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7728B1 - 서포트 링을 갖는 런플랫 타이어 - Google Patents

서포트 링을 갖는 런플랫 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7728B1
KR100677728B1 KR1020050103088A KR20050103088A KR100677728B1 KR 100677728 B1 KR100677728 B1 KR 100677728B1 KR 1020050103088 A KR1020050103088 A KR 1020050103088A KR 20050103088 A KR20050103088 A KR 20050103088A KR 100677728 B1 KR100677728 B1 KR 1006777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ring
tire
rim
flat tire
run fl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3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현
나용범
Original Assignee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030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77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77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77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7/00Tyres characterised by means enabling restricted operation in damaged or deflated condition; Accessories therefor
    • B60C17/04Tyres characterised by means enabling restricted operation in damaged or deflated condition; Accessories therefor utilising additional non-inflatable supports which become load-supporting in emergency
    • B60C17/06Tyres characterised by means enabling restricted operation in damaged or deflated condition; Accessories therefor utilising additional non-inflatable supports which become load-supporting in emergency resili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7/00Tyres characterised by means enabling restricted operation in damaged or deflated condition; Accessories therefor
    • B60C17/04Tyres characterised by means enabling restricted operation in damaged or deflated condition; Accessories therefor utilising additional non-inflatable supports which become load-supporting in emergenc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7/00Tyres characterised by means enabling restricted operation in damaged or deflated condition; Accessories therefor
    • B60C17/04Tyres characterised by means enabling restricted operation in damaged or deflated condition; Accessories therefor utilising additional non-inflatable supports which become load-supporting in emergency
    • B60C17/06Tyres characterised by means enabling restricted operation in damaged or deflated condition; Accessories therefor utilising additional non-inflatable supports which become load-supporting in emergency resilient
    • B60C2017/068Tyres characterised by means enabling restricted operation in damaged or deflated condition; Accessories therefor utilising additional non-inflatable supports which become load-supporting in emergency resilient comprising springs, e.g. helical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포트 링을 갖는 런플랫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타이어의 림에 설치되고, 트레드 내부에 위치되어 차체의 하중을 지지하는 서포트 링을 포함하는 런플랫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링은 림의 외주면을 따라 장착되고, 양단이 연결된 스프링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서포트 링을 갖는 런플랫 타이어에 의하면, 단면상 다수의 타원을 이루는 스프링 형태의 서포트 링은 그 구조에 의해 림에 손쉽게 장착 및 분리가 용이하고 종래에 비해 그 중량을 감소시킴으로써, 차량의 작업성 및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서포트 링은 탄성력을 갖는 유연재질로 형성됨으로써, 타이어 및 림의 폭에 따른 고정된 형태를 가질 필요가 없이 타이어의 림에 장착되어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포트 링이 서로 만나서 연결되는 양 끝단부를 용접을 통해 결합시킴으로써, 회전운동을 하는 타이어의 질량집중 발생을 방지하여 차량의 동적 불균형 현상을 개선할 수 있다.
타이어, 림, 서포트 링.

Description

서포트 링을 갖는 런플랫 타이어{Support Ring for Run Flat Tire}
도 1은 일반적인 런플랫 타이어의 일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런플랫 타이어를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서포트 링이 림의 외면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타이어, 20: 림(Rim),
30: 서포트 링(Support Ring).
본 발명은 타이어에 구멍이 생겨 타이어 내부에 공기압이 없어지더라도 일정 거리를 주행할 수 있도록 한 런플랫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단면상 다수의 타원을 이루는 스프링 형태의 서포트 링을 림의 외주면을 따라 장착하여 차체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한 서포트 링을 갖는 런플랫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타이어에 펑크가 나면, 더이상 주행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한순 간에 타이어 내부의 공기가 빠져나가 치명적인 사고를 일으킬 수 있다. 펑크가 난 타이어를 장착한 채 무리하게 주행하면 고가의 휠과 기타 서스펜션(Suspension)에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
최근에는 펑크가 나서 타이어의 공기압이 없더라도 차량하중을 지지하면서 일정 거리를 주행할 수 있는 런플랫 타이어(Run Flat Tire)가 개발되었는데, 런플랫 타이어는 장거리 운행을 자주 하는 운전자나 스페어타이어 교환 능력이 없는 운전자, 특히 여성 운전자들에게 더할 수 없이 좋은 타이어에 해당된다.
이러한 런플랫 타이어는 2가지 타입으로 분류되는데, 타이어의 기본 골격이 되는 사이드 월의 강도를 높임으로써 공기가 누출되어 공기압이 약해지더라도 사이드 월의 강도에 의해 타이어의 외형이 주저앉지 않고 그대로 유지되도록 하는 사이드 월 강화 타입과, 타이어의 내부에 서포트 링을 설치함으로써 공기압이 약해지면 타이어가 서포트 링의 지지를 받아 계속적으로 주행할 수 있도록 하는 서포트 링 타입으로 구분되고 있다.
사이드 월 강화 타입의 런플랫 타이어는, 별도의 추가 장비가 필요 없어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지만, 사이드 월 부분에 많은 양의 고무가 사용되어 승차감이 저하되고 연비와 좌우 밸런스에 영향을 준다는 단점이 있다. 반면, 서포트 링 타입의 런플랫 타이어는, 기존 타이어와 동일한 승차감을 유지할 수 있으나, 별도의 서포트 링을 삽입 및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장비나 경제적인 측면에서 약점이 있다.
종래의 서포트 링 타입 런플랫 타이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어(100)의 림(200)에 설치되고, 그 외주면이 트레드 저면과 림(200)의 상면 사이에 위치되어 차체의 하중을 지지하는 원환체(圓環體)의 서포트 링(30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서포트 링 타입 런플랫 타이어는, 타이어(100)에 구멍이 생겨 공기가 누출되면 타이어(100) 내부의 서포트 링(300)이 타이어(100)와 함께 차체를 지지하여 일정한 거리를 주행할 수 있도록 한다.
주행중인 차량의 타이어(100)에 구멍이 발생하면 구멍을 통해 공기가 누출되어 타이어(100) 내부의 공기압이 약해지게 되고, 그에 따라 차체의 하중에 의해 타이어(10)의 외형이 무너지게 된다. 이 경우, 차량의 좌우 균형이 맞지 않아 큰 위험을 야기하게 되는데, 타이어(100) 내부의 서포트 링(300)이 차체의 하중을 지지함으로써 타이어(100)의 외형이 조금 무너지더라도 차체가 완전히 주저앉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새로운 타이어로 교체하지 않고도 일정 거리를 주행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운전자는 안전한 위치까지 차량을 운행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런플랫 타이어는, 림(200)에 원환체의 서포트 링(300)을 장착하기 위해서는 그 링(300)을 2조각 이상으로 분리해야 되고, 이렇게 분리된 서포트 링(300)을 타이어(100) 내부에서 다시 조립하여야 하는 대단히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서포트 링(300)은 그 중량이 많이 나가고, 타이어(100)의 원주방향을 따라 조립되는 부위를 고정하기 위한 연결부재 등을 통해 질량집중이 발생되며, 이로 인해 회전 운동하는 타이어(100)의 동적인 평형상태를 유지하기 힘든 문 제점이 있었다. 즉, 차량 주행시 회전운동을 하는 타이어(100)에 질량집중이 발생하게 되면 동적인 평형상태가 깨지게 되고, 타이어(100)의 불균일 회전이 발생되어 차량의 승차감 및 내구성능 등에 나쁜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서포트 링(300)은 사용되는 타이어(100) 및 림(200)의 폭에 맞추어 고정된 형태로 제조되기 때문에, 차체 하중에 의해 눌려지는 타이어(100)의 폭 변동에 따라 적용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단면상 다수의 타원을 이루는 스프링 형태의 서포트 링을 림의 외주면을 따라 장착하여 차체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서포트 링은 그 구조에 의해 림에 손쉽게 장착 및 분리가 용이하고 종래에 비해 그 중량을 감소시킴으로써, 차량의 작업성 및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서포트 링은 탄성력을 갖는 유연재질로 형성됨으로써, 타이어 및 림의 폭에 따른 고정된 형태를 가질 필요가 없이 타이어의 림에 장착되어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서포트 링이 서로 만나서 연결되는 양 끝단부를 용접을 통해 결합시킴으로써, 회전운동을 하는 타이어의 질량집중 발생을 방지하여 차량의 동적 불균형 현상을 개선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서포트 링을 갖는 런플랫 타이어에 의하면, 타이어의 림에 설치되고, 트레드 내부에 위치되어 차체의 하중을 지지하는 서포트 링을 포함하는 런플랫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링은 림의 외주면을 따라 장착되고, 양단이 연결된 스프링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서포트 링은 그 외경을 이루는 단면부가 타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포트 링은 탄성력을 갖는 유연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서포트 링은 타이어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결된 양 끝단부가 용접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런플랫 타이어를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서포트 링이 림의 외면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서포트 링을 갖는 런플랫 타이어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어(10)의 림(20)에 설치되고, 트레드 내부에 위치되어 차체의 하중 을 지지하는 서포트 링(30)을 포함하는 런플랫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링(30)은 림(20)의 외주면을 따라 장착되고, 양단이 연결된 스프링 형태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서포트 링(30)은 그 외경을 이루는 단면부가 타원형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서포트 링(30)은 다수의 타원을 이루는 스프링 형태로 이루어져 타이어(10)의 원주방향을 따라 림(20)의 외면에 장착된다.
상기 서포트 링(30)은 타원형의 스프링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타이어(10)의 내부에서 손쉽게 분리하거나 장착할 수 있다. 이러한 서포트 링(30)은 그 구조에 의해 어느 특정부위를 정하지 않고도 절단 및 분리가 가능하고, 그 형상이 타원형으로 되어 있어 타이어(10) 내부의 림(20)에 장착하기가 용이하게 된다.
그리고, 주행중인 차량의 타이어(10)가 내부 공기압이 약해져 차체의 하중에 의해 그 외형이 무너질 경우, 상기 서포트 링(30)은 탄성력을 갖는 유연재질로 형성됨으로써, 차체 상부로부터 눌려져 압착되는 타이어(10)의 폭과는 상관없이 탄력적으로 차체의 하중을 지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서포트 링(30)은 타이어(10)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결된 양 끝단부가 용접에 의해 결합된다. 이렇게 결합된 서포트 링(30)은 차량 주행시에 회전하는 타이어(10)의 질량집중을 방지함으로써, 차량의 유동에 의한 동적 불균형 현상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서포트 링(30)은, 도 3에 도시된 바로는, 스프링의 빈 간격 피치(P)가 어느정도 크기가 있는 것처럼 도시되었지만, 실제 차체의 하중을 받기 위해서는 스르링 간격 피치(P)는 제로에 가까울 정도로 빽빽하게 감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내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서포트 링을 갖는 런플랫 타이어에 의하면, 단면상 다수의 타원을 이루는 스프링 형태의 서포트 링을 림의 외주면을 따라 장착하여 차체를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서포트 링은 그 구조에 의해 림에 손쉽게 장착 및 분리가 용이하고 종래에 비해 그 중량을 감소시킴으로써, 차량의 작업성 및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서포트 링은 탄성력을 갖는 유연재질로 형성됨으로써, 타이어 및 림의 폭에 따른 고정된 형태를 가질 필요가 없이 타이어의 림에 장착되어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포트 링이 서로 만나서 연결되는 양 끝단부를 용접을 통해 결합시킴으로써, 회전운동을 하는 타이어의 질량집중 발생을 방지하여 차량의 동적 불균형 현상을 개선할 수 있다.

Claims (4)

  1. 타이어(10)의 림(20)에 설치되고, 트레드 내부에 위치되어 차체의 하중을 지지하는 서포트 링(30)을 포함하는 런플랫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링(30)은 림(20)의 외주면을 따라 장착되고, 양단이 연결된 스프링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포트 링을 갖는 런플랫 타이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링(30)은 그 외경을 이루는 단면부가 타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포트 링을 갖는 런플랫 타이어.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링(30)은 탄성력을 갖는 유연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포트 링을 갖는 런플랫 타이어.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링(30)은 타이어(10)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결된 양 끝단부가 용접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포트 링을 갖는 런플랫 타이어.
KR1020050103088A 2005-10-31 2005-10-31 서포트 링을 갖는 런플랫 타이어 KR1006777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3088A KR100677728B1 (ko) 2005-10-31 2005-10-31 서포트 링을 갖는 런플랫 타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3088A KR100677728B1 (ko) 2005-10-31 2005-10-31 서포트 링을 갖는 런플랫 타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7728B1 true KR100677728B1 (ko) 2007-02-02

Family

ID=38105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3088A KR100677728B1 (ko) 2005-10-31 2005-10-31 서포트 링을 갖는 런플랫 타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772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1341B1 (ko) * 2006-03-28 2008-02-11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서포트 링을 갖는 런플랫 타이어
CN113910841A (zh) * 2021-11-10 2022-01-11 北京爱尼机电有限公司 一种轮毂内支撑体
CN113910841B (zh) * 2021-11-10 2024-06-07 北京爱尼机电有限公司 一种轮毂内支撑体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1341B1 (ko) * 2006-03-28 2008-02-11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서포트 링을 갖는 런플랫 타이어
CN113910841A (zh) * 2021-11-10 2022-01-11 北京爱尼机电有限公司 一种轮毂内支撑体
CN113910841B (zh) * 2021-11-10 2024-06-07 北京爱尼机电有限公司 一种轮毂内支撑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69066B2 (ja) タイヤ/ホイール組立体及びトレッドリング
KR100777493B1 (ko) 런플랫 타이어
JP2002326503A (ja) リムおよび支持用支持体からなる組立体
KR100677728B1 (ko) 서포트 링을 갖는 런플랫 타이어
US6843288B2 (en) Tire/wheel assembly and run-flat support member
JPWO2004074015A1 (ja) タイヤ/ホイール組立体及びランフラット用支持体
KR100677730B1 (ko) 서포트 링 타입 런플랫 타이어
JP2001088502A (ja) タイヤとホイールとの組み立て体
US6843289B2 (en) Tire/wheel assembly and run-flat support member
US7882873B2 (en) Run-flat tire
US6843286B1 (en) Tire/wheel assembly, run-flat support memb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100801341B1 (ko) 서포트 링을 갖는 런플랫 타이어
KR100750218B1 (ko) 스프링 서포터를 갖는 런플랫 타이어
JP4076388B2 (ja) タイヤ/ホイール組立体及びランフラット用支持体
KR100860218B1 (ko) 사이드월 보강형 런플랫 타이어
JP4187094B2 (ja) 緊急走行支持体を備えた自動車車輪及び緊急走行支持体
JP4183030B2 (ja) タイヤ/ホイール組立体
JP2003512968A (ja) タイヤの安全支持体、およびセンタリング手段を備えた取付けが容易なリム/支持体組立体
JP4076387B2 (ja) タイヤ/ホイール組立体及びランフラット用支持体
JP4108398B2 (ja) タイヤ/ホイール組立体及びランフラット用支持体
KR100743915B1 (ko) 비대칭 구조를 갖는 런플랫 타이어
JP2004050981A (ja) タイヤ/ホイール組立体及びランフラット用支持体
JP4248823B2 (ja) タイヤ/ホイール組立体及びランフラット用支持体
JP4079711B2 (ja) タイヤ/ホイール組立体及びランフラット用支持体
JP4039902B2 (ja) タイヤ/ホイール組立体及びランフラット用支持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