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2003A - 전기광학 장치 및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전기광학 장치 및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2003A
KR20050032003A KR1020040077930A KR20040077930A KR20050032003A KR 20050032003 A KR20050032003 A KR 20050032003A KR 1020040077930 A KR1020040077930 A KR 1020040077930A KR 20040077930 A KR20040077930 A KR 20040077930A KR 20050032003 A KR20050032003 A KR 200500320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electro
panel
sounding body
op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7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65431B1 (ko
Inventor
와다히로시
가와카미히사노리
고바야시아키오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320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20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54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54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3/00Transducers other than those covered by groups H04R9/00 - H04R21/00
    • H04R23/008Transducers other than those covered by groups H04R9/00 - H04R21/00 using optical signals for detecting or generating sou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iezo-Electric Transducers For Audible Ba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광학 장치와 발음체를 조밀하게 탑재할 수 있고, 또 탑재하는 전자기기의 하우징에 대하여 발음체의 음향설계를 불필요하게 할 수 있는 발음체 부착 전기광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발음체 부착 전기광학 장치(100)는, 제 1 프레임(113)과, 상기 제 1 프레임에 대향하는 제 2 프레임(131)과, 상기 제 1 프레임과 상기 제 2 프레임의 사이에 끼워지는 제 3 프레임(122)과, 상기 제 1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전기광학 패널(111)과, 상기 제 2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동시에, 상기 제 2 프레임 및 상기 제 3 프레임으로 덮이고, 또 상기 전기광학 패널과 평면적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발음체(12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기광학 장치 및 전자기기{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본 발명은 전기광학 장치 및 전자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형 전자기기에 탑재하는 경우에 적합한 발음체 부착 전기광학 장치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광학 장치는 표시체로서 각종 전자기기에 탑재되어 있지만, 많은 경우, 스피커 등의 발음체와 함께 전자기기의 내부에 탑재되어 있다. 종래의 전자기기에서는, 통상, 전기광학 장치 (예를 들면 액정 표시 장치)가 하우징의 내부에서 발음체와는 이격된 상태로 수용되어 있다. 예를 들면, 휴대전화와 같은 휴대형 전자기기에 있어서도,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된 기판에 대하여 전기광학 장치와 발음체가 따로따로 설치되어 있거나 (예컨대, 이하의 특허문헌 1참조), 혹은, 하우징 내측의 별도의 부위에 직접 전기광학 장치와 발음체가 고정되어 있거나 (예컨대, 이하의 특허문헌 2참조) 하고 있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 2001-168963 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공개 2002-77346 호 공보
그러나, 최근, 휴대형 전자기기의 소형화와 표시체의 대 화면화가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종래와 같은 구조에서는, 표시부와 발음부를 중첩 배치하면 하우징 두께의 두꺼워짐을 피할 수 없고, 반대로 하우징 두께의 두꺼워짐을 피하려고 하면 표시부와 발음부가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할 필요가 있으므로, 기기의 대형화가 회피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 발음체를 전자기기의 내부에 설치하는 경우, 하우징마다 발음체 주위의 음향설계를 실행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하우징 디자인의 추구에 제약이 있어, 또한 하우징의 소형화나 박형화(薄型化)를 충분히 도모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과제는, 전기광학 장치와 발음체를 조밀하게 탑재할 수 있는 발음체 부착 전기광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탑재하는 전자기기의 하우징에 대하여 발음체의 음향설계를 불필요하게 할 수 있는 발음체 부착 전기광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전기광학 장치는, 제 1 프레임과, 상기 제 1 프레임에 대향하는 제 2 프레임과, 상기 제 1 프레임과 상기 제 2 프레임의 사이에 끼워지는 제 3 프레임과, 상기 제 1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전기광학 패널과, 상기 제 2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동시에, 상기 제 2 프레임 및 상기 제 3 프레임으로 덮이고, 또 상기 전기광학 패널과 평면적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발음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 1 프레임과 제 2 프레임의 사이에 제 3 프레임이 끼워지고, 전기광학 패널은 제 1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며, 발음체는 제 2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동시에 제 2 프레임 및 제 3 프레임으로 덮이고, 또 전기광학 패널과 발음체가 평면적으로 중첩되는 것에 의해, 발음 기능을 갖춘 전기광학 장치를 일체적으로 구성할 수 있어, 전체를 조밀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제 1 프레임, 제 2 프레임 및 제 3 프레임에 의해, 전기광학 패널의 지지, 발음체의 지지, 전기광학 패널과 발음체의 일체화 등의 기능을 확보하면서, 조립 등의 제조를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레임은, 상기 전기광학 패널을 유지하는 패널 유지 프레임이며, 상기 제 3 프레임은, 상기 발음체의 공기실을 구성하는 발음 프레임이고, 상기 제 2 프레임은, 상기 제 1 프레임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면, 제 1 프레임에 의해 전기광학 패널을 유지하고, 제 2 프레임을 제 1 프레임에 고정하는 것에 의해, 전기광학 패널을 위치 결정하는 동시에, 제 1 프레임과 제 2 프레임에 의해 제 3 프레임의 끼워맞춤 고정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 3 프레임인 발음 프레임에 의해 발음용 공기실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전기광학 장치의 구성에 의해 발음체의 음향 효과가 거의 결정되도록 구성할 수 있게 되고, 그 결과 탑재 기기 등에 있어서 발음체의 음향설계를 실행하는 것이 불필요해진다. 또, 이 구성의 구체예는, 후술하는 제 1 실시형태 및 제 3 실시형태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전기광학 장치는, 제 1 프레임과, 상기 제 1 프레임에 대향하도록 설치된 제 2 프레임과, 상기 제 1 프레임과 상기 제 2 프레임의 사이에 끼워지는 제 3 프레임과, 상기 제 3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전기광학 패널과, 상기 제 2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동시에 상기 제 2 프레임 및 상기 제 3 프레임으로 덮이고, 또한 상기 전기광학 패널과 평면적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발음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 1 프레임과 제 2 프레임의 사이에 제 3 프레임이 끼워지고, 전기광학 패널은 제 3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며, 발음체는 제 2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동시에 제 2 프레임 및 제 3 프레임으로 덮이고, 또 전기광학 패널과 발음체가 평면적으로 중첩되는 것에 의해, 발음 기능을 갖춘 전기광학 장치를 일체적으로 구성할 수 있어, 전체를 조밀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제 1 프레임, 제 2 프레임 및 제 3 프레임에 의해, 전기광학 패널의 지지, 발음체의 지지, 전기광학 패널과 발음체의 일체화 등의 기능을 확보하면서, 조립 등의 제조를 용이하게 실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레임은, 상기 전기광학 패널을 볼 수 있는 개구를 갖고, 상기 제 3 프레임은, 상기 전기광학 패널을 유지하는 패널 유지 프레임이며, 상기 제 2 프레임은, 상기 제 1 프레임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르면, 제 1 프레임과 제 2 프레임에 의해 패널 유지 프레임인 제 2 프레임을 협지할 수 있으므로, 조밀성을 유지하면서, 제 1 프레임에 의해 전기광학 패널 및 패널 유지 프레임을 보호할 수 있다. 또, 이 구성의 구체예는, 후술하는 제 2 실시형태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레임은, 상기 전기광학 패널을 볼 수 있는 개구를 갖고, 상기 제 3 프레임은, 상기 전기광학 패널을 유지하는 패널 유지 프레임이며, 상기 제 2 프레임은, 상기 제 3 프레임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르면, 패널 유지 프레임인 제 3 프레임과 제 2 프레임이 고정됨으로써 전기광학 패널과 발음체가 일체화되어, 이들을 제 1 프레임에 의해 보호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이 구성의 구체예는, 후술하는 제 3 실시형태 내지 제 7 실시형태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발음체는, 지지체를 거쳐서 상기 제 2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고, 또 상기 제 3 프레임측의 제 1 면과, 상기 제 2 프레임측의 제 2 면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체는 상기 발음체의 상기 제 1 면과 상기 제 3 프레임 사이의 공간과, 상기 발음체의 상기 제 2 면과 상기 제 2 프레임 사이의 공간을 분리해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르면, 지지체에 의해 발음체의 제 1 면측의 공간과 제 2 면측의 공간이 분리되므로, 이들 공간중 어느 하나를 방음구 등에 의해 개구시키는 것에 의해, 효율적으로 음이 방출된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전기광학 장치는, 전기광학 패널과, 상기 전기광학 패널을 지지하는 패널 유지 프레임과, 상기 패널 유지 프레임과 대향하고, 상기 패널 유지 프레임에 고정되는 수용 프레임과, 상기 수용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동시에, 상기 패널 유지 프레임 및 수용 프레임으로 덮이고, 또 상기 전기광학 패널에 평면적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발음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광학 패널을 유지하는 패널 유지 프레임과, 발음체를 지지하는 수용 프레임이 고정되며, 발음체는 패널 유지 프레임 및 수용 프레임으로 덮이고, 또 전기광학 패널과 발음체가 평면적으로 중첩되는 것에 의해, 발음 기능을 갖춘 전기광학 장치를 일체적으로 구성할 수 있어, 전체를 조밀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패널 유지 프레임 및 수용 프레임에 의해, 전기광학 패널의 유지, 발음체의 지지, 전기광학 패널과 발음체의 일체화 등의 기능을 확보하면서, 조립 등의 제조를 용이하게 실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패널 유지 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패널 유지 프레임을 상기 수용 프레임으로 고정하도록 배치되는 커버 프레임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르면, 커버 프레임을 패널 유지 프레임에 고정하고, 커버 프레임과 수용 프레임의 사이에 패널 유지 프레임을 끼우도록 배치하는 것에 의해, 조밀성을 유지하면서, 전기광학 패널 및 패널 유지 프레임을 커버 프레임에 의해 보호할 수 있다. 또, 이 구성의 구체예는, 후술하는 제 4 실시형태 내지 제 7 실시형태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용 프레임 및 상기 커버 프레임은, 상기 패널 유지 프레임의 두께 방향에 구성된 요철형상을 각각 가지며, 상호의 상기 요철 형상이 맞물린 상태로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르면, 수용 프레임 및 커버 프레임이 서로 맞물린 형상체로 고정되는 것에 의해, 전기광학 장치의 프레임 구조의 강성을 높일 수 있는 동시에 프레임 구조의 변형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발음체는, 지지체를 거쳐서 상기 수용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고, 또 상기 패널 유지 프레임측의 제 1 면과, 상기 수용 프레임측의 제 2 면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체는 상기 발음체의 상기 제 1 면과 상기 패널 유지 프레임 사이의 공간과, 상기 발음체의 상기 제 2 면과 상기 수용 프레임 사이의 공간을 분리해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르면, 지지체에 의해 발음체의 제 1 면측의 공간과 제 2 면측의 공간이 분리되므로, 이들중 어느 하나를 방음구 등에 의해 개구시키는 것에 의해, 효율적으로 음이 방출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용 프레임은, 상기 발음체로부터 발생하는 음을 방출하기 위한 방음구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르면, 수용 프레임에 방음구를 형성함으로써, 표시부에 방음구를 형성하는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전체를 더욱 조밀하게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발음체는 압전 스피커인 것이 바람직하다. 압전 스피커는 박형화가 용이하기 때문에, 장치 전체를 보다 박형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에서, 압전 스피커라 함은, 내부에 압전 진동자를 구비한 스피커를 말한다.
본 발명의 전자기기는, 상기에 기재된 발음체 부착 전기광학 장치와, 이 발음체 부착 전기광학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적용하는 이러한 전자기기로서는, 소형화가 요구되는 휴대형 전자기기인 것이 특히 효과적이다. 휴대형 전자기기로서는, 휴대전화, 휴대형 정보단말기, 전자시계 등을 들 수 있다.
이어서, 첨부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에서, 이하에 설명하는 각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일례에 불과하며, 그 기술 내용은 본 발명을 전혀 제한하지 않는다.
[제 1 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음체 부착 전기광학 장치(100)의 일 방향(단변 방향)에 따른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a), 타 방향(장변 방향)에 따른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b), 평면도(c) 및 저면도(d)이다. 또한, 도 4(a)는, 발음체 부착 전기광학 장치(100)의 측면도이다. 이 발음체 부착 전기광학 장치(100)는, 전기광학 패널(111)을 구비하는 표시부(110)와, 발음체(121)를 구비하는 발음부(120)를 구비하고 있다.
전기광학 패널(111)는, 액정 표시 패널, 유기 전계 발광 패널, 플라즈마 표시 패널, 필드 방출 패널 등의 각종 전기광학 장치로 구성된다. 단, 본 명세서에서는, 기본적으로 액정 표시 패널인 것을 전제로 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표시부(110)에는, 전기광학 패널(111)을 배후로부터 조명하는 백 라이트(112)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전기광학 패널(111) 및 백 라이트(112)는 패널 유지 프레임(113)(제 1 프레임)에 의해 유지 고정되어 있다. 또, 전기광학 패널(111)로서 액정 표시 패널 이외의 자기 발광형 패널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백 라이트는 채용하지 않아도 된다.
도 12는 전기광학 패널(111)의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3은 도 12의 A-A 단면도이다. 또, 여기에서는 전기광학 패널(111)로서, 예를 들면 반사 반투과형의 액정 표시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액정 표시 장치에는, 그 표면(동 도면에서는, 위쪽)으로부터 볼 수 있도록 복수의 표시 도트(712b)에 의해 구성되는 화상 표시부(712a)가 설치된다. 또한, 이 액정 표시 장치는, 대향하는 한쌍의 기판인 칼라 필터 기판(CF 기판)(721)과 소자 기판(722)과, 그 사이에 설치되는 환상의 시일과, 이 환상의 시일 내에 봉입되는 액정으로 구성된다. CF 기판(721)과 소자 기판(722)의 사이에는,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페이서(722a)에 의해 간극, 즉 셀 갭(723)이 형성되고, 이 셀 갭(723)내에는 액정이 봉입되고 액정층(724)이 형성되어 있다. CF 기판(721)은, 투광성의 유리나 투광성의 합성 수지 등으로 형성되고, 그 액정측 표면에 산란층(72lb)이 형성되며, 이 산란층(72lb) 위에 반사층(721c)이 형성되어 있다. 산란층(72lb)은, 투광성의 합성 수지 등으로 형성되고, 그 액정측 표면에 요철이 랜덤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반사층(721c)에도, 산란층(72lb)과 같이 요철이 랜덤으로 형성되어서, 반사층(721c)에 입사한 광이 산란광이 되어서 반사한다. 또, 반사층(721c)의 소정 개소에는 개구(721i)가 형성되어 있다.
이 반사층(721c) 위에는, 차광층(721d)이 형성되고 있고,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차광층(721d)의 사이에 평면적으로 복수의 착색층(721e)가 형성되어 있다. 차광층(721d)은, 도시하지 않지만 착색층(721e)을 둘러싸도록 격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13에 도시하는 단면 구조(A-A 단면)에서는, 착색층(721e)으로서 가법혼색의 3원색의 1색인 B(청색)의 착색층(721e)만이 도시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착색층(721e)(B)과 다른 평면위치에 다른 색인 R(적색)과 G(녹색)의 착색층(721e)이 설치된다. 또, 도 12에서는, 복수의 R, G, B의 착색층(721e)을 스트라이프 배열로 배치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델타 배열, 모자이크 배열 등이어도 좋다. 또, 차광층(721d)은, 복수의 R, G, B의 착색층(721e)을 적층함으로써 형성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Cr를 적당한 패터닝 수법, 예를 들면 포토리소그래피 처리를 이용한 방법 등에 의해 격자형상으로 패터닝함으로써 형성해도 좋다.
이 차광층(721d) 및 착색층(721e) 위에는, 오버코트(overcoat)층(721f)이 형성되고, 이 오버코트(overcoat)층(721f) 위에 띠형상의 투명 전극(721g)이 형성되며, 또한 그 위에 배향막(721h)이 형성되어 있다. 오버코트층(721f)은 투광성의 합성 수지 등으로 이루어져서, 이 오버코트층(721f) 밑에 형성되어 있는 차광층(721d) 및 착색층(721e) 등을 보호한다. 1개의 띠형상의 투명 전극(721g)은, 도 13에 있어서 종이면의 수직 방향으로 연장하고, 인접하는 투명 전극(721g)의 사이에 차광층(721d)가 위치하고 있다. 배향막(721h)은, 배향 처리, 예를 들면 러빙 처리가 실시되어, 액정층(724)의 이 배향막(721h) 근방의 액정분자의 배향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CF 기판(721)의 액정측과 반대측의 표면에는, 편광판이 부착되어 있다.
이 CF 기판(721)에 대향하는 소자 기판(722)은, 투광성의 유리나 투광성의 합성 수지 등에 의해 형성되고,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액정측 표면에 스페이서(722a)와, 선상의 라인 배선(722b)과, 복수의 소자(722c)와, 복수의 투명 전극(722d)이 형성되어 있다.스페이서(722a)는, 감광성 합성 수지재 등으로 이루어지고,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자(722c)의 액정측을 덮고, 또한 투명 전극(722d)의 단부에 중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들 요소(722a∼722d)의 더 위에는 배향막(722e)이 형성되어 있다. 배향막(722e)은, 배향 처리, 예를 들면 러빙 처리가 실시되어, 액정층(724)의 배향막(722e) 근방의 액정분자의 배향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소자 기판(722)의 액정측과 반대측의 표면에는, 편광판이 부착되어 있다. 여기에서, 스페이서(722a)는, 예를 들면 포토리소그래피 처리를 이용하는 방법 등에 의해 패터닝함으로써 기둥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선단부가 배향막(722e)을 거쳐서 CF 기판(721)위로 형성되어 있는 배향막(721h)에 접촉하고 있다. 즉, 스페이서(722a)는, 대향하는 CF 기판(721)의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고, 이 CF 기판(721)과 소자 기판(722)의 사이에 완전히 고정되어 있다. 또, 기둥형상의 스페이서(722a)의 형상으로서는, 선단부가 없는 원추형상이나 선단부가 없는 원추형상, 그 외 임의의 형상이 있다. 여기에서, CF 기판(721)의 투명 전극(721g)과 소자 기판(722)의 투명 전극(722d)이 중첩되는 영역이, 상술하는 화상 표시부(712a)의 표시 도트(712b)가 된다.
또한, 전기광학 패널(111)에 발음체(121)로부터 진동이 전달되어도, 소자 기판(722)에 설정된 기둥형상의 스페이서(722a)는, 이 소자 기판(722)에 완전히 고정되어 있으므로, 이 기둥형상의 스페이서(722a)가 소자 기판(722) 위를 이동하는 일은 없다. 더욱이, 기둥형상의 스페이서(722a)의 선단부가 배향막(722e)을 거쳐서 소자 기판(722)에 대향하는 CF 기판(721)의 배향막(721h)에 접촉하고 있으므로, CF 기판(721)과 소자 기판(722)의 위치가 소정 위치로부터 이동하는 일은 없다. 이것들에 의해, 발음체(121)가 음을 발생하는 것에 의한 화상 표시부의 표시 이상의 방지를 더욱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기광학 패널(111)의 소자 기판(722)측에 스페이서(722a)를 설치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나 것은 아니며, CF 기판(721)측에 스페이서를 설치해도 좋다. 또한, 소자 기판(722)측에 설정된 스페이서(722a)는, 소자(722c)를 덮도록 설치되지만, 소자(722c) 이외의 소자 기판(722) 위에 설치해도 좋다. 더욱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페이서(722a)를 일정한 간격[예컨대, 착색층(721e)에 B(청색)이 형성되어 있는 표시 도트(712b)만]으로 설치되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착색층(721e)에 R(적색) 혹은 G(녹색)가 형성되어 있는 표시 도트(712b)만으로 스페이서(722a)를 형성해도 좋고, 모든 표시 도트(712b)로 스페이서(722a)를 설치해도 좋다.
또한, 액정 표시 장치는, 수동(passive) 매트릭스형 또는 능동(active) 매트릭스형의 어느 것이어도 좋으며, 능동 매트릭스형이면, 스위칭 소자로서 박막 다이오드(TFD) 및 박막 트랜지스터(TFT)의 어느 것을 이용하여도 좋다. 액정의 배향 형태도, TN형, VAN형, STN형, 강유전형, 반강(反强) 유전형 등의 여러 가지 공지 형태를 채용할 수 있다.
발음체(121)는 압전 스피커로 구성된다. 압전 스피커는, 내부에 압전 진동자를 갖고, 이 압전 진동자의 진동에 의해 음파를 발생하도록 구성된다. 발음부(120)에는, 상기의 발음체(121)의 수용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발음 프레임(제 3 프레임)(122)이 설치되고, 이 발음 프레임(122)의 내부에 발음체(121)가 배치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발음부(120)를 표시부(110)에 고정하기 위해서, 표시부(110)의 배후로부터 장착되는 수용 프레임(제 2 프레임)(131)이 설정된다. 수용 프레임(131)은, 발음체(121)를 수용하는 동시에, 표시부(110)의 패널 유지 프레임(113)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수용 프레임(131)에 결합부(개구부)(131a)가 설정되고, 이 결합부(131a)가 패널 유지 프레임(113)의 외면에 설정된 결합부(돌기부)(113a)에 결합함으로써, 수용 프레임(131)이 패널 유지 프레임(113)에 고정되어 있다.
발음체(121)는, 지지체(123)를 통해 수용 프레임(131)에 지지 고정되어 있다. 이 지지체(123)는, 수용 프레임(131)의 내부에 배치된 발음체(121)를 진동가능한 상태로 유지하면서, 소정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지지체(123)는, 발음체(121)를 확실하게 지지 고정할 수 있는 것이면 좋지만, 특히, 발음체의 진동을 방해하지 않는 동시에, 수용 프레임(131) 자체에 직접 진동이 전해지기 어렵게 하기 위해서, 어떤 정도의 가요성을 갖는 완충 재로 구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수용 프레임(131)에는, 상기 발음 프레임(122)이 완충재(124)를 통해 지지 고정되어 있다. 이 완충재(124)는, 패널 유지 프레임(113)과, 발음 프레임(122)과, 수용 프레임(131)의 치수 공차를 흡수하기 위해서, 어떤 정도의 가요성을 갖는 소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발음 프레임(122)은, 패널 유지 프레임(113)과 수용 프레임(131)의 사이에 발음체(121)를 수용가능 또한 발음가능으로 하고, 게다가 발음체(121)의 음량을 높이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면, 이 발음 프레임(122)을 설치하는 것에 따라, 발음체(121)의 음의 방출방향 반대쪽에 공기실(空氣室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해당 공간이 패널 유지 프레임(113)이나 수용 프레임(131)의 구조에 의해 확보되는 것이라면, 상기 발음 프레임(122)은 불필요하다.
수용 프레임(131)의 발음체(121)에 대향하는 저면 위치에는 방음구(放音口)(13lb)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발음체(121)는 배면측에 형성된 방음구(13lb)로부터 음을 방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 방음구(13lb)에 연통하는 발음체(121)와 수용 프레임(131) 사이의 공간이, 발음체(121)를 지지 고정하는 지지체(123)에 의해 방음구(13lb)를 제외하고 밀폐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지지체(123)는, 발음체(121)의 상면과 패널 유지 프레임(113) 사이의 공간과, 발음체(121)의 하면과, 수용 프레임(131) 사이의 공간을 분리한다. 이것에 의해, 발음체(121)에 의해 생기는 음을 효율적으로 방음구(13lb)로부터 방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수용 프레임(131) 또는 패널 유지 프레임(113)에, 더욱 방음구멍을 설치해도 좋다. 그 경우, 한쪽의 방음구멍은, 공기를 이동시켜서 발음체(121)가 진동하기 쉽도록 하기 위한 공기 취입용의 통기구멍으로 이루어져서, 한쪽의 방음구멍으로부터도 음은 방출되지만 여기로부터의 음은 이용되지 않고, 다른쪽의 방음구멍으로부터 나간 음이 발음체 부착 전기광학 장치의 사용자에게 인식된다.
또, 방음구(13lb)로부터 보아서 발음체(121)의 반대측에 있는 공간이 발음 프레임(122)과 수용 프레임(131)에 의해 [완충재(124)를 통해] 밀폐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발음체(121)로부터 볼 때 방음구(13lb)와는 반대측에 있는 공간이 공기실로서 작용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방음구(13lb)로부터 음을 방사할 수 있다. 또, 도시한 예에서는 발음 프레임(122)과 수용 프레임(131)에 의해 공기실을 구성하고 있지만, 발음 프레임(122)을 생략하고, 표시부(110)와 수용 프레임(131)에 의해 공기실이 구성되도록 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발음체(121)와 발음 프레임(122)의 사이에 개재물이 존재하지 않지만, 양자 사이에 적당한 지지체를 개재시켜도 좋다.
표시부(110)에는 플렉시블 배선 기판 등으로 구성되는 배선 부재(110P)가 접속되어, 패널 유지 프레임(113) 및 수용 프레임(131)의 외부로 도출되어 있다. 또한, 발음부(120)에는 배선 부재(120P)가 접속되어, 발음 프레임(122) 및 수용 프레임(131)의 외부로 도출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발음체(121)를 수용하는 수용 프레임(131)이 배후로부터 표시부(110)에 고정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것에 의해, 발음체(121)를 포함한 발음부(120)와 표시부(110)를 간단히 일체화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발음체 부착 전기광학 장치(100)를 조밀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 수용 프레임(131)의 내부에 발음부(120)가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수용 프레임(131)의 내부에 공기실 등의 음향적 환경을 구성할 수 있으므로, 수용 프레임(131)의 외측, 예컨대, 전기광학 장치를 설치하는 전자기기의 하우징에 음향학적 설계를 실시할 필요가 없고, 어떤 전자기기에 탑재되어도 안정한 발음 특성을 발휘할 수 있다.
또, 수용 프레임(131)에 대하여 지지체(123)를 통해 발음체(121)을 고정하도록 하는 것에 의해, 표시부의 구조에 의존함이 없이, 발음체(121)의 발음에 지장이 없는 상태로 구성 할 수 있으므로, 표시부의 구조가 변해도 안정한 발음 특성을 얻을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다음에,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제 2 실시형태의 발음체 부착 전기광학 장치(200)의 일방향(단변 방향)에 따른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a), 타방향(장변 방향)에 따른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b), 평면도(c) 및 저면도(d)이다. 또한, 도 4(b)는, 발음체 부착 전기광학 장치(200)의 측면도다.
이 실시형태의 발음체 부착 전기광학 장치(200)에서는, 전기광학 패널(211)을 구비한 표시부(210)와, 발음체(221)를 구비하는 발음부(220)를 갖는다. 여기에서, 전기광학 패널(211), 백 라이트(212), 패널 유지 프레임(213), 발음체(221), 지지체(223), 배선 부재(210P, 220P)는, 상기 제 1 실시형태로 같으므로, 이것들의 설명은 생략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패널 유지 프레임(213)(제 3 프레임)의 배후에 직접 수용 프레임(제 2 프레임)(231)이 배치되고, 이 수용 프레임(231)의 내부에는 상기 발음체(221) 및 지지체(223)가 제 1 실시형태와 같이 지지 고정되어 있다. 수용 프레임(231)에는 제 1 실시형태와 같이 방음구(23lb)가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의 수용 프레임(231)은, 패널 유지 프레임(213)에 직접 고정되지 않고, 단지 배후로부터 접촉하고 있는 것 뿐인 점에서 제 1 실시형태와 다르다. 또한, 수용 프레임(231)의 외면에는 결합부(돌기부)(231a)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패널 유지 프레임(213)에 대하여 전면측에서 고정 프레임(제 1 프레임 또는 커버 프레임)(232)이 고정되어 있다. 이 고정 프레임(232)은 패널 유지 프레임(213)의 전면 부분에 완충재(214)를 통해 접촉하고, 배면측으로 신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 프레임(232)에는, 수용 프레임(231)의 외면에 형성된 상기 결합부(231a)에 결합하는 결합부(개구부)(232a)가 설치된다. 이것에 의해, 수용 프레임(231)은, 고정 프레임(232)에 의해 표시부(210)에 대하여 그 배후로부터 고정되어 있게 된다. 즉, 고정 프레임(232)은, 패널 유지 프레임(213)과 수용 프레임(231)을 서로 전후 방향으로 눌러 유지해서, 표시부(210)와 발음부(220)를 일체화시키고 있다. 또한, 고정 프레임(232)의 전면측에는, 전기광학 패널(211)을 볼 수 있게 하는 개구(232b)가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발음체(221)를 수용하는 수용 프레임(231)을 표시부의 배후에 배치하고, 표시부(210)의 전면측으로부터 고정되는 고정 프레임(232)에 의해 수용 프레임(231)을 표시부(210)에 고정하고 있으므로, 표시부(210)와 발음부(220)를 보다 강고하게 고정하고, 일체화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패널 유지 프레임(213)에 직접 수용 프레임(231)을 고정할 필요가 없으므로, 패널 유지 프레임(213)의 형상이나 구조 여하에 상관없이 수용 프레임(231)을 패널 유지 프레임(213)에 간접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
이어서, 도 3을 참조해서, 본 발명에 따른 제 3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은, 제 3 실시형태의 발음체 부착 전기광학 장치(300)의 일방향(단변 방향)에 따른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a), 타방향(장변 방향)에 따른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b), 평면도(c) 및 저면도(d)이다. 또한, 도 4(c)는, 발음체 부착 전기광학 장치(300)의 측면도이다.
이 실시형태의 발음체 부착 전기광학 장치(300)에서는, 전기광학 패널(311)을 구비한 표시부(310)와, 발음체(321)를 구비한 발음부(320)를 갖는다. 여기에서, 전기광학 패널(311), 백 라이트(312), 패널 유지 프레임(313), 발음체(321), 발음 프레임(322), 지지체(323), 완충재(324), 배선 부재(310P, 320P)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같으므로, 이것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수용 프레임(331)을 배면측으로부터 표시부(310)에 고정하고, 수용 프레임(331)에 방음구(33lb)가 형성된다고 하는 제 1 실시형태에 상당하는 구조로 추가되고, 또한 제 2 실시형태에 기재된 고정 프레임(제 1 프레임 혹은 커버 프레임)(332)을 부착한 구조를 갖는다. 즉, 이 고정 프레임(332)은, 제 2 실시형태와 같이 표시부(310)에 대하여 전면측으로부터 고정되는 것이며, 완충재(314)를 통해 패널 유지 프레임(제 3 프레임)(313)의 전면에 접촉하고 있다. 또한, 수용 프레임(제 2 프레임)(331)의 외면에는 결합부(돌기부) (331c)가 형성되며, 이 결합부(331c)는 고정 프레임(332)에 설정된 결합부(개구부)(332b)에 결합하고 있다. 또한, 고정 프레임(332)에는, 패널 유지 프레임(313)의 결합부(313a)의 저촉을 피하기 위해서, 결합부(313a)에 대응하는 위치에 개구부(332a)가 형성되어 있다. 또, 이 고정 프레임(332)에도, 제 2 실시형태와 같이, 전기광학 패널(311)을 전방으로부터 볼 수 있게 하는 개구(332c)가 설치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실시형태에 기재한 효과에 덧붙여, 고정 프레임(332)에 의해 표시부(310)과 수용 프레임(331)을 협지하도록 고정하고 있으므로, 장치의 강성을 높일 수 있어, 발음부(320)에서 발생한 진동이 표시부(310)로 전달되기 어렵게 구성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제 4 실시형태]
이어서,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 4 실시형태의 발음체 부착 전기광학 장치(40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a)는 발음체 부착 전기광학 장치(400)의 일방향(단변 방향)에 따른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5(b)는 측면도이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표시부(410), 전기광학 패널(411), 백 라이트(412), 패널 유지 프레임(413), 발음부(420), 발음체(421), 발음 프레임(422), 지지체(423), 완충재(424), 방음구(43lb)를 구비한 수용 프레임(431), 배선 부재(410P, 420P)은 제 1 실시형태와 거의 동일하므로, 동일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수용 프레임(431)(제 2 프레임)에 형성된 결합부(개구부)(431a)는, 발음 프레임(422)에 설정된 결합부(돌기부)(422a)에 결합하고 있다. 또한, 패널 유지 프레임(413)에도 결합부(돌기부)(413a)가 형성되어 있다.
또, 전면측에서 표시부(410)에 대하여 고정되는 고정 프레임(제 1 프레임 또는 커버 프레임)(432)이 설정되고, 이 고정 프레임(432)은 완충재(414)를 통해 패널 유지 프레임(413)의 전면에 접촉하고 있다. 이 고정 프레임(432)에는 결합부(개구부)(432a)가 설정되고, 이 결합부(432a)는 패널 유지 프레임(413)의 결합부(413a)에 결합하고 있다. 또한, 이 고정 프레임(432)에도 상기와 같이 전기광학 패널(411)을 전방으로부터 볼 수 있게 하는 개구(432b)가 설치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패널 유지 프레임(413)과, 그 배면측에 배치된 발음 프레임(422)이 서로 고정(고착)되어 있거나, 또는 일체로 구성되어 있는 (즉, 일체적인 제 3 프레임이 되어 있는) 것이 전제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배면측으로부터 수용 프레임(431)을 고정하는 것에 의해 발음부(420)를 표시부(410)와 일체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발음부(420)와 상관없이 전면측으로부터 고정 프레임(432)을 패널 유지 프레임(413)에 고정할 수 있다.
[제 5 실시형태]
다음에,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 4 실시형태의 발음체 부착 전기광학 장치(400)의 변형예를 제 5 실시형태로서 설명한다. 도 6(a)는 발음체 부착 전기광학 장치(400')의 측면도, 도 6(b)는 발음체 부착 전기광학 장치(400")의 측면도이다.
도 6(a)에 도시하는 변형예의 발음체 부착 전기광학 장치(400')에 있어서, 표시부(410'), 전기광학 패널(411'), 백 라이트(412'), 발음부(420'), 발음체(421'), 지지체(423'), 완충재(424'), 배선 부재(410P', 420P')는 제 4 실시형태와 거의 동일하므로 동일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
또, 패널 유지 프레임(413) 및 발음 프레임(422)(제 3 프레임)에 대해서는, 결합부(413a', 422a')의 형성 위치 및 수에 있어서 제 4 실시형태와는 다르고, 또 패널 유지 프레임(413)과 발음 프레임(422)이 서로 고정되지 않아도 좋고 고정되어 있어도 좋은 점에서도 제 4 실시형태와는 상이하지만, 다른 형상이나 구조는 동일하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수용 프레임(제 2 프레임)(431') 및 고정 프레임(제 1 프레임)(432')은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4 실시형태와는 다른 형상을 갖고 있다. 이 수용 프레임(431')과 고정 프레임(432')은, 측면 부분에서 서로 두께 방향으로 끼워맞춤되는 형상을 갖고 있다. 즉, 상기 측면 부분의 중앙부에서는, 수용 프레임(431')의 볼록부(431x')가 두께 방향으로 돌출하고, 고정 프레임(432')의 오목부(432y')의 내측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측면 부분의 양단부에서는, 고정 프레임(432')에 설치된 한쌍의 볼록부(432x')이 두께 방향으로 각각 돌출하여, 수용 프레임(431')의 오목부(431y')의 내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수용 프레임(431')의 볼록부(431x')에는 결합부(개구부)(431a')가 형성되고, 이 결합부(431a')가 패널 고정 프레임(413')(도시하지 않음)의 결합부(돌기부)(413a')과 결합하고 있다. 또한, 상기 고정 프레임(432')의 볼록부(432x')에는 결합부(개구부)(432a')가 형성되고, 이 결합부(432a')가 발음 프레임(422')(도시하지 않음)의 결합부(돌기부)(422a')에 결합하고 있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수용 프레임(431')과 고정 프레임(432')에 의해 패널 고정 프레임(413')(도시하지 않음)과 발음 프레임(422')(도시하지 않음)을 서로 고정할 수 있어, 표시부와 발음부를 일체화할 수 있다. 또한, 수용 프레임(431')과 고정 프레임(432')이 측면 부분에서 두께 방향으로 교대로 번갈아서 끼워지는 것에 의해, 장치 전체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도 6(b)는 상기 변형예와 기본적으로 동일하게 구성되지만, 측면 부분에 있어서의 수용 프레임(431")과 고정 프레임(432")의 끼워맞춤 상태가 다른 예를 도시한다. 이 예에 있어서는, 측면 부분에서, 수용 프레임(431")에 2군데씩의 볼록부(431x") 및 오목부(431y")가 설치되고, 또 고정 프레임(432")에도 2군데씩의 볼록부(432x") 및 오목부(432y")가 설치된다. 그리고, 이들 2조씩의 볼록부와 오목부가 측면 부분의 연장 방향을 따라서 교대로 순차 끼워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볼록부(431x")에는 결합부(개구부)(431a")가 형성되고, 이 결합부(431a")가 패널 유지 프레임의 결합부(돌기부)(413a")에 결합하고 있다. 또한, 볼록부(432x")에는 결합부(개구부)(432a")가 형성되고, 이 결합부(432x")가 발음 프레임의 결합부(돌기부)(422a")에 결합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볼록부와 오목부가 서로 끼워지도록 구성되는 것에 의해, 장치 전체의 강성을 더욱 높일 수 있고, 각 프레임간의 결합 고정에 의해 생기는 변형도 감소시킬 수 있다.
[제 6 실시형태]
이어서,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 6 실시형태의 발음체 부착 전기광학 장치(50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a)는 발음체 부착 전기광학 장치(500)의 정면도, 도 7(b)은 배면도, 도 7(c)는 우측면도, 도 7(d)는 평면도이다. 또, 좌측면도는 도 7(c)에 도시하는 우측면도와 대칭으로 도시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제 5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전기광학 패널을 수용하는 패널 유지 프레임(제 3 프레임)을 갖는 표시부와, 발음체 및 지지체를 포함하는 발음부가 설치되고, 이 발음부는 수용 프레임(제 2 프레임)(531)에 의해 표시부에 대하여 배면측으로부터 고정되어 있다. 또한, 표시부에는 전면측에서 고정 프레임(제 1 프레임)(532)이 고정되어 있다. 또한, 이 고정 프레임(532)에도, 도 7(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와 동일하게 전기광학 패널을 전방으로부터 볼 수 있게 하는 개구(532b)가 설치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의 정면 부분(A)[도 7(d)참조]에서는, 도 7(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양단부에 각각 형성된 수용 프레임(531)의 볼록부(531x)와 고정 프레임(532)의 오목부(532y)가 끼워지고, 중앙부에 형성된 고정 프레임(532)의 볼록부(532x)와 수용 프레임(531)의 오목부(531y)가 끼워진다. 그리고, 수용 프레임의 한쌍의 볼록부(531x)에 각각 결합부(개구부)(531a)가 형성되고, 이들 결합부(531a)가 패널 유지 프레임의 결합부(돌기부)(513a)에 결합하고 있다.
또, 실시형태의 배면 부분(B)[도 7(d)참조]에서는, 도 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양단부에 각각 형성된 수용 프레임(531)의 볼록부(531x)가 고정 프레임(532)의 오목부(532y)에 끼워지는 점에서는 정면 부분(A)과 동일하지만, 중앙부에 형성된 수용 프레임(531)의 오목부(531y)에 끼워져야 할 고정 프레임(532)의 볼록부(532x')는, 두께 방향으로 약간 돌출할 뿐이며, 볼록부(532x')와 오목부(531y)의 사이에 개구가 형성되고, 이 개구를 통해 배선 부재(510P 및 520P)이 외부로 도출되어 있다.
또한, 실시형태의 측면 부분(C)[도 7(d)참조]에서는, 도 7(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앙부에 형성된 수용 프레임(531)의 볼록부(531x")와, 고정 프레임(532)의 오목부(532y")가 끼워지고, 양단부에 각각 형성된 고정 프레임(532)의 볼록부(532x")와, 수용 프레임(531)의 오목부(531y")가 끼워진다. 그리고, 고정 프레임(532)의 한쌍의 볼록부(532x")에는 각각 결합부(개구부)(532a")가 형성되고, 이들 결합부(532a")에는, 발음 프레임의 결합부(돌기부)(522a")가 결합하고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좌우의 측면 부분(C)은 각각 대칭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설명 내용에 관해서는, 좌측면 부분도 우측면 부분과 완전히 동일하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수용 프레임(531) 및 고정 프레임(532)의 프레임 강성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장치 전체의 변형에 관한 대항력도 크게 할 수 있고, 실제로 변형량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강성의 확보나 변형량의 감소를 실현하면서, 각 프레임의 결합 고정 부위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고, 또 조립 작업도 용 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제 7 실시형태]
이어서,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 7 실시형태의 발음체 부착 전기광학 장치(60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0(a)는 발음체 부착 전기광학 장치(600)의 정면도, 도 10(b)는 배면도, 도 10(c)은 우측면도, 도 10(d)는 평면도이다. 또, 좌측면도는 도 10(c)에 도시한 우측면도와 대칭으로 나타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제 6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전기광학 패널을 수용하는 패널 유지 프레임(613)(제 3 프레임)을 갖는 표시부와, 발음체 및 지지체를 포함하는 발음부가 설정되고, 이 발음부는, 수용 프레임(제 2 프레임)(631)에 의해 표시부에 대하여 배면측으로부터 고정되어 있다. 또한, 표시부에는 전면측으로부터 전기 광학 패널 및 패널 유지 프레임의 커버 프레임으로서 작용하는 고정 프레임(제 1 프레임)(632)이 고정되어 있다. 도 10(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 프레임(632)에는, 전기광학 패널을 볼 수 있게 하는 개구(632b)가 설치된다.
이 실시형태의 정면 부분(A)[도 10(d)참조]에서는, 도 10(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양단부에 각각 형성된 수용 프레임(631)의 볼록부(631x)와 고정 프레임(632)의 오목부(632y)가 끼워지고, 중앙부에 형성된 고정 프레임(632)의 볼록부(632x)와 수용 프레임(631)의 오목부(631y)가 끼워진다. 그리고, 수용 프레임의 한쌍의 볼록부(631x)에 각각 결합부(개구부)(631a)가 형성되고, 이들 결합부(631a)가 패널 유지 프레임의 결합부(돌기부)(613a)에 결합하고 있다. 결합부(631a)가 복수 설치될 경우, 오목부(631y)는, 결합부(631a)의 고정 프레임(632)측의 변 끼리를 연결시킨 가상 직선(X-X')을 넘지 않도록 설치된다. 이로써, 수용 프레임(631)의 오목부가 설치된 개소에서도 충분히 수용 프레임(631)의 높이를 확보할 수 있어, 프레임 강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실시형태의 배면 부분(B)[도 10(d)참조]에서는, 도 10(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양단부에 각각 형성된 수용 프레임(631)의 볼록부(631x)가 고정 프레임(632)의 오목부(632y)에 끼워지는 점에서는 정면 부분(A)과 동일하지만, 중앙부에 형성된 수용 프레임(631)의 오목부(631y)에 끼워져야 할 고정 프레임(632)의 볼록부는 형성되지 않고, 오목부(632x')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오목부(632x')와 오목부(631y)의 사이에 개구가 형성되어, 이 개구를 통과시키고, 배선 부재(610P 및 620P)가 외부로 도출되어 있다.
또한, 실시형태의 측면 부분(C)[도 10(d)참조]에서는, 도 10(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앙부에 형성된 수용 프레임(631)의 볼록부(631x")와, 고정 프레임(632)의 오목부(632y")가 끼워지고, 양단부에 각각 형성된 고정 프레임(632)의 볼록부(632x")와, 수용 프레임(631)의 오목부(631y")가 끼워진다. 그리고, 고정 프레임(632)의 한쌍의 볼록부(632x")에는 각각 결합부(개구부)(632a")가 형성되고, 이들 결합부(632a")에는, 발음 프레임의 결합부(돌기부)(622a")가 결합하고 있다. 결합부(632a")가 복수 설치될 경우, 오목부(632y")는, 결합부(632a")의 수용 프레임(631)측의 변 끼리를 연결시킨 가상 직선(Y-Y')을 넘지 않도록 설치된다. 이로써, 고정 프레임(632)의 오목부가 설치된 개소에서도 충분히 고정 프레임(632)의 높이를 확보할 수 있어, 프레임 강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실시형태의 좌우의 측면 부분(C)은 각각 대칭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설명 내용에 관해서는, 좌측면 부분도 우측면 부분과 완전히 동일하다.
또, 도 10에 있어서, 613a 및 622a"는, 수용 프레임 및 고정 프레임으로부터 돌출하도록 설치되지만, 돌출하지 않도록 설치되어도 좋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수용 프레임(631) 및 고정 프레임(632)의 프레임 강성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장치 전체의 변형에 대한 대항력도 크게 할 수 있어, 실제로 변형량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강성의 확보나 변형량의 저감을 실현하면서, 각 프레임의 결합 고정 부위의 수를 삭감할 수 있으므로,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고, 또한 조립 작업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변형예]
제 1 실시형태 내지 제 7 실시형태에 있어서, 발음 프레임은, 패널 유지 프레임과 수용 프레임의 사이에 발음체를 수용가능 또한 발음하게 하고, 또 발음체의 음량을 높이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서 설치되었다. 이 발음 프레임을 설치하는 것에 의해, 발음체의 음의 방출 방향 반대쪽에 공기실을 확보할 수 있다. 그러나, 해당 공간이 패널 유지 프레임이나 수용 프레임의 구조에 의해 확보되는 것이라면, 상기 발음 프레임은 불필요하다. 이하, 발음 프레임을 설치하지 않는 구성에 대해서 제 7 실시형태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도 10(d)에 도시되어 있는 제 7 실시형태의 발음체 부착 전기광학 장치(600)의 일 방향(단변 방향)에 따른 단면(A1-A1')을 도시하는 단면도(a), 단면(A2-A2')을 도시하는 단면도(b), 타 방향(장변 방향)에 따른 단면(C1-C1')을 도시하는 단면도(c), 단면(C2-C2')을 도시하는 단면도(d)이다.
이 실시형태의 발음체 부착 전기광학 장치(600)는, 전기광학 패널(611)과 발음체(621)를 구비한다. 여기에서, 전기광학 패널(611), 백 라이트(612), 발음체(621), 지지체(623), 배선 부재(610P, 620P)는, 상기 제 1 실시형태로 동일하므로, 이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패널 유지 프레임(613)의 배후에 직접 수용 프레임(631)이 배치되고, 이 수용 프레임(631)의 내부에는 상기 발음체(621) 및 지지체(623)가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지지 고정되어 있다. 수용 프레임(631)에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방음구(63lb)가 형성되어 있다.
또, 수용 프레임(631) 또는 패널 유지 프레임(613)에, 추가로 방음구멍을 설치해도 좋다. 그 경우, 한쪽의 방음구멍은, 공기를 이동시켜서 발음체(621)가 쉽게 진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공기취입용의 통기공이 되고, 한쪽의 방음구멍으로부터도 음은 방출되지만 여기로부터의 음은 이용되지 않고, 다른쪽의 방음구멍으로부터 방출된 음이 발음체 부착 전기광학 장치의 사용자에게 인식된다.
패널 유지 프레임(613)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발음 프레임(122)의 기능을 겸하는 것이다. 즉, 패널 유지 프레임(613)은, 발음체 수용부(615)를 구비하고, 수용 프레임(631)과의 사이에 발음체(621)를 수용가능 또한 발음가능으로 해서, 또 발음체(621)의 음량을 높이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이 패널 유지 프레임(613)에 의해, 발음체(621)의 음의 방출 방향 쪽에 공기실을 확보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패널 유지 프레임(613)에 대하여 전면측으로부터 고정 프레임(632)이 고정되어 있다. 이 고정 프레임(632)은 패널 유지 프레임(613)의 전면 부분에 완충재(614)를 통해 접촉하고, 배면측으로 신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 프레임(632)에는, 유지 프레임(613)의 외면에 형성된 상기 결합부(622a")에 결합하는 결합부(개구부)(632a")가 설치된다. 또한, 패널 유지 프레임은, 수용 프레임(631)을 향해서 연장되도록 구성되고, 패널 유지 프레임(613)에 대하여 배면측으로부터 수용 프레임(631)이 고정되어 있다. 이 수용 프레임(631)은 패널 유지 프레임(613)의 배면 부분에 완충재(624)를 통해 접촉하고, 전면측으로 신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수용 프레임(631)에는, 유지 프레임(613)의 외면에 형성된 상기 결합부(613a)에 결합하는 결합부(개구부)(631a)가 형성된다.
표시부(610)에는 플렉시블 배선 기판 등으로 구성되는 배선 부재(610P)이 접속되어, 패널 유지 프레임(613) 및 수용 프레임(631)의 외부로 도출되어 있다. 또한, 발음부(620)에는 배선 부재(620P)가 접속되어, 패널 유지 프레임(613) 및 수용 프레임(631)의 외부로 도출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패널 유지 프레임(613)이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발음 프레임(122)을 겸하고 있기 때문에, 제 1 실시형태에 비교해서 발음체 부착 전기광학 장치(600)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또, 수용 프레임(631)의 내부에 발음부(620)가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수용 프레임(631)의 내부에 공기실 등의 음향적 환경을 구성할 수 있으므로, 수용 프레임(631)의 외측, 예컨대, 전기광학 장치를 설치하는 전자기기의 하우징에 음향학적 설계를 실시할 필요가 없어지고, 어떤 전자기기에 탑재되어도 안정한 발음 특성을 발휘할 수 있다.
또, 수용 프레임(631)에 대하여 지지체(623)를 통해 발음체(621)를 고정함으로써, 표시부의 구조에 의존함이 없이, 발음체(621)의 발음에 지장이 없는 상태로 구성할 수 있으므로, 표시부의 구조가 변해도 안정한 발음 특성을 얻을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변형예를 제 7 실시예를 이용하여 설명했지만, 본 변형예의 구성을 제 1 실시형태 내지 제 6 실시형태의 각각에 적의 적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 8 실시형태]
마지막으로, 도 8 및 도 9를 참조해서 본 발명에 따른 제 8 실시형태로서 상기 발음체 부착 전기광학 장치를 탑재한 전자기기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발음체 부착 전기광학 장치(100)를 표시 수단으로서 구비한 전자기기에 대해서 설명한다. 단, 다른 실시형태도 발음체 부착 전기광학 장치(100)와 마찬가지로 본 실시형태에 적용할 수 있다.
도 8은, 본 실시형태의 전자기기에 있어서의 발음체 부착 전기광학 장치(100)에 관한 제어계( 표시 제어계)의 전체구성을 도시하는 개략구성도이다. 여기에 도시하는 전자기기는, 표시 정보 출력원(291)과, 표시 정보 처리 회로(292)와, 전원 회로(293)와, 타이밍 제네레이터(294)와, 광원 제어 회로(295)를 포함하는 표시 제어 회로(290)를 갖는다. 또한, 상기와 같은 발음체 부착 전기광학 장치(100)에는, 상술한 구성을 갖는 전기광학 패널(111)을 구동하는 구동 회로(111D)가 설치된다. 이 구동 회로(111D)는, 전기광학 패널(111)에 직접 설치되어 있는 전자부품(반도체 IC 등)으로 구성된다. 다만, 구동 회로(111D)는, 상기 와 같은 실시예 이외에, 패널 표면 상에 형성된 회로 패턴(pattern), 또는 액정 패널에 도전 접속된 회로 기판에 설치된 반도체 IC 칩 또는 회로 패턴 등에 의해서도 구성할 수 있다.
표시 정보 출력원(291)은, ROM(Read Only Memory)이나 RAM(Random Access Memory) 등으로 이루어지는 메모리와, 자기 기록 디스크나 광 기록 디스크 등으로 이루어지는 저장 유닛과, 디지탈 화상 신호를 동조 출력하는 동조 회로를 구비하고, 타이ALD 제네레이터(294)에 의해 생성된 각종의 클럭 신호에 근거하여, 소정 포맷(format)의 화상 신호 등의 형태로 표시 정보를 표시 정보 처리 회로(292)에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표시 정보 처리 회로(292)는, 직렬(seriel)-병렬(parallel) 변환 회로, 증폭·반전 회로, 로테이션(rotation) 회로, 감마(gamma) 보정 회로, 클램프 회로 등의 주지의 각종 회로를 구비하여, 입력한 표시 정보의 처리를 실행하고, 그 화상 정보를 클럭 신호(CLK)와 함께 구동 회로(111D)로 공급한다. 구동 회로(111D)는, 주사선 구동 회로, 신호선 구동 회로 및 검사 회로를 포함한다. 또한, 전원 회로(293)는, 상술한 각 구성요소에 각각 소정의 전압을 공급한다.
광원 제어 회로(295)는, 외부로부터 도입되는 제어 신호에 근거하여, 전원 회로(293)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백 라이트(112)의 광원부(112a)로 공급한다. 광원부(112a)로부터 방출된 광은 도광판(112b)에 입사해서 도광판(112b)으로부터 전기광학 패널(111)로 조사된다. 이 광원 제어 회로(295)는,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광원부(112a)의 각 광원의 점등/비점 등을 제어한다. 또한, 각 광원의 휘도를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본 실시형태의 전자기기에는 음성 신호 출력 회로(296)가 설치된다. 이 음성 신호 출력 회로(296)는, 도시하지 않는 제어 회로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신호에 근거하여, 음성 신호를 발음체(121)에 송출한다. 발음체(121)에서는, 공급된 음성 신호에 근거해서 음성을 출력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의 일 실시형태인 휴대전화의 외관을 도시한다. 이 전자기기(2000)는, 조작부(2001)와, 표시부(2002)를 갖고, 표시부(2002)의 하우징 내부에 회로 기판(2100)이 배치되어 있다. 회로 기판(2100) 위로는 상기 발음체 부착 전기광학 장치(100)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표시부(2002)의 표면에 있어서 상기 액정 패널(111)을 볼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표시부(2002)에는 음성 출력구(2003)가 형성되고, 이 음성 출력구(2003)는, 상기 발음체(121)로부터 출력되어 상기 방음구로부터 방사된 음성이 표시부(2002)의 하우징 내부를 거쳐서 청취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발음체 부착 전기광학 장치 및 전자기기는, 상술한 예에만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변경을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어느 것이나 수용 프레임을 표시부나 고정 프레임에 대하여 후크 구조로 결합 고정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고정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압입 고정, 접착 고정, 나사 고정 등의 각종 고정예를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광학 장치와 발음체를 조밀하게 탑재할 수 있고, 또 탑재하는 전자기기의 하우징에 대하여 발음체의 음향설계가 필요없어진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의 단면도(a) 및 (b), 평면도(c) 및 저면도(d).
도 2는 제 2 실시형태의 단면도(a) 및 (b), 평면도(c) 및 저면도(d).
도 3은 제 3 실시형태의 단면도(a) 및 (b), 평면도(c) 및 저면도(d).
도 4는 제 1 실시형태의 측면도(a), 제 2 실시형태의 측면도(b) 및 제 3 실시형태의 측면도(c).
도 5는 제 4 실시형태의 단면도(a) 및 측면도(b).
도 6은 제 5 실시형태의 측면도(a) 및 (b).
도 7은 제 6 실시형태의 정면도(a), 배면도(b), 우측면도(c) 및 평면도(d).
도 8은 제 8 실시형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9는 제 8 실시형태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10은 제 7 실시형태의 정면도(a), 배면도(b), 우측면도(c) 및 평면도(d).
도 11은 변형예의 단면도(a), 단면도(b), 단면도(c), 단면도(d).
도 12는 전기광학 패널(111)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13은 도 12의 A-A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발음체 부착 전기광학 장치 110: 표시부
111: 전기광학 패널 112: 백 라이트
11: 패널 유지 프레임 113a: 결합부(돌기부)
114: 완충재 120: 발음부
121: 발음체 122: 발음 프레임
123: 지지체 124: 완충재
131: 수용 프레임 131a: 결합부(개구부)
232: 고정 프레임 232a: 결합부(개구부)

Claims (14)

  1. 제 1 프레임과,
    상기 제 1 프레임에 대향하는 제 2 프레임과,
    상기 제 1 프레임과 상기 제 2 프레임의 사이에 끼워지는 제 3 프레임과,
    상기 제 1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전기광학 패널과,
    상기 제 2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동시에, 상기 제 2 프레임 및 상기 제 3 프레임으로 덮이고, 또 상기 전기광학 패널과 평면적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발음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광학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레임은 상기 전기광학 패널을 유지하는 패널 유지 프레임이며,
    상기 제 3 프레임은 상기 발음체의 공기실을 구성하는 발음 프레임이며,
    상기 제 2 프레임은 상기 제 1 프레임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광학 장치.
  3. 제 1 프레임과,
    상기 제 1 프레임에 대향하는 제 2 프레임과,
    상기 제 1 프레임과 상기 제 2 프레임의 사이에 끼워지는 제 3 프레임과,
    상기 제 3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전기광학 패널과,
    상기 제 2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동시에, 상기 제 2 프레임 및 상기 제 3 프레임으로 덮이고, 또 상기 전기광학 패널과 평면적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발음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광학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레임은 상기 전기광학 패널을 볼 수 있는 개구를 가지며,
    상기 제 3 프레임은 상기 전기광학 패널을 유지하는 패널 유지 프레임이고,
    상기 제 2 프레임은 상기 제 1 프레임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광학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레임은 상기 전기광학 패널을 볼 수 있는 개구를 가지며,
    상기 제 3 프레임은 전기광학 패널을 유지하는 패널 유지 프레임이고,
    상기 제 2 프레임은 상기 제 3 프레임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광학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발음체는 지지체를 거쳐서 상기 제 2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고, 또 상기 제 3 프레임측의 제 1 면과, 상기 제 2 프레임측의 제 2 면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체는 상기 발음체의 상기 제 1 면과 상기 제 3 프레임 사이의 공간과, 상기 발음체의 상기 제 2 면과 상기 제 2 프레임 사이의 공간을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광학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프레임은 상기 발음체로부터 발생하는 음을 방출하기 위한 방음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광학 장치.
  8. 전기광학 패널과,
    상기 전기광학 패널을 지지하는 패널 유지 프레임과,
    상기 패널 유지 프레임과 대향하고, 상기 패널 유지 프레임에 고정되는 수용 프레임과,
    상기 수용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동시에, 상기 패널 유지 프레임 및 수용 프레임으로 덮이고, 또 상기 전기광학 패널에 평면적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발음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광학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유지 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패널 유지 프레임을 상기 수용 프레임에 의해 고정하도록 배치되는 커버 프레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광학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프레임 및 상기 커버 프레임은 상기 패널 유지 프레임의 두께 방향으로 형성된 요철 형상을 각각 가지며, 상호의 상기 요철 형상이 맞물린 상태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광학 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발음체는, 지지체를 거쳐서 상기 수용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고, 또 상기 패널 유지 프레임측의 제 1 면과, 상기 수용 프레임측의 제 2 면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체는 상기 발음체의 상기 제 1 면과 상기 패널 유지 프레임 사이의 공간과, 상기 발음체의 상기 제 2 면과 상기 수용 프레임 사이의 공간을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광학 장치.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프레임은 상기 발음체로부터 발생하는 음을 방출하기 위한 방음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광학 장치.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음체는 압전 스피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광학 장치.
  14. 제 1 항 내지 제 12 항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기광학 장치와, 이 전기광학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KR1020040077930A 2003-09-30 2004-09-30 전기광학 장치 및 전자기기 KR1006654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340322 2003-09-30
JPJP-P-2003-00340322 2003-09-30
JP2004237069A JP4285361B2 (ja) 2003-09-30 2004-08-17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JP-P-2004-00237069 2004-08-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2003A true KR20050032003A (ko) 2005-04-06
KR100665431B1 KR100665431B1 (ko) 2007-01-04

Family

ID=34593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7930A KR100665431B1 (ko) 2003-09-30 2004-09-30 전기광학 장치 및 전자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657043B2 (ko)
JP (1) JP4285361B2 (ko)
KR (1) KR100665431B1 (ko)
CN (1) CN100373223C (ko)
TW (1) TW20052155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9363B1 (ko) * 2006-05-08 2007-06-15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66316B2 (ja) * 2004-08-23 2007-08-2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4655561B2 (ja) * 2004-09-14 2011-03-2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7028641A (ja) * 2005-07-19 2007-02-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偏光フィルムアセンブリ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これを具備した表示装置
US20070202917A1 (en) * 2006-02-27 2007-08-30 Andrew Phelps Display and speaker module
TW201136331A (en) * 2010-04-06 2011-10-16 Zhao-Lang Wang Moving-magnet type loudspeaker device
CA2808716C (en) 2010-08-23 2018-03-06 Nokia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haptic and audio feedback in a touch sensitive user interface
US9137522B2 (en) * 2011-07-11 2015-09-15 Realtek Semiconductor Corp. Device and method for 3-D display control
KR102312266B1 (ko) 2017-08-03 2021-10-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94179A (en) * 1979-01-10 1980-07-17 Sanyo Electric Co Ltd Electronic wrist watch with acoustic device
JPS5673382A (en) 1979-11-20 1981-06-18 Seiko Epson Corp Portable time piece with sound system and computer
JPH032889A (ja) * 1989-05-31 1991-01-09 Seikosha Co Ltd 表示装置
KR0165544B1 (ko) * 1990-03-05 1999-03-20 야마다 로꾸이찌 전자발음장치
JP3163323B2 (ja) 1997-11-07 2001-05-08 三菱電機株式会社 表示装置
JP3597061B2 (ja) 1998-11-13 2004-12-02 日本電気株式会社 圧電スピーカ
JP3961177B2 (ja) 1999-12-07 2007-08-22 株式会社デンソー 通信機器
JP2002077346A (ja) 2000-09-01 2002-03-15 Taiyo Yuden Co Ltd 携帯通信端末器
JP2003018686A (ja) 2001-07-02 2003-01-17 Authentic Ltd スピーカ
JP3967140B2 (ja) 2001-09-18 2007-08-29 大成プラス株式会社 携帯通信装置
DK1301012T3 (da) * 2001-10-08 2005-12-12 Siemens Ag Mobilt kommunikationsapparat med i apparathuset anbragt fladhöjttaler og en yderligere lydtransducer anbragt i et tovejssystem med fladhöjttaleren
JP3973396B2 (ja) 2001-10-18 2007-09-12 吉田プラ工業株式会社 ボトルホルダ内蔵容器
KR100435850B1 (ko) * 2001-12-11 2004-06-10 타이 얀 캄 평판 스피커
GB2386281B (en) 2002-03-07 2005-03-16 Matsushita Comm Ind Uk Ltd Aural interface for portable communications terminal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9363B1 (ko) * 2006-05-08 2007-06-15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7786517B2 (en) 2006-05-08 2010-08-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a selectively formed ETCH stopping layer and methods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5431B1 (ko) 2007-01-04
US20050111678A1 (en) 2005-05-26
JP2005130461A (ja) 2005-05-19
CN100373223C (zh) 2008-03-05
CN1603903A (zh) 2005-04-06
JP4285361B2 (ja) 2009-06-24
US7657043B2 (en) 2010-02-02
TW200521550A (en) 2005-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838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컴퓨팅 장치
US7545459B2 (en) Flat display apparatus with speaker function
KR102612609B1 (ko) 표시장치
US7397520B2 (en)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JP4831205B2 (ja) 画像表示モジュール
JP5582677B2 (ja) 液晶表示装置
US20170127166A1 (en) Light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KR101130456B1 (ko) 보호판 일체형 표시장치
KR20190012875A (ko) 표시장치
US20190087004A1 (en) Display device
JP2008070584A (ja) 液晶表示装置
KR102648131B1 (ko) 압전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JP2009031753A (ja)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KR100665431B1 (ko) 전기광학 장치 및 전자기기
JP7504171B2 (ja) ディスプレイ装置
JP4355860B2 (ja) 画像表示モジュール
US9519098B2 (en)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the same
JP4179042B2 (ja) 発音体付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10210799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JP4655561B2 (ja)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2148653A (ja) 表示装置
JP2018026531A (ja) 光源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る光源ユニット
KR20070081892A (ko) 액정 표시 장치
KR20190063679A (ko) 디스플레이 장치
WO2012067002A1 (ja) バックライト装置および該バックライト装置を備える液晶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