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8565A - 로프형 직물용 습식 처리기 - Google Patents

로프형 직물용 습식 처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8565A
KR20050038565A KR1020040083910A KR20040083910A KR20050038565A KR 20050038565 A KR20050038565 A KR 20050038565A KR 1020040083910 A KR1020040083910 A KR 1020040083910A KR 20040083910 A KR20040083910 A KR 20040083910A KR 20050038565 A KR20050038565 A KR 200500385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rope
channel
wet processor
treatment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3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23793B1 (ko
Inventor
코르데스카를
비드메르토마스
Original Assignee
덴 마쉬넨 (비.브이.아이.)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덴 마쉬넨 (비.브이.아이.)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덴 마쉬넨 (비.브이.아이.)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500385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85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37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37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3/0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 D06B3/24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of fabrics in roped for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3/0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 D06B3/28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of fabrics propelled by, or with the aid of, jets of the treating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3/0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 D06B3/24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of fabrics in roped form
    • D06B3/26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of fabrics in roped form in superimposed, i.e. stack-packed, 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Rop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쇄된 용기 및 상기 용기 내에서 순환하는 무한 로프를 미리 주어진 이동 방향으로 구동시키기 위해 이송 매체 흐름이 제공되는 벤추리 이송 노즐 시스템을 포함하는 로프형 직물용 습식 처리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이송 노즐 시스템은 상기 이송 매체 흐름에 의해 관류되며 한 측면이 관통 채널을 가진 노즐 코운에 의해 제한되는 노즐 링 갭을 갖는다. 로프 이동 경로에서 이송 노즐 시스템 앞에는 릴 수단이 배치된다. 또한, 상기 릴 수단의 영역과 이송 노즐 시스템의 노즐 링 갭 사이의 로프 이동 경로의 섹션에서 로프에 처리액을 제공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로프형 직물용 습식 처리기{MACHINE FOR WET TREATMENT OF TEXTILE FABRIC IN ROPED FORM}
본 발명은 폐쇄된 용기, 및 상기 용기 내에서 순환하는 무한 로프를 미리 주어진 이동 방향으로 구동시키기 위해 이송 매체 흐름이 제공되는 벤추리 이송 노즐 시스템을 포함하는 로프형 직물용 습식 처리기에 관한 것이다.
실제로 제트 염색 장치 등과 같은 다수의 실시예로 공지된 상기와 같은 습식 처리기는 이송 매체 흐름이 액체인지 또는 기체인지에 따라 유압적 또는 공기 역학적 원리에 따라 동작한다. 이송 노즐 시스템에 의해 이송되는 무한 로프는 이송 노즐 시스템으로부터 배출시 인출 장치에 의해 인출된 다음, 저장기에 저장된다. 상기 저장기로부터 상기 로프는 계속 꺼내져서 이송 노즐 시스템의 로프 도입부에 공급된다. 저장기로부터 로프를 끌어 올리고 그것을 이송 노즐 시스템의 로프 도입부 내로 도입시키기 위해, 일반적으로 이송 노즐 시스템의 각각의 이송 노즐용 릴을 포함하는 릴 수단이 배치된다. 모터 구동식 릴은 로프 이동 경로에서 관련 이송 노즐의 로프 도입부 전에 놓이며, 로프가 이송 노즐의 로프 도입부 내로 도입되기 전에, 저장기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나온 로프를 적어도 90° 만큼 편향시킨다. 릴과 저장기 사이의 로프 이동 경로의 수직 섹션 상에서 로프에 수반된 처리액의 일부가 떨어진다. 이것은 로프가 릴 표면 상에 그 중량으로 놓여 다소 압축됨으로써 촉진된다.
처리액을 이동하는 로프상에 가급적 균일하게 제공하기 위해, 처리액은 처리액 순환 펌프에 의해 순환되고 이송 매체 흐름을 이용하여 로프에 작용한다. EP 0078022호에 공지된 상기 방식의 습식 처리기에서는 처리제가 분무된 형태로, 로프용 이송 매체 흐름으로서 사용되는 기체 흐름에 첨가된다. 공기 역학적 원리에 따라 동작하는, EP 09455381호에 따른 다른 후염기에서는 처리제가 이송 노즐의 노즐 하우징 내로 유입된다. 상기 처리제 입자는 기체의 이송 매체 흐름에 의해 노즐 링 갭을 통해 로프에 균일하게 제공된다. 상기 처리제 입자는 이송 노즐의 강력 구간을 통과할 때 상기 로프 내로 채워 넣어진다.
실제로는 공기 역학적 원리에 따라 동작하는 제트 습식 처리기에서, 기체의 이송 매체 흐름 내로 분사될 수 있는 처리액의 양은 제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이송 매체 흐름 내로 유입되는 처리액의 방울은 로프 이동 방향으로 가속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 이송 매체 흐름에는 팬에 의해 제공되어야 하는 상당한 에너지가 제공되어야 한다. 특히 로프의 세척시, 세척 시간을 단축하고 양호한 세척 효과를 얻기 위해, 이송 노즐을 통한 처리액 량이 많은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간단한 방식으로 로프에 대한 처리액의 제공을 개선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습식 처리기는 청구항 1의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습식 처리기는 릴 수단의 영역과 이송 노즐 시스템의 노즐 링 갭 사이의 로프 이동 경로의 섹션에서 로프에 대한 처리액 제공 수단을 갖는데, 상기 수단은, 이송 노즐 시스템의 영역에 제공된 로프에 대한 기존의 처리액 제공 수단에 부가해서 또는 대안으로서, 처리액이 로프에 작용하게 함으로써, 처리액이 이미 제공된 로프가 이송 노즐 시스템의 노즐 링 갭의 영역 내로 도입될 수 있게 한다. 로프에 대한 처리액의 제공이 릴 수단의 영역과 노즐 링 갭 사이에서 이루어짐으로써, 이송 노즐 시스템에서 처리액으로 로프를 처리하기 전에 로프의 매우 효과적인 습윤이 이루어지는데, 그 이유는 일반적으로 수평으로 또는 수평선에 대해 약간 경사지게 연장된, 릴 수단과 이송 노즐 시스템 사이의 로프 이동 경로가 비교적 짧아서, 로프가 제공된 처리액의 대부분을 이송 노즐 시스템 내로 도입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송 노즐 시스템의 영역에서 로프에 제공되는 처리액의 양이 감소될 수 있다.
로프에 대한 처리액의 제공 수단은 그것으로부터 나온 처리액이 로프의 이동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운동 성분을 갖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로프 이동 방향으로 액체 방울의 가속을 위해 필요한 에너지 소비가 감소되는데, 그 이유는 제공된 처리액이 이미 로프의 이동 방향으로 가속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기체의 이송 매체 순환계의 부하가 경감되고 로프의 순환이 신속해진다. 또한, 처리액의 액체 방울이 로프 이동 방향에 대해 직각으로 로프 표면상에 부딪치지 않기 때문에, 이동하는 로프가 보호된다.
실제의 구성에 있어서, 처리액 제공 수단은 릴 수단의 영역에, 분무 노즐을 포함하는 분무 수단을 갖는다. 상기 분무 노즐은 그 오리피스 영역에 오리피스 축을 갖는데, 이 축은 로프 이동 방향과 90°미만의 각을 형성한다.
릴 수단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릴을 갖고 처리액 제공 수단이 릴 상부로 통함으로써, 배출되는 처리액이 하부로 흘러 로프와 만나면, 구조가 간단해진다. 대안으로서 및/또는 부가로, 구조적 조건의 면에서 가능한 경우, 처리액 제공 수단이 릴의 회전축과 이송 노즐 시스템의 노즐 테이퍼 사이에 놓인 영역과도 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습식 처리기는 또한 부가로 또는 대안으로서 노들 페이터의 관통 채널 내로 처리액을 분사하기 위한 수단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수단은 상기 관통 채널을 제한하는 채널 벽 둘레로 통한다. 상기 분사 채널을 통해 처리액, 즉 처리제가 이송 매체 흐름으로부터 분리되어, 이송 노즐을 통과하는 로프에 제공된다. 여기서도 처리액을 로프에 제공하는 것은 로프를 이송시키는, 링 갭 내로 유입되는 이송 매체 흐름의 속도와는 무관하다. 분사 수단이 노즐 테이퍼의 영역에 배치되기 때문에, 로프가 링 갭 내로 도입되고 거기서 로프에 이송 매체가 제공되면, 로프는 이미 분사 수단으로부터 나온 처리액에 의해 예비 처리된다. 분사 수단이 관통 채널 벽 둘레에 분포 배치되기 때문에, 로프는 노즐 테이퍼의 관통 채널 통과시에, 노즐 개구 둘레에 동심으로 배치된 처리액 커튼(A)을 통과한다. 이로 인해, 로프가 양호하게 보호되면서 로프에 처리액이 제공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분사 수단이 관통 채널의 종축에 대해, 그것으로부터 관통 채널 내로 나온 처리액이 로프 이동 방향으로 운동 성분을 갖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분사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종축과 일정한 각으로 배치되고, 그것의 정점이 로프 이동 방향을 향한다. 이러한 조치에 의해, 상기 처리액 커튼(A)이 로프 이동 방향으로 향하는 성분을 갖고, 상기 성분의 크기는 그것이 대략 로프의 이동 속도를 갖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분사 수단을 통해 관통 채널 내로 유입되는 처리액은 전술한 바와 같이, 그것을 수반하는 로프에 의해 가속될 필요가 없다. 상기 가속은 로프에 대한 제동 작용을 일으킬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분사 수단은 채널 벽 둘레에 분포되어 관통 채널로 통하는 분사 채널을 갖는다. 상기 분사 채널들의 오리피스들은 관통 채널의 둘레에 걸쳐 균일하게 분포된다. 대안으로서 및/또는 부가적으로 분사 수단은 관통 채널의 벽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링 갭을 갖는다. 상기 링 갭은 로프를 둘러싸며 처리액을 균일하게 로프에 제공한다. 그러나, 어떤 경우에도 전술한 바와 같이 로프가 양호하게 보호되면서 처리액의 제공이 이루어진다. 로프 내로 처리액을 채워 넣는 것은 링 갭으로부터 로프 이동 방향으로 연장된, 이송 노즐의 강력 구간을 로프가 통과할 때 이송 매체 흐름에 의해 이루어진다. 노즐 테이퍼에서 처리액의 분사에 의해 처리액이 편향될 필요가 없다. 처리액은 100% 까지 로프에 직접 제공되는데, 그 이유는 액체 입자의 분리가 일어나지 않기 때문이다. 상기 액체 입자의 분리는 처리액이 이송 매체 흐름에 첨가되는 경우에는 불가피한 것이다.
이송 노즐을 통상적인 방식으로 링 갭의 영역에서 고유의 노즐 하우징으로 둘러싸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노즐 하우징은 적합한 관을 통해 이송 매체 소오스에 연결된다. 특히 다수의 이송 노즐이 서로 나란히 하나의 용기에 배치되는 소위 다중 저장기 처리기에서는 노즐 시스템의 이송 노즐들의 링 갭이 하나의 공통 이송 매체 분배기 챔버 내에 배치되고, 상기 챔버내에는 기체의 이송 매체가 제공되도록 구성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분배기 챔버는 바람직하게는 긴 이송 매체 분배기 박스로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박스는 이송 매체 소오스에 연결되고 상기 박스 내로 이송 노즐이 직접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선예는 종속 청구항에 제시된다. 도면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도시된다.
도 1에 도시된 고온(HT) 후염기는 내압 원통형 용기(1)를 포함하며, 커버(2)에 의해 폐쇄 가능한 조작 개구(3)가 상기 용기(1) 내로 연장된다. 상기 조작 개구(3)를 통해 로프(4)가 도입될 수 있다. 로프(4)는 외부 구동식 릴(5)을 통해 벤추리 이송 노즐(6)내로 도입되며, 상기 노즐(6)에는 인출기(7)가 연결된다. 상기 인출기(7)는 이송 노즐(6)으로부터 나온 로프(4)를 저장기(8)내에 넣고, 상기 저장기(8)로부터 무한 로프가 릴(5)을 통해 다시 빼내진다. 도 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로프(4)는 저장기(8)와 릴(5) 사이의 수직 경로를 따른다. 릴(5)과 이송 노즐(6)은 하우징 부품(9)내에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 부품(9)은 용기(1)와 수밀 방식으로 결합되어 있다. 로프(4)는 조작 개구(3)를 통한 도입 후에 그 단부가 연결되어 무한 로프를 형성한다.
이송 노즐(6)에는 기체의 이송 매체 흐름이 제공되며, 상기 흐름은 화살표(10)로 표시된 이동 방향으로 순환한다. 본 경우, 이송 매체는 공기 또는 공기 증기 혼합물이며, 이는 팬(11) 및 흡입관(12)을 통해 용기(1)로부터 흡입되고 압력관(13)을 통해 이송 노즐(6) 내로 이송된다.
용기(1) 하부에는 처리액 통(14)이 배치된다. 상기 처리액 통(14)은 처리액 체(sieb)(15)를 포함하며, 처리액 순환 펌프(17)의 흡입관(16)에 연결된다. 상기 펌프의 압력관(18)은 열 교환기(19)를 포함하며, 제어 밸브(20) 및 관(21)을 통해 이송 노즐(6)과 통한다. 처리액 순환 펌프(17)는 용기(1)로부터 흡입된 처리액이 이송 노즐(6) 및 용기(1)를 통해 순환될 수 있게 한다. 순환로는 도 1에 검게 표시되어 있다. 열 교환기(19) 및 처리액 순환 펌프(17)에 대해 평행하게 바이패스 관(22)이 놓인다. 상기 바이패스 관(22)은 차단 밸브(23)를 포함하며, 통(14)을 압력관(21)에 연결시킨다.
끝으로, 수용액, 에멀션 또는 분산액 중에 화학적 처리제를 포함하는 제제 용기(24)가 제공되어 있다. 상기 처리제는 처리제 펌프(25) 및 연결관(26)을 통해 처리액 순환 펌프(17)의 흡입관(16)내로 공급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상기 후염기는 본 경우 원통형 용기(1)의 축방향으로 나란히 놓인 4개의 저장기(8)를 포함하는 다중 저장기 후염기로서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저장기(8)에는 하나의 이송 노즐(6)이 배치되어 있다. 4개의 이송 노즐(6)은 이송 노즐 시스템을 형성한다. 상기 노즐 시스템에서 각각의 이송 노즐(6)에는 구동되는 릴(5)이 도 1에 나타나는 방식으로 배치되며, 상기 릴의 구동 장치는 상세히 도시되어 있지 않다. 릴(5)은 그 구동장치 및 하우징 부품(9)과 함께 릴 수단을 형성한다.
공기 역학적 원리에 따라 동작하는 후염기는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처리액을 릴 수단의 영역에서 로프(4)에 제공하기 위해, 상기 후염기에 부가의 수단이 제공된다. 이를 위해, 로프 이동 방향으로 볼 때 각각의 이송 노즐(6) 앞에 지지된, 하우징(9) 내에서 회전축(28)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릴(5)에는 처리액 노즐(29)(도 3)이 배치된다. 상기 노즐(29)은 하우징(9)의 연결부(30)내에 배치된다. 경우에 따라 분무 또는 분사 노즐로서 형성된 처리액 노즐(29)은 관(31)(도 1) 및 제어 밸브(32)를 통해 처리액 압력관(21)에 연결된다. 도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경우에는 4개의 이송 노즐(6)로 연장된 관(31)이 수집관(33)에 평행하게 연결되며, 상기 수집관(33)은 압력관(21)에 연결된다.
도 3은 처리액 노즐(29)이 그 오리피스의 영역에서 수직 방향으로부터 로프 이동 방향(10)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휘어짐으로써, 노즐 오리피스 축(34)이 로프 이송 방향(10)과 예각을 형성하며, 상기 예각의 정점이 로프 이동 방향으로 전방에 놓인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로 인해, 노즐(29)로부터 나온 처리액이 로프(4)의 이동 방향(10)으로 운동 성분을 갖게 된다.
도 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이송 노즐(6)은 로프(4)용 동축 관통 채널(36)을 가진 노즐 테이퍼(35)를 갖는다. 확산기(37)가 로프 이동 방향으로 상기 노즐 테이퍼(35)에 연결되며, 상기 확산기(37)는 노즐 테이퍼(35)와 함께 링 갭(38)을 형성한다. 링 갭(38)은 관형 노즐 하우징(39)내에 배치되며, 처리액 압력관(21) 및 (도 3에 도시되지 않은) 팬 압력관(13)이 상기 노즐 하우징 내로 통한다.
노즐 하우징(39)내의 처리액 압력관(21)의 오리피스는 도 3에 상세히 도시되지 않은 오리피스이며, 이 오리피스는 로프(4)의 이동 방향(10)을 향해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오리피스로부터 분사된 처리액의 액체 방울이 이송 매체 흐름에 의해 링 갭(38)내로 유입될 수 있다.
노즐 하우징(39)에 통하는 분사 또는 압력관(21)에 대한 대안으로서 또는 이것에 부가해서,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노즐 테이퍼(35)에 분사 채널(40)이 배치되고, 상기 분사 채널은 관통 채널(36)의 둘레에 균일하게 분포되어 이것과 통하도록 구성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분사 채널(40)은 도 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그 중심축이 로프 이동 방향(10)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됨으로써, 그것으로부터 나온 처리액 제트(jet)가 로프 이동 방향(10)으로 운동 성분을 갖게 된다. 나타나는 바와 같이, 분사 채널(40)들(이들 중 하나만이 도시됨)의 축들은 관통 채널(36)의 축과 90°미만의 각을 형성한다.
분사 채널(40)은 노즐 테이퍼(35)상에 놓인 링형 채널(410)에서 시작하며, 상기 링형 채널(410)은 관(21a)을 통해 처리액 순환 펌프(17)의 압력관(21)에 연결되어 있다.
작동 시에 처리액 순환 펌프(17)에 의해 도 1에 어둡게 표시된 순환로에서 순환되는 처리액이 압력관(21)을 통해 각각의 이송 노즐의 노즐 하우징(39)내로 분사되고 거기서 이송 매체 흐름에 의해 로프(4)에 제공된다. 경우에 따라 제제 용기(24)로부터 나오는 상기 처리액에는 특히 처리제 또는 염료가 첨가되며, 상기 처리액은 열 교환기에서 각각 필요한 처리 온도로 된다. 동시에, 처리액은 관(21) 및 노즐(29)을 통해 각각의 릴(5)의 영역에서 로프(4)에 제공된 후에, 노즐 테이퍼(35)내로 유입된다. 노즐 하우징(39) 및 처리액 노즐(29)에 대한 처리액의 분배는 2개의 제어 밸브(20, 32)(도 1)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으로서, 처리액은 도 3의 관(21a) 및 분사 채널(40)을 통해 로프(4)에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처리액 노즐(29)은 릴(5)의 상부로 통하는 한편, 처리액 노즐(29)의 오리피스는 릴(5)의 회전축(28)과 노즐 테이퍼(35)로의 로프 도입부 사이의 영역에 놓인다. 이것은 도 1에서 제어 밸브(32a)를 포함하는, 파선으로 도시된 관(31a)에 의해 가능하다. 로프에 대한 처리액의 제공은 노즐 테이퍼(35)내로 로프의 도입 전에 표면 분할되거나 또는 노즐 축(28)과 노즐 테이퍼(35) 사이의 섹션 내의 다수의 장소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도 4 내지 6에는 본 발명에 따른 습식 처리기의 또 다른 실시예에로서, 공기 역학적 원리에 따른 고온(HT)-후염기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는 상기 후염기의 폐쇄된 원통형 압력 용기로서 형성된 용기(1) 만이 도시되어 있다. 후염기는 다중 저장기 후염기이며 용기(1)내에 축방향으로 서로 나란히 배치된 4개의 벤추리 이송 노즐(6)을 포함한다. 각각의 이송 노즐(6)에 배치된 릴(5)은 릴(5)과 이송 노즐(6) 사이에 로프(4)의 거의 수평의 이동 경로가 주어지도록 배치된다.
도 1 내지 3과 동일한 부품은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며, 재차 설명되지 않는다. 도면에는 본 발명에 중요하지 않은 후염기의 부품들은 도시되지 있지 않다. 세부 사항은 EP 0 945 538 A1호를 참고할 수 있다.
각각의 이송 노즐(9) 내에서 로프(4)의 구동은 기체의 이송 매체, 즉 일반적으로 공기, 증기 또는 공기 증기 혼합물의 제공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용기(1)내에서 용기의 정면 영역에는 팬(11)이 배치된다. 상기 팬(11)은 전기 모터(11a)에 의해 구동되며 압력 채널(13)을 갖는다. 상기 압력 채널(13)은 4개의 저장기(3)의 축방향 길이에 걸쳐 연장된 이송 매체 분배기 박스(41)내로 통한다. 팬(11)은 흡입측에서 원통형 용기(1)에 대해 동축인 흡입관(42)과 연결된다. 상기 흡입관(42)은 용기(1)의 축방향 길이에 걸쳐 연장되며 그 벽에 상응하는 천공을 갖는다.
이송 매체 분배기 박스(41)의 정면(150)은 폐쇄되며 그 반대편 정면은 팬(11)의 압력 채널(13)에 연결된다. 상기 이송 매체 분배기 박스는 실제로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다(도 2 참고). 그것의 상부 커버벽(43)은 용기(1)의 셸의 곡률에 따라 지붕 형태로 형성된다.
이송 매체 분배기 박스(41)내에는 4개의 이송 노즐(6)이 특히 도 5, 6에 나타난 방식으로 축 평행하게 서로 나란히 삽입된다. 각각의 이송 노즐(6)은 노즐 테이퍼(35)를 가지며, 상기 노즐 테이퍼(35)는 캐취 노즐(37a)쪽으로 확대되는 동축 확산기(37)의 부분으로 동축 링 갭(38)을 제한한다. 상기 링 갭(38)을 통해 이송 매체가 균일하게 분배되어 확산기(37)내로 유입된다. 노즐 테이퍼(34)는 로프(4)용 동축 관통 채널(36)을 포함하며, 상기 관통 채널(36)은 원통형 섹션(45)과, 로프 도입부를 형성하는, 깔대기형으로 확대되는 동축 섹션(46)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동축 섹션(46)에는 원통형 섹션(45)이 이어진다.
도 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이송 노즐(6)들이 수평의 노즐 종축을 가진 이송 매체 분배기 박스(41) 내로 삽입되므로, 그 노즐 테이퍼(35) 및 그 확산기(37)는 서로 마주 놓인 박스 측벽(46)을 밀봉 방식으로 관통한다.
작동 중에, 이송 매체 분배기 박스(41)에 의해 둘러싸인 챔버에는 팬(11)에 의해 이송 매체가 제공되므로, 총 4개의 이송 노즐(6)은 처리액을 각각의 로프(4)에 균일하게 이송한다. 이송 노즐(6)이 삽입된 이송 매체 분배기 박스(41)는 소위 커먼 레일 원리에 따라 동작하며, 모든 이송 노즐의 매우 균일한 이송 매체 공급을 가능하게 한다.
특히 도 6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각각의 이송 노즐(6)의 노즐 테이퍼(35)는 처리액을 관통 채널(36)내로 분사하기 위한 수단들을 갖는다. 상기 수단들은 화살표(240)로 표시된 바와 같이 관통 채널(36)의 벽 둘레로 원주 방향으로 균일하게 분포 배치된다. 상기 분사 수단들은 분사 채널(40)들을 갖는다. 상기 분사 채널(40)들은 노즐 테이퍼(35)내에 형성되어 있으며 깔대기형으로 확대되는 관통 채널(36)의 섹션(46)내로 통한다. 분사 채널(40)의 오리피스는 언급한 바와 같이 원주방향으로 관통 채널 벽에 걸쳐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다. 도 6은 분사 채널이 노즐 종축(47)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됨으로써, 그 축이 종축(47)과 일정한 각을 형성하고, 그 정점이 로프 이동 방향(10)을 향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분사 채널은 오리피스 반대편 측면에서 노즐 테이퍼(35)상에 놓여, 이것을 둘러싸는 링 채널(410)의 내부 공간과 연결된다. 상기 링 채널(410)은 도 3의 관(21a)과 연결되어 있다.
분사 채널(40)로부터 노즐 테이퍼(35)의 관통 채널 내로 유입되는 처리액은 분사 채널(40)로부터 배출시 이동하는 로프(40)와 양호하게 접촉한다. 분사 채널(40)이 로프 이동 방향으로 노즐 종축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므로, 분사 채널로부터 나온 처리액이 여기서도 로프 이동 방향으로 운동 성분을 갖는다. 상기 운동 성분은 로프 이송을 지지한다. 처리액을 링 채널(41)에 공급하는 것은 압력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상기 압력은 로프 이동 방향(10)으로 향하는, 관통 채널(36)내로 유입되는 처리액의 성분의 속도가 로프(4)의 이동 속도와 대략 동일하도록 선택된다. 그러나, 각각의 조건에 따라 상기 운동 성분의 속도가 커지거나 작아질 수 있다.
대안으로서, 분사 채널(40)은 링형 채널(410)과 연결되는 링 갭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관통 채널(36)의 축방향으로 서로 나란히 놓인 다수 열의 분사 채널(40) 및/또는 상응하게 배치된 다수의 링 갭이 제공되어 있는 실시예도 가능하다.
기본적으로 분사 채널 또는 링 갭을 관통 채널(36)의 원통형 섹션(45)내에 배치할 수도 있다.
이 실시예에서도 도 1에서와 유사하게 로프에 처리액을 제공하기 위한 또 다른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이 수단은 릴(5)과 노즐 테이퍼(35) 사이의 로프 이동 경로 섹션과 통한다. 또한, 여기서 릴(5)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1) 내의 조작 개구(2) 영역에 직접 배치된다.
본 발명은 공기 역학적 원리에 따른 습식 처리기에 대한 사용에 국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액체의 이송 매체로 동작하는 제트 습식 처리기에도 사용될 수 있다.
로프의 세척시에, 이송 노즐을 통한 처리액 량을 증가시켜 세척 시간을 단축하고 양호한 세척 효과를 얻는다.
도 1은 후염기(piece dyeing machine) 형태의 본 발명에 따른 습식 처리기의 횡단면 및 개략적인 측면도.
도 2는 모든 부가 장치를 생략한 상태에서 도 1에 따른 후염기의 처리 용기의 측면도.
도 3은 도 1에 따른 후염기의 벤추리 이송 노즐의 확대 측면 및 부분 단면도.
도 4는 변형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후염기의 처리 용기의 종단면 및 측면도.
도 5는 도 4의 선 Ⅴ-Ⅴ를 따른 장치의 측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이송 노즐의 로프 도입 영역을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용기
2: 커버
4: 로프
5: 릴
6: 이송 노즐
7: 인출기
8: 저장기
9: 하우징 부품
10: 화살표
12, 16: 흡입관
13, 18, 21: 압력관
19: 열교환기
20: 제어 밸브
28: 회전축
29: 처리액 노즐
34: 노즐 오리피스 축
35: 노즐 테이퍼
36: 관통 채널
38: 링 갭
39: 노즐 하우징
40: 분사 채널
41: 이송매체 분배기 박스
46:섹션
47: 종축
410: 링 채널

Claims (19)

  1. 로프형 직물용 습식 처리기로서,
    - 폐쇄 용기(1),
    - 상기 용기(1) 내에서 순환하는 무한 로프(4)를 미리 주어진 이동 방향(10)으로 구동시키기 위해 이송 매체 흐름이 제공되고, 상기 이송 매체 흐름에 의해 관류되는, 한 측면이 관통 채널(36)을 가진 노즐 테이퍼(35)에 의해 제한되는 노즐 링 갭(38)을 포함하는 벤추리 이송 노즐 시스템(6),
    - 로프 이동 경로에서 이송 노즐 시스템 앞에 배치되고 각각의 로프가 이송 노즐 시스템 내로 도입될 수 있게 하는 릴 수단(5),
    - 상기 릴 수단(5)의 영역과 이송 노즐 시스템의 노즐 링 갭(38) 사이의 로프 이동 경로의 섹션에서 로프(4)에 대한 처리액 제공 수단(21, 39)
    을 포함하는 습식 처리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에 대한 처리액 제공 수단은 그것으로부터 나온 처리액이 로프의 이동 방향(10)으로 적어도 하나의 운동 성분을 갖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처리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릴 수단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릴(5)을 갖고, 처리액 제공 수단(29, 21a)은 릴(5) 상부의 영역과 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처리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릴 수단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릴(5)을 갖고, 처리액 제공 수단(29)은 회전축(28)과 이송 노즐 시스템의 노즐 테이퍼(17) 사이에 놓인 영역과 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처리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액 제공 수단은 분무 수단(29)을 통해 릴 수단의 영역과 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처리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분무 수단은 분무 노즐(2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처리기.
  7. 제2항 및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분무 노즐은 노즐 오리피스 영역에 오리피스 축(34)을 가지며, 상기 축(34)은 로프 이동 방향(10)과 90°미만의 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처리기.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습식 처리기는 노들 테이퍼(35)의 관통 채널(36)내로 처리액을 분사하기 위한 수단을 가지며, 상기 수단은 상기 관통 채널(36)을 제한하는 채널 벽 둘레로 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처리기.
  9. 제2항 및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 수단은 관통 채널(36)의 종축(47)에 대해 그것으로부터 관통 채널 내로 나온 처리액이 로프 이동 방향(10)으로 운동 성분을 갖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처리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 수단은 상기 종축(47)과 일정한 각으로 배치되고, 그것의 정점이 로프 이동 방향(10)을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처리기.
  11. 제8항 내지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 수단은 채널 벽 둘레에 분포되어 관통 채널(36)로 통하는 분사 채널(40)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처리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 채널(40)의 오리피스는 관통 채널(36)의 둘레에 걸쳐 균일하게 분포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처리기.
  13. 제8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 수단은 관통 채널(36)의 벽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링 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처리기.
  14. 제8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테이퍼의 관통 채널(36)은 깔대기형으로 확대되는 섹션(46)을 가지며, 상기 섹션은 로프(4)에 대한 도입 깔대기를 형성하고 분사 수단은 상기 섹션의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처리기.
  15. 제8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테이퍼(35)에는 처리액이 제공되는 분배기 챔버가 마련되고, 상기 챔버는 분사 수단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처리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기 챔버는 노즐 테이퍼 상에 놓인 링 채널(410)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처리기.
  17. 제8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습식 처리기는 기체의 이송 매체가 공급될 수 있는 이송 매체 분배기 챔버(41)를 가지며, 상기 이송 노즐(6)의 링 갭(38)은 상기 챔버(41)를 가지며, 상기 이송 노즐(6)의 링 갭(38)은 상기 챔버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처리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습식 처리기는 다수의 이송 노즐(6)을 가지며, 모든이송 노즐의 링 갭(38)은 공통 챔버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처리기.
  19.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기 챔버는 긴 이송 매체 분배기 박스(41)내에 형성되고, 상기 박스는 이송 매체 소오스에 연결되며, 상기 박스 내로 이송 노즐(6)내로 직접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처리기.
KR1020040083910A 2003-10-21 2004-10-20 로프형 직물용 습식 처리기 KR1008237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349374A DE10349374B4 (de) 2003-10-21 2003-10-21 Nassbehandlungsmaschine für strangförmiges Textilgut
DE10349374.3-26 2003-10-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8565A true KR20050038565A (ko) 2005-04-27
KR100823793B1 KR100823793B1 (ko) 2008-04-21

Family

ID=34384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3910A KR100823793B1 (ko) 2003-10-21 2004-10-20 로프형 직물용 습식 처리기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7578152B2 (ko)
EP (1) EP1526206B1 (ko)
KR (1) KR100823793B1 (ko)
CN (1) CN1329580C (ko)
AT (1) ATE482308T1 (ko)
DE (2) DE10349374B4 (ko)
ES (1) ES2353012T3 (ko)
HK (1) HK1073140A1 (ko)
PL (1) PL1526206T3 (ko)
PT (1) PT1526206E (ko)
SI (1) SI1526206T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8148B1 (ko) * 2005-12-08 2006-11-23 (주)경훈기계 고속 염색을 가능케 하는 혼합기를 갖는 윈치형액류염색장치
KR100696427B1 (ko) * 2005-12-08 2007-03-19 (주)경훈기계 원액의 반복 혼합구조에 의한 고속 염색이 가능한 윈치형액류염색장치
KR102097982B1 (ko) * 2019-12-16 2020-04-07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오리피스원리를 이용한 습식집진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7019217A1 (de) 2007-04-24 2008-10-30 Then Maschinen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Nassbehandlung strangförmigen Textilguts
DE102007036408B3 (de) * 2007-08-02 2008-12-18 Then Maschinen Gmbh Vorrichtung zum Behandeln von strangförmiger Textilware
CN101613919B (zh) * 2009-07-14 2013-10-30 无锡东宝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气流染色机的喷嘴
CN101613923B (zh) * 2009-07-14 2013-10-30 无锡东宝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气流染色机的喷头组件
IT1399060B1 (it) * 2010-03-22 2013-04-05 Brazzoli Spa Macchina per il trattamento in discontinuo di tessuti in corda
ES2612334T3 (es) * 2010-07-13 2017-05-16 Zhao-Cheng Jiang Máquina de tintura rápida por onda de choque de tipo impulso
EP2570543A4 (en) * 2011-06-10 2014-01-22 Zhejiang Yinhe Printing & Dyeing Co Ltd OVERFLOWING SYSTEM FOR A MACHINE FOR COLORING BY AERATION AND A METHOD THEREFORE USING WATER
CN103352341B (zh) * 2013-07-10 2015-03-04 杭州智能染整设备有限公司 高温高压汽液双流绳状染色机
DE102013110492B4 (de) * 2013-09-23 2015-06-11 Fong's Europe Gmbh Vorrichtung zur Behandlung von strangförmiger Textilware in Form eines endlosen Warenstrangs
JP6630131B2 (ja) * 2014-12-26 2020-01-15 株式会社クラレ ウインス染色装置及びウインス染色方法
DE102016005440A1 (de) * 2015-05-08 2016-11-10 Thies Gmbh & Co. Kg Vorrichtung zum kontinuierlichen Entwässern einer textilen Warenbahn
TWI646234B (zh) * 2015-08-28 2019-01-01 立信歐洲有限責任公司 處理裝置的繩狀紡織品
US10233579B2 (en) * 2016-02-19 2019-03-19 Zhejiang Yinhe Printing & Dyeing Co., Ltd. Blower for airflow dyeing machine
CN105803709B (zh) * 2016-05-24 2018-01-26 浙江显昱纤维织染制衣有限公司 织物面料印染设备
TWM559334U (zh) * 2017-07-28 2018-05-01 Zhang qi long 具有輸送帶帶動的雙噴嘴布匹染色機
CN110735259B (zh) * 2019-11-28 2024-05-17 汕头市鼎泰丰实业有限公司 一种棉纱喷染装置
CN111648063A (zh) * 2020-06-28 2020-09-11 浙江禾欣新材料有限公司 一种定岛超纤无张力碱液循环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500233C (de) * 1927-01-22 1930-06-23 Julius Gebauer Dr In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aeuchen von Geweben in Strangform
DE2046208C3 (de) * 1970-08-10 1978-11-16 Nihon Senshoku Kikai K.K., Ama, Aichi (Japan)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Naßbehandeln von Textilgut
US3718012A (en) * 1970-09-21 1973-02-27 M Vinas Device for the wet treatment of textile materials
US3966406A (en) * 1973-09-05 1976-06-29 Teijin Limited Process for jet dyeing fibrous articles containing polyester-type synthetic fibers
ES437120A1 (es) * 1974-06-26 1977-01-16 Krantz H Dispositivo perfeccionado de tratamiento humedo con un depo-sito de presion.
JPS5132883A (en) * 1974-09-09 1976-03-19 Nippon Dyeing Machine Mfg Co Seniseihinnoryutaishorisochi
US4036038A (en) * 1976-05-20 1977-07-19 Gaston County Dyeing Machine Company Apparatus for low liquor ratio wet processing of textile fabric
DE3019351A1 (de) * 1979-05-30 1980-12-04 Pegg S & Son Ltd Vorrichtung zum trocknen von schlauchfoermigen textilerzeugnissen
DE3142200A1 (de) * 1981-10-24 1983-05-05 Hoechst Ag, 6230 Frankfurt Verfahren zum behandeln von textilgut in jet-faerbeanlagen
JPS6170065A (ja) * 1984-09-13 1986-04-10 株式会社 日阪製作所 布帛の液流処理装置
IT1187084B (it) * 1985-08-27 1987-12-16 Biancalani F & C Off Mec Macchina per lavaggio,rottura e follatura di tessuti,con trascinamento pneumatico
ES2009908A6 (es) * 1988-04-22 1989-10-16 Montaje Y Construcciones Del H Perfeccionamientos en las maquinas para tenir a alta temperatura.
DE68912927T2 (de) * 1989-03-31 1994-08-11 Brazzoli Spa Beschleunigende Vorrichtung für ein Färbebad.
DE4002477A1 (de) * 1990-01-29 1991-08-01 Krantz H Gmbh & Co Nassbehandlungsvorrichtung fuer strangfoermiges textilgut
FR2658210B1 (fr) * 1990-02-13 1993-10-29 Champagne Teinturerie Procede de traitement et de reajustement d'un bain de traitement (teinture) de produits textiles ainsi que dispositif utilise pour la mise en óoeuvre de ce procede.
ES2065194B1 (es) * 1991-05-13 1996-02-01 Clermont Jose Maria Serracant Sistema aplicable a maquinas para el tratamiento tanto en seco como en humedo de tejidos en cuerda dispuestos en anillo cerrado.
JPH0647783B2 (ja) * 1992-02-20 1994-06-22 株式会社日阪製作所 布帛等の液流処理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装置
US5402659A (en) * 1994-03-25 1995-04-04 Gaston County Dyeing Machine Company Apparatus for driving a lifter reel in a fabric wet processing machine
EP0908550B1 (en) * 1997-09-26 2001-07-04 BRAZZOLI SpA Process and machine for rope fabric treatment
DE19813593C2 (de) * 1998-03-27 2002-03-28 Then Maschinen Und Appbau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Behandlung von strangförmigem Textilgut
DE19924180A1 (de) * 1999-05-27 2000-11-30 Thies Gmbh & Co Kg Vorrichtung zur Behandlung eines endlosen Warenbahnstranges
KR200178717Y1 (ko) 1999-10-27 2000-04-15 장동철 드럼형 액류염색기
UA73147C2 (en) * 1999-11-02 2005-06-15 Apparatus for continuous and combined action for vibration-intensified dyeing with spraying at whole width of the fabric
US6393871B1 (en) * 1999-11-09 2002-05-28 Chao-Cheng Chiang Continuously and combiningly operable breadth expansion and vibration enhanced spray dyeing machine
US6427495B1 (en) * 2000-06-08 2002-08-06 Lorenzo Berlendis Compact machine for the treatment of cord fabrics, in particular for dyeing
GB2364329B (en) * 2000-07-03 2004-02-11 Falmer Investment Ltd Jet dyeing machine for and method of dyeing a fabric rope
GB2409211B (en) * 2001-09-28 2005-10-19 Falmer Investment Ltd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fabric processing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8148B1 (ko) * 2005-12-08 2006-11-23 (주)경훈기계 고속 염색을 가능케 하는 혼합기를 갖는 윈치형액류염색장치
KR100696427B1 (ko) * 2005-12-08 2007-03-19 (주)경훈기계 원액의 반복 혼합구조에 의한 고속 염색이 가능한 윈치형액류염색장치
KR102097982B1 (ko) * 2019-12-16 2020-04-07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오리피스원리를 이용한 습식집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353012T3 (es) 2011-02-24
PT1526206E (pt) 2010-12-17
EP1526206A2 (de) 2005-04-27
US20070137562A1 (en) 2007-06-21
HK1073140A1 (en) 2005-09-23
KR100823793B1 (ko) 2008-04-21
ATE482308T1 (de) 2010-10-15
CN1329580C (zh) 2007-08-01
PL1526206T3 (pl) 2011-03-31
US7578152B2 (en) 2009-08-25
DE10349374B4 (de) 2009-04-09
DE10349374A1 (de) 2005-06-09
DE502004011675D1 (de) 2010-11-04
EP1526206B1 (de) 2010-09-22
SI1526206T1 (sl) 2011-01-31
CN1629384A (zh) 2005-06-22
EP1526206A3 (de) 2006-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3793B1 (ko) 로프형 직물용 습식 처리기
US5243840A (en) Apparatus for wet treatment of textile material
CN101294337B (zh) 用于湿处理束状纺织织物的方法和设备
US4338876A (en) Application of liquids to textiles
US2006025399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textile goods in rope form
TWI464312B (zh) 用於處理繩狀紡織品之方法與裝置
US4996854A (en) Apparatus for treating textile materials
JP2017029978A (ja) フィラメント引き延ばし式霧化装置
KR100813778B1 (ko) 로프형 직물 처리 방법 및 장치
EP1988205B1 (en) Nozzle for jet fabric dyeing machine
EA003124B1 (ru) Способ и аппарат для герметизации капсул, а также капсулы, пригодные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в указанных способе и аппарате
KR100472872B1 (ko) 섬유사(실)의 이송 및 액체공급노즐과 적어도 한가닥의연속섬유사 형태인 섬유재의 액체처리장치
JPH0673658A (ja) ロープ状繊維製品の気流式処理装置及び処理方法
JP2006207041A (ja) 紐状の繊維製品の湿式処理機械
US5187955A (en) Center shaft dye injection apparatus
CS198120B2 (en) Device for concentrating the solution of the substance in the solvent
US5762985A (en) Method of smoking food
ITTO990211A1 (it) Dispositivo per la messa in sospensione di sostanze in un liquido, e s istema di preparazione di miscele liquido-sostanze per tintoria che ut
CN215328773U (zh) 一种面料加工装置
CN117626602A (zh) 一种衣物处理设备
KR101341603B1 (ko) 윈치형 액류 염색장치
CN116926818A (zh) 一种气流染色机
JP3101150U (ja) 気液式染液噴射染色装置
JP2004150004A (ja) 気液式染液噴射染色装置
IT201900009648A1 (it) Gruppo di trattamento provvisto di una vasca per il trattamento di un nastro di tessut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6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