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7351A - 록홈을 갖는 헤드레스트 록의 구조, 록홈의 성형 방법 및헤드레스트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록홈을 갖는 헤드레스트 록의 구조, 록홈의 성형 방법 및헤드레스트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7351A
KR20050037351A KR1020040078281A KR20040078281A KR20050037351A KR 20050037351 A KR20050037351 A KR 20050037351A KR 1020040078281 A KR1020040078281 A KR 1020040078281A KR 20040078281 A KR20040078281 A KR 20040078281A KR 20050037351 A KR20050037351 A KR 200500373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
headrest
lock groove
pol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8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82694B1 (ko
Inventor
아께히요소
이시까와히로유끼
마쯔까와료지
Original Assignee
델타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델타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델타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373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73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26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26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09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 B60N2/812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ir locking devices
    • B60N2/818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ir locking devices with stepwise positio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록의 의도하지 않은 해제를 방지할 수 있는 헤드레스트의 록홈의 구조 등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록 구조는 축심 방향을 따라 일렬로 나란하게 록 복수의 록홈(4)을 형성한 원형단면의 헤드레스트폴(1)과, 록홈(4)들중 어느 하나에 감입 가능한 록 플레이트(2)를 구비하고, 각 록홈(4)은 헤드레스트폴(1)의 주면(40)으로부터 소정량만 움푹 들어간 영역내까지 원호상으로 돌출하는 저면부(41)와, 이 저면부(41)의 헤드레스트폴(1)의 축심 방향에 있어서 적어도 한쪽에 해당 저면부(41)에 대하여 거의 수직으로 형성된 측면부(42)를 갖고, 록 플레이트(2)는 록홈(4)의 저면부(41)의 형상에 대응하는 원호상의 요면부 (21)와 록홈(4)의 측면부(42)에 대응하는 평탄부(22)를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록홈을 갖는 헤드레스트 록의 구조, 록홈의 성형 방법 및 헤드레스트폴의 제조 방법 {Headrest lock structure with lock slots, method for forming lock slots in headrest pole and method for producing headrest pole}
본 발명은 헤드레스트 록의 구조, 록홈의 성형 방법 및 헤드레스트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8은 일반적인 자동차용 시트의 구조도로서, (a)는 시트의 전체를 나타내는 사시도,(b)는 그 헤드레스트 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일반적인 자동차용 시트는 도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체에 장착된 시트쿠션(501)과 시트쿠션(501)에 대해 앞뒤로 눕힐 수 있게 장착된 시트백(502)과 시트백(502)의 상단부에 상하동 가능하게 장착된 헤드레스트(503)를 구비하고 있다. 헤드레스트(503)는 또한 도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쿠션부재(504)와 쿠션부재(504)를 지지하는 역 U자 모양의 헤드레스트폴(505)을 구비하고, 헤드레스트폴(505)의 좌우 양 다리부(506,507)는 시트백(502)에 설치된 폴가이드(508)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관통된다.
상기 헤드레스트(503)의 좌측 다리부(506)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록홈(509)이 축심 방향을 따라 일렬로 나란하게 형성되고 있고, 폴가이드(508)에는 록홈(509)중 하나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지는 록 플레이트(516)(도9 참조)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헤드레스트폴(505)의 좌측 다리부(506)의 록홈(509)중 하나에 폴가이드(508)의 록 플레이트(516)가 끼워 넣어지는 것에 의하여 헤드레스트(503)를 소망 높이로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9는 종래의 헤드레스트의 록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헤드레스트폴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횡단면도, (b)는 헤드레스트폴과 록 플레이트가 정확한 위치에서 결합하고 있을 때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c)는 그 횡단면도, (d)는 헤드레스트폴이 록 플레이트에 대하여 회전할 때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헤드레스트폴(505)의 소재로서 속이 찬 환봉을 사용하여 이를 절삭 가공하고 록홈(509)를 형성하는 데에는 제조비용이 많이 드므로, 근래에는 도9(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헤드레스트폴(505)의 소재로서 원형단면의 파이프재를 사용하여, 이를 펀치(511)로 프레스 성형하고 록홈(509)를 형성하고 있다[예를 들면, 일본특개평 15-009992호 공보(특허문헌 1) 참조].
이 경우, 펀치(511)의 선단(511a)의 형상은 평탄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록홈(509)은 도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탄한 저면부(512)와 저면부(512)에 대하여 거의 수직으로 형성된 상측면부(513)을 갖는다. 또한, 같은 도면에서 도면부호 514는 상측면부(513)에 연결된 원호부(침하부)를 가리키며, 도면부호 515는 저면부(512)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기울어진 경사부를 가리킨다. 최하부 록홈 이외의 다른 록홈들은 경사부(515)와 상하 비대칭으로 되어 있지만 최하부의 록홈(509)만 상하 대칭으로 되어 있다.
한편, 록 플레이트(516)는 평판상으로 형성되고, 또한 록홈(509)의 저면부(512)에 접촉하는 록 부의 모서리부는 직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상측면부(513)는 원호부(514)와 평탄한 저면부(512)와의 사이에서 평면도상에서 활 모양으로 되어 있고(해칭 참조), 그 폭은 최대 폭 d1에서 최소 폭 0(영)까지 크게 변화한다.
따라서 도9(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헤드레스트폴(505)이 소정의 정확한 위치로 폴가이드(508)에 장착되면 상기 록홈(509)의 상측면부(513)의 최대 폭 d1의 부분에 록 플레이트(516)가 접합하여, 양자의 결합영역 S1은 최대 폭 d1과 최대 길이 L1으로 정해지는 원하는 면적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상기 특허 문헌 1과 같은 헤드레스트폴(505)은 그 이전의 기술과 비교하여 제조 공정수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상당히 저렴한 코스트로 구성할 수 있다. 그렇지만, 상기 특허 문헌 1의 경우에는 헤드레스트폴이 록홈(509)의 형성 후에 굽힘 가공되기 때문에 이 굽힘 가공에 수반하여 각도 오차가 생기기 쉽다. 또한, 록 플레이트(516)에도 제조 오차가 있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헤드레스트폴(505)의 굽힘 가공시의 각도 오차나 록 플레이트(516)의 제조 오차로 인하여, 헤드레스트폴(505)이 소정 정확한 위치로부터 회전하여, 이른바 벗어난 위치에 장착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충격을 받은 헤드레스트폴(505)이 회전하는 방향[도9(d)의 화살표 a 참조]으로 힘을 받는 경우도 있다. 그러한 경우에는 도9(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록홈(509)의 상측면부(513)의 최대 폭 d1 보다도 작은 폭의 부분인 동일 록홈의 단부(517)에 록 플레이트(516)가 접합하여 양자가 접촉하게 되고 결합영역(S2)의 폭 d2가 최대 폭d1에 비해 약 반 정도에 까지 감소함과 동시에, 그 결합영역(S2)의 길이 L2도 최대 길이 L1에 비해 감소하며, 그 결과 결합영역(S2)의 면적이 상당히 줄어들어 록의 원하지 않은 해제가 일어나기 쉽다. 또한, 상기 굽힘 가공을 록홈(509)의 프레스 성형전에 행하면, 굽힘 가공에 수반한 각도 오차는 감소하지만, 굽힘 가공후의 프레스 성형에서는 파이프재(510)의 만곡부가 방해가 되어 상당한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제조 공정수의 절감이 어렵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을 감안하여, 록이 원하지 않은 해제가 일어나지 않는 헤드레스트 록의 구조, 록홈의 성형 방법 및 헤드레스트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한 본 발명에 따르는 헤드레스트 록의 구조는 청구항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축심 방향을 따라 일렬로 나란하게 복수의 록홈이 형성된 원형단면의 헤드레스트폴과, 상기 록홈들중 어느 하나에 끼움 가능한 록 부재를 구비하는 헤드레스트 록에 있어서, 각 록홈은 헤드레스트폴의 주면에서 소정량만 움푹 들어간 영역내에서 원호상으로 돌출한 저면부와, 상기 저면부의 상기 헤드레스트폴의 축심 방향에서 적어도 한쪽에 해당 저면부에 대하여 상기 영역내에서 거의 수직으로 형성된 측면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록 구조가 제공된다.
헤드레스트폴은 청구항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파이프재를 소재로 사용하여 이 파이프재에 상기 록홈을 형성할 수도 있고, 청구항 3에 기재된 바와 같이 중실재를 소재로 사용하여 이 중실재에 상기 록홈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각 록홈의 저면부는 청구항 4에 기재된 바와 같이 헤드레스트폴의 주면의 곡률 반경보다 큰 곡률 반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록홈은 청구항 5에 기재된 바와 같이 헤드레스트폴의 약 반주에 걸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록 부재는 청구항 6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저면부의 형상에 대응하는 원호상의 요면부를 갖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록 부재의 요면부는 청구항 7에 기재된 바와 같이 각 록홈의 저면부의 곡률 반경과 동일 또는 약간 큰 곡률 반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록 부재는 청구항 8에 기재된 바와 같이 그 요면부와 반대측을 해당 요면부의 형상에 대응하는 원호상의 돌기부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록 부재는 청구항 9에 기재된 바와 같이 록홈의 측면부에 대응하는 평탄부를 가지는 판재로 구성되고, 상기 요면부는 노치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록 부재는 청구항 10에 기재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의 중앙부에 상기 요면부가 형성된 스프링부재이고, 일단측이 고정되고 록홈의 저면부와 거의 수직 방향으로 탄성 변형가능하고, 그 복원력으로 중앙부가 록홈에 끼워지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헤드레스트폴의 록홈의 성형 방법은 청구항 11에 기재된 바와 같이 파이프재를 소재로 사용하며, 프레스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이 파이프재의 축심 방향을 따라 일렬로 나란하게 복수의 록홈을 프레스 성형하는 헤드레스트폴의 록홈의 성형 방법으로, 각 록홈의 저면부에 대응하는 원호상의 요면부와 상기 각 록홈의 측면부에 대응하는 평탄부를 갖는 프레스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상기 파이프재의 주면을 프레스하는 것에 의하여, 이 주면에서 소정량만 움푹 들어간 영역내에서 원호상으로 돌출하도록 상기 저면부를 성형함과 동시에, 이 저면부의 상기 파이프재의 축심 방향에 있어서 적어도 한쪽에 해당 저면부에 대하여 상기 영역내에서 거의 수직이 되도록 상기 측면부를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헤드레스트폴의 제조 방법은 청구항 12에 기재된 바와 같이 파이프재 또는 중실재에 주면에서 소정량만 움푹 들어간 영역내에서 원호상으로 돌출하는 저면부와 이 저면부의 파이프재 또는 중실재의 축심 방향에 있어서 적어도 한쪽에 해당 저면부에 대하여 상기 영역내에서 거의 수직으로 형성된 측면부를 갖는 록홈을 형성하고, 그 후에 파이프재 또는 중실재를 접어 굽힘가공하고 소정 형상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최선 실시형태를 예시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련된 헤드레스트의 록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외관 사시도, (b)는 (a)의 록홈 부분을 나타내는 정면도, (c)는 그 A-A 단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된 헤드레스트의 록 구조는 예를 들어 자동차용 시트의 시트백에 장비되는 것으로, 그 주요부로서 도 1(a) ~ (c)에 나타낸 것과 같은 헤드레스트폴(1)과 록 플레이트(록 부재)(2)를 구비한다.
헤드레스트폴(1)은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제나 철제의 기다란 원형단면의 파이프재(3)를 소재로 사용하며, 이 파이프재(3)의 축심 방향을 따라 일렬로 나란하게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4개의 경우를 예시)의 록홈(4)을 프레스 성형한 것이다. 또한, 파이프재(3)(후술한 중실재(30)도 마찬가지)는 반드시 원형단면이 아니라도 무방하며, 사각단면 등의 다각이어도 무방하다.
각 록홈(4)은 이 도면에서 상측에 3개(4a)와 가장 하측의 1개(4b)로 그 형상이 다르다. 그 이유는 - 자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 록홈 4a는 착좌자의 체격 등에 따라 헤드레스트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정하는 것을 허용하는 형상을 가지며, 록홈 4b는 헤드레스트의 의도하지 않는 빠짐을 방지하기 위한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록홈들 중에서 록홈(4a)은 파이프재(3)의 주면(40)에서 소정량만 움푹 들어간 영역내에서 원호상으로 돌출하는 저면부(41)와, 이 저면부(41)에 대하여 거의 수직으로 형성된 상측 면부(42)와, 상측 면부(42)에서 주면(40)에 연결된 원호부(43)와, 저면부(41)로부터 소정 각도로 경사져 주면(40)에 연결되는 경사부(44)를 갖고 있고, 상하 비대칭으로 되어 있다. 상기 소정량에는 상기 상측 면부(42)의 축 직경 방향의 폭(d)에 더하여 각 록홈(4a)의 프레스 성형에 의해 생기는 원호부(43)의 폭이 포함된다. 또, 각 록홈(4a)은 모두 파이프재(3)의 약 반주에 걸쳐 형성되고, 그 저면부(41)는 파이프재(3)의 주면(40)의 곡률 반경(r1) 보다 큰 곡률 반경(r2)을 갖는다. 또한, 상측 면부(42)는 원호부(43)와 원호상의 저면부(41)와의 사이에서 평면도상으로 폭(d)가 대체적으로 일정한 원호상의 띠를 하고 있다.
또 록홈(4b)은 파이프재(3)의 주면(40)으로부터 소정량만 움푹 들어간 영역내까지 원호상으로 돌출하는 저면부(41)와, 이 저면부(41)에 대하여 거의 수직으로 형성된 상하 측면부(42,42)와, 상하 측면부(42,42)로부터 각각 주면(40)에 연결된 원호부(43,43)을 갖고 있고, 상하 대칭으로 되어 있다. 이 록홈(4b)도 파이프재(3)의 약 반주에 걸쳐 형성되고, 그 저면부(41)는 파이프재(3)의 주면(40)의 곡률 반경(r1) 보다 큰 곡률 반경(r2)을 갖는다. 그리고 상측 면부(42)는 그 원호부(43)와 원호상의 저면부(41)와 사이에서 평면도상으로 폭(d)가 대체적으로 일정한 원호상의 띠를 하고 있다.
한편 록 플레이트(2)는 상기 록홈(4)에 끼움가능한 판두께의 금속판을 프레스로 타발(다이커팅)하는 것에 의해 성형되는 것으로, 헤드레스트폴(1)에 형성된 각 록홈(4)의 어느 하나에 끼워 넣을 수 있게 각 록홈4의 저면부(41)의 형상에 대응하는 원호상의 요면부(21)와 각 록홈(4)의 상측 면부(42)에 대응하는 평탄부(22)를 갖고 있고, 그 요면부(21)는 각 록홈(4)의 저면부(41)의 곡률 반경(r2)와 동일 또는 약간 큰 곡률 반경(r2)를 갖는다. 이 요면부(21)는 상기 프레스로 금속판을 타발하는 중에 노치형성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록 플레이트(2)는 코일 스프링(5)로 탄성 바이어스되어, 록홈(4)들중의 하나에 결합하게 된다.
본 헤드레스트 록 구조의 헤드레스트폴의 록홈은 예를 들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성형 할 수 있다. 도 2는 헤드레스트폴의 록홈의 성형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각 펀치의 상면 측에서 본 도면이다.
먼저 도 2에 나타낸 것처럼, 헤드레스트폴(1)의 소재로서 사용된 파이프재(3)를 소정 길이로 절단한 후에 프레스대(6) 위에 수평하게 놓는다. 그 위에 펀치(프레스구)(7,8)의 가이드 구멍(11a,11b)이 소정 위치에 천공된 펀치 가이드(10)을 씌운다. 도면 중의 12, 13은 프레스 성형의 대상이 되는 파이프재(3)의 외형에 따르는 반원상 홈부이고, 이것에 의해 파이프재(3)에 가해지는 프레스 힘이 분산되어, 록홈(4)이 형성된 부분 이외의 부분의 변형이 적게 된다. 그 상태에서 펀치 홀더(9)에 유지되는 펀치(7,8)을 강하시키는 것에 의하여(화살표b 참조), 파이프재(3)에 각 록홈(4a,4b)를 프레스 성형한다.
여기에서는 4개의 펀치(7,8)가 사용되고 있고, 그 중 록홈(4a)를 성형하는 펀치(7)는 동일한 형상의 것이고, 록홈(4b)를 성형하는 펀치(8)는 다른 펀치(7)와 다른 형상을 갖고 있다. 즉, 펀치(7)은 상측(도2에서 전방)에 평탄부(71)을 갖고, 그 하측(도2에서 후방)에 경사부(72)를 갖고 있다. 한편, 펀치(8)는 그 상하 양측 모두 평탄부(81)만을 갖고 있다. 단, 도3에 나타낸 것처럼, 각 펀치(7,8)의 선단은 모두 원호상으로 움푹 들어가 있고, 이 원호상의 요면부(73,82)와 상기 평탄부(71,81) 등의 형상이 파이프재(3)에 전사되어 상기 두 종류의 록홈(4a,4b)이 형성된다. 그러면 록홈(4a,4b)이 전사된 파이프재(3)는 록홈(4a,4b)이 그 내측을 향하도록 U자로 절곡되어 헤드레스트폴(1)이 완성된다.
도4는 록 플레이트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횡단면도, (b)는 종단면도이다. 또한, 도 4의 (a)에서는 헤드레스트폴(1)이 록 플레이트(2)에 대하여 소정 각도만큼 회전한 상태에서 장착되고 있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4의 (a),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동차용 시트의 시트백(도시생략)의 상단부에 장착된 직방체상의 폴가이드(14)의 상부에는 이 도면중의 우측으로 개방되는 개구부(15)가 천공되어 있다. 개구부(15)에는 사람 손으로 우측에서 좌측으로 밀 수 있게 되어 있는 록 해제용 노브(16)가 슬라이드가능하게 끼워져 있다. 록 해제용 노브(16)의 슬라이드부(16a)에는 헤드레스트폴(1)을 삽통가능한 직사각형 개구부(16b)가 형성되고, 그 좌단측에 상기 록 플레이트(2)가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개구부(15)의 내부에는 상기 코일 스프링(5)이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드부(16a)를 밀어내는 방향으로 바이어스하도록 되어 있다.
계속해서 도 1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록 구조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록 플레이트(2)가 록홈(4a)들중 어느 하나에 끼워져 있는 상태에서 헤드레스트를 높아지게 조정하고 싶은 경우를 생각해 보자. 이 경우에는 헤드레스트에 상향의 힘을 가하면 록홈(4a)의 저면부(41)에 접합하고 있는 록 플레이트(2)의 요면부(21)는 코일 스프링(5)의 바이어스힘에 대항하면서 경사부(44) 위를 슬라이드한다. 따라서 헤드레스트를 원하는 높이까지 들어올린 후, 손을 떼면 록 플레이트(2)는 다른 어느 쪽이든 1개의 록홈 4a(또는 4b)에 끼워지고 헤드레스트는 그 위치에 유지된다.
이러한 조작중에, 헤드레스트폴(1)이 소정 정확한 위치에 장착되어 있으면 상기 록홈(4)의 평탄한 상측 면부(42)에 록 플레이트(2)의 평탄부(22)가 결합하여, 양자의 결합영역(S)이 원호상으로 되기 때문에 그 결합영약(S)의 최대 길이(L)가 길어지므로 최대 폭(d)이 종래 예의 최대 폭(d1)과 동일하여도 그 종래 예보다 결합영역(S)의 면적이 당연히 커지게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또한 도 4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헤드레스트폴(1)의 굽힘(벤딩) 가공시의 각도 오차나 록 플레이트(2)의 제조 오차가 있고, 헤드레스트폴(1)이 소정 자세에서 회전하여 이른바 벗어난 자세로 장착되고 있다 하여도 상기한 종래 예와는 달리 헤드레스트폴(1)에 대한 록 플레이트(2)의 결합영역(S3)의 폭(d3)은 최대 폭(d)에 비해 실질적으로 감소하지 않고, 그 길이(L3)도 최대 길이(L)에 비해 실질적으로 감소하지 않기 때문에 결합영역(S3)의 면적 감소율(회전 전후에서의 면적 감소의 비율)이 작아지고, 이것에 의해 헤드레스트록의 의도하지 않은 해제가 방지된다. 또 충격에 의하여 헤드레스트폴(1)이 회전하는 방향으로 힘을 받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록의 의도하지 않은 해제가 방지된다.
역으로, 록 플레이트(2)가 록홈(4a,4b)들중 어느 하나에 끼워져 있는 상태에서 헤드레스트에 하향의 힘을 가하여도 록 플레이트(2)는 록홈(4a,4b)의 상방에 형성된 평탄한 상측 면부(42)와 접합하고 있어 헤드레스트는 하강하지 않는다.
또한, 록 플레이트(2)가 가장 하측의 록홈(4b)에 끼워져 있는 상태라면, 헤드레스트를 들어올리려고 하여도, 록홈(4b)의 아래쪽에는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아 록 플레이트(2)의 평탄부(22)는 록홈(4b)의 아래쪽에 형성된 평탄한 측면부(42)와 접합하기 때문에 헤드레스트는 더 이상 상측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의도하지 않은 헤드레스트의 빠짐이 저지된다.
계속해서, 록 플레이트(2)가 록홈(4a)들중의 어느 하나에 끼워져 있는 상태에서 헤드레스트를 낮아지도록 조정하고 싶은 경우를 생각해 보자. 이 경우에는 앞서 설명한 록 해제용 노브(16)을 누르면 코일 스프링(5)의 바이어스힘에 대항해서 록 해제용 노브(16)가 록 플레이트(2)와 함께 이동하여 록이 해제된다. 그런 다음,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고 록 해제용 노브(16)에서 손을 떼면 록 플레이트(2)가 록홈(4a 또는 4b) 들중 어느 하나에 끼워지고 헤드레스트는 그 위치에 유지된다.
이러한 조작중에 헤드레스트폴(1)이 소정의 정확한 위치에 장착되어 있으면, 상기 록홈(4a 또는 4b)의 평탄한 상측 면부(42)에 록 플레이트(2)의 평탄부(22)가 결합하여, 양자의 결합영역(S)이 원호상으로 되기 때문에 그 결합영역(S)의 최대 길이(L)가 길어지고, 또 그 최대 폭(d)도 일정하기 때문에 결합영역(S)의 원하는 면적을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또한 도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어 헤드레스트폴(1)의 굽힘 가공시의 각도 오차나 록 플레이트(2)의 제조 오차가 있어서, 헤드레스트폴(1)이 소정 자세로부터 벗어난 자세로 장착되어 있다하더라도, 또 충격을 받아 헤드레스트폴(1)이 회전하는 방향으로 힘을 받았다 하더라도, 헤드레스트폴(1)에 대한 록 플레이트(2)가 결합영역(S3)의 폭(d3)은 최대 폭(d)와 비교하여 실질적으로 감소하지 않고, 그 길이(L3)도 최대 길이(L)과 비교하여 실질적으로 감소하지 않기 때문에 결합부분(S3)의 면적 감소율이 작아지고, 따라서 록의 의도하지 않은 해제가 방지된다.
또한, 록 해제용 노브(16)를 누른 상태에서 헤드레스트를 들어올리면 록 플레이트(2)는 가장 하측의 록홈(4b)에 끼워지지 않게 되어 시트백으로부터 헤드레스트를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각 록홈4(4a,4b)은 상기 파이프재(3)의 주면(40)에서 소정량만 움푹 들어간 영역내까지 원호상으로 돌출하는 저면부(41)와, 상기 파이프재(3)의 축심 방향으로 적어도 한쪽에 해당 저면부(41)에 대하여 거의 수직으로 형성된 상측 면부(42)를 갖고, 록 플레이트(2)는 상기 저면부(41)의 형상에 대응하는 원호상의 요면부(21)와, 상기 상측면부(42)에 대응하는 평탄부(22)를 갖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헤드레스트폴(1)과 록 플레이트(2)와의 결합부분(S)이 원호상으로 되고 그 결합부분(S)의 최대 길이(L)가 길어지고, 파이프재(3)을 소재로 사용한 저가의 구성이면서, 항상 헤드레스트폴(1)에 대한 록 플레이트(2)의 결합부분(S)의 원하는 면적이 확보할 수 있어서 록의 해제가 방지된다.
또, 본 실시 형태에 따르는 헤드레스트폴(1)의 제조에 있어서, 먼저 상기 록홈(4)을 형성하고, 그 후에 굽힘가공하여 소정 형상으로 헤드레스트를 제조한다. 굽힘 가공후에 록홈(4)를 형성하면 만곡부가 방해가 되어 상당한 시간이 소모되지만,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시간 소모적인 조작없이 간단하게 록홈(4)을 형성할 수 있다.
또, 록홈(4)은 상술한 것처럼 헤드레스트록의 의도하지 않은 해제방지기능이 있다. 상기와 같이 록홈(4)를 형성한 후에 굽힘가공을 수행하는 것에 의해서 각도 오차가 생긴다 하더라도, 록의 의도하지 않은 해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헤드레스트폴(1)의 소재로서 원형단면의 파이프재(3)을 사용하고 있지만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금속제의 봉으로 된 원형단면의 중실재(30)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 NC 공작 기계등을 이용하여 절삭 가공해서 록홈(4)을 형성하면, 원호부(43)(도1 참조)를 제거할 수 있고, 상측 면부(42)의 최대 폭(d)과 결합부분(S)의 면적이 대폭 증가하기 때문에 록의 의도하지 않은 해제가 또한 방지된다. 또한, 헤드레스트폴(1)은 단조 등에 의하여 제조할 수도 있고, 또는 수지를 성형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록 플레이트(2)는 헤드레스트폴(1)의 록홈(4)에 대향한 측을 원호상에 움푹 들어가게 하고 있지만,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요면부(21)의 반대측을 해당 요면부(21)의 형상에 대응하는 원호상의 돌기부(23)를 갖는 록 플레이트(2')로 형성시킬 수도 있다. 또한, 도 6에서 22는 위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평탄부이다. 이 경우에, 각 록 플레이트(2')의 요면부(21)와 돌기부(23)을 겹치도록 하여 많은 수의 록 플레이트(2')를 하나의 판에서 성형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수득률이 향상한다.
또, 주로 요면부(21)의 반대측에서 지지되는 록 플레이트(2')는 록 플레이트(2')의 요면부(21)의 반대측에 형성된 볼록한 부분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서 지지부분의 면적증대가 보장된다.
따라서 록 플레이트(2')에 상하 방향의 힘이 작용할 때 록 플레이트(2')의 상하 방향의 회전이 억제되어, 록의 의도하지 않은 해제가 확실하게 방지된다. 또, 록 부재는 예를 들어 록 플레이트(2)와 록 해제용 노브(16)가 일체로 형성된 것이어도 좋다.
게다가, 헤드레스트폴(1)의 록홈(4)에 끼워지는 록 부재로서는 록 플레이트(2)에 한하지 않고, 도7에 나타낸 바와 같은 스프링부재(20)를 채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스프링부재(20)는 판스프링이고, 록홈(4)에 끼움가능한 폭을 가지며, 길이 방향의 중앙부에는 요면부(2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일단측이 폴가이드(14)에 고정되고 록홈(4)의 저면부(41)과 거의 수직 방향으로 탄성 변형이 가능하고, 그 복원력으로 중앙부(요면부 21)가 록홈4에 끼워지게 되어 있다. 또, 요면부(21)이 형성되어 있는 중앙부의 윗면은 상술한 평탄부(22)로 되어 있다.
록 부재를 판재 등으로 구성한 경우에는 록 부재를 록홈(4)에 끼워 넣어지게 하기 위한 스프링(5) 등이 별도로 필요하지만, 상기와 같은 구조로 하는 경우에는 록 부재만으로 그 기능을 다할 수 있기 때문에, 부품수를 줄일 수 있음과 동시에 구조를 심플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스프링부재(20)는 판스프링에 제한되지 않고, 평탄부(22)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둥근 바형상의 스프링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헤드레스트폴(1)의 굽힘 가공을 프레스 성형후에 하고 있지만, 역으로 프레스 성형전에 굽힘 가공을 행하여도 무방하다.이 경우에는 전술과 같이 프레스 가공에 약간의 어려움이 수반되지만, 굽힘 가공시의 각도 오차가 제거되므로 록 기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헤드레스트폴(1)의 굽힘 가공은 U자형으로 하고 있지만, 뒤쪽에 소정 각도로 구부리는 추가의 가공을 행하여도 무방하고, 그 밖의 형상으로 굽힘 가공 할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헤드레스트 폴은 굽힘 가공의 영향을 받는 것이 적기 때문에 어느 형상이든 자유자재로 가공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록홈(4)을 굽힘 가공시에 U자의 우측 다리에 배치하여 내측으로 향하도록 하고 있지만, 이를 외측에 향하도록 할 수도 있고, 좌측 다리에 배치하여 내측 또는 외측을 향하도록 할 수도 있다. 더욱이, 록홈(4)을 U자의 좌우 양 다라에 배치하고 각각을 내측 또는 외측에 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어느 경우에도 록 플레이트(2)는 록홈(4)에 대향하여 설치되는 것은 물론이다.
또, 상기 실시 형태에서 록홈(4)은 파이프재의 약 반주에 걸쳐 형성되고 있고, 이것에 의해 헤드레스트폴(1)의 회전량이 약 90°이하의 범위에서는 상기 결합부분(S3)의 면적 감소율이 확실하게 작아지도록 하고 있지만, 상기 회전량이 보다 적은 경우에는 반주 이하의 범위에서 록홈(4)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 록 플레이트(2)의 요면부(21)는 록홈(4)의 저면부(41)의 곡률 반경(r2)와 동일한 곡률 반경(r2)를 갖는 것에 의하여 상기 결합부분(S)의 면적을 최대로 하고 있지만 양자의 곡률 반경을 반드시 일치시킬 필요는 없고 거의 동일한 곡률 반경으로 하는 것으로 족하다. 극단적으로 말하면, 록 플레이트(2)의 요면부(21)을 없애더라도 헤드레스트폴(1)의 록홈(4)의 저면부(41)를 원호상으로 하고 있는 한 그 회전시에 결합부분(S3)의 폭(d3)이 최대 폭 d와 거의 동일하게 되기 때문에 ,종래 예보다 큰 결합 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자동차용 시트의 시트백에 장비되는 헤드레스트의 록 구조에 관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자동차 이외의 리클라이닝 시트에 장비되는 헤드레스트의 록 구조에 적용할 수도 있고, 나아가서는 파라솔 등의 폴의 록 구조에 응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헤드레스트의 록 구조에 의하면, 청구항 1 기재와 같이 각 록홈은 원형 단면의 헤드레스트폴의 주면에서 소정량만 움푹 들어간 영역내에서 원호상으로 돌출하는 저면부와 이 저면부의 상기 헤드레스트폴의 축심 방향에 있어서 적어도 한쪽에 해당 저면부에 대하여 상기 영역내에서 거의 수직으로 형성된 측면부를 갖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예를 들어 헤드레스트폴의 굽힘 가공시의 각도 오차나 록 부재의 제조 오차가 있다거나, 헤드레스트폴이 소정 자세로부터 회전하고 이른바 벗어난 자세로 장착되어 있다거나, 또 충격을 받아 헤드레스트폴이 회전한 방향으로 힘을 받는다 하여도, 헤드레스트폴에 대한 록 부재의 결합 부분의 폭이 회전 전후에 대략적으로 일정하게 되어, 이것에 의해 결합부분의 면적 감소율(상기 회전 전후에서의 면적의 감소 비율)이 종래 예에 비해 작아서 록이 잘 해제되지 않는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파이프재를 소재로 사용하여 이 파이프재에 록홈을 형성하기 때문에 록홈을 예를 들어 프레스 성형하면 낮은 코스트로 구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록의 해제방지성이 양호하게 된다. 또한, 파이프재의 록홈을 절삭 가공으로 형성해도 무방하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중실재를 소재로 사용하여, 이 중실재에 록홈을 형성하기 때문에 록홈을 예를 들어 절삭 가공하면 상기 원호부(침하부분)를 없앨 수 있고, 록이 양호하게 해제방지된다.
청구항 4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각 록홈의 저면부는 파이프재의 주면의 곡률 반경보다도 큰 곡률 반경을 갖기 때문에 부드러운 원호상의 저면부를 얻을 수 있고, 이것에 의하여 록홈의 강도가 확보됨과 동시에, 록이 양호하게 해제방지된다.
청구항 5 기재의 발명과 같이 각 록홈을 파이프재의 약 반주에 걸쳐 형성하면 헤드레스트폴의 회전량이 약 90°이하의 범위에서는 상기 결합부분의 면적 감소률이 확실하게 작아지고, 록의 해제방지가 양호하게 된다.
청구항 6 기재의 발명과 같이, 록 부재는 상기 저면부의 형상으로 대응한 원호상의 요면부를 갖기 때문에 헤드레스트폴과 록 부재와의 결합부분이 원호상으로 되고 그 결합부분의 길이가 길어지고 이것에 의해 결합부분의 면적이 커지기 때문에 록의 해제방지가 양호하게 된다.
청구항 7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록 부재의 요면부는 록홈의 저면부의 곡률 반경과 동일 또는 약간 큰 곡률 반경을 갖기 때문에 상기 결합부분의 면적이 최대로 되어 록의 해제방지가 양호하게 된다.
청구항 8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록 부재는 그 요면부와 반대측을 해당 요면부의 형상에 대응하는 원호상의 돌기부로 하고 있기 때문에 록의 해제방지가 양호할 뿐만아니라, 복수의 록 부재를 판재로부터 잘라낼 때 제품의 수득률이 좋아진다. 또한, 록 부재는 주로 요면부와 반대측에서 지지하기 때문에 록 부재의 요면부와 반대측이 돌출한 것으로 그 지지 부분을 취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록 부재에 상하 방향의 힘이 작용할 때 록 부재의 상하 방향 회전을 적게 할 수 있고, 록의 해제방지가 양호하게 된다.
청구항 9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록 부재는 록홈의 측면부에 대응한 평탄부를 가진 판재로 구성되어 상기 요면부가 노치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판재를 노치한 것만으로 록 부재를 저렴한 가격으로 제조할 수 있다.
청구항 10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록 부재는 길이 방향의 중앙부에 상기 요면부가 형성된 스프링부 재이고, 일단측이 고정되고 록홈의 저면부와 거의 수직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고, 그 복원력으로 중앙부가 록홈에 끼워지게 되어 있기 때문에 록 부재를 판재 등으로 구성한 경우는 록 부재를 록홈에 밀어 넣게 하기 위한 스프링 등이 별도로 필요하게 되지만 록 부재만으로 그 기능을 다할 수 있기 때문에 부품수를 줄일 수 있음과 동시에 구조를 심플하게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된 헤드레스트폴의 록홈의 성형 방법에 의하면, 청구항 11 기재와 같이 각 록홈의 저면부에 대응한 원호상의 요면부와 상기 각 록홈의 측면부에 대응하는 평탄부를 갖는 프레스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파이프재의 주면을 프레스하는 것에 의하여 이 주면에서 소정량만 움푹 들어간 영역내에서 원호상으로 돌출하도록 상기 저면부를 성형함과 동시에, 이 저면부의 상기 파이프재의 축심 방향에 있어서 적어도 한쪽에 해당 저면부에 대하여 상기 영역내에서 거의 수직으로 되도록 상기 측면부를 성형하기 때문에 파이프재를 소재로 사용하는 낮은 코스트의 구성이면서, 예를 들어 헤드레스트폴의 굽힘 가공시의 각도 오차나 록 부재의 제조 오차가 있다하여도, 헤드레스트폴이 소정 자세로부터 회전하고 이른바 벗어난 자세로 장착되고 있다 하여도, 또 충격을 받아 헤드레스트폴이 회전한 방향으로 힘을 받았다 하여도, 헤드레스트폴에 대한 록 부재의 결합부분의 폭이 회전 전후에 대략 일정하게 되어, 이것에 의해 결합부분의 면적 감소율이 종래예에 비해 작아지고, 록의 해제방지가 양호한 록홈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헤드레스트폴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청구항 12 기재와 같이 먼저 상기 록홈을 형성하고 그 후에 굽힘가공하여 헤드레스트폴을 제조하는 것에 의하여, 굽힘가공후에 록홈을 형성하는데 그 만곡부의 방해로 인한 어려움이 없이 간단하게 록홈을 형성할 수 있다. 또, 록홈은 주면에서 소정량만 움푹 들어간 영역내에서 원호상으로 돌출하는 저면부와 이 저면부의 파이프재 또는 중실재의 축심 방향에 있어서 적어도 한쪽에 해당 저면부에 대하여 상기 영역내에서 거의 수직으로 형성된 측면부를 갖고 있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록홈 형성후 굽힘가공에 수반하는 각도 오차가 생긴다 하여도 록의 해제방지가 양호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따르는 헤드레스트 록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헤드레스트폴의 록홈의 성형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각 펀치의 상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4는 록 플레이트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는 헤드레스트폴을 이용한 록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는 록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스프링부재의 록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일반적인 자동차용 시트의 구조도이다.
도 9는 종래 헤드레스트 록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헤드레스트폴
2,2'  록 플레이트(록 부재)
20  스프링부재(록 부재)
21  요면부
22  평탄 부
3  파이프재
30  내용물 재
4(4a,4b)  록홈
40  주면(周面)
41  저면부
42  측면부
43  원호부
44  경사부
5  코일 스프링
7,8  펀치(프레스 구)
71,81 평탄 부
73,82  요면부

Claims (12)

  1. 축심 방향을 따라 일렬로 나란하게 복수의 록홈이 형성된 원형단면의 헤드레스트폴과, 상기 록홈들중 어느 하나에 끼움 가능한 록 부재를 구비하는 헤드레스트록에 있어서, 각 록홈은 헤드레스트폴의 주면에서 소정량만 움푹 들어간 영역내에서 원호상으로 돌출한 저면부와, 상기 저면부의 상기 헤드레스트폴의 축심 방향에서 적어도 한쪽에 해당 저면부에 대하여 상기 영역내에서 거의 수직으로 형성된 측면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록의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헤드레스트폴은 파이프재를 소재로 사용하여 이 파이프재에 상기 록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록의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중실재를 소재로 사용하여 이 중실재에 상기 록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록의 구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록홈의 저면부는 헤드레스트폴의 주면의 곡률 반경보다도 큰 곡률 반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록의 구조.
  5.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록홈은 헤드레스트폴의 약 반주에 걸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록의 구조.
  6.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록 부재는 상기 저면부의 형상에 대응하는 원호상의 요면부를 갖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록의 구조.
  7. 제 6 항에 있어서, 록 부재의 요면부는 각 록홈의 저면부의 곡률 반경과 동일 또는 약간 큰 곡률 반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록의 구조.
  8. 제 6 항에 있어서, 록 부재는 그 요면부의 반대측을 해당 요면부의 형상에 대응하는 원호상의 돌기부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록의 구조.
  9. 제 6 항에 있어서, 록 부재는 록홈의 측면부에 대응하는 평탄부를 가지는 판재로 구성되고, 상기 요면부는 노치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록의 구조.
  10. 제 6 항에 있어서, 록 부재는 길이 방향의 중앙부에 상기 요면부가 형성된 스프링부재이고, 일단측이 고정되고 록홈의 저면부와 거의 수직 방향으로 탄성 변형가능하고, 그 복원력으로 중앙부가 록홈에 끼워지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록의 구조.
  11. 파이프재를 소재로 사용하며, 프레스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이 파이프재의 축심 방향을 따라 일렬로 나란하게 복수의 록홈을 프레스 성형하는 헤드레스트폴의 록홈의 성형 방법으로, 각 록홈의 저면부에 대응하는 원호상의 요면부와 상기 각 록홈의 측면부에 대응하는 평탄부를 갖는 프레스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상기 파이프재의 주면을 프레스하는 것에 의하여, 이 주면에서 소정량만 움푹 들어간 영역내에서 원호상으로 돌출하도록 상기 저면부를 성형함과 동시에, 이 저면부의 상기 파이프재의 축심 방향에 있어서 적어도 한쪽에 해당 저면부에 대하여 상기 영역내에서 거의 수직이 되도록 상기 측면부를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폴의 록홈의 성형방법.
  12. 파이프재 또는 중실재에 주면에서 소정량만 움푹 들어간 영역내에서 원호상으로 돌출하는 저면부와 이 저면부의 파이프재 또는 중실재의 축심 방향에 있어서 적어도 한쪽에 해당 저면부에 대하여 상기 영역내에서 거의 수직으로 형성된 측면부를 갖는 록홈을 형성하고, 그 후에 파이프재 또는 중실재를 굽힘가공하여 소정 형상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폴의 제조방법.
KR1020040078281A 2003-10-17 2004-10-01 록홈을 갖는 헤드레스트 록의 구조, 록홈의 성형 방법 및 헤드레스트폴의 제조 방법 KR1005826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357497 2003-10-17
JPJP-P-2003-00357497 2003-10-17
JPJP-P-2004-00193560 2004-06-30
JP2004193560A JP2005137880A (ja) 2003-10-17 2004-06-30 ヘッドレストのロック溝の構造及びロック溝の成形方法並びにヘッドレストポール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7351A true KR20050037351A (ko) 2005-04-21
KR100582694B1 KR100582694B1 (ko) 2006-05-23

Family

ID=34436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8281A KR100582694B1 (ko) 2003-10-17 2004-10-01 록홈을 갖는 헤드레스트 록의 구조, 록홈의 성형 방법 및 헤드레스트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121626B2 (ko)
EP (1) EP1529682B1 (ko)
JP (1) JP2005137880A (ko)
KR (1) KR100582694B1 (ko)
CN (1) CN1311769C (ko)
TW (1) TWI24647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09108B2 (en) * 2004-11-22 2007-12-18 Tachi-S Co., Ltd. Headrest device for vehicle seat
US7506936B2 (en) * 2005-03-03 2009-03-24 Lear Corporation Moveable headrest assembly for a vehicle seat
DE102005012896B4 (de) * 2005-03-21 2010-01-14 Keiper Gmbh & Co. Kg Fahrzeugsitz mit Kopfstütze
GB0710548D0 (en) * 2006-06-30 2007-07-11 Meeker R & D Inc Juvenile convertible car seat
KR100870404B1 (ko) * 2007-04-04 2008-11-25 주식회사다스 지지용 파이프의 걸림홈 형성장치
DE102007033604B3 (de) * 2007-07-17 2009-01-22 Muhr Und Bender Kg Kopfstützen-Tragelement
JP5395082B2 (ja) 2007-09-10 2014-01-22 ジョンソン コントロールズ テクノロジー カンパニー 電気接続保護ユニット
US7789465B2 (en) * 2008-01-11 2010-09-07 Honda Motor Co., Ltd. Headrest adjustment and lock mechanism and method
US7914080B2 (en) * 2008-01-23 2011-03-29 Intier Automotive Inc. Head restraint guide with two-way locking lever
DE102008016202B3 (de) * 2008-03-28 2009-07-09 Lear Corp., Southfield Sitz für einen Insassen eines Kraftfahrzeuges
JP2009268897A (ja) * 2008-04-09 2009-11-19 Bizen Hatsujo Kk ヘッドレスト支持装置
DE102008047531C5 (de) * 2008-09-16 2013-08-01 Grammer Aktiengesellschaft Halterohr für Ausstattungseinrichtungen von Fahrzeuginnenräumen sowi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rzeugen einer Aussparung in einem Halterohr
CN102049796A (zh) * 2009-11-04 2011-05-11 康准电子科技(昆山)有限公司 止动机构
CN102198591A (zh) * 2010-03-26 2011-09-28 东亚大学校产学协力团 高强度且轻量的头枕支撑的制造方法
CN101830185A (zh) * 2010-05-06 2010-09-15 岱山县金鑫海绵制品有限公司 座椅头靠杆的制造方法
CN102267409B (zh) * 2010-06-07 2013-07-03 吕德苓 座椅头枕杆及其生产工艺
JP5612989B2 (ja) * 2010-09-29 2014-10-22 日本テクニカ株式会社 ヘッドレストの落下防止構造
US8746799B2 (en) * 2010-12-15 2014-06-10 Nissan North America, Inc. Headrest support rod
DE102010064068A1 (de) 2010-12-23 2012-06-28 Volkswagen Ag Tragelement, insbesondere Tragstange für eine Kopfstütze mit Kopfstützen-Rastkerben mit verringerter Kerbwirkung
DE102012012867B4 (de) * 2012-03-22 2016-08-04 Johnson Controls Gmbh Verriegelungsvorrichtung für eine Kopfstütze
FR2991893B1 (fr) * 2012-06-15 2015-01-02 Numalliance Procede de crantage de tube, et machine de crantage associee
CN103433348B (zh) * 2013-08-15 2015-07-15 上海三剑汽车部件有限公司 一种用于制造头枕杆的装置及其制造头枕杆的方法
DE102013111519B4 (de) * 2013-10-18 2016-11-10 MAQUET GmbH Patientenlagereinheit für eine Vorrichtung zum Lagern eines zu röntgenden Patienten während einer Operation
CN103878537B (zh) * 2013-11-20 2016-05-18 无锡曙光模具有限公司 一种轿车座椅头枕管件的成形加工方法及专用成形模具
CN104759531B (zh) * 2015-03-03 2017-03-22 上海兴韬汽车配件有限公司 一种头枕杆冲压模具
CN104842833A (zh) * 2015-05-27 2015-08-19 李寒玉 一种分体式安全汽车座椅头枕
CN105234499B (zh) * 2015-11-16 2017-05-10 重庆豪斯特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汽车座椅头枕杆滚齿机
CN106043054A (zh) * 2016-06-24 2016-10-26 上海颢屹汽车设计有限公司 一种汽车模型座椅头枕简易调节机构
GB2566060B (en) * 2017-09-01 2020-04-01 Jaguar Land Rover Ltd Head restraint apparatus for a vehicle and method
DE102018217312A1 (de) * 2017-10-27 2019-05-02 Lear Corporation Kopfstützenanordnung
FR3092798B1 (fr) * 2019-02-19 2021-03-12 Tesca France Système d’appui-tête de siège de véhicule automobile
DE102021119619A1 (de) * 2021-07-28 2023-02-02 GRAMMER Aktiengesellshaft Führungsvorrichtung für eine Kopfstütze eines Fahrzeugsitzes sowie Kopfstütze mit Führungsvorrichtung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98672A (en) 1968-03-05 1970-03-03 L F Grammes & Sons Inc Vehicle headrest construction
DE3314443A1 (de) 1983-04-21 1984-10-25 Eugen Otto 4010 Hilden Butz Kopfstuetze fuer kraftfahrzeugsitze
JPH0633873Y2 (ja) * 1987-02-20 1994-09-07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ヘツドレストステ−固定装置
US5156440A (en) * 1992-04-06 1992-10-20 Hoover Universal, Inc. Head restraint adjustment mechanism
JPH0975166A (ja) * 1995-09-11 1997-03-25 Aprica Kassai Inc 座席用ヘッドレストの取付け構造
JPH09206164A (ja) * 1996-02-05 1997-08-12 Inoac Corp 可倒式ヘッドレストのインサートおよび可倒式ヘッドレスト
DE29605983U1 (de) 1996-03-30 1996-06-05 Itw Ateco Gmbh Führungshülse für Kopfstützen an Fahrzeugsitzen
US5934755A (en) 1997-01-15 1999-08-10 Raviv Precision Injection Molding Adjusting mechanism for a vehicle seat headrest
JP3252191B2 (ja) * 1997-08-20 2002-01-28 株式会社ホンダアクセス シートバック用テーブル装置
JP3159956B2 (ja) * 1998-07-01 2001-04-23 タイガー医療器株式会社 分離式車椅子による入浴装置
JP4219560B2 (ja) * 1998-08-25 2009-02-04 日本テクニカ株式会社 ヘッドレストサポート
JP2001239340A (ja) * 2000-02-29 2001-09-04 Aisin Seiki Co Ltd 支持棒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3009992A (ja) * 2001-06-29 2003-01-14 Delta Kogyo Co Ltd ヘッドレストのロック構造
PL204448B1 (pl) * 2001-11-23 2010-01-29 Gestind Poland Spo & Lstrok Ka Zespół regulacji położenia elementu wyposażenia wnętrza pojazdu samochodowego, zwłaszcza zagłówka
JP2008039992A (ja) * 2006-08-03 2008-02-21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82694B1 (ko) 2006-05-23
TWI246477B (en) 2006-01-01
US7121626B2 (en) 2006-10-17
CN1608546A (zh) 2005-04-27
EP1529682A1 (en) 2005-05-11
CN1311769C (zh) 2007-04-25
EP1529682B1 (en) 2012-12-12
JP2005137880A (ja) 2005-06-02
TW200526440A (en) 2005-08-16
US20050082893A1 (en) 2005-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2694B1 (ko) 록홈을 갖는 헤드레스트 록의 구조, 록홈의 성형 방법 및 헤드레스트폴의 제조 방법
US11559911B2 (en) Shaving razors and shaving cartridges
US8042872B2 (en) Recliner for vehicle seats
US20080093903A1 (en) Reclining Device
US6347900B1 (en) Yoke for universal joint, and production process for the same
US8181947B2 (en) Spring assembly
JP2013123735A (ja) パイプ材の溝成形方法
JPH1058040A (ja) 中空断面部材のプレス成形方法
JP4712672B2 (ja) クリップ
JP4546673B2 (ja) ヘッドレストポール及びそのロック溝成形工具
US11872915B2 (en) Vehicle seat reclining device
JP4023714B2 (ja) ヘッドレストステー
JP2004344970A (ja) ヘッドレストなどに使用される筒状支持棒並びに、該筒状支持棒を製造するためのパンチ、及び、該筒状支持棒の製造方法
JP3673912B2 (ja) ラック軸の支持構造
JP5060199B2 (ja) リクライニング装置
CN113245395B (zh) 管的制造方法
JP7491586B2 (ja) ヘッドレストステー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90015177A (ko) 자동차 헤드 레스트의 폴 가이드 홀더
KR100217461B1 (ko)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홀더
JP2003009992A (ja) ヘッドレストのロック構造
JP3621063B2 (ja) ロッカアームの製造方法
JP4477695B1 (ja) パイプ材の溝部成形方法
JPH0110497Y2 (ko)
CN113441589A (zh) 冲孔翻边冲头及冲孔翻边一体机
JP2500074B2 (ja) 軸受金具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