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8310A - 알루미늄의 전단장치 - Google Patents

알루미늄의 전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8310A
KR20050028310A KR1020040073012A KR20040073012A KR20050028310A KR 20050028310 A KR20050028310 A KR 20050028310A KR 1020040073012 A KR1020040073012 A KR 1020040073012A KR 20040073012 A KR20040073012 A KR 20040073012A KR 20050028310 A KR20050028310 A KR 200500283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blade
cutting
blade device
aluminum
sh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3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09627B1 (ko
Inventor
야스아키 오쿠야
Original Assignee
야스아키 오쿠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스아키 오쿠야 filed Critical 야스아키 오쿠야
Publication of KR200500283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83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96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96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2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eciprocating kn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eciprocating members
    • B02C1/02Jaw crushers or pulverisers
    • B02C1/025Jaw clearance or overload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eciprocating members
    • B02C1/005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eciprocating members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eciprocating members
    • B02C1/02Jaw crushers or pulverisers
    • B02C1/04Jaw crushers or pulverisers with single-acting j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eciprocating members
    • B02C1/02Jaw crushers or pulverisers
    • B02C1/10Shape or construction of j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eciprocating members
    • B02C1/12Mills with non-rotating spiked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eciprocating members
    • B02C1/14Stamping mi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 Shearing Machines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루미늄 전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프레임 위쪽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한 제 1 절단날 장치, 제 1 절단날 장치와 대치하는 프레임 아래쪽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한 제 2 절단날 장치, 제 1 절단날 장치에 서로 엇갈리게 배치한 반절각추 절단날, 제 2 절단날 장치에 서로 엇갈리게 배치한 반절각추 절단날, 제 2 절단날 장치를 가동하는 전단용 가동수단 및 알루미늄 투입용 투입개구·배출개구를 설치한 알루미늄을 전단하는 전단장치로서, 제 1·제 2 절단날 장치의 반절각추 절단날 간에 형성한 전단용의 약간의 클리어런스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알루미늄의 전단장치{ALUMINUM SHEARING APPARATUS}
본 발명은 알루미늄(알루미늄 합금, 포금(砲金) 등을 포함)의 전단(파쇄, 절단 등을 일부 포함)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에, 주물 폐자재(廢材)에 관한 파쇄, 절단장치에 관해, 본 출원인은 다수 출원했다. 그 일례를 설명하면, 문헌 (1)로서 일본 특개평6-106083호의 유압에 의한 주조용 탕구, 탕도, 불량제품 등의 파쇄·절단장치, 또한 문헌 (2)로서 일본 특개평6-182238호의 가지런하지 않게 형성된 주조용 탕구, 탕도, 불량제품 등의 파쇄·절단방법, 또한 문헌 (3)으로서 미국 특허 5,791,573호의 파쇄-분쇄장치(CRUSHING-BREAKING APPARATUS), 또는 문헌 (4)로서 유럽출원의 공개특허0865825의 웨어, 탕도 및 기타 불필요한 주물의 파쇄-분쇄장치 및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crushing-breaking long and slender weirs, runners, and other useless metal casting products)이 존재한다. 이 문헌을 총괄하여 제시 문헌의 개요(1)로 한다.
[특허문헌 1] 일본 특개평6-106083호
[특허문헌 2] 일본 특개평6-182238호
[특허문헌 3] 미국특허5,791,573호
[특허문헌 4] 유럽공개특허0865825호
개요 (1)의 문헌은 모두, 주물의 폐자재를 대상으로 하는 점에서, 제 1·제 2 각 반절원추 절단날의 좌우 아래쪽 부분 및/또는 원추면과의 사이에, 상당한 클리어런스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클리어런스를 이용하여 파쇄·절단하는 기술이다. 상기 클리어런스의 확보는 다음과 같은 목적이 있다. (1)주물의 강도와 점성에 대응하는 것, (2)노(爐)에 반입하기에 적합한 크기를 확보하는 것, (3)제 1·제 2의 각 반절원추 절단날의 내구성을 확보하는 것 등에 있다.
그러나, 알루미늄의 전단에서는, 상술한 (1)~(3)의 특징은 폐해가 된다. 그 이유는 (a)알루미늄은 약간의 힘으로 절단하는 상황이 좋고, 또한 상기 상황이 요구되는 것, (b)물성이 무르기 때문에 전단처리로 실시하는 것이 이상적인 것, (c)절단날에 대한 부담이 적고 강력한 끼워 맞춤 간격은 필요가 없는 것 등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알루미늄을 절단하기 위해 필요한 약간의 힘을 확보할 수 있고, 물성의 무름을 이용하여 전단처리하여 상기 처리의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고, 또한 절단날에 대한 부담을 경감하고 강력한 끼워맞춤 간격을 회피할 수 있으며, 제 1·제 2 절단날 장치의 반절각추 절단날 간에 전단용의 약간의 클리어런스를 형성하여 알루미늄 전단에는 최적인 전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청구항 1의 발명은 2개의 측판으로 구성하는 프레임,
상기 2개의 프레임간에 설치한 위쪽을 회전 가능하게 부착한 제 1 절단날 장치,
상기 2개의 프레임간에 아래쪽을 회전 가능하게 부착하고, 또한 위쪽이 가동하도록 설치한 상기 제 1 절단날 장치와 대치하는 제 2 절단날 장치,
상기 제 1 절단날 장치 및 제 2 절단날 장치에 서로 엇갈리게 각각 배치한 각 반절각추 절단날,
상기 프레임간에 지지된 지지판에 지지되고, 또한 상기 제 2 절단날 장치를 가동하는 가동수단,
상기 각 반절각추 절단날 끝의 선단측에 각각 설치한 선단측 산(山)부,
상기 제 1 절단날 장치 및 제 2 절단날 장치의 반절각추 절단날 간에 형성한 전단용 클리어런스(clearance),
상기 제 1 절단날 장치의 아래쪽을 가동하는 개방도 조정용 가동수단,
상기 제 1 절단날 장치와 제 2 절단날 장치의 위쪽에 설치한 투입개구 및
상기 제 1 절단날 장치와 제 2 절단날 장치의 아래쪽에 설치한 배출개구로 구성한 알루미늄의 전단장치이다.
따라서, 청구항 1은: (a)알루미늄을 절단하기 위해 필요한 약간의 힘을 확보할 수 있는 것, (b)물성의 무름을 이용하여 전단처리하여, 상기 처리의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는 것, (c)절단날에 대한 부담을 경감하고, 강력한 끼워맞춤 간격을 회피할 수 있는 등의 특징이 있다. 또한, 제 1·제 2 절단날 장치의 반절각추 절단날 간에 전단용의 약간의 클리어런스를 형성하고, 알루미늄의 전단에는 최적의 전단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실익이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은 상기 2개의 프레임간에 설치한 제 2 절단날 장치의 아래쪽을 회전 가능하게 부착하는 지지축을 상기 프레임에 설치한 편심 베어링으로 구성한 청구항 1에 기재된 알루미늄 전단장치이다.
따라서, 청구항 2는 청구항 1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알루미늄의 전단에는 비교적 약간의 힘으로도 충분히 기능하는 것을 감안하여, 제 2 절단날 장치의 회전 가능 부착용 지지축에 개량을 가하는 것과, 상기 제 2 절단날 장치에 다목적인 기능을 부여할 수 있는 실익이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은 상기 2개의 프레임간에 설치한 제 2 절단날 장치의 아래쪽을 회전 가능하게 부착하는 지지축은 상기 프레임에 설치한 편심 베어링에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상기 편심 베어링은 상기 프레임에 형성한 틀 구멍, 상기 틀구멍에 삽입된 다수의 지지 블럭, 상기 다수의 지지 블럭 사이에 설치되는 편심 베어링 및 상기 편심 베어링의 회전을 고정하는 고정구로 구성한 청구항 1에 기재된 알루미늄의 전단장치이다.
따라서, 청구항 3은 청구항 1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 2 절단날 장치에 최적인 회전 가능 부착용 지지축 구조를 제공할 수 있는 실익이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2개의 프레임간에 설치한 제 1·제 2 절단날 장치의 반절각추 절단날의 적어도 꼭대기면에 돌출조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한 청구항 1에 기재된 알루미늄의 전단장치이다.
따라서, 청구항 4는 청구항 1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 1·제 2 절단날 장치에 최적인 반절각추 절단날 구조를 제공할 수 있는 실익이 있다.
본 발명의 일례를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하는 전단장치의 일례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하면, 상기 전단장치(1)는 측판(2a, 2b) 및 지지판(2c)으로 구성된 상하 개방의 프레임(3), 상기 프레임(3)에 설치한 제 1 절단날 장치(4) 및 제 2 절단날 장치(5)와, 상기 제 2 절단날 장치(5)를 전진 후퇴시키는 실린더(6)를 주구성 요소로 한다. 상기 제 1 절단날 장치(4)와 제 2 절단날 장치(5)의 자유단(위쪽)에 투입개구(A)를, 또한 제 1 절단날 장치(4)와 제 2 절단날 장치(5)의 기단부(아래쪽)에 배출개구(B)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판(2c)에는 상기 제 2 절단날 장치(5)가 지지되어 있다.
제 1 절단날 장치(4)는 프레임(3)에 설치한 절단날대 부착용 기판(40), 상기 기판(40)에 착탈 자유롭게 설치한 절단날대(41), 상기 절단날대(41)에 서로 엇갈리게 다수개 설치한(고정측의) 반절각추 절단날(42)로 구성된다. 상기 반절각추 절단날(42)의 각추형상 경사면(42a)은 전단 처리한 알루미늄이 확실하고 원활하게 낙하하는 것, 또한 반절각추 절단날(42)의 내구성과 전단기능의 유지, 또는 폐자재 알루미늄, 처리 도중의 알루미늄(처리중 알루미늄)의 확실한 전단, 또한 폐자재 알루미늄, 처리중 알루미늄(미처리 알루미늄도 포함)을 받아낼 수 있는 등의 특징이 있다. 그리고, 상기 반절각추 절단날(42)의 이면(42c)에는 연장된 저부(43)를 형성한다. 상기 연장된 저부(43)는 반절각추 절단날(42)의 내구성과 후술하는 제 2 절단날 장치(5)(이동측)의 반절각추 절단날(52)에 의한 전단기능의 유지, 또는 처리중 알루미늄의 확실한 전단 등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일례로서 반절각추 절단날(42)의 선단측(42d)에, 선단측 산(山)부(44)를 설치함으로써, 처리중 알루미늄의 비산방지 및/또는 압압용(押壓用)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선단측 산부(44)는 알루미늄의 비산방지, 내구성 등의 유지 또는 반절각추 절단날(52)과의 전단관계 등을 고려하여 위쪽(투입개구(A))부터 2단으로 한다.
제 2 절단날 장치(5)(이동측)는 프레임(3)에 설치한 절단날대 부착용 기판(50), 상기 기판(50)에 착탈 자유롭게 설치한 절단날대(51), 상기 절단날대(51)에 서로 엇갈리게 다수개 설치한(고정측의) 반절각추 절단날(52)로 구성된다. 상기 반절각추 절단날(52)의 각추형상 경사면(52a)은 전단 처리한 알루미늄이 확실하고 원활하게 낙하하는 것, 또한 반절각추 절단날(52)의 내구성과 전단기능의 유지, 또는 처리중 알루미늄의 확실한 전단, 또한 처리중 알루미늄을 받아낼 수 있는 등의 특징이 있다. 상기 반절각추 절단날(52)의 꼭대기면에는 사각형 형상의 돌출조(52b)를 형성한다. 또한, 반절각추 절단날(52)의 두 아래쪽 부분, 또는 이면에 사각형 형상의 돌출조(도시하지 않음)를 각각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돌출조(52b)는 처리중 알루미늄의 확실한 전단, 또한 처리중 알루미늄을 받아낼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또한, 이면(52c)에 연장된 저부(53)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반절각추 절단날(52)의 내구성과 전단기능의 유지, 또는 처리중 알루미늄의 확실한 전단 등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선단측(52d)에, 선단측 산부(54)를 설치함으로써, 처리중 알루미늄의 비산방지 및/또는 압압용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돌출조(52b)는 제 2 절단날 장치(5)의 위쪽으로부터 2단까지의 반절각추 절단날(52)에 설치함으로써, 상기 알루미늄의 비산방지, 내구성 등의 유지, 또는 반절각추 절단날(42)의 전단관계 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선단측 산부(54)는 알루미늄의 비산방지, 내구성 등의 유지, 또는 반절각추 절단날(52)과의 전단관계 등을 고려하여 위쪽부터 2단으로 한다. 또한, 도면 중 "52-1"은 상기 반절각추 절단날(52)의 꼭대기면에, 사각형 형상의 돌출조(52b)를 형성하지 않는 반절각추 절단날로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예에서는 제 2 절단날 장치(5)의 위쪽부터 2단 이하에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반절각추 절단날(52-1)에는 각추형상 경사면(52a)을 설치하는 것 등은 동일하다.
그리고, 상기 제 1 절단날 장치(4)의 반절각추 절단날(42) 사이에는 제 2 절단날 장치(5)의 반절각추 절단날(52)이 약간의 클리어런스(C)(클리어런스(C)로 함)를 통하여 끼워 맞춤 관계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클리어런스(C)에 의해 알루미늄을 전단한다. 또한, 반절각추 절단날(42)의 각추형상 경사면(42a) 및/또는 반절각추 절단날(52)의 연장된 저부(53) 사이에 형성되는 가로방향의 클리어런스(D)(클리어런스(D)라 함), 또는 반절각추 절단날(52)의 각추형상 경사면(52a) 및/또는 반절각추 절단날(42)의 연장된 저부(43) 사이에 형성하는 가로방향의 클리어런스(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하고 상술한 바와 같이, 반절각추 절단날(42, 52)의 내구성과 전단기능의 유지, 또는 처리중 알루미늄의 확실한 전단, 또한 처리중 알루미늄의 낙하 촉진 등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배출개구(B)에 개폐 자유롭게 댐퍼를 설치하고, 상기 댐퍼를 통하여 알루미늄의 빠짐 방지와, 막힘 방지 등을 도모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댐퍼는 전단장치(1)의 프레임 또는 제 1 절단날 장치(4), 제 2 절단날 장치(5) 중 어느 것에 장착한다.
상기 제 2 절단날 장치(5)의 기판(50)의 위쪽에는 실린더(6)에 피스톤 로드(60)의 선단이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절단날 장치(5)는 피스톤 로드(60)의 왕복운동을 통하여 가동(전진후퇴)한다. 상기 가동부는 지지축(8)을 지지점으로 한 피봇 운동 기구로서, 비교적 작은 동력으로 충분하다. 또한, 제 2 절단날 장치(5)의 전진에 의해, 상기 제 2 절단날 장치(5)의 반절각추 절단날(52)과, 제 1 절단날 장치(4)의 반절각추 절단날(42)이 클리어런스(C)를 통하여 끼워 맞춤 관계가 되고, 알루미늄을 전단(절단)한다. 상기 절단시에, 상기 클리어런스(C)의 간격 크기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고, 전단 간격은 거의 0에 가까운 크기가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전단은 알루미늄의 후처리에서 매우 유효하다.
또한, 제 2 절단날 장치(5)의 지지축(8)은 베어링(80)과 프레임(3)에 크게 개설한 틀 구멍(30)에 끼워 맞추는 지지 블럭(81)을 이용하여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틀 구멍(30)에 끼워 맞추는 지지 블럭(81)의 삽입·분리를 이용하여, 틀구멍(30)내에서 좌우의 지지블럭(81)의 수를 조정함으로써, 지지축(8)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투입 개구(A) 및/또는 배출개구(B)의 개구도의 조정과 상기 제 2 절단날 장치(5)의 억압력의 조정, 또는 고장시의 수리의 용이화 등을 의도한다. 또한, 상기 베어링(80)에는 메탈(82), 편심부시(83) 및 고정구(84)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고정구(84)의 개방으로 편심부시(83)를 적절하게 회전하여 지지축(8)의 위치를 변경한다. 상기 변경 후에(상기 회전 위치를) 고정구(84)로 감고, 상기 편심부시(83)를 고정한다. 상기 조작을 통하여 지지축(8)의 위치를 변경하고, 또한 지지축(8)을 변경 위치에서 고정한다. 예를 들어, 도 10a, 도 10b 내지 도 11a, 도 11b로 변경한다. 상기 변경을 이용하여 배출개구(B)의 개방도 및/또는 제 2 절단날 장치(5)의 가동위치(전후이동), 또는 제 1 절단날 장치(4)의 반절각추 절단날(42)과, 제 2 절단날 장치(5)의 반절각추 절단날(52)의 끼워맞춤 관계의 조정 등을 도모한다. 또한, 지지 블럭(81)의 좌우측의 수를 틀구멍(30)내에서 변경해도 지지축(8)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편심 부시(83)는 베어링(80)을 반으로 잘라 취출 가능하게 한다.
또한, 제 1 절단날 장치(4)에 그 아래쪽을 가동 가능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고, 그 일례가 도 12에 도시되어 있다. 즉, 위쪽에 회전축(9)을 설치하고, 상기 회전축(9)에 제 1 절단날 장치(4)의 위쪽을 회전 가능하게 부착한다. 그리고, 아래쪽에는 제 1 절단날 장치(4)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한 링크(90), 또는 실린더(91), 상기 링크(90)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한 피스톤 로드(92) 등의 가동 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가동수단에 의해 상기 제 1 절단날 장치(4)의 아래쪽을 가동(이동)한다. 상기 제 1 절단날 장치(4)의 가동은 상기 제 2 절단날 장치(5)의 가동과 동일한 특징이 있다.
도면 중 "100"은 알루미늄의 전단장치를 지지하는 기대, "101"은 폐자재 알루미늄 반송용 컨베이어, "102"는 슈터(chuter)를 각각 도시한다.
알루미늄의 투입과 전단동작의 일례를 설명하면, 알루미늄은 제 1 절단날 장치(4)의 반절각추 절단날(42)이 후퇴한계에 있는 상황으로, 제 2 절단날 장치(5)의 반절각추 절단날(52)(또는 표면부)과, 제 1 절단날 장치(4)의 반절각추 절단날(42)(또는 표면부)로 구성하는 투입 개구(A)에 투입된다. 그 후, 제 2 절단날 장치(5)가 지지축(8)을 축으로 하여, 그 위쪽이 원호궤도를 따라서 전진 이동하고, 상기 제 2 절단날 장치(5)의 반절각추 절단날(52)(누름날)과, 제 1 절단날 장치(4)의 반절각추 절단날(42)(받침날)이 끼워 맞춤 관계가 되어 전단작업이 실시된다. 예를 들어, 알루미늄은 제 2 절단날 장치(5)의 반절각추 절단날(52)의 돌출조(52b) 및/또는 연장된 저부(53)와, 제 1 절단날 장치(4)의 반절각추 절단날(42)의 돌출조(42b) 및/또는 연장된 저부(43)(이후, 제 1 절단날 장치(4)와 제 2 절단날 장치(5)를, 쌍방으로 함)의 끼워 맞춤을 통하여 실시된다. 그리고, 상기 쌍방의 돌출조(52b)와 돌출조(42b)로 구성하는 클리어런스(C)가 매우 좁은 점에서, 확실하고 효율적으로 전단된다. 또한, 상기 돌출조(52b)와 돌출조(42b)는 알루미늄이 미끄러져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도 한다. 따라서, 상기 돌출조(52b)와 돌출조(42b)는 투입개구(A)로부터 투입된 알루미늄을 붙잡아 상기 배출개구(B)로부터의 알루미늄의 빠짐 방지에 역할을 수행하는 특징이 있다. 다수의 돌출조(52b)와 반절각추 절단날(42) 사이, 또는 반절각추 절단날(52) 사이에 걸쳐진 리브날(420, 520)은 상기 돌출조(52b)와 돌출조(42b)와 동일한 작용을 갖는 것, 또한 상기 반절각추 절단날(42, 52)의 선단측 산부(44, 54)는 전단과 압입 효과가 있고, 비산방지에 역할을 하는 등 효율적인 전단을 실시할 수 있는 점 등의 특징이 있다. 그리고, 전단된 알루미늄은 배출개구(B)로부터 반송수단(도시하지 않음)을 통하여 적소에 반송된다.
또한, 반절각추 절단날(52)과 절단날대(41)의 클리어런스(E), 또한 반절각추 절단날(42) 및/또는 선단측 산부(44)와 절단날대(51)의 클리어런스(F)에서도 전단이 실시되는 점으로부터 효율적이다. 상기 클리어런스(E) 등에서도, 매우 좁은 상태를 확보할 수 있는 것, 또한 확보할 수 있는 구조를 채용한 것 등을 특징으로 한다. 즉, 반절각추 절단날(42, 52)의 모든 주변에서 전단할 수 있는 구성을 채용한다.
상기 전단이 종료된 시점에서, 제 2 절단날 장치(5)가 지지축(8)을 축으로 하고, 그 위쪽이 원호궤도를 따라서 후퇴 이동하고, 상기 제 2 절단날 장치(5)의 반절각추 절단날(52)과, 제 1 절단날 장치(4)의 반절각추 절단날(42)의 끼워 맞춤 관계가 해제되고, 또한 투입개구(A)가 개방되어 최초의 상태로 돌아간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알루미늄 절단을 위한 약간의 힘을 확보하고, 물성의 무름을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절단할 수 있으며, 절단날에 대한 부담을 줄이고, 절단날 사이에 클리어런스를 형성하여 알루미늄 절단에 필요한 최적 상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알루미늄의 전단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전단장치의 측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전단장치의 제 1 절단날 장치의 정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전단장치의 제 1 절단날 장치의 측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한 전단장치의 제 2 절단날 장치의 정면도,
도 6은 도 1에 도시한 전단장치의 제 2 절단날 장치의 측면도,
도 7a은 도 1에 도시한 전단장치의 제 1·제 2 반절각추 절단날의 확대 정면도,
도 7b는 도 1에 도시한 전단장치의 제 1·제 2 반절각추 절단날의 확대 부감도,
도 7c는 도 1에 도시한 전단장치의 제 1·제 2 반절각추 절단날의 확대 측면도,
도 8a는 도 1에 도시한 전단장치의 제 2 반절각추 절단날로, 그 제 2 절단날 장치의 제 1 단, 제 2 단에 적합한 구조의 확대 측면도,
도 8b는 도 1에 도시한 전단장치의 제 2 반절각추 절단날로, 그 제 2 절단날 장치의 제 1 단, 제 2 단에 적합한 구조의 확대 평면도,
도 9a는 도 1에 도시한 전단장치의 제 1·제 2 반절각추 절단날의 끼워 맞춤 관계를 도시한 확대 측면도,
도 9b는 도 1에 도시한 전단장치의 제 1·제 2 반절각추 절단날의 끼워 맞춤 관계를 도시한 확대 평면도,
도 10a는 도 1의 제 2 절단날 장치의 지지축을 설치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으로, 배출 개구의 최소 개구시의 사시도,
도 10b는 도 1의 제 2 절단날 장치의 지지축을 설치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으로, 그 편심 부시의 정면도,
도 11a는 도 1의 제 2 절단날 장치의 지지축을 설치하는 일례를 도시한 확대도로, 배출개구의 최대 개구시의 사시도,
도 11b는 도 1의 제 2 절단날 장치의 지지축을 설치하는 일례를 도시한 확대도로, 그 편심 부시의 정면도,
도 12는 도 10a의 측면도,
도 13은 도 1에 도시한 전단장치의 배면도,
도 14는 도 1에 도시한 전단장치의 사용상태의 일례를 도시한 축척측면도 및
도 15는 도 1에 도시한 전단장치의 다른 일례를 도시한 알루미늄의 전단장치의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전단장치 2a, 2b: 측판
2c: 지지판 3: 프레임
4: 제 1 절단날 장치 5: 제 2 절단날 장치
6: 실린더 42, 52: 반절각추 절단날
43: 연장된 저부 60: 피스톤 로드

Claims (4)

  1. 2개의 측판으로 구성되는 프레임,
    상기 2개의 프레임간에 설치한 위쪽을 회전 가능하게 부착한 제 1 절단날 장치,
    상기 2개의 프레임간에 아래쪽을 회전 가능하게 부착하고, 또한 위쪽이 가동하도록 설치한 상기 제 1 절단날 장치와 대치하는 제 2 절단날 장치,
    상기 제 1 절단날 장치 및 제 2 절단날 장치에 서로 엇갈리게 각각 배치한 각 반절각추 절단날,
    상기 프레임간에 지지된 지지판에 지지되고, 또한 상기 제 2 절단날 장치를 가동하는 가동수단,
    상기 각 반절각추 절단날 끝의 선단측에 각각 설치한 선단측 산(山)부,
    상기 제 1 절단날 장치 및 제 2 절단날 장치의 반절 각추 절단날 간에 형성한 전단용 클리어런스,
    상기 제 1 절단날 장치의 아래쪽을 가동하는 개방도 조정용 가동수단,
    상기 제 1 절단날 장치와 제 2 절단날 장치의 위쪽에 설치한 투입 개구 및
    상기 제 1 절단날 장치와 제 2 절단날 장치의 아래쪽에 설치한 배출개구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전단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프레임간에 설치한 제 2 절단날 장치의 아래쪽을 회전 가능하게 부착하는 지지축을 상기 프레임에 설치한 편심 베어링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전단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프레임간에 설치한 제 2 절단날 장치의 아래쪽을 회전 가능하게 부착하는 지지축을 상기 프레임에 설치한 편심 베어링에 설치한 구성으로,
    상기 편심 베어링은 상기 프레임에 형성한 틀구멍, 상기 틀구멍에 삽입된 다수의 지지 블럭, 상기 다수의 지지 블럭간에 설치되는 편심 베어링 및 상기 편심 베어링의 회전을 고정하는 고정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전단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프레임간에 설치한 제 1·제 2 절단날 장치의 반절각추 절단날 중 적어도 꼭대기면에 돌출조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전단장치.
KR1020040073012A 2003-09-18 2004-09-13 알루미늄의 전단장치 KR1007096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326362 2003-09-18
JP2003326362A JP2005087915A (ja) 2003-09-18 2003-09-18 アルミニュウムの剪断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8310A true KR20050028310A (ko) 2005-03-22
KR100709627B1 KR100709627B1 (ko) 2007-04-19

Family

ID=34191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3012A KR100709627B1 (ko) 2003-09-18 2004-09-13 알루미늄의 전단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086620B2 (ko)
EP (1) EP1516670A1 (ko)
JP (1) JP2005087915A (ko)
KR (1) KR100709627B1 (ko)
CN (1) CN160043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85478B2 (ja) * 2005-05-20 2012-02-29 油圧機工業有限会社 アルミ廃材の製品化方法と、その装置
WO2007086148A1 (ja) * 2006-01-30 2007-08-02 Yasuaki Okuya 鋳物の折断方法
WO2009004737A1 (ja) * 2007-07-02 2009-01-08 Yasuaki Okuya 鋳物折断装置の可動刃物装置の軸受け構造と、この軸受け構造を備えた可動刃物装置と固定刃物装置の排出口の構造
US7861956B2 (en) * 2007-08-08 2011-01-04 Hiller Sr Wesley T Apparatus and method for crushing anodes
CN101543798B (zh) * 2008-03-27 2012-10-17 贵阳铝镁设计研究院有限公司 炭块破碎刀具升降机构
JP5525741B2 (ja) * 2008-05-14 2014-06-18 株式会社小松製作所 自走式破砕機
JP5466867B2 (ja) * 2008-05-28 2014-04-09 株式会社小松製作所 自走式破砕機
JP5748323B2 (ja) * 2010-08-19 2015-07-15 油圧機工業有限会社 非鉄金属鋳物の剪断・折断装置
JP5881881B1 (ja) 2015-05-10 2016-03-09 油圧機工業有限会社 破砕機用の刃板及び破砕機
BR112019024959A2 (pt) * 2017-08-22 2020-06-23 Yuatsuki Co., Ltd. Placa de lâmina para um triturador, e, triturador.
CN112657579B (zh) * 2020-12-23 2022-03-22 福建琰衡实业有限公司 一种颚式破碎机
CN113244982A (zh) * 2021-04-19 2021-08-13 辽宁兴东科技有限公司 一种固废处理用剪切式破碎机
CN114849876B (zh) * 2022-04-29 2023-08-11 江苏兰诺磁业有限公司 钕铁硼磁金属块粉碎系统和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88785B (de) * 1957-09-28 1960-09-08 Alfred Kleinknecht UEberlastungsschutz fuer Backenbrecher
GB2239409A (en) * 1989-10-10 1991-07-03 Brown Engineering Limited Jaw crusher
US5044569A (en) * 1989-12-15 1991-09-03 Labounty Roy E Rock and coral demolition tool
JPH08205B2 (ja) 1992-09-28 1996-01-10 油圧機工業有限会社 油圧による鋳造用の堰、湯道、不良製品の破砕・折断装置
JP2849614B2 (ja) 1992-12-17 1999-01-20 油圧機工業有限会社 不揃いでなる鋳造用の堰、湯道、不良製品等の破砕・折断方法
US5533682A (en) * 1993-09-02 1996-07-09 Methold 's-Hertogenbosch B.V. Device for crushing and/or cutting material
US5791573A (en) 1994-12-07 1998-08-11 Okuya; Yasuaki Crushing-breaking apparatus
EP0865825A1 (en) 1997-03-18 1998-09-23 Yasuaki Okuya Method and apparatus for crushing-breaking long and slender weirs, runners, and other useless metal casting products
KR100414939B1 (ko) * 1997-11-28 2004-04-30 야스아키 오쿠야 탕구,탕도,언등의불필요한제품등의절단장치의배치구조와,상기절단장치의고정ㆍ이동날붙이코팅방법및고정ㆍ이동날붙이
JP2001138031A (ja) * 1999-11-05 2001-05-22 Yasuaki Okuya 鋳造製品と不要部の分離方法と、その装置
JP2002224580A (ja) * 2001-02-01 2002-08-13 Yasuaki Okuya 鋳物の折断方法と、刃物構造
KR100526687B1 (ko) * 2001-02-01 2005-11-08 야스아키 오쿠야 주물의 절단방법, 이 방법에 사용되는 날붙이 구조 및주물의 절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600436A (zh) 2005-03-30
US7086620B2 (en) 2006-08-08
JP2005087915A (ja) 2005-04-07
KR100709627B1 (ko) 2007-04-19
EP1516670A1 (en) 2005-03-23
US20050061900A1 (en) 2005-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9627B1 (ko) 알루미늄의 전단장치
KR20060119656A (ko) 알루미늄 폐자재의 제품화 방법과 그 장치
JP5089242B2 (ja) 剪断破砕機の固定刃
EP0666131B1 (de) Schere für schwere Beanspruchungen, insbesondere Abbruch- bzw. Schrottschere
US8851407B2 (en) Apparatus for shearing and breaking nonferrous casting
KR100526687B1 (ko) 주물의 절단방법, 이 방법에 사용되는 날붙이 구조 및주물의 절단장치
DE60010745T2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rennschneiden eines aus stahl hergestellen werkstückes
AT505780B1 (de) Vorrichtung zum entgraten metallischer blöcke
DE4205781C2 (de) Vorrichtung zum Zerkleinern von Schrott
DE102007026131A1 (de) Brechwerk
EP3637978B1 (de) Doppelmesser-schneidsystem
EP3858527A1 (de) Vorrichtung zum absägen einer lamelle von einem substrat
JP2908440B1 (ja) 基板表面に実装された部品の分離装置および分離方法
EP2192986B1 (de) Schlegel für zerkleinerungsvorrichtungen
DE102012020001B3 (de) Vorrichtung zum Auflockern von verpresstem Dämmstoff
EP2942136A2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schneiden eines gefrorenen, strangförmigen lebensmittels in scheiben
DE202007010079U1 (de) Chirurgische Sägevorrichtung und chirurgische Säge
JP3624115B2 (ja) 粗大物の破砕装置
US20180071841A1 (en) Machine for crushing and shearing metal casting debris
JP2006263526A (ja) 廃エンジン破砕装置およびこの装置に使用される刃具
DE202017106547U1 (de) Schneidwerkssystem
CN210797708U (zh) 安装于挖掘机臂的液压剪切装置
WO2008062545A1 (fr) Dispositif d'outil de coupe fixe pour sceller un équipement de pliage/rupture
KR20220131067A (ko) 폐기물 파쇄기용 블레이드
JPH1158328A (ja) 木材専用破砕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