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8131B1 - 압전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압전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8131B1
KR102648131B1 KR1020180151305A KR20180151305A KR102648131B1 KR 102648131 B1 KR102648131 B1 KR 102648131B1 KR 1020180151305 A KR1020180151305 A KR 1020180151305A KR 20180151305 A KR20180151305 A KR 20180151305A KR 102648131 B1 KR102648131 B1 KR 1026481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zoelectric element
piezoelectric
slit
electrode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1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4777A (ko
Inventor
고유선
김치완
김태헌
신성의
이용우
유경열
장용균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513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8131B1/ko
Priority to US16/655,928 priority patent/US11596980B2/en
Priority to CN201911021425.XA priority patent/CN111246354B/zh
Publication of KR20200064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47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8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81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B06B1/06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piezoelectric effect or with electrostriction
    • B06B1/0607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piezoelectric effect or with electrostriction using multiple elements
    • B06B1/062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piezoelectric effect or with electrostriction using multiple elements on one surface
    • B06B1/0629Square arr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B06B1/06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piezoelectric effect or with electrostriction
    • B06B1/0607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piezoelectric effect or with electrostriction using multiple elements
    • B06B1/062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piezoelectric effect or with electrostriction using multiple elements on one su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7/00Piezoelectric transducers; Electrostrictive transducers
    • H04R17/005Piezoelectric transducers; Electrostrictive transducers using a piezoelectric polym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7/00Piezoelectric transducers; Electrostrictive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04Plane diaphragms
    • H04R7/045Plane diaphragms using the distributed mode principle, i.e. whereby the acoustic radiation is emanated from uniformly distributed free bending wave vibration induced in a stiff panel and not from pistonic mot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01Manufacture or treatment
    • H10N30/03Assembling devices that include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par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2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with electrical input and mechanical output, e.g. functioning as actuators or vibrato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N30/85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active materials
    • H10N30/857Macromolecular composi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N30/87Electrodes or interconnections, e.g. leads or termin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B06B1/04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sm
    • B06B1/045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sm using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5Transducers incorporated in visual displaying devices, e.g. televisions, computer displays, lapt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Piezo-Electric Transducers For Audible Bands (AREA)

Abstract

본 출원의 예에 따른 압전 패널은 적어도 하나의 슬릿을 갖는 제1 압전 소자, 제1 압전 소자의 일면에 배치된 제1 전극, 적어도 하나의 슬릿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하고 제1 압전 소자의 일면과 반대되는 타면을 덮는 제2 압전 소자, 및 제1 압전 소자와 마주하는 제2 압전 소자의 일면과 반대되는 타면에 배치된 제2 전극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압전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PIEZOELECTRIC PANEL AND ELECTRONIC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본 출원은 압전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텔레비전, 모니터, 노트북 컴퓨터, 스마트 폰, 테블릿 컴퓨터, 전자 패드, 웨어러블 기기, 워치 폰, 휴대용 정보 기기, 네비게이션, 또는 차량 제어 디스플레이 기기 등의 전자 기기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영상과 관련된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음향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최근의 전자 기기는 보안성과 사용 편리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정전 용량 방식 또는 광학 방식의 지문 센서를 이용한 지문 인식 기능이 적용되고 있다.
일반적인 전자 기기는 음향 장치에서 출력되는 음향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 또는 하면(또는 측면) 방향으로 진행하기 때문에 벽 또는 지면에서 반사되는 음향간의 간섭으로 인하여 음질이 떨어지고, 이로 인하여 정확한 음향 전달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시청자의 몰입을 방해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전자 기기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방으로 음향을 출력할 수 있으나, 액츄에이터는 특정 주파수 영역에서만 강한 진동 특성을 가지고, 나머지 주파수 영역에서는 진동 특성이 저하된다. 즉, 기존의 액츄에이터는 가청 주파수 영역 전체를 커버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기존의 액츄에이터는 고주파 영역에서 강한 출력 특성을 갖기 어려운 문제점을 가진다.
본 출원은 적어도 하나의 슬릿을 갖는 제1 압전 소자와, 적어도 하나의 슬릿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갖는 제2 압전 소자를 포함함으로써, 고주파 영역에서의 출력 특성을 향상시키는 압전 패널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그리고, 본 출원은 복수의 돌출부를 갖는 제1 압전 소자와, 복수의 돌출부 각각과 제1 압전 소자의 두께 방향으로 서로 중첩되는 삽입부를 갖는 제2 압전 소자를 포함함으로써, 가청 주파수 영역에서 음압 레벨을 향상시키는 압전 패널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그리고, 본 출원은 서로 다른 개수의 슬릿을 갖는 제1 및 제2 진동 발생 모듈을 구비한 압전 패널을 포함함으로써, 리시버 및 스피커를 통합 구현할 수 있는 전자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그리고, 본 출원은 제1 및 제2 압전 소자로 이루어진 제1 및 제2 진동 발생 모듈과, 제3 압전 소자로 이루어진 제3 진동 발생 모듈을 구비한 압전 패널을 포함함으로써, 리시버, 스피커, 및 햅틱 레이어를 통합 구현할 수 있는 전자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출원에 따른 압전 패널은 적어도 하나의 슬릿을 갖는 제1 압전 소자, 제1 압전 소자의 일면에 배치된 제1 전극, 적어도 하나의 슬릿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하고 제1 압전 소자의 일면과 반대되는 타면을 덮는 제2 압전 소자, 및 제1 압전 소자와 마주하는 제2 압전 소자의 일면과 반대되는 타면에 배치된 제2 전극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 따른 전자 기기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디스플레이 모듈의 일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진동 발생 모듈을 구비한 압전 패널을 포함하고, 압전 패널은 적어도 하나의 슬릿을 갖는 제1 압전 소자, 제1 압전 소자의 일면에 배치된 제1 전극, 적어도 하나의 슬릿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하고 제1 압전 소자의 일면과 반대되는 타면을 덮는 제2 압전 소자, 및 제1 압전 소자와 마주하는 제2 압전 소자의 일면과 반대되는 타면에 배치된 제2 전극을 포함한다.
기타 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출원에 따른 압전 패널은 적어도 하나의 슬릿을 갖는 제1 압전 소자와, 적어도 하나의 슬릿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갖는 제2 압전 소자를 포함함으로써, 고주파 영역에서의 출력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압전 패널은 복수의 돌출부를 갖는 제1 압전 소자와, 복수의 돌출부 각각과 제1 압전 소자의 두께 방향으로 서로 중첩되는 삽입부를 갖는 제2 압전 소자를 포함함으로써, 가청 주파수 영역에서 음압 레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전자 기기는 서로 다른 개수의 슬릿을 갖는 제1 및 제2 진동 발생 모듈을 구비한 압전 패널을 포함함으로써, 리시버 및 스피커를 통합 구현할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전자 기기는 제1 및 제2 압전 소자로 이루어진 제1 및 제2 진동 발생 모듈과, 제3 압전 소자로 이루어진 제3 진동 발생 모듈을 구비한 압전 패널을 포함함으로써, 리시버, 스피커, 및 햅틱 레이어를 통합 구현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본 출원의 효과 외에도, 본 출원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이하에서 기술되거나, 그러한 기술 및 설명으로부터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전자 기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절단선 I-I'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전자 기기에서, 압전 패널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절단선 II-II'을 따라 자른 단면도의 제1 실시예이다.
도 5는 도 4의 제1 진동 발생 모듈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4의 제2 진동 발생 모듈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3의 절단선 II-II'을 따라 자른 단면도의 제2 실시예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전자 기기에서, 제1 압전 소자의 공진 주파수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진동 발생 모듈 각각의 음압 레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0은 도 3의 절단선 II-II'을 따라 자른 단면도의 제3 실시예이다.
도 11은 도 10의 제2 진동 발생 모듈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본 출원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출원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출원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출원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출원 상에서 언급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예를 들면,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시간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본 출원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간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는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적어도 하나"는 연관된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예를 들면, "제1, 제2, 및 제3 구성요소의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1, 제2, 또는 제3 구성요소뿐만 아니라, 제1, 제2, 및 제3 구성요소의 두 개 이상의 모든 구성요소의 조합을 포함한다고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본 출원에서 "전자 기기"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는 액정 모듈(Liquid Crystal Module; LCM), 유기발광 표시모듈(OLED Module)과 같은 표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LCM, OLED 모듈 등을 포함하는 완제품(complete product 또는 final product)인 노트북 컴퓨터, 텔레비전, 컴퓨터 모니터, 자동차용 장치(automotive apparatus) 또는 차량(vehicle)의 다른 형태 등을 포함하는 전장장치(equipment apparatus), 스마트폰 또는 전자패드 등의 모바일 전자장치(mobile electronic apparatus) 등과 같은 세트 전자 장치(set electronic apparatus) 또는 세트 장치(set device 또는 set apparatus)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몇몇 예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구동부 등으로 구성되는 LCM, OLED 모듈을 "표시 장치"로 표현하고, LCM, OLED 모듈을 포함하는 완제품으로서의 전자장치를 "세트 장치"로 구별하여 표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는 액정(LCD) 또는 유기 발광(OLED)의 디스플레이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제어부인 소스 PCB를 포함하며, 세트 장치는 소스 PCB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세트 장치 전체를 제어하는 세트 제어부인 세트 PCB를 더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유기 전계 발광(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패널, 및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Electroluminescent Display Panel) 등의 모든 형태의 디스플레이 패널이 사용될 수 있으며, 본 예의 음향 발생 장치에 의하여 진동됨으로써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는 특정한 디스플레이 패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형태나 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이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인 경우에는, 다수의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 및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의 교차 영역에 형성되는 픽셀(Pixel)을 포함한다. 그리고, 각 픽셀에서의 광투과도를 조절하기 위한 스위칭 소자인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어레이 기판과, 컬러 필터 및/또는 블랙 매트릭스 등을 구비한 상부 기판과, 어레이 기판 및 상부 기판 사이에 형성되는 액정층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패널이 유기 전계 발광(OLED) 디스플레이 패널인 경우에는, 다수의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 및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의 교차 영역에 형성되는 픽셀(Pixel)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각 픽셀에 선택적으로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소자인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어레이 기판과, 어레이 기판 상의 유기 발광 소자(OLED)층, 및 유기 발광 소자층을 덮도록 어레이 기판 상에 배치되는 봉지 기판 또는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 기판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봉지 기판은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박막 트랜지스터 및 유기 발광 소자층 등을 보호하고, 유기 발광 소자층으로 수분이나 산소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어레이 기판 상에 형성되는 층은 무기발광층(inorganic light emitting layer), 예를 들어 나노사이즈의 물질층(nano-sized material layer) 또는 양자점(quantum dot)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마이크로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여러 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 및 예를 통해 본 출원의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전자 기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절단선 I-I'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전자 기기는 디스플레이 모듈(100), 압전 패널(300), 하우징(400), 구동 회로부(500), 커버 윈도우(600), 및 후변 커버(70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디스플레이 패널(110), 편광 필름(130), 및 터치 패널(150)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영상을 표시하는 것으로,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유기 전계 발광(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패널, 및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Electroluminescent Display Panel) 등 모든 형태의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영상 데이터를 기초로 영상을 표시하는 픽셀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픽셀 어레이는 데이터 라인들과 게이트 라인들이 교차될 수 있고, 복수의 픽셀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픽셀들 각각은 컬러 구현을 위하여 적색 서브 픽셀, 녹색 서브 픽셀, 및 청색 서브 픽셀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픽셀들 각각은 백색 서브 픽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편광 필름(130)은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커버 윈도우(60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일 예예 따르면, 편광 필름(130)은 필름 부착 부재를 매개로 디스플레이 패널(110) 상에 부착될 수 있다. 편광 필름(130)은 픽셀 어레이 기판에 마련된 박막 트랜지스터 및/또는 픽셀 구동 라인들 등에 의해 반사된 외부 광을 원편광 상태로 변경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시인성과 명암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편광 필름(130)은 터치 패널(150)과 커버 윈도우(600)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터치 패널(150)은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커버 윈도우(60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터치 패널(150)은 편광 필름(130) 상에 마련되고,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대한 사용자 터치를 센싱(또는 검출)하기 위한 터치 전극을 갖는 터치 전극층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전극층은 사용자 터치에 따른 터치 전극의 정전 용량 변화를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전극층은 상호 정전 용량 방식(Mutual Capacitive Type) 또는 자기 정전 용량 방식(Self Capacitive Type)에 따라 사용자 터치를 센싱하기 위한 터치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압전 패널(300)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일면,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압전 패널(300)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을 직접 진동시키기 위해, 접착 부재(200)를 매개로 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면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압전 패널(300)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면 전체에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압전 패널(300)은 구동 회로부(500)로부터 공급되는 진동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00)을 진동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진동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전방(Z)으로 음향(SW)을 출력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압전 패널(300)은 진동 신호에 따른 역압전 효과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00)을 진동시킬 수 있다.
접착 부재(200)는 자연 경화성 접착제, 열경화성 접착제, 또는 광경화성 접착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접착 부재(200)는 경화 공정의 열에 의해 압전 패널(300)의 특성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자연 경화성 접착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우징(400)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을 수납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과 측면을 둘러쌀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400)의 각 측면들은 전자 기기의 디자인적인 미감 향상을 위해 일정한 곡률 반경을 가지도록 라운딩될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400)은 미들 프레임, 모듈 프레임, 디스플레이 하우징, 또는 패널 가이드 등으로 표현될 수도 있다. 일 예에 따르면, 하우징(400)은 하우징 측벽(410), 완충 부재(420), 및 하우징 플레이트(43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 측벽(410)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이 수납되는 디스플레이 수납 공간을 가지도록 프레임 형태로 형성되어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각 측면을 둘러쌀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 측벽(410)은 커버 윈도우(600) 및 후면 커버(700)를 지지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하우징 측벽(410)은 상부 내측면으로부터 오목하게 마련되어 커버 윈도우(600)를 지지하는 상부 단차부(411), 및 하부 내측면으로부터 오목하게 마련되어 후면 커버(700)를 지지하는 하부 단차부(413)을 포함할 수 있다.
완충 부재(420)는 커버 윈도우(600)와 하우징(400)의 상부 단차부(411)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완충 부재(420)는 양면 테이프 또는 폼 패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완충 부재(420)는 커버 윈도우(60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하고,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진동이 하우징(400)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우징 플레이트(43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을 덮도록 하우징 측벽(410)의 내측면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수납 공간은 하우징 플레이트(430)의 전면 상에 마련되어 하우징 측벽(410)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고, 회로 수납 공간은 하우징 플레이트(430)의 후면 상에 마련되어 구동 회로부(500) 등의 회로 구성 및 배터리 등을 포함하는 전자 기기의 주변 회로 등을 수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하우징 플레이트(43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으로부터 이격되며, 후면 커버(700)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구동 회로부(500)는 하우징 플레이트(430)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 회로부(500)는 영상 신호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마련된 복수의 픽셀 각각에 공급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구동 회로부(500)는 오디오 소스를 기반으로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고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여 진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압전 패널(300)을 변형(또는 진동)시킬 수 있다. 또한, 구동 회로부(500)는 터치 패널(150)을 통해 사용자 터치에 대한 터치 위치를 산출하고, 산출된 터치 위치에 해당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 회로부(50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실장될 수도 있다.
커버 윈도우(600)는 하우징(400)에 결합되어 디스플레이 모듈(100)을 지지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커버 윈도우(60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을 지지하면서 하우징(400)의 하우징 측벽(410)에 마련된 상부 단차부(411)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 윈도우(600)는 글라스(Glass) 또는 강화 글라스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커버 윈도우(600)는 광학 점착 부재를 매개로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면(Front Surface)에 부착(또는 라미네이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학 점착 부재는 OCA(Optically Clear Adhesive), OCR (Optically Clear Resin), 또는 PSA(Pressure Sensitive Adhesive)일 수 있다.
후면 커버(700)는 하우징(400)에 결합되어 하우징(400)의 후면을 덮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후면 커버(700)는 하우징(400)의 후면에 마련된 회로 수납 공간을 덮을 수 있다. 이를 위해, 후면 커버(700)는 하우징(400)의 하우징 측벽(410)에 마련된 하부 단차부(413)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후면 커버(700)는 커버 윈도우(600)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커버 윈도우(600)와 다른 글라스(Glass) 또는 강화 글라스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출원에 따른 전자 기기는 압전 패널(300)을 통해 디스플레이 모듈(100)을 진동시킬 수 있고,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진동에 따라 발생되는 음향(SW)을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전방으로 출력함으로써, 전자 기기의 영상과 음향을 일치시켜 시청자의 몰입감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전자 기기에서, 압전 패널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절단선 II-II'을 따라 자른 단면도의 제1 실시예이다. 도 5는 도 4의 제1 진동 발생 모듈을 나타내는 확대도이고, 도 6은 도 4의 제2 진동 발생 모듈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압전 패널(300)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일면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모듈(100)을 진동시킬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압전 패널(300)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면에 결합된 제1 내지 제3 진동 발생 모듈(310, 320, 33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압전 패널(300)이 모바일 전자 기기에 적용될 경우, 압전 패널(300)은 리시버, 스피커, 및 햅틱 레이어 등으로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압전 패널(300)이 모바일 전자 기기에 적용될 경우, 제1 진동 발생 모듈(310)는 통화시 사용하는 리시버의 역할을 할 수 있고, 제2 진동 발생 모듈(320)는 모바일 기기의 스피커의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제3 진동 발생 모듈(330)은 햅틱 레이어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복수의 제2 진동 발생 모듈(320)은 모두 스피커의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두 개의 스피커를 활용하는 서라운드 스피커로도 사용될 수 있다.
제1 진동 발생 모듈(310)는 구동 회로부(500)로부터 제공되는 진동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제1 영역(A1)을 진동시킬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1 진동 발생 모듈(310)은 접착 부재를 매개로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 즉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면의 제1 영역(A1)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영역(A1)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제2 길이 방향(또는 장변 방향)(Y)을 기준으로,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일측 끝단에 인접한 영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영역(A1)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제2 길이 방향(Y)을 기준으로,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일측 가장자리 영역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진동 발생 모듈(310)은 구동 회로부(500)로부터 진동 신호가 인가되는 경우, 진동 신호에 따른 역압전 효과에 의해 압축과 수축을 반복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제1 영역(A1)을 진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1 진동 발생 모듈(310)은 제1 영역(A1)과 제3 영역(A3) 사이에 배치된 에어 갭(AG)을 통해 제3 진동 발생 모듈(330)과 이격될 수 있다.
도 5에서, 제1 진동 발생 모듈(310)은 제1 압전 소자(EP1), 제2 압전 소자(EP2), 제1 전극(E1), 및 제2 전극(E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압전 소자(EP1)는 제1 및 제2 전극(E1, E2) 사이에 개재되어, 제1 및 제2 전극(E1, E2)에 전압이 인가되면 진동을 통해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구동 회로부(500)는 제1 및 제2 전극(E1, E2)에 사운드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 전극(E1, E2)에 전압이 인가되면, 제1 압전 소자(EP1)는 역압전 효과에 의해 자기장에 따라 진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3 진동 발생 모듈(310, 320, 330) 각각의 제2 전극(E2)은 일체로 형성된 전극을 공유할 수 있다.
제1 압전 소자(EP1)는 중앙부(CP) 및 주변부(PP)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압전 소자(EP1)의 중앙부(CP)는 주변부(PP)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압전 소자(EP1)의 중앙부(CP)의 일면은 제1 전극(E1)과 접촉될 수 있고, 중앙부(CP)의 타면은 제2 압전 소자(EP2)의 지지부(SP)와 접촉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압전 소자(EP1)의 측면은 주변부(PP)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제1 압전 소자(EP1)의 주변부(PP)는 적어도 하나의 슬릿(S) 및 복수의 돌출부(P)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압전 소자(EP1)의 복수의 돌출부(P)는 적어도 하나의 슬릿(S)을 사이에 두고 제1 전극(E1)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슬릿(S)은 복수의 돌출부(P) 각각에 대응되는 오목부에 해당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슬릿(S)은 제1 전극(E1)과 이격되면서 제1 전극(E1)과 나란한 방향으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돌출부(P) 각각은 중앙부(CP)로부터 수평 방향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제1 압전 소자(EP1)의 복수의 돌출부(P)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슬릿(S)에 의해 서로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압전 소자(EP2)의 삽입부(IN)가 제1 압전 소자(EP1)의 슬릿에 삽입될 수 있다. 제1 진동 발생 모듈(310)은 적어도 하나의 슬릿(S)에 의해 이격되는 복수의 돌출부(P)를 포함함으로써, 제1 압전 소자(EP1)의 고유 진동수(Natural Frequency)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1 압전 소자(EP1)의 고유 진동수는 복수의 돌출부(P)의 개수에 비례하여 증가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압전 소자(EP1)의 고유 진동수가 증가하면 제1 압전 소자(EP1)의 공진 주파수가 증가하여, 제1 압전 소자(EP1)의 고주파 영역에서의 음향 출력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제1 압전 소자(EP1)는 고차 진동 모드를 구현하기 위하여 복수의 슬릿(S)과 복수의 삽입부(IN)를 포함함으로써, 제1 진동 발생 모듈(310)은 고주파 영역(또는 고음 영역)에서 응답 특성이 향상되고, 음향의 순도(또는 명료도)가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슬릿(S)은 제1 압전 소자(EP1)의 두께 방향에 대한 단면 형상이 삼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슬릿(S)에 삽입된 삽입부(IN) 역시 적어도 하나의 슬릿(S)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2 압전 소자(EP2)는 제1 압전 소자(EP1)의 두께 방향에 대한 단면 형상이 삼각형으로 이루어진 삽입부(IN)를 포함함으로써, 제1 압전 소자(EP1)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1 압전 소자(EP1)는 압전 효과를 갖는 압전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압전 효과는 외력을 가하면 전기 분극이 일어나서 전위차가 생기고, 반대로 전압을 가하면 변형이나 변형력이 생기는 성질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압전 물질은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호모폴리머(PVDF Homopolymer),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코폴리머(PVDF Copolymer),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터폴리머(PVDF Terpolymer), 시아노폴리머(Cyano-polymer), 시아노-코폴리머(Cyano-copolymer), 보론 나이트라이드 폴리머(BN polym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피에조 폴리머(Piezopolymer)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서,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코폴리머(PVDF Copolymer)는 예를 들면, PVDF-TrFE, PVDF-TFE, PVDF-CTFE, PVDF-CFE 등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터폴리머(PVDF Terpolymer)는 PVDF-TrFe-CFE, PVDF-TrFE-CTFE 등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시아노-코폴리머(Cyano-copolymer)는 PVDCN-vinyl acetate, PVDCN-vinyl propionate 등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보론 나이트라이드 폴리머(BN polymer)는 Polyaminoboran, Polyaminodifluoroboran 등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압전 소자(EP2)는 제1 압전 소자(EP1)의 형상을 결정하는 형틀(Mold)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압전 소자(EP1)는 압전 물질과 솔벤트가 혼합된 액상 혼합물이 제2 압전 소자(EP2) 내에 도포된 후, 큐어(Cure)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압전 소자(EP1)의 형상은 제2 압전 소자(EP2)의 형상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1 압전 소자(EP1)의 형상은 제2 압전 소자(EP2)의 지지부(SP), 측벽(SW), 및 삽입부(IN)의 형상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제2 압전 소자(EP2)는 지지부(SP), 측벽(SW), 및 삽입부(IN)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압전 소자(EP2)의 지지부(SP)는 제1 압전 소자(EP1)를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압전 소자(EP2)의 지지부(SP)의 일면은 제1 압전 소자(EP1)의 타면과 접촉될 수 있고, 제2 압전 소자(EP2)의 지지부(SP)의 타면은 제2 전극(E2)과 접촉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SP)는 지지부(SP)의 외곽을 따라 마련된 측벽(SW)을 지지할 수 있다.
제2 압전 소자(EP2)의 측벽(SW)은 지지부(SP)의 외곽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제1 압전 소자(EP1)를 둘러쌀 수 있다. 그리고, 제2 압전 소자(EP2)의 측벽은 제1 압전 소자(EP1)의 복수의 돌출부(P)의 측면과 접촉될 수 있다.
제2 압전 소자(EP2)의 삽입부(IN)는 측벽(SW)의 내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적어도 하나의 슬릿(S)을 채울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2 압전 소자(EP2)의 삽입부(IN)는 서로 인접한 제1 압전 소자(EP1)의 복수의 돌출부(P)를 이격시킬 수 있다. 복수의 돌출부(P) 각각과 삽입부(IN)는 제1 압전 소자(EP1)의 두께 방향으로 서로 중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압전 소자(EP2)의 삽입부(IN)는 복수의 돌출부(P)의 고유 진동수를 증가시키는 노드(Node)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노드(Node)의 개수는 고유 진동의 파장과 반비례하고, 고유 진동의 주파수와 비례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압전 소자(EP1)의 고유 진동수는 제2 압전 소자(EP2)의 삽입부(IN) 또는 노드(Node)의 개수에 비례하여 증가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압전 소자(EP1)의 고유 진동수가 증가하면 제1 압전 소자(EP1)의 공진 주파수가 증가하여, 제1 압전 소자(EP1)의 고주파 영역에서의 음향 출력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진동 발생 모듈(310)은 고주파 영역(또는 고음 영역)에서 응답 특성이 향상되고, 음향의 순도(또는 명료도)가 우수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1 진동 발생 모듈(310)은 서로 다른 물질로 이루어진 제1 및 제2 압전 소자(EP1, EP2)를 포함함으로써, 단일 압전 소자로 이루어진 전자 기기보다 고주파수 영역에서 우수한 응답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압전 소자(EP2)는 셀룰로오스(Cellulos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및 케블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합성 폴리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예 따르면, 제1 압전 소자(EP1)는 제2 압전 소자(EP2)보다 압전성이 높은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제2 진동 발생 모듈(320)는 구동 회로부(500)로부터 제공되는 진동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복수의 제2 영역(A2) 각각을 진동시킬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복수의 제2 진동 발생 모듈(320) 각각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복수의 제2 영역(A2) 각각을 진동시킬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2 진동 발생 모듈(320)은 접착 부재를 매개로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 즉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면에 정의된 제2 영역(A2)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2 영역(A2)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제2 길이 방향(Y)을 기준으로,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중앙 영역, 및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타측 끝단에 인접한 영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제2 영역(A2) 각각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제2 길이 방향(Y)을 기준으로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면서,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제1 길이 방향(X)으로 나열될 수 있다. 그리고, 예를 들어, 복수의 제2 영역(A2) 각각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제2 길이 방향(Y)을 기준으로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타측 가장자리 영역에 배치되면서,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제1 길이 방향(X)으로 나열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 진동 발생 모듈(320)은 구동 회로부(500)로부터 진동 신호가 인가되는 경우, 진동 신호에 따른 역압전 효과에 의해 압축과 수축을 반복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제2 영역(A2)을 진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2 진동 발생 모듈(320)은 제2 영역(A2)과 제3 영역(A3) 사이에 배치된 에어 갭(AG)을 통해 제3 진동 발생 모듈(330)과 이격될 수 있다.
도 6에서, 제2 진동 발생 모듈(320)은 제1 압전 소자(EP1), 제2 압전 소자(EP2), 제1 전극(E1), 및 제2 전극(E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진동 발생 모듈(320)의 제1 압전 소자(EP1)는 제1 및 제2 전극(E1, E2) 사이에 개재되어, 제1 및 제2 전극(E1, E2)에 전압이 인가되면 진동을 통해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진동 발생 모듈(320)의 제1 압전 소자(EP1)는 중앙부(CP) 및 주변부(PP)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압전 소자(EP1)의 주변부(PP)는 적어도 하나의 슬릿(S) 및 복수의 돌출부(P)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압전 소자(EP1)의 복수의 돌출부(P)는 적어도 하나의 슬릿(S)을 사이에 두고 제1 전극(E1)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슬릿(S)은 제1 전극(E1)과 이격되면서 제1 전극(E1)과 나란한 방향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압전 소자(EP2)는 지지부(SP), 측벽(SW), 및 삽입부(IN)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압전 소자(EP2)의 지지부(SP)는 제1 압전 소자(EP1)를 지지할 수 있고, 측벽(SW)은 지지부(SP)의 외곽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제1 압전 소자(EP1)를 둘러쌀 수 있으며, 제2 압전 소자(EP2)의 삽입부(IN)는 측벽(SW)의 내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적어도 하나의 슬릿(S)을 채울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진동 발생 모듈(310, 320) 각각의 제1 압전 소자(EP1)는 서로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1 및 제2 진동 발생 모듈(310, 320) 각각의 제2 압전 소자(EP2)도 서로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진동 발생 모듈(310)은 제2 진동 발생 모듈(320)보다 더 많은 슬릿(S)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진동 발생 모듈(310)은 제2 진동 발생 모듈(320)보다 더 많은 돌출부(P)와 삽입부(IN)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진동 발생 모듈(310)의 고유 진동수 및 공진 주파수는 제2 진동 발생 모듈(320)의 고유 진동수 및 공진 주파수보다 클 수 있고, 제1 진동 발생 모듈(310)은 제2 진동 발생 모듈(320)보다 고차 진동 모드(또는 고차 공진 모드)의 응답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및 제2 진동 발생 모듈(310, 320) 각각의 슬릿(S)의 개수는 주파수 영역에 따른 응답 특성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1 진동 발생 모듈(310)은 5kHz 이상의 고주파수 영역(또는 고음 영역)에서 우수한 응답 특성을 가질 수 있고, 제2 진동 발생 모듈(320)은 200Hz 내지 5kHz의 중저 주파수 영역(또는 중저음 영역)에서 우수한 응답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에 따른 전자 기기는 제1 및 제2 진동 발생 모듈(310, 320)을 구비한 압전 패널(300)을 포함함으로써, 리시버 및 스피커를 통합 구현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출원에 따른 전자 기기는 슬릿(S)의 개수를 달리하는 제1 및 제2 진동 발생 모듈(310, 320)을 포함함으로써, 단일 진동 발생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기기보다 다양한 주파수 영역에서 우수한 응답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에 따른 전자 기기는 슬릿(S)의 개수를 달리하는 제1 및 제2 진동 발생 모듈(310, 320)을 포함함으로써, 진동 패널(300)을 간단하고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3 진동 발생 모듈(330)은 구동 회로부(500)로부터 제공되는 진동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제3 영역(A3)을 진동시킬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3 진동 발생 모듈(330)은 접착 부재를 매개로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면의 제3 영역(A3)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3 영역(A3)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제1 영역(A1)과 복수의 제2 영역(A2)을 제외한 영역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3 영역(A3)은 제1 영역(A1) 및 복수의 제2 영역(A2) 각각을 둘러쌀 수 있다. 이와 같은, 제3 진동 발생 모듈(330)은 구동 회로부(500)로부터 진동 신호가 인가되는 경우, 진동 신호에 따른 역압전 효과에 의해 압축과 수축을 반복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제3 영역(A3)을 진동시킬 수 있다.
제3 진동 발생 모듈(330)은 제3 압전 소자(EP3), 제1 전극(E1), 및 제2 전극(E2)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진동 발생 모듈(330)의 제3 압전 소자(EP3)는 제1 압전 소자(EP1)와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지고, 제1 및 제2 전극(E1, E2) 사이에 개재되어, 제1 및 제2 전극(E1, E2)에 전압이 인가되면 진동을 통해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제3 진동 발생 모듈(330)은 제1 및 제2 전극(E1, E2) 사이에 개재된 제3 압전 소자(EP3)를 포함하고, 제3 압전 소자(EP3)를 제외한 다른 압전 소자를 포함하지 않으므로, 노드(Node)의 역할을 수행하는 별도의 구성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진동 발생 모듈(330)은 1차 진동 모드(또는 1차 공진 모드)의 응답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3 진동 발생 모듈(330)은 제3 압전 소자(EP3)를 제외한 별도의 압전 소자를 구비하지 않음으로써, 저주파수 영역에서 우수한 응답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3 진동 발생 모듈(330)은 구동 회로부(500)로부터 공급되는 진동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00)을 진동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진동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전방(Z)으로 햅틱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 회로부(500)는 신체 접촉의 위치에 대응되는 제3 진동 발생 모듈(330)에 진동 신호(또는 햅틱 신호)를 제공할 수 있고, 제3 진동 발생 모듈(330)은 신체 접촉의 위치에 햅틱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진동 발생 모듈(330)은 진동 신호(또는 햅틱 신호)에 따른 역압전 효과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00)을 진동시킬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1 진동 발생 모듈(310)은 5kHz 이상의 고주파수 영역(또는 고음 영역)에서 우수한 응답 특성을 가질 수 있고, 제2 진동 발생 모듈(320)은 200Hz 내지 5kHz의 중저 주파수 영역(또는 중저음 영역)에서 우수한 응답 특성을 가질 수 있으며, 제3 진동 발생 모듈(330)은 200Hz 이하의 저주파수 영역(또는 저음 영역)에서 우수한 응답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에 따른 전자 기기는 제1 내지 제3 진동 발생 모듈(310, 320, 330)을 구비한 압전 패널(300)을 포함함으로써, 리시버, 스피커, 및 햅틱 레이어를 통합 구현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출원에 따른 전자 기기는 슬릿(S)의 개수를 달리하는 제1 및 제2 진동 발생 모듈(310, 320)과, 슬릿을 포함하지 않는 제3 진동 발생 모듈(330)을 포함함으로써, 단일 진동 발생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기기보다 다양한 주파수 영역에서 우수한 응답 특성을 가질 수 있고, 진동 패널(300)을 간단하고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도 7은 도 3의 절단선 II-II'을 따라 자른 단면도의 제2 실시예이다. 여기에서, 도 7에 도시된 압전 패널(300)은 흡음 부재(340)를 더 포함하는 것으로서, 전술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은 간략히 설명하거나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압전 패널(300)은 제1 영역(A1)과 제3 영역(A3) 사이에 배치되고, 제2 영역(A2)과 제3 영역(A3) 사이에 배치되는 흡음 부재(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흡읍 부재(340)는 제1 영역(A1)과 제3 영역(A3) 사이에 배치되어 제1 진동 발생 모듈(310)을 둘러쌀 수 있고, 제1 및 제3 진동 발생 모듈(310, 330) 각각에서 발생되는 진동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흡읍 부재(340)는 제2 영역(A2)과 제3 영역(A3) 사이에 배치되어 제2 진동 발생 모듈(320)을 둘러쌀 수 있고, 제2 및 제3 진동 발생 모듈(320, 330) 각각에서 발생되는 진동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음 부재(340)는 제1 내지 제3 진동 발생 모듈(310, 320, 330) 각각에서 발생된 진동을 감쇄 또는 흡수하므로, 하나의 진동 발생 모듈에서 발생된 진동이 인접한 다른 진동 발생 모듈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흡음 부재(340)는 압전 패널(300) 내에서 발생되는 진동 간의 간섭을 방지하고, 압전 패널(300)에서 출력되는 음향 출력 특성을 향상시켜 음압 레벨(SPL)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흡음 부재(340)는 인클로저(Enclosure) 또는 배플(Baffle)에 해당할 수 있으며, 용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예에 따르면, 흡음 부재(340)는 탄성이 낮은 물질을 포함하여 제1 내지 제3 진동 발생 모듈(310, 320, 330) 각각에서 발생된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음 부재(340)는 폼 패드로 구현됨으로써, 제1 내지 제3 진동 발생 모듈(310, 320, 330) 각각에서 발생된 진동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전자 기기에서, 제1 압전 소자의 공진 주파수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예를 들어, 도 8a는 제1 및 제2 전극(E1, E2) 사이에 개재된 제1 압전 소자(EP1)에 대한 공진 주파수를 나타내고, 도 8b는 하나의 슬릿(S)을 포함하는 제1 압전 소자(EP1)에 대한 공진 주파수를 나타내며, 도 8c는 2개의 슬릿(S)을 포함하는 제1 압전 소자(EP1)에 대한 공진 주파수를 나타낸다.
도 8a에서, 진동 발생 모듈은 제1 및 제2 전극(E1, E2) 사이에 개재되고 제1 길이(a)를 갖는 제1 압전 소자(EP1)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진동 발생 모듈은 제1 압전 소자(EP1)를 제외한 다른 압전 소자를 포함하지 않으므로, 노드(Node)의 역할을 수행하는 별도의 구성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진동 발생 모듈은 1차 진동 모드(또는 1차 공진 모드)의 응답 특성을 가질 수 있고, 저주파수 영역에서 우수한 응답 특성을 가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도 8a의 진동 발생 모듈은 1차 공진 주파수(f1)를 가질 수 있다.
도 8b에서, 진동 발생 모듈은 하나의 슬릿(S)을 포함하는 제1 압전 소자(EP1)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진동 발생 모듈은 하나의 삽입부(IN)를 가질 수 있고, 삽입부(IN)는 노드(Node)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진동 발생 모듈은 하나의 노드를 포함함으로써, 2차 진동 모드(또는 2차 공진 모드)의 응답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중앙부(CP)와 마주하는 복수의 돌출부(P) 각각의 일면은 동일한 두께(또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앙부(CP)와 마주하는 복수의 돌출부(P) 각각의 일면은 제2 길이(1/2a)를 가질 수 있고, 제2 길이(1/2a)는 제1 길이(a)의 절반에 해당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복수의 돌출부(P)는 노드(Node)의 역할을 수행하는 하나의 삽입부(IN)에 의하여 2개로 형성될 수 있고, 제1 압전 소자(EP1)는 2개의 돌출부(P) 각각이 진동하는 공간이 감소함으로써 공진 주파수가 증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도 8b의 진동 발생 모듈은 2차 공진 주파수(f2)를 가질 수 있고, 도 8b의 2차 공진 주파수는 도 8a의 1차 공진 주파수의 2배에 해당할 수 있다.
도 8c에서, 진동 발생 모듈은 2개의 슬릿(S)을 포함하는 제1 압전 소자(EP1)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진동 발생 모듈은 2개의 삽입부(IN)를 가질 수 있고, 삽입부(IN)는 노드(Node)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진동 발생 모듈은 2개의 노드를 포함함으로써, 3차 진동 모드(또는 3차 공진 모드)의 응답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중앙부(CP)와 마주하는 복수의 돌출부(P) 각각의 일면은 동일한 두께(또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앙부(CP)와 마주하는 복수의 돌출부(P) 각각의 일면은 제3 길이(1/3a)를 가질 수 있고, 제3 길이(1/3a)는 제1 길이(a)의 1/3에 해당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복수의 돌출부(P)는 노드(Node)의 역할을 수행하는 2개의 삽입부(IN)에 의하여 3개로 형성될 수 있고, 제1 압전 소자(EP1)는 3개의 돌출부(P) 각각이 진동하는 공간이 감소함으로써 공진 주파수가 증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도 8c의 진동 발생 모듈은 3차 공진 주파수(f3)를 가질 수 있고, 도 8c의 3차 공진 주파수(f3)는 도 8a의 1차 공진 주파수(f1)의 3배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도 8c의 3차 공진 주파수(f3)는 도 8b의 2차 공진 주파수(f2)의 3/2배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차 공진 주파수(f1)가 30Hz이면, 2차 공진 주파수(f2)는 60Hz에 해당할 수 있고, 3차 공진 주파수(f3)는 90Hz에 해당할 수 있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진동 발생 모듈 각각의 음압 레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여기에서, 제1 구조(S1)는 도 8a에 도시된 진동 발생 모듈에 해당하고, 제2 구조(S2)는 도 8b에 도시된 진동 발생 모듈에 해당하며, 제3 구조(S3)는 도 8c에 도시된 진동 발생 모듈에 해당한다. 그리고, 본 출원에 따른 압전 패널의 음압 레벨(SPL) 또는 응답 특성은 도 9의 결과에 한정되지 않으며, 진동 발생 모듈의 응답 특성은 슬릿(S)의 개수, 슬릿(S)의 형상, 제1 및 제2 압전 소자(EP1, EP2)의 두께, 배치 관계, 및 물질에 의하여 달라질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 구조(S1)는 제1 압전 소자(EP1)를 제외한 다른 압전 소자를 포함하지 않으므로, 1차 진동 모드(또는 1차 공진 모드)의 응답 특성을 가질 수 있고, 저주파수 영역에서 우수한 응답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구조(S1)는 200 내지 800 Hz의 주파수 영역에서 우수한 응답 특성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2 구조(S2)는 하나의 슬릿(S)을 포함하는 제1 압전 소자(EP1)를 포함함으로써, 2차 진동 모드(또는 2차 공진 모드)의 응답 특성을 가질 수 있고, 중저 주파수 영역에서 우수한 응답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구조(S2)는 800Hz 내지 3kHz의 주파수 영역에서 우수한 응답 특성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3 구조(S3)는 2개의 슬릿(S)을 포함하는 제1 압전 소자(EP1)를 포함함으로써, 3차 진동 모드(또는 3차 공진 모드)의 응답 특성을 가질 수 있고, 고주파수 영역에서 우수한 응답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구조(S3)는 3kHz 이상의 주파수 영역에서 우수한 응답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출원에 따른 전자 기기는 슬릿(S)의 개수를 달리하는 제1 및 제2 진동 발생 모듈(310, 320)과, 슬릿을 포함하지 않는 제3 진동 발생 모듈(330)을 포함함으로써, 단일 진동 발생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기기보다 다양한 주파수 영역에서 우수한 응답 특성을 가질 수 있고, 진동 패널(300)을 간단하고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도 10은 도 3의 절단선 II-II'을 따라 자른 단면도의 제3 실시예이고, 도 11은 도 10의 제2 진동 발생 모듈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여기에서,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압전 패널(300)은 제2 진동 발생 모듈(320)의 구성만을 달리하는 것으로서, 전술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은 간략히 설명하거나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진동 발생 모듈(310)은 제1 압전 소자(EP1), 제2 압전 소자(EP2), 제1 전극(E1), 및 제2 전극(E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압전 소자(EP1)는 중앙부(CP) 및 주변부(PP)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압전 소자(EP1)의 주변부(PP)는 적어도 하나의 슬릿(S) 및 복수의 돌출부(P)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압전 소자(EP2)는 지지부(SP), 측벽(SW), 및 삽입부(IN)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1 진동 발생 모듈(310)의 적어도 하나의 슬릿(S)은 제1 압전 소자(EP1)의 두께 방향에 대한 단면 형상이 삼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슬릿(S)에 삽입된 삽입부(IN) 역시 적어도 하나의 슬릿(S)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2 압전 소자(EP2)는 제1 압전 소자(EP1)의 두께 방향에 대한 단면 형상이 삼각형으로 이루어진 삽입부(IN)를 포함함으로써, 제1 압전 소자(EP1)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제2 진동 발생 모듈(320)은 제1 압전 소자(EP1), 제2 압전 소자(EP2), 제1 전극(E1), 및 제2 전극(E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압전 소자(EP1)는 중앙부(CP) 및 주변부(PP)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압전 소자(EP1)의 주변부(PP)는 적어도 하나의 슬릿(S) 및 복수의 돌출부(P)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압전 소자(EP2)는 지지부(SP), 측벽(SW), 및 삽입부(IN)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예 따르면, 제2 진동 발생 모듈(320)의 적어도 하나의 슬릿(S)은 제1 압전 소자(EP1)의 두께 방향에 대한 단면 형상이 사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슬릿(S)에 삽입된 삽입부(IN) 역시 적어도 하나의 슬릿(S)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2 압전 소자(EP2)는 제1 압전 소자(EP1)의 두께 방향에 대한 단면 형상이 사각형으로 이루어진 삽입부(IN)를 포함함으로써, 음향의 순도(또는 명료도)가 우수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는 모바일 디바이스, 영상전화기, 스마트 와치(smart watch), 와치 폰(watch phone), 웨어러블 기기(wearable device), 폴더블 기기(foldable device), 롤러블 기기(rollable device), 벤더블 기기(bendable device), 플렉서블 기기(flexible device), 투명 표시 장치(transparent display apparatus), 커브드 기기(curved device), 전자 수첩, 전자 책,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데스크탑 PC(desktop PC), 랩탑 PC(laptop PC), 넷북컴퓨터(netbook computer), 포터블컴퓨터(portable computer),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네비게이션, 차량용 네비게이션, 차량용 표시장치, 텔레비전, 월페이퍼(wall paper), 샤이니지(signage) 기기, 게임기기, 조명장치, 노트북, 모니터, 카메라, 캠코더, 및 가전 기기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는 아래와 같이 설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압전 패널은 적어도 하나의 슬릿을 갖는 제1 압전 소자, 제1 압전 소자의 일면에 배치된 제1 전극, 적어도 하나의 슬릿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하고 제1 압전 소자의 일면과 반대되는 타면을 덮는 제2 압전 소자, 및 제1 압전 소자와 마주하는 제2 압전 소자의 일면과 반대되는 타면에 배치된 제2 전극을 포함한다.
본 출원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압전 소자는 적어도 하나의 슬릿이 마련된 주변부, 및 주변부에 의해 둘러싸이는 중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압전 소자의 주변부는 적어도 하나의 슬릿을 사이에 두고 제1 전극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돌출부 각각과 삽입부는 제1 압전 소자의 두께 방향으로 서로 중첩될 수 있다.
본 출원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압전 소자의 적어도 하나의 슬릿은 제1 전극과 이격되면서 제1 전극과 나란한 방향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본 출원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압전 소자는 제1 압전 소자와 제2 전극 사이에 배치된 지지부, 및 지지부와 제1 전극 사이에 배치되고 제1 압전 소자를 둘러싸는 측벽을 더 포함하고, 삽입부는 측벽의 내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적어도 하나의 슬릿을 채울 수 있다.
본 출원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슬릿은 제1 압전 소자의 두께 방향에 대한 단면 형상이 삼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출원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슬릿은 제1 압전 소자의 두께 방향에 대한 단면 형상이 사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출원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압전 소자는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호모폴리머(PVDF Homopolymer),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코폴리머(PVDF Copolymer),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터폴리머(PVDF Terpolymer), 시아노폴리머(Cyano-polymer), 시아노-코폴리머(Cyano-copolymer), 보론 나이트라이드 폴리머(BN polym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피에조 폴리머(Piezopolymer)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출원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압전 소자는 셀룰로오스(Cellulos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및 케블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합성 폴리머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출원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압전 소자는 제2 압전 소자보다 압전성이 높은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전자 기기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디스플레이 모듈의 일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진동 발생 모듈을 구비한 압전 패널을 포함하고, 압전 패널은 적어도 하나의 슬릿을 갖는 제1 압전 소자, 제1 압전 소자의 일면에 배치된 제1 전극, 적어도 하나의 슬릿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하고 제1 압전 소자의 일면과 반대되는 타면을 덮는 제2 압전 소자, 및 제1 압전 소자와 마주하는 제2 압전 소자의 일면과 반대되는 타면에 배치된 제2 전극을 포함한다.
본 출원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압전 패널은 디스플레이 모듈의 제1 영역과 중첩되는 제1 진동 발생 모듈, 제1 영역과 이격된 복수의 제2 영역 각각과 중첩되는 제2 진동 발생 모듈, 및 제1 영역 및 복수의 제2 영역 각각을 둘러싸는 제3 영역과 중첩되는 제3 진동 발생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및 제2 진동 발생 모듈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슬릿을 갖는 제1 압전 소자, 제1 압전 소자의 일면에 배치된 제1 전극, 적어도 하나의 슬릿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하고 제1 압전 소자의 일면과 반대되는 타면을 덮는 제2 압전 소자, 및 제1 압전 소자와 마주하는 제2 압전 소자의 일면과 반대되는 타면에 배치된 제2 전극을 포함하고, 제1 진동 발생 모듈은 제2 진동 발생 모듈보다 더 많은 슬릿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3 진동 발생 모듈은 제1 압전 소자와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진 제3 압전 소자, 제3 압전 소자의 일면에 배치된 제1 전극, 및 제3 압전 소자의 일면에 반대되는 타면에 배치된 제2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및 제2 진동 발생 모듈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슬릿을 사이에 두고 제1 전극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제1 진동 발생 모듈은 제2 진동 발생 모듈보다 더 많은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진동 발생 모듈은 제2 진동 발생 모듈보다 더 많은 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내지 제3 진동 발생 모듈 각각의 제2 전극은 일체로 형성된 전극을 공유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기기는 제1 영역과 제3 영역 사이에 배치되고, 제2 영역과 상기 제3 영역 사이에 배치되는 흡음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영역과 제3 영역 사이에 배치되고, 제2 영역과 상기 제3 영역 사이에 배치되는 에어 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출원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출원의 기술적 사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출원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출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디스플레이 모듈 200: 접착 부재
300: 압전 패널
310, 320, 330: 제1 내지 제3 진동 발생 모듈
400: 하우징 500: 구동 회로부
600: 커버 윈도우 700: 후면 커버

Claims (20)

  1. 적어도 하나의 슬릿을 갖는 제1 압전 소자;
    상기 제1 압전 소자의 일면에 배치된 제1 전극;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릿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압전 소자의 일면과 반대되는 타면 및 상기 타면과 수직한 측면을 감싸는 제2 압전 소자; 및
    상기 제1 압전 소자와 마주하는 상기 제2 압전 소자의 일면과 반대되는 타면에 배치된 제2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릿은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압전 소자의 상기 측면으로부터 오목하게 구성되는, 압전 패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압전 소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릿이 마련된 주변부; 및
    상기 주변부에 의해 둘러싸이는 중앙부를 포함하는, 압전 패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압전 소자의 주변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릿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전극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압전 패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돌출부 각각과 상기 삽입부는 상기 제1 압전 소자의 두께 방향으로 서로 중첩되는, 압전 패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압전 소자의 적어도 하나의 슬릿은 상기 제1 전극과 이격되면서 상기 제1 전극과 나란한 방향으로 마련된, 압전 패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압전 소자는,
    상기 제1 압전 소자와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배치된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와 상기 제1 전극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압전 소자를 둘러싸는 측벽을 더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측벽의 내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릿을 채우는, 압전 패널.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릿은 상기 제1 압전 소자의 두께 방향에 대한 단면 형상이 삼각형으로 이루어진, 압전 패널.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릿은 상기 제1 압전 소자의 두께 방향에 대한 단면 형상이 사각형으로 이루어진, 압전 패널.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압전 소자는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호모폴리머(PVDF Homopolymer),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코폴리머(PVDF Copolymer),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터폴리머(PVDF Terpolymer), 시아노폴리머(Cyano-polymer), 시아노-코폴리머(Cyano-copolymer), 보론 나이트라이드 폴리머(BN polym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피에조 폴리머(Piezopolymer)로 이루어진, 압전 패널.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압전 소자는 셀룰로오스(Cellulos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및 케블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합성 폴리머로 이루어진, 압전 패널.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압전 소자는 상기 제2 압전 소자보다 압전성이 높은 물질로 이루어진, 압전 패널.
  12.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일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진동 발생 모듈을 구비한 압전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압전 패널은,
    적어도 하나의 슬릿을 갖는 제1 압전 소자;
    상기 제1 압전 소자의 일면에 배치된 제1 전극;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릿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압전 소자의 일면과 반대되는 타면 및 상기 타면과 수직한 측면을 감싸는 제2 압전 소자; 및
    상기 제1 압전 소자와 마주하는 상기 제2 압전 소자의 일면과 반대되는 타면에 배치된 제2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릿은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압전 소자의 상기 측면으로부터 오목하게 구성되는, 전자 기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 패널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제1 영역과 중첩되는 제1 진동 발생 모듈;
    상기 제1 영역과 이격된 복수의 제2 영역 각각과 중첩되는 제2 진동 발생 모듈; 및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복수의 제2 영역 각각을 둘러싸는 제3 영역과 중첩되는 제3 진동 발생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기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진동 발생 모듈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슬릿을 갖는 제1 압전 소자;
    상기 제1 압전 소자의 일면에 배치된 제1 전극;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릿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압전 소자의 일면과 반대되는 타면을 덮는 제2 압전 소자; 및
    상기 제1 압전 소자와 마주하는 상기 제2 압전 소자의 일면과 반대되는 타면에 배치된 제2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진동 발생 모듈은 상기 제2 진동 발생 모듈보다 더 많은 슬릿을 포함하는, 전자 기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진동 발생 모듈은,
    상기 제1 압전 소자와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진 제3 압전 소자;
    상기 제3 압전 소자의 일면에 배치된 제1 전극; 및
    상기 제3 압전 소자의 일면에 반대되는 타면에 배치된 제2 전극을 포함하는, 전자 기기.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진동 발생 모듈 각각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릿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전극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진동 발생 모듈은 상기 제2 진동 발생 모듈보다 더 많은 돌출부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진동 발생 모듈은 상기 제2 진동 발생 모듈보다 더 많은 삽입부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진동 발생 모듈 각각의 제2 전극은 일체로 형성된 전극을 공유하는, 전자 기기.
  19.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3 영역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영역과 상기 제3 영역 사이에 배치되는 흡음 부재를 더 포함하는, 전자 기기.
  20.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3 영역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영역과 상기 제3 영역 사이에 배치되는 에어 갭을 더 포함하는, 전자 기기.
KR1020180151305A 2018-11-29 2018-11-29 압전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KR1026481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1305A KR102648131B1 (ko) 2018-11-29 2018-11-29 압전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US16/655,928 US11596980B2 (en) 2018-11-29 2019-10-17 Vibration generating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CN201911021425.XA CN111246354B (zh) 2018-11-29 2019-10-25 振动产生装置和包括该振动产生装置的电子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1305A KR102648131B1 (ko) 2018-11-29 2018-11-29 압전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4777A KR20200064777A (ko) 2020-06-08
KR102648131B1 true KR102648131B1 (ko) 2024-03-14

Family

ID=70851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1305A KR102648131B1 (ko) 2018-11-29 2018-11-29 압전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596980B2 (ko)
KR (1) KR102648131B1 (ko)
CN (1) CN11124635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24866B2 (en) * 2019-02-27 2021-02-16 Nokia Technologies Oy Piezoelectric speaker
WO2021124743A1 (ja) * 2019-12-18 2021-06-2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圧電フィルム
CN111711900B (zh) * 2020-07-09 2021-12-1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制造方法、显示装置
CN115623383A (zh) * 2021-07-13 2023-01-17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电子装置以及其控制方法
CN116507190A (zh) * 2022-01-17 2023-07-28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电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66333A (en) * 1940-07-08 1941-12-16 Brush Dev Co Piezoelectric unit and method of making same
JPH0251289A (ja) 1988-08-15 1990-02-21 Sekisui Plastics Co Ltd レーザー光線による複合圧電素子材料の製作方法
US5239736A (en) * 1991-11-12 1993-08-31 Acuson Corporation Method for making piezoelectric composites
JPH11285096A (ja) 1998-03-31 1999-10-15 Olympus Optical Co Ltd 複合圧電振動子
JP3381779B2 (ja) * 1998-09-17 2003-03-0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圧電振動子ユニット、圧電振動子ユニットの製造方法、及びインクジェット式記録ヘッド
JP3678173B2 (ja) * 2001-06-07 2005-08-03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圧電スピーカ
JP3794292B2 (ja) * 2001-07-03 2006-07-05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圧電型電気音響変換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984922B1 (en) 2002-07-22 2006-01-1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omposite piezoelectric transducer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6984284B2 (en) * 2003-05-14 2006-01-10 Sunnybrook And Women's College Health Sciences Centre Piezoelectric composite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same
CN100573949C (zh) 2003-05-14 2009-12-23 视声公司 压电复合材料及其制造方法
KR100930588B1 (ko) * 2007-09-21 2009-12-09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높은 함량의 β-결정을 가진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필름의 제조 방법
EP2286988A1 (de) * 2008-12-13 2011-02-23 Bayer MaterialScience AG Ferroelektret-Zwei- und Mehrschichtverbund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CN103843365B (zh) 2011-09-30 2016-08-17 富士胶片株式会社 电声转换膜、柔性显示器、声带麦克风以及乐器传感器
US9363606B2 (en) * 2012-09-20 2016-06-07 Kyocera Corporation Acoustic generator, acoustic generat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JP6071932B2 (ja) 2013-04-01 2017-02-0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電気音響変換フィルム
JP6195869B2 (ja) 2015-02-10 2017-09-13 株式会社トーキン 圧電スピーカ
CN107533129B (zh) * 2015-04-13 2021-03-19 株式会社村田制作所 超声波传感器及其控制方法
WO2016175013A1 (ja) * 2015-04-30 2016-11-03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圧電デバイス、圧電トランスおよび圧電デバイスの製造方法
US10721568B2 (en) * 2016-07-01 2020-07-21 Intel Corporation Piezoelectric package-integrated acoustic transducer devices
WO2018020887A1 (ja) 2016-07-27 2018-02-0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ピックアップセンサおよび生体センサ
KR102391311B1 (ko) 2017-07-07 2022-04-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필름 스피커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494625B1 (ko) * 2017-08-28 2023-02-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8563361B (zh) * 2018-04-23 2021-11-0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触控显示面板及其驱动方法、触控显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246354A (zh) 2020-06-05
CN111246354B (zh) 2021-11-30
KR20200064777A (ko) 2020-06-08
US20200171542A1 (en) 2020-06-04
US11596980B2 (en) 2023-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8972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50355B1 (ko) 표시장치
KR102648131B1 (ko) 압전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KR102612609B1 (ko) 표시장치
KR102116107B1 (ko) 표시 장치
KR101293558B1 (ko) 표시 장치
KR102608137B1 (ko) 표시 장치
KR10266092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3058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컴퓨팅 장치
KR102696990B1 (ko) 전자 기기
KR102310176B1 (ko) 표시 장치
KR20200077138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17226B1 (ko) 전자 기기 및 이의 구동 방법
KR20200068341A (ko) 디스플레이장치
CN111506212A (zh) 显示装置及显示装置的驱动方法
KR102495570B1 (ko) 전자 기기
JP2022091134A (ja) ディスプレイ装置およびディスプレイ装置を含む車両
KR102490349B1 (ko) 전자 기기
KR102386650B1 (ko) 전자 기기
KR20200069602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57969B1 (ko) 전자 기기
KR102567559B1 (ko) 전자 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