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8017A - 소음 장치 및 급수 장치 - Google Patents
소음 장치 및 급수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50038017A KR20050038017A KR1020057002764A KR20057002764A KR20050038017A KR 20050038017 A KR20050038017 A KR 20050038017A KR 1020057002764 A KR1020057002764 A KR 1020057002764A KR 20057002764 A KR20057002764 A KR 20057002764A KR 20050038017 A KR20050038017 A KR 2005003801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supply
- water
- silencer
- passage
- supply pip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02—Water-closet bowls ; Bowls with a double odour seal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good siphonic action; siphons as part of the bowl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3/00—Flushing devices operated by pressure of the water supply system flushing valves not connected to the water-supply main, also if air is blown in the water seal for a quick flush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02—Water-closet bowls ; Bowls with a double odour seal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good siphonic action; siphons as part of the bowl
- E03D11/08—Bowls with means producing a flushing water swirl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3/00—Flushing devices operated by pressure of the water supply system flushing valves not connected to the water-supply main, also if air is blown in the water seal for a quick flushing
- E03D3/02—Self-closing flushing valves
- E03D3/04—Self-closing flushing valves with piston valve and pressure chamber for retarding the valve-closing movement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14—Noise-reducing means combined with flushing valve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2201/00—Details and methods of use for water closets and urin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D2201/20—Noise reduction feature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2201/00—Details and methods of use for water closets and urin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D2201/30—Water injection in siphon for enhancing flush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제조 비용의 저렴화와 조립의 용이성을 실현하면서, 소음의 확실한 방지를 실현 가능한 소음 장치와, 이 소음 효과가 있는 급수 장치를 제공한다. 내부의 급수로(1a)를 통과하는 물을 저류수(W) 내로 토수시키는 제트관(1)과 접속되는 소음 장치(2)이다. 제트관(1)의 상류 측에서 하방을 향하여 접속되고, 급수로(1a)와 연통하는 통수로(4a)를 내부에 갖는 통형상의 통부(4)와, 제트관(1)의 상류 측 및 통부(4)의 상방과 수밀 공법으로 접속됨과 함께, 통부(4)의 하방의 주위를 둘러싸 제트관(1)의 하류 측과 수밀 공법으로 접속되고, 통부(4)의 외측인 내부에 제트관(1) 내의 공기를 저류 가능한 하우징(3)을 갖고 있다. 통부(4)의 상방에는 통수로(4a)를 하우징(3)의 내부에 연통하는 통기 구멍(4b)이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소음 장치 및 이 소음 장치가 접속된 급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수세식 변기는, 급수관으로서의 제트관을 갖는 세정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제트관은 내부의 급수로를 통과하는 물을 보울부의 저류수(stored water) 내로 토수(吐水)시킨다. 이 제트관 내에는, 앞의 세정이 끝남에 의해, 저류수의 수위보다 높은 위치에 공기가 남는다. 이 때문에, 이 상태에서 다음에 세정을 행하기 위해, 세정 장치에 의해 제트관에 새로운 세정수를 공급하는 경우, 제트관 내에 남아있던 공기가 수압에 의해 압축된 상태에서 저류수 내에 덩어리로 되어 단숨에 분출되기 때문에, 비교적 큰 소음이 생긴다. 욕조 내에 더운물을 저류한 상태에서 탕 내로 추가하는 더운물 등을 토수시키는 급탕 장치 등도 마찬가지이다.
이 점, 특개2002-106044호 공보에는, 수세식 변기의 제트관에 접속되는 소음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소음 장치는, 제트관으로부터 수평으로 분기되어 상방으로 굴곡된 분기관과, 이 분기관의 상단에 수밀(水密) 공법으로 접속되고, 상단에 대기로 열리는 개구를 갖는 하우징과, 이 하우징 내에서 상하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공기로 부상함에 의해 하우징의 개구를 개방하는 밸브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 소음 장치를 구비한 수세식 변기에서는, 제트관에 세정수가 공급되면, 제트관 내에 남아있던 공기가 소음 장치에 인도된 후, 대기에 개방된다. 즉, 제트관 내에 남아있던 공기는, 수압에 의해 제트관 내를 이동할 때, 그 부력에 의해 분기관으로 이동하기 쉽고, 분기관으로 이동한 공기는 하우징 내에 도달한다. 하우징 내에서는 그 공기에 의해 밸브가 부상하고, 이로 인해 하우징의 개구가 개방되기 때문에, 그 공기가 그 개구를 경유하여 대기에 개방된다. 이렇게 하여, 이 소음 장치를 구비한 수세식 변기에서는, 제트관 내에 남아있던 공기가 저류수 내로 분출되기 어렵고, 저류수 내에 공기가 덩어리로 되어 단숨에 분출됨에 의한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도 1은 실시 형태 1, 2의 소음 장치를 구비한 수세식 변기의 단면도.
도 2는 실시 형태 1, 2의 소음 장치를 구비한 수세식 변기의 사시도.
도 3은 실시 형태 1의 소음 장치의 단면도.
도 4는 실시 형태 2의 소음 장치의 단면도.
도 5는 실시 형태 3의 소음 장치에 관한, 수세식 변기의 단면도.
도 6은 실시 형태 4의 소음 장치의 정면도.
도 7은 실시 형태 4의 소음 장치에 관하며, 도 6의 Ⅶ-Ⅶ화살표로 본 단면도.
도 8은 실시 형태 5의 급수 장치를 구비한 수세식 변기의 단면도.
도 9는 실시 형태 5의 소음 장치의 단면도.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러나, 상기 종래의 소음 장치는, 제트관으로부터 분기된 분기관을 갖는 동시에 하우징 내에서 가동하는 밸브도 갖고 있다. 그 때문에, 이 소음 장치는, 부품 개수가 많고, 구조가 복잡하다. 이 때문에, 제조 비용의 상승을 초래함과 함께, 조립도 번거롭다. 또한, 이 소음 장치는, 공기의 저류 및 개방에 수반하여 밸브가 상하이동하는 것이므로, 밸브가 원활하게 움직이기 어려운 경우에는, 소음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제조 비용의 저렴화와 조립의 용이성을 실현하면서, 소음의 확실한 방지를 실현 가능한 소음 장치와, 이 소음 효과가 있는 급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여야 할 과제로 하고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제 1 발명의 소음 장치는, 내부의 급수로를 통과하는 물을 저류수 내로 토수시키는 급수관의 도중에 접속되는 소음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급수관중 상기 소음 장치의 상류 측에 위치하는 상류 측 급수관에 하방을 향하여 접속되고, 상기 급수로와 연통하는 통수로를 내부에 갖는 통형상(筒狀)의 통부(筒部)와,
해당 상류 측 급수관 및 해당 통부의 상방과 수밀 공법으로 접속됨과 함께, 해당 통부의 하방을 포위하여 해당 급수관중 해당 소음 장치의 하류 측에 위치하는 하류 측 급수관에 수밀 공법으로 접속되고, 해당 통부의 외측인 내부에 해당 급수관 내의 공기를 저류 가능한 하우징을 가지며,
해당 통부의 상방에는 해당 통수로를 해당 하우징의 내부에 연통하는 통기 구멍이 관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 발명의 소음 장치에서는 상류 측 급수관에 통형상의 통부가 하방을 향하여 접속되어 있고, 이 통부의 내부의 통수로가 급수관의 내부의 급수로와 연통하고 있다. 그리고, 통부의 하방이 하우징에 의해 주위를 둘러싸고 있다. 이 하우징은, 상류 측 급수관 및 통부의 상방과 하류 측 급수관에 수밀 공법으로 접속되어 있고, 통부의 외측인 내부에 급수관 내의 공기를 저류 가능하다. 이로써, 급수관에 새로운 물을 공급하는 경우, 급수관 내에 남아있던 공기는, 수압에 의해 급수관 내를 이동하고, 통부의 하방에 도달하면, 그 부력에 의해 통부의 외측인 하우징 내로 확실하게 이동한다. 그 때문에, 급수관 내에 남아있던 공기가 곧바로 하류 측 급수관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하우징 내에 저류된 공기는, 통부의 상방에 관통된 통기 구멍이 통수로를 하우징의 내부에 연통하고 있기 때문에, 통기 구멍을 통하여 통수로 내로 방출되게 된다. 이렇게 하여, 이 소음 장치에서는 급수관 내의 공기가 덩어리로 되어 즉시 저류수 내로 방출되는 일이 없어,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소음 장치에서는 상기 종래의 소음 장치와 같이 급수관으로부터 분기된 분기관이나 하우징 내에서 가동하는 밸브를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부품 개수가 적고, 구조가 간소하다. 이 때문에, 제조 비용의 저렴화를 실현할 수 있음과 함께 조립도 용이하다. 또한, 이 소음 장치는 종래의 밸브와 같은 가동하는 부재를 갖고 있지 않아 안정한 소음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발명의 소음 장치에 의하면, 제조 비용의 저렴화와 조립의 용이성을 실현하면서 소음의 확실한 방지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이 소음 장치는 안정하게 소음 효과를 발휘할 수 있어 무비용의 유지 보수를 실현할 수도 있다.
제 1 발명의 소음 장치에서는 상류 측 급수관에 대기(大氣) 개방 밸브를 접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급수관에 의한 급수가 종료한 후, 하우징 내에 저류된 공기가 통부의 통수로를 경유하여 대기 개방 밸브로부터 대기로 방출되고, 하우징 내에 과잉으로 공기가 저류되지 않는다. 그 때문에, 다음에 급수관에 새로운 물을 공급하는 경우, 급수관 내에 남아있던 공기는 하우징 내로 확실하게 이동하여 하류 측 급수관으로 이동하지 않고, 물만이 하류 측 급수관으로 이동한다. 이렇게 하여, 이 소음 장치에서는 물만이 저류수 내로 토수되고,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1 발명의 소음 장치에서는 통수로의 내경은 급수로의 내경보다도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순차적으로 하우징 내에 저류되는 공기는 벤츄리 효과에 의해 아주 작은 거품으로 되어 통수로로 인출된다. 이 때문에, 급수관에 의한 급수가 종료한 후, 하우징 내에 과잉으로 공기가 저류되지 않는다. 작은 거품은 토수와 함께 저류수 내로 조금씩 방출된다. 이렇게 하여, 이 소음 장치에서는 급수관 내의 공기가 덩어리로 되어 즉시 저류수 내로 방출되는 일이 없어,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제 1 발명의 소음 장치에서는, 하우징은 내부의 적어도 일부가 저류수의 수면보다 하방에 위치하도록 급수관과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급수관으로부터 저류수 내로 토수함에 의해 저류수의 수면이 올라가고, 이로써 하우징의 내부의 일부가 저류수의 수면보다 하방에 위치하면, 급수관 내의 공기를 부력에 의해 하우징 내에 저류할 수 있지만, 하우징의 내부의 적어도 일부가 미리 저류수의 수면보다 하방에 위치하면, 확실하게 급수관 내의 공기를 하우징 내에 저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제 1 발명의 소음 장치는, 내부의 급수로를 통과하는 물을 저류수 내로 토수시키는 급수관을 구비한 급수 장치에 사용될 수 있다. 이로써, 급수관 내의 공기가 즉시 저류수 내로 방출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소음이 생기는 일이 없다. 이와 같은 급수 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수세식 변기의 세정 장치나 욕조의 급탕 장치가 있다. 특히, 제 1 발명의 급수 장치는 급수관이 수세식 변기의 제트관인 경우에 효과가 현저하다.
제 2 발명의 급수 장치는, 수세식 변기의 제트구에 접속되고, 내부의 급수로를 통과하는 물을 해당 수세식 변기가 형성하는 저류수 내로 토수시키는 급수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급수로중 물을 하방으로 통과시키는 하향 급수로의 일부는, 내경이 확대됨에 의해, 해당 물과 함께 통과하려는 공기를 빨리 실속시키는/// 소음부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 발명의 급수 장치에서는 급수로중 물을 하방으로 통과시키는 하향 급수로의 일부가 소음부로 되어 있다. 이 소음부는 내경이 확대됨에 의해 물과 함께 통과하려는 공기를 실속시키는 작용을 갖는다. 즉, 급수로에 새로운 물을 공급하는 경우, 급수로 내에 남아있던 공기는 수압에 의해 하향 급수로 내를 이동하고, 소음부에 도달하면, 부력이 크게 작용하여 실속한다. 그 때문에, 급수로 내에 남아있던 공기가 곧바로 하향 급수로의 하류 측으로 이동하지 않고, 소음부의 상부에 저류된 공기는 아주 작은 거품으로 되어 수중으로 인출된다. 이 작은 거품은 토수와 함께 저류수 내로 조금씩 방출된다. 이렇게 하여, 이 급수 장치에서는 급수로 내의 공기가 덩어리로 되어 즉시 저류수 내로 방출되는 일이 없어,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급수 장치에 있어서도, 상기 종래의 소음 장치와 같이 급수관으로부터 분기된 분기관이나 하우징 내에서 가동하는 밸브를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부품 개수가 적고, 구조가 간소하다. 특히, 소음부는 하향 급수로의 내경이 확대됨에 의해 기둥형상(柱狀)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질 뿐, 구조가 매우 간단하다. 이 때문에, 제조 비용의 저렴화를 실현할 수 있음과 함께, 조립도 용이하다. 또한, 이 급수 장치는 종래의 밸브와 같은 가동하는 부재를 갖고 있지 않아, 안정한 소음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따라서, 제 2 발명의 급수 장치에 의하면, 제조 비용의 저렴화와 조립의 용이성을 실현하면서, 소음의 확실한 방지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이 급수 장치는 안정하게 소음 효과를 발휘할 수 있기 때문에, 메인터넌스 프리를 실현할 수도 있다.
급수로는 통형상의 급수관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급수관이 소음부를 일체로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급수관에 소음부를 조립할 필요가 없고, 조립이 더욱 용이해진다.
이하, 제 1 발명을 구체화한 실시 형태 1 내지 4 및 제 2 발명을 구체화한 실시 형태 5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시 형태 1의 소음 장치(2)는, 수세식 변기에 이용된다. 이 수세식 변기에서는 도기제의 변기 본체(10)와, 내부에 도시하지 않은 2개의 밸브 및 2개의 대기 개방 밸브를 내장하는 세정 장치(16)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변기 시트(18) 및 변기 덥개(19)는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기 본체(10)에는 발면(鉢面)(11a)을 갖는 보울부(11)와, 이 보울부(11)의 저부에 연결되도록 트랩부(12)가 마련되어 있다. 트랩부(12)는 반대 U자형으로 되어 있고, 하방의 배출구(12a)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트랩부(12)의 저류수(W)의 저부에는 제트 노즐(13)이 고정되어 있다. 이 제트 노즐(13)의 트랩부(12) 내의 선단이 제트구(13a)로 되어 있다. 또한, 제트 노즐(13)은 급수관으로서의 제트관(1)에 의해 세정 장치(16)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변기 본체(10)의 외부에서 제트관(1)의 도중에 소음 장치(2)가 마련되어 있다. 소음 장치(2)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기 본체(10)에 고정된 커버(17)에 의해 은폐되어 있다.
소음 장치(2)는, 도 3(A) 내지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급수로(1a)를 갖는 제트관(1)의 사이, 즉, 즉 상류 측 제트관(1)과 하류 측 제트관(1)과의 사이에 일체로 마련되어 있다. 이 소음 장치(2)는 하우징(3)과 통부(4)를 구비하고 있다. 통부(4)는 급수로(1a)와 연통하는 통수로(4a)를 내부에 가지며, 상류 측 제트관(1)에 하방을 향하여 접속되어 있다. 급수로(1a)의 내경과 통수로(4a)의 내경은 같다. 또한, 하우징(3)은 상류 측 제트관(1) 및 통부(4)의 상방과 수밀 공법으로 접속되어 있음과 함께, 통부(4)의 하방의 주위를 둘러싸 하류 측 제트관(1)에 수밀 공법으로 접속되어 있다. 하우징(3)의 내부로서 통부(4)의 외측에는, 제트관(1) 내의 공기를 저류 가능한 공기실(3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통부(4)의 상방에는 통수로(4a)를 공기실(3a)에 연통하는 통기 구멍(4b)이 관통되어 있다.
이 소음 장치(2)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실(3a)의 일부가 저류수(W)의 수면의 보울부(11)의 저부로부터의 높이(h1)보다 하방에 위치하도록, 제트관(1)과 접속되어 있다.
또한, 보울부(11)의 상부에는 개방된 림 통수로(14a)를 내부에 갖는 림(이른바 오픈 림)(14)이 형성되어 있다. 보울부(11)의 후방 상부에는, 세정 장치(16)와 접속되고, 선단이 림 통수로(14a) 내로 열리는 림 관(15)이 마련되어 있다. 세정 장치(16)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렉시블 호스(20)에 의해 도시하지 않은 수도관에 직결되어 있다.
이 수세식 변기에서는, 도시하지 않은 본체 또는 리모트 콘트롤의 배수 버튼 스위치가 눌리면, 우선 세정 장치(16)가 한쪽의 밸브를 열고, 림 관(15)을 통하여 림 통수로(14a)에만 통수한다. 이로써, 세정수가 변기 상단에 따라 수평으로 토출되고, 이 세정수가 보울부(11)의 발면(11a)을 흘러 내리면서 발면(11a)을 세정한다. 이 결과, 저류수(W)의 수면이 보울부(11)의 저부로부터 높이(h2)의 위치까지 상승한다. 그리고, 세정 장치(16)가 그 한쪽의 밸브를 닫는다. 이때, 소음 장치(2)는,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실(3a) 내 및 통수로(4a) 내가 세정수로 채워진 상태로 된다.
다음에, 세정 장치(16)가 다른쪽의 밸브를 열고, 제트관(1)을 통하여 제트 노즐(13)에만 통수한다. 제트관(1)에 세정수를 공급한 직후에는,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정수는 상방의 상류 측 제트관(1)으로부터 하방의 하류 측 제트관(1)으로 수압에 의해 이동한다. 이때, 제트관(1) 내에 남아있던 공기는, 덩어리로 되어 급수로(1a)로부터 통수로(4a)를 통과하여 통부(4)의 하방으로부터 나온다. 그때, 이 공기의 덩어리는 부력에 의해 통부(4)의 외측으로 이동하고, 공기실(3a)에 저류된다. 제트관(1)에의 세정수의 공급이 계속되고 있는 동안, 도 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트관(1) 내에 남아있던 공기는 전부 공기실(3a)에 저류된다. 이로써, 세정수는 제트구(13a)로부터 트랩부(12) 내에서 분출된다. 이 제트구(13a)로부터 분출된 세정수에 의해 사이펀 작용이 강제적으로 생긴다. 그리고, 세정수와 함께 오물을 포함할 수 있는 오수는 배출구(12a)를 통하고 도시하지 않은 배수관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세정 장치(16)는 다른쪽의 밸브를 닫는다. 그리고, 제트관(1)과 접속된 대기 개방 밸브가 열린다. 이로써, 도 3(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트관(1)에의 세정수의 공급이 정지되고, 급수로(1a) 및 통수로(4a)가 대기에 개방된다.
또한, 공기실(3a)에 저류된 공기는, 화살표와 같이, 통기 구멍(4b)으로부터 통수로(4a) 및 급수로(1a)를 통과하여, 대기에 개방된다. 이 때문에, 공기실(3a) 내에 과잉으로 공기가 저류되지 않는다. 그 때문에, 다음에 제트관(1)에 새로운 세정수를 공급하는 경우도, 제트관(1) 내에 남아있던 공기가 공기실(3a) 내로 확실하게 이동하고 제트관(1)의 하류 측으로 이동하지 않고, 물만이 제트관(1)의 하류 측으로 이동한다. 이렇게 하여, 이 소음 장치(2)에서는 제트관(1) 내의 공기가 덩어리로 되어 즉시 저류수(W) 내로 방출되는 일이 없어,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소음 장치(2)에서는 상기 종래의 소음 장치와 같이 제트관으로부터 분기된 분기관이나 하우징 내에서 가동하는 밸브를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부품 개수가 적고, 구조가 간소하다. 이 때문에, 제조 비용의 저렴화를 실현할 수 있음과 함께, 조립도 용이하다. 또한, 이 소음 장치(2)는 종래의 밸브와 같은 가동하는 부재를 갖고 있지 않아, 안정한 소음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 형태 1의 소음 장치(2)에 의하면, 제조 비용의 저렴화와 조립의 용이성을 실현하면서, 소음의 확실한 방지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이 소음 장치(2)는 안정하게 소음 효과를 발휘할 수 있어, 메인터넌스 프리를 실현할 수도 있다.
또한, 이 소음 장치(2)는 변기 본체(10)의 외부에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기존의 수세식 변기에 나중에 붙임이 가능하다. 또한, 이 소음 장치(2)는 변기 본체(10)에 고정된 커버(17)에 의해 은폐되는 것이므로, 수세식 변기의 외관을 손상시키는 일도 없다.
실시 형태 2
도 4(A) 내지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시 형태 2의 소음 장치(5)는,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수세식 변기에 이용되고 있다.
이 소음 장치(5)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급수로(1a)를 갖는 제트관(1)의 사이, 즉 상류 측 제트관(1)과 하류 측 제트관(1)과의 사이에 일체로 마련되어 있다. 이 소음 장치(5)는 하우징(6)과 통부(7)를 구비하고 있다. 통부(7)는, 급수로(1a)와 연통하는 통수로(7a)를 내부에 가지며, 상류 측 제트관(1)에 하방을 향하여 접속되어 있다. 통수로(7a)의 내경은 급수로(1a)의 내경보다 크게 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6)은 상류 측 제트관(1) 및 통부(7)의 상방과 수밀 공법으로 접속됨과 함께, 통부(7)의 하방의 주위를 둘러싸 하류 측 제트관(1)에 수밀 공법으로 접속되어 있다. 하우징(6)의 내부로서 통부(7)의 외측에는 제트관(1) 내의 공기를 저류 가능한 공기실(6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통부(7)의 상방에는 통수로(7a)를 공기실(6a)에 연통하는 통기 구멍(7b)이 관통되어 있다. 그 밖의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같고,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이용하는 것으로 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 수세식 변기에서는, 도시하지 않은 본체 또는 리모트 콘트롤의 배수 버튼 스위치가 눌리면, 우선 세정 장치(16)가 한쪽의 밸브를 열고, 림 관(15)을 통하여 림 통수로(14a)에만 통수한다. 이로써, 세정수가 변기 상단에 따라 수평으로 토출되고, 이 세정수가 보울부(11)의 발면(11a)을 흘러 내리면서 발면(11a)을 세정한다. 이 결과, 저류수(W)의 수면이 보울부(11)의 저부로부터 높이(h2)의 위치까지 상승한다. 그리고, 세정 장치(16)가 그 한쪽의 밸브를 닫는다. 이때, 소음 장치(5)는,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실(6a) 내 및 통수로(7a) 내는 세정수로 채워진 상태로 된다.
다음에, 세정 장치(16)가 다른쪽의 밸브를 열고, 제트관(1)을 통하여 제트 노즐(13)에만 통수한다. 제트관(1)에 세정수를 급수한 직후에는,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정수는 제트관(1)의 상류 측인 상방으로부터 하류 측인 하방으로 수압에 의해 이동한다. 이때, 제트관(1) 내에 남아있던 공기는 덩어리로 되어 급수로(1a)로부터 통수로(7a)를 통과하여 통부(7)의 하방으로부터 나온다. 그때, 이 공기의 덩어리는 부력에 의해 통부(7)의 외측으로 이동하고, 공기실(6a)에 저류된다. 제트관(1)에의 세정수의 공급이 계속되고 있는 동안,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트관(1) 내에 남아있던 공기는 전부 공기실(6a)에 저류된다. 한편, 통수로(7a)의 내경은 급수로(1a)의 내경보다 크게 되어 있기 때문에, 급수로(1a)를 흘러 온 세정수는 통수로(7a)에서 확산되고, 유속이 내려가게 된다. 이로써, 통수로(7a)의 상부의 수압은 통수로(7a)의 하부의 수압보다 낮아지고, 공기실(6a)에 저류되어 있던 공기가 아주 작은 거품으로 되어 통기 구멍(7b)으로부터 통수로(7a)에 조금씩 인출된다(벤츄리 효과). 그리고, 작은 거품은 토수와 함께 트랩부(12)의 저류수(W)로 방출된다. 이 때문에, 제트관(1)에 의한 급수가 종료한 후, 하우징(6) 내의 공기는 거의 소실(消失)하거나 또는 소실하지 않는 경우라도 과잉으로 저류되는 일은 없다. 이렇게 하여, 이 소음 장치(5)에서는 제트관(1) 내의 공기가 덩어리로 되어 즉시 저류수(W) 내로 방출되는 일이 없어,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세정 장치(16)는 다른쪽의 밸브를 닫는다. 그리고, 제트관(1)과 접속된 대기 개방 밸브가 열린다. 이로써, 도 4(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트관(1)에의 세정수의 공급이 정지되고, 급수로(1a) 및 통수로(7a)가 대기에 개방된다. 그 밖의 작용, 효과는 실시 형태 1과 같다.
실시 형태 3
실시 형태 3에서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시 형태 2의 소음 장치(5)를 변기 본체(10)의 내부에 마련하고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2와 같다.
이 수세식 변기에서는, 도시하지 않은 본체 또는 리모트 콘트롤의 배수 버튼 스위치가 눌리지 않는 상태에 있어서, 소음 장치(5)의 전체가 저류수(W)의 수면의 보울부(11)의 저부로부터의 높이(h1)보다 하방에 위치하기 때문에,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음 장치(5)의 하우징(6) 내 및 통수로(7a) 내는 세정수로 채워진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배수 버튼 스위치가 눌려 세정 장치(16)가 한쪽의 밸브를 열고, 림 관(15)을 통하여 림 통수로(14a)에만 통수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다음에, 세정 장치(16)가 다른쪽의 밸브를 열고, 제트관(1)을 통하여 제트 노즐(13)에만 통수하면, 실시 형태 2와 마찬가지로 소음 장치(5)는 도 4(B)로부터 (C)에 도시한 상태로 된다. 이렇게 하여, 공기실(6a)에 저류되어 있던 공기가 거의 소실하게 된다.
그리고, 세정 장치(16)가 다른쪽의 밸브를 닫는다. 그리고, 제트관(1)과 접속된 대기 개방 밸브를 연다. 이로써, 공기실(6a)에 공기가 약간 남아있다고 하여도, 그 공기는 통기 구멍(7b)으로부터 통수로(7a)를 경유하여 상류 측의 급수로(1a)로 이동한다. 이렇게 하여, 소음 장치(5)는 도 4(A)에 도시한 상태로 된다. 그 밖의 작용, 효과는 실시 형태 1과 같다.
실시 형태 4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시 형태 4의 소음 장치(25)는,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수세식 변기에 이용되고 있다. 이 소음 장치(25)는 도 4에 도시한 소음 장치(5)를 구체화한 것이다.
이 소음 장치(25)는, 수지제의 2부재가 용착되어 이루어지는 하우징(26) 및 통부(27)로 이루어진다. 하우징(26)은 개략 L자 형상을 하고 있다. 이 하우징(26)의 상방에는, 제트관(1)의 상류 측과 접속되는 접속구(26b)가 상방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26)의 하방에도, 제트관(1)의 하류 측과 접속된 접속구(26c)가 상방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이들 접속구(26b, 26c)의 내경은 제트관(1)의 급수로(1a)와 거의 동등하게 되어 있다.
하우징(26) 내에서는, 접속구(26b)와 연통하는 통부(27)가 하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하우징(26)은 이 통부(27)의 상방과 일체로 접속되어 있고, 하우징(26)은 통부(27)의 하방의 주위를 둘러싸고 있다. 통부(27)는 제트관(1)의 급수로(1a)와 연통하는 통수로(27a)를 내부에 가지며, 접속구(26b)를 통하여 상류 측 제트관(1)에 하방을 향하여 접속된다. 통수로(27a)의 내경은 그 접속구(26b)의 내경보다 크게 되어 있다. 하우징(26)의 내부로서 통부(27)의 외측에는 제트관(1) 내의 공기를 저류 가능한 공기실(26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통부(27)의 상방에는 통수로(27a)를 공기실(26a)에 연통하는 통기 구멍(27b)이 관통되어 있다. 그 밖의 구성은 실시 형태 2와 같다.
이 수세식 변기에 있어서도, 실시 형태 2와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소음 장치(2)에 관해서도 마찬가지로 구체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 형태 5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시 형태 5의 급수 장치도 수세식 변기에 이용되고 있다. 이 수세식 변기에서는 트랩부(12)의 저류수(W)의 저부에 제트 노즐(13)이 고정되어 있다. 이 제트 노즐(13)의 트랩부(12) 내의 선단이 제트구(13a)로 되어 있다. 또한, 제트 노즐(13)은 내부를 급수로로 하는 급수관으로서의 제트관(50)에 의해 세정 장치(16)에 접속되어 있다. 제트관(50)은 물을 하방으로 통과시키는 하향 급수관(50a)과, 하향 급수관(50a)의 상류 측에 위치하고, 물을 수평 또는 거의 수평으로 통과시키는 수평 급수관(50b)을 갖고 있다. 그리고, 하향 급수관(50a)에는 소음부(51)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소음부(51) 내에는 기둥형상으로 형성된 공간(51a)이 형성되어 있다. 공간(51a)은 내경이 하향 급수관(50a)의 내경보다 크고, 물과 함께 통과하려는 공기를 실속시키는 작용을 한다. 소음부(51)는, 보울부(11)의 저부로부터의 저류수(W)의 수면의 높이(h1)보다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수평 급수관(50b)에는 수세식 변기의 공차를 흡수하는 벨로즈(52)가 형성되어 있다. 그 밖의 구성은 도 1에 도시한 실시 형태 1의 것과 같아서, 동일한 구성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이용하는 것으로 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 수세식 변기에서는, 도시하지 않은 본체 또는 리모트 콘트롤의 배수 버튼 스위치가 눌리면, 우선 세정 장치(16)가 한쪽의 밸브를 열고, 림 관(15)을 통하여 림 통수로(14a)에만 통수한다. 이로써, 세정수가 변기 상단에 따라 수평으로 토출되고, 이 세정수가 보울부(11)의 발면(11a)을 흘러 내리면서 발면(11a)을 세정한다. 이 결과, 저류수(W)의 수면이 보울부(11)의 저부로부터 높이(h2)의 위치로 까지 상승한다. 그리고, 세정 장치(16)가 그 한쪽의 밸브를 닫는다. 이때, 소음 장치(51)는 도 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간(51a) 내는 세정수로 채워진 상태로 된다.
다음에, 세정 장치(16)가 다른쪽의 밸브를 열고, 제트관(50)을 통하여 제트 노즐(13)에만 통수한다. 제트관(50)에 세정수를 공급한 직후에는, 도 9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정수는 제트관(50)의 상류 측인 수평 급수관(50b)으로부터 하류 측인 하향 급수관(50a)으로 수압에 의해 이동한다. 이때, 제트관(50) 내에 남아있던 공기는 덩어리로 되어 세정수와 함께 소음부(51)에 진입한다. 소음부(51)의 공간(51a)의 내경은 하향 급수관(50a)의 내경보다 크게 되어 있어, 공간(51a) 내에 진입한 공기에는 부력이 크게 작용하고, 그 공기가 실속하여 공간(51a) 내의 상부에 저류된다. 또한, 물과 함께 통과하려는 공기는 벨로즈(52)에 의해서도 약간 실속되고 있다. 제트관(50)에의 세정수의 공급이 계속되고 있는 동안, 도 9(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트관(50) 내에 남아있던 공기는 전부 공간(51a) 내의 상부에 저류됨과 함께, 이 저류된 공기는 아주 작은 거품으로 되어 수중으로 인출된다. 그리고, 작은 거품은 토수와 함께 트랩부(12)의 저류수(W)로 방출된다. 이 때문에, 제트관(50)에 의한 급수가 종료한 후, 공간(51a) 내의 공기는 거의 소실한다. 이렇게 하여, 이 급수 장치에서는 제트관(50) 내의 공기가 덩어리로 되어 즉시 저류수(W) 내로 방출되는 일이 없어,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세정 장치(16)는 다른쪽의 밸브를 닫고, 제트관(50)에의 세정수의 공급이 정지되고, 제트관(50)과 접속된 대기 개방 밸브가 열린다. 이로써, 도 9(D)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간(51a) 내는 세정수로 채워진 상태로 된다. 그 밖의 작용, 효과는 실시 형태 1과 같다.
또한, 이 급수 장치에서는, 상기 종래의 소음 장치와 같이 제트관으로부터 분기된 분기관이나 하우징 내에서 가동하는 밸브를 갖고 있지 않아, 부품 개수가 적고, 구조가 간소하다. 특히, 소음부(51)는 제트관(50)의 내경이 확대됨에 의해 기둥형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질 뿐, 구조가 매우 간단하다. 이 때문에, 제조 비용의 저렴화를 실현할 수 있음과 함께 조립도 용이하다. 또한, 이 급수 장치는 종래의 밸브와 같은 가동하는 부재를 갖고 있지 않아, 안정한 소음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이 급수 장치에서는 소음부(51)는 제트관(50)과 일체로 되어 있기 때문에 소음부(51)를 제트관(50)에 조립할 필요가 없어, 조립이 더욱 용이해진다.
따라서, 실시 형태 5의 급수 장치에 의하면, 제조 비용의 저렴화와 조립의 용이성을 실현하면서, 소음의 확실한 방지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이 급수 장치는 안정하게 소음 효과를 발휘할 수 있기 때문에, 메인터넌스 프리를 실현할 수도 있다. 또한, 벨로즈(52)에 의해 다양한 사이즈의 수세식 변기에 이 급수 장치를 부착할 수도 있다. 또한, 이 급수 장치에서는 소음부(51)로서 기둥형상의 것을 채용하였지만, 공간(51a)의 내경이 하향 급수관(50a)의 내경보다도 크면 좋고, 반드시 기둥형상일 필요는 없다.
이상의 실시 형태는 예시로서, 본 발명은 그 주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다양한 변경을 가한 양태로 실시 가능하다.
본 발명의 소음 장치 또는 급수 장치는, 수세식 변기의 세정 장치, 욕조의 급탕 장치 등에 구체화하는데 알맞다.
Claims (8)
- 내부의 급수로를 통과하는 물을 저류수 내로 토수시키는 급수관의 도중에 접속되는 소음 장치에 있어서,상기 급수관중 상기 소음 장치의 상류 측에 위치하는 상류 측 급수관에 하방을 향하여 접속되고, 상기 급수로와 연통하는 통수로를 내부에 갖는 통형상의 통부와,해당 상류 측 급수관 및 해당 통부의 상방과 수밀 공법으로 접속됨과 함께, 해당 통부의 하방의 주위를 둘러싸 해당 급수관중 해당 소음 장치의 하류 측에 위치하는 하류 측 급수관에 수밀 공법으로 접속되고, 해당 통부의 외측인 내부에 해당 급수관 내의 공기를 저류 가능한 하우징을 가지며,해당 통부의 상방에는 해당 통수로를 해당 하우징의 내부에 연통하는 통기 구멍이 관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류 측 급수관에는 대기 개방 밸브가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장치.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통수로의 내경은 급수로의 내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하우징은 내부의 적어도 일부가 저류수의 수면보다 하방에 위치하도록 급수관과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장치.
- 내부의 급수로를 통과하는 물을 저류수 내로 토수시키는 급수관을 구비한 급수 장치에 있어서,상기 급수관에는 소음 장치가 접속되고,해당 소음 장치는, 해당 급수관중 해당 소음 장치의 상류 측에 위치하는 상류 측 급수관에 하방을 향하여 접속되고, 상기 급수로와 연통하는 통수로를 내부에 갖는 통형상의 통부와,해당 상류 측 급수관 및 해당 통부의 상방과 수밀 공법으로 접속됨과 함께, 해당 통부의 하방의 주위를 둘러싸 해당 급수관중 해당 소음 장치의 하류 측에 위치하는 하류 측 급수관에 수밀 공법으로 접속되고, 해당 통부의 외측인 내부에 해당 급수관 내의 공기를 저류 가능한 하우징을 가지며,해당 통부의 상방에는 해당 통수로를 해당 하우징의 내부에 연통하는 통기 구멍이 관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 장치.
- 제 5항에 있어서,급수관이 수세식 변기의 제트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 장치.
- 수세식 변기의 제트구에 접속되고, 내부의 급수로를 통과하는 물을 해당 수세식 변기가 형성하는 저류수 내로 토수시키는 급수 장치에 있어서,상기 급수로중 물을 하방으로 통과시키는 하향 급수로의 일부는, 내경이 확대됨에 의해, 해당 물과 함께 통과하려는 공기를 실속시키는 소음부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 장치.
- 제 7항에 있어서,급수로는 통형상의 급수관에 의해 형성되고, 해당 급수관은 소음부를 일체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2240804 | 2002-08-21 | ||
JPJP-P-2002-00240804 | 2002-08-21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38017A true KR20050038017A (ko) | 2005-04-25 |
KR101010079B1 KR101010079B1 (ko) | 2011-01-24 |
Family
ID=31943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7002764A KR101010079B1 (ko) | 2002-08-21 | 2003-08-15 | 급수 장치 |
Country Status (8)
Country | Link |
---|---|
US (1) | US7392550B2 (ko) |
EP (1) | EP1544363A4 (ko) |
JP (1) | JP4124467B2 (ko) |
KR (1) | KR101010079B1 (ko) |
CN (1) | CN1311137C (ko) |
HK (1) | HK1080917A1 (ko) |
TW (1) | TWI324200B (ko) |
WO (1) | WO2004018786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06715B1 (ko) | 2004-04-20 | 2006-08-0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통신 단말기의 액정표시장치 인터페이싱 장치 및인터페이싱 방법 |
TW200636133A (en) * | 2005-02-10 | 2006-10-16 | Toto Ltd | Flushing type toilet |
DE102006010569A1 (de) * | 2006-03-06 | 2007-09-20 | Roediger Vakuum- Und Haustechnik Gmbh | Unterdruckabwassereinrichtung |
CN102933725B (zh) | 2010-10-28 | 2014-10-29 | 克拉里安特国际有限公司 | 非金属鞣制方法 |
EP2657418B1 (en) | 2012-04-26 | 2015-01-14 | Airbus Operations GmbH | Noise reduction unit for vacuum suction drains |
GB2528324B (en) * | 2014-07-18 | 2017-11-01 | Ideal Standard (Uk) Ltd | Toilet bowl unit |
CN106762690A (zh) * | 2017-01-06 | 2017-05-31 | 宁波九缘菲力加泵业有限公司 | 一种净水机专用的ro机自吸增压稳压泵系统 |
US10683652B1 (en) * | 2017-01-25 | 2020-06-16 | Mag Aerospace Industries, Llc | Multiple rinse injections to reduce sound in vacuum toilets |
CN112523315A (zh) * | 2020-11-27 | 2021-03-19 | 厦门帝恒诺卫浴科技有限公司 | 一种坐便器结构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630861A (en) * | 1924-08-28 | 1927-05-31 | Opdyke Scott | Self-sealing trap |
JP2537902Y2 (ja) * | 1990-09-22 | 1997-06-04 | 株式会社イナックス | 低騒音便器 |
JPH07104047B2 (ja) * | 1990-11-10 | 1995-11-13 | リンナイ株式会社 | 自動給水装置 |
US5832546A (en) * | 1996-11-12 | 1998-11-10 | Metcraft, Inc. | Flush toilet having a reseal water chamber |
JP4352443B2 (ja) * | 2000-09-14 | 2009-10-28 | Toto株式会社 | サイホンジェット式水洗便器 |
JP2002106040A (ja) * | 2000-09-28 | 2002-04-10 | Toto Ltd | 水洗便器 |
JP2002106044A (ja) * | 2000-09-29 | 2002-04-10 | Toto Ltd | 水洗便器 |
CN2491498Y (zh) * | 2001-06-13 | 2002-05-15 | 朱明华 | 静音式高效节水型蹲便器 |
JP3636144B2 (ja) * | 2001-08-30 | 2005-04-06 | 東陶機器株式会社 | 水洗便器 |
-
2003
- 2003-08-15 CN CNB038197537A patent/CN1311137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3-08-15 KR KR1020057002764A patent/KR101010079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3-08-15 EP EP03792694A patent/EP1544363A4/en not_active Withdrawn
- 2003-08-15 US US10/524,212 patent/US7392550B2/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3-08-15 JP JP2004530557A patent/JP4124467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3-08-15 WO PCT/JP2003/010396 patent/WO2004018786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3-08-20 TW TW092122830A patent/TWI324200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6
- 2006-01-17 HK HK06100712A patent/HK1080917A1/xx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TW200404939A (en) | 2004-04-01 |
EP1544363A1 (en) | 2005-06-22 |
EP1544363A4 (en) | 2006-06-07 |
WO2004018786A1 (ja) | 2004-03-04 |
KR101010079B1 (ko) | 2011-01-24 |
CN1311137C (zh) | 2007-04-18 |
TWI324200B (en) | 2010-05-01 |
HK1080917A1 (en) | 2006-05-04 |
JP4124467B2 (ja) | 2008-07-23 |
CN1675437A (zh) | 2005-09-28 |
JPWO2004018786A1 (ja) | 2005-12-15 |
US20050188453A1 (en) | 2005-09-01 |
US7392550B2 (en) | 2008-07-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3312625B2 (ja) | 水洗便器と洗浄水給水装置 | |
US5579542A (en) | Toilet with water saving, vacuum-assisted flushing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s | |
KR100483510B1 (ko) | 분사펌프를 이용한 림측 급수장치를 갖는 양변기 | |
JP2004156382A (ja) | 便器 | |
JP2017218789A (ja) | 水洗大便器装置 | |
KR101010079B1 (ko) | 급수 장치 | |
CN111733943A (zh) | 一种改善噪音的马桶冲洗装置 | |
JP5456274B2 (ja) | 洗浄タンク装置及び水洗式便器 | |
US6295660B1 (en) | Toilet tank with sediment removal assembly | |
US5862538A (en) | Toilet flushing device | |
JP2008240401A (ja) | 洋風水洗式便器 | |
JP2002061262A (ja) | 水洗便器の洗浄方法及び水洗便器 | |
CN216428455U (zh) | 马桶 | |
CN113846727B (zh) | 一种节约空间的冲刷装置及坐便器 | |
JP2010236201A (ja) | 水洗大便器 | |
CN113957961A (zh) | 马桶 | |
WO2001032996A1 (fr) | Siege sanitaire, dispositif de vidange d'eau de ce siege et toilettes equipees de ce siege et du dispositif de vidange | |
CN113529891B (zh) | 一种马桶排水装置 | |
CN219471133U (zh) | 一种马桶的冲水装置 | |
JP2003090074A (ja) | 大便器 | |
CN220978234U (zh) | 一种隐藏式水箱装置 | |
CN218911658U (zh) | 水箱组件和坐便器 | |
JP2002322717A (ja) | 水洗式便器 | |
JP6544574B2 (ja) | 水洗大便器装置 | |
JP2001254420A (ja) | ロータンク式サイフォンゼット便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212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005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905 Year of fee payment: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