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3877B1 - α-리포산 함유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α-리포산 함유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3877B1
KR100653877B1 KR1020040111283A KR20040111283A KR100653877B1 KR 100653877 B1 KR100653877 B1 KR 100653877B1 KR 1020040111283 A KR1020040111283 A KR 1020040111283A KR 20040111283 A KR20040111283 A KR 20040111283A KR 100653877 B1 KR100653877 B1 KR 1006538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ver
composition
lipoic acid
carbon tetrachloride
selen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1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72603A (ko
Inventor
권철
권혁진
Original Assignee
한서제약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서제약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서제약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11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3877B1/ko
Publication of KR200600726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26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38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38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8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sulfur as a ring hetero atom
    • A61K31/38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sulfur as a ring hetero atom having two or more sulfur atoms in the same 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61K31/3533,4-Dihydrobenzopyrans, e.g. chroman, catechin
    • A61K31/355Tocopherols, e.g. vitamin 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65Lactones
    • A61K31/375Ascorbic acid, i.e. vitamin C; Sal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04Sulfur, selenium or tellur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α-리포산(α-lipoic acid), 비타민, 특히 아스코르브산 및 토코페롤, 및 셀레늄이 배합된 지방간, 간 섬유화, 간경변 등의 만성 간장해, 바이러스 또는 약물로 인한 간염 등과 같은 급·만성 간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간기능 개선 또는 간보호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α-리포산 함유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liver diseases comprising α-lipoic acid}
도 1은 사염화탄소 투여 48 시간 후 간장의 병리조직학적 검사결과(육안)를 나타낸 사진이고;
도 2는 사염화탄소 투여 48 시간 후 간장의 병리조직학적 검사결과(×100)를 나타낸 사진이며;
도 3은 사염화탄소 투여 48 시간 후 간장의 병리조직학적 검사결과(×100)를 나타낸 사진이고;
도 4는 사염화탄소 투여 24 시간 후 간효소 수치를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5는 사염화탄소 투여 48 시간 후 간효소 수치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6은 사염화탄소 투여 48 시간 후 간조직 내 지질과산화물 양을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7은 사염화탄소 투여 48 시간 후 간조직 내 하이드록시프롤린 양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α-리포산(α-lipoic acid), 비타민, 특히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 및 토코페롤(tocopherol), 및 셀레늄(selenium)이 배합된 지방간, 간 섬유화, 간경변 등의 만성 간장해, 바이러스 또는 약물로 인한 간염 등과 같은 급·만성 간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간기능 개선 또는 간보호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은 과도한 스트레스와 음주, 흡연 및 각종 공해에 의한 환경오염 등으로 인하여 다양한 간질환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대표적인 간질환으로 간경화증, 알콜성 간경변, 지방간, 중독성 간질환, 급·만성 바이러스성 간염 등이 있다. 이러한 간질환은 종종 심각한 간기능 손상 및 합병증을 초래하기 때문에 현대인들에게는 큰 위협이 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간질환을 효과적으로 치료하면서 손상된 간기능을 회복시킴으로써 재발 없이 근본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방법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간질환의 치료방법은 크게 식이요법과 약제요법으로 구분되며, 대부분의 경우에 이 두 가지 방법을 병용하고 있다. 간질환에 대한 약제요법에서는 간질환의 발병 원인 및 종류에 따라 다양한 작용기전을 갖는 약제들이 이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우루소데옥시콜린산(ursodexoycholic acid), 실리마린(silymarine), 비페닐디메틸디카복실레이트(biphenyldimethyldicarboxylate, DDB), 글루타티온(glutathione), 오로트산 카르니틴(carnitine orotate), 글리시르히진(glycyrrhizin), 간 추출물, 종합 비타민제 등과 같은 간세포 재생 촉진제 및 간기능 보조제, 아시클로바(acyclovir)와 같은 항바이러스제, 코티코스테로이드(corticosteroid), 6-머캅토퓨린(6-mercaptopurine, 6-MP), 아자티오프린(azathioprine) 등과 같은 면역억제제, D-페니실아민(penicillamine) 같은 섬유화 억제제 등의 약제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실제로 간질환의 병인학적 접근에 의한 근원적 치료개념을 갖는 약물은 거의 없는 실정이다.
한편, α-리포산은 하기 화학식 1로 나타내어지며, 6,8-디티옥탄산(6,8-dithiooctanoic aci) 또는 티옥트산(thioctic acid)이라고도 불린다:
Figure 112004060975690-pat00001
α-리포산은 강력한 항산화 효과로 노화방지와 주름살을 예방 및 제거하는 최고의 기능성 화장품의 주원료나, 당뇨 환자를 위한 혈당 조절, 당뇨 환자의 신경장해를 예방·치료하는 안전한 영양제로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비만 치료 및 체중 감소효과가 입증된 바 있다. α-리포산은 지방과 물에서 모두 잘 녹기 때문에 때때로 '만능 항산화제'라 불리기도 하며, 체내에서 세포 대사과정에 관여하며, 효모 및 간에 함유되어 있다. 특히, 여러 연구에 의해 α-리포산이 비타민 E에 비해 노화 및 심장병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단백질 산화를 저해하는 효능이 훨씬 좋은 것으로 밝혀져 있다. 또한, 당뇨 환자에서 심장병 발병 위험과 산화로 인한 스트레스를 모두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저밀도 리포단백질의 산화를 저해하는 동시에 인슐린 작용을 증진시킴으로써 혈당 조절기능을 향상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이, α-리포산은 지금까지 주로 항산화제, 또는 당뇨 환자의 혈당 조절 및 신경장해의 예방 또는 치료제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지방간, 간 섬유화, 간경변 등의 만성 간장해, 또는 바이러스 또는 약물로 인한 간염 등의 치료나, 간기능 개선 및 간보호에 실제로 적용된 바는 없으며, 특히 다른 비타민과 셀레늄과의 배합물로서 상기 용도로 사용된 바는 없었다.
본 발명자들은 α-리포산을 비타민 및 셀레늄과 배합하여 투여함으로써 사염화탄소 및 알콜 병용투여에 의한 지방간, 간 섬유화, 간경변 등의 만성 간장해, 바이러스 또는 약물로 인한 간염 등의 급·만성 간질환에 대해 우수한 치료효과와, 간기능 개선 및 간보호 효과를 거둘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α-리포산, 비타민 및 셀레늄이 배합된 간질환, 특히 지방간, 간 섬유화, 간경변 등의 만성 간장해, 바이러스 또는 약물로 인한 간염 등의 예방 또는 치료, 간기능 개선 또는 간보호용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은 유효성분으로서, α-리포산, 비타민 및 셀레늄을 함유하는,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 간기능 개선 또는 간보호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α-리포산, 비타민 및 셀레늄의 중량비는 0.005∼30:0.01∼60:1, 바람직하게는 1∼15:2∼30:1, 더욱 바람직하게는 3∼4:10∼14:1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α-리포산은 α-리포산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그의 염, 및 α-리포산과 동등한 약리활성을 나타내는 모든 유도체 및 유사체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또한, 비타민은 상기 α-리포산을 제외한 모든 비타민, 및 비타민 유도체 및 유사체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특히 아스코르브산, 토코페롤, 또는 이들의 혼합물, 보다 특히 아스코르브산과 토코페롤의 배합물이 바람직하다. 아스코르브산은 바람직하게는 L-아스코르브산이며, 토코페롤은 α-, β-, γ- 및 δ-토코페롤, 및 이들의 혼합물 등을 포함하며, α-토코페롤이 보다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측면은 유효성분으로서, α-리포산, 아스코르브산, 토코페롤 및 셀레늄을 함유하는,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 간기능 개선 또는 간보호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α-리포산, 아스코르브산, 토코페롤 및 셀레늄의 중량비는 0.005∼30:0.005∼30:0.005∼30:1, 바람직하게는 1∼15:1∼15:1∼15:1, 더욱 바람직하게는 3∼4:5∼7:5∼7:1이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추가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함유할 수 있으며, 간질환 치료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아미노산 제제나 간장 추출물, 예를 들어 항독성 간장 추출물(liver antitoxic fraction)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지방간, 간 섬유화, 간경변 등의 만성 간장해, 바이러스 또는 약물로 인한 간염 등의 예방 또는 치료, 간기능 개선 또는 간보호제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간질환 개선효과를 밝히기 위하여 사염화탄소 및 알콜을 병용투여하여 유발시킨 실험적 간섬유화 및 간경변 모델에 있어서 본 조성물의 치료 및 간기능 개선효과를 검색하였다.
실험방법으로는, 저용량(0.5 ㎖/㎏)의 사염화탄소를 주당 2회 8 주간 총 16회 피하투여하고, 실험물질을 4 주간 매일 경구투여한 후 부검하였다. 한편 10% 에탄올을 정상 대조군을 제외한 모든 군에게 매일 음수로 시험 종료 시까지 공급하였다. 간손상의 평가는 최종 사염화탄소 투여 24 시간 후 및 48 시간 후에 혈액을 채취하여 혈액생화학적 검사를 실시하여 수행하고, 48 시간 후의 간장을 채취하여 병리조직학적 검사, 지질과산화물 측정 및 하이드록시프롤린(hydroxyproline) 검사를 수행하였다.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간장의 육안적인 소견에 있어서, 사염화탄소 투여군은 표면은 황색으로 지방간의 외형과 소엽은 결절상의 거친 표면을 나타내었으나, 본 조성물 투여군에서는 거의 정상에 가까운 소견을 나타내었다. 혈액생화학치에 있어서, 본 조성물의 투여는 사염화탄소 투여 후 간손상의 지표가 되는 ALT 및 AST치의 상승을 농도 의존적으로 현저하게 억제하였으며, 이러한 소견은 실리마린의 효과 보다 현저하였다. 한편, 간조직에 대한 병리조직학적 검사에서 사염화탄소 단독 투여군에서는 중심정맥을 중심으로 하는 간세포의 변성, 지방방울의 침착이 현저하게 관찰되고, 섬유화에 의한 결합조직의 증식이 뚜렷하게 관찰되 었으나, 본 조성물 투여군에서는 농도 의존적으로 이러한 병변이 억제되었다. 간조직 내 지질과산화물 검사에서도, 사염화탄소 단독 투여군에 비해 현저히 감소되는 결과를 나타내었고, 간조직 내 하이드록시프롤린 검사에 있어서도 병리조직검사 결과와 일치하였다. 상기 모든 소견으로부터, 본 발명의 조성물이 실리마린 보다 현저하게 우수한 간질환 치료 및 간기능 개선효과를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본 발명의 조성물은 사염화탄소 및 알콜 병용투여에 의한 지방간, 간의 섬유화, 간경변 등의 만성 간장해, 바이러스 또는 약물로 인한 간염 등의 치료, 간기능 개선 및 간보호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인정되어, 사람의 간경변을 비롯한 사람의 급·만성 간질환에 뛰어난 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기대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실제 약제학적으로 사용 시, 바람직하게는 약제학적 분야에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인체 투여에 적합한 단위 투여형으로 제형화시켜 투여한다. 이러한 목적에 적합한 제형에는 경구투여 제제로서, 정제, 경질 및 연질 캅셀제, 환제, 산제 등의 고형 제제와 내복액제, 시럽제, 현탁제 등의 액제가 포함되며, 비경구투여 제제로서 주사제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제제에는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통상적인 불활성 담체들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형 제제에는 솔비톨, 유당, 전분, 카복시메틸셀룰로스, 카올린 등의 부형제, 물, 젤라틴, 알콜, 글루코스, 아라비아 고무, 트라가칸트 고무 등의 결합제, 전분, 덱스트린, 나트륨알기네이트 등의 붕해제, 콜로이달 실리콘디옥사이드, 탈크, 스테아르산, 스테아린 산마그네슘, 유동 파라핀 등의 활택제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액제에는 솔비톨, 백당과 같은 감미제, 오렌지유, 복숭아 향과 같은 방향제,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과 같은 방부제, 정제수 등의 용제들이 포함된다. 주사용 제제, 예를 들면 멸균 주사용 수성 또는 유성 현탁액 등은 만니톨과 같은 부형제, 적합한 분산제, 습윤제, 현탁제,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과 같은 보존제가 포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용매에는 물, 링거액 및 등장성 NaCl 용액이 있으며, 멸균 고정오일도 통상적으로 용매 또는 현탁 매질로서 사용한다. 모노-, 디-글리세라이드를 포함하여 어떠한 무자극성 고정오일도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올레산과 같은 지방산도 주사용 제제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1일 투여용량은 투여하고자 하는 대상의 간질환의 중증도, 간기능 상태, 합병증, 체중, 연령, 성 등의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지지만, 일반적으로는 성인(체중 65 ㎏)을 기준으로 상기 언급된 중량비로 배합된 조성물 10∼10,000 mg 바람직하게는 400∼1,800 ㎎, 더욱 바람직하게는 700∼1,200 ㎎을 1일 1 내지 3회 경구투여하거나 주사한다. 그러나 활동성 간경변 등과 같이 중증의 간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상기 언급된 범위를 벗어나는 대용량까지 증량시켜 투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α-리포산 2∼2,100 ㎎, 바람직하게는 80∼400 ㎎, 보다 바람직하게는 160∼240 ㎎; 아스코르브산 4∼3,600 ㎎, 바람직하게는 150∼700 ㎎, 보다 바람직하게는 270∼410 ㎎; 토코페롤 4∼3,600 ㎎, 바람직하게는 150∼700 ㎎, 보다 바람직하게는 270∼410 ㎎; 및 셀레늄 0.6∼600 ㎎, 바람직하게는 20∼100 ㎎, 보다 바람직하게는 40∼70 ㎎을 포함하는 단위 투여형을 1일 1∼3회 경구투여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탁월한 간질환 치료 및 예방효과를 제공할 뿐 아니라, 그에 의한 독성 및 부작용도 거의 없어 간질환 치료 목적으로서 뿐 아니라, 특히 예방 목적으로 장기간 복용 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나, 이들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어떤 식으로든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경질 캅셀제의 제조
α-리포산 100 ㎎
아스코르브산 172 ㎎
토코페롤 172 ㎎
셀레늄 30 ㎎
D-솔비톨 10 ㎎
유당 5 ㎎
콜로이달 실리콘디옥사이드 5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3 ㎎
총량 497 ㎎
통상적인 캅셀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 성분들을 지정된 양으로 배합한 후 , 1 캅셀 당 497 ㎎의 배합물이 되도록 적절한 크기의 경질 젤라틴 캅셀에 충진하여 목적하는 캅셀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정제의 제조
α-리포산 200 ㎎
아스코르브산 344 ㎎
토코페롤 344 ㎎
셀레늄 60 ㎎
D-솔비톨 10 ㎎
유당 5 ㎎
콜로이달 실리콘디옥사이드 5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3 ㎎
총량 971 ㎎
상기 성분들을 지정된 양으로 혼합한 후, 통상적인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연질 캅셀제의 제조
α-리포산 100 ㎎
아스코르브산 172 ㎎
토코페롤 172 ㎎
셀레늄 30 ㎎
대두유 100 ㎎
팜유 76 ㎎
총량 650 ㎎
상기 성분들을 지정된 양으로 배합한 후, 통상의 연질 캅셀제 제조방법에 따라 연질 캅셀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주사제의 제조
α-리포산 100 ㎎
아스코르브산 172 ㎎
토코페롤 172 ㎎
셀레늄 30 ㎎
주사용 증류수 적량
pH 조정제 적량
1 바이알(10 ㏄)의 주사에 상기 성분들을 통상적인 주사제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실험예
실험동물 및 실험물질:
실험동물은 SD(Sprague-Dawley) 랫트 5 주령 수컷 40 마리를 (주)샘타코바이 오 코리아로부터 구입한 후 1 주일간 검역기간을 거쳐 40 마리를 실험에 이용하였다. 본 실험은 온도 23±2 ℃, 상대습도 50±10%, 환기 횟수 10∼12회/시간, 조명시간 12 시간, 조도 150∼300 룩스의 환경에서 실시되었다. 실험동물용 고형사료와 10% 에탄올을 자유 섭취시켰다. 실험물질로는 α-리포산, 아스코르브산, 토코페롤 및 셀레늄을 각각 21%, 36%, 36% 및 6%(실시예 2의 조성비와 동일함) 함유하는 분말시료('HS0406'이라 약칭함) 1 ㎏을 CMC(carboxymethylcellulose) 5% 주사액에 혼합시켜 사용하였다.
실험방법:
실험군은 정상 대조군(0.5% CMC), 실험 대조군(CCl4 0.5 ㎖/㎏ + 0.5% CMC), 양성 대조군(실리마린 80 ㎎/㎏), 실험물질 저농도군(HS0406 200 ㎎/㎏), 실험물질 고농도군(HS0406 800 ㎎/㎏)을 설정하였다. 실험군의 구성은 선발된 수컷 40 마리의 동물을 군간 체중이 고르게 군당 8 마리씩 배치하였다.
10% 에탄올을 매일 자유섭취하게 하고 1 주일 후 정상 대조군을 제외한 모든 군의 동물에게 사염화탄소를 0.5 ㎎/㎏ 용량으로 단회 피하투여하였다. 그 후 주 2회씩 7 주간 연속투여하고, 실험물질을 4 주간 매일 경구투여한 후, 부검하였다. 한편 10% 에탄올을 정상 대조군을 제외한 모든 군에게 매일 음수로 시험 종료 시까지 공급하였다.
실험예 1: 병리조직학적 검사
최종 사염화탄소 투여 48 시간후 간장을 채취하여 병리조직학적 검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를 도 1 내지 3에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간장의 육안적인 소견에 있어서, 사염화탄소 단독 투여군은 표면은 황색으로 지방간의 외형과 소엽은 결절상의 거친 표면을 나타내었으나, 실리마린 투여군에서는 이런 소견이 약간 미약하였으나, HS0406 투여군에서는 거의 정상에 가까운 육안소견을 나타내었다. 또한,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간장의 ×40 및 ×100 소견에 있어서, 사염화탄소 단독 투여군에서는 간조직 전체에 지방방울과 변성, 종대된 간세포가 다수 관찰되었으며, 섬유화의 지표가 되는 고도의 결합조직 증식에 의한 소엽의 재구축 소견과 담관의 증식 소견이 관찰되는 간경변 현상을 나타내었다. 양성 대조군인 실리마린 투여군의 간조직은 중심정맥 주위에 대소부동의 지방방울이 나타났으나, 사염화탄소 단독 투여군과 비교하여 결합조직의 증식상은 중등도로 관찰되었다. 이에 비해, HS0406 투여군의 간조직에서는 중심정맥 주위에 미세한 지방방울이 드물게 관찰되었으며, 결합조직의 증식소견은 거의 관찰되지 않아, 거의 정상 간조직에 가까운 소견을 나타내었다.
실험예 2: 혈액생화학적 검사
ALT 및 AST는 간손상의 가장 대표적인 지표이다. 즉 ALT, AST 등의 효소활성의 상승은 간손상으로 인한 간세포의 괴사와 간조직의 파괴가 진행됨에 따라 트 랜스아미나제(transaminase)가 혈청 중으로 유리되어 높은 활성을 나타내는 것이므로 간세포의 변성 및 괴사의 지표가 된다. 또한 ALT가 AST 보다 간의 실질세포 파괴에 더욱 직접적으로 관여하기 때문에 그 수치가 훨씬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8주간 사염화탄소를 투여하여 간 섬유화를 유발시킨 후 4 주간 실험물질을 매일 1회 경구투여한 동물에서 사염화탄소 투여 24 시간 후와 48 시간 후 채혈하여 혈청 간 효소치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각각 도 4 및 5에 나타내었다(*: p<0.05에서 사염화탄소 단독 투여군과 유의한 차이를 가짐; **: p<0.01에서 사염화탄소 단독 투여군과 유의한 차이를 가짐). 도 4 및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염화탄소 단독 투여군(602.00±166.69)과 비교하여 HS0406 투여군 모두에서 ALT, AST치의 유의한 감소(270.20±145.68, 168.00±60.79)가 관찰되어 간장보호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밝혀졌다.
실험예 3: 간조직 중 지질과산화물 양의 측정
사염화탄소 투여 시 간세포에서 자유 라티칼을 만들고 생체막의 구조적 변화를 일으켜 내부 효소계가 파괴됨으로써 혈액과 조직 내의 지질과산화물 함량이 증가한다. 이에, 최종 사염화탄소 투여 48 시간 후 간장을 채취하여 지질과산화물 양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6 및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처리  OD TBARS(nM)
제1군 정상 0.682±0.02 3.136±0.08
제2군 CCl4 0.732±0.03 3.362±0.16
제3군 실리마린 0.614±0.01 2.826±0.06*
제4군 HS0406 200 ㎎ 0.588±0.02 2.707±0.09*
제5군 HS0406 800 ㎎ 0.572±0.04 2.637±0.17**
TBARS: 티오바비투르산 반응성 물질(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 p<0.05에서 사염화탄소 단독 투여군과 유의한 차이를 가짐.
**: p<0.01에서 사염화탄소 단독 투여군과 유의한 차이를 가짐.
도 6 및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HS0406을 투여한 모든 시험군에서 사염화탄소 단독 투여군(3.362±0.16)과 비교하여 2.707±0.09와 2.637±0.17로서 지질과산화물 함량은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었다. 이는 본 발명의 조성물이 사염화탄소에 의해 생성된 CCl3, 지질과산화 라디칼 등과 같은 자유 라디칼의 생성 억제 또는 제거작용을 하여 뚜렷한 감소를 유발한 것으로 판단되어, 본 발명의 조성물은 뛰어난 항산화 효과와 관련되어 지방간 등에도 뛰어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실험예 4: 간조직 중 하이드록시프롤린 양의 측정
하이드록시프롤린은 간 섬유화 또는 간경변 시 증식되는 아교섬유에만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최종 사염화탄소 투여 48 시간 후 간장을 채취하여 하이드록시프롤린 양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p<0.05에서 사염화탄소 단독 투여군과 유의 한 차이를 가짐; **: p<0.01에서 사염화탄소 단독 투여군과 유의한 차이를 가짐).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염화탄소 단독 투여군(1.161±0.07)에 비하여 HS0406 투여군 모두에서 현저하게 감소(0.922±0.09, 0.754±0.11)되었으며, 이러한 소견은 실리마린 투여군 보다 현저하였다. 이러한 소견은 병리조직학적인 소견과 일치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만성 간질환에 있어서 문제가 되는 간조직 내 결합조직의 증식을 효과적으로 억제함으로써 간 섬유화 및 간경변에 대한 치료 및 예방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기대되었다.
이상과 같이, 사염화탄소와 에탄올로 유발된 랫트의 간 섬유화 및 간경변증에 대한 본 발명의 조성물의 보호 및 치료효과를 실험한 결과,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에 의하여 지방간, 간 섬유증, 간경변, 바이러스 또는 약물로 인한 간염 등의 급·만성 간질환에 대한 뚜렷한 개선 및 치료효과가 인정되어, 본 발명의 조성물은 기존의 실리마린 보다 간보호 및 간질환 치료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사료된다.

Claims (8)

  1. 유효성분으로서, α-리포산(α-lipoic acid), 비타민 및 셀레늄을 함유하는, 지방간, 간 섬유증, 간경변 또는 바이러스 또는 약물로 인한 간염으로부터 선택되는 급·만성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α-리포산, 비타민 및 셀레늄을 0.005∼30:0.01∼60:1의 중량비로 함유하는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비타민은 아스코르브산, 토코페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조성물.
  4. 유효성분으로서, α-리포산, 아스코르브산, 토코페롤 및 셀레늄을 함유하는, 지방간, 간 섬유증, 간경변 또는 바이러스 또는 약물로 인한 간염으로부터 선택되는 급·만성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α-리포산, 아스코르브산, 토코페롤 및 셀레늄을 0.005∼30:0.005∼30:0.005∼30:1의 중량비로 함유하는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함유하는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로 아미노산 제제 또는 간장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8. 삭제
KR1020040111283A 2004-12-23 2004-12-23 α-리포산 함유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6538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1283A KR100653877B1 (ko) 2004-12-23 2004-12-23 α-리포산 함유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1283A KR100653877B1 (ko) 2004-12-23 2004-12-23 α-리포산 함유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2603A KR20060072603A (ko) 2006-06-28
KR100653877B1 true KR100653877B1 (ko) 2006-12-05

Family

ID=37165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1283A KR100653877B1 (ko) 2004-12-23 2004-12-23 α-리포산 함유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38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76864A1 (en) * 2004-11-24 2009-07-09 Hill's Pet Nutrition, Inc. Methods For Improving Hepatic and Immune Function In An Animal
KR101949317B1 (ko) 2017-05-18 2019-02-18 주식회사 인원더랜드 당구 게임 자동 매칭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WO2019124607A1 (ko) * 2017-12-22 2019-06-27 경상대학교병원 α-리포산, 에보글립틴 또는 이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알콜성 지방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WO2020138557A1 (ko) * 2018-12-28 2020-07-02 경상대학교병원 지방간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8229A (ko) * 1999-02-16 2001-12-07 더 센터 포 더 임프루브먼트 오브 휴먼 펑셔닝 인터내셔널 인코퍼레이티드 아스코르브산 및 리포산의 조합물을 암치료에 사용하는 용도
US6420342B1 (en) 2000-05-08 2002-07-16 N.V. Nutricia Nutritional preparation comprising ribose and medical use thereof
US6585998B2 (en) 2001-11-13 2003-07-01 Rudolph Cartwright Nutraceutical composit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8229A (ko) * 1999-02-16 2001-12-07 더 센터 포 더 임프루브먼트 오브 휴먼 펑셔닝 인터내셔널 인코퍼레이티드 아스코르브산 및 리포산의 조합물을 암치료에 사용하는 용도
US6420342B1 (en) 2000-05-08 2002-07-16 N.V. Nutricia Nutritional preparation comprising ribose and medical use thereof
US6585998B2 (en) 2001-11-13 2003-07-01 Rudolph Cartwright Nutraceutical composition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2603A (ko) 2006-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ellington et al. Silymarin: a review of its clinical properties in the management of hepatic disorders
KR100877600B1 (ko) 메타독신 및 마늘유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코올성지방간 및 지방간성 간염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JP2005529938A (ja) 癌の発症を予防または遅延するためのアルテミシニン様化合物を使用する方法
CA2500259A1 (en) Potent inhibitor of hcv serine protease
WO2016169573A1 (en) Sesquiterpene lactones as potent and broad spectrum antiviral compounds against all genotypes of hepatitis c virus (hcv)
RU2291696C2 (ru)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для регенерации цирротической печени
KR20120125993A (ko) C형 간염 바이러스 양성 사람 간경변 환자용 간암 발생·진전 억제제
KR100653877B1 (ko) α-리포산 함유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A2924126A1 (en) Preparation and use of a composition for prevention and mitigation of the effects of radiation
Khairnar et al. Cardiotoxicity linked to anticancer agents and cardioprotective strategy
US20160213730A1 (en) Identification of natural plant extracts harboring anti-hepatitis c virus ns5b polymerase activity
CN114555577A (zh) 用于治疗门静脉炎症和纤维化的噻吩衍生物
KR20110078525A (ko) 인삼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
RU2298411C2 (ru) Применение экстрактов ginkgo biloba для получения лекарственного средства, предназначенного для лечения саркопении
Boboeva Development of a new method for the treatment of diseases of the hepato-pancreatobiary system on the basis of the choleretic activity of rutan
KR100294329B1 (ko) 간질환 치료 및 예방용 의약 조성물
KR100592792B1 (ko) 녹차카테킨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염 예방 및 치료제
RU2250768C2 (ru)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и способ лечения прогрессирующего фиброза и цирроза печени
Apte Anti-diabetic effects of excipients: possibility of formulation of an anti-diabetic dosage form using pharmaceutical excipients or their constituents, or food additives
KR19990066786A (ko) 베르겐닌 및 그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기능 개선제
KR100473078B1 (ko) 예덕나무피엑스를유효성분으로하는간기능개선제
KR970005328B1 (ko) 간질환 치료 및 간기능 개선용 의약조성물
KR102294523B1 (ko) 진세노사이드 Rb2를 포함하는 신경세포 보호용 조성물
EP1523321B1 (fr) Utilisation d&#39;extraits de ginkgo biloba pour favoriser la masse musculaire au detriment de la masse graisseuse
KR0137602B1 (ko) 간질환 치료 및 예방용 의약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8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