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6898A - 기밀용기 및 화상표시장치 - Google Patents

기밀용기 및 화상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6898A
KR20050026898A KR1020040072502A KR20040072502A KR20050026898A KR 20050026898 A KR20050026898 A KR 20050026898A KR 1020040072502 A KR1020040072502 A KR 1020040072502A KR 20040072502 A KR20040072502 A KR 20040072502A KR 20050026898 A KR20050026898 A KR 200500268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frame
adhesive
composite
sea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2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06768B1 (ko
Inventor
안도토모카즈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268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68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67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67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00Details of electrodes, of magnetic control means, of screens, or of the mounting or spacing thereof, common to two or more basic types of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1/02Main electrodes
    • H01J1/30Cold cathodes, e.g. field-emissive catho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4Manufacture or joining of vessels, leading-in conductors or bases
    • H01J9/26Sealing together parts of vessels
    • H01J9/261Sealing together parts of vessels the vessel being for a flat panel displa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86Vessels; Containers; Vacuum lo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1/00Cathode ray tubes; Electron beam tubes
    • H01J31/08Cathode ray tubes; Electron beam tubes having a screen on or from which an image or pattern is formed, picked up, converted, or stored
    • H01J31/10Image or pattern display tubes, i.e. having electrical input and optical output; Flying-spot tubes for scanning purposes
    • H01J31/12Image or pattern display tubes, i.e. having electrical input and optical output; Flying-spot tubes for scanning purposes with luminescent scree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01L2924/0002Not covered by any one of groups H01L24/00, H01L24/00 and H01L2224/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Vessels, Lead-In Wires, Accessory Apparatuses For Cathode-Ray Tubes (AREA)
  • Cathode-Ray Tubes And Fluorescent Screens For Display (AREA)

Abstract

제 1기판과; 상기 제 1기판에 대향한 제 2기판과; 상기 제 1기판과 상기 제 2기판 사이에 배치된 프레임과; 상기 제 1기판과 상기 제 2기판사이에 배치된 복합부재를 포함한 밀폐용기를 제공한다. 상기 프레임은 프레임부재, 상기 프레임부재와 상기 제 1기판사이를 밀봉접합 하는 제 1밀봉 접합부재 및 상기 프레임부재와 상기 제 2기판사이를 밀봉접합 하는 제 2밀봉 접합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복합부재는 제 1부재, 상기 제 1부재와 상기 제 1기판을 서로 접합하는 제 1접착부재 및 상기 제 1부재와 상기 제 2기판을 서로 접합하는 제 2접착부재로 구성 되어있다. 상기 제 1부재의 횡탄성계수는, 상기 제 1접착재와 상기 제 2접착재 중의 적어도 하나의 횡탄성계수 보다 크고, 또한 상기 제 2기판에 대향하는 상기 제 1기판의 표면인 제 1평면에 평행하고, 또한 상기 프레임부재 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된 직선의 복합부재의 합성 전단강도는 상기 직선의 상기프레임의 합성 전단강성 보다 높다.

Description

기밀용기 및 화상표시장치{HERMETIC CONTAINER AND IMAGE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그 내부를 소망한 분위기에 유지할 수 있는 기밀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기밀용기를 이용하여 형성된 화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냉음극 전자방출소자를 이용한 화상표시장치에서는, 형광막등 화상형성 부재와 전자가속전극을 갖춘 전면판(face plate)과 복수의 냉음극 전자방출소자를 구비한 전자 소스를 탑재한 이면판(rear plate)을 소정의 거리를 두고 서로 대향되어 있고, 이들 플레이트의 주변 가장자리부에 프레임부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전면판, 이면판 및 프레임부로 구성되는 기밀성의 외위기를 형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 8-83578호 공보에 표면전도형 전자방출소자를 이용하는 화상표시장치가 개시되고 있다.
상기 프레임부의 구성에서는, 프레임부재(유리 부재)는 밀봉접합재로서 프릿(저융점 유리)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플레이트에 접합된다.
국제 공개 WO 00/51155호 팜플렛에는, 밀봉 접합재로서 저융점 금속인 In을 이용하고 상기 밀봉접합재 및 프레임부재의 주위를 접착재로 덮은 프레임부가 개시되어 있다. 도 6은 상기 프레임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6은, 상기 공개 팜플렛에 개시된 프레임부 주위 부분의 단면 개략도이며; 도면중에서, (1)은 전면판을 나타내고, (2)는 이면판을 나타내고, (6)은 전자 소스를 나타내고, (60)은 프레임부를 나타내고, (61)은 프레임부재를 나타내고, (62) 및 (63)은 밀봉접합재를 나타내고, (64)는 접착재를 나타낸다.
프레임부(60)를 형성하는 밀봉접합재(62, 63)는, 와이어나 시트 등의 임의의 형상으로 형성한 In으로 구성되며, 상기 밀봉접합재를 160℃이상으로 가열함으로써 밀봉접합재를 연화시켜 플레이트(1, 2)와 프레임부재(61)를 서로 접합한다. 상기 밀봉합접합재(62, 63)및 프레임부재(61)을 덮도록, 상기 전면판(1)과 이면판(2)사이의 틈을 접착재(64)가 충전한다. 따라서, 이 구성에서는, 400℃미만의 온도로 만족할만한 방식으로 상기 프레임과 상기 면판과의 접합을 할 수 있다.
일본국 공개 특허 2000-311630호 공보에는, 진공 용기를 구비한 평판형 화상 표시장치가 개시되어 있고, 여기에는 복수의 프레임부재를 가지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만족할 만한 방식으로 기밀을 유지할 수 있는 기밀용기를 실현하는 데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목적은 온도 변화에 저항력이 있는 기밀용기를 실현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러한 기밀용기를 이용함으로써 바람직한 화상표시장치를 실현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 1측면에 의하면, 제 1기판과; 상기 제 1기판에 대향한 제 2기판과; 상기 제 1기판과 상기 제 2기판 사이에 배치된 프레임과; 상기 제 1기판과 상기 제 2기판사이에 배치된 복합부재를 포함한 기밀용기로서, 상기 프레임은 프레임부재, 상기 프레임부재와 상기 제 1기판사이를 밀봉접합하는 제 1밀봉접합재 및 상기 프레임부재와 상기 제 2기판사이를 밀봉접합하는 제 2밀봉접합재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복합부재는 제 1부재, 상기 제 1부재와 상기 제 1기판을 서로 접합하는 제 1접착재 및 상기 제 1부재와 상기 제 2기판을 서로 접합하는 제 2접착재로 구성 되어있고, 상기 제 1부재의 횡탄성계수는, 상기 제 1접착재와 상기 제 2접착재 중의 적어도 하나의 횡탄성계수 보다 크고, 또한 상기 제 2기판에 대향하는 상기 제 1기판의 표면인, 제 1평면에 평행하고, 또한 상기 프레임부재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된 직선의 복합부재의 합성 전단강성이 상기 직선의 상기 프레임의 합성 전단강성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2측면에 의하면,제 1기판과; 상기 제 1기판에 대향한 제 2기판과;상기 제 1기판과 상기 제 2기판 사이에 배치된 프레임과; 상기 제 1기판과 상기 제 2기판사이에 배치된 복합부재를 포함한 기밀용기로서, 상기 프레임은 프레임부재, 상기 프레임부재와 상기 제 1기판사이를 밀봉접합하는 제 1밀봉접합재 및 상기 프레임부재와 상기 제 2기판사이를 밀봉접합하는 제 2밀봉접합재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복합부재는 제 1부재, 상기 제 1부재와 상기 제 1기판을 서로 접합하는 제 1접착재 및 상기 제 1부재와 상기 제 2기판을 서로 접합하는 제 2접착재로 구성 되어있고, 상기 제 1접착재의 횡탄성계수는, 상기 제 1밀봉접합재의 횡탄성계수 보다 크고, 및/또는 상기 제 2접착재 횡탄성계수는, 상기 제 2밀봉접합재의 횡탄성계수 보다 크고, 상기 복합부재의 평균 열팽창계수가, ±3×10-6/℃의 범위내에서 상기 프레임의 평균열평창 계수와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3측면에 의하면,제 1기판과; 상기 제 1기판에 대향한 제 2기판과; 상기 제 1기판과 상기 제 2기판 사이에 배치된 프레임과; 상기 제 1기판과 상기 제 2기판사이에 배치된 복합부재를 포함한 기밀용기로서, 상기 프레임은 프레임부재, 상기 프레임부재와 상기 제 1기판사이를 밀봉 접합하는 제 1밀봉 접합재 및 상기 프레임부재와 상기 제 2기판사이를 밀봉 접합하는 제 2밀봉 접합재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복합부재는 제 1부재, 상기 제 1부재와 상기 제 1기판을 서로 접합하는 제 1접착재 및 상기 제 1부재와 상기 제 2기판을 서로 접합하는 제 2접착재로 구성 되어있고, 상기 제 1접착재의 횡탄성계수는, 상기 제 1밀봉접합재의 횡탄성계수 보다 크고, 및/또는 상기 제 2접착재 횡탄성계수는, 상기 제 2밀봉접합재의 횡탄성계수 보다 크고, 상기 복합 부재의 평균 열팽창 계수가, 25%의 범위내에서 상기 프레임의 평균열평창 계수와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1측면 내지 제 3측면에 의한 기밀용기에 대해서는, 다음 특징들을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포함한다.
제 1밀봉 접합재와 제 2밀봉 접합재 중의 적어도 한쪽이 저융점 금속, 저융점 합금 및 프릿을 포함한다.
상기 제 1접착재와 제 2접착재 중의 적어도 한쪽이 유기 접착제 및 무기 접척제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은 직사각형의 형상을 가지고, 기밀공간은 상기 직사각형의 프레임, 상기 제 1기판 및 상기 제 2기판으로 형성된다. 상기 복합부재는 상기 직사각형의 프레임의 각변에 대응하여 배치된다.
상기 복합부재는 프레임과 같은 형상을 가진다.
상기 복합 부재는 상기 프레임, 상기 제 1기판 및 상기 제 2기판에 의해 형성되는 기밀공간의 외측에 설치된다.
상기 직선의 상기 제 1부재와 상기 프레임재 사이의 간격은, 상기 프레임이 설치된 위치에서의 상기 제 1기판과 상기 제 2기판 사이의 간격의 10배 이하이다.
상기 프레임의 높이는 상기 복합부재의 높이와 동일하다.
본 발명의 제 4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에 의한 기밀용기를 이용한 화상표시장치로서, 상기 기밀용기에 표시소자가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4측면에 의한 화상표시장치에서, 상기 표시소자가, 전자방출소자와 상기 전자방출소자로부터 방출되는 전자에 의해 발광하는 발광부재를 가진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
만족할만한 방식으로 기밀을 유지할 수 있는 기밀용기를 실현하려는 목적이 이 있는 본 발명의 이하 실시예에서는, 보강부를 구성하는 복합부재를 형성함으로써 특히 프레임이 설치된 부분에서 만족할 만한 방식으로 전단방향의 변위를 억제할 수 있는 구성을 실현하고 있다. 특히 프레임의 합성 전단강성 보다 큰 합성 전단강성을 가진 복합부재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복합부재가 보강부로서 기능하여, 프레임이 설치되는 부분에서의 전단방향의 변위를 특히 만족할만한 방식으로 억제할 수가 있다.
이것은 예로서 도 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화상 표시장치를 작동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경우, 전자 소스(6) 또는 전면판(1)이 속한 형광막(도시하지 않음)에서 열이 발생되고 온도의 상승이 발생하여; 전자 소스(1)와 형광막 사이의 발열량의 차이, 또는 이면판(2)과 전면판(4) 사이의 방열환경의 차이에 의해, 형광막이 배치되는 전면판(1)의 영역과 전자 소스(1)가 배치되는 이면판(2)의 영역 사이에 온도차가 발생된다. 이 온도의 차에 의해, 전면판(1)과 이면판(2)사이에 열팽창량의 차이가 발생되어, 외위기의 주변 가장자리부인 프레임(60)에 열팽창의 차이가 전단응력으로서 인가되게 된다. 특히 기밀성을 유지하는 밀봉접합재(62, 63)를 저융점금속 또는 저융점합금등의 비교적 연성재료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밀봉접합부에 큰 변형이 발생되지 않는 전단 강성이 필요하다.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예에서는, 프레임의 합성 전단강성보다 큰 합성전단강성(합성 전단강성이란 용어는 후술함)을 가진 복합부재를 보강부로서 형성하여, 밀봉접합부에 큰 변위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하의 실시예의 구성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 및 제 3실시예와 공통이다. 도 6을 다시 참조하면, 화상 형성시의 발열, 구동 회로(도시하지 않음)의 발열에 의한 화상 표시장치의 케이스 내의 온도상승, 화상 표시장치의 상기 케이스 외부에 주위 온도에 의한 온도 변화의 발생 등의 결과로서, 프레임부재(61)와 밀봉접합재(62, 63)로 형성되는 프레임과 접착재(64) 사이의 열팽창 계수의 차이에 의한 열변형이 발생된다. 접착재(64)에는, 보다 높은 강도, 보다 높은 강성이 요구되기 때문에, 밀봉접합재(62, 63)가 접착재(64)의 열변형(열 팽창/압축)의 모든 부담을 지탱한다. 전면판(1)과 이면판(2)사이의 부분의 평균 열팽창계수가, 밀봉접합재(62, 63)와 프레임부재(61)로 형성되는 프레임과 접착재(64)에 의해 형성되는 보강 구조부 사이에서 크게 다른 경우, 밀봉접합재(62, 63)에 두께 방향으로 인장응력(두께 방향으로 인장박리 응력) 또는 압축응력(두께 파쇄응력)이 발생한다.
여기서 보강부의 접착재로서 프레임의 밀봉접합재의 횡탄성계수 보다 큰 횡탄성계수를 가진 접착재를 채택하는 경우, 프레임의 밀봉접합부의 전단 방향의 변위를 억제하는 구성이 실현되기 용이하지만, 보강부를 접착재만으로 실현하려는 시도는, 상기 접착재의 열팽창 계수와 프레임의 평균 열팽창 계수(프레임부재와 밀봉접합재에 의해 구성되는 프레임의 열팽창 계수이며, 자세한 것은 후술한다)의 사이의 차이를 소정의 값 이내 또는 소정의 비율로 억제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예에서는, 보강부재로 구성된 제 1부재와 접착재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복합부재로서 보강부가 형성됨으로써, 보강부를 구성하는 복합부재의 평균 열팽창계수와 프레임의 평균 열팽창계수의 차이를 억제하는 구성이 용이하게 실현 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기밀용기를 이용함으로써 형성된 화상표시장치의 일례의 사시도이다. 도 1은, 상기 화상표시장치의 구성 개략도이며, 상기 면판 중의 한쪽이 일부가 잘려져 있다. 도 4는 도 1의 프레임(10a) 주위의 개략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1)은 전면판을 나타내고, (2)는 이면판을 나타내며, (3)은 프레임부재를 나타내고, (4)는 제 1밀봉접합재를 나타내고, (5)는 제 2밀봉접합재를 나타내고, (6)은 전자소스를 나타내며, (7)은 제 1부재를 구성하는 강성 부재를 나타내며, (8)은 제 1접착재를 나타내고, (9)는 제 2접착재를 나타내며, (10)은 복합 부재로 보강된 프레임 구조를 구성하는 보강프레임 구조를 나타내며, (1Oa)는 프레임을 나타내며, (1Ob)는 보강부를 구성하는 복합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의 구성에서, 전면판(1)을 형성하는 기판이 본 발명의 제 1기판에 상당하고, 이면판(2)이 제 2기판에 상당한다. 전면판(1)은, 통상, 유리기판의 내부면에 형광막(도시하지 않음)과 메탈 백(도시하지 않음)을 가지고 필요에 따라서 투명 전극을 더 가지고 있다. 이면판(2)에는 전자소스(6)가 탑재되고, 상기 전자소스(6)는 표시장치를 구성하는 복수의 전자방출소자를 가각 가지고 있고 또한 상기 전자방출소자는 이면판(2)에 속한 매트릭스 배선 또는 사다리 형상 배선에 접속되어 있다. 전면판(1)과 이면판(2)은 필요에 따라서 스페이서(도시하지 않음)의 중개로 소정의 거리에서 서로 대향 배치되고, 주변 가장자리부에서 프레임(10)의 중개로 함께 접합되어 기밀용기를 형성한다.
도 1의 화상 표시장치에서는, 전자소스(6)의 배선을 적절히 선택하여 소정의 소자로부터 전자를 방출시키는 것과 동시에, 메탈 백 또는 투명전극(도시하지 않음)에 고전압을 인가하여, 소자로부터 방출된 전자빔을 가속한다. 가속된 전자는, 형광막에 충돌하여, 발광함으로써 화상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기밀용기에서, 보강 프레임구조(1O)는 프레임(1Oa)과 복합부재 (1Ob)로 구성되고, 프레임(10a)은 프레임부재(3)를 제 1밀봉접합재(4)와 제 2밀봉접합재(5)에 의해 각각 전면판(1), 이면판(2)에 접합함으로써 형성된다. 즉, 상기 프레임(10)은 제 1기판과 기밀하게 밀착하는 제 1밀봉접합재와 제 2기판과 기밀하게 밀착하는 제 2밀봉접합재 및 프레임부재로 구성된다. 상기 복합부재 (10b)는, 제 1부재를 구성하는 강성부재(7)를 제 1접착재(8)와 제 2접착재(9)에 의해 각각 전면판(1), 이면판(2)에 접합함으로써 형성된다. 즉 복합부재(10b)는 제 1기판에 대해서 접합을 형성하는 제 1접착재와 제 2기판에 대해서 접합을 형성하는 제 2접착재 및 제 1부재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기밀용기에서, 제 1기판 및 제 2기판은 유리기판으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고 변형점 유리, 소다석회 유리 또는 석영 유리등을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가 있다. 또 유리 기판등의 기판에 소망한 코팅에 의해 제 1기판 또는 제 2기판으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프레임부재(3)로서는, 제 1기판 및 제 2기판과 마찬가지의 유리부재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제 1부재를 구성하는 강성부재(7)로서는 제 1접착재(8) 및 제 2접착재(9)중의 적어도 한쪽의 횡탄성계수보다 큰 횡탄성계수를 가지는 재료로 형성된 부재가 이용되며, 바람직하게는 유리 부재를 이용한다. 대안적으로, 세라믹스 부재 등이 이용된다. 게다가 제 1밀봉접합재(4) 및 제 2밀봉접합재(5)로서는 In, Bi, Pb, Sn 또는 Cd 등의 저융점 금속 또는 상기 저융점 금속 등을 포함한 저융점 합금이 바람직하게 이용되고, 프릿도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제 1접착재(8) 및 제 2접착재(9)로서는, 엑폭시계 접착제와 같은 열경화성 수지 접착제, 감광성 접착제, 순간 경화형접착제 또는 열가소성 접착제 등의 유기계 접착제가 바람직하게 이용되고; 이와는 별도로 알루미나, 실리카, 지르코늄 또는 카본을 주성분으로 하는 무기 접착제가 바람직하게 이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 1밀봉접합재(4)와 제 2밀봉접합재(5)는 서로 같아도 차이가 나도 된다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 제 1접착재(8)와 제 2접착재(9)는 서로 같아도 차이가 나도 된다. 여기서 밀봉접합재는 기밀하게 밀착되는 상태를 실현할 수 있는 재료이다. 제 1접착재(8)와 제 2접착재(9)에 대해서는, 반드시 기밀하게 접착을 실현할 필요는 없고; 단지 접착을 실현할 수 있으면 된다.
전자방출소자로서는, 표면전도형 전자방출소자가 바람직하게 이용되고; 이와는 별도로, 전계 방출형이나 카본 나노튜브를 이용한 냉음극 전자방출소자를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밀용기의 제조방법에 대해서는, 복합부재(1Ob) 이외는 종래의 기밀용기의 제조방법을 그대로 적용할 수가 있다. 복합부재(1Ob)에 대해서는, 이하에 설명된 실시예를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디스팬서 등을 이용하여, 한편의 접착재를 기판에 도포하고, 강성부재를 밀어넣어 접합한 후, 다른 쪽의 접착재를 강성부재와 접합하기 위한 다른쪽 기판의 사이에 도포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복수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들 실시예 의 특징중의 하나는, 프레임과 보강부로 구성되는 보강 프레임구조에서, 보강부를 단일의 재료로 구성하는 것이 아니라, 프레임부재와는 별도의 부재인 제 1부재와 접착재의 결합, 즉, 복합부재로 구성하고 있는 점이다. 즉, 보강부가 접착재의 적어도 한쪽의 횡탄성계수 보다 높은 횡탄성계수를 가지는 제 1부재를 상기 접착재와 결합한 복합부재로서 형성함으로써, 접착재만으로 보강부를 구성하는 경우에 비교하여, 제 1기판 및 제 2기판과 접합된 접착재와 제 1부재로 구성되는 보강부의 합성 전단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기판과 제 2기판 사이의 프레임과 보강부의 평균 열팽창 계수의 관점으로부터, 보강부를 하나의 재료로 구성하는 경우, 상기 보강부의 평균 열팽창계수는 상기 단일 재료의 열팽창 계수가 된다. 이 열팽창 계수를 프레임의 평균 열팽창 계수와 소망한 범위내에서 일치 시키려는 시도는 보강부를 형성하는 재료를 적절하게 선택하는 것을 어렵게 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보강부를 접착재와 보강 부재를 결합한 복합부재로서 형성함으로써 이하의 이점을 달성할 수 있다.
〔1〕상기 프레임의 평균 열팽창계수보다 열팽창 계수가 큰 접착재를 보강부에서 이용하는 경우에는 프레임의 평균 열팽창계수보다 작은 열팽창계수를 가지는 제 1부재를 이용함으로써, 복합부재의 평균 열팽창계수를 접착재의 열팽창 계수보다 작게할 수가 있다.
〔2〕상기 프레임의 평균 열팽창계수보다 열팽창계수가 작은 접착재를 보강부에서 이용하는 경우에는 프레임의 평균 열팽창계수보다 큰 열팽창계수를 가지는 제 1부재를 이용함으로써, 복합부재의 평균 열팽창계수를 접착재의 열팽창계수보다 크게 할 수가 있다.
상기〔1〕,〔2〕의 조건을 채택하는 경우, 프레임의 평균 열팽창계수와 보강부의 평균 열팽창계수의 관계를 소망한 관계로 설정하는 것이 매우 용이하게 된다. 특히, 복합부재(10b)의 평균 열팽창계수가, 프레임(10a)의 평균 열팽창계수에 대해서 ±3×10-6/℃의 범위 내에서 일치하는 것(본 발명의 제 2 측면) 및/또는 복합부재(10b)의 평균 열팽창계수가, 프레임(10a)의 평균 열팽창계수에 대해서 ± 25%의 범위 내에서 일치하는(본 발명의 제 3의 측면)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 본 발명의 전단강성과 평균 열팽창계수를 정의한다.
[전단 강성]
전단 강성에 대해 도 2a-1, 도 2a-2, 도 2b-1,도 2b-2,도 2c-1 및 도 2c-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기판(21) 및 기판(22)이 평행하게 배치되어 그 사이에, 횡탄성 계수 G, 폭 W, 두께 h의 부재(23)를 배치한다(도 2a-1). 기판(22)을 고정하면서, 기판(21)에 전단하중 F를 인가하여, d만큼 변위시켰을 경우, 일반적인 전단 강성 S를 다음 식(1)에 의해 정의한다. 도면의 평면에 수직한 치수는 단위길이인 것에 유의해야 한다.
F = (G ×W / h)×d = S × d (1)
다음에, 상기식(1)에 의해 정의되는 전단 강성을 이용하여, 2개의 부재가 병렬로 배치되었을 경우 외관상의 전단 강성을 정의한다. 기판(21)과 기판(22)이 평행하게 배치되어 그 사이에, 전단 강성(S1)을 가지는 부재(23)과 전단 강성(S2)을 가지는 부재(24)를 나란하게 배치한다(도 2b-1참조). 도면의 평면에 수직한 치수는 단위길이에 상당한다고 가정한다. 여기서, 기판(22)을 고정하면서, 기판(21)에 전단하중(F)을 인가하여, d만큼 변위시켰을 경우(도 2b-2), 다음의 (2) 식이 성립한다. 즉, 외관상의 전단강성(부재(23)과 부재(24)의 합성 전단강성) S는 (S1+S2)가 된다.
F = (S1 + S2) × d = S × d (2)
다음에, 2개의 부재가 직렬로 배치되었을 경우의 외관상의 전단 강성을 정의한다. 기판(21)과 기판(22)이 평행하게 배치되어 그 사이에, 전단 강성(S1)을 가지는 부재(23)와 전단 강성(S2)을 가지는 부재(24)를 적층한다(도 2c-1). 도면의 평면에 수직한 치수는 단위길이에 상당한다고 가정한다. 여기서, 기판(22)를 고정하면서, 기판(21)에 전단하중(F)을 인가하여, d만큼 변위시켰을 경우(도 2c-2), 다음의 (3)식이 성립하고, 외관상의 전단강성(부재(23)과 부재(24)의 합성 전단강성) S는 1/{(1/S1)+(1/S2)}이 된다.
F =〔1/{(1/S1) + (1/S2)}〕× d = S×d (3)
여기서 각 부재의 높이를 각각 h1, h2 이고, 각 부재의 횡탄성계수를 G1, G2로 가정하면, S1, S2
S1 = G1 × W/h1
S2 = G2 ×W/h2
이다.
여기서 h1 + h2 = h이다.
3개의 부재가 직렬로 배치되었을 경우의 합성 전단강성 S는, 3번째의 부재는 황탄성계수 G3, 높이 h3 ,로 가정하면, 전단 합성은
S3 = G3 × W/h3
이며,
S = 1 / {(1/S1 ) + (1/S2) + (1/S3)} (4)
가 된다.
이상 설명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제 1측면에 의하면, 상기 제 2기판에 대향하는 제 1기판의 면에 평행하고, 또한 프레임의 길이 방향(도 2a-1, 도 2a-2, 도 2b-1,도 2b-2,도 2c-1 및 도 2c-2의 평면에 수직방향)과 직교할 방향에 따라 연장하는 직선(도 2a-1, 도 2a-2, 도 2b-1,도 2b-2,도 2c-1 및 도 2c-2의 평면에 수평방향으로 나타나는 직선)이 존재한다고 가정하고; 상기 직선에 따른 상기 프레임의 상기 합성 전단강성(프레임을 형성하는 프레임부재(전단강성 S2)와 상기 프레임부재를 제 1기판과 제 2기판에 밀봉 접합하는 밀봉접합재(전단강성 S1, S3)가 직렬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4)식으로부터 합성 전단강성을 얻을 수가 있다)은, 상기 직선상을 따라 연장하는 복합부재의 합성 전단강성(프레임부의 합성 전단강성과 마찬가지로 제 1부재와 접착재의 전단합성으로부터 상기 (4)식에 의해 얻을 수 가 있다)과 비교할 경우에, 복합부재의 상기 합성 전단강성이 프레임의 상기 합성 전단강성보다 커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 도시된 복합부재(10b)의 경우와 같이, 접착재(예를 들면 제 1접착재 (8))와 기판(전면판(1)) 사이의 접촉폭과 접착재와 제 1부재(7)사이의 접촉폭이 다른 경우에는, 상기 접촉폭의 평균값을 제 1접착재의 실질적인 폭으로서 간주하고 전단강성을 산출하기 위해서 이용하는 폭(W)으로 정의한다.
또, 기판에 대한 접촉폭과 제 1부재에 대한 접촉폭 사이의 차이가 접착재의 두께의 4배 이상 큰 경우에는, 기판에 대한 접촉폭과 제 1부재에 대한 접촉폭 중의 작은쪽에 접착재의 두께의 4배를 더 함으로써 얻은 폭을 실질적인 폭으로서 간주하고, 전단강성을 산출하기 위한 폭으로서 이용한다.
프레임과 복합부재의 간격이 너무 커지는 경우, 복합부재에 의한 프레임 설치 위치에 대한 변위억제 효과가 감소되므로, 프레임과 복합부재의 간격(L)은, 프레임이 설치되는 위치에서 제 1기판과 제 2기판 사이의 간격의 10배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설명된 예에서 부재(33, 34, 35)의 폭 및 높이는 부재(33, 34, 35)의 상이한 부분에서 균일하지만, 그들이 균일하지 않은 경우도 있다. 이 경우에는, 평균값을 이용한다. 예를 들면 부재(33)의 폭이 균일하지 않은 경우에는,그 폭의 평균값을 폭으로서 간주하고, 높이가 균일하지 않은 경우에는 그 높이의 평균값을 높이로서 간주한다. 부재의 폭이 높이방향으로 균일하지 않은 경우에는, 높이 방향으로 상기 폭의 적분을 통하여 얻은 값을 적분범위로 나눔으로써 얻은 값이, 이 부재의 폭의 평균값으로 간주된다. 부재의 높이가 폭방향으로 균일하지 않은 경우에는, 폭방향으로 상기 높이의 적분을 통하여 얻은 값을 적분범위로 나눔으로써 얻은 값이 이 부재의 높이의 평균값으로 간주된다. 합성 전단강성은 폭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므로, 폭방향으로 복합부재의 일부분에 대해 상기 조건하에서 얻은 부재의 전단강성에 의해 결정되는 합성 전단강성이 프레임의 합성 전단강성보다 높아지는 경우, 복합부재 전체의 합성 전단강성이 프레임의 합성 전단 강성보다 높게 된다.
〔평균 열팽창 계수〕
평균 열팽창 계수에 대해 도 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기판(31) 및 기판(32)이 평행하게 배치되어 그 사이에, 열팽창 계수 α1을 가지는 두께 h1의 부재(33)와 열팽창계수α2를 가지는 두께 h2의 부재(34)와 열팽창 계수α3을 가지는 두께 h3의 부재(35)를 함께 적층한다. 이 경우에서, 기판(31)과 기판(32)의 사이의 평균 열팽창 계수α는, 다음의 식(5)에 의해 정의된다.
α= (α1 h1 + α2h2 + α3h3) / (h 1 + h2 + h3) (5)
상기 합성 전단강성 및 평균 열팽창계수는, 부재의 수를 한정하면서 상기 설명에서 정의 되지만, 부재의 수가 증가하는 경우에도 동일한 원리를 적용할수 있고, 합성 전단강성 및 평균 열팽창계수를 정의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프레임과 보강부의 열팽창 계수를 상술의 바람직한 범위내에서 서로 일치시켜 보강의 효과를 만족할만 방식으로 얻을 수 있는 구성을 고려한다. 보강 효과를 만족할 만한 방식으로 얻기 위해서는, 보강부에 횡탄성계수가 큰 재료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횡탄성 계수가 큰 재료를 단일로 이용하는 경우에는, 프레임과 보강부의 평균 열팽창계수를 본 발명의 제 2측면 또는 제 3측면의 범위 내에서 일치시키는 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이 어려워진다. 이 관점에서 본발명의 제 1측면에 의하면, 보강부로서 복합부재를 채택함으로써 평균 열팽창계수를 상기의 조건하에서 일치시키기 쉬운 구성을 실현하고; 또한 상기 복합부재를 형성하는 접착재의 횡탄성계수를 대응하는 밀봉접합재의 횡탄성계수보다 크게함으로써 만족할만한 보강을 실현한다.
<실시예 1>
도 5a, 도 5b, 도 5c 및 도 5d에 도시된 공정에 의해, 본 발명에 의한 화상 표시장치를 준비하였다.
먼저, 일본국 공개특허 2001-210258호 공보 등에 개시된 바와 같은 제조방법에 의해, 고변형점 유리판의 내부면에 형광막과 메탈 백을 형성함으로써 전면판(1)을 준비하고, 고 변형점 유리로 구성되는 이면판(2)에 표면전도형 전자방출소자를 갖춘 전자 소스(6)를 탑재하여; 상기 2개의 면판을 서로 1.6mm의 틈을 개재하여 대향시켜서, 주변 가장자리부에서 프레임(10a)에 의해 접합한다(도 5a).
프레임(10a)을 형성하는 제 1밀봉접합재(4)는 두께 0.3mm, 폭 5mm, 횡탄성계수 0.8 GPa, 열팽창계수 26×10-6/℃의 저융점 금속인 ln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제 1밀봉접합재(4)의 전단강성은 13GPa이다.
프레임부재(3)는 유리 부재이며, 두께는 1.2mm, 폭은 5mm, 횡탄성계수는 32 GPa, 열팽창계수는 8×10-6/℃이다. 따라서, 프레임부재(3)의 전단 강성은 133GPa이다.
또한, 제 2밀봉접합재(5)는 저융점 유리로 형성되며, 두께는 0.1mm, 폭은 5 mm, 횡탄성계수는 22GPa, 열팽창계수는 7×10-6/℃이다. 따라서, 프레임부재(3)의 전단강성은 1100GPa이다.
따라서, 프레임(10a)은 합성 전단강성이, 상기 식(4)으로부터, 12GPa, 평균 열팽창계수가 11×1O6/℃이다.
다음에, 프레임(10a)에 접촉하지 않도록, 이면판(2)에 디스팬서(51)를 이용함으로써 제 2접착재(9)를 구성하는 엑폭시계 접착제를 적당량 도포한다(도 5b).
그 다음에, 프레임(10a)에 접촉하지 않도록, 제 1부재로서 기능을 하는 강성부재(7)를 구성하는 유리부재를 상기 도포된 제 2접착재(9)에 밀어넣는다(도 5c). 도 4의 구성에서, 프레임과 복합부재 사이의 간격은 L이다. 상기 강성부재(7)로서 기능을 하는 유리부재는, 전면판(1)에 이용한 것과 동일한 고변형점 유리로부터 잘라냄으로써 얻었다. 강성부재(7)와 전면판(1)사이의 틈은 0.03mm였다.
프레임(10a)에 접촉하지 않도록, 상기 강성부재(7)와 전면판(1)사이의 틈에 디스팬서(52)를 이용함으로써 제 1접착재(8)를 구성하는 엑폭시계 접착제를 도포했다. 이 공정에서, 디스팬서(52)의 도포압력을 비교적 높게 설정하여, 접착제를 상기 틈에 밀어넣었다. 이후 12시간 동안 방치하여 접착제를 경화시켜 제 1접착재(8)및 제 2접착제(9)를 얻는다. 이 방식으로 보강부를 구성하는 복합 부재(10b)를 형성한다(도 5d). 여기서 프레임과 복합부재 사이의 간격이 2mm로 조정된다. 프레임과 복합부재 사이의 간격은, 프레임부재가 제 1접착재와 접촉하고 있는 점과 프레임부재가 제 2접착재와 접촉하고 있는 점 중의 하나의 점과 제 1부재가 제 1밀봉접합재와 접촉하고 있는 점과 제 1부재가 제 2밀봉접합재와 접촉하고 있는 점 중의 하나의 점 사이에서 가장 짧은거리를 프레임과 복합부재 사이의 간격이라고 정의한다.
복합부재(1Ob)의 합성 전단강성과 평균 열팽창계수는 다음과 같다.
제 1접착재(8)는, 두께 0.03mm, 폭 2.8mm, 횡탄성계수 1GPa, 열팽창계수 120×10-6/℃ 이며, 전단강성은 93Gpa이다.
강성부재(7)는, 두께 1.53mm, 폭 2.8mm, 횡탄성계수 32GPa, 열팽창계수 8×10-6/℃이며, 전단강성은 59Gpa이다.
제 2접착재(9)는, 두께 0.04mm, 폭 2.8mm, 횡탄성계수 1GPa, 열팽창계수 120×10-6/℃이며, 전단강성은 70GPa이다.
따라서, 복합부재(10b)의 합성 전단강성은 24GPa이며, 평균 열팽창계수는 13×1O-6/℃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 1발명에 관하여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합성 전단강성이, 프레임(10a)에서 12GPa, 보강부를 구성하는 복합부재(10b)는 24GPa이다. 즉, 접착재의 횡탄성계수보다 큰 횡탄성계수를 가지는 제 1부재를 이용함으로써 프레임의 합성 전단강성보다 큰 합성 전단강성을 가지는 보강부로서 기능을 하는 복합부재를 실현할 수 있다.
여기서 보강부를 폭 2.8mm의 상기 접착재만으로 형성했을 경우는, 이 경우에서 보강부의 합성 전단강성(이 경우에서는 접착재만을 이용하므로 상기 접착재의 전단강성)은 1.8GPa이고, 보강부의 합성 전단강성은 프레임의 합성 전단합성보다 낮은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제 1측면에 관해서는, 프레임부재와는 다른 재료의 제 1부재를 이용하거나 또는 프레임부재의 높이와 제 1부재의 높이를 다르게 함으로써, 제 1기판 측과 제 2기판측의 양자 모두에 대해 밀봉접착재의 횡탄성계수가 접착재의 횡탄성계수보다 크지 않은 경우에도 프레임의 합성 전단강성 보다 큰 합성 전단강성을 가진 보강부를 실현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본 실시예와 같이 제 1기판측과 제 2기판측의 적어도 한편에 있어서는(특히, 예를 들면 In이나 In을 포함한 합금 등의 횡탄성계수가 상대적으로 작은 밀봉접합재를 이용하고 있는 기판측에 대해서), 상기 밀봉접합재의 횡탄성계수 보다 큰 횡탄성계수를 가지는 접착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제 2측면 및 제 3측면에 관해서는, 제 1기판측에 대해 접착재(8)의 횡탄성계수는 밀봉접합재(4)의 횡탄성계수보다 크고, 또한 평균 열팽창계수가, 프레임(10a)에서 11×10-6/℃인 반면에, 복합부재(10b)는 13×10-6/℃이다. 즉, 평균 열팽창계수에 대해서는, 프레임(10a)에 대해서 ±3×10-6/℃ 및 ±25%의 범위 내에서 일치하고 있다. 여기서 접착재(8)만으로 보강부를 구성하는 경우를 고려하면, 이 경우에 보강부의 평균 열팽창계수는 접착재의 열팽창계수 120×10-6/℃가 되어, 예를 들면, 프레임의 평균 열팽창계수로부터 크게 벗어난 값이 되어 버린다. 본 발명의 제 2측면 및 제 3측면에 관해서는, 복합부재의 합성 전단강성은 프레임의 합성 전단강성보다 큰 것은 필수적인 것은 아니지만, 본 실시예와 같이 복합부재의 합성 전단강성이 프레임의 합성 전단강성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완선된 보강프레임 구조(10)에 의해 기밀용기에 설치된 진공 배기관(도시하지 않음)을 외부의 진공 배기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장착하여, 상기 기밀용기내부의 압력을 1×1O-3Pa이하로 조정하여, 일본국 특개평 8-83578호 공보에 개시된바와 같이, 전자 소스(6)에 대해서 포밍처리 또는 활성화 처리등의 통전처리를 행한 후, 상기 진공 배기관을 버너로 가열하여 밀봉하고 이에 의해 실질적으로 진공상태의 기밀용기를 완성시킨다.
또한 전자 소스(6)를 구동시키는 구동 보드 등의 구동장치, 전자 소스(6)로부터 방출된 전자를 가속하기 위한 고전압을 공급하는 고압 전원을 장착하고 이에의해 화상표시장치를 제작한다.
상기 화상표시장치를 이용함으로써 전면판(1)상에 화상을 형성하고 화상형성의 결과로서, 전면판(1)의 온도가 이면판(2) 온도보다 평균 10℃만큼 높아졌지만, 전면판(1)과 이면판(2)사이의 상대위치관계는 변화하는 것이 없고, 화질의 열화는 관측되지 않았다.
또한 상기 화상 표시장치에 대해서, -10℃와 50℃의 사이에서 반복적으로 온도를 변화시키는 항온조내에서 내구시험이 실시되었고, 휘도의 저하는 발생하지 않고, 따라서, 슬로 리키지(slow leakage)는 발생하지 않고, 신뢰성을 확보할 수가 있었다.
또, 본 실시예에서, 복합부재(10b)가 프레임(10a)으로부터 L=2mm 만큼 떨어져 있고 전면판(1)과 이면판(2)의 두께 H가 2.8mm, 영률(Young's modulus) E=78 GPa이며, 전면판(1)과 이면판(2)의 기판 갭이 t=1.6mm이므로, δT=30℃의 온도변화에 의해 프레임(10a)과 전면판(1) 및 이면판(2)의 접합부에 발생되는 응력은, 재료역학의 보의 이론을 이용한 다음의 식(6)으로부터 도출된다.
δ =(3HE / 2L2) × (δα× δT×t/2) (6)
경험에 의해, 슬로우 리키지를 발생을 포함하지 않는 값은 δ0 = 6MPa이며, 상기 식을 만족시키는 프레임(10a)에 대한 복합부재(1Ob)의 평균 열팽창계수 δα는, ±3×1O-6/℃의 범위내를 만족시키기만 하면 되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11×1O-6/℃의 평균 열팽창계수를 가지는 프레임(1Oa)에 대한 복합부재(10b)의 평균 열팽창계수는 8×10-6~ 14×10-6/℃이다. 이것을 확인하기 위해서, 제 1부재(7)의 두께를 1.58mm로부터 1.52mm 까지 변화시켜서 화상 표시장치를 형성하였고, 그 결과는, 프레임 (10a)에 대한 복합부재(10b)의 평균 열팽창계수가 ±3×10-6/℃ 의 범위내인 한은 문제를 포함하지 않는 것을 나타냈다.
또, 상기의 형상이 약간 변화하는 경우에도, 프레임(1Oa)에 대한 복합 부재(1Ob)의 평균 열팽창계수가 ±25%의 범위내인 한은 문제를 포함하지 않는다고 생각된다.
<실시예 2>
순간 경화형접착제를 이용하여 두께가 0.04mm의 제 1접착재(8)을 형성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같은 방식으로 화상 표시장치를 형성하였다. 복합부재(1Ob)의 평균 열팽창계수는 실시예 1과 같고,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실시예 3>
복합부재(1Ob)의 구성을 이하와 같이 변경한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식으로 화상 표시장치를 형성하였다.
제 1접착재(8)는, 무기계 접착제를 경화시켜서 얻었고, 두께 0.lmm, 폭 5mm , 횡탄성계수 1 GPa, 열팽창 계수 120×10-6/℃이며, 전단강성은 50GPa 였다.
강성부재(7)는, 무알칼리 유리부재이며, 두께 1.1mm, 폭 5mm, 횡탄성계수 29 GPa, 열팽창 계수 5×10-6/℃이며, 전단강성은 132GPa였다.
제 2접착재(9)는, 엑폭시계 접착제를 경화시켜서 얻었고, 두께 0.4mm, 폭 5 mm, 횡탄성계수 2GPa, 열팽창 계수 8×10-6/℃이며, 전단강성은 25GPa였다.
따라서, 복합부재(10b)의 합성 전단강성은 15GPa, 평균 열팽창계수는 13×10-6/℃이며,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프레임(10a)에 대한 평균 열팽창 계수는±3×10-6/℃, ±25%의 범위내 이었다.
본 실시예의 화상 표시장치에서도, 실시예 1과 같은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상 설명한 예에서는, 프레임는 직각사각형을 이루고 있어 상기 직각사각형의 프레임과 상기 제 1기판 및 상기 제 2기판에 의해 기밀 공간이 형성되고 있어 그 기밀 공간의 외측에서 기밀공간을 둘러싸면서, 즉, 내부 프레임을 구성하는 프레임에 의해 복합부재가 외부 프레임을 구성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구성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이상 조건을 만족시키는 복합부재는 직각사각형의 프레임을 형성하는 각 변 마다 적어도 하나의 위치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복합부재는 프레임에 의해 형성되는 기밀공간의 외부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TV장치의 블럭도이다. 수신회로(C20)는 튜너, 디코더 등으로 구성된다. 이 수신회로(C20)는 위성 방송 또는 지상파 등 및 네트웍을 게재한 데이터 방송의 TV신호를 수신하고 디코드된 영상데이터를 인터페이스 유닛(C30)에 출력한다. 이 인터페이스 유닛(C30)은 상기 영상데이터를 화상표시장치(C10)의 표시 포맷으로 변환하여, 화상표시장치(C10) 화상데이터를 출력환다. 이 화상표시장치(C10)는 표시패널,(이 표시 패널은 상기 설명된 기밀용기를 이용하여 제조됨), 구동회로(C12) 및 제어회로(C13)가 형성된다. 이 제어회로(C10)는 입력된 데이터를 상기 표시패널에 적합한 보정처리 등의 화상처리를 하고, 상기 화상데이터 및 각종 제어신호를 상기 구동회로(C12)에 출력한다. 상기 구동회로(C12)는 입력된 상기 화상데이터에 의거하여 구동신호를 상기 표시패널(C11)에 출력한다. 그 결과 TV화상이 표시패널(C11)에 표시된다.
상기 수신회로(C20) 및 인터페이스 유닛(C30)은 셋톱박스(STB) 또는 상기 화상표시장치(C10)의 케이스와 같은 화상표시장치(C10)의 케이스와 다른 케이스에 넣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만족할만한 기밀용기를 실현가능하고, 만족할만한 화상표시장치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화상표시장치의 일례의 사시도
도 2a-1, 도 2a-2, 도 2b-1, 도 2b-2, 도 2c-1 및 도 2c-2는 본 발명의 합성 전단 강성을 설명한 모델도
도 3은 본 발명의 평균 열팽창계수를 설명한 모델도
도 4는 프레임 주위를 도시한 본 발명의 화상 표시장치의 개략 단면도
도 5a, 도 5b, 도 5c 및 도 5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보강부의 형성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종래의 화상표시장치의 프레임 주위의 개략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기밀용기를 이용한 TV장치의 블럭도
<도면부호의 간단한 설명>
1: 전면판 2: 이면판
3, 61: 프레임부재 4: 제 1밀봉접합재
5: 제 2밀봉접합재 6: 전자 소스
7: 강성 부재 8: 제 1접착재
9: 제 2접착재 10: 보강프레임 구조
1Oa: 프레임 1Ob: 복합부재
21, 22, 31, 32: 기판 23, 24, 33, 34, 35: 부재
51,52: 디스팬서 60: 프레임부
62, 63: 밀봉접합재 64: 접착재

Claims (16)

  1. 제 1기판과;
    상기 제 1기판에 대향한 제 2기판과;
    상기 제 1기판과 상기 제 2기판 사이에 배치된 프레임과;
    상기 제 1기판과 상기 제 2기판사이에 배치된 복합부재
    를 포함한 기밀용기로서,
    상기 프레임은 프레임부재, 상기 프레임부재와 상기 제 1기판사이를 밀봉접합하는 제 1밀봉 접합재 및 상기 프레임부재와 상기 제 2기판사이를 밀봉접합 하는 제 2밀봉 접합재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복합부재는 제 1부재, 상기 제 1부재와 상기 제 1기판을 서로 접합하는 제 1접착재 및 상기 제 1부재와 상기 제 2기판을 서로 접합하는 제 2접착재로 구성 되어있고,
    상기 제 1부재의 횡탄성계수는, 상기 제 1접착재와 상기 제 2접착재 중의 적어도 하나의 횡탄성계수 보다 크고, 또한 상기 제 2기판에 대향하는 상기 제 1기판의 표면인 제 1평면에 평행하고 또한 상기 프레임부재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 직선의 복합부재의 합성 전단강성이 상기 직선의 상기 프레임의 합성 전단강성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용기.
  2. 제 1기판과;
    상기 제 1기판에 대향한 제 2기판과;
    상기 제 1기판과 상기 제 2기판 사이에 배치된 프레임과;
    상기 제 1기판과 상기 제 2기판사이에 배치된 복합부재
    를 포함한 기밀용기로서,
    상기 프레임은 프레임부재, 상기 프레임부재와 상기 제 1기판사이를 밀봉접합하는 제 1밀봉 접합재 및 상기 프레임부재와 상기 제 2기판사이를 밀봉접합하 제 2밀봉 접합재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복합부재는 제 1부재, 상기 제 1부재와 상기 제 1기판을 서로 접합하는 제 1접착재 및 상기 제 1부재와 상기 제 2기판을 서로 접합하는 제 2접착재로 구성 되어있고,
    상기 제 1접착재의 횡탄성계수는, 상기 제 1밀봉접합재의 횡틴성계수 보다 크고, 및/또는 상기 제 2접착재 횡탄성계수는, 상기 제 2밀봉접합재의 횡틴성계수 보다 크고, 상기 복합 부재의 평균 열팽창 계수가, ±3×10-6/℃의 범위내에서 상기 프레임의 평균열평창 계수와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용기.
  3. 제 1기판과;
    상기 제 1기판에 대향한 제 2기판과;
    상기 제 1기판과 상기 제 2기판 사이에 배치된 프레임과;
    상기 제 1기판과 상기 제 2기판사이에 배치된 복합부재
    를 포함한 기밀용기로서,
    상기 프레임은 프레임부재, 상기 프레임부재와 상기 제 1기판사이를 밀봉 접합하는 제 1밀봉 접합재 및 상기 프레임부재와 상기 제 2기판사이를 밀봉 접합하는 제 2밀봉 접합재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복합부재는 제 1부재, 상기 제 1부재와 상기 제 1기판을 서로 접합하는 제 1접착재 및 상기 제 1부재와 상기 제 2기판을 서로 접합하는 제 2접착재로 구성 되어있고,
    상기 제 1접착재의 횡탄성계수는, 상기 제 1밀봉접합재의 횡틴성계수 보다 크고, 및/또는 상기 제 2접착재 횡탄성계수는, 상기 제 2밀봉접합재의 횡틴성계수 보다 크고, 상기 복합 부재의 평균 열팽창 계수가, 25%의 범위내에서 상기 프레임의 평균열평창 계수와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용기.
  4. 제 1항 내지 제 3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밀봉 접합재와 제 2밀봉 접합재 중의 적어도 한쪽이 저융점 금속 또는 저융점 합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용기.
  5. 제 1항 내지 제 3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밀봉 접합재와 제 2밀봉 접합재 중의 적어도 한쪽이 프릿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용기.
  6. 제 1항 내지 제 3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접착재와 제 2접착재 중의 적어도 한쪽이 유기 접착제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용기.
  7. 제 1항 내지 제 3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접착재와 제 2접착재 중의 적어도 한쪽이 무기 접착제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용기.
  8. 제 1항 내지 제 3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직사각형의 형상을 가지고, 기밀 공간은 상기 직사각형의 프레임, 상기 제 1기판 및 상기 제 2기판으로 형성되고, 상기 복합부재는 상기 직사각형의 프레임의 각변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용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부재는 프레임과 같은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용기.
  10. 제 1항 내지 제 3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부재는 상기 프레임, 상기 제 1기판 및 상기 제 2기판에 의해 형성되는 기밀공간의 외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용기.
  11. 제 1항 내지 제 3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의 상기 제 1부재와 상기 프레임재 사이의 간격은, 상기 프레임이 설치된 위치에서 상기 제 1기판과 상기 제 2기판 사이의 간격의 10배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용기.
  12. 제 1항 내지 제 3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높이는 상기 복합부재의 높이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용기.
  13. 제 1항 내지 제 3항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기밀용기를 이용한 화상표시장치로서, 상기 기밀용기에 표시 소자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소자가, 전자방출소자와 상기 전자방출소자로부터 방출되는 전자에 의해 발광하는 발광부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15. 튜너와;
    상기 튜너에 의해 수신된 신호에 의거한 표시를 하는 제 13항에 기재된 화상표시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장치.
  16. 튜너와;
    상기 튜너에 의해 수신된 신호에 의거한 표시를 하는 제 14항에 기재된 화상표시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장치.
KR1020040072502A 2003-09-10 2004-09-10 기밀용기, 화상표시장치 및 tv장치 KR1007067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317861 2003-09-10
JP2003317861A JP4035494B2 (ja) 2003-09-10 2003-09-10 気密容器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6898A true KR20050026898A (ko) 2005-03-16
KR100706768B1 KR100706768B1 (ko) 2007-04-12

Family

ID=34225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2502A KR100706768B1 (ko) 2003-09-10 2004-09-10 기밀용기, 화상표시장치 및 tv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7214970B2 (ko)
JP (1) JP4035494B2 (ko)
KR (1) KR100706768B1 (ko)
CN (2) CN1322529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35490B2 (ja) * 2003-08-15 2008-01-2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画像表示装置
KR100718053B1 (ko) * 2005-09-23 2007-05-14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US7972461B2 (en) * 2007-06-27 2011-07-05 Canon Kabushiki Kaisha Hermetically sealed containe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US8174116B2 (en) * 2007-08-24 2012-05-08 Nec Corporation Space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JP2009070597A (ja) * 2007-09-11 2009-04-02 Seiko Epson Corp 発光装置
JP2009145822A (ja) * 2007-12-18 2009-07-02 Canon Inc 画像表示装置
JP2009199758A (ja) * 2008-02-19 2009-09-03 Canon Inc 気密容器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JPWO2010055888A1 (ja) * 2008-11-14 2012-04-12 旭硝子株式会社 封着材料層付きガラス部材の製造方法と電子デバイスの製造方法
TWI407227B (zh) * 2009-10-01 2013-09-01 Au Optronics Corp 具控制電路保護功能之平面顯示裝置
JP2011133847A (ja) * 2009-11-27 2011-07-07 Canon Inc 透光性基板の接着方法及びディスプレイの製造方法
US8102483B2 (en) 2010-03-08 2012-01-24 Peerless Industries, Inc. Display enclosure
US9146444B2 (en) * 2011-09-20 2015-09-29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Liquid crystal element and cell for liquid crystal element
USD669075S1 (en) 2011-10-27 2012-10-16 Ciil Technologies, Llc Display enclosure for use with audio/visual devices or the like
US8714665B2 (en) 2012-01-20 2014-05-06 Ciil Technologies Llc Enclosed television with improved enclosure sealing arrangement
US9078345B2 (en) 2012-01-20 2015-07-07 Ciil Technologies, Llc Enclosed television with improved cable cover sealing mechanism
JP2013218234A (ja) * 2012-04-12 2013-10-24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2013228574A (ja) * 2012-04-26 2013-11-07 Seiko Epson Corp 位相差板、及び電子機器
FR3061404B1 (fr) * 2016-12-27 2022-09-23 Packaging Sip Procede de fabrication collective de modules electroniques hermetiques
CN108415195A (zh) * 2017-02-10 2018-08-1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KR102420817B1 (ko) * 2017-11-20 2022-07-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673910B2 (en) * 1993-05-20 1996-11-28 Canon Kabushiki Kaisha Image-forming apparatus
JPH07296746A (ja) 1994-04-28 1995-11-10 Canon Inc 画像表示装置とその製造方法
JPH0883578A (ja) 1994-09-09 1996-03-26 Canon Inc 画像形成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234188B2 (ja) * 1997-03-31 2001-12-0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とその製造方法
JP2000251768A (ja) * 1999-02-25 2000-09-14 Canon Inc 外囲器及びこれを用いる画像形成装置
JP2000311630A (ja) 1999-02-25 2000-11-07 Canon Inc 真空容器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真空容器を備える平板型画像表示装置
JP2000311641A (ja) * 1999-04-28 2000-11-07 Sony Corp 封止パネル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1210258A (ja) * 2000-01-24 2001-08-03 Toshiba Corp 画像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2083535A (ja) * 2000-09-06 2002-03-22 Sony Corp 密封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表示装置
WO2002050830A1 (en) * 2000-12-20 2002-06-27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Video recorder having a modular hard disk unit and means for starting and stopping the modular hard disk unit
CN1213389C (zh) * 2001-08-31 2005-08-03 佳能株式会社 图像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171350A1 (en) 2007-07-26
JP4035494B2 (ja) 2008-01-23
CN1595584A (zh) 2005-03-16
JP2005085656A (ja) 2005-03-31
US7659554B2 (en) 2010-02-09
CN101042973A (zh) 2007-09-26
CN100570800C (zh) 2009-12-16
US20050051892A1 (en) 2005-03-10
KR100706768B1 (ko) 2007-04-12
CN1322529C (zh) 2007-06-20
US7214970B2 (en) 2007-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6768B1 (ko) 기밀용기, 화상표시장치 및 tv장치
JP2011210432A (ja) 気密容器の製造方法
US20070200476A1 (en) Display device
US7501751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JP2002117777A (ja) ガス放電パネルおよびガス放電パネルの製造方法
US7029358B2 (en) Hermetic container and image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0777842B1 (ko) 화상 표시 장치
JP5627370B2 (ja) 減圧気密容器及び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US7817221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US20060077626A1 (en) Flat image display device
JP3754969B2 (ja) 気密容器およびこれを用いる画像表示装置
JP4047662B2 (ja) 平面型表示装置
CN112635696B (zh) 封装装置及其封装方法
JP2012221642A (ja) 気密容器及び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2003132823A (ja) 平面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20095560A1 (ja) ガラスパネルユニット及びガラスパネルユニットの製造方法
US20070029923A1 (en) Display panel
JP2005332730A (ja) ディスプレイ装置並びにディスプレイモジュール及び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2007324040A (ja) 平面型表示装置とその製造方法及び封止枠
JP2007309959A (ja) 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補強構造
JP2007311031A (ja) ディスプレイパネル用補強材及びその補強材の装着方法
JP2003132822A (ja) 平面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5332731A (ja) ディスプレイ装置
US20070021024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panel and anode panel
JP2007293003A (ja) 画像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