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8554A - X선 사진 촬영자 지원 시스템 - Google Patents

X선 사진 촬영자 지원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8554A
KR20050038554A KR1020040083039A KR20040083039A KR20050038554A KR 20050038554 A KR20050038554 A KR 20050038554A KR 1020040083039 A KR1020040083039 A KR 1020040083039A KR 20040083039 A KR20040083039 A KR 20040083039A KR 20050038554 A KR20050038554 A KR 200500385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rable device
human body
data
transmission path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3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시지후꾸로
Original Assignee
코니카 미놀타 메디칼 앤드 그래픽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니카 미놀타 메디칼 앤드 그래픽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코니카 미놀타 메디칼 앤드 그래픽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38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8554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3/00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B3/00 - H04B11/00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 G01N23/2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measuring secondary emission from the material
    • G01N23/223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measuring secondary emission from the material by irradiating the sample with X-rays or gamma-rays and by measuring X-ray fluorescenc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42/00Obtaining record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Visualisation of such records by using optical means
    • G03B42/02Obtaining record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Visualisation of such records by using optical means using X-rays
    • G03B42/04Holders for X-ray fil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23/00Investigating materials by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1N2223/07Investigating materials by wave or particle radiation secondary emission
    • G01N2223/076X-ray fluorescence

Abstract

웨어러블 기기에 의해 일정 기간마다 카세트형 FPD에 데이터 요구 신호가 출력된다(단계 S1). 웨어러블 기기를 장착한 X선 사진 촬영자의 손이 카세트형 FPD에 접촉한 경우, 즉, 카세트형 FPD로부터의 응답이 있는 경우에는(단계 S2; YES), 카세트형 FPD와 웨어러블 기기의 데이터 통신이 행하여지고, 웨어러블 기기에 의해 카세트형 FPD로부터 촬영 관련 데이터 또는 촬영 화상 데이터가 취득된다(단계 S3).

Description

X선 사진 촬영자 지원 시스템{RADIOGRAPHER SUPPORT SYSTEM}
본 발명은 X선 사진을 촬영하는 촬영자를 지원하기 위한 X선 사진 촬영자 지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의료 분야에서는 환자를 촬영한 의용 화상의 디지털화가 실현되고 있고, 컴퓨터 방사선 화상 촬영 장치(Computed Radiography; 이하, CR이라고 함)나 플랫 패널 검출기(Flat Panel Detector; 이하, FPD라고 함) 등의 의용 화상 촬영 장치가 이용되고 있다.
CR은 지지체 상에 휘진성 형광체(stimulable phosphor)층을 형성한 형광체 플레이트를 이용하는 것으로, 환자를 투과한 방사선을 형광체 플레이트에 흡수시킨 후, 여기 광을 조사하여, 형광체 플레이트에 흡수된 방사선 에너지를 여기시켜 형광으로서 방사시키고, 이 방사된 형광을 광전 변환하여 화상 신호를 얻는 것이다. 형광체 플레이트는 운반 가능한 카세트에 수납되어 있고, 카세트 전용의 판독 장치(리더)에 의해서 화상의 판독을 행한다.
X선 사진 촬영자는 촬영 대상으로 되는 환자명이나 촬영 부위 등을 파악해 놓을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미리 환자명이나 촬영 부위 등을 나타내는 바코드를 카세트에 붙여 놓고, 이 바코드를 판독함으로써, 환자명이나 촬영 부위 등을 확인한다. 또한, 이들 정보가 카세트 내의 기억 장치에 기억되고, 리더에 의해 판독되는 경우도 있다. 아무튼, 촬영자가 환자명이나 촬영 부위 등의 정보를 취득하기 위해서는, 바코드의 판독 장치나 리더가 설치되어 있는 장소까지 가지 않으면 안 되어, 확인을 위한 시간이 걸려, 작업 지연의 원인으로 될 우려가 있다.
다른 통신 방법으로서, 무선 LAN(Local Area Network)이나 적외선 통신 등과 같이, 무선에 의해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전자파가 주위로 확대되어, 데이터의 누설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시큐러티 레벨이 저하된다.
그래서, 보다 간이하고 안전한 방법을 이용하여 정보를 전송하는 것이 기대된다. 예를 들면, 인체에 접촉하고 있는 송신 장치로부터 수신 장치에 인체를 통하여 정보를 전송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1 참조).
<특허 문헌1> 일본 특허 공개 2003-37566호 공보
그러나, 상기 특허 문헌1에 개시된 정보 전송 시스템에서는, 인체를 전송로로 한 통신 방법을, X선 사진 촬영에 이용하는 카세트에 적용한다는 기술은 되어 있지 않았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환자의 X선 촬영 화상을 기록하는 기록 장치로부터 촬영 화상 데이터 또는 촬영 관련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는 X선 사진 촬영자 지원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일 국면에 따르면, 환자의 X선 촬영 화상을 기록하는 기록 매체가 내장된 케이싱에, 상기 X선 촬영 화상에 관련한 촬영 관련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제1 통신 수단, 및 이 제1 통신 수단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인체에 접촉 가능한 제1 전극이 마련된 운반 가능한 기록 장치와, 상기 제1 통신 수단과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제2 통신 수단, 및 이 제2 통신 수단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인체에 접촉 가능한 제2 전극이 마련된 웨어러블 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전극으로부터 상기 제2 전극에, 인체를 전송로로 하여,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의 X선 촬영 화상 데이터 또는 상기 기억 수단으로부터의 촬영 관련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따르면, 실시예 1에 기재된 X선 사진 촬영자 지원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촬영 관련 데이터는 촬영되는 환자명, 촬영 부위, 촬영자, 촬영 일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3)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따르면, 실시예 1 또는 2에 기재된 X선 사진 촬영자 지원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기기는, 상기 X선 촬영 화상 데이터 혹은 상기 촬영 관련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 또는 상기 촬영 관련 데이터를 음성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4)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따르면, 실시예 3에 기재된 X선 사진 촬영자 지원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기기는, 상기 기록 장치가 미 촬영인 경우에, 상기 기록 장치가 미 촬영인 것을 표시하거나 또는 음성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5)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따르면, 실시예 1-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X선 사진 촬영자 지원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기기는, 동일 인체에 장착된 다른 웨어러블 기기와, 인체를 전송로로 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6)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따르면, 실시예 1-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X선 사진 촬영자 지원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기록 장치는, 인체 또는 공중(空中)을 전송로로 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에 필요한 전력을 상기 웨어러블 기기로부터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7)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따르면, 실시예 1-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X선 사진 촬영자 지원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기기는 손목 시계,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헤드폰 또는 인체에 장착 가능하게 구성된 PDA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1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제1 전극과 제2 전극의 사이에서, 인체를 전송로로 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기 때문에, 웨어러블 기기에 의해, 기록 장치로부터 촬영 화상 데이터 또는 촬영 관련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다. 따라서, 촬영자는 촬영 화상 데이터 또는 촬영 관련 데이터를 간단히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2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촬영 관련 데이터는 촬영되는 환자명, 촬영 부위, 촬영자, 촬영 일시를 포함하기 때문에, 촬영자는 환자명, 촬영 부위, 촬영자, 촬영 일시를 간단히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3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웨어러블 기기는, X선 촬영 화상 데이터 혹은 촬영 관련 데이터를 표시하거나, 또는 촬영 관련 데이터를 음성 출력하기 때문에, 촬영자에게 촬영 관련 데이터나 촬영 화상 데이터를 문자나 화상, 음성으로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 4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웨어러블 기기는 기록 장치가 미 촬영인 경우에, 기록 장치가 미 촬영인 것을 표시하거나 또는 음성 출력할 수 있다.
실시예 5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웨어러블 기기는, 동일 인체에 장착된 다른 웨어러블 기기와, 인체를 전송로로 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기 때문에, 복수의 웨어러블 기기가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다.
실시예 6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기록 장치는 인체 또는 공중을 전송로로 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에 필요한 전력을 웨어러블 기기로부터 공급받기 때문에, 통신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을 가질 필요가 없다.
실시예 7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손목 시계,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헤드폰 또는 인체에 장착 가능하게 구성된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를 이용하여, 촬영자에게 촬영 화상 데이터나 촬영 관련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단, 발명의 범위는 도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실시 형태)
우선,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하여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의 X선 사진 촬영자 지원 시스템(1)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X선 사진 촬영자 지원 시스템(1)은, 기록 장치로서의 카세트형 플랫 패널 검출기(이하, 카세트형 FPD라고 함)(2)와, 웨어러블 기기(3)로 구성되어 있다. 카세트형 FPD(2)와 웨어러블 기기(3)는 인체와 접촉하고, 인체를 전송로로 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한다. 웨어러블 기기(3)란, 인체에 장착 가능하게 구성된 기기를 말하며, 여기서는, 손목 시계형(대역 장착형)의 웨어러블 기기(3)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웨어러블 기기(3)에는 손목 시계로서의 기능이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도 2에 카세트형 FPD(2)의 기능적 구성을 나타낸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세트형 FPD(2)는 케이싱에, 전원(21), 통신부(22), 제어부(23), 촬상 패널(24), 메모리(25), 충전용 단자(26), 전력 수신용 안테나(27), 전극(28), PC용 통신 단자(29)가 마련되고, 운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전원(21)은 전지 또는 충전 전지에 의해 구성되고, 각 부에 전력을 공급한다. 전원(21)은 카세트형 FPD(2)의 케이싱 표면에 마련된 충전용 단자(26)에 의해 충전을 행한다. 카세트형 FPD(2)와 웨어러블 기기(3)의 통신중에 있어서는, 전력 수신용 안테나(27)에 의해 웨어러블 기기(3)로부터 전력의 공급을 받는다.
통신부(22)는 인체를 전송로로 하여 웨어러블 기기(3)와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송신기 및 수신기와, PC(Personal Computer) 등과의 통신을 행하는 통신 장치로 구성된다. PC 등과의 통신은, PC 등을 이용하여 카세트형 FPD(2)로부터 촬영 화상 데이터를 판독할 때나, 카세트형 FPD(2)에 촬영 관련 데이터를 입력할 때에 행해진다.
제어부(23)는 도시하지 않은 CPU(Central Processing Unit), ROM(Read Only Memory) 등에 의해 구성되고, 통신부(22), 촬상 패널(24), 메모리(25)를 제어한다. CPU는 통신부(22)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에 따라서, ROM에 기억되어 있는 각종 프로그램과의 협동에 의해서 각종 처리를 실행한다.
촬상 패널(24)은 조사된 X선의 강도에 따라서 발광하는 형광체를 주성분으로 하는 형광체층, 형광체층에 의해 발광된 전자파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전하 발생층, 전기 에너지를 화소마다 저장하는 컨덴서, 저장된 전기 에너지를 신호로서 출력하기 위한 스위칭 소자로 구성되고, 촬영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 촬영 화상 데이터는 메모리(25)에 기억된다.
메모리(25)는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나 SDRAM(Synchronou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등의 휘발성 메모리, 또는 플래시 메모리 등의 불휘발성 메모리에 의해 구성된다. 메모리(25)는 촬영에 관한 촬영 관련 데이터나, 촬상 패널(24)에 의해 얻어진 촬영 화상 데이터를 기억한다. 또한, 제어부(23)에 있어서, 데이터의 일시 보존이 필요한 경우 등에도 이용된다. 촬영 관련 데이터란, 촬영되는 환자명, 촬영 부위, 촬영자, 촬영 일시 등을 말한다.
충전용 단자(26)는 전원(21)을 충전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며, 크레이들과의 커넥터이다. 크레이들은 스탠드형의 접속 기기이고, 카세트형 FPD(2)를 탑재하는 것에 의해 PC 등과 접속할 수 있다.
전력 수신용 안테나(27)는 웨어러블 기기(3)로부터 전력의 공급을 받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며, 카세트형 FPD(2)의 내부 또는 표면에 마련되어 있다. 전력 수신용 안테나(27)를 통하여 웨어러블 기기(3)로부터 공급된 전력에 의해서, 웨어러블 기기(3)와 데이터의 송수신이 행하여진다.
전극(28)은 카세트형 FPD(2)의 케이싱 표면에 마련되고, 통신부(22)의 송신기 및 수신기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며, 인체를 전송로로 하여 웨어러블 기기(3)와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전극(28)은 카세트형 FPD(2)의 케이싱 측면 등의 화상 촬영 영역 외부에 마련되고, 전극(28)에 촬영자가 접촉함으로써, 데이터 통신이 행해진다.
PC용 통신 단자(29)는 PC 등과 접속하여 통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며, 크레이들과의 커넥터이다. PC용 통신 단자(29)는 통신부(22)의 PC 등과의 통신을 행하는 통신 장치와 접속되어 있다.
다음으로, 웨어러블 기기(3)의 기능적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웨어러블 기기(3)는 전원(31), 통신부(32), 조작부(33), 제어부(34), 표시부(35), 메모리(36), 충전용 단자(37), 전력 송신용 안테나(38), 전극(39), PC용 통신 단자(40)를 포함한다.
전원(31)은 전지 또는 충전 전지에 의해 구성되고, 각 부에 전력을 공급한다. 전원(31)은 웨어러블 기기(3)의 표면에 마련된 충전용 단자(37)에 의해 충전을 행한다.
통신부(32)는 송신기 및 수신기로 구성되고, 인체를 전송로로 하여 카세트형 FPD(2) 또는 다른 웨어러블 기기와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한다.
조작부(33)는 각종 기능 버튼 등에 의해 구성되고, 버튼 조작에 의한 누름 신호를 제어부(34)에 출력한다. 표시부(35)에 표시되는 내용의 전환이나, 표시 내용의 리셋, 강제적으로 통신을 행할 때 등에 사용한다.
제어부(34)는 도시하지 않은 CPU, ROM 등에 의해 구성되고, 통신부(32), 조작부(33), 표시부(35), 메모리(36)를 제어한다. CPU는 통신부(32)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 또는 조작부(33)로부터 입력되는 지시에 따라서, ROM에 기억되어 있는 각종 프로그램과의 협동에 의해서 각종 처리를 실행한다.
표시부(35)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EL(Electro Luminescence) 등의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에 의해 구성되고, 카세트형 FPD(2) 또는 다른 웨어러블 기기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표시한다.
메모리(36)는 SRAM이나 SDRAM 등의 휘발성 메모리, 또는 플래시 메모리 등의 불휘발성 메모리에 의해 구성된다. 메모리(36)는 카세트형 FPD(2) 또는 다른 웨어러블 기기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기억한다.
충전용 단자(37)는 전원(31)을 충전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전력 송신용 안테나(38)는 카세트형 FPD(2)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며, 웨어러블 기기(3)의 내부 또는 표면에 마련되어 있다.
전극(39)은 웨어러블 기기(3)의 표면에 마련되고, 통신부(32)의 송신기 및 수신기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인체를 전송로로 하여 카세트형 FPD(2) 또는 다른 웨어러블 기기와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전극(39)은 인체에 웨어러블 기기(3)를 장착할 때에 인체와 접촉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PC용 통신 단자(40)는, PC 등과 접속하여 통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다음으로, 카세트형 FPD(2)의 통신부(22), 웨어러블 기기(3)의 통신부(32)에 포함되는 송신기(4), 수신기(5)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웨어러블 기기(3)에서의 송신기(4)의 기능적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송신기(4)는 전원(401), 신호 송신부(전력의 송신도 포함함)(402), 전력 송신부(403) 등을 포함한다.
전원(401)은 전지 또는 충전 전지에 의해 구성되고, 각 부에 전력을 공급한다. 전원(401)은 웨어러블 기기(3)의 전원(31)으로 대체하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
신호 송신부(402)는 메모리(404), 제어부(405), 반송파 발생원(406), 변조기(407), 대역 통과 필터(Band Pass Filter; 이하, BPF라고 함)(408), 증폭기(Amplifier; 이하, AMP라고 함)(409), 동조 회로(410)를 포함한다.
메모리(404)는 웨어러블 기기(3)의 내부에 있어서의 송신기(4)의 외부와의 접속부(411)로부터 송신기(4)에 입력된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보존하기 위한 메모리이고, SRAM이나 SDRAM 등의 휘발성 메모리, 또는 플래시 메모리 등의 불휘발성 메모리에 의해 구성된다. 메모리(404)는 웨어러블 기기(3)의 메모리(36)로 대체하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
제어부(405)는 통상 CPU 등에 의해 구성되고, 송신기(4)를 제어한다. 제어부(405)는 메모리(404)에 보존된 데이터 또는 접속부(411)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신호 처리하여, 변조기(407)에 출력한다. 제어부(405)는 웨어러블 기기(3)의 제어부(34)로 대체하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
반송파 발생원(406)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반송파를 발생시킨다.
변조기(407)는 제어부(405)로부터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반송파를 변조하여, 변조 신호를 BPF(408)에 출력한다.
BPF(408)는 변조기(407)로부터 입력된 변조 신호로부터, 변조기(407)에 의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노이즈(고조파)를 제거하고, 원하는 주파수 신호만의 변조 신호로 하여, AMP(409)에 출력한다.
AMP(409)는 송신되는 변조 신호를 증폭하여, 동조 회로(410)에 출력한다.
동조 회로(410)는 공진 회로에 의해 구성되고, AMP(409)에 의해 증폭된 신호로부터 원하는 주파수의 신호만을 출력하는 필터로서 기능한다. 또한, 전송로로 되는 인체와의 임피던스 매칭을 취하는 효과도 있어, 효율적으로 신호를 출력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동조 회로(410)의 출력 단자는 웨어러블 기기(3)의 송신 전극(39a)과 접속되어 있다.
송신 전극(39a), GND 전극(39b)(도 3의 전극(39))은 웨어러블 기기(3)의 표면에, 인체와 접촉하도록 각각 마련되어 있다. 인체를 전송로로 하는 데이터 통신은, 전기 신호가 피부의 표면을 전파하는 것에 의해 행해지기 때문에, 송신 전극(39a), GND 전극(39b)은 안테나의 형상을 갖고 있어도 된다. 접지되어 있는 GND 전극(39b)은 없어도 되지만, GND 전극(39b)을 마련함으로써, 신호가 인체의 표면을 따라 효율적으로 전송된다.
전력 송신부(403)는 반송파 발생원(412), BPF(413), AMP(414), 동조 회로(415)를 포함한다. 전력 송신부(403)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는 카세트형 FPD(2)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므로, 데이터 신호의 중첩은 행해지지 않는다. 또한, 송신 전극(39a)으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 신호와, 전력 송신부(403)로부터 출력되는 전력 송신용의 신호는, 서로 다른 주파수인 것으로 한다. 또한, 카세트형 FPD(2)의 수신기 측에서, 인체를 전송로로 한 데이터 신호로부터 충분한 전력 공급이 얻어지는 경우에는, 전력 송신부(403)가 없는 구성이어도 된다.
반송파 발생원(412)은 카세트형 FPD(2)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반송파를 발생시킨다.
BPF(413)는 반송파 발생원(412)으로부터 입력된 반송파로부터 노이즈(고조파)를 제거하고, 원하는 주파수 신호만의 신호로 하여, AMP(414)에 출력한다.
AMP(414)는 송신되는 신호를 증폭하여 동조 회로(415)에 출력한다.
동조 회로(415)는 공진 회로에 의해 구성되고, AMP(414)에 의해 증폭된 신호로부터 원하는 주파수의 신호만을 출력하는 필터로서 기능한다. 또한, 전송로로 되는 공간과의 임피던스 매칭을 취하는 효과도 있어, 효율적으로 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 동조 회로(415)의 출력 단자는 웨어러블 기기(3)의 전력 송신용 안테나(38)와 접속되어 있다.
카세트형 FPD(2)에 있어서의 송신기(4)에 대해서는, 웨어러블 기기(3)측으로 전력을 송신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전력 송신부(403)가 없는 구성으로 된다. 그 밖의 구성에 대해서는 웨어러블 기기(3)에 있어서의 송신기(4)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전원(401), 메모리(404), 제어부(405)에 대해서는, 카세트형 FPD(2)의 전원(21), 메모리(25), 제어부(23)로 대체하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
다음으로, 카세트형 FPD(2)에 있어서의 수신기(5)의 기능적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신기(5)는 전원(501), 신호 수신부(전력의 수신도 포함함)(502), 전력 수신부(503) 등을 포함한다.
수신 전극(28c)(도 2의 전극(28))은 카세트형 FPD(2)의 표면에, 인체와 접촉하도록 각각 마련되어 있다. GND 전극(28d)은 카세트형 FPD(2)의 그라운드와 접속되어 있다. GND 전극(28d)은 없어도 된다.
전원(501)은 전지 또는 충전 전지에 의해 구성되고, 각 부에 전력을 공급한다. 전원(501)은 카세트형 FPD(2)의 전원(21)으로 대체하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
신호 수신부(502)는 동조 회로(504), AMP(505), BPF(506), 반송파 발생원(507), 복조기(508), 메모리(509), 제어부(510)를 포함한다.
동조 회로(504)는 공진 회로에 의해 구성되고, 수신 전극(28c)으로부터 입력되는 수신 신호로부터 원하는 주파수의 신호만을 취득하는 필터로서 기능한다. 또한, 전송로로 되는 인체와의 임피던스 매칭을 취하는 효과도 있어, 효율적으로 신호를 수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AMP(505)는 수신된 변조 신호를 증폭하여, BPF(506)에 출력한다.
BPF(506)는 AMP(505)에 의해 증폭된 변조 신호로부터, AMP(505)에 의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노이즈(고조파)를 제거하고, 원하는 주파수 신호만의 변조 신호로 하여, 복조기(508)에 출력한다.
반송파 발생원(507)은 통상, 수신기(5)에는 필요없지만, 변조 방법에 따라서는 수신한 변조 신호를 원래의 데이터 신호로 변환하기 위해서 필요한 경우가 있다.
복조기(508)는 수신된 변조 신호로부터 데이터 신호를 추출한다.
메모리(509)는 수신기(5)에 의해 수신되고, 카세트형 FPD(2)에 있어서 접속부(511)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보존하기 위한 메모리이고, SRAM이나 SDRAM 등의 휘발성 메모리, 또는 플래시 메모리 등의 불휘발성 메모리에 의해 구성된다. 메모리(509)는 카세트형 FPD(2)의 메모리(25)로 대체하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
제어부(510)는 통상 CPU 등에 의해 구성되고, 수신기(5)를 제어한다. 제어부(510)는 수신 데이터를 신호 처리하여, 그 내용을 메모리(509)에 저장하거나, 또는 접속부(511)로부터 출력한다. 제어부(510)는 카세트형 FPD(2)의 제어부(23)로 대체하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
전력 수신부(503)는 동조 회로(512), 정류·평활 회로(513)를 포함한다.
동조 회로(512)는 공진 회로에 의해 구성되고, 전력 수신용 안테나(27)에 의해 수신한 전파로부터 원하는 주파수의 신호만을 취득하는 필터로서 기능한다. 또한, 전송로로 되는 공간과의 임피던스 매칭을 취하는 효과도 있어, 효율적으로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정류·평활 회로(513)는, 정류 회로 및 평활 회로에 의해 구성되고, 전력 수신용 안테나(27) 또는 수신 전극(28c)에 의해 수신한 신호를 정류·평활하여, 수신기(5) 및 송신기(4)(또는 송수신기)에 있어서 이용 가능한 직류의 전류, 전압을 얻는다. 이에 의해, 카세트형 FPD(2) 내부에 전원을 갖지 않는 경우에도 통신이 가능하다. 또한, 인체를 전송로로 하여 수신 전극(28c)에 의해 수신되는 데이터 신호로부터 충분한 전력 공급이 얻어지는 경우에는, 전력 수신용 안테나(27)가 없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 경우,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전극과 전력 공급을 위한 전극이 동일하기 때문에, 전력 공급용의 회로의 일부나 안테나가 불필요해져,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고,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전력 수신용 안테나(27)는 수신 전극(28c)으로부터의 전력 공급이 적은 경우에 유효하고, 인체를 전송되는 데이터 신호와는 별도 계통으로부터 전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전력 수신용 안테나(27) 및 송신기(4)에서의 전력 송신용 안테나(38)는, 인체에 접촉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통상의 무선과 마찬가지로 공중을 경로로 하여, 전력의 공급을 행할 수 있다. 이 전력 공급용의 전파에는 데이터가 중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데이터 누설과는 무관하다.
웨어러블 기기(3)에 있어서의 수신기(5)에 대해서는, 전력 공급이 행하여지지 않기 때문에, 전력 수신부(503)가 없는 구성으로 된다. 그 밖의 구성에 대해서는 카세트형 FPD(2)에 있어서의 수신기(5)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전원(501), 메모리(509), 제어부(510)에 대해서는, 웨어러블 기기(3)의 전원(31), 메모리(36), 제어부(34)로 대체하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
이상, 도 4, 도 5를 참조하여, 송신기(4), 수신기(5)에 대하여 각각 설명했지만, 송신기(4), 수신기(5)를 별개의 부재로 하지 않고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은, 송신 기능과 수신 기능을 갖는 송수신기(6)를 포함하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송수신기(6)는 전원(401)(501), 동조 회로(504), AMP(505), BPF(506), 반송파 발생원(406)(507), 복조기(508), 메모리(404)(509), 제어부(405)(510), 변조기(407), BPF(408), AMP(409), 동조 회로(410), 동조 회로(512), 정류·평활 회로(513), 반송파 발생원(412), BPF(413), AMP(414), 동조 회로(415) 등을 포함한다. 송수신기(6)의 구성에 대해서는, 송신기(4) 및 수신기(5)의 구성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동일한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송수신기(6)의 경우, 송신기, 수신기의 제어부는 동일한 것으로 겸하여도 되고, 별도로 마련하여도 된다.
다음으로, X선 사진 촬영자 지원 시스템(1)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X선 사진 촬영자 지원 시스템(1)에 의해서 실행되는 촬영 관련 데이터 및 촬영 화상 데이터의 통신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카세트형 FPD(2)의 메모리(25)에는 미리 촬영 관련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다. 촬영 관련 데이터의 등록은, PC 등과 접속되어 있는 크레이들에 카세트형 FPD(2)를 장착한 상태로, PC 등으로부터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에 의해 행해진다. 또한, 카세트형 FPD(2)의 메모리(25)에는 환자를 촬영하여 얻어진 촬영 화상 데이터가 기억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웨어러블 기기(3)에 의해 일정 기간마다 카세트형 FPD(2)에 데이터 요구 신호가 출력된다(단계 S1). 카세트형 FPD(2)로부터의 응답이 없는 경우에는(단계 S2; NO), 재차, 웨어러블 기기(3)로부터 카세트형 FPD(2)에 데이터 요구가 행해진다(단계 S1).
웨어러블 기기(3)를 장착한 X선 사진의 촬영자의 손이 카세트형 FPD(2)의 전극(28)에 접촉한 경우, 즉, 카세트형 FPD(2)로부터의 응답이 있는 경우에는(단계 S2; YES), 카세트형 FPD(2)와 웨어러블 기기(3)의 데이터 통신이 행해지고, 웨어러블 기기(3)에 의해 카세트형 FPD(2)로부터 촬영 관련 데이터 및 촬영 화상 데이터가 취득된다(단계 S3).
카세트형 FPD(2)와 웨어러블 기기(3)의 데이터 통신이 종료한 경우에는(단계 S4; YES), 웨어러블 기기(3)로부터 카세트형 FPD(2)에 데이터 수신 완료 신호가 송신된다(단계 S5).
데이터 수신 완료 처리가 종료한 경우에는(단계 S6; YES), 다음 촬영 관련 데이터 및 촬영 화상 데이터의 통신 처리의 대기 상태로 된다. 또한, 데이터 통신중에, 카세트형 FPD(2)로부터 촬영자의 손이 떨어진 경우 등, 일정 기간 응답이 없고, 통신 불능으로 된 경우에는(단계 S4; NO, 단계 S6; NO), 개시로 되돌아가는 것으로 한다.
이상으로, 촬영 관련 데이터 및 촬영 화상 데이터의 통신 처리가 종료한다.
이하, 상태 천이도를 참조하여, 각 처리의 예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에 데이터 요구 시의 웨어러블 기기(3) 및 카세트형 FPD(2)의 상태 천이를 도시한다.
데이터 요구 시에는, 우선, 웨어러블 기기(3)로부터 카세트형 FPD(2)에 ENQ(Enquiry; 조회)가 송신된다. 여기서, 웨어러블 기기(3)는 ACK(Acknowledge; 긍정 응답) 대기 상태로 된다.
웨어러블 기기(3)를 장착한 X선 사진의 촬영자가 카세트형 FPD(2)를 지니면, 카세트형 FPD(2)에 의해 ENQ가 수신된다. 카세트형 FPD(2)의 상태가 수신 가능한 경우에는, 웨어러블 기기(3)에 ACK가 송신되고, 데이터 대기 상태로 된다. 카세트형 FPD(2)의 상태가 수신 불가능한 경우에는, 웨어러블 기기(3)에 NAK(Negative Acknowledge; 부정 응답)가 송신되고, 카세트형 FPD(2)는 초기 상태(상태 2)로 되돌아간다.
웨어러블 기기(3)에 의해 NAK가 수신된 경우에는, 카세트형 FPD(2)에 ENQ가 재송신된다. 웨어러블 기기(3)에 의해 ACK가 수신된 경우에는, 카세트형 FPD(2)에 데이터 요구 신호가 송신되고, 웨어러블 기기(3)는 ACK 대기 상태로 된다.
그리고, 카세트형 FPD(2)에 의해 데이터 요구 신호가 수신된다. 데이터 요구 신호가 정상적으로 수신된 경우에는, 웨어러블 기기(3)에 ACK가 송신되고, 카세트형 FPD(2)는 EOT(End of Transmission; 전송 종료) 대기 상태로 된다. 카세트형 FPD(2)에 의해 데이터 요구 신호가 정상적으로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는, 웨어러블 기기(3)에 NAK가 송신되고, 카세트형 FPD(2)는 데이터 대기 상태로 되돌아간다.
웨어러블 기기(3)에 의해 NAK가 수신된 경우에는, 카세트형 FPD(2)에 데이터 요구 신호가 재송신된다. 웨어러블 기기(3)에 의해 ACK가 수신된 경우에는, 카세트형 FPD(2)에 EOT가 송신된다(상태 3). 여기서, 웨어러블 기기(3)에 있어서, 데이터 요구 신호를 송신했다고 하는 신호 처리가 행하여진다(도 9의 상태 6으로).
그리고, 카세트형 FPD(2)에 의해 EOT가 수신된다(상태 4). 여기서, 카세트형 FPD(2)에 있어서, 데이터 요구 신호를 수신했다고 하는 신호 처리가 행하여진다(도 9의 상태 5로).
다음으로, 데이터 통신 시의 카세트형 FPD(2) 및 웨어러블 기기(3)의 상태 천이를 설명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 카세트형 FPD(2)로부터 웨어러블 기기(3)에 ENQ가 송신되고, 웨어러블 기기(3)는 ACK 대기 상태로 된다.
그리고, 웨어러블 기기(3)에 의해 ENQ가 수신된다. 웨어러블 기기(3)의 상태가 수신 가능한 경우에는, 카세트형 FPD(2)에 ACK가 송신되고, 데이터 대기 상태로 된다. 웨어러블 기기(3)의 상태가 수신 불가능한 경우에는, 카세트형 FPD(2)에 NAK가 송신되고, 웨어러블 기기(3)는 상태 6으로 되돌아간다.
카세트형 FPD(2)에 의해 NAK가 수신된 경우에는, 웨어러블 기기(3)에 ENQ가 재송신된다. 카세트형 FPD(2)에 의해 ACK가 수신된 경우에는, 웨어러블 기기(3)에 데이터(촬영 관련 데이터 및 촬영 화상 데이터)가 송신되고, 카세트형 FPD(2)는 ACK 대기 상태로 된다.
그리고, 웨어러블 기기(3)에 의해 데이터가 수신된다.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수신된 경우에는, 카세트형 FPD(2)에 ACK가 송신되고, 웨어러블 기기(3)는 EOT 대기 상태로 된다. 웨어러블 기기(3)에 의해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는, 카세트형 FPD(2)에 NAK가 송신되고, 웨어러블 기기(3)는 데이터 대기 상태로 되돌아간다.
카세트형 FPD(2)에 의해 NAK가 수신된 경우에는, 웨어러블 기기(3)에 데이터가 재송신된다. 카세트형 FPD(2)에 의해 ACK가 수신된 경우에는, 웨어러블 기기(3)에 EOT가 송신된다(상태 7). 여기서, 카세트형 FPD(2)에 있어서, 데이터를 송신했다고 하는 신호 처리가 행하여진다(도 10의 상태 10으로).
그리고, 웨어러블 기기(3)에 의해 EOT가 수신된다(상태 8). 여기서, 웨어러블 기기(3)에 있어서, 데이터를 수신했다고 하는 신호 처리가 행하여진다(도 10의 상태 9로).
도 10에 데이터 수신 완료 시의 웨어러블 기기(3) 및 카세트형 FPD(2)의 상태 천이를 도시한다.
데이터 수신 완료 시에는, 우선, 웨어러블 기기(3)로부터 카세트형 FPD(2)에 ENQ가 송신되고, 웨어러블 기기(3)는 ACK 대기 상태로 된다.
그리고, 카세트형 FPD(2)에 의해 ENQ가 수신된다. 카세트형 FPD(2)의 상태가 수신 가능한 경우에는, 웨어러블 기기(3)에 ACK가 송신되고, 데이터 대기 상태로 된다. 카세트형 FPD(2)의 상태가 수신 불가능한 경우에는, 웨어러블 기기(3)에 NAK가 송신되고, 카세트형 FPD(2)는 상태 10으로 되돌아간다.
웨어러블 기기(3)에 의해 NAK가 수신된 경우에는, 카세트형 FPD(2)에 ENQ가 재송신된다. 웨어러블 기기(3)에 의해 ACK가 수신된 경우에는, 카세트형 FPD(2)에 데이터 수신 완료 신호가 송신되고, 웨어러블 기기(3)는 ACK 대기 상태로 된다.
그리고, 카세트형 FPD(2)에 의해 데이터 수신 완료 신호가 수신된다. 데이터 수신 완료 신호가 정상적으로 수신된 경우에는, 웨어러블 기기(3)에 ACK가 송신되고, 카세트형 FPD(2)는 EOT 대기 상태로 된다. 카세트형 FPD(2)에 의해 데이터 수신 완료 신호가 정상적으로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는, 웨어러블 기기(3)에 NAK가 송신되고, 카세트형 FPD(2)는 데이터 대기 상태로 되돌아간다.
웨어러블 기기(3)에 의해 NAK가 수신된 경우에는, 카세트형 FPD(2)에 데이터 수신 완료 신호가 재송신된다. 웨어러블 기기(3)에 의해 ACK가 수신된 경우에는, 카세트형 FPD(2)에 EOT가 송신된다(상태 11). 여기서, 웨어러블 기기(3)에 있어서, 데이터 수신 완료 신호를 송신했다고 하는 신호 처리가 행하여진다(도 8의 상태 1로).
그리고, 카세트형 FPD(2)에 의해 EOT가 수신된다(상태 12). 여기서, 카세트형 FPD(2)에 있어서, 데이터 수신 완료 신호를 수신했다고 하는 신호 처리가 행하여진다(도 8의 상태 2로).
웨어러블 기기(3)에 의해 취득된 촬영 관련 데이터나 촬영 화상 데이터는, 웨어러블 기기(3)의 표시부(35)에 문자나 화상으로서 표시된다. 촬영자가 조작부(33)로부터 버튼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시부(35)에 표시되는 촬영 관련 데이터나 촬영 화상 데이터를 전환할 수 있다. 웨어러블 기기(3)에 의해 취득되는 촬영 화상 데이터는, 복수 화소마다 화소를 추출함으로써 생성된 추출 화상 데이터이어도 된다. 또한, 카세트형 FPD(2)가 미 촬영인 경우에는, 웨어러블 기기(3)의 표시부(35)에 카세트형 FPD(2)가 미 촬영이라는 것이 표시된다.
제1 실시 형태에서의 X선 사진 촬영자 지원 시스템(1)에 따르면, 카세트형 FPD(2)와 인체가 접촉하는 것에 의해, 웨어러블 기기(3)는, 인체를 전송로로 하여 카세트형 FPD(2)로부터 촬영 관련 데이터나 촬영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고, 이들 정보를 표시부(35)에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촬영자는 촬영 전에 환자명, 촬영 부위, 촬영자, 촬영 일시 등의 촬영 관련 데이터를 간단히 확인할 수 있어, 촬영 대상으로 되는 환자나 부위를 틀리는 일 없이 촬영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촬영 후에 촬영 화상 데이터(추출 화상 데이터를 포함함)를 그 자리에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X선 사진 촬영자 지원 시스템(1)에서는, 인체를 전송로로 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기 때문에, 주위의 잡음 영향을 받기 어렵다. 또한, X선 사진 촬영자 지원 시스템(1)에서는, 외부에 전자파를 방출하지 않기 때문에, 무선 LAN이나 블루투스(Blue-tooth)에 의한 통신 방법과 비교하여, 데이터의 누설 등 시큐러티면에서 보다 안전함과 함께, 소비 전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기기(3)에 의해 카세트형 FPD(2)로부터 취득되는 데이터는, 미리 촬영자의 희망에 따라서 선택할 수 있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에 나타낸 X선 사진 촬영자 지원 시스템(1)에서는, 기록 장치로서 카세트형 FPD(2)를 이용한 예를 설명했지만,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X선 사진 촬영자 지원 시스템에서는 기록 장치로서 카세트(7)를 이용한다. 웨어러블 기기(3)에 대해서는, 제1 실시 형태의 X선 사진 촬영자 지원 시스템(1)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동일한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 및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제2 실시 형태의 특징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에 카세트(7)의 기능적 구성을 나타낸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세트(7)는 케이싱에, 통신부(71), 휘진성 형광체(72), 전력 수신용 안테나(73), 전극(74), PC용 통신 단자(75)가 마련되고, 운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통신부(71)는 CPU, 메모리 등을 포함하고, 인체를 전송로로 하여 웨어러블 기기(3)와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송신기 및 수신기와, PC 등과의 통신을 행하는 통신 장치로 구성된다. 송신기, 수신기에 대해서는 도 4, 도 5에 도시한 송신기(4), 수신기(5)의 구성과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휘진성 형광체(72)는 환자를 투과한 X선을 흡수하고, X선 잠상을 유지한다. 즉, 휘진성 형광체(72)는 X선 촬영 화상을 기록하는 기록 매체이다. 촬영 후, 리더를 이용하여, 휘진성 형광체(72)에 여기 광을 조사하고, 흡수된 에너지를 여기시켜 형광으로서 방사시키고, 이 방사된 형광을 광전 변환하여 촬영 화상 데이터를 얻는다.
전력 수신용 안테나(73)는 웨어러블 기기(3)로부터 전력의 공급을 받기 위한 인터페이스이고, 카세트(7)의 표면 또는 내부에 마련되어 있다. 전력 수신용 안테나(73)를 통하여 웨어러블 기기(3)로부터 공급된 전력에 의해서, 웨어러블 기기(3)와 데이터의 송수신이 행하여진다.
전극(74)은 카세트(7)의 케이싱 표면에 마련되고, 통신부(71)의 송신기 및 수신기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인체를 전송로로 하여 웨어러블 기기(3)와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전극(74)은 카세트(7)의 케이싱 측면 등의 화상 촬영 영역 외부에 마련되고, 전극(74)에 촬영자가 접촉하는 것에 의해, 데이터 통신이 행해진다.
PC용 통신 단자(75)는 PC 등과 접속하여 통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며, PC 등과의 커넥터이다. PC용 통신 단자(75)는 통신부(71)의 PC 등과의 통신을 행하는 통신 장치와 접속되어 있다.
카세트(7)의 메모리에는 미리 촬영 관련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다. 촬영 관련 데이터의 등록은 PC 등과 카세트(7)를 접속한 상태에서, PC 등으로부터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에 의해 행해진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카세트(7) 내의 메모리에 촬영 화상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는 것이 아니고, 카세트(7)를 리더에 통과시킴으로써, 촬영 화상 데이터가 얻어지기 때문에, 웨어러블 기기(3)에 의해 카세트(7)로부터 취득되는 데이터에는, 촬영 화상 데이터는 포함되지 않는다.
제2 실시 형태의 X선 사진 촬영자 지원 시스템에 있어서의 동작은, 제1 실시 형태에 나타낸 X선 사진 촬영자 지원 시스템(1)에 있어서의 카세트형 FPD(2)가 카세트(7)인 점과, 웨어러블 기기(3)에 의해 카세트(7)로부터 취득되는 대상으로 되는 데이터가 촬영 관련 데이터만인 점을 제외하고, 제1 실시 형태에 나타낸 X선 사진 촬영자 지원 시스템(1)의 동작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제2 실시 형태에서의 X선 사진 촬영자 지원 시스템에 따르면, 카세트(7)와 인체가 접촉하는 것에 의해, 웨어러블 기기(3)는 인체를 전송로로 하여 카세트(7)로부터 촬영 관련 데이터를 취득하기 때문에, 촬영자는 환자명, 촬영 부위, 촬영자, 촬영 일시 등의 촬영 관련 데이터를 간단히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의 기술은 본 발명에 관한 적합한 X선 사진 촬영자 지원 시스템의 예이며,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X선 사진 촬영자 지원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장치의 세부 구성 및 세부 동작에 관해서도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웨어러블 기기(3)로서 손목 시계형의 웨어러블 기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취득한 정보를 음성 출력하는 헤드폰형의 웨어러블 기기나, 머리부 주변에 안경 처럼 장착하고, 렌즈 부분에 영상을 영출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나, 인체에 장착 가능하게 구성된 PDA 등이어도 된다. 헤드폰에 의해, 촬영 관련 데이터나, 기록 장치가 미 촬영이라는 것을 음성 출력하거나,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나 PDA의 표시 화면 상에 X선 촬영 화상 데이터나 촬영 관련 데이터를 표시하거나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카세트형 FPD(2) 또는 카세트(7) 등의 기록 장치와, 웨어러블 기기(3)와의 데이터 통신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동일 인체에 장착된 복수의 웨어러블 기기끼리에서 인체를 전송로로 하여 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 기록 장치와 복수의 웨어러블 기기에 있어서의 복수의 데이터 통신에서의 신호를 구별하기 위해서, 서로 다른 주파수로 통신을 행하거나, 데이터의 코드를 바꾸거나, 송신처의 기기 정보를 헤더에 기록하는 등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복수의 웨어러블 기기에 의해 데이터의 공유가 가능해지고, 다른 웨어러블 기기에 의해 취득된 정보를 별도의 웨어러블 기기에 의해서 표시, 음성 출력, 또는 보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인체를 전송로로 한 데이터 통신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인체 이외의 생체를 전송로로 하여도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환자의 X선 촬영 화상을 기록하는 기록 장치로부터 촬영 화상 데이터 또는 촬영 관련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의 X선 사진 촬영자 지원 시스템(1)을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카세트형 FPD(2)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3은 웨어러블 기기(3)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4는 송신기(4)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5는 수신기(5)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6은 송수신기(6)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7은 X선 사진 촬영자 지원 시스템(1)에 의해서 실행되는 촬영 관련 데이터 및 촬영 화상 데이터의 통신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8은 데이터 요구 시의 웨어러블 기기(3) 및 카세트형 FPD(2)의 상태 천이도.
도 9는 데이터 통신 시의 카세트형 FPD(2) 및 웨어러블 기기(3)의 상태 천이도.
도 10은 데이터 수신 완료 시의 웨어러블 기기(3) 및 카세트형 FPD(2)의 상태 천이도.
도 11은 제2 실시 형태의 X선 사진 촬영자 지원 시스템에 있어서의 카세트(7)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X선 사진 촬영자 지원 시스템
2 : 카세트형 플랫 패널 검출기(카세트형 FPD)
3 : 웨어러블 기기
21 : 전원
22 : 통신부
23 : 제어부
24 : 촬상 패널
25 : 메모리
25 : 충전용 단자
27 : 전력 수신용 안테나
28 : 전극
29 : PC용 통신 단자

Claims (25)

  1. 환자의 X선 촬영 화상을 기록하는 기록 매체가 내장된 케이싱에, 상기 X선 촬영 화상에 관련한 촬영 관련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제1 통신 수단, 및 이 제1 통신 수단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인체에 접촉 가능한 제1 전극이 마련된 운반 가능한 기록 장치와,
    상기 제1 통신 수단과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제2 통신 수단, 및 이 제2 통신 수단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인체에 접촉 가능한 제2 전극이 마련된 웨어러블 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서, 인체를 전송로로 하여,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의 X선 촬영 화상 데이터 또는 상기 기억 수단으로부터의 촬영 관련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사진 촬영자 지원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관련 데이터는, 촬영되는 환자명, 촬영 부위, 촬영자, 촬영 일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사진 촬영자 지원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기기는, 상기 X선 촬영 화상 데이터 혹은 상기 촬영 관련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 또는 상기 촬영 관련 데이터를 음성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사진 촬영자 지원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기기는, 상기 X선 촬영 화상 데이터 혹은 상기 촬영 관련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 또는 상기 촬영 관련 데이터를 음성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사진 촬영자 지원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기기는, 상기 기록 장치가 미 촬영인 경우에, 상기 기록 장치가 미 촬영인 것을 표시하거나 또는 음성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사진 촬영자 지원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기기는, 상기 기록 장치가 미 촬영인 경우에, 상기 기록 장치가 미 촬영인 것을 표시하거나 또는 음성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사진 촬영자 지원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기기는, 동일 인체에 장착된 다른 웨어러블 기기와, 인체를 전송로로 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사진 촬영자 지원 시스템.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기기는, 동일 인체에 장착된 다른 웨어러블 기기와, 인체를 전송로로 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사진 촬영자 지원 시스템.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기기는, 동일 인체에 장착된 다른 웨어러블 기기와, 인체를 전송로로 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사진 촬영자 지원 시스템.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기기는, 동일 인체에 장착된 다른 웨어러블 기기와, 인체를 전송로로 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사진 촬영자 지원 시스템.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기기는, 동일 인체에 장착된 다른 웨어러블 기기와, 인체를 전송로로 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사진 촬영자 지원 시스템.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기기는, 동일 인체에 장착된 다른 웨어러블 기기와, 인체를 전송로로 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사진 촬영자 지원 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장치는, 인체 또는 공중을 전송로로 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에 필요한 전력을 상기 웨어러블 기기로부터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사진 촬영자 지원 시스템.
  1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장치는, 인체 또는 공중을 전송로로 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에 필요한 전력을 상기 웨어러블 기기로부터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사진 촬영자 지원 시스템.
  1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장치는, 인체 또는 공중을 전송로로 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에 필요한 전력을 상기 웨어러블 기기로부터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사진 촬영자 지원 시스템.
  1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장치는, 인체 또는 공중을 전송로로 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에 필요한 전력을 상기 웨어러블 기기로부터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사진 촬영자 지원 시스템.
  1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장치는, 인체 또는 공중을 전송로로 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에 필요한 전력을 상기 웨어러블 기기로부터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사진 촬영자 지원 시스템.
  1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장치는, 인체 또는 공중을 전송로로 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에 필요한 전력을 상기 웨어러블 기기로부터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사진 촬영자 지원 시스템.
  1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장치는, 인체 또는 공중을 전송로로 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에 필요한 전력을 상기 웨어러블 기기로부터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사진 촬영자 지원 시스템.
  2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장치는, 인체 또는 공중을 전송로로 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에 필요한 전력을 상기 웨어러블 기기로부터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사진 촬영자 지원 시스템.
  2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장치는, 인체 또는 공중을 전송로로 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에 필요한 전력을 상기 웨어러블 기기로부터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사진 촬영자 지원 시스템.
  2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장치는, 인체 또는 공중을 전송로로 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에 필요한 전력을 상기 웨어러블 기기로부터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사진 촬영자 지원 시스템.
  2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장치는, 인체 또는 공중을 전송로로 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에 필요한 전력을 상기 웨어러블 기기로부터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사진 촬영자 지원 시스템.
  2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장치는, 인체 또는 공중을 전송로로 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에 필요한 전력을 상기 웨어러블 기기로부터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사진 촬영자 지원 시스템.
  25. 제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기기는, 손목 시계,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헤드폰 또는 인체에 장착 가능하게 구성된 PD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사진 촬영자 지원 시스템.
KR1020040083039A 2003-10-21 2004-10-18 X선 사진 촬영자 지원 시스템 KR2005003855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360483A JP2005124618A (ja) 2003-10-21 2003-10-21 X線写真撮影者支援システム
JPJP-P-2003-00360483 2003-10-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8554A true KR20050038554A (ko) 2005-04-27

Family

ID=34386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3039A KR20050038554A (ko) 2003-10-21 2004-10-18 X선 사진 촬영자 지원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359483B2 (ko)
EP (1) EP1526390A1 (ko)
JP (1) JP2005124618A (ko)
KR (1) KR20050038554A (ko)
CN (1) CN161028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4994A (ko) * 2015-08-27 2017-03-08 주식회사바텍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구강 엑스선 촬영 장치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30965B2 (ja) * 2005-06-06 2012-05-1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放射線画像信号出力制御方法および装置
JP2007288493A (ja) * 2006-04-17 2007-11-01 Fujifilm Corp 情報記録システム、情報記録装置、情報提供装置および撮像装置
KR100837588B1 (ko) * 2006-11-16 2008-06-13 아이쓰리시스템 주식회사 아날로그 전기신호를 이용한 체내외 간 고속통신방법 및 그시스템
JP5285485B2 (ja) * 2008-08-28 2013-09-1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放射線画像撮影装置、制御装置及び放射線画像撮影制御方法
JP2010051523A (ja) * 2008-08-28 2010-03-11 Fujifilm Corp 可搬型放射線画像形成装置及び放射線画像管理装置
US20100111263A1 (en) * 2008-10-30 2010-05-06 General Electric Company Modular handle for digital x-ray detectors
JP2011259172A (ja) * 2010-06-08 2011-12-22 Sony Corp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モード切替方法、及びプログラム
DE102013019746B4 (de) 2013-11-27 2017-10-26 Audi Ag Verfahren zum Einrichten einer funkgestützten Kommunikationsverbindung
US10561389B2 (en) 2014-11-27 2020-02-18 Konica Minolta, Inc. Radiographic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radiographic image capturing system
JP6271491B2 (ja) * 2015-02-10 2018-01-3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放射線画像撮影装置、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放射線画像撮影装置の制御方法、及び放射線画像撮影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JP6815819B2 (ja) * 2016-10-17 2021-01-20 キヤノン株式会社 放射線撮影装置、放射線撮影システム、放射線撮影方法、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124595A (en) * 1994-03-31 1995-10-23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Cassette for use in an electronic radiographic imaging system
DE19547560C2 (de) * 1995-12-20 2000-01-13 Daimler Chrysler Ag Einrichtung zur körpergebundenen Datenübertragung zwischen zwei Endgeräten
US6344652B1 (en) * 1999-01-13 2002-02-05 Fuji Photo Film Co., Ltd. Radiation detecting cassette
DE19929328A1 (de) * 1999-06-26 2001-01-04 Daimlerchrysler Aerospace Ag Vorrichtung zur medizinischen Langzeitüberwachung von Personen
US6747561B1 (en) * 2000-06-20 2004-06-08 Med-Datanet, Llc Bodily worn device for digital storage and retrieval of medical records and personal identification
JP2004141240A (ja) * 2002-10-22 2004-05-20 Fuji Photo Film Co Ltd 放射線検出用カセッテおよび画像情報管理システム
US6805484B2 (en) * 2002-12-19 2004-10-19 Canon U.S.A., Inc. Handle for digital radiography panel
JP4586618B2 (ja) * 2005-04-18 2010-11-24 ソニー株式会社 人体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4994A (ko) * 2015-08-27 2017-03-08 주식회사바텍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구강 엑스선 촬영 장치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26390A1 (en) 2005-04-27
JP2005124618A (ja) 2005-05-19
US20050097220A1 (en) 2005-05-05
CN1610280A (zh) 2005-04-27
US7359483B2 (en) 2008-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77984B2 (ja) 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及び放射線画像撮影プログラム
US7764765B2 (en) Cassette and mobile X-ray image capturing apparatus
US8194823B2 (en) X-ray image capturing and interpretation system with cassette and mobile X-ray image capturing apparatus
US8198593B2 (en) Radiation conversion device and radiation image capturing system
JP5954320B2 (ja) 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
US7593507B2 (en) Radiation image capturing system and method of setting minimum transmission radio-field intensity in such radiation image capturing system
JP6683131B2 (ja) 放射線画像撮影装置および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
KR20050038554A (ko) X선 사진 촬영자 지원 시스템
JP5241644B2 (ja) 放射線画像撮影装置及び放射線画像撮影方法
JP2008119018A (ja) 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及び放射線画像検出装置
JP5167966B2 (ja) 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及び放射線画像検出器
JP2009080103A (ja) カセッテシステム
US7655916B2 (en) Radiation image capturing system
JP2012100796A (ja) 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及び通信システム
JP2005287937A (ja) 放射線画像検出確認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放射線画像検出確認プログラム
JP2010240339A (ja) 放射線画像検出器及び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
JP2010158454A (ja) 放射線画像生成システム
JP2009183559A (ja) 放射線変換器及び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
JP5088947B2 (ja) 放射線画像撮影用カセッテ
US7935931B2 (en) Radiation image capturing system
JP2010187734A (ja) 放射線画像撮像装置及び放射線画像撮像システム
JP5265480B2 (ja) 放射線画像撮影装置及び放射線画像撮影方法
JP2010197679A (ja) 放射線画像取得システム及び放射線画像検出カセッテ
US20090194694A1 (en) Radiation detection apparatus and radiation image capturing system
WO2011074289A1 (ja) 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