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2250A - 녹차카테킨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기능 개선제 - Google Patents

녹차카테킨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기능 개선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2250A
KR20050022250A KR1020040018824A KR20040018824A KR20050022250A KR 20050022250 A KR20050022250 A KR 20050022250A KR 1020040018824 A KR1020040018824 A KR 1020040018824A KR 20040018824 A KR20040018824 A KR 20040018824A KR 20050022250 A KR20050022250 A KR 200500222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patitis
weight
gtc
green tea
l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88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92792B1 (ko
Inventor
박종범
윤여표
이덕근
박현주
Original Assignee
삼아약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아약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아약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500222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22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27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27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00Fastening knobs or handles to lock or latch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07Knob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00Fastening knobs or handles to lock or latch parts
    • E05B3/04Fastening the knob or the handle shank to the spindle by screws, springs or snap bo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녹차에서 추출된 녹차카테킨을 유효성분으로 하고,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간 기능 개선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간 기능 개선제는 간기능 손상, 급성 간염, 만성 지속성 간염 또는 간 경화증 등의 간장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Description

녹차카테킨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기능 개선제{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Recovering Hepatic Function Comprising Green Tea Catechins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녹차카테킨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기능 개선제에 관한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녹차에서 추출된 녹차카테킨을 유효성분으로 하고,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간 기능 개선제에 관한 것이다.
간장은 신체 장기에서 가장 중요한 대사 기관의 하나로서, 담즙분비, 영양소의 저장, 해독작용 등의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간장에 이상이 생길 경우에는 당질대사, 지질대사, 단백질과 질소 대사, 아미노산 대사, 단백질 대사와 간성 뇌질환, 비타민 대사, 흡수 불량 등의 대사성 장애가 발생하고, 감염, 지방성 간장, 간경변증 등으로 간장질환이 악화될 수 있다. 현재까지 알려진 간장질환으로는 약물 등에 의한 급성 간염, 음주 등에 의한 지방간,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급성 간염, 전기 급성 간염이 변형된 만성 간염 또는 전기 장해에 수반되는 간경변 등의 다양한 간장기능장해를 나타내는 질환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간장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약물을 개발하려는 노력이 계속되고 있으나, 지금까지 간장질환에 대하여 임상적으로 효과가 인정되는 약물은 소수에 불과하다. 이러한 약물의 약리효과를 검색하기 위하여 가장 유용한 방법으로서는, 사염화탄소(CCl4)에 의한 유발되는 혈청 중의 GOT 및 GPT의 수준의 급격한 증가에 대한 보호효과를 측정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으며, 이렇게 사염화탄소에 의하여 유발된 간장질환을 억제할 수 있는 물질로서 검색된 약물은 간보호 활성(liver-protective action) 및 해독촉진효과(detoxifying effect)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참조: Kiso, Y., Shoyaku, 36:238-243, 1982; Glende, E. A., Biochem. Pharmacol., 25:2163-2169, 1976). 또한, 사염화탄소와 유사하게 간장질환을 유발시킬 수 있는 물질로서 알려진 갈락토사민은 간에 특이적으로 작용하여 각종 질환을 야기시킬 수 있는데, 주로 간세포괴사 및 간세포와 간문맥(hepatic portal vein)에서의 염증을 유발시키고, 만성 간장질환으로 유도할 경우, 간경변, 세포성 종양을 유발시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까지, 간장질환의 치료제로서 다양한 제품이 개발되어 있으나, 실질적으로 효능을 입증받은 것은 실리마린(silymarin, SIL), 비페닐 디메틸 디카르복실산염(biphenyl dimethyl dicarboxylate, DDB), 우르소데옥시콜린산(ursodeoxycholic acid, UDCA) 등 몇종류에 불과하며, 이들 치료제는 적용될 수 있는 간장질환의 종류가 제한되어 있다는 단점이 있다. 이는 간장의 다양한 기능으로 인하여, 한 종류의 질환을 치료하기 위하여 치료제를 투여할 경우, 목적하는 질환은 치료할 수 있었으나, 예상치 못한 부작용이 발생할 수도 있고, 간장질환이 오진되는 경우, 치료제의 잘못된 투여로 인하여, 간장질환이 더욱 악화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현재까지 개발된 약물들은 대부분이 발병된 간장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약물이며, 간장질환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약물에 대한 연구성과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부작용이 없고 간장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사용할 수 있는 약물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어, 천연물 추출물로부터 부작용이 없는 간장질환의 예방 및 치료효과를 나타내는 성분을 추출하려는 노력이 계속되었다. 예를 들어, 녹차에서 추출된 추출물이 UDP-글루쿠로노실 트랜스퍼라제(UDP-glucuronosyl transferase)의 활성을 증가시켜서, 간장내 발암물질의 배출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결과(참조: A. Bu-Abbas et al., Food and Chemical Toxicology, 33(1):27-30, 1995; O. S. Sohn et al., Food and Chemical Toxicology, 36:617-621, 1998)가 보고되기도 하였으나, 실질적인 간암의 치료효과를 증명하지는 못하였으며, 그 외의 간장 질환을 호전시킬 수 있는 추출물에 대한 연구는 별다른 진전이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부작용이 없고 간장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사용할 수 있는 약물을 개발하여야 할 필요성이 끊임없이 대두되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부작용이 없고 간장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사용할 수 있는 약물을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한 결과, 녹차 추출물로부터 수득한 녹차카테킨이 간장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탁월한 효과를 나타내어 간 기능 개선제로서 이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결국,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녹차카테킨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기능 개선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간 기능 개선제는 에피갈로카테킨-3-갈레이트(EGCG, C22H18O11, 분자량 458.4), 에피갈로카테킨(EGC, C15H14O7, 분자량 306.3) 및 에피카테킨-3-갈레이트(ECG, C22H18O10, 분자량 442.5)를 포함하는 녹차카테킨(green tea catechins, GTC)을 유효성분으로 하고,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한다: 이때, GTC에 함유된 EGCG, EGC 및 ECG의 함량은 특별히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25 내지 70중량%의 EGCG, 6 내지 30중량%의 EGC 및 2 내지 20중량%의 ECG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녹차카테킨(Green Tea Catechins, GTC)"이란 녹차에서 추출되어, 에피갈로카테킨-3-갈레이트(EGCG, C22H18O11, 분자량 458.4), 에피갈로카테킨(EGC, C15H14O7, 분자량 306.3) 및 에피카테킨-3-갈레이트(ECG, C22H18O10, 분자량 442.5)를 다양한 함량으로 포함하고, 녹차에 포함된 다른 성분들, 예를 들어 카페인, 회분 등을 카테킨보다 적은 함량으로 포함하는 추출물을 의미한다. GTC에 함유된 카테킨 성분의 함량은 특별히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추출물 중량에 대하여 80 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전체 추출물 중에 에피갈로카테킨-3-갈레이트 함량이 25 내지 70% 중량 %, 에피갈로카테킨 6 내지 30 중량% 및 에피카테킨-3-갈레이트 2 내지 2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전기 GTC의 제조방법은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유럽특허공개 제 547370A2호, 일본특허공보 평2-22755호, 대한민국 특허공고 제 1997-11555호, 일본특허공보 평7-179353호 또는 미국특허 제 5,107,000호 등에 기술된 공지된 방법을 그대로 또는 적절히 변형시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녹차카테킨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 기능 개선제는 바이러스 또는 약물에 의해 유발된 각종 간기능 손상의 예방 및 치료에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세포 보호, 급성간염의 예방 및 치료, 만성 지속성 간염의 예방 및 치료, 간 경화증의 예방 및 치료에 사용할 수 있고, 특히, 알콜의 과다 섭취에 의하여 유발된 지방간의 예방 및 치료에 사용할 수도 있다. 특히, 급성 및 만성 간염에 대하여는, 종래에 알려진 간염치료제인 실리마린, 비페닐 디메틸 디카르복실산염, 우르소데옥시콜린산 등과 동등하거나 우수한 간염 예방 및 치료효과를 나타내므로, 간장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간 기능 개선제의 유효성분으로 함유되는 GTC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결합제(예, 폴리비닐피롤리돈,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붕해제(예,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칼슘, 전분글리콜산나트륨), 희석제(예, 옥수수전분, 유당, 콩기름, 결정셀룰로오스, 만니톨), 활택제(예,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탈크), 감미제(예, 백당, 과당, 솔비톨, 아스파탐), 안정제(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알파 또는 베타 싸이클로덱스트린, 비타민 C, 구연산, 백납), 보존료(예,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안식향산나트륨) 및 향료(예, 에틸바닐린, 마스킹후레바, 멘톨후라보노, 허브향)와 혼합하여 정제, 캅셀제, 연질캅셀제, 액제, 연고제 또는 주사제와 같은 약학적 제제로 제조될 수 있다.
GTC의 급성독성실험
6 내지 7주령 된 비설치류 비글견(beagle)을 대상으로 본 발명의 GTC를 경구투여하여 24시간내의 개체사망율을 조사하였으며, 이때 암컷은 6 내지 8㎏인 개체를, 수컷은 7 내지 9㎏인 개체를 각각 8마리 사용하였다. 그 결과, 5g/kg 까지 죽은 개체가 발생하지 않아, 본 발명의 GTC는 kg당 5g까지도 급성독성을 관찰할 수 없을 만큼 안전하므로, 간염 예방 및 치료제로서 생체내에 안전하게 투여할 수 있다.
유효량
본 발명에 있어서의 약제조성물 중 유효성분인 GTC의 투여량은 환자의 연령, 성별, 증상, 투여방법 또는 예방목적에 따라, 체중 kg 당 6 내지 30㎎을 일일 1회 내지 3회 분복할 수 있다. 특이 증상을 나타내는 환자에 대한 투여용량 수준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 시간, 투여 방법, 배설율, 질환의 중증도 등에 따라 당업자가 투여량을 변화시킬 수도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녹차카테킨(GTC)의 수득
녹차(Theae sinensis L., Theaceae-var. bohea 中 yabugida, 제주도산) 1000g에 70%(v/v) 에탄올수용액 10ℓ로 85 내지 90℃에서 3시간 동안 1차 추출한 다음, 동일한 용매 5ℓ로 동일한 조건하에 2차 추출을 완료하여, 진공회전증발기에서 약 1000㎖이 될 때까지 농축하였다. 전기 농축액에 물을 가하여 2 내지 3배로 희석시키고, 14,000rpm에서 20분간 원심분리하여 고형성분을 완전히 제거한 다음, 모아진 상등액을 1.2배의 클로로포름으로 2회 추출하였다. 그런 다음, 클로로포름층을 제거하고, 수층을 1.2배의 에틸아세테이트로 4회 추출하여 얻은 액을 합한 후, 추출용매가 완전히 없어질 때까지 감압건조시켰다. 전기 건조물을 소량의 물로 용해시키고 동결건조하여 GTC 분말을 수득하였다.
또한, 수득한 GTC 분말에 함유된 카테킨의 함량을 공지된 방법에 의하여 측정한 결과(참조: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 2001-84165호), 전기 수득한 GTC 분말의 중량에 대하여, 에피갈로카테킨-3-갈레이트 37.5%(w/w), 에피갈로카테킨 12.5%(w/w), 에피카테킨-3-갈레이트 5.7%(w/w) 및 잔량의 기타 카테킨을 함유함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2: 사염화탄소에 의해 유도되는 간염의 예방효과
전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GTC 및 공지된 간염치료제인 실리마린, DDB 및 UDCA를 이용하여, 사염화탄소의 처리에 의하여 유발되는 간염을 예방할 수 있는지 알아보았다.
생리식염수(대조군), GTC 50mg/kg(실험군 1), GTC 100mg/kg(실험군 2), 실리마린 100mg/kg(실험군 3), DDB 100mg/kg(실험군 4) 및 UDCA 100mg/kg(실험군 5)를 1일 1회 3일간 웅성 랫트에 경구투여한 후, 간독성 유발 물질인 사염화탄소 0.5㎖/㎏(50% in olive oil)를 각 실험군이 투여된 쥐의 복강에 1회 투여하였다. 24시간이 경과한 다음, 쥐의 복부 정중선을 절개하여 복부 대동맥에서 채혈하여 혈액을 간기능 측정키트(Sigma Chem. Co., USA)에 적용하여, 혈청효소인 AST와 ALT의 활성도를 측정하였다(참조: 표 1).
본 발명의 GTC 및 각 간염치료제의 AST 및 ALT 활성도 비교
처리군 AST(IU/L) ALT(IU/L)
대조군 262.1 ±1.2 80.0 ±9.7
실험군 1 153.7 ±3.6 55.6 ±5.5
실험군 2 122.0 ±7.8 32.2 ±6.8
실험군 3 167.9 ±3.2 52.3 ±6.3
실험군 4 158.5 ±3.0 39.4 ±0.4
실험군 5 125.6 ±8.4 28.5 ±0.7
상기 표 1에서 보듯이, GTC를 투여한 실험군은 대조군의 AST와 ALT의 효소활성을 각각 약 58% 및 68%까지 억제시켜 간염예방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대조 약물로 사용한 공지된 간염치료제도 일정한 수준의 간염예방 효과를 나타내었으나, 본 발명의 GTC를 투여한 실험군보다는 낮은 수준의 효과임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3: 사염화탄소에 의해 유도된 간염의 치료효과
본 발명의 GTC 및 공지된 간염치료제인 실리마린, DDB 및 UDCA를 이용하여, 사염화탄소의 처리에 의하여 유발된 간염을 치료할 수 있는지 알아보았다.
간독성 유발 물질인 사염화탄소 0.5㎖/㎏(50% in olive oil)를 웅성 랫트의 복강에 1회 투여한 다음, 생리식염수(대조군), GTC 50mg/kg(실험군 1), GTC 100mg/kg(실험군 2), 실리마린 100mg/kg(실험군 3), DDB 100mg/kg(실험군 4) 및 UDCA 100mg/kg(실험군 5)를 각각 경구투여하였다. 24시간이 경과한 다음, 쥐의 복부 정중선을 절개하여 복부 대동맥에서 채혈하여 혈액을 간기능 측정키트(Sigma Chem. Co., USA)에 적용하여, 혈청효소인 AST와 ALT의 활성도을 측정하였다(참조: 표 2).
본 발명의 GTC 및 각 간염치료제의 AST 및 ALT 활성도 비교
처리군 AST(IU/L) ALT(IU/L)
대조군 156.2 ±0.3 105.4 ±0.6
실험군 1 106.5 ±2.0 55.4 ±0.2
실험군 2 124.5 ±3.0 71.3 ±0.2
실험군 3 158.3 ±3.2 84.9 ±6.3
실험군 4 88.6 ±5.5 43.8 ±0.4
실험군 5 101.2 ±5.2 60.1 ±0.8
상기 표 2에서 보듯이, GTC를 투여한 실험군은 대조군의 AST와 ALT의 효소활성을 각각 약 32% 및 48%까지 억제시켜 간염치료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대조 약물로 사용한 공지된 간염치료제도 일정한 수준의 간염예방 효과를 나타내었으나, 실리마린(실험군 3)은 AST의 수준을 전혀 감소시키지 못하였고, DDB(실험군 4)를 제외한 다른 공지된 간염치료제도, 본 발명의 GTC를 투여한 실험군보다는 동등하거나 낮은 수준의 치료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4: 갈락토사민에 의해 유도되는 간염의 예방효과
사염화탄소 대신에, 갈락토사민(400mg/kg in saline)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각 간염치료제의 간염예방 효과를 비교하였다(참조: 표 3).
본 발명의 GTC 및 각 간염치료제의 AST 및 ALT 활성도 비교
처리군 AST(IU/L) ALT(IU/L)
대조군 576.0 ±4.0 276.2 ±8.0
실험군 1 236.3 ±3.1 115.0 ±3.9
실험군 2 214.0 ±0.7 108.3 ±1.7
실험군 3 206.3 ±1.2 110.3 ±3.8
실험군 4 250.8 ±0.3 100.5 ±4.8
실험군 5 258.0 ±1.3 97.5 ±6.9
상기 표 3에서 보듯이, GTC를 투여한 실험군은 대조군의 AST와 ALT의 효소활성을 각각 약 60% 및 59%까지 억제시켜 간염예방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대조 약물로 사용한 공지된 간염치료제도 일정한 수준의 간염예방 효과를 나타내었으나, 본 발명의 GTC를 투여한 실험군보다는 동등하거나 낮은 수준의 효과임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5: 갈락토사민에 의해 유도되는 간염의 치료효과
사염화탄소 대신에, 갈락토사민(400mg/kg in saline)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각 간염치료제의 간염예방 효과를 비교하였다(참조: 표 4).
본 발명의 GTC 및 각 간염치료제의 AST 및 ALT 활성도 비교
처리군 AST(IU/L) ALT(IU/L)
대조군 233.7 ±4.9 137.4 ±1.0
실험군 1 119.9 ±3.0 44.5 ±7.9
실험군 2 116.9 ±4.3 36.2 ±0.4
실험군 3 136.4 ±2.9 44.3 ±0.7
실험군 4 89.2 ±7.1 28.8 ±0.1
실험군 5 117.6 ±0.9 35.0 ±0.9
상기 표 4에서 보듯이, GTC를 투여한 실험군은 대조군의 AST와 ALT의 효소활성을 각각 약 49% 및 68%까지 억제시켜 간염치료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대조 약물로 사용한 공지된 간염치료제도 일정한 수준의 간염예방 효과를 나타내었으나, DDB(실험군 4)를 제외한 다른 공지된 간염치료제도, 본 발명의 GTC를 투여한 실험군보다는 동등하거나 낮은 수준의 치료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6: 알코올에 의해 유도된 간염의 치료효과
본 발명의 GTC 및 공지된 간염치료제인 실리마린을 이용하여, 알코올에 의하여 유발된 간염을 치료할 수 있는지 알아보았다.
GTC 100mg/kg(실험군 1), GTC 200mg/kg(실험군 2) 및 실리마린 100mg/kg(실험군 3)을 1일 1회씩 4주동안 경구투여한 각각의 웅성 랫트에 에탄올을 8g/kg의 양으로 1일 2회씩 4주동안 병행하여 경구투여하였다. 그런 다음, 쥐의 복부 정중선을 절개하여 복부 대동맥에서 채혈하여 혈액을 간기능 측정키트(Sigma Chem. Co., USA)에 적용하여, 혈청효소인 AST와 ALT의 활성도을 측정하였다(참조: 표 5). 이때, 음성대조군으로는 에탄올 대신에 생리식염수만을 투여한 것을 사용하고, 양성대조군으로는 에탄올만을 투여한 것을 사용하였다.
GTC 및 실리마린 투여에 따른 AST 및 ALT 활성도 변화
처리군 AST(IU/L) ALT(IU/L)
음성대조군실험군 1실험군 2실험군 3양성대조군 67.0 ±5.0132.0 ±1.199.0 ±4.896.8 ±4.0170.0 ±7.6 36.0 ±2.070.5 ±5.151.5 ±7.445.0 ±4.397.4 ±8.4
상기 표 5에서 보듯이, 양성대조군은 AST 및 ALT 수치가 급격히 증가하여 간염증상을 나타내었으나, GTC를 함께 투여한 실험군 1 및 2는 AST 및 ALT 수치가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을 유지하였으며, 이는 공지된 간염치료제인 실리마린과 유사한 수준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GTC는 알코올에 의하여 유발된 간기능 손상을 예방 및 치료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되었다.
실시예 7: 병리조직학적 검사
전기 실시예 2 내지 5의 대조군 및 실험군 2에서 얻어진 간 조직을 10%(v/v) 포르말린 수용액으로 고정시키고, 조직절편으로 제조한 다음, 헤마톡실린과 에오신으로 염색한 후, 광학현미경으로 각 조직을 관찰하였다(참조: 도 1a, 도 1b, 도 2a, 도 2b, 도 3a, 도 3b, 도 4a 및 도 4b). 도 1a는 사염화탄소를 처리하여 간염이 유도된 실시예 2의 대조군의 간 조직을 나타내는 현미경 사진이고, 도 1b는 GTC를 먼저 처리한 후, 사염화탄소를 처리하여 간염유발이 예방된 실시예 2의 실험군 2의 간 조직을 나타내는 현미경 사진이며, 도 2a는 사염화탄소를 처리하여 간염이 유도된 실시예 3의 대조군의 간 조직을 나타내는 현미경 사진이고, 도 2b는 사염화탄소를 처리하여 간염이 유도된 간조직에 GTC를 처리하여, 간염이 치료된 실시예 3의 실험군 2의 간 조직을 나타내는 현미경 사진이며, 도 3a는 갈락토사민을 처리하여 간염이 유도된 실시예 4의 대조군의 간 조직을 나타내는 현미경 사진이고, 도 3b는 GTC를 먼저 처리한 후, 갈락토사민을 처리하여 간염유발이 예방된 실시예 4의 실험군 2의 간 조직을 나타내는 현미경사진이며, 도 4a는 갈락토사민을 처리하여 간염이 유도된 실시예 5의 대조군의 간 조직을 나타내는 현미경 사진이고, 도 4b는 갈락토사민을 처리하여 간염이 유도된 간 조직에 GTC를 처리하여, 간염이 치료된 실시예 5의 실험군 2의 간 조직을 나타내는 현미경사진이다. 상기 도 1a 내지 도 4b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GTC는 간염의 예방 및 치료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8: GTC의 최적 조성비 결정
본 발명의 GTC에 함유된 EGCG, EGC 및 ECG의 함량변화에 따른 간염 예방 및 치료효과를 비교하여, 최적의 간염 예방 및 치료효과를 나타내는 EGCG, EGC 및 ECG의 조성비를 결정하였다.
실시예 8-1: EGCG의 함량결정
12중량%의 EGC 및 5중량%의 ECG를 포함하고, EGCG의 함량이 10, 20, 30, 40, 50, 60, 70 및 80중량%인 GTC를 각각 제조한 후, 실험군 1 내지 5 대신에 전기 제조된 각 GTC를 100mg/kg으로 처리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사염화탄소에 의하여 유도된 간염의 예방효과를 비교하였다(참조: 표 6).
각 GTC의 간염 예방효과 비교
EGCG의 함량(중량%) AST(IU/L) ALT(IU/L)
0(대조군) 262.1 ±1.2 80.0 ±9.7
10 221.0 ±3.7 72.2 ±3.3
20 153.5 ±3.6 59.2 ±7.1
30 122.0 ±7.6 32.2 ±4.8
40 121.6 ±5.3 31.8 ±7.7
50 121.0 ±6.4 31.6 ±5.3
60 122.0 ±5.8 32.8 ±9.2
70 123.0 ±3.9 33.0 ±6.6
80 130.5 ±6.2 38.6 ±2.5
상기 표 6에서 보듯이, EGCG의 함량이 20 내지 80중량%인 경우, 간염 예방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었고,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한정하기 위하여 EGCG의 함량이 20, 22, 24, 26, 28, 30, 70, 72, 74, 76, 78 및 80중량%인 GTC를 각각 제조한 후, 동일한 방법으로 각 GTC의 간염 예방효과를 비교하였다(참조: 표 7).
각 GTC의 간염 예방효과 비교
EGCG의 함량(중량%) AST(IU/L) ALT(IU/L)
0(대조군) 262.1 ±1.2 80.0 ±9.7
20 153.5 ±0.2 59.2 ±7.1
22 151.6 ±1.6 53.2 ±8.1
24 148.0 ±2.4 50.1 ±3.2
26 122.8 ±3.8 32.9 ±7.7
28 122.5 ±7.1 32.6 ±5.8
30 122.0 ±7.6 32.2 ±4.8
70 123.0 ±3.9 33.0 ±6.6
72 129.2 ±3.3 37.6 ±2.3
74 128.2 ±7.4 38.5 ±6.8
76 129.8 ±6.3 39.7 ±7.8
78 130.6 ±7.9 37.2 ±1.9
80 130.5 ±6.2 38.6 ±2.5
상기 표 7에서 보듯이, EGCG의 함량이 25 내지 70중량%인 경우, 간염 예방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8-2: EGC의 함량결정
60중량%의 EGCG 및 5중량%의 ECG를 포함하고, EGC의 함량이 5, 10, 15, 20, 25, 30, 35 및 40중량%인 GTC를 각각 제조한 후, 실험군 1 내지 5 대신에 전기 제조된 각 GTC를 100mg/kg으로 처리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사염화탄소에 의하여 유도된 간염의 예방효과를 비교하였다(참조: 표 8).
각 GTC의 간염 예방효과 비교
EGC의 함량(중량%) AST(IU/L) ALT(IU/L)
0(대조군) 262.1 ±1.2 80.0 ±9.7
5 131.1 ±3.7 42.2 ±3.3
10 121.9 ±3.8 33.6 ±5.5
15 122.0 ±7.6 32.2 ±7.8
20 123.6 ±4.1 32.8 ±1.4
25 122.0 ±7.6 32.6 ±5.3
30 123.6 ±4.1 32.8 ±9.2
35 131.2 ±6.4 38.6 ±5.3
40 135.3 ±5.3 39.8 ±9.2
상기 표 8에서 보듯이, EGC의 함량이 5 내지 30중량%인 경우, 간염 예방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었고,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한정하기 위하여 EGC의 함량이 5, 7, 9, 30, 32 및 34중량%인 GTC를 각각 제조한 후, 동일한 방법으로 각 GTC의 간염 예방효과를 비교하였다(참조: 표 9).
각 GTC의 간염 예방효과 비교
EGC의 함량(중량%) AST(IU/L) ALT(IU/L)
0(대조군) 262.1 ±1.2 80.0 ±9.7
5 131.1 ±3.7 42.2 ±3.3
7 123.7 ±5.8 35.7 ±9.1
9 121.5 ±4.7 33.0 ±0.4
30 123.6 ±4.1 32.8 ±1.4
32 129.4 ±5.6 37.9 ±5.5
34 131.2 ±6.4 38.6 ±5.3
상기 표 9에서 보듯이, EGC의 함량이 6 내지 30중량%인 경우, 간염 예방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8-3: EGC의 함량결정
60중량%의 EGCG 및 12중량%의 EGC를 포함하고, ECG의 함량이 5, 10, 15, 20, 25 및 30중량%인 GTC를 각각 제조한 후, 실험군 1 내지 5 대신에 전기 제조된 각 GTC를 100mg/kg으로 처리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사염화탄소에 의하여 유도된 간염의 예방효과를 비교하였다(참조: 표 10).
각 GTC의 간염 예방효과 비교
ECG의 함량(중량%) AST(IU/L) ALT(IU/L)
0(대조군) 262.1 ±1.2 80.0 ±9.7
5 122.0 ±7.8 32.2 ±6.8
10 121.9 ±3.8 33.6 ±5.6
15 121.5 ±7.6 33.2 ±4.7
20 121.6 ±4.7 33.8 ±5.6
25 132.5 ±6.6 38.2 ±4.9
30 133.6 ±4.1 39.8 ±6.6
상기 표 10에서 보듯이, ECG의 함량이 5 내지 20중량%인 경우, 간염 예방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었고,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한정하기 위하여 ECG의 함량이 1, 3, 5, 20, 22 및 24중량%인 GTC를 각각 제조한 후, 동일한 방법으로 각 GTC의 간염 예방효과를 비교하였다(참조: 표 11).
각 GTC의 간염 예방효과 비교
ECG의 함량(중량%) AST(IU/L) ALT(IU/L)
0(대조군) 262.1 ±1.2 80.0 ±9.7
1 131.1 ±8.7 44.2 ±3.9
3 123.6 ±2.5 33.4 ±5.7
5 122.0 ±7.8 32.2 ±6.8
20 121.5 ±7.6 33.2 ±4.7
22 128.7 ±5.5 38.3 ±6.0
24 130.3 ±7.4 37.9 ±4.6
상기 표 11에서 보듯이, ECG의 함량이 2 내지 20중량%인 경우, 간염 예방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 8-1 내지 8-3의 결과를 종합하면, 25 내지 70중량%의 EGCG, 6 내지 30중량%의 EGC 및 2 내지 20중량%의 ECG를 포함하는 GTC는 간염 예방효과가 현저히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전기 최적의 상기 함량을 포함하는 GTC는 사염화탄소 및 갈락토사민으로 인하여 유발된 간염을 치료하는 효과면에서도 현저히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하고 입증하였듯이, 본 발명은 녹차에서 추출된 녹차카테킨을 유효성분으로 하고,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간 기능 개선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간 기능 개선제는 간기능 손상, 급성 간염, 만성 지속성 간염 또는 간 경화증 등의 간장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a는 사염화탄소를 처리하여 간염이 유도된 간 조직을 나타내는 현미경 사진이다.
도 1b는 녹차카테킨에 의하여, 사염화탄소로 인한 간염유발이 예방된 간 조직을 나타내는 현미경 사진이다.
도 2a는 사염화탄소를 처리하여 간염이 유도된 간 조직을 나타내는 현미경 사진이다.
도 2b는 녹차카테킨에 의하여, 사염화탄소로 인한 간염유발이 치료된 간 조직을 나타내는 현미경 사진이다.
도 3a는 갈락토사민을 처리하여 간염이 유도된 간 조직을 나타내는 현미경 사진이다.
도 3b는 녹차카테킨에 의하여, 갈락토사민으로 인한 간염유발이 예방된 간 조직을 나타내는 현미경 사진이다.
도 4a는 갈락토사민을 처리하여 간염이 유도된 간 조직을 나타내는 현미경 사진이다.
도 4b는 녹차카테킨에 의하여, 갈락토사민으로 인한 간염유발이 치료된 간 조직을 나타내는 현미경 사진이다.

Claims (7)

  1. 에피갈로카테킨-3-갈레이트(EGCG, C22H18O11, 분자량 458.4), 에피갈로카테킨(EGC, C15H14O7, 분자량 306.3) 및 에피카테킨-3-갈레이트(ECG, C22H18O10, 분자량 442.5)를 포함하는 녹차카테킨(green tea catechins, GTC)을 유효성분으로 하고,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간 기능 개선제.
  2. 제 1항에 있어서,
    녹차카테킨의 중량에 대하여, 에피갈로카테킨-3-갈레이트의 함량은 25 내지 70중량%이고, 에피갈로카테킨의 함량은 6 내지 30중량%이며, 에피카테킨-3-갈레이트의 함량은 2 내지 2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 기능 개선제.
  3. 제 1항에 있어서,
    간기능 손상, 급성 간염, 만성 지속성 간염 또는 간 경화증에 유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 기능 개선제.
  4. 제 1항에 있어서,
    바이러스 또는 약물에 의해 유발된 간기능 손상에 유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 기능 개선제.
  5. 제 4항에 있어서,
    약물에 의해 유발된 간기능 손상은 알콜성 지방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 기능 개선제.
  6. 녹차카테킨의 중량에 대하여, 25 내지 70중량%의 에피갈로카테킨-3-갈레이트(EGCG, C22H18O11, 분자량 458.4), 6 내지 30중량%의 에피갈로카테킨(EGC, C15H14O7, 분자량 306.3) 및 2 내지 20중량%의 에피카테킨-3-갈레이트(ECG, C22H18O10, 분자량 442.5)를 포함하는 녹차카테킨(green tea catechins, GTC)을 유효성분으로 하고,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간염 치료제.
  7. 녹차카테킨의 중량에 대하여, 25 내지 70중량%의 에피갈로카테킨-3-갈레이트(EGCG, C22H18O11, 분자량 458.4), 6 내지 30중량%의 에피갈로카테킨(EGC, C15H14O7, 분자량 306.3) 및 2 내지 20중량%의 에피카테킨-3-갈레이트(ECG, C22H18O10, 분자량 442.5)를 포함하는 녹차카테킨(green tea catechins, GTC)을 유효성분으로 하고,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간염 예방제.
KR1020040018824A 2003-08-30 2004-03-19 녹차카테킨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염 예방 및 치료제 KR1005927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0614 2003-08-30
KR20030060614 2003-08-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2250A true KR20050022250A (ko) 2005-03-07
KR100592792B1 KR100592792B1 (ko) 2006-06-26

Family

ID=37230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8824A KR100592792B1 (ko) 2003-08-30 2004-03-19 녹차카테킨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염 예방 및 치료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279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10620A1 (en) * 2006-07-21 2008-01-24 Ben's Lab Co., Ltd. Composition comprising the crude drug extracts for improving liver function
KR101958975B1 (ko) * 2017-11-30 2019-03-19 주식회사 비케이바이오 해조류 복합추출물 및 식물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방간 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0096299A1 (ko) * 2018-11-05 2020-05-14 (주)아모레퍼시픽 성분 함량이 변화된 녹차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20200108399A (ko) * 2018-10-24 2020-09-18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녹차 카테킨을 포함하는 중성지방 저감용 식품 조성물, 대사성 질환 개선용 식품 조성물 및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CN112996526A (zh) * 2018-11-05 2021-06-18 株式会社爱茉莉太平洋 成分含量变化的绿茶提取物及包含其的组合物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10620A1 (en) * 2006-07-21 2008-01-24 Ben's Lab Co., Ltd. Composition comprising the crude drug extracts for improving liver function
KR101958975B1 (ko) * 2017-11-30 2019-03-19 주식회사 비케이바이오 해조류 복합추출물 및 식물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방간 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108399A (ko) * 2018-10-24 2020-09-18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녹차 카테킨을 포함하는 중성지방 저감용 식품 조성물, 대사성 질환 개선용 식품 조성물 및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WO2020096299A1 (ko) * 2018-11-05 2020-05-14 (주)아모레퍼시픽 성분 함량이 변화된 녹차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CN112996526A (zh) * 2018-11-05 2021-06-18 株式会社爱茉莉太平洋 成分含量变化的绿茶提取物及包含其的组合物
EP3878460A4 (en) * 2018-11-05 2022-11-23 Amorepacific Corporation GREEN TEA EXTRACT WITH MODIFIED INGREDIENT CONTENT AND COMPOSITION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92792B1 (ko) 2006-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991742A1 (en) Coronavirus therapeutic agent comprising elaeocarpus sylvestris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EP0573682A1 (en) Tea polyphenols as anti-hyperglycemic agents
KR100592792B1 (ko) 녹차카테킨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염 예방 및 치료제
KR100592796B1 (ko) 녹차카테킨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지혈증 예방 및치료제
KR102208221B1 (ko) 신경근육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030001659A (ko) 흰점박이꽃무지 추출물 및 이의 용도
KR100529991B1 (ko) 간염 치료제 및 예방제 또는 간보호제로 유용한 섬오갈피추출물
KR20100096566A (ko) 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가공된 알로에 베라 추출물, 및 가공된 알로에 베라 추출물과 밀크씨슬의 배합요법
JP2955679B2 (ja) エタノール代謝促進剤
KR100653877B1 (ko) α-리포산 함유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H11209282A (ja) ベルゲニン及びその誘導体を有効成分とする肝機能改善剤
CN111032067A (zh) 用于治疗脂肪肝病的刺地榆提取物
JP2857388B1 (ja) アカメガシワ樹皮のエキスを有効成分とする肝機能改善剤、肝機能改善飲料、及び肝機能改善茶
JP2001335503A (ja) ラジカル消去用医薬品
TWI766295B (zh) 一種草本組合物及其降尿酸、降低體脂肪及降低血糖之用途
KR102069125B1 (ko) 강황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손상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109566B1 (ko) 잣잎, 삼백초 및 구기자의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EP1925312B1 (en) Fermented licorice root for treatment of complications of diabetes mellitus
EP1062946A1 (en) Preventives and remedies for intestinal mucosal disorder
CA2070114C (en) A method of treating hyperglycemia
KR100513125B1 (ko) 장생도라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장의항섬유화제
KR100660961B1 (ko) 죽초액을 포함하는 간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20003246A (ko) 괭생이모자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용종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069853A (ko) 근육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210109953A (ko)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 및 녹차씨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코올성 위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7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