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40194A - 발기부전 개선효과를 갖는 기능성식품 - Google Patents

발기부전 개선효과를 갖는 기능성식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40194A
KR20050040194A KR1020030075328A KR20030075328A KR20050040194A KR 20050040194 A KR20050040194 A KR 20050040194A KR 1020030075328 A KR1020030075328 A KR 1020030075328A KR 20030075328 A KR20030075328 A KR 20030075328A KR 20050040194 A KR20050040194 A KR 200500401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itosan
acetyl
glucosamine
prepared
solu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5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63230B1 (ko
Inventor
오천금
박승림
신운섭
이현우
김성철
김선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건풍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건풍바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건풍바이오
Priority to KR10200300753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3230B1/ko
Publication of KR20050040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01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32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32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50Polysaccharides, gums
    • A23V2250/51Polysaccharide
    • A23V2250/511Chitin, chitosan

Landscapes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기부전 개선효과를 갖는 기능성식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발기부전 개선효과를 갖는 기능성식품은, 탈아세틸화도가 50 ~ 100 % 인 키틴과 키토산, 키토산올리고당 중에서 1 종을 선택하여, 산분해 또는 효소분해 또는 아세틸화하여 제조한, 분자량이 10,000 이하이고, 수용성 N-아세틸-D-글루코사민의 함량이 50 ~ 99 % 인 기능성식품이다.
본 발명에 의해, 산화질소의 생성율이 높고, 발기부전 개선효과가 뛰어난 기능성식품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발기부전 개선효과를 갖는 기능성식품{FUNCTIONAL FOOD HAVING IMPROVEMENT EFFECTIVE OF ERECTILE DYSFUNCION}
본 발명은 발기부전 개선효과를 갖는 기능성식품에 관한 것이다.
발기부전은 발기가 불완전하거나 안되는 것으로서 정상적인 성생활을 불가능하게 하는 비뇨기과 질환 중 가장 대표적인 질환으로서, 성인 남성 중 30 ~ 40 % 정도가 발기장애를 호소하고 있거나 잠재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발기부전은 동맥경화증, 고혈압, 당뇨병 등과 같은 성인병이 연령이 증가할 수록 높은 빈도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복잡한 현대사회의 특성으로 인한 스트레스, 불규칙한 생활습관, 만성피로, 수면부족, 지나친 음주 및 흡연 등에 의해 젊은층에서도 발기부전 환자가 높은 빈도로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발기부전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심리적 요법, 약물 복용 및 투여 등의 비수술적 방법, 그리고 수술적 방법 등이 있다.
음경발기에 관여하는 신경전달물질에는 아세틸콜린, ATP, VIP, NO(Nitric Oxide) 등이 알려져 있으며, 이중 NO가 가장 중요한 물질임이 입증되었다.
즉, NO(산화질소)는 혈관내피세포와 신경세포에서 생성되어 유리된 후 cGMP(cyclic guanosine monophosphate)를 생성시키며, 이렇게 생성된 cGMP는 평활근 세포내의 칼슘을 감소시키고, 평활근의 이완을 일으켜 음경을 발기시킨다.
최근에 성기능 및 발기기능을 증강시킬 수 있는 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해 다양한 각도에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특2001-0029802(성기능장애 및 혈관계질환의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에는, 이카린을 함유하는 성기는 장애 및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 공개되어 있다.
현재 전세계적으로 가장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치료제는 실데나필 시트레이트(비아그라TM)이다. 이는 NO-cGMP 경로에서 cGMP 농도를 높이기 위하여 cGMP 가수분해효소인 PDE-5의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발기능력을 회복시키는 치료제이다.
또한, 최근에는 한약재 추출물을 이용한 발기촉진 조성물이나 기능성 식품에 대해서도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10-0364684(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발기촉진 및 유지용 조성물)에는, 산수유, 구기자, 오미자, 복분자 및 토사자에서 1종 이상 선택된 식물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발기촉진 및 지속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 공개되어 있다.
발기부전 및 성기능 개선을 위한 치료제 개발을 위해 많은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키틴 또는 키토산 등을 이용한 발기부진 개선을 위한 치료제나 식품에 대한 연구는 없었다.
본 발명은 키틴, 키토산, 키토산올리고당을 이용하여 발기부전 개선에 효과를 가지는 기능성식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산화질소의 생성효과를 갖는 기능성식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발기부전 개선효과를 갖는 기능성식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발기부전 개선효과를 갖는 기능성식품은, 탈아세틸화도가 50 ~ 100 % 인 키틴과 키토산, 키토산올리고당 중에서 1 종을 선택하여, 산분해 또는 효소분해 또는 아세틸화하여 제조한, 분자량이 10,000 이하이고, 수용성 N-아세틸-D-글루코사민의 함량이 50 ~ 99 % 인 기능성식품이다.
본 발명의 기능성식품은, 키틴으로부터 산 분해 또는 효소분해에 의해 제조할 수 있고, 수용성 키토산을 아세틸화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키토산으로부터 산 분해 또는 효소분해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된장, 김치와 같은 발효식품에 의해 제조할 수 있으며, 게, 새우 등의 갑각류, 버섯 균사체 또는 자실체, 미생물 등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발기부전 개선효과를 가지는 기능성식품은 N-아세틸-D-글루코사민의 함량을 다양하게 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그 중 수용성 N-아세틸-D-글루코사민의 함량이 50 ~ 99 % 인 물질이 산화질소의 생성량이 월등하며, 발기부전 개선에 효과가 월등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수용성 N-아세틸-D-글루코사민이 함유된 기능성 식품은 환, 과립, 액상, 분말, 타정, 캅셀 형태로 제조할 수 있으며, 일일 5 ~ 5,000 ㎎을 섭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기능성식품은 산화질소의 생성을 촉진시키는 효과가 큰 물질이다.
산화질소(NO)는 음경발기에 관여하는 신경전달물질 중 가장 중요한 물질임이 입증되었다. 즉, 산화질소는 혈관내피세포와 신경세포에서 생성되어 유리된 후 cGMP(cyclic guanosine monophosphate)를 생성시키며, 이렇게 생성된 cGMP는 평활근 세포내의 칼슘을 감소시키고, 평활근의 이완을 일으켜 음경을 발기시키는 작용을 한다.
또, 산화질소가 혈압조절인자로서 불활성화되면 심장발작과 뇌졸증 위험이 커진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된바 있으며, 최근에는 백혈병 중 급성 골수성백혈병의 치료제로서 산화질소를 생성시켜 정상세포의 파괴없이 암세포를 죽이거나 성장을 지연시키는 작용을 하는 물질도 개발되어 산화질소가 백혈병 치료에 효과가 있다는 것을 밝힌 바 있다.
본 발명에서 이용한 키틴, 키토산, 키토산올리고당에 대해 간단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키틴은 다당류로서, 갑각류, 곤충류, 패류, 균류 등의 세포벽이나 외피골격을 구성하는 주성분이며, 생물계에 있어서 연간 1000억 톤 가량이 생성되는 섬유소 다음의 지구상에 풍부한 자원으로 알려져 있다.
키틴은 혈중 콜레스테롤치의 저하, 고혈압 억제, 혈당조절, 간지방치의 조절, 면역 활성화 효과 등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키토산은 N-아세틸-D-글루코사민 모노머가 β-(1,4) 중합결합된 고분자 다당인 키틴에 알칼리 등을 가하여 N-아세틸-D-글루코사민에서 아세틸기가 떨어져 나가 생성된 D-글루코사민의 비율이 70 % 이상일 때 이것을 키토산이라 한다(대한민국 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첨가물공정).
키토산은 1 가 이온인 묽은 염산이나 초산, 젖산에 상온에서 쉽게 용해되며, 2 가 이상의 이온을 가지는 황산, 인산, 사과산, 호박산, 구연산, 푸마르산 등에는 열을 가하면 쉽게 용해되는 특성이 있어, 키틴보다 산업적으로 다양하게 응용되고 있다.
키토산올리고당은 게, 새우껍질 등을 분쇄, 탈염, 단백질제거, 불순물제거 공정에 의해서 키틴으로 분리 정제한 다음, 탈아세틸화하여 키토산을 제조한 다음 키토산을 무기산 또는 분해효소를 이용하여 분해시켜 제조한다,
키토산올리고당은 키틴과 함께 혈중 콜레스테롤치의 저하, 고혈압 억제, 혈당조절, 간지방치의 조절, 면역 활성화 효과 등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발기부전 개선효과를 갖는 기능성식품에 대하여 실시예와 실험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나, 이들이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키토산에 의한 50 % N-아세틸-D-글루코사민 제조
탈아세틸화도 90 %인 키토산을 준비하였다.
98 % 초산을 물에 희석하여 만든 3.0 % 초산용액 1,000 g에 준비한 키토산 100 g을 균일하게 용해시키고 50 ℃로 가온하였다.
키토산 분해효소인 키토산아제(chitosan N.acetylglucosaminohydrolase EC 3,2,1,132 ; 시그마사) 50 유니트를 첨가하여 10 시간 동안 키토산을 분해시켰다.
불용물을 여과, 제거하면서 열교환기를 이용하여 90 ℃에서 효소를 불활성화시켰다.
다시 열교환기를 이용하여 용액의 온도를 20 ℃로 낮추어 키토산올리고당용액(키토산올리고당 농도 10 %(w/v))을 제조하여 반응원액으로 사용하였다.
키토산올리고당 반응원액을 30 ℓ/min의 유속으로 인라인 믹서에 통과시키면서, 50 %(w/v) 수산화나트륨수용액을 먼저 18 g/min의 속도로 연속주입하고, 이어서 95 % 무수초산을 30 g/min의 속도로 연속주입하였다.
이때, 수산화나트륨의 주입량은 키토산올리고당 반응원액과 수산화나트륨용액 및 무수초산이 균일하게 혼합된 상태에서 pH 6.8이 유지되도록 조절한 것이다.
상기 방법을 3 회 반복하여 아세틸화 반응을 종료하였다.
불용물은 여과하여 탈염. 정제하여 건조한 분말을 분석한 결과 50 % 아세틸화된 키틴올리고당의 분말 98 g을 얻어 수율 95 %를 나타내었다.
HPTLC로 확인해 본 결과 1당인 N-acetylglucosamine은 검출되지 않았고, 2당인 N-acetylchitobiose는 25 wt%, 3당인 N-acetylchitotriose는 21 wt%, 4당인 N-acetylchitotetrose는 16 wt%, 5당인 N-acetylchitopentose은 18 wt%, 6당인 N-acetylchitohexose은 11 wt%, 7당인 N-acetylchitoheptose는 9 wt%로 나타났다.
<실시예 2> 효소분해법에 의한 94 % N-아세틸-D-글루코사민 제조
98 %키틴(lancastert사)을 구입하여 준비하였다.
준비한 키틴 100 g을 가지고 pH 6.0으로 조절된 2 % 콜로이달 키틴용액을 제조하였다.
키틴 분해효소인 키틴아제(chitinase EC 3.2.1.14 ; 시그마사) 50 유니트를 첨가하여 40 ℃에서 24 시간 동안 키틴을 분해하였다.
불용물을 여과, 제거하면서 열교환기를 이용하여 90 ℃에서 효소를 불활성화시켰다.
탈염. 정제하여 건조한 분말의 무게는 26 g으로 수율은 26 %를 나타내었고, N-아세틸-D-글루코사민 함량은 94 % 였다.
제조된 키틴올리고당의 당분포를 HPTLC로 확인해 본 결과 1당인 N-acetylglucosamine은 6 wt%, 2당인 N-acetylchitobiose는 55 wt%, 3당인 N-acetylchitotriose는 35 wt%, 4당인 N-acetylchitotetrose는 4 wt%, 5당인 N-acetylchitopentose, 6당인 N-acetylchitohexose, 7당인 N-acetylchitoheptose는 검출되지 않았다.
<실시예 3> 키토산의 아세틸화에 의한 95 % N-아세틸-D-글루코사민 제조
98 % 초산을 물에 희석하여 만든 3.0 % 초산용액 1,000 g에 탈아세틸화도 90 %인 키토산 100 g을 균일하게 용해시키고 50 ℃로 가온하였다.
키토산 분해효소인 키토산아제(chitosan N.acetylglucosaminohydrolase EC 3,2,1,132 ; 시그마사) 50 유니트를 첨가하여 10 시간 동안 키토산을 분해시켰다.
불용물을 여과, 제거하면서 열교환기를 이용하여 90 ℃에서 효소를 불활성화시켰다.
다시 열교환기를 이용하여 용액의 온도를 20 ℃로 낮추어 키토산올리고당용액(키토산올리고당 농도 10 %(w/v))을 제조하여 반응원액으로 사용하였다.
키토산올리고당 반응원액을 30 ℓ/min의 유속으로 인라인 믹서에 통과시키면서, 50 %(w/v) 수산화나트륨수용액을 먼저 28 g/min의 속도로 연속주입하고, 이어서 95 % 무수초산을 30 g/min의 속도로 연속주입하였다.
이때 수산화나트륨의 주입량은 키토산올리고당 반응원액과 수산화나트륨용액 및 무수초산이 균일하게 혼합된 상태에서 pH 6.8이 유지되도록 조절한 것이다.
상기 방법을 3 회 반복하여 아세틸화 반응을 종료하였다.
염을 제거하고, 건조하여 95 % 아세틸화된 키틴올리고당의 분말 100 g을 얻어 수율 97 %를 나타내었다.
HPTLC로 확인해 본 결과 1당인 N-acetylglucosamine은 검출되지 않았고, 2당인 N-acetylchitobiose는 27 wt%, 3당인 N-acetylchitotriose는 23 wt%, 4당인 N-acetylchitotetrose는 18 wt%, 5당인 N-acetylchitopentose은 15 wt%, 6당인 N-acetylchitohexose은 10 wt%, 7당인 N-acetylchitoheptose는 7 wt%로 나타났다.
<실시예 4> 산분해법에 의한 96 % N-아세틸-D-글루코사민 제조
98 %키틴(lancastert사)을 구입하여 준비하였다.
준비한 키틴 100 g에 12 N 염산 400 ㎖를 가한 후, 45 ℃ 항온기에서 3 시간동안 교반하면서 반응한 후, 반응액에 냉수 400 ㎖를 첨가하여 반응을 종료하였다.
이 반응액을 상온으로 유지하면서 25 % 수산화나트륨 용액으로 pH를 7.0 으로 중화시킨 후 불용분은 여과하고 탈염. 정제하여 건조한 분말무게가 최종 42 g으로 수율 42 %를 나타냈었으나, 분석결과 다량의 단당이 함유되어 있어 2당 이상의 키틴올리고당의 함량은 27 g이었으며, N-아세틸-D-글루코사민의 함량은 96 % 였다.
제조된 키틴올리고당의 당분포를 HPTLC로 확인해 본 결과 1당인 N-acetylglucosamine은 35 wt%, 2당인 N-acetylchitobiose는 19 wt%, 3당인 N-acetylchitotriose는 15 wt%, 4당인 N-acetylchitotetrose는 12 wt%, 5당인 N-acetylchitopentose은 8 wt%, 6당인 N-acetylchitohexose는 6 wt%, 7당인 N-acetylchitoheptose는 5 wt%로 나타났다.
<비교예 1> 키토산에 의한 1 % N-아세틸-D-글루코사민 제조
탈아세틸화도 99 %인 키토산 55 g을 증류수 920 ㎖에 넣고, 10 분간 교반하여 키토산 현탁액을 제조하였다.
이 현탁액에 아스코르빈산 37 g을 첨가하여 2 시간 동안 교반하여 용해시킨 다음, 아스코르빈산으로 pH 5.0 으로 조절하였다.
키토산 분해효소인 키토산아제(chitosan N.acetylglucosaminohydrolase EC 3,2,1,132 ; 시그마사) 60 유니트를 첨가하여 38 ℃에서 12 시간 동안 분해시켰다.
효소를 분활성화 시키기 위해 80 ℃에서 10 분간 열처리한 후, 여과하여 N-아세틸-D-글루코사민 함량이 1 %인 올리고당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 조성물을 동결건조하여 N-아세틸-D-글루코사민 분말 89 g을 수득하였다.
수득된 N-아세틸-D-글루코사민을 분석한 결과 중합도는 2 ~ 10 이었고, 단당을 검출되지 않았다.
<비교예 2> 키토산에 의한 30 % N-아세틸-D-글루코사민 조성물 제조
탈아세틸화도 70 %인 키토산 55 g을 증류수 920 ㎖에 넣고, 10 분간 교반하여 키토산 현탁액을 제조하였다.
이 현탁액에 아스코르빈산 35 g을 첨가하여 2 시간 동안 교반하여 용해시킨 다음, 아스코르빈산으로 pH 5.0 으로 조절하였다.
키토산 분해효소인 키토산아제(chitosan N.acetylglucosaminohydrolase EC 3,2,1,132 ; 시그마사) 60 유니트를 첨가하여 38 ℃에서 12 시간 동안 분해시켰다.
효소를 분활성화 시키기 위해 80 ℃에서 10 분간 열처리한 후, 여과시켜 N-아세틸-D-글루코사민 함량이 30 %인 올리고당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 조성물을 동결건조하여 N-아세틸-D-글루코사민 분말 90 g을 수득하였다.
수득된 N-아세틸-D-글루코사민을 분석한 결과 중합도는 2 ~ 10 이었고, 단당을 검출되지 않았다.
<실험예 1> 수용성 N-아세틸-D-글루코사민의 함량정도에 따른 산화질소의 생성량 측정실험
1. 실험준비
Balb/c 마우스를 준비하였다.
실내온도 22 ℃, 상대습도 50 %를 유지하며 12 시간별로 반복명암전환을 실시하였다.
면역반응을 위해 HEL을 phosphate buffered saline(PBS)에 녹여 IFA 또는 CFA와 1 : 1 비율로 혼합시켜 최종HEL의 농도를 1 ㎎/㎖로 조정하여 제조하여 준비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3에서 제조한 50 % 수용성 N-아세틸-D-글루코사민과 95 % 수용성 N-아세틸-D-글루코사민을 준비하였다.
비교예 1 및 2에서 제조한 1 % 수용성 N-아세틸-D-글루코사민과 30 % 수용성 N-아세틸-D-글루코사민을 준비하였다.
2. 실험방법
준비한 마우스를 3 마리씩 그룹으로 나누었다.
면역반응을 위해 준비한 HEL의 농도를 1 ㎎/㎖로 조절한 현탁액을 200 ㎕를 마우스에게 정맥주사하여 3 주후 계획 도살 하였다.
계획 도살 2일 전 헤파린 처리된 미세관을 이용하여 마우스로부터 혈청을 회수한 후, ELISA분석을 위해 10 ㎍ HEL을 0.1 M sodium bicarbonate buffer에 녹인 후 Nunc brand 96 well immunoplates에 코팅하기 위해 overnight 시킨 후, plates를 수세하고 0.1 % 젤라틴을 함유한 PBST로 block 시키기 위해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방치시켰다.
혈청을 PBS로 연속 희석하여 4 ℃에 방치한 뒤, PBST로 3 회 세척하고, goat peroxidase-conjugated detecting antibody(Sigma)를 PBST 0.1 % 젤라틴에 녹여 첨가한 후, 실온에서 2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IgG1 와 IgG2a의 분석을 위해 abbit anti-mouse IgG1 또는 IgG2a(Zymed)를 1 ㎕/㎖ 농도로 사용하였다.
Total Ig를 측정하기 위해 rabbit anti-mouse Ig(H+L), specific for IgM, IgG, IgA(Zymed)를 각각 1 ㎕/㎖ 농도로 사용하였다.
Colorimetric assay는 o-phenylenediamine dihydrochloride을 hydrogen peroxide과 함께 2 시간 동안 반응시켜 흡광도를 492 ㎚에서 측정하였으며, 측정장비는 microplate reader(Spectra MAX 250, Molecular Devices, USA)를 사용하였다.
Cytokin assay를 위하여, goat anti-murine cytokine antibodis(1 ㎕/㎖) 50 ㎕를 코팅하기 위해 4 ℃에서 overnight 시킨 후, plates를 수세하여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blocking 한 후, 배양 상등액을 plates에 첨가하여 4 ℃에서 overnight 배양시켰다.
통상의 ELISA assay 방법을 이용하였다.
Nitrite의 측정은 50 ㎕ aliquots를 배지에서 제거한 후, 동일 부피의 Griess reagent(1 % sulfanilamide, 0.1 % N-(1-napthyl)-ethylenediamine dihydrochloride, 2.5 % H3PO4)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10 분간 배양시켰다.
정량을 위해 540 ㎚ 파장에서 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표준물질로서 sodium nitrite를 사용하였다.
3. 실험결과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1 % N-아세틸-D-글루코사민은 농도를 변화시켜도 질산의 생성량에 거의 변화가 없었으며, 30 % N-아세틸-D-글루코사민은 농도를 높임에 따라 질산의 생성량이 증가했으나, 그 증가량이 저조하였다.
그러나, 50 % N-아세틸-D-글루코사민과 95 % N-아세틸-D-글루코사민은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질산의 생성량이 급증했음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 수용성 N-아세틸-D-글루코사민의 투여에 따른 IIEF-5 설문조사
1. 실험준비
본 발명의 실시예 1과 3의 조성물을 준비하였다.
2. 실험대상
발기장애증상을 호소하는 63 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 장애자의 평균 연령은 45.1 ±6.4 (35 ~ 65)세 였으며, 50 명이 배우자와 함께 살고 있었으며, 그 배우자의 평균연령은 42.2 ±5.4 세였다.
발기장애자 중 다음 11 가지 중에 속하는 환자는 실험대상에서 제외하였다.
1) 발기를 심각하게 저해할 수 있는 성기의 해부학적 이상을 가진 환자(중증, 음경섬유화 등)
2) 성욕저하가 주진단으로 판단되는 환자
3) 프로락틴 수치가 상승한 환자 또는 유리 테스토스테론 수치가 저하된 환자
4) 치료를 하여도 잘 조절이 되지 않는 주요 정신 질환자
5) 알코올 중독이나 약물 남용의 기왕력이 있는 환자
6) 척추 손상에 따른 발기부전이 있는 환자
7) 지난 6 개월 내에 뇌졸증이나 심근경색증이 있었던 환자
8) 지난 6 개월 내에 심부전, 불안정 협심증 또는 생명을 위협하는 부정맥을 포함하여 심각한 심혈관계 질환이 있었던 환자
9) 저혈압 혹은 악성 고혈압의 기왕력이 있는 환자
10) Nitrate 를 처방받은 환자
11) 색소성 망막염의 기왕력이 있는 환자
3. 실험방법
상기의 환자들을 2 그룹으로 나누었다.
각 그룹의 환자들에게 시험전 물질투여전에 국제발기능력측정지표 (International Index of Erectile Function-5 ; IIEF-5)를 작성하게 하였다.
그룹 Ⅰ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 1(50 %)을 첫 1 주일은 일일 450 ㎎, 그 다음 1 주일은 일일 600 ㎎씩 총 2 주간 경구투여 하였다.
그룹 Ⅱ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 3(95 %)를 첫 1 주일은 일일 450 ㎎, 그 다음 1 주일은 일일 600 ㎎씩 총 2 주간 경구투여 하였다.
각 그룹의 환자들에게 투여완료후 제 2차 IIEF-5를 작성하게 하였다.
N-아세틸-D-글루코사민 투여에 대한 장애개선효과 및 만족도는 pared Wilcoxon Signed Ranks Test를 이용하여 검정하였으며, p-value가 0.05 이하일때 유의성 있는 결과로 간주하였다.
4. 실험결과
1) 일반적 만족도(Overall Satisfaction : IIEF-5 제 1문항)
IIEF-5 중 일반적 만족도에 대한 설문조사 점수는 1.3 ±0.4점 이었고, 450 ㎎ 투여후 그룹 Ⅰ과 그룹 Ⅱ의 평균점수는 각각 4.0 ±0.1 점(p<0.01), 4.2 ±0.3 점(p<0.01)이었다.
600 ㎎ 투여후 그룹 Ⅰ과 그룹 Ⅱ의 평균점수는 각각 4.5 ±0.3 점(p<0.01), 4.8 ±0.2 점(p<0.01)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3의 물질 투여전보다 투여후가 월등히 만족도가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고, 450 ㎎ 투여후 보다 600 ㎎ 투여후가 만족도가 월등히 향상되었다.
또한, 50 % 수용성 N-아세틸-D-글루코사민 보다 95 % 수용성 N-아세틸-D-글루코사민이 더욱 효과가 뛰어남을 알 수 있었다.
2) 오르가즘(Orgasmic function : IIEF-5 제 2문항)
IIEF-5 중 오르가즘의 만족도에 대한 설문조사 점수는 1.6 ±0.5점 이었고, 450 ㎎ 투여후 그룹 Ⅰ과 그룹 Ⅱ의 평균점수는 각각 3.0 ±0.2 점(p<0.01), 3.9 ±0.3 점(p<0.01)이었다.
600 ㎎ 투여후 그룹 Ⅰ과 그룹 Ⅱ의 평균점수는 각각 4.2 ±0.3 점(p<0.01), 4.5 ±0.1 점(p<0.01)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3의 물질 투여전보다 투여후가 월등히 만족도가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고, 450 ㎎ 투여후 보다 600 ㎎ 투여후가 만족도가 월등히 향상되었다.
또한, 50 % 수용성 N-아세틸-D-글루코사민 보다 95 % 수용성 N-아세틸-D-글루코사민이 더욱 효과가 뛰어남을 알 수 있었다.
3) 발기능력(Erectile Function : IIEF-5 제 3, 4문항)
IIEF-5 중 발기능력의 만족도에 대한 설문조사 점수는 3.0 ±0.2 점 이었고, 450 ㎎ 투여후 그룹 Ⅰ과 그룹 Ⅱ의 평균점수는 각각 9.0 ±0.1 점(p<0.01), 9.2 ±0.2 점(p<0.01)이었다.
600 ㎎ 투여후 그룹 Ⅰ과 그룹 Ⅱ의 평균점수는 각각 9.5 ±0.1 점(p<0.01), 9.6 ±0.2 점(p<0.01)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3의 물질 투여전보다 투여후가 월등히 만족도가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고, 450 ㎎ 투여후 보다 600 ㎎ 투여후가 만족도가 월등히 향상되었다.
또한, 50 % 수용성 N-아세틸-D-글루코사민 보다 95 % 수용성 N-아세틸-D-글루코사민이 더욱 효과가 뛰어남을 알 수 있었다.
4) 성교에 관한 만족도(Intercourse Satisfaction : IIEF-5 제 5문항)
IIEF-5 중 성교 만족도에 대한 설문조사 점수는 1.2 ±0.3 점 이었고, 450 ㎎ 투여후 그룹 Ⅰ과 그룹 Ⅱ의 평균점수는 각각 3.8 ±0.3 점(p<0.01), 4.0 ±0.1 점(p<0.01)이었다.
600 ㎎ 투여후 그룹 Ⅰ과 그룹 Ⅱ의 평균점수는 각각 4.2 ±0.1 점(p<0.01), 4.5 ±0.2 점(p<0.01)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3의 물질 투여전보다 투여후가 월등히 만족도가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고, 450 ㎎ 투여후 보다 600 ㎎ 투여후가 만족도가 월등히 향상되었다.
또한, 50 % 수용성 N-아세틸-D-글루코사민 보다 95 % 수용성 N-아세틸-D-글루코사민이 더욱 효과가 뛰어남을 알 수 있었다.
<표 1> 수용성 N-아세틸-D-글루코사민의 투여에 따른 IIEF-5 설문에 대한 점수표
구 분 일반적인 만족도 오르가즘 발기능력 성교에 대한 만족도
투여전 1.3 ±0.4 점 1.6 ±0.5 점 3.0 ±0.1 점 1.2 ±0.3 점
450 ㎎ 50 % 4.0 ±0.1 점 3.0 ±0.2 점 9.0 ±0.1 점 3.8 ±0.3 점
95 % 4.2 ±0.3 점 3.9 ±0.3 점 9.2 ±0.2 점 4.0 ±0.1 점
600 ㎎ 50 % 4.5 ±0.3 점 4.2 ±0.3 점 9.5 ±0.1 점 4.2 ±0.1 점
95 % 4.8 ±0.2 점 4.5 ±0.1 점 9.6 ±0.2 점 4.5 ±0.2 점
<표 2> 수용성 N-아세틸-D-글루코사민의 투여에 따른 IIEF-5 설문에 대한 항목당 향상도 백분율 지수
구 분 일반적인 만족도 오르가즘 발기능력 성교에 대한 만족도
450 ㎎ 50 % 69.8 % 71.4 % 71.4 % 69.8 %
95 % 79.4 % 74.6 % 79.4 % 73.0 %
600 ㎎ 50 % 82.5 % 79.4 % 82.5 % 76.2 %
95 % 87.3 % 82.5 % 85.7 % 79.4 %
본 발명에 의해, 키틴, 키토산, 키토산올리고당을 이용하여 발기부전 개선에 효과를 가지는 기능성식품이 제공된다.
또한, 산화질소의 생성효과를 가지는 기능성식품이 제공된다.
도 1은 수용성 N-아세틸-D-글루코사민의 함량에 따른 산화질소 생성량을 나타내는 그래프

Claims (3)

  1. 탈아세틸화도가 50 ~ 100 % 인 키틴과 키토산, 키토산올리고당 중에서 1 종을 선택하여, 산분해 또는 효소분해 또는 아세틸화하여 제조된,
    분자량이 10,000 이하이고, 수용성 N-아세틸-D-글루코사민의 함량이 50 ~ 99 % 인,
    발기부전 개선효과를 갖는 기능성식품.
  2. 제 1항에 있어서,
    수용성 N-아세틸-D-글루코사민을 일일 5 ~ 5,000 ㎎을 섭취하도록 하여 과립, 액상, 분말, 타정, 캅셀의 형태로 제조된,
    발기부전 개선효과를 갖는 기능성식품.
  3. 탈아세틸화도가 50 ~ 100 % 인 키틴과 키토산, 키토산올리고당 중에서 1 종을 선택하여, 산분해 또는 효소분해 또는 아세틸화하여 제조된,
    분자량이 10,000 이하이고, 수용성 N-아세틸-D-글루코사민의 함량이 50 ~ 99 %인,
    산화질소 생성효과를 갖는 기능성 식품.
KR1020030075328A 2003-10-28 2003-10-28 발기부전 개선효과를 갖는 기능성식품 KR1005632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5328A KR100563230B1 (ko) 2003-10-28 2003-10-28 발기부전 개선효과를 갖는 기능성식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5328A KR100563230B1 (ko) 2003-10-28 2003-10-28 발기부전 개선효과를 갖는 기능성식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0194A true KR20050040194A (ko) 2005-05-03
KR100563230B1 KR100563230B1 (ko) 2006-03-22

Family

ID=37242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5328A KR100563230B1 (ko) 2003-10-28 2003-10-28 발기부전 개선효과를 갖는 기능성식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32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5411B1 (ko) * 2011-11-07 2012-09-24 조석형 산과 효소를 이용한 고순도 키틴올리고당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63230B1 (ko) 2006-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oide Chitin-chitosan: properties, benefits and risks
KR100450097B1 (ko) 식이 보조제 용도의 식물 탄수화물 조성물
KR100674672B1 (ko) 키토산 함유 다당, 그 제조방법 및 용도
CN108853486B (zh) 一种具有增强免疫力功能的配方产品
EP2098240B1 (en) Agent for promoting healing of living body
CN111887370A (zh) 一种降尿酸海洋鱼低聚肽壳寡糖固体饮料
KR20050074425A (ko) 호중구 기능 억제용 음료수 또는 음식
KR100770775B1 (ko) 면역증강을 위한 기능성 음료 및 그 제조방법
EP0753582B1 (en) Immunopotentia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WO2006113925A2 (en) Composition and use of phyto-percolate for treatment of disease
JP3428356B2 (ja) 生理活性物質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563230B1 (ko) 발기부전 개선효과를 갖는 기능성식품
KR101070805B1 (ko)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Robinson et al. Nutritional benefits of larch arabinogalactan
JP2004010605A (ja) 脱アセタールと脱酸素橋化を行った茸類と発酵霊芝胞子に他の混合物を使った癌予防健康食品と制癌剤及び添加飼料
KR20040006161A (ko) 수족냉증 완화효과를 나타내는 키틴/키토산올리고당
US20030104006A1 (en) Hyaluronidase activity and allergenic cell activity inhibitor
JP2632577B2 (ja) 高尿酸血症改善剤及び改善用食品
KR20110011233A (ko) 키토올리고당을 함유하는 피로회복용 조성물
JP4232461B2 (ja) アトピー性皮膚炎改善剤
JP2002255832A (ja) ミネラル吸収促進剤ならびに貧血改善剤
KR20040099587A (ko) 혈압 강하 기능을 가지는 키토산 함유 소금의 제조방법
KR20040097813A (ko) 식욕억제, 체지방 감소 및 배변 활성화등 3가지 기능을 갖는 항비만 기능성 조성물
KR20130047855A (ko) 항천식 활성을 갖는 저분자량 키토산 올리고당 및 이를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
KR20040004346A (ko)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