 외관디자인의 향상 측면에서, 위 차량용 램프는 승용차량에 적합하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대표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램프(20)는 하우징(22)과 그의 전방에서 광방사개구(방사 구역)을 덮는 램프커버(23)에 의해 형성되는 램프룸(lamp room)(25)를 포함한다. 램프룸(25)은 필요한 경우 둘 또는 그 이상의 룸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각 룸은 서로 독립적이거나 서로 연통될 수 있다. 램프룸에는 소켓(도시하지 않음)에 삽입되며 일정한 조도를 가지는 광원(21)이 적어도 구비된다. 도면에 나타난 예시에서는 하나의 광원이 구비되지만, 필요한 경우 하나의 램프룸(25)에 둘 또는 그 이상의 광원(21)이 구비될 수 있다.
하우징(22)의 내벽(22a)은 오목거울 같은 반사필름체를 가지는데, 이 반사필름체로부터 일 방향으로 광원(21)의 빛이 반사된다. 그러한 반사필름체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증착법으로 만들어진 플레잉톤박막(playing-tone thin film)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르게는, 내벽 대신에 오목거울 등과 같은 광반사수단(통상적인 반사기)이 램프룸(25)에 구비될 수 있다. 광원(21)은 필요에 따라 미리 정해진 색상으로 착색된 캡을 가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착색캡을 사용할 때는 착색커버 대신에 무색커버를 사용할 수 있다. 광원(21)으로부터의 광선(L1)은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벽(22a)에 반사된 후, 램프커버(23) 밖으로 방사된다.
램프커버(23)에는 특별히 최근 경향인 외관디자인 등의 향상을 위해 비광방사영역, 즉 광원(21)으로부터의 빛의 방사에 실질적으로 관여하지 않는 영역이 구비된다. 더 나아가, 이러한 비광방사영역에는 본 발명에 따른 광저장층을 가지는 장식제품(10)이 구비된다. 도시한 예시에서, 장식제품(10)은 램프커버(23)의 외측에 장착되지만, 본 발명에서는, 하기에서 설명하는 것 처럼 내부에 장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램프에서, 램프룸의 광방사개구(광방사영역 및 이에 인접한 비광방사영역)는 램프커버에 덮힌다. 그러한 램프커버의 형상은 램프커버가 적어도 램프룸의 광방사면을 덮기 위한 적합한 형상과 사이즈를 갖는 한 제한되지 않지만, 대체로 원,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이며, 어떤 경우에는 타원이나 L자형 같은 특이형상이 될 수 있다.
램프커버는 무색이거나, 필요에 따라서는, 즉 램프커버로부터 방사되는 빛의 색조에 따라 착색될 수 있다. 램프룸이 둘 또는 그 이상의 룸의 조합으로 구성된 경우, 램프커버는 각 룸마다 서로 다른 색상으로 착색될 수 있다.
무색이나 착색 램프커버는 성형방법에 의해 선택적 광투과 수지로 성형될 수 있는 것이 유리하다. 적당한 성형방법으로는 사출성형과 같은 통상적인 방법, 또는 진공성형을 들 수 있다. 나아가, 램프커버 형성에 사용되는 원료 수지로는 스티렌 수지, 강성비닐염화물 수지, 아크릴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등을 들 수 있지만, 여기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특히, 아크릴 수지는 우수한 강도 및 광투과성과 착색용이성을 가지므로, 이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유리하다. 필요하다면, 램프커버는 유리판 또는 기타 광투과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착색램프커버를 제조할 때는, 적절한 양의 착색재료를 상술한 원료 수지에 섞을 수 있다. 적합한 착색재료로는 페릴렌 안료, 아조 안료, 또는 산화철과 같은 안료와 키노푸타론 염료, 아조 염료, 지수아조 염료, 안트라퀴논 염료, 벤조피렌 염료(색상 색인으로부터 각각 참조)와 같은 염료를 들 수 있으나, 여기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램프커버를 제조할 때, 소성성형 분야에서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첨가제를 착색재료에 추가하여 수지재료에 섞을 수 있다. 적합한 첨가제는 예를 들어, 자외선 흡수제, 광안정제, 열안정제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적당한 자외선 흡수제는 벤조토리아졸, 벤조페논, 지페니루아크릴레이트, 아민 자외선흡수제 등을 들 수 있으나 여기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램프커버는 통상적으로 평판 형태이고 고른 표면을 갖지만, 램프커버 내측면(광원이 있는 측면)에 요철패턴을 가질 수 있다. 더 나아가, 3차원 곡면 등을 가지는 램프커버가 외관디자인의 향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램프커버의 외측면(밖으로 향하는 면)은 통상적으로 아무것도 갖추지 않지만, 필요하다면 보호목적으로 투명한 박막 플라스틱 필름으로 덮을 수 있다. 이로 인해, 램프커버가 작은 자갈과 부딪힐 때 램프커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적당한 플라스틱 필름은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수지 필름, 폴리에틸렌수지 필름, 폴리카보네이트수지 필름, 비닐염화물수지 필름, 아크릴수지 필름, 폴리우레탄수지 필름, 폴리올레핀수지 필름,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수지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램프커버에는 그 비광방사영역 상에 본 발명에 따른 장식 제품이 구비된다. 비광방사영역은 램프룸에 배치된 광원으로부터 방사된 빛을 투과하지 않거나, 그러한 빛이 투과되는 것을 허여할 필요가 없는 영역을 말한다.
램프커버의 비광방사영역은 다양한 영역에 구비될 수 있지만, 통상적으로 램프룸의 광방사개구 주위에 구비된다. 즉, 비광방사영역은 헤드램프, 회전신호등, 후진등, 또는 그와 유사한 것의 주변영역이다. 이러한 비광방사영역은 광방사개구 주위 영역에 따라 선택적인 형상을 취한다.
더 나아가, 미국의 "수송차량을 위한 안전기준(Safety Standard for Transportation Vehicles)" 제32조의 검사실시절차(4-21의 3-2를 참조)에 의해 램프커버의 비광방사영역은 조명부, 표시부 그리고 반사부 이 외의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즉, 도2에 나타낸 개략도에서, 중심조도의 98%의 조도를 가지는 렌즈의 A부분과 직사광선이 들어오는 렌즈의 B부분 이 외의 C부분이 본 발명에서 정의하는 비광방사영역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장식제품은 상술한 바와 같이 광원의 빛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는 비광방사영역에 제한적으로 배치되므로, 주간에는 우수한 장식효과를, 그리고 야간에는 잔상효과에 의해 발생하는 미적인 외관을 차량운행규칙 등에 저촉되지 않음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주간의 우수한 디자인 속성은 장식제품에 포함된 외관제공층에 의해 확보되며, 주간에 램프가 켜져 있을 때 광저장층에 저장된 광에너지가 잔광(L2)을 생성하고, 이 잔광에 의해 램프룸(25) 내부가 야간에 조명되어 미적인 램프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도1 참조).
본 발명에 따른 장식제품은 지금까지 경험되지 않은 신규하고 미적인 외관을 제공할 수 있으며, 따라서 널리 사용될 것이다. 장식제품은 대체로 스티커, 엠블럼, 램프가니시, 피니셔 등을 위해 사용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이 장식제품은 차량의 램프에 부착될 때 특히 보다 더 그 가치를 드러낼 수 있다. 필요하다면, 당연히 전시 등을 위해서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식제품은 다양한 용도에 따라 수 많은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장식제품은 대체로 박판 또는 필름 형태, 바람직하게는 다층박판 또는 다층필름의 형태로 제공되지만, 구성요소의 선택을 통해서 페인팅에 의한 코팅, 수지박판 등에 결합된 패널, 수지 성형물 등의 형태로도 또한 제공될 수 있다.
어떤 형태이든지, 본 발명에 따른 장식제품은 적어도 (1)그 외관을 형성하는 외관제공층 및 (2)외관제공층보다 광원에 더 가까이 배치되고, 광원의 빛을 저장하여 잔광을 생성할 수 있는 광저장층을 포함한다.
단어 "층(layer)"은, 본 발명에서 사용될 때,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비교적으로 얇은 층이나 얇은 필름만을 의미하지는 않고,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명백하게 설명되는 것 처럼, 두꺼운 층, 두꺼운 코팅, 필름, 박판, 미리 정해진 두께를 가진 물체 등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장식제품을 구성하는 제1 요소인 외관제공층은 장식 제품의 외관을 형성하며, 이 목적을 위해 외관제공층은 희망하는 장식효과에 따라 각종 재료를 사용하는 다양한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적합한 외관제공층은 잉크와 같은 인쇄층, 페인트와 같은 코팅층, 착색수지층, 금속도금층, 금속증착층, 금속포일층(metal foil layer), 기타 착색층 등을 들 수 있지만 여기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단독으로 또는 둘 이상의 층이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나아가, 외관제공층은 일정한 두께 및/또는 형태를 가지는 착색부재로 할 수도 있다.
외관제공층과 결합되어 사용되는 광저장층은 반드시 광원의 빛을 저장하고 잔광을 생성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광저장층은 그 자체가 광저장능력을 가지는 물질(광저장물질)로 만들어진 층을 포함하거나, 광저장물질을 함유한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생산능률, 비용 등을 고려하면, 광저장물질을 함유하는 물질로 광저장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저장층은 통상적으로 외관제공층과 함께 장식제품의 전체 영역에 구비되지만, 희망하는 광저장효과가 얻어진다면 장식제품의 일부분에 제한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광저장층은 단독으로 또는 둘 이상의 층이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일정한 두께 및/또는 형태를 가지는 착색부재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식제품은 외관제공층과 광저장층에 추가되는 추가층을 선택적으로 가질 수 있다. 장식제품은 예를 들어, 접합층, 지지층, 기부층, 접착층, 그리고 투명층과 같은 추가층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식 제품은 통상적으로 감압접착제나 감열접착제로 구성된 접착층을 통해 램프커버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필요한 경우, 감압양면접착테입 등이 그러한 접착층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장식제품이 램프커버의 외측면에 부착되는 경우, 투명층(clear layer)이 장식제품의 최외각층으로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장식제품은 램프커버의 외측면이나 내측면에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식제품의 기본구성은 상기의 두 경우와 관련하여 아래에서 설명된다. 다음에 설명될 도3과 도4에서는 다층필름 형태의 장식제품이 도시된다. 그러나, 이미 설명했듯이, 장식제품은 일정한 두께돠 형태를 가지는 부재일 수 있거나, 연속층이 아닐 수 있다. 나아가, 장식제품은 선택적으로 도면에서 도시한 접착제를 이용하는 방법 이 외의 방법으로도 설치될 수 있다.
도3은 램프커버의 외측면에 부착된 본 발명에 따른 장식제품의 예시의 단면도이다. 장식제품(10)은 램프커버(23)에서부터의 순서로 접착층(14), 제1 중간층(11), 광저장층(16), 제2 중간층(12), 외관제공층(15), 제3 중간층(13), 그리고 투명층(표면층)(17)을 포함한다. 광저장층(16)은 또한 제1 중간층(11)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제1 중간층(11), 제2 중간층(12) 및 제3 중간층(13)은 선택적이며, 접합층, 지지층, 그리고 기부층으로 각각 기능할 수 있다. 이러한 중간층은 단일층이나 둘 이상의 층으로 구성된 다층으로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제1 중간층(11)과 제3 중간층(13)은 주로 무색투명이며, 적어도 외관제공층(15)에서 생기는 외관디자인효과와 광저장층(16)에서 발생하는 잔광의 투과에 영향을 미쳐서는 안된다. 그리고 접착층(14)은 광저장층(16)으로부터 나오는 잔광을 통과시켜야 한다. 외관제공층(15)(광원 쪽) 밑에 배치되는 선택적인 층은 필요한 경우 광저장기능을 가질 수 있다. 다르게는, 광저장층(16)은 생략될 수 있고, 접착층(14)이 광저장기능을 가질 수 있다.
도4는 램프커버 내측벽에 부착된 본 발명에 따른 장식제품의 예시의 단면도이다. 장식제품(10)은 램프커버(23)에서부터의 순서로 접착층(14), 제1 중간층(11), 외관제공층(15), 제2 중간층(12), 광저장층(16), 그리고 제3 중간층(13)을 포함한다. 제1 중간층, 제2 중간층 및 제3 중간층은 선택적이며, 접합층, 지지층 및 기부층으로 각각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중간층은 단일층이나 둘 이상으로 구성된 다층으로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제1 중간층 및 제3 중간층은 주로 무색투명하며, 적어도 외관제공층(15)에서 생기는 외관디자인효과와 광저장층(16)에서 발생하는 잔광의 투과에 영향을 미쳐서는 안된다. 그리고 접착층(14)은 외관제공층(15)의 디자인효과를 손상시키지 않아야 한다. 외관제공층(15)(광원 쪽) 밑에 배치되는 선택적인 층은 필요한 경우 광저장기능을 가질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외관제공층은 인쇄층, 코팅층, 착색수지층, 금속도금층, 금속증착층, 금속포일층, 기타 착색층 또는 착색부재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이 착색층은 통상적으로 쓰이는 다양한 박막형성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즉, 착색층은 미리 정해진 컬러톤을 가지는 잉크나 페인트의 인쇄, 피니싱(정전형 피니싱을 포함) 등, 또는 미리 정해진 컬러톤을 가지는 필름이나 박판의 코팅, 수지-압출가공이나 접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잉크와 페인트는 진주 분말이나 금속 분말과 같은 밝은색 재료, 또는 기타 첨가물을 함유할 수 있다. 이 방법에 사용되는 재료를 형성하는 착색층은 색채속성(coloring nature)과 더불어 램프커버에 요구되는 우수한 내기상성(weather resistance) 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일 실시예에서 착색층은 착색필름 형태로 형성되는데, 이 때 폴리에스테르 필름,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비닐염화물 필름, 아크릴 필름, 폴리우레탄 필름, 폴리올레핀 필름, 또는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필름과 같은 플라스틱 재료를 사용한다. 플라스틱 재료는 수지 단독이거나, 수지 혼합물이나 폴리머 혼합물일 수 있다. 안료나 밝은색 재료와 같은 적당한 착색재료를 원료 수지에 섞고 캘린더성형법(calender forming method)과 같은 통상적인 성형법을 사용하는 방식으로 착색층을 희망하는 두께로 제조할 수 있다.
다르게는, 착색재료를 섞지 않고 제조한 플라스틱 재료에 인쇄, 코팅, 금속박막 등을 가하여 외관디자인효과를 가지도록 착색층을 형성할 수 있다. 그러한 착색층의 예로는 피니셔가 있다. 본체가 폴리페닐렌 에테르(PPE)와 같은 수지의 압출성형 등에 의해 형성되고, 이 후 그 본체가 차량 본체와 동일한 색상으로 금속 외관에 더해지는 코팅이나 도금에 의해 착색되는 방식으로 피니셔를 제조한다. 말하자면, 피니셔는 외관제공층과 제2 중간층의 결합체인 셈이다.
착색층은 금속도금, 금속증착 등의 방법에 의해 금속코팅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금속코팅은 알루미늄, 크롬, 또는 주석과 같은 금속재료의 증착, 스패터링(spattering) 등의 방법, 또는 그 외 알루미늄 분말과 같은 금속 분말이 분포된 수지 등의 코팅, 진주운모 페인트의 인쇄나 코팅(정전형 코팅 포함함) 등의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더 나아가, 금속코팅은 희망하는 외관을 가진 필름이나 박판을 코팅, 수지-압출, 또는 부착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하는 코팅용 재료는 희망하는 외관을 제공하며 램프커버에 요구되는 우수한 내기상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관제공층은 요구되는 경우 추가적으로 패턴, 그림, 문자 등을 가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장식제품의 외관디자인효과는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외관제공층의 두께는 희망하는 외관디자인효과 등에 따라 다양할 수 있으나, 통상적으로 대략 5 내지 500㎛ 범위이며, 20 내지 100㎛ 범위가 더욱 바람직하다. 그러나, 외관제공층이 일정한 두께 및/또는 형상을 가질 경우, 사정에 따라 위의 범위를 넘는 두께도 채택될 수 있다.
광저장층은 광저장물질을 함유하는 층이나 부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저장물질은 바람직하게는 광저장성 안료, 일반적으로는 황 안료, 알루미네이트 안료 등이다. 광저장층은 유러퓸과 같은 활성제와 결합된 알루미네이트로 형성되어 휘도 및 잔광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광저장안료의 예로는 유로퓸 시스프로슘에 의해 활성화되는 알루미네이트 스트로튬 형광물질, 유로퓸 네오디뮴 이트륨에 의해 활성화되는 알루미네이트 칼슘 형광물질, 유로퓸 네오디뮴에 의해 활성화되는 알루미네이트 바륨 형광물질 등을 들수 있지만 여기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광저장안료는 통상적으로 10 내지 15 시간의 장시간 동안 정상잔광(steady afterglow)을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이러한 광저장성 안료는 단독으로 또는 둘 이상이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적당한 양의 광저장물질을 수지재료에 섞는 것이 통상 사용하기에 유리하다. 광저장층을 형성하는데 적합한 수지재료는 예를 들어, 외관제공층의 형성을 위한 수지재료를 들 수 있다. 그러한 수지재료에 섞이는 광저장물질의 양은 실질적으로 광저장층의 절반 정도까지이지만, 여기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보통, 대략 광저장물질의 10 내지 50 중량%가 바람직하다.
광저장층의 두께는 희망하는 외관디자인효과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할 수 있으나, 보통 대략 5 내지 500㎛ 범위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대략 20 내지 100㎛ 범위가 좋다. 그러나, 외관제공층이 일정한 두께 및/또는 형상을 가지는 때에는, 사정에 따라 위의 범위를 넘는 두께가 채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식제품이 외관제공층이나 광저장층 근처에 중간층을 구비하여 굽힘강도 등이 증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간층은 예를 들어, 접합층, 지지층, 기부층 또는 은폐층으로 기능할 수 있다. 적합한 중간층으로는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 수지 등으로 만든 접합층, 또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페닐렌 에테르 수지 등으로 만든 기부층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중간층은 단일층이나 둘 이상으로 구성된 다층으로 할 수 있다.
장식 제품은 일반적으로 접착층을 더 포함하여 램프커버에 부착된다. 여기서 사용되는 접착층은 접착테입 등의 분야에서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접착제, 예를 들어, 감압형 접착제, 감열형 접착제, 광경화형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형성한다. 적당한 접착제로는 예를 들어, 아크릴 접착제, 고무 접착제, 폴리우레탄 접착제, 또는 폴리에테르 접착제와 같은 감열접착제를 들 수 있으며, 내기상성 등을 고려할 경우 특히 아크릴 접착제가 유리하다. 감압접착제의 경우, 장식제품을 압축하여 램프커버에 부착하며, 감열접착제의 경우, 장식커버를 가열하면서 램프커버에 부착하거나, 미리 가열된 램프커버에 부착하거나, 장식커버을 램프커버와 함께 가열하는 동안 장식제품을 압축한 후 램프커버에 부착한다. 더 나아가, 장식제품에 접착층을 구비하는 대신에, 램프커버에 미리 접착층을 구비할 수 있다. 더 나아가, 감압양면코팅접착테입 등을 접착층 대신에 사용할 수 있다.
접착층은 보통 투과성이 있다. 그러나, 장식제품이 램프커버의 외측면에 부착되면, 접착층 자체가 광저장기능을 가지는 한 장식커버가 더 이상 투과성이 있을 필요는 없다. 나아가, 접착층이 부분적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도 접착층이 광저장층의 잔광에 영향을 주지 않는 한 접착층이 언제나 투과성이 있을 필요는 없다. 요약하면, 접착층에서 볼 때 광원에 가장 인접한 층부터 광저장층까지의 층들이 부분적으로라도 광투과성이면 광저장층은 외관제공층 보다 광원에 더 인접한 위치 어디에도 배치될 수 있다.
접착층의 두께는 다양하게 변할 수 있으나, 보통 대략 10 내지 500㎛ 범위, 더 바람직하게는 대략 20 내지 100㎛ 범위가 좋다. 접착층의 두께가 10㎛ 미만인 경우, 만족스런 접착력을 얻을 수 없다. 반대로, 접착층의 두께가 500㎛ 초과인 경우, 장식 제품의 총 두께가 너무 커진다. 사실, 접착층이 램프커버의 외측면에 부착된 경우, 접착층은 램프커버로부터 돌출된 상태이며, 따라서 부조화스런 느낌을 준다. 나아가, 감압양면코팅접착테입의 두께는 보통 대략 1㎜이다.
장식제품이 램프커버의 외측면에 부착된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장식제품은 최외각층으로서 투명층을 더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투명층은 보호필름이라는 측면에서 기본적인 속성인 투과성과 더불어 내기상성 및 내열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이 투명층은 하층에 대해 양호한 접착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명층을 형성하는 데 적합한 수지로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비닐염화물 수지, 아크릴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올렌핀 수지, 플루오린 수지(PVdF,, ETFE 등) 등을 들 수 있지만 여기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수지는 요구조건에 따라 혼합체나 혼성중합체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더 나아가, 투명층은 램프커버에 광택을 주어 램프커버의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를 투명층에 섞어 내기상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합한 자외선 흡수제로는 벤조트리아졸 자외선 흡수제, 벤조페논 자외선 흡수제,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자외선 흡수제 등을 들 수 있지만 여기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나아가, 투명층의 두께는 희망하는 효과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할 수 있지만, 보통 대략 10 내지 500㎛ 범위, 더 바람직하게는 대략 20 내지 100㎛ 범위가 좋다. 투명층의 두께가 10㎛ 미만인 경우, 그 투명층은 보호층으로 기능할 수 없다. 반대로, 투명층의 두께가 500㎛ 초과인 경우, 장식 제품의 총 두께가 너무 커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램프에는 그 램프커버에 광저장 장식제품이 구비되는데, 본 발명에 따르면 이 장식제품은 외관제공층을 광원의 빛의 경로가 아닌 부분에 가진다. 그러한 구조물을 가지는 차량용 램프에서는, 그 차량이 운행되거나 정차될 때 외관제공층에서 발생하는 우수한 외관디자인효과를 얻을 수 있다. 더 나아가, 광원이 켜진 때에, 광원의 빛은 장식제품의 영향을 받지 않고 램프 밖으로 방사되며, 따라서 램프의 기본 기능은 영향을 받지 않는다. 또한, 광원이 켜진 때에, 램프룸에서 완전히 굴절되고 분사된 빛은 장식제품에 적합하게 된다. 위의 장식제품에 부딪히는 빛은 광저장층의 광저장기능에 의해 램프룸에서 잔광으로 다시 방사된다. 그 결과, 야간에, 광원이 꺼진 때에도 램프룸은 광저장층에 의해 계속적으로 방사되는 잔광으로 밝게 조도되며, 따라서 사람의 관심을 유인하는 미적인 외관이 얻어진다. 이 경우 잔광은 표면방사광이므로, 광원의 빛에 의해 얻어진 외관과 다른 고른 외관이 얻어진다. 더 나아가, 이러한 조명효과는 광저장안료의 종류의 변경에 의해 또는 빛이 지나가는 층을 미리 착색함으로 다양하게 변할 수 있다. 잔광에 의해 제공되는 이러한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해 하우징의 내측벽을 알루미늄 증착 등에 의한 플레이팅-톤(plating-tone)으로 착색하는 것이 유리하다. 알루미늄증착면과 같은 반사면은 잔광을 반사하며, 이로 인해 광채색의 외관이 얻어진다.
예시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하기에서 설명한다.
도5 내지 도11의 각 도면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식제품의 활용례이다.
도5는 램프 피니셔인 본 발명에 따른 장식제품을 나타낸다.
위 피니셔(19)는 수지로 형성된 부재로 구성된 피니셔 본체(12)(본 발명에서는 제2 중간층임)와 피니셔 본체(12)의 표면을 덮는 금속코팅(15)(외관제공층)을 포함하는데, 이 금속코팅의 색상은 차량 본체의 색상과 동일하다. 피니셔(19)는 감압양면코팅접착테입에 의해 램프커버(23)의 외측 즉, 비광방사영역에 부착된다. 감압양면코팅접착테입이 부착되지 않은 피니셔(19)의 후방영역의 면에는 광저장층(16)이 구비된다. 광저장층(16)은 예를 들어, 필름, 패널, 형성된 부재, 인쇄나 페인팅에 의한 코팅 등이다.
도6은 도5에서 도시한 장식 제품의 변형례를 나타낸다. 이 장식제품의 피니셔(19)도 또한 수지재질 부재로 구성된 피니셔 본체(12)(제2 중간층)와 피니셔 본체(12)의 표면을 덮는 금속코팅(15)(외관제공층)을 포함하는데, 이 금속코팅의 색상은 차량 본체의 색상과 동일하다. 피니셔(19)는 감압양면코팅접착테입(14)에 의해 램프커버(23)의 외측 즉, 비광방사영역에 부착된다. 이 장식제품에서는, 피니셔의 후방 대신에, 감압양면코팅접착테입(14)이 부착되지 않은 램프커버(23)의 표면에 광저장층(16)이 구비된다. 광저장층(16)은 예를 들어, 필름, 패널, 형성된 부재, 인쇄나 페인팅에 의한 코팅 등이다.
도7은 도5 및 도6에 도시한 장식제품의 변형례를 나타낸다. 이 피니셔(19)도 또한 수지로 형성된 부재로 구성된 피니셔 본체(12)(제2 중간층)와 피니셔 본체(12)의 표면을 덮는 금속코팅(15)(외관제공층)을 포함하는데, 이 금속코팅의 색상은 차량 본체의 색상과 동일하다. 그러나, 이 변형례의 장식제품은 피니셔(19)의 후방부 전체 영역에 광저장층을 구비한다. 광저장층16은 예를 들어, 필름, 인쇄나 페인팅에 의한 코팅 등이다. 더 나아가, 피니셔(19)는 감압양면코팅접착테입(14)에 의해 램프커버(23)의 외측 즉, 비광방사영역에 부착된다.
도8은 도7에 도시한 장식제품의 변형례를 나타낸다. 이 피니셔(19)도 또한 수지로 형성된 부재로 구성된 피니셔 본체(12)(제2 중간층)와 피니셔 본체(12)의 표면을 덮는 금속코팅(15)(외관제공층)을 포함하는데, 이 금속코팅의 색상은 차량 본체의 색상과 동일하다. 그러나, 이 변형례의 장식제품은 피니셔(19)의 후방부 전체 영역 대신에 광저장층(16)의 표면 위에 광저장층(16)을 구비한다. 광저장층(16)은 예를 들어, 필름, 인쇄나 페인팅에 의한 코팅 등이다. 즉, 이 장식제품은 광저장층(16)을 램프커버(23)의 외측 즉, 비광방사영역에 구비하고, 이 후, 피니셔(19)가 감압양면코팅접착테입으로 광저장층(16)에 부착되도록 설계된다.
도9에 도시된 피니셔(19)는 도5 내지 도8에 도시된 피니셔와 대조적으로 그 자체가 광저장기능을 가진다. 즉, 피니셔(19)는 광저장성 안료가 분포된 수지로 형성된 부재의 피니셔 본체(12)(제2 중간층)와 피니셔 본체(12)의 표면을 덮는 금속코팅(15)(외관제공층)을 포함하는데, 이 금속코팅의 색상은 차량 본체의 색상과 동일하다. 피니셔(19)는 감압양면코팅접착테입(14)에 의해 램프커버(23)의 외측 즉, 비광방사영역에 부착된다.
도10 및 도11은 본 발명에 따른 단순구조를 가진 필름형상의 장식제품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10의 필름형상의 장식제품은 접착층(14)을 통해 램프커버(23)의 외측면에 부착되고, 그 위에 광저장층(16)과 외관제공층(15)를 포함한다. 광저장층(16)과 외관제공층(15)은 각각 필름 또는 인쇄나 페인팅에 의한 코팅 등이다. 외관제공층(15) 위에 투명층을 더할 수 있다.
도11의 필름형상 장식제품은 접착층(14)를 통해 램프커버(23)의 내측면에 부착되고, 외관제공층(15)와 광저장층(16)을 포함하는데, 이 광저장층(16)은 외관제공층 보다 광원(도시 하지 않음)에 더 인접하게 배치된다. 광저장층(16)과 외관제공층(15)은 필름 또는 인쇄나 페인팅에 의한 코팅 등이다. 외관제공층(15) 위에 투명층을 더 할 수 있다. 광저장층(16)과 외관제공층(15)은 각각 필름 또는 인쇄나 페인팅에 의한 코팅 등이다.
도5 내지 도11에 도시된 장식제품은 대표적인 예시이며, 도3 및 도4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장식제품의 제조 및 평가
표1에 설명한 층구성을 가지는 필름형상 장식제품을 만들었다.
이 장식제품은 램프커버 외측에 부착되도록 설계된다.
표1
투명층 폴리우레탄, 두께 15㎛ 무색투명
외관제공층 폴리우레탄, 두께 5㎛ 은색(차량 본체 색상과 대응함)
은폐층 폴리우레탄, 두께 10㎛ 흰색
광저장층 폴리우레탄, 두께 60㎛ 밝은 황록색
기부층 소프트 PVC 필름,두께 50㎛ 무색투명
접착층 아크릴 접착제, 두께 30㎛ 무색투명
각 층은 차량용 외장 분야에서 실제 야외용으로 이용되는 코팅이나 필름을 사용하여 만들었다. 광저장층에는 유로퓸 시스프로슘(일본 네모토 앤 코 엘티디의 "LumiNova")에 의해 활성화되는 알루미네이트 스트로튬 형광물질인 광저장성 안료가 50 중량% 비율로 혼합된다.
얻어진 필름형상 장식제품은 대략 너비 3㎝ x 길이 25㎝의 단편으로 절단되며, 그후 압축되어 상업용 승용차의 헤드램프(대략 너비 25cm x 높이 20cm)에 부착되는데, 이 승용차는 표면과 이면이 평평하고 투과성인 램프커버(대략 두께 2mm)를 가지며 그 램프룸은 내부까지 보인다. 장식제품의 단편은 램프커버의 외측면의 비광방사영역(빛의 경로가 아닌 곳)의 상단에 부착된다.
램프의 외관은 주간(램프가 켜지지 않았을 때)과 야간(램프가 켜졌거나 꺼졌을 때)에 관측하였고, 하기의 관측결과를 얻었다.
주간/램프 소등 시
램프 상단의 장식제품과 차량 본체는 계속적으로 보였다. 더 나아가, 헤드램프는 수평적으로 길게 보였고, 일반적으로 눈줄(eye line)으로 불리는 헤드램프가니쉬가 구비된 경우처럼, 현저한 외관 향상이 달성되었다.
야간/램프 점등 시
헤드램프가 전방 물체를 비추는 기능은 전혀 영향을 받지 않았다.
야간/램프 점등 시
램프가 켜진 후 꺼졌을 때, 램프룸의 내부는 황록색으로 거의 균일하게 조명되었다. 황록색 조명은 대략 15분 정도 안정적으로 지속되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광원을 가지는 제품과 결합되어 사용되며 그 광원과 함께 현저하게 장식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식제품을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나 기타 램프에 부착된 경우 주간에는 우수한 장식효과를 제공하며 야간에는 사람의 관심를 유인하는 외관디자인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장식제품을 제공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주간에는 우수한 장식효과를 제공하며 야간에는 사람의 관심를 유인하는 외관디자인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현행법을 위반하지 않는 장식제품을 제공한다.

Claims (12)

  1. 광원을 가지는 제품에 부착되는 장식제품이며, 외관을 형성하는 외관제공층과 상기 외관제공층 아래에 배치되며 광원의 빛을 저장할 수 있으며 잔광을 생성할 수 있는 광저장층을 적어도 포함하는 장식제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관제공층이 인쇄층, 코팅층, 착색수지층, 금속도금층, 금속증착층, 금속포일층, 또는 착색층이나 착색부재인 장식제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저장층이 광저장성 안료를 함유하는 층이나 부재인 장식제품.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광원을 가지는 상기 제품이 차량용 램프이고, 상기 장식제품이 상기 차량용 램프의 램프커버의 비광방사영역에 부착되며, 상기 비광방사영역이 상기 광원의 광방사에 실질적으로 관여하지 않는 영역인 장식제품.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제품이 램프가니쉬 또는 피니셔인 장식제품.
  6. 광원, 상기 광원을 수용하며 램프룸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전방에 구비되는 광방사개구와 상기 광방사개구에 부착된 광투과성 램프커버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이며,
    광원의 광방사에 실질적으로 관여하지 않는 램프커버의 비광방사영역에 장식제품이 구비되고, 상기 장식제품은 외관을 형성하는 외관제공층과 상기 외관제공층 아래에 배치되며 광원의 빛을 저장할 수 있으며 잔광을 생성할 수 있는 광저장층을 적어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제품의 외관제공층이 인쇄층, 코팅층, 착색수지층, 금속도금층, 금속증착층, 금속포일층, 또는 착색층이나 착색부재인 차량용 램프.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제품의 상기 광저장층이 광저장성 안료를 함유하는 층이나 부재인 차량용 램프.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제품이 적어도 상기 외관제공층과 상기 광저장층을 포함하는 다층필름인 차량용 램프.
  10.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제품이 감압접착제나 감열접착제로 구성된 접착층을 더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11. 제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제품이 상기 램프커버의 외측면에 부착되는 경우 투명층을 최외각층으로 더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12. 제6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제품이 램프가니쉬이거나 피니셔인 차량용 램프.
KR1020047006660A 2001-11-02 2002-11-01 장식제품 및 차량용 램프 KR2005004222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337899A JP2003151312A (ja) 2001-11-02 2001-11-02 装飾具及び車両用灯具
JPJP-P-2001-00337899 2001-11-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2227A true KR20050042227A (ko) 2005-05-06

Family

ID=19152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6660A KR20050042227A (ko) 2001-11-02 2002-11-01 장식제품 및 차량용 램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439979A1 (ko)
JP (1) JP2003151312A (ko)
KR (1) KR20050042227A (ko)
CN (1) CN1602261A (ko)
WO (1) WO200303990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5818A (ko) * 2019-10-17 2021-04-27 주식회사 서연이화 레이더 전파 투과형 커버
KR20210045819A (ko) * 2019-10-17 2021-04-27 주식회사 서연이화 레이더 전파 투과형 커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16020A (ja) * 2007-01-09 2010-05-13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照明装置
FR2933167B1 (fr) * 2008-06-27 2011-04-01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Dispositif d'eclairement de l'environnement d'un vehicule automobile
JP5672485B2 (ja) * 2010-10-15 2015-02-18 Nok株式会社 標識板の製造方法
DE102012206394A1 (de) * 2012-04-18 2013-10-24 Osram Gmbh Leuchtvorrichtung mit Reflektor, Linse und Blende
CN103175009B (zh) * 2013-03-26 2016-01-13 苏州斯迪克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节能led照明灯
CN103196055B (zh) * 2013-03-26 2015-11-18 斯迪克新型材料(江苏)有限公司 高透光率led照明灯
JP5969430B2 (ja) * 2013-07-02 2016-08-17 東洋工業塗料株式会社 金属蒸着膜上塗布用の(ツヤ無し)蓄光塗料を用いた車両用灯具部品
JP6285193B2 (ja) * 2014-02-05 2018-02-28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
EP3360729A1 (en) 2017-02-08 2018-08-15 Valeo Iluminacion Lighting device using non-visible ligh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reof
JP6913589B2 (ja) * 2017-09-28 2021-08-04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
CN109492011B (zh) * 2018-11-29 2022-02-22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颜色件管理系统
DE102021116099A1 (de) * 2020-11-02 2022-05-05 Olsa S.P.A. Optische vorrichtung für kraftfahrzeuge, lampe für kraftfahrzeuge und umgebungslicht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96869A (en) * 1972-10-24 1974-03-12 W Stone Self-illuminated case
FR2673018B1 (fr) * 1991-02-14 1995-06-16 Emc 2 Un feu de signalisation a eclairs de lumiere a ecran photoluminescent.
JPH1111368A (ja) * 1997-06-24 1999-01-19 Sanyo Electric Co Ltd 自転車用前照灯
US5833349A (en) * 1997-10-25 1998-11-10 Apple; Wayne B. Phosphorescent lamp shad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5818A (ko) * 2019-10-17 2021-04-27 주식회사 서연이화 레이더 전파 투과형 커버
KR20210045819A (ko) * 2019-10-17 2021-04-27 주식회사 서연이화 레이더 전파 투과형 커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602261A (zh) 2005-03-30
JP2003151312A (ja) 2003-05-23
WO2003039906A1 (en) 2003-05-15
EP1439979A1 (en) 2004-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31683B2 (en) Decorative article and vehicular lamp
US7137718B2 (en) Automotive lamp
US10465879B2 (en) Vehicular light assemblies with LED-excited photoluminescent lightguide
KR20050042227A (ko) 장식제품 및 차량용 램프
KR20050042010A (ko) 장식 구조체
KR20160119826A (ko) 광학 아이솔레이터를 갖는 발광 글레이징 유닛
KR101211843B1 (ko) 2중-색상 조명 엠블럼
US20040216406A1 (en) Decorative structure
US20220340078A1 (en) Display equipment,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member, illuminating lamp, display sign, and vehicle
EP1440277B1 (en) Automotive lamp
JP2003123513A (ja) 調光フィルム、ランプカバー及びランプ構造体
US7077550B2 (en) Automotive lamp with light transmissive colored member
EP1440276B1 (en) Automotive lamp
KR20020096570A (ko) 반사시트
KR101726545B1 (ko) 배면 반사형 축광 도로 표시판
JP2006317851A (ja) 再帰反射性構造体
JP3063068U (ja) 発光粘着シ―ト
CN217259911U (zh) 一种蒙皮面板元件、发光保险杠及汽车
KR200247220Y1 (ko) 반사적층시트
CN116913182A (zh) 多功能玻璃与车辆
JP2003141907A (ja) 車両用灯具
JP2831579B2 (ja) 看板立体文字用等の積層体
CN117663041A (zh) 玻璃氛围灯及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