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3561A - 타이어/휠 조립체 및 런플랫용 지지체 - Google Patents

타이어/휠 조립체 및 런플랫용 지지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3561A
KR20050033561A KR1020047021218A KR20047021218A KR20050033561A KR 20050033561 A KR20050033561 A KR 20050033561A KR 1020047021218 A KR1020047021218 A KR 1020047021218A KR 20047021218 A KR20047021218 A KR 20047021218A KR 20050033561 A KR20050033561 A KR 200500335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ring
bolt
tire
lag
annular sh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21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시니치 모리
미츠오 구레바야시
Original Assignee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335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3561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7/00Tyres characterised by means enabling restricted operation in damaged or deflated condition; Accessories therefor
    • B60C17/04Tyres characterised by means enabling restricted operation in damaged or deflated condition; Accessories therefor utilising additional non-inflatable supports which become load-supporting in emergenc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7/00Tyres characterised by means enabling restricted operation in damaged or deflated condition; Accessories therefor
    • B60C17/04Tyres characterised by means enabling restricted operation in damaged or deflated condition; Accessories therefor utilising additional non-inflatable supports which become load-supporting in emergency
    • B60C17/06Tyres characterised by means enabling restricted operation in damaged or deflated condition; Accessories therefor utilising additional non-inflatable supports which become load-supporting in emergency resili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7/00Tyres characterised by means enabling restricted operation in damaged or deflated condition; Accessories therefor
    • B60C17/04Tyres characterised by means enabling restricted operation in damaged or deflated condition; Accessories therefor utilising additional non-inflatable supports which become load-supporting in emergency
    • B60C17/043Tyres characterised by means enabling restricted operation in damaged or deflated condition; Accessories therefor utilising additional non-inflatable supports which become load-supporting in emergency made-up of an annular metallic shel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2/00Resilient tires and wheels
    • Y10T152/10Tires, resilient
    • Y10T152/10036Cushion and pneumatic combined
    • Y10T152/10045Metallic spring cush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림에 장착한 공기 주입 타이어의 공동부에 외주측을 지지면으로 하는 동시에 내주측을 두 갈래형의 래그부로 형성한 환상 셸과 래그부를 림상에 지지하는 탄성 링으로 구성한 런플랫용 지지체를 배치한 타이어/휠 조립체이며, 환상 셸의 래그부와 탄성 링을 볼트에 의해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하고 있다.

Description

타이어/휠 조립체 및 런플랫용 지지체{Tire/wheel assembly, and runflat support body}
본 발명은 타이어/휠 조립체 및 런플랫(run flat)용 지지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런플랫용 지지체를 보수할 수 있고, 또한 제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타이어/휠 조립체 및 그것에 사용하는 런플랫용 지지체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주행중에 공기 주입 타이어가 펑크가 난 경우에도, 긴급 주행을 가능하게 하도록 하는 기술이 시장의 요청으로부터 다수 제안되어 있다. 이들 다수의 제안 중, 일본 특개평 10-297226호 공보나 일본 특표 2001-519279호 공보에서 제안된 기술은 림(rim) 조립된 공기 주입 타이어의 공동부(空洞部) 내측의 림상에 지지체를 장착하고, 그 지지체에 의해서 펑크가 난 타이어를 지지함으로써 런플랫 주행을 가능하게 한 것이다.
상기 런플랫용 지지체는 외주측을 지지면으로 하는 동시에 내주측을 두 갈래형으로 개각(開脚)한 래그부(leg parts)에 형성한 환상 셸(shell)에 탄성 링을 장착한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그 탄성 링을 개재하여 림상에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이 런플랫용 지지체에 의하면, 기존의 휠/림에 전혀 특별한 개조를 가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시장에 혼란을 가져오지 않고 수용이 가능하다는 이점을 갖고 있다.
통상, 상술한 런플랫용 지지체의 환상 셸과 탄성 링은 탄성 링을 가열 성형할 때에 상기 탄성 링에 매설한 환상 셸의 래그부를 탄성 링에 접착시킴으로써 장착하여, 환상 셸과 탄성 링을 분리할 수 없는 일체 구조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타이어가 펑크가 나서 내압이 제로의 상태로 주행하는 런플랫 주행에 의해, 환상 셸과 탄성 링의 어느 한쪽이 파손되어 사용불능이 되고, 다른쪽은 아직 사용할 수 있는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런플랫용 지지체로 바꾸어야만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같은 사이즈의 타이어라도 그것을 장착하는 휠에 의해 림의 형상이 다르기 때문에, 또한 같은 사이즈의 타이어라도 탄성 링이 접촉하는 타이어 비드(bead)부의 내면 형상이 다르기 때문에, 각각에 대응한 탄성 링과 환상 셸을 구비한 런플랫용 지지체를 제조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다품종의 런플랫용 지지체를 제조해야만 하여, 제조 효율이 상당히 나쁘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이루어지는 타이어/휠 조립체의 요부를 도시하는 자오선 단면도.
도 2는 환상 셸의 래그부와 탄성 링의 장착 구조의 일례를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
도 3은 환상 셸의 래그부와 탄성 링의 장착 구조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
도 4는 환상 셸의 래그부와 탄성 링의 장착 구조의 더욱 다른 예를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
도 5는 환상 셸의 래그부와 탄성 링의 장착 구조의 더욱 다른 예를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
도 6은 환상 셸의 래그부와 탄성 링의 장착 구조의 더욱 다른 예를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
도 7은 림 형상이 다를 때에 그것에 맞춘 형상으로 한 탄성 링과 환상 셸의 래그부의 장착 구조의 일례를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
도 8은 런플랫용 지지체에 있어서, 탄성 링의 위치를 미조정할 수 있도록 한 예를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
본 발명의 목적은 파손된 환상 셸이나 탄성 링을 교환하여 런플랫용 지지체를 보수할 수 있고, 또한 런플랫용 지지체의 제조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타이어/휠 조립체 및 런플랫용 지지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타이어/휠 조립체는 휠의 림에 장착한 공기 주입 타이어의 공동부에, 외주측을 지지면으로 하는 동시에 내주측을 두 갈래형의 래그부로 형성한 환상 셸과 상기 래그부를 림상에 지지하는 탄성 링으로 구성한 런플랫용 지지체를 배치한 타이어/휠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환상 셸의 래그부와 상기 탄성 링을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런플랫용 지지체는 외주측을 지지면으로 하는 동시에 내주측을 두 갈래형의 래그부로 형성한 환상 셸과 상기 래그부를 림상에 지지하는 탄성 링으로 구성한 런플랫용 지지체에 있어서, 상기 환상 셸의 래그부와 상기 탄성 링을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환상 셸의 래그부와 탄성 링을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하는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환상 셸과 탄성 링의 어느 한쪽이 파손되어 사용불능이 되어도, 분리하여 교환할 수 있어, 런플랫용 지지체를 보수할 수 있다.
또한, 림 형상 등의 조건에 맞는 환상 셸과 탄성 링을 각각 제조하여, 사용(판매)시에 이들을 조합하여 런플랫용 지지체를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환상 셸과 탄성 링이 일체가 된 다품종의 런플랫용 지지체를 제조할 필요가 없고, 따라서, 제조의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런플랫용 지지체는 공기 주입 타이어의 공동부에 삽입되는 환상체로서 형성된다. 이 런플랫용 지지체는 외경이 공기 주입 타이어의 공동부 내면과의 사이에 일정거리를 유지하도록 공동부 내경보다도 작게 형성되고, 또한 내경은 공기 주입 타이어의 비드부 내경과 대략 동일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런플랫용 지지체는 공기 주입 타이어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로 공기 주입 타이어와 함께 휠에 림 조립되어, 타이어/휠 조립체에 구성된다. 이 타이어/휠 조립체가 차량에 장착되어 주행중에 공기 주입 타이어가 펑크가 나면, 그 펑크가 나 찌그러진 타이어가 런플랫용 지지체의 외주면에 지지된 상태가 되기 때문에, 런플랫 주행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런플랫용 지지체는 환상 셸과 탄성 링을 주요부로서 구성되어 있다.
환상 셸은 외주측에 펑크가 난 타이어를 지지하기 위해서 연속된 지지면을 형성하고, 내주측은 좌우의 측벽을 래그부로서 두 갈래형으로 개각한 형상으로 하고 있다. 외주측의 지지면은 그 둘레 방향에 직교하는 횡단면에서의 형상이 외경측으로 볼록 곡면이 되도록 형성된다. 그 볼록 곡면의 타이어축 방향에 배열하는 수는 단일뿐이어도 좋고, 바람직하게는 2이상을 배열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지지면을 2이상의 볼록 곡면이 배열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지지면의 타이어 내면에 대한 접촉 개소를 2이상으로 분산시켜, 타이어 내면에 부여하는 국부 마모를 저감하기 때문에, 런플랫 주행을 가능하게 하는 지속거리를 연장할 수 있다.
탄성 링은 환상 셸의 내경측에 두 갈래형이 된 양 래그부의 단부에 각각 장착되고, 좌우의 림 시트상에 접촉함으로써 환상 셸을 지지하고 있다. 이 탄성 링은 고무 또는 탄성 수지로 구성되어, 펑크가 난 타이어로부터 환상 셸이 받는 충격이나 진동을 완화시키는 것 외에, 림 시트에 대한 슬라이딩 정지를 하여 환상 셸을 안정되게 지지하도록 하고 있다.
런플랫용 지지체는 펑크가 난 타이어를 개재하여 차량 중량을 지지하도록 해야만 하기 때문에, 환상 셸은 강체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그 구성재료에는 금속, 수지 등이 사용된다. 이 중 금속으로서는 스틸, 알루미늄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수지로서는 열가소성 수지 및 열경화성 수지 중 어떤 것이어도 좋다.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고, 또한 열경화성 수지로서는 에폭시 수지, 불포화 폴레에스테르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수지는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좋지만, 보강섬유를 배합하여 섬유강화 수지로서 사용하여도 좋다.
탄성 링은 환상 셸을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으면 어떤 고무나 탄성 수지로 구성하여도 되며, 예를 들면, 고무로서는 천연고무, 이소프렌고무, 스틸렌부타디엔고무, 부타디엔고무, 부틸고무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타이어/휠 조립체에 사용되는 런플랫용 지지체는 상술한 구성을 전제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하는 실시예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1실시예로 이루어지는 타이어/휠 조립체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자오선 단면도로, 1은 휠 외주의 림, 2는 공기 주입 타이어, 3은 런플랫용 지지체이다. 이들 림(1), 공기 주입 타이어(2), 런플랫용 지지체(3)는 도시하지 않은 휠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공축(共軸)에 환상(環狀)으로 형성되어, 림(1)에 장착한 공기 주입 타이어(2)의 공동부(2A)에 런플랫용 지지체(3)를 배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런플랫용 지지체(3)는 금속, 수지 등의 강성재로 형성된 환상 셸(4)과 고무, 탄성 수지 등의 탄성재로 형성된 좌우의 탄성 링(5)으로 구성되어 있다.
환상 셸(4)은 외주측에 곡율 반경을 갖는 2개의 볼록 곡면(6a)을 셸 폭 방향에서 갖는 지지면(6)을 형성하고, 그 지지면(6)은 공기 주입 타이어(2)가 정상일 때는 공기 주입 타이어(2)의 내면(2a)으로부터 이격되어 있지만, 펑크가 났을 때 찌그러진 타이어를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환상 셸(4)의 내주측은 양측벽이 각각 래그부(7)로서 형성되고, 그 내경측에 탄성 링(5)을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하고 있다.
래그부(7)와 탄성 링(5)의 장착 구조는 예를 들면, 도 2 내지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할 수 있다.
도 2는 단면 평행사변 형상의 탄성 링(5)의 외주면(5a)에 단면 L자형으로 형성한 래그부(7)의 장착부(7a)를 볼트(8)에 의해 착탈이 자유롭게 체결한 것이다. 장착부(7a)는 휠 회전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폭을 갖는 링형으로 형성되고, 볼트(8)를 삽입통과하는 삽입통과 구멍(m)이 둘레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볼트 축(b)을 휠 회전축과 직교하는 휠 직경 방향으로 한 볼트(8)에 의해, 탄성 링(5)의 휠 회전축과 평행한 외주면(5a)에 장착부(7a)가 직접 체결되어 있다.
볼트(8)는 탄성 링(5)의 외주면(5a)에 가공을 실시하지 않고 그대로 넣어도 되고, 또한 볼트(8)의 체결 위치를 나타내기 위해서, 미리 형성한 볼트 직경보다 직경이 작은 구멍에 넣도록 하여도 좋다. 또는 탄성 링(5)의 외주면(5a)에 볼트(8)가 나사 결합 가능한 나사구멍을 형성하고 두고, 그 나사구멍에 나사 결합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도 3은 단면 평행사변 형상의 탄성 링(5)의 외주면(5a)에 볼트(8)가 나사 결합하는 금속 또는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링형의 체결용 부재(9)를 설치한 것이다. 이 체결용 부재(9)는 탄성 링 성형시에 일체로 접착시키는 것으로, 탄성 링(5)에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체결용 부재(9)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볼트(8)가 나사 결합 가능한 나사구멍(n)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래그부(7)의 장착부(7a)에 형성한 삽입통과 구멍(m)을 개재하여 나사구멍(n)에 볼트(8)를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래그부(7)의 장착부(7a)를 탄성 링(5)에 착탈이 자유롭게 체결하고 있다. 이와 같이 체결용 부재(9)를 탄성 링(5)에 설치함으로써, 도 2의 경우보다도 환상 셸(4)을 탄성 링(5)에 강고하게 연결 고정할 수 있다.
체결용 부재(9)는 상술한 링으로 바꾸고, 볼트(8)의 체결 위치에 따라서 외주면(5) 등에 각각 일체로 접착한 복수의 판 형상 부재로 구성하여도 좋다.
도 4는 단면 평행사변 형상의 탄성 링(5)의 내측면(5b)에, 래그부(7)의 휠 회전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착부(7a)를 삽입하는 삽입 홈(s)을 링 둘레 방향을 따라 환상으로 형성한 것이다. 탄성 링(5)의 외주면(5a)으로부터 탄성 링(5) 내에 넣은 볼트(8)를 삽입 홈(s)에 삽입한 장착부(7a)의 삽입통과 구멍(m)에 삽입통과시킴으로써, 래그부(7)를 탄성 링(5)에 체결 고정하고 있다.
도 5는 도 4의 구조에 있어서, 삽입 홈(s)의 홈 폭을 넓혀, 그 삽입 홈(s) 내에 체결용 부재(9)를 탄성 링 성형시에 일체로 접착시켜 설치한 것이다. 이 체결용 부재(9)는 외주측 링부(9a)와 내주측 링부(9b), 및 외주측 링부(9a)와 내주측 링부(9b) 사이에 형성된 환상 홈부(9c)를 구비한 링으로 구성되고, 외주측 링부(9a)에는 링 둘레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볼트(8)가 나사 결합하는 나사구멍(n)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내주측 링부(9b)에는 링 둘레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상기 나사구멍(n)과 대응하는 위치에 삽입통과 구멍(x)이 형성되어 있다.
환상 홈부(9c) 내에 래그부(7)의 장착부(7a)가 삽입되어, 탄성 링(5)의 외주면(5a)으로부터 탄성 링(5) 내에 넣은 볼트(8)를 외주측 링부(9a)의 나사구멍(n)에 나사 결합시키는 동시에, 장착부(7a)의 삽입통과 구멍(m)과 내주측 링부(9b)의 삽입통과 구멍(x)에 삽입통과시킴으로써, 래그부(7)를 탄성 링(5)에 체결하고 있다.
도 6은 래그부(7)의 장착부(7a)를 단면 L자형으로 굴곡시키지 않고, 탄성 링(5)의 내측면(5b)을 따라 연장되는 형상으로 하고, 그 장착부(7a)를 탄성 링(5)의 내측면(5b)에 볼트(8)에 의해 착탈이 자유롭게 체결한 것이다.
도 7은 림 형상 등이 다를 때에 그것에 맞춘 형상으로 한 탄성 링(5)에 환상 셸(4)의 래그부(7)를 연결한 예를 도시하며, 도 2와 같이, 볼트(8)에 의해 탄성 링(5)의 외주면(5a)에 래그부(7)의 장착부(7a)를 직접 착탈이 자유롭게 체결 고정한 것이다. 탄성 링은 적합한 림의 험프(hump) 형상이나 적합한 타이어 비드 내면 형상에 따른 형상을 갖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런플랫용 지지체(3)는 림 조립시에, 공기 주입 타이어(2)의 내측에 삽입되어, 탄성 링(5)을 공기 주입 타이어(2)의 비드부(2b)와 함께 림(1)의 림 시트(ls)에 동시에 결합 장착하도록 되어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하면, 환상 셸(4)의 래그부(7)와 탄성 링(5)을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환상 셸(4)과 탄성 링(5) 중 어느 한쪽이 파손되어 사용불능이 되어도 분리하여 교환할 수 있어, 런플랫용 지지체(3)를 보수할 수 있다.
또한, 림 형상 등의 조건에 맞는 환상 셸(4)과 탄성 링(5)을 각각 제조하여, 사용(판매)시에 이들을 조합하여 런플랫용 지지체를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환상 셸과 탄성 링이 일체가 된 다품종의 런플랫용 지지체를 제조할 필요가 없고, 따라서, 제조 효율의 향상이 가능하게 된다.
도 8은 런플랫용 지지체(3)에 있어서, 탄성 링(5)의 위치를 미조정할 수 있도록 한 예를 도시하며, 볼트(8)가 나사 결합하는 나사구멍(n)을 휠 회전축 방향으로 엇갈리게 하여 외주면(5a)에 설치한 복수(도면에서는 2개를 예시)의 탄성 링(5A, 5B)을 준비해 두고, 이 복수의 탄성 링(5A, 5B) 중에서 적절하게 선택한 하나에 환상 셸(4)의 래그부(7)를 도 2와 같이 하여 볼트(8)에 의해 체결 고정한 것이다. 이것에 의해, 같은 환상 셸(4)을 사용하여, 좌우의 탄성 링(5)의 간격을 장착하는 타이어/휠 조립체에 맞추어 미조정을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볼트(8)는 금속 또는 합성 수지로 구성할 수 있다. 금속으로서는 스틸, 알루미늄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합성 수지로서는 열가소성 수지 및 열경화성 수지 중 어떤 것이어도 좋고,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나일론, 폴레에스테르 등, 또한 열경화성 수지로서는 에폭시 수지, 불포화 폴레에스테르 수지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도 2 내지 5, 7,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래그부(7)의 휠 회전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착부(7a)를 볼트 축(b; 도 2 참조)을 휠 직경 방향으로 한 볼트(8)에 의해 탄성 링(5)에 체결하는 경우에는 체결한 장착부(7a)에 의해 볼트(8)에 대하여 큰 전단력(煎斷力; 볼트 축(b)과 직교하는 방향의 힘)이 가해지지 않기 때문에, 볼트(8)를 합성 수지로 구성하는 것이 경량화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도 6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볼트(8)를 금속으로 구성하는 것이 좋다.
체결용 부재(9)에 사용하는 금속 및 합성 수지는 볼트(8)와 같은 것을 사용할 수 있고, 금속으로서는 스틸, 알루미늄 등,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등, 열경화성 수지로서는 에폭시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래그부(7)의 장착부(7a)는 상기 실시예(도 6을 제외함)에서는 래그부 본체(7A)로부터 런플랫용 지지체(3)의 폭 방향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지만, 폭 방향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구성이어도 좋다.
또한, 좌우의 래그부(7)의 장착부(7a)는 좌우대칭의 형상이어도 비대칭의 형상이어도 좋다. 좌우비대칭으로 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차량 장착시 외측이 되는 래그부(7)를 축 방향 내측(런플랫용 지지체(3)의 폭 방향 내측)으로 구부려 장착부(7a)를 형성하는 한편, 차량 장착시 내측이 되는 래그부(7)는 도 2 내지 5, 7,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축 방향 외측으로 구부려 장착부(7a)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환상 셸이 부하가 큰 차량 외측에 오프셋되어 장착되기 때문에 내구성이 향상된다. 또한, 래그부(7)의 경사를 좌우에서 다르게 하는 것 등도 바람직하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환상 셸(4)의 지지면(6)이 2개의 볼록 곡면(6a, 6a)을 갖는 경우를 예시하였지만, 이 볼록 곡면의 수는 2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1개 또는 3개 이상이어도 좋다.
환상 셸(4)과 탄성 링(5)의 장착은 상술한 바와 같이 볼트(8)에 의해 행하는 것이 환상 셸(4)을 탄성 링(5)에 강고하게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만, 다른 연결 부재에 의해 장착 고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환상 셸의 래그부와 탄성 링을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하였기 때문에, 파손된 환상 셸이나 탄성 링을 교환하여 런플랫용 지지체를 보수할 수 있고, 또한 런플랫용 지지체의 제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뛰어난 효과를 갖는 본 발명은 차량에 장착되어, 런플랫 주행을 가능하게 한 타이어/휠 조립체 및 그것에 사용되는 런플랫용 지지체로서, 지극히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Claims (12)

  1. 휠의 림에 장착한 공기 주입 타이어의 공동부에, 외주측을 지지면으로 하는 동시에 내주측을 두 갈래형의 래그부로 형성한 환상 셸과 상기 래그부를 림상에 지지하는 탄성 링으로 구성한 런플랫용 지지체를 배치한 타이어/휠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환상 셸의 래그부와 상기 탄성 링을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한 타이어/휠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래그부를 볼트에 의해 상기 탄성 링에 착탈이 자유롭게 체결한 타이어/휠 조립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링에 상기 볼트가 나사 결합하는 금속 또는 합성 수지제의 체결용 부재를 설치한 타이어/휠 조립체.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래그부는 휠 회전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착부를 갖고, 상기 장착부를 볼트 축을 휠 직경 방향으로 한 상기 볼트에 의해 상기 탄성 링에 체결한 타이어/휠 조립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가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타이어/휠 조립체.
  6. 제 2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가 나사 결합하는 나사구멍을 휠 회전축 방향으로 엇갈리게 하여 설치한 복수의 탄성 링을 갖고, 상기 복수의 탄성 링 중에서 선택한 하나에 상기 환상 셸의 래그부를 체결한 타이어/휠 조립체.
  7. 외주측을 지지면으로 하는 동시에 내주측을 두 갈래형의 래그부로 형성한 환상 셸과 상기 래그부를 림상에 지지하는 탄성 링으로 구성한 런플랫용 지지체에 있어서,
    상기 환상 셸의 래그부와 상기 탄성 링을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한 런플랫용 지지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래그부를 볼트에 의해 상기 탄성 링에 착탈이 자유롭게 체결한 런플랫용 지지체.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링에 상기 볼트가 나사 결합하는 금속 또는 합성 수지제의 체결용 부재를 설치한 런플랫용 지지체.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래그부는 휠 회전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착부를 갖고, 상기 장착부를 볼트 축을 휠 직경 방향으로 한 상기 볼트에 의해 상기 탄성 링에 체결한 런플랫용 지지체.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가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런플랫용 지지체.
  12. 제 8 항 내지 제 11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가 나사 결합하는 나사구멍을 휠 회전축 방향으로 엇갈리게 하여 설치한 복수의 탄성 링을 갖고, 상기 복수의 탄성 링 중에서 선택한 하나에 상기 환상 셸의 래그부를 체결한 런플랫용 지지체.
KR1020047021218A 2002-08-30 2003-08-19 타이어/휠 조립체 및 런플랫용 지지체 KR2005003356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252976 2002-08-30
JP2002252976A JP4248823B2 (ja) 2002-08-30 2002-08-30 タイヤ/ホイール組立体及びランフラット用支持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3561A true KR20050033561A (ko) 2005-04-12

Family

ID=31972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21218A KR20050033561A (ko) 2002-08-30 2003-08-19 타이어/휠 조립체 및 런플랫용 지지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7188648B2 (ko)
JP (1) JP4248823B2 (ko)
KR (1) KR20050033561A (ko)
CN (1) CN100352679C (ko)
DE (1) DE10392982T8 (ko)
WO (1) WO20040202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48823B2 (ja) * 2002-08-30 2009-04-02 横浜ゴム株式会社 タイヤ/ホイール組立体及びランフラット用支持体
KR20060130486A (ko) * 2003-07-22 2006-12-19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런 플랫용 지지체의 제조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22603U (ko) * 1972-05-30 1974-02-26
JPS5827843Y2 (ja) * 1977-07-14 1983-06-1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輪
JPS6068808A (ja) * 1983-09-26 1985-04-1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調理器
JP3472398B2 (ja) * 1995-12-13 2003-12-02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ノーパンクタイヤ
DE19707090A1 (de) * 1997-02-24 1998-08-27 Continental Ag Luftbereiftes Fahrzeugrad
CN1058232C (zh) * 1997-06-16 2000-11-08 张东顺 轮胎安全胎中胎续跑装置
DE19745409C2 (de) * 1997-10-15 2002-06-20 Continental Ag Fahrzeugrad mit einem Notlaufstützkörper
DE19825311C1 (de) * 1998-06-05 2000-02-24 Continental Ag Fahrzeugrad mit einem Notlaufstützkörper
JP4259010B2 (ja) * 2001-11-01 2009-04-30 東洋ゴム工業株式会社 リム一体型ランフラットタイヤ
DE10208613C1 (de) * 2002-02-27 2003-06-18 Continental Ag Fahrzeugrad mit einem Notlaufstützkörper
JP4039909B2 (ja) * 2002-07-26 2008-01-30 横浜ゴム株式会社 タイヤホイール組立体及びランフラット用支持体
JP4145099B2 (ja) * 2002-08-23 2008-09-03 横浜ゴム株式会社 タイヤホイール組立体及びランフラット用支持体
JP4248823B2 (ja) * 2002-08-30 2009-04-02 横浜ゴム株式会社 タイヤ/ホイール組立体及びランフラット用支持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352679C (zh) 2007-12-05
DE10392982T5 (de) 2005-08-11
US20050199326A1 (en) 2005-09-15
JP2004090738A (ja) 2004-03-25
US7188648B2 (en) 2007-03-13
CN1662398A (zh) 2005-08-31
JP4248823B2 (ja) 2009-04-02
US20070051446A1 (en) 2007-03-08
DE10392982T8 (de) 2006-01-12
WO2004020227A1 (ja) 2004-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21319B2 (en) Non-pneumatic tire with integrated polymeric flexible wheel center mount
US10967673B2 (en) Tire with tensioned spokes
US6843288B2 (en) Tire/wheel assembly and run-flat support member
EP4105038A1 (en) Non-pneumatic tire and rim assembly
KR20050033561A (ko) 타이어/휠 조립체 및 런플랫용 지지체
US6843289B2 (en) Tire/wheel assembly and run-flat support member
EP4094956A1 (en) Non-pneumatic tire and rim assembly
US6840294B2 (en) Run-flat tire and tire/wheel assembly
JP4076388B2 (ja) タイヤ/ホイール組立体及びランフラット用支持体
EP1697151B1 (en) A run-flat support ring with improved mounting features
KR100677728B1 (ko) 서포트 링을 갖는 런플랫 타이어
US6915824B2 (en) Tire/wheel assembly and run-flat support member
KR20050033559A (ko) 타이어/휠 조립체
KR100801341B1 (ko) 서포트 링을 갖는 런플랫 타이어
JP4187094B2 (ja) 緊急走行支持体を備えた自動車車輪及び緊急走行支持体
KR100767801B1 (ko) 런플랫용 연속지지대를 구비한 공기입 타이어
JP4039902B2 (ja) タイヤ/ホイール組立体及びランフラット用支持体
US20050045256A1 (en) Wheel and a Wheel Rim
JP2004051013A (ja) タイヤ/ホイール組立体及びランフラット用支持体
JP2004082782A (ja) タイヤホイール組立体及びランフラット用支持体
KR20160109795A (ko) 비공기압 바퀴
US20090038730A1 (en) Run Flat Supporter for Pneumatic Tire
KR20070094175A (ko) 런플랫용 연속지지대를 구비한 공기입 타이어
US20060231182A1 (en) Run-flat support ring with improved mounting features
KR20070094176A (ko) 런플랫용 연속지지대를 구비한 공기입 타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