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1489A - 소프트웨어 튜닝이 가능한 디지털 방식 주파수 변조 장치 - Google Patents

소프트웨어 튜닝이 가능한 디지털 방식 주파수 변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1489A
KR20050031489A KR1020030067634A KR20030067634A KR20050031489A KR 20050031489 A KR20050031489 A KR 20050031489A KR 1020030067634 A KR1020030067634 A KR 1020030067634A KR 20030067634 A KR20030067634 A KR 20030067634A KR 20050031489 A KR20050031489 A KR 200500314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signal
output
digital
vc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7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훈복
Original Assignee
쎄트리마이크로시스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쎄트리마이크로시스템(주) filed Critical 쎄트리마이크로시스템(주)
Priority to KR10200300676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31489A/ko
Publication of KR200500314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1489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mitters (AREA)
  • Stabilization Of Oscillater, Synchronisation, Frequency Synthesizers (AREA)

Abstract

주파수 변조 방식의 무선 통신 송/수신기에 사용되는 Two-point 변조 방식을 구현하는 기존의 아날로그 two-point 변조 장치는 표준 클럭 발생기 제어 입력과 전압제어 발진기 변조 제어 신호에 인가되는 송신 신호의 크기를 아날로그 방식으로 조정함으로써 송신기의 주파수 응답 특성이 시간에 따른 부품 특성 변화에 민감하고 시간 경과에 따라 송신 RF 신호의 중심 주파수가 변화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수신 RF 신호의 중심 주파수를 국부 발진 주파수가 따라가도록 구성하고 표준 클럭 발생기의 제어 입력과 전압 제어 발진기 변조 제어 입력 신호의 크기를 디지털 방식으로 조정하여 소프트웨어에 의한 Two-point 변조 장치의 주파수 응답 특성 조정과 시간 경과에 따른 RF 중심 주파수 변화 조정을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소프트웨어 튜닝이 가능한 디지털 방식 주파수 변조 장치 {A software controlled digital two-point frequency modulator}
주파수 변조 통신은 송신하고자 하는 신호의 크기에 따라 다른 주파수를 전송하는 통신 방식으로서 RDLAP (radio data link access protocol), 블루투스 등의 양방향 통신 규격등에 사용되고 있다.
주파수 변조 방식을 구현하는 방법 중의 하나는 전압 제어 발진기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에 송신 신호를 인가하여 주파수를 변경시키는 방법인데 이 방법은 전압 제어 발진기가 주파수 합성기 (frequency synthesizer), 루프 필터 (loop filter)와 함께 PLL (phase locked loop)을 구성할 경우 저주파 송신 신호에 의한 주파수 변조가 고주파 송신 신호에 의한 주파수 변조 만큼 이루어지지 않아 주파수 변조 특성이 나빠지게 된다. 주파수 변조 방식을 구현하는 다른 방법은 PLL의 표준 클럭을 저주파 송신 신호에 따라 변화시키는 것인데 이 방법은 저주파 송신 신호에 의한 주파수 특성은 좋으나 고주파 송신 신호에 의한 주파수 변조 특성은 나쁜 단점이 있다. 저주파에서 고주파 사이의 주파수 변조 특성을 고르게 하기 위하여 VCO와 표준 클럭 양쪽에 송신 신호를 인가하는 방법(Two point frequency modulation)이 바람직하다. Two-point 주파수 변조 방법에서 표준 클럭의 주파수는 제어 신호의 DC값과 AC 값에 의하여 결정되고 VCO의 주파수는 AC값에 의하여 결정되기 때문에 주파수 변조 특성을 원하는 송신 주파수 범위에서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표준 클럭에 인가하는 DC값과 AC값, VCO에 인가하는 AC값에 대한 튜닝이 정확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인가 신호 값의 튜닝을 위하여 현재 사용되는 방법은 송신 신호 발생기와 VCO, 표준 클럭 사이에 각각 튜닝 저항을 배치하는 것이다. [도 1]에 기존 방식 송/수신기의 구조가 나타나 있는데 저항을 사용한 이득 조정기 (1,2)의 출력이 각각 VCO(6)와 표준 클럭 발생기(3)에 인가되고 있으며 VCO(6)의 출력이 파워앰프(7)와 송/수신 스위치(8)을 통하여 안테나(9)로 전달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Two-point 주파수 변조 방식에서 사용되는 2개의 튜닝 저항 방식의 단점을 보완하는 것이다. 튜닝 저항 방식의 단점 중 하나는 아날로그 저항을 조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정확한 튜닝이 어렵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저항 특성이 변화할 경우 저항 조정이 다시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고 또 다른 단점은 표준 클럭 발생기의 특성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하게 되고 이에 따라 표준 클럭에 인가하는 DC값 조정을 위해 저항 조정이 다시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것은 표준 클럭 발생기의 특성이 변할 경우 저항 튜닝 없이 소프트웨어로 자동적으로 튜닝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며 아날로그 저항의 조정없이 소프트웨어 적으로 주파수 특성을 조정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Two-point 주파수 변조 특성 조정을 디지털 방식으로 수행하여 소프트웨어에 의한 변조 특성 조정이 가능하도록 한 주파수 변환 방식 송/수신기에 대한 것이다. [도 2]에 본 발명의 디지털 방식 Two-point 주파수 변조 장치의 구조도가 나타나 있다.
수신의 경우에는 안테나(9)에서 송/수신 스위치(8), 수신 회로(10)를 거치면서 수신 신호가 검출되며 표준 클럭 발생기와 VCO에 인가되는 제어 신호는 DC값만 갖게 되어 VCO 출력 주파수가 DC값에 따라 고정되게 되며 VCO 출력 주파수와 수신된 RF 신호의 중심 주파수간의 차이에 따라 수신 회로 (10) 출력의 DC값이 달라지게 된다. 국부 발진 주파수와 수신 RF 신호 중심 주파수간의 차이를 측정하기 위하여 DC측정기(14)가 사용된다. DC측정기 출력은 수신 RF신호의 중심 주파수와 VCO 출력 주파수의 차이에 따라 변하는데 DC측정기의 출력이 디지털 덧셈기(13),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12)를 통하여 표준 클럭 발생기(3)에 전달된다. 표준 클럭 발생기의 제어 전압이 바뀌게 되면 표준 클럭 발생기의 출력 주파수가 바뀌게 되고 주파수 합성기(4), 루프 필터(5)를 거쳐 VCO(6)에 인가되어 국부 발진 주파수와 수신 RF 신호의 중심 주파수 차이가 일정한 값으로 수렴된다.
송신의 경우에는 송신 신호가 디지털 이득 조정기(1,2)와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11,12)를 통하여 VCO와 표준 클럭 발생기로 인가되는데 디지털 이득 조정기의 이득 값에 따라 인가되는 신호크기가 달라진다. VCO(6)는 루프 필터(5)로 부터 오는 제어 신호와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11)로부터 오는 제어 신호에 따라 출력 주파수를 발생하게 되고 VCO 출력이 파워 앰프(7)와 송/수신 스위치(8), 안테나(9)를 거쳐 송신된다. 송신 RF 신호의 중심 주파수가 수신 RF 신호의 중심 주파수와 일정한 차이를 유지하도록 수신 시에 측정된 DC 측정기의 출력 값이 송신 시에 송신 신호의 이득 조정기(2) 출력 신호와 함께 덧셈기(13)에 인가되어 표준 클럭 발생기의 주파수를 제어한다.
[도 1]의 DC측정기(14), 디지털 이득 조정기(1,2), 디지털 덧셈기(13),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11,12)는 수신 RF 신호의 중심 주파수와 VCO 국부 발진 신호의 중심 주파수간의 차이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장치 제작 후 시간 경과에 따른 표준 클럭 발생기(3), VCO(6), 기타 소자의 특성 변화에도 불구하고 항상 일정한 국부 발신 주파수를 유지할 수 있게 되고 디지털 이득 조정기를 사용함으로써 아날로그 저항 이득 조정기를 사용하는 기존의 방법 보다 부품 값의 변화에 따른 특성 저하 현상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 1 도는 아날로그 튜닝 방식의 two-point 주파수 변조장치.
제 2 도는 디지털 튜닝 방식의 two-point 주파수 변조장치.

Claims (1)

  1. [도 1]의 DC측정기(14), 디지털 이득 조정기(1,2), 디지털 덧셈기(13),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11,12), 표준 클럭 발생기(3), 루프 필터(5), VCO(6) 로 구성되는 주파수 변조 방식 송/수신기.
KR1020030067634A 2003-09-30 2003-09-30 소프트웨어 튜닝이 가능한 디지털 방식 주파수 변조 장치 KR200500314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7634A KR20050031489A (ko) 2003-09-30 2003-09-30 소프트웨어 튜닝이 가능한 디지털 방식 주파수 변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7634A KR20050031489A (ko) 2003-09-30 2003-09-30 소프트웨어 튜닝이 가능한 디지털 방식 주파수 변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1489A true KR20050031489A (ko) 2005-04-06

Family

ID=37236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7634A KR20050031489A (ko) 2003-09-30 2003-09-30 소프트웨어 튜닝이 가능한 디지털 방식 주파수 변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3148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36434B2 (en) Method and system for calibrating a frequency synthesizer
US713953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alibrating a reference oscillator
US7352249B2 (en) Phase-locked loop bandwidth calibration circuit and method thereof
US7148760B2 (en) VCO gain tuning using voltage measurements and frequency iteration
JP3200184B2 (ja) 無線装置用のシンセサイザ
US7157985B2 (en) PLL modulation circuit and polar modulation apparatus
CN101213783B (zh) 采用自适应参考频率校正的同步方案
JP2001094422A (ja) 位相ロックループ周波数シンセサイザ
US2001005317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aracterizing and adjusting a crystal oscillator for use in a spread spectrum, frequency hopping transceiver
JP3852939B2 (ja) 広帯域変調pllおよびその変調度調整方法
JPH06268544A (ja) 改善された合成器を利用する通信システム及び高速高分解能同調方法
JP2003516080A (ja) 送信装置
KR20050031489A (ko) 소프트웨어 튜닝이 가능한 디지털 방식 주파수 변조 장치
US7333554B2 (en) Communication system with frequency modulation and a single local oscillator
JP3698543B2 (ja) 無線受信機、無線送受信機及び無線受信機用回路
JP4618554B2 (ja) Fsk変調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無線通信装置
JP7448795B2 (ja) 無線局および周波数誤差補正方法
GB2455717A (en) Frequency synthesis in a wireless basestation
JPH08288865A (ja) アンテナ自動整合装置
JPH0537414A (ja) 局部発振周波数の校正機能を持つ通信装置
JPH11225090A (ja) 時分割双方向通信装置
JP2004229045A (ja) 携帯型無線機における発振周波数補正回路
JP2004328724A (ja) オシレータの作動用装置及び方法
JPH03162016A (ja) 周波数補正装置
JPH07154272A (ja) 送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