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5328B1 - 간질환 치료 및 간기능 개선용 의약조성물 - Google Patents

간질환 치료 및 간기능 개선용 의약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5328B1
KR970005328B1 KR1019930017065A KR930017065A KR970005328B1 KR 970005328 B1 KR970005328 B1 KR 970005328B1 KR 1019930017065 A KR1019930017065 A KR 1019930017065A KR 930017065 A KR930017065 A KR 930017065A KR 970005328 B1 KR970005328 B1 KR 9700053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phenyldimethyldicarboxylate
acid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osition according
l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7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5312A (ko
Inventor
김순배
김광순
김완배
Original Assignee
태림제약 주식회사
김광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936232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970005328(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태림제약 주식회사, 김광순 filed Critical 태림제약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300170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5328B1/ko
Publication of KR9500053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53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53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53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1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 A61K31/216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ids having aromatic rings, e.g. benactizyne, clofib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56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 A61K31/575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substituted in position 17 beta by a chain of three or more carbon atoms, e.g. cholane, cholestane, ergosterol, sitoste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간질환 치료 및 간기능 개선용 의약조성물
본 발명은 간질환 치료 및 간기능 개선용 의약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활동성 감염 및 B형 간염에 대해 우수한 치료효과를 나타낸 뿐 아니라 간보호 및 간기능 개선효과를 동시에 나타냄으로써 우수한 상승적 약효를 제공하는 의약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은 식생활의 변화와 더불어 과도한 스트레스, 음주, 흡연, 환경 오염 등으로 인해 간기능의 손상 및 간질환의 발병 가능성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간기능 손상 및 간질환에는 예를들어 급만성 간염, 간경화증, 중독성 간질환, 알콜지방간 등의 다양한 질환이 있으나, 이중에서도 특히 최근에 이르러 심각한 사회 문제로까지 대두되고 있는 것은 전염성이 강할 뿐 아니라 만성간염, 간경변, 간암 등으로의 이환율이 높은 B형 바이러스성 간염이다. 더구나 이러한 간염등의 간질환은 종종 심각한 간기능 손상 및 합병증을 초래하기 때문에 집단적인 사회생활을 하는 현대인들에게는 큰 위협이 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B형 간염을 포함한 급만성, 활동성 간염 질환을 효과적으로 치료하면서 손상된 간기능을 회복시킴으로써 간염성 질환을 재발이 거의 없이 근본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방법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간질환의 치료방법은 크게 식이요법과 약제요법으로 구분되고 있으며, 대부분의 경우에 이 두가지 방법을 병용하고 있다. 이러한 방법중에서 간질환에 대한 약제요법에서는 매우 다양한 약제들이 이용되고 있으나 실제로 간질환의 병인학적 접근에 의한 근원적 치료개념을 갖는 약물은 거의 없는 실정이다. 간질환에 대한 약제요법에서는 질환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약제가 이용될 수 있는데, 예를들면 우루소데스옥시콜린산, 실리마린, 글루타치온, 글리시리진, 간수화물, 종합비타민제 등과 같은 간세포 재생촉진제 및 간기능 보조제, 아사이클로비르(Acyclovir : ACV)와 같은 항바이러스제, 코르티코스테로이드, 6-머캅토퓨린(6MP), 아자티오프린 등과 같은 면역억제제, D-페니실라민과 같은 섬유화 억제제, 비페닐디메틸디카복실레이트(PMC), 인터페론등의 약제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어떤 계통의 약물도 간질환의 치료에 충분히 만족스러운 효과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상기한 여러 약제들중에서 상이한 치료경로를 갖는 약물들을 적절히 배합하여 투여함으로써 간질환에 의해 손상된 간기능을 다양한 경로를 통해 동시에 복구시키면 간질환을 보다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을 것이라는 판단하에 각종 배합물에 대한 효과를 검토하여 보았다. 그 결과, 활동성 간염 및 간경변을 포함한 만성 바이러스성 간염 뿐 아니라 약물-유도된 간염에 대해 우수한 치료 및 예방효과를 나타내는 디페닐 디메틸 디카복실레이트를, 이담제로서 담도세척 작용, 담즙분비 촉진작용 및 간해독물 배설작용을 갖는 우루소데스옥시콜린산과 배합하면 간염등을 포함한 다양한 간질환에 대해 목적하는 우수한 치료효과를 제공함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비페닐 디메틸 디카복실레이트(화학명 : 디메틸-4', 4'-디메톡시-5, 6, 5', 6', -디메틸렌디옥시비페닐-2, 2'-디카볼실레이트, PMC)는 오래전부터 민간요법으로 사용되어 오던 오미자의 유효성분인 쉬잔드린(schizandrin) C와 유사한 인공합성물질로서 다음 구조식을 갖는 화합물이다.
이 비페닐디메틸디카복실레이트는 다양한 동물 실험 및 임상 실험에 의해 다양한 만성 및 바이러스성 간염에 대한 우수한 효과가 입증됨으로써 임상에 응용되고 있다. 예를들어, 동물실험에서 비페닐디메틸디카복실레이트는 사염화탄소에 의한 간손상에 대해 억제작용이 있을뿐 아니라 약리와 독성실험에서도 밝혀졌다. [Yu Hui-Qin : Diphenyl-dimethyl-dicarboxylate in treating and preventing hepatitis due to drug poisoning, Chinese Medical journal, 100(2) : 122, 1987]. 또한 디페닐 디메틸디카복실레이트가 만성활동성 간염 및 활동성 간경변증 환자에게서 부작용은 거의 없이 혈청 알라닌 아미노트랜스퍼라제(alanine aminotransferase)치를 현저히 저하시키는 것으로도 보고되었다[이효석 등, 만성 활동성 간질환 환자에게 Diphenyl-Dimethyl-Dicarboxylate의 혈청 Alanine Aminotransferase치 저하효과에 관한 전향적 무작위 선정 대조 연구, 대한내과학회잡지, 제40권 제2호, 1991]. 더구나 최근에는, 비페닐디메틸디카복실레이트가 사염화탄소 투여된 마우스의 면역생물학적 반응에 미치는 효과가 검토되었는데, 그에 따르면 비페닐디메틸디카복실레이트는 체액성면역, 세포성면역 및 비특이성 면역과 같은 면역기능을 강화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었다[안영근 등, Dipheny1-Dimethyl-Dicarboxylate가 사염화탄소로 투여된 생쥐의 면역생물학적 반응에 미치는 효과, 1992년도 제41차 대한약학회 춘계학술대회].
우루소데스옥시콜린산은 현재 간질환의 치료 및 예방을 목적으로 범용되고 있는 일반화된 약제로서 이담작용, 간혈류량 증가작용, 지방의 흡수촉진 작용 및 미세담도를 통한 노폐물 배설작용등을 가지고 있으며, 비타민제와 같은 다른 약물과의 배합시에 또는 우루소데스옥시콜린산 자체의 농도에 따라서 간기능 개선, 간질환의 예방 및 치료효과에 있어서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참조 : Am. J. of the Med. Sci., Vol. 284, No, l. 1982].
본 발명자는 상기한 비페닐디메틸디카복실레이트와 우루소데스옥시콜린산이 상이한 작용기전을 가지며, 따라서 이들을 배합하면 상호보완적인 약리작용이 기대될 수도 있다는 판단하에 이들의 배합물에 관하여 집중적인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이들의 배합에 의한 탁월한 상승적 작용효과를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비페닐디메틸디카복실레이트 및 우루소데스옥시콜린산을 함유하는 간질환 치료 및 간기능 개선용 의약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비페닐디메틸디카복실레이트를 우루소데스옥시콜린산과 배합하면, 우루소데스옥시콜린산은 계면활성작용이 있는 이담제로서 비페닐디메틸디카복실레이트의 생체내 이용율을 개선시키며, 간장내의 과산화 지질을 신속히 분해시킴으로써 지질의 과산화를 억제하는 비페닐디메틸디카복실레이트와 함께 상승적 효과를 제공하게 되므로 전반적으로 간질환의 치료기간을 단축시키고 치료효과를 극대화시키는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비페닐디메틸디카복실레이트와 우루소데스옥시콜린산의 배합비는 목적하는 간진환 치료효과 및 간기능 개선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중량기준으로 1-2 : 2-8이며, 특히는 1-1 : 2-4이다. 이중에서도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의약조성물은 디페닐 디메틸 디카복실레이트와 우루소스데옥시콜린산을 1 : 4의 중량비로 함유하는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필요에 따라 간질환 치료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보조제인 비타민류를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비타민 성분들은 단독으로 사용시에에는 간질환 치료효과가 거의 없어 간질환 치료 목적으로는 사용되지 않으나, 본 발명의 배합 조성물에 포함시키는 경우에는 우루소데스옥시콜린산의 담도세척작용을 활성화시키며, 또한 간질환 환자의 간에서 일어날 수 있는 수용성 및 지용성 비타민의 흡수불량, 저장량 저하, 활성화 장해 등에 기인한 비타민 결핍상태를 보완해 줄 수 있으므로, 본 발명 조성물에 의한 간질환 치료 및 간기능 개선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사용될 수 잇는 비타민 성분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B1, B2성분, 예를들면 염산티아민, 질산티아민, 리보플라빈, 리보플라빈테트라부티레이트등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비타민 성분이 포함되는 경우에, 비타민 성분은 바람직하게는 비페닐디메틸디카복실레이트 1 중량부당 0.01 내지 2 중량부의 비로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의약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경구투여에 적절한 통상적인 약제학적 담체, 예를들어 부형제, 희석제, 안정화제 등을 포함시켜 약제학적 분야에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다양한 경구투여용 제제, 예를들면 정제, 경질 또는 연질캅셀제, 시럽, 현탁제, 용액제 등으로 제형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목적에 적합한 약제학적 담체로는 예를들어, 정제, 캅셀제 등의 고형제제의 경우에는 락토즈,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전분, 카올린, 백당 또는 그밖에 약제학적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활탁제, 결합제, 붕해제 등과 같은 고체 담체가 이용될 수 있고, 시럽, 현탁제, 용액제 등의 액체제제인 경우에는 물, 글리콜, 오일, 에탄올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1일 투여용량은 투여하고자 하는 대상의 간질환의 중증도, 간기능 상태, 연령, 합병증 등의 다양한 용인에 따라 달라지지만, 일반적으로는 상기 언급된 중량비로 배합된 조성물 200 내지 600㎎을 1일 1 내지 3회 분할 투여한다. 그러나 활동성 간경변등과 같이 중증의 간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1일 1000㎎까지 증량시켜 투여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디페닐디메틸디카복실레이트 25㎎ 및 우루소데스옥시콜린산 100㎎을 함유하는 단위 투여체를 1일 3회 경구 투여한다.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되나, 본 발명의 이들 실시예에 의해 어떤 식으로든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조성물예
실시예 1
(당의정제)
성 분 함 량 (100정당)
비페닐디메틸디카복실레이트 ---------------- 2.5g
우루소데스옥시콜린산 ------------------- 10.0g
락토즈 --------------------------- 13.5g
옥수수전분 -------------------------- 4.5g
칼슘 카복시메틸셀룰로오즈 ----------------- 2.5g
마그네슘스테아레이트 -------------------- 0.5g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즈 ---------------- 1.5g
아라비아고무 ------------------------- 0.3g
탈크 ------------------------------ 0.8g
산화티탄 --------------------------- 0.075g
젤라틴 ---------------------------- 0.05g
백당 ----------------------------- 19.4g
하이드록시크로필메틸셀룰로오즈 -------------- 0.3g
폴리에틸렌글리콜 6000 ------------------ 0.075g
침강탄산칼슘 ------------------------- 4.0g
상기의 성분들을 지정된 양으로 배합하여 통상적인 정제의 제조방법에 1정당 600㎎씩의 배합물을 함유하도록 타정한 다음, 통상의 제피방법에 따라 당의를 입혀 목적하는 당의정제를 제조한다.
실시예 2
(필름코팅정제)
성 분 함 량 (100정당)
비페닐디메틸디카복실레이트 ---------------- 2.5g
우루소데스옥시콜린산 ------------------- 5.0g
락토즈 --------------------------- 12.0g
옥수수전분 -------------------------- 8.5g
칼슘카복시메틸 셀룰로오즈 ----------------- 2.5g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즈 --------------- 1.0g
마그네슘스테아레이트 -------------------- 0.5g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즈 -------------- 2.5g
폴리에틸렌글리콜 6000 ------------------ 0.07g
산화티탄 --------------------------- 0.3g
탈크 ----------------------------- 0.13g
상기의 성분들을 지정된 양으로 배합하여 통상적인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정당 350㎎씩의 배합물을 함유하도록 타정한 다음, 통상의 제피방법에 따라 필름코팅을 하여 목적하는 필름코팅정제를 제조한다.
실시예 3
(캅셀제)
성 분 함 량 (100캅셀당)
비페닐디메틸디카복실레이트 ---------------- 5.0g
우루소데스옥시콜린산 ------------------- 10.0g
옥수수 전분 ------------------------- 9.5g
락토즈 --------------------------- 12.0g
마그네슘스테아레이트 -------------------- 0.5g
통상적인 캅셀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 성분들을 지정된 양으로 배합한 후, 1캅셀당 370㎎씩의 배합물이 함유되도록 적절한 크기의 경질 젤라틴 캅셀에 충진하여 목적하는 캅셀제를 제조한다.
실시예 4
(연질캅셀제)
성 분 함 량 (100캅셀당)
비페닐디메틸디카복실레이트 ---------------- 2.5g
우루소데스옥시콜린산 ------------------- 10.0g
대두유 --------------------------- 50.0g
백납 ----------------------------- 8.77g
파라옥시메틸벤조에이트 ------------------ 0.024g
파라옥시프로필벤조에이트 ---------------- 0.006g
상기의 성분들을 지정된 양으로 배합한 후, 통상의 연질캅셀제 제조방법에 따라 1 캅셀당 713㎎씩의 배합물이 함유되도록 연질캅셀제를 제조한다.
실시예 5 (필름코팅정제)
성 분 함 량 (100정당)
비페닐디메틸디카복실레이트 ---------------- 2.5g
우루소데스옥시콜린산 ------------------- 10.0g
질산티아민 ------------------------- 1.0g
리보플라빈 ------------------------- 0.5g
락토즈 --------------------------- 10.0g
옥수수전분 -------------------------- 6.0g
칼슘 카복시메틸셀룰로오즈 ----------------- 3.5g
마그네슘스테아레이트 -------------------- 0.5g
하이드록시크로필셀룰로오즈 ---------------- 2.5g
폴리에틸렌글리콜 6000 ------------------- 0.07g
산화티탄 ---------------------------- 0.3g
탈크 ------------------------------ 0.13g
상기 성분들을 지정된 양으로 배합하여 통상적인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정당 370㎎씩의 배합물을 함유하도록 타정한 다음, 통상의 제피방법에 따라 필름 코팅하여 목적하는 필름코팅제를 제조한다.
실시예 6
(액 제)
성 분 함 량
비페닐디메틸디카복실레이트 ---------------- 25㎎
우루소데스옥시콜린산 ------------------- 50㎎
질산티아민 ------------------------- 10㎎
리보플라빈 ------------------------- 5㎎
디솔비톨 -------------------------- 1.3g
백당 ----------------------------- 16g
에탄올 ---------------------------- 1㎎
파라옥시메틸벤조에이트 ------------------ 80㎎
파라옥시프로필벤조에이트 ----------------- 20㎎
나트륨 시트레이트 ---------------------- 1㎎
정제수를 가하여 ------------------ 총용적 100㎖로 한다
통산의 액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 성분들을 교반하면서 배합하여 목적하는 액제를 제조한다.
실험예
실험예 1 :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만성활동성 간염에 대한 치료효과
만성 활동성 간염에 대한 본 발명에 따른 의약 조성물의 치료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만성 활동성 간염을 앓고 있는 환자 578명을 대상으로 하여, 이들을 3그룹으로 나누어 1군(250명)에는 본 발명에 따르는 조성물(비페닐디메틸디카복실레이트 25㎎^우루소데스옥시콜린산 100㎎/1회)을 투여하고, 2군(188명)에는 비페닐디메틸디카복실레이트(500㎎/1회)만을 투여하고, 3군(140명)에는 우루소데스옥시콜린산(200㎎/1회)만을 1일 3회 경구 투여하였다. 투여후에 각 군에서 주기적으로 혈청중의 ALT(SGPT) 및 AST(SGOT)치를 측정하여 각 약제의 효과를 비교하여 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주) 1. 상기의 각 수치는 각 군에서 측정된 ALT 및 AST 값의 평균치±표준편차이다.
2. 제1군=본 발명의 의약조성물(비페닐메틸디카복실레이트^우루소데옥시콜린산)투여군
제2군=비페닐디메틸디카복실레이트 단독 투여군
제3군=우루소데스옥시콜리산 단독 투여군.
상기 표 1의 결과롤 부터 알 수 잇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의약조성물은 각 성분을 조성물에 사용된 양의 2배의 양으로 투여한 경우에 비해서 월등히 우수한 ALT 및 AST치의 저하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3개월이 경과한 후에 정상 ALT 치로의 회복율은 제1군이 98.4%, 제2군이 89.5%, 제3군이 0%이고, 정상 AST 치로의 회복율은 제1군의 89.3%, 제2군의 23.4%, 제3군이 0%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비페닐디메틸디카복실레이트와 우루소데스옥시콜린산을 배합하여 투여하면 각 화합물을 별도로 투여한 경우에 비해 상승된 놀라운 상승적 작용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성분 CCl-유도된 간손상에 대한 치료효과
약물-유도된 간 손상에 대한 본 발명에 따르는 조성물의 치료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CCl로 간 손상을 유도한 마우스에서 그의 유용성을 평가하였다.
실험동물로는 체중 25 내지 30g의 ICR 계 숫컷 마우스 70마리를 사용하였으며, 이들을 4군으로 나누어 실험하였다. CCl투여하기 전에 제1군(20마리)의 마우스에게 본 발명에 따르는 조성물(비페닐디메틸디카복실레이트 : 우루소데스옥시콜린산=1:4) 150㎎/㎏(체중)을, 제2군(20마리)의 마우스에게는 비페닐디메틸디카복실레이트 150㎎/㎏을, 제3군(20마리)의 마우스에게는 우루소데스옥시콜린산 200㎎/㎏을 매일 1회씩 연속 7일간 경구투여하고(1차 약제) 제4군(10마리)의 마우스에게는 약제 투여를 하지 않고 대조군으로 하여 혈액을 채취하고, 혈청에서 ALT,AST치를 측정하였다. 그후, 모든 실험동물에게 체중 ㎏당, 옥수수유 중에 0.1% 농도로 현탁시킨 CCl10㎖씩을 1회 복강내 주사하여 간손상을 유도시킨 후 CCl로 산 손상을 입게된 각 군의 실험동물에게 다시 2차 약제를 1차 약제와 같은 동량으로 6일간 연속 투여한 후 각각의 혈액을 채취하여 혈청중의 ALT, AST치를 측정하여 CCl로 유도된 간 손상에 대한 간보호 및 치료효과를 비교하여 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 표 2에 나타내었다.
주)1. 상기의 각 수치는 각 군에서 측정된 ALT 및 AST 값의 평균치±표준편차이다.
2. 제1군=본 발명의 의약조성물(비페닐페틸디카복실레이트×우루소데스옥시콜린산)투여군
제2군=비페닐디메틸디카복실레이트 단독 투여군
제3군=우루소데스옥시콜린산 단독 투여군.
상기 표 2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르는 의약조성물을 투여하고 CCl를 투여한 경우에는 대조군에 비해서 뿐만 아니라 비페닐디메틸디카복실레이트나 우루소 데스옥시콜린산만을 단독 투여한 경우(2,3군)에 비해서 혈청 중에 ALT,AST치의 상승이 현저히 저하되었으며, 2차 약제 투여후에 정상적인 ALT,AST치의 복귀율도 타군에 비해서 제1군이 월등히 높았다. 즉, 본 발명의 의약조성물은 각 성분을 단독으로 투여한 경우에 비해 CCl로 유도된 간손상으로부터 간을 보호하는 효과를 나타낼 뿐 아니라 손상된 간에 있어서도 단독으로 투여한 경우에 비해 월등히 우수한 치료효과를 나타냈다.
실험예 3.
급독성시험
본 발명에 따르는 의약조성물의 급성독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체중 150 내지 200g의 스프라그 도울리(sJPRAGUE-dOWLEY)계 랫트에게 본 발명에 따르는 조성물을 경구투여하여 그 치사율을 확인하였다.
시험약제로는 비페닐디메틸디카복실레이트와 우루소데스옥시콜린산을 중량 기준으로 1 : 1, 1 : 2, 1: 3, 1 : 4, 1 : 5, 1 : 8, 2 : 3, 2 : 5 및 2 : 7의 배합비로 함유하는 의약 조성물을 시험동물의 체중kg당 1g, 2g, 3g, 4g 및 5g의 양으로 경구 투여하였다. 각 시험약제에 대하여 랫트 10마리씩을 사용하였다. 약제를 투여한 다음 2주후에 사망한 동물의 수를 세어 치사율을 결정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 표3에 기재하였다.
주) 1. PMC = 비페닐디메틸디카복실레이트, URS = 우루소데스옥시콜린산
2. PMC 와 URS의 비는 중량기준이다.
3. 각 군당 시험동물의 수는 10마리이다.
상기 표 3의 결과에서 보는 바와같이, 본 발명의 의약조성물은 실질적으로 매우 안전하며 독성이 없는 약제임을 알 수 있다.
상기 실험의 결과들로부터, 본 발명에 따르는 의약조성물은 비페닐디메틸 디카복실레이트와 우루소데스 옥시콜린산의 독톡한 배합에 의해 각 성분을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에 비해 월등히 우수한 상승적 간질환 치료 및 간기능 개선 효과를 나타낼 뿐 아니라 약물-유도된 간손상으로부터 간을 보호하는 작용까지도 나타내므로 당해 기술 분야에서의 명백한 진보성을 제공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Claims (9)

  1. 비페닐디메틸디카복실레이트 및 우루소데스옥시콜린산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간질환 치료 및 간기능 개선용 의약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비페닐디메틸디카복실레이트와 우루소데스옥시콜린산을 중량기준으로 1-2 : 2-8의 비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비페닐디메틸디카복실레이트와 우루소데스옥시콜린산을 중량기준으로 1-2 : 2-4의 비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비페닐디메틸디카복실레이트와 우루소데스옥시콜린산을 중량기준으로 1 : 4의 비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비페닐디메틸디카복실레이트 25㎎ 및 우루소데스옥시콜린산 100㎎을 함유하는 단위투여형태임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추가로 적어도 하나의 비타민 성분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비타민 성분을 비페닐디메틸디카복실레이트 1중량부당 0.01 내지 2중량부의 비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조성물.
  8. 제6항에 있어서, 비타민 성분이 비타민 B1또는 비타민 B2성분 또는 이들의 혼합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조성물.
  9. 제1항 내지 8항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추가로 하나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조성물.
KR1019930017065A 1993-08-30 1993-08-30 간질환 치료 및 간기능 개선용 의약조성물 KR9700053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7065A KR970005328B1 (ko) 1993-08-30 1993-08-30 간질환 치료 및 간기능 개선용 의약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7065A KR970005328B1 (ko) 1993-08-30 1993-08-30 간질환 치료 및 간기능 개선용 의약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5312A KR950005312A (ko) 1995-03-20
KR970005328B1 true KR970005328B1 (ko) 1997-04-15

Family

ID=19362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7065A KR970005328B1 (ko) 1993-08-30 1993-08-30 간질환 치료 및 간기능 개선용 의약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532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5312A (ko) 1995-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21689B1 (ko) 항말라리아조성물
US20060229293A1 (en)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of hepatitis C and methods for using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of hepatitis C
CA2664935A1 (en)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of hepatitis c and methods for using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of hepatitis c
CN101014334B (zh) 丙型肝炎病毒阳性人肝硬化患者用肝癌发生和发展抑制剂
JP5118863B2 (ja) 催眠用医薬組成物
WO2005016370A1 (en) Method of treating viral infections
US5491150A (en) Supplementary therpeutic agents for the treatment of immunodeficiency syndrome
WO1999017612A1 (en) Serotonin containing formulation for oral administration and method of use
EP0190851B1 (en) Improved antiinflammatory composition
KR970005328B1 (ko) 간질환 치료 및 간기능 개선용 의약조성물
KR100294329B1 (ko) 간질환 치료 및 예방용 의약 조성물
KR100577514B1 (ko) 비페닐디메틸디카복실레이트, 및 카르두스 마리아누스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정제된 실리빈을 함유하는 경구용마이크로에멀젼 조성물
KR100653877B1 (ko) α-리포산 함유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0137602B1 (ko) 간질환 치료 및 예방용 의약조성물
JP2891738B2 (ja) アルコール吸収抑制剤
RU2250768C2 (ru)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и способ лечения прогрессирующего фиброза и цирроза печени
JP2003104901A (ja) 健康指向性組成物
KR19990066786A (ko) 베르겐닌 및 그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기능 개선제
KR100473078B1 (ko) 예덕나무피엑스를유효성분으로하는간기능개선제
KR100377789B1 (ko) 간섬유화 및 간경화 치료 및 예방용 의약 조성물
KR100753709B1 (ko) 씨형 만성 간염 치료제
KR0142809B1 (ko) 간질환 치료용 약제조성물
JPS63239229A (ja) 免疫賦活剤
JPH05294833A (ja) ビタミン含有保健剤
KR100198490B1 (ko) 간장질환 치료용 의약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41124

Effective date: 20061130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J2X2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070801

Effective date: 20080408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61228

Effective date: 20070913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70929

Effective date: 200906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19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